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9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공 학 석 사 학 위 논 문

FLO-2D를 이용한 토석류의


이동과 확산에 관한 연구

김 남 균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재해방재 전공

2011년 2월
전 병 희 교수지도
공학석사학위논문

FLO-2D를 이용한 토석류의


이동과 확산에 관한 연구

A St
udy on Tr
anspor
tandDi
ffusi
on of
Debr
isFl
ow wi
th FLO-2D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재해방재 전공

김 남 균
김 남 균의 석사 학위논문을
합격으로 판정함

2010년 12월

심사위원장 인

위 원 인

위 원 인
FLO-2D를 이용한 토석류의
이동과 확산에 관한 연구

김 남 균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재해방재전공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발생이후 지형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지상


라이다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 현장에서 측량을 실시하고,FLO-2D 모델을 이
용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2009년 7월 14일 제천시 일대를 지나간 최대 시강우량 64mm/
h(제천시 봉
양읍)
의 집중호우로 인해 제천시 일대에 다수의 토석류 피해가 발생하였다.토
석류가 발생한 것은 7월 14일 이전에 2-3일 간격으로 2회의 사전강우가 있었으
며,세 번째 강우에서 일시적으로 강한 시간강우에 의해 다량의 토석류가 발생
하였다. 백운관측소에서의 시간 최대 강우는 64mm/
h였으며, 누적강우는
455mm에 해당되었다.
강우에 의해 유발된 토석류의 지형변화를 위해 피해 발생 전의 1:
5000수치
지도를 이용하여 토석류 피해지역의 수치고도모형을 만들고 이를 발생 전 지형
으로 가정하고 발생 후 지상 라이다를 이용하여 획득한 자료와 비교하여 지형
변화를 평가하였다.
토석류 발생 전후의 DEM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결과로 침식과 퇴적체적을
계산할 수 있다.그러나 분석과정에서 포인트 자료를 기존의 수치지도에 중첩
하여 보간을 통해 폴리곤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때 수치지도의 축적이나 지역
적인 경사도에 따라서 보간시에 실제 지형과는 다른 형태로 보간이 되었다.따
라서 보간시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연구지역을 중심으로 클리핑을 하였으
며,이에 따른 결과로 침식량은 17,
586㎥,퇴적량은 7,
520㎥로 산정되었다.

- i -
이러한 실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FLO-2D 모델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검토하
였다.기본 입력 인자값은 고정하고 유량의 유입위치에 따라 3가지의 경우에
따라 모의을 하였다.
고려된 인자로는 강우량을 이용하여 합리식을 사용해 유량을 계산하였으며,
토사량은 토석류가 발생할 당시의 흐름과 가장 유사한 흐름 형태를 가진 유량
의 40%를 적용하였다.기존문헌에서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본 연구지역의 지
형상황과 가장 유사한 값인 점성 101poi
ses,항복응력 116.
71dyne
s/㎠,토사의
비중 2.
65를 적용하였으며,격자 크기는 5m를 적용하여 3가지의 Cas
e별로 결과
를 도출하였다.
Case
1은 토석류 발생 최상단지점,Cas
e2는 실제 토석류가 발생한 지점인
최상단지류와,하부지류,두 지점,Cas
e3은 Li
DAR를 촬영한 최상단 지점에 유
입량을 입력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 토석류의 확산 면적은 실측량은 약 25,
845㎡,Cas
e1은
26,
725㎡,Cas
e2는 27,
400㎡,Cas
e3은 25,
200㎡로 비슷한 결과를 모의하였다.토
석류의 퇴적량은 Case
1은 71,
62㎥,Cas
e2는 6,
493㎥,Cas
e3은 5,
872㎥로 실제
토석류 퇴적량과 비슷하게 나타났다.이는 모의션 된 토석류의 퇴적량과 이동
확산 면적이 실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최대 유동심에 있어서는 Cas
e1은 1.
88m,Cas
e2는 2.
1m,Cas
e3은 1.
79m로
나타났고,최대 유속은 Cas
e1은 5.
47m/
s,Case
2는 4.
08m/
s,Case
3은 3.
91m/
s
로 나타났다.토석류 발생 당시의 유속과 유동심에 대한 확인이 어려워 향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판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
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토석류의 이동과 확산 분석 및
FLO-2D 모델 적용을 통해 새로운 토석류 해석의 방법과 FLO-2D 모델의 토
석류 해석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ii -
목 차

국문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i
표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그림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i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I
I.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토석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Li
D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3.FLO-2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I
II.연구대상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1.연구지역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2.연구지역의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3.강우상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I
V.토석류 해석 방법 및 모형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1.Li
DAR 및 GI
S를 이용한 공간자료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2.FLO-2D 모델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iii -
V.토석류 모형의 적용결과 및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1.Li
DAR를 이용한 지형변화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2.FLO-2D 모델 적용 기준에 따른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VI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Abst
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 iv -
표 목 차

표 1.사면의 운동현상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표 2.연구지역의 지리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표 3.우리나라 산사태 경보 발령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표 4.FLO-2D 모델 입력 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5.유출계수 산정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표 6.토사농도에 따른 흐름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7.실측값과 FLO-2D 모델 결과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 v -
그 림 목 차

그림 1.연구 순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그림 2.유동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그림 3.LiDAR 작업 프로세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4.네트워크기반의 RTK GPS 데이터 처리 순서 . ..
..
..
.
..
..
.
..
..
..
.
..
..
.
..
..
. 9
그림 5.VRS 데이터의 흐름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6.TimeofFl i
ght레이저 스캔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7.송수신 신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8.HuaceX90Ne twor kRTK 시스템 구성도 . .
.
..
..
.
..
..
..
.
..
..
.
..
..
..
.
..
..
.
..
..
. 13
그림 9.Scanner
의 장치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그림 10.LiDAR 장비의 기본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그림 11.FLO-2D에 의해 실행되는 물리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그림 12.토사농도에 따른 유체의 흐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그림 13.연구대상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14.제천지역의 토석류 발생 현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15.연구지역의 항공사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구람 16.연구지역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그림 17.상류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18.중류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19.하류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그림 20.연구지역의 강우상황( 백운관측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21.산사태 발령 경보 기준과 강우상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22.토석류 발생이후의 지형변화 분석 순서도 .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23.수치지형도( 1:5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그림 24.등고선도( 1:5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그림 25.TIN 생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그림 26.GRID 생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그림 27.지역좌표보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그림 28.현장 dat a취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그림 29.같은 위치에서의 Sc andat
a(좌) 와 현장사진( 우) . .
..
.
..
..
.
..
..
..
.
..
..
.
..
..
. 28
그림 30.필터링 전( 좌) ,후( 우)Sc andat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vi -
그림 31.DEM 생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그림 32.FLO-2D 모델 적용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그림 33.지점별 토석류 발생 현장 상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그림 34.유출 수문곡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그림 35.기존 연구된 토사농도에 따른 점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그림 36.기존 연구된 토사농도에 따른 항복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37.Scandat
a획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38.토석류 발생전( A),후( B)DEM 및 연산결과( C) ..
..
..
..
.
..
..
.
..
..
..
..
..
. 37
그림 39.토석류 흐름 중심부의 종단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40.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41.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42.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43.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44.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45.수치지도 중첩시 발생하는 오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46.보간 전후의 침식,퇴적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그림 47.실제 토석류 발생 영역( 좌) 과 FLO-2D 모의 결과( 우) . .
..
..
.
..
..
.. 42
그림 48.FLO-2D 모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49.FLO-2D 모의 결과 비교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50.토석류 확산 면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51.FLO-2D 퇴적량 모의 결과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그림 52.토석류 퇴적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그림 53.FLO-2D 최대 유동심 모의 결과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54.최대 유동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55.FLO-2D 최대 유속 모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56.최대 유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vii -
I
.서 론

1.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자연재해에 의한 사망자 중 토석류


등의 지반재해에 의한 사망자는 전체의 27%에 달하고 있다(
박덕근 외,2007)
.
대표적으로는 2002년 태풍 루사,2003년 태풍 매미,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그
에 따른 호우에 의해 산악지역으로 이루어진 강원도를 중심으로 많은 토석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토석류 및 산사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이전 연구는 GI
S를 이용한 위험도 판정에 관한 논문들(
이승기 등,2005;
김경태 등,2005;조남춘 등,2006;김기홍 등,2008)
과 지형인자 및 강우인자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
윤홍식 등,2009;김경석,2008)
과 토사거동예측모델을 위
한 실내실험(
채병곤 등,2006;김기환 등,2008)등이 주된 내용을 이루어왔다.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토석류 발생 시 일어나는 지형변화에 대한 현장자료
가 구축된다면 토석류예측모델의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그에 따라
구체적인 대책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그러나 토석류 발생량은 발생 전의 정
밀지형자료의 확보가 사실상 어렵고 발생시점에서의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다
양한 방법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토석류 발생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첫째,일반적으로 현장조사 시 줄자와
폴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붕괴지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붕괴
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있다.하지만 인력의 접근이 어렵거나 붕괴지가 붕괴 전
오목(
凹)이나 볼록(
凸)인 형상을 가졌을 때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둘
째,대상지역의 면적에 전체 유역의 산사태 발생면적 비율을 곱하고 붕괴지역
의 평균토심을 곱하여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윤호중 등,2009)
.셋째,토석류 발
생 전 지형을 추정하는 원리에 의한 방법으로,산지사면이 연속적이며 일정 각
도로 안정한 상태인 것을 전제로 발생 후 측정한 지형자료에서 토석류 발생지
의 측량 점을 제거한 뒤 TI
N(Tr
iangl
eIr
regul
arNe
twor
k)보간법을 통해 발생
전 지형을 산정하고 발생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 1 -
최근 건설이나 산업현장에서 라이다(
Light De
tec
tion And Rangi
ng,
Li
DAR)
를 이용하여 측량자료를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취득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Du와 Te
ng,2007)
,국내 연구사례에서도 높은 정확도와
효율성을 보고하고 있다(
강준묵 등,2007;윤희천과 박준규,2007)
.
이렇게 높은 정도의 토석류 발생현장에 대한 상황을 구현함에 따라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되는 토석류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 현장에서 Li
DAR를 이용하여 정밀 측량을 통해
지형의 변화를 파악하고,토석류 해석프로그램인 FLO-2D 모델을 이용하여 토
석류의 발생,이동,퇴적의 과정을 파악하여 토석류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
는지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2 -
2.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와 Li


DAR의 정
밀 측량 자료를 이용해 지형의 변화를 분석하고, FLO-2D 모델을 이용하여 토
석류발생 이후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모의을 하여 FLO-2D의 적용성
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을 간단히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토석류가 발생한 지
역을 대상으로 하여 토석류 발생이전의 지형을 수치지도로부터,토석류 발생이
후의 지형을 지상 Li
DAR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하였다.생성된 DEM을 통
해 토석류 발생이후의 지형적인 변화를 추정하고 분석하였다.또한 같은 지역
을 대상으로 FLO-2D 모델에서 DEM,점성,항복응력,유사농도,강우량을 기
초 입력 변수로 이용하여 토석류의 확산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이렇게 예
측된 확산범위는 실제로 토석류가 확산된 범위와 비교하고 그 외의 유동심이나
퇴적량 등을 비교하여 FLO-2D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림 1.연구 순서도

- 3 -
I
I.이론적 배경

1.토석류

1)정의

토석류는 토사와 물의 혼합물이 중력을 받아서,일종의 연속유체인 것처럼


이동하는,강한 유동성을 발휘하는 현상으로서 정의된다.
토석류라는 용어는 오스트리아의 지질학자인 St
iny(
1910)
가 Di
e Mur
en(

문명:
debr
isf
low)
이라는 그의 저서에서 처음으로 언급하였는데,그는 부유물과
유사를 다량으로 운반하는 산지의 홍수유출을 토석류로 정의한 바 있다.
Shar
pe(
1938)
는 토석류와 토석사태(
debr
isaval
anch)
를 구분하여 정의하였
는데,토석류는 경사가 급한 수로에서 물로 포화된 토석의 흐름현상으로 정의
하였고 토석사태는 눈사태(
aval
anc
he)
현상과 유사하게 급경사 사면에서 얕은
사면파괴 토체가 빠르게 흐르는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Var
nes
(1954,1978)
는 산사태에 포함되는 재료와 운동형태에 따라 산사태
를 분류하였으며,토석류를 흐름운동(
flow)
으로 분류하고 재료에 따라 암석류
(
rockf
low)
,토석류(
debr
isf
low)
,토사류(
ear
thf
low)
로 구분하였다.
수리학적 관점에서 토석류를 정의하는 경우도 있는데,하상유사를 다량 포
함하는 홍수와 토석류가 연속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중간상태를 고농도류(
hype
rconc
ent
rat
edf
lood)
라는 용어로 정의하기도 하였
다.
(Be
ver
age& Cul
ber
tson,1964)
.
Hut
chi
nson(
1968)
은 수로형 토석류(
channe
liz
ed de
bri
sfl
ow)
와 사면형 토
석류(
hil
lsl
opede
bri
sfl
ow)
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는데,발생 형태가 쉽게 구분되
기 때문에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구분방법이다.사면형 토석류는 수로
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사면 내에서 발생하여 토석유출에 비해 그 이동거
리가 비교적 짧으며 수로형에 비해 규모가 작고 이동거리는 주로 경사도에 좌
우된다.수로형 토석류는 수로를 기반암까지 침식시키고 발생지점에서 수십 내
지 수백 km정도까지 이동하는 토석류를 말한다.

- 4 -
여러 나라의 문헌에서 사용되는 토석류 현상에 대한 다양한 용어 정의는
토석류의 구성 물질,흐름속도,발생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이는 토석류라 부르는 현상이 다양한 구성 재료의 흐름이 계곡부와 경사진 지
형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2)분류

유동(
Flow)
은 전단면이 짧고 구성 물질간의 유격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운동이다.유동은 대부분의
경우 중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구성 물질,운동속도,침전물의 농도에 의해
분류 할 수 있다.유동은 지속적이고 회복이 불가능한 변형을 유발하며 이동되
는 물질 내부에서 상대변형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유동은 이동되는
물질에 따라 암반유동(
Roc
k Fl
ow)
,토석류(
Debr
isFl
ow)
,토사류(
Soi
lFl
ow)

으로 세분 할 수 있다.

표 1
.사면의 유동현상 분류(
Var
nes
,19
78)
Types of material
Engineering Soils
Types of Movement Predominantly Predominantly
Bedrock
coarse fine
Falls Rock Fall Debris fall Earth fall
Topples Rock topple Debris topple Earth topple
Rotational Few Rock slump Debris slump Earth slump
unit Rock Block Debris block Earth Block
Slides
Translational Many slide slide slide
unit Rock slide Debris slide Earth slide
Lateral Spreads Rock spread Debris spread Earth spread
Rock flow Debris flow Earth flow
Flows
(deep creep) Soil creep
Combination of two or more principal types of
Complex
movement

표 1은 사면에서의 유동의 분류를 보여주고 있다.가로축에 도시된 경계면


A,B,C는 유동학적을 성질이 다른 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포함된 입자의 분
포와 침전정도를 보여주고 있다.침전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입자가 가지고

- 5 -
있는 전기화학적 힘에 의해 유체는 점성(
Vis
cosi
ty)
을 갖게 되는데,이러한 점
성을 파괴시키는데 필요한 최소 응력을 항복응력(
Yie
ld St
rengt
h)이라 하며 그
림 1에서는 경계 A에서 항복응력이 발생하게 된다.항복응력은 경계 B에서 가
장 크며,액상화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토석류에 대한 분류는 연구자별로 분류기준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그중
많이 인용되고 있는 토석류 분류방법은 Var
nes
(1978)
가 제안한 방법인데,통상
산사태로 칭하는 현상을 운동 형태와 구성 재료에 따라 표1과 같이 분류하였
다.

그림 2.유동의 분류

- 6 -
2.Li
DAR

1)측정원리

(
1)개요 및 데이터 취득방법

그림 3.Li
DAR 작업 프로세스

① 좌표 및 스캔 데이터의 취득과정
좌표시스템은 사용자가 상대좌표시스템(
Scanne
r'sown c
oor
dinat
esys
tem
(
SOCS)
/Pr
oje
ct coor
dinat
e sys
tem (
PRCS)
)과 절대좌표 시스템(
Global
c
oor
dinat
esyst
em (
GLCS)
)중 작업 할 좌표 시스템을 먼저 선택하고 작업을
수행한다.절대좌표 시스템은 광파기,토탈 스테이션,GPS등을 이용할 수 있다.

② 후처리 및 데이터 최적화 과정


RI
EGL 후처리 프로그램인 Ri
SCANPRO를 이용하여 절대좌표를 각 스캔
포지션에 입력을 하여 상대좌표인 스캔 데이터를 절대좌표로 변환시켜준다.모

- 7 -
든 스캔 포지션을 절대좌표로 변환시켜준 후 포지션을 병합시켜준다.병합된
모든 측정 포인트를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원시 포인트를 샘플링(
Sampl
ing)
,
필터링(
Fil
ter
ing)
를 한다.이후 등고선 추출,벡터 드로잉,편차 분석,거리/
각도
측정,레벨 변환,볼륨,면적계산,파노라마 이미지 생성,데이터 최적화,고해상
도 화면 이미지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③ 프로그램 호환 작업
CAD 및 GI
S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작업을 수행한
다.

(
2)GPS측정원리

① GPS개요
위성측위시스템(
GlobalPosi
ti
oni
ng Syst
em,GPS)
은 약 2만Km상공에서 지
구 주위를 선회하는 24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로 지구상의 정지 혹은
이동 중인 물체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GNSS(
GlobalNavi
gat
ionSat
eli
teSyst
em)
는 제 1세대 인공위성측위스템인
NNSS(
Navy Navi
gat
ion Sat
ell
it
e Syst
em)
로부터 시작되었으며,측지학적으로
WGS-72를 결정하기 위한 핵심데이터를 제공하는데 공헌하였다.
GPS의 현대화계획으로 기존에 운영 중인 Bl
ockI
IR위성에서 Bl
ockI
IM이
2003년부터 발사되었고,그 이후에 Bl
ockI
IF는 2005년부터 발사되었다.Bl
ock
I
IM에는 L1,L2대에 군사전용인 M코드를 탑재하고,L2대에 별도로 민간용 신
호인 L2C가 증설되었고,Bl
ockI
IF에는 민간전용 L5대 주파수가 탑재되었다.
모든 위성은 2013년에 Bl
ockI
IF로 교체될 예정이다.
(최윤수 외,2004)

② 네트워크 기반의 RTK GPS 측위 원리


하나의 기준국으로 운영되는 RTK측위기법(
standar
d RTK)
은 빠르고 신뢰
성 있는 미지정수해석을 위해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를 10∼20Km로 제한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이렇게 수신기간의 거리를 제한하는 이유는 궤도오차,
전리층 및 대류권의 지연(
굴정)
오차와 같은 거리에 의존하는 오차가 수신기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적절히 소거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이러한 오차는 이동국의 위치 주변에 기준국(
GPS상시관측소)
관측

- 8 -
자료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모델화 할 수 있으므로,St
andar
dRTK방식은 하나
의 기준국에서 여려 개의 기준국으로 확장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RTK
GPS측위 기법을 통해 정확도와 효율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림 4.네트워크기반의 RTK GPS 데이터 처리 순서

- 9 -
네트워크 기반의 RTK GPS측위의 데이터 처리는 그림 3과 같이 세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미지정수결정은 기준점 망에서 이루어진다.결정된 미지
정수는 거리에 의존하는 오차의 정확한 모델링을 위해 사용된다.지점의 좌표
를 정확히 알고 있기 때문에 ne
twor
k에서 미지정수결정은 일반적인 RTK 미지
정수결정과는 차이가 있다.거리에 의존하는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되
는 관측오차와 원래의 정보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I
GS에서 알려주는 위성궤
도력,망처리의 최근결과에 근거한 전리층 및 대류권 조정량,예전의 망 데이터
의 평가로 산정된 반송파 위상 다경로 조정량,안테나조정에 의한 안테나 페이
즈 중심 보정량등을 사용한다.전리층과 궤도오차는 각각의 위성에 대해서 각
각 모델화되어야 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조정모델의 계수가 산정된 몇 개의 기술들이 기준점
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에 따른 오차를 모델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그러나,대
류권 오차는 관측지점간의 관계로 산정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이 기술들은 전
리층 오차는 거리에 따른 오차가 계산되어지는 것으로써 일시적으로 큰 변화량
을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모델화할 수 있는 오차로부터 쉽게 모델화 할
수 없는 오차(
전리층오차)
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기준국 관측량의 최적의 조정량이 이동국 수신기와 가
장 가까운 주 기준국의 관측량과 거리에 따른 오차의 정확한 조정모델로부터
계산된다.조정모델과 좌표는 주 기준국의 위치와 개략적인 이동국의 위치와
다르다는 것에 근거하여 기준국의 관측량은 이동국 위치로 가상적으로 변환된
다.이 관측량은 이동국 수신기의 위치 결정에 사용된다.

③ VRS방식
네트워크 기반의 RTK GPS측위에서는 망조정량이 전송방식에 따라 FKP
방식(
Are
a Cor
rec
tion Par
ame
ter
, 면보정계수)
과 VRS방식(
Vit
ual Re
fer
enc
e
St
ati
on,가상기준점)
으로 구분이 된다.
VRS방식에서,가상이라는 말은 네트워크내의 실제 기준국들을 이용하여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기준국에 대한 관측치를 형성한다는 개념에서 비롯되었
으며,기존의 RTK에서 기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오차의 공간적 상관성이 결
여되어 나타나는 이동국의 위치 정밀도 저하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즉,1점 측위방식으로 계산된 이동국의 대략적인 좌표를 네트워크 서버로

- 10 -
전송한 후,임의의 이동국에 가까운 지점에 가상의 기준국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 가상의 기준국에서 획득한 것과 같은 관측치를 상시기준점의 네트워크 자료
를 이용하여 형성하고,네트워크에 서버에서 생성된 조정량을 다시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이 가상의 기준점과 이동국과의 RTK를 통하여 정확한 이
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림 5.VRS 데이터의 흐름도(


Vol
lat
h,e
tal
.2002)

(
3)Sc
anne
r측정원리

레이저를 이용한 지형·


지물의 측정은 측정 대상에 레이저를 쏘아 표면에
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광을 광센서(
li
ght
-de
tect
ing s
ensor
)를 이용하여
감지,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장치는 송신부(
transmi
tt
er)
, 수신부
(
rec
eive
r),처리부(
proce
ssor
)로 구성된다.
Ti
me-Of
-Fl
ight
(TOF)또는 Rangi
ng으로 불리는 레이저스캔방법은 레이저
빔을 보내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온 빛이 대상의 표면에 부딪혀 일부는 주
변으로 퍼지게 되고 나머지는 수신부로 되돌아오게 되는데 이 때 돌아온 빛의
왕복시간과 각도를 계산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측정에 사용된 장비를 다음의
그림 6에 나타내었다.

- 11 -
그림 6.Ti
meofFl
ight레이저 스캔방식

그림 7.송수신 신호

그림 7에서 송신과 수신사이의 경과시간  는    의 식으로 계산되어 질


수 있다.여기서  은 송신된 수파수가  에서   로 변할 때의 시간이며, 는
수신된 주파수가   에서   로 변할 때의 시간이다.따라서 경과된 시간에 빛의
속도를 곱하면 왕복거리가 산출되며,측정대상물까지의 거리는 다음 식과 같다.

- 12 -
 ×    
  (
1)

2)측정장비

(
1)Ne
twor
kRTK 시스템 구성

그림 8
.Huac
eX90Ne
twor
kRTK 시스템 구성도

GPS는 HUACE사의 X90 2주파 RTK(


RealTi
me Ki
nemat
ic)
가능 장비로
국토지리원에서 구축한 VRS(
Vir
tualRef
erenceSys
tem)RTK시스템을 이용하
여 수평방향 ±10mm+1ppm,수직방향 ±20mm+1ppm의 정확도로 위치정보를 획

- 13 -
득할 수 있다.
X90/
X60GPS/
GNSS 시스템의 구성은 Rove
rrec
eive
r1대,2M 카폰 폴대
1개,PDA 1대,블루투스 핸드폰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
2)Sc
anne
r구성

그림 9.Sc
anne
r의 장치 구성 그림 10.Li
DAR 장비의 기본 구성

현장의 스캔에 사용한 장비는 RI


EGL사의 LMS-Z210i
i로 반사율 80%기준
에서 최대 측정거리 650m,수직 0°
∼80°
,수평 0°
∼360°범위로 15mm의 오차
수준으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카메라와 GPS를 장착하면 측정 포인트의
RGB값 및 절대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3.FLO-2D

- 14 -
1)개요

그림 11.FLO-2D에 의해 실행되는 물리 과정

미국 콜로라도 주 대학에서 개발된 FLO-2D모델(


O'Br
iene
tal
.,1993)

그리드 기반의 물리적 모델로써 지표면과 하도내의 홍수-수문곡선과 강우-유
출을 추적할 수 있다.이 모델은 운동학,확산,운동파 방정식을 이용하여 운동
량방정식으로 접근한다.
FLO-2D는 홍수흐름과 발달된 토석류 사이에서의 이송은 지형데이터와 혼
합물의 특징을 이용하여 모의 가능하며,Bi
ngham 모델에 난류항과 Bagnol
d모
델의 전단응력 분포를 결합한 것이다.장점으로는 격자와 시간에 관계없이 유
동심,속도,압력이 예상가능하고,그리드 기반의 모델로써 GI
S 및 기타 응용
프로그램들과 연동이 쉽다는 점이다.하지만 하상침식에 의해 유발된 토석류
체적의 증가는 FLO-2D 모델에서 고려 할 수 없기 때문에 토석류의 퇴적이나

- 15 -
확산영역에서의 토석류 모의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2)토석류의 흐름

토석류의 정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는 토사의 농도에 관한 것


이다.토석류의 토사농도에 관련된 것은 체적농도,중량농도,밀도,혼합물의 농
도,규모 등이다.토석류에 관련된 인자를 표현할 때,가장 중요한 것이 중량
또는 체적농도이고 체적농도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토사의 부피/
물+토사의 부피 (
2)

여기서  는 토사의 중량농도  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3)

여기서  는 물의 비중량이고, 는 토사의 비중량이다.토석류 비중량  은


토사 체적농도의 기능을 한다.

        (
4)

유사하게 토석류 혼합물의 밀도 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5)

그리고

    (
6)

여기서  는 중력가속도이다.결국,토석류의 물과 토사의 총 체적은 물과


토석류 규모(
Bul
kingFac
tor
)의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토석류 규모는 간단하게

- 16 -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     (
7)

다시 말해,토사의 체적농도가 50%일 경우에는 토석류의 규모가 2.


0을 나
타낸다.
이러한 간단한 관계는 토석류를 시뮬레이션을 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쓰
인다.대부분의 토석류 연구에는 토석류의 규모를 정의하기 위해 토사의 체적
농도를 추정하게 된다.또한 토석류의 억제를 위해 홍수시 토사농도의 평균과
최고 농도를 추정해야한다.이전의 연구에 기초하여 토석류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표현 될 수 있다.

그림 12.토사농도에 따른 유체의 흐름

- 17 -
I
II.연구대상지역

1.연구지역의 개요

2009년 7월 14일 제천시 일대를 지나간 시강우량 64mm/


h(제천시 봉양읍)
의 집중호우로 인해 제천시 일대에 다수의 토석류 피해가 발생하였다.다수의
피해지 가운데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가 적어 피해복구가 늦추어진 현장을 조
사하기 위하여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일대 공전2구 유미고개로부터 상류 쪽으
로 약 2km 지점인 토석류 발생지역을 연구지역으로 결정하였다.
그림 13은 제천시 행정경계로 연구지역을 나타내었고,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우관측소가 6군데로 연구지역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백운관측소의 강우량 값
을 적용하였다.그림 14는 제천 지역의 여러 토석류가 발생한 현장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3.연구대상지역 그림 14.제천지역의 토석류 발생 현장

- 18 -
2.연구지역의 특징

연구지역은 충북 제천의 북쪽에 위치하며 북동-남서 방향의 능선이 주로


발달하고 있으며 계곡부의 발달은 동-서 방향으로 주계곡이 발달하였다.유역
2
의 면적은 약 1.
22km 정도이며,유역의 해발고도는 최저 275m,최고 680m,평
균 464m 이며,토석류 발생 지역의 길이는 2km 정도이며 이 지역에서의 평균
경사는 약 12도로 나타났다.
(표 2)그림 15와 16은 연구지역을 각각 항공사진과
수치지도로 나타낸 것으로 토석류의 이동 경로를 표현하였다.

그림 15.연구지역의 항공사진 그림 16
.연구지역의 개요

표 2.연구지역의 지리적 특성

Parameters Values
2
Basi
nar
ea(
km ) 1.
22
Basi
nmaxi
mum e
levat
ion(
m,a.
s.
l.
) 680
Bas
inmi
nimum e
levat
ion(
m,a.
s.
l.
) 275
Basi
nme
ane
levat
ion(
m,a.
s.
l.
) 464
Basi
nme anslope(degr
ee) 22.0
Channellengt
h( m) 2,
030
Channelslope(degree
) 7
.8
De
bri
sfl
ow ar
eas
lope(
degr
ee) 11.
9

- 19 -
그림 17∼19는 토석류가 발생한 현장의 상황을 나타낸 사진으로 각 위치별
로 흐름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그림 17은 상류지역으로 토석류가 발생하기 시
작한 지점으로 주로 침식이 발달하였고,그림 18의 중류부는 침식과 퇴적이 동
시에 발생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하류부는 침식보다 퇴적이 많이 이
루어짐에 따라 그림 19와 같이 비닐하우스나 가옥에 피해를 입었다.

그림 17.상류부

그림 18.중류부

- 20 -
그림 19. 하류부

- 21 -
3.강우상황

토석류 발생에 미치는 강우의 영향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의 강우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토석류 발생을 예보하고 대비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연구지역인 제천 시내에는 6곳의 기상관측소가 있으며,그중 연구
지역인 공전리에 인접한 관측소로는 백운관측소가 있다.이 관측소에서 얻어진
강우자료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토석류가 발생한 것은 7월 14일 이전에 2-3일 간격으로 2회의 사전강우가
있었으며,세 번째 강우에서 일시적으로 강한 시간강우에 의해 다량의 토석류
가 발생하였다.백운관측소에서의 시간 최대 강우는 64mm/
h였으며,누적강우
는 455mm에 해당되었다.

그림 20.연구지역의 강우상황(
백운관측소)

위와 같은 강우는 우리나라 산사태 발생경보기준(


표 3)
에 적용시켰을 때 그
림 31과같이 7월 9일 비가 오기 시작하여 7월 12일 강우 시에는 산사태 주의보
조건에 충족하였고,7월 14일 산사태 경보 발령에 속하였다.

- 22 -
표 3.우리나라 산사태 경보 발령 기준

Landslide Caution Warning


Rainfall intensity (mm/h) 20 - 30 Over 30

Rainfall intensity (mm/d) 80 - 150 Over 150

Cumulative rainfall (mm) 100 - 200 Over 200

그림 21.산사태 발령 경보 기준과 강우상황

- 23 -
I
V.토석류해석 방법 및 모형 적용

1.Li
DAR 및 GI
S를 이용한 공간자료 구축

1)공간자료 구축

(
1)지형변화 개요

그림 2
2.토석류 발생이후의 지형변화 분석 순서도

그림 22는 토석류 발생이후의 지형변화 분석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토석


류 발생 이전의 지형은 기존의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형을 나타내는 등고선을

- 24 -
추출 후 연구영역에 대해 클립핑(
Cli
ppi
ng)
을 하여 지형을 생성한다.
토석류 발생 이후의 지형은 우선 토석류 발생영역에 대해 지역좌표보정을
실시하고 Li
DAR를 이용하여 지형을 스캔(
Scan)
한다.이후 촬영된 스캔데이터
의 모든 스캔 포지션을 절대좌표화 하고 병합한다.병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영역에 대하여 클립핑(
Cli
ppi
ng)
을 하고,지형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삭제
하기 위해 필터링(
Fil
ter
ing)
작업을 실시한 후,기존의 수치지도에 데이터를 중
첩하여 토석류 발생이후의 지형데이터를 생성한다.
토석류 발생 전,후의 DEM을 이용하여 연산을 통해 지형적인 변화를 추정
하는 것이 가능하다.

(
2)토석류 발생이전 지형

① 수치지형도
GI
S 시스템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자료 중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지형 및
지물의 형태를 모델링한 자료를 수치표고자료라고 한다.수치 표고자료의 유형
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본 연구에서는 지형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
높이 값을 기록한 DEM(
Digi
talEl
evat
ion Mode
l)을 생성하여 지형 변화를 비
교하고자 하였다.

그림 2
3.수치지형도(
1:5000) 그림 24
.등고선도(
1:500
0)

- 25 -
본 연구에서는 제천지역 1:
5000수치지도 두 개의 도엽을 이용하였으며 등
고자료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었다.

② 연구지역 격자(
GRI
D)모형

그림 25.TI
N 생성 그림 2
6.GRI
D 생성

수치표고자료가 만들어지고 저장되는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


다.일정크기의 격자로서 저장되는 격자 방식의 GRI
D,높이가 같은 지점을 연
속적으로 연결하여 만든 등고선에 의한 방식,단층에 의한 프로파일 방식,불규
칙한 삼각형에 의한 방식(
TIN)
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자료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하였고,토
석류가 발생한 유역에 대하여 Cl
ippi
ng을 한 후,TI
N(Tr
iangul
ar I
rre
gul
ar
Ne
twor
k)을 생성 후,GRI
D를 생성하여 유역의 분석에 활용되었다.

2)현장 dat
a측정

(
1)지역좌표보정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Li


DAR를 이용하여 Scandat
a를 취득하기 이

- 26 -
전 Sc
an dat
a의 좌표점에 대한 오차를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좌
표 보정을 실시한다.다음 그림과같이 연구대상지역이 기지점을 연결하였을 때
생성되는 면의 이내에 있어야 한다.

그림 27.지역좌표보정

(
2)현장데이터 취득

그림 2
8.현장 dat
a취득

- 27 -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토석류가 발생한 영역에 대하여 Sc
anni
ng 작업을
한다.Scan 범위는 반사율 80%에서 최대 측정거리가 650m이나 본 연구와 같
이 만곡부가 심하고 직경이 큰 바위가 많이 있는 지형은 스캔지점에서 다음 스
캔지점사이의 거리를 50m정도로 하여 지형데이터를 나타냄으로써 실제 현장의
느낌을 그대로 살렸다.

그림 29
.같은 위치에서의 Sc
andat
a(좌)
와 현장 사진(
우)

(
3)전처리 작업 및 필터링

그림 30
.필터링 전(
좌),후(
우)Sc
andat
a

- 28 -
Sc
anni
ng 작업을 통해 얻어진 포인트들은 지형을 나타내는 점들 이외에도,
인공구조물,수목,노이즈 등 다양한 점들을 포함하고 있다.이러한 점들을 제
거하고 지형을 나타내는 점들만 필터링 작업을하여 DEM생성을 하기위한 기초
자료로 가공하였다.

(
4)DEM 생성

그림 31.DEM 생성

필터링되어 지형만을 나타내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토석류 발생하기


이전의 수치지도에 삽입한다.이 후 DEM을 생성하면 수치지도에 삽입하는 과
정에서 보간이 발생함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
여 토석류가 발생한 영역부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Cl
ippi
ng 작업을 진행하였
다.

- 29 -
2.FLO-2D 모델 적용

1)FLO-2D 모델 입력 변수

그림 3
2.FLO-2D 모델 적용 범위

(A) (B) (C)


그림 33
.지점별 토석류 발생 현장 상황

토석류가 실제로 시작된 부분은 1번 지류의 상류지역과 2번 지류의 상류지


역,두 군데서 발생하여 하류로 진행되었다.토석류가 발생한 영역을 상류를 따
라 올라감에 따라 접근이 어려워 퇴적부분이 확연히 드러나는 3번지지점 부근

- 30 -
까지 라이다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영역을 촬영하였다.
따라서 3번 지점 이후의 상류부분은 GPS를 이용하여 그 토석류의 이동경
로를 추정하였다.

표 4.FLO-2D 모델 입력 변수
Bulking Yield
Simula Sediment
Case Grid Start Inflow concent Viscosity stress
DEM tion specific
NO. size point (㎥) ration (poises) (dynes/
time gravity
(Cv) ㎠)
1 1 1930
2 2X2 5X5 2 30 0.4 101 116.71 2.65
3 3 40.26

FLO-2D 모델의 적용에 있어서는 표4와 같은 조건에 따라 토석류 모의를


하였다.3가지의 경우에 대해서 모의를 하였으며 DEM,Gr
ids
ize
,유입유량,토
사체적농도,점성,항복응력 등 입력조건은 Cas
e별로 모두 동일하며 유입유량
의 위치에 따라서 Case
를 나누었다.

2)유량

그림 34.유출 수문곡선

- 31 -
토석류 발생에 영향을 미친 강우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유출량 공식을 이용
해 유출량을 산정하여 토석류가 시작한 부분의 유입량으로 입력하였다.
연구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기상청의 AWS자료인 백운 관측소에서 획득한
강우데이터를 기준으로 토석류가 발생한 7월 14일 0시부터 24시의 강우량을 이
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유출량 산정공식은 다음과 같다.

   (
8)

여기서 Q는 유역출구에서의 첨두유량이며,I


는 강우강도,A는 유역면적을
의미하며,C는 배수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감소계수인 유출계수(
Runof
f
c
oef
fi
cie
nt)
이다.유역의 면적 A는 토석류 발생 연구지역의 유역면적인 1.
22㎢
를 사용하였고,유출계수 C는 산지지역으로 5∼10%의 경사에 해당하여 0.
25의
값을 적용하였다.강우강도 I
는 시간대별로의 강우강도를 적용하였으며 피크시
의 강우강도는 62mm를 나타내었다.

표 5
.유출계수 산정 기준
토양구조별 유출계수
유역상태
성긴 사양토 점토 및 양토 조밀한 점토

0~5% 경사 0.10 0.30 0.40


산지 5~10% 경사 0.25 0.35 0.50
10~30% 경사 0.30 0.50 0.60
0~5% 경사 0.10 0.30 0.40
초지 5~10% 경사 0.16 0.36 0.55
10~30% 경사 0.22 0.42 0.60
0~5% 경사 0.30 0.50 0.60
경작지 5~10% 경사 0.40 0.60 0.70
10~30% 경사 0.52 0.72 0.82

2)유사농도

토석류는 유사의 체적 또는 중량 농도의 값에 따라 Landsl


ide
,Mudf
low,
Mud Fl
ood,Wat
erFl
ood와 같이 대표적으로 4단계의 흐름을 나타낸다.Mud

- 32 -
Fl
ood의 체적 유사농도가 0.
4∼0.
45일 때 토석류의 흐름과 가장 비슷하다고 할
수 있으며,유체의 특성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Lands
lide
형태는 거의 흐르지 않으며 Mudf
low형태는 Lands
lide
와 마찬가지
로 거의 흐르지 않고 크리프 형태로 나타난다.Mud Fl
ood형태는 유사의 농도
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Wat
erFl
ood는 토사가거의 포함되지 않
은 형태의 특성을 가진다.

표 6
.토사 농도에 따른 흐름 특성
Sediment
Concentration
Flow Characteristics
by by
Volume Weight
0.65-0.80 0.83-0.91 Wi
llnotf
low;f
ail
urebybl
ocks
lidi
ng
Landslide
Block sliding failure with internal deformation
0.55-0.65 0.72-0.83
during the slide; slow creep prior to failure

Flow evident; slow creep sustained mudflow;


0.48-0.55 0.72-0.76 plastic deformation under its own weight;
cohesive; will not spread on level surface
Mudflow
Flow spreading on level surface; cohesive flow;
0.45-0.48 0.69-0.72
some mixing

Flow mixes easily; shows fluid properties in


deformation; spreads on horizontal surface but
0.40-0.45 0.65-0.69 maintains an inclined fluid surface; large
particle (boulder) setting; waves appear but
dissipate rapidly

Marked settling of gravels and cobbles;


spreading nearly complete on horizontal
0.35-0.40 0.59-0.65
Mud flood surface; liquid surface with two fluid phases
appears; waves travel on surface

Separation of water on surface; waves travel


0.30-0.35 0.54-0.59 easily; most sand and gravel has settled out
and moves as bedload

Distinct wave action; fluid surface; all


0.20-0.30 0.41-0.54 particles resting on bed in quiescent fluid
condition

Water flood with conventional suspended


Water Flood <0.20 <0.41
load and bedload

- 33 -
토석류의 토사의 농도에 따라 계속적으로 그 흐름이 바뀌는데 본 연구에서
는 토석류 발생 당시의 상황에 가장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는 체적 농도값
0.
45%를 이용하였다.

3)점성 및 항복응력

그림 24,25는 과거에 연구된 토사농도에 따른 점성과 항복응력 값을 나타


내었으며 지질의 상황에 따라서도 다른 값을 나타내고 있다.X축은 토사의 체
적농도를 의미하고 Y축은 각각 점성과 항복응력 값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항복응력과 점성 값은 제천지역의 현장상황과 가장 유
사한 Nat
uralSoi
l에서의 토사 체적농도 값 약 0.
4를 이용하여 점성 101poi
ses
,
항복응력 116.
71dyne/
cm2의 값을 적용하였다.

그림 35
.기존 연구된 토사농도에 따른 점성

- 34 -
그림 36. 기존 연구된 토사농도에 따른 항복응력

- 35 -
V.토석류 모형의 적용결과 및 분석

1.Li
DAR를 이용한 지형변화 분석

그림 37.Sc
andat
a획득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그림 37과같이 X,Y,Z값을 가지는 포인트를 획득


하였다.왼쪽의 그림은 획득한 포인트를 필터링하여 토석류가 발생한 지형만을
나타내었고,오른쪽그림은 일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그림 38의 (
A)는 토석류 발생 전의 DEM,(
B)는 발생 후 지상라이다 스캐
닝을 통해 얻어진 포인트 자료를 중첩시켜 얻어진 DEM이다.그림의 위쪽이
상류부가 되며 (
A)와 비교하면 (
B)에서 뚜렷한 침식의 흔적과 보다 세밀한 지
형의 변화를 볼 수 있다.(
C)에서는 잡음이 제거된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DEM
자료를 구축하고 1:
5000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생성한 DEM과의 연산을 통해
지형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토석류 발생구간에서의 지형 변화 결과인 종단면도를 그림 39에 나타내었
다.DEM연산 결과지점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하여 하류로 거리를 나타내어 약
550m 토석류가 이동한 흔적을 볼 수 있고 침식과 퇴적이 번갈이 나타난 모습

- 36 -
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38.토석류 발생전(
A),후(
B)DEM 및 연산결과(
C)

그림 39.토석류 흐름 중심부의 종단면도

- 37 -
또한 횡단면도를 이용하여 그림 40∼44에 나타내었다.상류부인 (
1)에서
(
5)까지 하류에 걸친 구간에서 종래의 수치지도에서의 단면과 본 연구에서 얻
어진 스캐닝 결과를 비교함에 따라 각 구간에서의 지형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지형변화에 대한 결과는 기본적으로 수치지도의 표고 값에 기초하고 있
으므로 실제 현장에서의 지형변화를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 확인 할 필요가 있
다.그림 40∼44는 각 지점에서의 지형변화에 대한 결과를 현장의 사진과 함께
비교하여 평가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림 40.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1)

그림 41.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2)

- 38 -
그림 42.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3)

그림 43.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4)

그림 44.토석류 발생지역 횡단면도(


5)

- 39 -
지점(
1)은 침식이 우세한 상류부로써 스캐닝 결과를 보면 큰 침식이 일어났
음을 알 수 있다.실제 동일 지점에서의 사진을 통해 침식부분을 확인 할 수
있다.지점 (
2)는 침식과 퇴적이 동시에 일어난 중류부로써,스캐닝 결과에서 B
점 부근에서는 침식이 발생하였고 A점 부근에서는 퇴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
났으며,실제 지형과 비교했을 때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지점 (
3)도 유사하게
침식과 퇴적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지점 (
4)에서는 수로를 따라 침식이 크게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장 사진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지점 (
5)
에서는 퇴적이 크게 일어난 지점으로 나타났으며,현장의 사진에서도 이를 확
인할 수 있으며,특히 기존의 수로부분에서 큰 퇴적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
다.이러한 스캐닝을 통한 지형변화와 실제 현장에서의 확인을 통해 토석류 발
생에 의한 지형변화를 분석하는데,지상라이다의 적용은 매우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5.수치지도 중첩시 발생하는 오차

- 40 -
그림 4
6.보간 전후의 침식,퇴적량

그림 45에서의 분석과정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스캐너를 통해 얻어진 포인


트 자료를 기존의 수치지도에 중첩하여 보간을 통해 폴리곤을 생성한다.그림
45의 (
A)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폴리곤 자료를 보여준다.이 때 수치지
도의 축적이나 지역적인 경사도에 따라서 보간 시에 실제 지형과는 다른 형태
로 보간이 됨을 알 수 있다.이런 부분을 원으로 표시하였다.따라서 보간 시의
이런 오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당초 연구지역을 중심으로 클리핑한 결과가 그림
45의 (
B)이다.이러한 연구영역에 대한 클리핑에 의하여 실제 지형변화만을 재
계산한 결과를 그림 46에 나타내었다.여기서 침식체적과 퇴적체적이 모두
6,
500-6,
700㎥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이러한 클리핑작업이 없으면 실제
변화량보다 상당 수준 변화량이 과다평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지상라이다의 측량방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토석류 발생
에 따른 지형변화와 침식/
퇴적량 측정을 통해서 보다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다
고 판단되었다.

- 41 -
2.FLO-2D 모델 적용 기준에 따른 결과

1)Case별 결과

Case
1은 토석류 발생 최상단지점에만 유입량을 주었을 경우이고,Cas
e2는
실제 토석류가 발생한 지점인 최상단지류와,하부지류,두 지점에서 유입량을
주었을 경우이며 Cas
e3은 Li
DAR를 촬영한 최상단 지점에 유입량을 주었다.
FLO-2D를 이용하여 모의한 토석류의 확산 범위 결과를 그림 47,48에 나
타내었다.유입지점이 다름에 따라 토석류가 발생한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라
이다를 이용하여 토석류가 발생한 영역을 촬영한 부분을 대상으로 각 Cas
e별
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림 47.실제 토석류 발생영역(


좌)과 FLO-2D 모의 결과(
우)

- 42 -
그림 4
8.FLO-2D 모의 결과

2)확산범위 해석

그림 49는 실제로 토석류가 이동,확산된 범위와 시뮬레이션 된 결과범위를


나타내고 있고,그림 50은 토석류의 이동,확산 범위 값을 나타낸다.Li
DAR를
이용하여 획득한 토석류 발생 영역의 최상단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토석류가
최대로 흘러내린 범위를 각 Cas
e별로 비교 하였다.토석류가 실제로 이동,확
산된 면적은 25,
845㎡이고 Case
1은 26,
725㎡,Case
2는 27,
400㎡,Case
3은 25,
200
㎡로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Cas
e3의 확산범위가 실측값과
가장 비슷하게 나타났다.이는 모의 결과가 실제 토석류가 발생한 영역을 반영
한다고 볼 수 있다.

- 43 -
(A)실제 토석류 이동/
확산 범위 (B) Case1 확산범위

(
C)Case
2확산범위 (
D)Cas
e3확산범위
그림 49.FLO-2D 모의 결과 비교 영역

- 44 -
그림 50. 토석류 확산 면적

3)퇴적량 해석

그림 51은 실제 토석류의 퇴적량과 시뮬레이션 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52는 측정된 토석류의 퇴적량과 시뮬레이션 된 퇴적량 값을 나타내고 있
다.FLO-2D 모델에서는 침식이 모의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서 퇴적량에 대해
비교를 하였으며,퇴적량은 토석류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 마지막 유동심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토석류가 실제로 퇴적된 양은 7,
520㎥이고 Cas
e1은 71,
62
㎥,Case
2는 6,
493㎥,Cas
e3은 5,
872㎥로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
며 Case
1의 퇴적량이 실측값과 가장 비슷하게 나타났다.그림 51의 (
A)에서 초
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퇴적영역으로 토석류가 하류로 진행하면서 침식과 퇴
적이 번갈아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그림 51의 (
A)와 비교하여 (
B),(
C),
(
D)에서 실제로 토석류가 퇴적된 부분에서 퇴적심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된 토석류의 퇴적량이 실제 토석류가 퇴적된 량을 반
영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45 -
(
A)실제 토석류의 침식/
퇴적 (
B)Cas
e1퇴적량

(
C)Cas
e2퇴적량 (
D)Cas
e3퇴적량
그림 5
1.FLO-2D 퇴적량 모의 결과 비교

- 46 -
그림 5
2.토석류 퇴적량

3)최대 유동심

그림 53은 최대 유동심을 비교하였으며 홍수흔적 등이 뚜렷하지 않아 실제


최대 유동심을 측정하기 어려워 비교되지 못하였다.시뮬레이션 된 토석류의
최대 유동심은 Cas
e1은 1.
88m,Cas
e2는 2.
1m,Case
3은 1.
79m로 나타났다.
침식이 가장 심하게 일어난 위치,그림 53(
A)의 파란 원으로 표현한 지점
이,최대 유동심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지점으로,시뮬레이션 된 결과
에서 실제로 침식이 가장 심하게 일어난 위치에서 유동심이 최대치를 기록하였
다.이는 위치상 토석류가 흐르는 수로부분이 좁은 협곡을 나타내고 있었기 때
문이라 판단하였으며,향후 모델의 유효성을 입증할만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 47 -
(
A)실제 토석류의 침식/
퇴적 (
B)Case
1최대 유동심

(
C)Case
2최대 유동심 (
D)Cas
e3최대 유동심
그림 53. FLO-2D 최대 유동심 모의 결과 비교

- 48 -
그림 54
.최대 유동심

4)최대 유속

그림 55와 56은 유속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제 토석류의 유속은


추정할 수 없어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만 나타내었다.

(
A)Case
1유속 (
B)Cas
e2유속 (
C)Case
3유속
그림 55.FLO-2D 최대 유속 모의 결과

- 49 -
유속이 가장 빠른 부분은 협곡부로서 Cas
e1은 5.
47m/
s,Cas
e2는 4.
08m/
s,
Cas
e3은 3.
91m/
s로 나타났다.최대 유동심과 마찬가지로 실제 토석류가 발생
당시의 유속에 대한 확인이 어려워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모델의 적
합성을 판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림 56.최대 유속

5)산출결과 및 비교결과

실제로 토석류가 발생한 영역과 FLO-2D 모델로 모의 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토석류가 발생하여 실제로 확산된 면적은 25,
845㎡으로 나타났고,
Cas
e1은 26,
725㎡,Case
2는 27,
400㎡,Cas
e3은 25,
200㎡로 나타났다.퇴적량에
있어서는 실제로 퇴적된 양은 7,
520㎥이고 Cas
e1은 71,
62㎥,Case
2는 6,
493㎥,
Cas
e3은 5,
872㎥로 나타났다.최대 유동심은 Case
1은 1.
88m,Cas
e2는 2.
1m,
Cas
e3은 1.
79m로 나타났으며,최대유속은 Case
1은 5.
47m/
s,Case
2는 4.
08m/
s,
Cas
e3은 3.
91m/
s로 나타났다.
토석류의 확산에 대한 비교는 실측값과 FLO-2D 모델에서의 결과값이 대
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확산면적에서는 Cas
.3이,퇴적량에서는 Cas
e1이

- 50 -
가장 실제현장과 유사하였다.
토석류의 이동에 대한 비교는 홍수흔적이 뚜렷하지 않고,토석류의 발생당
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인 Dat
a가 부족하여 토석류가 이동하는 모습
을 나타낼 수 있는 실측값이 부족하여 FLO-2D 모델의 결과와 비교되지는 못
하였으나 향후 모델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유속
과 유동심 등을 관측할 계획이다.

표 7.실측값과 FLO-2D 모델 결과 비교

실측값 Case1 Case2 Case3

확산면적(㎡) 25845 26725 27400 25200


퇴적량(㎥) 7520 7162 6493 5872
최대 유속(m/s) - 1.88 2.1 1.79
최대 유동심(m) - 5.47 4.08 3.91

- 51 -
I
V.결 론

토석류 발생 현장에 Li
DAR적용 통한 지형적인 분석과 FLO-2D 모델을 이
용하여 토석류의 이동과 확산에 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발생된 토석류의 형태는 수로형 토석류와 사면형 토석류가 동시에 확


인되었으며 연구지역 내에서 침식과 이동 및 퇴적을 모두 확인 할 수 있었다.
Li
DAR를 활용하여 토석류의 발생량을 산정할 때 수치지도와 Li
DAR 데이
터의 정도의 차이에 의해 퇴적량과 침식량이 과도하게 산정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또한 산정된 결과에서 퇴적량이 침식량보다 작은 이유는
토석류 발생 초기에 하도를 통해 연구지역 경계 밖으로 유출된 부분과 퇴적된
토사 중 작은 입경의 토사가 흐름에 의해 서서히 빠져나간 부분의 결과로 판단
되었다.

둘째, FLO-2D 모델을 적용한 토석류의 이동과 퇴적에 관한 해석에서는 3


가지 Case
중 확산범위 해석은 Case
3이,퇴적량 해석은 Case
1이 토석류의 발생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최대 유동심과 최대 유속이 발생한
위치는 침식이 가장 발달한 협곡부 지점으로 대략적인 위치는 추정이 가능하였
으나,정량적인 분석이 어려워 향후 토석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델
의 검증 및 적용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향후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FLO-2D 모델의 적용에 있어서 본 연구에


포함되지 못한 입력 인자를 고려해야할 것이다.또한 Li
DAR의 사용에 있어서
토석류 발생 이전의 지형데이터를 Li
DAR를 통해 획득하면 좀 더 정확한 침식,
퇴적량을 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52 -
참 고 문 헌

[
1] 박덕근,노성열,손종철,유병옥,장범수,“
집중호우에 따른 비탈면 재해분
석을 통한 피해저감 방안 제시”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1권 제4호)
,pp.
3-11,2007.
[
2] 이승기,이병두,정주상,“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개발”
,
한국지리정보학회(
제8권 제4호)
,pp.
81-90,2005.
[
3] 김경태,정성관,박경훈,오정학 “
GIS 및 R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양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8권 제1호)
,pp.
75-87,2005.
[
4] 조남춘,최철웅,전성우,한경수 “
RS와 GI
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
의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2호)
,pp.
54-66,2006.
[
5] 김기홍,원상연,윤준희,송영선,“
강릉지역 국도의 재해위험성 평가”
,한국
지형공간 정보학회(
제16권 제4호)
,pp.
33-39,2008.
[
6] 윤홍식,이동하,서용철 “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
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2권 제4호)
,pp.
59-73,2009.
[
7] 김경석,“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호)
,pp.
427-446,2008.
[
8] 채병곤,송영석,서용석,조용찬,김원영,“
모형실험 장치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및 사태물질 거동특성실험”
, 대한지질공학회(
제16권 제3호)
,
pp.
275-282,2006.
[
9] 김기환,오세준,김대회,이승호,“
토석류 제어시설 개발을 위한 기초장비
제작에 관한연구”
, 대학토목학회 학술대회, Vol
. 2008, No.
10,
pp.
3082-3085,2008.
[
10] 윤호중,이창우,우충식,정용호,이천용,“
토석류 발생특성과 피해규모 예
측기법 개발”
,국립산림과학원,연구보고09-20,pp.
92-107,2009.
[
11] Du,J
.C.
,Te
ng,H.
C.,“
3D l
ase
r sc
anni
ng and GPS t
echnol
ogy f
or
l
ands
lide ear
thwor
k vol
ume e
sti
mat
ion”
,Aut
omat
ion i
n Cons
truc
tion,
Vol
.16,pp.
657-663,1968.

- 53 -
[
12]전계원,전병희,안광국,장창덕,김남균,“
지상 Li
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
생량 산정에 관한 기초연구”
,지반환경공학회(
제11권 제3호)
,pp.
63∼68.
[
13]강준묵,이주대,민관식,이창복,“
GPS에 의한 군엽 상태로부터 획득된
Li
DAR 데이터의 수직정확도 평가”
, 대학토목학회 학술대회(
제10권)
,
pp.
3619-3622,2007.
[
14]윤희천,박준규,“
LiDAR에 의한 3차원 GI
S DB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
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2호)
,pp.
171.
-182,2007.
[
15] Be
ver
age
, J
.P.
, Cul
ber
tson, “
Hype
rconce
ntr
ati
ons of suspe
nde
d
s
edi
ment
”, ASCE J
our
nal of t
he Hydr
aul
ics Di
visi
on, Vol
. 90,
pp.
117-126.
[
16] Var
nes
, D.
J.
,“Sl
ope move
ment t
ype
s and pr
oce
sse
s”, Landsl
ide
s,
Anal
ysi
sandCont
rol
,Spec
ialRe
por
t176,pp.
11-13,1978.
[
17]정광호,“
네트워크 기반의 RTK GPS측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경
일대학교 도시정보 측지지적공학과,2005.
[
18]최윤수,이용창,권재현,이재원 “
GPS가상기준점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
측량학회(
제22권 제2호)
,pp.
105-116,2004.
[
19] Vol
lat
h, V.
, Landau, H.
, Che
n, X.
,“Ne
twor
k RTK-Conc
ept
s and
Pe
rPor
manc
e",Tr
imbl
eTe
rras
atGmbh,85365Hohe
nki
rche
n,Ge
rmany.
[
20]O'
Bri
en,J
.S.
,P.
Y.J
uli
en,W.
T.Ful
ler
ton,“
Two-di
mensi
onalwat
erf
lood
andmudf
low s
imul
ati
on"
,J.ofHyd.Eng.
,ASCE,119(
2),224-259,1993.
[
21] P. Be
rtol
o, G. Bot
ti
no, “
Debr
is-f
low e
vent i
n t
he Fr
ange
rel
lo
St
ream-Sus
aVal
ley(
Ital
y)-c
ali
brat
ion ofnumer
icalmode
lsf
ort
heback
anal
ysi
soft
he16Oct
obe
r,2000r
ainst
rom”
,Lands
lide
s,5:
19-30,2008.
[
22] J
. Hubl
, H. St
einwe
ndt
ner
,“Two-Di
mensi
onal Si
mul
ati
on of Two
Vi
scousDe
bri
sFl
owsi
nAus
tri
a”,Phys
.Che
m.Ear
th(
C),Vol
.26,No.
9,pp.
639-644,2001.
[
23] Mar
is E.Be
llo,J
ose L.Lope
z,R.
Gar
cia-Mar
tine
z,J
im S.O'
Bri
en,

Simuat
ion off
loodi
ng and de
bri
sfl
ows i
nthe c
err
o gr
ande r
ive
r”,
Ac
taCi
ent
if
icaVe
nez
olana,Vol
.54,Supl
eme
ntoNo.1,pp.
22-32,2003.
[
24] Mar
is Conce
tta Ar
ment
o, Ri
nal
do Ge
nevoi
s, Pi
a Rose
lla Tec
ca,

- 54 -

Compar
ison ofnumer
icalmodel
s oft
wo de
bri
sfl
ows i
nthe Cor
tina
d'
Ampe
zzoar
ea,Dol
omi
tes,I
tal
y”,Lands
lide
s,5:
143-150,2008.

- 55 -
A St
udy on Tr
anspor
tandDi
ffusi
on of
Debr
isFl
ow wi
th FLO-2D

Nam - Gyun Ki
m

Depar
tmentofDi
sast
erPr
event
ion
Gr
aduat
eSchoolofDi
sast
erpr
event
ion,
KangwonNat
ionalUni
ver
sit
y

Abst
ract

I
nthi
sst
udy,us
ing Li
DAR we
reconduc
tedi
nthef
iel
d ofdebr
is
f
low occ
urs and FLO-2D model was us
ed t
o e
xami
ne t
he
appl
icabi
li
ty.
The i
nte
nsi
ve r
ainf
allove
r455mm occ
urr
ed bet
wee
n on 9 t
o 14
J
uly 2009t
rigge
redde
bri
sfl
owsar
oundt
hemount
ainar
eai
nJec
heon
Count
y.We mappe
dthe de
bri
sfl
ow ar
ea and e
sti
mat
edt
he de
bri
s
f
low vol
ume
,us
ing a hi
gh r
esol
uti
on di
git
ale
levat
ion mode
l(DEM)
f
rom t
err
est
rial Li
DAR (
Light Det
ect
ion And Rangi
ng)
, and
t
opogr
aphi
c maps.Fort
he Li
DAR me
asur
ement
,the t
err
est
riall
ase
r
s
canni
ng s
yst
em RI
EGL LMS-Z390ic
ons
ist
sofahi
ghl
yac
cur
ateand

- 56 -
f
ast3D sc
anne
r as
soc
iat
ed GPS syst
em and hi
gh-r
esol
uti
on di
git
al
c
ame
ra we
re use
d.The c
ompar
ison bet
wee
ner
osi
on and de
pos
iti
on
vol
ume
sres
ult
si 586m3 and7,
nabout17, 520m3,r
espe
cti
vel
y.
Compar
ed wi
tht
heme
asur
eddat
a,FLO-2D mode
lwasappl
iedt
o
i
nve
sti
gat
ionoft
heappl
icat
ion.
Fac
tor
s c
ons
ider
ed by a r
easonabl
e amount of r
ainf
all was
c
alc
ulat
ed us
ing t
hisf
low,t
he f
low r
ate of40% oft
he amountof
s
edi
mentwasappl
ied.Bas
edont
hedat
aint
hel
it
erat
uresur
veye
din
t
his s
tudy, t
he most l
ike
ly val
ue of t
he t
err
ain c
ondi
ti
ons and
vi
scosi
ty 101poi
ses
,yi
elds
tre
ss116.
71dyne
s/㎠,t
hes
peci
fi
cgr
avi
ty of
2.
65wasappl
iedt
osoi
l,wasappl
iedt
othegr
ids
izeof5m.
Move
mentofde
bri
sfl
ow and di
ff
usi
on ar
eaar
ound t
heme
asur
ed
amountof25,
845㎡,Cas
e1t
he26,
725㎡,Cas
e2t
he27,
400㎡,Case
3
t
he s
imul
ati
on r
esul
tswe
res
imi
lart
othe 2
5,200 ㎡.Theamountof
s
edi
mentand de
bri
sfl
ow Cas
e171,
62 ㎥,Cas
e2t
he6,
493 ㎥,Cas
e3
5,
872 ㎥ t
he ac
tualde
bri
sfl
ow se
dime
nts and wer
e si
mil
ar.Thi
s
s
imul
ati
onofade
bri
sfl
ow se
dime
ntsandt
het
rans
por
tanddi
ff
usi
on
ar
eaandwer
econsi
der
edt
ore
fle
ctt
heac
tuals
ituat
ion.
Formaxi
mum f
low pl
ant
edCa
se11.
88m,Cas
e22.
1m,Cas
e31.
79m
r
espe
cti
vel
y.And Cas
e1i
sthemaxi
mum vel
oci
ty 5.
47m/
s,Cas
e2and
4.
08m/
s,Cas
e3t
he3.
91m/
s,r
espe
cti
vel
y.
Att
het
imeofde
bri
sfl
ow ve
loci
tyandf
low i
nthehe
artoft
he
r
esol
uti
onofdi
ff
icul
tandus
ingmoni
tor
ings
yst
emsne
edt
ode
ter
mine
t
hes
uit
abi
li
tyoft
hemodelwe
rec
onsi
der
ed
I
nthi
s st
udy,conduc
ted us
ing Li
DAR de
bri
sfl
ow t
rans
por
tand
di
ff
usi
onanal
ysi
s,andFLO-2D mode
lofde
bri
sfl
ow anal
ysi
sthr
ough
t
he appl
icat
ion of ne
w me
thods and FLO-2D mode
lwas abl
eto
de
ter
minet
hes
copeoft
hede
bri
sfl
ow anal
ysi
s.

- 57 -
감사의 글

끝은 새로운 시작이라는 말이 있듯이 새로운 생활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시점에서 2년이라는 대학원 생활이 어느덧 종점을 향하고 있습니다.그동안 연
구실 생활하면서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좋은 경험을 많이 하였으며,한 시대의
지식인으로 남기위해 소양과 자세를 일깨워준 모든 분들께 찾아뵙고 감사드리
지 못하는 점 용서를 구합니다.
본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부족한 첫 제자를 위해 항상 격려해주시고 열성적
으로 지도해 주신 전병희 교수님과 많은 관심과 격려로 미흡한 점을 깨우쳐 주
신 전계원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또한 귀중한 조언으로 힘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신 민선홍 교수님,최종인 교수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년동안 아침부터 밤까지 늘 함께 생활을 하면서 연구와 관련한 조언과 생
활지도를 해주신 장창덕 선생님께 감사합니다.같은 연구실이지만 떨어져 계신
오채연 선생님,1년동안 함께 웃으며 생활한 소영선배께도 감사한 마음을 전하
며,힘들 때 서로의 버팀목이 되어준 해림누나,일하면서 바쁘신 와중에도 학교
에 열심히 나오신 광우형님,지은누님께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또한
비밀이지만 학과사무실에 지각하고 졸아도 이해해주시고 도와주신 윤현정 선생
님,최현진 선생님께도 감사합니다.
연구실 밖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던 분들에게도 감사함을 전달합니다.수년
간 함께 생활한 의용이형,상희형,시한이형,시진이,정진이,성우,영호,범석
이,남훈이 복 많이 받으실거에요.
마지막으로 저를 걱정하면서도 믿어주시고 격려해준 우리 엄마,최원정 여
사님 사랑합니다.

2011.1.
2공학관 309호 연구실에서 마무리하며

- 5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