You are on page 1of 13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한국경제의 이해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이충열 교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1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지역불균형 문제의 발생 : 수도권과 지방간 , 영남과 호남간 소득 및 부의


불균형 발생
 주요 원인 : 주요 산업단지가 수도권과 영남권에 집중 .

수도권 : 인적자원 및
인프라 구비 =>
서비스산업

영남권 : 심해항구
=> 제조업 중심
산업단지
호남권 : 평야지대
=> 농업 중심

2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산업단지가 별로 없는 호남지역은
농업중심 => 농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제조업 및 서비스의 생산성
증가율에 크게 떨어짐

 영호남 소득격차의 발생

3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수도권의 인구 급증 : 도시화 문제 발생
 영남권 : 인구 정체
 호남권 : 인구 감소
지역별 인구 분포
50,000,000 100%

45,000,000 90%

40,000,000 80% 영남권


영남권 70%
35,000,000

30,000,000
60%
호남권
충청권
50%
25,000,000
40%
20,000,000 권
호남 30%
15,000,000
20%
10,000,000 수도권
5,000,000
수도권 10%

0%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0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도
호남권 영남권 제주도
4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당시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 조건
• ‘ 공돌이’ ‘공순이’의 등장 : 1970 년대 시골에서 상경한 공장 노동자 ( 남자와
여자들 )
• 8 시에 업무 시작하여 저녁 8 시에 퇴근
• 보통 점심 , 저녁 식사를 모두 직장에서 해결 : 회사 기숙사나 회사 근처의
단지에서 공동생활
• 참고로 다음 비디오를 보기 바람
• https://www.youtube.com/watch?v=QsIUH1SaXS8
• https://www.youtube.com/watch?v=10NG5xMvu7A

5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1987-90 년 민주화기간 동안 실질임금 상승률 : 억눌렸던 임금이 한꺼번에


상승하는 사태 : ( 실질임금상승률 = 임금상승률 - 물가상승률 )

25

20
실질임금상승률 (%)

15

10

0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6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열악한 노동조건 : 원진 레이온 사건


• 1980 년대 서울 근교 남양주시 노동동에 위치한 화학섬유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대규모
오염에 노출되어 화학약품에 중독되는 사태
• 1981 년 첫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 1987 년 민주화 정권이 탄생한 후에 알려짐 .
• 8 명이 사망하고 , 637 명이 장애 판정 ( 언어장애 반신불수 , 정신 이상 등 ) 을 받음
• 공장은 1993 년 6 월 8 일 폐쇄됨 .

 유사한 사태는 현재 다른 저소득국가에서 발생하고 있음 : 결국 직업과 병이


동시에 개도국으로 이전됨 .

 1963 년 설립된 노동청이 1981 년 노동부로 승격되고 , 보다 체계적으로 노동자


보호에 힘쓰게됨 .

7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환경오염 : 낙동강 페놀 사건 : 1991 년 3 월 14 일과 4 월 22 일 경북 구미


두산전자가 페놀 30 톤과 1.3 톤을 방출하여 낙동강의 오염됨
• 낙동강 수계의 대구 이남 지역의 물이 악취가 나도록 오염됨
• 페놀은 수용성 물질로 약산성으로 호흡기 소화기 피부접촉 등으로 인체에 접촉시
심각한 병을 유발함 .
• 두산 불매 운동이 발생하여 두산 맥주 ( 현재의 OB 맥주 ) 가 팔리지 않는 사태가 발생 .

8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환경오염 :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 신문기사 : 1990 년 11 월 한달 동안 서울 잠실의 먼지 농도는 대체로
120~180 ㎍ / ㎥ 사이인 경우가 많았음
• 먼지 농도가 비교적 낮은 날들도 80~100 ㎍ / ㎥ 안팎이었고 , 60 ㎍ / ㎥
아래로 내려가는 날은 없었음 .
• 서울시내 많은 공장들과 오염저감 장치 미비

< 표 > 최근의 대기오염 판정 기준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 미세먼지 (PM10) 0-30 30-80 80-150 Above 150

( 초미세먼지 (PM2.5) 0-15 15-35 35-75 Above 75

9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왜 환경오염은 시장에서 해결되지 않는가 ? 외부 비경제재화임 .

 일반재화 : 사람들이 소비할 경우 이 소비재에 대한 대가를 지불함 .


• 예를 들어 , 사과를 먹고 사과가격을 지불하고 상품을 공급한 사람은 이 대가를
받음 .

알 수 없는 작성자 님의 이 사진에는 CC BY-SA-NC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


10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왜 환경오염은 시장에서 해결되지 않는가 ? 외부 비경제재화임 .

 외부비경제 재화 : 나쁜 상품 혹은 피해를 공급한 사람이 이 대가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
• 매일 공장 A 는 대기오염을 방출하지만 이 오염에 따른 피해는 공장이
부담하지 않음 . => 법을 만들고 세금을 부과함 .

11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왜 환경오염은 시장에서 해결되지 않는가 ? 외부 비경제재화임 .


 외부경제재화 : 상품을 공급한 사람이 이 대가를 받지 않는 경우
• 매일 화원을 지나가면서 꽃 향기를 즐기지만 , 사람들은 돈을 내지 않음 =>
입장료 및 관람료를 받음 .

 1980 년 정부부처에 환경청이 만들어지고 , 환경부가 1994 년에 발족함

12
5-2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부작용 한국경제의 이해

• https://www.youtube.com/watch?v=z6brOqITPLM : Air
pollution (or dust) in Korea ( 한국의 미세먼지 , 1980s)
• https://www.youtube.com/watch?v=hZkYhPmv5aQ : Water Pollu-
tion with Phenol in Daegu Area ( 대구 페놀사건 , 1991)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4130634577683 : Workers in-
toxicated in hazardous chemicals, 원진 레이온 사건 , 1988)

1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