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륄-

04 2022년 지역특화콘텐츠개발지원
:: 지역특화·거점기관역할확대및지역산업의우수성고陸增떠 필요한 1
지역특호몬텐츠개발지원

사업개요

사업록적 지역특화 · 전략 콘텐츠 개발지원 및 거점기관 역할 고도화를 통해 지역 자율성장을 지원하여 성과장출 고도화 견인
총사업비 6,730백만원
수행부서 지역콘텐츠진흥단

사업내용

지원대상 -지역특화콘텐츠개발(제작지원)
지원대상:지역거점기관 소재 지역콘텐츠기업
· 지원방법 :16개 콘텐츠산업 지역거점기관 통한 자유공모
지역 운영7|관 지역 운영71관 지역 운영기관
I
부산정보산업진흥원 E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巨 인전테크노파크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론전『]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전「] 울산정보산업진홍원
경J|콘텐츠진흥원 口里] 강원문화재단 円T] 중북과학71술혁신원
중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ii] 전라북도콘팬츠융합진홍원 [:곰i:|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경상북도콘텐츠진홍원 「 경남문화예술진홍원 「 제주영상문화산업진홍원
세종테크노파크

※각지역운영기관에따라 지원 내용상이

지원내용 - 지역특화콘텐츠 개발(제작지원)


·지원장르:전 장르(ESG가점)
지원대상공고일6개월 이전으로부터 해당지역 소재지 기업
- 지역우수콘텐츠 사업화 지원(230백만 원)
·지원대상: `20~`21년 지역특화콘텐츠 개발지원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 또는 지역거점기관
주천 기업(상품화 및 사업화의 가능성이 있는 콘텐츠/기업 선정)
지원내용:맞춤형 액셀러레이팅프로그램 지원(진단,컨설팅,홍보지원 등)

- 지역콘텐츠산업 실태조사(200백만 원)
· 주요내용:지역 콘텐츠산업 현황 맞 환경 분석
| 콘텐츠 인프라(유사사업,유사시설)에 대한 국내 현황 및 지역별 산업 환경 분석
| 지역 콘텐츠 관련 우수정책, 우수육성전략 등을 조사 분석
| 대규모 사업제 1개로 인해 지역 내 콘텐츠산업이 왜곡되는 사례보정
| 수도권과 비수도권 자이점 및 지역콘텐츠산업 전반적인 특성 도즐 등

090 I 2022한국콘텐츠진흥원 지원사업설명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