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8

CONCEPT

The erets_Kim Hohyun


Wooden Orchids_Vincent Callebaut Architect
The Seoul Arboretum_MVRDV
Customi-zip_L'eau design
VOL 195
월간 컨셉 (현대건축)
Volume. 195 Jul. 2015

Cover Photo│WOODEN ORCHIDS


ⓒ Vincent Callebaut Architect

News 006 News


발행 및 편집인 정지성

취재국
아브르 린다 코빗 팀장 심혜란, 김경미, 정문호

ARCHI Object 012 완커 파빌리온, 밀라노 엑스포 2015


편집디자인부
볼프강 버트레스 + 비디피
위미경, 신지훈

관리부 과장 손미란
우든 오치드 빈센트 칼리바우트 아키텍츠
셔코우 오피스 로꼬 디자인 아키텍츠 광고마케팅 국장 강성규(현대애드컴)

항저우의 코너 엘와이씨에스 아키텍쳐


024
영업 관리국

Competition 알보레다 티38 스튜디오


꿈꾸는 성장 놀이터
전무 김윤철
이사 김병환

(주)경인건축사사무소 + (주)에이유스튜디오종합건축사사무소
영업 성계왕, 김영일, 왕태초
서울수목원 엠브이알디브이 해외영업 모니카 박

사진 제임스정 외 다수
영상 실장 정태욱
하우스 델 타게스뮈텔

076
탤러디이2 아키텍토스 + 구티에레즈-드라푸엔테 아키텍토스
Tectonic
인쇄 (주)국제피알
발행 CA현대건축사
111 사우스 웨커 겟츠 파트너
자매지 CA현대건축, 월간 MARU
과천 커스터마이집 로디자인

더 이레츠
청수리주택
민욱이네
相友家 (상우가)
Architects
108 고산리주택 2291

Concept 신촌리주택 2318-1


느량
Monthly Magazine of CONCEPT
수산리주택 861-1
맑은숲동물병원 ⓒ2015 CA Press
원당영락교회 Published by CA Publishing. Co., Ltd.
Concept is Published Monthly, Printed in Korea.
Address
로우라인 라드 스튜디오
Parameter 154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7나길 18 에이팩센터 307호(133-834)
307 APEX Center, 18 Achasan-ro 7na-gil, Seongdong-gu, Seoul, KOREA(133-834)
클로버 필드 스튜디오 토글
대표번호 : 455-8040
취 재 부 : 455-8047
편 집 부 : 455-8067

Landscape 168 서울숲 연못 및 계류 (주)대목환경건설 광 고 부 : 454-8075


팩 스 : 460-9292
학교영업관리 : 3436-6156
Homepage www.capress.co.kr

Index 176
E-mail capressconcept@gmail.com
건축가 프로필
본지에서는 귀사의 대표적인 작품이나 계획안을 독자들에게 널
리 알리고자 합니다.
작품게재문의
취 재 부 : 02-455-8043
E-mail capressconcept@gmail.com
Webhard ID: concept05 / PW: 1234

본지는 한국정기간행물 윤리위원회의 도서잡지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


니다. 현대건축에 게재된 독창적인 기사나 사진의 무단복사 및 전재를 금합니다.
Volume. 195 Jul. 2015

News 006 News

Havre Linda Covit


ARCHI Object 012 UK Pavilion, Expo Milano 2015
Wolfgang Buttress + BDP
Publisher & Editor Jeong Jiseong

WOODEN ORCHIDS Vincent Callebaut Architect Editorial


OFFICE DEVELOPMENT IN SHEKOU Chief of Editor _ Jeong Deokwoo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Shim Hyelan · Kim Kyoungmi · Jeong Moonho

The Corner of Hangzhou LYCS Architecture

024
Editorial Design
Competition Arboleda T38 Studio
Wi Mikyung · Shin Jihoon
Play, Learn, Grow
Kyungin Architects & Design + Management Dept. Shin Iksoo · Son Miran
AU studio Architecture & Urban Design Group Advertising Kang Seongkyu
The Seoul Arboretum MVRDV Marketing Management Dept. Kim Yooncheol · Kim Beoung hwan
Marketing Sung Gyewang · Kim Youngil
Oversea Marketing Monica Park
Haus der Tagesmütter Photo James Jeong and more
Visual Art Director Jung Taewook

076
TallerDE2 Arquitectos + Gutierrez-delaFuente Arquitectos
Tectonic 111 South Wacker Goettsch Partners Homepage www.capress.co.kr
E-mail capressconcept@gmail.com
Customi-zip L'eau design
Address
307 APEX Center, 18 Achasan-ro 7na-gil, Seongdong-gu, Seoul,
The erets KOREA(133-834)
Spread Housing TEL : 455-8040 FAX : 460-9292
Oedoil-dong House
Gimnyeong-ri 1588-1
Architects
108
Gosan-ri 2291

Concept Sinchon-ri 2318-1


Pyeongdae-ri 1627
Susan-ri 861-1
Veterinary Clinic
Wondang Youngnak Church

The Lowline raad studio


Parameter 154 CLOVER FIELD STUDIO TOGGLE

Seoul Forest Pond and Stream


Landscape 168 Daemok Environmental Construction Co. Ltd.

Index 176 Architect Index


2015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2015. 8. 24 ~ 2015. 8. 28
목재문화진흥회의 주최로 산림청과 캐나다우드, 한국목조건축협회, 장흥군의 후원으로 목재
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촉진하고, 목조건축의 우수성과 실용성을 일반국민에게 널리 알리고
보급하고자 2003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이 개최된다.

공모는 계획부문과 준공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계획부문은 자유 주제로 목구조, 목조친


환경 디자인 등의 공법과 목재의 재료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한 미발표 창작물과 올해는 전국
의 임산(목재) 관련 학과 재학생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래 건축재로써의 목재 기반 재
료에 대한 제안을 공모하며, 1인 또는 2인 이내의 팀으로 출품할 수 있다. 준공부문은 2015
년 8월 1일 이전에 준공된 국내 목구조 건축물 또는 혼성 구조물에 한하여, 1인당 최대 3점
이내 응모가 가능하다.

계획부문 대상(1점,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은 상금 200만원과 함께 목조건축 캐나다 2주 연


수 참가 체제비용 전액이 지원되며, 본상(3점, 산림청장상)에는 100만원이 지원된다. 이 외 특
선에는 상금 20만원(다수)이 함께 수여되며, 모든 수상자에게는 상장이 함께 수여된다. 준공
부문은 대상(목재문화진흥회상) 1점, 본상 2점, 특선 다수가 수여된다. 이와 함께 한국목조건
축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개인 또는 단체를 선정하여 특별 공로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본 공모 신청 기간은 8월 24일부터 8월 28일까지이며 출품신청서와 작품계획안을 작성·제


출하고 접수방법은 우편접수, 방문접수로 신청 접수가 가능하다. 수상작은 10월 중에 선정하
고, 작품 전시회와 시상식은 12월 중에 개최될 예정이며 작품집이 발간된다.

www.kawc.or.kr

노들꿈섬 1차 운영구상 공모

2015. 6. 10 ~ 2015. 7. 31
서울시는 현재 텃밭으로 임시 활용 중인 노들섬에 전체적인 공간 기획, 운영 방안을 수
립하고 그에 최적화된 시설을 단계적으로 유치하기 위해‘노들꿈섬 공모’
를 시작한다.

‘노들꿈섬’
은 시민이 함께 가꾸고 즐길 수 있는 공간, 오랜 시간 단계적으로 조성되는 참
여의 공간을 지향한다. 노들섬은 거대한 구조물의 일시적 완공이라는 화려함 대신, 시민의
경험과 기억을 축적해가며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를 얻고자 한다.

노들꿈섬 공모는 1차 운영 구상 공모(2015. 6월), 2차 운영계획, 시설 구상 공모(2015. 9


월), 3차 공간, 시설 조성 공모(2016. 1월)로 진행된다. 이러한 3단계 공모를 통해 가장 좋
은 기획안과 운영방식을 선택하고, 그 결과에 맞추어 시설과 공간을 조성하여 기획 제안
자에게 운영을 맡길 것이다.

이번 1차 운영 구상 공모는‘함께 만들어가는 노들꿈섬’


을 주제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
들섬 운영 콘텐츠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창의적인 기획안과 이를 실현할 단계별
개발방향을 제안받는다.

참가등록은 6월 10일 수요일부터 7월 31일 금요일까지이다. 노들섬 운영 관련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포함한 창의적인 기획안을 선발하는 이번 공모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
여를 바란다.

www.nodeul.org

6
COMPETITION

한국농촌건축대전

2015. 6. 1 ~ 2015. 7. 31
제10회 한국농촌건축대전을 국제공모전으로 격상하여 개최한다. 대한민국의 농촌을 매개로 전 세
계가 직면하고 있는 농촌문제의 해법을 함께 고민해보자는 취지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
촌 건축가들을 대상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더 나아가 역량 있는 건축가의 작품을 우
리의 농촌에 구현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침체한 농촌 지역이 활력을 되찾는 계기
가 되었으면 한다.

공모전은 계획건축부문과 준공건축부문으로 나누어서 진행한다. 계획건축부문의 대상지로는 충청


북도 괴산군에 있는 (구)농협창고와 (구)지역아동센터 이다. 사이트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
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등록은 2015년 7월 31일까지이며, 작품제출은 8월 21일까지이다. 등록
비는 USD $100 (한화 10만원)이며, 참가등록 및 결제는 공모전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다. 질의답변
은 6월 30일까지이며, 7월 15일에 일괄 답변한다. 수상자에는 1등 USD $30,000, 2등 USD $5,000,
3등 USD $2,000의 상금을 수여한다.

준공건축부문은 국내 농어촌지역에 있는 2010년 1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 사이에 준공 완


료된 건축물을 공모대상으로 한다. 참가등록은 2015년 7월 31일까지 방문 또는 이메일로 등록 가
능하며, 자세한 공모 요강 및 작품 접수서는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작품은 7월 31일까
지 방문 또는 우편으로 신청받는다. 8월 중에 1차 서류심사 및 2차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심사결
과발표는 9월 1일 이전에 사이트를 통해 공지한다. 시상은 대상-1작품(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본
상-4작품(한국농어촌공사 사장상, 한국농촌건축학회 회장상)이다.

www.krac.kr

제10회 공중화장실 설계공모전

응모 등록기간 2015. 6. 1 ~ 2015. 8. 31


작품 제출기간 2015. 6. 1 ~ 2015. 9. 23
행정자치부와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는 2015년도 제10회 공중화장실 설계공모전을 개
최한다.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개최와 범국민적 참
여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평창동계올림픽을 소재로 한 공중화장실 설계안을 공모한다.

응모작품 제출 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이며, 작품을 제출하기에 앞서 응


모자는 8월 31일까지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 홈페이지에 응모자 등록신청을 해야 한다.
일반 부문과 대학(원)생 부문으로 구분하여 공모하며, 응모자격은 일반부문의 경우 건축사
또는 건축사 사무소 종사자, 건축 관련 프리랜서이며, 대학(원)생 부문은 건축 설계 및 관련
디자인을 전공하는 전국의 모든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설계조건은 일반 및 특수조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데, 일반조건으로는‘공중화장실 등


에 관한 법률’
에 적합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에너지 절약에 부합되고 독창적이며 여성, 장
애인, 노약자를 배려한 공중화장실 설계안이며, 특수조건으로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소재
로 한 디자인이 설계안에 포함되어야 하고 다중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 편리한 공중화
장실 설계안이다.

공중화장실에 대한 이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국민의 위생 편의 및 복지증진에 부합하


며, 편리하면서도 쾌적한 다목적 다기능의 아름다운 화장실을 개발, 보급 확산시키기 위하
여 개최하는 공중화장실 설계공모전에 많은 관심과 응모 바란다.

www.bkm.or.kr

7
<건축적 시선-Architectural Perspective> 임 준 영 展
소울아트스페이스는 2015년 7월 3일부터 8월 6일까 색으로 이루어진 수직의 단면을 보여주는데, 단순한 형
지 임준영의 <건축적 시선-Architectural Perspective> 태 속에서도 빛의 강약을 통한 리듬과 입체적인 스토
展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소울아트스페이스 1, 리를 담아내고 있다.
2관에서 그의 새로운 시리즈‘Architectural Form’
과기
존‘Like waters’
시리즈 등 총 20여 점의 작품을 함께 ‘Architectural Form’
시리즈와 함께 선보이는‘Like Wa-
만나볼 수 있다. ter’
시리즈는 거대 도시 속에서 끊임없이 발산되는 사
람들의 에너지를 흐르는 물로 표현하여 유기적이고 역
임준영 작가는 도시 속 현대적 건축물이 가지는 다양한 동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뉴욕이나 서울과 같은
디테일들을 주목한다. 건축물의 기능이나 외형보다 그 대도시 속 사람들의 생명력과 조화로움, 활기찬 에너지
안의 추상적 형태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차가운 듯 를 담아내고자 하는 작가의 지속적 관심이 엿보인다.
그러나 빛나는 자연광과 바쁜 도시의 공기를 품고 있 임준영_AF005_Archival pigment print_2014
는 공간의 에너지, 건축 재질의 특성을 담은 한 공간을 임준영 작가는 Academy of Art University와 School
사진 속에 담아내었다. 시간성, 역사성 그리고 문화가 of Visual Arts에서 사진을 공부하고, 국내를 비롯하여
함께 자리하는 건축물을 바라보는 그만의 시선 속에서 해외 곳곳을 오가며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가졌
누군가는 차분하게 휴식의 순간을, 누군가는 건축물의 다. 임석제, 임인식, 임정의를 거쳐 4대를 이어온 사진
표면이 품고 있는 빛과 함께 역동적인 에너지를 느끼게 가 가족으로도 알려진 임준영은 우리나라 1세대 건축
될 것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사진가였던 아버지 임정의 작가의 영향을 받아 건축
및 인테리어 작업을 병행하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지
작가는 건축물을 다양한 선들로 가득한 하나의 패턴이 속하고 있다.
라 본다. 가령 굵거나 얇은, 투명하거나 뚜렷한 혹은 강
하거나 희미하게 보이는 선들의 조합인 것이다. 그 선 전시기간 2015. 07. 03(금) ~ 2015. 08. 06(목)
들은 중첩되거나 서로 맞물려 새로운 방향으로 지속 장소 소울아트스페이스
되며 사진 프레임 속에서 또 다른 공간을 만들어낸다. 문의 www.soulartspace.com
AF006 시리즈는 그레이, 블루, 그린, 레드의 네 가지 임준영_AF006-2_Archival pigment print_2015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8_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5


국내 젊은 건축가를 발굴하고 프로젝트의 기회를 주는 SoA가 제안한‘지붕 감각’은 한국적 소재인 갈대의 재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5’ 료적 특성에 창안한 작품으로 갈대발의 유연성을 잘 활
용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커다란 갈대발이 공중
국립현대미술관과 현대카드, 뉴욕현대미술관이 공동 에 걸려있는 듯한 느낌의‘지붕 감각’은 미술관 마당에
주최하는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8_젊은 건축가 프 여름철 시원한 그늘과 함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로그램 2015>가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립현대미 있는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SoA의‘지붕 감각’은 오
술관 서울관에서 개최된다. 는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마당에 설치, 전시될 예정이다.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oung Architects Program,
YAP)은 뉴욕현대미술관이 젊은 건축가를 발굴하고 그 또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제8전시실에서는 최종후
들에게 프로젝트의 기회를 주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공 보군에 오른 5팀과 추천받은 20팀 및 2015년 젊은 건
모 프로그램이다. 1998년 시작되어 로마 국립21세기미 축가 프로그램 국제네트워크의 작품들을 조망하는 전
술관, 이스탄불 현대미술관, 산티아고 컨스트럭토 등이 시가 동시에 진행된다. 우승자를 비롯한 최종후보군 5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다. 팀의 계획안은 뉴욕 현대미술관, 로마 국립21세기미술
관, 이스탄불 현대미술관 등에서도 전시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해부터 현대카드와 함께 아시아
최초로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뉴욕현 전시기간 2015. 07. 01(수) ~ 2015. 09. 30(수)
대미술관과 오랜 기간 파트너십을 구축해 온 현대카드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미술관 마당, 제 8전시실
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기획의도, 국내 건축가들에 문의 www.mmca.go.kr
게 갖는 의미에 주목하여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_젊
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국내 건축학


계, 언론계 등을 통해 27팀의 건축가를 추천받았다. 이
중 국내·외 10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
쳐 최종후보군 5팀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최종후보 5팀
의 프레젠테이션을 거쳐 최종 건축가로 SoA(이치훈, 강
예린)가 선정되었다.
SoA 지붕감각

8
EXHIBITION / NEWS

헨릭 빕스코브 - 패션과 예술, 경계를 허무는 아티스트


세계 패션계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멀티 크리에이터, 헨릭 빕스코브의 아 유머와 위트가 넘치는 감각의 놀이터에서 관람객들이 더욱 열린 관점으로 새롭게‘패
시아 최초 전시 션’
을 바라보고, 직접 그의 예술 세계를 경험해보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모든 창
작의 과정을‘놀이’
처럼 즐기는 헨릭 빕스코브의 면모는 다중적인 창의성이 요구되는
대림미술관은 오는 2015년 7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세계 패션계의 새로운 흐름 요즘 시대에 변화와 새로운 시도를 꿈꾸는 이들에게 도전의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을 주도하는 멀티 크리에이터 헨릭 빕스코브(Henrik Vibskov)의 <헨릭 빕스코브 - 패
션과 예술, 경계를 허무는 아티스트>(Henrik Vibskov - Fabricate) 전시를 아시아 최 전시기간 2015. 07. 09(목) ~ 2015. 12. 31(목)
초로 개최한다. 장소 대림미술관
문의 www.daelimmuseum.org
헨릭 빕스코브는 파리 패션 위크에서 매년 컬렉션을 발표하는 유일한 북유럽 패션 디
자이너로, 2003년 첫 컬렉션을 선보인 이래 형식을 파괴하는 충격적인 패션쇼를 선보
이며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전시는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과감한 시도
를 통해 패션이 의상뿐만 아니라 순수예술과 음악 등 다양한 형식으로 확장해 온 헨릭
빕스코브의 예술 세계를 소개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이다.

강렬한 색감과 독특한 디자인의 컬렉션, 그리고 파격적인 퍼포먼스로 늘 상상 이상의


즐거움을 전해주는 헨릭 빕스코브의 패션쇼는 작가의 모든 영감과 예술적 관심사들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독창적인 예술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올여름에 파리에서 발표 예정인 2016년 S/S 컬렉션과 런웨이


를 동시에 소개하고, 더불어 회전하는 패턴을 응용한 설치 작품과 다양한 소재로 그래
픽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8점의 평면 작품 등 한국 전시를 위해 특별히 제작한 신작들
도 최초로 공개될 예정이다.

<대구 3부작>

김호득_흔들림 문득 공간을 그리다1_2015 이기칠_작업실_2015

<대구 3부작>은 대구화단에서 대표적으로 활동하고 있 박소영 초청큐레이터는“이미 중앙화단에 널리 알려진


는 세 명의 작가를 선정하여 대구미술을 전국적으로 알 세 작가의 독립적인 전시를 세 개의 에피소드로 묶어
리고, 그 위상을 더욱 높이기 위해 기획한 전시다. 전개하는 방식은 미술계의 관심을 끌 것으로 확신한다”
며“이번 전시는‘대구미술의 오늘’
이 바로‘한국미술의
5월 19일부터 9월 13일까지 선보이는 <대구 3부작>은 오늘’
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다”
김희선_프로젝트 제로 1_2014
2012 강정 현대미술제 책임큐레이터 등 국내 다수 전시 고 말했다.
회를 기획하며 활발한 평론 및 기획활동을 펼치고 있는
박소영 초청큐레이터가 기획을 맡았다. 전시기간 2015. 5. 19(화) ~ 2015. 9. 13(일)
장소 대구미술관 2,3전시장, 선큰가든
이번 전시에서는 김호득(한국화), 이기칠(조각), 김희선( 문의 www.daeguartmuseum.org
미디어 설치)작가가 <흔들림-문득, 공간을 그리다>, <연
습>, <Project zero>란 타이틀로 작품 10점을 발표한다.

김호득 작가는‘바람 풍경(2015)’


‘흔들림-문득,
, 공간을
그리다(2015)’
등 4점, 이기칠 작가는‘공간 연습(2015)’

,
골드베르크 변주곡 연습(2015)’
등 3점을, 김희선 작가
는‘Home(2009)’
‘Project
, zero 2-더 빨리, 좋은 하루
(2015)’
등 3점을 선보인다. 김희선_프로젝트 제로 1_2014

9
News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가이드북 공동발간

관련 산업 종사자 실무 매뉴얼「실무자를 위한 범죄예방 환경설계 가이드북」, 온라인 배포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국토교통부, 법무부와 공동으로‘실무자를 위한 범죄예방 환경 설


계 가이드북’을 발간하였다.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 Crime Prevention Through En-
vironmental Design)란 방어적 디자인과 관리를 통해 범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법
질서 실천운동 시범사업(법무부), 안전마을 시범사업(국민안전처) 등 중앙부처와 지방자치
단체의 관련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국통교통부는 2015년 4월 1일‘범죄예방 건축기준’


을 고시하였고, 이에 500세대 이상
의 공동주택, 편의점과 고시원 등의 다중 이용시설 등은 이를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하며,
그 외 단독 주택 등도 건축기준을 반영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범죄예방 건축기준’
의 올바른 적용과 범죄예방 환경설계 관련 사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
해서 건축·도시 분야 실무자들과 공무원들의 이해와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가이드
북은 셉테드의 개요, 국내외 셉테드 제도와 사례, 셉테드 실천전략 및 적용방법, 계획요소
기준 지침 및 해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계획요소 별로 범죄예방 환경설계 적용 기법을
사진, 다이어그램 등으로 제시하여 손쉽게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제해성 소장은“건축도시공간에서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범부처간 협


력이 매우 중요하며, 본 가이드북은 국토교통부, 법무부, 연구소가 협력하여 개발한 것으로
관련분야 실무자들의 범죄예방 환경설계에 대한 이해와 적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한 향후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범죄안전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우리나라가
범죄로부터 보다 안전해 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라고 말했다.

가이드북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홈페이지(www.auri.re.kr)를 통해 e-book을 열람 및 다운


로드 할 수 있다.

문의 www.auri.re.kr

제12회 삼우 디자인 워크샵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매년 주최하는 삼우디자인워크샵(SDW)이 올해는 8월 17일부터 5일간의 일


정으로 개최된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하는 본 행사는 보다 창의적인 주제와 흥미로운 방식으로 진
행될 예정이며, 국내외 건축관련 학생들이 여러 인스트럭터분들과 함께 생각을 공유하고 새로운 건축
적 도전을 시도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모집일정 2015. 7. 1 ~ 2015. 7. 14


시행일정 2015. 8. 17 ~ 2015. 8. 21
참가대상 국내외 건축관련학과 대학(4년제 이상) 및 대학원 재학생 이상

문의 www.samwoo.com/sdw

10
REPORT / BOOKS
CA 현대 건축사

New BOOK CONCEPT


I N T E R N AT I O N A L M AGA Z I N E O F C O M P E T I T I O N
공간배치의 방정식
저자 이즈카 유타카
역자 황선종
총판: 명문사:(02)319-8663
출판 더숲(The Soup)
본사: 영업관리부:(02)455-8043
정가 14,900원

공간 배치는 건축주의 요구, 법률, 구조, 설비, 단열, 재료, 공법, 디자인, 비 서울: 아키랩:(02)579-7747
용, 공사시간 등 모든 요소를 감안한 뒤 결정하는 지극히 전문적이고 개인 위드(with):(02)573-4122
적인 일이다.『공간 배치의 방정식』은 설계순서에 맞춘 건축의 모범 답안 성은 I.B.S:(02)3461-9883
을 제시해 현실감을 더한 책으로, 오랜 기간 실무에서 쌓은 노하우를 건 부산: 인터라인(김익수):(010)8283-5780
축학도들에게 가르치고 있는 저자가 어떤 주택건축에서도 적용할 수 있 코랜드:(051)326-1208
는‘건축의 방정식’을 알기 쉽게 설명한 건축책이다. 남일서적:(051)464-1311
이 책은 주택설계를 할 때 하나하나 풀어가야 할 문제에 대해 가장 기본 대구: 대림문화원:(053)654-9938
적이고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어떤 대지나 조건에 마주치더라도 풀어나길 수 있도록 이끌어준 대전: 목원사:(042)472-4394
다. 또한, 화려한 기교나 아이디어를 뽐내는 대신,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요소를 간략하고 알기 쉽 한솔 F&D:(02)3436-6156
게 설명하고 있다. 광주: 강토서적:(062)375-2779

서점
서울: 종로-교보문고, 영풍문고
몸과 마음을 살리는 행복공간, 라운징 중구-을지서적, 세종서적
서대문-홍익문고
‘쉼’
을 잃어버린 나에게 필요한 공간의 역발상 강남-교보문고(강남점), 서울문고, 영풍문고
어디서 쉴 것인가를 찾지 말고, 어떻게 쉴 것인가를 생각하라! 강동-교민문고, 대성문고
동작-골드북문고
항상 휴식이 절실한, 피로에 찌든 나의 몸과 마음. 쉬고 싶지만 쉬는 일산-정글북문고, 일산문고
시간을 내는 것도, 쉴만한 곳을 찾는 것도 만만치 않다. 이 책 《몸 용산-(주)대교문고
과 마음을 살리는 행복공간, 라운징》은 피로와 휴식, 프라이버시에 부산: 영광도서, 동보서적, 문우당
대한 건축학자의 새로운 해석과 시선을 담은 인문서다. 저자는 건 수원: 녹산문고
축학자의 눈으로 피로사회의 근원을 고찰하고, 휴식을 방해하는 일 안산: 대동서적 / 안양: 대동서적 / 과천: 대성문고
상의 공간과 시간에 대해 살펴본 뒤, 우리 곁에 있는 13개의 라운 춘천: 청구서림 / 청주: 일선문고 / 공주: 국민도서
징 공간을 제안한다. 둔산: 세창문고 / 창원: 교보문고 / 광주: 삼복서점
라운징(Lounging)은 Lounge에 ing를 붙인 말로, 사람을 만나고 쉬 울산: 처용서림 / 제주: 탐라도서
는 라운지와 같은 공적 공간에서 타인과 함께 있되 불편함을 느끼
지 않을 정도의 심리적 거리를 확보하며 몸과 마음을 가볍게 쉬는 저자 이상현
것을 의미한다. 출판 프런티어
정가 13,000원

월간 CONCEPT은 매월 말일 발간, 정가 \20,000원


건축, 경계를 넘나들다(Crossover) 저자 세실 발몽
역자 남수현, 김정수
출판 시공문화사
♠ 정기구독 신청방법
정가 38,000원 1. 전화신청 Tel.02-455-8040 : 독자관리부
2. Fax. 02-460-9292 : 독자성명, 전화번호,
세실 발몽은 본능적인 이해로 힘을 다룸으로써 여러 세대의 디자 구독월호 기재
이너들이 전통적 조직 체계에서 벗어나 비선형 체계를 포용할 길 3. 인터넷 홈페이지 및 이메일 신청
www.capress.co.kr
을 닦아놓았다.『건축, 경계를 넘나들다(Crossover)』는 이러한 급
E-mail. capress@hanmail.net
진적 개념들을 확립하고 이로써 새로운 형태와 현대 미학을 출현
capressconcept@gmail.com
시키는 활력을 불어넣는다.
책은 스무 개 가까이 되는 세계적인 프로젝트와 본서의 개념을 4. 구독료 납입처
구현하는 다섯 개의 이론적인 장들로 짜여있으며, 이런 구성을 발 ·국민은행 : 599301-01-073632
몽은 은유와 실체 사이의 패턴을 통한 움직임으로 묘사한다. 이 ·우리은행 : 096-091737-12-401
상적인 것과 실용적인 것 사이를 탐색하는 발몽은 시적인 것과 ·예금주 : 정지성
필수적인 것 간의 균형을 만들어낸다. 본서는 발몽이 사유하고 숙
고한 내용을 제시하며, 애초에 스치던 아이디어에서 완성된 생산 월간 MARU·월간 CONCEPT·CA현대건축
물에 이르는 그의 개념적 여정을 정리한다.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7나길 18 에이팩센터 307호(133-834)
Tel. 02-455-8047 Fax. 02-460-9292
구독문의 : Tel. 02-455-8040 Fax. 02-455-8045
광고문의 : Tel. 02-454-8075
학교영업관리 : Tel. 02-3436-6156
12
Architects Linda Covit Location McGill University Health
Centre - Glen site (MUHC), Montreal, Canada Use Artwork
in Main Plaza Site Area 30m2 Structure Aluminum tubes
Max. Height 13m x 15.75m diameter Fabrication Michel
Bernier Structural engineering Nicolet, Chartrand, Knoll
Ltée T e c h n i c a l d r a w i n g s a n d r e n d e r i n g s Plan HB
Installation Formaviva Lighting Jean Laurin, Blue Hour
Design Materials Painted aluminum, LEDs, Programming
equipment Client MUHC Photo Marc Cramer

13
Elevation

14
아브르
MUHC(맥길 대학 건강 센터)는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학문적 건강 센터의 하나이다. The MUHC (McGill University Health Centre) is one of the world’s foremost academic
2015년 4월에 새롭게 문을 연 병원은 앞으로 세 곳에 첨단시설을 만들 재개발 프 health centres. The new hospital, opening in April 2015 at the 42 acre Glen site, is the
로젝트이다. redevelopment project that will create leading-edge facilities in three sites.

아브르는 2014년 11월에 완공됐는데 신 MUHC 병원 단지 전반에 있는 11개의 공 Havre was completed in November 2014, the largest of eleven public art commissions
공 조형물 중에 가장 크고, 오늘날까지 실현된 퀘백 정부의 건축물 아트 통합 1% 방 spread throughout the new MUHC hospital complex and the largest commission of the
침 중 가장 큰 작품이다. 메인 광장의 30m 직경 안에 위치한 이 오브제는 도로및 Quebec government’s Integration of art to architecture 1% policy realized to date. Sited on
근처 열차 통근자들에게 잘 보여, 사람들을 공공 정원이 많이 있는 경관 자리로 이끌 the entranceway grounds in the 30m diameter Main Plaza, the objectives included being
고 병원의 상징이 됐다. highly visible to road traffic and to commuters in the nearby trains, drawing people into the
대지의 방대함이 커지는동안 아브르는 더욱 친밀한 경험을 제공한다.“조각 같은 둘 landscaped site with its many public gardens, and becoming an iconic symbol for the
러쌈”
으로 전달하며, 아브르는 환자, 방문객, 직원 그리고 통행인에게 개인적 경험을 hospital. While scaled to the immensity of the site Havre also retains a more intimate
제공하며, 3개의“문”
을 통해 공예품으로 맞아들인다. experience. Conveyed as a "sculptural embrace" it welcomes patients, visitors, staff and
passers-by into the artwork through three 'doors', offering a personal experience.
낮 동안에는 자연 채광이 오브제를 통과해 그림자 모양을 투영하여 날과 계절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저녁 시간에는 30분 마다 3번 연속으로 오브제의 미묘한 블루/ During the day natural light projects patterns of shadows through the artwork, transforming
블루-그린 색조로 오래 잠기는데, 사용된 색들은 생활에 필수 요소인 하늘과 물을 with the hours, days and seasons. During evening hours three sequences each thirty
의미한다. minutes long bathe the artwork in subtle shades of blue / blue-green, colours that evoke
both air (sky) and water, elements essential to life. Written by Linda Covit

15
16
17
Architects Wolfgang Buttress + BDP Location Milan, Italy Area
1,910m 2 A r t i s t a n d C r e a t i v e L e a d Wolfgang Buttress
Manufacture and Production Stage One Structural Engineers
Simmonds Studio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BDP Physicist and Bee Expert Dr
Martin Bencsik Photo Hufton + Crow

Section

18
19
Plan

영국 파빌리온, 밀라노 엑스포 2015


예술가 볼프강 버트리스는 밀라노 엑스포 2015에서‘삶을 위한 행성 에너지 키우 Artist Wolfgang Buttress leads a multi-disciplinary UK team to create the British Pavilion at
기’
를 주제로 한 영국관을 설계하기 위해 모인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이끌었다. 영 the 2015 World Expo in Milan, the theme of which is 'Feeding the Planet Energy for Life'.
국 파빌리온은 꿀벌들의 역경과 새로운 연구와 기술이 식량 안보 및 생물 다양성 같 The UK pavilion highlights the plight of the honeybee and ways in which new research and
은 과제들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을 조명한다. 영국 파빌리온은 인간 사회 technology are helping to address challenges, such as food security and biodiversity. The
들과 벌들의 생태계가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람객들은 과수원을 이리저리 돌 UK pavilion draws parallels between human societies and the ecology of bees. Visitors
아다니면서 만발한 야생화들을 보고‘벌집’
에 들어간다; 진짜 벌집에서 나오는 실시 meander through an orchard, discover a meadow of wild flowers and enter 'The Hive';
간 신호들에 따라서 고동치고, 윙윙 날아다니고, 그리고 벌겋게 빛난다. which pulses, buzzes and glows according to live-streamed signals from a real bee-hive.

벌집은 14cm 직육면체 알루미늄 격자 구조로 기둥 위에 올라가 있으며 안이 비어있 The hive is a 14m cuboid aluminum lattice structure, raised-up on columns, with a spherical
는 구체로 관람객들이 그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미세한 알루미늄 격자가 추상적인 void hollowed from its interior into which visitors can enter. The fine aluminum lattice is
벌집 모양을 하고 있어서 시각적으로 안을 들여다보고 섬세하면서도 관심을 끌고 눈 based on an abstracted-analogue of honeycomb, the effect is visually arresting and striking,
에 확 띄는 효과를 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천상에 있는 느낌을 준다. yet permeable and delicate lending it an ethereal presence.

가속도계(진동 센서)를 사용해 1,000 RGBW LED 광 배열에 실시간 신호를 주는 영 Accelerometers (vibration sensors) are us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a real bee colony in
국의 진짜 벌 떼의 활동을 측정한다. 알고리즘을 이용해 벌 떼의 진동을 조명 효과로 the UK, feeding real-time signals to a 1,000 RGBW LED light array. Algorithms are used to
바꾼다. 받는 신호에 따라서 벌집이 고동치기도 하고 빛나도록 벌집마다 따로 조명을 convert the bee colony vibrations into lighting effects. Each light is individually-addressable
설치해서 벌의 활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아크릴 막대들이 LED에서 손으로 잡고 allowing for the Hive to pulse and glow in response to the signals it receives, so acting as a
불어서 만든 유리 전구들로 빛을 유도하고 이 유리 전구들은 이 빛을 굴절하고 사방 visual representation of bee activity. Acrylic rods conduct light from the LEDs into hand
으로 발산시킨다. 이러한 빛과 음의 조화는 마틴 벤식 박사의 연구 방법과 볼프강 버 blown glass bulbs which refract and diffuse this light. This unison of light and sound brings
트레스의 비전을 통해 예술과 과학을 하나로 만든다. 파빌리온은 무한한 다중 감각 together art and science,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of Dr Martin Bencsik and the vision
체험을 통해 벌의 삶을 탐구한다. of Wolfgang Buttress. The pavilion explores the life of the bee colony through an immersive
multi-sensory experience. Written by Wolfgang Buttress

20
21
22
23
International
WOODEN ORCHIDS OFFICE DEVELOPMENT The Corner of Hangzhou Arboleda
IN SHEKOU

Vincent Callebaut Architect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LYCS Architecture T38 Studio

On the southern shore of the Yangtze River, The design targets to create an urban The Headquarter of Zhejiang Printing Group La Cacho, one of Tijuana's oldest and most
the project is designed as an innovative and community with a distinct architectural setting, project, which called "The Corner of Hangzhou", established residential neighborhoods, has all
fresh solution to the main socio-economic which can enrich the cityscape as well as offer is a smart answer by LYCS Architecture to the of the necessary qualities to evolve into a
problem in China: the migration of rural a most dynamic working environment. Three challenges from complex urban situation. The denser, walkable community with a vibrant
population into super cities. towers of different heights are positioned in site locates in the central urban area of street life. Our project is intended to become a
each lot, with the volumetric forms effectively Hangzhou. benchmark of further development of this area.
defining the city edge and establishing a
lasting impression for the whole development.

우든 오치드 셔코우 오피스 항저우의 코너 알보레다


양쯔강의 남쪽 해안에 있는 이 프로젝트는 설계의 목적은 건축학적 설정이 분명한 도 “항저우의 코너”
라는 이름의 저장 프린팅 티후아나의 가장 오래된 주거지역들 가운
슈퍼 도시로 농촌 인구의 이동이라는 중국 시 커뮤니티를 만들어 도시경관을 멋지게 그룹의 본사 프로젝트는 복잡한 도시의 상 데 하나인 라 카초에는 활기찬 도시 생활
의 주요 사회 경제적 문제에 대한 혁신적 할 뿐만 아니라 역동적인 근무 환경을 제 황과 문제에 대한 LYCS 아키텍쳐의 답변 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로 발전하는 데 필
이고 신선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이 거 공하는 데 있다. 높이가 각각 다른 3개의 이다. 프로젝트의 대지는 중국 저장시 항 요한 모든 것들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 프
대한 농촌인구의 이동은 인구 과잉과 환경 타워를 부지마다 세움으로써 그 자체가 도 저우의 중심에 위치한다. 로젝트는 이 지역 발전의 벤치마크가 될
오염, 열악한 생활 등의 문제를 발생하며, 시의 외곽을 효율적으로 알려주고 전체 개 것이다.
도시에 스트레스를 준다. 발에 대한 느낌을 지속시켜준다.
International&Domestic
Competition

Domestic
꿈꾸는 성장 놀이터 서울수목원

Kyungin Architects & Design MVRDV


+ AU studio Architecture & Urban
Design Group

부경대 직장인 어린이집은 아이들이 안전 엠브이알디브이의 디자인은 지역 식물의


하게 뛰어놀며 다양한 공간에서 재미있게 도서관,‘지역’
에 심어지고 938m의 고가
체험하고 배우는‘성장놀이터’
를 주제로 설 도로를 따라 심어진 식물의 수목원을 제안
계되었다. 한다.

Play, Learn, Grow The Seoul Arboretu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orkplace Child MVRDV’s design creates a library of local
Care Centers were designed with the theme of plants, a Korean arboretum of species planted
'growing playground' where children can in 'neighbourhoods' and arranged along the
safely run around in a variety of space to 938m length of the Station Overpass according
experience and to learn. to their names in the Korean alphabet.
International Competition WINNER

WOODEN ORCHIDS Jiangxi, China

Vincent Callebaut Architect


우든 오치드
‘우든 오치드’프로젝트는‘꽃 바다 / 화암 마을’
이라는 새로운 도시화 모델과 기존 The project 'Wooden Orchids' is directly integrated in a new urbanization model called 'The
중간 규모의 인구 개발을 목표로 한 지속 가능하고 깨끗한 마스터 플랜을 통합한다. Flower Ocean / Huayan Township', a sustainable and clean master plan based on a
strategy aiming at developing existing medium-sized population.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루산과 포양 호수 사이에, 중국의 전통적인 정원문화를 보 Between Mount Lu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nd Poyang Lake, this sustainable
여주는 꽃을 주제로 한 공원과 화암 마을의 중심부인 몰레와 Molewa를 포함하는 지 master plan contains a flower-themed park, new sanctuary for China's classical garden
속 가능한 마스터 플랜을 계획하였다. 이 계획의 목적은 꽃의 즐거움과 축제를 통해 heritage, and Molewa, the central part of the Huayan Township. The objective is to
새로운 레저 및 문화 활동을 경험하는 것이다. experience new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rough the enjoyment and celebration of
flowers.
이 프로젝트는 중국에서 건축적으로 전통적인 농촌 주택이 가장 잘 보존된 우 위안 The project is inspired by the organic and spontaneous structure of the nearby Wu Yuan
마을의 유기적이고 자연스러운 구조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건축적 구조는 중국에서 Village (which is one of China's most well-preserved and architecturally distinguished sites
가장 큰 민물 호수와 조류서식지인 포양 호수의 다양한 생태환경을 강화한다. of traditional rural housing). Its architecture strengthens the impressive bio-diversified
ecosphere of the Poyang Lake, the China's largest freshwater lake and bird habitats.
이 프로젝트는 이 멋진 지역이 가진 역사와 지리와 열대기후에 관한 장소의 감각을 The project wants to create a sense of place that relates to the history, geography and
만들고자 한다. 또한, 상업적, 문화적 사용을 위한 혁신적인 방안으로 기후변화의 영 tropical climate of this magnificent area, and in the same time, it aims at alleviating the
향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ffects of climatic change by innovative solutions for commercial and cultural uses.
The cultural expression is to merge History and Nature in the architectural project in order
문화적 표현은 관광지에 온 방문객이 영원한 감명과 감정적인 공명을 만들기 위해 역 to create a lasting impression and an emotional resonance on the visitors of this tourist
사와 자연을 건축 프로젝트에 병합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환경책임 생활 destination. The goal is to promote a “liveable”, connected and development with a vibrant
의 사적이고 공적인 사용을 장려하여“살기 좋은”연결 및 개발을 촉진하는 것이다. mix of both private and public uses encouraging eco-responsible living, learning, working
and serving.
‘우든 오치드’
의 중심 사상은 몰레와를 생태계 및 쇼핑단지로, 꽃의 숲으로 바꾸는 The leitmotiv of the 'Wooden Orchids' is to transform Molewa into an ecosystem and the
것이다. 이것은 자연과 더 나은 세계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조화롭게 할 충분한 에너 shopping complex into a forest of inhabited flowers. This enables energy efficiency that is
지를 가진다. in full harmony with nature and corresponds to the human desire for a better world.
Written by Vincent Callebaut Architect

28
29
Site Plan

Architects Vincent Callebaut Architect Location Ruichang, Jiangxi Province, China Use Eco-
responsible Shopping Mall, Public Library, Sports Center, Organic Food Courts, Farmers Market
Plot Size 20,912m2 Gross Floor Area 30,000m2 Max. Height 30m Project Manager Creativersal
International, Ltd. Technical Advisor Chetwoods Architects Client Huayan Cultural Investment
Company, Ltd. Photo Vincent Callebaut Architect

30
31
32
Section
33
34
1. Movie 6. Library
Auditorium 7. Parking
2. Bar 8. Shopping Hub
3. Restaurant 9. Office
4. Terrace Administration
5. Food Court 10. Lounge

2 7 1 2 1

7 1 1 1 1 6 6
6

3 5 3 4 6 9
4

8 8 8 8 8

8 8 8 8 8 8 8 8

8 7 8 8 8 8 10 8

Ground Floor Plan Mezzanine Floor Plan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35
1

1
3
2 4

5 8

8 5

3rd Floor Plan Roof Floor Plan

1. Fitness Center
2. Health Club
3. Health-food
Restaurant
4. Lounge
5. Shopping Hub

36
37
38
39
40
41
International Competition WINNER

OFFICE DEVELOPMENT IN SHEKOU Shenzhen, China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42
Architects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Location Shenzhen, China Use Headquater Office, Retail Site Area
27,777m2 Gross Floor Area 80,000m2 Bldg. Scale B2, 17F Max. Height 74m Exterior Finish Curtain Wall Project
Team Rocco Yim, William Tam, Yip Kit Man, Pun Hiu Ting, Cecilia Cheng, Kevin Chan, Cherry Yau Client China
Merchants Shekou Industrial Zone Co., Ltd Photo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Elevation

43
44

Section
셔코우 오피스
설계의 목적은 건축학적 설정이 분명한 도시 커뮤니티를 만들어 도시경관을 멋지게 The design targets to create an urban community with a distinct architectural setting, which
할 뿐만 아니라 역동적인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높이가 각각 다른 3개의 can enrich the cityscape as well as offer a most dynamic working environment. Three
타워를 부지마다 세움으로써 그 자체가 도시의 외곽을 효율적으로 알려주고 전체 개 towers of different heights are positioned in each lot, with the volumetric forms effectively
발에 대한 느낌을 지속시켜준다. defining the city edge and establishing a lasting impression for the whole development.

다양한 규모의 공용 공간들을 거리, 안뜰, 그리고 광장 형태로 만들어 사람들이 즐거 Communal spaces of various scales in the form of streets, courtyards and plazas are
움을 만끽하도록 하였다. 각기 다른 높이에 만들어진 건축 요소, 테라스, 그리고 녹 created for maximizing public enjoyment. Taking advantage of the stepping architectural
지 요소를 잘 활용함으로써 세입자들에게 환경적으로 즐거운 사무 공간은 물론 편의 composition, terraces and green features are introduced at different levels to offer
시설을 추가로 제공한다. 제안된 개발은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살기에 적합하 environmentally pleasant working space and additional amenities to the tenants. The
고, 그리고 인정이 넘치는 사무실과 상업 지구를 형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지금 현재 proposed development will ultimately generate a sustainable, livable and humane office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셔코우 지역을 활성화할 것이다. and commercial precinct and energize this highly developing area of Shekou in the long run.
Written by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45
Pedestrian Floor Plan

46
Floor Plan

47
International Competition WINNER

The Corner of Hangzhou_Zhejiang Printing Group Headquarter Zhejiang, China

LYCS Architecture

48
Architects LYCS Architecture Location Hangzhou, Zhejiang, China Use Office, Headquarter
Total Area 120,711m2 Project Team Ruan Hao, Zhan Yuan, Wenbin Chen, Jingrui Lin,
Shiyang Wu, Shanliang Jin, Zhenyu Lai, Lina Chen Photo LYCS Architecture

Section

49
항저우의 코너
항저우 시내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사람들은 항상 이 대지를 지나갈 것이다. 첫 번째 People exit or entry downtown Hangzhou will always pass through the site. The first
과제는 제한된 대지 내에서 100m의 큰 빌딩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이다. 그리고 challenge comes as how to deal with the large building mass, with height of 100m, in a
건물이 랜드마크로서의 기능을 하면서, 어떻게 주변 주거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limited site area. At the same time, the site as in city center asks for a landmark, where the
할 것인가이다. building is required to minimize the effect to the surrounding residential communities.
To cope with these challenges, the design introduces a diagonal axis into the site an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트에 각 축을 소개하고, 북동쪽에 건물을 위치했 locates the building to the northeastern corner. The four sides of the building define the
다. 건물의 4면은 4개의 공간적 방향을 지닌 도시 센터의 코너를 의미한다. 대각선 corner of urban center with four spatial directions. The south side along with the diagonal
축을 따라 있는 남쪽 면은 가장 긴 면으로 아름다운 호수가 보인다. 북면과 동면은 axis gets the longest face towards the beautiful lake view. The northern and eastern sides
각각 교통량이 많고 수평으로 된 그늘 루버로 나뉘어 있다. 웨스트레이크 문화 광장 are two complete volumes facing heavy traffic with big scale surfaces subdivided by
쪽을 향하고 있는 면에는 발코니와 테라스가 조금씩 나와 있다. 반야외 공간 덕분에 horizontal shade louvers. The side pointing to the West Lake Cultural Square is partial
실내에서도 운하와 광장 등 도시의 공공 공간을 잘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건물은 overhangs balcony and terrace. The semi-outdoor space extends interior views and actives
대각선을 따라 압축되어 주변 주거 지역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순환 구조에도 towards the city public space of canal and square. The building volume is compressed
동일한 대각선 전략을 구사했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창의적이고 문화적인 제조 along the diagonal axis to minimize its impact on the surrounding residential area. The
광장, 중앙 광장, 그리고 남쪽 조경 광장을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지상에 정원 풍의 same diagonal strategy is used for organizing the circulation. From the northwest to the
창의적이고 문화적인 지구를 만들었다. 건물 정면에는 수평한 창을 연속적으로 붙이 southeast,the creative & cultural production plaza, the central plaza and the south
고, 이 수평창을 작은 형태를 만들어 여름의 햇빛을 차단해 그늘을 지게 한다. landscape plaza are connected diagonally, which is to make a garden-style creative and
cultural district on the ground level. The building facades are covered by horizontal
건물 안쪽에는 로비와 공용 홀, 그리고 스카이 로비가 있어서 건물 안에 자연광, 환 continuous louvers. They texturelize the form with a smaller scale and shade the summer
기, 그리고 푸르름을 한껏 더한다. 건축학적으로 볼 때, 이 3개의 공용 공간들을 연 sunlight. Part of the louvers, where close to interior public space, are lifted to ensure a
결함으로써 건물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밝게 만든다. 이렇게 함으로써 남쪽 건물에 가 better sight toward the city.
해지는 압박감을 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늘창들을 따라서 투명함과 단단함이 묘 Inside the building vertically locates the ground lobby, the sharing hall and the sky lobby,
한 대조를 이루게 한다. 8층 높이의 지층 로비는 빛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건물에 where natural light,ventilation and greenery ar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massive
서 남쪽 입구 광장 쪽 풍경을 볼 수 있다. 건물의 중앙에 자리 잡은 공용 로비는 지 building. In architectural forms, these three connected public spaces lighten volumes in the
그재그식 구조로 되어있어 자연 환기가 더 활발하게 일어나며, 나선형으로 된 갤러리 upper and lower parts. On one hand, they alleviate the sense of pressure to the south
를 통해 상층부와 하층부로 갈 수 있다. 건물 상층부에 있는 스카이 로비는 개방되어 building. On the other hand, along with the shading louvers,they form the contrast between
있어서 70미터 높이에서 싱그러운 공기와 푸른 식물들을 만끽할 수 있는 공중 정원 transparency and solid.The lobby on the ground floor, which is eight-floor high, brings light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and landscape into building from south entrance plaza. In the sharing hall, located in the
middle of this building, the natural ventilation is enhanced by a zigzag section, and a spiral
gallery connects the upper and the lower floors. The sky lobby,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level of this building, is open up to the nature for creating a sky garden with fresh air
and green plants at the height of 70 meters. This semi-enclosed garden offers the
experience of being close to the ground for people who work at a high rise building.
Written by LYCS Architecture

50
■Generation Diagram

51
52
53
International Competition WINNER

Arboleda Tijuana, Mexico

T38 Studio

54
Architects T38 Studio Location Tijuana, Mexico Use Residential Site Area 5,520m2 Bldg. Area 2,023m2
Gross Floor Area 32,000m2 Bldg. Coverage Ratio 61.30% Bldg. Scale 16F Structure Steel, Concrete Max.
Height 48m Landscape Area 1,900m2 Parking Lot 195 Cars Project Team Alfonso Medina Rangel, Joseph
Ruiz Tapia, Enrique De La Concha Moreno, Lucía Arroyo Medrano, Adriana Medina Rangel, Sara Díaz
Barranco, Alejandra Matías Jimenez, Hector Hernández Navarro, Amy Galeana Vargas, Mariel Nuñez
Collins Bo Qun Huai Client Seica Photo Onnis Luque

South Elevation

West Elevation

55
■Diagram

Circulation

56
Floor Plan

57
알보레다
언덕 꼭대기에 있는 부지에서는 티후아나 시와 국경선 너머의 샌디에이고 만 전경이 The site, on top of a hill, has amazing views to both the city of Tijuana and the Bay of Sian
아주 잘 보인다. 지난 20년 동안, 티후아나는 멕시코에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Diego on the other side of the border.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Tijuana has seen a
몇 안 되는 도시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 개발은 샌디에이고의 경계를 넘어 이웃 교외 demographic explosion comparable to few cities in Mexico. Its development has followed
의 불규칙한 패턴을 따랐다. 이 때문에, 티후아나는 사실상 밀도를 가지고, 걷기에 the suburban sprawl pattern of its neighbor across the border, San Diego. Because of this,
적합한 도시의 도시 생활이 부족하다. Tijuana has virtually no density and lacks the urban life of a walkable city.

티후아나의 가장 오래된 주거지역들 가운데 하나인 라 카초에는 활기찬 도시 생활을 La Cacho, one of Tijuana's oldest and most established residential neighborhoods, has all
할 수 있는 커뮤니티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들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 프로젝 of the necessary qualities to evolve into a denser, walkable community with a vibrant street
트는 이 지역 발전의 벤치마크가 될 것이다. life. Our project is intended to become a benchmark of further development of this area.

이 공사에는 면적이 90m2에서 300m2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집들이 90동이 포함된 The program required 90 units of varying surface, ranging from 90 square meters, to 300
다. 부지가 경사져있기 때문에, 우리는 건물 구조의 대부분을 부지 윗부분에 세우고 square meters. Since the site has a considerable slope, we decided that most of the built
아랫부분은 공터로 놔두기로 했다. structure would be located on the top part of the site, leaving the bottom of the site as open
space.
주민들이 각기 다른 길들을 통해 거리 또는 공동 지역에서부터 자신들만의 사적 공간
으로 갈 수 있도록 어떻게 평면 배치 계획을 만들 것인가가 우리의 주요 4가지 관심 The shape of the floorpan responds to one of our main concerns, which is being able to
사 가운데 하나였다. 리본이 2개의 삼각형 정원을 만들고 그 정원 주변에 모든 것들 create experiences for the residents via different pathways to and circulations from the
이 순환하도록 배치하였다. street or the common areas to they're private space. The ribbon form creates two triangular
gardens around which all of the circulation is arranged.
도시에 녹지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건물 주변에 여러 개의 정원을 만들었
고, 편한 마음으로 여러 가지 레크리에이션 활동들을 할 수 있도록 조경을 설계했다. Since the city does not have a lot of green space, we placed the building within a a series
of gardens, the landscape is designed to host different recreational activities in an intimate
setting. Written by T38 Studio

Longitudinal Section Transverse Section

58
59
60
61
Domestic Competition WINNER

Play, Learn, Grow


꿈꾸는 성장 놀이터(부경대학교 직장어린이집 신축공사)

Kyungin Architects & Design + AU studio Architecture & Urban Design Group
(주)경인건축사사무소 + (주)에이유스튜디오종합건축사사무소

62
Architects Kyungin Architects & Design + AU studio Architecture & Urban Design Group Location 45, Yongso-ro, Nam-gu,
Busan, Korea Use Kindergarten Site Area 1,224.00m2 Bldg. Area 681.56m2 Gross Floor Area 1,023.30m2 Bldg. Coverage
Ratio 55.68% Gross Floor Ratio 83.60% Bldg. Scale 2F Structure R.C. Project Team Choi Taehoon, Kim Sangsool, Jeong
Hyeran, Kim Jinwoo, Kim Jeonghwa Cli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설계 (주)경인건축사사무소 + (주)에이유스튜디오종합건축사사무소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용도


노유자시설(어린이집) 대지면적 1,224.00m2 건축면적 681.56m2 연면적 1,023.30m2 건폐율 55.68% 용적률 83.60% 규
모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프로젝트팀 최태훈, 김상술, 정혜란, 김진우, 김정화 발주처 부경대학교

63
꿈꾸는 성장 놀이터
부경대 직장인 어린이집은 아이들이 안전하게 뛰어놀며 다양한 공간에서 재미있게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were designed with the theme
체험하고 배우는‘성장놀이터’
를 주제로 설계되었다. of 'growing playground' where children can safely run around in a variety of space to
experience and to learn.
공간은 내부공간에서 전이공간, 전이공간에서 외부공간으로 이어지게 기능적으로 구
성했다. 또한, 아이들의 안전한 접근과 원활한 차량 승하차, 독립적인 식당 서비스 The space was configured functionally to be connected from inner space to transition area
등을 분리하여 동선계획을 했다. and the transition area to the external space. In addition, the path was planned by
separating the safe access of children, loading and unloading of vehicles, and independent
중심공간인‘유희실’
은 놀이, 독서, 휴식이 가능하고, 보육실과 교사실, 식당을 아우 restaurant service, etc.
르는 공간으로 계획했다.‘교사실’
은 놀이터 및 유희실을 직접 바라볼 수 있게 배치
하여 아이들을 보호하고 관찰할 수 있다. 상상력과 모험심을 길러주는 놀이기구를 배 A 'recreation hall' which is the central space was planned to provide playing, reading and
치한‘놀이상자’
는 아이들의 지능발달과 성장을 돕는다. 건물보다 큰 기린이 포인트 resting with nursery, teacher's office and restaurant. The 'teacher's office' was placed to
인‘기린도서관’
은 기린처럼 큰 꿈과 상상을 키우는 열린 공간으로, 어린이 도서관과 have a direct view of the play ground and the recreation hall for protecting and observing
연결된 외부 공간을 계획했다. 옥상은 아이들이 직접 꽃과 채소를 재배하는‘생태 텃 the children. The 'play box' placed with play equipments that foster the imagination and
밭’
으로 꾸몄다. sense of adventure helps the growth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of children. The 'giraffe
library' with the key point of having a giraffe taller than the building is an open space that
foster the dream and imagination like the giraffe. The rooftop was planned as an
'ecological garden' for children to physically plant flowers and vegetables.
Written by Kyungin Architects & Design + AU studio Architecture & Urban Design Group

■공간구성계획도 ■동선계획도

내부공간 � 전이공간 � 외부공간으로 이어지는 기능적 공간구성 아이들의 안전한 접근, 원활한 차량 승하차, 독립적인 식당 서비스 동선 계획

South Elevation East Elevation

Transverse Section Longuitudinal Section

64
■개방적이고 열린 어린이집

■사각지대없는 안전한 어린이집

■향후 증축에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어린이집

■밝고 쾌적한 친환경 어린이집


Roof Floor Plan

2nd Floor Plan

1st Floor Plan

66
67
Domestic Competition WINNER

The Seoul Arboretum


서울수목원

MVRDV
엠브이알디브이
Architects MVRDV Location Seoul, Korea Site Area 9,661m2 Project Team Winy Maas, Jacob van Rijs, Nathalie de Vries,
Wenchian Shi, Kyosuk Lee, Kai Wang, Jaewoo Lee, Angel Sanchez Navarro, Antonio Luca Coco, Matteo Artico Landscape
Designers Ben Kuipers Local Architect DMP Structure Saman Engineering Local Landscape Designer KECC Sustainability
EAN Architectural Structure Cross Industrial Designers Studio Makkink & Bey MEP Samsin Traffic Engineers Song Hyun
R&D Lighting Design Viabizzuno, Nanam Ald App Design nhtv Cost Engineers Myong Gun Clien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hoto MVRDV

설계 엠브이알디브이 위치 서울 면적 9,661m2 프로젝트팀 위니 마스, 야콥 판 레이스, 나탈리 더 프리스, 벤치안 시, 이교석, 왕


카이, 이재우, 앤젤 산체스 나바로, 안토니오 루카 코코, 마테오 아티코 조경 벤 퀴퍼스 현지 설계 디엠피 구조 삼안엔지니어링 현
지 조경 케이이씨씨 친환경 이에이엔 건축 구조 크로스 산업디자인 스튜디오 맥킨 앤 베이 기계, 전기 삼신 교통 송현알앤디 조명
비아비주노, 나남 에이엘디 앱디자인 엔에이치티브이 발주처 서울광역시 사진 엠브이알디브이
서울하이라인
서울역 고가도로는 1970년대에 서울에서 가장 큰 전통시장인 남대문 시장과 동쪽을 The Seoul Station Overpass was built in the 1970s to provide a vehicular connection from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고가도로는 서울역을 지나 서쪽의 Namdaemun market, the largest traditional market in Seoul to the East, across the station
많은 공원으로 이어진다. 2006년에 집중안전점검에 따라 서울시는 17m의 고가도 area to the various parks in the West. Following intensive safety inspections in 2006, the
로를 안전하지 않다고 판정했으며, 2009년에 대형 차량의 접근을 금지하고 고가도 City of Seoul deemed the 17-metre high structure of the overpass unsafe and intended to
로를 철거하고 재건축하기로 했다. 주민과 전문과의 협의를 통해 2015년 디자인 공 demolish and rebuild it, banning heavy vehicles' access to the elevated roadway in 2009.
2
모전을 시작하고, 육교를 총면적 9,661m 의 보행자 산책로와 공공공간으로 재생하 Further consultation with residents and experts lead to the plan to regenerate the overpass,
기 위한 계획을 진행한다. which totals 9,661m2 in area, into a pedestrian walkway and public space, with the design
competition launched in 2015.
아시아 도시의 많은 구름다리와 육교는 순수하게 기능적인 요소만 가지고 있다. 하지 Many viaducts and pedestrian overpasses in Asian cities are purely functional elements,
만 차량 교통을 위해 지어진 서울역 고가도로는 그 규모로 인해 서울의 중심부에 특 but due to the scale of the Seoul Station Overpass which was built for vehicle traffic, an
별한 공공 공간을 만들 기회가 있다. 새로운 레저 기능을 도입하면서 친환경적인 공 opportunity exists to create a unique public space in the heart of Seoul. The ambition to
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듈식의 적응 가능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엠브이알디브이의 make this space as green as possible while introducing new leisure functions requires a
디자인은 지역 식물의 도서관,‘지역’
에 심어지고 938m의 고가도로를 따라 심어진 modular and adaptable approach. MVRDV’s design creates a library of local plants, a
식물의 수목원을 제안한다. 다양한 크기의 원형 화분은 차 카페, 꽃 가게, 거리 시 Korean arboretum of species planted in 'neighbourhoods' and arranged along the 938 m
장, 도서관, 온실 등 사용자에 따라 사용 가능하다. 이 원형 화분은 서울 하늘정원을 length of the Station Overpass according to their names in the Korean alphabet. In addition
활기차게 할 것이다. to the circular plant pots of varying sizes, a series of customizable activators such as tea
cafes, flower shops, street markets, libraries and greenhouses will provide a catalogue of
주변 지역의 나무를 키우는‘도시 보육’
이 되도록 앞으로 육교는 새로운 식물과 새로 elements which will enliven the Seoul Skygarden.
운 활성제로 진화할 것이다. 계단, 승강기 및 에스컬레이터 뿐만 아니라 새로운‘위 In the future, the overpass will evolve with new plants and new activators so as to become
성’정원의 추가적인 구조물은 기존의 교각에서 나뭇가지처럼 돋아 하늘정원과 연결 an 'urban nursery', rearing trees for the surrounding districts. Additional structures of stairs,
된다. 이러한 확장은 지역의 녹지와 공공장소를 더 만들며, 각 지역과 관련된 식물을 lifts and escalators as well as new 'satellite' gardens, can connect to the Skygarden,
통해 물리적으로나 시각적으로 주변과 하늘정원을 연결한다. 클러스터마다 심어진 sprouting like branches from the existing structural piers. These extensions can inspire
식물의 차이가 명확하고, 지역의 알파벳 순서와 일관된 신호가 있어서 하늘정원에서 further additions to the area's greenery and public spaces, and will connect the Skygarden
쉽게 길을 찾을 수 있으며, 각각의 장소마다 독특한 성격을 만든다. to its surroundings both physically and visually through plant species related to each of the
neighbourhoods. These neighbourhoods make the Skygarden easy to navigate due to their
alphabetical order and consistent signage, as well as the clear differentiation between
plant species in each cluster, and give a unique character to each space. Written by MVRDV

70
71
72
73
74
75
Haus der Tagesmütter 111 South Wacker

TallerDE2 Arquitectos + Gutiérrez-delaFuente Arquitectos Goettsch Partners

Childminders Centre (Haus der Tagesmütter) is part of a global urban strategy whose aim is the This 53-story, 1,457,000-square-foot office tower focuses on flexibility, efficiency and economy for
reactivation of the center of the shrinking city of Selb by integrating and attracting young tenants.
population. We are proposing a "Preventive Urban Acupuncture."

하우스 델 타게스뮈텔 111 사우스 웨커


하우스 델 타게스뮈텔은 젊은 인구들을 통합하고 유치함으로써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독일 1,457,000스퀘어피트(13,536m2)의 총 53층으로 된 이 클래스 A급 빌딩은 오피스 세
젤프시의 중심부를 재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글로벌 도시 전략의 일환이다. 우리는“도시 예 입자를 위한 공간의 유연성, 효율성, 경제성에 중점을 두었다.
방 침술 요법(Preventive Urban Acupuncture)”
을 제안한다.
Tectonic
Works & Design

Customi-zip

L'eau design

People from this current era who doesn't want to own same product as others. Today is certainly
an era when requires my own house, my own life style, and individualized styles. A house which
we, the modern people, who is worn out by apartment culture can tune the unfamiliar individual
environment.

과천 커스터마이집
요즈음 사람들은 남과 같은 아이템의 상품을 갖고 싶지 않아 한다. 지금은 나만의 집, 자
신만의 생활 방식, 각자의 스타일이 필요한 시대이다. 아파트문화에 저든 우리 근대인들이
낯선 개인적 환경을 스스로 조율 할 수 있는 집을 계획했다.

77
Haus der Tagesmütter Selb, Germany

TallerDE2 Arquitectos + Gutiérrez-delaFuente Arquitectos

78
Architects TallerDE2 Arquitectos + Gutiérrez-delaFuente Arquitectos Location Wittelbacherstrasse 16-
18. Selb, Bayern. 95100 Germany Use Kindergarten, Office Site Area 528.00m2 Bldg. Area 280.10m2
Gross Floor Area 510.30m2 Bldg. Coverage Ratio 53.04% Gross Floor Ratio 96% Structure Bearing
Walls, Concrete, Steel Frame Max. Height 13.88m Exterior Finish Rhombic Patter Aluminium Tile,
Polycarbonate Project Team TallerDE2 Arquitectos_Arantza Ozaeta, Álvaro M. Fidalgo + Gutiérrez-
delaFuente Arquitectos_Natalia Gutiérrez, Julio de la Fuente Client Selb Citycouncil Photo Fernando
Alda, Feigfotodesign

79
하우스 델 타게스뮈텔
하우스 델 타게스뮈텔은 젊은 인구들을 통합하고 유치함으로써 인구가 줄어들고 있 Childminders Centre (Haus der Tagesmutter) is part of a global urban strategy whose aim is
는 독일 젤프시의 중심부를 재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글로벌 도시 전략의 일환이다. 우 the reactivation of the center of the shrinking city of Selb by integrating and attracting
리는“도시 예방 침술 요법(Preventive Urban Acupuncture)”
을 제안한다. 이 전략 young population. We are proposing a "Preventive Urban Acupuncture." This strategy
을 통해 정확하고 빠르게 침을 놓듯이 기존의 도시 구조에 작은 것들을 집어넣음으로 consists on making small insertions in the existing urban fabric, like precise and quick
써 도시의 전체적인 사회적 역동성을 활발하게 만든다. shots, which will trigger an entire reactivation of the social dynamics of the city.

하우스 델 타게스뮈텔은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을 더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엄마들이 Childminders Centre (Haus der Tagesmutter) is a program self-managed by mothers
출근한 시간 동안 아기들을, 그리고 방과 후에 아이들을 돌봐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 associations with the aim of taking care of babies during office hours and children after
는 어머니 협회가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school hours, making conciliation of family life and work easier.

이 센터는 계획적으로 만든 전문적인 6동의 건물로 구성된다. 건물들 사이 사이에 It consists on organizing the project into 6 specialized programmatic stripes, which work by
있던 기존의 빈터가 이 건물들로 채워졌으며, 그 결과 불완전했던 블록들의 도시 외 addition. Existing urban voids among buildings are filled in with these stripes, and so urban
관이 연속적으로 변하였다. facades of incomplete blocks become continuous. Programmatic and spatial specialization
of every stripe results in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and colors, providing the inner space
각 동마다 계획적이고 공간적 전문성으로 인해 특정한 재질과 색상을 사용하였다. 내 with a code which combines color, use, activity timing, acoustic environment and energy
부 공간을 색깔, 용도, 활동 시간대, 음향 환경, 그리고 에너지 수요를 총체적으로 demand. Roofs and facades of the Project use the same material along every stripe. So
고려하였다. 프로젝트의 지붕과 외관은 6동 모두 같은 재료를 사용한다. 그래서 전 integration and differentiation joins together to establish a nice dialogue with the Bavarian
체적으로 통합과 차별이 두드러진 외관이 바이에른의 도시 풍경과 잘 어울린다. urban landscape. Written by TallerDE2 Arquitectos + Gutiérrez-delaFuente Arquitectos

80
Section

Elevation

81
82
83
1. Entrance
2. Reception
3. Kitchen
4. Playground
5. Sleeping Zone
6. Toilet
7. Storage
8. Bike Park
9. Main Core
10. Office

6
4
5
6 5
9 6 9 2

2 4 6 10
3 7 1 7 3

Ground Floor Plan 1st Floor Plan

84
85
1. Main Core
2. Multipurpose Area

2nd Floor Plan Roof Floor Plan

86
87
88
89
111 South Wacker Illinois USA

Goettsch Partners

90
Architects Goettsch Partners Location Chicago, Illinois, USA Use Conference, Fitness,
Restaurant Site Area 3,023m2 Bldg. Area 2,720m2 Gross Floor Area 132,627m2 Bldg.
Coverage Ratio 90% Bldg. Scale 53F Max. Height 207.6m Parking Lot 389 Cars Project
Team James Goettsch, Steve Nilles, Scott Seyer Structural Engineer Magnusson
Klemencic Associates Contractor Bovis Lend Lease Client The John Buck Company Photo
James Steinkamp

Section

111 사우스 웨커
1,457,000스퀘어피트 (13,536m2)의 총 53층으로 된 이 클래스 A급 빌딩은 오피 This 53-story, 1,457,000-square-foot office tower focuses on flexibility, efficiency and
스 세입자를 위한 공간의 유연성, 효율성, 경제성에 중점을 두었다. 각각의 오피스에 economy for tenants. The building's office floors are entirely free of interior columns, and
서는 내부 기둥을 완전히 없애도록 설계하여 최대한의 시카고 스카이라인을 볼 수 있 the plan maximizes views of the skyline and interior daylighting. Tenant amenities include
게 했고, 실내 일광이 잘 들어오게 했다. 오피스 세입자를 위한 편의 시설로는 실내 on-site fitness and conference centers, as well as indoor parking.
주차장을 비롯해 헬스클럽, 규모가 큰 회의실이 포함되어 있다.
The building's innovative lobby design is noted for making a tight site feel remarkably open,
이 빌딩의 혁신적인 로비 디자인은 정평이 나 있다. 기둥 사이의 수평적 거리를 80 with 80-foot column spacing at the base; a cylindrical enclosure of cable-supported, highly
피트로 해서 좁은 공간을 현저하게 넓게 느낄 수 있게 했고, 벽은 아주 투명한 유리 transparent glass; and a stepped, spiraling ceiling as defined by the underside of the
로 되어 있으며 원형으로 감싸져 있고, 천장은 계단 모양으로, 회전식으로 되어 있는 building's parking ramp. Beyond its functional and aesthetic achievements, the project
데, 이는 빌딩의 주차 램프의 바닥이기도 하다. 빌딩의 기능적이고 미학적인 성취를 emphasized sustainability throughout and became the first-ever building certified LEED-CS
넘어서 이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끝까지 친환경적인 지속성을 강조했다. 그래서 최초 Gold. Written by Goettsch Partners

로 LEED-CS Gold 인증을 받게 되었다.

91
Ground Floor Plan

92
93
Low Floor Plan High Floor Plan

94
Parking Section

95
Customi-zip Gyeonggi-do, Korea

L'eau design

96
97
과천 커스터마이집
남과 같은 아이템의 상품을 갖고 싶지 않은 요즈음 사람들. People from this current era who doesn't want to own same product as others. Product
상품에서는 부품들을 분해해서 서로의 짝을 다르게 조합하여 각자 만의 것을 제공한 provides customized item by disassemble and reassemble in different combination. As a
다. 그리하여 자신의 취향에 따른 맞춤화(customizing) 제품이 탄생된다. 제품의 result, customized product is generated per user's taste. In case of product customizing,
Customizing 경우는 보통 생산업체나 수공업자들이 고객의 요구로 제품이나 물건을 typically the manufacturer or craftsman produce products per the client's request, but it
고객이 원하는 대로 만들게 하지만, 주로 외관성형에만 뜻을 두는 것 같다. seem like it is focusing on changing the appearance only.

지금은 나만의 집, 자신만의 생활 방식, 각자의 스타일이 필요한 시대임이 틀림없다. Today is certainly an era when requires my own house, my own life style, and
건축, 특히 집의 Customizing(맞춤제작서비스)은 쉽지 않다. 일상에서는 보여주기 위 individualized styles. Architecture, especially customizing house is not very easy. This is
한 외형의 편집이 큰 의미가 없으므로 더욱 그렇다. 부품과 같이 명명된 각 Room의 more so because editing the exterior for showing is not much meaningful in daily life. The
배열을 아무리 바꾸어도 그 한계는 여전하다. 가족 구성원들의 움직임 안에서 스스로 limit remains the same even if the layout of each room named like parts changes. The
재조합 될 수 있는 예측 못 할 가능성을 열어둔 구조로서, 생활의 패턴이 개인의 취 house should be opened to unexpected possibilities in structure that could be recombined
향에 따라 재구성될 수 있는 집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on its own according to family member's movement and restructure the life pattern per
individual taste.
아파트문화에 저든 우리 근대인들이 낯선 개인적 환경을 스스로 조율할 수 있는 집.
즉, 일상이 아닌 매일 매일 일탈이 가능한 집은 반복적 순환경로를 스스로 큐레이팅 A house which we, the modern people, who is worn out by apartment culture can tune the
하며 낯선 패턴을 만들어갈 수 있는 집일 것이다. 논리적 공간 질서 속에 가둔 cage unfamiliar individual environment. In short, a house where we can break away from daily
로서의 Room들의 배열만으로는 자신의 생활방식과 다양한 상황을 구성하지 못한다. life everyday would be a house that allows self-curating repetitive circulation and generate
이제, 이 시대의 거주자는 집(Customi-zip)이라는 무대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끊임 unfamiliar pattern. It cannot constitute our own life styles and various situation by simply
없이 편집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삶의 주인공이자, 연출가가 될 것이다. laying out rooms as cage that confine to logical spatial order. Now, the house owner of this
current period will become a main character and director of our lives through Customi-zip as
우리는 Customi-zip에서 낯선 행위의 패치워크와 선택적 편집 공간을 다루고자 한다. their stage where they can constantly edit and reconstitute their stories.

We would like to address patchwork of unfamiliar activities and selective editing space in
Customi-zip. Written by L'eau design

98
Architects L’eau design_Kim Dongjin Location 416-4 Gwacheon-dong, Gwangju-si, Gyeonggi-
do, Korea Use Single Residence Site Area 430.5m2 Bldg. Area 217.09m2 Gross Floor Area
786.90m2 Bldg. Coverage Ratio 49.91% Gross Floor Ratio 93.27% Bldg. Scale B2, 3F
Structure R.C. Floor Wood Flooring, Marble(Crema Bello) Wall Marble(Crema Bello, C-
Black), Wood(IPE), Gypsum Board Ceiling Marble(C-Black), Gypsum Board Project Team Lee
Sanghak, Kim Taeyeon, Park Jueun, Jung Donghui, Yoon Jihye Photo Park Wansoon

설계 로디자인_김동진 위치 경기도 광주시 과천동 416-4외 1필지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430.5m2 건축면적 217.09m2 연면적 786.90m2 건폐율 49.91% 용적률 93.27% 규모 지상
3층, 지하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바닥 우드플로링, 대리석(크리마벨로) 벽 대리석(크리마벨로, C-
Black), 지정목재(이페), 석고보드 천장 대리석(C-Black), 석고보드 프로젝트팀 이상학, 김태연, 박
주은, 정동휘, 윤지혜 사진 박완순

Site Plan

99
Elevation

100
Section

101
102
15

16

1. Elev Hall 9. Toilet


2. Storage 10. Entrance
3. Mechanical 11. Terrace
14
Room 12. Bedroom
4. Kitchen 13. Living Room
5. Dinning 14. Master Room
6. Guest Room 15. Dress Room
7. Laundry 16. Swimming Pool
8. Utility

3rd Floor Plan Roof Floor Plan

7 8 12
3

4 11
1
9 13
3 6

9
12
2 5

10 11

Basement 1st Floor Plan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103
104
105
106
107
The erets_Kim Hohyun

김호현은 1975년 서울 출생으로, 2001년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전시회에서 '동문회장상'을 수상하였다. 졸업
후 10년간 예천건축의 천근우 소장으로부터 수학하여
2012년 더 이레츠 건축가 그룹을 개소하였다.
예천건축에서의 시간은 건축을 향한 깊은 사고와 건축가
의 책임을 배울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고, 더불어 지진피
해 등 해외재난지역의 방문은 그에게 건축가의 역할과 소
명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한 책임과 소명이 현재의
건축문화에서 신뢰회복이라는 이름으로 발전되어지기를
기대한다.

Kim Ho-hyun was born in 1975 in Seoul.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 with a B.S. in Architecture, he received the
President's Award from the Alumni Association at the
건축가 / 김호현
degree exhibition 2011. After graduation, he worked under
architect Cheon Keunwoo at Ye-cheon Architects for 10
years and established visionary architects group "The Erets"
in 2012.
Those years at Ye-cheon Architects gave him a valuable
opportunity to think hard about the architecture and learn
about the responsibilities of an architect. Visiting overseas
disaster areas, he found his mission and role as an
architect, and wishes that such mission and responsibilities
would develop into the restoration of trust in the current
architectural culture.

이레츠
창조주의 뜻에 맞도록 건강하고 아름답게 그 땅(erets - '땅'의 히브리어)을 사용하기를 기대하고, 그 과정에서 선한
청지기 역할을 감당하고자 한다. 건축의 신뢰 회복을 통한,‘건축문화의 혁신’을 꿈꾸는 건축가 집단(Vi.a. -
Visionary Architects Group)이다.
[창 37:19] 서로 이르되 꿈 꾸는 자가 오는도다.
‘건축문화의 혁신’
은 작은 단위의 건축작업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건축가로부터 시작하는 모든 관계와 엔지니
어에 대한 인식 변화, 그 과정에서의 정직함을 통해 건축의 신뢰 회복을 꿈꾸며 평안(Shalom)한 건축 이야기를 만
들어 내고자 한다.
[누 37:19]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
를 보내사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하였더라.
건축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하는 작업이다. 다루는 내용도 광범위하고 좋은 선택을 하기가 만만치 않다. 때론 많은
부분을 미뤄둔 채 시간과 경제에 이끌려 돌아볼 틈을 찾지 못할 때도 있다. 우리는 첫 마음과 과정을 소중히 여긴
다. 건축가로서 더욱 전문성을 갖기를 원하고, 함께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건축과정의 기쁨(set at liberty)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꿈꾼다.
The Erets
We hope the land ("erets" is a Hebrew word for land) to be used in a sound, beautiful wa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reator, and want to be a good steward for this. The Erets is a "Vi.a" (Visionary Architects Group) which dreams to bring
about "the innovation of architectural culture" by restoring trust between the client and the architects and constructors.
"Here comes that dreamer!" they said to each other (Genesis 37:19)
I believe "the innovation of architectural culture" should start from a small-scale work. I dream of the trust restoration in
the industry through changes in the relations surrounding an architect and in the awareness of engineers as well as
through the restored honesty, and want to create an architectural story full of shalom.
The Spirit of the Lord is upon me, Because he anointed me to preach good tidings to the poor; He hath sent me to
proclaim release to the captives, And recovering of sight to the blind, To set at liberty them that are bruised, To proclaim
the acceptable year of the Lord.(Luke 4:18-19)
Architecture is a team work. It deals with extensive subjects and entails tough decision making. Sometimes you have to
leave many things behind and can't afford to do all things right. However, we cherish our first mind and the process. We
hope to further develop our expertise as architects and share the joy of the architectural process with those who are
with us.
Spread Housing Jeju-do, Korea
The erets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092-2, Cheongsu-ri,


Hangyeong-myeon,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661m2 Bldg. Area 144.71m2 Gross Floor Area 183.28m2 Bldg.
Scale 2F Structure S.C.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Stucoflex, 4
Color Steel Plate Project Team Yoon Bohyun, Ma Jihye, Jang 5
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Kang Sinseong Client Kim Donglyul
Photo CONCEPT_James Jeong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1092-2 용도 단독


주택 대지면적 661m2 건축면적 144.71m2 연면적 183.28m2 규모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송판무늬노출콘크리트, 스타코플 1. Living Room
렉스, 칼라골강판 프로젝트팀 윤보현, 마지혜,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 2. Dining & Kitchen
3. Master Bedroom
승근, 박정섭, 권태훈, 강신성 발주처 김동렬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4. Room
5. Storage
6. Flooting Deck 1st Floor Plan

110
North Elevation South Elevation

4 2 5

1
4

2nd Floor Plan Roof Floor Plan

111
제주 청수리 주택
산을 오르다 좋은 풍경을 만났을 때 가끔 그 풍경을 좀 더 오래 보기 위해서 평평한 When you encounter a fine view climbing a mountain, you can often stand on flat rocks to
바위를 찾아 올라서곤 한다. 그런 곳을 발견하면 걸음이 빨라져서 그 곳에 이르러 한 see the view better. When you find a place like this, you walk fast to, and rest there for a
참동안 땀을 식히고 가곤 한다. 이 공간이 가족들에게 있어선, 그러한 평평한 바위가 while. I hope this space will be such flat rocks to a family. The family recognizes a view
되길 바란다. 가족은 한라산에서 산방산까지의 펼쳐진 풍경을 한눈에 담고서, 1층의 ranging from Mt. Halla to Mt. Sanbang at a glance, coming into a structure through piloti
필로티 공간을 통해 건축물로 들어오게 된다. space on the first floor.
이 진입과정에서 하늘과 땅을 잘라낸 틈을 통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빠른 걸음으 In this entry process, they can appreciate a view through a slit of the sky and land. Standing
로 현관을 지나 1층의 계단실을 통해 2층의 큰 바위(거실)에 올라서게 되면, 데크와 on a large rock (living room) on the 2nd floor through a stair hall on the 1st floor, they can
연결된 큰 창을 통해 바깥 풍경이 프레임 안으로 들어와 자연을 담은 공간을 만끽하 enjoy space expressing nature with outside landscape in a frame, passing through a big
게 된다.‘spread housing’
이라는 프로젝트명과 같이, 건축물 형태는 자연을 향하 window connected to deck. As the name of project 'spread housing', the architectural form
여 펼쳐져 있고, 실내의 모든 공간은 자연으로 펼쳐져 있다. of it stretches towards nature, and all the indoor space stretches with nature.
쉴 만한 큰 바위의 컨셉 이미지는,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디자인 요소로 형상화했다. The concept image of 'a big rock to relax in' was formed with design factors through the
가장 대표적인 것이, 주방 아일랜드 싱크 위의 클라우드인데, 건축심의 과정에서 단 entire project.
순화된 지붕형태를 내부에 구성하면서 자유로운 선형을 3차원적으로 표현하였다. 또 One of the signature of it is a cloud on the island sink in the kitchen. A roof shape simplified
한, 입면 구성에서는 지붕재료를 감싸 내린 비정형적인 선형을 사용하는 등 건축물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screening is composed inside, and a free linear shape was
내외부의 형태와 선형에서,‘쉴만한 큰 바위’
의 모서리면의 느낌이 일관성있게 흐르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way. Further, in facade composition, an atypical linear
고 있다. 한라산과 산방산을 동시에 품을 수 있는 이 특별한 대지 위에 가족과 이웃 shape wrapping up roof materials was used to offer a sense of consistency on the edge of
의 발길이 차곡차곡 쌓여져서 좀 더 평평해지고 익숙해진 큼직한 바위로 자리하길 기 'a big rock to relax in'. A more flat, acclimatized, and larger rock will be located in this
대한다. special land embracing Mt. Hall and Mt. Sanbang by accumulated frequent contacts of a
family and neighbors. Written by Kim Hohyun

112
113
114
115
116
117
Oedoil-dong House Jeju-do, Korea
The erets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2266-24, Oedoil-dong,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661m2 Bldg. Area
131.43m2 Gross Floor Area 180.65m2 Bldg. Scale 2F Structure R.C.,
Container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Stucoflex, Color Steel
Plate, Basalt Project Team Ma Jaehui, Choi Yunok, Jang Dongchan
7 10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6
Kwon Taehun, Park Yohan, Kim Gyeongsu, Jang Gwangsu Client
Kim Anna Photo CONCEPT_James Jeong 6

9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외도일동 2266-24 용도 단독주택 5 8
대지면적 661m2 건축면적 131.43m2 연면적 180.65m2 규모 지상 2
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컨테이너 외부마감 송판무늬노출콘크리트, 스타
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마재희, 최윤옥,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박요한, 김경수, 장광수 발주처
김안나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1st Floor Plan

118
East Elevation South Elevation North Elevation

2 8
1
8
1. Living Room
2. Kitchen
3. Utility Room
4. Hobby Roon
5. Master Bedroom
6. Room
4 7. Storage
8. Deck
9. Garden
10. Parking Lot

2nd Floor Plan

119
민욱이네
일반적으로 건축하게 된 경위와 과정, 공간 등 세부적인 요구사항에 대한 리포트, 그 The idea of this project was launched by visiting the blog of the owner of the house. In his
리고, 대지 방문을 통한 기초조사 등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지만, 이번의 경우 blog, we could identify here and there warm heart of the blog owner who is taking care of a
는 건축주의 블로그를 탐방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구상을 시작했다. 환자를 돌보시는 patient. We could identify his love for his family posts on his wife°Øs hobby activities and
아버지의 블로그 속에는, 가족을 사랑하는 따뜻한 마음이 구석구석 표현되어 있었다. features of his son, Minwook. When we discussed this project in our office, we naturally
아내의 작은 취미활동 이야기도, 아들 민욱이의 해맑은 뒷모습도 모두 살펴볼 수 있 and friendly became to call the family as 'Minwook Family.'
었다. 사무실 내에서 이 프로젝트를 얘기할 때 자연스레‘민욱이네’
로 불리게 된 것
이 우리가 이 가정에서 배운 따뜻한 아빠의 마음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At the ideal spot to enjoy the scenery of sprawling barley fields and sea, we put the
drawing room, and made it possible to expand it by adding external deck. Naturally,
가족의 이야기를 포함하여 조망, 주변 건축물에 대한 장래계획, 예산 등이 건축물을 individual rooms are put on the first floor. Room has a separate deck. What is peculiar in its
구성해 나갔다. 후면의 넓은 보리밭과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위치인 2층 formation is three containers. Each of them is uniquely produced in its space, height, color,
에 거실을 두고 외부데크를 설치하여 확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연스레 개실 구성 and windows and doors. They are used for outer warehouse, subsidiary kitchen, and hobby
은 1층에 두어져 안방의 경우 독립된 데크공간을 가진다. 구성상의 특이한 점은 3개 room. These three containers which were adopted by the suggestion after related budgets
의 컨테이너이다. 면적과 높이, 색상, 창호 타입 등이 각각 특색 있게 연출 되었는데 were examined have taken a big part in the whole structure.
그 내용은 외부창고, 보조 주방, 취미실 역할을 감당한다. 예산 검토를 통한 제안에
서 시작하여 전체 조형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Formation of external faces using Exposed concrete at the front door, canopy and basalt
outer wall and others, ceiling for bright inner space, and inner-outer formation in the space
현관부의 제주 삼나무 무늬 노출콘크리트와, 곡선 형태와 직선 형태의 캐노피, 현무 between the house and containers, etc. add the pleasure the house gives us.
암 덧벽 등을 활용한 외부 입면 구성과 밝은 내부공간 구성을 위한 천창, 컨테이너와 Written by Kim Hohyun

의 사이 공간을 연출한 내외부 구성 등이 건축의 재미를 더한다.

120
121
4

5 6

7 9

Section

122
123
Gimnyeong-ri 1588-1 Jeju-do, Korea
The erets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588-1, Gimnyeong-ri, Gujwa-eup,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Atelier Site Area 463m2 Bldg. Area
69.42m2 Gross Floor Area 69.42m2 Bldg. Scale 1F Structure Wooden
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 Plate Project Team Baek Seunggeu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Client Kyung Baekgyeol Photo CONCEPT_James
Jeong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1588-1 용도 단독주택, 아뜰


리에 대지면적 463m2 건축면적 69.42m2 연면적 69.42m2 규모 지상 1층 구조
목구조, 경량철골보강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프로젝트팀 백승근 시
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발주처 경백결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Site Plan
124
3 4

2
2

1
6

1. Living Room
2. Kitchen
3. Master Bedroom
5 4. Room
5. Atelier
6. Storage
Before
Floor Plan
125
相友家 (상우가)
안거리와 모거리 형태의 3개의 건축물은 안채와 게스트동, 작업실 공간으로 구분되 The three buildings as main house and corner house were divided into inner house, guest
었고, 각각을 연결한 데크 구성으로 하나 된 모습을 가진다. 외부구성은, 기존 슬레 house, and work house, all of which are connected by decks. In the outer structure, the roof
이트 지붕 위에 얹혀진 컬러강판 지붕과 창호 구성을 수정하며 단열공사를 포함한 스 of color steel sheet covering the existing slate roof and windows and doors were revised,
타코 마감으로 정리했다. 내부구성은 기존의 서까래 구성을 부분적으로 노출시켜 천 and finished with stucoflex including insulation work. In the inner structure, we secured the
장고를 최대한 확보하였다. height of ceiling as much as possible by partly exposing rafter formation.

제주도의 농가주택은 1970년대를 기점으로 그 구조방식이 바뀌게 되는데, 본 건축 Farm house in Jeju Island changed in its compositional format in the 1970s, and this
물은 그사이 시점에 걸쳐 단계적으로 건축되었다. 기존의 안거리 형태의 3칸 농가와 structure has been constructed over the changing period step by step. The expansion and
모거리 형식으로 2개의 건축물이 추가로 건축되었다. 이번의 증∙개축 공사 또한 이 renovation of it this time is also part of the series of the constructing process.
런 일련의 과정에 있다.
When we look at a specific traditional building, or a tradition of architecture, it is
전통건축, 건축의 전통은‘그때’
의 시간을 쳐다볼 수 있을 때 의미가 있는데, 작은 meaningful because we can watch the time when it was built. But, I think that, when we
단위의 근대건축물에서의 전통은‘그간’
의 시간을 함께 볼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 deal with a tradition of modern architecture with a small scale, we should find meaning in
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건축가는‘예견’
하여 공간구성을 한다면, 시간이 낳은 건축물 the fact that we can appreciate the long period of time during which it has been
은 닳고 문질러져 자연스레 흘러들어온 것이다. 건축가가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이다. constructed. If we say that architect designs space by ‘prediction’, architecture made over
time has remained naturally with it being worn out and rubbed away over time. It is not the
실측하고 구조를 남긴 상태까지 철거해 내어, 다시 실측하고 그것을 현장에서 도면을 scope architect can meddle with.
그려 일련의 공종을 따라 설계작업이 함께 진행되었다. 최대한 기존의 구조와 구성을
살리는 것이 목표였으며, 한정된 예산안에서 최선을 다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 We measured it, demolished it excluding only the basic structure, measured it again, and,
했다. drawing it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designed it along with different types of work in a
series of construction process. Our aim was to revive the original structure and composition
as much as possible. Written by Kim Hohyun

126
127
Gosan-ri 2291 Jeju-do, Korea
The erets

3 4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2291, Gosan-ri, 2
Hangyeong-myeon,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1 4
Site Area 741.0m2 Bldg. Area 134.08m2 Gross Floor Area
134.08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6 8
Steel Plate, Basalt Project Team Jang 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5
Client Kim Eunji Photo CONCEPT_James Jeong 7
4 4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2291 용도 단


독주택 대지면적 741.0m2 건축면적 134.08m2 연면적
134.08m2 규모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
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장동찬 시공 더 이레
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발주처 김은지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1st Floor Plan

128
After

1. Living Room
2. Kitchen
3. Utility Room
4. Room
5. Library
6. Deck
7. Garden
8. Kitchen Garden

Before

129
고산리주택 2291
이 프로젝트는, 어머니를 모시고, 제주에 주택을 마련하는 딸들의 만남으로 시작하였 This project began as I met with the daughters who wanted to live with their mother in Jeju
다. 안거리와 초가 형태의 모거리, 두 동으로 구성된 농가주택에 세 명의 딸과 어머 Island. Under the condition of creating rooms for the three daughters and their mother in a
님의 방을 구성하는 조건을 시작으로 내부 공간을 계획했다. 두 동의 건축물을 서로 rural house consisting of a main house and a corner house, I started to renovate the house.
연결하고, 작은 서재와 다용도실을 적절하게 배치하였다. 건축물의 연결과 공간의 소 As a result, the two buildings were connected and a small library and a utility room were
요 폭을 넓히는 방식으로 일부를 증축하고, 지붕을 올려 천장고를 높였다. adequately placed.

외관에서의 특징은 한 개의 건축물로 연결되었지만, 기존의 두 동 구성의 모습이 유 One of its exterior features is that though the two buildings are connected into one house,
지된 지붕 형태이다. 중간에 연결된 부분의 지붕은 후면으로 경사지어져 있어 전면에 their roofs maintain separate forms. The roof of the connected part is sloped backwards so
선 그 형태를 알아보기가 어렵다. 경제적으로 불필요한 지붕 공간의 연장을 만들지 it is not distinctive from the front. I believe this was to maintain the original proportions of
않고, 기존 농가가 가지고 있던 비례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the rural house without extending the roof area which is not economical.

거실과 주방, 복도의 연결, 부속실의 배치 등 제한된 규모 내에서 4개의 방과 2개의 As it was a delicate process to design four rooms and two restrooms as well as a living
화장실을 설계하여야 하는 세밀함으로 인해, 몇 차례에 걸친 현장실측과 마감치수에 room and a kitchen, the hallway and ancillary rooms in a limited space, several times of
대한 조정 등이 필요했다. actual measurement and changes in the finished sizes were inevitable.
Written by Kim Hohyun

130
131
Sinchon-ri 2318-1 Jeju-do, Korea
The erets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2318-1, Sinchon-ri,


Jocheon-eup,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336.0m2 Bldg. Area 109.76m2 Gross Floor Area 109.76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ALC Block 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
Plate, Basalt Project Team Choi Yunok, Jang Dongchan Construction
3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Kim 9 2
Gyeoungsu Client Heo Sejeong Photo CONCEPT_James Jeong
4

7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2318-1 용도 단독
1
주택 대지면적 336.0m2 건축면적 109.76m2 연면적 109.76m2 규모 8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ALC 블럭, 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5 6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최윤옥,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
승근, 박정섭, 권태훈, 김경수 발주처 허세정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1st Floor Plan

132
Before1

1. Living Room
2. Kitchen
3. Utility Room
4. Master Bedroom
5. Room
6. Deck
7. Garden
8. Kitchen Garden
9. Parking Lot

Roof Plan
Before2

133
신촌리주택 2318-1
4대에 걸쳐 살아오던 집을 딸의 신혼집으로 꾸미는 프로젝트이다. 작은 대지 안에 This project was to build a house for the daughter and her soon-to-be husband in a house
안거리와 밖거리, 그리고 모거리로 세 채가 구성되어 있었으며, 외부 공간에는 물부 where the family had been living for four generations. In a small land, the house was
엌, 화장실 등이 시간차를 두고 증축되어있었다. 건축주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창 comprised of three buildings including a main house, an outhouse and a corner house, and
호구성과 내부 공간에 대한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었고, 기존 농가의 대문, 창호, kitchen and restroom had been extended in the outside space.
덧벽, 서까래, 기둥 목재 등을 자유롭게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As for the outside space, the existing kitchen gardens were maintained to utilize deck
외부공간에는 기존의 텃밭들을 유지하여 데크 공간과 보행 동선의 현무암 난석을 활 space and basalt of walking line, and the small back garden keeps the original natural
용하였으며, 건축물 후면의 작은 텃밭은 기존 농가의 자연스러운 배치형태를 고스란 arrangement of the rural house.
히 간직한 형태이다.
For the outhouse space, which used to work as the gate of the rural house, the gate area
기존 농가의 출입문을 겸한 밖거리 공간은 출입문 부분을 잘라내어 주차장으로 활용 was cut away to be used as the parking lot and the remaining area was turned into an
하고, 나머지 공간은 손님을 위한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었다. 모거리는 안거리와 연 independent space for guests. The corner house was connected to the main house to
결해 서재와 데크로 향하는 출입공간을 구성하였다. 사이공간에서 발생한 현무암 덧 create an entrance into the library and the deck, and the basalt added wall in the in-
벽의 외벽은 정돈된 모습으로 유지해 내부에 노출했다. 안거리 후면으로 증축이 진행 between area is exposed in a well-organized manner. An enlargement was made to the
되었는데, 안방과 다용도실을 구성하여 독립된 외부공간으로의 확장을 유도하였다. back of the main house to form a bed room and a utility room, creating an extension to
independent outside spaces. Written by Kim Hohyun

134
135
Pyeongdae-ri 1627 Jeju-do, Korea
The erets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627, Pyeongdae-ri, Gujwa-eup,


Jeju-si, Jeju-do, Korea Use Pension Site Area 595.0m2 Bldg. Area 151.03m2
Gross Floor Area 151.03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4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 Plate,
6
Basalt Project Team Choi Yunok, Jang 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8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Jang Gwangsu, Kim
9
Gyeongsu Client Lee Euna Photo CONCEPT_James Jeong 8

8 4 1 4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구좌읍 평대리 1627 용도 펜션 대지면적
5 7
595.0m2 건축면적 151.03m2 연면적 151.03m2 규모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3
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최윤옥, 10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장광수, 김경수 발주처 이은아 사 2
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1st Floor Plan

136
1. Living Room
2. Kitchen
3. Dining Room
4. Room
5. Powder Room
6. Spa Room
7. Storage
8. Deck
9. Garden
10. Kitchen Garden

Roof Plan
Before1 Before2

137
느량
증∙개축의 방향은 3세대 혹은 친한 두 가정이 동행했을 때에 독립적으로 머물기 편 The direction of extension and remodeling was providing an independent and a
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안거리와 밖거리는 독립된 구성으로 각각의 침실을 가 comfortable place to stay when accompanied by two or three families. The main house and
지고 있어 독립적인 숙박이 가능하며, 밖거리에는 스파 공간이 있어 특별한 휴식을 outhouse allows independent accommodation and the outhouse includes a spa for
경험할 수 있다. 모거리엔 식당과 주방, 그리고, 어린 자녀들을 위한 마루를 설치했 relaxation. In the corner house, restaurant, kitchen and wooden floor for children was
는데, 프로젝트를 함께한 세심한 건축주의 의견이 반영된 내용이다. installed.

본 건축물은 인근의 주택들과는 떨어져 있어 제주의 풍경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This building is away from the nearby homes so guest can enjoy the scenery of Jeju.
올레길을 통한 출입동선과 외부의 독립된 세 채의 건물 구성, 월정리 해변으로 열린 Access ways through Olle route, three independent buildings and the open scenery
시야 등이 휴식을 찾으러 온 이들에게 충분한 환경을 제공한다. towards the Woljeong beach provides plenty of relaxation.

내부 공간은 별도의 증축 없이 지붕을 들어 올려 천장고를 확보하는 작업만 이루어졌 The interior space was only made on securing the ceiling height by lifting the roof. It was
다. 기존의 평면 규모 안에서 필요 요소들이 단정하게 위치하며, 구조 벽체를 이동해 made so that necessary elements can be neatly placed within the existing size of the plan
서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and a large space was secured by moving the structural wall. Written by Kim Hohyun

138
139
Susan-ri 861-1 Jeju-do, Korea
The erets

4 3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861-1, Susan-ri, Aewol-eup, Jeju-si, Jeju-do, 2
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498.77m2 Bldg. Area 143.13m2 Gross Floor Area 8
9 6 1
143.13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11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 Plate, Basalt Project Team Jang Boyun, Jang 7
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9
8 5
Kim Gyeongsu, Jang Gwangsu Client Kim Eunju Photo CONCEPT_James Jeong 9
10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 861-1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12
498.77m2 건축면적 143.13m2 연면적 143.13m2 규모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장보윤,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
승근, 박정섭, 권태훈, 김경수, 장광수 발주처 김은주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1st Floor Plan

140
1. Living Room
2. Kitchen
3. Utility Room
4. Master Bedroom
5. Room
6. Library
7. Family Room After
8. Storage
9. Deck
10. Garden
11. Kitchen Garden
12. Parking Lot

Roof Plan
Before

141
수산리주택 861-1
건축주는 고양이 가족 이야기를 꺼냈다. 그들의 이야기가 계획의 과정에서 많은 부분 The owner started talking about the cat family. Their stories were reflected in many parts of
을 포함하게 되었고, 공간과 동선 등에 대한 배려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the planning process and the consideration on space and flow was installed in places.

기존의 건축물은 4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당을 좁게 하고 도로 쪽으로 텃밭을 The previous building was composed of 4 buildings. There was lack of light to be used as a
사용하고 있는 구성이었는데, 주택으로 활용하기에는 채광이 많이 부족하였다. 이에 house. Therefore, an outhouse which was covering the light from the south was
남향 빛을 가리고 있는 밖거리는 철거하고, 창고로 활용하고 있던 모거리도 위치를 demolished and the corner house which was used as warehouse was relocated.
옮겼다.
The main house and the outhouse were connected to facilitate the flow within the house
남아 있는 안거리와 밖거리는 연결하여 내부에서의 동선을 원활하게 하고, 평면상의 and the ceiling was installed to produce bright and cool interior space. What was unusual
깊은 공간에는 천창을 설치해 밝고 시원한 내부공간을 연출하였다. 특이한 점은 안방 was that the garden seen from the master bedroom was applied with window seat which
에서 보이는 정원으로‘스프레드 하우징’
에 설치하였던 window seat를 적용한 것이 was installed in ‘Spread Housing.' Through two deck spaces, garden and doorways, we
다. 이 부분을 구성하기 위해 현장 실무자들간에 복잡한 구조해석이 이루어졌다. 두 have tried not to miss expressing the winding walls of Jeju farm house.
개의 데크공간과 정원, 출입구 등을 통해 제주 농가의 휘감아 돌아가는 담장의 표현 Written by Kim Hohyun

을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142
143
Veterinary Clinic Pyeongtaek-si, Korea
The erets

Section

144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79, Ichung-dong, Pyeongtaek-si, Gyeonggi-do, Korea Use Veterinary Clinic
Site Area 484m2 Bldg. Area 96.77m2 Gross Floor Area 159.84m2 Bldg. Scale 2F Structure R.C.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Hard Wood Siding Project Team Yoon Bohyun, Ma Jihye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ang Sinseong Client Yoon Ilhyeon Photo CONCEPT_James Jeong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경기도 평택시 이충동 179번지 용도 동물병원 대지면적 484m2 건축면적 96.77m2 연면적
159.84m2 규모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송판무늬노출콘크리트, 하드우드사이딩 프로젝트팀 윤보현, 마지혜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강신성 발주처 윤일현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맑은숲동물병원
평택에 있는 대지는 큰 도로와 접하고 있지만, 언덕 형태의 구릉이 밀려 내려와 있는 형태이다. 건축계획은 땅의
레벨을 정비하고 출입을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내부구성에 대해서는 여러 스터디가 필요했는데, 대기-문진-
진료-수술의 동선과 미용, 호텔, 격리공간, 그리고 사무공간 등에 대한 긴밀한 협의와 사례조사를 통해서 독립된
건축물 구성이 가져올 수 있는 최대의 효과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대지의 절반을 열고 넓은 출입공간과 외부 데크 공간을 두어 건축물의 인지를 부각하고, 일부가 열린 2층 구성으로


동선을 분리했다. 대기공간에는 내외부의 확장성과 높은 천장, sky light를 통한 쾌적함을 방문객에게 제공한다.

외부 입면구성은 3가지 재료로 통일감 있게 표현했다. 노출콘크리트와 하드우드 계열의 여러 수종을 섞어 연출한
표피 구성,‘ㄱ’
자로 구성되어 출입구까지 연결된 창호 구성이 그 특징이다. 목재면은 입면을 따라 지붕을 덮고 있
어 3가지 재료의 입면 구성에 불편함이 없는 논리를 제공한다. 내부 구성에서는 경사진 지붕을 그대로 활용한 천
장 구성과 2개의 천창을 통한 환기역할이 가장 큰 특징이다. 더불어 폭이 좁고 높은 천장구성을 가진 대기공간의
부담감을 줄여주고자 설치한 조명기구 프레임을 안정되게 설치했으며, 제작된 원색의 소파가 그 아래 공간의 주인
공으로 자리 잡았다.

Though the site in Pyeongtaek abuts on the big street, it is at the edge of a downward hill. The construction plan started
with adjusting land levels and deciding on how to enter and exit the building. A long study was needed to decide on
internal arrangement of spaces. We made efforts to make each space in a separate building can play the most efficient
function through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on how to arrange lines of flow from waiting-seeing doctor-medical
treatment-surgery, and spaces for beauty salon, hotel, seclusion, and office.

We allotted half of the site to spaces for entry and exit and for decks to highlight the building, and line of flow is separated
by composing the 2nd floor as partly open formation. The waiting space was designed to provide visitors with sense of
comfortableness with expansion inside and outside, high ceiling, and sky light.

The outer wall composition was expressed with sense of unification with three elements. Its characteristics consists of
outer skin formation expressed by mixing exposed concrete and various kinds of hardwood plants and the formation of
doors and windows in 'ㄱ' form extending to the front door. Wood face covers the roof along the walls, providing the logic
without inconvenience in wall formation. In the inner composition, the ceiling using the sloped roof and the fact that there
are two ceilings are the biggest characteristics. To lessen the burden of narrow space with high ceiling, lighting apparatus
was installed, and primary color sofa is seated on the bottom floor space as the main actor of space. Written by Kim Hohyun

Elevation

145
Site Plan

146
147
1. Doctor's Office
2. Surgery
3. Information Desk
4. Waiting Hall
12 5. Shop
11 13 6. Beauty Parlor
7. Resting Deck
8. Front Yard
9. Resting Hall
10. Hospital Room
10 9 11. Office
12. Resting Roon
13. Terrace

2nd Floor Plan

2 6

1 1
8
3

4 5

1st Floor Plan

148
149
Wondang Youngnak Church Incheon, Korea
The erets

Elevation

150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833-4, Wondang-dong, Seo-gu, Incheon, Korea Use
Religious Facilities(Church) Site Area 591.9m2 Bldg. Area 354.91m2 Gross Floor Area 483.56m2
Bldg. Scale 2F Structure R.C.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Project Team Yang Hyejin, Ma
Jaehui Construction Gaju Construcion Client Wondang Youngnak Church Photo CONCEPT_James
Jeong

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인천시 서구 원당동 833-4 용도 종교시설(교회) 대지면적 591.9m2 건축면


적 354.91m2 연면적 483.56m2 규모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노출콘크리트 프로젝트팀
양혜진, 마재희 시공 (주)가주종합건설 발주처 대한예수교 장로회 원당영락교회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

원당영락교회
본 대지의 형상은 전면에 초등학교를 두고 원당지구를 지나 검단 방향으로 들어가는 도로
선상에 위치하며, 도로 위에서 굽어지는 위치에 본 대지가 있어 진입 시 보이는 건물의 형상
에 대하여, 의도적인 인상을 주고자 하였다.
“Who touched My garments?”
전면부는 예수님께서 사람들을 맞아주시는 형상으로, 도로 측의 가벽은 예수님의 옷자락을
형상화한다. 또한, 예수님 얼굴의 형상부에는 H-beam으로 구성한 십자가가 있으며, 도로
중앙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높이와 위치를 정하였다. 남쪽에는 계단실과 홀을 배치하여 밝
은 교회의 이미지를 만들었고, 북쪽에는 다용도 홀을 배치하여 새벽기도회 및 교제의 공간
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매스의 조합은 경사진 지붕 면과 원형 기둥, 내외부 회랑(CORRIDOR)의 형성으로, 현대적인
노출콘크리트 입면 안에 전통적인 누각(�閣)의 모습을 드러난다. 우리네 마을의 모임을 위
한 장소였던 누각의 형상은 교회 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담고 있다.
기존 교회와는 달리 경사지붕을 본당 내부에서 들어 올려 사면을 통하여 채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는, 젊은 성도들이 많은 점을 고려하여 밝고 활기차며 기쁨이 가득한
교회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내부의 원형 기둥을 노출하여 수직적 요소와 회랑의 형성 등으
로 풍요로운 실 구성을 하였다. 옥상 면의 일부를 평슬래브로 설치하여, 친교공간으로 활용
토록 하였다.

The site is located in a spot where an overview of the road can be taken in as it is on the corner
where the road starts to curve. As such, we tried to leave an intentional impression to viewers from
the form of the building.
The facade is in the form of Jesus greeting many souls, while the side walls of the road symbolize
the draping of the clothing worn by Jesus. The part that forms the face of Jesus has a cross made
of H-beams that is placed so that it can be seen well from the center of the road. To the south are
staircases and halls and to the north is a multi-purpose hall.
With the sloped rooftop, column and corridor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tructure takes on the
form of a traditional multi-story building that can be seen from all four sides, but in a more
contemporary exposed concrete structure. The traditional multi-story building used to be a place for
community gatherings, a traditional concept that has been adopted by the architecture of this
contemporary church.
Unlike existing churches, the sloped rooftop is lif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hall so that lighting
is sufficient. This was done for the younger churchgoers who prefer a brighter and more cheerful
atmosphere. The interior column is exposed to add a vertical aspect and a corridor is formed to give
richness to the space composition. A flat slab has been installed partially on the surface of the
rooftop, so that the space can be used for social events. Written by Kim Hohyun

151
152
Face Frame Plan

1 2

7 6

1. Chaple
2nd Floor Plan 2. Hall
3. Lobby
4. Office
4 5. Church Nursey
6. Reception Room
4 7. Operating Room
8. Kitchen
9. Roof Deck
10. Parking Lot
3
10 9
8
1

1st Floor Plan Roof Deck Plan

153
154
The Lowline The Lowline is a plan to use innovative solar technology to
illuminate an historic trolley terminal on the Lower East Side of
로우라인 New York City.

로우라인은 혁신적인 태양광 기술을 사용해 뉴욕시 로어


이스트 사이드에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트롤리 터미널을
raad studio
밝게 비추는 계획이다.

CLOVER FIELD Our answer to tackling the dual problem of dropping school
attendance levels and the growing achievement gap between
클로버 필드 the high performing schools and low performing schools was to
try and attain an immersive educational experience
complemented by passive learning techniques and to integrate
the school building and an active component in the program.
STUDIO TOGGLE
우리는 학교 출석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와 학업 성적이 우
수한 학교와 그렇지 못한 학교 간에 학업 능력 차이가 점
점 더 커진다는 문제에 봉착했는데 이에 대한 해답은 수동
적인 학습 기술로 보완되는 몰입형 교육 경험을 쌓도록 그
리고 학교 건물과 프로그램의 활동적인 요소가 통합되도록
노력하는 것이었다.

155
The Lowline New York, USA

raad studio

Architects raad studio Location Lower East Side, New York City, USA Use Public Park Site
Area 4,050m2 Max. Height 5m(Underground) Landscape Area 4,050m2 Engineering Arup
Lighting Arup Landscape Dirtworks Horticulture Brooklyn Botanic Garden Economic
Development HR&A Client The Lowline

156
157
로우라인
로우라인은 혁신적인 태양광 기술을 사용해 뉴욕시 로어 이스트 사이드에 있는 역사 The Lowline is a plan to use innovative solar technology to illuminate an historic trolley
적으로 중요한 트롤리 터미널을 밝게 비추는 계획이다. 우리의 비전은 깜짝 놀랄만한 terminal on the Lower East Side of New York City. Our vision is a stunning underground
지하 공원을 만들어 세상에서 가장 조밀하고 흥미진진한 도시 환경 가운데 하나인 이 park, providing a beautiful respite and a cultural attraction in one of the world's most dense,
곳에 아름다운 문화적 관광 명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곳은 이전에 윌리암스 버그 exciting urban environments. The proposed location is the one-acre former Williamsburg
다리 트롤리 터미널 부지였던 1에이커 넓이의 땅으로 맨해튼 로어 이스트 사이드의 Bridge Trolley Terminal, just below Delancey Street on the Lower East Side of Manhattan.
델란시 스트리트 바로 아래에 있다. 이곳에는 당시 쓰다 남은 자갈, 철도 선로, 그리 The space retains some incredible features, like remnant cobblestones, rail tracks and
고 아치형 천장 등 그 당시 모습들이 그대로 남아있다. 이 부지는 뉴욕시에서 녹지가 vaulted ceilings. The site is located in one of the least green areas of New York City-
가장 적은 지역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 프로젝트는 공익을 위해 사용되지 않은 공간 presenting a unique opportunity to reclaim unused space for public good. Written by raad studio

을 확보할 독특한 기회를 준다.

158
159
160
161
162
163
CLOVER FIELD Ohio, USA

STUDIO TOGGLE

Architects STUDIO TOGGLE Location Cleveland, Ohio, USA


Use Educational Facilities Project Team Hend al Matrouk,
Gijo Paul George Photo STUDIO TOGGLE

164
클로버 필드
우리는 클리블랜드 캠퍼스 국제학교의 새 캠퍼스를 설계하면서 통합, 갈라짐 그리고 Notions of aggregation, branching and hierarchy informed our design for the new campus
계층이라는 개념들을 도입하였다. 우리는 2가지 문제 즉 학교 출석률이 떨어진다는 of the Campus International School, Cleveland. Our answer to tackling the dual problem of
문제와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교와 그렇지 못한 학교 간에 학업 능력 차이가 점점 더 dropping school attendance levels and the growing achievement gap between the high
커진다는 문제에 봉착했는데 이에 대한 해답은 수동적인 학습 기술로 보완되는 몰입 performing schools and low performing schools was to try and attain an immersive
형 교육 경험을 쌓도록 그리고 학교 건물과 프로그램의 활동적인 요소가 통합되도록 educational experience complemented by passive learning techniques and to integrate the
노력하는 것이었다. school building and an active component in the program.

클로버잎 같은 구성을 보면, 사람들은 이런 간단한 패턴이 계층과 조직이라는 측면에 Looking at the configurational example of a cloverleaf, one marvels at the possibilities such
서 보여주는 가능성을 보고 깜짝 놀란다.“클러스터 기반 조직”원리와“학교 안의 a simple pattern affords in terms of hierarchy and organization. Combining the principles of
학교”시스템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캠퍼스가 적극적인 교육 참여자가 되도록 설계하 "Cluster based organization" and the "school within a school" system, the campus is
였다. designed to be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business of educating.

색깔 별 블록들은 조각 그림 맞추기의 조각들 같아서, 캠퍼스에서 필요에 따라 갈라 The color coded blocks are like pieces of a jig-saw puzzle which are both dissected as well
지기도 하고 함께 합쳐지기도 한다. 계층을 인용하면서도 너무 획일적이 되는 함정에 as brought together by the flows in the campus as is required. Rather than falling into the
빠지지 않기 위해서, 학생들은 공간 기울기가 점차 심해지는 내재적인 계층들을 하나 trap of becoming too rigid while quoting hierarchy, here the students use the inbuilt
의 도구로 사용한다. 공간 조직이 공공 공간으로부터 반-공공 공간으로 또는 사적 hierarchies of progressive space gradients as a tool. The spatial organization works in a
공간으로 필요에 따라 변하게 되며, 이런 이유로 여러 가지 유연한 교육 방법들을 지 fluid gradient from public to semipublic to private spaces as is needed and hence supports
원한다. 갈라짐과 통합의 기술들도 원하던 공간들의 다양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전 flexible multimodal educational methods. Techniques of branching and aggregations are
략 도구들로 사용된다. also used as strategic tools to achieve the desired diversity in spaces.

캠퍼스의 도시성이 이 학교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부여하고 클리블랜드 주립 대학교 The urbanity of the campus lends its unique identity and complements the master plan for
마스터 플랜을 보완한다. 각 공간이 한데 모여서 중앙 광장이 되고 이 광장이 아트 the Cleveland state university which it straddles. The spaces are brought together as a
미디어 센터가 되고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된다. 각 공간 하나하나마다 계단과 테라 series of nodes unified by the central piazza with the state of the art media center as an
스, 광장을 내려다보는 밝은 카페테리아, 그리고 유치원생들이 놀이터에 쉽게 가기 iconic landmark with its adaptive facade. The nodes, each have their unique landmark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커다란 미닫이문들의 유무와 무관하게 독특한 랜드마크 즉 못 whether it be the processional stairs and the series of terraces, the prismatic cafeteria
위에 있는 웅장한 음악 센터를 가지고 있다. overlooking the piazza, and the gigantic slides the kindergarten students can use to easily
access the play area, of the majestic music center cantilevered above the pool.
다양한 분위기와 커뮤니티가 있는 캠퍼스는 학생들이 학습 경험을 충분히 하는 동시
에 복잡다단한 외부 세계를 준비하면서 즐기는 장소가 된다. The campus with its myriad ambience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mmerse the students
in a total learning experience at the same time becomes a fun place to be, to interact and
to prepare for the complexities of the outside world. Written by STUDIO TOGGLE

165
Floor Plan

166
167
168
Seoul Forest Pond and Stream
Daemok Environmental Construction Co. Ltd.

Architects Dongsimwon Landscape Design Co. Construction Daemok Environmental Construction


Co. Ltd. Location 9, Wangsimni-ro 11-gil, Seongdong-gu, Seoul, Korea Area 1,156,498m2 Client
Seoul City

설계 동심원조경 기술사사무소 시공 (주)대목환경건설(http://www.daemok.co.kr)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


구 왕십리로11길 9 면적 1,156,498m2 발주처 서울특별시

169
Section

Section

Section

170
서울숲 연못 및 계류
애초 골프장, 승마장 등이 있던 뚝섬 일대를 주거업무 지역으로 개발할 경우 약 4조 It wa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Ttukseom area into a residential zone would bring
원에 달하는 개발이익이 예상되었으나 서울시민들의 휴식공간을 영국 하이드파크 about 4 trillion Won in profits. But the need for a park that is on park with Hyde Park in the
(Hyde Park) 뉴욕 센트럴파크(Central Park)에 버금가도록 마련하고자 서울숲이 탄 UK or Central Park in New York City won out, leading to the birth of Seoul Forest.
생하였다.
A relatively large stream that eventually led to a big eco-pond was formed and multiple
커다란 생태연못에 이르는 비교적 큰 계류를 만들고 여러 갈래의 지류를 만들었다. branches of the stream were built in. Around the large stream were experience facilities
만들어진 계류 주변으로 첨경물과 체험시설을 설치하여 시민들의 이용을 적극적으로 and other installments that added to the landscape, so that the space was enjoyable for the
유도하여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참여와 기쁨의 숲이자, 폰드와 계류 주변으로 다 citizens. Water plants of various types were planted around the pond and stream to create
양한 수생식물을 심어, 해가 지날수록 복원되는 생태가 풍성해지며, 고유의 식생 구 an eco-friendly environment and a forest that is alive.
조를 확보하고 다양한 생물서식처를 확립하여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의 숲의 이미
지를 가지게 되었다. The 'mirror pond' that reminds of a mirror due to its clear water is also a highlight. With a
depth of 3cm, the pond and its surroundings create an atmosphere as seen in a beautiful
이번 서울숲의 계류조성공사에는 현장의 흙을 주재료로 사용하되 사용 요구조건에 painting. Finishing was done in granite and the reflection by the metasequoia has become
맞게 혼합하여 쓰는 토양개량제인 DM-soilbentolime을 방수재로 사용하여 친환경적 one of the symbolic images of Seoul Forest that leaves a mark on its visitors. Seoul Forest
생태공법으로 시공하였다. 맑고 깨끗한 물로 가득 차 마치 거울을 연상케 하는‘거울 marks its 10th year anniversary of opening this year. It has now become a place where
연못’
도 눈길을 끈다. 깊이 3m의 연못이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 폭의 그림처럼 visitors come to for healing amid nature, even if it is in the heart of a bustling city.
담아내고 있다. 마천석 계열로 마감하였으며 열식된 메타세콰이어가 비추는 모습은 Written by Daemok Environmental Construction Co. Ltd.

서울숲의 찾는 이용객들에게 상징적인 모습 중의 하나로 남는다. 서울숲은 올해로 개


원 10주년이 되었다. 복잡한 도시 사이로 오롯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방문
객들의 힐링을 책임지는 곳이 되었다.

171
Section

173
174
Section

175
Architects INDEX
UK Pavilion, Expo Milano 2015, Wolfgang Buttress / 영국 파빌리온, 밀라노 엑스포 2015, 볼프강 버트레스
Wolfgang Buttress is an award winning artist working with public and private space. He creates simple, elegant and contextual artworks, which seek
to define and celebrate a sense of place and the sublime. His work alludes to histories, traces and memories that are both personal and contextual.

Havre, Linda Covit / 아브르, 린다 코빗


Linda Covit lives and works in Montreal, Canada. Among her many public artworks are a gift from the Quebec government to Shandong Province,
China; an installation on Montreal's Mount Royal Park commemorating the 1969 Lennon-Ono bed-in (Prix Les Arts et la ville - Prix amènagement
2012); an art wall with mist at the Four Seasons Hotel and Residences, Toronto, Canada (Regional Citation award, CSLA/AAPC 2014); a monumental
water column in the Calgary Water Centre, Calgary, Canada and four garden rooms in the Shangri La Botanical Gardens and Nature Center, Orange,
Texas, U.S.A. (ASLA Honor Award, 2012).

OFFICE DEVELOPMENT IN SHEKOU, Rocco Design Architects Limited / 셔코우 오피스, 로꼬 디자인 아키텍츠
Rocco Design Architects is a HK based architectural practice, whose work is grounded in the belief that architecture is the embodiment of culture,
embracing and reinterpreting the past as a fundamental way of bridging onto the challenges of the future.
Since the foundation in 1979, under the stewardship in design of Rocco Yim, the firm has grown significantly both in size and reputation. With currently
170 staff in Hong Kong and Mainland China, their works have been consistently awarded locally and overseas.

The Corner of Hangzhou, LYCS Architecture_Hao Ruan / 항저우의 코너, 엘와이씨에스 아키텍쳐_하오 루안
LYCS Architecture, is an international practice based in Hangzhou and Hong Kong. As one of the most well-know new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office in China, the firm engages in cutting-edge architectural design as a pioneer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China and internationally. The
firm is committed to both the ever-evolving demands of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 theory and practice as a function of our society.

The erets_Kim Hohyun / 더 이레츠_김호현


Kim Ho-hyun was born in 1975 in Seoul.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 with a B.S. in Architecture, he received the President's Award from the
Alumni Association at the degree exhibition 2011. After graduation, he worked under architect Cheon Keunwoo at Ye-cheon Architects for 10 years and
established visionary architects group "The Erets" in 2012.

111 South Wacker, Goettsch Partners / 111 사우스 웨커, 겟츠 파트너


Goettsch Partners (GP) is an innovative architecture firm with a global perspective, emphasizing a singular design approach across offices in Chicago,
Shanghai and Abu Dhabi. Focused on combining exceptional design, technical expertise and unmatched service, the firm creates measurable value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solutions. Services include architecture, interiors, planning and building enclosure design. Diverse projects around
the world share a consistent emphasis on bringing bold design clarity to complex challenges.

Customi-zip, L'eau design_Kim Dongjin / 과천 커스터마이집, 로디자인_김동진


L'EAU Design is a group seeking after such environment as falling under comprehensive sense and attempt the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al design.
'environment' includes meanings of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that influence in human lifestyle as well as ecological and build environment.

L'EAU Design,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00, has been pursuing a total design focused on 'Architecture and Urbanism' 'Renovation and Interior
Design' 'Environment Design' in order to architecturally design diverse concerns amid the better 'human environment', which is based on our
research abou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human.

17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