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22년 04월 29일 I Equity Research

휴대폰/부품
투자의견 Analyst 김록호

02-3771-7523
Overweight roko.kim@hanafn.com

I 22년 3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삼성전자가 선방

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동월대비 12% 감소했음.


역시나 중국이 부진했고, 미국과 인도는 역성장이지만 시장대비 선방했음.
중국은 폐쇄 영향과 재고조정이 진행중이고, 미국은 최근 수개월 시장대비 양호한 성장률을 시현중.

 중국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2% 감소하며 부진했음.


전월대비로도 14% 감소했는데, 코로나로 인한 폐쇄 영향이 있었음.
CAICT의 3월 출하량이 아직 발표되지 않아 재고 소진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함. CAICT 자료는 폐쇄 때문에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됨.
Counterpoint 측에서 진행한 서베이에서 제조업체들의 생산 제한은 5월에 완화될 것으로 집계되었음.
다만, 물류 이슈도 있어 향후 추이는 지켜봐야 함.

 미국 시장은 전년동월대비 4% 감소해 글로벌 대비 선방했음.


저가형 스마트폰과 Galaxy S22 시리즈의 강력한 수요로 전월대비로는 14% 증가했음.
Apple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0% 감소한 반면에 삼성전자는 21% 증가했음.
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22가 전작보다 양호했고, A 시리즈의 판매량이 양호했기 때문.
삼성전자의 미국 내 점유율은 20년 7월 이후 처음으로 30%를 초과했음.

 인도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 감소했음.


부품 공급 문제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수요가 약했던 것으로 파악됨.
22년 1~3월 인도 시장의 YoY 증감률은 각각 -5%, -3%, -2%로 부진했는데, 오미크론과 역기저 영향.
수요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스마트폰 업체들은 계속해서 다양한 모델을 출시할 계획.

 유럽 판매량은 1,556만대로 전년동월대비 11% 감소했음.


유럽 내 많은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이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했고, 부품 부족도 지속되었음.
Xiaomi가 부품 부족으로 전년대비 점유율이 7%p 하락했는데, 회복의 초기 징후가 나타났다고 함.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 및 A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점유율이 42%로 확대되었음.
Counterpoint에서 제공하는 18년 1월 이후 데이터 상 처음으로 40%를 초과했음.

 Apple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8% 감소했는데, 13 시리즈가 12 시리즈보다 판매량이 양호한 것을 감안하면 레거시 모델들의 판매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됨.
13 시리즈의 7개월 누적 판매량은 1.12억대로 12 시리즈의 동기간 판매량 1억대보다 많음.
휴대폰/부품 Analyst 김록호 02-3771-7523

 삼성전자는 전년동월대비 1% 감소해 글로벌대비 선방했음.


삼성전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률은 최근 5개월 동안 2월을 제외하고 글로벌 대비 양호했음.
전월대비로는 10% 증가해 갤럭시 S22 출시 효과가 확인되었음.
갤럭시 S22의 2개월 누적 판매량은 407만대(울트라 233만대, 플러스 67만대, 기본 107만대)로 S21의 동기간 판매량 454만대보다 낮음.
다만, 울트라 비중이 57%를 넘은 점은 고무적.

 3월 데이터는 중국과 유럽 시장 둔화로 부진했음.


중국은 코로나 봉쇄 및 재고조정이 진행중이고, 유럽은 인플레이션 우려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이 지속중임.
미국과 인도 시장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역성장.
전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수요 자체가 부진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 및 A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각 지역에서 점유율이 확대되었음.
해당 기조가 유지될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4월에 주목할 포인트는 중국의 봉쇄 영향 및 채널 재고 감소 여부, 갤럭시 S22 및 삼성전자 판매량 동향임.

I 데이터 요약본

1. 글로벌 판매량 1억 546만대


MoM +1%, YoY -12%

미국 판매량 MoM +14%, YoY -4%


중국 판매량 MoM -14%, YoY -22%
인도 판매량 MoM +5%, YoY -2%
유럽 판매량 MoM -2%, YoY -11%

2. 삼성: 2,477만대 (MS 23%)


MoM +10%, YoY -1%

미국 MS 32% (전월 26%)


중국 MS 0.9% (전월 0.5%)
인도 MS 21% (전월 19%)
유럽 MS 42% (전월 38%)

3. Apple: 1,767만대 (MS 17%)


MoM -5%, YoY -8%

미국 MS 43% (전월 47%)


중국 MS 17% (전월 18%)
인도 MS 3.1% (전월 3.7%)
유럽 MS 24% (전월 28%)

2
휴대폰/부품 Analyst 김록호 02-3771-7523

4. Xiaomi: 1,212만대 (MS 12%)


MoM -3%, YoY -24%

중국 MS 14% (전월 15%)


인도 MS 23% (전월 24%)
유럽 MS 13% (전월 12%)

5. 글로벌 판매량 YoY 부진 지속

중국 YoY -22%로 재고조정 및 코로나 영향


미국 YoY -4%로 글로벌대비 선방 복귀
인도 YoY -2%로 글로벌대비 선방 지속
유럽 YoY -11%로 글로벌대비 부진 지속

삼성 판매량 YoY -1%로 신모델 효과


Apple 신모델 효과 축소중
Xiaomi 판매량 YoY 부진 지속

그림 1.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및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추이 그림 2.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및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추이

(백만대) (백만대)
판매량 증감률(YoY, 우) 판매량 증감률(YoY, 우)
160 60% 45 40%

140 40 67.1% 30%


40%
120 35 20%
20% 30
100 10%
25
80 0% 0%
20
60 -10%
-20% 15
40 10 -20%
-40%
20 5 -30%

0 -60% 0 -40%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자료: Counterpoint, 하나금융투자 자료: Counterpoint, 하나금융투자

그림 3.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 및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추이 그림 4. 인도 스마트폰 판매량 및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추이

(백만대) (백만대)
판매량 증감률(YoY, 우) 판매량 증감률(YoY, 우)
18 80% 25 120%
99.4% 3,200%
16 60% 90%
14 20
40% 60%
12
20% 15 30%
10
0% 0%
8
-20% 10 -30%
6
4 -40% -60%
5
2 -60% -90%

0 -80% 0 -120%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18.1 18.7 19.1 19.7 20.1 20.7 21.1 21.7 22.1

자료: Counterpoint, 하나금융투자 자료: Counterpoint, 하나금융투자

3
휴대폰/부품 Analyst 김록호 02-3771-7523

투자등급 관련사항 및 투자의견 비율공시

 투자의견의 유효기간은 추천일 이후 12개월을 기준으로 적용


 기업의 분류  산업의 분류
BUY(매수)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Overweight(비중확대)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Neutral(중립)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15% 등락 Neutral(중립)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15% 등락
Reduce(매도)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Underweight(비중축소)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투자등급 BUY(매수) Neutral(중립) Reduce(매도) 합계


금융투자상품의 비율 95.51% 4.49% 0.0% 100.0%
* 기준일: 2022년 4월 29일

Compliance Notice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김록호)는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의 압력이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았으며,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신의성실 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본 자료는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2022년 04월 29일 현재 해당회사의 지분을 1%이상 보유 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김록호)는 2022년 04월 29일 현재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복제 및 배포 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