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생산등록번호 토지정보과-1161 주무관 공간정보팀장 토지정보과장 교통도로국장 부시장 시장

2019. 1. 17.
등 록 일 2019. 01. 17.

결 재 일 2019. 01. 17. 김기한 이은종 허인선 이근배 이한규 은수미



공개구분 대국민 공개

재난안전관 김윤철 행정기획조정실장 박창훈



에너지관리팀장 김용민 정책보좌관 박정훈

주무관 유동혁 비서실장 오규홍

- 지하시설물 「발밑 공포」해소를 위한 -


드론을 활용한 열수송관 안전 점검 계획

성 남 시

토 지 정 보 과
- 지하시설물 「발밑 공포」해소를 위한 -
드론을 활용한 열수송관 안전 점검 계획

▻ 2019년 도입하는 드론 및 열화상카메라를 활용하여 사회적 재난으로


부각되는 열수송관 노후관로를 점검하여 지하시설물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성남을 만들고자 함.
* 2018년 드론 도입/운영규정 제정, 드론 협업업무(36개부서 94개 협업과제) 및 비행시간(15,390분) 전국 지자체 최다

Ⅰ 추진개요

□ 기 간 : 2019. 2. ~ 12.

□ 예 산 : 36,000천원(2019년 본예산 확보, 공무원 직접 수행)

□ 추진사항

○ 2019. 2. ~ 4. : 우리 시가 직접 수행하며 지역난방공사 담당자 교육

○ 2019. 7. : 지역난방공사 드론 및 열화상카메라 도입

○ 2019.11. ~ 12. : 지역난방공사 단독수행 및 성남시 제도적 지원

□ 점검방법

○ 드론에 장착된 열화상카메라를 활용하여 열수송관 매설지역 촬영

- 기존 방법(지역난방공사) : 도보 및 차량을 이용한 점검

- 효율성 : 넓은 시야각으로 탐사 누락 방지, 하천·산지 등의 접근불가 지역 해소

○ 점검원리 : 노후관로의 파손된 지역에서 흘러나오는 지열 탐사

□ 대상지역 : 파급효과 집중지역(다중이용시설, 역세권 등 약 10㎞)

□ 촬영자료 활용 : 재난안전관 및 지역난방공사 제공을 통한 안전관리 활용


Ⅱ 필 요 성

□ 열수송관의 노후화 문제는 시민의 안전을 심각하게 침해

성남시 열수송관 노후화 정도 노후화 정도 연장(㎞) 비중(%)

16% 20년 이상 194 78


6% 20년이상
15~20년
15~20년 15 6
15년 미만
78%

15년 미만 41 16

□ 드론을 활용하여 점검 시 기존 5일 소요될 점검을 1일에 가능

□ 드론의 넓은 화각으로 누락을 최소화 시켜 점검의 효율성 향상

□ 시민의 안전을 저해하는 요소에 대한 적극적이고 신속한 대응 필요

Ⅲ 추진방향

□ 신속·정확한 점검을 통한 위험지역 도출 및 관련기관 자료 제공

□ 드론을 이용한 점검의 효율성 극대화(시야, 각, 높이 등)

□ 지역난방공사 점검의 자생적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훈련 수행

□ 자료의 분석 및 후처리는 관리기관 수행(해당 목적 외 사용 제한)

□ 자료 제공에 따른 피드백을 통한 발전방향 모색(수시)


드론을 통한 점검 모습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난방 열 이동 점검

*열화상카메라 성능 : 온도분해능(NEDT) <50MK, 최대열화상 프레임 레이트 30HZ, 시간센서 13MP이상

Ⅳ 추진계획

□ 2019. 2. : 추진사항 및 절차 협의(세부적 공간과 시간 확정)

□ 2019. 3. : 드론 및 열화상카메라 도입

□ 2019. 3. : 열수송관로 자료 인수 및 촬영대상지역 선정

□ 2019. 3. ~ 4. : 열수송관 촬영(다중이용시설, 역세권, 주수송관 매설지역)

□ 자료구축 및 제공절차

지역난방공사 토지정보과 재난안전관

파급효과 집중지역 드론을 통한 열수송관 자료제공


▶ ▶ 자 료 관 리
자료제공 점검(2달)

자료를 활용한 자료제공 위 험 지 역



시설물 개선 밀 착 관 리
□ 월별 추진계획

2019년
업무분담
1 2 3 4 5 6 7 8 9 10 11 12

지역난방공사 성남시 보조 기체도입 단독 수행

드론
드론 열수송관
열수송관
점검(성남시)
점검(공사)
기체도입, 공사 직원 드론
성남시 제도적 지원
활용교육

□ 추진목표

추진목표 단위 목표 2월 3월 4월 11월 12월

드론을 활용한 열수송관 점검 km 10 2 5 3

기술적 지원(드론 교육) 회 25 5 5 5 5 5

제도적 지원(비행승인) 회 20 10 10

Ⅴ 기대효과

□ 드론을 활용하여 재난에 대응한 기존 체계의 보완

□ 드론 활용성 확장을 통한 드론 발전에 기여

□ 시민 안전성 확보를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