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4

空間 SPACE

ISSUE 662
JANUARY 2023 ISSN 1228-2472 ߣ
PUBLISHER & EDITOR TRANSLATOR
황용철 Hwang Yongchul 노성자 Ro Seongja
(seongjaro@gmail.com)
이기은 Rhee Kieun
EDITOR-IN-CHIEF (rhee.kieun@gmail.com)
김정은 Kim Jeoungeun 홍근호 Hong Keunho
ISSUE 662 (lalart@spacem.org) (keunho.hong@hotmail.com)
JANUARY 2023 이단비 Lee Danbee
(sharonlee361@gmail.com)
EDITOR 김석원 Kim Seokwon
방유경 Bang Yukyung (seokwon.kim@hotmail.com)
(thirdroom@spacem.org) 김단영 Kim Danyoung
월간 「SPACE(공간)」
박지윤 Park Jiyoun (hellokdy@gmail.com)
제58권 제1호 (통권 662호)
(space1125@spacem.org)
2022년 12월 25일 발행
한가람 Han Garam
1966년 9월 6일 등록 라803호
(fka1220@spacem.org) MARKETING MANAGER
정가 24,000원 윤예림 Youn Yaelim 허완 Hur Wan
(yaelimyoun@spacem.org) (hurwan0412@hanmail.net)
김지아 Kim Jia
(lifestremin@spacem.org)
(주)CNB미디어 공간연구소 AD MANAGER
03781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52-20(연희동 353-109) 김문철 Kim Munchel
SPACE magazine, 52-20 Yeonhui-ro, Seodaemun-gu, Seoul, Korea 03781 WEB EDITOR (mckim1334@hanmail.net)
Tel 82-2-396-3359 유진 Ryu Jin 권지성 Kwon Jisung
Fax 82-2-396-7331 (to.jinryu@spacem.org) (kjsbsh@hanmail.net)
URL www.vmspace.com
E-mail editorial@spacem.org
DESIGNER ADMINISTRATIVE MANAGER
월간 「SPACE(공간)」는 한국 간행물윤리위원회의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김희정 Kim Heejeong 류창림 Lyou Changlim
본지에 게재된 기사나 사진의 무단 전재 및 복사를 금합니다. (sambong@spacem.org) 김수빈 Kim Subin
Contents Copyright 2023 All rights are reserved by SPACE magazine. 이선희 Lee Seonhui
Listed in Clarivate Analytics (A&HCI)
DIRECTOR
황현진 Hwang Hyunjin BOARD OF DIRECTORS
(mua@spacem.org) 황용철 Hwang Yongchul
이상림 Lee Sangleem

PHOTOGRAPHER
남궁선 Namgoong Sun ADVISORY COMMITTEE
(viewpt@naver.com) 피터 쿡 Peter Cook
윤준환 Yoon Joonhwan 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ubrecord@gmail.com) 이소자키 아라타 Isozaki Arata
신경섭 Kyungsub Shin 로버트 아이비 Robert Ivy
(shinkyungsub@gmail.com)
에프라인 멘데스 Efrain Mendez
(info@archframe.net) EDITORIAL BOARD
진효숙 Chin Hyosook 이용우 Yongwoo Lee
(ttlmania1@gmail.com) 김광현 Kim Kwanghyun
노경 Roh Kyung 김선정 Sunjung Kim
(rohspace@gmail.com) 김찬중 Kim Chanjoong
한은주 Han Eunju

KOREAN LANGUAGE PROOFREADER


하명란 Ha Myungran SPACE ACADEMIA CHIEF EDITOR
(totoami@naver.com) 정만영 Mann-Young Chung
김성홍 Sung Hong Kim
이상헌 Sanghun Lee
ENGLISH LANGUAGE EDITOR
나탈리 페리스 Natalie Ferris
(nlferris25@googlemail.com) EDITORIAL ADVISOR
박성진 Park Sungjin
(modori3@naver.com)

PRINTING
(주)대한프린테크
DAEHAN PRINTECH Co., Ltd.

Cover ⓒChoon Choi (front, back)


CONTENTS

004
Ȗ&$ $-*40&$

EDITORIAL

006

NEWS

026

PROJECT

만화경 인리스튜디오
Ȗ $-*&$ 2/

#  ' $*.*+ Ǵ


)- ./0$*

Ȗ 40)".0#$)
036

PROJECT

셰어형 레지던스 하나조노 T2P 아키텍츠 오피스

#-  .$ )  )5*)*Ǵƨ-#$/ /.!!$

044

PROJECT
Ȗ ..-#$/ /.

성문안 CC 클럽하우스 레스건축

김영민

 *)"(0))'0 *0. Ǵ ..-#$/ /.

Ȗ*# 40)"
$(*0)"($)

056

PROJECT

이사부독도 기념관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0*&*0. 0(Ǵ$(+' 3-#$/ /0-

068

PROJECT

빛의 루 김재경

1$'$*)*!'*/$)" $"#/.Ǵ   ǚ $(

Ȗ#*$ $)*
076

PROJECT

105 에이라운드건축

ƧƦƫǴ-*0)-#$/ /.

084

FEATURE

공공, 기억, 장소: 버려진 공간을 소환할 때

0'$Ǜ (*-4Ǜ)' ǜ# )/*0((*))*) + .


086

Ȗ#**)#*$
FEATURE: DIALOGUE

과거와의 대화: 도시 기반시설의 문화공간화

김광수 × 최춘웅 × 김정은

$'*"0 2$/#/# ./ǜ# 0'/0-'-).!*-(/$*)*!-)


)!-./-0/0-

$( 2)".**˄#**)#*$˄ $( *0)" 0)

096

FEATURE: PROJECT
Ȗ#**)#*$

Ȗ $( !!- 4
노량진 지하배수로: 공백의 사유

최춘웅

*-4)"%$) 2" '&ǜ#*0"#/.*)(+/$) ..

#**)#*$

102

FEATURE: PROJECT

마곡문화관: 잃어버린 공간을 찾아서

최춘웅
Ȗ*# 40)"

"*&0'/0-' )/ -ǜ ( (-) *!+ ../

#**)#*$

110

FEATURE: DIALOGUE

예술과 건축: 협업과 횡단을 위한 대화

김장언 × 최춘웅 × 김정은

-/)-#$/ /0- ǜ$'*"0 !*-*''*-/$*))-*..*1 -

$( )")˄#**)#*$˄ $( *0)" 0)

118

REPORT

보화각의 건축가가 박길룡이 아니라면? 「SPACE」라는 물증, 혹은 미스터리

김현섭

Ȗ*0) '$(
#/
!-& $'4*)".*//# -#$/ /*!*#2"&ǢǴSPACE./# 1$ ) *-4./ -4

4*)DZ* $(

126

RELAY INTERVIEW: I AM AN ARCHITECT

지구에 발을 디디는

최봉국 × 박지윤

 //$)"**/*)-/#

#*$*)"&0&˄-& $4*0)
EDITORIAL

아무것도 하지 않는 액티비즘

SNS 계정 한두 개쯤은 가지고 실시간으로 일상을 공유하며 소통하는 시대. 이는 “인류가


삶을 기록하고 보관하는 아카이브의 토대, 즉 기억 문화가 고착된 물리적 공간에서 유동하는
가상 공간으로 이동했음을 의미한다.”▼1 디지털이 선사한 실시간이란 시간성은 오히려
오래된 공간에 집착하는 요즘 트렌드를 설명하는 단서가 아닐까. 문화 전방위적으로 꽤
오래 지속되고 있는 레트로 열기. 보존, 복원, 재생, 리모델링 등은 공공과 민간 프로젝트를
가리지 않고 여러 건축 작업에서 주요 키워드가 되었다. 다양한 사이트와 실무의 갈래를
뭉뚱그려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이제 오래됐다는 것만으로 가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지나, 우리
도시의 풍경을 차분히 들여다보며 이 현상을 해석하고 방향을 논의할 때가 되지 않았나.

「SPACE(공간)」 2023년 1월호는, 버려진 혹은 숨겨진 기반시설을 공공의 문화적 장소로 재생하는
작업에 개입해온 최춘웅(서울대학교 교수)의 시도에 주목한다. 농담처럼 본인을 배수로 전문가라
칭하는 최춘웅은 그간 배수펌프장, 배수장, 배수로 등 물과 관련된 도시 기반시설을 공공건축
또는 공공미술, 그도 아니면 토목사업의 일환으로 개입해왔다.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업을 전제로
한 그의 작업 방식은 독백이 아니라 대화의 과정을 연상케 한다. 이번 호 특집 ‘공공, 기억, 장소:
버려진 공간을 소환할 때’는 김광수(스튜디오 케이웍스 대표), 김장언(아트선재센터 관장)을
대화의 자리로 초청해 시간과 공간, 건축에 얽혀 있는 불확정적 의미를 포착해보고자 했다.

노량진 지하배수로, 마곡문화관, 소행성 G. 이번 대화의 소재로 등장하는 작업들은


집객력으로 그 성취를 평가받는 공공 공간을 지향하지 않으며, 공공의 참여로 성립하는
공공미술작업도 아니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기대를 모두 비껴간다. 심지어 건축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다룬다는 점에서 건축가의 자리 역시 분별해내기 쉽지 않다.

이번 특집 곳곳에서 발견되는 건축가 최춘웅의 태도는 가급적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숨겨져 있다가 인간 앞에 모습을 드러낸 거대한 스케일의 기반시설을 두고 그는 “깨끗이
청소”하여 “공간 자체만 남도록 편집”하는 일을 자신의 작업으로 소개한다. “언뜻 소극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방향을 알고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액티비즘일 수도 있다.” 최춘웅은 “왜 공공
공간은 군중과 집단을 위한 모임 공간이어야 하나?”라는 의문을 제기하며 사유와 독백의
장소로서 공공 공간을 제시한다. 김광수는 사용성이나 내러티브를 동원하는 ‘장소 만들기’가
아니라 비장소적 감각이 불러일으키는 리미널한 느낌에서 최춘웅 작업의 새로움을 읽어낸다.

과거의 공간에 대한 욕망이 넘실대는 시대, 우리는 일견 건축가의 색채를 지워가는 듯한 최춘웅의
작업에서 오히려 공간의 의미를 재규정하는 비판적 건축가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편집장 김정은

1. 정찬철, ‘볼프강 에른스트: 디지털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시간성과 기억 방식을 바꾸는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전 지구적 공존을 위한 사유의 대전환』, 이성과감성, 2020.

ǐǐǔ



요리하는 공간을 넘어: 불탑 쇼룸 리뉴얼

 
 ǜ
    

두오모앤코 사옥 2층에 위치한 불탑(bulthaup) 쇼룸이 재단장을 마쳤다. 1949년 The renewal of the bulthaup showroom on the second floor of the Duomo&Co. building is now
독일에서 주방가구 브랜드로 설립된 불탑은 주방을 ‘요리하는 공간을 넘어 삶의 공간이자 *(+' / ǚ -()&$/# )-) ./'$.# $)ƧƯƪƯǛ0'/#0+. ./# &$/# ).ǧ.+ *!'$! )
소통을 위한 공간’이라 여긴다. 불탑의 주방 시스템은 생활 방식에 관한 오랜 연구를 *((0)$/$*) 4*)**&$)"Ǩǚ. *)- . -#)- !' /$*)$)/*(* -)'$! ./4' *)0/ 
바탕으로 아름다움, 실용성, 정교함 등을 동시에 추구한다. 이러한 태도는 불탑이 최고급 over many decades, the kitchen systems of bulthaup seek beauty, utility, and precision. This approach
주방가구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불탑의 b 시리즈 중에서도 b3는 contributed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bulthaup as a top luxury brand in kitchen furniture. In its b
가장 혁신적인 주방 시스템으로 꼽힌다. 재료 두께를 10~13mm로 최소화하여 경쾌하고 . -$ .ǛƩ$.*).$ - .0'/#0+Ǩ.(*./- 1*'0/$*)-4&$/# ).4./ (ǚ4- 0$)"(/ -$'/#$&) ..
고급스러운 느낌을 선사한다. 일반적인 주방가구가 바닥에 고정하는 방식이라면, b3는 to 10 – 13mm, it presents a slick and deluxe feel. While kitchen furniture is typically installed at floor level,
벽 고정 방식으로도 설치가 가능해 디자인이나 배치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the b3 can also be installed across the walls, thus allowing for more flexible design and positioning.
b3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공간 연출은 최근 재단장한 불탑 쇼룸에서 확인할 수 있다. Various spatial presentations of this b3 model can be found in the renewed bulthaup showroom. Due to its
이 주방 시스템의 알루미늄 그레이 도어는 자체 소재로 인해 빛의 각도와 흐름에 따라 material properties, the grey aluminum door of this kitchen system prompts different moods according
분위기가 달라진다. 뒤편의 라미네이트 월 패널은 알루미늄이 가진 차가움을 따뜻함과 to the angle and flow of light. The laminated wall panel at the back mitigates the coldness of aluminum
부드러움으로 중화한다. 스테인리스 상판은 이음부를 숨김없이 노출했는데 이는 불탑만의 with warmth and gentleness. The connecting parts of the stainless-steel plate are candidly exposed to
탄탄한 기술력과 높은 시공력을 드러낸다. 리뉴얼 시기에 맞춰 아일랜드 마감재를 월넛  (*)./-/ 0'/#0+Ǩ.-*0.// #)$'(./ -4).&$''ǚ0-$)"/# - ) 2'Ǜ/# !$)$.#$)"(/ -$'*!/# 
무늬목으로 변경하기도 했다. 기존에는 어두운 오크 무늬목이 쇼룸에 무게감을 실었다면, island kitchen table was also replaced with walnut-structure patterned wood. While the original dark oak-
이번에는 돋보이는 나뭇결이 쇼룸에 생동감을 더한다. 박스 형태 주방은 국내 전시장에서 structure patterned wood conveys a sense of deep calm, the expressive wooden texture adds a sense of vitality
새롭게 선보이는 디자인으로 월 패널 가운데에 백 페인티드 글래스를 적용해 포인트를 to the showroom. The box-form kitchen, which is a new addition to the Korean showroom, emphasises
더했다. 숨겨진 슬라이딩 선반과 프리즘(서랍을 구획하는 장치) 등을 찾는 재미도 있다. its uniqueness by applying back-painted glass between the wall panels. It also offers an entertaining
디자인에 변화를 가미한 b2 모델의 워크벤치 또한 기존에 없던 싱크볼을 부착할 때 이미지와 aspect as one searches for the hidden sliding shelves and prisms (a device for equipping drawers).
노출되는 설비 시스템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디자인을 선택하는 데 고민을 덜어준다. As for the revised b2 model, its workbench now allows one to see how it would look with a sink bowl
워크벤치는 길이를 최소 1,560mm부터 원하는 만큼 확장하여 식탁 및 작업 테이블로도 attached and its accompanied installation system, giving customers the ability to make informed
활용할 수 있다. 불탑 주방 시스템이 규모나 비용 면에서 망설여진다면 워크벤치를 통해 decisions in their design choices. Also, by allowing the workbench length to be expanded from 1,560mm
불탑을 경험해보는 것도 좋다. 자세한 문의는 02-516-6165(두오모앤코 불탑 사업부)로. to a desired length,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table for both dining and work. If the scale and price
한가람 기자 *!0'/#0+&$/# ).4./ (+-*(+/.(*( )/Ǩ.# .$//$*)Ǜ*) )'24./-4!$-./ 3+ -$ )$)"$/
via the workbench. Further details can be reached at +82-2-516-6165 (Duomo&Co. bulthaup Seoul).
by )-(

불탑 쇼룸 전경
Views of the bulthaup showroom

Images courtesy of Duomo&Co. bulthaup Seoul

ǐǐǖ


시민들 속에 자리 잡을: 도킹서울




ǜ


지역에 장소성을 어떻게 심어줄 수 있을까?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서울은 미술관’은 *2)2 $)/-*0 . ). *!+' $)- "$*)Ǣǧ *0'$.0. 0(Ǩ4 *0' /-*+*'$/)
지역에 공공미술 작품을 설치하는 것이 그 해답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서울시는 *1 -)( )/ǹǺ.0"" ././#/*) *!/# ).2 -./*/#$.,0 ./$*)*0' /*$)./''+0'$-/2*-&.
2016년부터 ‘도시 전체가 미술관이 된다’는 취지로 공공미술 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 $)/# - "$*)ǚ$) ƨƦƧƬǛ#. )+-*(*/$)"/# +0'$-/+-*% /2$/#/# $)/ )/$*)*!ǧ/0-)$)"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장소적 가치를 기준으로 대상지를 선정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  )/$- $/4$)/*-/(0. 0(.Ǩǚ# +-*% /! /0- ..$/ .. *)/# 1'0 *!+' ǚ 
쓰이지 않던 노들섬 선착장에 자리한 네임리스 건축의 달빛노들(2020, 「SPACE(공간)」 639호 -#$/ /0- Ǩ. '** 0'ǹƨƦƨƦǛ*1 - $)SPACE*ǚƬƩƯǺ*)/# )*) *&*!* 0'
.')Ǜ
참고), 당시 서울로 7017 고가공원 사업이 진행되어 장소성에 변화를 겪던 만리동에 위치한 )*Ǩ.0).'ǹƨƦƧƭǛ*1 - $)SPACE*ǚƬƫƭǺ$))-$DZ*)"2#$#2.0) -"*$)"#)" ./*
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의 윤슬(2017, 「SPACE」 657호 참고) 또한 이 사업의 일환이다. $/.. ). *!+' 0 /*/# *)"*$)" *0''*ƭƦƧƭ+-*% ///# /$( - '.*+-/*!/# +-*% /ǚ
지난 10월 18일부터 시민들에게 공개된 공공미술은 도킹서울(2022)이다. ‘새로운 우주’라는 Docking Seoul (2022), a public art installation was open to the public on Oct. 18, which means
뜻을 가진 도킹서울은 2004년 폐쇄된 서울역 주차램프가 문화예술 공간으로 ǧ) 20)$1 -. ǨǛ/-).!*-( +-&$)"-(+$) *0'//$*)/#/# )'*. .$) ƨƦƦƪ$)/*
재탄생된 프로젝트다. 서울의 관문과 같은 서울역의 역할과 과거 주차램프였던 0'/0-'-/.+ ǚ# +-*% /+$// )/$*)/*/# -*' *! *0'//$*)."/ 24/* *0'
공간에 주목해 기획했다. 내부 공간은 타원형의 중정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만나지 and the space that used to be a parking ramp. The interior space is composed of an oval-shaped
않는 상향 램프, 하향 램프가 휘감고 있는 구조다. 서울 시민들은 과거 자동차 courtyard surrounded by upward and downward ramps that do not meet each other. Seoul citizens
길이었던 약 200m의 나선형 구간을 걸으며 총 일곱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4. 1 )2*-&.2#$' 2'&$)"*)/# ƨƦƦ(.+$-'. /*-*!/# !*-( ---(+ǚ
양정욱의 ‘그는 둥글게 집을 돌아갔다’는 자동차를 위한 주차램프가 사람에게 자리를 )" 0)"0&Ǩ.He went around a house implies that the car parking ramp gave up its seat to people to focus
내어주었음을 암시하며, 걷는 행위에 집중한다. 나선형 천장 위 설치된 긴 나무 판자들은 *)2'&$)"ǚ *)"2** )*-.*)/*+*!/# .+$-' $'$)"'/ -)/ '4"*0+)*2)/*/# ).Ǜ.$!
걸을 때마다 오르내리는 어깨를 표현한 듯 양쪽 방향이 번갈아 오르내린다. 김주현의 ‘생명의 3+- ..$)"/# (*1 ( )/*!*0-.#*0' -.2# )2 2'&ǚ $( **#40)Ǩ.Web of life forms a large mass made
그물’은 쇠파이프가 얼키설키하여 하나의 큰 덩어리를 이룬 형상으로, 개인과 사회, 인간과 of entangled iron pipes, expressing the interconnected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자연의 상호 연관성을 표현했다. 램프 구심점의 하단에 위치하는 정소영의 ‘깊은 표면’과 그 #0().))/0- ǚ#0)"*4*0)"Ǩ.Deep surface$.'*/ //# *//*(*!/# -(+Ǩ. )/ -) (
상단에 위치한 팀코워크의 ‘푸른별’은 서로 호응하며 미래 지향적 가치를 담아낸다. ‘깊은 *DZ2*-&Ǩ.Blue star is at the top,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future-oriented values. Deep surface has
표면’은 주차램프와 같은 나선형 구조로,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가 넓어진다. 심해부터 우주 a spiral structure like the parking ramp, but its radius grows as it goes up. From the deep sea to the outer
공간까지, 물질이 모여 탄생하고 소멸하는 생명의 질서를 보여주고자 했다. ‘푸른별’은 각기 space, the works wanted to show the order of life from birth out of gathered matter to extinction. Blue star
다른 빛을 뿜어내는 세 개의 원형 구조물이 공중에 매달린 구성이다. 태양의 소리 주파수를 consists of three suspended circular structures emitting different light in the air. The work is surrounded by
추출해 재구성한 사운드가 작품 주변에서 울려 퍼져 우주에 있는 듯한 감각을 일으킨다. the reconstructed sound of the extracted frequency of solar sound and makes us feel as if we are in space.
도킹서울은 사람들이 오고 가며, 이야기를 나누고, 추억을 만들고, 그렇게 개개인의 Docking Seoul reminds us that an element of placeness can be experienced even when only visiting
방식으로 장소를 기억하게 되는 것 또한 장소성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일깨워준다. a place, so that we can share its stories, make memories, and remember it in individual way.
박지윤 기자 by -& $4*0)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생명의 그물’, ‘나의 우주색’, ‘깊은 표면’과 ‘푸른별’ 설치 전경


(from left to right) Installation views of Web of life, My universe color, Deep surface and Blue star

Ȗ-& $4*0)

ǐǐǘ
www.hanglas.co.kr

3겹의 은막(Silver layer) 코팅된 트리플 로이유리

Silver Coating 1
Silver Coating 2
Silver Coating 3

䖦㻃
䋸䀗 전 세계 최고 단열 성능

䖦䖚
䋝䋊 국내 최초 생산의 트리플 로이유리

“ 더 자세한 내용은 YOUTUBE 채널로!


䖦䒱䑽
QR코드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䌔䅏䌅 제로에너지 빌딩 최적의 솔루션


흙에서 흙으로: 〈임옥상: 여기, 일어서는 땅〉 비인간 존재의 도시: <유사 도시 표본>

  ǜǧ


 ȃǜ Ǜ 

 Ǩ 
ȃ 
ǜǧ
ȃ

Ǩ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한국 리얼리즘 미술과 민중미술의 주요 작가 임옥상의 40여 년을 돌아보는 전시 인간이 없다면 도시가 작동하지 않을까? 작가 황문정의 개인전 <유사 도시 표본>에서는 비인간 존재들
〈임옥상: 여기, 일어서는 땅〉을 2022년 10월 21일부터 개최 중이다. 전시는 세 점의 대규모 설치 신작을 포함한 또한 서로 관계를 맺으며, 생성, 죽음 같은 순환이 가능한 유기체로 인식한다. 여기서 비인간 존재는
총 40여 점의 작품과 작가가 매일 그리고 적은 수권의 노트 아카이브를 선보인다. ‘여기’, ‘일어서는’, ‘땅’이 바퀴벌레와 같이 인간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벌레가 될 수도, 쓰레기와 같은 오물이 될 수도 있다.
각각의 주제로 6전시실과 7전시실, 그리고 전시마당을 채웠다. 7전시실의 ‘여기’는 임옥상의 제1회 개인전 ‘표본#1-텅 빈_뼈대를_타고 흐르는_입체적 파노라마’는 조적이나 미장을 할 때 사용되는 임시 가설물인
〈한바람〉(1981)을 소환한다. 사회문제에 깊이 천착했던 작가는 물, 불, 흙, 나무 등의 자연을 소재로 현실을 비계를 기본 구조로 한다. 비계에 설치된 잡초, 돌멩이 등의 이미지들은 자동으로 움직이며 순환되도록
증언하곤 했다. 작품은 관객이 사이사이를 거닐며 관람하도록 계획됐다. ‘웅덩이’(1976), ‘보리밭’(1983) 등의 구성됐다. 벽돌, 콘크리트로 대표되는 견고한 건축물이 도시의 요소라는 기본 생각을 전복하고자 비계를
회화에서 한지를 이용한 ‘정안수’(1997)를 지나 2010년대의 흙산수화에 다다르면, 그의 예술 세계가 흙에서 차용하고, 그간 말해지지 않았던 도시적 요소와 결합한 것이다. ‘비인간 지구’는 관객이 페달을 밟으면 내부
시작해 흙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한편 6전시실의 ‘일어서는’에는 작가의 대형 설치작들이 자리한다. 조명이 켜지면서 설치된 파이프 구조가 신체의 장기처럼 노출된다. 비인간 존재로 은유되는 동그란 공을
‘여기, 일어서는 땅’(2022)은 가로 12m, 세로 12m의 거대한 흙벽으로 임진강변 장단평야에서 떠낸 ‘진짜’ 파이프에 넣으면 그 공은 굴러 내려갔다가 다시 자동으로 올라온다. ‘표본#2-지하를_탈출하는_사물들의_반전
흙으로 빚어낸 것이다. 농부의 발자국과 이름 모를 생물의 흔적, 볏단의 둥치를 그대로 간직한 흙은 그 질감과 풍경’과 ‘표본#4-외부로_밀려나는_과포화_무리들’은 역류를 형상화했다. 두 작품은 각각 하수구
색, 냄새를 생생히 전하며 잊고 지내온 땅과 생명의 존재를 일깨운다. 전시장을 나선 관객은 마지막으로 밖으로 쏟아져 나온 사물의 풍경과 파이프에서 거품이 부글부글 새어 나오는 모습을 포착했다.
‘검은 웅덩이’(2022)와 마주한다. 작가가 땅의 ‘숨구멍’이라고 칭하는 웅덩이가 검게 물든 이유는 무엇일까. 인간이 없다면 도시가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발현된 것일 테다.
웅덩이를 바라보는 ‘대지-어머니’(1993)의 애처로운 눈빛이 대답을 구하고 있다. 전시는 3월 12일까지. 황문정은 이러한 사고에 의문을 제기하며 벌레, 오물과 같은 부정적 존재 또한 인간이 지정한 정체성일
윤예림 기자 뿐임을 상기하게 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 12월 6일까지 아워레이보(「SPACE(공간)」 654호 참고)가
구 명성교회를 리모델링해 오픈한 TINC(이것은 교회가 아닙니다)에서 열렸다.
#  3#$$/$*)ǧ $(&DZ.)"ǜ - Ǜ/# $.$)" )Ǩ/#/'**&.&*1 -/# +./ƪƦ4 -.*!2*-&4/#  박지윤 기자
Korean realist and Minjung-/$./ $(&.)"#. )*).#*2!-*(/ǚƨƧ//# /$*)'0. 0(*!
* -))*)/ (+*--4-/ǹǺǛ *0'ǚ#  3#$$/$*).#*2. ./*/'*!ƪƦ-/2*-&.$)'0$)" )$/42*-&2$/#*0/#0().Ǣ
)ǧ0.$DZ$/4+ $( ).ǨǛ 2)"**)%0)"- *")$. .)*)DZ#0() $)"..
/# /#- ) 2'-" DZ.' $)./''/$*)..2 ''.)*/ -#$1 *)/$)$)" $(Ǩ.$'4-2$)".)2-$/$)".ǚ organisms that can form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go through life cycles like creation and death. Here,
$1$ 0) -/# /# ( .ǧ ǨǛǧ

ǨǛ)ǧ ǨǛ/# -/2*-&.!$''0+/# .+ .*!'' -4ƬǛ non-human beings include the bugs, such as cockroaches, that we have negative view of as rubbish or filthy.
'' -4ƭǛ)'' -4)"ǚ# . /$*) /'' -4ƭ- ''. $(Ǩ.!$-./.*'* 3#$$/$*)ǹƧƯƮƧǺǚ Specimen#1-three-dimensional panorama_flowing through_the empty_frame is inspired by scaffolding, a temporary
Alongside his continued commitments in social issues, the artist often engages with the physical world structure used for masonry or plastering. Images of weeds and rocks installed on the scaffolding were designed
by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water, fire, earth, and tree. The exhibition was curated in such a way to move and circulate automatically. In order to break down the stereotype that solid buildings represented by
that the visitors would walk between the artworks. As one walks past paintings such as PuddleǹƧƯƭƬǺǛ bricks and concrete are the elements that form a city, the structures of scaffolding was borrowed and combined
Barley Field (1983), and Freshly Drawn WaterǹƧƯƯƭǺDz)-/2*-&/#/0. .hanjiDz*) --$1 ./ $(Ǩ. -/# with other urban elements that have often been neglected. In Non-human Zone, audiences can step on a pedal to
landscape paintings in the 2010s where one may then observe that his art world begins and ends with the turn on internal light and see the pipe structure that runs and intersects like the organs in our body. If you put
-/#ǚ)/# */# -#)Ǜ/# '-" DZ.' $)./''/$*).) !*0)$)'' -4Ƭ0) -/# /# ( 

ǚ a ball, a metaphor for a non-human being, into a pipe, it rolls down and automatically rises again. Specimen#2-
Here, the Rising LandǹƨƦƨƨǺ$.(..$1  -/#2''*!Ƨƨ˄Ƨƨ(/#/2.0$'/2$/#ǧ- 'Ǩ -/#0"!-*( reversed scenery_of things-escaping_underground and Specimen#4-densely populated_crowd_pushed_outward
)")'$)) -
(%$)")"$1 -ǚ#  -/#/#/#*0. ./# !**/./ +.*!!-( -.Ǜ/- .*!0)&)*2) (*4&!'*2ǚ# 4+/0- *% /.+*0-$)"*0/*!. 2 -.)0'$)"!*(*0/*!+$+ .- .+ /$1 '4ǚ
organisms, and the base of rice sheafs transfers the texture, colour, and smell in its raw state and reminds The idea that a city could not work without humans must have originated from human-centred thinking.
us of the land and life-existence that was once forgotten. As visitors exit the exhibition hall, one encounters 2)"**)%0)",0 ./$*)./# $ )- ($).0./#/$ )/$/4*!) "/$1  3$./ ) .0#.0".)!$'/#
Black PuddleǹƨƦƨƨǺǚ#/($"#//# - .*) !*-/#$.+0' Ǜ2#$#/# -/$./- ! -./*./# ǧ2$)+$+ Ǩ - *)'4( +*..$' 4/# #0()ǚ#$. 3#$$/$*)2.*).#*20)/$' ǚƬ/
ǹ#$.
.*/#0-#Ǻ
of the earth, to be coloured in black? The sorrowful expression in the opposite-facing artwork, The Earth- *+ ) 4 ǹ*1 - $)SPACE*ǚƬƫƪǺ!/ -- (* '$)"2*-&//# !*-( -40)".0)"#0-#ǚ
MotherǹƧƯƯƩǺǛ. (./* .&$)"0./#/,0 ./$*)ǚ#  3#$$/$*)2$'' *)$.+'40)/$'-ǚƧƨǚ by -& $4*0)

by *0) '$(

(" *0-/ .4*!

Ȗ-& $4*0)

전시마당 전경 ‘비인간 지구’ 설치 전경


$ 2*!'' -4)" Installation view of Non-human Zone

ǐǑǐ


한국화의 현재: 〈다시 그린 세계: 한국화의 단절과 연속〉 시간을 초월하는: 〈프리츠한센 150주년 기념 전시
SHAPING THE EXTRAORDINARY 영원한 아름다움〉
  

 

ǜ
ǧ 

 


 ȃǨ 

ǜǧ 
 
Ȅ
ǑǕǐ 



Ǩ

일민미술관이 2022년 10월 28일부터 한국화의 현재를 살피는 전시 〈다시 그린 세계: 한국화의 단절과 연속〉을 프리츠한센 코리아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프리츠한센 150주년 기념 전시
개최했다. 전시는 각기 다른 시제를 가지는 두 갈래 작품군으로 구성된다. 겸재 정선과 추사 김정희, 퇴계, SHAPING THE EXTRAORDINARY 영원한 아름다움〉이 2022년 11월 12일부터 문화역서울284에서 진행
사임당 등 한국화의 계보를 잇는 역사적 인물의 작품,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등장한 동시대 작가 13인의 중이다. 프리츠한센은 1872년 덴마크의 스물다섯 살 청년이 자신의 이름을 딴 작은 가구 공방을 열며 시작됐다.
작품이다. 1층부터 3층까지 각 전시실마다 병치된 고전과 현대 미술은 수백 년의 시간차를 개의치 않고 서로를 전시는 프리츠한센이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브랜드가 되기까지 150년간 일관된 태도로 쌓아 올린 미학적
바라보고 있다. 이들은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화가 현시대에 어떤 모습으로 실재하고 있는지를 묻고 가치의 족적을 따라 밟는다. 1층의 대합실에는 ‘처치 체어’(1936), ‘앤트™’(1952), ‘시리즈 7™’(1955) 등
답한다. 한국화의 전통과 개념은 오늘날 많은 부분이 단절되고 유실됐지만, 그럼에도 모사와 참조를 통해 프리츠한센을 상징하는 작품들의 빈티지 제품과 사진 및 영상 아카이브가 펼쳐진다. 덴마크 디자인 역사와
끊임없이 원본과 복제, 진품과 가품, 익숙한 것과 낯선 것의 경계를 허물며 고전에서 현대로 나아가고 있다. 예를 동행한 프리츠한센의 150년을 훑어볼 수 있는 자리다.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마르틴 뉘롭, 아르네 야콥센,
들어 정선의 산수화를 현대적인 화풍의 8폭 병풍으로 재창조한 손동현의 ‘한양’(2022), 불상의 수인과 화장품 폴 케홀름 등 20세기 덴마크 디자인을 이끈 건축가와 디자이너의 이름을 심심찮게 발견하게 된다. 당대 영향력
광고 모델의 전형적인 손동작을 동시에 연상시키는 박그림의 ‘홀리 메이크-업’(2022),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있는 디자이너들과 협업하며 혁신을 꾀했던 프리츠한센의 내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또한 이번 전시는
모사한 듯하지만 어딘가 불편하고 이상해 보이는 최해리의 ‘재가공본 ‘몽유도원도(1447)’’(2014) 등, 과거와 무형문화재 장인 네 명과 현대 디자이너 세 명이 참여한 ‘코리아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서울시무형문화재
현재의 감각을 넘나드는 동시대 작가의 작품들은 두 시제의 간극을 각자의 방식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자수장 최정인은 ‘스완™’에 초충도를 수놓았고 국가무형문화재 염색장 정관채는 ‘에그™’를 한국의 쪽빛으로
의미에서 전시는 한국화를 단절이 아닌 연속적인 것으로 바라본다. 한국화의 지금은, 한국의 지역성에 기대어 염색했다. 한국의 공예로 프리츠한센의 미학을 새로이 해석하고자 한 시도다. 1925년부터 자리를 지켜온
있으면서도 전통 예술과 구별되는 하나의 장르로서 그 개념을 다시 모색해야 할 때다. 전시는 1월 8일까지. 옛 역사의 단단한 석조 건축 아래, 마찬가지로 뚝심 있게 철학을 지켜온 가구들이 앉아 있다. 프리츠한센이
윤예림 기자 추구하는 장인 정신과 시대를 초월하는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자연히 되뇌게 된다. 전시는 1월 5일까지.
윤예림 기자
$) /ǚƨƮǛ
'($)0. 0(*!-/$.#*'$)") 3#$$/$*)/$/' ǧ *- )-$/$*)'$)/$)"$)'/ -DZ" Ǩ
/#/$.+'4./# +- . )/.// *! *- )/-$/$*)'+$)/$)"ǚ#  3#$$/$*)$.*(+*. *!/2*/$( '$) .ǜ/#  #  3#$$/$*)ǧ#+$)"/# 3/-*-$)-4DzƧƫƦ/#))$1 -.-43#$$/$*)Ǩ*DZ*-")$. 4
 
-/2*-&.*!!$"0- .$) *- )/-$/$*)'+$)/$)"#$./*-4.0#. *)" *)Ǜ $( *)"#0$Ǜ$ 2)"Ǜ) ) *- -!/ƥ .$")*0)/$*)$. $)"# '/0'/0- //$*) *0'ƨƮƪ!-*(*1ǚƧƨǚ
Shin Saimdang on the one hand, and the artworks of 13 contemporary artists that were created in the 2000s 
  ")..(''!0-)$/0- 2*-&.#*+*+ ) 4ƨƫDZ4 -DZ*'4*0)"()!-*( )(-&
*)/# */# -ǚ# /-$/$*)')*)/ (+*--4-/2*-&.%03/+*. $) # 3#$$/$*)#''!-*(/# '*4 $)ƧƮƭƨǚ#  3#$$/$*)/- .#*2!-/# -)#.*( $)/ -(.*!$/.0)*(+-*($.$)"//$/0 
to the third floor face one another, indifferent to the centuries that divide them. These artworks question and toward aesthetic value for the past 150 years, becoming a globally-reputed franchise today. In the waiting
answer how Korean traditional painting – which is founded on tradition – continue to exist and influence -**(//# !$-./!'**-Ǜ1$)/" +-*0/./#/- +- . )/
 .0#.$/.#0-##$-ǹƧƯƩƬǺǛ
today. While much tradition and conceptualising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 have become discontinued șǹƧƯƫƨǺǛ)
ƭșǹƧƯƫƫǺ.2 ''.)-#$1 *!+#*/*.)1$ *.- $.+'4 ǚ
/+-*1$ .
and lost, through copying and referencing, efforts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original and copy, authentic )*1 -1$ 2*!#*2
 *)/-$0/ /*/# #$./*-4*!)$.# .$")*1 -/# +./ƧƫƦ4 -.ǚ
and inauthentic, and familiar and foreign have been introduced to draw out Korean traditional painting from Continuing from there, names of leading Danish architects and designers in the 20th century such as
the past to the present moment. These time-transcending contemporary artworks such as Hanyang (2022) -/$)4-*+Ǜ-)  *. )Ǜ)*0' %ü-#*'(++ -!-*(/$( /*/$( ǚ#  3#$$/$*)- 1 '.

4*)*)"#40)Ǜ2#$#$.) $"#/DZ+$  !*'$)".- )/#/- - / . *)" *)Ǩ.').+ +$)/$)"$) Ǩ.$)/ )/$*)/*- 1*'0/$*)$.  .$")4*''*-/$)"2$/#$)!'0 )/$' .$") -.*!/#//$( ǚ'.*Ǜ
a modern art style, Holy make-up (2022) by Park Grim, which is reminiscent of one of the hand gestures of .#*2. 4/#  3#$$/$*)$.ǧ *- -*% /ǨǛ$)2#$#!*0-$)/)"$' 0'/0-'.. /-/$.).)/#- 
0#.//0 ..2 ''./# #)(*1 ( )/./4+$''4. )$)*.( /$+-*0/1 -/.Ǜ)Reprocessing *)/ (+*--4 .$") -.+-/$$+/ ǚ#  *0'
)/)"$' 0'/0-' -$/"  .0%)"ǹ (-*$ -4Ǻ
DZ*)"0*2*)*ȃƱƴƴƷȄDz (2014) by Choi Haeri, which has an uncanny and discomfiting resemblance to An #*$ *)"$) (-*$ - +')/.)$). /.*)șǛ2#$' /# /$*)'
)/)"$' 0'/0-' -$/" 
4 *)Ǩ.+$)/$)"Ǜ''.*( #*2$)/# $-*2)24. -1 /*-$" /# "+ /2 )/# /2*/$( '$) .ǚ#-*0"#  *(. &%)"ǹ)/0-'4 $)"Ǻ 0)" 2)# 4 ș2$/# *- )/*) .ǚ# . - ''// (+/./*
this, the exhibition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painting not as one of that of discontinuity but that of - $)/ -+- /
 Ǩ. ./# /$.1$ *- )-!/.().#$+ǚ) -/# (.*)-4./-0/0- *!/# 
continuity. The Korean traditional painting of today must find a way of establishing itself as a unique field old station that has stayed firm in its place since 1925, furniture that has remained true to its philosophy
)*) +//#/$.'*''4-**/ )4 /$./$)/!-*(/-$/$*)'-/ǚ#  3#$$/$*)2$'''./0)/$' )ǚƮǚ /#-*0"#*0//# /$( .) !*0)$) #*!/# 2$/$)"-**(.ǚ
/)/0-''4$)0 .*) /*- !' /*)

by *0) '$( Ǩ.$ *!-!/.().#$+)$/./$( DZ/-). )$)" 0/4ǚ#  3#$$/$*)'./.0)/$' )ǚƫǚ
by *0) '$(
Ȗ*0) '$(

Image courtesy of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프리츠한센 150주년 기념 전시 – SHAPING THE


〈다시 그린 세계: 한국화의 단절과 연속〉 전시 전경 EXTRAORDINARY 영원한 아름다움〉 전시 전경
3#$$/$*)1$ 2*!ǧ *- )-$/$*)' 3#$$/$*)1$ 2*!ǧ#+$)"/# 3/-*-$)-4
$)/$)"$)'/ -DZ" Ǩ DzƧƫƦ/#))$1 -.-43#$$/$*)Ǩ

ǐǑǒ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서울 한옥 일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경영자로서의 건축가’

 
ǜǧ

  
 Ǩ 
 

ǜǧ
Ǩ

서울시는 2001년 북촌가꾸기 사업을 시작으로 2008년 서울한옥선언, 2015년 서울한옥자산선언 새건축사협의회가 2023년 4월 19일까지 ‘경영자로서의 건축가’라는 주제로 총 6회차의 건축집담을 마련했다.
등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한옥 정책을 확장해왔다. 이러한 노력에 부응하듯 한옥에 대한 시민의 현재는 2회차까지 진행된 상태로, 지난 12월 7일 강연자는 전숙희(와이즈건축 대표)였다. 그는 자신을
관심도 높아졌다. 특히 2010년대 말부터는 주거로만 사용하던 한옥이 상업, 문화 등 여러 용도로 90년대 학번이자 70년대생으로 소개했다. 1997년 첫 회사생활을 시작할 때 IMF 외환위기가 발생했고, 미국
확장됐다. 현재는 한옥을 최소로 수리하고 내부를 현대적 인테리어와 가구로 꾸미는 것이 트렌드가 유학 시절에는 911 테러가, 미국에서 처음 회사를 차렸을 때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었다. 중진
된 듯하다. 서울시는 이 흐름에 발맞춰 한옥을 세계가 즐기는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건축가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지금은 팬데믹을 지나는 중이다. 그는 굵직한 경제 위기들을 거치며, 이를
〈서울 한옥 일상〉의 주제가 ‘세계가 함께 누리는 K-house, K-living’인 점도 이러한 배경과 맞닿는다. 견딜 만한 나름의 방법을 구축했다. 아산나눔재단 작업에서 목수 인건비가 높고 현장 노동시간이 길어지는
전시는 서울 한옥의 변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등을 소개했다. 참우리건축의 김원천은 한옥을 콘크리트 부재를 최소한으로 사용한 사례를 들며, 시공법을 간소화해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것을 방법 중
철거하거나 보수하는 현장에서 옛날 한옥 재료를 모아 한옥 구조물로 만들어 서울도시건축전시관 하나로 들었다. 더불어 작은 스케일의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것도 경영자로서 취할 수 있는 태도가 될 수
비움홀에 세웠다. 구조물 입구를 지나면 가장 먼저 지난 20년간의 한옥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북촌 있다고 말했다. 「엘 크로키」에 소개되어왔던 큰 스케일의 프로젝트 대부분이 버블경제 시기의 건축물이라는
한옥을 보전하던 때를 실험기(2002~2007), 보전을 넘어 신규 한옥을 조성하던 시기를 도약기(2008~2014), 것이 그 이유였다. 전숙희는 한국에서 개소를 준비할 당시 선배 건축가들에게 들었던 말도 소개했다.
한옥 등 건축자산을 관리하는 현재까지를 발전기로 구분했다. 주요 작품인 ‘온전당’, ‘취유헌’, ‘주성원’은 승효상(이로재 대표)은 “재미있는 일이 생기면 같이 해보자”며 버팀목이 되어주었고, 김인철(아르키움
전통과 현대적 감성이 어우러진 한옥의 일상을 보여준다. 이제는 ‘취유헌’처럼 한식 공간에 프리츠한센, 대표)은 “모든 사람에게 정성을 다하라”며 자영업자의 입장에서 실질적인 조언을 전달했다.
루이스폴센과 같은 양식 가구를 두는 모습이 낯설지 않다. ‘주성원’은 배산임수를 재해석한 정원으로, 이번 건축집담의 강연진은 이진오(건축사사무소 더사이 대표), 김찬중(더_시스템 랩 대표) 등의 중진
스튜디오 누에(대표 김지은)의 조경과 스튜디오 신유(대표 유승민)의 가구 등이 조화를 이뤘다. 전시는 건축가들로 꾸려져 후배 건축가들이 경영에 참고할 말들을 전한다. 모든 강연은 유튜브에서 다시 볼 수 있다.
12월 4일에 막을 내렸지만, 현재 서울한옥포털 온라인전시관에서 증강현실(VR)로 관람할 수 있다. 박지윤 기자
한가람 기자
The Korea Architects Institute has prepared six rounds of architectural discussions under the theme of
 "$))$)"2$/#/# 0&#*) " ) -/$*)-*% /$)ƨƦƦƧǛ *0' /-*+*'$/)*1 -)( )/ǹǺ#. ǧ-#$/ /.)" -ǨǛ2#$#2$''*)/$)0 0)/$'+-ǚƧƯǛƨƦƨƩǚ2*. ..$*).#1  )# '.*!-Ǜ)
consistently reaffirmed its supportive stance toward hanok through policies such as the Seoul Hanok /# ' /0- -//# '/ ./$.0..$*)*) ǚƭ2.**& #0)ǹ+-$)$+'Ǜ

Ǻǚ# 
Declaration in 2008 and the Seoul Hanok Assets Declaration in 2015. In response to these efforts, $)/-*0 # -. '!../0 )/2#*2.*-)$)/# ƧƯƭƦ.)./-/ # -0) -"-0/ $)/# ƧƯƯƦ.ǚ# )
public interest in hanok also increased. The current trend seems to be that of making minimal repairs .# ./-/ # -!$-./- -$)*(+)4$)ƧƯƯƭǛ.# ! /# .$)!$))$'-$.$.ǝ2# ).# 2../04$)"
to the hanok and decorating it with contemporary interior and furniture designs. In line with this $)/# Ǜ/# ƯƧƧ/ --*-$.///&.#++ ) ǝ2# ).# !$-././-/ *(+)4$)/# Ǜ.#  3+ -$ ) 
/- )Ǜ$.0-- )/'4. &$)"/* 1 '*+#)*&$)/*0'/0-'! /0- 2*-/#4*!"'*'$)/ - ./ǚ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Having established herself as a leading architect, she is now adapting to work
#$.*-.2$/#/#  3#$$/$*)/# ( *)ǧ DZ#*0. ) DZ'$1$)"/*  )%*4 4/# 2*-'Ǩǚ#  3#$$/$*) 0) -/# +) ($ǚ!/ - 3+ -$ )$)"(%*- *)*($-$.$.Ǜ.# 0$'/# -*2)24*!2$/#./)$)"$/ǚ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hanok)$)/-*0 .) 2+ -.+ /$1 ǚ4*'' /$)"$.- (/ -$'.!-*( $1$)") 3(+' !-*(/# *0)/$*). Ǜ/#/($)$($. /# 0. *!*)- / ( ( -.
sites of hanok (*'$/$*))- +$-Ǜ $(*)# *)!-*( -#$/ /.0$'/hanok structure which requires high labour costs for carpenters and long on-site labour hours, she said that shortening the
//# 
 ''$) *0' ''*!-)$.(ƥ-#$/ /0- ǹ *0' Ǻǚ.//# ./-0/0- Ǩ. )/-) Ǜ*)  construction period by simplifying construction methods was one of her chosen methods. In addition, she
)- 1$ 2/# 1-$*0.+*'$$ .- "-$)"#)*&!*-/# +./ƨƦ4 -.ǚ#$.2.$1$ $)/*/#- + -$*.ǜ .$/#/!*0.$)"*).(''DZ.' +-*% /.) ) (+*2 -$)"(*1 .()" -ǚ# -"0 /#/(*./
/# 3+ -$( )//" ǹƨƦƦƨDzƨƦƦƭǺ2# )0&#*)#)*&2. .$")/ !*-+- . -1/$*)Ǜ/# & DZ*!! *!/# '-" DZ.' +-*% /.$)/-*0 $)El Croquis were buildings built during the bubble economy period.
Stage (2008 – 2014) when work went beyond preservation to create new hanoks, and the Development Stage She introduced what she heard from senior architects when she was preparing for her new company in Korea.
(2015 – present) when hanok and relevant architecture properties are now being actively managed. The main  0)" DZ)"ǹ+-$)$+'Ǜ
 -#$/ /.ƥ+')) -.Ǻ+-*++ # -0+4.4$)"Ǜǧ# )2 !$))$)/ - ./$)"
artwork Onjeondang, Chwiyuheon, Juseongwon displays the daily life of a hanok by evoking both traditional +-*% /Ǜ' /Ǩ.*$//*" /# -ǨǛ) $(
)# *'ǹ+-$)$+'Ǜ-#$0(Ǻ"1 +-/$'1$ !-*(/# +*$)/*!1$ 2
and contemporary tones. It no longer feels foreign to see western furniture from 
 *- *0$. *!/# . '!DZ (+'*4 Ǜ.4$)"Ǜǧ- / 1 -4*) 2$/#''4*0-# -/ǚǨ# ) 3/-#$/ /0-'$.0..$*)/#/$)1$/ .
Poulsen in a Korean space such as Chwiyuheonǚ.- $)/ -+- //$*)*!/# /*+*"-+#4ǧ(*0)/$)//# &Ǜ ' $)"-#$/ /..0#.  $)*#ǹ+-$)$+'Ǜ 
Ǻ) $(#)%**)"ǹ+-$)$+'Ǜ Ǹ Ǻ
-$1 -//# !-*)/ǨǛ/# "- )Juseongwon harmonises with the landscaping of Studio nouer (principal, Kim 2$'' '$1 -# '+!0'*(( )/./*4*0)" --#$/ /.ǚ''' /0- .) 2/# "$)*)/# *00 ǚ
$ 0)Ǻ)/# !0-)$/0- *!/0$*#$)4**ǹ+-$)$+'Ǜ** 0)"($)Ǻǚ#$' /#  3#$$/$*) ) *) ǚƪǛ by -& $4*0)

$/$../$''+*..$' /*# &$/*0/.1$-/0'DZ- '$/4*)'$)  3#$$/$*)41$.$/$)" *0' )*&*-/'Ǩ.2 .$/ ǚ


by )-(
©Han Garam

-
).#*/!-*(*00

〈서울 한옥 일상〉 전시 전경 건축집담, ‘경영자로서의 건축가’


3#$$/$*)1$ 2*!ǧ$'4 $1 .*! )*&.$) *0'Ǩ -#$/ /0-'$.0..$*)Ǜǧ-#$/ /.)" -Ǩ

ǐǑǔ


데이터를 통해 미래를 엿보다: ‘2022 제3차 AURI 건축도시포럼’



   ǜǧǒǐǒǒǓ

Ǩ

12월 2일, ‘2022 제3차 AURI 건축도시포럼’이 온라인(유튜브)과 오프라인(인사동 ) ǚƨǛ/# ǧƨƦƨƨƩ-
-#$/ /0- )-)*-0(Ǩ2.# '*/#*)'$) ǹ*00 Ǻ
코트)에서 동시 진행됐다. 주제는 ‘데이터로 읽는 건축・도시 공간의 미래’였다. 포럼은 )*!!'$) ǹ/
).DZ*)" Ǻ.$(0'/) *0.'4ǚ# /# ( 2.*)ǧ $)"/# 0/0- *!
장윤규(국민대학교 교수)의 기조 발제로 본격 시작했다. 그는 『복합체(Compound -#$/ /0- )-)+ #-*0"#/Ǩǚ# !*-0( ")2$/#& 4)*/ +- . )//$*)4 )"
Body)』(2005)에서 미래와 관련한 단어들을 발췌하고 각 단어를 주제로 삼은 도시들을 **)"4**ǹ+-*! ..*-Ǜ **&($))$1 -.$/4Ǻǚ4- !' /$)"*)/ -(.- '/ /*/# !0/0- $)#$.**&
서술한 바 있다. 이번 발제에서는 ‘공기정화 도시’, ‘재난 도시’, ‘수직 도시’ 등을 Compound BodyǹƨƦƦƫǺǛ )"#.2-$// )*)1-$*0./# (/$. $/$ .. *)/# . / -(.ǚ
)/#$.
영상과 함께 소개했다. 그중 수직 도시는 건축물 바닥을 부지로 치환한 개념이다. +- . )//$*)Ǜ )"$)/-*0 ǧ$-0-$!$/$*)$/4ǨǛǧ$../ -$/4ǨǛ)ǧ -/$'$/4Ǩ2$/#1$ *.ǚ
사람들은 수직 도시의 땅을 분양받고 그 위에 단독주택 등을 지을 수 있다. One of these three, Vertical City, is a concept that reimagines the building floor as a public site.
그동안 미래 도시상은 IT, 인공지능 같은 기술과 결합한 형태로 그려져 왔으며 대표 People can distribute and receive lands of Vertical City and build detached houses on them.
사례가 스마트시티다. 안지용(LG경영연구원 공간연구소 소장)은 이것이 “데이터, The urban plan of the future was often drawn with the help of technologies such as IT and AI, and this is aptly
친환경 기술에만 국한되지 않고 어떤 행위를 끌어낼지와도 연관된다”고 말했다. $''0./-/ 4.(-/$/$ .ǚ#) $4*)"ǹ#$ !- . -# -Ǜ+  . -#
)./$/0/ / 0.$) .. . -#Ǻ
핀란드에 있는 스마트시티 칼라사타마(Kalasatama)가 ‘주민에게 매일 한 시간의 )*/ /#//#$.ǧ*) -).+*..$$'$/$ . 4*)/) )1$-*)( )/''4DZ*).$*0./ #)*'*"$ .ǨǛ2#$' /# 
여유를 돌려주자’는 비전을 가지듯 말이다. 박소아(바이브컴퍼니 부사장)는 3기 $))$.#.(-/$/4 '../($(./*ǧ"$1 &/*/# + *+' *) #*0-*!!- /$(  1 -44ǚǨ-&*
신도시 개발 과정에 디지털트윈을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디지털트윈이란 현실 (vice-president, VAIV Company) explained how digital twin was applie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3rd
속 대상을 가상현실에 재현하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여  ) -/$*) 2*2).ǚ$"$/'/2$)$./ #)*'*"4/#/.$(0'/ .- 'DZ'$! *% /.).$/0/$*).$)1$-/0'
결과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3기 신도시는 디지털트윈을 활용해 법령 적합 여부, - '$/4/*+- $/- .0'/.ǚ40/$'$.$)"/#$./ #)*'*"4Ǜ' "'++-*+-$/ ) ..Ǜ').+ ǹ.&4'$) Ǜ*1 -" Ǜ
경관(스카이라인, 차폐율, 조망), 가로시설물 등을 검토하고 의사결정에 참고했다. 1$ 2ǺǛ)./- /!$'$/$ .2 - - 1$ 2 $) $.$*)DZ(&$)"!*-/# Ʃ- ) -/$*) 2*2).ǚ'.*Ǜ
작년부터는 3차원 가상도시 체험 플랫폼을 구축해 예비 청약자에게도 도움을 주고 있다. virtual-reality platforms to pre-experience the city have been established for prospective inhabitants.
혁신적 시도가 아니더라도 미래에 현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 .*( /#$)"- 1*'0/$*)-4Ǜ2#/.*'0/$*).* ./# !0/0- +-*($. /*+- . )/+-*' (.Ǣ
김승범(VWL 소장)은 휴대폰 데이터로 분석한 이동과 생활권을 발표했다. 주목할 점은 $( 0)"0(ǹ+-$)$+'Ǜ Ǻ+- . )/ (*1 ( )/.)'$! DZ5*) .*!+ *+' 4)'4.$)"+#*) /ǚ
지방 거주민의 수도권 체류 시간이었다. 안동시, 익산시, 영양군의 경우 수도권에 있는 What was of note was the amount of time spent by non-Seoul inhabitants in the capital area. In the cases of
종합병원 혹은 놀이공원으로의 이동이 감지됐다. 이러한 정보는 생활권 범위에 무엇이 )*)"DZ.$Ǜ
&.)DZ.$Ǜ) *)"4)"DZ"0)Ǜ(*1 ( )/.(*./'4' /*#*.+$/'.*-(0. ( )/+-&.$)/# 
결핍됐는지를 시사한다. 만일 현상을 넘어 사회적 작동 방식을 알아내고자 한다면 +$/'- ǚ#$.$)!*-(/$*)- 1 '.2#/2.'&$)"$)/# . + *+' Ǩ.'$! DZ5*) .ǚ $( /#/$!2 
“데이터에만 압도되지 않고 이와 연계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김승범은 전한다. 2)//*"* 4*)/#  (+$-$'+# )*( )/*0) -./)/# .*$'*+ -/$1 ( #)$.(.Ǜ*) ǧ(0./1*$
데이터를 활용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방법도 있다. 그동안 도시, 건축의 안전 정책은  *($)"*1 -'4$./-/ 4/)$)./ *)0/,0'$//$1 ./0$ .$)/) (Ǩǚ( /#*/*+- 1 )/
사고가 발생하면 그 이후에 기준이 강화되는 식으로 이뤄졌다. 조영진(건축공간연구원 accidents by utilising data was also introduced. The practice thus far in urban architecture regarding safety
빅테이터연구단 단장)은 건축 행정 정보 같은 데이터를 통해 내진, 침수, 화재, 범죄예방 #. ) )#)$)"- "0'/$*).!/ -$ )/.#1 '- 4*0-- ǚ4./04$)"/.0#.-#$/ /0- DZ
환경설계(CPTED) 등의 효율성을 분석했다. 그 자료에서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 '/ ($)$./-/$1 $)!*-(/$*)Ǜ#**0)"%$)ǹ$- /*-Ǜ$"/ . -#*!-#$/ /0- ƥ-)
장소들의 특성은 최근 재해가 발생한 곳과 상당 부분 일치했다. 미래에 이러한 데이터를  . -#
)./$/0/ Ǻ)'4. /#  !!$$ )4*! .$").- "-$)",0& .Ǜ!'**$)"Ǜ!$- Ǜ)-$( ǹǺǚ
잘 활용한다면 취약한 성능을 미리 감지하고 강화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What was revealed through this analysis was that the places that were accident-prone mostly coincided with
한가람 기자 areas that recently suffered from disasters. If we were to utilise this study in the future, we would be able to
preemptively detect vulnerabilities in order to enhance them and thus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by )-(

‘2022 제3차 AURI 건축도시포럼’


ǧƨƦƨƨƩ-
-#$/ /0- )-)*-0(Ǩ

-
).#*/.!-*(*00

ǐǑǖ
9가지 키워드로 읽는 도시 서울의 정체성
길-필지-블록 건물 영역 슈퍼블록 조각보 시설의 배치 가로경관 공공공간 자연

328쪽 180 × 235mm 32,000원 ISBN 979 11 87071 30 - 3

서울 어바니즘
이상헌

공간서가는 월간 「SPACE(공간)」의 편집부가 발행하는 건축예술분야 단행본 브랜드입니다. 이는 1966년 창간 이후 한국 건축문화예술의


담론을 생성해온 「SPACE」의 역할을 확장한 것으로, 동시대의 건축과 예술을 더 깊은 호흡과 시선으로 대중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설계공모 당선안 두 개 발표

  





간성초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조성공사 설계공모  .$")*(+ /$/$*)!*-- )(-/#**'*!). *)"' ( )/-4#**'
2022년 10월 20일, 강원도교육청에서 실시한 간성초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조성공사 )/ǚƨƦǛƨƦƨƨǛ)"2*)-*1$)$'!!$ *!0/$*)))*0) /# - .0'/.*!/#  .$")
설계공모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공모는 미래사회의 변화와 학교교육 체제 변화에 *(+ /$/$*)!*-- )(-/#**'*!). *)"' ( )/-4#**'ǚ#$.*(+ /$/$*)+-*(*/ 
대응하는 새로운 학교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설계 대상지는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the creation of a new school that would respond to changes in society and to the school education
간성로 39번길 20 간성초등학교 부지 내로, 지상 3층 이하 2,337.93m2 면적의 본관동 .4./ ($)/# !0/0- ǚ# - *)./-0/$*)*!($)0$'$)"*!ƨǛƩƩƭǚƯƩ(2 with three floors or less
개축이 요구됐다. 당선사인 건축사사무소 테두리(대표 안종진)는 자연 지형을 따라 $.- ,0$- $)/# .$/ *!). *)"' ( )/-4#**'ǛƨƦ). *)"DZ-*ƩƯ *)DZ"$'Ǜ). *)"DZ 0+Ǜ
기존 학교시설과 연계된 교육시설을 배치하고, 증축동과 존치 건축물의 유기적인 *. *)"DZ"0)Ǜ)"2*)DZ*ǚ# 2$)) -Ǜ/ **-$-#$/ /.ǹ+-$)$+'Ǜ#) *)"%$)ǺǛ+-*+*. +')
연계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본관동은 마을 남쪽을 향해 열려 있으며, 지역 to situate educational facilities linked to existing school facilities within the natural topography, and
주민이 생태 마당을 통해 운동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학교 건물을 to connect a new extension organically to the existing building. The main building will be open to the
둘러싼 사방에 울타리를 설치해 출입구와 영역을 구분하고, 주변의 접근을 고려한 south of the village so that villagers can experience the playground through an ecological garden. In
다양한 레벨의 진입 브리지를 두어 건물과의 연결성을 높였다. 심사위원은 “학교 addition, all sides of the school building will be enclosed by fences to separate entrances and areas, and
시설과 주변, 중정과 내부 공간의 관계 설정에 대한 고민과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이 access bridges at various levels for the access from its neighbours will increase connectivity with the
돋보인다”고 평했다. 본관동은 설계안을 토대로 2023년 하반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0$'$)"ǚ# %0-*-.*(( )/ Ǜǧ# +-*+*.'$.*0/./)$)"$)/#/$//-$ ./*!$"0- *0/#*2/*!*-(
- '/$*).#$+ /2 ).#**'!$'$/$ .).0--*0)$)".Ǜ) /2 )/# *0-/4-)$)/ -$*-.+ ǚǨ
묵호고 그린스마트스쿨 조성공사 설계공모 The main building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the second half of 2023 based on the proposal.
2022년 11월 4일, 강원도교육청이 묵호고 그린스마트스쿨 조성공사 설계공모의
당선자로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대표 서재원)를 선정했다. 본 공모는  .$")*(+ /$/$*)!*-- )(-/#**'*!0&#* $"##**'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의 일환으로, 노후된 시설을 개축해 지속 가능한 학습 )*1ǚƪǛƨƦƨƨǛ)"2*)-*1$)$'!!$ *!0/$*). ' / *-#$/ /.ǹ+-$)$+'Ǜ0#  2*)Ǻ
공간 및 학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대상지는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 2$)) -*! .$")*(+ /$/$*)!*-- )(-/#**'*!0&#* $"##**'ǚ.+-/*!/# 
묵호고등학교로, 총 3층 규모의 본관동(3,076.79m2)을 4층 규모(3,935.4m2)로 - )(-/#**'+-*% /Ǜ/#$.*(+ /$/$*)2.+-*(*/ /*- / .0./$)' ' -)$)".+ )
증개축하는 설계안이 요구됐다. 당선안은 기존 교사동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 )1$-*)( )/4- *)./-0/$)"*0// !$'$/$ .ǚ# .$/ $.0&#* $"##**''*/ $)
8자형 평면과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를 누릴 수 있는 중정형 공간으로 구성됐다. Donghae-si, Gangwon-do, and a design plan was required to expand and reconstruct a three-story main
심사위원단은 기존 건물과 새로운 건물을 기능적으로 연결한 점과 두 개의 중정을 0$'$)"ǹƩǛƦƭƬǚƭƯ(2) as a four-storey building (3,935.4m2). The winning proposal consists of plans in
도입해 다채로운 외부 공간을 조성한 점, 그린스마트에 걸맞은 새로운 유형의 학교 the figure of 8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existing school building and courtyards which allow us
건축을 제시한 점 등이 우수하다고 평했다. 2023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는 /* 3+ -$ ) *0/**-.+ $)1-$*0.24.ǚ# %0-4*(($// +-$. /# !0)/$*)'*)) /$*)
묵호고 그린스마트스쿨 조성공사는 총 사업비 약 9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between the existing building and the new extension, two courtyards to create diverse exterior spaces,
김지아 기자 and a proposal for a new type of school architecture suitable for Green Smart. The main building of
0&#* $"##**'$..# 0' !*-*(+' /$*)$)/# . *)#'!*!ƨƦƨƩ2$/#*0/Ưǚƪ$''$*) ǚ
by $( $

©tedoori architects

간성초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조성공사 설계공모 당선작


Winning proposal of Design Competition for
- )(-/#**'*!). *)"' ( )/-4#**'

ǐǑǘ
18기 SPACE 학생기자 모집

답답한 설계실에서 뛰쳐나와 드넓은 건축, 문화 현장을 누비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만나면서 세상에 물음표를 던질 바로 당신!

월간 「SPACE(공간)」와 함께 건축 및 예술 저널리스트의 꿈을 키울 학생기자를 모집합니다.

국내외 대학(원)생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선발되는 학생기자들은 본인이 속한 캠퍼스와 지역의 소식을 취재할 뿐만 아니라,

「SPACE」에서 기획하는 다양한 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대상

국내외 건축, 예술, 문화, 도시 분야

대학(원)생(휴학생 포함)

모집인원
www.vmspace.com

00명

활동기간

2023년 3월부터 1년간

혜택

학생기자증 발급,

「SPACE」 1년 정기구독권 증정,

공간서가 책 3~5권 증정,

join us 「SPACE」 주최・후원 행사 우선 초청

제출기한

2023년 2월 10일까지

18th 제출서류
(온라인 제출) 이력서,

자기소개서 A4 1장,

SPACE
「SPACE」 리뷰 A4 1장,

자연스러운 모습의 상반신 사진

(300dpi, 가로 10cm 이상),

재학증명서(학생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공문)

student reporter 제출 및 문의

editorial@spacem.org

VMSPACE 공지사항 참고

recruitment ǐǑǙ
발표

「SPACE」 2023년 3월호 발표 및 개별 통보




동사로 가득한: 땅에서 발견하는 도시 정체성: 시대의 면면을 품은 서울:


『도서관은 살아 있다』 『땅은 잘못 없다』 『서울건축사』

자신을 ‘도서관여행자’로 칭하는 저자는 도시를 걷다 보면 독특한 땅을 마주하게 동서양 건축을 바라보는 다채로운 관점을
문헌정보학을 전공하고 미국에서 된다. 폭이 좁은 땅부터 조각난 필지, 건물 제공해온 건축사학자 임석재가 한반도 역사에서
도서관 사서로 근무했다고 한다. 경계부에 남은 땅까지 이형적인 형태로 서울이 갖는 대표성에 주목해 서울을 중심으로
그 기간은 정숙한 도서관이 아닌 호기심을 자아내는 땅들이 곳곳에 산재한다. 한국건축사를 조명한다. 저자는 629년간의
시끄럽게 살아 있는 도서관을 경험하는 건축가 신민재는 보편적이지 않은 조건의 서울건축사를 조선, 근대, 현대 연대기 순으로
시간이었다. 검색엔진이 통용되기 전 땅에 자리 잡은 건축물에 주목해 답사를 구분해 시기별 대표 건축물과 함께 서울이
유니콘에 관한 황당한 질문에도 온갖 시작했다. 개발과 흔적의 경계에서 고유한 변천한 과정을 되짚는다. 1부에서는 한양의
참고 자료를 뒤져 답을 해주는 사서의 인상을 이루는 땅과 건축물을 찾아 그 궁궐과 종묘사직, 성곽, 왕릉 등 건축을 통해
일상, 관장이 아이들 소음을 항의하는 이면의 배경에 대해 탐구했다. 이 책은 조선이 왕실과 국가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사람에게 귀마개를 건네는 에피소드 저자가 페이스북에 2020년 5월부터 소개한 한 시도를 살핀다. 2부에서는 개화기와
등은 도서관의 공적 가치를 드러낸다. 80여 개의 얇은 집 가운데 서울 소재의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근대 형성기에 유입된
사서 입장에서 도서관 건축을 바라본 60여 개를 선별해 담은 책이다. 종로구 서양 건축과 전통의 조우를 다룬다. 공사관,
내용도 담았다. 시애틀 중앙도서관(OMA), 필운대로가 개통되며 편입되지 못한 채 프랑스 가톨릭, 미국 개신교회와 선교사,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도서관(미스 반 잘린 땅, 100년간의 무분별한 토목공사의 영국성공회와 구세군 등 한양에 진출해
데어 로에) 등은 도서관 우수 사례로 자주 상처를 간직한 숭례문 앞 세종대로 필지, 서양 건축을 이끈 주축을 들여다본다. 3부는
언급되지만, 실제 일하는 공간으로서는 일산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철거되어야 경제성장과 민주화 과정에서 시대적 요구가
빛, 환기, 시야각 등 불편한 부분도 있다. 했던 수색로 일대 건물 등 도시 건축의 건축을 통해 어떻게 드러나는지 짚는다. 근대화
날이 갈수록 도서관은 다양한 사람과 관점에서 도로와 택지 개발을 비롯한 시기의 산업시설이 여의도공원, 문래창작촌,
활동을 포용하는 공동체의 성지로 진화하고 다양한 행위가 땅과 건물에 남긴 흔적을 문화비축기지 등 문화시설로 재생된 사례를
있다. 맨해튼 비치 공공도서관 벽에 쓰인 조명한다. 건축설계자의 시선으로 땅의 알아본다. 또한 소비자본주의 시대를 거치며
“읽고, 쓰고, 탐험하고, … 놀고, 묻고, 변화를 추적하는 일은 결국 도시 정체성을 서울을 중심으로 들어선 백화점, 멀티플렉스,
쉬다”라는 문구처럼 말이다. 저자는 이 찾으려는 시도로 이어진다. 저자의 프랜차이즈 브랜드 공간 등 상업 건축의
동사들에 대해 “도서관을 짓는 사람들이 집요한 관찰은 우리 삶의 자리가 어떻게 미학을 조명한다. 서울을 대표하는 400여
기억해야 할 것들”이라고 말한다. 변화해왔는지, 나아가 어떻게 변화할지 채의 건축물과 450장의 사진, QR코드를
가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활용한 온라인 지도 등 방대한 자료는 저자와
발맞춰 서울의 건축을 여행하도록 돕는다.

도서관여행자 지음 신민재 지음 임석재 지음


도서출판 마티 펴냄 도서출판 집 펴냄 미진사 펴냄

ǐǒǐ
SPACE Peer Review 좀 더 정확하게 이해 하겠습니다
SPACE Peer Reviewer Pool

곽희수 이뎀도시건축 Kwak Heesoo IDMM Architects

좀 더 다양하게 접근 하겠습니다 권형표 바우건축사사무소 Kwon Hyungpyo BAU architects

기현철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Ki Hyunchul Junglim Architecture

좀 더 공정하게 판단 하겠습니다 김광수

김광현
스튜디오 케이웍스

서울대학교
Kim Kwangsoo

Kim Kwanghyun
studio_K_works

Seoul National University

김수영 숨비건축사사무소 Kim Soo-young su:mvie architects

김정임 서로아키텍츠 Kim Jeongim Seoro Architects

김준성 건국대학교 Kim Junsung Konkuk University

김찬중 더_시스템 랩 Kim Chanjoong THE_SYSTEM LAB

김태만 해안건축 Kim Taeman HAEAHN Architects

나은중 네임리스 건축 Na Unchung NAMELESS Architecture

남성택 한양대학교 Nam Sungtaeg Hanyang University

문훈 문훈발전소 Moon Hoon MOONBALSSO

박인수 파크이즈건축 Park Insoo PARKiz Architects

서승모 사무소효자동 Seo Seungmo Samuso Hyojadong

서재원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Suh Jaewon aoa architects

월간 「SPACE(공간)」는 이 시대 한국 건축의 창조성과 독자성을 세계에 알리고, 손진 이손건축 Son Jean ison architects

신승수 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Shin Seungsoo DESIGNGROUP OZ Architects


현대건축의 혁신적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매달 건축 작품 게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신창훈 운생동건축사사무소 Shin Changhoon Unsangdong Architects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SPACE」는 게재를 의뢰한 국내외 모든 건축 작품에 대해
양수인 삶것 Yang Soo-in Lifethings
피어 리뷰를 진행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관점으로 작품 게재를 공정하게 결정하려고 합니다.
유현준 홍익대학교 Yoo Hyunjoon Hongik University
피어 리뷰에는 한국 건축계를 대표하는 건축가와 비평가가 참여하며,
윤재민 제이엠와이 아키텍츠 Yoon Jaemin JMY architects
리뷰어의 의견을 반영해 최종적으로 「SPACE」가 작품 게재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민아 건축사사무소 협동원 Lee Minah hyupdongone
「SPACE」의 피어 리뷰는 매달 1회, 2~3명의 리뷰어가 참여하는 블라인드 평가로,
이소진 건축사사무소 리옹 Lee Sojin Leeon Architects
작품 외 투고자의 어떤 정보도 리뷰어에게 노출하지 않습니다.
이은경 이엠에이 건축사사무소 Lee Eunkyung EMA Architects & Associates
폭넓은 관점과 투명한 게재 프로세스를 위한 제도인 만큼
이진오 건축사사무소 더사이 Lee Jinoh THE SAAI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작품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이충기 서울시립대학교 Lee Chungkee University of Seoul
작품 투고에는 사진, 도면, 건축 개요, 설계 설명, 건축가 프로필 및 연락처,
이치훈 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 Lee Chihoon SoA
그 밖의 작품 설명 보완자료(동영상 등)가 필요하며,
임동우 홍익대학교 Yim Dongwoo Hongik University
투고 자료는 편집부 공식 메일 editorial@spacem.org 또는
임재용 건축사사무소 O.C.A Jae Y. Lim O.C.A
spacemagazine00@gmail.com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장용순 홍익대학교 Chang Yongsoon Hongik University
국내외 다양한 건축 작품을 소개하기 위해 중복 게재는 지양하고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정수진 에스아이 건축사사무소 Jung Sujin SIE:Architecture

정현아 디아건축사사무소 Chung Hyuna DIA Architecture


SPACE strives to feature works of architecture from individual studies in contemporary
조남호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Cho Namho Soltozibin Architects
Korean architecture to the current innovative shifts in international architecture. In this
조병수 BCHO 파트너스 Cho Byoungsoo BCHO Partners
spirit, all domestic and international works of architecture submitted to SPACE as feature Cho Jaewon 0_1 Studio
조재원 공일스튜디오
proposals will undergo the SPACE Peer Review System, in order to uphold a diverse, Cho Junggoo guga urban architecture
조정구 구가도시건축
professional and fair system of judgement. Each month, all submitted works will 천의영 경기대학교 Chun Euiyoung Kyonggi University
undergo a blind test by two to three reviewers, who are representatives of the current 최문규 연세대학교 Choi Moongyu Yonsei University
Korean architecture scene. We cordially request your interest, support, and participation 최욱 원오원 아키텍스 Choi Wook ONE O ONE architects
in submitting prospective featured works, in our efforts to secure a varied point of view 최원준 숭실대학교 Choi Wonjoon Soongsil University
and a transparent selection process. For submission, the following materials are required: 최춘웅 서울대학교 Choon Choi Seoul National University
photographs, drawings, outlines of the work, text description, a profile of architect or 한승재 푸하하하프렌즈 Han Seungjae FHHH FRIENDS
architectural firm, and contact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redundant publication 황두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Hwang Doojin Doojin Hwang Architects
status and send your submission via email to editorial@spacem.org or
spacemagazine00@gmail.com *이름은 한글 성 순으로 정렬
월간 「SPACE(공간)」의 온라인 채널 VMSPACE는

한국 근현대 건축의 족적을 기록해온 역사성을 공고히 하며 현재의 건축 담론을 이어갑니다.

최신 프로젝트와 건축계 소식을 빠르게 전달하고,

아카이브 섹션을 통해 창간부터 현재까지 모든 기사를 E-magazine으로 제공합니다.

www.vmspace.com



 

현대L&C, 현대L&C가 인조대리석 ‘하넥스’의 신제품 4종을 출시했다. 하넥스는


인조대리석 ‘하넥스’ 신제품 출시 메틸메타아크릴(MMA)계 인조대리석으로 자재 간 이음매가 깔끔한 시공이 가능해
주로 주방가구나 카운터 상판, 병원, 학교, 박물관 등 상업시설에 건축 마감재로
사용한다. 공극이 없는 무공질 자재로 내오염성, 방수성, 위생성 역시 우수하다. 이번
신제품은 천연대리석의 고유한 무늬를 재해석한 ‘베나토’ 컬렉션 3종과 아지랑이가
몽글몽글 피어오르는 듯한 패턴의 ‘캐스케이드’ 컬렉션 1종으로 구성됐다. 베나토
컬렉션은 천연대리석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자아내는 아름다움과 투명함, 깊이감을
재현한다. 캐스케이드 컬렉션은 기존 천연대리석에서 볼 수 없는 패턴으로
차별화된 공간 연출을 할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www.hyundailnc.com으로.

(주)벽산, (주)벽산이 디자인패널 ‘엠보무늬 베이스패널’을 출시했다. 베이스패널은


‘엠보무늬 베이스패널’ 출시 불연재료, 내진인증, 친환경 건축자재로 공공 및 상업시설, 교육시설, 주거시설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압출성형시멘트 패널이다. 엠보무늬 베이스패널은 벽산의
최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이며, 자연스러운 질감 표현이 특징이다. 기존 패널이
건물 매스의 부피감과 매트한 질감을 표현했다면, 엠보무늬 베이스패널은 넓은
면에 엠보무늬를 잘게 넣음으로써 매스의 부피감보다는 질감의 표현을 극대화해
더욱 자연스러운 시멘트 재질을 표현한다. 또 다른 디자인패널인 송판무늬
베이스패널은 자연스러운 송판무늬를 재현한 패널로 공공 및 상업, 교육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베이스패널의
규격은 두께 30mm, 너비 600mm로 최대 2,400mm 길이까지 주문생산할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www.byucksan.com 또는 02-2260-6293, 6295로.

(주)다가올, (주)다가올은 60여 년 역사가 있는 독일 ALULUX 회사의 프리미엄 전동


독일 ALULUX 회사의 롤러셔터를 국내에 판매한다. 제품의 여덟 개 주요 특장점 중 여섯 가지 보호
기능(6 Protection)은 현대건축에 필히 요구된다. 차양(sun protection), 사생활
프리미엄 전동 롤러셔터
보호(visual protection), 내풍(weather protection), 단열(cold protection),
‘6 Protection’ 제안
차음(noise protection), 방범(burglary protection)이 그것이다. 이 전동 롤러셔터는
유럽 및 독일 기술표준(DIN EN 13659)을 준수하여 독일 특유의 기술력과
품질관리로 현지에서 직접 생산되어왔다. 유럽 표준에 따른 염수분무 시험과
내풍 시험을 통과하여 제주도와 같은 특수 환경에도 적합하다. 국내 주택뿐만
아니라, 학교시설, 연구소, 생산라인, 특수 병동 등의 높은 기준이 요구되는
현장에도 적용되고 있다. ALULUX 전동 롤러셔터는 프랑스 솜피(Somfy) 정품
모터만을 사용한다. 자세한 문의는 1522-7504 또는 www.aluluxkorea.co.kr로.

(주)수프로, (주)수프로의 벽면녹화 제품인 실외용 식물벽 ‘어쓰월’과 실내용 식물벽


식물벽 제품 판매 ‘에어가든’이 기술력을 인정받아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선정되었다. 약 15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출시된 제품인 만큼, 벽면녹화의 문제점이던 식물의 고사 문제를
바로잡았다. 조경수 유통과 연구개발 전문회사인 수프로는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구축한 R&D를 통해 식물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연구해왔다. 실외용인 어쓰월의 경우 초화류가 아닌 목본류를 바탕으로 한
제품으로, 실제로 벽면에 나무를 심을 수 있어 도시 숲과 같은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내용인 에어가든은 에어 스트림 시스템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고, 식물의 식생충을 활용해 공기를 정화하는 능력을 갖췄다. 제품에
적용한 캡슐형 DIY 전용 식생토로 공간 제약 없이 다양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할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02-6300-2449 또는 www.suppro.com/wall_plant로.

ǐǒǓ

 

포스코스틸리온, KCC 글라스,


국내 최초 친환경 우레탄 원목마루 제품 ‘숲 원목마루청’ 출시
프린트강판 개발

포스코스틸리온(구 포스코강판)이 국내 컬러강판


제조사 가운데 최초로 친환경 우레탄 프린트강판을
개발했다. 기존 프린트강판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지만, 포스코스틸리온의 제품은 KCC 글라스의 인테리어 전문 브랜드 홈씨씨
우레탄 수지를 적용한 새로운 타입이다. 신제품은 인테리어가 원목마루 제품 ‘숲 원목마루청’을
프린트강판의 내오염성, 내식성, 가공성 등은 출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숲 원목마루청은 천연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해 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원목을 표면재로 사용해 원목 특유의 무늬결을
방출량을 줄였다. 이러한 친환경성은 캘리포니아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프리미엄 마루 제품으로, 고강도
공공보건국의 표준 방법 시험에서 포름알데히드 UV 코팅과 크랙 방지용 도료를 입혀 내구성을 높이고
방출량 수치가 기준치(9.0μg/m³)보다 낮게 한국공기청정협회의 친환경 건축자재(HB 마크)
측정돼 그 기능을 인정받았다. 한편, 친환경 최우수 등급을 획득해 안정성을 입증했다. 넓고 긴
우레탄 프린트강판은 앞으로 국내시장은 물론 규격으로 넓어 보이는 공간 연출이 가능한 제품은
세계 각국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총 10종의 다채로운 디자인 옵션으로 판매된다.

올림플래닛, (주)경동원,
메타버스 트랜스포메이션 혁신 시도 불연 FC패널 ‘실보닛’ 제안

고기능성 건축자재를 생산, 판매하는 (주)경동원이


2015년 설립된 올림플래닛이 부동산, 전시, 커머스, 불연 FC패널 ‘실보닛(Silbonit)’을 소개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영역에서 메타버스 실보닛은 이탈리아의 소시에타 이탈리아나
트랜스포메이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올림플래닛은 라스트레(4PDJFUž*UBMJBOB-BTUSF) 사에서 생산되는
메타버스의 도입부터 운영까지 원스톱으로 제품으로, 기존 FC패널의 장점인 내구성, 방충성,
진행하는 메타버스 사스 플랫폼(Metaverse SaaS 내화성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고강도의 물성을
Platform)인 ‘엘리펙스’를 운영한다. 엘리펙스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유럽기술승인기구(EOTA)와
통한 메타버스 트랜스포메이션 사례로는 미국 녹색건축위원회(USGBC) 등으로부터 제품
삼성전자 비스포크 홈 메타, 현대 마에스트로 성능을 인증받기도 했다. 실보닛은 단순 도장
가상주택전시관 등이 있으며 최근 코엑스와 메타 처리 방식이 아닌 제조 과정 중 착색 방식이
코엑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또한 적용되어, 시간이 지나도 변색이 적어 장기간
본격적인 사세 확장을 위해 내년 동남아시아를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표면 질감과 색상이
시작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적용되어 내외장 마감재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두오모앤코, 이노메싸,
‘불탑’ 리뉴얼 쇼룸 공개 ‘유니드레인’ 제품 판매

국내에서 ‘불탑(bulthaup)’ 사업을 독점으로 인테리어 편집매장 이노메싸가 덴마크 디자인


전개하는 두오모앤코가 불탑 쇼룸을 리뉴얼했다. 브랜드 유니드레인(Unidrain)의 제품을
불탑은 1949년 독일에서 시작된 주방가구 브랜드로, 소개하고 있다. 유니드레인은 2003년에 설립된
바우하우스와 장인 정신을 결합해 기술적 완벽함과 욕실 가구 브랜드로, 벽에 부착된 바닥 배수
미니멀한 디자인의 주방 시스템을 선보여왔다. 시스템을 출시하면서 크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번 리뉴얼은 불탑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인 b3의 이노메싸 쇼룸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제품은
대표 모습을 담았다. 불탑 가구는 문 두께가 13mm, ‘하이라인 시리즈’와 ‘하이라인 코너 드레인’이다.
상판은 10mm로 내구성과 품질면에서 우수하고, 하이라인 시리즈는 욕실 바닥에 시공되는
무게가 가벼워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주방 가구와 장방형의 철제 프레임 배수 시스템이며, ‘코너
월 패널을 벽체에 고정하여 시공하는 불탑만의 드레인’은 모서리에 설치하는 배수구 제품으로
특화된 시스템은 1m당 100kg의 하중을 견딘다. 10, 12, 25mm 두께의 타일에 적용 가능하다.

ǐǒǔ

 

커버글로벌, 에스비아이어쏘시에이트,
건축용 외부면 프리트 제품 ‘바이록’ 판매
‘S1deone’ 독점 공급 제품문의

바이록은 포틀랜드 시멘트와 소나무 입자가


건조, 혼합 및 압축된 복합 재료다. 시멘트의 힘과
유리 브랜드 글라스코(Glasco)를 운영하는 지속성, 나무의 유연성을 고루 겸비해 외장재,
커버글로벌이 독일 페로(Ferro)사와 계약하여 내장재 등 사용 가능한 분야가 다양하다. 바이록
건축용 외부면 프리트 제품인 ‘S1deone’ 을 국내에 패널은 뛰어난 화재에 대한 저항과 방음력을 지녀
독점으로 공급한다. 이 제품은 주로 커튼월 외부에 공공시설 및 주거 건물에도 적용하기 적합하며, 건물
패턴을 프린트하여 사용하는데, 빛의 산란을 통해 구조 기능과 목재, 철근 구조의 코팅에도 사용될
눈부심을 줄일 뿐 아니라, 여름철 실내로 들어오는 수 있다. 더불어 표면의 흰색 파운더리한 느낌은
태양열을 줄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킨다. 또한 10년 다른 제품과 차별화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이상의 옥외 내구성을 지녀서 시간이 지나도 황변이나 선사한다. 에스비아이어쏘시에이트가 국내에서
부스러짐이 없다. 사진은 삼남강재 사옥으로, 국내에 유통하고 있는 바이록 패널의 색상은 검정, 회색을
처음 S1deone을 적용했다. 창을 다양한 퍼센트 포함해 총 여섯 가지로 선택의 폭이 다양하다.
패턴으로 구성해 기능과 미를 동시에 충족한다. 자세한 문의는 www.sbihouse.info로.

동국제강, SK디앤디 에피소드,


철근・형강 친환경 GR 인증 취득 ‘아티스트 인 에피소드’ 개최

동국제강은 자사 공장 3개소(인천, 포항,


신평)가 ‘친환경 철근・형강 생산 공정 및 제품
보유’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SK디앤디의 주거 브랜드 에피소드가 12월 10일부터
GR(Good Recycled) 인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아티스트 인 에피소드’의 첫 전시를 개최했다.
본 인증은 우수 재활용제품에 부여하는 정부 아티스트 인 아티스트는 예술가들이 창작 활동에
인증이다. 3개 공장은 친환경 전기로 공법으로 철 전념할 수 있도록 거주 공간을 지원하는 에피소드의
스크랩(고철)을 재활용해 철강 제품(철근, 형강)을 예술가 입주 프로그램으로, 첫 번째 입주 작가는
생산한다. 석탄을 사용하지 않아 탄소배출량을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조현서다. 이번 전시는
기존 대비 1/4로 감축하며, 지난해 기준으로 작가가 에피소드에서 약 4개월간 거주하며 작업한
376만 톤의 철 스크랩으로 350만 톤의 철근과 결과물을 선보인다. ‘가상 공간을 분양해주는
형강을 생산했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2050 부동산, 언리얼 이스테이트(UNREAL ESTATE)’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부산, 당진 공장에도 주제의 전시는 온라인으로도 관람 가능하다.
환경성적표지인증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문의는 www.epsd.co.kr/artist로.

에스파스 루이 비통 서울, 강남제비스코,


알렉스 카츠의 〈반향〉 전시 개최 올해의 컬러 ‘캑터스 그린’ 선정

강남제비스코가 ‘캑터스 그린(Cactus Green)’을


2023년 올해의 컬러로 선정했다. ‘캑터스 그린’은
에스파스 루이 비통 서울이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의 건조하고 황량한 사막에서 자라는 선인장에서
소장품을 소개하는 ‘미술관 벽 너머’ 프로그램의 영감을 얻은 색으로 현재 지구 곳곳에서 일어나고
일환으로 알렉스 카츠의 〈반향〉을 개최한다. 있는 극심한 가뭄, 대홍수와 같은 기후변화와
알렉스 카츠는 마티스 화풍을 이어받은 듯 단순미가 불확실한 미래에 우리가 가져야 할 궁극적인 삶의
돋보이는 표현 방법으로 잘 알려진 작가다. 초상화와 본질인 ‘담백한 감성을 담은 삶의 조화와 균형’이라는
풍경화를 주로 그리는 그의 작품은 자연 풍광을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편, 강남제비스코는
클로즈업한 구성이나 실제보다 크게 표현된 인물 ‘본질적인 가치로의 전환’을 메인 테마로 정하고
등으로 영화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번 전시의 ‘치유와 휴식’, ‘감각적인 웰빙’, ‘지속의 시간’이라는
‘산드라 2’(1986), ‘반향’(2018)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세 가지 서브 테마를 통해 우리의 주거 공간을
있다. 지난 12월 9일 막을 연 전시는 2023년 3월 미래적이면서도 감성적인 분위기로 완성할 수
26일까지 진행되며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있도록 다양한 컬러 팔레트를 제안하고 있다.

ǐǒǕ
PROJECT

진행
윤예림 기자
   

사진
오키 히로유키(별도표기 외)

자료제공
인리스튜디오

만화경
-#$/ /
Inrestudio (Nishijima Kosuke) 인리스튜디오
 .$")/ (
Nguyen Quynh Han, Vo Hanh Nhan
*/$*)
Quang Binh, Vietnam
-*"-((
office, residence
$/ - 
47,600m2
0$'$)"- 
760m2
-*..!'**-- 
960m2
$"#/
15.25m
/-0/0-
RC
3/ -$*-!$)$.#$)"
trowel-finished mortar,
fiber-reinforced concrete block,
exposed aggregate concrete, terrazzo

)/ -$*-!$)$.#$)"
exposed concrete, paint, stucco, solid wood, terrazzo
/-0/0-' )"$) -
Cao Chanh Trung, Phan Minh Hien
*)./-0/$*) edited by
Hoang My SG *0) '$(
 .$")+ -$* 
Oct. 2017 – July 2018 photographed by
*)./-0/$*)+ -$* &$ $-*40&$(unless otherwise indicated)
Sep. 2019 – May 2022
'$ )/ materials provided by
Hoang Long Mineral JSC Inrestudio
)- ./0$*

ǐǒǖ
PROJECT

ǐǒǘ
ǐǒǙ
PROJECT

ǐǓǐ
ǐǓǑ
PROJECT

니시지마 코스케 인리스튜디오 대표 바다와 언덕 사이, 변두리 건축은


×
윤예림 기자

윤예림(윤): 만화경은 베트남 중부지역인 이 단순한 모자의 원칙은 건축에도 적용된다. 건물을 지면에서 띄워 흙의 수분으로부터 사용하지 않는다. 현지인에게 일할 기회와
꽝빈성에 있다. 건물 주변에 바다와 언덕, 공장 원뿔 모양 지붕의 기하학은 내외부 조건에 보호하고 좋은 경관을 확보하는 것, 둘째로 경험의 체득, 그리고 지역사회의 긍지로
외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데, 이곳 지역의 맞춰 구체적인 모습을 완성해나갔다. 여섯 개 강우량이 높은 지역에 필수적인 자동차와 이어지는 성취감과 자부심을 심어주었다.
특징과 프로젝트가 시작된 배경이 궁금하다. 호로 구성된 지붕 둘레는 건물에 낮은 처마를 전기 카트의 주차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니시지마 코스케(니시지마): 꽝빈성은 드리우는 동시에, 높게 솟은 원호의 양단마다 그런데 건축주가 이곳에 작은 테이블과 의자를 윤: 일본에서 건축을 공부한 뒤 호치민에서
베트남해와 안남산맥 사이에 끼어 있어 기후가 바깥으로 열려 사이의 풍경을 제공한다. 지붕 두고 바닷바람을 쐬며 커피를 마시고, 파티를 실무를 시작했고 5년 후 인리스튜디오를
혹독한 지방이다. 여름에는 산맥에서 뜨겁고 단면은 주변 언덕과 어울리도록 한 가파른 열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건물 안의 외부 개소해 정착했다. 만화경은 독립 후
건조한 바람이, 겨울에는 바다에서 차갑고 습한 경사의 상부 레이어와 내부 천장이 지나치게 공간은 예상치 못한 활동, 즉 설계 요구에는 처음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완성한 건축
바람이 불어온다. 이곳에는 건축이랄 것이 거의 높아지지 않도록 계산된 하부 레이어로 반영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 생활에는 필요한 프로젝트다. 이 시점에서 ‘일본인이 이끄는
없다. 프로젝트는 꽝빈성에서 티타늄 원자재를 구성된다. 내부 평면은 지붕 둘레와 수직을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준다. 호치민 기반의 건축사사무소’의 정체성과
채굴하고 수출하는 공장의 행정 업무용 건물이다. 이루는 벽을 세워 일곱 개의 삼각형 볼륨으로 이는 주변의 녹지로 대체될 수 없다. 미래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듣고 싶다.
사업이 확장되며 새 공장을 짓게 되자 공장주는 분절했다. 지붕에 보이는 일곱 구멍은 일곱 니시지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편한 근무 및 주거 환경을 제공하면서 공장의 개의 볼륨이 가지는 기능적인 옥상이다. 각각의 윤: 입면의 블록은 베트남에서 일반적으로 사회적 대혼란을 겪은 후 사회와 건축의 관계를
상징이 될 만한 건물의 설계를 요청했다. 공장의 옥상은 설비 시스템을 둘 평평한 테라스와 사용되는 환기 블록보다 두 배 이상 크게 재고하고자 새로운 근무지를 찾았다. 막사 같이
전체 대지는 약 4.8ha인데, 그중 절반은 녹지로 그늘을 제공하는 나무, 흙을 담아 단열재 제작됐다. 때문에 건물은 마치 단층 건물처럼 보이는 집들을 보면서 베트남에 가졌던 첫인상은
지정되어 있었다. 프로젝트는 이 큰 녹지 벨트의 역할을 하는 커다란 화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식되었다가, 사람이나 가구와 함께 봤을 ‘할 일이 너무 많다’였다. 당시에는 건축적으로
모서리에 위치한다. 건물 발코니에 서면 푸른 때 비로소 스케일을 실감하게 된다. 백지상태인 곳에 ‘대안으로서의 건축’을 해야
바다와 열대나무의 경관이 한눈에 들어온다. 윤: 기후가 지붕의 형태로, 지붕이 니시지마: 일반적인 환기 블록 구멍의 높이는 했다면, 상황이 많이 변한 현재 해야 할 일은
평면의 구성으로 가는 길잡이가 된 20cm 정도지만 이 프로젝트를 위해 특별히 베트남의 고유 문화와 환경에 대한 숙고와 성찰을
윤: ‘만화경’이라는 이름은 그러한 듯하다. 한편 슬래브와 계단의 부드러운 제작한 블록의 높이는 50cm 정도다. 도시에 발현해내는 것이다. 우리는 외부의 개념을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보고자 함인가. 곡선과 양감은 기하학적 이미지의 적합한 기존 블록과 달리 자연적인 맥락을 들여오기보다 베트남만의 건축을 재정의하며
니시지마: 열대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면과는 또 다른 심상을 준다. 고려한 것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도시적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영향권을
건물들은 험한 기후에 대한 대응으로 자연과의 니시지마: 도심에 비해 농촌의 건물은 내외부의 맥락에서 ‘집이란 거주하기 위한 기계’라고 늘려갈 것이다. 다만 한 다리는 베트남에
연결을 포기한다. 꽝빈성의 가옥 대부분도 경계선이 희미하고 주거와 일이 연속성을 띠고 했다면, 자연 속의 이 프로젝트는 ‘거주하기 담고 한 다리는 밖에 두어 이 나라의 문화와
기후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유리가 있다. 만화경 역시 농촌의 유연한 삶의 방식을 위한 오브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정황에 상대적인 관점을 유지하고자 한다.
아닌 목재 창문 패널을 이용하고 있다. 반영해 내부-외부의 공간이나 주거-일 기능의 인위적인 스케일 요소들이 없는 자연
자연환경을 즐기기보다 차라리 어두움에 구분을 하지 않았다. 큰 지붕은 모든 활동을 풍경은 종종 스케일의 착시를 일으킨다. (top) Construction
(bottom) Production of block
거하기를 선택한 것이다. 한편 도심에서는 포괄할 수 있는 장이 되어주고, 일곱 개 삼각형

©Inrestudio
많은 오피스 건물이 서구의 방식에 의문을 볼륨은 공간이나 기능을 구분하지는 않아도 윤: 설계부터 시공까지 장장 5년이라는 시간이
품지 않고 입면 전체에 유리를 사용했다가 공과 사를 구별해주며 각종 활동을 최소한의 소요됐다.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결국 일년 내내 블라인드를 내리고 생활하고 의미로 수용하는 장소가 되어준다. 슬래브와 긴 시간이었던 만큼 그간에 얻은 개념이나
있다. 프로젝트의 이름에는 이러한 건물들의 계단은 이러한 기능적 역할에서 한발 물러서서, 생각의 변화가 있었는지 궁금하다.
대안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겼다. 만화경은 새로운 평면을 추가하고 변화를 주는 요소다. 니시지마: 한번에 두세 달씩 지속되는 태풍
주변 풍경과 환경을 바라보는 관측창이다. 묵직한 덩어리의 완곡한 모서리는 인위적인 때문에 시공이 전면 중단되기 일쑤였다.
각 면에서 바라본 풍경은 지구의 자전에서 동력을 공간과 자연 사이의 경계선을 흐린다. 시공업체의 경험 부족으로 수많은 가설물이
공급받아 때와 날에 따라 모습을 바꾼다. 들어섰다가 철거되기를 반복한 것도

©Inrestudio
윤: 1층 필로티 공간의 쓰임이 궁금하다. 한몫했다. 5년의 기간은 도시 밖의 ‘변두리
윤: 무엇보다 지붕의 존재감이 크다. 베트남 주변의 풍부한 녹지에도 불구하고, 건축’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도시
모자 ‘농라(non la )’를 형상화한 것으로, 환기와 건물 내의 외부 공간이 내부 공간 밖의 건축은 건축가의 욕구에 기반한 미지의
단열 등의 기능과도 관련이 있다고 들었다. 못지않게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어휘들을 발굴하는 데에 목적을 두는 경우가
니시지마: 열대기후에서 편안한 공간을 만드는 니시지마: 건물에는 용도가 지정된 공간과 많다. 하지만 진정한 변두리 건축은 토속
결정적인 요인은 좋은 그늘과 환기다. 농라는 지정되지 않은 공간이 있는데, 후자가 건물의 문화의 성장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가야
베트남의 오랜 지혜에서 탄생한 기술적 산물로, 풍성함을 결정한다. 필로티의 목적은 첫째로 한다. 만화경은 지역 특색을 표면적으로만

ǐǓǒ
$.#$%$( *.0& principal, Inrestudio

 
ǜ  

×
*0) '$(

*0) '$(ǹ*0)Ǻǜ# +-*% /'*/$*) *0)ǜ# -**!- . (' ./#  lines between inside-outside spaces and *0)ǜ
//**&!$1 '*)"4 -./*!$)$.#
0)"$)#$.//#  )/- *!$ /)(ǚ /-$/$*)'$ /)( . #/Ǜ/# non laǛ living-working functions. The large roof *)./-0/$*)ǚ - /# - )4#)" .( 
Nishijima Kosuke (Nishijima): Quang Binh )$)$/.!0)/$*)$.*)) / /*$- defines a potential field of activities, and the /*4*0-*) +/.*-/#*0"#/.*1 -/#$./$( Ǣ
is located at the narrowest part of the stretch $-0'/$*))# /$).0'/$*)ǚ seven triangular volumes are considered as a Nishijima: The construction went slowly in
of Vietnamese land. This geographical Nishijima: In a tropical climate, a comfortable minimum operation around which to organise general for a number of reasons such as the
context is what gives rise to the severe climate space is created by good shade and good various functions. With this rigorous hold on the harsh climate. And the lack of experience on the
conditions: a hot and dry wind blows from ventilation. The non la is one of sophistication volumes, the slab and stair add floor area and part of the contractor also resulted the forest
the mountains in the summer and a cold and that collective wisdom in Vietnam has varied experiences to the project. The curved of falsework. Five years were long enough to
wet wind from the sea in the winter. Quang shaped, and its simple principle can be ends of the slab provide a sense of connection, think about the significance of this project.
Binh is still a small province and barely has applied to architecture too. The geometry as opposed to defining clear boundaries between One was to reconsider marginal architecture.
any architectural features. The Kaleidoscope of the transformed conical roof has been artificial space and surrounding nature. Today there are more and more architectural
is an administrative office for a factory that designed as a response to the external and projects taking place outside cities, which
mines and exports raw titanium in this region. internal conditions. Its circumference as a *0)ǜ
).+$/ *!/# 0))/"- ).+  open up undiscovered design vocabularies
When the company has decided to build a combination of six arcs creates the lower -*0)/# 0$'$)"Ǜ/# - *!/#  3/ -$*- for the use of architects. Genuinely marginal
new factory, the client required us to design eaves in front of solid volumes, while the taller .+ $.)*' ../#)/#/*!/# $)) -.+ ǚ architecture, however, should not exploit local
an office building that would act as a symbol points provide open views for the in-between Nishijima: A building consists of named traditions but offer an exchange in wisdom.
of the factory. The whole factory site covers space. The section of the roof was finalised: and unnamed spaces, and it is the latter that The Kaleidoscope does not exhibit a superficial
about 4.8ha and nearly half is left for green the upper layer is formed of sharp slopes determines the richness of the building. The employment of local character; its thorough
space. The building is positioned on a corner of which resonate with the hilly backdrop while pilotis has two supposed functions: floating geometric rules and systematic structure gave
a large green belt. The balcony of the building the lower reaches avoid overstretching the the building from the ground to protect it the locals an opportunity gain new experiences
provides a great view with tropical trees in the interior ceiling height. By setting up vertical from moisture in the soil and to provide better and confidence in an accomplishment that
green belt and the ocean as a background. wall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oof, view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allowing  ( .4(*'*!/# - "$*)Ǩ.+-$ ǚ
we divided up the interior space into seven cars and electric carts to park in the space. In
*0)ǜ*0)( /#$.+-*% / triangles. There are seven large holes on the addition, we have found that the client has *0)ǜ#  ' $*.*+ $./# !$-./
ǧ&' $*.*+ Ǩǚ* ./#$. -$1 !-*( roof that create technical rooftops above placed a small table to enjoy drinking coffee .*DZ'' !0''-#$/ /0-'+-*% /4*0
/#  0/4*!/# ').+ Ǣ the solid volumes. Each rooftop consists of with pleasant sea breeze, and celebrated the #1 *(+' / $)4*0-- -ǚ//#$.
Nishijima: We named this project hoping that a flat terrace which houses the mechanical lunar new year in this space. The exterior space +*$)/Ǜ
2*0''$& /*&)*2#*2
)- ./0$*
it would address the issues of today facing systems, along with a large planter whose within the building can provide such unexpected +- . )/'4 !$) .$/.$ )/$/4.ǧ +) . 
common buildings in tropical regions: many tree casts a shadow and soil beds that insulate activities and it cannot be substituted by -#$/ /./0$*. $) *#$$)#Ǩǚ
buildings forgo a connection with nature in the lower volumes against heat gain. the exterior space outside the building. Nishijima: My first impression of Vietnam
order to protect themselves from the harsh 2.ǧ/**()4/#$)"./**Ǩǚ*4Ǩ..$/0/$*)
climate. Local houses have solid timber *0)ǜ# '$(/ $)!*-( /# .#+ *! *0)ǜ# !ý '*&2.()0!/0- /* concerning architecture in Vietnam is different.
window panels instead of glass windows, /# -**!Ǜ)/# -**!2."0$ 2# )  (*- /#)/2$ /# .$5 *!/# 1 )/$'/$*) *2$./# /$( /*$.*1 -ǧ-#$/ /0- Ǩ
giving greater importance to protection from -!/$)"*(+*.$/$*)*!/# +')ǚ) '*&.*((*)'40. $)$ /)(ǚ of another breed, as a manifestation of
darkness as opposed to comfort in nature /# */# -#)Ǜ/# 0-1 (.. /2 ) Nishijima: The custom-made ventilation consideration on Vietnamese environment.
natural. On the other hand, many office .')./$-"$1 .$!! - )/$(+- ..$*) block for this project has an elevation of 50cm Our ultimate goal is to define an architecture
buildings are covered with full glass façades, /*/# " *( /-$)"' .*!/# +') ǚ while more commonly they are 20cm. This of Vietnam that does not merely import ideas
recklessly, to result in the same situation as a Nishijima: In terms of rural buildings, the difference wa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from the outside, but develops a sphere of
domestic home by closing blinds throughout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re to surrounding situations. Le Corbusier said influence that reaches beyond the confines of
a year. The Kaleidoscope is an observation more ambiguous and living and working are ǧ#*0. $.(#$) !*-'$1$)"$)Ǩ2# ) the country to the rest of the world. However, the
window towards the surrounding landscape more continuous than in an urban context. he envisioned urban dwellings, and what idea is to place one foot outside Vietnam while
and environment. The view from each aspect Responding to the lifestyle in the countryside, I can say is that this project in a natural the other remains inside, to better reveal an
transforms time by time, day by day. the project aims at minimising the dividing &-*+.#*0' )ǧ*% /!*-'$1$)"$)Ǩǚ understanding of its culture and circumstances.

ǐǓǓ
PROJECT

10 9 10

2 1

Section 0 1 2 5m

7
3 2 7 10
6

10

7 7

9
4 8 11
1
1. pilotis
7 7 2. conference hall
3. security room
5 4. board room
5. parlour
6. lavatory
12 12
6 7. bedroom
7 10 8. garden
9. central office
10. balcony
ƧƧǚ$- /*-Ǩ.-**(
12. private office

1F plan 2F plan 0 1 2 5m

Isometric Structure diagram

ǐǓǔ
니시지마 코스케는 도쿄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와
리스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2011년에 베트남으로
이주해 베트남의 대표적인 건축사무소 중 하나인
보 트롱 니아 아키텍츠(VTN Architects)에서 경력을
쌓았고, 2016년 호치민에 인리스튜디오를 개소해
독립했다. 이후 국제적인 관점으로 베트남의 새로운
건축 유형을 발굴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 *.0& , born in Tokyo, studied architecture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Technical University
of Lisbon. In 2011, he moved to Vietnam and joined
Vo Trong Nghia Architects (VTN Architects), one of
leading architectural practices in Vietnam. In 2016, he
established Inrestudio, his own architectural practice,
in Ho Chi Minh. Since that moment, he focuses on
the discovery of a new architectural typology specific
to Vietnam with his international perspective.

ǐǓǕ
PROJECT

진행
박지윤 기자
 
  -#$/ /
T2P Architects Office
(Miura Tomonori, Yang Shikwan, Ono Tatsuhito)
사진 */$*)
카와타 히로키 Osaka, Japan
-*"-((
자료제공 accommodation
T2P 아키텍츠 오피스 $/ - 
358.86m2
0$'$)"- 
267.3m2
-*..!'**-- 
487.6m2
0$'$)".*+
2F
$"#/
9.45m
0$'$)"/*')-/$*
74.49%
'**-- -/$*
125.86%
/-0/0-
wooden structure
3/ -$*-!$)$.#$)"
galvanized sheet

)/ -$*-!$)$.#$)"
wallpaper on gypsum board
/-0/0-' )"$) -
Tamaki Architects
*)./-0/$*)
설계 89STYLE.Co.,Ltd.
T2P 아키텍츠 오피스  #)$') ' /-$' )"$) -
(미우라 토모노리, 양시관, 오노 타츠히토) C.H.C. System Co., Ltd.
위치
일본 오사카
셰어형 레지던스 하나조노  .$")+ -$*
Oct. 2019 – June 2020
용도 *)./-0/$*)+ -$*
숙박시설 T2P 아키텍츠 오피스 July 2020 – Dec. 2021
대지면적 '$ )/
358.86m2 Yinkei Co., Ltd.
건축면적
267.3m2
연면적
487.6m2
규모
지상 2층
높이
9.45m
건폐율
74.49%
용적률
125.86%
구조
목구조
외부마감
갈바늄
내부마감
석고보드 위 월페이퍼
구조설계
타마키 설계사무소
시공
89스타일
기계・전기설계 edited by
C.H.C. 시스템 -& $4*0)
설계기간 
2019. 10. ~ 2020. 6. photographed by
시공기간 $-*&$ 2/
2020. 7. ~ 2021. 12.
건축주 materials provided by
인케이 T2P Architects Office ƨ-#$/ /.!!$

ǐǓǖ
PROJECT

ǐǓǘ
6

ǐǓǙ
PROJECT

미우라 토모노리, 양시관, 오노 타츠히토 지속하는 마을 풍경


T2P 아키텍츠 오피스 공동대표

부동산 개발의 연장선 새로운 형태의 숙박시설 외지인은 기존 주민과 이상하리만큼 안마당을 형성하고, 2층 방 각각에는
최근 오사카시에서는 중심지에서 다소 보통 도심지의 숙박시설이 관광이나 부자연스러운 관계를 지속하기도 한다. 경사지붕을 걸쳐, 전체를 작은 실의 집합체로
떨어져 저렴하면서도 역에서 가까운 거리에 비즈니스를 위한 호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면, 이번 프로젝트는 더욱이 숙박시설이기에 표현했다. 작은 실이 연속되는 집합체는 크고
위치한 지역의 재개발이 민간 차원에서 근래에는 민박, 에어비앤비를 포함한 소규모 사람 간 괴리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건축을 작은 스케일의 건물이 혼재하는 거리 풍경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25년 개최 예정인 공유형 숙박 형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마을 풍경의 일부로 다루고자 했다. 출발점은 조화를 이루어 기존 마을 풍경을 계승한다.
오사카 엑스포와도 시기가 맞물려, 외국 호텔과 같이 안전성과 프라이버시 및 건축물의 규모를 가능한 한 저층의 고밀도로 각 실은 안마당을 통해 다양한 방위에서
자본의 투자도 증가하는 추세다. 오사카 편의성이 보장되면서도, 민박과 같이 마을에 유지하면서 골목길과 같은 옥외 공간을 기존 채광이 가능하도록 구성해, 최대한의
지하철의 요츠바시선 하나조노쵸역에서 융화되어 정감 있고 인간미 있는, 때로는 도로의 연장선으로서 대지 내로 끌어들이는 객실 수를 확보했다. 객실에는 침실, 주방,
도보로 5분, 저가의 숙박시설과 민박으로도 인적 교류도 가능한 숙박 형태는 없을까? 것이었다. 신축임에도 마을 어디엔가 있었던 욕실, 화장실이 갖춰져 프라이버시를
알려진 니시나리구에 위치한 이 프로젝트도 가장 편하게 머물 수 있는 새로운 숙박 형태를 또는 있는 것과 같은 기(債)축의 효과를 확보한다. 한편, 거리에 면한 커뮤니티
개발 바람의 연장선에서 시작됐다. 고민하며 우리는 건축물에 한정되지 않은 기대한다는 점에서, 다른 건축 프로젝트와는 공간인 레스토랑 겸 카페 ‘타운 리빙룸’,
니시나리는 오사카에서도 외부 공간, 즉 마을에 초점을 맞췄다. 골목길에 다른 형태로 지역에 대한 갱신을 의도했다. 2층 통로를 통해 확장된 ‘세탁실 테라스’,
시타마치(소규모의 상점 및 공장, 서민 앉아 마을이 가지는 고유한 풍경을 느낄 수 외부와 연결된 ‘옥상 테라스’는 대화를
주거시설들이 밀집된 지역)와 비슷한 있는, 그러면서도 레스토랑, 카페 및 세탁 풍경을 계승하는 개체와 집합체 유발하는 공용 공간이자 마을과 융화되는
풍경을 가지고 있어, 본래 지역 내에서는 등 필요한 편의 기능이 제공되는 셰어형 마을 풍경은 일본의 전통적인 역할을 한다. 각 실은 개구부 위치에 따라
그렇게 인지도가 높지 않았다. 하지만 투자 레지던스 프로젝트는 이렇게 시작됐다. 나가야(nagaya ) 형태의 2층 목구조 레이아웃을 다르게 해 투숙객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보면 입지가 좋고 부동산 가격이 일상적인 대화의 장이었던 골목길이나 오래된 건물들이 폭 4m 이하의 좁은 골목길에 선택지를 제공한다. 내부는 목재, 미장조와
저렴해 근래에는 특히 외국인 투자로 저층 주택들이 아직 마을 고유의 풍경을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나가야는 각 건물의 같은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합리적인
인한 개발이 종종 진행되고 있다. 중국 유지하고 있음에도, 마을 이곳저곳에서는 양쪽 벽이 서로 마주해 건물 개체들이 마감재를 적용했으며, 이중 미닫이를 통해
우한시에서 호텔을 하는 클라이언트도 부동산의 합병 및 개발에 의한 중층 하나의 집합체처럼 보이는 형태다. 외부와의 관계를 통제하고 프라이버시를
이러한 부동산 개발 흐름의 연장선에서 아파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발된 우리는 주위 환경에 맞춰 높이는 2층 규모로 확보했다. 1층 객실은 다다미로 구성됐으며
일본의 관광 비즈니스에 관심을 가지게 아파트들은 마을 안에서 각자 건축적 낮추되, 각각의 실들이 고밀도로 인접한 안마당과 길가에 면해 비교적 개방적이고,
됐고, 숙박시설 설계를 의뢰했다. 존재감을 뽐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고립된 리니어한 건축 볼륨을 기본 요소로 설정했다. 2층 객실은 경사 천장이 내부에 그대로
부지는 중심지인 난바에서 두 개 역 거리로 섬마냥 고독하다. 이곳에 새로 이사온 다음으로 이 볼륨을 ㄷ자형으로 접어 안정된 표현되는 현대식 공간으로 계획했다. 일부
좋은 접근성을 가지고 있고, 대지면적은 객실은 옥상을 가지고 있어 야외 테라스로
2
1000m 정도였다. 주변 대지에 비해 비교적 이용할 수 있다. 각 실은 기능적이고
큰 면적이기에 클라이언트는 대지면적을 콤팩트한 레이아웃이면서도 공용 공간과
최대한 살린 개발을 기대했다. 하지만 연결돼 사용에 따라 시각적으로 확장된다.
우리는 다른 방법을 제안했다. 인근의
비즈니스 호텔과는 다른, 지역에 융합할 개인과 공용의 양립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숙박시설을 위한 도시환경, 그중에서도 주거지에 들어서는
약 500m2 이하의 단계적 개발이었다. 숙박시설이 기존의 마을 풍경을 훼손하지
이는 입지성과 비즈니스적 관점, 두 가지 않고 최대한 동화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면에서 주민과 건축주로부터 호응을 얻을 동시에 숙박시설로의 매력도도 높이기
수 있었다. 첫째는 외지인이 행하는 부동산 위해 스페이스 브랜딩 컨설팅 그룹 P.O.T와
개발에 대한 주민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우리는 셰어형
마을 풍경을 유지할 수 있는 소규모 레지던스 하나조노가 폐쇄적 환경을
개발이라는 것이다. 둘째는 부동산투자 만드는 부동산 개발이 아닌, 공용 공간을
관점에서 사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개입시켜 거리와 공존하는, 프라이버시와
있다는 점이다. 덤으로 건축 계획 측면에서는 공용 공간이 양립되는, 새로운 형태의
2
대지면적 500m 이상에 해당하는 각종 개발 건축적 가치를 가지기를 기대한다.
계획에 대한 건축적 제한이 해소될 수 있었다.

ǐǔǐ
$0-*(*)*-$Ǜ)"#$&2)Ǜ)*/.0#$/*
 
 


co-principals, T2P Architects Office

)3/ )  $) *! './/  1 '*+( )/ location and business. First, as a small-scale relocated here interact with the existing diverse mix of large- and small-scale buildings.
The private redevelopment of a neighbourhood development the potential for opposition residents in a somewhat uncomfortable way. Communal spaces were established to
close to the train station a little far from the from local residents to a new outsider-run real Since this project is primarily accommodation, encourage interaction and to be accessible to
centre of Osaka City – and therefore a cheaper estate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mmitment we sought to use it as a tool to minimise the the wider neighbourhood: a restaurant-café
area – is now underway. As it coincides with /*+- . -1$)"/# 1$''" Ǩ.. ) -4Ǜ#1  potential for societal gaps and to treat it as '' /# ǧ/*2)'$1$)"-**(Ǩ/#/! ./# 
the Osaka Expo, which is expected to be held been limited. Second, the business risk is *) (*-  ' ( )/$)/# 1$''" Ǩ.. ) -4ǚ street and serves as a community space; the
in 2025, the investment of foreign capital reduced when projects are associated with As a starting point for achieving such an ǧ'0)-4/ -- Ǩ/#/#. 3+) /#-*0"#/# 
also appears to be rising. This project, which foreign real estate investment. In addition, objective, it was decided that the best . *)DZ!'**-#''24ǝ)/# ǧ-**!/*+/ -- Ǩ
$.!$1 ($)0/ .Ǩ2'&!-*(/# */.0.#$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2*0' /*& +/# 0$'$)"Ǩ.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rior. Every
'$) Ǩ. )5*)*#*.//$*)$).&) planning, numerous architectural constraints height as low as possible while maintaining room has a different layout based on where
located in the neighbourhood of Nishinari- typical in development plans of an area of /# 0$'$)"Ǩ.#$"# ).$/4Ǜ$)$/$*)/* the windows and doors are located, allowing a
ku notable for its affordable accommodation more than 500m2 can be disregarded. integrating outdoor spaces such as alleyways variety of alternatives. The rooms on the first
and vacation rentals, is another example within the site to extend the present space floor are made up of tatami and are relatively
of the present development boom.  2 $)*!*((*/$*) along the road. To put it another way, the open as they face the inner courtyards and
Nishinari possesses similar scenery to Is there any kind of accommodation that project sought to revitalise the neighbourhood street side. The rooms on the second floor were
Shitamachi (a working-class neighbourhood blends the positive aspects of the two: that by taking a different approach to previous planned to be modern spaces, with the slanted
heavily populated with small-scale stores, can ensure safety, privacy, and convenience architectural projects in that the hope was to ceilings on the interiors directly reflecting the
factories, and housing facilities), also in Osaka, like a hotel, that is also amiable, warm- generate a new axis that used to be, or that shape of the roof. Rooftops in certain rooms
and as such there was little awareness of it hearted, and blends into the village like a appears to be, somewhere within the village. may be used as outdoor terraces. Each room
within the neighbourhood itself. However, vacation rental, and that also occasionally has a functional and compact layout while
from the standpoint of investment, it is a encourages inhabitants to interact?
)# -$/$)"/#  ) -4 being connected to the communal spaces, and
favourable location and the price of real In the hope of creating a new type of The principal architectural element in the as such it may expand visually based on usage.
estate is affordable. As such, there have accommodation that foregrounds comfort, 1$''" Ǩ.. ) -4$./# '0./ -*!/2*DZ./*- 4
been a number of instances of developments we focused on the village, which is an timber structural buildings in the form of a *(+/$$'$/4 /2 )
!0) 4!*- $") -.Ǩ$)1 ./( )/.ǚ#$. outdoor space that is not confined by any nagaya, a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 
)$1$0')/# *((0)$/4
project was commissioned by the client as one building. This is how the project for that reaches along a narrow alleyway less than This project proceeded in collaboration with
an accommodation building, who runs a a sense of shared residence began, with 4m wide. A nagaya features both side walls P.O.T, a spatial branding and consultancy
hotel in Wuhan, China, and has become people sitting in an alleyway to enjoy the facing each other, giving the impression that group, with the intention of presenting a
interested in the tourism industry in Japan unique scenery the village has to offer the phalanx of buildings are one single volume. desirable form of accommodation while
as a way of extending his real estate reach. while also offering essential conveniences To blen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ensuring that the accommodation
The site is two stations from Namba, which like restaurants, cafés, and laundrettes. 2 - 0 /# 0$'$)"Ǩ.# $"#//*/2*./*- 4. facility situated in an urban environment,
is the central station. It is easily accessible Even if alleyways or aging low-rise houses, and established linear architectural volumes particularly a residential area, would blend
and covers an area of about 1000m . As it is
2
which used to be the site of daily conversations as the basic element, with each adjoining into that given environment as much a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adjacent land and encounters, retain that which is native room adding to the impressive density. Then possible without disrupting the existing village
lots, the client wanted it to be developed in a /*/# 1$''" Ǩ.. ) -4Ǜ/#  1 '*+( )/ we folded these volumes into a U-shape to scenery and atmosphere. We hope that,
such a way that would make the best use of the of middle-rise apartments caused by the form a balanced inner yard, covered each rather than becoming a closed and hermetic
available site area. However, we proposed a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real estate room on the second floor with slanted roofs, real estate development environment, the
phased development of less than roughly 500m 2
is taking place here and there inside the and creating a conception of the whole as an Shared Residence Hanazono will announce a
to offer a new type of accommodation facility contemporary village space. The apartment assemblage of small rooms. Despite its status new architectural value, in which buildings
distinct from the nearby business hotels, which buildings announce their own architectural as an assemblage of continuous small rooms, and streets can coexist by possessing
may gradually blend into the neighbourhood. presence within the village, yet they are also the structure also inherits the existing scenery communal spaces, and where private and
This was well-received by the residents and reserved and inward looking as if they were of the human-scaled village by harmonising communal spaces can remain compatible.
the client in terms of two different aspects: isolated islands. Outsiders who have recently with the street scenery and embraces the

ǐǔǑ
PROJECT

3 4

1 2

Section
0 1 2 5m

1. town living room


2. community garden
3. atrium
4. laundry terrace
5. rooftop terrace

1F plan 2F plan 0 1 2 5m

ǐǔǒ
미우라 토모노리, 양시관, 오노 타츠히토는 T2P 아키텍츠 오피스와 P.O.T의 공동대표다.
T2P 아키텍츠 오피스는 도쿄, 오사카, 서울을 거점으로 활동한다. 건축설계 프로세스는 T2P 아키텍츠 오피스가,
기획・전시・가구・사인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컨설팅은 P.O.T가 각각 담당하며 협업하고 있다.

$0-*(*)*-$Ǜ)" #$&2)and )*/.0#$/* are the co-principals of T2P Architects Office and P.O.T. T2P Architects
Office is an international architectural design firm based in Tokyo, Osaka and Seoul.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s carried out by T2P Architects Office, with P.O.T collaborating on project consultation and exhibition planning.

ǐǔǓ
PROJECT

진행
한가람 기자
   -#$/ /
Less Architects (Junseung Woo)
 .$")/ (
사진 Song Siyeol, Kim Hokyoum, Kim Jinkwan, Lee Sunwha,
레스건축(별도표기 외) Kim Dongwook, Pyo Seongmi, Kim Junhyeong
*/$*)
자료제공 431, Wolsongseokhwa-ro, Jijeong-myeon,
레스건축 Wonju-si, Gangwon-do, Korea
-*"-((
sports facility, hospitality
$/ - 
1,373,897m2
0$'$)"- 
7,205.1m2
-*..!'**-- 
9,963.02m2
0$'$)".*+
설계 B1, 2F
레스건축(우준승) $"#/
설계담당 12.35m
송시열, 김호겸, 김진관, 이선화, 김동욱, 표성미, 김준형 -&$)"
위치 250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월송석화로 431 0$'$)"/*')-/$*
용도 0.52%
운동시설, 골프장 부대시설 '**-- -/$*
대지면적 0.31%
1,373,897m2 /-0/0-
건축면적 RC
7,205.1m2 3/ -$*-!$)$.#$)"
연면적 exposed concrete, stone
9,963.02m2
)/ -$*-!$)$.#$)"
규모 exposed concrete, stone
지상 2층, 지하 1층 /-0/0-' )"$) -
높이
12.35m
성문안 CC 클럽하우스 HARMONY Structural Engineering
*)./-0/$*)
주차 ETERN Development Company
250대 레스건축  #)$' )"$) -
건폐율 DAE PYUNG Engineering
0.52% ' /-$' )"$) -
용적률 YK ENG&CON
0.31%
)/ -$*-
구조 DESIGN STUDIO
철근콘크리트조 -/*).0'/$)"
외부마감 SUUM Art Curation & Consulting
화이트컬러 노출콘크리트, 송판 노출콘크리트, 자연석 ).+ -#$/ /
내부마감 DSW Landscape Design & Construction Co.
노출콘크리트, 자연석 *'!*0-.  .$")
구조설계 ROGA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 -$*
시공 Jan. 2020 – July 2021
(주)이턴산업개발 *)./-0/$*)+ -$*
기계설계 July 2021 – June 2022
대평엔지니어링 '$ )/
전기설계 HDC Resort
영광기술단
인테리어
디자인스튜디오
아트 컨설팅
숨 아트 큐레이션 & 컨설팅
조경
(주)동심원 조경기술사사무소
골프코스설계 edited by
(주)로가이엔지 )-(
설계기간 
2020.1. ~ 2021.7. photographed by
시공기간 ..-#$/ /. (unless otherwise indicated)
2021.7. ~ 2022.6.
건축주 materials provided by
HDC 리조트 Less Architects ..-#$/ /.

ǐǔǔ
PROJECT

ǐǔǖ
ǐǔǗ
PROJECT

ǐǔǘ
Image courtesy of HDC Resort Image courtesy of HDC Resort

ǐǔǙ
PROJECT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자연이라는 타자

인간은 여느 생물과 같이 먹고, 자고, 죽는 않다. 눈을 감고 이 동네 어디에 대충 던져 자연이라는 대상의 초현실적이며 에로틱한 지붕에서 분열된 건축적 주체는 하나로
이상 자연의 일부다. 그러나 자연을 사유하는 놓아도 건물은 산에 둘러싸여 있을 것이다. 아름다움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화강석 통합되는 착각을 일으킨다. 그러나 그
인간의 정신은 더 이상 자연의 일부가 아니다. 건축의 특별함은 야트막한 돌산에 건물이 바짝 암반의 맨살이 그대로 드러나 실핏줄까지 보일 중심에는 중정이라는 구멍이 나 있다. 주체가
사유는 사유하는 주체와 사유되는 대상을 붙어 있다는 점에 있다. 숨결이 느껴질 정도로 정도로 가깝다. 꽃과 풀이라는 육체적 솜털 중심을 상실하는 순간 통합적 평면 위에
구분해야 성립하는데, 이때 주체는 대상 안에 가까운 건축과 자연은 서로 강렬히 맞선다. 하나하나가 느껴지며 미세한 호흡마저 공유해야 있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밖을 향한
있지 않고 그 밖에 있어야 한다. 그래서 자연은 건축과 맞닿은 돌산은 부서져 있다. 일격을 하는 거리이다. 이 거리는 폭력적이다. 밀접한 세 면의 전망대는 주체의 자리를 중심에서
정신의 부정이며 외부가 된다. 반대로 정신은 당하여 숲과 흙의 피부가 찢긴 자연은 백색 거리로 인해 시선의 폭력은 나에게 그대로 경계로 이동시킨다. 전망대에서는 시선의
자연의 타자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건물은 돌과 암반의 근육과 뼈를 그대로 드러낸다. 만일 돌아온다. 그래서 불편하다. 그래서 유혹적이다. 역전이 발생한다. 건축 내부에서는 철저히
철로 이뤄진 이상 자연의 일부이다. 그러나 자연이 상처 입지 않았다면, 그리고 건축이 자연을 대상화하는 인간 주체가 중심에
건축은 돌무더기나 철 덩어리와 같지 않다. 관계하지 않았다면 이 언덕도 그냥 수많은 시선은 주체를 만들고, 주체는 중심을 설정한다. 있었다면, 옥상에서는 오히려 자연의 시선이
건축은 정신이 스스로를 자연과 분리하여 작은 지형 중 하나였을 것이다. 자기보다 시선이 시작되는 그 지점이 주체의 자리이며 인간을 향한다. 인간이 자연의 대상이
구현한 이념의 형식이다. 그래서 건축은 자연 거대한 언덕을 낭떠러지로 떨어뜨리려 온 힘을 중심이다. 모든 고전 정신과 건축은 중심성을 된다. 그래서 전망대에 올라서서 동일한
밖에 존재할 때만 성립한다. 자연은 건축의 다하는 건축과 예상치 못한 상처를 입고도 갖는다. 클럽하우스에도 중심이 존재한다. 돌산을 바라볼 때 느껴지는 감정은 자연을
타자이며, 건축 역시 자연의 타자일 수밖에 없다. 굳건히 맞선 자연의 극적인 대립을 통해 그런데 이곳의 중심은 계속 미끄러진다. 대상화하는 에로티시즘이 아니라 자연에
‘자연적 건축’, ‘자연과 일치하는 건축’이라는 건축과 자연은 서로의 존재를 인식한다. 계속 어긋난다. 건축 배치의 중심은 가운데 압도되는 경외감이다. 이렇게 이곳에서는
말 자체도 건축과 자연이 다름을 전제로 한다. 원, 라운드어바웃(회전교차로)이다. 그러나 끊임없이 시선의 이행과 역전이 일어남으로써
서로에 대해 타자인 건축과 자연이 마주하기 자리 잡기만으로 건축을 규정할 수는 없다. 그 중심에 도착하자마자 중심은 내부로 자연과 건축의 새로운 관계가 설정된다.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 건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더 정교한 외부와의 옮겨간다. 내부의 중심은 안과 밖을 연결하는
한다. 관계는 타자 사이에서만 성립하는 관계 맺기가 필요하다. 모든 정신적 주체는 중정과 계단이다. 그러나 그 중심은 관조와 건축과 자연의 유일한 관계인 대립은 무엇을
것이다. 실상 건축과 자연의 관계란 단 하나만이 외부에서 내면으로 귀환하는 과정을 통해 이동의 자리이지 점유의 자리가 아니다. 의미하는가? 하이데거는 『예술작품의
존재하는데, 그것은 대립이다. 모든 건축과 성립한다. 사르트르는 이 헤겔적 귀환이 중심을 타자화함으로써 주체의 자리는 근원』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연의 관계는 오직 대립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작동하는 원리가 시선에 있다는 사실을 또다시 미끄러진다. 실제로 주체의 중심은
간파했다. 시선을 통해 주체는 타자를 각 면의 경계에 마주한 로비, 레스토랑, “신전은 폭풍을 견뎌내며 서 있고, 그렇게
성문안 CC 클럽하우스는 애써 자연을 대상화한다. 하지만 오로지 주체 바깥만을 스타트하우스, 사우나 욕조에 자리 잡는다. 폭풍 자체를 내보인다. 석조의 광채와
모방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다. 형태는 향할 수 있는 시선은 주체 자신에게는 결코 계속 미끄러져 가는 중심을 따라가다 보면 빛남은 태양의 은총에 의해서만 빛나기는
자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사각형이다. 수직 닿을 수가 없다. 스스로를 보지 못하는 주체는 결국 마주하는 것은 해체된 주체이다. 이 하나, 그는 대낮의 빛과 하늘의 아득함,
높이에 비해 압도적으로 긴 수평 길이로 인해 타자를 향한 시선을 통해서 자신을 규정할 지점에서 성문안 CC 클럽하우스는 고전성을 밤의 어둠을 나타나게 한다. 신전의 위용은
건물은 매스보다 판에 가깝다. 기하학적 판은 수밖에 없다. 성문안 CC 클럽하우스의 시선은 파괴하고 새로운 분열된 주체를 상정한다. 허공의 보이지 않던 공간을 보이게 해준다.”
울퉁불퉁한 지형과 그 위를 덮은 숲과 대조된다. 고전적이다. 사각 형태, 자연과 건축의 일대일
건축과 자연의 관계 맺기는 수직적 자리 대응, 중심에서 밖으로, 밖에서 중심으로 분열된 주체는 내부에서 벗어나 지붕으로 대립은 존재했으나 드러나지 못했던 것을
잡기에서 시작된다. 판이 수직적 영점인 지면과 돌아오는 여정은 18세기 영국 풍경화식 정원의 이끈다. 지붕은 외부이면서 동시에 내부인데, 비로소 존재하게 한다. 자연은 건축을
높이가 같다면 공간이 사라지고 시간만을 팔라디오 빌라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주체와 타자가 동일한 자리에 존재하게 하고, 건축은 자연을 존재하게
지배하는 평면이 된다. 판이 지면보다 높게 팔라디오적 시선의 유사성은 다시 시선을 통해 공존할 수밖에 없다.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한다. 그것이 건축과 자연의 유일한 관계다.
자리를 잡는다면 자연을 압도하려는 남근적 해체된다. 사각의 네 면을 따라 네 개의 시선이
신전이 된다. 반대로 판이 지면보다 낮다면 형성된다. 자연 그대로의 원경, 목가적 인공으로
자연에 함몰되는 죽음 충동이 지배하는 성소가 만들어낸 중경, 그리고 건축의 연장에 가까운
된다. 이 클럽하우스의 건축적 판은 땅 전체를 근경으로 구성되는 동과 서의 시선은 고전
들어 올린 듯 자리한다. 지면보다 높되, 마주한 공식을 따른다. 새로운 건축적 주체는 남과
언덕보다는 낮아 자연을 압도하지도 그렇다고 북의 시선을 통해 탄생한다. 닫힌 북으로의
지배당하지도 않는 안정된 긴장감을 준다. 시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남으로의 시선은
건축과 자연이 관계를 맺는 다음 방식은 수평적 자연과 거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을 만큼 가깝다.
자리 잡기이다. 건물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주체와 타자 사이에는 분리가 불가능할 정도인
여기에서 산으로 둘러싸인 사실은 특별하지 강한 시선의 압력이 가해진다. 남측 시선은

ǐǕǐ
$(*0)"($) professor, University of Seoul
 

As long as humans experience hunger, sleep, when the plate sits lower than the ground, it itself from the viewpoint recognising and continues to go crisscross. The centre of the
and death like all other living creatures, they transforms into a sanctum caved in nature registering otherness. This club house has architectural layout is the circle in the middle, a
are intrinsically a part of nature. However, where death drive rules. The architectural a classical viewpoint. Its rectangular form, roundabout. But once you arrive at that centre,
when a human being begins to think about plate of this club house is positioned so that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the centre shifts to the inside. The centre of the
nature, nature is no longer guiding that it appears as though the entire land has been and architecture, and the journey from the inside consists of a courtyard and staircase that
+ -.*)Ǩ.($)ǚ#$)&$)"-$. .2# )/#  raised. It is higher than ground level but centre to the outside as well as returning from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However,
thinking subject and the object of thought lower than the hill in front of it, so it neither the outside to the centre are almost identical that centre is the place of movement, not
are at a distance. To that point, the subject prevails nor is ruled by nature, but instead to that of the Palladian villa with the 18th occupation. By othering the centre, the place for
should remain outside of the object. Nature creates a sense of a stabilised tension. century English landscape garden. However, the subject slides again. In reality, the centre of
thus becomes understood as the external The next metho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he viewpoint once again deconstructs any the subject settles in place facing the border on
realm, external to the life of the mind. In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is that of resemblance to a Palladian viewpoint. Four each side, such as the lobby, restaurant, start
the same manner, a building is as a part the horizontal settlement. What makes this viewpoints are created by the four rectangular #*0. Ǜ)/# .0)Ǩ./#/0ǚ# )4*0!*''*2
of nature as long as it is made of stone and -#$/ /0- 0)$,0 $./# 0$'$)"Ǩ.'*.  sides. The classical formula is followed by the continuously sliding-down centre, you will
steel. However, architecture is an ideological proximity to the low stone mountain. The the viewpoints of east and west, which are ultimately reach the deconstructed subject.
premise realised when the mind detaches stone mountain that touches the architecture composed of the distant view of nature itself, This club house then deconstructs classicism
itself from nature. Therefore, architecture is damaged. Nature has been dealt a blow, the middle distance produced by idyllic and introduces a new, deconstructed subject.
comes into existence when it remains outside the forest and soil scraped off, exposing artificiality, and the close-range view that
of nature. Architecture and nature, which the muscle and bone of the white bedrock. resembles the continuation of architecture. The deconstructed subject escapes from the
are at opposite poles, must inevitably make If nature had not been disrupted and if The new architectural subject is created by the interior and heads to the roof. The roof is both
some kind of relationship in order to face architecture had not tried to establish a viewpoints of the south and north. There is no the outside and the inside, and the subject and
one another. A relationship is something that relationship, this hill would be just one viewpoint of the north. The viewpoint facing the other have no choice but to coexist in the
can only come into existence by broaching more minor feature in the local topography. south is so close to nature that there is almost same place. In the roof made of a single plate, the
otherness. In reality, there is only one Architecture and nature become conscious no space between them. This is a very powerful deconstructed architectural subject of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of one another through their dramatic viewpoint, as though it is impossible to discern illusion that it is integrated into a single entity.
nature, and that is one of confrontation. confrontation, in which architecture uses all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ness. The However, there is a hole called a courtyard in
of its might to try to push a hill that is even viewpoint to the south exposes the surrealistic that centre. When the subject loses its centre,
Seongmunan CC Club House does not much bigger than it over a cliff, and nature firmly and erotic beauty of nature. It is so close it realises the fact that it is not standing on an
of an effort to mimic nature. Rather, it is resists after receiving these unexpected blows. that the bare skin of granite bedrock, even integral plan. The three-sided observatory facing
the opposite. The form is a rectangle that revealing small veins, is visible. Even the /# *0/.$ (*1 ./# .0% /Ǩ.'*/$*)!-*(
cannot be found in nature. The building Architecture cannot be defined solely in flowers and grass can be observed and felt in the centre to the border. At the observatory, a
resembles a plate more than a mass because terms of a settlement. Encouraging a more each physical downy hair. The minute breath reversal of viewpoints occurs. If a human subject
the horizontal length is overwhelmingly long elaborate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must be shared. This distance is abusive. The thoroughly objectifying nature was positioned
- '/$1 /*/# 1 -/$'# $"#/ǚ# +'/ Ǩ. is necessary in the realisation of architecture. violence of the viewpoint at a short distance $)/#  )/- *!/# -#$/ /0- Ǩ.$)/ -$*-Ǜ
geometric design contrasts with the uneven Every spiritual subject can come into existence returns right back at me. That is why it is there is a viewpoint of nature on the rooftop,
topography and its forested top. A vertical through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he unpleasant. That is why it is also enticing. looking at the human being. The human being
settlement i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side to the inside. Sartre understood that becomes an object of nature. So, when you
architecture and nature is first formed. the viewpoint is where the principle of how The viewpoint creates the subject, and the walk up to the observatory and look at the same
When the plate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a Hegelian return can work. The subject subject establishes the centre. The point where stone mountain, you experience a sense of awe
ground level, the space disappears and is objectifies otherness through their viewpoint. the viewpoint starts is the position of the /)/0- Ǩ."-) 0-Ǜ-/# -/#)! /$.#$./$
replaced by a plan that only structures time. However, a view that can only regard that subject as well as the centre. Centrality exists appreciation that objectifies elements in the
When the plate sits higher than the ground, which is outside of the subject will never come in every classical mind and in architecture. natural world. Here, a constant shift and reversal
it transforms into a phallic temple that aims close to the subject itself. When the subject It also exists in the club house. However, of viewpoints takes place, establishing a new
to prevail over nature. On the contrary, is unable to look at itself, it can only validate the centre of this place continues to slide. It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ǐǕǑ
PROJECT

mass / programme path void and penetration rooftop green and public programme architectural topography

Architecture and topography

existing topography excavation by development excavation control restore natural topography restore natural topography with architecture

Excavation and topography

11

14 1 2 3
13

10
11 11

15 9 6

14 13 12

Section
0 5 10 25m

ǐǕǒ
10

11

11

15

11 10

11

10

Rooftop plan

3 4 4 3

2 2

5 5

15 1

6 1. lobby
8 2. locker room
3. powder room
7
4. sauna
5. restroom
6
5 6. dining room
9
7. kitchen
8. restaurant
9. start house
10. observatory
11. roof garden
12. hall
13. golf bag conveyor
14. office
15. parking

1F plan 0 5 10 25m

ǐǕǓ
PROJECT

ǐǕǔ
0). 0)"** has had varied field experience aboard, including work at UNStudio (Amsterdam), M.FUKSAS
(Rome), and TEN Arquitectos (NYC). He is currently working as the principal at Less Architects. Less Architects
우준승은 유엔스튜디오(암스테르담), M.푹사스(로마), 텐 아르키텍토스(뉴욕) 등에서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was founded on and undertakes various types of architectural projects with a deep focus of architectural geometry,
현재 레스건축 대표로 활동 중이다.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의 지오메트리와 재료를 개발, materials and scrutiny of the matter. Major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most recently, Seosomun Shrine
적용하는 것을 통해 건축과 삶에 변화를 추구한다. 대표작으로는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서울자유발도르프학교, History Museum, Seoul Frei Waldorf Schule, SM Celebrity Center, Cocone Seoul, and M Street Hannam.
SM 셀러브리티 센터, 코코네사옥, M 스트리트 한남 등이 있다.
$(*0)"($)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t the University of Seoul. He is an instructor who
김영민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이다. 학생을 가르치는 선생이자 설계를 하는 조경가, 글을 쓰는 사람이다. teaches students, a landscape architect who designs, and a writer. He studied both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건축과 조경을 함께 공부했다. 미국에서 도시설계와 조경설계 실무를 했고, 여러 나라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at the same time, practises both urban design and landscape design, and worked on projects in different countries. His
이론적 담론을 생산할 수 있는 설계를 하기를 원하며, 설계를 끊임없이 각성시킬 수 있는 이론과 비평 작업을 해나가고자 한다. goals are to practise design which will result in new theoretical approaches and discourse, as well as to work on theory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세종시 도시상징광장, 광화문광장, 파리공원 리노베이션 등이 있다. and criticism that will continue to awaken the field of design. His notable projects include Sejong-si Urban Symbolic
『스튜디오 201, 다르게 디자인하기』 등 십여 권의 책을 썼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책을 번역했다. Square, Gwanghwamun Square, and the renovation of Paris Square. He has authored a dozen books, including Studio
현재 바이런(Viron)의 디자인 디렉터로 실무를 병행하고 있다. 201, Designing Differently, and translated Landscape Urbanism. He is currently working as the design director at Viron.

ǐǕǕ
PROJECT

진행
박지윤 기자

  -#$/ /
Simplex Architecture (Park Chungwhan, Song Sanghun)
 .$")/ (
사진 Kim Yukyung, Sim On, Jung Eunseon,
신경섭 Lee Hyunwoo, Jeong Seongwook, Bang Jihee

)/ -)/$*)' .$")*(+ /$/$*)/ (
자료제공 Park Gyoungtak, Lee Namjin, Lee Sangsoo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
187-5, Jeongna-dong, Samcheok-si, Gangwon-do, Korea
-*"-((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y
$/ - 
14,115m2
0$'$)"- 
2,097.56m2
-*..!'**-- 
3,274.71m2
0$'$)".*+
B1, 1F
$"#/
설계 8.1m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박정환, 송상헌) -&$)"
설계담당 29
김유경, 심온, 정은선, 이현우, 정성욱, 방지희 0$'$)"/*')-/$*
국제설계 공모담당 14.86%
박경탁, 이남진, 이상수 '**-- -/$*
위치 13.2%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187-5 /-0/0-
용도 RC, steel frame
문화 및 집회시설 3/ -$*-!$)$.#$)"
대지면적 limestone (travertine), low-e coated glass
14,115m2
)/ -$*-!$)$.#$)"
건축면적 limestone
2,097.56m2
연면적
이사부독도 기념관 /-0/0-' )"$)
TheKujo Co.
-

3,274.71m2 *)./-0/$*)
규모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Hanjoo Construction Co.
지상 1층, 지하 1층  #)$') ' /-$' )"$) -
높이 HANA Consulting Engineers Co., Ltd.
8.1m ).+ -#$/ /
주차 DSW Landscape Design & Construction Co.,
29대 STUDIO201 Landscape Design & Consulting
건폐율 ).+ '$"#/$)" .$") -
14.86% EON SLD Co., Ltd.
용적률  .$")+ -$*
13.2% Dec. 2017 – Aug. 2018
구조 *)./-0/$*)+ -$*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Dec. 2018 – Sep. 2022
외부마감 '$ )/
라임스톤(트래버틴), 로이복층유리 Samcheok City
내부마감
라임스톤
구조설계
터구조(주)
시공
(주)한주건설
기계・전기설계
(주)하나기연
조경
(주)동심원 조경기술사사무소,
스튜디오이공일 조경기술사사무소
경관조명 edited by
이온에스엘디(주) -& $4*0)
설계기간 
2017. 12. ~ 2018. 8. photographed by
시공기간 40)".0#$)
2018. 12. ~ 2022. 9.
건축주 materials provided by
삼척시 Simplex Architecture $(+' 3-#$/ /0-

ǐǕǖ
PROJECT

ǐǕǘ
ǐǕǙ
PROJECT

박정환, 송상헌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공동대표 섬의 기억을 파고들어

과거의 지형과 역사성 채워지고 연결되며 건축과 조경이 조화를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 것이다. 공간은 주민들을 위한 시설로, 북카페, 강연,
대상지는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일대다. 이룬다. 관람객들은 전시장 내부의 전시물뿐 관광안내 센터 옆으로 나있는 외부 계단을 이벤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동쪽으로는 삼척항이 위치하며, 동쪽과 아니라 주변의 외부 공간과도 서로 소통하며, 따라 상층부로 오르면 삼척포진성의 위치가
남쪽은 공업지구, 북쪽으로는 상업지구, 단순히 전시 관람만이 아니라 이곳 자체를 바닥에 새겨진 성곽길과 산책로가 자리한다. 구조와 모듈
서북쪽으로는 주거지역이다. 과거 신라장군 즐기고 감상하기 위해 찾아오게 된다. 두 번째 동인 영토수호 기념관에 진입하면 장방형의 단순한 매스로 구성된 각각의 건물은
이사부는 서기 512년(지증왕 13년) 지금의 관광안내 센터부터 영토수호 기념관, 높은 층고의 로비 공간이 사람들을 맞이하며, 200×80mm의 직사각형 형태의 철골 기둥이
울릉도, 독도인 우산국을 복속시켜 신라 독도체험 공간, 복합휴게 공간에 이르기까지, 천창을 통해 떨어지는 빛이 석재로 마감된 벽을 2.4m 간격으로 배치되어, 건물 매스의 단변인
영토에 편입하기 위해 선단을 이끌고 이곳 이사부독도 기념관 방문객들의 복합적인 타고 흘러 들어온다. 이곳은 전시 관람을 위한 약 12m의 폭을 지지한다. 영토수호 기념관과
삼척에서 출항했다. 대지 중앙에 위치한 경험은 건축 레벨의 연속적인 변화와 실내외 대기 공간인 동시에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독도체험 공간의 상부는 솔리드한 석재로, 하부는
육향산은 이사부가 출항할 당시에는 바다 위의 공간의 교차를 통해 이뤄지며, 이러한 경치를 즐길 수 있는 라운지의 역할도 겸한다. 투명한 유리로 마감했다. 저층부 유리를 통해
섬이었으나, 현재는 매립되어 산이 된 곳이다. 건축적 산책은 풍부한 경험을 제공한다. 영토수호 기념관과 독도체험 공간 사이에 위치한 내외부가 서로 소통하며 외부에서 내부의 전시와
매립된 땅 아래에는 과거 섬이었던 육향산의 바위마당은 육향지와 육향산을 함께 바라보며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고, 내부에서도 외부의
하부 지형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육향산 전시의 시퀀스 독도의 이미지를 느끼는 공간으로, 사람들은 자연경관과 육향산 및 육향지를 관람할 수 있다.
하부를 발굴하고, 대상지를 과거 땅의 레벨로 이사부독도 기념관의 방문객들은 관광안내 이곳에 앉아 조용히 명상을 하기도 하고, 때에 주민들을 위한 복합휴게 공간의 경우 상층부를
낮추었으며, 물을 도입했다. 다시 드러난 땅은 센터를 시작으로 전시를 경험하게 된다. 건물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경험하기도 한다. 유리로 계획해 개방성을 강조했다. 건물의 외장은
이곳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상층부는 도로 레벨에서 진입이 가능하며, 바위마당을 지나 진입하게 되는 독도체험 주변 자연경관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이다. 도입한 물은 육향지라는 방문객과 지역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카페가 공간 로비에서는 창을 통해 육향산 하부의 트래버틴 석재로 마감했으며, 2400×300mm
이름을 가지고 연못의 형태로 존재하며, 위치한다. 계단을 따라 저층부로 내려가면 드러난 암반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독도체험 모듈을 사용해 좁고 긴 매스의 방향성을 더욱
육향산과 연계되어 바다 위 섬의 이미지를 이사부독도 기념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진입 공간 주변을 따라 연결된 경사로는 상층부로 강조했다. 매스 하부의 창호는 석재 모듈의 반인
부각한다. 이는 이사부가 우산국으로 출정할 로비와 안내 센터가 있다. 이곳을 기점으로 사람들을 인도하며, 이곳에서는 로비의 전시를 1200mm로 구성했고 내부 바닥은 600×600mm
당시 상황, 환경과 더불어 독도의 이미지를 이사부독도 기념관의 관람을 시작하게 된다. 위에서 아래로 다시 한 번 내려다볼 수 있다. 규격의 석재로 마감했다. 이처럼 건물의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처럼 드러낸 관광안내 센터를 나와 영토수호 기념관으로 독도체험 공간 남쪽으로 이어진 브리지를 건너면, 내외부는 시각적, 동선적 연계뿐 아니라 내외부
대지의 역사성을 바탕으로 조성된 전시 공간은 향하는 길목에는 막돌쌓기 방식으로 구성된 복합휴게 공간으로 연결된다. 관람객들은 모듈의 통일을 통해서도 서로 관계를 맺는다.
과거의 경관을 회복하고 삼척시의 새로운 벽이 전면에 나타난다. 이는 과거 신라시대 브리지를 건너며 육향산 하부와 육향지를 또 한
문화적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수군의 기지였던 삼척포진성의 자리를 보존해 번 감상하며, 브리지를 건너 도착한 복합휴게 외부 공간 계획
건물 주위의 외부 공간은 건축과 조경이 서로
네 개의 분절된 매스 tourist information center 조화를 이루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건축물
이사부독도 기념관은 관광안내 센터, 영토수호 자체가 두드러지기보다는 주변 경관과 조화롭게
기념관, 독도체험 공간, 복합휴게 공간 총 네 territorial defense memorial hall
어우러지도록 계획했다. 도시적 맥락을 고려해
개 동으로 구성된다. 네 개의 분절된 매스는 부지 외부에서는 다양한 위치, 방향에서
전시 구성과 전시의 관람 방식, 공간의 감상 개방적으로 진입할 수 있고, 부지 내부에서는
방식이 유연하게 이뤄지도록 돕는다. 각각의 진입 동선이 연결되도록 계획했다.
분동의 형태로 구성된 건물은 하나의 또한 외부 공간을 잠재적 전시 공간으로
Dokdo
전시관인 동시에 필요에 따라 각각 독립된 experience space 바라보고, 경관적 체험의 기반을 조성하고자
전시를 할 수 있다. 정해진 선형의 관람 했다. 기존에는 육향산 하부의 바위를 최대한
동선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시품을 감상하는 드러내어 외부 공간과 전시장 내부에서 하부의
수동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동과 동 사이를 암반을 바라보는 경관이 주요 관람 포인트가
이동해가며 내부 전시 공간과 외부 자연을 되도록 했었다. 그러나 대상지 내에서 과거
교차해 경험하기도 하고, 중간에 다른 곳으로 신라시대 유물인 삼척포진성의 일부가 출토되어
이동하여 머무르거나 휴식할 수도 있으며, 이를 훼손하지 않도록 건물 일부를 이격하고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선택적인 관람을 육향지를 축소해 옹벽으로 처리하게 됐다.
할 수도 있다. 각 건물들 사이에는 대상지 multi-purpose 의도했던 육향산 하부 경관의 상당 부분이
community space
본연의 자연경관을 드러내는 외부 공간들이 옹벽으로 변경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ǐǖǐ
-&#0)"2#)Ǜ*)")"#0) co-principals, Simplex Architecture



 

 

*-( - --$))


/. $./*-4 can be installed. Marking a departure from comes across a fortress road and trail along The glass across the lower section allows the
The site lies in Jeongna-dong, Samcheok-si, the more passive approach of moving through which the location of the Samcheokpojin- inside and outside spaces to communicate, and
Gangwon-do. Samcheok Port is located to the an exhibition according to a prescribed order, seong Fortress is engraved in the ground. to permit observation of the exhibition and its
east, with an industrial zone to the east and controlling circulation, here it will be possible Upon entering the second section, the territorial spaces from the outside, and for those inside to
the south, a commercial zone to the north, to move between the sections, or to experience defense memorial hall, a high-ceilinged lobby observe the natural landscape of Yukhyangsan
and a residential zone to the north west. In the internal exhibition spaces and outdoor greets visitors, and the light from the windows Mountain and Yukhyang-ji outside. In the multi-
ǚǚƫƧƨǹ/# ƧƩ/#4 -*! $)" $% 0)"Ǩ.- $")ǺǛ nature at intervals, or to move to a different above fall into the space through the stone purpose community space for the local residents,
Silla general Isabu set off from this spot in spot and to rest while observing the exhibition, finished walls. The space is simultaneously the upper section also employs glass to emphasise
Samcheok with his marine troops to conquer or to start from the midpoint and selectively a waiting room for the exhibition visitors, a sense of openness. The project was finished
Usanguk, today known as Ulleungdo Island, view what one wishes to see. In between each as well as a lounge in which people can rest with travertine stone, in harmony with the natural
Dokdo Island which was part of the Silla section, the outdoor spaces which offer views and enjoy the views. The stone plaza which surroundings, and by using a 2400×300mm
territory. Yukhyangsan Mountain, located of the surrounding natural landscape have is located between the territorial defense module, the direction of the long and narrow
at the centre of the site, was once an oceanic been filled and organised to connect, bringing memorial hall and the Dokdo experience mass was emphasised. The outlets for the lower
$.')//# /$( *!
.0Ǩ. +-/0- Ǜ0/ the architecture and landscape into harmony. space is directed towards both Yukhyang-ji section of the mass were composed of 1200mm,
has now become a mountainous region. The visitor can communicate not only with and Yukhyangsan Mountain. It is a place in half of the stone module, and the floor indoors
Underneath this reclaimed land are the the exhibited artefacts within the exhibition which to gain a fuller sense of Dokdo Island, was finished with a 600×600mm dimension
lower reaches of Yukhyangsan Mountain hall, but also with the outdoor nearby spaces, and where one can sit in quiet meditation or stone. As such, the indoor and outdoor areas
that was once an island. The lower part of the visiting not only to observe the exhibitions experience the diverse range of activities. of this project interconnects, not only in terms
Yukhyangsan Mountain was excavated, the but to enjoy and appreciate this place. In the lobby of the Dokdo experience space, of its visual elements or circulation, but also in
site was lowered to its former altitude, and which can be reached by passing through unifying the modules indoors and outdoors.
water was introduced. The water introduced 3#$$/$*) ,0 ) . the stone plaza, one can appreciate the lower
to this area adopts the form of a pond with the The visitors to the Isabu Dokdo Museum begin section of the Yukhyangsan Mountain rocks 0/**-')
name Yukhyang-ji, relating it to Yukhyangsan their exhibition experience at the tourist through the window. The slope, which flows The outdoor spaces around the building were
Mountain and alluding to the image of an information center. The upper level of the around the Dokdo experience space, guides planned so that the architecture and landscape
island on the sea. An exhibition space tracing building can be entered from the road level, people towards the upper levels, and here, would harmonise and blend in with the
the historic features throughout the newly where there is a café which can be used by at the lobby, it allows one to observe, once surrounding landscape, rather than becoming
revealed site, will come to play a role as new visitors and locals. Descending to the lower again, the exhibition with a top-down view. too intrusive or imposing a structure. The
cultural site in Samcheok, and recover what levels using the stairs, an entrance lobby and Crossing the bridge connected to the south outdoor spaces were also seen as potential
in the landscape had been lost to the past. information center where one can acquire of the Dokdo experience space connects it exhibition spaces,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information about the Isabu Dokdo Museum to a multi-purpose community space. The a foundation for a scenic experience. If
*0-
) + ) )/.. . can be found. This is the point at which one visitors cross the bridge to appreciate the originally the main point of attraction was to
The Isabu Dokdo Museum is composed really begins to experience the Isabu Dokdo lower reaches of the Yukhyangsan Mountain be the view of the lower section of the bedrock
of four features: the tourist information Museum. Exiting from the tourist information and Yukhyang-ji once again, and the multi- from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exhibition
center, a territorial defense memorial hall, center, to take the pathway to the territorial purpose community space to which they hall, revealing as much of the lower section of
the Dokdo experience space, and a multi- defense memorial hall, one is met by a wall at arrive after crossing the bridge can be used as the Yukhyangsan Mountain as possible, then
purpose community space. These four the forefront, composed of rubble masonry. a multipurpose space for resident facilities, the discovery of part of Samcheokpojin-seong
independent masses inform the composition This has been introduced to reflect on the as a book café, for lectures, events, etc. Fortress as Silla era relics on the site meant
of the exhibition and the way in which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ite by preserving that part of the building had to be reassigned,
visitors engage with the exhibition, as well the place where Samcheokpojin-seong Fortress /-0/0- )*0'  and the Yukhyang-ji was reduced in size and
as ensuring more fluid circulation. was once located as a marine military base for The upper sections of the territorial defense partitioned with a wall, so as to protect the relics.
The project, composed as separate sections, is the Silla empire. Following the outdoor steps memorial hall and the Dokdo experience space It remains regrettable that the former view of
simultaneously a single exhibition hall, as well at the side of the tourist information center, were finished with solid stone, while the lower the lower section of Yukhyangsan Mountain
as a place in which independent exhibitions and mounting them to the upper level, one sections were finished with transparent glass. was largely modified and recast as a wall.

ǐǖǑ
PROJECT

ǐǖǒ
ǐǖǓ
PROJECT

11

9 10

6 5

12

1. tourist information center


2. territorial defense memorial hall
3. Dokdo experience space
4. multi-purpose community space
5. stone plaza
6. Yukhyang-ji
7. Yukhyangsan Mountain
8. promenade
9. entry plaza
10. fortress promenade
11. parking
12. Misoosa Temple

0 5 10 20m
Site plan

ǐǖǔ
2 2 2 2
4
1

Section 0 5 10 20m

1 2

2 3

2 3

4
2

5 6

1. information center
2. lobby
3. exhibition space
4. multi-purpose reading space
B1 plan 1F plan
5. library
6. book café

0 5 10 20m

ǐǖǕ
PROJECT

ǐǖǖ
박정환은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의 공동대표이자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교수로서 건축, 도시, 인테리어
등 폭넓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했으며,
서울의 매스스터디스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뉴욕의 리처드
마이어 앤 파트너스와 아심토트 아키텍처에서 프로젝트
아키텍트로 활동했다. 미국 건축사이며 LEED AP를
소지하고 있고,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 중이다.
송상헌은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의 공동대표로 대한민국
건축사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한 이후, 서울
소재의 여러 건축사사무소를 거치며 공공 시설물에서부터
공동주택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규모, 다양한 용도의
건축 프로젝트에서 경험을 쌓았다. 이를 토대로 도시,
건축, 조경 등 폭넓은 분야에 관심을 갖고 활동 중이다.

-&#0)"2#) is a co-principal of Simplex Architecture


as well as a professor at Hongik University. He received
his Master of Architecture from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in 2011 and holds a Bachelor of
Scienc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began his professional career working
at MASS STUDIES in Seoul, where he gained experience
in a wide range of projects. He continued his career at
Richard Meier & Partners and Asymptote Architecture
as a project architect. He is a registered architect in
New York and a member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s well as a LEED accredited professional, and
public architec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0) is a co-principal of Simplex Architecture.
He received his bachelor of Architecture from University
of Seoul. He has held primary roles on a wide range of
projects in various firms in Seoul, as a project architect.
He is interested in a wide range of design field including
urban desig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He is a registered architect in Korea, and a member
of the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ǐǖǗ
PROJECT

진행
윤예림 기자


 

  -#$/ /
Jae K. Kim (Hanyang University)
 .$")/ (
사진 JK-AR (Yoon Jisun, Shin Jinho, Jung Nayoung),
노경(별도표기 외) Soyun Architects (Jeong Changun),
Haega Passive Architects (Jo Minkoo)
자료제공 */$*)
김재경건축연구소 195, Manggyeong-ro, Jinju-si, Gyeongsangnam-do, Korea
-*"-((
neighbourhood living facility
$/ - 
268,212m2
0$'$)"- 
109.98m2
-*..!'**-- 
119.19m2
0$'$)".*+
1F
$"#/
6.21m
0$'$)"/*')- /$*
0.041%
'**-- -/$*
설계 0.039%
김재경(한양대학교) /-0/0-
설계담당 wooden structure, RC
김재경건축연구소(윤지선, 신진호, 정나영), 3/ -$*-!$)$.#$)"
건축사사무소소윤(정창운), SYP wood siding, aluminum sheet roofing
해가패시브건축(조민구)
)/ -$*-!$)$.#$)"
위치 birch plywood, white oak plywood, T30 cedar deck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로 195 /-0/0-' )"$) -
용도 Hwan Structure
근린생활시설 *)./-0/$*)
대지면적
268,212m2
빛의 루 Dae Jo Construction Co.
 #)$') ' /-$' )"$) -
건축면적 Yousung Total Engineering Co., Ltd
109.98m2 김재경 ).+ -#$/ /
연면적 JK-AR
119.19m2  .$")+ -$*
규모 Dec. 2020 – Aug. 2021
지상 1층 *)./-0/$*)+ -$*
높이 Aug. 2021 – May 2022
6.21m *)./-0/$*)0" /
건폐율 700 million KRW
0.041% '$ )/
용적률 Jinju City
0.039%
구조
목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탄화목 SYP 사이딩, 알루미늄 지붕재
내부마감
자작나무 합판, 화이트오크 합판, T30 삼나무데크
구조설계
환구조
시공
대조건설
기계・전기설계
유성기술단
조경
김재경건축연구소
설계기간 edited by
2020. 12. ~ 2021. 8. *0) '$(
시공기간 
2021. 8. ~ 2022. 5. photographed by
공사비 *# 40)" (unless otherwise indicated)
7억 원
건축주 materials provided by
진주시 Jae K. Kim DZ

ǐǖǘ
PROJECT

ǐǗǐ
ǐǗǑ
PROJECT

김재경 한양대학교 교수 공존의 기술

진주 건축의 정체성 법고창신(法古創新) 도면을 이용한 조립 매뉴얼을 개발했다. 또한 흐리고 프로젝트에 개방성을 더한다. 나무
진주의 건축은 촉석루(14세기), 빛의 루는 전통을 계승이 아닌 창조의 시작으로 증강현실(AR)을 도입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구조는 투명한 유리를 통해 외부로 투영돼 입면
국립진주박물관(1984), 그리고 바라본다. 이러한 태도는 국립진주박물관과 고려했다. 전통 건축에서 모티프를 가져왔지만, 요소로 인식된다. 구조가 내부 공간을 이루는
경남문화예술회관(1988)과 같은 시대를 경남문화회관에서도 보인다. 촉석루와 같은 설계에서 제안하고 시공에서 구현한 방식은 동시에 건물의 외관이 되는 것이다. 가을밤
대표하는 걸작에 비춰 평가받아야 하는 운명에 전통 건축의 큰 지붕과 그것을 떠받치는 기둥이 온전히 최신 기술의 적극적 사용으로 가능한 남강에서 열리는 진주남강유등축제에서 ‘열림’의
있다. 이것은 건축적 가치뿐만 아니라 전통의 진주는 물론 현대의 한국 건축에 영감의 대상이 것이다. 이로써 빛의 루는 전통 목구조가 우리 개념은 반대가 된다. 내부 조명에 의해 건축
해석에 관한 평가이기도 하다. 우리 건축에서 된 것은 자명하다. 전통 건축의 가구식 목구조는 시대의 공학 목재와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으로 자체가 유등이 되어 남강을 비추고 도시를 위한
전통의 현대적 해석에 관한 논쟁은 늘 존재했다. 경남문화회관에서 콘크리트 기둥과 주두로 다시 탄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축제의 장이 된다. 조망과 입면의 상징성을
현대건축이 전통과 필연적 관계를 맺을 필요는 새롭게 탄생했다. 전통 건축에서 서까래가 전통 방식을 새롭게 해석하고, 구현하고, 고려한 개방성과 내부 환경을 위한 기능성을
없지만, 진주의 건축이라면 다르다. 남강이 만드는 깊은 처마는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수평의 적극적으로 기술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빛의 모두 충족하기 위해 프로젝트는 에너지 효율,
가진 기억과 촉석루의 역사성을 배경으로 선이 중첩된 지붕이 되었다. 두 거장의 작품은 루는 과거와 현재의 하이브리드 건축이다. 단열성, 기밀성을 면밀히 살펴 시공되었다.
국립진주박물관과 경남문화예술회관이 당대 건축 양식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20세기 유일하게 막힌 동측 벽은 내진을 위한 방편이자
내보이는 전통 건축의 해석 방향은 이 도시의 초 국제주의와 일본의 제관 양식, 이후 발현한 현대의 누각 ‘자연과 인공의 공존’이라는 의미를 담는 배경이
건축이 갖춰야 할 정체성을 강하게 규정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지역성에 접목해 탄생한 전통적으로 누각은 특정 계층의 사적인 된다. 방문객이 진입하며 처음 마주하게 되는
따라서 진주의 건축은 김중업과 김수근이 한국성은 진주의 근현대 건축유산에 이론적 회동이나 군사적인 관측을 목적으로 동측 외부는 아침 햇살에 비친 망진산의 나무
했던 도전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다.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빛의 루는 건축 양식을 지어졌다. 요즘에 와서는 원래의 의미와 그림자를 담고, 동측 내벽은 석양에 드리워진
이에 더해 빛의 루의 대지가 가진 중요성은 바탕으로 전통 건축의 요소를 차용해 형태적으로 다르게 파빌리온이라는 서양 건축의 유형으로 나무 구조체의 그림자를 담는다. 벽 사이
프로젝트에 새로운 가치를 요구한다. 남강을 변화시킨 두 선례와는 다르게 출발한다. 이해되기도 하지만 사실 누각은 현대에 개구부를 통해 방문자는 자연의 나무, 인공의
중심으로 진주 구도심을 도시적 관점에서 빛의 루는 목조건축의 복권을 선언한다. 전통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건축 유형이다. 나무, 그리고 나무 그림자까지 세 가지의
바라보면 북측에는 촉석루와 국립진주박물관이, 건축의 공포와 같은 가구식 구조 결구법은 빛의 루는 누각의 의미를 재생한다. 전통 다른 나무를 동시에 경험한다. 자연과 인공의
동쪽에는 경남문화예술회관이, 남쪽에는 디자인 컴퓨테이션을 통해 빛의 루를 지탱하는 누각의 떠 있는 마루는 빛의 루에서 공공을 위한 공존은 전통과 현대의 공존과 함께 빛의
미래에 새롭게 탄생할 구 진주역 문화재생 여섯 개의 나무로 재탄생했다. 촉석루 플랫폼이 되었다. 시민들이 남강과 망진산 등 루가 궁극적으로 전하고자 한 메시지다.
사업지가 위치한다. 십자형 도시 축의 서편에 전면의 여섯 개 기둥을 오마주한 나무 구조의 주변의 자연환경은 물론 도시의 풍경을 동시에 촉석루가 몇 백 년을 지나 계속 발전했다면 어떤
자리한 대지는 그곳에 들어설 프로젝트의 결구는 못과 접착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목재 관조하는 장소가 되는 것이다. 전면과 좌우측 모습을 지녔을까? 특정 계층을 위하거나 특수한
규모와 상관없이 중요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부재들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져 전통 방식을 3면의 유리 벽은 방문자들이 시간과 계절에 목적을 가졌던 누각 건축은 기술의 발전과
이처럼 입지의 중요성과 진주의 문화적 현대적으로 재현한다. 구조체는 형태가 모두 따라 변해가는 주변 환경을 여과 없이 경험하게 공공성의 대두로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 다르게
정체성을 지닌 새로운 건축 제안의 요구에 다른 비표준화 부재들만으로 이루어졌다. 한다.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과 단열 성능을 진화했을지도 모른다. 빛의 루는 이러한 상상
빛의 루는 ‘21세기 촉석루’를 제시한다. 이를 조립하는 시공 현장을 위해 3차원 신중히 고려해 선정한 유리는 내외부의 경계를 속에서 만들어졌다. 빛의 루는 21세기 촉석루다.

Members of the wooden structure Construction using AR technology Screenshot from device using AR technology
©Jae K. Kim

©Jae K. Kim

ǐǗǒ
  ǚ $( professor, Hanyang University



# 
 )/$/4*! $)%0Ǩ.-#$/ /0-   *-)-$/$*) drawings to help constructors understand transparent glass, the wooden structure
The architecture of Jinju is destined to In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tradition the structure of only non-standardised is recognised as an aspect of the façade.
be evaluated in light of representative is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creation members of different shapes. In addition, Here, structure not only forms interior
masterpieces of the era, such as rather than as succession. This attitude can the introduction of augmented reality space, but also becomes part of the exterior
Chokseongnu Pavilion (14th century), Jinju also be found at the Jinju National Museum (AR) to the construction process increased of the building. At the Jinju Namgang
National Museum (1984), and Gyeongnam and Gyeongnam Culture & Art Center. It efficiency. Although the motif was taken Yudeung Festival on an autumn night, the
Culture & Art Center (1988). The evaluation is obvious that the large roofs common to from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method concept of openness means the opposite;
is not only about their architectural value, traditional architecture such as Chokseongnu proposed in design and implemented in turning into a lantern by being lit from
but also about interpreting tradition. Pavilion and its columns have been a source construction could be entirely possible inside, the architecture itself illuminates
Modern interpretations of tradition of inspiration for modern architecture through the active use of the latest the Namgang River and serves as a festival
have often been points for debate in in Korea as well as Jinju. The wooden technology. In this way, the Pavilion of venue for the city. Satisfying openness of a
our architecture. There is no need for post-and-lintel structures of traditional Floating Lights shows the possibility that view and the symbolism of the façad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foster architecture have here been transformed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can be functionality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at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 but the as concrete columns and capitals at the reborn with modern engineered wood and the same time, the project was constructed
architecture of Jinju is different. Against Gyeongnam Culture & Art Center. Traditional digital fabrication. The building is hybrid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energy
the backdrop of memories of Namgang -#$/ /0- Ǩ. + 1 .Ǜ( 4-!/ -.Ǜ architecture, drawing on the past and the efficiency, insulation, and airtightness.
River and the historicity of Chokseongnu in Jinju National Museum were revised present in terms of its reinterpretation and Its eastern wall, which is the only blocked
Pavilion, interpreting direction of as a roof with overlapped horizontal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methods side, is as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Jinju National lines. The works of the two masters are and its active use of technology. and serves as a background symbolising
Museum and Gyeongnam Culture & Art closely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style /# ǧ* 3$./ ) *!)/0- )-/$!/Ǩǚ# 
Center strongly defines the identity that is of the time. Koreanity created by grafting *)/ (+*--40"& eastern exterior, the first appearance for
required for the architecture of this city. International style and the Japanese Imperial Traditionally, the nugak was built for the the visitors, contains the shadows of trees
Therefore, architecture in Jinju finds it Crown Style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private meetings of a certain class or military on Mangjinsan Mountain cast by morning
difficult to avoid the challenges presented postmodernity to locality, became the observations. Now, they are understood as sunlight, and the eastern inner wall contains
by Kim Chung-up and Kim Swoo Geun. theoretical background to the modern and pavilions, a western architectural type, and the shadows of wooden structures cast by
In addition to this, the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al heritage of Jinju. departing from its original meaning. In fact, the evening sun. Through the openings
the site of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However,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today it is an extinct architectural type. between the walls, visitors can experience
offers new value to the project. From an takes shape following two precedents by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reproduces three different kinds of tree at the same
urban perspective, the Namgang River which element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meaning of the nugak. The elevated time: natural trees, artificial trees, and tree
flows through old city centre of Jinju, with were borrowed and morphologically floor of the traditional nugak has become shadows.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Chokseongnu Pavilion and Jinju National changed based on architectural style. a platform for the public in the building. It artifact, along with the coexistence of the
Museum in the north, Gyeongnam Culture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announces the becomes a place where citizens can observe traditional and the modern, is the ultimate
& Art Center in the east, and the former reinstatement of wooden architecture. The bo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message to be conveyed by this project.
Jinju Station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post-and-lintel structure method, like gongpo such as Namgang River and Mangjinsan What would Chokseongnu Pavilion have
site in the south. The site, located on th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is reborn as six Mountain, and the cityscape. Glass walls on looked like if it continued to develop
west side of the cross-shaped city axis, has trees supporting the pavilion through desig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allow visitors over centuries? The architecture of the
an important status regardless of the scale computation. The wooden frame structure, to experienc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nugak, which had a special purpose
of the future project. In response to the which pays homage to the six columns on the that changes with the time and season. The or was enjoyed only by a certain class,
significance of the location and the demand front of Chokseongnu Pavilion, reproduced glass, carefully selected for its high visible may have evolved differently from
for new architectural proposals that are traditional methods in a modern way, transmittance and thermal insulation what we know with the development of
sensitive to the cultural identity of Jinju, consisting of only combined members by performance, blurs the boundary between technology and the rise of publicity. The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presents the a minimum of nails and adhesives. They inside and outside and adds openness to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is a new nugak,
ǧ#*&. *)")01$'$*)*!/# ƨƧ./ )/0-4Ǩǚ developed assembly manuals using 3D project.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Chokseongnu Pavilion of the 21st century.

ǐǗǓ
PROJECT

Plan 0 1 3 6m

Section 0 1 3m

Joint detail

ǐǗǔ
김재경은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이자
김재경건축연구소의 대표다. 기술을 이용해
지역성을 새롭게 해석한 건축을 추구한다.
한양대학교에서 건축공학을 공부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건축과 도시를 공부, 최우수 졸업
논문상을 받았다. 수상 경력으로 목조건축대전
대상(2022, 2019),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2022),
아키타이저 A+ 어워드(2021), 아키텍처 마스터
프라이즈(2020), 건축가협회 특별상(2019),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2014) 등이 있다.

  ǚ $( is an architect, a researcher, and an


educator. Currently,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 and a director of JK-AR. He
studied architecture at Hanyang University in Seoul,
and later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here he was awarded Imre Halasz Thesis Prize. Kim
has been awarded 1st Prize from Korean Wooden
Design Awards in 2022 and 2019, THE GOOD PLACE
AWARD in 2022, Architizer A+ Awards in 2021, and ect.

ǐǗǕ
PROJECT

진행
윤예림 기자
ǑǐǕ -#$/ /
a round architects (Park Changhyun)
 .$")/ (
사진 Ko Sangmi, Choi Yunhae
최진보(별도표기 외) */$*)
Seongmisan-ro 11-gil, Mapo-gu, Seoul, Korea
자료제공 -*"-((
에이라운드건축 neighbourhood living facility, single house
$/ - 
164.06m2
0$'$)"- 
94.83m2
-*..!'**-- 
327.87m2
0$'$)".*+
5F
$"#/
19m
-&$)"
3
0$'$)"/*')- /$*
57.8%
'**-- -/$*
199.85%
/-0/0-
RC
3/ -$*-!$)$.#$)"
설계 dirt block
에이라운드건축(박창현)
)/ -$*-!$)$.#$)"
설계담당 exposed concrete, paint on gypsum board
고상미, 최윤해 /-0/0-' )"$) -
위치 Architecture Structural Research Institute DAWOO
서울시 마포구 성미산로 11길 *)./-0/$*)
용도
근린생활시설, 단독주택
105 LAAU Design Group Corp.
 #)$') ' /-$' )"$) -
대지면적 Codam Co.,Ltd.
164.06m2 에이라운드건축 ).+ -#$/ /
건축면적 Cho Wonhee
94.83m2  .$")+ -$*
연면적 Mar. – Sep. 2021
327.87m2 *)./-0/$*)+ -$*
규모 Oct. 2021 – May 2022
지상 5층
높이
19m
주차
3대
건폐율
57.8%
용적률
199.85%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흙블록
내부마감
노출콘크리트, 석고보드 위 페인트
구조설계
건축구조연구소 다우
시공
라우종합건설(주)
기계・전기설계 edited by
(주)코담기술단 *0) '$(
조경 
조원희 photographed by
설계기간 #*$ $)* (unless otherwise indicated)
2021. 3. ~ 9.
시공기간 materials provided by
2021. 10. ~ 2022. 5. a round architects -*0)-#$/ /.

ǐǗǖ
PROJECT

ǐǗǘ
ǐǗǙ
PROJECT

박창현 에이라운드건축 대표 기억의 연결

오래된 동네에서 새롭게 지어질 건물은 과거와 하나의 관계망’이라고 주장한 프루스트는 “삶은 크기를 조정하고, 건축주가 오랫동안 사용해온 석재 쌓기의 이미지를 연결하여 어두우면서
어떤 접점을 가져야 할까. 프로젝트는 기존 사건들 사이에 끊임없이 새로운 끈을 연결하고”, 가구들과 균형을 이루기 위해 중성적 공간을 질감이 있는 적층 스플릿 벽돌을 제작해
건물의 요소 가운데 무엇을 남기고 연결할 “이 끈을 두 배로 늘려 과거의 모든 지점들 사이에 계획했다. 각 기물에 저장된 이전 삶의 사용했다. 날씨에 따라 습기를 머금기도
것인가를 찾으며 시작됐다. 도로에서 어떻게 풍성한 기억의 망을 형성함으로써 우리가 다양한 경험과 새 공간의 연결은 또 다른 미래를 위한 하고 빛의 방향에 따라 질감이 강조되기도
진입했으며 담장은 어떤 역할을 했고 건물의 갈래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라고 말한다. 출발점이자 관계망을 확장하는 동력이 된다. 하면서 건물의 인상은 시간에 적극적으로
외장 재료가 주는 분위기는 어땠는지, 또 지붕의 이처럼 다양한 갈래의 가능성을 포함한 계획은 이것이 우리가 말하는 미적 지점이다. 반응한다. 반대로 머무르는 자는 누적된
형상은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지, 이전 앞으로 축적될 기억에 풍성함을 배가한다. 건물의 중앙에는 계단이 위치한다. 각 층의 시간 속 변화의 과정을 경험하고 채취한다.
주인이 가꾸던 정원과 식물은 어떤 역할을 연결성이 없는 새로운 공간에서의 경험은 근린생활시설이 유동적으로 공간을 나누어 상층부의 주택에서는 박공지붕의 고측창을
해왔는지. 새로운 건물의 설계는 기존 건물의 낯설기만 하다. 공간적 낯섦을 상쇄시키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4층과 연결되는 계단은 통해 유입된 빛이 3개 층을 관통한다. 이는
기억을 은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변화시키는 도구는 이전부터 몸으로 경험했던 외부를 통해 일하는 공간과 주택을 다시 한 번 때때로 북쪽의 어둠을 밀어내기도 하고 정적인
‘기물’들이다. 우리와 가까이 있던 가구와 조명, 분리한다. 계단과 복도는 단순한 코어 방식이 내부에 리듬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공간이 빛을
기억과 존재 그리고 다양한 사물들이 공간에 어떻게 배치되고 아닌 유기적이고 입체적인 동선으로 계획해 담는 그릇이 되어 내부의 공기를 머금는다.
건물의 첫인상은 꽤 오래 지속되곤 한다. 오랜 기억을 연결할지 고민하며 공간을 구체화해 공간적 전이가 일어나도록 했다. 입면의 창을 옥상으로 가는 길의 테라스는 외부 공기와
시간 한자리에서 많은 사람의 기억에 누적된 간다. 프로젝트는 건축주가 사용하는 1층의 최소화해 다소 폐쇄적이지만 안정감을 주는 맞닿아 식물을 돌볼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
결과가 아름다움, 쾌적함 같은 동네의 분위기와 사무실과 임대를 위한 2, 3층의 근린생활시설, 건물의 인상은 건축주의 성향을 반영한 것이다. 기능한다. 내부의 따뜻한 빛은 외부에서 읽히는
연결된다. 건축에는 계획에서 전달되는 물리적 그리고 건축주가 거주하는 4, 5층의 단독주택으로 단단함과 대비되어 더욱 온기가 느껴진다.
질서, 텍토닉의 기술적 관점, 대지의 형상에 구성된다. 1층 사무실과 주택에 사용할 가구와 빛의 포착과 경험
얽힌 지리적 과정, 내면의 감성을 드러내는 집기들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배치와 재료 지나가는 자의 순간적 경험과 머무르는 자의 시적 은유화
감정적 서술, 그리고 사용자나 경험자의 심리가 선정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기존 가구들이 누적된 경험. 건물을 경험하는 방식은 크게 두 기억 없이는 창조 행위가 발생할 수 없다. 기존
고려된 풍부함이 담겨 있어야 한다. 그중 새로운 공간에 밀착된 모습으로 인식될 수 가지로 나뉜다. 지나가는 자를 위한 외부에는, 건물과 기억의 흔적에 따라 연속된 구성으로
지리적 과정과 감정적 서술은 이전 건물과 있도록 섬세하게 조율해갔다. 오버사이즈로 빛이 표피에 달라붙는 듯한 표현으로 찰나의 재구축해 대지가 가진 가능성의 영역들을
새로운 건물을 잇는 중요한 연결점이다. 제작된 가구들에 맞춰 1층 사무실 공간의 질감을 포착한다. 외장재는 기존 건물의 화강석 발견하고 수용 한계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억은 누적된 힘으로 다가오는 경험 형식이다. 기존 건물이 가지고 있던 특징 중 도로에서
오랫동안 동네를 지켜온 개체들에 담긴 집으로 접근하는 입구의 위치와 방식, 도로에
기억은 동시다발적으로 작동한다. 기억, 위치하던 주차장 셔터, 지루한 담장의 기억,
지식, 상상, 감각 등의 모든 것이 별개가 아닌 오래된 화강석의 적층에서 느껴지는 무게감,
전체로, 그리고 몸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마당을 감싸고 있던 식물들의 대비,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것을 몸과 마음, 감각과 분별력을 예리한 각도의 지붕 형상은 새로운 건물을
잇는 통합적 이해라고 부르려 한다. 계획할 때 유심히 느끼고 연결하고 싶었던
마르셀 프루스트는 ‘무의식적 기억’이 순수한 기억의 단서들이다. 기존 건물에서 보인
형상을 솟아나게 한다고 믿었다. 과거를 인자들이 새로운 건물에서 경험을 연결하고,
삽화적으로 그리거나 서술하는 의식적 기억과는 도로에서의 분위기를 바꾸며, 지붕의 형상은
반대다. 무의식적 기억은 현재와 과거 중 어느 또 다른 방식으로 은유화되는 과정을 거친다.
것으로도 환원할 수 없는 도구로, 현재와 과거의 건축 과정에서 은유는 내러티브의 연결로부터
감각을 결합하며 새로운 형상을 창조한다. 시작된다. 은유는 사물과 사건들 사이의 대화를
우리의 일은 그 새로운 무언가를 이용해 현재와 만든다. 건물을 관계망 속에서 은유화하는
과거의 감각 사이에 울림을 만드는 것이다. 것, 다시 말해 시화(詩化)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다. 시적인 시선은 종종 사물들 사이의
관계의 미 숨은 연결을 발견해낸다. 미는 결국 관계의
건물의 직접적 ‘현존’이나 과거와 단절된 결과이다. 어쩌면 아무도 기억하지 못할 이전의
‘현재성’은 아름답지 않다. 미의 본질은 시간을 감각들이 새롭게 재해석되어 그 자리를 지킨다.
초월하며 일어나는, 농축된 과거의 기억을 담고 다시 오랜 세월이 흐르면 이 역시 동네를
있는 사물과 표상들 사이의 연결이다. ‘삶 자체가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어 있을 것이다.

ǐǘǐ
-&#)"#40) principal, a round architects




What kind of contact should a new building the present and past senses. Our job is to on each floor allow the space to be flexibly * /$ /+#*-
in an old neighbourhood seek to forge with use something new to create a resonance divided and used, and the stairs connected An act of creation cannot occur without
the past? This project began by considering between present and past sensations. to the fourth-floor pass through the outside memory. Specifically, of the characteristics of
what aspects should be left untouched and to separate the workspace and the house the existing building, the location and method
how to connect diverse elements in the #  0/4*! '/$*). once again. Stairs and corridors were of the entrance to the house from the road, the
existing building. The design of the new # $- /ǧ 3$./ ) Ǩ*!0$'$)"*-/#  planned as organic and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shutters located on the street, the
building was carried out by adopting a ǧ+- . )/) ..Ǩ.$.*)) / !-*(/#  circulation spaces rather than as a simple memory of the boring fence, the weight felt
metaphor for the memory of the old one. past is not beautiful. The essence of beauty core method to allow the spatial transition from the stack of old granite, the contrast of
is in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s and to occur. The impression of the building, the plants surrounding the yard, and, lastly,
 (*-$ .)3$./ ) . representations that transcend time and which is somewhat closed but gives a sense the sharp-angled roof shape, are all clues to
The first impression of a building often contain concentrated memories of the past. of stability by minimising the windows on the the memories that I want to subtly engage
lasts quite a long time. The memories of -*0./-"0 /#/ǧ'$! $/. '!$.) /2*-&*! ' 1/$*)Ǜ- !' /./# '$ )/Ǩ.+-*+ ).$/4ǚ and intersect when planning a new building.
many visitors to one place over a long time - '/$*).#$+.ǚǨ#  3+ -$ ) *!) 2.+  The factors seen in the existing building
- $)/ -/2$) 2$/#/# ) $"#*0-#**Ǩ. without connectivity is unfamiliar. The tools +/0-$)")3+ -$ )$)" $"#/ connect experiences in the new building,
atmosphere, such as beauty and pleasantness. that offset or change the spatial unfamiliarity The momentary experience of those passing change the atmosphere on the road, and the
Architecture must contain the physical - ǧ*% /.Ǩ/#/2 #1  3+ -$ ) 2$/#*0- by and the cumulative experience of those who shape of the roof undergoes a metaphorical
order conveyed in the plan, the technical bodies in the past. We take shapes to the space stay. There are two main ways to experience process in another way. In the process of
perspective of the tectonic, the geographic concerning how best to arrange the furniture, the building. On the exterior, the light making architecture, metaphor begins
processes entangled in the shape of the lighting, and objects close to us in the space captures the texture of every moment with with the connection between narratives.
site, the emotional description that reveals and how they could connect our memories. an expressiveness that seems to stick to the Metaphor creates a dialogue between objects
the inner sensibility, and the richness The project consists of an office on the first skin. For the exterior material, we made and and events. Our task is to metaphorise the
that considers the psychology of the user floor used by the client, neighbourhood living used dark, textured laminated split bricks to building in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in
or the visitor. Among them, geographical facilities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for connect the image of the granite stone stacking other words, to make it poetic. A poetic gaze
processes and emotional descriptions are rent, and a detached house on the fourth of the existing building. The impression the often discovers hidden connections between
the most important connecting points and fifth floors where the client resides. The building offers is of a structure that can react to objects. Beauty is ultimately the result of
between old and new buildings. furniture and furnishing used throughout the every instant as it absorbs moisture depending relationships. The senses as experienced
Memory is a form of experience that comes office on the first floor and the detached house on the weather and emphasises the texture in the past that no one will probably
with accumulated power. The memories of the greatly influenced the layout and selec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remember can be newly reinterpreted and
structures and objects that have watched over of materials at the planning stage. Existing contrary, those who stay begin to experience keep their place. As many years continue
the neighbourhood for a long time operate furniture was finely tuned towards its context the process of change in an accumulated to pass, these will become important
simultaneously. Everything, such as memory, to be as closely related to the new space as time. In the house on the upper floors, the factors in forming the neighbourhood.
knowledge, imagination, and the senses, are possible. The size of the office space on the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clerestory of the
understood as a whole and with our body, first floor was adjusted to match the oversized gable roof penetrates all three floors. This
not separately. I would like to call this an furniture, and a neutral space was planned to dispels the darkness of the north and creates
integrated understanding that connects the be in balance with the furniture long used by rhythm in the stillness of the interior. The
Existing building
body and mind, senses and discernment. the client. The connections between previous space becomes a vessel that contains light and

©a round architects
- '-*0./ '$ 1 /#/ǧ0)*).$*0. experiences stored in each object with the holds the air inside. The terrace on the way to
( (*-4Ǩ0. .+0- !*-(./*.+-$)"0+$) new space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another the rooftop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 Ǩ.($)ǚ
/$./# *++*.$/ *!*).$*0. future and a driving force through which to and functions as a resting space where one can
memory, which epitomises or describes expand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This take care of the plants. The warm light inside
the past. Unconscious memory is a tool that is our key point concerning the aesthetic. contrasts with the hardness that can be read
cannot be reduced to the present or the There is a staircase in the centre of the from the outside, making it feel warmer.
past and creates a new shape by combining building. Neighbourhood living facilities

ǐǘǑ
PROJECT

15 16

13 12 11 12
10

9 6 7 6

4 2 2 2

4 2 2 2

4 4 1 3 1 1

Section
0 1 2 5m

14
4

13 15

11 12
16

5F plan Rooftop plan

4 3 4
4
8 9
10
2 2

7 6

3F plan 4F plan

1. office
4 3 4 3 5 2. neighbourhood living facility
3. storage
1 1 4. restroom
2 5. office pantry
6. living room
7. dining room
2
8. kitchen
9. pantry
10. terrace
3 11. bedroom
12. powder room
3 13. dressing room
14. bathroom
15. greenhouse
16. rooftop

1F plan 2F plan 0 1 2 5m
ǐǘǒ
박창현은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에이라운드건축의
대표이다. SKMS 연구소로 제32회 한국건축가협회상,
조은사랑채로 서울시 건축상, 제주무진도원으로 김수근
프리뷰상, 제주서호동주택으로 2019년 독일 아이코닉
어워드를 수상했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대학교,
홍익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한국,
일본, 포르투갈, 동남아시아 건축가 70여 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 건축계의 지도를 독자적으로 그려가고 있다.

-&#)"#40) did his M.Arch and at the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Kyonggi University. He is currently the
principal at a round architects. He won the 32nd KIA Award
for his SKMS Research Lab,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rchitecture Award for his Joeun Sarangchae, and the Kim
Swoo Geun Preview Award for his Jeju Mujindowon. He is also
the winner of the Iconic Award held at Germany in 2019 for his
Jeju Seoho-dong Residence. He has taught students at Kyonggi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from
2002 to 2018, and he is currently leading a project mapping
the Korean architectural landscape by interviewing about 70
architects from Korea, Japan, Portugal and Southeast Asia.

ǐǘǓ
It certainly exists, but not in the memory of anyone. What can architecture do when hidden and covered urban infrastructure

is used up and abandone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memory accumulated here and the present reality?

The architect Choon Choi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long been involved in the regenera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a drainage culvert, drainage pump station, and drainage facility, all in the name of public architecture or public art.

In his relationship with various collaborators, including administrators, historians, artists, and engineers, he was a humble

servant and listener to the voices of abandoned spaces, creating a space of quiet contemplation by evoking a sense of

the liminal in the infrastructure. It’s time for us to hear his revelatory suggestion that architects can also be cleaners.

PUBLIC,
MEMORY,
AND
PLACE:
WHEN
TO
SUMMON
ABANDONED
SPACES
edited by Bang Yukyung
분명 존재하지만 어느 누구의 기억에도 존재하지 않는 곳. 숨겨지고 가려졌던 도시 기반시설이 쓰임을 다하고

버려졌을 때, 건축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이곳에 축적된 도시의 기억은 현실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건축가 최춘웅(서울대학교 교수)은 공공건축 혹은 공공미술이라는 이름 아래 배수로, 배수펌프장, 배수장 같은


designed by Kim Heejeong

기반시설의 재생에 개입해왔다. 행정가, 역사학자, 예술가, 엔지니어 등 다양한 협업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가 한

일은 자세를 낮추고 버려진 공간의 목소리에 귀기울인 것이다. 기반시설이 지닌 비장소적 감각을 소환해 고요한

사색의 공간을 만드는 일. 건축가가 ‘깨끗이 청소하는 사람’일 수 있다는 그의 고백에 우리가 귀기울일 때다.
photographed by Choon Choi (unless otherwise indicated)

공공,
기억,
materials provided by Choon Choi

장소
:
진행 방유경 기자 디자인 김희정 사진 최춘웅(별도표기 외) 자료제공 최춘웅

버려진
공간을
소환할

과거와의 대화: 도시 기반시설의 문화공간화

김광수는 스튜디오 케이웍스 대표이며 집담공간


커튼홀을 공동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와
예일대학교 건축대학원을 졸업했다. 여러
장르의 전문가 및 대중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뉴미디어로 인한 사회성, 도시건축 환경의 변화를
주목하며 다양한 건축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2004 베니스비엔날레에서 ‘방들의 가출’이라는
주제로 한국 사회의 아파트와 방 문화
현상을 조사해 전시한 바 있으며, 핀란드
국립미술관(2007), 아트선재센터(2012),
오스트리아 국립미술관(2013), 독일 에데스
건축갤러리(2014), 문화역서울284(2012,
2016) 등에 초대되어 전시를 했다.
대표작으로 부천아트벙커 B39, DMZ
철새타운, 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대담
신촌문화발전소, 판교케이브하우스,
김광수
광주시민회관 재조성 사업 등이 있다.
스튜디오 케이웍스 대표
×
최춘웅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역사적
최춘웅
건축물의 재활용, 도시재생 그리고 건축의 영역을
서울대학교 교수
독립된 문화 행위이자 지식 생산 분야로 확장하는
×
데 관심을 두고 있다. 2018 베니스비엔날레
김정은
한국관 공동 큐레이터 겸 작가로 참여했다.
편집장

Kim Kwangsoo, the principal of studio_


K_works and co-director of the platform
Dialogue
Curtainhall, graduated from the school of
Kim Kwangsoo
architecture, Yonsei University (B.Arch)
principal, studio_K_works
and from Yale University (M.Arch.). He
×
prefers collaborative approaches and
Choon Choi
processes within architectural practices,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rsuing projects that address the
×
societal shifts brought about by new media
Kim Jeoungeun
cultures. His works have been exhibited at
the Venice Biennale 2004, Finland Museum
Sketch of initial proposal, Magok Cultural Center of Cultures (2007), Art Sonje Center
(2012), Austria Museum of Cultures (2013),
Aedes Gallery (2014), among others.

Choon Choi is an architect and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he
has led the Lab for Architecture Culture
since 2013. His research primarily focuses
on adaptive reuse strategies, urban
regeneration, and the fusion of design
practice with historical research. He was
a co-curator of and artist exhibited in the
Korean Pavilion at the 2018 Venice Biennale.

Dialogue with the Past: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현재에 대한 인식: 보존, 복원, 재생, 리모델링 최춘웅: 새로운 공간을 경험하기 위해 숨겨진 장소를 발견하는 현상이
유행한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이야기를 들으면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김정은: 이번 대담에서는 최춘웅(서울대학교 교수)의 세 작업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의 시간과 어떤 연결고리를 찾고자 하는 필요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해보려 한다. 노량진 지하배수로(2020~2022), 마곡문화관(2018~2021),
소행성 G(2013). 각각의 작업은 공간 유산 중에서도 기반시설, 건물이 김광수: 서동진(계원예술대학교 교수)이 자주 언급하는 ‘시간의 심미화’, ‘공간의
없는 시설을 문화공간으로 바꾼 사례다. 역사학자, 예술가 등 협업의 박물관화’ 같은 현상들이 무시간성이라는 맥락에서 생기는 하나의 현상일 것이다.
주체도 각기 다르다는 점에서 다양한 협업의 스펙트럼을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지방마다 전통 마을에 근거한 테마파크를 하나씩 만들지 않았나. 이러한
테마파크 같은 공간을 만드는 전략이 ‘시간의 공간화’다. 담장으로 둘러싸인
최춘웅: 세 작업은 배수펌프장, 배수장, 배수로와 같이 물과 관련된 공간 안에서 시간을 공간화하는 작업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던 게 과거라고
기반시설을 재생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노량진 지하배수로는 한다면, 지금의 양상은 그것이 일상 공간으로 확산된 것 같다. 요즘 젊은이들이
구청과 소통하며 진행했고, 마곡문화관은 건축역사학자 안창모(경기대학교 가회동 같은 동네를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분명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인데도
교수)와 협업했다. 소행성 G는 큐레이터 김장언(아트선재센터 관장)이 마치 관광객 같은 행태로 다니더라. 인스타그램 문화가 그것을 더 심화시키는
기획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아티스트 김소라의 주도 아래 구조 부분도 있는데, 최근의 현상을 보다 크리티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엔지니어 이주나(서울시립대학교 교수)와 함께 작업을 도왔다.
최춘웅: 누가 더 폐허 같이 남기느냐 경쟁하듯 작업하던 시기가 지나고,
김정은: 10년 넘게 보존, 복원, 최근에는 건축가들 사이에서
리모델링, 재생 등 다양한 범주의 더 자신 있게 간섭하고 바꿔도
프로젝트들이 국내에서 꾸준히 된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진행돼왔다. 최근 프로젝트의 경향이나
이를 대하는 건축가들의 태도나 김광수: 사이트마다 상황이나 맥락이
방식에 변화가 있다면 무엇인지 너무 다양해서 보존해야 하는 곳,
짚으면서 이야기를 시작해도 좋겠다. 복원해야 하는 곳, 재생해야 하는 곳이
다를 것이다. 여러 입장과 해법들을
김광수: 을지로, 성수동, 연희동 가지고 논쟁할 수 있으면 좋겠다.
같은 사례를 비롯해 공공의 도시재생 리모델링으로 재생하는 경우에도
사업에서도 오래된 건물이나 폐허스러운 정형수술이냐 성형수술이냐에 따라
공간이 대중적으로 상당히 확산됐다고 태도가 달라진다. 예전에 리모델링은
느낀다. 이런 감각이 특히 카페의 다 성형수술에 가까웠지만 말이다.
핵심으로 등장하면서 일종의 ‘경험
욕망’이 널리 퍼진 상태인데 이런 최춘웅: 새것처럼 바꾸다가 그
현상을 되짚어볼 시점이 된 것 같다. 반대로 지나치게 갔다가 이제야
적당한 균형이 생기는 것이
김정은: 오래된 건물, 폐허 같은 아닐까. 이제는 개별 건물이
공간에 열광하는 대중의 심리를 아니라 도시 전체에서 어떤 장소가
Sketch of initial proposal, Magok Cultural Center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야
하는 시기 같다. 부천아트벙커 B39도 그렇고 일상적으로 접할 수 없는
김광수: 10여 년 전 불었던 제주 열풍이나 지방 도시에서 한 달 살기가 유행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낯설게 느꼈던 거다. 이제는 이런 장소의 발굴이 도시 전체로
모습에서 탈도시 욕망을 보게 된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아파트 키드인 볼 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일상적 공간의 경험과 낯선 공간의 경험이 어떻게
젊은 세대들이 마치 고향을 경험하는 것 같은 감각으로 제주도의 오래된 마을과 공존해야 하는지도 생각해야 한다. 무조건 보존하는 게 아니라 무엇을
돌담길을 배회하기 시작했다. 시간적으로 먼 역사적 공간이 아닌 근과거의 보존해야 하는지 전체 도시 맥락 안에서 따져봐야 한다. 과거에는 생존했다는
도시건축 환경에 대한 체험 욕구가 제주 열풍과 함께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사실만으로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이제는 그 이상의 의미가 필요하다.
소도시의 구시가지에는 어김없이 경리단길 같은 거리가 만들어졌고, 이제는
근과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폐산업 시설에 대한 ‘체험 공간화’ 현상이 상당히 김광수: 보존에는 박물학적인 태도와 연결되어 윤리적 의미도 담겨 있다.
일반화됐다. 이런 동시대 상황의 특징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무시간성’이라 좀 더 진지하게 왜 보존해야 되는가 하는 문제까지 얘기해볼 수 있는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사는 ‘지금’이라는 시점이 과거와의 연속선에서 시점이 아닐까. 다른 한편으로 무시간성과 어떤 존재감을 경험하기 힘든
장소와 함께 맥락성을 갖지 못하다 보니 시간여행을 추구하게 되는 현상으로 동시대 상황을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일상의 대부분이
본다. 시간과 함께하는 실존감이 희박해지면서 공간을 시간화시키는 상황이 가상 공간, 즉 스마트폰과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 공간을
벌어진 것이다. 레트로 열풍도 마찬가지다. 결과적으로 시간의 흔적이 강하게 초월하는 영역에서 머물다 보니 이러한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
느껴지는 장소나 공간의 시간성을 부각하는 작업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도시 기반시설과 건축적 개입: 건축가의 자리 김광수: 이 상황에서 건축가의 위치가 어땠을지 궁금하다. 스스로 정체성에
대해 의문도 생기고 무엇을 하고 또 안 해야 하는지조차 명확하지 않았을
김정은: 최춘웅이 한 매체에서 “산업시설의 리모델링은 다른 리모델링과는 조금 것 같다. 의사 결정권자를 설득해 건축 프로젝트로 확장하는 것과 지금처럼
다른 층위의 문제”라고 언급한 내용을 본 적이 있다. 도시 안에 있지만 버려지거나 부분적으로 개입하면서 참여하는 것 중 어떤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나?
숨겨졌던, 우리 눈에 보이지 않던 공간들이 지닌 특징은 무엇이라 생각하나?
최춘웅: 사실 이 사업은 건축 프로젝트로 확장할 만큼의 모멘텀은 없었다. 사업명도
최춘웅: 수명을 다한 혹은 사용되지 않는 기반시설은 ‘숨겨져 있던 도시 ‘노량진 근대 하수박스 문화공간 활용사업’이라는 애매한 타이틀이었다. 구청에서는
공간’과 ‘과거의 공간’이라는 중첩된 욕망을 해소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근대 하수박스라는 유물을 구 내에 부족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예산을
것 같다. 이때 건축가들의 근본적인 고민은 그 공간들이 건축이 없는 공간, 책정했지만, 내부적으로 어떤 문화공간을 만들 것인지 공감대가 없었고, ‘문화’가
건물이 아닌 공간이라는 점에서 발생한다. 나 역시 설비나 기계가 주인이었던 전시인지, 공간 자체가 문화인지에 대한 논의도 없었다. 공간 자체를 전시하는 건
공간에 건축가가 개입을 할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건물이 없을 때 중요하지만 그 외에 전시 공간을 만들기는 어렵다는 결론이 났을 뿐이다. 건축물
건축가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지 질문하며 작업을 시작했다. 없이 보행로에 진입 계단 하나만 있으면 되는 상황이었다. 초반에는 자문단을 꾸려야
한다고 제안하는 등 동기부여를 하기도 했다. 도움을 주고자 국내외 하수전시관 사례를
김광수: 노량진 지하배수로도 건물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건축가의 역할을 하지 않았나? 찾아보았지만 대부분 규모가 너무 커서 노량진의 상황과는 맞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과한 추가보다는 있는 그대로를 잘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설득했다. 건축을
최춘웅: 하수암거(지하배수로)는 하지 말자고 유도한 셈이다. (웃음)
땅속에 숨겨두기 위한 구조물이다.
물이 흐르던 공간을 사람이 들어가 쓸 김광수: 이 프로젝트에서는 건축가가
수 있게 하는 과정은 점유나 사용성 힘 조절을 잘했다는 인상이 강했다.
측면과는 접근이 다른 것 같다. 건축가가 다만 너무 외진 곳에 있어 접근이 어려운
이런 장소를 새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점은 아쉽다. 평소 지나는 길과 이어지는
제시하거나, 그런 장소가 공간 경험으로 일상적인 통과 동선이 될 수 있게
이어질 수 있다는 것만 제시해도 인지도를 높였다면 좋았을 것 같다.
건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김정은: 하수암거를 문화공간으로 사색과 사유의 공간:


바꾸겠다는 아이디어는 비장소, 리미널 스페이스
누가 제안한 것인가?
최춘웅: 노량진 하수암거는 누가 봐도
최춘웅: 해당 사업은 원래 서울시 시간성과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데
도시공간개선단에서 추진했다. 당초 이를 입증할 자료가 없어 안타까웠다.
수산시장 쪽의 녹지를 수용해서 하수로이다 보니 만들어진 시기, 배경,
카페나 작은 전시 공간 같은 시민 가치에 대한 문헌이나 기록이 없어
편의 공간을 지으려다가, 이후 용지 문화재로 등록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Sketch of initial proposal, Magok Cultural Center
확보가 불가능함을 발견하면서 계획이 역사성은 차치하더라도 좋은 공간을
무산됐다. 건축가의 역할이 사라진 상황이었는데 당시 어떻게든 이 프로젝트에 개입해야 발견했을 때 이를 드러내는 방식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통로’를 개방한 자체만으로도
한다고 생각했다. 계속 관여하다 보니 영역과 역할이 생기더라. 담당 부서인 구청의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간을 쓰기 위해 ‘활용’이라는 말이 들어가는 순간
치수과에서도 마감재, 조명, 정확한 디테일 등을 건축가가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 운영 등이 따라붙어 부담이 커진다. 도시에 비워진 조용한 사색의 공간이
분위기였다. 세부적인 결정 사안을 도면화할 수 없는 상황 등,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많으면 좋은데 무언가로 채우려는 강박이 있는 것 같다. 내향적인 사람도 많은데
진행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건축가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 계기였다. 왜 공공 공간은 군중과 집단을 위한 모임 공간이어야 하나? 대개 혼자 있는 공간은
사적 공간이라고 생각하지만 공공 공간에도 이런 공간이 많아야 한다고 본다.
김정은: 도면화할 수 없다는 건 절차상의 문제인가, 아니면 업무의 문제인가?
김광수: 이곳은 우리 내부에서 횡행하던 논리를 다 비껴나간 공간이란 점이 가장
최춘웅: 실제 도면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했지만 (계약체계 안에서) 발주처가 흥미롭다. 음지에 있었던 건축물도 아니고, 사용 공간도 아니고 완전히 은폐되어 있던
도면을 요구하거나 필요한 상황은 아니었다는 뜻이다. 사업이 토목 계약 안에서 시설이다. 관심 대상도 아니었는데 지금에 와서 재발견되면서 의미를 가지게 되는
진행되다 보니 건축 도서가 추가되는 상황 자체도 불확실했다. 그림(도면)이 상황이 아닌가? 일반적으로 공공 프로젝트에서는 프로그램이나 사용성, 내러티브
소통의 수단이 되려면 제도적 힘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등을 동원해 의미를 담으려고 하는데 그런 게 없어서 더 좋았던 것 같다. ‘오래된 것이
많더라. 요즘 건축가들 보면 주민들이 뜨개질로 만든 평면으로 공사를 하는 남아 있다’는 느낌도 좋았지만 ‘뭘 하는 공간인가’ 하는 의문이 계속 생기더라. ‘장소
등 다양한 시도를 하지 않나. 도면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거나 반대로 도면에 만들기’가 아닌 ‘비장소’적 감각이 훨씬 더 의미 있게 다가왔다는 점에서 새로웠다.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경우 등 상황에 맞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최춘웅: 구청에서는 스토리텔링 용역을 따로 발주하기도 했는데, 애초에 김광수: 지하 공간의 느낌이 너무 좋은데 이곳에
장소로 존재하지 않던 곳이라 찾아낸 스토리가 거의 없었다. 계획했던 카페는 왜 실현되지 못했나?

김광수: 인간이 점유하는 공간은 스토리텔링을 만들기가 쉽지만 이곳은 최춘웅: 공간에서 좋다고 느꼈던 첫인상을 마지막까지 지키는 게 쉽지 않은데, 이를
비장소이기 때문에 스토리텔링이 어렵다. 대신 공간 자체로 묘한 서사적 감각을 설득하기 위한 방편으로 열심히 그림(도면)으로 표현해 발표하고 보여드렸다. 사실
자극한다. 사진으로 처음 이곳을 봤을 때 ‘리미널 스페이스’가 안 될 걸 알면서도 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상상의 자유는 있지
떠올랐다. 이 세계와 전혀 다른 폐쇄된 세계이며 교류도 없고 않나. (웃음) 도면대로 휴게 공간이 지어지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사업
사람도 없는, 그야말로 정의하기 힘든 리미널한 느낌을 받았던 초반에 공원 전체 계획에서 카페가 필요없다는 결론이 났다. 공공 사업
것이다. 콘크리트, 석재, 벽돌이 알 수 없는 말을 거는 듯한 특성상 지하 공간에까지 사업비를 책정하기도 힘들었다고 들었다.
공간은 경험자가 직접 서사를 상상하게 만드는 측면이 있다.
김광수: 설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최춘웅: 이성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인 것 같다. 이를테면 물의 자신의 작업이라고 애써 소개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하다.
입장에서 공간을 보거나 열차가 끊임없이 지나는 상황 자체도
서사가 되는 것 같다. 혼자 지하에 오래 있다 보면 물방울이 떨어지는 최춘웅: 마곡문화관 역시 이미 존재하던 공간을 발견한 거라 내
소리도 들리고 축축한 느낌도 엄습해 사람이 들어오면 안 될 것 같은 작업이라고 말하기 애매하다. 옛 건물의 복원이 잘 정리되도록
분위기를 느꼈다. 이 공간을 보면서 도시에 인간만 사는 게 아니라는, 여러 사람이 협업한 만큼 누구의 작업이라는 사실이 불투명해야
도시가 인간을 위한 곳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맞다고 판단했다. 나는 협업할 때도 고집을 부리지 않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따르는 편이다. 소행성 G에 참여할 때 여러 사람의
결정이 녹아 들어가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김소라의 모습을 보면서,
건축적 태도: 소멸하는 건축, 소멸하는 건축가 건축가가 모든 것을 결정해놓고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느꼈다.

김정은: 자연스럽게 마곡문화관으로 이야기를 이어가보자. 김정은: 김소라와의 협업이 건축가로서의 태도에 영향을
준 것 같다. 소행성 G는 어떻게 시작된 프로젝트였나?
최춘웅: 마곡은 노량진 지하배수로와는 시작부터 차원이 달랐다.
건물의 확실한 계보와 기록이 있었다. 1920년대에 누가, 왜, 어떤 최춘웅: 2013년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도시 기반시설들을
형식으로 건립했다는 기록이 있어 문화재로 등록하기에 수월했다. 대상으로 ‘ARKO 도시공원 예술로’라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근대건축학자 안창모는 주변의 관사 등 부속 건물을 엮어서 보존하길 기획했다. 작가들이 공공 장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실험한
바랐는데, 등록문화재로 인정받으려면 목구조와 같이 눈에 보이는 사업으로, 주어진 대상지에 대한 작가들의 제안을 받는 공모 형식으로
실체가 있어야 했다. 단순히 오래된 관사라는 사실만으로는 지정이 진행됐다. 소행성 G의 대상지는 공주 금성동 배수장이었다. 김장언이
어려웠다. 주변과 엮여야 장소가 보존된다는 논리도 의미가 없었다. 기획하고 김소라가 주도했던 당선안은 펜스로 둘러싸인 배수장의
마곡문화관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후에는 가장 먼저 ‘보존 존립’ 콘크리트 바닥을 공주의 지형을 닮은 형태의 그라운드로 채우는
기조가 결정됐다. 다음으로 활용 방안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는데, 이때 계획이었다. 하지만 공주시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안이 전면적으로
내가 발견한 기회는 상층부의 목구조가 문화재인 반면 하부구조는 수정됐고, 모든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땅에 묻혀 아무도 볼 수 없었던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펜스로 막혀 있던 땅을 개방해 주민들이
물길은 오롯이 공간에 집중해서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이었다. 일단 편하게 건널 수 있는 다리를 놓는 것과, 공주에서 주운 돌멩이가
남아있는 옛 도면 원도를 보고 열심히 설계했다. 뭔가를 바꾸기보다 운석처럼 배수장 한 켠에 박힌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 안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가늠하며 지하에 들어갈 휴식 및
전시 공간의 규모를 파악하고 데크와 통행로 등 구성을 잡았다. 김광수: 다리는 본인이 설계한 것인가? 정글짐 같은
그런데 막상 땅을 파고 보니까 공간 자체가 멋있어서 별로 할 게 목조 파빌리온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됐나?
없더라. 건축가가 꼭 무언가를 만들어야 하는 건 아닌 것 같았다.
최춘웅: 다리는 구조를 맡았던 이주나가 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김정은: 지하층의 퇴적토를 걷어내고 나서는 나는 그림만 그렸다. (웃음) 김소라가 배수장 내부에 거대한 돌
실제로 어떤 작업을 수행했나? 조형물을 얹고 싶다 했는데, 그 안에 사람이 들어가게 해달라고
부탁해서 뼈대가 되는 구조체를 세웠다. 원래는 구조체를 돌
Sketchs of initial proposal, Magok Cultural Center
최춘웅: 공간 자체만 남도록 편집하는 게 내게 주어진 작업이었다. 형태로 덮기로 했었는데, 구조체까지 만들고 예산을 다 써버려서
만일 건축가 없이 전시 업체가 공간을 만졌다면 실을 만들고 내부도 과하게 정글짐 같은 모습으로 마무리됐다. 당시 김소라는 “그래도 뭔가 하나 생겼으니
변경했을 것이다. 건축가들이 작업할 때 더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상태에서 멈춰도 괜찮다”고 하더라. 그 태도가 너무 재미있었다.
천장에 조명이나 가구 등 아무것도 설치하지 못하게 막는 데에도 큰 노력이
필요했다. 하부 공간에 전시를 하자, 실내에 뭘 추가하자, 땅을 더 파자 등 김광수: 상황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두는, ‘렛잇비(let it be)’
많은 의견이 있었는데 “이 정도면 된다”고 설득하는 과정이 중요했다. 같기도 하고, 작가로서 어떤 집착이 없는 것 같다.
최춘웅: 김소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개념미술 작가들은 조각이나 김광수: 마지막으로 ‘대중의 노스탤지어’, ‘시간의 심미화’, ‘소멸의
회화처럼 구체적인 표현 매체를 가진 작가들과 달리 작업 과정 자체를 과정’ 같은 주제에 대한 의견이 궁금하다. 대중의 노스탤지어에
중요하게 보는 것 같다. 특정 물체를 중요하게 다루기보다, 과정을 대해서는 어떻게 보는가? 자신에게 노스탤지어가 있는지, 만일 있다면
경험하기 위한 수단 정도로 생각한다고 할까. 궁극적으로 미술 ‘낯섦’이라는 건축 주제와는 어떻게 이어지는지 궁금하다.
작업의 목표를 결과물이 아닌 사회적 행위로 보지 않나 싶다.
최춘웅: 서로 연관된 것 같지는 않다. 노스탤지어가 과거를 지나치게
김광수: 최춘웅의 건축적 태도에서도 그것과 굉장히 유사한 감각이 느껴진다. 미화하는 하나의 수단인 것 같아 부정적으로 보는 편이다. 도시에서 꼭
마곡문화관이나 노량진 지하배수로를 보면서 건축가가 자신의 색깔을 애써 느껴야 하는 요소는 아니지 않나. 기억처럼 개인이 소유한 비공간적 감성인데,
지우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여기에는 프로젝트가 지닌 정당성, 예를 들어 원형 노스탤지어를 자극하는 게 과연 건축적인가 하는 의심이 있다.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건축가의 색깔을 지워야 하는 당위성도 포함된 것 같다.
김광수: 그런 맥락에서 일제시대 느낌을 주는 목조건축물인 마곡문화관도
최춘웅: 스스로를 지우는 것이 편하다. 내가 한 게 아니고 충분히 노스탤지어를 자극하기 좋은 소재이지 않나. 지상부는 차치하더라도
실제로 나라는 존재 없이 존재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지하부에서 섬뜩함이나 낯섦 같은 무드를 기조로 접근했던 것은 아닌가?

김광수: 그런 태도도 욕망이다. 자신을 지워가는 소멸의 욕망. 최춘웅과 가끔 최춘웅: 맞다. 실제 원형인 양 아무도 간섭하지 않았던 것처럼 재현되길 바랐다.
사석에서 대화하면 그가 ‘그래서 이걸 일부는 사라지고 일부는 남아
하고 싶은 건지, 하기 싫은 건지’ 하는 있는 상황을 그대로 드러내는 게
의문이 종종 들기도 했는데, 욕심이 노스탤지어나 섬뜩함과는 또 다른
없는 게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는 동시에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옛 모습으로
주저하는 측면도 많은 것 같다. 그런 되돌리거나 새롭게 구현하는 것보다는
태도를 좋다 나쁘다 평가할 수는 없다고 처음에 받았던 느낌이 정제되는 상태를
본다. 충분한 가치를 지닌 하나의 태도로 원했다. 청소하는 느낌이라고 할까?
인정해주고 싶다. 다만 스스로 의미를 한국에 돌아와 처음 했던 작업이
부여해서 그런 태도를 취한다면 좋은데, 옛 기무사 건물(현 국립현대미술관
만약 어쩔 수 없이 그런 태도를 취했다면 서울관)을 전시 공간으로 바꿨던
의미가 다를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두 프로젝트였다. 리모델링 공사 전에
입장이 공존하는 듯한 느낌도 있다. 계단 밑 구석진 공간을 발견하고 거기
들어가서 처음 한 일이 있던 것들을
최춘웅: 작가로서 내 존재감을 치우고 쓸어서 깨끗하게 정리한
드러내기보다, ‘그 사람이 없다면 것이다. 그때 기분이 너무 좋았다.
작업이 다른 방향으로 갔을 텐데, 그 다 비워낸 뒤 현장에서 작업했던
사람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작업’을 목수가 와서 벽에 못 하나를 박고
보여주는 데 치중하는 것 같다. 같이 옷을 딱 걸었을 때 제일 멋있더라.
있기만 해도 도움이 되는 사람 정도가 설계가 아닌 진짜 청소, 대청소다.
Sketch of initial proposal, Noryangjin Sewage Walk
내가 설정한 방향이 아닌가 싶다.
김광수: 청소라는 말이 작업과 정체성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인
김광수: 마치 돌봄정신이 투철한 호밀밭의 파수꾼 같다고 할까? (웃음) 것 같다. 청소라는 게 끝도 시작도 없는 행위가 아닌가?

최춘웅: 파수꾼 역할이 언뜻 소극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방향을 최춘웅: 그렇다. 반복되는 수행이다. 청소만 잘해줘도 대부분의
알고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액티비즘일 수도 있다. 일은 맞더라. 해방촌에 작업실이 있을 때 뭘 해도 안 좋아하던
주민들이 우리가 열심히 계단을 쓸 때 제일 고마워하더라.
김정은: 지금의 도시적 상황에 적절한 역할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김광수: 건축계의 청소원이라 해야 하나? (웃음) 이 방향으로
김광수: 방금 말한 태도는 코디네이터와 유사하다. 주변의 요구를 수용하는 꾸준히 작업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주면 좋겠다.
코디네이터의 자세로 임하다 보면 건물 자체의 완결성이나 완성도가
떨어지기 쉽다. 그런데 최춘웅의 작업은 디테일이 굉장히 섬세하다.
코디네이터로서의 역량이 대단해서 그런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더라.

최춘웅: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가들도 대개 뭔가를 더 하기보다는


덜 하는 사람들이다. 덜 하게 만드는 것도 중요한 역할이다.
An Awareness of the Present: Conservation, neighbourhood, streets like Gyeongnidan-gil were devised to run through
Restoration, Regeneration and Remodeling the old town of this small city. Recently, the remodeling of buildings or
the ‘spatial conversion for experiences’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Kim Jeoungeun: In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us to consider three is quite common. If I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ntemporary
works by Choon Choi: the Noryangjin Sewage Walk (2020 – 2022), situation in only one word, I might say ‘timelessness’; many desire time-
Magok Cultural Center (2018 – 2021), and asteroid G (2013). Each work travel as our present conditions often resist placement in contexts that
is an example of a prevailing desire to transform infrastructure and situate them within the passage of time. As presence along with a sense
non-building facilities into cultural spaces on heritage sites. This exists of the passing of time became less clear, space became our marker
on a spectrum of various collaborations, in terms of the subjects of of time. Therefore, there are many works that highlight the temporality
collaboration, such as between historians, artists, and other parties. of places or spaces which emphasise the affective traces of time.
Choon Choi: The three task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Choon Choi: I’ve long thought that the phenomenon of
revitalise and renovate water-related infrastructure, such as drainage pump discovering hidden places in which to experience new spaces
station, drainage facility, and drainage culvert. We communicated with the is popular, but, after listening to your story, I feel there’s a need
Dongjak-gu Office while working on the Noryangjin Sewage Walk project, to forge stronger connections with the time in which I live.
and the Magok Cultural Center project was overseen by the architectural Kim Kwangsoo: Concepts such as the ‘aestheticisation of time’ and
historian Ahn Changmo (professor, ‘museumisation of space’ proposed
Kyonggi University). Asteroid G by Seo Dongjin (professor, Kaywon
is a public art project planned by University of Art & Design) are
curator Kim Jang Un (director, natural desires that arise in the
Art Sonje Center), collaborated context of timelessness. In the
with structural engineer Lee past, each region built a theme
Juna (professor, University of park based on their traditions.
Seoul) under artist Kim Sora. A typical strategy behind the
Kim Jeoungeun: For more than creation of a space like a theme
ten years, various projects such park is the ‘time-spatialisation’.
as conservation, restoration, If the labour of time-spatialisation
remodeling, and regeneration in the past was concentrated
have been steadily carried out in a space surrounded by walls,
in Korea. I think it would be such as a theme park, it now
good to begin our discussion by seems to influence everyday
pointing to recent project trends spaces. These days, when I see
or any changes in architectural young people walking around
attitudes and their methodological neighbourhoods like Gahoe-dong
responses to such trends. in Seoul they seem to be tourists,
Sketch of initial proposal, Noryangjin Sewage Walk
Kim Kwangsoo: I think even though they definitely live
that old buildings and abandoned spaces have grown more popular in Seoul. Instagram culture has intensified it in some ways, but I think
in publ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in cases such as Eulji-ro,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is recent phenomenon more critically.
Seongsu-dong, and Yeonhui-dong. They have risen in prominence Choon Choi: The days are gone when we were competing to see who
when it comes to cafés and the ‘desire for experience’ has become can make ruins with a rawer quality, and lately it seems that architects
widespread. I think it’s time to take a deep dive on this phenomenon. are emboldened to intervene and change things with more confidence.
Kim Jeoungeun: How do we begin to understand the public’s Kim Kwangsoo: Each site will have so many different situations and
enthusiasm for old buildings and abandoned spaces? contexts whether it is to be conservated, restored, or regenerated.
Kim Kwangsoo: We observe the desire to escape-from-the-city among Even when regenerated through remodeling, attitudes will change
many people, from such phenomena as Jeju fever to the trend in ‘one depending on whether it is orthopedic surgery or plastic surgery.
month living in small city’ of several years ago. With the widespread use It would be great if we could discuss varied opinions and their
of navigation systems and the emergence of the apartment generation, solutions. In the past, all remodeling was close to plastic surgery.
they began to wander around the old villages and stone walls of Jeju Choon Choi: Isn’t it that we finally have a proper balance, after we’ve
Island as if they were experiencing their hometowns. Coupled with Jeju reached both extremes in our creation of new spaces? Now is the time
fever, there was a desire to experience buildings or urban environments for a consensus to be formed around places on the scale of an entire
constructed in the near past, rather than distant historical spaces. In any city, not individual buildings. The Bucheon Art Bunker B39 was unfamiliar
because it was a space that was not accessible on a daily basis, but scale, such as the Sewerage History Museum, by taking up the
it also offered a useful springboard to thinking about the meaning land to the side of the fish market, but the plan was adjusted to
of discovering such a place when looking at the whole city, and how the extent that we could add spaces for greater convenience,
everyday and unfamiliar spatial experiences can coexist. Instead of such as a café and a small exhibition space. Later, in the process
preserving it in its entirety, we should think about what to preserve in the of handing over the initial phases of the project to the Dongjak-
context of the entire city. In the past, it was recognised only for the fact gu Office, it was found that the land could not be secured, and the
that it survived, but now it needs to develop a more profound meaning. plan for the convenience facilities was scrapped. The role played by
Kim Kwangsoo: Preservation is linked to a museumified attitudes and has the architect had become vague, and so that’s when I thought I had
ethical implications. Perhaps it is time to discuss why we should protect to get involved. As I became immersed in the project, I delineated
any one element in our shared landscape. On the other hand, I think it is a realm and a role. In the Flood Control Division of Dongjak-gu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imelessness and contemporary situations Office, which is the department in charge, there was a consensus
when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any sense of existence. As we spend that architects had to decide on the finishing materials, lighting, and
most of our daily lives in virtual spaces, that is, transcending physical accurate details. It w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ow architects
space through smartphones and Internet interfaces, our daily sense of should approach projects that don’t follow more conventional
space is greatly reduced. procedures, such as
situations in which detailed
decisions cannot be drawn.
Urban Infrastructure and Kim Jeoungeun: Is this
Architectural Intervention: a procedural problem
The Architect’s Role or a work problem?
Choon Choi: I mean that
Kim Jeoungeun: Choon Choi although we communicated
once mentioned in an interview through actual drawings
that ‘the transformation of (within the contract system),
industrial facilities is a slightly the client did not require
different challenge to other or need the drawings. As
kinds of transformation.’ the project was carried ou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under a civil engineering
informing those abandoned contract, it was unclear
or hidden spaces in cities? whether architectural
Choon Choi: Infrastructure that drawings were to be added.
has fallen out of use seems to In order for drawings to
be the focus when seeking to Rendering image, Noryangjin Sewage Walk be a cogent means of
resolve the overlapping desires communication, there must
for ‘hidden urban space’ and be institutional support,
‘historic space’. I also embark on such projects by asking how architects which in many cases is not the case. These days, architects make
can best approach a space where equipment and machinery are the main various attempts, such as constructing a plan based on knitwork
focal points, and what role architects can play in the absence of buildings. made by local residents. I think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Kim Kwangsoo: Noryangjin Sewage Walk is not a drawing flexibly depending on a given situation, such as not
building, but it did involve an architect. being able to use it properly or focusing solely on the drawing.
Choon Choi: A sewage culvert is a structure hidden underground. The Kim Kwangsoo: I wonder what the architect’s position is in this
process of allowing people to enter and use the space where water was situation. Architects may develop doubts over their own identity,
flowing is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ssession and usability. and it was not clear what he had to do. Which method do you think
I thought it could be considered to be an architectural structure as it is the more desirable — persuading decision makers to expand into
suggests a new way of regarding complex sites of this nature or as it offers architectural projects or, as now, engaging in a partial intervention?
the possibility that disused places might open up new spatial experiences. Choon Choi: This project didn’t possess enough momentum to become
Kim Jeoungeun: Who came up with the idea of a fully-fledged architectural project. The name of the project was also
turning sewage culverts into cultural spaces? ambiguous; the ‘Noryangjin Modern Sewage Culvert Cultural Space
Choon Choi: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Space Utilisation Project’. Dongjak-gu Office set a budget to repurpose this
Improvement Center had already tried to build a facility at its own relic, a modern sewage box, as a cultural space that up until then was
lacking in the district. However, there was no consensus internally as Kim Kwangsoo: The most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is that it is a space
to what kind of cultural space would be most appropriate, and whether that excludes the logic that has been running rampant in the Korean
‘culture’ would be represented by an exhibition space or the space itself architecture field. It was not a building that was in the shadows, nor
was to be representative of local culture. There was no such discussion. was it a space that was used, but it was a facility that was completely
It is important that the space itself exhibits its cultural credentials, but it concealed. It was not an object of interest, but now it has become
was decid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other meaningful as it has been rediscovered. Generally, in public projects,
cultural materials. This was a situation prompted by the fact that there programmes, degrees of usability, and narratives are used to convey
was only one staircase leading to the walkway without a building. In the meaning, but I think this approach better because there are no such
beginning, it was suggested that an advisory group should be formed to grades. It feels good to ‘keep the old stuff in place’, but the question of
tackle some of the key challenges. We searched for examples of sewage ‘what is it for?’ keeps coming up. This is new because the sense of the
exhibition halls at home and abroad, but most of them were too large to ‘non-place’ makes more sense than the necessity of ‘making a place’.
match the conditions found in Noryangjin. At the end of the day, I was Choon Choi: Dongjak-gu Office hired a separate firm to address the
persuaded that it should be presented storytelling aspect of the project,
as-is rather than making substantial but few stories were found because
additions. In other words, I led them to it did not exist as a place.
decided not to build buildings! (laugh) Kim Kwangsoo: It’s easy to tell
Kim Kwangsoo: I had a strong stories about the spaces occupied
impression that as architect you by humans, but as this is a non-place
held your power very carefully in such storytelling efforts are difficult.
balance with others engaged in this Instead, the space itself inspires a
project. However, it is a pity that it is strange approach to narrative. When
difficult to access because it is in a I first saw this place in pictures, the
very remote location. It would have ‘liminal space’ came to mind. It was
been nice if greater awareness had a different world from this world, but
been raised so that daily a line of it felt liminal, with no interaction and
traffic would fill the route connected no people. A space where concrete,
to the usual thoroughfares. stone, and bricks speak features
an aspect that allows people to
imagine a narrative instantly.
Spaces for Contemplation Choon Choi: This seems to be an
and Reflection: area that cannot be understood
Non-Places, Liminal Spaces through reason. For example,
looking at a space from the
Choon Choi: Noryangjin sewage perspective of water, or the fact
culvert conveys a sense of passing that the train passes by, seems
time and history, but unfortunately to prompt a narrative. When a
there is no data to prove it. Since it Rendering images, Noryangjin Sewage Walk person stays in this basement
is a sewer, it is difficult to register for a long time, the sound of
it as a cultural property as there are no documents or records about dripping water and the feeling of the damp air becomes
when it was created, its background, or its value. I think the way overwhelming, giving a sense that one should not enter. Observing
one reveals a good space when it is discovered is as important as this space, I also felt that cities might not be for humans alon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 think that the opening itself as a
passage is very striking. As soon as the word ‘utilise’ comes into use,
programmes and management catch up and the burden increases. Architectural Attitudes:
It would be nice if there were more empty spaces in the city for quiet A Vanishing Architecture and the Vanishing Architect
contemplation, but there seems to be an obsession with filling them
in all manner of ways. There are a lot of introverts out there, so why Kim Jeoungeun: I believe this brings us to the Magok Cultural Center.
should public places be gathering places for crowds and groups? Choon Choi: From the outset, I could see that the Magok Cultural
Usually, people think that a space alone is a private space, but I think Center was on a different plane to the Noryangjin Sewage Walk. There
there should be a lot of these kinds of spaces within public space. was a solid genealogy and record of the building; it was easy to register
it as cultural property because there was a record of who built it in the the nature of public works projects, it was also difficult to determine
1920s and the decisions made about its form. Ahn Changmo, who was the overall cost of the project in terms of the underground space.
in charge of modern architecture research, wanted to preserve the Kim Kwangsoo: Why do you choose not to introduce it as your
surrounding buildings in their entirety, but in order to be recognised own work, as you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design.
as a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ite, it has to have a visible structure Choon Choi: The Magok Cultural Center and the surrounding park
such as a wooden structure. It was difficult to designate was already in existence, so it’s hard to claim it as my
simply because it was an old official quarter. The logic work. As many people worked together to ensure that
that a place can only be preserved if it is connec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old building was successfully
its surroundings makes no sense in the field of cultural executed, it was only appropriate that authorship is
heritage. After the Magok Cultural Center was designated spread across a number of parties. I tend to respect
as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ite, the nature of the other people’s opinions and follow them without
‘preservation’ was determined. Next, there was discussion stubborness when working collaboratively. When I
about the use of the site, and the opportunity closest to participated in asteroid G, I saw artist Kim Sora enjoying
my aims was that the wooden structure on the upper floor the process by which many people’s decisions were
was considered cultural property, while no one cared integrated into the overall schema. I believe that
about the lower structure. The waterway, which was buried architects should not be responsible for every decision
underground and which no one could see, was an area in or that others should enforce that expectation.
which people could concentrate on the space. First of all, Kim Jeoungeun: Working with Kim Sora
I looked at the old and original drawings and worked hard seems to have influenced your attitude as
on the design. Rather than changing something, we figured an architect. How did asteroid G start?
out what could be done in the space, and the size of the rest Choon Choi: In 2013, Arts Council Korea planned a public
areas and exhibition spaces underground, and arranged the art project called ‘ARKO Urban Park Artro’ for urban
structure of decks and roads accordingly. But when we dug infrastructure. As a project that offered the opportunity
into the ground, the space itself was so cool that I didn’t have to experiment with the roles an artist can play in public
much to do. It suggested that architects do not necessarily space, it took place as a competition to solicit artist
have to build a thing in such an architectural context. proposals for specific sites. The site of asteroid G is the
Kim Jeoungeun: What did you do after you removed Geumseong drainage facility in Gongju. The winning
the sediment from these underground spaces? proposal, planned by Kim Jang Un and led by Kim Sora,
Choon Choi: It was my job to edit, so that only the space was to fill the concrete floor of the fence-enclosed
itself remained. If exhibitors had touched this space drainage station with a surface resembling the topography
without the influence of an architect, they would have of Gongju. However, in the process of negotiating with
created rooms and the interior would have been altered Gongju City, the plan was completely revised, and
to a much greater degree. I believe architects are capable everything returned to the original outline. Face with this,
of arranging spaces much more coherently when they are we proposed two new alternatives: to open up the fenced
involved. It also took a great effort to prevent lighting and area and build a bridge through which residents could
furniture from being installed on the ceiling. There were cross this site more conveniently, or to build a structure
many opinions such as exhibiting throughout the lower in which stones picked up in Gongju were embedded
space, adding something to the room, and excavating on one side of the drainage stations like meteorites.
more of the land but the process of persuading them to Kim Kwangsoo: Did you design this bridge
say ‘this is enough’ at the right moment was crucial. yourself? How was the cubic modular pavilion-
Kim Kwangsoo: I really like the atmosphere like climbing frame constructed?
of the underground space, but why didn’t the Choon Choi: I think we should make it known that Lee
café planned here come to be realised? Juna, who was tasked with overseeing the structure,
Choon Choi: It is not easy to maintain a good first impression, Section sketch, Noryangjin Sewage Walk was in charge of building the bridge. I only drew plans!
but as a means of persuasion, I tried my best to express my sense (laugh) Kim Sora said she wanted to put a huge stone sculpture
of this space through images (drawings). In fact, most people draw inside the drainage stations, and she asked if people could be
pictures knowing that they can’t realise the original plan, but in the allowed inside, so we built a wooden structure to form a framework.
knowledge that here is a freedom of imagination. (laugh) It’s unfortunate Originally, the structure was supposed to be covered in a stone
that they couldn’t create a rest area as planned, but at the beginning shape, but when the sculpture was completed the budget had been
of the project, they decided that they didn’t need a café. Because of used up, so the surrounding structure ended up like a climbing frame.
At the time, Kim Sora said, ‘we managed to secure something, whether this is because you have impressive skills as a coordinator.
it’s no bad thing for us to stop here’ and I liked her attitude. Choon Choi: Even the artists with whom I have a personal affinity
Kim Kwangsoo: It’s like ‘let it be’, like she didn’t have are usually people who work at less rather than more. Making
any attachment to the work as an artist. something less is also a significant aesthetic approach.
Choon Choi: Most conceptual artists, including Kim Sora, seem Kim Kwangsoo: Lastly, I am curious about topics such as nostalgia
to place emphasis on the working process itself, unlike for the public arena, the aestheticisation of time, and
artists with a specific medium of expression, such as the process of extinction. How do you feel about
sculpture or painting. Rather than dealing with a specific nostalgia? I wonder if you feel nostalgia, and if so,
object, it is considered as a means of experiencing how it relates to themes of unfamiliar architecture?
the process. Ultimately, I think that the goal of art is to Choon Choi: I don’t think they are related. Nostalgia
be a social act, rather than an aesthetic outcome. seems to have an overly appreciative relationship with
Kim Kwangsoo: I have a very similar feeling when the past, and I tend to distance myself from it. It’s not
encountering the architectural attitude of Choon Choi. something you have to feel in the city. It is a non-spatial
Looking at the Magok Cultural Center or the Noryangjin sensibility that individuals own, like memory, but it is
Sewage Walk, I get the impression that the architect is doubtful whether it is architectural to elicite nostalgia.
trying to remove colour. This seems to feature in one’s Kim Kwangsoo: In this context, the Magok Cultural
sense of the legitimacy of the project, for example, the Center, a wooden building that offers an impression
legitimacy of erasing the colouring of the architect in of the styling typical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s
terms of preserving the character of the original. an example of a structure that stimulates nostalgia.
Choon Choi: It’s more convenient to erase Aside from the above-ground aspect of the project, I
yourself. It’s because I didn’t form this place, wonder whether the underground part was approached
and it’s a place regardless of my presence. with a particular mood or sensory apprehension
Kim Kwangsoo: That attitude is also a desire. The desire of in mind, such as the uncanny or unfamiliar.
absence to remove oneself. In our private conversations, Choon Choi: That’s right. I want it to be reproduced as if
I thought to myself ‘Is he going to do it or what?’, but you no one had interfered, as if it were a real prototype. I think
seem to be more hesitant. I don’t think such an attitude revealing what’s gone and what’s still left is different from
can be evaluated as good or bad. I’d like to acknowledge experiencing nostalgia or uncanny feelings. Rather than
that it is sufficient to possess a certain type of attitude returning to its historic state or revamping it, I wanted the
that values the structure. However, it would be advisable feeling I felt at the beginning to be refined. It feels like
to grant meaning to yourself and to your decisions, and cleaning up. The first work I performed after returning
to adopt a clear attitude, but if you had no choice but to to Korea was a project that transformed the building of
remove onself from the equation, then the meaning is the former Defense Security Command (presently the
different. Personally, I feel that both stances coexis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hoon Choi: Rather than expressing my presence an Seoul) into an exhibition space. Before remodeling, I
architect, I think I focus more on revealing that ‘the work found a corner space under the stairs and went down
would have gone in a different direction without that and cleared the space. It felt really good, but the best
person, but it’s possible because of him.’ I define myself as thing was when the carpenter who was on site came
a person who would be beneficial by just being proximate. in after it was cleared, put nails in the wall and hung up
Kim Kwangsoo: Are you the catcher who protects clothes. It’s not design, it’s cleaning, one big clean up.
others as in The Catcher in the Rye? (laugh) Kim Kwangsoo: Cleaning seems to be the key
Choon Choi: Though the role of the catcher may to the this project and its identity. However,
seem small, it can be an activism in that one isn’t cleaning an activity that has no end?
knows which direction he/she should pursue. Choon Choi: That’s right. It is a repetitive and
Kim Jeoungeun: I also think this might be Section sketch, Noryangjin Sewage Walk habitual practice. Most jobs are fine as long as
the right role for our current urban situation. you clean them well. When we were building workshops in
Kim Kwangsoo: The attitude you have described is similar to the Haebangchon, the residents who didn’t like our work did express
coordinator’s role. The integrity or completeness of the building their gratitude to us for sweeping the stairs so diligently.
itself is likely to fade if you take the attitude of a coordinator who Kim Kwangsoo: Should I refer to you as the janitor of
accepts the many needs of the surroundings. However, Choon the architectural field? (laugh) I hope you continue to
Choi’s works are very sensitive in their detail. I sometimes wonder work in this direction and make your voice heard.
노량진 지하배수로: 공백의 사유

설계 Architect
최춘웅(서울대학교) Choon Choi (Seoul National University)
설계담당 Design team
조윤오, 팀팜, 조윤호 Cho Yuno, Tim Pham, Cho Yoonho
위치 Location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동 40-90 40-90, Noryangjin-dong, Dongjak-gu, Seoul, Korea
용도 Programme
지하보행로 및 진입시설 underground walkway, access facility
규모 Length
92m(보행로 길이) 92m (walkway)
토목・구조 Civil engineering and structure
(주)서경기술공사 Seogyeong Engineering Consultants
시공 Construction
효상토건 Hyosang Construction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
워크룸 Workroom
미디어 전시 Media exhibition
에스카디자인 AESCA
조명 Lighting
영공조명 YOUNGKONG LIGHTING CO.,LTD
설계기간 Design period
2020. 3. ~ 10. Mar. – Oct. 2020
시공기간 Construction period
2021. 9. ~ 2022. 5. Sep. 2021 – May 2022
건축주 Client
동작구청 Dongjak-gu Office

Noryangjin Sewage Walk: Thoughts on Emptiness


2008년에서 2011년까지 실시한 노량진 수산시장 주변 침수해소 사업 시행 과정에서 발견된 하수암거(지하배수로)가 공공에
개방됐다. 단순하게 보면 노량진 수산시장과 노량진로 사이를 연결하는 지하보행로에 불과하지만 120년에 걸친 서울의 철도와
토목, 수자원 기반시설의 근대 역사를 직접 걸으며 경험할 수 있는 길이다. 개방된 하수암거 중 가장 오래된 부분은 마제형(馬蹄形),
즉 말발굽 형태로 설계되어 상부의 벽돌 볼트를 화강석 벽이 받치고 있으며 1899년 개통된 경인선 철로 아래 위치한다. 약
20m 길이의 마제형 암거를 포함해서 모두 다섯 개 구간으로 이뤄진 보행로의 전체 길이는 92m다. 1969년 완성된 경인선
복선화 구간 아래 위치한 약 11m 길이의 사각형 콘크리트 하수박스는 한국의 경제개발이 가속화되던
시절 시멘트 생산이 시작된 시점과 맞물려 있다. 이어지는 아치형 구간은 1995~2006년 사이에 증설된
철로 아래 위치한다. 독특한 단면과 당시 사진에서 철로 증설 이전에도 해당 구간의 땅이 복개되어 있던
사실을 근거로 추측할 때, 지금은 사라진 영등포-노량진 구간의 전차 개통 시기인 1952년에 추가됐을
가능성이 높다. 20세기 초 근대 하수시설들이 여럿 발견되어 사적과 서울시기념물로 지정 및 보호되고
있으나 시민에게 개방된 곳은 노량진 지하배수로가 유일하다. 주변 보행 네트워크의 일부로 공공에 개방된
배수로는 비록 박물관이나 기념관은 아니지만 진정한 역사적 장소로서 물이 아닌 사람이 다니는 길이 됐다.
노량진로 진입시설은 뾰족한 세모 타워들의 단순 조합이다. 주변의 지하보도 입구나 지하철 입구 등 도로
편의시설과 차별화되어 지하 토목 구조체가 땅 위로 솟아오른 듯한 인상을 주고자 했다. 주변과 섞이기
어려운 사물들이 독특하고 이상한 장면을 만들어, 전형적인 거리 경관과는 다른 이질적 풍경을 유도했다.
노량진로와 철로 사이 빽빽한 나무와 풀 뒤에는 공원 같은 산책로가 하나 숨어 있는데 이 산책로 끝에
세모 타워가 위치한다. 폐허가 된 폴리처럼 출현한 두 타워는 주변과 잘 어울리는 모습이다. 선로를 지나는
기차에서 보이는 높이로 타워를 계획했다가 공사비 절감을 위해 층고를 낮췄다. 한쪽 타워에는 엘리베이터와 환기시설을, 다른
타워에는 숨어 있는 지하 공간을 엿볼 수 있는 작은 전시실을 배치했다. 두 타워들 사이에 갈라진 땅속으로 계단이 나타나고
중간 참에서 전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발굴 당시 유일한 진입로였던 맨홀을 떠올리며 전시실 위에 동그란 천창을 냈다.
창을 통해 쏟아지는 강한 빛줄기가 어둑한 전시실을 휘덮는다. 전시실을 나와 아래로 내려가면 반으로 쪼개진 아치 모양의
터널을 따라 한 줄기의 얇은 빛이 가늘게 그림자를 드리운다. 그림자가 어두운 터널과 겹칠 즈음 긴 터널이 나타나고, 여러 겹의
단면들이 연결된 통로에는 조명 같은 인공 광원이 보이지 않는다. 약간 음산하며 신비한 광채가 공간 전체를 적신 듯하다. 출구도
어떤 인위적인 방해물도 없다. 멀리서 들리는 기차의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반복적으로 적막을 깨지만 텅 비어 있는 공백이다.
공백이 주는 허무함과 무력감은 설계 후 자주 찾아오는 감정이다. 개인의 상상 속에서 존재하던 장면이 현실이 되어
공유될 때 설계는 장소가 된다. 그 장소를 마주칠 때 느끼는 감정의 공백은 숨기고 싶은 실수와

©Kim Jeffrey
부족함에서 오는 부끄러움을 잊기 위한 망각에 대한 욕구일 수도 있지만 이미 존재하는 공백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의 실현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그 공백 속에서 만족감을 얻는 것이 가능할까?
“나는 아무것도 한 게 없다”는 고백이 겸손한 표현이 아닌 떳떳한 자랑이 될 수 있을까? 노량진
배수로는 건물이 아닌 도로, 즉 길이고 공식 프로젝트명도 ‘지하보행로 진입시설’이었다. 동작구청의
치수과에서 진행한 토목사업으로 토목기사들이 공사를 맡았다. 업무 영역에 건축은 없었다.
공식적으로는 자문으로, 비공식적으로는 자원봉사로 참여하는 방식이 내가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었다. 나의 역할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는 것이었다.
유적지를 보존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 공백은 이미 존재하는 잔존 가치를 지킬 때 남는 결과일
것 같다. 시간 속에 희석되고 제도 속에 묻히는 설계자의 개념과 발상은 단순한 개인의 자아일 뿐,
현존하는 과거의 흔적은 집단과 사회의 의지에 따라 보존되기에 그 발현의 형상이 어설프고 볼품없어도
존중돼야 한다. 한 장소가 조성되는 작업의 실현 과정에 얽힌 수많은 사람과 사물의 개입, 간섭은 모두
나름의 가치가 있고 그 장소 속에 스며들어 남는다. 이런 상황에서 건축가가 취할 태도는 목소리를
낮추고 유연해지는 것이다. 수많은 목소리들의 불협화음이 소음이 아닌 음악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적막과 공백이 공공의 영역 곳곳에 숨어 있고, 사유와 독백의 장소들이 도시 속에 차분하게
자리 잡도록 건축가는 때로는 숨거나 사라질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도시의 유산들 속에서 개인의 존재감이 넘실대는 거대한
구조체들보다 희미한 흔적으로 남은 건축가의 존재가 오히려 기억에서 지우기 힘들지도 모른다. 이미 존재하는 공백 사이에
미약한 표현들이 스며들어 영원한 과거 속에 남을 수 있다면 건축이 행위가 아닌 상태로 표현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도시유산 중에서도 노량진 지하배수로가 독특한 이유는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숨겨진 기반시설, 특히 하수시설이기 때문이다.
건축 행위가 암묵적으로 연대하는 권력과 자본의 상징성이 닿지 않는 영역 속에 만들어진 장소이기에 더 특별하다. 누구도
경험해본 적 없는 공간의 기억은 역사보다 전설에, 집단을 향한 선포보다는 개인의 독백에 가깝다. 완성과 동시에 아무도 볼
수 없이 묻힐 것을 알면서도 세심한 정성으로 벽돌을 쌓아 만든 공백. 이제 그 공백의 균열을 따라 미약한 빛이 스며든다.
글 최춘웅
The drainage crossings, or culverts, discovered under the railroad tracks in Noryangjin between 2008 and
2011 are now open to the public. Traversing over a hundred years of history, it is now an underground passage
permitting pedestrian access to the fish market. The oldest segment has a horseshoe-shaped section with
an elegant brick vault supported on solid granite walls and crosses under the railroad tracks for the Seoul-
Incheon Line, which opened in 1899. Including this 20m vaulted segment, the passage includes five different
sections, each designed in a distinct structural shape and technique, spanning 92m. A square-shaped concrete
box extends the brick vault by 11m under the portion of the railroad that doubled the number of tracks for
the Seoul-Incheon Line in 1969, coinciding with the beginning of Korea’s rapid industrialisation and local
cement production. The next segment, built under the tracks added between 1995 and 2006, has a gothic
vault section and may predate the square-shaped segment. It is as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for the
electric streetcar network, which extended its service area beyond Noryangjin in 1952. Several underground
sewage tunnel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still survive and are prote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historical sites. However, the Noryangjin Sewage Walk is the only place open to the public. It
is not merely open but fully accessible as an integral part of the local pedestrian network. Neither a museum
nor a monument, it is an authentic heritage site that now carries pedestrians instead of rainwater.
The entry pavilion for the Noryangjin Sewage Walk is conceived as an extension or protrusion of the
underground civil infrastructure rather than an architectural object. The goal was to create an assemblage of
misfits foreign to the adjacent streetscape. The triangular towers were initially conceived to be tall enough
to be seen from the passing trains but have been lowered for cost control. One tower houses an elevator
and ventilation shafts, and the other is an exhibition room. A crack appears between the two towers for
a stairway, and midway down the stairway, the landing is extended to become an exhibition space with a
circular skylight that resembles the maintenance hole, which used to be the only means of access for the
drainage crossings. An intense ray of light enters to fill the space with a mysterious glow. The lower half of
the stairway is shaped like a half vault with a crevice at the top for faint natural light that dims as you continue
your descent. Once your shadow merges with the darkness, a long tunnel appears with a series of vaults
that glow without an apparent light source. No outlet is visible, and there is no artificial obstruction. Only
a violent rumbling sound of the trains chugging along overhead periodically interrupts this emptiness.
Emptiness is often the feeling that accompanies the completion of a design project. This emptiness can
be attributed to a sense of shame from untold failures and shortcomings. But what if emptiness is the
intended goal of a project? Can a sense of accomplishment coexist with a sense of emptiness? Can
one say, ‘I haven’t done anything’, not out of modesty but with a sense of pride? The project’s official
title for the Noryangjin Sewage Walk was the ‘access facility for underground pedestrian passage’. It is
technically a road, not a building. The Flood Control Division of Dongjak-gu Office managed the project.
Civil engineers oversaw the construction. There was no scope of work for architects. My involvement was
officially advisory and practically voluntary. In other words, my job was to do nothing and leave no trace.
If emptiness is the pre-existing condition for a heritage site, its preservation efforts should aim to protect the
residual values of an empty space. The passage of time eventually dilutes architectural concepts and gestures, but
the heritage sites retain what is essential within them as testaments of collective will and social consensus. The
process of preservation is a filtering process for disparate voices, both human and non-human. All voices should
have equal weight, and the architect must assume a posture of passivity with a muted voice until the dissonant
noise is transformed into music. For silence and emptiness to remain within public spaces, architects sometimes
need to hide or disappear. The faint traces of more humble architectural thoughts may be harder to erase from the
memory than monuments and landmarks. Architecture may be understood as a state of being if an architectural
thought can seep through the crevices within pre-existing emptiness to become part of its permanent past.
The Noryangjin Sewage Walk is unique among other heritage sites because it is part of the underground
infrastructure, never intended for human occupancy or public viewing. Not an architectural object built as an implicit
symbol of power and capital, it is a mythical place outside collective historical memory. It is not a public statement
but a personal soliloquy. To make a place that will be immediately hidden upon completion, bricks were carefully
laid to enclose a void, and now a ghastly ray of light enters through a crack that has appeared within emptiness.
written by Choon Choi
FEATURE >>>> project

Sector 1 Sector 2 Sector 3 Sector 4 Sector 5

completion completion completion completion completion


unknown estimated before 1899 estimated before 1969 estimated before 1952 unknown
length length length length length
12.5m 20m 11.2m 12m 36.3m
shape type shape type shape type shape type shape type
square type horseshoe type square type egg type square type

0 2 5 10m

099
©Kim Jeffrey
©Kim Jeffrey
마곡문화관: 잃어버린 공간을 찾아서

Architect (adaptive reuse area)


재활용 영역 설계 Choon Choi (Seoul National University)
최춘웅(서울대학교) Architect (restoration area)
복원 영역 설계 Ahn Changmo (Kyonggi University),
안창모(경기대학교), (주)한인건축사사무소 Hanin Architects & Associates
재활용 영역 설계담당 Design team (adaptive reuse area)
최승호, 박지은, 주명현, 표창연, 이민철 Choi Seungho, Park Jieun, Joo Myounghyun,
위치 Pyo Changyeon, Lee Mincheol
서울시 강서구 마곡동로 161 Location
용도 161, Magokdong-ro, Gangseo-gu, Seoul, Korea
문화시설 Programme
건축면적 cultural facility
350m2 Building area
규모 350m2
지상 2층, 지하 1층 Building scope
높이 B1, 2F
12.6m Height
시공 12.6m
새한티엠씨 Construction
설계기간 Saehan TMC
2015. 7. ~ 2016. 5. Design period
시공기간 July 2015 – May 2016
2017. 3. ~ 2018. 10. Construction period
건축주 Mar. 2017 – Oct. 2018
서울주택도시공사 Client
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Magok Cultural Center: Remembrance of Spaces Past


FEATURE >>>> project
박제된 건축유산은 지나간 시간의 무기체적 환상이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공간의 허상이다. 현재 살아있는
자들이 사라진 자들의 건물을 재현할 때, 그 공간은 과거라는 개념을 상징하는 표상일 뿐이다. 현재의 미약한
개입이 희미한 허상 속에서 증폭되고 무기체적 환상은 과거를 향한 욕망의 대상으로 변질된다. 반면 발굴된
유물과 유산 속에 내재된 공간은 역사성을 초월하는 숭고함을 품고 있다. 우리가 인지할 수 없고 기억할 수 없는
세상이 더 넓음을 목격하는 순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지속되는 과거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고, 특정한 개인의
향수에 젖어 객체화된 과거는 시간의 흐름이 정지된 과거의 표상일 뿐임을 깨닫는다.
마곡문화관은 1923년 김포군 양동면 일대를 몽리 구역(저수지, 보 등 수리시설에 의해 물이
들어와 농사에 혜택을 입는 구역)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양천수리조합이 1928년에 세운
배수펌프장이었다. 현존하는 근대 산업시설물 중 유일한 농업 관련 시설물로 2007년에 등록문화재
제363호로 등록됐다.▼1 콘크리트 기단부 위에 왕대공 트러스로 구성된 목조 건물이 보존 및 복원됐고,
지상의 내부 공간은 현재 상태로 최대한 비워 사라진 기계들의 흔적과 어두운 공간 속으로 스며드는
빛을 통해 사색과 명상의 공간으로 유지했다. 지상 목조 구조물의 복원이 역사성을 지키기 위한
일이었다면, 지하수로 공간은 배수펌프장의 실체로서 마곡문화관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상징적인
노력이었다. 1990년대 공장으로 임대되어 쓰이던 시기에 복개된 지하 공간▼2을 다시 파내는 작업은
사라진 과거의 표상을 실체로 전환하려는 의지의 실천이기도 했다. 30여 년 동안 땅속에 묻혀 사라진
공간을 경험했거나 기억하는 사람은 없었고, 지하수로의 보존 상태는 물론 존재 여부에 대한 확증이
©Choi Seungho

없는 상태로 문헌자료에 의존하여 설계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공사가 시작되고 다시 모습을 드러낸
지하수로 속으로 처음 들어가, 망각 속에 존재하던 과거와 직면하고 도면 속의 시간으로 회귀할 때의
감정은 마치 소설 속 장소가 섬뜩하고 낯익게 다가오는 것과 비슷했다. 발굴된 지하 공간이 품고
있는 숭고함은 단순한 아름다움과 달리 두려움 없는 낯섦과 지워지지 않는 순수한 인상으로 남아
배수펌프장의 무기체적인 존재 속에도 시간이 흐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체 없는 기억을 담고 있는
온전한 과거의 공간이 현재의 시간과 결합하여 물의 공간에서 사람의 공간으로 되살아났다.
세부 계획의 기본 원칙으로 배수펌프장을 세 개의 차별화된 수직 영역으로 분리했다. 상부 목조 건물은
양천수리조합 개량공사준공도, 1928
복원 영역으로, 트러스 구조 및 실내외 건축 요소들을 문화재 복원의 원칙에 따라 충실하게 보존하고
(국가기록원 소장)
복원해야 했다. 새로 추가되는 램프 및 계단은 문화재의 기존 재료와 구별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고, Improvement construction drawing of
물리적으로도 간격을 두었다.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현존하는 재료들을 재활용했으나 심하게 훼손된 Yangcheon Irrigation Association, 1928
(위) 구 양천수리조합 배수펌프장 (collection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지붕의 경우 슬레이트의 형태와 질감을 재현하여 새로운 재료로 교체했다.
(아래) 마곡문화관 실내 모습
(top) Drainage Pumping Station of
지상의 콘크리트 기단부는 전시 영역으로 설정하여 자유롭게 변형했다. 공장으로 사용되던 당시
former Yangcheon Irrigation 추가된 개구부를 주 출입구로 활용하고 훼손된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를 보강했다. 공원 조경과
Association, pictured after 1928 도로시설로 인해 변형되는 주변의 지형과 구분되도록 거리를 두었고, 건물을 마주할 수 있도록
(bottom) Interior view of
옹벽을 추가하면서 테라스, 브리지, 계단, 램프 등을 통해 다양한 높이와 위치에서 건물 내부로
Magok Cultural Center
진입할 수 있게 했다. 내외부에 남아 있던 낙서도 그대로 두어 임의적인 과거로 회귀하는 것을
지양했다. 마지막으로 지하 공간은 발굴 영역으로, 인간의 기억이 아닌 무기체의 기억이 주체가
되는 낯선 역사성을 경험하는 곳으로 남겼다. 배수펌프장의 옛 도면과 기록사진을 바탕으로
설계를 구상했고 발굴 후 잔존하는 구조체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기로 했다. 땅 아래
묻혀 있던 공간을 다시 꺼내어 현재의 시간 속으로 귀속하는 것이 갖는 상징성 외에도 수로
및 콘크리트 지하 구조체를 전시 영역과 연결하여 전시의 진정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했다.
배수펌프장을 체험하기 위해 물의 통로를 따라 공간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결정이었던 것 같다. 마곡문화원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 동식물은 물론 무기체들의 존재 역시
협업의 일원이 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수문 옆 콘크리트의 균열 속으로 뿌리를 내려 살고
있는 버드나무는 유기체와 무기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마곡문화관의 매력을 함축된 이미지로
표현한다. 나무의 생명력은 비이성적인 연민의 감정을 자극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물성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체와 생명체의 경계를 흐리는 중요한 장면이다. 산업유산이라는
무기체 속에 스며 있는 과거는 객관성을 잃지 않는 매력의 주체로서 역사를 인식하는 범위를
넓혀줄 수 있다. 산업유산은 태생적으로 인간의 기억과 분리되어 있는 미지의 세계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제 산업유산을 재활용할 때뿐 아니라 모든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참여하는
협업의 주체가 비인간 존재로 확장되어 생태 환경 전반을 아우르는 시대가 온 것 같다.
1 「조선총독부관보」, 제3171호, 1923년 3월 9일
글 최춘웅
2 「구 양천수리조합 배수펌프장
기록화보고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
건축역사연구실, 2008년 11월

103
FEATURE >>>> project
Architectural heritage sites as artifacts frozen are seldom more than inorganic apparitions or the virtual image
of a place that has ceased to exist. They are representations of the past imagined by the living observer of
the present moment. A feeble intervention within the faint illusion intensifies as the inorganic phantasm is
transformed into an object of desire. On the other hand, spaces embedded within freshly excavated artifacts
and newly discovered heritage sites transcend the burden of historicity, moving into the realm of the sublime.
When we realise that the vastness of our universe will remain forever beyond the human capacity for recognition
and recollection, we accept the possibility that natural history exists independently from human presence
and that human history is a mere representation of an objectified past, soiled by the narrator’s nostalgia.

The Magok Cultural Center was built in 1928 as a pumping station by the Yangcheon Irrigation Association,
founded in 1923 to manage the surrounding rice paddies of Gimpo. Designated as a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ite No. 363 in 2007, it is the only agriculture-related facility among all the historically registered industrial
sites. The timber frame structure with king-post trusses was preserved and refurbished, while the interior
spaces were left empty in their found condition. The design team hoped to maintain its meditative emptiness
for private contemplation instead of recreating a false version of the disappeared past. If the preservation of
the timber structure above ground respected its historical value, the rehabilit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s
was an effort to protect its authenticity as a pumping station. The underground space had remained buried
and hidden since the 1990s when the building was leased as a factory. The exhum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was also a willful act of converting a spectre of the hidden past into a physical reality. No one had
any memory of the space that had been buried for over 30 years, and there was no proof that anything
remained. The design team had to rely solely on a few original drawings. When we finally entered the space
for the first time shortly after the excavation, the space, strangely familiar yet foreign, instantly transported
us back to the time encapsulated within the drawings. The sublime interior of the excavated space leaves a
pure, unfiltered, and indelible impression, reminding us that inorganic matter is also subject to the passage
of time. The disembodied space of non-subjective abstract memory is brought to life in the present.

Section

104
FEATURE >>>> project
The design team divided the work into three vertical layers. The restoration layer on the top had to follow
a specific set of rules and regulations specified by the heritage protection guidelines, which mandated
that the timber structure and other original elements above ground be faithfully preserved and restored.
Distinctly different materials were used for newly added elements, such as access ramps and stairs, all
of which were separated physically from the original surfaces and independently supported. The middle
layer is the concrete plinth above ground, designated as an exhibition zone. The large opening made for
the factory became the main entry door, and a series of retaining walls were added around the plinth
to set it apart from the surrounding landscape. Taking advantage of the new structures, multiple entry
points were added on various levels through the courtyard, terraces, ramps, and stairs. Graffiti was left in
its place to avoid privileging an arbitrary time in the past. Lastly, the underground space was preserved
as an excavation layer where the memories of the inorganic matter replaced human memory to present
an unfamiliar scene of nonhuman historicity. In addition to the symbolic value of exhuming the buried
past and rehabilitating it into the present time, it served as a more authentic exhibition content.

The circulation pattern overall follows the paths of water in and out of the building. It offers a rare opportunity
to witness human beings, non-human beings and matter coming together to form a composite historical
narrative. The willow tree, with its roots penetrating the cracks in the concrete, succinctly demonstrates
the mystic pull of the space within,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organic and inorganic worlds. The
history embedded within industrial heritage sites cannot be limited to human experience but also includes
the world without humans or the material world in itself, suggesting a possibility that human and non-
human beings and things may have equal agency in historical recollection and ecological reconciliation.
written by Choon Choi

B1 plan 1F plan 0 1 2 5m

105
©Choi Seungho
©Choi Seungho
예술과 건축: 협업과 횡단을 위한 대화

김장언은 미술이론과 문화이론을


전공했고, 제7회 광주비엔날레 〈제안전〉
큐레이터(2008), 계원예술대학교
겸임교수(2011~201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전시기획2팀장(2014~2016),
대담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디렉토리얼
김장언 콜렉티브(2018),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
아트선재센터 관장 위원(2017~2021) 등을 역임했다. 현재
× 아트선재센터 관장(2022~)으로 재직
최춘웅 중이다. 저서로 비평집 『미술과 정치적인
서울대학교 교수 것의 가장자리에서』(2012)와 『불가능한
× 대화: 미술과 글쓰기』(2018)가 있다.
김정은
편집장
Kim Jang Un is a curator and art critic. He
has served as the ‘Position Papers’ curator
Dialogue of the 7th Gwangju Biennale (2008), as an
Kim Jang Un adjunct professor at the Kaywon University
director, Art Sonje Center of Art & Design (2011 – 2014), as senior
× curator, the head of Exhibition Team 2
Choon Choi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temporary Art, Seoul (2014 – 2016),
× as a member of the directorial collective
Kim Jeoungeun for the Seoul Mediacity Biennale 2018,
and a member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ublic Art Committee (2017
– 2021). Since 2022, he has been director
of Art Sonje Center. His books include the
criticism collection On the Shores of the
Contemporary Art and Politics (2012) and The
Impossible Dialogue: Art and Writing (2018).

Art and Architecture: Dialogue for Collaboration and Crossover


소행성 G 돌이켜보면, 당시는 미술계 거장들이 돌에 대해서 다시 사유하던 시기였다. 돌과
대화를 나누거나 돌을 재료로 사용하는 식이었다. 우리 팀도 진짜 돌을 만들겠다는
김정은: 건축계 전반적으로 과거의 것을 복원,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할 때에도 생각에 스페인 건축가 안톤 가르시아 아브릴(앙상블 스튜디오 공동대표)이
오래된 것처럼 표현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공공에서도 근과거의 건축물이나 만든 사례도 찾아보면서 스터디했는데 이를 실행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
기반시설을 활용해 문화공간으로 전환하는 시도들이 꽤 오래 지속돼왔다. 최춘웅이
최근 선보인 노량진 지하배수로와 마곡문화관 프로젝트 역시 공공의 기반시설을 김정은: 소행성 G는 돌에서 출발한 큐빅 모듈러 구조물 외에 철제
리모델링한 사례로 그 연장선에 있다. 그가 선보인 작업을 보면 다양한 협업의 다리도 함께 설치했다. 이는 어떤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것인가?
관계망 속에서 유연하게 대처하는 건축가의 모습이 보인다. 오늘은 최춘웅이
공공미술의 영역에서 협업했던 초창기 작업인 소행성 G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김장언: 당시 우리 팀이 공감했던 건 이 땅이 버려진 장소였다는 점이다. 배수장
시작하면 어떨까 싶다. 미술가, 건축가, 구조 전문가가 협업한 프로젝트의 기획자로서 전체가 펜스로 가로막혀 있어 사람들이 길을 빙 둘러가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 펜스를
먼저 어떤 구상을 했는지 짚어주면 좋겠다. 걷어내고 사이트를 열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사람들이
이 땅에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고민하다 배수장을
김장언: 소행성 G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의 가로지르는 보행로를 제안했다. 마침 공주에 일제시대에
공공미술 시범사업인 ‘ARKO 도시공원 예술로’ 공모에 축조된 교량인 금강철교가 남아 있어 이를 모티브로
당선된 프로젝트다. 미술가를 중심에 두고 건축가 삼았다. 철교의 아치형 구조를 본뜬 단순한 구조물을
등 다른 협업자들과 함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게 설계해 보여주자 거창한 조형물을 기대했던 시에서
프로젝트를 기획한 큰 목적이었다. 작가에게 집중했다고 실망한 기색을 보였다. 나중에는 공무원들이 보행로가
생각될 수 있는데, 예술 현장에서 작품을 작가만의 생긴 것에 만족한다고 했는데 아마도 프로젝트가 끝난
결과물이 아니라 협업의 결과물로 완성하고 싶다는 후 자신들이 여기에 뭔가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던 것
갈증이 있었다. 큐레이터로서 작가의 아이디어에서 같다. (웃음) 어쩌다 보니 다리를 만드는 프로젝트가
출발해 이를 구체화하는 과정에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서 됐는데, 닫혀 있던 공간을 개방하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아이디어를 풍성하게 만들고 이를 실현해가는 과정에 있는 열린 마당을 깔아주는 방향으로 정리된 셈이다.
도전한다는 마음으로 소행성 G를 시작하게 됐다. 우리
팀은 김소라 작가의 주도 아래 공주 금성배수장을 최춘웅: 당시 펜스 주변으로 보신탕 집들이 있고 개를
대상지로 삼아 흥미로운 안을 제출해 공모에 당선됐다. 파는 트럭이 즐비하게 서 있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그런 풍경이 사라지기만 해도 좋겠다고 생각했다.
김정은: 여섯 번의 수정 과정을 거쳤다고 다리는 그 자체로 구조적 역할을 하도록 설계돼
들었는데 프로젝트는 어떻게 진행됐나? 효율적이다. 전라남도 영광에 굴비 다리를 만들듯,
특산품 형태를 본뜬 지역의 시설물들에 비하면 군더더기
김장언: 당선안은 배수장 안에 공주시의 지형 일부를 본뜬 없는 구조물이 세워졌다는 사실만으로도 뿌듯했다.
구조물을 등고선 형태로 삽입하는 작업이었다. 하지만
실현 과정에서 공주시는 당선작을 구현할 수 없는 조건을 김장언: 개장하고 몇 년 뒤에 우연히 찾아갔더니 사람들이
제시했다. 배수장이 법적으로 재난시설이라 최대 저수 잘 이용하는 진짜 다리가 됐더라. 펜스에 막혀 돌아가던
용량이 정해져 있는데, 시에서 이 저수 용량을 건드리면 길을 가로지르는 지름길이 된 거다. 2년쯤 지나 다시
안 된다고 제동을 건 것이다. 원안을 유지하려면, 삽입된 찾아갔을 때는 사랑의 다리가 된 것을 목격했다. 누가
구조물의 체적만큼 저수 용량이 줄어도 재난을 방지하는 의도하지 않았는데 사랑의 자물쇠를 거는 장소가
데 문제가 없음을 우리가 증명해야 했다. 원안을 폐기하고 됐다. 밤에 가면 조명이 켜져서 나름 운치도 있다.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에 팀 전체가 패닉에
빠졌다. 선정은 됐으니까 새로운 안을 제시해야 하는데 김정은: 다리의 시공은 어떻게 했나?
계속 스터디를 해도 답이 나오지 않더라. 그러던 중 Bridge, asteroid G 의도한 대로 완성된 것인가?
김소라가 갑자기 돌을 만들자고 제안하면서 프로젝트에 시동이 걸렸다. 조형물로
구현될 돌을 찾기 위해 배수장 근처와 근교 산을 돌아다니다가 김소라가 돌멩이 하나를 김장언: 공주시가 직접 시공하겠다고 나서서 어쩔 수 없이 수용했다. 우리 요구를
발견했다. 이 돌의 모습을 본뜬 조형물을 만들겠다고 시에 보고하자 모두 화들짝 들어주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는 쪽으로 입장을 정했다.
놀라며 표정이 굳더라. 직감적으로 이 프로젝트의 진행이 쉽지 않으리라 느낀 김 작가는 시공사에도 우리가 제출한 설계 도면 외에 다른 어떤 것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아예 마음을 접고 이제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보자고 했다. (웃음) 막판에 시에서 커뮤니티 아트를 해야 한다고 종용하는 바람에 파트타임스위트를
초청해 11월 말 하루 종일 야외 공연을 했다. 배수장에 무대를 설치하고 멋진 공연이
최춘웅: 김소라가 주워왔던 그 돌을 아직 보관하고 있다. (웃음) 펼쳐졌는데 정작 주민들은 아무도 오지 않았다. (웃음) 돌을 실현할 수 없게 된
그때도 궁금했는데 왜 하필 돌을 만들게 된 것인가? 순간을 기점으로, 어떤 것도 하지 않은 상태로 끝까지 프로젝트를 완성시키겠다는
일종의 의지가 생긴 것 같다. 돌이 되지 못하고 멈춘 구조체처럼, 우리의 요구가
김장언: 작가에게 물어봤을 때, 아무 이유 없이 돌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상황 자체를 그대로 관철시킨 것이다. 시에서 다리에
꽃화분을 놓자고 해도, 조형물을 만들어 달라고 해도 전부 거절했다. 막판에는 건축가들은 나름대로 아이디어나 감각을 비롯해 표현 능력, 시공 능력을
다리의 데크 바닥을 오렌지색으로 칠하고 싶다고 요청하길래 프로젝트가 끝나면 가지고 있어 본인이 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때문에 건축가들과는
그때 하라고 했다. ‘어떤 것도 안 했다’는 데 자부심을 느꼈던 프로젝트였다. 조율하면서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힘들다. 심지어 자신이 설계한
전시 공간에 어울리는 작업은 어떤 거라고 지정하는 경우도 봤다.
김정은: ‘어떤 것도 안 했다’는 말이 이 특집 전체를 꿰뚫는 표현이 아닌가 싶다.
김정은: 예상은 했지만 적중해서 깜짝 놀랐다. (웃음)
김장언: 소행성 G와 함께 선정된 타 지역의 프로젝트들을 보면 커뮤니티 아트 건축가의 생리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작업도 있었는데 우리 프로젝트에서는 처음부터 이 부분을 배제했다. 참여한
작가와 전문가들이 협업하는 과정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공공예술이라는 이유로 김장언: 나중에 최춘웅을 만났을 때 다른 건축가들과 결이 다른 것 같다고 얘기를 했더니
지역주민과 교류하고 환원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작품을 구현해나가는 예술의 자신이 무대 디자인을 공부했었다고 하더라. 그래서 더 유연할 수 있었구나 싶었다.
창의적 성취에 집중하고 싶었다.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지역성을 파괴했다고 평가받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건축가가 자신의 방식을 최춘웅: 비엔날레 때 열심히 도왔는데 결과적으로는 별로 한 게 없는 듯 보였나
밀고 나가면서 비전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공간이 실현됨으로써 우리에게 보다. 광주비엔날레재단에서 내 작업을 보고 건축가 없이 전시 공간을 디자인할 수
주는 영감과 경험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공공미술을 만드는 과정에 공공이 있다고 판단했는지, 다음 비엔날레부터는 직접 공간 디자인을 하더라. (웃음)
참여하지 않았다고 해서 우리의 방법이 잘못됐다고 판단하지는 않았다.
김장언: 슬프지만 그게 한국 예술계의 한계인 것 같다. 공간을 조율하는 미묘한 텐션과
리듬감을 인지해야 되는데, 아마추어가 볼 때는
협업의 의미와 태도 ‘내가 해도 되겠네’ 하는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뭔가 특징적인 게 눈에 쉽게 띄지 않다
김정은: 이 프로젝트의 건축가로 보니 전문가들 또한 잘못 판단하는 상황 같다.
최춘웅을 초청한 이유는 무엇이었나?

김장언: 서로 처음 만난 계기는 제7회 공공예술과 공공건축의 경계


광주비엔날레(2008)였다. 당시 <제안전>의
큐레이터로 참여했는데 전체 전시에 김장언: 최춘웅의 경우 제로그라운드에서 시작하는
대한 공간 디자인을 최춘웅이 담당했다. 신축 프로젝트보다 개입하고 조율해야 하는
전시 공간 콘셉트를 상의하는 회의에서 프로젝트에 많이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최춘웅이 모형을 가지고 발표했는데, 전시의 유의 작업을 보통의 건축가들은 별로 선호하지
공간을 맡은 건축가가 자기 건축을 하는 않는다고 들었는데 어려움을 느끼지는 않았나?
게 아니라 전시 콘셉트를 파악하고 해석에
개입하려는 태도가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최춘웅: 김광수와 함께 나눴던 대화에서도
비슷한 질문을 받았다. 왜 그런 작업을
김정은: 해석에 개입을 한다는 선호하는지, 왜 그런 곳에 가면 더
Exterior view of Gumseong Drainage Facility and asteroid G, cubic modular (left) and bridge (middle)
게 어떤 의미인가? 편하다고 느끼는지 말이다. 스스로 어딘가
기대고 숨을 수 있는 장소라서, 나를 굳이 강하게 내세우지 않아도 되는
김장언: 건축가가 전시 공간 디자이너로 들어오면 큐레이터가 전시 콘셉트를 상황, 있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 안도하는 것 같다.
얘기해도 자기 건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상징적인 건축 어휘를 전시장
곳곳에 삽입하는 식이다. 그런데 예술감독이 제안한 개념을 해석해 자신의 건축에 김정은: 스스로 ‘청소하는 마음’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는데, 무언가를 더하거나 덜어내는
적용하고 건축 언어에 대입하면서 이를 조정한다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당시 적극적인 액션을 취하기보다 청소하듯 정리하는 태도를 가지게 됐다는 뜻으로 이해했다.
해외에서도 건축가가 예술감독의 콘셉트를 완벽하게 존중하면서 자신의 건축 어휘를
삽입하는 사례는 드물었다. 최춘웅의 발표에서는 전시의 개념을 파악하고 그걸 자신의 김장언: 공공 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에서 기존의 어떤 역사적 건물이나 공간에
어휘로 시도하려는 점이 크게 다가왔다. 당시 비엔날레 전시장 벽의 그리드들이 개입하는 논리를 만들어갈 때 복원에 대한 작가들의 비판적 태도가 부족하다고 느낀다.
리드미컬하게 달라지는 개념을 제안했는데, 그 그리드가 자신의 시그니처 표현이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에도 적당히 사진이 잘 나오게 설계하는 일들이 반복되는 것 같다.
아니라 작품과 전시 개념을 반영하면서 만든 리듬이었다. 한국에 이런 건축가가 건축가든 예술가든 기존에 사용되던 공적 공간의 용도를 바꾸는 시도를 할 때는 공간의
있다는 점이 반갑고 놀라웠다. 이 계획이 구현된 전시 공간을 현장에서 보자 리듬이 의미를 재규정한 뒤 이를 건축 언어나 디자인 언어로 변형시켜 결과물을 내야 한다고
읽히더라. 최춘웅에게서 작가와 협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고 할까. 생각한다. 그러려면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과정과 대화가 필요한데 이 프로세스가
‘일’처럼 추진되면서 시간적 여유와 그 과정을 거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김정은: 건축가들과의 협업이 어렵다고 느꼈던 이유는 무엇인가?
최춘웅: 비단 건축가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사회와 제도가 전혀
김장언: 개인적인 경험을 비춰볼 때 협업하기 가장 불편한 상대가 건축가다. 기다려주지 않는 상황이지 않나. 이런 환경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시도하는 사람들이 동시대 예술가들이라 생각한다. 자체가 그래픽에서만 가능하고 현실에서 구현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콘셉트
이미지에 작업을 억지로 끼워 맞추는 사례가 나타나는 원인이기도 하다.
김장언: 전부라고 할 수는 없지만 요즘 예술가조차 이런 상황에 안주하고
적응해가는 것 같다. 공공미술에 관련된 프로젝트의 심의나 자문을 맡는 경우가 김정은: 날카로운 지적이다. 업역의 확장을 활발하게 주장하고
종종 있는데, 공공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공공예술 프로젝트들이 시설물과 있는 건축계가 귀담아 들어야 할 메시지라 생각한다.
결합되거나 구체적인 구조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그런 프로젝트에 젊은 건축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이다. 최종 김장언: 중견에서 신진까지 많은 건축가들이 공공예술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현상을
심사에 오르거나 당선되는 사례도 많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나는 건축과 미술계 보면서 디자인의 좋고 나쁨을 논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에서 건축 언어가 퇴보하고
모두에게 비극이라는 생각이 든다. 건축가들이 일거리가 없어서 여기에 참여하는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리모델링이나 재생 프로젝트들이 붐을 이루는 것도 같은 의미로
것 같고, 건축가들 스스로도 프로젝트에서 어떤 비전을 보지 못하는 것 같다. 해석된다. 10년 이상 이런 유행이 지속된 이후에 보니, 어느 순간 건축가들이 스페이스
매니저가 되어 있더라. 예를 들어 시장을 리모델링하기 위해 건축가와 회의를 하는
최춘웅: 혹시 그중에 정말 하고 싶은 게 있어서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상황을 가정해보자. 공간을 바꾸기 위해 크리티컬한 건축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그에 맞춰 공간을 재구축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은 그대로 두고
김장언: 그런 경우가 많지는 않은 것 같다. 한번은 공공 프로젝트의 결과를 보고하는 대화할 공간이 필요하면 여기에는 어떤 업체의 제품이 좋고, 액티비티가 필요하다고
최종 평가 자리에 초대를 받은 적이 있다. 나름 알려진 젊은 건축가가 프로젝트를 하면 거기에 맞는 운영사를 소개하는 등 건축가가 프로그램 매니저 역할을 하고 있다.
진행했던 과정 전체를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최초에 제안했던 안과 최종안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공간이 구축되는 것도 좋지만, 건축가로서의 어휘나 아이디어가
비교하니 처음 제안했던 핵심 개념은 사라지고 무엇인지 물으면 답하지 못하더라. 대신 트렌드나
무던한 디자인만 남아있더라. 지역 주민의 상황을 가지고 자기 건축을 설명하는 식이다.
이야기를 반영하며 수차례 변형을 거쳐 완성된 수많은 리모델링 프로젝트들도 이름을 지우고
최종안을 놓고 그곳에 있던 전문가들은 보면 한 사람의 작업이라 할 만큼 비슷하다.
대체로 만족하는 것 같았다. 답답한 마음에
당선팀에 “내가 볼 때 프로젝트의 핵심 최춘웅: 리모델링의 경우는 실제로 작업하는
개념은 사라지고, 조율과 타협의 과정에서 방법론도 비슷하다. 해외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다른 결과물이 만들어진 것 같다”고 직접 심지어 국가별 특색도 사라진 듯하다.
질문했다. 이러한 타협 과정에서 건축가로서
억울한 부분은 없었는지도 물었다. 그러자 김장언: 작업이 비슷해지는 경향도 있지만,
공공미술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주민들이 근본적으로 건축가가 에디터가 된 것 같은
원치 않는 안을 고집하지 않았다는 답변이 상황이 문제라고 본다. 건축가가 공간을
돌아왔다. 그리고 이 작업이 자신에게는 편집해서 구성하는 에디터로 바뀐 것 같다.
‘일’이기 때문에 초기 개념을 포기하는 것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고 하더라. 건축가가 최춘웅: 프로그램 기획에 과도하게 치중하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춰줬다고 설명하는데 경향은 건축대학에서 설계 수업을 할
나도 할 말이 없어졌다. 건축 프로젝트에 때도 느낀다. 학생들이 열심히 분석하고
Bridge, asteroid G
비해 훨씬 가변적이고 유연한 공공예술 기획하는 데 시간을 많이 쓰면서 정작 해야
프로젝트가 도전하고 실험할 수 있는 기회가 돼야 하는데, 일로 접근하는 건축가들 할 설계는 잊고 안 한다. 크리틱할 때 보면 자기 디자인이 없는 친구들이 많다.
사이에서 미술 작가들이 도전하고 경쟁하기 어려운 구도가 형성되는 것 같다.
미술 작가들보다 건축가들이 공공미술을 더 많이 수행하는 수준이 되자, 오히려 김장언: 폐허를 너무 미학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미술 작가들만 참여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하나둘 등장하는 추세다. 건축적 작업의 비중이 줄어드는 현상인가?

김정은: 건축가들이 공공예술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현상을 최춘웅: 일종의 페티시(fetish)처럼 대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했었는데,
예술계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나? 문제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 보다 근본적인 부분을 지적한 것 같다. 작업을 하는 깊이가 얕아졌거나
작업의 기본, 즉 방향이나 목적을 상실한 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김장언: 거대한 공공미술품을 하나 세우기보다 유휴 시설물을 개선하고 활용하는
사업이 공공의 자금을 투입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그러다 김장언: 오늘날 건축은 지속가능성, 환경문제 때문에 시스템화, 모듈화되는 상황이지
보니 예술 분야에서도 사업의 대상자를 건축가로 확장하고 있는데, 근본적으로는 않나. 젊은 건축가들을 보면 작업을 설명하면서 3D 툴 속의 아이템을 갖다 놓듯 공간을
예술가와 건축가가 작업을 하는 프로세스와 일하는 방식이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구축하고 설명한다. 공간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어보면 제품을 소개한다. 마치 건축 관련
시설과 구조물에 대한 이해나 이를 표현하고 언어화하는 능력에서 건축가들이 자재와 모듈을 인지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의 취향에 따라 큐레이션 해주고 결합해주는
월등히 앞서는 형국이다. 공모 심사 때 보면 건축가들이 화려한 프리젠테이션을 상황이다.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등장했던 건물 카탈로그가 우리 시대에 맞게 진보된 것
앞세워 가시적인 그래픽을 제안하는데 나는 이것이 허구라고 생각한다. 같다. ‘에디터로서의 건축가’가 미래의 건축가 상(像)이라고 한다면 할 말은 없다. 내가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시각을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실제로 콘셉트 모더니스트적인 태도를 가진 걸 수 있지만 건축가가 그런 사람인가 하는 회의가 든다.
asteroid G how I’ve been researching and I still can’t come up with an answer. Then Kim
Sora suddenly proposed to make stones, and the project was rebooted. Kim
Kim Jeongeun: There is a growing trend in the architectural field for Sora found a stone while wandering around the site and nearby mountains
restoration or remodeling projects or even newly built projects, that are in search of a stone that could be used as a sculpture. When it was reported
built in a style that has existed for a quite long time. The public sector to the city that we wanted to make a sculpture in the shape of this stone,
has been trying to transform old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into cultural they were shocked and kept their face straight. Kim Sora, who intuitively felt
spaces over many years. The Noryangjin Sewage Walk and Magok Cultural that it was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project, said she would abandon her
Center project, recently showcased by Choon Choi, are examples of public idea and ‘sit back and see how the project progressed from then on.’ (laugh)
infrastructure transformation, and can be said to be part of this trend. If you
look at the full range of his work, we find an architect responding flexibly Choon Choi: I still keep the stone that Kim Sora picked up. (laugh)
across various collaborative networks. Here, I was wondering why it had something
I want to talk about Choon Choi’s early work to do with making stones?
asteroid G which is also in the field of public
art. It would be nice to point out what kind of Kim Jang Un: When I asked Kim Sora, she said there
ideas prompted its creation, as well as how was no real reason behind her desire to make a
the mastermind behind the project dealt with stone sculpture. Looking back, it was a time when
a artist, architect and a structural engineer. the big names in the art scene were using stones
as objects of contemplation. They talked to stones
Kim Jang Un: Asteroid G is the winning project and used them as their materials. Our team also
in the Arts Council Korea’s public art project studied while looking for examples made by Spanish
‘ARKO Urban Park Artro’ competition. The architect Antón García-Abril (co-principal, Ensamble
main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produce a Studio) with the idea of making real stones. However
result with collaborators, being centered on a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m was not easy.
artist. It may be thought that the focus would be
primarily on the artist, but there was a desire to Kim Jeoungeun: In addition to the cubic modular
complete the work collaboratively, not on the – a structure originating from stone – asteroid G
artist’s own terms. As a curator, I decided to take also featured the installation of an iron bridge.
on asteroid G with the mindset of a challenger Where did it come from?
throughout the process, from the artist’s idea to
realisation by working with relevant experts to Kim Jang Un: What our team was more sympathetic
enrich the idea and bring it to life. Led by artist to at the time was that the land was an abandoned
Kim Sora, our team submitted an interesting place. The entire site was fenced off and people
proposal to the Gumseong Drainage Facility in had to make detours. We reached a consensus to
Gongju and was selected for the competition. tear down this fence and open up the site. After
considering how to guide people approaching
Kim Jeoungeun: I heard that you went through the land, we proposed a walking path through the
six phases of revision. How did the project go? drainage field. Coincidentally, Geumgang Iron
Bridge, a bridge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Kim Jang Un: The winning proposal was to insert period, still remains in Gongju, so it is used as a
a structure resembling part of the topography Bridge, asteroid G motif. When we showed a simple structure design,
of Gongju into the drain facility in the form of a contour. However, in the modeled after the arched structure of a railroad bridge, the city expressed
process of realising this design aim, Gongju City presented conditions that disappointment, as they expected a more grandiose sculpture. Later, the city
could not embody the original design. Drainage facilities are legally classified officials sai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walkway, but they probably thought
as disaster facilities, so the maximum water storage capacity was stipulated, they could do something about it after the project! (laugh) It somehow
but the city intervened and said that the water storage capacity could not happened to be a bridge-building project, which was organised to open
be changed. In order to maintain some vestige of the original plan, we had to up this isolated, enclosed space and open up terrain for people to use.
prove that there was no risk to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even if the water
storage capacity was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inserted structure. The Choon Choi: At that time, there were dog meat restaurants and trucks
whole team panicked when they had to scrap the original plan and start from selling dogs located around the fence. I felt that it would be preferable if
scratch. Since being selected, I’ve had to come up with a new plan, no matter that aspect of the area just disappeared through this project. The bridge
itself is designed to play a structural role and is efficient. Compared with the architect seems to have presented her vision by pursuing her own
local facilities that imitate the shape of local speciality products such as vision. I think the inspiration and experience that this space opens up
Gulbi Bridge (fish shaped bridge) in Yeonggwang-gun, Jeollanam-do, is also important. We don’t judge that our approach was wrong, just
I am proud to have built a building without redundant structures. because the public is not involved in the process of making public art.

Kim Jang Un: I happened to visit it a few years after it opened and it turned
out to be a purposeful bridge. It became a shortcut across a road that The Meaning of Collaboration and Attitude
was blocked by the fence. When I visited again about two years later, I
witnessed that it had become a bridge of love, as it has become a place Kim Jeoungeun: What made you invite Choon
to hang love padlocks. This was of course unintended, but at night, it is Choi to be the project architect?
beautiful—brightly lit and quite antique.
Kim Jang Un: We first met at the 7th Gwangju
Kim Jeoungeun: How did you manage the Biennale (2008). At that time, I was the curator
bridge construction? Did it go as planned? of ‘Position Papers’ exhibition, and Choon Choi
was responsible for the spatial design of the
Kim Jang Un: Gongju City said it would build it entire exhibition. At a meeting to discuss the
on its own, so it was forced to accept this. As concept behind the exhibition space, Choon
we declined, we decided not to go any further. Choi made a presentation with a model. It was
We also asked the construction company not very impressive that the architect in charge
to introduce anything other than the design of the exhibition space did not build his own
drawings we submitted. At the last minute, the architecture, but rather grasped the exhibition
city urged us to do a community art project, so concept and intervened in its interpretation.
we invited the Part-time Suite and held a full-day
outdoor performance at the end of November. Kim Jeoungeun: What does it mean
The stage was set up on the site and a wonderful to intervene in the interpretation?
performance was held, but no one came! (laugh)
It seems that the residents had the will to Kim Jang Un: When an architect comes
complete the project without doing a thing from in as an exhibition space designer, the
the moment the stone was no longer realised. architect often goes his/her way even when
Like a structure that has stopped being turned the curator weighs in about the guiding
into stone, so too the fact that our demands exhibition concept. It is a means of inserting
were not accepted. Even if the city asked to put their own symbolic architectural vocabulary
some flower pots and make sculptures on the throughout the exhibition. However, it is very
bridge, the proposals were all refused. At the difficult to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art
end, the city asked us to paint the deck floor director, apply it to architecture, and adjust
of the bridge with orange colour, but we told the architectural language. At that time,
them to do it after the project. It was a project even overseas, it was rare for an architect
that by ‘doing nothing’ I was still proud of. to fully respect the ideas of an art director
while also applying their own architectural
Kim Jeoungeun: I think the slogan ‘I did Bridge, asteroid G vocabulary. In Choon Choi’s presentation,
nothing’ is an expression that runs through this whole project.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the exhibition and designing it out
with his own vocabulary, was outstanding. At the time, he proposed a
Kim Jang Un: Projects in other regions that were selected along with asteroid concept in which the grids on the walls of the biennale exhibition hall
G also featured community art projects, but our project eliminated this part change rhythmically, but the grid was not his signature expression—
from the beginning. This is because the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it was a rhythm he created while reflecting the concept of the work
the participating artists and experts is important. Instead of focusing and exhibition. It was nice and surprising that there is an architect like
on communicating and giving back to local residents on the grounds him in Korea. I can read the rhythm when I visit the exhibition space.
of public art, it is better to focus on reflecting the artistic achievements I figured that Choi is very well equipped to collaborate with other artists.
of the works. Dongdaemun Design Plaza, designed by Zaha Hadid, is
considered to have destroyed its regional character, but on the other hand, Kim Jeoungeun: Why did you find it difficult to collaborate with architects?
Kim Jang Un: In my personal experience, the most uncomfortable Kim Jang Un: I feel that in a project for a public space, the artist’s critical
partners to work with are architects. Architects seem to think attitude towards restoration is lacking when creating a logic of intervention
that they can do anything by themselves because they have in any existing historic building or space. Even in remodeling works, it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as well as the ability to express seems that the effort to look good in photographs is repeated. Whether it
and build. For this reason, the negotiating process with the is an architect or an artist, when trying to change the use of a public space
architect is usually difficult. I’ve met an architect who specified that has already been used,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which works fit into the exhibition space he designed. of the space, and then translate it into an architectural or design language
to produce an outcome. To do this, there needs to be a new awareness and
Kim Jeoungeun: I was expecting this, but It is still surprising that a series of dialogue, but unfortunately, this process is treated like ‘just work’
he really means it. (laugh) You seem to know architects well. (administrative task) and cannot pass through enough time and process.

Kim Jang Un: When I met Choon Choi later, I told him that he is of a Choon Choi: This doesn’t seem to be a problem that is unique to architects.
different feather, different species, and he replied that he once studied Isn’t it the case for societies and systems in waiting? I think those who
stage design. So I thought that must have made him more flexible. keep experimenting in this environment are contemporary artists.

Choon Choi: I worked hard during the Biennale, but in the end, it seemed Kim Jang Un: I can’t say it applies to all, but even artists these days seem
like I didn’t do much. The Gwangju to be complacent and adapting to this
Biennale Foundation saw my work and situation. I am often responsible for
said it was possible to design an exhibition deliberation or consultation of public
space without an architect. (laugh) art-related projects,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public art projects
Kim Jang Un: It’s sad, but I think it reveals in the public domain are combined
a limitation in the Korean art world. It with facilities or require specific
is such an amateur’s way of thinking to structures. It is interesting that young
claim, ‘I could do it by himself’ without architects are actively involved in such
noticing the subtle tensions and rhythms projects. Many of them succeed to
that orchestrate overall spaces. Experts the final round and even win the prize.
also seem to have misjudged, because However, I feel that this situation is
uniqueness is not easily noticeable. a tragedy for both the architecture
world and the art world. It seems that
the architects are participating in this
The Boundary Between Public project because they have no work,
Art and Public Architecture and architects themselves do not
Rendering image of initial proposal, asteroid G
seem to find any vision in the project.
Kim Jang Un: I understand that you have participated in
projects that require intervention and coordination more than Choon Choi: Wouldn’t there be one team or more who
in new construction projects starting from scratch. I heard that really wants to get involved in the competition?
architects don’t like this kind of work. Did you find it difficult?
Kim Jang Un: There don’t seem to be many examples. I was once invited
Choon Choi: A similar question was raised in a conversation with to participate in the final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a public project.
Kim Kwangsoo (principal, studio_K_works). Why do you prefer I had a chance to look at the entire process of the project by a well-
that kind of work and why do you feel more comfortable with known young architect, and when I compared the initial proposal with
it? It’s a place I can rely on and hide myself, so I feel relieved the final plan, the core concept proposed at the beginning disappeared
in situations where I don’t have to put myself out there. and only the plain design remained. The experts there seemed to be
generally happy with the final draft, which went through several revisions
Kim Jeoungeun: You also described yourself as a ‘cleaner to reflect the stories of local residents. Somewhat discouraged, I told
mind’, and I understood this to mean that you have an attitude the winning team directly, ‘In my opinion, the core concept of this
of organising things as if you were cleaning rather than taking project has disappeared, and it seems that the process of coordination
active actions such as adding or removing something. and agreement has produced digressive results.’ I also asked if there
was any inconvenience to the architects in this compromised process.
Then, the answer came back saying that since it was a public art project, manager, such as introducing the right vendor to such questions as
they did not insist on any ideas deemed undesirable by the locals. And ‘which company’s product sells good quality products’, and ‘which
they said it wasn’t a big deal to abandon the original concept because kind of activities are in need for the project?’ Building spaces through
it was considered a part of their ‘work’. The architect explained that he programming is great, but when I ask architects what their vocabulary
met the client’s needs, but I had nothing to say. Public art projects are or ideas are, they can’t answer. Rather, it is a way of explaining one’s
much more varied and flexible than architectural projects, and should own architecture in terms of trends or circumstances. Many renovation
be an opportunity for challenge and experimentation, but artists find it projects are similar, and it seems all works are done by a single designer.
difficult to challenge and compete against architects who are treating
work as one of their service portfolios. As architects do more public art Choon Choi: Among remodeling projects, the actual methodology
than artists these days, artist-only public art projects are on the rise. is similar, and the same thing goes in the situation abroad.
Even national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faded.
Kim Jeoungeun: How does the art world perceive the phenomenon
of architects actively participating in public art projects? Kim Jang Un: It is true that there is a tendency for works to
become similar, but the situation in which the architect becomes
Kim Jang Un: It seems to be positive because it is easier to invest public the editor is a foundational problem. Architects seem to have
funds in a project to improve and make use of an abandoned facility transformed into editors, the editors who select spaces.
than to build a giant work of public art.
Therefore, the targeted participants Choon Choi: The tendency for space
of the project are also expanding to to focus excessively on programme
architects in the field of art, but the planning is felt even when taking design
process and way of artists and architects classes at architecture colleges. While
are essentially different. Architects are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analysing
therefore leaps and bounds ahead in and planning, they forget about the
their understanding of facilities and design they need to do. In the critique
structures and their ability to articulate session, there are many students
and formaliwe them. At the competition who do not have their own design.
screening, the architect suggested a
visible graphic for the colour demo, but Kim Jang Un: Is it because the
I thought that was fictional. Isn’t this an abandoned places are viewed too
illustration of a perspective that cannot aesthetically, resulting in a decrease in
be experienced in reality? In fact, in many the involvement of architectural works?
cases the concept itself is only possible
in graphics and cannot be realised Choon Choi: I thought that there
Rendering image of initial proposal, asteroid G
in reality. This is also the reason for were many cases where people
forcing the work into the concept image. treated it like a sort of fetish, but I think it pointed out the more
fundamental part. I think it explains that the depth of the work
Kim Jeoungeun: That’s a fair point. I think it is a message becomes shallow or results in the loss of direction and purpose.
to which the architectural world, which is expanding
its professional boundaries, needs to listen. Kim Jang Un: Isn’t architecture today systematised and modularised
because of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concerns? When I see
Kim Jang Un: Watching many architects, from mid-career to newcomers, young architects, when they explain their work, they construct and
engage in public art projects, I feel like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is interpret spaces as if they were placing objects in 3D tools. And when
degrading on a level separate from the discussion of good or bad design. the question was addressed to spaces specifically, somehow they are
The boom in remodeling or rebuilding projects is explained in the same selling products. Where construction materials and modules are readily
sense. After more than 10 years of this trend, I see architects becoming identified, the work entails curation and combination in accordance
spatial managers at some point. For example, let’s suppose you’re with the client’s preferences. Architectural catalogs that emerged in
meeting with an architect to remodel a market. Instead of coming up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eem to have evolved into
with key architectural ideas to change the space and reconstructing and our times. There is nothing more to add about whether the ‘architect
programming the space accordingly, and when you need a space while as editor’ is the ideal future state for architects. I may have a modernist
leaving the building as it is, the architect plays the role of programme outlook, but I doubt whether it really fits with the role of the architect.
REPORT

보화각은 간송미술관 경내에 자리한 건축물로 건축가 박길룡이 설계하여 1. 작품으로 간주한 최초의 출판물이기 때문이다.
1938년 완공했다고 알려져 있다. 김현섭(고려대학교 교수)은 이번 리포트를 보화각의 건축가가 박길룡이 아니라면? 하지만 이 특집을 꼼꼼히 살펴보면 보화각과
통해 이 보화각의 설계자가 박길룡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문을 제기한다. 최근 필자에게 든 생각이다. 한국 건축계와 관련해 두 가지 의문이 생기며, 각각은 또 다른
소유주인 간송미술관이 다 그렇게 인정하고 의문점을 자아낸다. 첫째, 특집의 총론 격인
Bohwagak, located within the precinct of Kansong Art Museum, is known to have 있는 마당에, 어디 감히 이런 발칙한 의문을 윤일주의 글이든, 박길룡과의 기억을 회고한
been designed by Park Kilyong and was completed in 1938. In this report, Hyon- 품다니…. 게다가 2019년 보화각(1938)이 10인의 추상록(追想錄)이든, 어디에도 보화각은
Sob Kim (professor, Korea University) raises intriguing questions over the origins 국가등록문화재(768호)로 등록된 데는 한국 언급되지 않았다. 박길룡이 세상을 떠나자 곧바로
of this site and suggests that Park Kilyong may not be the architect of Bohwagak. 1세대 건축가의 대표자인 박길룡(1898~1943)이 추도기를 냈던 (그리고 「SPACE」 6호에 적극
설계자라는 점도 핵심적 요인으로 작용하지 참조됐던) 「조선과 건축(朝鮮と建築)」(1943년
않았나. 당시 문화재 등록을 심의한 5월호)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왜일까? 둘째,
문화재위원회 회의록(2019.12.17.)을 이 특집에 글과는 거의 무관하게 삽입된 열 장의
보라.▼1 2022년 4~6월에 개최된 전시 박길룡 건물 사진 중 ‘북단장(北壇莊)’이라는
<보화수보(寶華修補): 간송의 보물 다시 이름이 붙은 것이 둘인데, 하나가 보화각이다.
만나다>도 대중에게 이를 각인하는 계기였다. 나머지 하나는 간송 전형필(1906~1962)이
사실 필자도 박길룡 작품으로서의 보화각을 1930년대 전반 인근의 터와 함께 구입했던 2층
주시해왔고, 근래에는 박길룡의 기능주의적 양관이다. 매도자인 프랑스인 폴 플레장의
개념에 견준 보화각의 전환기적 성격을 주제로 주택이었다고 전한다. 그렇다면 이는 보화각으로
▼2
논고를 준비하던 차였다. 그런데 기본 오인되어 잘못 삽입된 것일까, 아니면 여기에도
사실 관계를 검토하는 가운데 의문이랄까, 박길룡의 손길이 묻어 있는 것일까?
상상이랄까, 뭐 이런 생각이 든 것이다.
주지하듯 간송은 문화재 수집을 본격화하며
발단은 「SPACE(공간)」 6호(1967년 4월호)에 1934년 즈음 지금의 성북동 간송미술관 일대의
게재된 특집 ‘건축가 박길룡: 24주기를 터를 매입했고, 위창 오세창(1864~1953)이 옛
맞이하여’에 대한 재고찰이었다. 이는 선잠단 부근이라 하여 ‘북단장’이라 명명했다.▼4
「SPACE」가 2021~2022년 24회 연재한 꼭지 북단장은 건물을 포함한 터 전체의 영역을
글 ‘리-비지트 「SPACE」’의 18회차(2022년 6월호) 지칭한다고 하겠으니, 보화각은 북단장
김현섭
주제였으니, 1960년대의 박길룡 인식에 대한 경내에 지어진 건물이다. 한편, 혼동을 피하기
고려대학교 교수
진행 필자의 현재 논평을 위해서는 해당 ‘리-비지트’ 위해 옛 플레장 주택을 여기서는 편의상
김정은 편집장 ▼3
기사를 참고하시라. 건축가 박길룡을 ‘플레장 양관’이라 부르자. 이에 대해서는
written by 연구하기 위한 해방 후의 원천 자료로서 이 이흥우(1996)의 문장을 인용할 만하다.
4*)DZ* $( 특집 기사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는데, “[플레장이 지은] 빨간 지붕의 그 양옥은 건평
professor, Korea University
보화각과 관련해서는 더욱 그렇다. 필자가 아는 70평 정도로 거듭 수리를 해 지금도 남아 있으며
edited by
$( *0)" 0) 한, 「SPACE」 6호야말로 보화각을 박길룡의 1966년에 설립된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초기의

보화각의 건축가가 박길룡이 아니라면? 「SPACE」라는 물증, 혹은 미스터리


 
 
 
  Ǣ–SPACE 

ǑǑǘ
사무실이었고 지금은 도서실로 사용된다.” ▼5 생각하면 뜻밖의 일이라 하지 아닐 수 없다.▼6 송석기는 같은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한국 3.
한국 근대건축사 분야를 선구적으로 개척한 근대건축에서 나타난 모더니즘 건축으로의 아무튼 우리 건축계가 북단장의 보화각을
2. 건축사학자 윤일주에게 보화각이 박길룡의 양식 변화」(1999)에서 보화각에 대한 현재적 간송미술관으로, 그리고 박길룡이 설계한
「SPACE」 6호 박길룡 특집에서 보화각과 관련해 작품이라는 확신이 서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이해를 상당 부분 보여주기 시작한다. 건물로 명시한 것은 1993년 송율의 글이
필자 스스로 제기한 의문은 이해하려고만 선친의 입장을 이어받아서인지 윤인석이 보화각을 간송 전형필의 소장품 전시를 처음이었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한다면야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는 문제이긴 「건축사」에 기고한 글 ‘한국의 건축가: 박길룡 위한 문화시설로 보고 “한국인 건축가가 또 다른 흥미로운 사실을 간파해야 한다.
하다. 첫째, 추상록을 쓴 필진들이 (두 아들만 (1)~(2)’(1996.7.~8.)에도 보화각은 거론되지 설계한 모더니즘 건축의 가장 대표적인 보화각이 박길룡의 작품임을 간송 측이 먼저
빼면 대부분 박길룡건축사무소를 거쳐 간 않았다. 더욱이 김정동이 1980년대 말 같은 건축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206쪽). (단, 확인해준 것이 아니라, 건축계의 인식을 따라
인물이긴 하지만) 굳이 보화각을 언급할 이유는 회보에 15회 연재했던 ‘한국 근대건축의 보화각에 여전히 잔존한 전근대적 요소에까지 간송 측도 보화각의 건축가를 박길룡으로
없다. 게다가 보화각이 일제의 문화침탈에 재조명’(1987.5.~1989.2.) 또한 마찬가지였다. 눈길이 미치기에는 시기상조였다. 일례로 생각하게 됐다는 사실 말이다.▼10 간송 측의
맞섰던 간송의 야심찬 프로젝트였음을 그는 이 시리즈에서 한옥에 둥지를 튼 출입구 계단의 돌 세공을 보라.▼7 ) 문헌을 시간순으로 살펴보면 명확한데, 앞에
생각하면 이 건축공사는 일부러 조용히 미국공사관(1883)에서부터 박길룡의 근대적 언급한 1991년 최완수의 ‘간송선생 평전’이
진행됐을 수도 있는 일이다. 건축가를 이문당(1943)에 이르기까지 109건에 이르는 보화각에 대한 송석기의 새로운 이해에 발판을 일단은 중요하다. 앞으로 반복될 간송의
익명으로 했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회자되는 건물을 연대순으로 다루었다. 누구보다도 마련해준 것은 1993년 4월 「건축가」에 실린 일대기뿐만 아니라 보화각 건축의 서사가 대개
것을 자제하면서 말이다. 당시는 중일전쟁 자료 수집에 열심이었던 김정동에게도 송율의 글 ‘미발표 한국 근대건축물’이었다. 이 이 글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프랑스인
중인 일제가 「국가총동원법」으로 전시통제를 보화각은 아직 미결의 상황이었나 보다. 글에서 송율이 「SPACE」 6호에 북단장으로 나온 불래샹(플레장) 등으로부터 땅을 구입해
강화하던 때였다. 둘째는 더 간단한 문제다. 두 건물이 서로 다른 것임을 인지하는 가운데, 1934년 북단장을 개설한 배경,▼11 1938년
앞서 시사했듯 플레장 양관 사진은 편집자의 그렇다면 「SPACE」 6호 이후, 보화각은 어떻게 보화각이 간송미술관으로 사용되는 건물임을 윤7월 5일(양력 8월 29일)의 보화각 상량식을
실수로 들어갔다고 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박길룡의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됐을까? 역시 명확히 했기 때문이다. 이전의 건축 연구자들과 축하하는 위창 오세창의 정초명(定楚銘)에
시작은 박길룡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 연구인 달리 간송미술관 측의 문헌을 살폈기에 가능한 대한 해설, 계단에 사용하기 위해 이탈리아에서
하지만 의문을 너무 쉽게 억누르지는 말아보자. 최순애의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길룡의 일이었다. 「간송문화」 41호(1991.10.)에 실린 대리석을 수입하면서까지 보화각 건축에
보화각 정도의 프로젝트를 박길룡이 맡았다면 생애와 건축에 관한 연구」(1981)였다. 여기서 최완수의 ‘간송선생 평전’이 바로 그것이다. 만전을 기한 이야기 등이 골자인데, 이때까지는
우리 건축인들이 전혀 몰랐을 리 만무하다. 최순애는 보화각을 북단장으로 지칭하며 하지만 송율은 북단장을 (즉, 플레장 양관을) 아직 건축가에 대한 언급이 없다.▼12 이후
만약 알았다면 해방 후의 회고에서는 한 논문 마지막에 짤막하게만 다루는데, 이를 박길룡이 설계했으나 현존하지 않는 것으로 여기에 살이 붙는 과정에서 건축가 이야기가
번쯤 자유롭게 거론됐을 법하지 않은가? 더 주택 범주에 넣은 것으로 보아 플레장 양관과 간주한다. 앞서 인용했던 이흥우(1996)의 삽입되는 형국인 것이다. 최완수의 글을
▼8
진한 의구심은 윤일주에게서 온다. 특집의 혼동한 듯하다. 「SPACE」가 선보인 모호함의 말과 배치되는 지점이다. 그러나 송율의 확장한 1996년의 이흥우가 그렇다. “이
총론을 쓸 당시는 박길룡에 대해 많이 알지 연장이다. 송석기의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글에서 더 눈여겨볼 점은 「SPACE」 6호의 사진 건물은 한국인 건축가 박길룡(朴吉龍,
못한다고 고백한 그였지만, 해당 특집에 「박길룡의 건축작품 특성에 관한 연구」(1992)도 한 장만이 보화각 건축가를 박길룡으로 보는 1898~1943)의 설계로 조선인 건축가가 가장
보화각 사진이 삽입된 이상 그가 이를 보화각을 북단장이라는 이름의 주택으로 다룬 근거였다는 사실이다. “보화각의 설계자에 초기에 설계한 양관 중의 하나라고도 한다.
주목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1978년 점이 최순애와 유사하다. 다만 최순애에게 대한 기록은 없지만 공간 67년 4월호 박길룡 … 1930년대에 지어졌던 화신백화점도 그의
출판한 『한국현대미술사(건축)』의 박길룡 없었던 건축 연대를 1940년으로 (잘못) 넣은 특집의 화보 중 북단장이라는 사진 제목으로 설계였다.” ▼13 송율의 ‘발굴’로 인해 가능했던
작품 목록에 보화각은 빠져 있다. 이 책 것이 새롭고, 보화각의 입면 처리에 비판적 끼어 있는 보화각의 사진은 이 건물이 서술일 것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최고의
▼9
집필을 위한 자료 수집에 그가 공을 들인 것을 견해를 나타낸 점이 다르다(51~52쪽). 하지만 박길룡의 작품인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건축가가 설계한 건물로서의 보화각은 이제

©archistory KU, Research Unit of Architectural History, Korea University

2022년 4~6월 간송미술관 <보화수보(寶華修補)>


전시 당시의 보화각
*#2"&//# /$( *!ǧ*#2.0*Ǩ 3#$$/$*)Ǜ
Kansong Art Museum, April to June 2022

ǑǑǙ
REPORT

간송 측에서도 빠트릴 수 없는 스토리가 말이다. 이구열이 사회를 보고, 김원룡, 현대건축사의 출발점이 흔들림 없을 것이며, 1. 문화재위원회, ‘제12차 근대문화재분과위원회
▼14 회의록: 4. ‘서울 보화각’ 문화재 등록’, 『문화재위원회
됐다. 간송 유족의 연구문헌에서든, 진홍섭, 최순우 등 여러 쟁쟁한 인사들이 앞으로 더 튼튼하고 풍성한 서사가 가능해질
회의록 [공개용]』 , 문화재청, 2019, 10929~10975쪽.
간송미술관 웹사이트의 소개문에서든, 참여한 간송 서거 11주기 좌담회에서 것이기 때문이다. 가장 최선의 시나리오는 이 회의록은 문화재청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건축가 박길룡은 간송의 유산을 더욱 보화각에 관해 논하던 대목이었다.▼16 「SPACE」 6호에 오류가 없는 것, 즉 박길룡이 문화재청과 간송미술관은 문화재 등록 한 해
전(2018.12.7.)에 이미 ‘간송과 보화각’이라는 제목의
빛나게 해주는 존재임에 틀림없다. 전성우가 맞다면 박길룡은 플레장 양관에 북단장 내 두 건물 모두를 각각 개축과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때 ‘건축’에
관여했고 보화각은 하지 않았다. 아니면 신축으로 담당한 경우일 것이다. 그러나 대해서는, 즉 건축가 ‘박길룡의 작품’으로서의 보화각에
대해서는 안창모가 발표했고, 송석기가 토론으로
하지만 간송 측이 먼저 제시한 (혹은 최소한 보화각에 대해서는 전성우가 아는 만약 오류가 있다면 교정이 필요하리라.
참여했다. 한편으로 분명히 할 점은, 만에 하나
제시할 수 있는) 보화각의 설계자에 관한 바는 없다. 물론 그가 두 건물에 대해 거꾸로 필자의 이 글도 자료의 한계와 소통의 제약 보화각이 박길룡 작품이 아니더라도 국가등록문화재가
1차 자료가 부재한 것은 아쉽다. 보화각의 오해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말이다. 그런데 등으로 인한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2. 필자는 몇몇 발표와 출판물에 박길룡의 작품으로서의
폐쇄등기부증명서(1979.2.26.)에 기록된 정말 전성우 말이 맞다면, 「SPACE」 6호의 한다. 이미 자명하듯 이 글은 의문을 해결한
보화각을 논한 바 있으며, 그 논의를 확장하기
‘1938년 도면편철장 제3책 83장’이 어딘가에 편집자가 플레장 양관 사진을 넣는 와중에 결과물이기보다 오히려 그 해결을 향한 과정 위해 2018년 10월에는 간송미술관의 양해로
현존할까? 문화재 등록을 심의하던 보화각 사진까지 잘못 넣었다고 생각할 중의 추정과 가설의 조합이라 하겠는데, 보화각을 둘러보기도 했다. 필자의 개인적 방문을
▼17 허락한 간송미술관과 당시 실측도면을 제공하고
과정에서도 이 자료 확인의 필요성이 언급된 수도 있는 셈이다. 무엇이 사실일까? 실마리를 가진 독자 제현이 있다면 조언을
안내해주신 정병삼・백인산 선생께 감사드린다.
듯한데,▼15 궁금한 노릇이다. 일제강점과 구한다. 꼬리에 꼬리를 문 의문점도 작은 3. 본고는 졸고, ‘1967년 4월호, 건축가 박길룡 특집:
한국전쟁의 굴곡을 겪은 우리에게 이 같은 4. 실마리 하나에 일소되곤 하니 말이다. 혹시 한국 1세대 건축가 연구의 출발점’, 「SPACE」
655호(2022년 6월호), 112~119쪽에 있는 이
자료의 추적은 너무도 힘든 일이 돼버렸다. 지금까지 본고는 보화각의 건축가와 관련된 기회가 된다면 관련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리-비지트 「SPACE」’ 글의 연장이기도 하다.
물론 1차 자료의 행방이 묘연함은 비교적 의문점을 건축계의 문헌과 간송 측의 문헌을 논의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이 글이 4. 최완수, ‘간송선생 평전’, 「간송문화」 41호
(1991.10.), 61~122쪽(85쪽).
근래의 건축계도 다르지 않다. 박길룡의 살피며 짚어보았다. 요약하자면, 보화각의 언급한 모든 연구자들께 경의를 표한다.
5. 이흥우, ‘간송 평전’, 『간송 전형필』, 보성중고등학교,
장남인 소설가 박용구(1923~1999)가 건축가가 박길룡이라는 근거는 현재로서는 1996, 137~272쪽(188쪽). 주8 참조.
보관하던 그의 자료가 (「SPACE」 6호의 1967년 4월 「SPACE」 6호 기사의 모호한 6. 윤일주, 『한국현대미술사(건축)』,
국립현대미술관, 1978, 7~8, 52~53쪽.
특집 및 최순애의 석사논문이 이 자료 사진 한 장뿐인 것으로 보인다. 이 물증, 혹은
7. 2018년 12월의 심포지엄에서 안창모도 보화각의
덕을 보았는데) 어딘가에 존재하고 미스터리에 바탕을 둔 1993년 송율의 글 전근대적 요소를 몇 가지 언급한 바 있다.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다면 보화각과 이후 보화각의 건축가가 박길룡으로 굳어진 8. 필자가 직접 방문해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플레장
양관이 아직까지 존재한다고 할 때, 간송미술관과
관련된 의문이 해결될지도 모른다. 것이다. 그러나 1973년 전성우의 발언 등
관련해 검색되는 성북동 74번지의 건물이 아닐까
몇몇 정황은 또 다른 가능성을 궁리하게 짐작된다. 건축물대장상 이 건물은 1934년 ‘신축’으로

그렇다면 송율 이전, 간송 측의 문헌 만든다. 사진 한 장이라는 연약한 근거는 등기됐고(1934.8.20.), 멸실 기록은 없다. 토지대장에
기록된 토지 구입일은 건물이 등기되기 약 두 달
중에는 북단장 내 건물의 건축가와 관련된 한번 의심해볼 만도 하지 않은가.▼18 반 전(1934.6.2.)이다. 이흥우의 말과 함께 종합해
언급이 아예 없는 것일까? 필자는 한 가지 추정한다면 이전까지 미등기 상태였던 플레장 양관은
1934년 개축(개보수)을 계기로 건축물대장에 오르게
유의미한 언급을 찾을 수 있었다. “현재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여전히 보화각의
됐고, 이때 부득이 신축으로 적었을 수 있다. 「SPACE」
한국민족미술연구소 건물은 불란서 부부가 건축가가 박길룡이었기를 바라고, 이에 6호에 이 건물이 잘못 들어가지 않았다면, 바로 이
살던 곳으로 화신을 설계한 분이 하셨다고 대한 더 확실한 근거가 건축계에서든 간송 개축 프로젝트에 박길룡이 관여했던 것은 아닐까?
9. 송율, ‘미발표 한국 근대건축물’, 「건축가」
합니다.” 보성고등학교 교장으로 간송의 측에서든 나오기를 기대한다. 그래야만이
(1993.4.), 14~18쪽(15쪽).
뜻을 이어가던 아들 전성우가 1973년 했던 지금까지 어렵사리 구축해온 우리

Ǒǒǐ
10. 이 글에서 ‘간송 측’이라 함은 일차적으로는 간송의 유족과
간송미술관(한국민족미술연구소) 관계자를 지칭하지만,
더 넓게는 간송 컬렉션과 관련된 미술계 및 1940년 간송이
인수해 경영한 보성(중고등)학교 관계자까지도 포함한다.
11. 최완수는 19세기 말 서울에 온 플레장이 석유 매매로
돈을 벌어 땅을 사고 프랑스식 집을 지었는데,
간송이 주변 땅과 함께 이를 구입했다고 서술한다.
토지대장에 ポ—ル プレサン, ポル ブレ—サン 등으로
기록된 이 인물은 1939년 8월 가짜 화장품을 제조해
판매하다 발각된 부래상상회(富來祥商會) 사건의
당사자와 동일인으로 보인다. 옛 신문에는 부래상,
푸레상, 프레산 등으로 표기됐다. ‘폴・안토니・푸레상’
등으로 전체 이름이 나오기도 하는데, 원어명은
‘Paul Antoine Plaisant’으로 추정된다.
12. 최완수는 1991년의 글을 약간 보정한 1998년의
글에서도 건축가를 언급하지 않는데, 공사 중인
보화각 사진의 촬영연도 불일치 등 몇몇 차이점도
주목된다. 최완수, ‘간송이 보화각을 설립하던
이야기’, 「간송문화」 55호(1998.10.).
13. 이흥우, 앞의 글, 216쪽.
14. 전인지, ‘보화각’, 『한국 박물관 100년사』, 국립중앙박물관,
2009, 205~209쪽; ‘테마 박물관으로서 간송미술관의
미래’, 『박물관학보』 28(2015.6.), 243~259쪽.
15. 문화재위원회, 앞의 책, 10972쪽.
16. 이구열 외, ‘좌담: 간송의 생애와 예술 서거 11주기를
맞으며’, 「보성」 74(1974). 다음에 재수록됨. 『간송
전형필』, 보성중고등학교, 1996, 371~390쪽.
17. 이 경우라면 박길룡은 플레장 양관의 신축이 아닌
개축(개보수)에 관여했을 것이다. 주8 참조.
18. 그런데 이런 의심의 문제를 훌쩍 뛰어넘어 보화각 건축에
관한 아주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이충렬의 전기 『간송 전형필』(김영사, 2010)이
그것이다. 작가는 이 책에서 건물 완공을 상량식 한 달
후로 서술한다. 그리고 건축 공정별 소요 기간을 따져
보화각의 전체 공사 기간을 3~4년으로 보았고, 1935년
화신백화점(1935~37) 설계 이전에 보화각이 설계된
것으로 단언한다(161쪽). 공사 기간을 역산해 설계
시점을 잡은 것이다(필자와 이충렬의 카카오톡 메시지
교환, 2022.5.11.~5.13.). 매우 합리적인 추론이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가 눈에 띈다. 우선은 건물 완공
시점인데, 상량식 한 달 후면 시간이 너무 빠듯해 보인다.
보화각이 건축물대장에 등기된 시점(1938.11.20.)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더 중요한 문제는 설계 시점에
관한 것이다. 보화각이 (박길룡 설계라는 전제하에)
화신백화점에 앞선다는 서술 말이다. 여기에 내포된
모더니즘에서 역사주의로의 회귀는 또 다른 해석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화각의 옛 토지대장에서
이 땅을 구입한 때가 필자에게는 소화 12년(1937년)
1월 9일로 읽히니, 설계 시점 자체를 정확히 잡았는지가
의문인 것이다. 현재까지의 자료와 논리를 종합한다면
보화각 설계는 아무리 빨라도 토지 구입 시점 직후인
1937년 초로 보는 게 더 자연스럽다. 이 책은 저자가
간송 측의 많은 자료를 고증하고 관련 인물들을 취재해
집필한 것으로 상당한 신빙성이 있지만, ‘전기문학’으로서
여전히 “자료와 상상, 사실과 허구를 넘나들” 수밖에 없다.
유족을 대표해 전성우가 “줄거리 구성에 허구(상상)가
있음을 밝히는 조건으로 출판에 동의”했다고 작가
자신이 서문에 밝혔다. 한편, 서울대학교박물관이 근래
개최한 전시회(2021.9.~2022.2.)와 그 결과물로서의 책
『우리가 그려온 미래: 한국 현대건축 100년』(도서출판
집, 2022)은 보화각의 설계 의뢰를 1932년으로 추정하며,
공사 기간을 1936년부터 1938년 9월로 잡았다.
이충렬의 책을 참조했다고 한다(필자와 전봉희의
이메일 교환, 2022.5.4.~6.). 사실 최완수(1991) 이전
한동안은 보화각의 건축 연대를 1936년으로 보기도
했다. 1971년 10월 「간송문화」 1호의 ‘연보’를 보라.

「SPACE」 6호(1967년 4월호)의 특집 ‘건축가 박길룡: 24주기를 맞이하여’에 삽입된 보화각(위) 및 플레장 양관(왼쪽 아래) 사진
#*/*.*!*#2"&ǹ/*+Ǻ)'$.)/)""2)ǹ*//*(' !/Ǻ$)/# .+ $'! /0- ǧ-#$/ /-& $'4*)"ǜ*(( (*-/$)"/# ƨƪ/#))$1 -.-4*! $. /#ǨǛSPACE No. 6 (Apr. 1967)

ǑǒǑ
REPORT

1. in SPACE No. 6 (Apr. 1967). This was the #0) 40)"+$'ǹƧƯƦƬDzƧƯƬƨǺ+0-#.  /*.*(  3/ )/Ǜ$!4*0/-4/*0) -./)
What if Park Kilyong was not the architect of .0% /*!/# ! /0- ǧDZ

SPACEƧƮǨ along with a nearby site in the early 1930s. them. First, there is no obligation for the
Bohwagak? This question recently occurred ǹ 0) ƨƦƨƨǺǛ$)ƨƪ+$  . -$ .+0'$.#  The building is said to be a Frenchman Paul writers of the memoirs to mention Bohwagak
to me. How dare I ask such an outrageous in the 2021 – 2022 issues of SPACE (please '$.)/Ǩ.#*0. ǚ
)/#$.. Ǜ$/2.($./& )'4 ǹ'/#*0"#(*./*!/# (Ǜ 3 +/!*--&Ǩ.
question when the Korean architectural - ! -/*/# ǧDZ

Ǩ-/$' !*-(40-- )/ inserted as Bohwagak, or was it another two sons, worked for the Park Kilyong
community and Kansong Art Museum, the comments on the perception of Park Kilyong building also touched by Park Kilyong? Architectural Office). In addition, considering
owners of the building, all acknowledge this in the 1960s). ▼3
The importance of this special that Bohwagak was an ambitious project by
as fact? Moreover, the main reason for listing feature as source material to research Park As is well known, Kansong purchased Kansong which stood up to Japanese cultural
*#2"&ǹƧƯƩƮǺ. "$./ - 0'/0-' $'4*)"Ǩ.$)!'0 ) *)/# + -$*!*''*2$)" the site around the present Kansong Art invasion, this project may have been carried
Heritage (No. 768) in 2019 because it was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is beyond 0. 0($) *)"0&DZ*)"$-ƧƯƩƪ out quietly on purpose—without revealing
 .$") 4-& $'4*)"ǹƧƮƯƮDzƧƯƪƩǺǛ the scope of this discussion, especially in when he began collecting cultural assets in /# -#$/ /Ǩ.)( ǚ//#//$( Ǜ/#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first-generation relation to Bohwagak. This is because, as far -) ./Ǜ)$#)"# #)"ǹƧƮƬƪDz +) . (+$- //# $)*DZ +) . -
of Korean architects. One might like to .
&)*2Ǜ/# .$3/#$..0 *!SPACE is the first ƧƯƫƩǺ)( $/ǧ0&)%)"Ǩ 0. $/2. was strengthening wartime control through
- ! -/*/# ($)0/ .*!/# 0'/0-' -$/"  publication that acknowledged Bohwagak as located close to the former Seonjamdan. ▼4
the National Mobilization Act. The second
*(($// ( /$)"ǹ ǚƧƭǛƨƦƧƯǺ▼1, which his work. However, a closer look at this special It can be said that Bukdanjang refers to the answer could be even simpler; as hinted at
reviewed its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at feature raises two questions about Bohwagak, entire site area including the buildings—so earlier, it is enough to say that the editor of the
/# /$( ǚǧ*#2.0*ǜ#  ./*-/$*)) each of which raise their own subsequent Bohwagak is a building erected within the magazine used Plaisant Yanggwan by mistake.
*). -1/$*)*!/#  ).*)"*'' /$*)ǨǛ) questions. First, Bohwagak was not mentioned Bukdanjang precincts. On the other hand, to
3#$$/$*)# '!-*(+-$'/* 0) $)ƨƦƨƨǛ $)) $/# -**)
'%**Ǩ.2-$/$)"Ǜ2#$#$./#  avoid confusion, hereafter we will refer to 0/' /Ǩ.)*/.0++- ../# ,0 ./$*)/** .$'4ǚ
!
also improved public recognition of Park general introduction to the special feature, /# !*-( -0''$.)/Ǩ.#*0. .ǧ'$.)/ Park Kilyong had taken on a project of the size
Kilyong as the designer. In recent months, nor in the memoirs given by ten figures who )""2)ǨdzYanggwan( ).ǧ2 ./ -)DZ./4'  of Bohwagak, it is inconceivable that Korean
I have been keeping an eye on Bohwagak as recalled their memories of him. It was the 0$'$)"Ǩǚ
)/#$.- "-Ǜ$/$.2*-/#$/$)"/#  architects of the time knew nothing of it. If they
-&Ǩ.2*-&Ǜ)
#1 '*)" )+- +-$)") same in Chosun and Architectureǹ4ƧƯƪƩǺǛ  .-$+/$*)( 4  0)"2**$)ƧƯƯƬǜ #&)*2)*!$/Ǜ2*0')Ǩ/$/#1  )!- '4
-/$' *)*#2"&Ǩ./-).$/$*)'#-/ - the Japanese magazine published in Korea ǧ# 2 ./ -)DZ./4' 0$'$)"ǻ0$'/4'$.)/Ǽ mentioned at least once in these memoirs?
in comparison to his functionalist concepts. ▼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re with a red roof, which has a floor area of about  + -- . -1/$*). ( -" /**!-*(**)
However, it was one question or imaginative an obituary was issued immediately after his 70 pyeongǻƨƩƦ( ǼǛ./$''- ($).!/ -. 1 -'
2
Iljoo. He confessed that he did not know much
line that particularly struck me when I was death and was actively referenced in SPACE phases of repair. It was once used as an office about Park Kilyong when he wrote the general
checking some basic facts about the building… No. 6. Why was this? Second, of the ten photos $)/#  )/ -!*-/# /04*! *- )-/. introduction to the special feature, but he
of his buildings (included almost unrelated !*0) $)ƧƯƬƬǛ)$/$.)*2'$--4ǚǨ ▼5
must have paid attention to the project since
It was triggered by a reconsideration of the /*/# *(( )/-4$)/# / 3/.$)/#$..+ $' the photograph of Bohwagak was inserted
architect Park Kilyong in the special feature ! /0- ǺǛ/2*2 - /$/' ǧ0&)%)"ǨǛ) 2. into the special feature. However, Bohwagak
ǧ-#$/ /-& $'4*)"ǜ*(( (*-/$)" one of them is Bohwagak. The other is a two- The questions I raised in relation to Bohwagak 2.)*/$)/# '$./*!-& $'4*)"Ǩ.2*-&.$)
/# ƨƪ/#))$1 -.-4*! $. /#Ǩ+0'$.#  story western-style building that Kansong published in SPACE No. 6 could be answered,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t (Architecture)

Ǒǒǒ
+0'$.# 4**)$)ƧƯƭƮǚ*).$ -$)"/#  briefly addressed it at the end of her thesis, -#$/ /0- $) *- Ǩ+0'$.# $)Architect Museum and Park Kilyong as its architect.
fact that he put so much effort into collecting which seems to have mistaken Bohwagak for in April 1993 that laid the foundations for Song But, here, we should also see anew in line with
data for writing this book, this omission is Plaisant Yanggwan, judging by her descision  *"&$Ǩ.) 20) -./)$)"*!*#2"&ǚ )*/# -$)/ - ./$)"!/ǚ
/$.)*//#/ ).*)"Ǩ.
0) 3+ / ǚ▼6 I suspect that Yoon Iljoo, an to place it under the category of house. It is In this article, Song Yul made it clear that circle first confirmed that Bohwagak was
architectural historian and pioneer in the field ) 3/ ).$*)*!/# ($"0$/4$)/-*0  Bohwagak is a building used as the Kansong -& $'4*)"Ǩ.2*-&Ǜ0//#/ ).*)"Ǩ.$-' 
of modern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was in SPAC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Museum, while also recognising that the ( /*/#$)&*!-& $'4*)".*#2"&Ǩ.
)*/*)1$) /#/*#2"&$.-& $'4*)"Ǩ. Architectural Works of Park Kil Yong (1992), Song two buildings introduced as Bukdanjang in architect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2*-&ǚ$($'-'4Ǜ**)
).0&* .)Ǩ/( )/$*)  *"&$Ǩ.(./ -Ǩ./# .$./*). $)$1 -.$/4Ǜ SPACE No. 6 are different. This recognition was of the architectural community.▼10 This
*#2"&$)ǧ *- )-#$/ /ǜ-& $'4*)" $..$($'-/*#*$ **)$Ǩ.$)/#/$/- ! -. possible because he looked at the literature  *( .' -2# )2  3($) *0( )/.
ǹƧǺˏǹƨǺǨ+0'$.# $)Korean Architects (July – to Bohwagak as a house named Bukdanjang. of Kansong Art Museum unlike previous *! ).*)"Ǩ.$-' $)#-*)*'*"$'*- -Ǜ)
0"ǚƧƯƯƬǺǛ+*..$'4.# /**&*1 -#$.!/# -Ǩ. However, it is takes one additional step -#$/ /0-'- . -# -.dz#*$).**Ǩ. #*$).**Ǩ.ǧ-$/$'$*"-+#4*! ).*)"ǨǛ
position. Moreover, this omission was further in noting (erroneously) the year of its ǧ-$/$'$*"-+#4*! ).*)"Ǩ+0'$.# $) mentioned earlier, is of greatest importance.
- + / $)/# . -$ .ǧ 3($)/$*)*! *)./-0/$*).ƧƯƪƦǛ0)'$& #*$ **)$Ǩ.$) Kansong Munwha*ǚƪƧǹ/ǚƧƯƯƧǺǚ *2 1 -Ǜ #$.$.)*/*)'40 /* ).*)"Ǩ.$*"-+#4Ǜ
*- )* -)-#$/ /0- ǨǛ/*2#$# $( which the construction year was not noted, Song Yul thought that Bukdanjang (i.e., which began to be repeated at that time,
#0)"DZ*)"*)/-$0/ Ƨƫ/$( .$)/# '/  )$/$.$!! - )/$)/#/$/ 3+- .. .-$/$' Plaisant Yanggwan) had been designed by but also as the narrative of the construction
1980s (May 1987 – Feb. 1989). In this series, opinion on the elevation of Bohwagak (pp. Park Kilyong but was lost at that time. This of Bohwagak were based upon this article.
he covered 109 buildings in chronological 51 – 52). However, Song Seogki was the first +*$)/*)/-$/.  0)"2**Ǩ.( )/$*) The gist of the story includes background to
order, from the American legation (1883) to reveal significant currents in modern and (1996) quoted earlier. ▼8
However, what is of /#  ./'$.#( )/*!0&)%)"$)ƧƯƩƪ4
that renovated a traditional Korean house contemporary understandings of Bohwagak "- / -)*/ $)*)"0'Ǩ.-/$' $./# !/ purchasing land from Plaisant,▼11 Wichang Oh
/*-& $'4*)"Ǩ.(* -)$(**))" in his doctoral thesi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only one photograph in SPACE No. 6  #)"Ǩ. +$"-+# ' -/$)"*#2"&Ǩ.
ǹƧƯƪƩǺǚ
/. (./#/ 1 ) $(#0)"DZ*)"Ǜ the Beginning Stage of Modernism in Korean was the basis for believing that Park Kilyong topping out ceremony on the 29th of August,
who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more -#$/ /0- 0-$)"ƱƹƲưǻƳưDz. (1999) at the 2./# -#$/ /*!*#2"&ǚǧ# - $. ƧƯƩƮǛ) ).*)"Ǩ. !!*-/./*0$'*#2"&
passionately than any of his peers, has not yet same university. This is because he regarded )*- *-*!*#2"&Ǩ.-#$/ /Ǜ0//#  by importing marble from Italy to form the
&)*2' " *#2"&.-&Ǩ.2*-&ǚ *#2"&.0'/0-'!$'$/4!*- 3#$$/$)" photo of Bohwagak titled Bukdanjang in the stairs. However, its architect had not yet
).*)"#0) 40)"+$'Ǩ.*'' /$*).) +$/*-$'!*--& $'4*)"Ǩ..+ $'! /0-  been mentioned.▼12 Later, in the process of
# )Ǜ.$) /# .$3/#$..0 *!SPACE, how is 1'0/ $/.ǧ/#  ./ 3(+' *!(* -) in the April 1967 issue of SPACE tells us that enriching the contents, the story of its architect
it that Bohwagak has come to be considered -#$/ /0-  .$") 4 *- )-#$/ /Ǩ /#$.0$'$)"2.-& $'4*)"Ǩ.2*-&Ǩǚ▼9 was inserted. This can be found in 1996
.-& $'4*)"Ǩ.2*-&Ǣ) +*..$' -**/*! (p. 206). (Nevertheless, it was too early to pay /#-*0"#  0)"2**Ǜ2#* 3+) 0+*)
this is A Study of the Life and Architecture of attention to the pre-modern elements still 3. #*$).**Ǩ.2-$/$)"ǜǧ#$.0$'$)"2.
Park Kill RongǹƧƯƮƧǺǛ#*$ **)$Ǩ.(./ -Ǩ. +- . )/$)*#2"&ǚ*- 3(+' Ǜ*).$ -
))4. Ǜ*)"0'Ǩ.2-$/$)"$)ƧƯƯƩ$. designed by the Korean architect Park Kilyong
thesis at Hongik University, which was the the stonework on the stairs at the entrance.▼7 ) understood as the first statement from the ǹƧƮƯƮDzƧƯƪƩǺ)$..$/* *) *!/#  -'$ ./
first full-scale study on the architect. Here, she Korean architectural community identifying western-style buildings designed by a Korean
referred to Bohwagak as Bukdanjang, and only
/2.*)"0'Ǩ.-/$' ǧ)+0'$.# * -) Bohwagak in Bukdanjang as the Kansong Art -#$/ /ǚǻǞǼ
/2.# 2#* .$")  2.#$)

ǑǒǓ
REPORT

 +-/( )//*- 0$'/$)/# ƧƯƩƦ.Ǩǚ▼13 This $'4*)"Ǩ.(/ -$'.Ǜ& +/4#$. ' ./.*)Ǜ Bohwagak by mistake while adding that scenario would be that there are no errors
 .-$+/$*)2.+*..$' *2$)"/**)"0'Ǩ. novelist Park Yonggu (1923 – 1999), and of Plaisant Yanggwan. ▼17
What is true? in SPACE No. 6, meaning that Park Kilyong
ǧ 31/$*)Ǩǚ.0$'$)" .$") 4/#  which contributed to the special feature in was indeed involved in the two buildings in
most celebrated Korean architect of the SPACE*ǚƬ)#*$ **)$Ǩ.(./ -Ǩ. ƪǚ Bukdanjang—by remodeling (repai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ohwagak has now /# .$.Ǜ./$'' 3$./)$!/# 42 - (  *!-Ǜ/#$.++ -#. 3($) /# ,0 ./$*). old Plaisant Yanggwan and designing the new
 *( ./*-4$)$.+ ).' /* ).*)"Ǩ. available to researchers, questions related related to the architect of Bohwagak through Bukdanjang respectively. But, if an error or
circle and their history, too. Whether in the to Bohwagak may one day be resolved. literature of the architectural community erroneous attribution has been made, this
research literature by the Kansong family▼14 )/#/*!/#  ).*)"Ǩ.$-' ǚ
) needs correcting. This paper may also feature
or in the introduction on the Kansong Are there no documents held by the summary, at present, an ambiguous photo errors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data and
Art Museum website, the architect Park ).*)"Ǩ.$-' /#/( )/$*)/# -#$/ /. published in the special feature in SPACE restrictions in communication. As is already
Kilyong must be the figure who makes the of the buildings in the Bukdanjang precincts No. 6 of April 1967 seems to be the only evident, this paper is not the last word in the
legacy of Kansong shine ever brighter. before Song Yul? I found one significant piece of evidence that Park Kilyong was the ,0 ./$*)*!*#2"&Ǩ.-#$/ /Ǜ0/-/# -
$)./) ǚ#0)0)"2**Ǜ/# +-$)$+' -#$/ /*!*#2"&ǚ*)"0'Ǩ.-/$' $) an assemblage of assumptions and hypothese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are no of Posung High School, who pursued the 1993 based on this source or the mystery that to reveal the process behind solving this
primary sources that might reveal who the  .$- .*!#$.!/# -Ǜ)*/ $)ƧƯƭƩǜǧ#  surrounds this made us conclude and believe question. I invited comments from any readers
architect of Bohwagak was (or could be) as 0-- )/ )/ -!*-/# /04*! *- )-/. /#/*#2"&Ǩ.-#$/ /2.-& $'4*)"ǚ who might have any further information or
.0"" ./ 4/#  ).*)"Ǩ.$-' ǚ* ./#  building used to be a house of a French However, certain circumstances, such as intimations of its authorship. We know that
ǧƧƯƩƮ-2$)"*'' /$*)Ǩ- *- $)/#  couple, and it was reportedly designed #0)0)"2**Ǩ.- (-&$)ƧƯƭƩǛ!*- 0./* even continuous and connected questions are
certificate of closed registration of Bohwagak 4/# -#$/ /*! 2.#$) +-/( )/ 3+'*- */# -+*..$$'$/$ .ǚ
.)Ǩ//# .$. often cleared up through following a seemingly
ǹ ǚƨƬǛƧƯƭƯǺ./$'' 3$./.*( 2# - Ǣ
/ /*- ǚǨ ( )/$*) /#$.2#$' /'&$)" of proof in a single photo worth placing minor clue or anecdote. It would be good to
seems to have been mentioned during the about Bohwagak at the 11th Anniversary of under doubt and holding to account? ▼18
hav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is matter with
- 1$ 2*!/# 0$'$)"Ǩ.0'/0-'+-*+ -/4 ).*)"Ǩ. /#*0)/' $.0..$*)Ǜ researchers in related areas. I pay my respects
registration that this material needed to be which was presided over by Lee Guyeol Nevertheless, I still hope that Park Kilyong to all the researchers mentioned in this paper.
checked. ▼15
I am curious about this moment. and attended by prominent figures such was the architect of Bohwagak and that more
!/ -/#  3+ -$ ) *!0+.)*2). . $(*)-4*)"Ǜ#$) *)".*+Ǜ) solid evidentiary support for this will be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0)0ǚ ▼16
If he was correct here, then provided by the architectural community
the Korean War, tracking down just such Park Kilyong was involved in Plaisant *- ).*)"Ǩ.$-' ǚ)'4/# )2$''/#$.
primary source had become a very difficult Yanggwan but not in Bohwagak. Or, at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architectural
task in Korea. Of course, as has emerged for 1 -4' ./Ǜ#0)0)"2**&) 2)*/#$)" #$./*-4$) *- Ǜ2#$##. )1 3 
the architectural community in Korea of the about Bohwagak. Of course, he may have scholarly proposition and constructed
present, the situation is not that different ($3 0+/# /2*0$'$)".ǚ *2 1 -Ǜ$! with some difficulty, become unshakable,
$)/#/+-$(-4.*0- Ǩ.2# - *0/. he was right, is it possible that the editor and a stronger and richer narrative will
remain unknown in many cases. If Park of SPACE No. 6 included the photo of be formed in the future. The best-case

특집 ‘건축가 박길룡: 24주기를 맞이하여’의


시작 페이지, 「SPACE」 6호, 6쪽.
# !$-./+" *!ǧ-#$/ /-& $'4*)"ǜ
*(( (*-/$)"/# ƨƪ/#))$1 -.-4*! $. /#ǨǛ
SPACE No. 6, p. 6.

Ǒǒǔ
1.0'/0-' -$/" *(($// Ǜǧ# Ƨƨ/#* -)0'/0-' is no record of demolition. The date of purchase of )-/*! ).*)"Dz*(( (*-/$)"/# ƧƧ/# # 0/#*-#$(. '!.$$)/# $)/-*0/$*)/#/#0)
-$/" 0*(($// $)0/ .ǜƪǚ0'/0-'-*+ -/4 the land in the land register is marked about two and a ))$1 -.-4*! $. /#ǨǛPosung*ǚƭƪǹƧƯƭƪǺǚ Sungwoo, on behalf of the Kansong family, “agreed to the
 "$./-/$*)*! *0'*#2"&ǨǛultural Heritage half months before the building was registered (June Reprinted in Kansong Chun Hyungpil, Posung publication on the condition that the author has to declare
Committee Meeting Minutes [Open to the Public]Ǜ0'/0-' ƨǛƧƯƩƪǺǚ*).$ -$)"/# . !/.2$/#  0)"2**Ǩ. Middle and High School, 1996, pp. 371 – 390. the composition of the plot was fictitious (imaginary) in
Heritage Administration, 2019, pp. 10929 – 10975. The remark, it is presumable that Plaisant Yanggwan, 17. If this was the case, Park Kilyong may have been +-/Ǫǚ )2#$' Ǜ/# -  )/ 3#$$/$*)# '4/#  *0'
minutes of this meeting are available on the website of the which had been unregistered before, was listed on the involved in the remodeling (repair) of Plaisant Yanggwan National University Museum (Sep. 2021 to Feb. 2022) and
0'/0-' -$/" ($)$./-/$*)ǚ# 0'/0-' -$/"  building register when it was remodeled (or repaired) rather than its new construction. Refer to note 8. the subsequently published book The Future We Have
Administration and the Kansong Art Museum already $)ƧƯƩƪǛ)//#$./$( Ǜ$/(4#1  )0)1*$'4 18. However, there is a remarkable book that contains very Drawn: 100 Years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Zip, 2022)
# '%*$)/.4(+*.$0( )/$/' ǧ ).*)")*#2"&Ǩ documented as a new construction. If the publication of specific details about the construction of Bohwagak, assumed that the design of Bohwagak was commissioned
4 - !*- $/.- "$./-/$*).0'/0-'+-*+ -/4ǹ ǚ this building in SPACE No. 6 was not a mistake, I guess 2#$#"* . 4*)/# . *0/.ǚ
/$. #0)"-4 *'Ǩ. 1932 and constructed between 1936 and September
ƭǛƨƦƧƮǺǚ
)/#$..4(+*.$0(Ǜ#)#)"(*+- . )/  Park Kilyong was involved in this remodeling project. biography Kansong Chun Hyungpil (Gimmyoung, 2010). ƧƯƩƮǚ
/$.'$( /#/ #0)"-4 *'Ǩ.**&2.
*)ǧ-#$/ /0- ǨǛ/#/$.Ǜ*)*#2"&./# -#$/ / 9.*)"0'Ǜǧ)+0'$.# * -)-#$/ /0- $) In this book,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building was referenced in accordance with this assumption (my email
ǧ-& $'4*)"Ǩ.2*-&ǨǛ)*)" *"&$+-/$$+/  *- ǨǛArchitectǹ+-ǚƧƯƯƩǺǛ++ǚƧƪDzƧƮǹ+ǚƧƫǺǚ completed one month after the topping out ceremony. *-- .+*) ) 2$/# *)*)"# Ǜ4ƪDzƬǛƨƦƨƨǺǚ
)
in this discussion. What should be made clear is that 10.
)/#$.++ -Ǜ/# ǧ ).*)"Ǩ.$-' Ǩ!$-./- ! -./* ).*)"Ǩ.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each !/Ǜ!*-2#$'  !*- /# 2*-&*!#*$).**ǹƧƯƯƧǺǛ/# 
1 )$!*#2"&2.)*/-& $'4*)"Ǩ.2*-&Ǜ$/$.)*/ bereaved family and the people involved in the Kansong construction process, he estimated the total construction construction of Bohwagak was dated as 1936. Refer to the
$($)$.# $)$/..//0.. "$./ - 0'/0-' -$/" ǚ 0. 0(*!-/ǹ )/ -!*-/# /04*! *- )-/.ǺǛ0/ period of Bohwagak to be three to four years and wrote ǧ#-*)*'*"$' $./Ǩ$)Kansong Munhwa No. 1 (Oct. 1971).
2.
#1 $.0.. *#2"&.-& $'4*)"Ǩ.2*-&$) more broadly, it includes the art world related to Kansong that Bohwagak was designed in 1935 before his design
several presentations and publications, and I visited to *'' /$*)).#**'*!!$$'.*!*.0)"$' ) *! 2.#$) +-/( )//*- ǹƧƯƩƫDzƧƯƩƭǺǹ+ǚƧƬƧǺǚ
*#2"&$)+ -.*)/* 3+)/# . $.0..$*)+*$)/. $"##**'Ǜ2#$#2./& )*1 -4 ).*)"$)ƧƯƪƦǚ This timing of the Bohwagak design was also suggested
with the consent of the Kansong Art Museum in October 11.#*$).**)*/ .#*2'$.)/Ǜ2#*( /* *0'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construction period (my
2018. I am profoundly grateful to the Kansong Art Museu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ought land and built &*'&*-- .+*) ) 2$/# #0)"-4 *'Ǜ4ƧƧ
for permitting me to visit and to Mr. Jung Byungsam a French-style house with money from oil sales, and – 13, 2022). That appears like a very reasonable inference.
and Baik Insan for guiding me and providing me with Kansong purchased the land and house along with Nonetheless, two things stand out. First of all, the one-
/# 0$'$)"Ǩ.( .0- ( )/-2$)".//# /$( ǚ its adjacent land. This figure, recorded in the land month period between the topping out ceremony and the
3. 4*)DZ.* $(Ǜǧ+ $' /0- *)-#$/ /-& register as ポ—ル プレサン or ポル ブレ—サン, seems building completion seems very tight. We also need to bear
$'4*)"ǹ+-$'ƧƯƬƭǺǜ# /-/$)"*$)/!*- . -#$)" to be the same person involved in the Buraesang in mind that Bohwagak was listed on the building register
/# $-./ ) -/$*)*! *- )-#$/ /.ǨǛSPACE No. Sanghoe Incident in August 1939, which was discovered much later (Nov. 20, 1938). But more significant is that Lee
655 (June 2022), pp. 112 – 119. This paper could be while manufacturing and selling fake cosmetics. #0)"-4 *'Ǩ..// ( )/)*/ ./#/*#2"&2. .$") 
- "- .) 3/ ).$*)*!/#$.ǧDZ

SPACEǨǚ In old newspapers, his name was written as 부래상, # *! 2.#$) +-/( )//*- ǹ0) -/# +- ($. 
4.#*$).**Ǜǧ-$/$'$*"-+#4*! ).*)"ǨǛKansong 푸레상, 프레산, etc. in Korean. His original French that it was designed by Park Kilyong). This is because
Munhwa*ǚƪƧǹ/ǚƧƯƯƧǺǛ++ǚƬƧDzƧƨƨǹ+ǚƮƫǺǚ )( $.+- .0( /* ǧ0')/*$) '$.)/Ǩǚ -& $'4*)"Ǩ.- /0-)!-*((* -)$.(ǹ*#2"&Ǻ/*
5.  0)"2**Ǜǧ-$/$'$*"-+#4*! ).*)"ǨǛ 12.#*$).**$)Ǩ/( )/$*)/# -#$/ / 1 )$)#$.ƧƯƯƮ #$./*-$$.(ǹ 2.#$) +-/( )//*- ǺǛ$(+'$ $)/#$.
Kansong Chun Hyungpil, Posung Middle and High article, a slightly revised version from the 1991 one, but chronological order, can lead to a different interpretation
School, 1996, pp. 137 – 272 (p. 188). Refer to note 8. some differences are noteworthy such as the discrepancy of his architecture. However, since the date of purchase of
6. Yoon Iljoo,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t in the year of photos of Bohwagak under construction. /# *#2"&Ǩ.')$)/# *'')- "$./ -2.- .Ư
(Architectur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Ǜǧ/*-4*! ).*)"Ǩ../'$.#( )/*! January, the 12th year of Showa (1937), it is questionable
*)/ (+*--4-/ǛƧƯƭƮǛ++ǚƭDzƮǛƫƨDzƫƩǚ *#2"&ǨǛKansong Munhwa No. 55 (Oct. 1998) 2# /# -/#  .$")2.0-/ '4/ ǚ*).$ -$)"
7.//# .4(+*.$0($)  ( -ƨƦƧƮǛ#)#)"(*'.* 13. Lee Heungwoo, op. cit., p. 216. all of the information and reasoning so far, it is more
mentioned some of the pre-modern elements in Bohwagak. 14. *)
)%$Ǜǧ*#2"&ǨǛThe 100 Year History of natural to think that Bohwagak was designed in early 1937
8. I have not personally visited Plaisant Yanggwan to confirm Korean Museums, National Museum of Korea, at the earliest, right after the land was purchased. Lee
$/.+- . ) Ǜ0/Ǜ$!/# 0$'$)"./$'' 3$./.Ǜ
+- .0(  ƨƦƦƯǛ++ǚƨƦƫDzƨƦƯǝ)ǧ# 0/0- *! ).*)"-/ #0)"-4 *'Ǩ.**&#.*).$ -' - $$'$/4 0. $/
/#/$/2*0' /# 0$'$)"/ƭƪ *)"0&DZ*)"Ǜ2#$# 0. 0(.# ( 0. 0(ǨǛJournal of Museum 2.. *)#$. 3/ ).$1 - . -#*!1-$*0.(/ -$'.
is often searched along with the Kansong Art Museum. Studies*ǚƨƮǹ 0) ƨƦƧƫǺǛ++ǚƨƪƩDzƨƫƯǚ !-*( ).*)"Ǩ.$-' )$)/ -1$ 2.2$/#- '/ !$"0- .Ǜ
#$.0$'$)"2.- "$./ - .ǧ) 2*)./-0/$*)Ǩ$) 15.0'/0-' -$/" *(($// Ǜ*+ǚ$/ǚǛ+ǚƧƦƯƭƨǚ however it is still bound to “hang between proof and
ƧƯƩƪǹ0"ǚƨƦǛƧƯƩƪǺ*)/# 0$'$)"- "$./ -Ǜ)/# -  16. 04 *'Ǜ /'ǚǛǧ*0)/' $.0..$*)ǜ#  $!  $("$)/$*)Ǜ!/)!$/$*)Ǫ.ǧ$*"-+#$''$/ -/0- Ǩǚ

김현섭은 영국 셰필드대학교에서 박사 및 박사후과정으로 유럽 근대건축을 연구했고, 2008년부터 고려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다. 건축 역사가이자 비평가로서 한국 현대건축에 관한 비판적 역사 서술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건축수업: 서양 근대건축사』(2016), 『건축을 사유하다: 건축이론 입문』(역서, 2017), ‘DDP Controversy
and the Dilemma of H-Sang Seung’s ‘Landscript’’(2018), ‘The Hanok Paradox: Modernity and Myth in
the Revival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2019) 등 다수의 단행본과 논문을 국내외에 출판했다.

4*)DZ* $(, an architectural historian and critic, has worked as a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since 2008, following his
doctoral and post-doctoral researches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UK. He is now interested in writing a critical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and hi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Architecture Class: History of Western Modern Architecture
(2016), a Korean translation of Building Ideas4 ǚ ' ǹƨƦƧƭǺǛǧ*)/-*1 -.4)/# $' ((*! DZ)" 0)"Ǩ.
ǧ ).-$+/Ǩ ǨǹƨƦƧƮǺ)ǧ# Hanok-*3ǜ* -)$/4)4/#$)/#  1$1'*!/# -$/$*)' *- ) *0. ǨǹƨƦƧƯǺǚ

ǑǒǕ
 



오늘의 건축가
‘오늘의 건축가’는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저마다의 건축을 모색하는 젊은 건축가를 만나기 위해 기획됐다.
그들은 무엇을 좋아하고, 탐색하고, 고민하고 있을까? 「SPACE(공간)」는 젊은 건축가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기보다는 각자의 개별적인 특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인터뷰는 대화에 참여한 건축가가 다음 순서의 건축가를 지목하면서 이어진다.




ǧ
()-#$/ /Ǩ2.+')) /*( /4*0)"-#$/ /.2#*. &/# $-*2)-#$/ /0- $)1-$ /4*!(/ -$'.)( /#*.ǚ#/*/# 4'$& Ǜ 3+'*- Ǜ)2*--4*0/ǢSPACE$."*$)"/*$.*1 -$)$1$0'
#-/ -$./$.*!/# (-/# -/#)"-*0+/# ($)/*.$)"' / "*-4ǚ# - '4$)/ -1$ 2*)/$)0 .2# )/# -#$/ /2#*+-/$$+/ $)/# *)1 -./$*)''.)*/# --#$/ /$)/# ) 3//0-)ǚ

Ȗ#*$*)"&0&

 ǜ
지구에 발을 디디는: 최봉국
 
 

인터뷰 최봉국 비케이 아키텍처 대표


×
박지윤 기자
사진 윤예림(별도표기 외)

$)/ -1$ 2#*$*)"&0&+-$)$+'Ǜ -#$/ /0- 


×
-& $4*0)
+#*/*"-+# 4*0) '$(ǹ0)' ..*/# -2$. $)$/ Ǻ

Ǒǒǖ
빠져들고 깊어지는 찾다가 바이크를 접하게 된 거죠. 당시에는
유일한 인생의 낙이었어요. 그때 처음으로
박지윤(박): 사무소가 경기도 양평에 있어요. 한 가지에 집중하는 법을 배운 것 같아요.
최봉국(최): 경기도에 자리 잡은 지는
10년이 조금 넘은 것 같아요. 서울에서 박: 덕후력을 가진 분들과 이야기하면
일하다 결혼하면서 경기도로 넘어왔죠. 흥미롭더라고요. 제가 모르는 세상을
깊게 말해준다는 점에서요.
박: 연희동에서 출발하니 1시간 반 정도 최: 하나에 미치도록 빠져보는 건 좋은 것
걸리더라고요. 생각보다 멀던걸요? (웃음) 같아요. 한 분야에 끝까지 빠져들어 보면
최: 처음에는 동료 세 명이서 함께 서울에서 파고드는 습성이 생기거든요. 그런 사람이

Ȗ#*$*)"&0&
독립을 했었어요. 그때 사무소 위치가 어떤 직업이나 다른 취미를 가지면 집중력이
정릉이었죠. 서울에 있어도 어디 가려면 뛰어나게 발휘되는 것 같아요. 자전거든
1시간은 걸리잖아요. 정릉에서 여기까지 바이크든, 바퀴가 달린 무언가를 타고
거리도 1시간 정도라 부담이 없었어요. 계속 어딘가로 이동하며 여행하는 것을
오버랜딩이라고 하는데요. 이것도 오토바이와
박: 사무소 바로 앞에 논도 있잖아요. 차를 타면서 경험한 거고, 그러면서 차를
마당에 강아지도 있고요. 타고 유라시아 횡단도 하게 된 거예요.
최: 땅부터 구매해서 제가 직접 설계해
지은 주택이자 사무소예요. 박: 하나를 깊게 파고드는 것이 다양한
경험을 이끌어낼 수도 있겠어요.
박: 소장님의 여행기인 『사월』(2020)에서 최: 바이크를 좋아한다고 하면 사람들은
주택을 직접 지었다는 내용을 본 것 ‘속도감을 즐기는가 보다’, ‘바람 맞는 게 좋은가
같아요. 주택을 완공했는데 2개월 정도만 보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빠져들기
살고 유라시아 횡단을 떠났다고요. 시작하면 좋아할 만한 요소가 무궁무진해져요.
최: 그래서 집도 작고 사무실도 작아요. 여행에서 끝까지 파다 보면 모터사이클의 기술적인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도 있었거든요. 부분, 문화가 생기게 된 역사적인 부분까지
거슬러 올라가죠. 이런 이야기들이 얽히면서
박: 다른 나라를 돌아다니다 마음에 드는 모터사이클을 더 깊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어요.
곳을 찾으면 정착할 생각이셨어요?
최: 건축가라는 직업이 그렇잖아요. 언어만 박: 유라시아 횡단은 아내, 딸과
되면 어느 나라에서든 건축 회사에 취업하면 함께한 장기 여행이라 행복도 두 배,
되니까요. 그래서 혹시 기회가 닿으면 다른 어려움도 두 배였을 것 같아요.
나라에 정착할 수도 있을 거라 기대했었어요. 최: 아이는 부모가 가니 어쩔 수 없이 따라가는
중간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발생해 거였는데요. 그럼에도 잘 따라줬어요.
돌아오게 된 거죠. 안 그랬다면 1년, 2년
상관 없이 계속 돌아다녔을 거예요. 기간에 박: 인터뷰를 준비하며 『사월』을
제한을 두지 않고 시작한 여행이거든요. 꼼꼼히 읽었거든요. 인터뷰어로서
건축적인 이야기를 기대했는데 언급이
박: 돈과 같은 여건이 한정되어 있지 않았나요? 거의 없더라고요. 가족들에게 보내는
최: 돈이 떨어져서 돌아왔을 수도 있겠죠. 러브레터 같은 느낌이었어요. (웃음)
몸이 아파서 왔을 수도 있고요. 여러 가지 최: 창과 문에 관한 이야기는 썼던 것 같아요.
이유로 돌아올 수도 있었겠지만 예상한 해외에 나가면 한국에서는 자주 보지 못하는
것보다는 짧은 기간이었어요. 원래는 세계를 창의 개폐 방법, 창의 크기, 출입하는 방법 같은
돌려고 했었는데요. 아시아와 유럽까지만 것들이 눈에 보이더라고요. 바로 몸으로 접하는
돌고, 미주로는 못 넘어갔으니까요. 요소라 그런가 봐요. 러시아에 가면 사람들은
키도 크고 덩치도 큰데, 문들은 되게 작아요. 두
박: 『사월』에 들어간 사진들도 모두 직접 찍으신 가지 이유가 있는 것 같아요. 하나는 전쟁이 많은
거더라고요. 자동차, 오토바이 등 라이딩도 나라였기 때문에 신속하게 보호하고 차단하기
즐기시고요. 취미 부자이신 것 같아요. 위해서, 그리고 추운 나라라서요. 건축적 요소를
최: 어릴 때 제가 힘들게 살았어요. 돌파구를 보며 나름대로 그 나라를 이해하게 되는 거죠.

ǑǒǗ
 



박: 소장님이 앉은 자리 뒤편에 열리지 않는, “노르웨이를 가 보니 산속에 집이 많더라. 그


성인 크기 만한 넓고 긴 창이 보이는데요. 이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는 모르겠는데 숲속에
창을 통해 소장님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웃음) 사는 건 자신 없지만 가끔 한 번씩 가면 너무
최: 창을 어떻게, 어디에, 어떤 크기로 내느냐에 좋을 것 같다. 한국에도 그런 공간이 있으면
따라 공간에 머무는 사람들의 시선을 결정하는 좋겠다. 임야 몇 만 평 사서 차로도 아니고
거잖아요. 어찌 보면 건축가의 권력이죠. 걸어서 한참 들어가는데, 들어가면 오두막
언급하신 창으로 볼 수 있는 건 사실 콘크리트 밖에 없는 그런 공간을 만들고 싶다. 물이 좀
담벼락뿐이긴 한데요. 작은 공간 속에서 안 나오면 어떻고, 전기를 좀 못 쓰면 어떤가.
시선의 환기를 주려 의도한 부분이죠. 뜨거운 물이 안 나오면 끓여서 쓰면 되고….”
말을 내뱉고 나니 너무 짓고 싶더라고요.
박: 공기의 환기가 아닌, 시선의
환기를 위한 창이네요. 박: 좋아한다고 고백하는 순간 그
최: 환기를 위한 창을 만들면 원하는 디테일을 사람이 더 좋아지는 것과 비슷하네요.
만드는 데 한계가 생겨요. 기능을 위해 시스템 공간에 대한 상상을 말하니 그 공간에
창호로 계획하면 프레임이나, 힌지, 손잡이부터 대한 애착이 더 생기신 거잖아요?
시작해서 여러 요소가 붙잖아요. 그렇게 최: 제 작업의 최고 멘토는 아내거든요.
되면 제가 원하는 입면을 만들 수가 없죠. 직원이 없으니까 실컷 설계를 해도 괜찮은지
물어볼 사람이 아내밖에 없어요. 그런데
건축가인 선생님한테 이야기하다 보니,
여독을 그러잡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된 거죠.

박: 길고 먼 여행을 다녀오셨는데, 박: 두 프로젝트 모두 한적한 숲속에 있어요.


여독에 휘말리지는 않으셨나요? 최: 본래는 물도 안 나오고, 전기도 안 되고,
최: 저는 무언가를 계획하면 실행까지 해야 태양광 충전해서 쓰고, 많이 쓰면 다시
직성이 풀리는 타입이에요. 여행을 갔다 충전해서 써야 하는 걸 계획했죠. 그런
오면 여독도 심하고요. 그래서 유라시아 오두막 형태를 원했는데 그러려면 대지가
횡단을 다녀오고서도 국내 여행을 계속 더 넓어야 했어요. 자산도 한계가 있고
다녔어요. 그러니까 주변에서 “이제 허가 조건도 맞춰야 하니 변경이 됐죠.
최봉국은 일을 안 하나 보다” 했죠.
박: 좋은 건축주가 좋은 건축을 만든다는
박: 그 공백기를 지나고 의뢰를 말이 있는데, 소장님은 좋은 건축주셨나요?
조금씩 받으신 건가요? 최: 결국 사업이다 보니, 실패를 하면 안
최: 그러다 일을 시작하긴 했는데, 되잖아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애초의
이상하게 프로젝트를 잘 못하겠더라고요. 계획보다는 상업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기는
클라이언트들의 시선이나 요구 조건들이 제가 했어요. 그래도 지킨 것들은 있죠. 아틴
일하고 싶은 방식과 안 맞더라고요. 그래서 마루에서는 각 동이 분리되어 있는데요. 각
실제로 일을 잘 해내지는 못했던 것 같아요. 매스들의 합이 부조화스럽지 않도록 신경
썼어요. 특히 각 동의 크기가 커질수록 콘셉트와
박: 그래서 직접 건축주가 되신 건가요? 맞지 않아 거북스러울 것 같았거든요. 그리고
스테이인 아틴 마루(2021)와 아틴 해우(2022)는 수영장, 주방과 같은 공간은 절대로 만들지
직접 설계하고 운영까지 하시잖아요. 않을 생각이었는데, 그 부분도 구현됐죠.
최: 여행의 영향이 분명히 있죠. 제가 오랫동안
니드21(대표 유정한)에서만 일했었는데요. 박: 주방을 만들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
거기에 마침 일손이 부족했고 제가 도와줄 최: 여행가서 요리를 해보면 알잖아요. 요리를
여건이 돼서 간만에 월급을 받으며 일을 하게 되면 일이 얼마나 많아지는지요. 쉬러
했어요. 저는 유 대표님을 선생님이라고 왔는데, 여기서 꼭 무언가를 해 먹어야 하나
부르는데요. 선생님이랑 술자리를 하면서 싶었어요. 제가 여행 다닐 때 그런 마음이
꿈에 대한 이야기를 했어요. 건축가로서 들었거든요. 이 공간에서, 내가 머물고 있다는
마지막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요. 것. 이것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죠.
그러다 제 이야기를 하게 됐어요. 비슷한 맥락으로 더블 베드도 없어요. 아무리

Ǒǒǘ
가족, 커플이라고 해도 한 침대에 한 이불을 최: 작은 냉장고도 무소음으로 구비해,
덮고 자면 불편하거든요. 호흡이 다르고 기계 소음을 최소화했어요.
심박수가 다르고 각자가 느끼는 열 온도가
다르니까요. 그래서 싱글 베드로 구성했고, 박: 여기는 향이 어떻게 되나요?
붙이지도 못하게 만들어놨어요. 둘이 오더라도 최: 지금이 12시죠? 왼편에 그림자가
잘 때만은 자신만의 시간을 가져보라고요. 생겼으니 남쪽이 어디겠어요?

박: 연인들은 자주 안 오겠어요. (웃음) 박: 오른편이 남쪽이네요. (웃음)


최: 나중에 청소하러 가 보면, 연인들은 그 좁은 로빈슨 크루소 같아요.
침대에서 같이 자기도 하더라고요. (웃음) 최: 건축하는 사람들끼리 향을
물어보면 되나요? (웃음)
박: 이야기를 들어 보니, 쉼보다는
집중을 위한 공간 같기도 하네요. 박: 소장님은 가장 기억에 남는
자신에게 집중하는 공간이요. 여행지가 어디예요?
최: 스테이를 보통 힐링을 위한 공간이라고 최: 아이슬란드요. 한 시야에 봄,
홍보하잖아요.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여름, 가을, 겨울이 다 들어오는,
스테이에 가서 뭘 할 수 있는지부터 생각해요. 그런 경치를 가지고 있거든요.
준비된 비품이나 서비스의 목록을 보고서요.
바비큐도 되고 방도 하나 더 있으면, 그것에 맞춰 박: 아틴 마루의 각 동들 이름도 봄, 여름, 가을,
계획을 하는 거죠. 아틴 마루의 경우, 체크인 후 겨울이잖아요. 소장님의 마음이나 생각, 작품
방을 보고는 그대로 돌아가신 분들도 계셨어요. 곳곳에 여행의 흔적이 묻어나는 것 같아요.
워낙 단출하니까요. 아틴 마루에서 잘 지내시는 소장님을 뵈니 저도 여행이 가고 싶어졌어요.
분들은 계획을 세우지 않고 오신 분들이죠. 최: 외국을 가신다고 하면, 그 나라에서도 시골을
가보셨으면 좋겠어요. 프랑스 가서 왜 파리를 안
박: 아틴 마루가 더 궁금해지는데요. 가고 남부를 가냐고 사람들이 묻고는 하는데요.
그럼 이동해볼까요? 시골에 가면 내가 지구에 있다는 느낌이 들어요.

박: 사람들은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살잖아요.


여행가의 자세로 소장님은 그중에서도 여행가의 정체성이 가장
강해 보여요. 관성적인 생활을 멈춰버리는
박: 산꼭대기를 향해 구불구불 올라가는데 것에 두려움이 없다는 점도 그렇고요.
아틴 마루 근처에 다다르니, 진입하는 길에 최: 아내랑 서로 약속한 것이 있어요. 아이를
전나무가 줄지어 있더라고요. 마치 일주문을 다 키워놓고 나면 계속 여행을 다니자고요.
지나는 것처럼 마음이 정돈됐어요. 그렇게 여행을 다니다 길에서 죽자고요. (웃음)
최: 동네 어르신들 말로는 아틴 마루
대지에도 전나무가 있었대요. 단지를
개발하면서 땅을 다 밀었던 거고요. 최봉국은 2023년 2월호에서
백에이 어소시에이츠(공동대표 박솔하, 안광일)의
오늘을 듣고 싶어 했다.
박: 관리동을 제외하고는 모두 아연 골강판으로
외부 마감을 하셨어요. 캠핑카 같은 느낌도 나요.
최: 골강판 주름이 전나무 주름과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어요. 또 녹이 슬면 최봉국은 건국대학교 졸업 후, 6년간 니드21에서 근무했다.
이렇게 갈색을 띠잖아요. 시간이 지날수록 2013년 백에이 어소시에이츠를 공동 개소한 후 2016년
현재의 비케이 아키텍처를 혼자서 개소했다. 2019년
나무 껍질처럼 되기를 바랐죠. 녹슬기
4월, 한국에서 타던 차를 그대로 가져가 1년간 아내,
전에는 지금 보이는 것처럼 하늘도 비치고 딸과 함께 유럽 전역을 여행했다. 여행이 끝난 후 여행
땅도 비치는 재료이기도 하고요. 에세이 『사월』(2020)을 출간했고 오랫동안 꿈꿔오던
작은 공간을 실현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박: 각 동에도 시선을 위한 창과 환기를 (126~127쪽) 아틴 마루 전경


(128~129쪽) 사무실 전경
위한 창이 구분되어 있네요. 그런데
ǹ++ǚƧƨƬDzƧƨƭǺ$ 2*!/$)-0
방에서 소음이 하나도 안 나요. ǹ++ǚƧƨƮDzƧƨƯǺ$ 2*!*!!$

ǑǒǙ
 



 *($)"
(( -. )*$)" + - ! /0- $)Aprilǚ*0 )%*4-$1$)"-) $- /'4ǚ# )
1$.$/ 0..$Ǜ+ *+' 2 -  )*0"#Ǜ
2.0)' /*"$1 /# +-*% /.(4
(*/*-4' ǚ*0. (/*#1 '*/*!#*$ .ǚ /'')0'&4Ǜ2# - ./# **-.2 -   ./ǚ# /./ .*-- ,0$- ( )/.$)*/'$")
-& $4*0)ǹ-&Ǻǜ# *!!$ $.'*/  #*$ǜ
#/*0"##$'#**ǚ
'**& !*- 1 -4.(''ǚ
/#$)&/# - - /2*- .*).ǚ 2$/##*2
'$& /*2*-&ǚ.- .0'/Ǜ
$)*/*
$))"+4 *)"Ǜ4 *)""$DZ*ǚ 24*0/Ǜ)
$.*1 - (*/*-4'  # !$-./$./* ' /*,0$&'4+-*/ / .2 ''.
2*0'#1 '$& *)/# . +-*% /.ǚ
#*$*)"&0&ǹ#*$Ǻǜ
/#. )'$//'  -$$)"ǚ#/2./# *)'4%*4$)'$! / )'*&Ǜ 0. /# *0)/-4#'*/*!
*1 -/ )4 -..$) 
(*1 /*4 *)""$DZ /#//$( ǚ
/#$)&/#/2.2# )
./-/  2-.Ǜ2#$' /# . *)$./# *0)/-4Ǩ.*' -&ǜ
./#/2#44*0 ( '$ )/4*0-. '!Ǣ
*ǚ
0. /*2*-&$) *0'Ǜ0/
(*1  /*' -)#*2/*!*0.*)*) /#$)"ǚ '$(/ ǚ
/Ǩ..$!
/-1 '' -*../# *0)/-4 *0 .$") ) 1 ))*2-0)/$)-0
/*4 *)""$DZ*!/ -" //$)"(--$ ǚ 4'**&$)"/-#$/ /0-' ' ( )/.ǚ ǹƨƦƨƧǺ)/$)  0ǹƨƦƨƨǺ*)4*0-*2)ǚ
-&ǜ
!$)$/,0$/ $)/-$"0$)"/*/'&/*+ *+'  #*$ǜ#/2. !$)$/ '4$)!'0 ) 
-&ǜ-*( *)#0$DZ*)"Ǜ$//& . 2#* )%*4$$*.4)-/$#*$ .ǚ# 4 ,0$+ -&ǜ #$)/# #$-$)2#$#4*0-  4/-1 'ǚ
0. /*2*-&/ ƨƧ
-*0))#*0-/*" /# - ǚ
/$.'$//'  ( 2$/#$)- $'4$)DZ +/#$)!*-(/$*)*! .$//$)"Ǜ
)*/$ 2$ Ǜ'*)"Ǜ!$3 2$)*2 ǹ+-$)$+'Ǜ** *)"#)Ǻ!*-'*)"/$( ǚ
!0-/# -24/#)
/#*0"#/ǟǹ'0"#Ǻ 2*-'.*0/2#$#
#1 '$//' 2- ) ..ǚ /#/$.) -'4/# .$5 *!)0'/ǚ$''/#$.
"*//*.#- (4./*-4/*+-$)$+'**ǚ
#*$ǜ/!$-./Ǜ
*+ ) )*!!$ 2$/#/#-  #*$ǜ
 '$ 1 $/$."**/*#1 )*. ..$*) 2$)*2''*2( /*0) -./)4*0Ǣǹ'0"#Ǻ ǧ# )
1$.$/ *-24Ǜ/# - 2 - '*/*!
*DZ2*-& -.ǚ//#//$( Ǜ/# *!!$ 2.$) 2$/#*) /#$)"ǚ# )4*0- *(+' / '4 #*$ǜ*0- 2- /#//# .$"#/'$) .*! #*0. .$)!*- ./ǚ
*)Ǩ/#*2/# 4'$1 Ǜ)

*)") 0)"ǚ
/0.0''4/& ./' ./)#*0- $(( -. $)*) - *!./04Ǜ4*0 1 '*+ /# + *+' 2#*./42$/#$)/# .+ -  (0) -/$)2# /# -
*0''$1 $)!*- ./Ǜ
/*" /)42# - !-*( *0'Ǜ-$"#/Ǣ) #$/*!$1$)" +$)/*)4/#$)"ǚ) 4*0  / -($) 4/# 2$)*2Ǩ.+' ( )/Ǜ 0/
2*0''*1 /*1$.$/*) $)2#$' ǚ
2$.#
.$) $//& .*0/)#*0-/*" /# - !-*(  1 '*++-/$0'-- -*-) 2#*4Ǜ4*0 .$5 Ǜ) .$")ǚ
).*( 24.Ǜ$/. -1 .. .$($'--  3$./ $) *- ǚ
2*0''$& /*
*)") 0)"Ǜ$/2.)Ǩ//**./- ..!0'!*-( ǚ )!*0./- (-&' ' 1 'ǚ1 -')$)" /# -#$/ /Ǩ.0/#*-$/4ǚ''4*0).  - / .+ 4+0-#.$)"2**')/#/
$./4+ *!/-1 '$)2#$#/# /-1 '' -0. . /#-*0"#/# 2$)*24*0( )/$*) $.Ǜ$) $.-*0"#'4/ ).*!/#*0.).DZpyeong$).$5 Ǜ
-&ǜ# - $.-$ +4%0./$)!-*)/*!/#  2# ' 1 #$' Ǜ2# /# -$/$.$4' *- !/Ǜ*)- / 2''ǚ#$.2.$)/ ) /* 2#$#4*0)*)'4 ..42'&$)"Dz)*/
*!!$ Ǜ.2 ''.4-) 1 )+0++4ǚ (*/*-4' Ǜ/**)/$)0 (*1$)"/*)*/# - 1*& *) Ǩ.// )/$*)$).(''.+ ǚ 1 )4-Dz!*-*).$ -' $./) Ǜ)
#*$ǜ#$.$.#*0. DZ0(DZ*!!$ /#/
 '*/$*)ǚ
#/#$. 3+ -$ ) 2#$' -$1$)" 2# - )*/#$)"*/# -/#)#0/.- +- . )/ǚ
 .$")  )/$- '4*)(4*2)Ǜ#1$)" )-$$)"/# (*/*-4' Ǜ2#$#$.#*2
2. -&ǜ*/#$.2$)*2$./*-2// )/$*) #/$!/# 2/ -* .)Ǩ/-0)2 ''Ǜ2#/$!
*0"#//# ')2$/#/#$.+')$)($)ǚ ' /*"**)/-).DZ0-.$)/-1 '4/# -ǚ -/# -/#)/*' /$-$)/*/# -**(ǚ /#  ' /-$$/4* .)Ǩ/2*-&Ǣ
!/# - $.)*#*/
#*$ǜ# )4*0- / 2$)*2!*- 2/ --0))$)"Ǜ
)*$'2/ -)0. $/ǞǨ
-&ǜ
/#$)&
- $)AprilǹƨƦƨƦǺǛ4*0-/-1 ' -&ǜ
.0++*. $1$)" +$)/**)  1 )/$'/$*)Ǜ4*0-0)$)/*- ./-$/$*)../* ) 
.$/#$.Ǜ
- ''42)/ /*/-4/#$.*0/ǚ
..4Ǜ/#/4*00$'//# #*0. *)4*0-*2)ǚ
/ /#$)") '$$/-)" *! 3+ -$ ) .ǚ #*24*0(4 .$") -/$) /$'ǚ# )
.$Ǜ4*0!$)$.# /# #*0. Ǜ0/!/ -'$1$)" #*$ǜ# )*/# -.# -/#/.*( *)  )%*4. 4*0+').4./ (2$)*2!*-/# +0-+*.  -&ǜ*/#+-*% /.- '*/ 
$)/# #*0. !*--*0"#'4/2*(*)/#.Ǜ4*0 -$$)"(*/*-4' Ǜ/# 4(4..0(  *!!0)/$*)'$/4Ǜ()4 ' ( )/..0#./#  $). ,0 ./ - !*- ./ǚ
2 )//-1 ''$)"-*..0-*+ ).$ǚ /#/ǧ#/+ -.*)(0./ /#-$''. & -Ǩ !-( Ǜ#$)" Ǜ)#)' -  ǚ# )
( #*$ǜ# 4/0-) *0//* *).$ -'4(*- 
#*$ǜ#/Ǩ.2#4*/#/# #*0. )/#  *-ǧ#/+ -.*)(0./ !*)*!.+ $)" 0)' /*#$ 1 (4 .$-  ' 1/$*) .$")ǚ *(( -$'*(+- /*/# $)$/$'+').ǚ
*!!$ - .(''ǚ# - 2.#)  /#-*0"#/#  ' ( )/.ǚǨ *2 1 -Ǜ2# ) -$"$)''4Ǜ/# - 2./* )*+'0($)"*-
/#/
2*0')*/- /0-)!-*(/# /-$+ǚ 4*0 *( $(( -. $))4/#$)"Ǜ/# -  ' /-$$/4ǚ
)./ Ǜ4*02 - .0++*. /*
$.)$)!$)$/ (*0)/*!/#$)"./*'*1 ǚ -$)"-1 ' 0. .*'- ) -"4/#/#/* - #-" 
-&ǜ0-$)"/#$.+ -$**!/-1 'Ǜ$4*0 # . ./*-$ .) *(  )/)"' Ǜ !/ -0." ǚ*#0/DZ'$& !*-(2.2#/

*).$ -. //'$)"*2)$!4*0#++ )  2#$#) + )4*0-0) -./)$)" -&ǜ*02 )/*)'*)"/-$+/* 2)/ Ǜ0/$)*- -/**.*Ǜ/# .$/ 2.
/*!$)+' /#/4*0'$& Ǣ *!) )%*4( )/*!/# (*/*-4' ǚ $./)/ ./$)/$*).ǚ$4*0 1 - .0++*. /* '-" -ǚ$) 
#- ./-$/ 
#*$ǜ*0- 2- *!2#/$/$.'$& /* 3+ -$ ) /-1 '!/$"0 Ǣ 0" /)
#/*# - /*/# + -($/
 )-#$/ /ǚ) 4*0- ' /* -&ǜ# )
2.+- +-$)"!*-/#$.$)/ -1$ 2Ǜ #*$ǜ
(+ -.*)*!/$*)2#*!$). *)$/$*).Ǜ
#/*(& .*( #)" .ǚ
*((0)$/ $)!*- $")')"0" Ǜ4*0)
- April/#*-*0"#'4ǚ./# $)/ -1$ 2 -Ǜ ./$.!/$*)$)--4$)"*0/.*( /#$)"
" /%*/)-#$/ /0-'*!!$ -*ǚ
# 3+ / /*- (*- ! /0- .*) /#/
+')ǚ -#+./#/$.2#4
2..* -&ǜ# - $..4$)"/#/"**'$ )/- / .
*Ǜ$!*)$/$*).-*. )( $/+*..$' Ǜ -#$/ /0- Ǜ0/$/2.- '4( )/$*) ǚ
/ - ./' ..2# )
- /0-) !-*(/# /-$+ǚ!/ - "**-#$/ /0- ǚ - 4*0"**'$ )/Ǣ

2.*).$ -$)"- '*/$)"/*)*/# - ! '/'$& '*1 ' // -/*/# !($'4ǟǹ'0"#Ǻ /# /-).DZ0-.$/-1 'Ǜ
& +/(&$)" #*$ǜ ''Ǜ/# . +-*% /.2 - 0.$) ..Ǜ.*4*0
*0)/-4ǚ0/$)/# ($' *!/# /-$+Ǜ/#  #*$ǜ
 '$ 1 
#1 2-$// )! /0- .*0/ *( ./$/-$+.ǚ#/$.2#4(4!-$ ).) .#*0')Ǩ/ 1 -!$'Ǜ-$"#/Ǣ*-()4- .*).Ǜ
*-*)1$-0.$. . DZƧƯ ")Ǜ.*
#/* 2$)*2.)**-.ǚ# )
/-1 '*1 -. .Ǜ ,0$)/) ./#*0"#//#/ǧ#*$*)"&0& /# 42 )/$)(*- *(( -$'$- /$*)/*/#/
- /0-)#*( ǚ
2*0'#1 & +//-1 ''$)"Ǜ
/& )*/ *!/#$)"./#/
*)*//4+$''4 ++ -./*#1 ./*++ 2*-&$)"ǚǨ *0/'$) $)/# *-$"$)'+')ǚ *2 1 -Ǜ/# - 
2# /# -$//**&4 -*-/2*ǚ#$./-$+ ") " //*. Ǜ.0#.24.*!*+ )$)") 2 - .*( /#$)"./#/
2.' /*($)/$)ǚ
2$/#*0/)4- ./-$/$*)./*/-1 '+ -$*ǚ '*.$)"2$)*2Ǜ.$5 .*!2$)*2.Ǜ) -&ǜ$4*0"-0''4./-//*-  $1 
)/$)-0Ǜ #0$'$)"$.. +-/ ǚ
24.*! )/ -$)"ǚ# 4++ -/* /#  +-*% /.!*''*2$)"/#/#$/0.Ǣ
+$'*. // )/$*)/* ).0-$)"/#/ #
-&ǜ*0/**& #) 1 -4+#*/*/#/2. ' ( )/./#/(4*4- .+*)./*(*./ #*$ǜ
./-/ 2*-&$)"!/ -2-.Ǜ0/*'4 (..)/# *($)/$*)*!(.. .2*0'

ǑǓǐ
 $)#-(*)4ǚ
)+-/$0'-Ǜ
 '$ 1  /- .ǚ*- *1 -Ǜ2# )/# 4-0./Ǜ/# 4- 
/#/./# .' *! #0$'$)"$)- . .Ǜ$/ /$)" 2$/#-*2)*'*0-ǚ
 )1$.$*) /# (
*0' *( $)*)"-0*0.2$/#/# +-*% /Ǩ.  *($)"*1 -/$( /# /- Ǩ.-&ǚ-$*-
*1 -''$)/ )/$*).) .$")Ǜ) 1 ) /*-0./$)"Ǜ.4*0. )*2Ǜ$/$.(/ -$'
++ -'0(.4ǚ
'.* '$ 1 /#/
2*0' /#/- !' /./# .&4)/# "-*0)ǚ
) 1 -(& .+ .Ǜ'$& .2$(($)"+**'.
*-&$/# )Ǜ+-*1$ $)'*"$)"!$'$/4Ǜ -&ǜ#0$'$)"'.*$./$)"0$.# .
)
2.' /*#*'/*/#/.2 ''ǚ  /2 )/# 2$)*2.( /*-2
// )/$*))2$)*2.( !*-1 )/$'/$*)ǚ
-&ǜ
./# - - .*) #$)4*0-
# -)*)*$. $).$ /# -**(ǚ
 $.$*))*//*$)/-*0 &$/# )Ǣ #*$ǜ
--)" .(''- !-$" -/*-/#/
#*$ǜ*0&)*22#/**&$)"$.'$& 2#$'  $. 1 ))*$. ' ...*/#/2 )($)$($. 
4*0Ǩ- 24ǚ# - - '*/*!/.&./**(+' /  )4+*..$' (#$) )*$. ǚ
2# )4*0./-/**&$)"ǚ
,0 ./$*) $!4*0
.#*0' 1 )(& 4*0-*2)!**2# )4*0-  -&ǜ# - 2.4*0-(*./
*)/-$+/*- ./ǚ#/2.#*2
! '/2# )
2. ( (*-' /-1 ' ./$)/$*)Ǣ
/-1 ''$)"ǚ
/#*0"#/*0/24*!& +$)"(4 #*$ǜ
 ')ǚ# - Ǜ4*0)+/0- ''
// )/$*)*)/# !//#/Ǜ
(/# *) 2#*Ǩ. !*0-. .*).!-*(.+-$)"Ǜ.0(( -Ǜ!''Ǜ
./4$)"Ǜ$)/#$..+ ǚ
).$($'-*)/ 3/Ǜ /*2$)/ -$).$)"' '$) *!.$"#/ǚ
/# - $.)**0'  ǚ1 )$!$/$.!($'4
*-*0+' Ǜ$/) .'$"#/'4*/# -.*( /* -&ǜ# )( .*!/# 0$'$)".$)/$)-0
.' +*)/# .(  2$/#/# .( ')& /ǚ - +-$)"Ǜ0(( -Ǜ''Ǜ)$)/ -ǚ
/++ -.
. 1 -4*) - /# ./$!! - )/-/ Ǜ#. /#/4*0-/#*0"#/.)! '$)".' 1 /- .Ǜ
$!! - )/# -/-/ Ǜ)! '.#*//$!! - )/ # - )/# - $)/# +-*% /.ǚ!/ -( /$)"
/ (+ -/0- ǚ*
0. .$)"'  *)'4Ǜ2#$# 4*0Ǜ
! ''$& 
2)//* (-&*)%*0-) 4ǚ
$.!$3 .*/#/$/))*/ (*1 ǚ1 )$!/2* #*$ǜ
!4*0" //*/-1 '*1 -. .Ǜ
#*+ 4*0" //*
+ *+' - /-1 ''$)"Ǜ/# 4)/' ./#1  . /# *0)/-4.$ ǚ *+' .&( 2#44*02*0'
/$( /*/# (. '1 .2# )/# 4- $) ǚ "*/*/# .*0/# -)+-/.-/# -/#)-$.2# )
4*01$.$/-) ǚ0/2# )
"*/*/# *0)/-4.$ Ǜ
-&ǜ
Ǩ((*- )(*- 0-$*0.*0/
! ''$& 
(. //$)"!**/*)/# -/#ǚ
/$)-0ǚ *2 1 -Ǜ.#''2 (*1 *)Ǣ
-&ǜ *+' #1 $!! - )/$ )/$/$ .ǚ!/# . Ǜ
4*0++ -/*- '/ (*././-*)"'4/*4*0-$ )/$/4

)/# //$/0 *!-1 '' - ./-1 '' -ǚ#$.$. 0. 4*0- ) 1 -


!-$/*- $)1$"*-/ )$) -/$DZ. '$! ǚ
-&ǜ
2'& 0+/# 2$)$)"+/# #*$ǜ
( +-*($. /*(42$! ǚ) 
/*2-./# + &*!/# (*0)/$)Ǜ0/ 2 !$)$.#+- )/$)"*0-#$'Ǜ2 .#*0'"*
*) 
--$1 ) -/$)-0Ǜ
.2-*2 /-1 ''$)"ǚ)' /Ǩ..+ )/# !$)'. *)*!
*!!$-/- .ǚ
! '/'( . )Ǜ.$!
 *0-'$1 .*)/# ./- /2#$' /-1 ''$)"ǚǹ'0"#Ǻ
2 - +..$)"4/# ) $''-/ ǚ
#*$ǜ*-$)"/*/# '*' ' -.Ǜ/# - 2 - 
#*$*)"&0&Ǜ*0-$)/ -1$ 2 Ǜ2)/./* .#- 
!$-/- .*)/# .$/ *!/$)-0ǚ *+' ' - 
.*( ./*-$ .!-*(ƧƦƦ..*$/ .ǹ*DZ+-$)$+'.Ǜ
/# "-*0)!*-/# *)./-0/$*)*!*(+' 3ǚ -&*'#Ǜ) 2)"$'Ǻ$) -0-4ƨƦƨƩ$..0 ǚ

-&ǜ$/#/#  3 +/$*)*!/# ($)$./-/$*)


#*$*)"&0&2*-& / ƨƧ!*-.$34 -.!/ -"-0/$)"
0$'$)"Ǜ 1 -40$'$)"#.) 3/ -$*-
!-*( *)&0&)$1 -.$/4ǚ!/ -*+ )$)"ƧƦƦ..*$/ .$)ƨƦƧƩ
!$)$.#*!"'1)$5 *--0"/ ./ '.# /.ǚ 2$/#*'' "0 .Ǜ# *+ )  -#$/ /0- '*) $)ƨƦƧƬǚ
)

/- . (' ./#/*!(+$)"-ǚ +-$'ƨƦƧƯǛ# %0(+ $)#$.-)' !/ *- !*-4 -/*


/-1 '-*..0-*+ 2$/##$.2$! )0"#/ -ǚ +0'$.# 
#*$ǜ
/#*0"#//# - . .*!*--0"/ 
AprilǹƨƦƨƦǺǛ/-1 ' ..4Ǜ)$.)*2!*0.$)"*)- '$.$)"
./ '.# /.!$/2 ''2$/#/#*. $)/# !$- /# .('' -DZ.' .+ .*0/2#$## #.'*)"- ( ǚ

ǑǓǑ
WWW.VMSPACE.COM

2022/01(650) 구독
경계 없는 건축을 향하여: 민현준
2022/02(651) 「SPACE(공간)」

적확한 추상의 세계: 정재헌 (배송비 포함, E-Magazine 무료)

2022/03(652) 국내

건축유산이 철거에 직면할 때 1년: 240,000원 / 2년: 432,000원 / 3년: 624,000원 (일반우편)
1년: 260,000원 / 2년: 472,000원 / 3년: 684,000원 (택배)
2022/04(653)
해외(1년)
공공건축이 진화하는 전선에서: 코어건축사사무소
제1지역(일본, 중국, 홍콩): 340,000원 / 미화 340 달러
2022/05(654)
제2지역(동남아시아): 380,000원 / 미화 380 달러
건축에서 균형을 찾는 방법: 민워크샵
제3지역(미국, 유럽, 중동, 호주): 400,000원 / 미화 400 달러
2022/06(655)
제4지역(남미, 동유럽, 아프리카): 460,000원 / 미화 460 달러
익숙한 것을 낯설게: 김효영건축사사무소
「SPACE」 E-Magazine 디지털 구독
2022/07(656)
1년 정기구독: 100,000원 (구독 기간에 해당하는 E-Magazine 접근 가능)
한계로부터 한계를 넘어서는: 숨비건축사사무소
전권 이용권: 1달 500,000원 (신청일로부터 한 달간 E-Magazine 전권 접근 가능)
2022/08(657)
구독신청: www.vmspace.com > ARCHIVE
귀납의 풍경: 강예린+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 납부방법
2022/09(658) 계좌이체(예금주: (주)CNB미디어)
진심이 건축이 될 때: 김승회 국민은행: 371101-04-080332, 우리은행: 1005-001-989826
2022/10(659) 지로 No.6359234
보편을 향한 전통의 진화: 구가도시건축 신용카드
2022/11(660) 문의
건축설계업을 크리틱하다 전화: 02-396-3359, 팩스: 02-396-7331
2022/12(661) 이메일: customer@spacem.org, editorial@spacem.org
보편적 어휘—특징적 건축: 온건축사사무소 구독신청: www.vmspace.com

ǒǐǒǒ
Ǒǒ
Ǖǐʷ
ʥǒǘǘǛǐǐǐ˞ʥǑǔǔǛǐǐǐ
SUBSCRIPTION

SPACE

2022/01(650) (Including shipping fee and free E-Magazine service)

Towards a Boundless Architecture: Mihn Hyunjun Korea

2022/02(651) 1 Year: 240,000 KRW /

A Precise World of Abstraction: Jeong Jaeheon 2 Years: 432,000 KRW /

2022/03(652) 3 Years: 624,000 KRW (post shipping)

When Heritage Architecture Faces Demolition 1 Year: 260,000 KRW /

2 Years: 472,000 KRW /


2022/04(653)
3 Years: 684,000 KRW (parcel service)
On the Front Line of Public Architecture: CoRe Architects
1 -. .ǹ*-))0'0.-$+/$*)Ǻ
2022/05(654)
Region 1. (China, Hong Kong, Japan): 340,000 KRW / 340 USD
To Seek Balance in Architecture: Min Workshop
Region 2. (Southeast Asia): 380,000 KRW / 380 USD
2022/06(655)
Region 3. (Australia, Europe, Middle East, USA): 400,000 KRW / 400 USD
Making the Familiar Unfamiliar: KHYarchitects
Region 4. (Africa, East Europe, South America): 460,000 KRW / 460 USD
2022/07(656)
SPACEDZ"5$) $"$/'0.-$+/$*)
Beyond a Limit at the Limit: su:mvie architects
1 Year: 100,000 KRW / 100 USD
2022/08(657)
1 Month access for all issues: 500,000 KRW / 500 USD
Induction into a Landscape: Kang Yerin + SoA
Order: www.vmspace.com > ARCHIVE
2022/09(658)
4( )/
When Sincerity Becomes Architecture: Kim Seunghoy Remittance (Depositor: CNB MEDIA / $)
2022/10(659) Woori Bank Seijongro Br. 1081-200-457430 / Swift code: HVBKKRSEXXX
The Evolution of Tradition Towards Universality: guga urban architecture Credit Card
2022/11(660)
),0$-$ .
Critiquing the Architectural Design Industry Tel: +82-(0)2-396-3359, Fax: +82-(0)2-396-7331
2022/12(661) E-mail: customer@spacem.org, editorial@spacem.org
Universal Vocabulary—Distinctive Architecture: On architects Order: www.vmspace.com
FEATURE
Public, Memory, and Place: When to Summon Abandoned Spaces

PROJECT
The Kaleidoscope – Inrestudio

PROJECT
6KDUHG5HVLGHQFH+DQD]RQR²73$UFKLWHFWV2IÀFH

PROJECT
Seongmunan CC Club House – Less Architects

PROJECT
Isabu Dokdo Museum – Simplex Architecture

PROJECT
Pavilion of Floating Lights – Jae K. Kim

SPACE 空間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