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한국사회의 이해

4주차 9/28: 노동자의 형성과 노동문제

*** 도입

- 코로나바이러스 – 세계적 불황

최대의 피해자 = 자영업자, 여행업-호텔-관광업 종사자, 제조업 종사자로 실업 파급,


거리에서 폐업한 가게 목격은 드문 일이 아니다

항공사 운항중단 ⇨ 비행수당 삭감, 무급 휴직, 중국 항공사 한국인 승무원 대량 해고,


KAL ASIANA 합병, 이스타 항공(Eastar Jet) 도산(종업원 1,600명),

- 1 -
- 재택근무, 비대면 수업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 위험 문제 표면화

자료:머니투데이2020.9.21.

- 고용 동향 -

취업통계-16-22.xls

- 2 -
• 취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자
• 실업자 : 근로능력이 있고 조사대상주간을 포함한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
을 하였으나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은 자
•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 100
• 청년실업률 : 15~29세 실업자/ 15~29세 경제활동인구 × 100
• 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인구란 군인, 의무경찰, 사회복무요원 등의 비경제활동인구
를 제외한 15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 ‘물질적 부’의 생산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는

고용률
• 정의 :
생산가능인구(만 15-64세) 중 특정 시점에 취업해 있는 인구의 비율임. 만 15-64세
취업자수를 같은 연령대의 전체 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취업자는 조사대상 주간에
소득, 이익, 봉급, 임금 등의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가구 단위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일을 도와 준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
시간 이상 일한 자,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를 포
함함.

https://youtu.be/CcEJFyLY850 대우조선 농성 하청 노동자 인터뷰 SBS

https://youtu.be/-XZ1l0pPngU 대우조선 하청 농성-KBS

- 3 -
- 노동자 = 노무 제공, 임금 생활자

- “노동” 용어 자체가 생소한 현실 – 이념 대립의 결과 금기어로 취급, “근로자” 사용

- 졸업, 취직하면 누구나 “노동자” = 자기 생존을 위해 노동문제에 대한 지식 필요

- 근로기준법 :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


공하는 사람”을 ‘근로자’로 정의(근기법 제2조 제1항 제1호)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ㆍ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를 ‘근로자’로 정의(노조법 제2조 제1호),

- 경영자, 공직자, 연구 책임자, 보직 교수도 노동문제를 이해할 수 있어야 조직 관리 ,

2022.10. DGIST

- 4 -
- 코로나 사태 속에서 이미 존재하던 한국의 노동문제가 확대, 증폭.
노동시장 직종별 수급 불균형, 기업 규모간 노동조건 격차, 산재, 고용 불안(비정규직화)
⇨ 대증요법으로 해결 곤란, 구조적 맥락을 이해하는 폭 넓은 시야 필요,
사례 -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쟁(인천국제공항, 건강보험공단)
= 임금체계 개혁과 직무급 도입 논의가 생략된 결과 발생한 혼란
(공정 문제, 임금 총액 상승 문제), (호봉제의 한계 인식, 직무급 도입 필요)

*** 역사적 배경

- 임금노동자의 등장 - 개항, 구한말,

- 1877.6. 갑산군 초산역 광부 폭동 기록


- 1898.5. 성진 부두노조 조직 기록
- 1920.4.11. 조선노동공제회 창립 (1922.10.15. 해체)
-1920.10.16. 조선노동연맹회 결성
-1924.4.18. 전조선노동총동맹 창립
-1929.1.14. - 원산총파업 (4.6. 자유취업)
- 1930년대 – 적색 노조 사건 빈발

- 일제 식민지 시기 - 식민지 공업화와 노동자 집단, 노동운동 출현

- 해방, 전평 vs 대한노총

- 전평(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1946.11.15.) – 남로당

- 대한독립촉성전국청년총연맹(1945.11.21. 조직)(1946.3.10.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결성) :


이승만, 서북청년단, 김두한 등 정치테러 조직과 연관,

- “남북한의 체제 대결과 노동자의 포섭, 통합의 필요성”,


“국민국가 형성을 위한 노동자 관리 체제 정비의 필요성”

- 1953 노동 3법 = 노사관계 제도화의 계기 - (단결권, 교섭권, 행동권 보장)

근로기준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통합, 1997)

- 1959.10.26.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중앙위원회 의장 김말룡

- 5 -
- 4·19, = 1960.5.9. 대한노총 간부 총사퇴,

- 1960.11.30. 한국노동조합총연맹(대한노총, 전국노협 통합) 1차 운영위 (임시의장 : 김말룡)


- 1961. 5. 16, (정당, 사회단체 해산. 5.23.) – 한국노총 해산, KCIA 주도 재조직
- 1961.8.4. 한국노동단체재건조직위원회(의장 이규철)
산별체제 규정 (실질적으로 기업별 노조 연합)
- 1961.8.30.~31 한국노총결성대회

- 1970 전태일 사건 – 민주노동운동의 태동, 대학가에 파급(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결합),


“앞으로 10년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
<기념 동판>

- 6 -
- 산업선교와 JOC, 민중교회, 지식인 노동운동 ⇨ 의식화
Urban Industrial Mission(개신교), Jeunesse Ouvrière Chrétienne (JOC, 천주교)

- 동일방직사건 1978

- 7 -
- YH 사건(1979)과 박정희 정권의 몰락

- 1980 광주항쟁, 5공 출범과 노동법 개정(3자 개입 금지, 기업별 노조),

-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의 결합


이범연 - 62년생, 81학번,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 중퇴,
(GM)노동자 “위장 취업자에서 늙은 노동자로 어언30년” 레디앙, 2017

- 8 -
- 1987 6·29선언, 전두환 퇴진, 7월부터 시작된 노동자 대투쟁, 임금 상승,
대기업 중화학공업 부문 남성노동자 주도의 노동운동 ⇨ 민주노총으로 결집

[ 87년 울산의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이 중장비를 동원하여 투쟁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

- 1989 베를린장벽 붕괴 : 탈냉전 ⇨ 현실 사회주의 붕괴와 변혁운동의 전망 상실

- 전국노동조합협의회(1990.1.22.-1995.12.3.) - 지역별 조직(계급운동) 지향

- 1995.11.1.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출범

- 1997 노동법 개정 = (3자 개입 금지 철폐, 복수 노조 허용=민주노총 합법화)



- 1997 외환위기 (IMF 개입) – 유연화 – 비정규화 = 남성 정규직 중심 노조의 존재 의미 ?

비판의 대상, 노동귀족화 vs 노동운동의 거점

- 규모별 노동조건 격차 = 규모별 노조 조직률 격차


https://blog.naver.com/molab_suda/222965846821

- 비정규직화와 고용불안
비정규직 추이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14

- 9 -
- 정규, 비정규 임금격차

한겨레 23/05/23

사업체 규모별 시간당 임금 수준


중앙일보 입력 2019.04.24 14:06 업데이트 2019.04.24 15:08

비정규직 보호입법 : 2007/07/01. 시행, 2년 이후 계속 고용 의무 , 차별 금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9016

- 10 -
- 청년, 비정규직 등 새로운 노조(알바, 라이더)의 등장

201111-라이더유니온-필증.pdf

- 노동자는 시민인가 ? (19C 영국 Chartist 운동의 과제) ⇨ 사회통합의 과제 지속 ?

*** 이론적 시각

- 노동계급 형성 = 산업화 + 정체성(계급의식)

- 공동체와 개인의 분리 → 독립 주체 → 계급적 자각 → 시민사회 형성

- Gender 의식과 계급의식 = 여공과 가족 부양, 송금 중단과 관계 단절, 나쁜 딸,


가부장적 촌락공동체, 가족공동체로부터 해방
sexual harrassment 문제 고발,

- 질적 방법론의 중요성 – 구술사, 생애사, 일상사

- 이주노동자와 국제적 맥락 파악 필요 (코로나-입국제한-농촌 노동력 확보 곤란)


60년대 한국인 서독 광부-간호원 취업, 베트남 건설 노동, 70년대 – 중동 건설,

1990년대 이후 국내 이주노동자 증가,

- 11 -
- 유행어가 된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 실업은 증가할 것인가 ? (기본소득과 연계)
일자리 보장은 가능한가 ?

* 산업혁명 이후 지속된 고전적 논쟁 (Luddite 운동 = 기계 파괴)

* 없어지는 직업 종사자의 재훈련과 재배치, 새로운 직업 종사자의 양성 과제


(전기차 보급과 자동차 관련 기계공의 미래 ?)
(자율주행차와 운수노동자의 미래 ?, 이미 ‘상고’의 ‘정보화고‘ 전환 경험)
⇨ 노동시장 mismatch 문제, flexible security(유연안정성) 확보와 제도 개혁의 과제
현재의 교육제도(대학 과잉 정원 초래) 개혁과 실용적 직업교육 제도의 설계
재교육 보장을 위한 사회복지의 충실화, 재취업 알선 필요,
공론화와 정책 전환 필요 = 정치적 리더십

- 12 -
- 참고 문헌 -
-Sidney and Beatrice Webb , The History of Trade Unionism, 1894, (1920 Rev,)

E.P. Thompson ,1963,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Pantheon Books,
[나종일 등 역, 영국노동계급의 형성 상 하 , 창작과 비평사, 2000]

Koo Hagen, 2001, Korean Workers :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lass form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2002, 구해근(신광영 역), 창작과 비평사]

Barraclough, R 2012, Factory Girl Literature Sexuality, Violence, and Representation in


Industrializing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SA. [여공문학, 김원·노지승 옮김/후마니타스(2017)]

김창우, 2020, “전노협 청산과 한국 노동운동”, 후마니타스,

김금수, 2013(1-3), 2020(4-6), “세계노동운동사”, 후마니타스

정이환, 2013, “한국고용체제론”, 후마니타스,

비판사회학회, 2012, “산업사회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최장집, 1988,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양승훈,2019,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 산업도시 거제, 빛과 그림자-”, 오월의 봄

박태주, 2014, “현대자동차에는 한국 노사관계가 있다”, 매일노동뉴스

김철식, 2011, “대기업 성장과 노동의 불안정화 – 한국 자동차산업의 가치사슬, 생산방식,


고용관계 분석”, 백산서당

이범연, 2017, “위장 취업자에서 늙은 노동자로 어연 30년”, 레디앙,

- 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