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도시 소규모 재생 사업

(인천 제물포 Staiton-J 영스퀘어)

20192354 정민섭
20191250 조한빈
1. 제물포

2. SITE

3. 인천도화지구

INDEX 4.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

5. 2040 인천기본도시계획

6. 제물포역 부근 계획안

7. 영스퀘어의 중요성
제물포

개항 일제강점 광복/전후 1990년대 이전 1990년대 후반 21세기 현재


(지역 쇠퇴 시작) (지역 쇠퇴 가속화) (도시재생 필요성 대두)

1, 개항 후 상권에 1. 전후 수출입 창구 1. 경제개발 5개년 1. 인천지하철 1호선 개통 1. IFEZ(인천경제자유구역) 조 1. 제물포 르네상스_


맞게 도시 성장 성 인천항 1,8부두 재개발
2. 일제/전쟁의 잔재 2. 중국의 개방 2. 부평역 중심 1호선 급행 - [영종/송도/청라 신도시 –
인 공단을 정부 정 열차 원 2. 가좌공단 재생사업
책 하 주도적 활용 도심] 양극화
3. 인천시청 이전 3. 개항창조도시_
3. 미국의 원조 2. 송도 지역 신항 개항 제물포 개항장, 월미도
(한미 친선위원회) 4. IMF – 대우그룹의 거점, - 여객&물류 통폐합에 따른
산업 기반이 흔들림. 기능 축소&물동량 감소 4. 2040 인천도시기본계획
_이전한 인천대 주변 &
STATION J 주변 지역
SITE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162번길 55-2 제물포역 북광장]

대지면적 : 4,336.2m2

예상연면적 : 13,925m2

용도 : 업무시설(공공청사) 및 공영주차장
인천도화지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다양하게 위치



청년 인구가 풍부한 지역적인 특성

인천대학교(제물포 캠퍼스)

본래 본 캠퍼스 역할을 하였지만 송도국제도시로 이전
2015년 이후로 거의 모든 시설이 철수

낡은 상태로 버려진 상태

원도심의 몰락의 가속화

제물포역 부근 → 도시활성화지역으로 선정

781채의 건물 중

76%인 594채 = 20년 이상 노후 건축물


7%인 54채 = 폐가 혹은 공실
인천대학교(제물포)

학교부지
도시 낙후 정도가 심각한 편
싸이트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

계속된 신도시의 개발(인천경제자유구역)



2006년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구역 지정

인천경제자유구역와 같은 대규모 도시 개발로 지연

2020년이 되서야 공동주택 조성사업 마무리

BUT

공동주택 주변의 생활환경이 좋아졌을 뿐

대학교 캠퍼스, 도화도시 전체, 제물포역 부근 등의


침체는 현재까지도 진행형
2040 인천도시기본계획 일부

인천대학교 제물포 캠퍼스 전체부지 22만m2 중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활용 주민들의 설문>


인천광역시 뿐만 아니라 도화지구 주민들도
7만m2 : 상업용지로 변경 + 녹지공간 확보, 국공립 어린이집 조성, 체육시설 및 도서관 건립 필요
도시 재생에 대한 필요성 인식
13만m2 : 학교시설 재배치
2만m2 : 녹지공간 및 완충용지로 활용 상업시설에 대한 수익으로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한 재투자 필요
제물포역 부근 계획안

1. 청소년층에게 다양한 디지털 프로그램의 제공

Ex) 영스퀘어, 스마트 미디어플랫폼, 스마트 커뮤니티팜 etc.

2. 노년층의 편의시설 제공

Ex) 제물포담소, 담소부, 스마트 경로당 etc.

3. 청년층에게 일자리환경의 마련

Ex) 영스퀘어, 도시/건축창업거점, 목공예마을 etc.

다양한 연련층의 유입 유도를 통한 도시 재생 기반 마련

<제물포 Station-J 영스퀘어 및 제물포담소 건립 설계공모 이후의 계획안>


영스퀘어의 중요성

인천 도시 재생 사업 중 초창기 사업으로 향후 사업의 기반 마련

디지털 문화지구의 중요 거점 역할

제물포역과 가까운 대지로서 유동인구 유입에 용이한 위치

제물포 지하상가와 인접한 위치로 청년층과 노년층의 만남의 광장 역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