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24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토론문

문문혁 서울시 예산담당관

1. 중점 투자 현황

○ 2024년 예산안은 단단한 계층이동 사다리를 놓고 사회안전과 통합을 이끌어 낼 ‘약자와의


동행’,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안전도시 구현’, 도시공간・관광 혁신을 통한 ‘매력 서울’을 만
드는데 중점을 두었음

○ 3대 투자 중점별로 13대 핵심과제를 선정, 우선적으로 예산을 집중 투자하여 시민의 정책


체감도와 재정효율 극대화 도모할 것임

- ① ‘약자와의 동행’ (6대 핵심과제, 13조 5,125억원)


② ‘안전한 서울’ (3대 핵심과제, 2조 1,376억원)
③ ‘매력적인 서울’ (4대 핵심과제, 1조 272억원)

2. 투자중점별 주요 사업

1) 약자와의 동행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가속을 붙이기 위해 13조 5,125억원을 편성하였음. 취약계층 4대 분


야(생계, 주거, 의료・건강, 교육・문화) 지원을 계속 이어 나가고, 이상동기 범죄 등으로부터 시민
불안을 덜어주기 위해 범죄 예방 및 대응력도 강화해 나가겠음.

① 생계・돌봄(7조 8,950억원) : 안심소득 3단계 1,600가구(150억원), 중위소득 50% 이하 위


기가구(500가구) 안심소득 신규지원(56억원), 장애인이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는 개
인예산제 시범사업(40명, 4억원),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수급자 자산형성 지원사업을 확대
(20,961명 → 32,413명, 835억원)하여 자산형성의 디딤돌을 제공함

89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② 주거 지원(2조 2,303억원) : 기존주택 등을 매입하는 매입 임대주택(1,050호, 1,580억원),


재개발・재건축 임대주택 10,549호 공급(3,813억원), 쪽방・고시원 등 주거취약계층 주거상
향 지원(75억원), 신혼부부(3,500명) 보증금반환 보증가입비용 신규지원 및 청년(12천명)
전세보증보험료 지원(31억원) 등을 추진할 계획임

③ 의료・건강 지원(2조 5,867억원) : 평일 야간이나 휴일에 소아진료가 가능한 안심의원(8개


소)・안심병원(8개소)・전문응급센터(3개소)・야간상담센터(2개소) 지정 운영 83억원, 서남・
은평병원 등 시립병원 리모델링 및 시설현대화(155억원), 장애인 치과병원 운영 및 기능 강화
(47억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확대(소득기준 폐지, 14억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의
료지원도 강화하겠음

④ 교육・문화(2,269억원) : 서울런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및 온・오프라인 멘토링 등을 통


해 취약계층 교육사다리 복원 지속 추진(159억원), 중위소득 150%이하 서울거주 만 19∼
22세 청년에게 연 20만원의 문화이용권을 지원하는 ‘서울 청년문화패스’(68억원) 지속 추
진, 박물관・미술관 이용이 어려운 특수학교 학생 대상 무료관람(3억원),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43만명)의 문화 향유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연 13만원의 통합문화이용권(557억
원) 등 문화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도 확대함

⑤ 사회안전(5,297억원) : 안심마을 보안관 25개 자치구로 확대(26억원), 안심이앱 기능 확대


및 지속 운영(23억원), 휴대용 SOS 비상벨(5억원), 주택가・공원 내 CCTV 설치 및 유지관리
(236억원), 1역사 1동선 구축(383억원) 등 시민들이 안전하게 이동하고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음

⑥ 사회통합(439억원) : 결혼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신설 및 저소득 다문화 자녀 교


육활동비(초등 40만원・중등 50만원・고등 60만원) 신규 지급(124억원), 국내・외 100여개
기업이 참여하는 약자동행 기술박람회 개최로 기술시연・체험・공유의 장 제공(5억원) 등 시
민동행을 통한 사회통합 강화

2) 안전한 서울

기후변화 및 각종 재난으로부터 회복력 강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2조 1,376억원을 투입해서


침수취약지역 방재시설을 확충하고 노후화된 시설물 관리도 강화하겠음

①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노력 강화(5,676억원) :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설치(3개소, 1,049억


원), 빗물펌프장 신・증설(8개소, 147억원), 진입차단설비 설치 등 지하차도 침수피해 방지대
책(84억원), 노후 하수관로 정비(1,178억원) 등 집중호우로부터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음

② 재난대응력 강화(1조 985억원) : 교량・터널 등 노후시설물 관리 강화(2,753억원), 역주행


방지를 위한 지하철역 E/S 교체(43대, 119억원), 실화재 훈련장 건립(61억원), 거여 119 안

90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토론문

전센터 신축 이전(55억원) 등 재해・재난 대비 지속 투자

③ 기후위기 대응(4,715억원) : 서울권역내 대중교통・따릉이를 65천원에 무제한 이용할 수 있


는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401억원), 급속 전기차 충전기 및 액화수소버스 충전소 3개소 확
충(503억원), 지열에너지 시설 확충 등 공공건축물 에너지 효율화(44억원) 같은 사업을 통해
기후로부터 지속가능한 서울 조성

3) 매력적인 서울

도시공간 혁신을 비롯해 서울의 미래 먹거리인 창조산업 육성, 관광 인프라 개선 등 서울의 미


래를 준비하고 매력을 높이기 위해 1조 272억원을 투자함

① 서울공간・디자인 혁신(2,601억원) : 남산 생태환경을 회복하고, 남산에 곤돌라를 조성하는


‘지속가능한 남산 프로젝트’(122억원), 정릉천 등 수변활력거점 6개소 조성(140억원), 한강
과 서해를 연결해 한강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 선박 운항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서울항 조성(254억원), 리버버스 선착장 조성 및 기반시설 확충(208억원) 등으로 서울의 매
력을 더하겠음

② 문화향유 기회 확대(2,423억원) : 야간 공연 관람권(2억원) 및 서울 문화의 밤(2.5억원) 신


규 운영, AR・VR 기술 활용 체감형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남산 XR 스튜디
오 개관(20억원)

③ 3천만 관광도시 도약(1,822억원) : 아름다운 한강과 서울의 야경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계류식 가스기구 ‘서울의 달’ 운영(41억원), 서울광장에 상설무대를 설치해 국악・재즈・클레
식 등 수준 높은 무료공연과 볼거리 제공(10억원), 서울시 발레단 창단공연(32억원),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행사(25억원) 등 일년내내 매력있는 서울 조성

④ 창조산업 및 미래인재 육성(3,426억원) : DDP 쇼룸・서울 창조산업허브 등 창조산업 혁신


거점 구축을 통한 미래서울 체험공간 제공(380억원),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지원 및 투자 다각화(368억원), 양자산업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산학연 협력
통한 기술 고도화 등 양자기술 생태계 조성(6억원)으로 서울의 미래인 창조산업과 인재 육성
에 힘쓰겠음

3. 결론

2024년 서울시 예산안은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서울의 미래를 위한 약자와의 동행, 시민
이 안심하는 안전한 서울, 창의와 혁신의 매력적인 서울에 재정 수요를 골고루 배정했음.
13년만의 예산규모 감소에도 시민과 약속한 ‘약자와의 동행’ 사업을 굳건히 이어 나가 우리 이

91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웃과 가족이 행복한 서울, 사회적 약자를 두텁게 보호해 포용 성장을 이끌어 가는 ‘동행・매력 특
별시’ 서울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음.

9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