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2023. 11. 1.
CERIK 경제금융·도시연구실 김성환
I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II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III 2024년 시장 전망 및 시사점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 CONTENTS


I

2023년 시장동향 및 특징
1. 수도권 시장 동향 및 특징

2. 지방 시장 동향 및 특징

CHAPT.1.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전국 아파트 매매시장 장기추이(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


장기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 올해 들어 9.31% 상승, 서울은 이보다 강한 상승세 보이며 13.05% 상승(9월 잠정치 반영)
최근 하락기(15개월) 동안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 24.7% 하락했으며 이후 7개월간 9.1% 상승
부동산정책 민간임대주택 공급 활성화(세제 완화)
250.0 수도권 외 지방 매매실거래가지수 MoM 변화율 (右, %) 부동산정책 8.0%
수도권 매매실거래가지수 MoM 변화율 (右, %) LTV, DTI 규제 완화 <2023.1.~ > <2023.2.~ >
수도권 외 지방 매매실거래가지수 (左, p) 부동산 3법(분상제 탄력 적용,재초환 유예, 서울 상승 전환 수도권 상승 전환
재건축 3가구까지 분양 허용(도정법))
수도권 매매실거래가지수 (左, p) 6.0%
경제정책
경제위기
200.0 경제위기 건설 3低(성장률, 금리, 유가)
유럽재정위기
경제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부동산정책 경제위기
경제정책 4.0%
부동산정책 뉴스테이 공급, 공유형 모기지(금리 1%대) 코로나19
카드사태 영향 부동산정책 부동산정책
기준금리 인상(2.0%→3.25%)
(’02~) DTI 규제임시완화(9월) 보금자리주택지구 부동산정책
경제정책
부동산정책 DSR 규제
150.0 지정(1~5차 등, 전지역 부동산정책 강화(7월)
부동산정책 전세자금대출 확대, 금리인하
기준금리 ’09~’11) LTV 2.0%
DTI 부활(4월) LTV·DTI규제 강화(首 2월,地 5월) 4
부동산정책 주담대 인하 수도권 중심 80%
1인1건 (5.25% 매입임대사업자 세제혜택 부여 조정대상지역 선정
DTI 도입 LTV(6월),
제한 →2.0%) 오피스텔 임대주택 등록
(3월) DTI 시행(9월)
생초자 대출금리 인하, 취득세감면 부동산정책
0.0%
100.0 부동산정책
특례보금자리론(40조)
50년 만기 주담대(8.3조)
부동산정책 조정대상지역 지정 신생아특례대출(27조?)
부동산정책 (서울, 경기, 부산, 세종) 스트레스 DSR 도입
분상제 완화 -2.0%
부동산정책 강남3구투과해제 전매제한 완화
DTI 규제임시완화(9월) 다주택자 양도세 양도세, 취득세 인하
50.0 중과 폐지
7.54 -6.36 12.52 -3.86 -1.66 -6.81 2.86 4.44 7.72 5.16 3.93 7.10 4.24 21.55 24.01 -22.46 9.31 -4.0%

2024
2.69 1.89 6.50 9.94 14.57 0.55 5.48 5.48 5.99 1.36 -1.23 -3.77 -0.40 12.15 12.01 -10.67 1.85 주
5.21 -10.20 21.21 -3.14 -2.99 -7.30 3.14 4.17 9.01 8.08 10.64 18.02 10.55 22.63 13.08 -22.19 13.05 택

·

0.0 -6.0% 동

(잠정)
'11.7
'12.1
'12.7
'13.1
'13.7
'14.1
'06.1
'06.7
'07.1
'07.7
'08.1
'08.7
'09.1
'09.7
'10.1
'10.7
'11.1

'14.7
'15.1
'15.7
'16.1
'16.7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22.7
'23.1
'23.7
’23.9




* 자료 : 한국부동산원 / 주 : 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를 분석한 것임. 9월 변동률은 잠정치임. 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수도권 지역별 전고점 및 전저점 대비 가격 변화율


단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주택가격 하락 대체로 적었던 지역에서 가격 회복도 빠른 모습 나타내


서울의 경우 강남3구, 성동구 등의 가격 하락이 적었던 반면(가로축), 회복기 상승률은 커(세로축)

’23.9. 기준 수도권 APT 전고점(전저점) 대비 가격 하락률(상승률) 서울 APT 전저점 대비 가격 변화율


수도권 APT 전고점 대비 가격 하락률 수도권 APT 전저점 대비 가격 상승률
6.00
<범례(%)> <범례(%)>
0.0 ~ -5.0 10.0 ~ 14.21 송파구
-5.0 ~ -10.0 5.0 ~ 10.0 5.00
-10.0 ~ -15.0 2.5 ~ 5.0
-15.0 ~ -20.0 1.0 ~ 2.5
4.00
-20.0 ~ -23.5 0.0~1.0
서초구
3.00
강남구
마포구 강동구
성동구
동대문구 영등포구 용산구 2.00
양천구
성북구 중구 광진구
은평구 중랑구 1.00
도봉구 노원구 금천구종로구
관악구
서대문구
강서구 동작구
구로구 0.00
강북구

-1.00
-20.00 -15.00 -10.00 -5.00 0.00

* 자료 : 한국부동산원 * 자료 : 한국부동산원

5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정책 변화에 따른 거래량 변화
단기

15억 초과 주택 대출 제한 해제 /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판매 중단 등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의 선호 변화


2023년 들어 전국적으로 30대가 아파트를 포함한 집합건물 매수의 주요 계층으로 자리잡아

수도권 가격대별 APT 거래 비중 나이대별 집합건물 매수인 비중


수도권 집합건물 연령대별 매수인 비중
100% 35.0% 30대
40대
90%
30.0%
80%
25.0%
70%

60% 20.0%
'22.1. '22.3. '22.5. '22.7. '22.9. '22.11. '23.1. '23.3. '23.5. '23.7. '23.9.
50%
지방 집합건물 연령대별 매수인중
40% 35.0% 30대
30% 40대
30.0%
20%
15억 초과(%)
9억 초과~15억 이하(%) 25.0%
10%
9억 이하(%)
0% 20.0%
'22.1. '22.3. '22.5. '22.7. '22.9. '22.11. '23.1. '23.3. '23.5. '23.7. '23.9. '22.1. '22.3. '22.5. '22.7. '22.9. '22.11. '23.1. '23.3. '23.5. '23.7. '23.9.

* 자료 : 국토교통부, 부동산114 * 자료 : 법원

6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거래량 증가했으나 여전히 과거평균 대비 적어


거래

예년 1~8월 누적 거래량 평균과 비교한 결과 수도권 65.2%, 지방광역시 65.4%, 8개도 80.2% 수준
월간 추이를 보더라도 2023년 1월 통계집계 이후 최저 구간을 지나 소폭 회복했지만 여전히 평균에 못 미쳐

아파트 매매거래량 변화 추이(1월~8월) 아파트 매매거래량 월간 추이(12개월 이동평균)

350,000 40,000 <’06.1.~’23.8. 월평균>


수도권(호) 수도권 : 23,148호
지방광역시(호) 지방광역시 : 12,158호
300,000 35,000
8개도 : 16,474호
8개도(호)
30,000
250,000
25,000
200,000
20,000
8개도,
150,000
15,000 7월 저점
116,159 기록
100,000 10,000
102,279
수도권(호)
50,000 5,000 지방광역시(호)
60,536
8개도(호)
0 0

'09.1.
'07.1.
'08.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22.1.
'23.1.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자료 : 한국부동산원 * 주 : 그래프는 해석이 용이하도록 이동평균을 도시 / 그 외 월평균 등은 원자료 사용


* 자료 : 한국부동산원
7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역전세 구간 통과 중, 월세부터 상승세 나타나


전세

9월 월간 전국 아파트 전세가 (한국부동산원) 0.48% 상승했지만 ’21년 9월 대비 14.9p 낮아 역전세 구간 통과 중


전세보증금 미지급 우려(속칭 전세사기)로 5월 까지 가격 추이 상이했지만 이후 격차 감소

지역별 전세가 지수 및 2년 전 대비 스프레드 추이 지역별 월세·준월세·준전세 지수 추이


수도권 월세·준월세·준전세 지수 추이
120 25 1.00%
<2년(전세기간) 전 지수 대비 스프레드(’23.9.)>
수도권 : 103.3p → 83.9p (-19.4p, -18.8%) 20 0.50%
지방 : 101.8p → 91.3p (-10.5p, -10.3%)
100 0.00%
15
-0.50%
10
80 -1.00%
’18.10. ’20.5. ’23.1. 월세지수(%) 준월세지수(%) 준전세지수(%)
5
-1.50%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22.7.
'23.1.
'23.7.
60 0

-5 지방 월세·준월세·준전세 지수 추이
1.50%
40 1.00%
-10
입주물량 증가로 0.50%
수도권 Y-2 대비 스프레드(右, p) 전세공급 증가하여 -15
20 지방 Y-2 대비 스프레드(右, p) 역전세 현상 나타나 0.00%
수도권(左, p) -20 -0.50%
지방(左, p) -1.00% <참고 : “전세사기” 검색량 추이>
0 -25 2023.4. 16.~4.22. 최대치 기록(네이버 trends)
-1.50%
'11.1.

'14.1.
'06.1.
'07.1.
'08.1.
'09.1.
'10.1.

'12.1.
'13.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22.1.
'23.1.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22.7.
'23.1.
'23.7.
* 자료 : 한국부동산원

8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주택 유형별 전세가격 변화 및 선호 비율 변화
전세

연립·다세대 주택의 전세가 하락… 과거에는 공급 이슈였지만 최근에는 수요측 요인인 듯


임대 보증금 반환 이슈 발생 이후 임대차 거래 중 아파트 선호 비율 소폭 증가

지역별 연립·다세대 인허가 및 전세가격 변화 추이 임대차 거래 중 아파트 비율 추이

120 15.0% 100% 100.0 “전세사기” 검색량 추이 아파트 외(%)


’22.6. 아파트(%)
90% 50.0
100 80%
10.0% 0.0

'22.5.
'20.1.
'20.5.
'20.9.
'21.1.
'21.5.
'21.9.
'22.1.

'22.9.
'23.1.
'23.5.
'23.9.
70%
<연립·다세대 전세가-공급(인허가)량 연동 관계>
80 60%
’03~’05 전세가 하락 : ’01~’02 인허가량 증가
’18~’20 전세가 하락 : ’11~’17 인허가량 증가 5.0%
50%
60
40%
과거 연립·다세대·다가구 인허가 0.0% 30%
40 연립
400K 다세대 20%
다가구(가구기준)

200K -5.0% 10%


20
0%
0K

'21.6.
'21.8.

'22.2.
'22.4.
'22.6.
'22.8.

'23.2.
'23.4.
'23.6.
'23.8.
'21.10.
'21.12.

'22.10.
'22.12.
'95 '97 '99 '01 '03 '05 '07 '09 '11 '13 '15 '17 '19 '21
0 -10.0%
'19.1
'05.1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20.1
'21.1
'22.1
'23.1

* 주 : 각 년도 5월을 통계에서 제외한 것은 임대차 계약 신고 유예 만기 도래로 인해


아파트 외 상품의 신고가 많았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이며, 발표일 현재
* 자료 : 국토교통부, 한국부동산원 2024년 5월로 계도기간이 재연장됨.
* 자료 : 한국부동산원, 네이버 trends
9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청약시장, 지역별·지역간·상품간 차별화


판매

2022년 하반기 침체됐던 청약시장, 2023년 들어 서울을 중심으로 경쟁률 상승하며 시장의 관심도 보여줘
공사비, 자재비 등 상승 가파르자 분양가 인상 우려로 특정 지역 및 상품에 수요 쏠림 현상 나타나

지역별 평균 청약경쟁률 추이 지역별 청약 1순위 경쟁률 분포(’23년 분양 물량)


수도권 청약 1순위 경쟁률 분포
250.0 서울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1:1 미달> <수도권 100:1 초과>
지방(지방광역시, 8개도) 전체 분양면적 유형의 전체 분양면적 유형의
200.0 27.7% (154개 유형) 10.8% (60개 유형)

150.0

지방 청약 1순위 경쟁률 분포
100.0

<지방 1:1 미달> <지방 100:1 초과>


전체 분양면적 유형의 전체 분양면적 유형의
50.0 46.8% (229개 유형) 2.7% (229개 유형)

0.0
'18.3Q
'17.1Q
'17.3Q
'18.1Q

'19.1Q
'19.3Q
'20.1Q
'20.3Q
'21.1Q
'21.3Q
'22.1Q
'22.3Q
'23.1Q
'23.3Q

* 자료 : 한국부동산원 * 자료 : 부동산114

10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공급지표 하락세 뚜렷… 착공과 분양 감소세 커


물량

2023년 8월 전국 월간 아파트 인·허가 1,998호… 세분화된 통계집계 이후(2007년~) 최저치 기록


착공은 수도권과 지방을 가리지 않고 50% 이상 감소, 분양은 지역에 따라 40% 내지 50%대 감소

월간 아파트 인·허가 물량 추이 지역별 공급지표 월간 누적 증감률 추이


수도권 공급지표 월간 누적 증감률
100,000
20.0%
90,000 0.0%
-10.7%
80,000 -20.0%
-36.9%
-40.0% -43.8%
70,000
-60.0% -56.9%
60,000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80.0%
50,000 1월~4월 1월~5월 1월~6월 1월~7월 1월~8월
지방 공급지표 월간 누적 증감률
40,000
20.0%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30,000 0.0% -3.7%
20,000 -20.0%
-40.0% -39.9%
10,000 -55.9%
-60.0% -55.9%
'23.8., 1,998
0
-80.0%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22.7.
'23.1.
'23.7.

1월~4월 1월~5월 1월~6월 1월~7월 1월~8월

* 자료 : 국토교통부 * 자료 : 국토교통부, 부동산114

11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2023년 시장 동향 종합
하반기 들어 가격 상승세 확산됐으나 10월 들어 상승폭이 축소되는 경향 나타내

구분 수도권 지방

1 장기 대세 상승세 종료 최근 하락세, 이전 고점에 접근


장기 ▶ 수도권 실거래가 기준 ’13.1. 이후 상승세 보였고, ▶ 올해 초 저점 기록할 당시, ’17.7. 기록한 이전
’21.10. 기점으로 하락세 시현 고점에 +6% 내외 까지 접근

2 매매가 상승 전환 매매·전세·월세 등 전 가격지표 횡보


단기 ▶ 연초 매매가 상승 전환, ’21.10. 이후 15개월만 ▶ 최근 매매가와 전세가 횡보에 가깝고(MoM
▶ 동기간 서울 22.2% 하락 → 13.1% 상승 0.2%~0.5%), 월세 하락세 종료 12
▶ 10월 3주 매매가 상승폭 축소 ▶ 10월 3주 매매가 상승폭 축소

3 월평균 거래량 증가, 여전히 평균 대비 적어 8개도, 7월 중 저점 기록


거래(매매)
▶ 수도권 월간 매매거래량, 평년 대비 72.8% ▶ 수도권과 지방 5개광역시 거래량 1월 저점 기록한
▶ 거래량 증가했음에도불구, 역사상 저점 통과 중 가운데 8개도 지속 하락세였지만 7월 저점 기록
4
신규 판매 ④ 금융불균형 해소 지연 ④ 금융불균형 해소 지연

2024
▶ ’22 대비 경쟁률 높은 사업장 다수 출현, 지역간· ▶ 분양가 인상 우려로 특정 지역에 대한 선호 집중,

상품간 차별화 커져 전체 시장에 대한 선호라 판단하기는 일러 택

·

5 동

신규 물량 준공 감소폭 비교적 적지만(지방 YoY -10%) 인허가·착공 누적 감소폭 증가세 경



II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1. 수도권 시장 동향 및 특징

2. 지방 시장 동향 및 특징

CHAPT.2.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주요국 금리인상 압력 확대, 부동산 PF 부실, 정부의 금융 규제 재강화, 중동 분쟁 등 지정학적 문제 발발

정책여건 및 주요 불확실성 요인 잠재 리스크 정책운용 제약 요인

글로벌 인플레이션 높은 수준 지속 ① 외환부문 불안 1


▶ 주요국 금리 인상 압력 확대 원화의 대내외
▶ 내외금리차 역전 폭 확대 시 통화절하 압력 가치 안정성 저하
중국 및 반도체·IT 경기 회복 지연
▶ 경상수지 적자 장기화 시 대외건전성 및
▶ 수출 부진 지속 가능성
신인도 저하
기조적 물가 하방 경직성, 지정학적 문제 해결 난항 2
▶ 겨울철 유가를 비롯한 물가의 상방압력 증가 ② 높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성장의 하방리스크 확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위한 공공요금 인상 억제
▶ 에너지 수요 지속되나 공급체계 불안감 고조 ▶ 물가불안 고착화
14
▶ 인플레이션 리스크 프리미엄 확대 3
부동산 관련 대출 연체율 증가 금리 인상
▶ 금융기관 건전성 약화 가능성 압력 확대

*
③ 금융불안 재연 자
부동산 PF 관련 익스포저에 대한신용 경계감 지속 료

:
▶ 건설사 부담(신용보강 / 회사채 발행 ),P-CBO 시장 ▶ 금융시장 유동성사정 및 중개기능 저하 한
▶ 부동산 금융 차환 리스크 ▶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4 국

▶ 금융기관 건전성 악화 금융시스템 복원력 저하 행
공공요금 인상 제약, 전세사기, 고금리 예금만기 도래

(2023)
등으로 채권(공사채/은행채 등) 순발행 지속
▶ 공급자 금융 수급여건 악화 가능성 5

2024
④ 금융불균형 해소 지연 을
부동산 분양 경기 부진 중장기 성장잠재력 훼손 저 주
▶ 높은 주택가격 및 주거비용 지속 택
▶ 미분양 증가, 부실 사업장 확대 리스크 (출산율 저하, 경기 충격에 대한 자

·

▶ 통화 긴축기 디레버리징 기회 사실상 취약성, 자원배분의비효율성 일 동
정부의 부동산 관련 유동성 규제 강화 건너뛰어 금융불균형 해소 폭 축소 증가 등) 부 산
수 경
▶ 주택가격 상승세 제한, 주담대 감소 가능성 ▶ 취약부문의 구조조정 기회 유실 기
정 전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공사비 등 상승으로 분양가 인상 압력


중간재 가격 상승세 가파르고 수입 중간재-국내 중간재 가격 격차 커진 것으로 보아 국내 자재 수요 여전한 듯
2008~2009년(글로벌 금융위기)과 마찬가지로 건설 중간재 가격-건설 투자 순환 이탈 / 시장의 불확실성 강화

건설 중간재 가격 상승 추이 건설 중간재 가격과 건설 투자의 순환과정


비순환과정(’05~’12) 비순환과정(’16~’22)
150 <2022. 하반기~> 146.13 4 2009 15
중간재건설용(국내, 2015=100) 수입 중간재 가격 하락에도 급격하고 ’21~’22에 걸친
국내 중간재 가격 유지 2 2007 방향성 10 2016 순환과정의 이탈
중간재건설용(수입, 2015=100) 2006 예측하기
140 0 어려운 변화 5 2017
<국내 건설 중간재 가격 변화 추이> 2005 2020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 0 2021
2011 2019
130 -4 2008 -5
?
4.7% 1.3% -1.9% 2.3% 27.7% 6.3% 2012 2022
2010 2018
-6 -10
120 133.11 0 10 20 30 -10 0 10 20 30
선행지표와 달리 순환과정(’00~’07) 순환과정(’13~’19)
건설 기성은 10 15
110 유지되면서 자재 2003 2015
8 10
수요도 보합세 2001 2016
보이는 듯 6 5
2002 2014
100 2019
4 0 2013
2018
2 2007 -5 2017
2004
90 2006
0 -10
'20.1.
'13.1.
'13.7.
'14.1.
'14.7.
'15.1.
'15.7.
'16.1.
'16.7.
'17.1.
'17.7.
'18.1.
'18.7.
'19.1.
'19.7.

'20.7.
'21.1.
'21.7.
'22.1.
'22.7.
'23.1.
'23.7.

2000 2005
-10 0 10 20 -5 0 5 10

* 자료 : 한국은행, 대한건설협회
* 자료 : 한국은행, CERIK 시산

15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에 따른 시장 영향
올해 5월 이후 주담대 증가폭이 장기(’17.1.~’23.4.) 평균을 초과했으며 가계부채 증가하자 제도적 조정 실시
특례보금자리론 (1월 발표, 3월 실행) 과 50년 만기 주담대(6월 이후 본격 실행) 를 통한 자금 유입, 시장 가격 상승 시기와 유사

월간 주택담보대출 증감 추이 월간 가계대출 증감 추이

주담대 증가 추이 : 1.9조(5월) → 4.1조(6월) → 3.4조(7월) → 3.5조(8월) 25 HUG 및 HF 주담대 MoM 증가액(조원)


기타대출 MoM 증가액(조원)
전국 APT 실거래가 변화율 : 9.1%(’20년) → 16.8%(’21년)
20 예금취급기관 주담대 MoM 증가액(조원) <2023.1.~>
HUG/HF 주담대 증가 및
7 주담대 MoM 증가액(조원) 기타대출/예금취급기관
<’17.1~’23.4. 평균> 15 주담대 상환 추이
6 月 2.7조원
<’20년 평균> <2023.6.~>
5 月 4.2조원 10 예급취급기관 주담대 증가
(50년 만기)
4
5
3

2 0
1
-5
0
'18.1.

'21.9.
'17.1.
'17.5.
'17.9.

'18.5.
'18.9.
'19.1.
'19.5.
'19.9.
'20.1.
'20.5.
'20.9.
'21.1.
'21.5.

'22.1.
'22.5.
'22.9.
'23.1.
'23.5.

-1 -10

'21.1.
'17.1.
'17.5.
'17.9.
'18.1.
'18.5.
'18.9.
'19.1.
'19.5.
'19.9.
'20.1.
'20.5.
'20.9.

'21.5.
'21.9.
'22.1.
'22.5.
'22.9.
'23.1.
'23.5.
-2

* 자료 : 한국은행 * 자료 : 한국은행

16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특례보금자리론의 시장 영향
월간 특례보금자리론 유효신청액은 9월 기준 4.4조로, ’20년과 ’21년 월간 주담대 증가액 평균을 상회
특례보금자리론 유효신청액 중 신규주택 구입 목적 점차 증가… 9월 기준 64.3%

특례보금자리론 유효신청 월간 추이 특례보금자리론 사용처별 신청 비율 월간 추이

’17.1~’23.8. 평균 : 월 2.7조원 /’21년 평균 : 월 3.8조원 100%

특례론 39.6조, ’21년 연간 주담대 증가액의 86.7%(45.7조) 90%

80%
5.0 기존대출 상환(조원)
4.4
4.5 신규주택구입(조원) 70%
임차보증금 반환(조원)
4.0 60%
3.4
3.5 3.2
3.1 50%
3.0 2.6
2.5 2.3 2.3 40%

2.0 30%
1.5
20%
1.0
10%
0.5
임차보증금 반환(%) 기존대출 상환(%) 신규주택구입(%)
0.0 0%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 주 : 3월과 4월의 유효 신청액이 발표되지 않아 5월 유효신청율을 기준으로 환산 * 주 : 2월~4월은 신청액 기준(유효신청액 통계 부재), 5월 이후는 유효신청액 기준
* 자료 : 주택도시보증공사 * 자료 : 주택도시보증공사
17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의 시장 영향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본격 실행됐던 7월과 8월, 특례보금자리론과 함께 가계대출 증가에 영향 준 듯
수요자의 구매능력을 진작하려는 상품의 취지에 맞는 제도 운영 필요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취급현황(1)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취급현황(2)

월간 주담대 증감의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 가능


4.5 조 3.7조 집단대출
9 특례보금자리론 유효신청액(신규주택 구입용도, 조원) 구성
개별주담대
8 50년만기 주담대 실행액(조원) 0% 20% 40% 60% 80% 100%
주담대 증감(조원)
7
20~30대
6 <’23.7.~8. 집중 양상> 29.9% 57.1% 12.9%
연령 40~50대
’23년 공급규모 83.5%
5 0% 50% 100% 60대 이상
4
3 무주택
47.7% 34.0% 18.0% 0.3%
2 주택수 1주택보유자
0% 50% 100% 2주택이상보유자
1
0 50.4%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32.4%
-1
평균DSR
0.0%
* 주1 : 3월과 4월의 유효 신청액이 발표되지 않아 5월 유효신청율을 기준으로 환산
* 주2 :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23.9.13.) 자료의 속보치를 기반으로 가공해 한국은행 집단대출 개별주담대
수치와 상이할 가능성이 있음.
* 자료 : 주택도시보증공사, 금융감독원 * 자료 :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18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정책 조합별 주택 시장 영향
거시건전성정책(MPP) - 통화정책(MP) 조합, MP·MPP 긴축 동반돼야 주택가격 및 가계대출에 효과 뚜렷(한국은행)
향후 주택 수요 부문에 대한 유동성 확대 정책의 추가 여부 및 유동성 확대 규모 등 주목해야(신생아 특례론 등)

정책조합별 주택가격 상승률 및 가계부채 증가율 주택가격·가계부채 순환 및 MPP·MP 기조 간 관계

주요국 중 명목 GDP 초과 가계부채 보유, 한국과 호주가 유일(BIS) 20 6.0

MP만 긴축할 경우 주택가격 T+3분기부터 상승세 본격 둔화


15
5.0
호주 한국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 미국 일본 스페인
111.8 104.5 95.0 87.9 83.5 74.4 68.2 53.0 10
4.0
정책조합별 주택가격 상승률 정책조합별 가계부채 증가율
16% 16%
5
3.0
0

8% 8% 2.0
-5

주택가격 (左, 순환변동치)


1.0
-10 MPP 기조 (左, 한은 자체시산)
가계대출 (左, 순환변동치)
0% 0%
기준금리 (右, %)
-15 0.0

'21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3
'14
'15
'16
'17
'18
'19
'20

'22
T-4 T-3 T-2 T-1 T T+1 T+2 T+3 T+4 T-4 T-3 T-2 T-1 T T+1 T+2 T+3 T+4

* 주 : 38개국 대상 정책 시행 시기(T) 식별 후 전후 4분기 명목주택가격 상승률을 평균 * : MPP 긴축·MP 완화 / : MPP·MP 동시 또는 MP만 완화 시기


* 자료 : 한국은행 * 자료 : 한국은행
19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금리 상승세 지속 여지 남아 있어
은행 조달금리 대비 주담대 금리 낮아 역마진 상황… 주담대 금리 인상 불가피할 듯
국내 금리에 간접적 영향 미치는 미국 금리 상승세 지속돼 국내 시장금리도 상방 압력 받을 듯

은행채와 주담대 금리 추이 및 스프레드 한미 국채 10년물 금리와 주담대 금리

6.00 금리 스프레드(右, %p) 1.60 수요 공급


은행채 금리(무보증, AAA, 5년, 민평 / 左, %) 직접 영향
주택담보대출 금리(예금은행, 신규취급액 기준 / 左, %) 1.40 美 기준금리 美 중장기 국채금리 간접 영향
5.00
1.20
韓 기준금리 韓 중장기 국채금리 은행채 5년물
1.00
4.00
수요 공급
0.80
주담대금리 주택가격
3.00 0.60
6.00 한국 10년물 국채 금리(%)
0.40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5.00
2.00 주택담보대출 금리(예금은행, 신규취급액 기준, %)
0.20 4.00
0.00 3.00
1.00
2.00
-0.20
1.00
0.00 -0.40 0.00 '17.1.
'17.7.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22.7.
'23.1.
'23.7.
'21.5.
'17.1.
'17.5.
'17.9.
'18.1.
'18.5.
'18.9.
'19.1.
'19.5.
'19.9.
'20.1.
'20.5.
'20.9.
'21.1.

'21.9.
'22.1.
'22.5.
'22.9.
'23.1.
'23.5.
'23.9.

* 자료 : 금융투자협회, 한국은행 * 자료 : 우리은행(上), 한국은행(下), FRED(下)

20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취약차주 및 연체율 증가 추세
30대 이하 청년은 체증식 상환, 만기 장기화 등 원금상환부담 낮췄지만 취약차주 비중은 증가 추세
호경기를 기준으로 한 수지분석은 최근 취약차주 및 연체율 증가를 미처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 있어

연령대별 취약차주 및 잠재 취약차주 비중 업권별 연체율 증가 추이

주거 대출 증가로 청년층 채무상환능력 저하돼 청년 취약차주 증가 증가세는 다소 더뎌졌음에도 불구, 전 업권 기준 연체율 증가 추세


청년 대상 주택공급 등 취약차주 증가를 막기 위한 대책마련 필요 저축은행 연체율 5.33%, 2021년말 2.51% 대비 2.82%p 증가

연령대별 취약차주 비중 연령대별 잠재 취약차주 비중


9.5 19 25 은행 연체율(%)
9 18.5 캐피탈 연체율(%)
청년층(%) 청년층(%)
8.5 여타연령층(%) 여타연령층(%) 20 저축은행 연체율(%)
18 17.8
8
17.5 17.2
7.5 15
7.2 17 16.9
7.0
7
16.5 16.6 10
6.5 6.6
6.0 6.0 16
6 5.33
15.5 5
5.5 5.8
5 15 1.68
0.33
2Q
1Q
2Q
3Q
4Q
1Q
2Q
3Q
4Q
1Q

1Q
2Q
3Q
4Q
1Q
2Q
3Q
4Q
1Q
2Q

'23.3.
'23.6.
'10末
'08末
'09末

'11末
'12末
'13末
'14末
'15末
'16末
'17末
'18末
'19末
'20末
'21末
'22末
'21 '22 '23 '21 '22 '22

*주 : 취약차주 = {3중 ↑ 채무 + (중신용 or 중소득)} / {2중 채무 + (저신용 or 저소득)} * 자료 : 한국은행


* 자료 : 한국은행
21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PF 시장 리스크
본PF의 사업 단계별로는 분양위험 높은 것으로 평가돼 분양성 높은 사업장에 대한 선호도 심화될 듯
2024년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등 손실 우려가 현실화 된다면 PF 통한 자금조달 더욱 어려워질 전망

사업 단계별 위험도 증권사 PF 손실 추산

2.0 16%
대체로 준공위험 낮지만 저축은행 준공위험 높은 편
1.8
14%
분양 위험 높게 평가돼 분양성과 보증 요구받을 가능성 높아 13% 14%
1.6
업권별 준공위험(본PF) 업권별 분양위험(본PF) 업권별 가격위험(본PF, 주) 12%
1.4
100% 높음, 높음, 1.3 10%
1.2 9% 1.0
90% 8% 8%
8%
80% 높음, 높음, 높음, 1.0 8%
높음,
높음, 46% 48%
70% 49% 53%
60% 0.8
높음, 0.6 0.5 6%
60% 높음,
83% 0.6 4%
50% 낮음, 낮음, 90%
4%
40% 92% 92% 0.4 0.2
2% 0.7
30% 낮음, 낮음, 낮음, 0.5 0.6 2%
낮음, 0.2 0.4 0.2
낮음, 54% 52% 0.3
20% 51% 47%
낮음,
40%
0.0
0.1 0%
10% 낮음,
17% 대형사 중대형사 중소형사, 대형사 중대형사 중소형사,
0% 10%
소형사 소형사

시나리오1 시나리오2
(부실화 가능성 보통) (부실화 가능성 다소 높음)

* 주 : 가격위험 = f(가격변동, 시세-분양가gap, PF 용도별 상수) 를 통해 KIS 시산 * 자료 : KIS Rating


* 자료 : KIS Rating
22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대출 올해보다 어려워질 가능성 높아


정부 출범 이후 시장 정상화 위한 대출 정책 완화 지속했으나 가계부채 증가로 9월 이후 규제 강화로 선회
상호저축은행 대출태도 경색 지속되며, 정책 영향으로 은행권 주담대 대출태도 역시 강화세

대출 정책 및 가계부채 관련 언급 은행권별 대출태도 및 금융정책

’22 30
8.1. 생초자 LTV 80%(~6억) 국내은행 주담대(p)
대출 정책 변화
상호저축은행(p)
12.1. 무주택자 LTV 50% 일원화, 15억 초과 20
APT 대출 가능
’23 10
1.3.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11
0
3.19. ‘중도금 대출 분양가 상한 기준’및 ‘인당
중도금 대출 보증 한도’ 규정 폐지
-10
6월~ 시중은행 50년 만기 주담대 본격 판매 -23
-20
9.13. 50년 주담대 DSR 산정 기간 최대
40년으로 축소(원칙) -30
시중은행, 50년 만기 주담대 판매
-40
사실상 중지(8월~)
9.27.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상품 공급 중단 -50

“DSR 규제의 루프홀(loophole)이 많지 않도록 -60


한국은행총재

'22.Q3

'23.Q3(전망)
'15.Q1
'15.Q3
'16.Q1
'16.Q3
'17.Q1
'17.Q3
'18.Q1
'18.Q3
'19.Q1
'19.Q3
'20.Q1
'20.Q3
'21.Q1
'21.Q3
'22.Q1

'23.Q1
정책을 조정해야”
(10.23.)
“먼저 규제 정책을 조이고 그래도 가계 부채 증가
속도가 안 잡히면 심각하게 금리 인상을 고려할 것”

* 자료 : 한국은행 * 자료 : 한국은행

23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Ⅰ. 2023년 시장 동향 및 특징

전세가격 전월세 비율
전세자금대출 규모 증가로 인해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전세 가격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
전세자금대출은 대체로 은행 자금조달금리(코픽스)와 연계돼 향후 인상 가능성… 전세가에 영향 미칠 수 있어

전세가격 영향요인 및 전세자금대출 비중 코픽스 금리 및 관련 정책 추이

5.00
전세가격
4.00

3.00
① ② ③
전세자금 전월세 입주 2.00
대출금리 전환율 물량 1.00 신규취급액기준 COFIX(%)
잔액기준 COFIX(%)
25.0 0.00 신 잔액기준 COFIX(%)
수도권(%)

'10.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22.1.
'23.1.
21.8
20.0 지방(%) 21.7

15.0

10.0

5.0 5.0
4.3 은행채 월간 2금융권
레고랜드發 위기 고금리 수신상품
0.0 진화 위해고금리 발행한도 만기 도래, 부담↑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수신상품 출시 폐지 신상품 출시 타 시장 영향?

* 자료 : 저자 작성(上), 국토연구원 시산(下) * 자료 : 은행연합회(상), 매일경제·동아일보(中), 저자 작성(下)

24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시장에 대한 기대심리는 소폭 둔화
시장 금리 수준 전망 점차 높아지는 추세… 금리와 역상으로 움직이는 매매가에 하방압력 행사할 듯
매매수급동향은 회복 중이나 가격전망이 다소 둔화됐으며 자가 보유자의 가격 전망이 소폭 하향 조정

금리 수준 전망과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변화 추이 아파트 수급동향 및 주택 가격 전망

160 40.0% 수요 대비 공급 많은 구간 / 매물 출회량 증가한 것으로 보고돼


자가 보유자 주택가격전망 소폭 조정 : 114(9월) → 111(10월)
30.0%
140
128 140
20.0%
120 130

10.0% 120
100 110
0.0%
100
80
-10.0% 90

80
60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동향(p)
-20.0%
금리 수준 전망 CSI(左, p)
70 주택가격전망 CSI(p, 자가)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YoY 상승률(右, %, M-12)
주택가격전망 CSI(p, 임차 등)
40 -30.0% 60
'17.7.

'18.1.
'08.7.
'09.7.
'10.7.
'11.7.
'12.7.
'13.7.
'14.7.
'15.7.
'16.7.

'18.7.
'19.7.
'20.7.
'21.7.
'22.7.
'23.7.

'13.1.
'13.7.
'14.1.
'14.7.
'15.1.
'15.7.
'16.1.
'16.7.
'17.1.
'17.7.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22.7.
'23.1.
'23.7.
* 자료 : 한국부동산원, 한국은행 * 자료 : 한국부동산원, 한국은행

25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초과저축 많고 자산대비 부채비율 감소해


2020~2022년 가계 초과저축 101조 원… DSR과 무관하게 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유입 가능성 상존
최근 가계부채 총량 문제 제기됐지만,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2020년 이후 감소해 수요 유입 가능성 남아 있어

주)
가계 초과저축 추이(과거 vs. 현재) 자산대비 부채비율 추이

50 전국 APT ’07 ’08 ’09 순저축액(조원) 35.00% 33.30%


실거래가 31.71%
40 4.56% -4.01% 9.46% 추세
변화율
30.00%
30

20 25.00% 23.96%
21.82%
10
20.00%
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15.00%

150 순저축액(조원)
10.00%
추세
100
5.00%
50 전체 연령대 평균(%)
30대 평균(%)
0 0.00%
'17 '18 '19 '20 '21 '22

* 자료 : 통계청
* 자료 : 한국은행, 샌프란시스코 지역연준, CERIK 시산

26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총선 및 GTX 개통에 따른 국지적 주택가격 변화


총선 전후 아파트가격, 대체로 선거 이후 가격이 하락하는 것처럼 보이나 패턴화하기는 어려워
2024년 3월과 12월 GTX-A(서울~운정, 수서~동탄) 개통이 예정돼 있으나 해당 이슈는 이미 매매가에 반영된 듯

총선 전후 아파트 매매가 변화 추이 실거래가 상승 APT 분포(2019~)


수도권 아파트 가격 MoM 변화율
5.0%
덕정

운정 의정부
0.0%

*
*
창동 평내호평 주자

: 2019
킨텍스
연신내 마석

광운대

:
대곡 청량리
별내 국
서울역 망우 년토
-5.0% 부천종합운동장 이교
삼성
여의도 후통
3.0% 부평
신도림
양재
수서
상부

(2021)
지방 아파트 가격 MoM 변화율 인천시청 승
과천 분
2.0% 성남 을
송도

IDW
금정
1.0% 거
법래
용인

0.0% 으가
수원 로데
보이
동탄
-1.0% 상승률↓ 간터
한를
-2.0%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평균상승률 결 저
과자
상승률↑ 임가
* 자료 : 한국부동산원(실거래가격지수) 공

27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참고) 중국 부동산 시장 위험의 전이 가능성


중국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인한 경계감 확산되나, 국내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전이될 가능성은 낮아
다만 국내 부동산의 구조적 경기 부진 상황을 고려할 때 스트레스 누증 가능성 있어 업계의 유의 필요

중국 부동산시장 불안 – 국내 주요 파급경로 Factsheet

규모 전체 중국 자산의 0.05% 수준
중국 부동산 시장 불안 부진 지속

금융시장 불안 국내 금융기관 對中 부동산


직접효과 간접효과 익스포저 0.4조
(위안화 절하) 익스포저
by 금융기관 exposure By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중국 부동산 신탁관련 익스포저
포함 1조원 수준
국내금융기관 투자자금 ①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조달여건 부동산
손실 가능성 ② 증권사 마진률 발생 가능성 악화 부진
국내금융기관 금융기관 유동성 은행 부문 외화유동성 상황(외화 LCR)
재무건전성 저하 리스크 증대 ① 국내 금융기관 규제수준 크게 상회
외화유동성
국내금융기관 해외기관 ③ 홍콩ELS 익스포저 등 유동성 리스크 증대 국내 금융기관 외화 유동성
영업 부진 투자자금 손실 확대 스트레스 단기 대응력 양호
국내금융기관 국내금융기관 ② 對中 수출기업
수익성 감소 재무건정성 저하 대출건전성 저하 우려
해외주가지수 연계 ELS 손실
손실확대 가능성
Exposure 적음 대응여력 충분 구조적 리스크 상존
→영향 미미 → 영향 제한적 → 스트레스 누증 원금손실구간 ELS ’23년 말 만기
420억 원 수준
* 자료 : 한국은행 * 자료 : 한국은행

28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참고) 중기 공급부족론 점검
택지 지정·공급 이어지나 착공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음 / 공공택지 사업 선호도가 판가름 낼 듯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23.9.26.)’ 통해 연내 47만 호, ’24년까지 100만 호 이상 공급(인허가) 노력 천명

택지지정 및 공급 현황(전체 및 공공)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23.9.26.)

200,000 택지지구지정면적(천㎡)
☞ 금년도 주택공급 목표
150,000 47만호(인허가)를 최대한 달성

100,000 ☞ `24년까지 100만호 이상


공급하고, 중장기적으로 현
50,000 정부 목표 초과달성
(270만호+α) 여력 확충
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공공분양 전년 대비 실적 및 계획 비교 민간분양 전년 대비 실적 및 계획 비교
80,000 600,000 <2023. 민간>
80,000.0 공공택지지정실적(천㎡) <2023. 공공> 76,000
70,000 정부 목표 대비 8월
500,000
60,000 계획대비 8월 실적 실적51.8% 366,000
60,000.0 50,000 6.9% 400,000 (CERIK시산)
457,433
* 40,000
자료 : 국토교통부 300,000
22,735 313,364 189,586
40,000.0 30,000
200,000
20,000 8,279 5,257
10,000 100,000
20,000.0
0 0
'22.1.~8.

'23.1.~8.

'22.末 실적

'23.末 계획

'22.1.~8.

'23.1.~8.

'22.末 실적

'23.末 계획
0.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자료 : 한국국토정보공사(上) / 국토교통부(下) / 국토교통부(左) 8월 현재 연말 8월 현재 연말

29 2024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III

2024년 시장 전망 및 시사점
1. 2024년 공급 및 가격 전망

2. 전망의 시사점

CHAPT.3.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공급전망
2023년 인허가, 공급대책의 영향으로 공공 물량 증가하나 민간에 영향 제한적… 2024년도 위축 지속
2024년 분양 26만 호로 2023년 보다는 소폭 증가하겠지만 2022년 수준에 못 미쳐 어려움 지속 예상

• 민간: 시장 하락세 및 사업 어려움이 예상보다 심화돼 ’08~’10년실적과 유사한 수준인 큰 폭 감소 예상


인허가 • 공공 : ’23년 전국 7.6만 호 계획, 9.26. 공급대책에서 목표량 채울 것 언급했으나 8월까지 인허가 물량 정체로 6만 호 예상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e) 2024년e)

합계 487,975 457,514 545,412 521,791 380,000 350,000

공공부문 93,626 81,801 66,884 39,914 60,000 70,000


31
민간부문 394,349 375,713 478,528 481,877 320,000 280,000

*주 : 단위는 ‘호’임. / * 자료 : 국토교통부,2023년과2024년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망치임.

• 수요 측의 낮은 수분양가 선호로 인한 쏠림 있을 듯 / 다만 지방 사정이 당초 예상보다 어려워 예상 물량 하향 조정


분양 • 2023년까지 비교 우위 사업장 분양 먼저 추진할 듯 / 향후 공급자 금융 조달 어려움으로 신규 사업 진행 난항 전망

2024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e) 2024년e)


전국 314,308 349,029 336,533 287,624 250,000 260,000

·




*주 : 단위는 ‘호’임. / * 자료 : 국토교통부,2023년과 2024년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망치임. 기


Ⅱ. 2024년 전망의 주요 변수

가격전망
정책 강화, 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추가적 자금 유입 현실적으로 어려워
다만 상반기 정치적 이벤트, 하락 전환에 시간이 소요돼 상대적으로는 상고하저 흐름 나타낼 듯

가격 구분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e) 연간e) 연간e)
매매 전국 9.9 -4.7 -3.4 -0.7 0.4 0.0 -3.7 -2.0
수도권 12.8 -6.5 -4.1 -0.6 0.9 0.5 -3.3 -1.0
지방 7.4 -3.0 -2.7 -0.8 0.0 -0.5 -4.0 -3.0
32
전세 전국 5.1 -5.6 -5.1 -1.1 0.4 1.0 -4.8 2.0

• 2023년 3분기 까지의 주택 시장은 ’22년 10월,’22년 12월과’23년 1월에 차례로 발표된 규제 완화가 시장에 영향 줬고,40조 원에 육박하는 정책 금융과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상품 판매로 인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자금 유입 수준이 당초 예상보다 컸음.
• 시장에서는 최저가 매물이 소진되며 저점을 보인 후 소폭 상승세를 보이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저효과에 의한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 다만,규제 완화책에 따라 심리가 일부 회복되었음에도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수준의 금리와 가격수준,경기 둔화 등 영향으로 시장이 부진한 만큼 거래
활성화가 지속되리라 기대하기 어려우며 1주택자의이동 역시 시장을 부양할 힘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어려움.
• 공급자 금융(PF 중심 부실 우려)의 어려움은 정책 개입으로 인해 완화되는 양상이나,주택시장 특유의 지연효과(시공기간 소요 등)로 인해 2023년에 가격에

2024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적겠음. 하지만 향후 경기 회복이 더뎌질 경우 지속해서 시장에 압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임. 주

• 전세는 매수세 축소에 기인한 추가 수요 유입이 예상됨. 또한 월세가 상승으로 그간 임대차 시장 내에서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던수요를 회복하며 상승세로

·


전환할 것으로 전망함. 산

* 자료 : 주택가격은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의‘주택종합매매가격지수’를 활용하였음,2023년과 2024년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전망치임. 기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4년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www.cerik.re.kr
Copyright © CERIK.
All rights reserve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