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2020 Food Trend

“PLEASSANT”
LOTTE CONFECTIONERY INTELIGENCE ADVISOR

제 001호

Product by LCIA

2020. 03

( 1 / 17 )
CONTENTS

I. 2019 Food Market Review

II. 2020 Food Trend Overview : PLEASSANT

1. P Plant-based 식물성 식품

2. L Low or Non 줄이거나, 빼거나

3. EA Easy Eat-snack bar 쉽거나, 간편하거나

4. S Stress less/Deep-sleep 스트레스 완화/숙면

5. S Strawberry 딸기의 무한 변신

6. AN Anti-aging 노화방지, 건강한 노화

7. T Tea 차의 귀환

III. Summary

본 페이지는 롯데제과 ‘가나초콜릿체’가 적용되었습니다.

( 2 / 17 )
Ⅰ. 2019 Food Market Review
오프라인 매장 식음료 제품 소비 감소했으나, 건강/아동(유아)/HMR 소비 증가

Lpoint 매출기준, 식음료 시장 매출 규모는 7.4조원으로 전년비 ▲19백억원(▲2.6%)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6.6%) 품목의 소비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조미료(▲5.9%),


수산물(▲4.4%), 병통조림(▲3.1%) 등의 순으로 대부분의 품목이 소비 감소하였으나, 건강식품
(+11.7%), 유아식품(+4.5%), 대용식(+0.9%)의 소비는 증가하였다.

그림 1 품목별 전년비 증감 현황

11.7%

4.5%
0.9% 0.9%

-2.6% -2.5% -2.2% -2.0% -1.7%


-3.1% -3.0%
-4.4%
-6.6% -5.9%

농산물 조미료 수산물 병통조림 주류 제과 조리식품 유제품 음료 냉장/냉동식품 축산물 대용식 유아식품 건강식품

(출처 : LCIA Lpoint 데이터- 롯데마트, 롯데슈퍼, 세븐일레븐 매출 기준,18.1월~19.12월)

위의 매출 증감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자들은 건강에 관련된 제품에 많은 지출을 했다. 그렇다면 세


부적으로 어떤 기능 DNA의 제품에 비용을 지불했을까? 건강식품과 제과 제품의 모든 SKU의 건강
기능을 분류한 기능 DNA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장 건강, 숙취, 구취, 항염, 뷰티&다이어트 등이
2019년 소비자의 선택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2 기능 DNA별 전년비 증가 품목

54.1%
46.9%
43.2%
39.6%
30.6%
25.0%
17.5%
5.6%
2.3%

장건강 숙취 구취 항염 뷰티&다이어트 혈행 식사대용 눈건강 기억,집중

(출처 : LCIA Lpoint 데이터- 롯데마트, 롯데슈퍼, 세븐일레븐 매출 기준,18.1월~19.12월)

( 3 / 17 )
장 건강 기능 DNA 경우, 마트에서의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제품, 숙취 기능 DNA는 환 종류의
숙취 해소제가 편의점 위주로 매출 증가 했고, 식사 대용 기능 DNA에 해당하는 대용식의 경우,
즉석밥, 즉석 국/찌개, 즉석죽, 즉석컵밥 등 바로 취식 가능한 레토르토 제품의 매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그림 3 대용식 세부 카테고리별 증감 현황
10.3%

-1.5% -1.5%

-11.7% -11.4%
분말조리식 건면 라면 시리얼 레토르트

(출처 : LCIA Lpoint 데이터- 롯데마트, 롯데슈퍼, 세븐일레븐 매출 기준,18.1월~19.12월)

지금까지 Lpoint 매출액 기준으로 푸드시장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식음료에 관해서
어떠한 내용들을 주로 이야기 했을까?

소비자들은 유명 맛집, 카페 등을 자주 방문하고, 그 기억을 사진으로 남기며,


식음료 취식 시 건강, 다이어트, 영양공급등을 기대

2019년 1년간 소비자들이 언급한 식음료 관련 단어들을 살펴보면, 명사 키워드로는 맛, 일상, 맛집,
카페, 소통, 집, 사진들에 대한 언급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장 많이 언급한 소재는, 밥, 커피,
야채, 치즈, 소스 등이었으며, 식음료 제품을 섭취하며 건강, 다이어트, 영양공급등의 기능을 주로 기대
하였다.

그림 4 식음료 연관 검색어
명사 소재 기능

(출처 : LCIA 빅데이터,2019.1~2020.2)

( 4 / 17 )
Ⅱ. 2020 Food Trend Overview: PLEASSANT

2019년 소비자들의 소비변화와 관심사를 LCIA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살펴보았으며,


LCIA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목해야 할 2020년 식품 트렌드, 주목해야 할 소재들을 살펴 보고자 한
다.

LCIA 빅데이터 분석 따른, 2020년의 식품 시장 키워드는 “PLEASSANT” 이다. 2020년에는


2019년보다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소비 및 관심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정신건강, 웰빙과 관
련된 식품을 통해 작은 기쁨을 얻는 트렌드가 증가할 것이다.

Pleassant
P Plant-based 식물성 식품

LCIA 분석 결과, 지난 1년간 ‘식물성 식품’, ‘비건’ 등 관련 소비자 언급량이 지속 증가하였으며,


건강하다, 다양하다, 풍부하다 등의 형용사, 야채, 과일, 계란, 샐러드, 우유 단백질, 글루텐 등의 소재의
연관 검색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연관검색어로는 안먹다, 비싼, 맛없다 등으로 식물성 식품은
건강한 소재이지만 비싸고 맛이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림 5 ‘식물성 식품’ ‘비건’ 언급량 현황 및 연관 검색어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2019 2020

형용사 소재 부정어휘

(출처 : LCIA 빅데이터,2019.1~2020.2)

( 5 / 17 )
이렇듯 국내 식물성, 비건식품 트렌드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가에 따라 유통/식품 업계는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비싸지 않고, 맛있는’ 식물성 식품 관련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온라인 푸드 마켓
‘헬로네이처’는 2019년 7월 비건들의 주식인 채소, 과일 등을 새벽배송을 통해 신선하고 빠르게 상품
을 받아볼 수 있는 비건존을 신설하였고, 세븐일레븐은 2019년 11월 비건을 위한 간편식을 선보였다.
또한 온라인 식음료 식품 앱 ‘마켓컬리’는 올해 1월말까지 비건 인구 비롯, 새해를 맞아 채식을 결심한
소비자들의 간편한 장보기를 제안하는 ‘채식테마관’을 운영했고. 롯데리아도 올해 1월 식물성 재료로
만든 채식 햄버거 ‘미라클 버거’를 출시 했다.

그림 6 ‘식물성 식품’ ‘비건’ 제품현황

헬로네이처 비건존 세븐일레븐 비건간편식 마켓컬리 채식테마관 롯데리아 미라클버거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2020년 역시 건강(웰빙), 지속가능성, 생산 윤리에 대한 지속 관심 속 식물의 일부를 주원료로 만든


식물성 식품에 대한 관심,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다양한 푸드테크 기업에서
비욘드미트의 주 원료였던 콩을 벗어나, 아몬드, 곡물 등의 다양한 원료를 활용한 대체육이나 대체
유제품 개발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며, 맛이 없을 것이라는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될 것이다.

pLeassant

L Low or Non 줄이거나, 빼거나

건강한 식음료 섭취를 위해 원료를 깐깐하게 살펴보는 소비자들의 Needs 반영, 건강에 좋지 않은
불필요한 요소들을 줄인 Low or Non 제품들의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Low or Non의 대표적인
원료로 꼽히는 설탕과 소금의 경우, Lpoint 연간 매출액 기준으로, 지속 감소하는 추세였다.

( 6 / 17 )
그림 7 Lpoint 설탕, 소금 연도별 매출 증감%

설탕 매출 증감률 소금 매출 증감률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16.7% -14.3% -5.9% -2.4% 0.3% -4.6%

(출처 : LCIA Lpoint 데이터- 롯데마트, 롯데슈퍼, 세븐일레븐 매출 기준,17.1월~19.12월)

단맛의 대명사, 설탕의 경우 요리할 때 맛을 내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건강에 그리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들을 자주 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감미료의 종류에 대한 소
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 버즈(Buzz) 빅데이터 분석결과, 소비자들이 설탕 대체제, 건강한 단맛을 위해 활용하는 소재


들은 몽크프룻, 스테비아, 에리스리톨, 시럽류(아가베 시럽, 메이플 시럽) 꿀류, 코코넛, 과일류 등으로
나타났다.

그림 8 LCIA 빅데이터 분석, 설탕 대체 가능 소재


설탕 대체제 해시태그 건강한 단맛 소재 건강한 단맛 당류 소재

(출처 : LCIA 빅데이터,2019.1~2020.1)

Low or Non 트렌드는 주류에서도 포착되었다.


2019년 Lpoint 기준, 주류시장 매출은 감소했다.(▲3.0%) 일본 맥주 불매 운동으로 인해 맥주
(▲7.1%)의 소비감소가 가장 컸으며, 양주(▲4.1%), 와인(▲0.8%)이 그 뒤를 이었고 소주
(+5.6%), 전통주(+0.6%)의 소비는 증가하였다. 소주의 경우 저도주 소주 칵테일을 즐기고자 하는
쏘토닉(소주+토닉워터) 문화 형성으로 인해 소비 증가한 것으로 보여진다(토닉워터 매출 +63.0%).

소셜 내 국내 소비자들은 ‘저알콜’ ‘무알콜’ 에 대해 월평균 1,856건 언급하고 있고, 언급량은 지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분위기, 집, 맛집, 부드럽다, 깔끔하다, 가볍다, 건강하다는 연관 검색어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깔끔한 숙취, 건강에 대한 염려로 술에 취하지 않고도 음주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저알콜/무알콜 음료 제품을 취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 7 / 17 )
그림 9 ‘저알콜’ ‘무알콜’ 언급량 현황 및 연관검색어

언급량 현황 7월
명사 형용사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8월

9월

1월

2월
10월

11월

12월

2019 2020

(출처 : LCIA 빅데이터,2019.1~2020.2)

음료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저알콜/무알콜 음료 시장 규모는 18년 57억원, 19년 100억원으로 추정


되며, 주류 시장에서는 큰 규모는 아니지만, 최소 2000억원 규모까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무알콜 음료 시장규모는 현재 7000억원 규모로 아사히, 기린,
산토리 등 대형 주류회사들이 성장을 이끌고 있다. 이렇듯 현재 국내외적으로 성장중인 저알콜/무알콜
음료 트렌드 역시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절주 문화 확산 등의 영향으로 밀레니얼 세대 중심으로
(참고 문헌 : ‘저도주’ 넘어 ‘무알콜’ 뜬다, 이강준 ,2019.6.23, 머니투데이)
2020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그림 10 국내외 무알콜 맥주 제품 현황

클라우드 하이트 아사히 기린 기린 삿뽀로


클리어제로 제로 건강스타일 제로 ICHI 퍼펙트프리 프리미엄알콜프리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plEAssant

EA Easy Eat-snack bar 쉽거나, 간편하거나

2019년 식음료 카테고리별 매출현황에서 확인했듯이, 대용식 중 레토르토 제품의 매출 증가가 두드


려졌으며, 2020년에는 더욱 정교해진 맛과 영양으로 집과 외부에서 간편하게 취식 할 수 있는
EasyEat 제품의 종류가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LCIA를 통한 매출 분석결과, 집에서 간편하게
조리 가능한 즉석 국/찌개의 경우, 16년 51SKU에서 19년 168SKU로 48.8%의 높은 연평균

( 8 / 17 )
성장률을 보였으며, 가정에서 주로 취식 했던 미역국, 김치찌개, 된장국 뿐만 아니라 가게, 식당에서만
맛볼 수 있었던 뼈 해장국, 추어탕, 알탕, 감자탕, 곱창전골 등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졌다.

그림 11 Lpoint 국/찌개류 년도별 SKU 증감 현황 (단위: SKU)


168
130
82
51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출처 : LCIA Lpoint 데이터- 롯데마트, 롯데슈퍼, 세븐일레븐 매출 기준,17.1월~19.12월)


※ SKU : Stock Keeping Unit, 상품재고단위

국/찌개류 외에도 에어프라이어를 활용, 간편하게 취식 가능한 냉동식품 신제품들도 꾸준히 출시


중이며, 맛과 품질측면에서 소비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롯데제과가 올해 1월 선보인 에어프라이
어용 냉동 베이커리 '생생빵상회' 제품의 출시 한 달 만에 3만개 판매를 넘어섰고, 편리하고 맛있다는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그림 12 롯데제과 생생빵상회 제품

롯데제과 생생빵상회
(출처 : 롯데제과 홈페이지)

이렇게 간편하게 조리 가능한 제품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취식 할 수 있는 식사 대용식 또한 성장이


계속 되어질 것으로 보여지며, 2020년에는 특히 CMR 제품 중 스낵바의 무한한 변신이 예상된다.
바형, 파우치형, 분말형 등으로 구성된 CMR(convenient meal replacement)의 한계점으
로 꼽히는 요소는 ‘음식 먹는 만족감 미충족’ ‘ 식사 대비 포만감 부족’ ‘식사 대비 영양소 부족’등이다.
그러나 바형 제품의 경우, 씹는 즐거움을 제공, 풍부한 영양소 제공 가능 등 위 한계점을 극복 가능한
간편식이 될 것이다. (참고 문헌 : CMR, ‘집밥 대체식 HMR’ 대체할 수 있을까, 이지원 ,2019.1.04, 더스쿠프)

작년 12월 롯데제과가 출시한 초에너지바, 초단백질바는 원물이 51% 함유된 뉴트리션 스낵바, 유산
균 함유 프로바이오틱스 스낵바 Roo'Bar, 카페인 첨가로 에너지 부스트가 가능한 Eat your
coffee, 신선하고 편리한 과일 및 채소를 찾는 소비자들 타겟으로 냉장 진열되어 있는 Naked 등,

( 9 / 17 )
국내/외적으로, 건강 요소를 어필하는 스낵 바, 포만감을 제공하는 스낵 바 등 여러가지 이점을 살린
스낵 바 신제품 들이 출시 되고 있으며, 가공식품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냉장 유통 스낵 바도 발견할
수 있다.

그림 13 국내외 스낵바 제품

미국
롯데제과 초에너지바 프랑스 Roo’bar 미국 Naked bar
Eat your coffee
(출처 : 롯데제과 홈페이지, 민텔 GNPD)

pleaSsant

S Stress less/Deep-sleep 스트레스 완화/숙면

현대인의 스트레스 완화, 숙면이 자기관리와 건강한 생활의 기초로 여겨지며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앞서 2019년 LCIA 빅데이터 분석 소비자 언급 현황에서 ‘잠’, ‘스트레스’ ‘꿀잠’ 등의 단어가 지
속 확인 되고 있으며, 숙면을 위한 건강기능제품들이 국내외에서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그림 14 국내외 스트레스 완화/숙면 관련 제품 현황

말레이시아
정관장 수면건강 그린스토어 수면엔 중국 Good night
Culvita Relaxer
(출처 : 각사 홈페이지, 민텔 GNPD)

LCIA 역시, 신제품 출시 시 성공가능성 높은 조합DNA 소재로 ‘바질’, ‘발레리안 뿌리’, ‘세인트
존스워트’ 등 스트레스 완화, 숙면에 도움이 되는 소재를 지속 추천하고 있어, 2020년에는 스트레스
완화, 숙면을 위한 건강기능제품들을 국내외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 10 / 17 )
그림 15 카테고리별 조합 DNA 추천 결과
제조사 카테고리 맛 소재 식감 추천값
껌 상쾌하다 녹차, 민트, 바질 부드러움 228.9
달다시다 곤약, 발레리안뿌리 물컹함 198.6
롯데제과 캔디 시다 사과, 칼슘, 발레리안뿌리 물컹함 178.6
달다 사과, 칼슘, 세인트존스워트 물컹함 165.6
비스킷 달다 초콜릿, 우유, 바질 바삭함 148.4
(출처 : LCIA 조합 DNA 예측결과, 카테고리별 시장 규모에 따라 추천값 차이 존재)

바질의 경우, 차로 꾸준히 섭취 시 중추 신경을 자극해 신경의 안정을 도와주고, 스트레스나, 불안감
등의 증상을 완화시켜 주며 발레리안 뿌리는 비타민,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뿌리에 있는
강력한 향을 적당량 복용시, 최면과 진정 효과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16 LCIA 추천 스트레스 완화, 숙면 도움 소재

스트레스완화 도움 바질 숙면 도움 발레리안뿌리 불면 도움 세인트존스워트

pleasSant

S Strawberry 딸기의 무한 변신

LCIA 빅데이터 분석 결과, 2019년 국내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고 언급한 과일 소재 DNA


는 딸기였다. Lpoint 매출 기준, 전년비 매출액은 감소하였으나,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소비한 소재
DNA 중 9위를 차지했고, 과일 소재 중에서 가장 많은 언급 건수를 기록했다.

( 11 / 17 )
그림 17 2019년 기준 매출액 상위 제품 DNA 및 언급량 현황 (단위 : 억원, 천건)

매출액 상위 제품 DNA 언급량 상위 과일 소재 DNA

(출처 : LCIA Lpoint,17.1월~19 & 2019.1~2020.2)

특히 3~4월의 제철 과일이었던 딸기가, 작년에는 딸기 재배기술 발달과 관계기관의 활발한 품종 개


발을 통해 11월 출하가 이루어지면서, 겨울철 추운 날씨에 비타민 C가 풍부한 딸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및 소비 시점이 앞당겨 졌다. 딸기는 과일 그 자체로의 취식도 있지만, 다양한 디저트 제품으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아, 식품업계의 다양한 신제품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그림 18 딸기 활용 제품 현황

공차 딸기품은밀크티 빽다방 딸기라떼 롯데제과 딸기맛집 롯데제과 꼬깔콘 딸기파티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또한 최근 일반 딸기와 크기, 모양, 당도등이 차별화된 ‘프리미엄 국산 딸기’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팜 농법을 적용하여 일반딸기보다 길쭉하고 단맛이 특화된 장희딸기, 국산 딸기 품종을 교배해 각
품종의 장점을 모두 갖춘 고품질 신품종 딸기인 킹스베리, 메리퀸 등이 프리미엄 딸기로 각광받고 있다.
2020년에는 어떠한 프리미엄 딸기와 딸기 제품들이 소비자들에게 선보이며, 사랑을 받을지 기대된다.

( 12 / 17 )
pleassANt

AN Anti-aging 노화방지, 건강한 노화

국내는 지속적인 저 출산 현상과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2026년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건강하고 아름답게 늙기 위한 웰에이징(Well
aging)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LCIA 빅데이터로 노화와 관련된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분석결과,
피부, 주름등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인스타그램 포함 전체 빅데이터 분석결과에서는 미용 뿐만 아니
라, 항산화, 영양공급, 면역력, 항염 등에 대한 언급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함께 언급된 소재로는 비타민,
야채, 단백질, 콜라겐 등으로 나타났다.

그림 19 노화 관련 연관 검색어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능 소재

(출처 : LCIA 빅데이터,2019.1~2020.2)

2019년 롯데제과는 LCIA에서 콜라겐 소재가 언급량 급등, 성공가능성 높은 추천 소재로 다수 추


천되어, 콜라겐을 활용한 신제품을 출시 하였고, 유통업계에서도 콜라겐을 활용한 제품들이 지속 출시되
었다. 롯데제과 헬스원 먹는 콜라겐 에스리턴 뿐 아니라, 뉴트리원 비비랩 저분자 콜라겐, 제이준 물광
콜라겐 젤리 등 다양한 유형의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폴리페놀 역시 소비
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고, 롯데제과 ‘드림카카오’는 디자인의 핵심 요소인 카카오 함량 표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되, 폴리페놀 함량 부분을 눈에 띄게 강조했다

그림 20 LCIA 콜라겐 소재 포착
LCIA 조합 DNA 추천 결과 콜라겐 소재 언급량 증가 현황
2019. 3.2주 / 신규브랜드 조합 DNA 추천 결과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2019 2020

(출처 : LCIA 조합 DNA 예측결과, LCIA 빅데이터,2019.1~2020.2),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 13 / 17 )
그림 21 건강한 노화 ‘콜라겐’ ‘폴리페놀’ 함유제품

뉴트리원 비비랩 제이준


롯데제과 헬스원 에스리턴 롯데제과 드림카카오
저분자 콜라겐 물광 콜라겐젤리

LCIA에서는 콜라겐, 폴리페놀 외에도 칼슘, 루테인, 홉, 진생베리 등 건강한 노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들이 다수 추천되고 있다.

그림 22 카테고리별 조합 DNA추천 결과
제조사 카테고리 맛 소재 식감 추천값
파이 달다 크림, 초콜릿, 홉 부드러움 207.0
초코 달다 초콜릿, 비스킷, 홉 딱딱함 181.8
롯데제과 파이 달다 초콜릿, 진생베리 부드러움 247.4
초코 달다 비스킷, 초콜릿, 진생베리 바삭함 178.0
비스킷 달다 우유, 계란, 진생베리 부드러움 132.9
(출처 : LCIA 조합 DNA 예측결과, 카테고리별 시장 규모에 따라 추천값 차이 존재)

이렇듯 LCIA가 추천한 조합DNA 중 호프추출물과 진생베리 소재는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향
후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기대된다. 호프추출물 소재는 활발한 외부 활동을 지속하는 시니어들
의 강한 뼈와 관절 유지 가능,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원료 인증을 받은 소재이다.
진생베리는 인삼의 붉은 열매로써, 인삼의 핵심 영양소인 사포닌이 풍부하게 들어있고, 인삼 뿌리보다
2~3배 높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항산화 식품이다. 노화방지, 혈관건강,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소재로써 웰에이징을 위한 맞춤 소재라고 할 수 있으며, 당사 LCIA에서도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추천되
어진 것으로 보아, 향후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23 LCIA 추천 건강한 노화 도움 소재

관절건강 도움 홉 항산화 식품 진생베리

( 14 / 17 )
pleassanT

T Tea 차의 귀환

2019년 및 2020년 1분기 LCIA 카테고리 별 성공가능성 높은 개별 소재 DNA 추천 중,


타소재 대비 자주 추천 되어지는 소재는 차 소재이다.

그림 24 카테고리별 개별 DNA 추천 결과

(출처 : LCIA 개별 DNA 예측 결과)

국내에서도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커피시장 과포화, 건강, 다이어트, 힐링 등의 관심으로 인해 차 시장


이 점차 주목받고 있는 추세이며, 식품산업통계정보 국내 동향에 따르면 차 소매시장 매출액은 2016년
806억원에서 2017년 844억원으로 4.8%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RTD 차 시장규모 역시 2013년 2493억원에서 2017년 2924억원으로 증가해 성장세를 이어가
고 있다. RTD(Ready to drink) 음료뿐 만 아니라, TWG, 포트넘앤메이슨 등 해외 유명 차
브랜드 티 하우스 국내 오픈, 2014년 스타벅스 차 전문 브랜드 ‘티바나(Teavana)’, 2018년 SPC
블렌디드 티(Blended tea) 브랜드 '티트라(Teatra)' 2019년 한국야쿠르트의 `잇츠온 편강온` 출
시 등 다양한 차 메뉴들을 국내에서 맛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림 25 국내 Tea 전문 브랜드 현황

한국야쿠르트
싱가포르 TWG 스타벅스 티바나 SPC 티트라
잇츠온 편강온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 15 / 17 )
찻잎과 꽃을 활용한 여러 차 소재 중, 2020년에는 LCIA가 추천한 구절초, 국화, 자스민, 백년초,
허니부쉬 등 피로를 풀어주고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향기로운 꽃차 및 과일과 블렌딩 된 과일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진다.

그림 25 LCIA 추천 꽃차 소재

구절초 국화 백년초 허니부쉬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III. Summary

이상, LCIA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20년 식품 트렌드를 “PLEASSANT”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예측해 보았다.

1. P Plant-based 식물성 식품

2. L Low or Non 줄이거나, 빼거나

3. EA Easy Eat-snack bar 쉽거나, 간편하거나

4. S Stress less/Deep-sleep 스트레스 완화/숙면

5. S Strawberry 딸기의 무한 변신

6. AN Anti-aging 노화방지, 건강한 노화

7. T Tea 차의 귀환

“PLEASSANT” 처럼 2020년 한해도 건강한 신체 및 정신에 도움이 되는 식음료 제품들을


통해 즐겁고 기분 좋은 한해가 되었으면 좋겠다. 롯데제과 LCIA는 앞으로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식품 시장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롯데제과 마케팅 기획팀 책임 연구원 : 정유석 매니저, 정민주 책임

롯데제과 홍보팀 : 정성원 매니저

( 16 / 17 )
※LCIA란?
2018년 롯데제과가 도입한 AI 트렌드 예측 시스템으로써, 7천만건의 소셜 데이터 및 POS 판매
데이터, 날씨 등 각종 내∙외부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고유의 알고리즘을 통해 식품에 대한 미래
트렌드를 예측하여 성공가능성이 높은 최적의 신제품 아이디어를 추천해 준다.
사용자는 ‘LCIA(엘시아)’가 추천한 신제품 조합의 3개월 후 8주간의 예상 수요량을 미리 확인 가능
하며, 트렌드 분석, 신제품 아이디어 추천을 위해 제품에 DNA 개념을 도입하였다. 제품의 속성을 맛,
소재, 식감, 모양, 규격, 포장 등 6개로 분류하여 제품 DNA화 하였고, 딥 러닝 및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시간이 흐를수록 자가 학습을 통해 예측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며, 201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IBM 연례 기술 컨퍼런스 'IBM Think 2019'에서 국내 식품업체
최초로 AI system ‘LCIA’를 발표하였다.

( 17 / 1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