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9

산단사업부 김준식 대리

001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인재 육성

Contents 002 산업단지처 업무 소개

003 산업단지 개발사업 추진절차

004 산업단지의 정의와 종류

005 산업단지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 지역균형개발 산업단지
· 경기 동부권 산업단지
· 도시첨단산업단지

006 산업단지 추진 현황 / 사례 소개
· 파주 LCD
· 고덕국제화계획지구
· 제2판교테크노밸리
· 평택 포승(BIX)
01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인재 육성
1

□ 첨단산업 핵심부문 인력 부족 : 혁신성장 전략투자계획으로 대응(민선7기 정부)

부문별 ‘18~22년간 부족인원수(천명) 산업별 기술인력 부족률(%) 선도국대비 핵심기술 경쟁력(%)

자료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18년)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17년) 자료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17년)

민선7기

정부 주도

추진과제
1

□ [경영비전] 살기 좋은 도시 조성 : “양질의 일자리” 확보 필요

○ 도심형 일자리(첨단기업) 유치를 통한 직주근접형 자족도시 건설


ex.) 서울 강남, 판교, 광교

○ 첨단기업은 인력수급이 원활한 도심 및 대도시 입지 선호(국토연구원)

○ 3기 신도시, 테크노밸리 등 부지 활용하여 고급인력 양성의 요람 조성

□ 산학연 생태계 조성을 통한 첨단기업 유치사례(실리콘밸리, 아헨공대, 캠브리지)


1

□ (방안1) 제도개선을 통한 산ㆍ학ㆍ연 도내 유입 유도


○ 경기도는 「수도권정비계획법」 및 「수도권정비계획」에 의하여 “인구집중유발시설(대학, 공장 등)”
신설 또는 증설이 엄격히 제한됨

ㅇ 4년제 대학의 신설 제한 등 현행 수도권 시책의 기조를 유지


ㅇ 접경지역으로 대학이전이 유도될 수 있도록 지원방안 강구
ㅇ 대학의 통ㆍ폐합 등 구조조정은 지원하되, 수도권시책의 기본원칙의 범위내에서 추진
- 수도권내 4년제 대학의 신설은 엄격히 억제하고 수도권내 과밀을 유발하는 대학이전을 제한
- 대학의 증원에 대해서는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거쳐 총량으로 관리

○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개정을 통한 규제 완화방안 건의(→道, 국토부. ‘20.5月)

ㅇ 대학이 산업단지 안에서 운영하는 첨단학과 커리큘럼 개설시 해당 인원은 정원외 처리


ㅇ 대학이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운영하는 첨단학과 커리큘럼 개설시 해당 인원은 정원외 처리
1

□ (방안2) 현행 제도 內 혁신적 교육방안 도입


○ 지식산업센터 건설ㆍ임대하여 첨단산업 육성정책(비학위 과정ㆍ정원외 모집) 공간적 지원 추진

ㅇ 2년제 비학위 과정 교육기관(프랑스 “ecole 42” 벤치마킹)


ㅇ 서울 개포 디지털 혁신파크에서 1기 아카데미 “42 seoul” 운영중
02 산업단지처 주요업무 소개
2
2

1. 신규 산업단지 발굴 3. 산업단지 분양

2. 산업단지 조성 및 인허가 4. 준공 산업단지 관리


2

公社 투자심의위원회
사업대상지 사업타당성 신규사업
기획 발굴 검토 추진절차
公社 이사회
경기도의회(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조사설계
관계기관 산업단지계획심의 산업단지계획 계획
계획 환경영향평가
협의 수도권정비계획심의 승인 변경
용역 발주

부지조성 부지조성 조경, 전기, 통신공사 및 공사


조성 지장물철거
공사 발주 공사 착공 그 외 부대 공사 준공

분양 외투단지
조성원가 확정 준공산단 관리,
및 (가격정산)
토지분양 및 홍보
사후환경영향조사
임대 입주자 선정 및
관리 임대료 수납
03 산업단지 추진절차
3

평택 OO산업단지
파주 OO산업단지
3

평택 OO산업단지
파주 OO산업단지
04 산업단지의 정의와 종류
4

공장, 지식산업 관련시설 등과 교육ㆍ연구ㆍ지원시설 및 주거ㆍ공원녹지 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지정·개발되는 일단(一團)의 토지

ㅇ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이 지정 ㅇ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이 지정


(30만m2 미만 시장ㆍ군수ㆍ구청장 지정) (10만m2 이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 지정)

ㅇ 지정규모 : 3만m2 이상 ㅇ 지정규모 : 1만m2 이상


ㅇ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 배치 촉진 ㅇ 도시지역 내 첨단산업 육성
ㅇ 가장 보편적인 산업단지 개발방법 ㅇ 택지지구 등에 중복 지정 가능
ex) 양주홍죽, 전곡해양일반산업단지 ex) 판교제2테크노밸리,

ㅇ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정ㆍ개발 ㅇ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지정


ㅇ 국가기간산업 육성, 낙후지역 개발 (시ㆍ도지사승인필요)
ex) 반월시화산단, 울산 등 대규모 단지 ㅇ 농어촌지역, 농ㆍ어업 관련산업 유치
05 산업단지 추진현황/사례
· 파주 LCD
· 고덕국제화계획지구
· 제2판교테크노밸리
· 평택 포승(BIX)
5

연천BIX 산업단지 조성 현황
연천 백학 파주 당동

파주 선유 동두천2

파주 LCD 양주 남면
양주 테크노밸리
양주 홍죽
파주 월롱
김포 양촌
주요사업 지구 일자리 창출 효과

판교 경기기업성장센터
제2 판교 테크노밸리

광명시흥 첨단R&D 양평 양동
전곡 해양
이천 대월2
장안첨단1
장안첨단2 오산 가장

안성원곡 물류단지
평택 어연한산

평택 현곡 고덕 국제화
향후 추가 조성 계획
평택 오성 안성 중소기업
평택 추팔 안성 제4
평택 포승
경기경제자유구역 평택 포승(BIX)

준공산업단지 조성 중 산업단지 준공 외투단지


□ 사업개요

□ 주요사항
□ 사업개요

□ 주요사항
□ 사업개요

□ 주요사항
□ 사업개요

□ 추진일정
06 산업단지 패러다임 변화
· 지역균형개발 산업단지
· 경기 동부권 산업단지
· 도시첨단산업단지
○ 1차 지역균형개발산단 도의회 승인 완료
○ 2차 지역균형개발산단 후보지 검토 중
□ 사업개요

□ 추진일정
□ 사업개요 □ 사업개요 □ 사업개요

□ 위치도 □ 위치도 □ 위치도


경기도 시·군별 일자리 현황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양주시 의정부시
일자리부족[A] : 862 일자리부족[A] : 11,937 일자리부족[A] : 5,930 일자리부족[A] : 3,466 일자리부족[A] : 30,585
일자리창출[B] : 2,270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1,840 일자리창출[B] : 2,101 일자리창출[B] : 0
[A-B] : -1,408 [A-B] : 11,937 [A-B] : 4,090 [A-B] : 1,365 [A-B] : 30,585

가평군 남양주시
김포시 파주시 일자리부족[A] : 2,233 일자리부족[A] : 24,086
일자리부족[A] : -12,191 일자리부족[A] : 5,811 일자리창출[B] : 275 일자리창출[B] : 17,304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2,886 [A-B] : 1,958 [A-B] : 6,782
[A-B] : -12,191 [A-B] : 2,925
구리시 하남시
고양시 일자리부족[A] : 9,859 일자리부족[A] : 7,922
일자리부족[A] : 45,137 일자리창출[B] : 1,828 일자리창출[B] : 5,497
일자리창출[B] : 21,563 [A-B] : 8,031 [A-B] : 2,425
[A-B] : 23,574
양평군
일자리부족[A] : 3,038
일자리창출[B] : 275
[A-B] : 2,763
부천시 시흥시 광주시
일자리부족[A] : 44,529 일자리부족[A] : 498 일자리부족[A] : 26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2,020
[A-B] : 44,529 [A-B] : 498 [A-B] : -1,994
안산시 화 성 시: -
일자리부족[A] 여주시
일자리부족[A] : 22,905 38,629 일자리부족[A] : -1,319
일자리창출[B] : 1,489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0
[A-B] : 21,461 [A-B] : - [A-B] : -1,319
38,629
평택시 오산시 이천시
일자리부족[A] : 7,961 일자리부족[A] : 11,904 일자리부족[A] : -4,518
일자리창출[B] : 16,721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275
[A-B] : -8,755 [A-B] : 11,904 [A-B] : -4,793

광명시 안양시 과천시 성남시 군포시


일자리부족[A] : 19,798 일자리부족[A] : 26,439 일자리부족[A] : 1,282 일자리부족[A] : 27,971 일자리부족[A] : 13,826
일자리창출[B] : 5,082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2,398 일자리창출[B] : 11,824 일자리창출[B] : 0
[A-B] : 14,716 [A-B] : 26,439 [A-B] : -1,116 [A-B] : 16,147 [A-B] : 13,826
의왕시 수원시 용인시 안성시
일자리부족[A] : 7,745 일자리부족[A] : 52,584 일자리부족[A] : 25,561 일자리부족[A] : -5,854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0 일자리창출[B] : 15,678 일자리창출[B] : 2,997
[A-B] : 7,745 [A-B] : 52,284 [A-B] : 9,883 [A-B] : -8,851

[범례] 일자리 수요 충족 시·군 / 과밀억제권역 / 일자리 공급 부족 지역 중 공사 사업 미시행 시·군

※일자리 부족[A] :구인 인원(단위: 명) (2018년 권역별 구인구직 현황, 경기도인재개발원)


※일자리 창출[B] : 公社 추진중 사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산업단지, 공공주택, 도시개발)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