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현대동북아국제정치경제

2020년 1학기

목 14:00-17:00, 83동 404호


담당: 이정환(factnnorm@snu.ac.kr; 02-880-6349)
면담시간: 화 14:00-16:00 또는 약속, 면담장소: 16동 511호

<강의 개요>

국제정치경제적 제약과 기회 속에서 고도성장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의 동


북아 지역은 현재 국제정치경제의 구조를 창출하는 주요 행위자로 발전하여왔다. 본 강좌는
현대 동북아 지역에서의 국제정치경제적 변화를 보다 밀도 있게 검토하고, 이 지역에서 최근
일어나고 있는 국제정치경제적 협력과 경쟁의 이슈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강좌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수업의 절반에 해당하는 첫 번째 부분에서는 20세기
후반기 동북아 국가들이 경험한 고도성장과 경제위기(정체)의 국제정치경제적 조건과 상호연
결구조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질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에
진척되었던 동아시아지역협력의 성격과 전개에 대한 내용이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현재 동북
아 국가들이 처하고 있는 국제정치경제적 조건에 대한 다각적 파악을 시도한다.

<평가 요소>

◎ 출 석: 10%
◎ 중간고사: 40%
◎ 기말고사: 50%

<비대면강의 방법>

◎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인한 비대면강의는 실시간 온라인 강의로 진행


◎ 수강생들은 수업시간 (목요일 오후 2시)에 맞추어 ETL 현대동북아국제정치경제 과목 페이
지의 해당 화상강의에 접속하여 수업에 참여
◎ 실시간 온라인 강의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은 학교의 안내 페이지(http://zoom.snu.ac.kr)
를 참조
◎ 비대면강의 종료 일시는 학교 행정 공지에 따를 예정

- 1 -
<세부 일정>

1주(3월19일): 강의소개

2주(3월 26일): 동북아 발전국가의 국제정치경제적 조건


§ 발전국가의 외환관리 / 수출주도전략과 경제성장
Barret, R. and Soomi Chin. 1987. “Export-oriented Industrializing States in the
Capitalist World System: Similiarites and Differences.” in Frederic Deyo (ed).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New Asian Industri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Mardon, R. 1990. “The state and the effective control of foreign capital: the case
of South Korea.” World Politics, 43(1), pp. 111-138.

3주(4월 2일): 동북아 생산분업화의 형성


§ 일본의 해외직접투자와 동아시아 경제성장 / 한일무역마찰의 구조적 조건
Kojima, K., 2000. “The “flying geese” model of Asian economic development: origin,
theoretical extensions, and regional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Asian
Economics, 11(4), pp.375-401.

4주(4월 9일): 글로벌생산네트워크와 중국 경제성장


§ 중국의 경제성장과 해외직접투자 / 글로벌밸류체인과 동북아
Gary Gereffi. 2014. “Global value chains in a post-Washington Consensus world.”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21:1, pp. 9-37

5주(4월16일): 국제자본과 아시아외환위기


§ 국제자본 이동과 아시아 외환위기 / 1997년 외환위기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정책 대응
Wade, R., 2000. “Wheels within wheels: rethinking the Asian crisis and the Asian
model.”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3(1), pp.85-115.
King, M. R. 2001. “Who triggered the Asian financial crisis?.”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8(3), pp. 438-466.

6주(4월23일): 중간고사

7주(4월30일): 석가탄신일 휴일

8주(5월 7일):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의 진전과 정체 1


§ ASEAN+3 플랫폼 / 금융통화협력
Grimes, W. W. 2006. “East Asian financial regionalism in support of the global
financial architecture? The political economy of regional nesting.”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6(3), pp. 353–380.

- 2 -
9주(5월14일):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의 진전과 정체 2 & 글로벌 금융위기와 동북아
§ 양자FTA붐 / 글로벌 금융위기의 동북아 영향
Baldwin, R. E. 2008. “Managing the noodle bowl: The fragility of East Asian
regionalism.” The Singapore Economic Review, 53(03), pp. 449-478.
Sharma, S.D., 2010. “Japan, China, South Korea, and India: Why No Immunity from
the Subprime Credit Crisis?.” Asian Affairs: An American Review, 37(4), pp.
211-231.

10주(5월21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


§ CMIM의 진전 / 동아시아 무역질서 경쟁 / institutional balancing?
Dai, X. 2015. “Who defines the rules of the game in East Asia?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nd the strategic us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15(1), pp. 1-25.
Kai He. 2019. “Contested multilateralism 2.0 and regional order transition: causes
and implications.” The Pacific Review, 32:2, pp. 210-220

11주(5월28일): 중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동북아


§ 중국제조 2025 / 미중 무역마찰
Balogh, L.S., 2017. “Could China be the winner of the next industrial
revolution?.” Financial and Economic Review, 16(Sepcial Issue), pp. 73-100.

12주(6월 4일): 해외인프라투자 시장의 경쟁과 협력


§ 중일 간 인프라 경쟁과 협력 / 지역구상 경쟁
Rolland, N., 2017.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Underwhelming or
Game-Changer?. The Washington Quarterly, 40(1), pp. 127-142.

13주(6월11일): 2019년 한일분쟁 사례

14주(6월18일): 기말고사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