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2021.03.

24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박준식
폭발적으로 증가한 한국의 도시화율

[ 아시아 국가들의 도시화율 ] [ 이례적으로 빠른 편인 한국의 도시화 속도 ]

 한국의 도시 거주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함

 세계적으로도 한국의 도시화 비율은 높은 편

 도심지 과밀화로 재해 발생 시 큰 피해가 우려됨


증가하는 지하공간 개발

[ 스마트시티 개발 ] [ 마천루 건설 ]

 도심지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지하공간의 개발은 증가

 도시인구가 증가할수록 지하수 사용량


또한 급격히 증가

[ 지하 빌딩 건설 ]
가라앉는 도시들

 미국의 경우  일본의 경우
 과도한 인공적인 도시개발이 지반에 큰 부담을  2011 년 기준 , 도시용수 중 24% 를 지하수에 의존함
가하고 있음  전국 64 개 지역에서 지반침하가 발견
 7 개의 지역은 연간 2 cm 이상 침하
국내 도심지 지반함몰 및 침하 사례

[2014.08.05 석촌 지하차도 부근 ] [2015.02.20 석촌 용산역 앞 보도 ]

[2015.03.29 서울 서대문구 ] [2019.04.22 명지 국제신도시 ]


국내 도심지 지반함몰 및 침하 사례

도시화에 따른 지하 개발과 지하수위 저하로


[2014.08.05
국내에서도 지반 함몰 및 침하가 발견되고
석촌 지하차도 부근 ]
있음
[2015.02.20 석촌 용산역 앞 보도 ]

-> 지속적인 지하공간 모니터링의 필요성

[2015.03.29 서울 서대문구 ] [2019.04.22 명지 국제신도시 ]


증가하는 위험성
기존 지반침하량 설계의 문제점

 지반은 공간적 특성이 지속적으로 변화함


-> 지속적 모니터링이 요구되지만 현재의 지반조사는 한정적 시점의 한계가 있음

 점토 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는 상당한 불확실성을 가짐 (Asoake and Grivas, 1982)

 지반의 건조수축으로 인해 침하량이 예상보다 늘어나는 사례가 있음 (Kim et al., 2006)

 서울시 행정구역 별 지반 함몰 발생 횟수  서울시 행정구역 별 토층 두께 분포

 토층이 두꺼울수록 침하사고가 많음 -> 설계 침하량 이상의 침하가 잦다


지반 침하사고 방지 관련 사업

 환경부  부산시

 노후 하수관 또는 공사장 인근 하수도 CCTV 및 육안  도로지반 탐사장비를 활용해 지반침하를 사전점검함


조사 (2015 ~ 2017)
 현재 조사 후 침하 발생 우려지역 하수관로 교체 및
개량 중
지반 침하사고 방지 관련 사업

 환경부  부산시

 노후 하수관 또는 공사장 인근 하수도 CCTV 및 육안  도로지반 탐사장비를 활용해 지반침하를 사전점검함


조사 (2015 ~ 2017)
 현재 조사 후 침하 발생 우려지역 하수관로 교체 및
개량 중

물리적인 정비사업과 더불어 지속적인 지반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증가함
스마트지반조사및모니터링 관련

 현실을 예측하는데 가상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 최근 기존 시추자료 , 지표면 조사자료와


분야가 증가하고 있음 지리정보시스템 , 3D 시각화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한
 싱가포르의 경우 전 국토를 가상현실로 구축하는 3D 도심지질모델 제작이 추진 중
버추얼 싱가포르 프로젝트를 추진중  3D 도심지질 모델은 인위적 , 지속적 개발로
지반탐사에 한계가 따르는 도시의 특성상 매우 유용함
 모델 작성을 위해 시추자료 , 시료정보 , 물성시험
결과의 체계적인 DB 화가 필요함

[ 전주 혁신도시 3D 지질도 구상 ( 김지성 외 ., 2019]


금학기 계획

 부산 내 가장 침하 위험이 큰 낙동강 하구 지역 지반
정보 조사
 선행 조사 결과 시추 자료 , 물성시험 결과 등 지반
정보가 파편화 된 상태로 보관중
 조사 결과 토대로 지반 정보 DB 구축
 DB 는 향후 3D 지질모델 작성 혹은 머신러닝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