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0

석사학위논문

Landon Ronald의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e』
Life』 연구
「가사에 따른 음악적 표현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A Study on Landon Ronald's Song Cycle 『A Cycle of Lif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usical expressions and text)

제 출 자 : 최 지 영

지도교수 : 진 귀 옥

2005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음악학(성악)
성악)전공
석사학위논문

Landon Ronald의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e』
Life』 연구
「가사에 따른 음악적 표현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A Study on Landon Ronald's Song Cycle 『A Cycle of Lif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usical expressions and text)

제 출 자 : 최 지 영
지도교수 : 진 귀 옥

2005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음악학(성악)
성악)전공
Landon Ronald의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e』
Life』 연구
「가사에 따른 음악적 표현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A Study on Landon Ronald's Song Cycle 『A Cycle of Lif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usical expressions and text)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음악학(성악)전공

최 지 영
최 지 영의 석사학위 논문을
합격으로 판정함

심사일 : 2005. 12.

심사위원장 심 상 용 (인)

심사위원 진 귀 옥 (인)

심사위원 조 창 연 (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국문요약)

Landon Ronald의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e』
Life』 연구
「가사에 따른 음악적 표현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대학원 음악학(성악)전공
최 지 영

지도교수: 진 귀 옥

런던 로날드(Landon Ronald)는 영국의 대표적 20세기 지휘자 겸 작곡가이다. 그


는 20세기 초 classic recoding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
은 곡을 작곡하였으나,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곡으로는 「O Lovely Night」와 「A
Cycle of Life」가 있으며, 이 외에도 오늘날 300여곡의 가곡과 두 권의 회고록을
남겼다.

본 논문은 런던 로날드의 수많은 가곡 중 연가곡『A Cycle of Life』에서 가사에


따른 음악적 표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서술하였는데 가곡에 있어서 시(가사)
와 음악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얼마만큼 중요한 가치가 있는지를 밝히고 있
다.
제2장은 이론적 고찰로 『A Cycle of Life』에서 분석(시와 음악과의 연관성)하
고자 하는 내용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제3장은 본론으로 『A Cycle of Life』의 형식 및 구조, 그리고 시와 음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있다.
제4장은 결론으로 종합적인 분석의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런던 로날드의 연가곡『A Cycle of Life』에서 가사에 따른 음악적

- 1 -
표현을 중심으로 연구한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제1곡 「Prelude」는 4/4박자의 G Major 조성과 A-B-A'의 가요 3부분 형식
(three-part song form), 그리고 Coda로 이루어진 곡이다. 이 곡은 『A Cycle of
Life』 전체의 주제를 담고 있다.
제2곡 「Down in the forest」(spring)」는 4/4박자의 D Major 조성과 A-B-
A'의 가요 3부분 형식(three-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봄의 소리가
들릴 듯 말 듯 한 반주의 표현으로 인생의 첫 시작, 사랑의 설렘과 신비함을 나타
내고 있다, 표현 방식 중 recit.를 특징적으로 사용했으며 종지에는 확대종지와 불
완전 정격종지를 사용하여 봄의 여운을 남기면서 곡을 마무리하고 있다.
제3곡 「Love, I have won you」(summer)는 9/8박자의 F Major 조성과 A-
A'-A"의 가요 3부분 형식(three-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이 곡은
전체 곡 중에서 템포가 가장 빠르며 인생에서의 절정기를 뜨거운 여름에 비유 하
고 있다. Gr.6(german6th)의 변화화음과 음과 음 사이의 뾵가 특징적으로 쓰였으
며, fff로 인생의 절정기를 화려하게 마무리 한다.
제4곡 「The winds are calling」(autumn)의 전주 4마디는 4/4박자로 이 곡의
전체 성격과는 다른 독립적 성격을 가진다. 이후는 6/8박자로 e minor 조성과
A-A'의 확대 가요 2부분 형식(expanded two-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
이다. 이 곡은 동일한 움직임의 멜로디와 반복되는 ⅰ˚와 ⅳ˚화음으로 가을의 쓸쓸
함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곧 ‘인생의 황혼기’의 아쉬움을 비유한 것이다. 1-4
마디의 독립적인 전주와 2잇단음표의 사용이 특징적이며 이것은 가사의 의미를 더
욱 부각 시키고 있다.
제5곡 「Drift down, drift down」(winter)은 2/2박자의 G Major 조성과 A-
B-A'의 규칙적 가요 3부분 형식(regular three-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
이다. 차갑고 어두운 겨울보다 따뜻하고 평화스러운 겨울을 나타낸 곡으로 ‘삶의
마지막’을 비유하고 있다. 곡 전체를 통해 도약 하행 진행의 선율로 ‘떨어지는 눈’
을 특징적으로 묘사했다.

- 2 -
목 차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B. 연구 방법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Ⅱ.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A. 예술가곡의 개념 및 역사적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B. 연(작)가곡의 개념 및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C. 영국가곡의 역사적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D. 시와 음악의 연관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Ⅲ. Landon Ronald의 작품세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A. Landon Ronald의 생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B. A Cycle of Life의 작품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1. A Cycle of Life의 작품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2. A Cycle of Life의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3. 작품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 3 -
1) Prelud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1) 가사 번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2)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3) 구조 및 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4) 시와 음악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2) Down in the forest (Spr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1) 가사 번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2)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3) 구조 및 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4) 시와 음악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3) Love, I have won you (Summ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1) 가사 번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2)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3) 구조 및 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4) 시와 음악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4) The winds are calling (Autumn)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1) 가사 번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2)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3) 구조 및 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4) 시와 음악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5) Drift down, drift down (Winter) ·
··
··
··
··
··
··
··
··
··
··
··
··
··
··
··
··
··
··
··
··
··
··
··
··
··93
(1) 가사 번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2)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3) 구조 및 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4) 시와 음악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Ⅳ.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 4 -
참고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 5 -
표목차

표 1) 제1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 2) 제2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표 3) 제3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표 4) 제4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표 5) 제5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 6 -
악보목차

악보 1) 제1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악보 2) 전주의 아르페지오와 전과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악보 3) a부분의 동일박절군과 장2도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27
악보 4) B부분 간주의 반음계적인 순차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악보 5) b부분의 단3도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악보 6) A´부분 간주의 화음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악보 7) 제1곡의 climax와 마무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악보 8) 전주의 아르페지오와 전과음의 비유적 사용 ·
··
··
··
··
··
··
··
··
··
··
··
··
··
··
··
··
··
··
··
··
··33
악보 9) 동기(motive)의 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악보 10) 간주에 긴박감을 주는 화음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악보 11) A부분과 B부분의 합쳐진 리듬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악보 12) 제1곡의 끝부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악보 13) 제2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악보 14) 전주와 간주 부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악보 15) 반주부의 화음 확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악보 16) b˝부분의 Recit.와 반음계적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악보 17) 발전부의 climax와 이끈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악보 18) 확대 종지와 불완전정격종지로 마무리 ·
··
··
··
··
··
··
··
··
··
··
··
··
··
··
··
··
··
··
··
··
··
··
··
··
··47
악보 19) 제2곡의 반주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악보 20) a부분의 주제선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악보 21) b부분의 악상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악보 22) a´부분의 d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악보 23) b´부분의 Recit.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악보 24) 발전부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악보 25) 재현부(A´부분)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 7 -
악보 26) 제2곡의 끝부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악보 27) 제3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악보 28) 전주의 Gr.6(german6th)와 ostinato의 반주 ·
··
··
··
··
··
··
··
··
··
··
··
··
··
··
··
··
··
··
··
··59
악보 29) a부분의 2도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악보 30) 연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악보 31) a˝부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악보 32) 제3곡의 climax와 페르마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악보 33) 28-29마디의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악보 34) 30-31마디의 6도 병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악보 35) 제3곡의 끝부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악보 36) 전주의 여름 묘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악보 37) A부분의 멜로디 선율의 패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악보 38) 재현부로 가기 위한 연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악보 39) a˝부분의 climax 예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악보 40) Coda부분의 음과 음 사이 페르마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악보 41) 28-29마디의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악보 42) 30-31마디의 6도 병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악보 43) 제3곡의 화려한 마무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악보 44) 제4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악보 45) 전주의 순차하행과 반종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악보 46) 5-6마디의 ⅰ°와 ⅳ°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악보 47) a부분과 a´부분의 e-b-e음의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악보 48) 11-12마디의 N.6화음과 장2도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82
악보 49) 간주의 4도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악보 50) A´부분의 e-b음의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악보 51) 38-39마디의 2잇단음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악보 52) 제4곡의 변격종지로 마무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악보 53) 전주 네 마디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 8 -
악보 54) A부분의 끊임없는 ⅰ°와 ⅳ°의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악보 55) 2잇단음표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악보 56) 18-24마디의 아르페지오 ii°13화음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90
악보 57) 25-27마디의 4도 동형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악보 58) b부분의 2잇단음표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악보 59) 제5곡의 주제선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악보 60) 전주의 주제선율 선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악보 61) a, c, d부분의 4도 움직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악보 62) a, b, a´부분의 a음으로 끝나는 진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악보 63) b부분의 f와 p로 에코 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악보 64) 발전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악보 65) 재현부(A´부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악보 66) 제5곡 소종결구로의 마무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악보 67) 전주의 ‘떨어지는 눈’ 묘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악보 68) 재현부의 clima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악보 69) a˝부분의 pp로 clima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
악보 70) 제5곡의 codetta 반주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 9 -
Ⅰ. 서론

A. 연구 배경 및 목적
예술가곡은 시와 음악이 예술적으로 융화된 독특한 형태의 예술이다. 따라서 예
술가곡을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서는 음악적 측면뿐만 아니라 시적인 측
면에서의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 시의 내용과 구조는 음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음악의 화성과 조성, 리듬, dynamic, 표현 등의 측면에 폭넓게 영
향을 끼치게 되고, 시의 형식과 운율은 음악의 형식과 박자 결정에 결정적인 역할
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문학과 음악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그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음악은
다른 예술에 비해 추상적이며 형이상학적인면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언어로서 전달되는 문학과는 매우 상이한 면을 보인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불확
실하고 불분명한 특성으로 인해 음악이 문학과 결합함으로서 다른 예술이 표현할
수 없는 감동과 자극을 일으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문학가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음악가들이 사용하는 음악언어(le langage musical)간의 적절한 융합은 그 효과를
극대화 한다. 잡을 수 없는 소리의 실체를 찾기 위해 그 소리를 언어로 규명하려
는 일련의 창작 행위야말로 문학과 음악의 가장 이상적인 결합이 아닐까 싶다.
본 논문은 기존의 유사 연구들과는 차별성을 갖추기 위해 영국의 예술가곡을 연
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Landon Ronald의 『A Cycle of Life』가 바로 그 연구 대
상이다. 『A Cycle of Life』는 인생의 연속, 흐름을 자연의 흐름에 비유해서 나
타낸 곡이며, 이 곡은 삶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시와 음악
의 관계성을 이해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곡이다. 그래서 본인은 Landon
Ronald의 『A Cycle of Life』에 대한 분석과 시와 음악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작
품 본질의 이해를 돕고 이 곡을 연주하는 많은 이들에게 미력하지만 도움이 되었
으면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밝히는 바이다.

- 1 -
B. 연구 방법론
본 연구는 영국 예술가곡인 Landon Ronald의 『A Cycle of Life』를 연구 대상으
로 하며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를 통해 예술가곡과 연가곡의 개념을 이해하고
영국음악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Landon Ronald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연구하고, 문헌 자료와 객관적 자료를 바탕
으로 본인의 주관적 견해를 통해 『A Cycle of Life』의 각 악곡들에 있어서 시와
음악과의 관계성 연구와 곡전체적인 분석을 시도하려 한다.

- 2 -
Ⅱ. 이론적 배경

A. 예술가곡의 개념 및 특징
가곡이란 비교적 소규모의 서정적 기분을 지닌 성악곡 형식으로 독일어로는 리트
(Lied), 프랑스어로는 멜로디(melodie 또는 chanson), 영어로는 송(song 또는
air)으로 불리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가곡은 가사가 지닌 문학적 요소가 음악적 표현으로 드높여진 노래로서, 음악적
으로 완결된 독자적인 소형식이 형성된 데에 그 특색이 있다. 따라서 희곡적 내용
의 표현을 위해 복잡한 단락의 구성을 갖춘 극음악(劇音樂 : 오페라·오라토리오
등)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가곡은 크게 가사와 음악이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는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 된
다. 몇 개의 연으로 되어있는 시에 음악을 붙일 경우, 시의 모든 연에 동일한 음
악을 반복시키는 것은 유절가곡, 시의 각 연마다 새롭게 음악을 붙이는 것을 통절
가곡 이라고 한다. 대게 시 자체가 반복 구조를 가지거나 시의 내용이 변한다 해
도 운율이 비슷한 경우에는 유절가곡으로 작곡하는 경우가 많으며 민요는 대부분
이 유절가곡의 형태를 취한다. 반면 산문시라든가 대화체의 시같이 일정한 운율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통절가곡으로 작곡된다. 즉 통절가곡은 시 자체가 반복 구조
없이 내용이 계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을 때 적절한 작곡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
다. 물론 이 외에도 중간 부에 대조적인 음악을 배치하고 앞의 연과 마지막 연에
같은 음악을 배치하는 경우는 변형된 유절 가곡으로 부르기도 한다. 슈베르트의
가곡 「마왕」은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음악의 반복 없이 계속 변화하고 있으므로
통절 가곡에 속한다. 그러나 「들장미」를 비롯해 많은 슈베르트의 음악은 유절
가곡 또는 변형된 유절가곡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서양음악 역사에서는 일
찍이 중세의 트루베르(trouvere)1), 민네징거(Minnesinger) 등 음유시인(吟遊詩人)

1) 트루베르(trouvere) : trouveur라고도 씀.
11 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북부 프랑스에서 활동했던 서정 시인이나 음악가들. 독일의 민
네징거와 함께 중세의 세속 가요를 전했으며, 음유가인이라고도 부른다.

- 3 -
의 작품에 유절형식 가곡이 나타난다. 민네징거라는 말이 ‘사랑을 노래하는 사
람’을 뜻하듯 가곡의 가장 보편적인 제재(題材)는 예로부터 ‘사랑’이었다.
중세 말부터 르네상스에 걸쳐서는 가곡이 대위법적(對位法的)인 작곡 수법의 진
보에 따라 하나의 선율선(旋律線)에 모두 맡겨진 단성(單聲)가곡으로부터 폴리포
닉한 다성(多聲)가곡 영역으로 나아가, 16세기에는 저마다의 국민성을 반영하여
다채롭게 꽃피었다. 프랑스의 샹송에는 세련된 멋이 있고, 이탈리아의 마드리갈
(madrigal)은 문학상의 매너리즘과 손잡아 목가적(牧歌的) 제재 속에 양식적 멋이
엿보인다. 독일의 다성 리트는 들꽃 같은 소박함 속에 로맨틱한 그리움을 담고 이
자크의 4성 가곡 「인스부르크여, 안녕」과 같은 뛰어난 가곡을 탄생시켰다. 이들
다성 가곡과 나란히 류트를 반주악기로 하는 가곡도 만들어져 영국의 다울랜드에
의한 「흘러라, 눈물이여」(「눈물의 파바느」라는 곡명으로도 알려짐) 같은 일세
를 풍미한 곡도 생겨났다. 또한 퍼셀, 캠피언 등의 이 시대 영국가곡은 마음을 편
안하게 만드는 단순한 선율이 특징적이다.
이어서 17-18세기는 극음악의 융성과 서정시라는 2가지 요인이 겹쳐져 전반적으
로 가곡이 발전하지 못했다. 종교음악의 대가 바흐에게도 오페라· 오라토리오의
대가 헨델에게도 가곡다운 가곡은 거의 없다. 가까스로 18세기 말부터 가곡은 다
시 융성기에 들어섰는데, 그 새로운 발전의 요인이 된 것은 첫째, 바로크시대의
도덕적 경향으로부터 전환되어 새로이 자연과 인생의 관조(觀照)로 눈을 돌린 서
정시의 발전이며 둘째, 심리적 묘사와 서경(敍景)의 기능을 담당하여 목소리를 받
쳐준 피아노라는 반주악기의 등장이다. 셋째, 시민사회의 발흥에 따른 살롱의 예
술적 요구 등이었다.
J.F. 라이하르트와 C.F. 첼터를 선구자로 하여 슈베르트·슈만· 브람스·H. 볼프에
이르는 19세기 낭만파 리트의 눈부신 발전은 이 흐름에 따른 것이었다. 이들 낭만
파 리트 작곡가들이 즐겨 채택한 시인은 괴테가 으뜸이며 하이네와 릴케가 그 뒤
를 잇는다. 하이네와 릴케의 시 가운데는 시 자체가 그 서정적 암시성과 시어(詩
語)의 울림에 있어서 음악과의 친화성을 뚜렷이 나타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전형
적인 예는 하이네 시집 「노래책」에 의한 슈만의 연작(連作)가곡 「시인의 사
랑」이다. 연작가곡은 본디 소형식의 작품인 가곡을 꽃다발처럼 엮어 음악적 사이

- 4 -
클을 한데 모은 것으로, 슈베르트의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겨울 나그
네」로 시작되어 낭만파 가곡에 풍부한 색채를 더했다.
볼프 이후의 독일 가곡은 R. 슈트라우스의 감각적으로 세련된 심리적 작품과 말
러에 의한 관현악을 반주로 한 심포닉한 리트로 발전했으며,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슈프리히슈팀메(Sprechstimme)2)를 사용한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에서
보이듯 차츰 서정적인 가창 양식을 벗어나 표현주의적 경향을 띠게 되었다.
독일 이외의 나라에서는 감미롭고 향수적인 로망스의 흐름을 따르면서 근대에 이
르러 뒤파르크· 쇼송· 포레· 드뷔시· 라벨에 의해 완성된 프랑스 멜로디의 예술이
중요하다. 특히 상징파(象徵派) 시인 베를렌의 시에 의한 드뷔시의 작품은 그 낭
송 풍 스타일과 인상주의적 색채감에 있어 프랑스 가곡의 한 봉우리를 이루고 있
다. 이탈리아에서는 낭만파 시대에도 오페라의 그늘에 가려져 가곡은 눈에 띄지
않는 존재였다. 토스티는 오페라에 쏠린 사람들의 귀를 가곡 쪽으로 돌리려고 힘
써 뛰어난 가곡을 많이 남겼으며, 그 뒤 마스카니· 레온카발로 등도 예술가곡 작
곡에 마음을 쏟았다.
한편 유럽 주변나라들에서는 이른바 국민악파 운동의 일환으로서 러시아의 글린
카·무소르크스키가 양적·질적으로 뛰어난 가곡을 내놓았고, 노르웨이의 그리그와
에스파냐의 그라나도스 등이 민족적 색채 짙은 가곡을 남겼다. 그리고 보헤미아의
드보르자크는 「집시의 노래」, 「사랑의 노래」, 「성서의 노래」라는 가곡집을
펴냈다. 최근 영국은 엘가의 성악곡의 뒤를 이어 멜리어스 · 월튼· 브리튼의 출현
으로 가곡의 르네상스를 맞아 세계의 눈길을 끌고 있다.

2) 슈프리히슈팀메(Sprechstimme) : 이야기하듯 노래하는 기법을 말한다.

- 5 -
B. 연(작)가곡의 개념 및 특징
연가곡 (song cycle, Lide erkris)은 기본적으로 한 시인이 일관된 주제를 갖고
쓴 일련의 시들에 곡을 붙인 가곡 모음이라고 할 수 있다. 「멀리 있는 연인에
게」(An die ferne Geliebte),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Winterrise)나 슈만의
「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와 같은 작품은 한 시인이 쓴 여
러 개의 시에 곡을 붙인 연가곡의 대표적인 작품들은 전체 내용을 함축하는 제목
에서 어떤 특정한 이야기가 순서대로 진행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
분의 연가곡들은 일관 된 이야기의 흐름을 가지기 보다는 다양한 서정을 함축적으
로 그려낸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또한 같은 제목으로 된 연가곡이라고
해도 한 시인의 노래일 필요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연가곡은 사랑이나 죽음과 같
은 주제를 어느 정도 담고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서술적인 연계성은 부족한 경
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에도 연가곡으로 분류되고 있다. 슈베르트가 요절한 시인
뮐러의 시에 곡을 붙인 「아름다운 물레방앗간의 아가씨」(Die schöne Müllerin)
은 처음으로 납득할 만한 서술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연가곡집의 예일 것이다.
이 작품은 청년이 희망 속에서 길을 떠나 겪는 사랑과 연민, 자연의 아름다움을
서술적으로 이어 나간다. 그러나 그의 3대 가곡집의 하나로, 연가곡으로 종종 오
인되는 「백조의 노래」(Schwanengesang)는 연가곡 이라기보다는 가곡 모음집이
다. 물론 앞부분이 사랑이라는 주제로 되어있고 뒤에 가서 인생과 회상이라는 주
제가 이어져서 서로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기도 하지만, 마지막 곡과의 연관성
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만 여러 가곡을 모아 놓은 형태에 머물러 있다.
슈베르트에 뒤를 이어 슈만 역시 많은 연가곡을 작곡 한다. 슈만은 아이헨도르프
의 시에 붙인 두 편의 「리더크라이스」(Liederkreis)와 「시인의 사랑」
(Dichterliebe), 「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등 노래와 피아
노의 완벽한 결합을 추구한 주옥같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슈만의 가곡은 슈베르
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피아노가 단순히 동반자적인 역할을 넘어 독립적으로
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여기 피아노와 노래의 이중주가 실
현된다. 슈만은 시의 분위기를 미리 암시하기 위해 전주와 간주를 두는 것은 물론

- 6 -
이고 작품의 말미에 피아노만의 후주를 두어 여운을 지속시키는 수법을 자주 보여
준다.
슈베르트와 슈만 다음으로 독일 리트의 계열에서 빠질 수 없는 사람이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1897)와 볼프(Hugo Wolf, 1860-1903)이다. 낭만주의적인
문학 작품을 좋아했고 독일의 민요에 관심이 많았던 브람스는 창작의 비중을 성악
곡과 실내악곡에 두면서 민요의 서정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데 힘썼다. 브람스
의 대표작 「티크의 마겔로네에 의한 로망스」(Romanzen aus L.Tiecks Magelone)
는 나폴리 공주인 마겔로네와 젊은 기사 페터와의 사랑 이야기를 15편의 연가곡으
로 구성한 것으로 낭만주의 연가곡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볼프는 피아노 반주에 의한 독일 리트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작곡가로, 「뫼리케
가곡집」과 「괴테 시에 의한 가곡집」을 비롯한 3개의 가곡집을 포함하여 300곡
가까이 되는 리트를 작곡했다. 그는 오페라에도 관심을 보였으나 오로지 가곡에서
만 자신의 천재성을 과시할 수 있었다. 그의 가곡은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반음계
적인 진행과 자유로운 낭송, 끊임없는 조바꿈을 사용하여 한층 후기 낭만주의의
색채를 띠고 있으며 피아노의 역할에 더욱 큰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볼프와 같은 해에 태어난 말러(Gustav Mahler, 1860-1911)는 독일 리트를 피아노
와 성악의 결합에서 관현악 반주에 의한 예술가곡으로 탈바꿈 시킨 인물이다. 그
의 창작 활동의 두 축은 교향곡과 리트이며 그의 교향곡은 바로 리트의 체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말러의 가곡은 낭만주의적인 시와 인물에서
영감의 원천을 끌어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작으로는 「방랑하는 젊은이의
노래」(Lieder eines fahrenden Gesellen)와 말러 자신의 자전적 체험을 담은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Kinder toten lieder)가 있다.
말러와 동시대에 활약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ohard Strauss, 1864-1940)도 오
페라와 교향시 못지않게 리트의 탁월한 작품을 남기고 있는데, 대부분 청순한 서
정을 다루고 있으며 가수에게 다소 어려운 기교를 요구하고는 있지만 낭만적인 화
성을 배경으로 한 달콤한 선율이 성악가들로 하여금 자주 레퍼토리로 선정하게 한
다.
리트만이 아니라 프랑스의 멜로디(melodie)나 러시아, 이탈이아의 가곡들도 시의

- 7 -
정서를 피아노 반주에 담아 표출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은 유사하다. 프랑스에서 멜
로디라는 이름의 예술가곡이 많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는 슈베르트의 작품이 프랑
스어로 번역되어 출간되면서부터라고 하는데, 작곡가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는 자신의 가곡 작품을 출간하면서 거기에다 샹송이나 로망스(romanc
e)3) 라는 명칭 대신 멜로디라는 명을 사용했다. 이러한 명칭을 쓴 것은 평이하고,
단순하게 악절을 구성하는 로망스의 특징을 벗어나 시의 분위기에 맞는 과감한 화
성과 리듬의 변화, 낭송하는 듯 하는 선율 등 이전의 프랑스 가곡 전통과는 차이
가 있는 어법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베를리오즈 「여름밤」(Les Nuits d'Eté) 이
후로 오페라 작곡가인 구노(Charles Francois Gounod, 1818-1893)와 비제도 가곡
을 작곡했으며 리스트는 현란한 그의 오케스트라 작품과는 별도로 소박한 서정적
인 프랑스 가곡 「꿈에 오소서」(Oh! quand je dors)를 남기고 있다. 그러나 프랑
스 가곡은 포레(Gabriel Fauré, 1845-1924)에서 절정기를 맞는다. 피아노 독주곡
과 실내악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였던 포레는 베를리오즈나 구노의 가곡이 후렴 부
분을 갖는 유절가곡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시의 감정에 따라 음
악도 발전해 나가는 통절가곡의 방식을 취하면서 피아노의 비중을 대폭 강화시켰
다. 특히 베를렌(Paul Verlaine)의 시를 정하면서 그의 가곡은 한층 세련되어 졌
는데 ‘베를렌의 시인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 가곡집 「다정한 노래」(La
bonne chauson)는 그의 대표작 「달빛」(Clair de lune)과 「꿈을 꾼 후에」
(Aprés un Rêve) 등을 통해 프랑스 시의 뉘앙스가 갖는 우아하고 절제된 아름다움
을 그려내고 있다. 포레의 뒤를 이은 뒤파르크(Henri Duparcm, 1844-1932)와 쇼송
(Ernest Chausson, 1855-1899) 그리고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는 멜로
디의 절정을 이룩함과 동시에 보들레르와 고티에, 말라르메 같은 프랑스 시인의
시에 곡을 붙이면서 개인적인 감정의 발산보다는 순수하게 정화된 음의 세계를 추
구한다.
독일과 프랑스에는 못 미치지만 러시아와 이탈리아, 그리고 다른 나라들도 자신
들의 고유한 언어와 시에 기초한 예술가곡을 남기고 있다. 러시아의 차이코프스키

3) 로망스(romance) : 멜로디 이전에 가곡을 지칭하던 용어

- 8 -
와 무소르그스키, 라흐마니노프 등이 이 분야에 좋은 작품들을 남기고 있으며, 노
래의 나라 이탈리아 역시 주옥같은 가곡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탈리
아의 가곡(칸조네)은 독일과 프랑스에 비하면 피아노의 서법에 있어 비교적 단순
하고 가사의 의미 전달보다는 성악 선율에 더 비중을 둔다는 점에 있어서, ‘시와
음악의 대등한 결합을 통한 피아노와 노래의 이중주’라는 낭만주의 예술가곡의
전형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물론 나라마다 언어의 뉘앙스가 다르고 발음 구
조가 편이하므로, 가사의 정감에 대한 음악적 대응물인 예술가곡은 나라마다 고유
의 특징을 가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탈리아 가곡이 낭만주의적 특징으로부터 비
교적 독립해 있다하여 그것이 열등함을 뜻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것은 이탈리
아 가곡이 지니는 특성 중 하나일 따름이다.4)

4) 민은기 외, 서양음악의 미래, 예솔, 2000

- 9 -
C. 영국가곡의 역사적 고찰

영국가곡은 거대한 산맥의 최고봉들과 계곡들과 같은 역사를 보여 준다. 영국음


악은 16세기와 17세기 초반에 융성했고, 18세기와 19세기에는 다소 퇴색해 지더니
20세기에 들어서 다시 그 저력과 가치를 얻게 된다.5)
15세기까지의 영국 왕실은 프랑스 세속음악을 수입하였고, 영국 작곡가들은 프랑
스어와 이탈리아어의 시에 음악을 붙이는 시도가 있었다. 16세기 엘리자베스1세
(1533-1603) 시대는 문학과 음악의 황금기를 맞는다. 이 시대의 가곡들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등 당대의 위대한 시문학을 사용하여 작곡되었고, 풍부한 류트
반주에 의한 가곡들로 변화하여 17세기 초반까지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17세기의
영국은 중 ․ 상류층의 음악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세속음악이 발달하게 되고, 통
주저음반주6)에 의한 가곡이 성행하게 된다. 또한 17세기 말부터 궁정 가면극이 쇠
퇴하면서 이탈리아의 오페라와 함께 회화체의 영국적 오페라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가 바로 20세기 이전의 가장 위대한 마지막 영국 작곡가로 여겨지는 퍼셀의 성
악 작품들이 빛을 발한 시기였다.
형식미와 세련미로 특징을 이루지만 단순한 발라드 곡들이 나타나는 18세기의 조
지 왕조 시대(1760-1830)를 지나, 19세기의 영국은 큰 변화를 겪게 된다. 19세기
초에 일어난 산업화로 인하여 중산계급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가 상승되면서 19세
기 빅토리아 왕조 시대(1832-1901)에는 음악이 이런 중산층에 의해 보다 대중화
하고 예술성보다는 여흥을 위한 음악에 관심을 가지면서 작곡가들도 이에 영합하
게 된다. 감상적이고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으면서 가사와 음악의 관계도 밀접하지
않은 살롱의 발라드의 유행으로 작곡가들은 큰 상업적 이득을 얻기도 하였다.7) 이
후 영국의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패리, 스텐포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들은 영국

5) Carol Kimball(채은희 역),「Song ; 예술가곡의 스타일과 문헌에 대한 총서」, 형설출판사,


p.307.
6) 통주저음반주는 바로크 시대 유럽에서 널리 행해지던 연주 방식으로 단성의 저음부 위에 즉흥적으
로 오른손 파트를 만들어가며 반주하는 연주 방식이다.
7) 이상혁, “영국의 가곡Ⅱ”, 「음악저널」123, 2000, p.77.

- 10 -
의 지난 시대 시인인 셰익스피어, 러브레이스(Richard Lovelace), 블레이크
(William Blake), 헤릭(Robert Herrick)의 시를 다시 가곡에 사용하자는 운동을
전개하며 홀스트(Gustab Holst, 1874-1934), 본 윌리암스(Vaughan-Williams), 런
던 로날드(Landon Ronald, 1873-1938) 등의 다음 세대 작곡가의 가곡에 영향을 준
다.
빅토리아 왕조 시대에서 에드워드 왕조 시대(1901-1951)로 이어지는 초기 에드워
드 왕조시기를 대표하는 작곡가는 프랑크푸르트 그룹(Frankfrut Group)의 퀼터
(Roger Qulter, 1877-1953), 그레인거(Percy Grainger, 1882-1961), 가디너(Henry
Gardiner, 1877-1950), 스콧(Cyril Scott, 1879-1970), 런던 로날드를 들 수 있
다.8) 이들은 멜로디 라인을 아름답게 작곡하였으며 이들의 작품은 빅토리아 왕조
시대의 발라드의 영향 아래 감상주의적 정서를 띄었다. 이렇게 20세기 초반에 들
어서 성악음악은 기본적으로는 발라드의 영향 아래 자유로운 연가곡 양식이 주류
를 이루게 되었다. 즉 기본적인 정서는 여전히 감상적이지만 표현 방법에 있어서
보다 예술적인 단계로 발전하여 조성, 리듬, 선율, 악곡구조 및 즉흥적인 반주 형
태가 사라지는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경향은 결국 영국의 음악을 현대적
으로 끌고 가기 보다는 낭만적 흐름을 고수하게 만들었다.9) 20세기 초반의 작곡가
들은 대부분 테니슨, 스티븐슨, 하디(Thomas Hardy), 메어(Walter de la Mare),
그리고 로셋티 등의 고전 시대 시인과 동시대 시인의 시를 가곡 작곡에 사용하였
고, 특히 20세기 영국음악의 대표적인 시인들인 하디와 하우스만(Alfred Edward
Housman)의 시를 즐겨 썼다. 하우스만의 시집 ‘A Shropshire lad’의 단순함과
음악적 서정성이 가곡에 완벽하게 들어맞아서 본 윌리암스와 거니(Ivor Gurney,
1890-1937) 등 당시의 많은 작곡가들이 하우스만의 시를 즐겨 사용하였다.10)
20세기의 영국가곡은 홀스트와 본 윌리암스의 민족주의적 성향의 음악 ‘프랑크
푸르트 그룹 작곡가들에 의한 범세계적인 음악의 추구’, 스콧의 프랑스의 영향이

8) Carol Kimball(채은희 역),「Song ; 예술가곡의 스타일과 문헌에 대한 총서」, 형설출판사,


p.308.
9) 문경수, “음악사적 접근을 통한 영국 가곡의 이해”, 「음악과 민족」 14, 1997, p.258.
10) 이상혁, “영국의 가곡Ⅱ”, 「음악저널」123, 2000, pp.78-79.

- 11 -
짙은 음악, 그리고 아일랜드(John Ireland, 1879-1962)와 백스(Arnold Bax,
1883-1953)의 낭만주의의 고수와 같은 여러 가곡의 사조가 있었다.11) 이렇게 영국
의 예술가곡은 많은 작곡가들의 다양한 양식들로 인해 20세기에 새로운 부활을 경
험하게 된다. 이전의 유럽음악의 모습을 벗고 영국만의 음악을 찾으려는 움직임과
함께 20세기 전반은 풍부한 민요들에 깊이 영향을 받아 그 요인들을 예술가곡에
사용하기 시작한다.
영국가곡은 20세기가 진행되면서 독일의 낭만주의, 프랑스의 인상주의, 신고전주
의, 근대주의 등의 다양한 영향들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영국의 작곡가들은 그들
의 개별적인 음악 양식들과 배경들을 투영하면서 다양한 양식을 만들어 냈다. 딜
리어스(Frederick Delius, 1862-1934), 월록(Peter Warlock, 1894-1930), 핀지
(Gerald Finzi, 1901-1956), 붓터워스(George Butterworth, 1885-1916) 등은 그들
의 가곡에 다양한 양식들을 폭넓게 반영하여 확연한 양식의 차이를 보여준다.12)
2차 대전 후, 영국은 엘리자베스2세가 1952년에 재위를 하게 되고, 음악학 분야
에서 많은 업적이 나타나 ‘Musick Britanica’와 ‘Gr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같은 대사전과 음악전기 간행물 ‘Monthly Musical Records’ 등
이 출판되었다. 음악적으로는 발라드 양식의 쇠퇴가 확연하였고 성악곡의 반주 형
태는 피아노 반주에 의한 것이기 보다는 실내악을 위한 것이 성행하였다. 이것은
실내성악의 쇠퇴와 기계적인 재생산의 도래 때문에 가곡 작곡가에게 상업적 이득
을 가져다주지 못하면서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앞 시대부터 선보이기 시작한 합창과 독창, 독창과 관현악, 나아가 독창과 실내악
반주가 일반화되어 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차 대전이 끝난 직후에 성악가들의 연주곡은 거의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가곡에
치중하였다. 이것은 조소적, 반낭만적, 직설적인 현대시와 거기에 부합하려는 현
대음악에 대한 청중들의 강한 거부감 때문이었다.13)

11) 이상혁, “영국의 가곡Ⅱ”, 「음악저널」123, 2000, p.79.


12) Carol Kimball(채은희 역),「Song ; 예술가곡의 스타일과 문헌에 대한 총서」, 형설출판사,
p.309.
13) 문경수, “음악사적 접근을 통한 영국 가곡의 이해”, 「음악과 민족」 14, 1997, p.262.

- 12 -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 영국의 음악적 어휘와 정서를 표현한 음악과 이국적인
음악적 소재를 나름의 현대적 기법으로 처리한 절충지적인 작곡기법이 나타났고
이런 음악을 통해 영국의 음악에 획을 그은 사람으로 핀지, 월튼(William Walton,
1902-1983),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 등을 들 수 있다.
20세기의 또 다른 영국 작곡가에는 호더(Mervyn Horder, 1910- ), 부쉬
(Geoffrey Bush, 1920- ), 디킨슨(Peter Dickenson, 1934- ) 등이 있다. 호
더는 90여 곡의 신낭만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가곡들을 작곡하였고 부쉬는 음악학
자이며 방송인이자 피아니스트로서 19세기 영국의 음악에 대해 학문적인 흥미를
갖고서 19세기 가곡을 여러 곡으로 편집, 출판하였다. 그리고 Keele 대학의 명예
교수인 디킨슨은 뛰어난 리듬의 에너지에 대한 감각과 타고난 유머를 소유한 가곡
들을 작곡하였고, 미국의 음악 연구로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14)

14) Carol Kimball(채은희 역),「Song ; 예술가곡의 스타일과 문헌에 대한 총서」, 형설출판사,


pp.374-380.

- 13 -
D. 시와 음악의 연관성
갈고 다듬은 한 편의 시와 그 시에 걸맞은 음악이 만나서 탄생한 노래를 예술가
곡 (art song, Lied, melodie, canzone)이라고 한다. 민요가 삶의 희노애락을 담
아서 여러 사람이 함께 부르는 노래라면 예술가곡은 개인적인 서정을 담아 부르는
노래라는 차이가 있으며, 대게 작자미상이고 반주 없이 부르던 민요와는 달리 시
인과 작곡가의 숨결이 드리워진 반주가 있는 노래라는 차이가 있다. 아주 오래전
직접 시를 짓고 노래 가락을 붙이던 중세의 음유 시인들은 요즘 식으로 하면 싱어
송 라이터의 조상일 것이다. 11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나서 12-14세기에 활동한 음
유 시인들의 노래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은 악기 반주를 수반 했다는 점이다. 자신
들이 직접 지은 시에 음률을 붙여 부르던 샹송은 아마도 가장 오래된 예술가곡의
형태일 것이지만, 실제로 예술가곡이라는 명칭은 낭만주의 시대에 꽃피워진 독일
리트(Lied, 복수로는 Lieder)와 프랑스의 멜로디(melodie)에 붙여진 경우가 일반
적이다.
예술가곡이라는 성악 장르는 낭만주의적인 음악 토양에서 출발되었다. 예술가곡
이 작곡가들의 표현 도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시인들이 봇
물처럼 써 내려간 시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예로부터 훌륭한 시인들의
작품은 끊임없이 작곡가들의 영감을 자극해 왔으며, 작곡가들은 시의 의미와 정감
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 왔다. 그런 의미에서
괴테(1749-1832)와 하이네(1797-1857), 뮐러(1794-1827)등의 시는 시 자체가 가진
탁월한 내용만이 아니라 시에 내재된 음악적인 운율과 리듬만으로도 작곡가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19세기의 낭만주의적인 정신은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의 발로로서 음악을 추구하게 만들었으며 이러한 사적이고 내밀한 정서의 표
출이 작곡의 동기가 되었다. 작곡가들은 먼저 떨어진 연인에 대한 동경과 잊혀 진
전설, 주변에서 무심히 지나쳤던 자연과 초자연적인 힘, 꿈과 악마적인 이미지,
충족될 수 없는 갈망 등 시인들의 상상력이 출발한 바로 그곳에서 자신들이 음으
로 번역할 수 있는 시적인 이미지를 찾아냈다.
예술가곡과 동의어로 인식되는 독일어 리트는 원래 노래(song)라는 뜻을 가진 평

- 14 -
범한 명사였다. 18세기까지만 해도 리트는 그저 단순한 민요나 독일 대중 노래에
붙여진 이름이었는데, 이것이 한 단계 차원이 높은 예술가곡(kunstlied)으로 격상
된 데에는 ‘가곡의 왕’으로 일컬어지는 슈베르트의 주옥같은 가곡이 있었다. 슈
베르트 이전의 작곡가들은 리트보다는 오페라나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 규모가 큰
음악에 관심을 가졌을 뿐, 리트는 그저 아마추어가 심심풀이로 만드는 노랫가락
정도로만 여겼었다. 중세 음유 신인으로부터 슈베르트에 이르기까지 리트라는 낭
만적이고 섬세한 장르가 탄생하는 데에는 천년이 넘는 세월이 소요되었다.
불과 서른 한 살의 나이로 요절한 슈베르트가 남긴 가곡은 무려 600곡이 넘는다.
그의 가곡을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예술가곡이라고 부르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우선 좀처럼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시와 음악의 합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는 점인데, 음악과 시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사에 완벽하게 용해 된 성
악 선율을 창조해 냈다는 것이다. 과거로부터 작곡가들이 즐겨 사용한 가사 그리
기(word painting)15)의 차원을 넘어서 미세한 리듬과 풍부한 화성, 중요한 단어에
대한 dynamic의 강조, 고음과 저음의 적절한 배합 등으로 성악 선율을 탁월한 시
적 효과를 자아낸다. 또한 성악 성부와 맞물려 그것을 반주하는 피아노는 시적 이
미지를 강화하는 데 가장 완벽한 표현 수단으로 작용한다. 가령 분산화음으로 펼
쳐지는 피아노의 아르페지오는 물의 일렁임이나 물레방아가 도는 모습을 연상시키
며, 낮고 육중하게 화음으로 반주할 경우 어둠과 탄식, 고통의 이미지를 적절히
부각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가사의 감정과 이미지는 가장 낭만적
인 악기인 피아노를 통해 세밀한 부분에서부터 오케스트라에 필적하는 다양하고
폭넓은 표현 가능성에 의해 예술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슈베르트의
초기 작품 「물레 감는 그레첸」(Gretchen am Spinnrade)은 피아노 반주가 그레첸
이 돌리는 물레 소리를 연상시킴과 동시에 파우스트를 그리워하는 그녀의 초조한
심정을 묘사한 작품으로, 시와 음악의 조화가 어떤 것인가를 슈베르트가 직감적으
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예다.16)

15) 가사 그리기(word painting) : 가사가 지니는 시적 이미지를 음악(소리)으로 나타내는 기법을 말


한다.
16) 민은기 외, 서양음악의 미래, 예솔. 2000

- 15 -
Ⅲ. Landon Ronald의
Ronald의 작품 세계

A. Landon Ronald의
Ronald의 생애
런던 로날드(Landon Ronald, 1873-1938)는 영국의 지휘자 겸 피아니스트, 그리고
작곡가였다. 1873년 6월 7일 영국의 런던에서 태어났으며, 작곡가 헨리 러셀의 아들
로 본성은 러셀(Russell)이다. 1884년부터 로열 칼리지 오브 뮤직에서 수학했다.
1891년 만치넬리에게 인정받아 코벤트가든 왕립 오페라 극장의 반주자와 코치가
되었고, 이듬해 오거스터스 해리스가 주재하는 이탈리아 컴퍼니의 지휘자로 돌리
레인 극장과 미국 연주 여행을 했다. 1894년부터는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로
데뷔했다. 그 후 1898년부터 1902년까지 런던의 리릭 시어터에서 뮤지컬 코미디의
지휘자와 블랙풀의 하기 연주회를 중심으로 영국 각지에서 활약했다. 1904년부터
1907년까지는 신설된 필 교향악단의 객원 지휘자로 활동했으며, 1908년에는 베를린,
빈, 라이프치히, 암스테르담에서 객원 지휘로 성공을 거두었다. 1909년부터 1914
년까지 신 교향악단, 1916년부터 1920년까지는 스코틀랜드 교향악단의 지휘자를
중심으로 하여 각지에 초청 받아 활약하였으며 친구인 엘가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소개했다. 그는 엘가 음악의 이상적인 해석가였는데, 엘가는 그에게 교향시 「풀
스타프 작품 68」을 헌정한 바 있다. 한편 로날드는 1909년 엘가의 교향곡 제1번
의 로마 초연을 지휘했다. 또한 1910년부터 타계할 때까지 런던 길드홀 음악 학교
의 교장을 역임하면서 교육자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긴 것 외에 비평가로서도 활약
했다. 레코드는 금세기 초엽부터 당대의 명가수였던 소프라노 넬리 멜바와 아델리
나 파티의 반주를 한 것과 평소 친분이 두터웠던 크라이슬러와 카사스와의 협주곡
등이 매우 많은데, 이것들은 현재도 LP로 들을 수가 있다. 1922년에는 영국 음악
계에서의 큰 공로를 인정받아 경의 칭호를 받았다. 1922년 작위를 수여받은 로날
드는 작곡가로서도 눈부신 업적을 남겼는데, 로버트 히첸스의 「알라 신의 정원」의
극 부수음악과 서곡을 위시하여 교향시, 전주곡, 즉흥곡 등을 작곡하였다. 그는
또한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O Lovely Night」와 「Down in the Forest」이외의
오늘날 300여 곡의 가곡을 남겼다. 그리고 두 권의 회고록도 출간하였다.

- 16 -
B. A Cycle of Life의
Life의 분석

1. A Cycle of Life의
Life의 작품 개요
이 곡 전체에서 사용 되는 주제어는 ‘Life’와 ‘Love’이다. 이것은 인생(삶)
과 사랑을 구별하는 영역의 나눔이 아니다. 이 둘은 삶을 살아가는데 떨어뜨려 생
각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의 사랑은 단순히 연인을 나타내는 단어가 아니다. 이 사랑은 사랑
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나의 꿈, 살아가는 나의 삶 등 삶 속에서 내가 사랑하는 모
든 것을 함축하고 있는 단어이다.
제1곡 「Prelude」를 통해 우리의 삶 속에서 한 번쯤은 고민했을 ‘왜 사는가?’
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고 동시에 그 해답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이 곡의 전체 내
용인「우리가 어디에서 오고, 왜 사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우리는 모른다. 그
렇듯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삶 속에서 내가 사랑하는 모든 것을 위
해서 기도하며 애쓰고 노력 할 뿐이다.」가 바로 그것이다. 뒤에 사계절 없이
「Prelude」만으로도 『A Cycle of Life』의 주제는 충분히 전달된다.
뒤이어 제2곡 「Spring」이 시작 한다. 이것은 계절의 첫 시작, 인생의 첫 시작
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봄의 계절을 통해서 느껴지는 설레고 흥분되는 기
분을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은 인생에서 무언가 알아가고 사랑을 느끼는 시기의 마
음과 같다고 하겠다. 자신에게 다가온 첫 삶(삶의 목표), 사랑의 느낌이 그것이
다. 삶의 모든 처음 일이나 첫 사랑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는 것을 이 시에서는
‘It was only note a bird’(그것은 단지 새 소리 일뿐)로 표현하고 있다. 당시
의 그 순간에는 최선을 다하고 그것이 전부인 것 같았으나 시간이 흐르면 우리는
단지 순수했던 감정으로 추억하게 된다.
그리고 제3곡 「Summer」가 등장한다. 이 곡은 가장 긴박감 넘치고 화려함을 자
아내는 여름을 나타내며 인생의 가장 절정기를 비유한 곡이다. 그리고 자신의 꿈
과 사랑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이루는 과정이다. 또한 이때의 매우 흥분되고 벅
찬 감정의 고조를 느끼게 한다. 여기에 활기찬 반주와 함께 여름의 태양의 이글거

- 17 -
림을 나타내듯 이 곡은 인생의 절정기를 잘 표현 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4곡 「Autumn」은 인생의 절반이 흘러가고 이제 열심히 걸어온 길을
한번쯤 뒤 돌아보며 정리할 시간을 말하고 있는 곡이다. 이 시에서 ‘Good-bye’
라는 단어로 시의 두 번의 단락 끝을 맺는데, 여기에서 이 시어는 단순히 이별을
뜻 하는 것이 아니다. 여태까지의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열심히 살아온 삶 가운데
에서도 자신이 알게 모르게 행한 실수나 아쉬움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제5곡 「Winter」는 인생에서 죽음을 맞이하듯 계절의 마지막인 겨울로
그 의미를 더 한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죽음은 보통 생각 되어지는 어둡고 추운
계절이 아니다.‘Drift down, drift down from the skies,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fast’(겨울에 내리는 하얀 눈송이)를 통해 따듯하고 평화로
운 죽음을 맞는 것을 의미 한다. 그리고 ‘Fall soft, fall soft on my love’(부
드럽게 내리렴, 나의 사랑 위에)를 통해 자신의 삶을 사랑하며 자신의 삶이 좋은
열매를 거두기를 마지막까지 기원하는 바람을 엿 볼 수 있다. 이렇게 「Prelude」
와 일치한 결말을 맺으며 이곡은 완성된다.
『A Cycle of Life』는 말 그대로 인생의 흐름, 연속을 말한다.
시인이 4계절을 통해 『A Cycle of Life』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이미 앞에서
충분히 다루었다.

여기에서 필자는 이 주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자 한다. 계절은 봄이


오고,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이 온다. 일반적으로 계절이라 함은 앞서 말한 바
와 같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으로 처음과 마지막이 있는 것처럼 구분한다.
그러나 계절은 처음과 마지막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순환하는 것이다. 이처럼
인생이 태어나서 죽음을 맞는 것이 삶의 끝이 아닌 것 이다. 한 사람의 삶이 이곳
에서 나고 없어짐은 있으나 이모든 삶들은 ‘뫼비우스의 띠’17) 같이 끝이 없는

17) 뫼비우스의 띠 : 기다란 직사각형 종이를 한 번 비틀어 양쪽 끝을 맞붙여서 이루어지는 도형. 면


의 안팎 구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창안자인 독일의 뫼비우스의 이름에서 유래함.

- 18 -
연속적인 Cycle을 만들어 낸다. 또한 필자는 『A Cycle of Life』를 연구, 분석함
으로써 음악, 예술 역시 이러한 Cycle의 연속이라 함을 깨닫게 된다.

- 19 -
2. A Cycle of Life의
Life의 구성
Landon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e』는 다섯 개의 곡으로 제1곡 Prelude
를 제외한 나머지 네 곡은 Down in the forest(spring), Love, I have own
you(summer), The winds are calling(autumn), Drift down, drift down(winter)로
사계절에 비유 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연의 흐름을 통해 『A Cycle of Life』
(인생의 연속, 흐름)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곡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곡 「Prelude」는 4/4박자의 G Major 조성과 A-B-A'의 가요 3부분 형식
(three-part song form), 그리고 Coda부분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이 곡은 『A
Cycle of Life』 전체의 주제를 담고 있다.
제2곡 「Down in the forest」(spring)」는 4/4박자의 D Major 조성과 A-B-
A'의 가요 3부분 형식(three-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봄의 소리가
들릴 듯 말 듯 한 반주의 표현으로 인생의 첫 시작, 사랑의 설렘과 신비함을 나타
내고 있다, 표현 방식 중 recit.를 특징적으로 사용했으며 종지에는 확대종지와 불
완전 정격종지를 사용하여 봄의 여운을 남기면서 곡을 마무리하고 있다.
제3곡 「Love, I have won you」(summer)는 9/8박자의 F Major 조성과 A-
A'-A"의 가요 3부분 형식(three-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이 곡은
전체 곡 중에서 템포가 가장 빠르며 인생에서의 절정기를 뜨거운 여름에 비유 하
고 있다. Gr.6(german6th)의 변화화음과 음과 음 사이의 뾵가 특징적으로 쓰였으
며, fff로 인생의 절정기를 화려하게 마무리 한다.
제4곡 「The winds are calling」(autumn)의 전주 4마디는 4/4박자로 이 곡의
전체 성격과는 다른 독립적 성격을 가진다. 이후는 6/8박자로 e minor 조성과
A-A'의 확대 가요 2부분 형식(expanded two-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
이다. 이 곡은 동일한 움직임의 멜로디와 반복되는 ⅰ˚와 ⅳ˚화음으로 가을의 쓸쓸
함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곧 ‘인생의 황혼기’의 아쉬움을 비유한 것이다. 1-4
마디의 독립적인 전주와 2잇단음표의 사용이 특징적이며 이것은 가사의 의미를 더
욱 부각 시키고 있다.

- 20 -
제5곡 「Drift down, drift down」(winter)은 2/2박자의 G Major 조성과 A-
B-A'의 규칙적 가요 3부분 형식(regular three-part song form)으로 이루어진 곡
이다. 차갑고 어두운 겨울보다 따뜻하고 평화스러운 겨울을 나타낸 곡으로 ‘삶의
마지막’을 비유하고 있다. 곡 전체를 통해 도약 하행 진행의 선율로 ‘떨어지는 눈’
을 특징적으로 묘사했다.

- 21 -
3. 작품 분석

1) A Cycle of Life (Prelude)

(1) 가사 번역

Life, With here a smile, 인생은 기쁠 때나


with there a fear, 슬플 때나
relentless river. 냉혹한 강과 같이
Moves from day to day 언제나
from year to year, 한결같이
Nor lingers ever. 결코 멈추지 않는 것

Love up on its banks 사랑은 둑 위에 서서


imploring stands 애원하게 하고
In anguish calling, 고통을 요구하네.
Stands with yearning eyes 그리고 눈으로 동경하고
and outstretched hands 양 손을 펼쳐 애원하며
And soft tears falling 따스한 눈물을 흘리게 하네.

Life, thy ways are long 인생, 그 길은 길고


thy end is dark, 그 끝은 어두운 것
And we, unknowing 그리고 우리는, 알 수 없네.
Whence it was we came,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or why embark, 왜 이생이란 배에 오르는 것인지
Or whither going, 또 어디로 가는 것인지,

- 22 -
Live and love awhile, 살며 사랑하는 잠시 동안,
And pray at last 단지, 우리는 우리가 뿌린 것을
To reap our sowing. 거두기 위해 기도하네.

- 23 -
(2) 제1곡의 주제선율 변화 (A-B-A')

악보 1) 제1곡의 주제선율 변화

- 24 -
(3) 제1곡의 구조 및 형식

표 1) 제1곡의 구조 및 형식

A B A' Coda

전주 a a' 간주 b b' 간주 간주 a a" 후주

1-7 8-11 12-15 16-19 20-23 24-27 28-29 30-33 34-37 38-41 42-51 52-54

G Major E♭Major G Major

• 형식 : 가요 3부분 형식 (three-part song form)


• 박자 : 4/4
• 조성 : G Major
• 빠르기 : Very broadly (매우 폭 넓게)
tempo primo, ma molto grandioso (처음 템포, 그러나 매우 웅장하게)

- 25 -
A 부분

악보 2) 전주의 아르페지오와 전과음


마디. 1-4

A부분은 전주(1-7마디)의 첫 마디부터 왼손의 아르페지오(arpeggio)와 전과음


(appogiatura)18)이 규칙적으로 나온다. 그리고 전주의 처음 네 마디는 그대로 선
율 a부분의 멜로디를 제시하고 있다.

18) 전과음-appogiatura(app.) : 비화성음, 준비음이 생략된 계류음(suspention). 순차 하행이나 순


차 상행으로 해결된다.

- 26 -
악보 3) a부분의 동일박절군과 장2도 동형진행
마디. 8-11, 12-15

전주부의 왼손 반주에 나오던 아르페지오(arpeggio) 반주가 그대로 멜로디에 얹


히어져서 노래의 반주에 사용 된다. 전주에 나오던 전과음(appogiatura)은 선율 a
부분의 모든 마디에 이어진다. 제시부는 동일박절군19)을 이루며 a부분의 선율은

19) 동일박절군(corresponding metric grouping) : 음형이 각 마디마다 동일한 박과 형으로 시작되거


나 구성 된다.

- 27 -
a'부분에서 장2도 위로 동형진행(sequence)20)으로 발전된다.

B 부분

악보 4) B부분 간주의 반음계적인 순차진행


마디. 16-19

간주(16-19마디)의 리듬은 A부분의 형태를 그대로 따른다. 하지만 dynamic은


ff-rall.-20마디의 p로 진행하며 독자적인 climax와 반음계적인 순차진행으로 해
결에 이른다. 19마디 끝에서는 Ⅴ로 G Major를 확인 할 수 있지만 18-19마디 2박
까지의 조성은 파괴 된다.

20) 동형진행(sequence) : 일정한 선율, 화성의 음형을 다른 음높이에서 반복하는 것. 음악의 재료를
한데 묶어주고 발전시키는 데 사용된다. 최초의 음형이 음정 관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반복되는
것을 '진정'(real) 동형진행, 반대로 곡의 초성에 맞추어 반음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조성적
'(tonal) 동형진행이라 한다.

- 28 -
악보 5) b부분의 단3도 동형진행
마디. 20-23, 24-27

발전부(20-27마디)에서는 엇 박의 규칙적인 ostinato21)반주에 제시부와 같은 발


전형태(b-b'부분은 단3도 위의 동형진형)가 나타나며, 이때 b´부분의 24-25마디에

21) ostinato : 일정한 음형이 악곡 전체, 혹은 통합된 악곡 전체를 통해 동일 성부, 같은 음높이로


계속 되풀이 되는 형태를 말한다.

- 29 -
도약 진행으로 b부분과 차별을 주고 있다. 그리고 20-21마디와 22-23마디, 24-25
마디와 26-27마디의 대조를 볼 수 있다.

악보 6) A´부분 간주의 화음 진행
마디. 30-33

재현부(30-41마디)의 간주(30-33마디)에서는 동일한 화음 진행(f-e-d음)으로 긴


박감을 주며, 34-41마디는 제시부의 8마디와 같은 멜로디를 dynamic의 변화(mf-f)
로 climax를 예고한다.

- 30 -
악보 7) 제1곡의 climax와 마무리
마디. 41-54

- 31 -
41마디의 멜로디 선율도 마지막 음을 상행하여 42마디의 climax를 예고하며,
42-49마디까지 순차 하행(a-g-f-e-d-c-b-a-g음)으로 tonic(Ⅰ)까지 해결된다. 49
마디의 a-g음 선율은 반주부에서 화음을 달리해 3번 반복 되는데 멜로디의 g음은
tonic이지만 반주의 반복되는 g음은 끝이 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 32 -
(4) 시와 음악의 관계

악보 8) 전주의 아르페지오와 전과음의 비유적 사용


마디. 1-4

이 곡은 반주에서부터 느껴지듯이 전체 곡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드라마틱함을


보여 주는 곡이다. 전주부분의 네 마디 안에 이미 Prelude 전체의 느낌을 담고 있
는데 인생의 파노라마가 한 장면으로 지나감을 느끼게 한다. 이 부분은 위에서 살
펴보았듯이 오른손의 규칙적인 전과음(appogiatura)과 왼손의 아르페지오
(arpeggio)를 특징적으로 알 수 있다.
오른손의 규칙적인 리듬 속에서 삶이 지니는 규칙적인 순리와 순환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이 시에서는 인생의 흐름을 강물에 비유하고 있는데 왼손의 아르페
지오는 흐르는 강물의 모습처럼 인생의 자연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인생을 주제로 하고 있는 8-15마디는 역시 전주와 똑같은 형태의 음형을 볼 수
있다.

- 33 -
악보 9) 동기(motive)의 대조
마디. 20-23, 24-27

그러나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는 20-27마디는 전체적으로는 제시부와 발전 형태


는 같지만, 엇 박의 규칙적인 ostinato반주로 설레고 약간의 흥분된 기분을 알 수
있다. 여기서의 시인은 기쁜 사랑의 마음 보다는 ‘사랑은 애원하며 따스한 눈물
을 흘리게 하네.’라는 시어를 통해 사랑을 함에 있어서 감수해야할 부분을 말 하

- 34 -
고 있다. 이것을 b-b'부분에서는 20-21마디와 22-23마디, 24-25마디와 26-27마디
를 대조적으로 보여주는데 뒤의 두 마디에 반음계를 사용하여 ‘애원과 눈물 흘
림’의 시어를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 35 -
악보 10) 간주에 긴박감을 주는 화음 진행
마디. 28-33

28-29마디는 cresc.와 순차적인 상행 진행으로 고조된 분위기를 예고한다. 간주


(30-33마디)에서는 동일한 화음 진행(f-e-d음)으로 긴박감을 주며, 32-33마디에
걸친 fff와 molto rall.의 사용으로 다시 한 번 인생의 복잡하고 다양한 파노라마
가 한층 더 극적인 분위기로 표현 하고 있다.

- 36 -
악보 11) A부분과 B부분의 합쳐진 리듬형
마디. 34-37

이것을 받아 34-41마디는 tempo primo, ma molto grandioso의 빠르기말로 앞의


간주부와 같은 폭 넓은 표현과 dynamic의 변화(mf-f), 그리고 A부분의 리듬 형과
B부분의 리듬 형이 어울려 지면서 42마디의 ‘Live and love awhile’의 시어처럼
삶과 사랑은 함께 어울려져 짐을 climax로 보여 준다.

- 37 -
악보 12) 제1곡의 끝부분
마디. 45-54

마지막으로 46마디에서 인생의 참 의미를 깨닫는 시구에 작곡가는 차분한 반주


형태로 바꾸면서 49마디의 a-g음의 선율과 tonic으로 멜로디는 안정적으로 마무리
된다. 하지만 반주부에서 a-g음 선율을 3번 반복 사용 하면서 끝이 나지 않는 화
음으로 끝나는데 이것은 이 곡의 제목이자 주제인 인생의 연속 흐름을 표현한 것
이라 하겠다.

- 38 -
2) Down in the forest (Spring)

(1) 가사 번역

Down in the forest something stirred 숲 속에서 무언가 움직이네.


So faint that I scarcely herd : 그 소리가 희미해 간신히 들리네.
But forest leapt at the sound, 그러나 그 숲은 봄이 오는 소리에 흥분하네.
Like a good ship homeward bound. 마치 집으로 향하는 배처럼

Down in the forest something stirred, 숲 속에서 무언가 움직이네.


It was only the note of a bird. 그것은 단지 새의 울음 소리였을 뿐

now in the morning of life I stand 이제 나는 삶의 아침에 서서


And I long for the touch of your hands ; 오랜 당신의 손길을 갈망하네.
I am here, I am here at your door, 당신의 앞에 여기 내가 있어요.
Oh love, we will wait no more! 오, 사랑이여 우리 더 이상 기다리지 말아요!

Down in the forest something stirred, 숲 속에서 무언가 움직이네.


It was only the note of a bird. 그것은 단지 새의 울음 소리였을 뿐

- 39 -
(2) 제2곡의 주제선율 변화 (A-B-A')

악보 13) 제2곡의 주제선율 변화

- 40 -
(3) 제2곡의 구조 및 형식

표 2) 제2곡의 구조 및 형식

A B A'

전주 a b a' b' 간주 c d 간주 a' 후주

1-4 5-8 9-12 13-16 17-20 21-24 25-28 29-35 36-41 42-48 49-51

D Major

• 형식 : 가요 3부분 형식 (three-part song form)


• 박자 : 4/4
• 조성 : D Major
• 빠르기 : Andante con moto(안단테보다 조금 빠르게)
Piu lento e con molto espressione(-vo)
(매우 느리고 몹시 끓어오르듯이)

- 41 -
A 부분

악보 14) 전주와 간주 부분
마디. 1-4, 21-24, 36-41

- 42 -
전주(1-4마디)는 같은 동기(motive)를 2번 반복함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이후
에 나오는 간주(21-24마디, 36-41마디)도 같은 동기를 반복함으로 전체 곡의 느낌
을 편안하게 이끈다.

- 43 -
악보 15) 반주부의 화음 확장
마디. 15-16, 19-20

확장

4 4

ⅶ ° 2/Ⅴ Ⅴ ⅶ ° 2/Ⅴ Ⅴ

15-16마디의 ⅶ°/V화음은 19-20마디에서 확장 발전된 형태로 다시 한 번 반복된


다.

- 44 -
악보 16) b˝부분의 Recit.와 반음계적 진행
마디. 17-20

17-20마디까지 멜로디는 조성을 거스르지 않고 tonic으로 마무리되지만 화성은


반음계적 진행으로 해결되지 않은 채 바로 간주부로 넘어가 버려 제시부를 불안한
느낌으로 마무리 한다. (여기에 나오는 간주를 제시부에 포함시키는 이유는 앞에
서 설명한대로 곡 전체에 걸쳐 같은 모습으로 나오며 제시부 전체의 반주와 통일
되며 발전부를 예고하는 느낌이 아니기 때문이다.)

- 45 -
악보 17) 발전부의 climax와 이끈음
마디. 25-35

B c

climax
d

leading tone

- 46 -
발전부(25-35마디)는 piu lento e con molto espressivo(매우 느리고 몹시 끓어
오르듯이)로 시작되는 것으로 climax를 예고하고 있다. 반주도 간주와 제시부의
반주에서 나왔던 아르페지오와 화음의 규칙적이고 편안한 모양을 버리고 8분음표
의 화음으로 왼손 반주에서 순차진행(d-c-b-a-g-f♯-f♮음)으로 긴장된 분위기를
몰아가고 최종적으로 31마디에서 climax를 이끌어낸다. 역시 순차진행(g-f♯-e음)
으로 해결되고 33마디는 leading tone(이끈음)으로 내려갔다가 tonic으로 안정적
인 마무리를 한다.

악보 18) 확대 종지와 불완전정격종지로 마무리


마디. 46-51

마지막 46-51마디까지는 확대종지법22)을 사용하여 봄의 여운을 확실히 주었으며


그런 가운데 불완전정격종지23)를 사용해 아직 완전한 마무리가 아니고 곡이 계속
진행될 것을 인식시켜 준다.

22)확대종지법(extended cadence) : 종지화음이 종지마디를 지나 한마디,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되는


종지법이다.
23)불완전정격종지(imperfect authentic cadence) : Ⅰ도의 3음이나 5음이 소프라노에, 또는 3음이
베이스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 47 -
(4) 시와 음악의 관계

악보 19) 제2곡의 반주의 표현


마디. 1-4

이 곡은 봄을 주제로 한 곡으로 andante con moto(안단테보다 조금 빠르게)와 반


주(1-4마디)에서부터 잔잔한 봄의 기운을 느끼게 한다. 반주의 cresc.와 decresc.
가 봄의 소리가 들리는 말 듯 한 표현으로 인생의 첫 시작, 사랑의 설렘과 신비함
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반주의 느낌을 그대로 자연스럽게 멜로디(5-15마디)가 얹혀
진다.

- 48 -
악보 20) a부분의 주제선율
마디. 5-8

5마디(a부분)부터 1-4마디의 반주와 같은 진행의 반주에 자연스럽게 p로 주제선


율이 나타난다. 이렇게 같은 패턴의 반주의 진행은 이 부분의 가사 내용과 1-4마
디의 봄의 소리가 들릴 듯 말 듯 한 표현이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 49 -
악보 21) b부분의 악상 변화
마디. 8-12

잠시 8-12(b부분)마디에서는 cresc.와 f로의 악상변화, 그리고 멜로디의 상행으


로 분위기를 고조 시키면서 ‘그러나 그 숲은 봄이 오는 소리에 흥분하네. 마치
집으로 향하는 배처럼’의 흥분된 기분의 가사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 50 -
악보 22) a´부분의 dim.
마디. 13-16

그러나 13-15마디(a´부분)에서 흥분된 마음은 dim.의 사용으로 정리되며, 동시에


이 부분은 a부분과 동일한 가사로 다시 봄이 오는 소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묘
사 하고 있다.

- 51 -
악보 23) b´부분의 Recit.의 표현
마디, 17-20

이제 17-20마디(b´부분)에서 ‘그것은 단지 새일 뿐’이라는 가사로 그 소리의


정체성이 드러난다. 이 부분의 강조를 위해서 작곡가는 Recit.를 사용하고 있다.
5개의 연가곡에 사용된 여러 가지 특징적 표현 중에서 이 부분의 표현 방식은 감
상적인 부분 중 하나이다. Recit.를 사용한 이 부분은 감상자에게 더욱 높은 긴장
감과 집중을 갖게 하는데, 단순하게 곡의 마무리로 흘려 지나쳐 버릴 수 있는 것
을 작곡가의 이러한 표현으로 매우 극적인 표현이 되었다. 이 부분에서 필자는 다
시 한 번 작곡가로 인하여 그 시가 담고 있는 내용은 물론 연주자와 감상자 모두
에게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게 함을 깨닫게 된다.

- 52 -
악보 24) 발전부의 표현
마디. 25-35

21-24디는 1-4마디와 동일한 간주로 이후의 발전부를 예상하지 못 하다가 25마디


에서 갑작스럽게 발전부(25-35마디)가 시작 된다. 발전부는 piu lento e con
molto espressivo(매우 느리고 몹시 끓어오르듯이)로 첫 사랑에 빠져 지금 이 순
간이 삶의 전부이고 이 사랑이 진정한 사랑이라고 매우 급격한 감정의 변화를 갖

- 53 -
고 노래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가사의 표현을 위해 여태까지 나왔던 규칙적
이고 편안한 반주와는 달리 8분음표의 화음과 왼손 반주의 순차진행으로 고조된
분위기에 뾵를 사용해 감정을 몰아가다가 31마디에서 climax를 예고한다. climax
부분에서는 2번의 반복으로 ‘love’라는 주제 시어를 강조하는데 여기에 맞게 2
번의 ‘love’그 효과를 더하고 있다. 발전부가 해결되는 직전에도 leading-ton에
뾵까지 사용해 해결에 대한 기대를 더욱 강하게 만들면서 34마디에 이르러 안정적
인 tonic으로 마무리 되고 있다. 이것은 마지막까지 사랑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
다고 하겠다.

악보 25) 재현부(A´부분)의 표현
마디. 42-46

35마디부터는 재현부(A´부분)로 잠깐의 봄의 일탈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ppp-pp로 편안한 제1주제를 들려주며 마무리 된다. 이 부분의 가사 내용은 A부분
과 같지만 이 시의 결론으로 더 큰 의미를 부여한다. 이 부분의 ‘그것은 단지 새
일 뿐’이라는 가사의 의미는 단지 그것의 개체를 안 것이 아니다. 인생의 첫 시
작에서의 설렘과 첫 사랑에 대한 신비감을 가졌다가(훗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
하는 첫 사랑의 순수함으로 추억하듯) 그것이 진실한 삶과 사랑의 때는 아님을 깨
닫는 자신의 독백과 같은 것이라 하겠다.

- 54 -
악보 26) 제2곡의 끝부분
마디. 46-51

마지막 46-51마디는 평생 이쳐지지 않는 첫사랑의 기억처럼 멜로디 선율을 3음으


로 마무리하여 봄의 여운을 확실히 주었으며, 불완전정격종지의 사용으로 전체
곡의 표제인 ‘A Cycle of Life’처럼 완전한 마무리가 아닌 곡이 계속 진행될 것
을 인식 시켜 주고 있다.

- 55 -
3) Love, I have won you (Summer)

(1)가사
(1)가사 번역

Love, I have won you and held you 내가 원했던 그대를 나는 얻었네
in a life-long quickening dream ; 인생에서 빨리 지나가 버린 꿈과 같네
When the meadows sprang fair with flowers 들에는 아름다운 꽃이 만발했고
And the river was all agleam. 강물은 빛났었죠.

Warm shone the sunlight around us, 따스한 햇살이 우리를 감쌌고,
And clear were the skies above, 높은 하늘은 청명했죠.
Till the stars peeped forth in the twilight, 별들은 여전히 반짝이고
And the moon rose pale with love. 달빛은 사랑스럽게 빛을 발하고 있었죠.

Love, I have won you and held you, 내가 원했던 그대를 나는 얻었고
Life has no more to give, 삶은 나에게 더 이상 줄 것이 없어요,
Then come to me here in the sunshine, 그러니 여기 햇살 속의 나에게로 돌아와요,
It is summer, 그것은 바로 여름이죠,
Ah! let us live! 아! 우리 함께해요!

- 56 -
(2) 제3곡의 주제선율 변화 (A-B-A')

악보 27) 제3곡의 주제선율 변화

- 57 -
(3) 제3곡의 구조 및 형식

표 3) 제3곡의 구조 및 형식

A A' A" Coda

전주 a b a' c a"

1-4 5-8 9-12 13-16 17-21 22-25 26-35

g minor-
F Major F Major
B♭ Major

• 형식 : 가요 3부분 형식
• 박자 : 9/8
• 조성 : F Major
• 빠르기 : Agitato e con molto passione
(초조하게, 몹시 격정적으로)

- 58 -
악보 28) 전주의 Gr.6(german6th)와 ostinato의 반주
마디. 1-4, 19, 27

전주(1-4마디)의 첫 마디부터 조성이 파괴되는 Gr.6(german6th) 변화화음을 사용


하여 불안한 출발을 시작한 후, 처음부터 끝까지 ostinato의 반주를 반복하며 4마
디 molto rall. 19마디 poco rit. 27마디 긴장을 쥐었다 폈다 한다.
첫마디 상행(f-g-a♭음)한 멜로디는 곧 세 마디를 반복하지만 한 옥타브씩 떨러
지는 하행멜로디(e-d-c음)와 molto rall.의 늦춰지는 속도로 긴장을 완화하며 독

- 59 -
립된 전주를 따로 구성한다. 그렇지만 중간에 한 번의 변화(3마디 e♭-d-c음)로
역시 만만치 않은 여름을 과시한다.

악보 29) a부분의 2도 동형진행


마디. 5-8

agitato로 시작된 제시부(5-12마디)에서 5마디는 7마디에서 2도 동형진행을 보이


며 진행된다.
15-16마디를 제외한 9-19마디까지는 반주의 최상부는 멜로디를 충실히 따라간다.

- 60 -
악보 30) 연결구
마디. 20-21

20-21마디는 재현부(13-21마디)를 위한 연결구로 다시 한 번 속도를 늦춰 긴장을


풀어 준다.

- 61 -
악보 31) a˝부분
마디. 22-25

A′ a″

22마디는 익숙한 제1주제를 어떤 변화 없이 그대로 재현하고 있으며, 24마디는


처음 동형진행보다 높여 climax를 예고한다.

Coda(26-35마디)부분
Coda부분은 전체적으로 dynamic을 ff로 시작하고 34마디에서 반주 fff까지 사용
해 몹시 흥분되고 고조된 분위기를 나타냈다.

- 62 -
악보 32) 제3곡의 climax와 페르마타
마디. 25-27

앞부분을 받아 26마디에서 바로 연결된 climax는 27마디에서 노래와 반주를 모두


멈추는 페르마타로 더욱 긴장감을 준 후, 멜로디와 반주의 최상성과 베이스에서
같은 음으로 강조한다.

- 63 -
악보 33) 28-29마디의 동형진행
마디. 28-29

28마디의 멜로디와 반주를 29마디에서 2도 올려 동형진행 한다.

- 64 -
악보 34) 30-31마디의 6도 병진행
마디. 30-31

30-31마디에서는 멜로디가 dominant(딸림화음)를 끌어 주는 동안 반주는 6도로


반음계 병진행으로 상행(ec-fd-f♯d♯-ge음)한다.

- 65 -
악보 35) 제3곡의 끝부분
마디. 31-35

31마디에서 잠시 쉬었던 반주는 32-35마디까지 멜로디가 tonic을 끌어주는 동안


마지막 폭풍우처럼 반음계진행(c-c♯-d-e♭-d-d-c음)으로 34마디까지 fff를 향해
치달았다. 34마디에 2번째 페르마타가 나오는데 이번에는 음표를 끌어주는 잠깐의
페르마타를 준 후 화음으로 끝을 맺는다.

- 66 -
(4) 시와 음악의 관계

악보 36) 전주의 여름 묘사
마디. 1-4

이 곡은 전체 곡 중에서 템포가 가장 빠르며 agitato e con molto passione(초조


하게, 몹시 격정적으로)에서 나타나 듯 여름에 강렬하게 이글거리는 태양의 모습
을 연상케 한다. 시인은 이 뜨겁고 정열적인 여름을 인생에서의 절정기로 비유하
고 있다. 그러므로 이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는 이 곡의 멜로디 선율은 단순하지만
여름이 갖는 화려한 인생의 절정기에서의 열정과 정열, 전율을 각각의 음들과 시
어에 불어 넣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여름의 느낌은 이 곡의 처음 반주의 4마디만
으로 충분히 잘 드러내고 있다. 반주(1-4마디)의 ostinato와 첫 마디의 순차 상
행, 세 마디동안의 순차 하행으로 폭풍 전야를 연상 시키며 노래의 시작에 기대감
을 갖게 한다. 그리고 처음 시작부터 조성이 파괴되는 변화화음(Gr.6)의 사용과 f
에서 ff로의 dynamic은 도전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인생의 모습을 엿 볼 수 있다.

- 67 -
악보 37) A부분의 멜로디 선율의 패턴
마디. 5-12

이 곡의 특징은 A, A'부분 각각의 멜로디 선율이 시작해서 끝나는 마디 전까지


계속 상행하여 계속적으로 긴장감을 상승 시킨다. 그러다가 마지막 마디에서 마다
하행으로 긴장감을 풀어주고 있다. 이것은 인생의 절정기의 흥분돼 있는 감정의
표현과 그 안에서 생기는 충만한 감정의 여유라 하겠다. (모두 같은 패턴이므로
이것의 악보 예로는 A부분만 올림.)

- 68 -
악보 38) 재현부로 가기 위한 연결구
마디. 19-21

이렇게 같은 패턴으로 곡이 진행 되는데, A´부분에서의 19-20마디는 긴장을 풀어


주는 마디인 동시에 재현부(A´부분)로 가기 위한 연결구이다. 마지막으로 재현부
로 가기 전에 poco rall.와 순차 하행으로 긴장을 풀어주면서 20마디에서 이 곡의
주제어인 ‘love’에 긴 음가를 줌으로써 다시 한 번 ‘사랑’을 강조 하고 있다.

- 69 -
악보 39) a˝부분의 climax 예고
마디. 22-25

A´부분의 22마디부터 다시 1주제가 나오는데 24-25마디에 이르러 사랑하는 모든


것을 얻은 이 시기에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는 climax를 예고하는 가사로 작
곡가 역시 처음 동형진행보다 음을 높여 climax를 예고한다.

- 70 -
악보 40) Coda부분의 음과 음 사이 페르마타
마디. 25-27

드디어 Coda(26-35마디)에서 ‘내게 돌아와요, 나는 이 태양 속에 있어요.’의


가사로 climax에 이르는데, 전체적으로 dynamic을 ff로 시작해 34마디에서 반주
fff까지 사용해 몹시 흥분되고 고조된 분위기를 나타냈다. 여기에서 특징적인 작
곡가의 의도를 엿 볼 수 있는데, 27마디에서 사용한 음과 음 사이의 뾵이다. 이것
은 climax의 ‘나에게 오라’는 강한 어조의 가사를 ff로 이끈 후 노래와 반주를
모두 멈추는 뾵로 고조된 감정에 순간의 예상 밖의 공백으로 극도의 긴장감 줌으
로서 더욱 극적인 효과를 가져 왔다. 뾵 후 poco rit., 그리고 멜로디와 반주부의
최상성과 베이스에서 같은 음으로 강조 하고 있는데 여기에 음 하나하나 마다 엑
센트까지 주어 확실한 강조를 보여준다.

- 71 -
악보 41) 28-29마디의 동형진행
마디. 28-29

28마디에선 주제인 ‘여름’을 강조하는 가사의 반복을 동형진행으로 나타냈으며


이 곡의 마지막을 예고한다.

- 72 -
악보 42) 30-31마디의 6도 병진행
마디. 30-31

이 곡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은 climax가 한 지점이 아니라 해결된 듯 다시등장


하여 30마디부터 마지막까지 ff의 흥분된 상태로 곡이 마무리 되는 것이다. 30마
디의 가사인 감탄사(Ah)와 더불어 인생의 절정기를 열정적으로 쏟을 수 있도록 한
작곡가의 의도를 볼 수 있다.

- 73 -
악보 43) 제3곡의 화려한 마무리
마디. 32-35

32-35마디까지 멜로디가 tonic을 끌어주는 동안 반주는 주선율과 반음계진행(c-c


♯-d-e♭-d-d♭-c음)으로 마지막 폭풍우처럼 34마디까지 fff를 향해 절정에 닿는
다.

- 74 -
4) The winds are calling (Autumn)

(1) 가사 번역

The winds calling, calling, 바람이 부르네, 부르네,


And the friendly voices die ; 다정한 여름의 소리들은 사라져가네;
The rain is falling, falling, 빛 방울이 떨어지네, 떨어지네.
From out a frowning sky ; 찌푸린 하늘에서 ;
Then let us say it quickly you and I, 이제 당신과 나,
Good bye! 서둘러 작별 인사를 나누어요!

If aught that I have told you 내가 당신에게 했던 말 중에


Should bring a moment's pain, 순간의 아픔을 준 것이 있다면
Love, I will take and hold you 사랑이여, 나는 당신을 붙잡을 거예요.
Within my arms again ; 다시 한 번 내 팔 안에 ;
And press you closely to my heart 그리고 당신을 껴안아 줄 거예요
Before we part. 우리가 헤어지기 전에.
Then let us say it quickly you and I, 이제 당신과 나,
Good bye! 서둘러 작별 인사를 나누어요!

- 75 -
(2) 제4곡의 주제선율 변화 (A-A´
)

악보 44) 제4곡의 주제선율 변화

- 76 -
(3) 제4곡의 형식 및 구조

표 4) 제4곡의 형식 및 구조

A A'

전주 a a' 간주 간주 a" b a'

1-6 7-15 16-25 26-27 27-28 29-37 38-42 43-55

e minor-

• 형식 : 확대 가요 2부분 형식 (expanded two-part song form)


• 박자 : 4/4
• 조성 : e minor
• 빠르기 : Moderato(보통빠르기)
Andante doloroso(천천히 비통하게)

- 77 -
악보 45) 전주의 순차하행과 반종지
마디. 1-4

제4곡은 가을의 쓸쓸함을 동일한 움직임의 멜로디와 반복되는 화음으로 표현한


곡이다. 처음의 전주 네 마디에서는 4/4박자로 dominant를 향하여 순차하행
(d-c-a-g-f-e-d-c-b음)하고 이 곡에서 가장 많은 움직임을 나타내며 반종지 24)를
이룬다.

24) 보통의 화음에서 Ⅴ로의 종지, 19-20세기 음악에서는 Ⅱ, Ⅲ, Ⅳ로 끝나는 악구도 볼 수 있는데
이 역시 반종지로 불린다.

- 78 -
악보 46) 5-6마디의 ⅰ°와 ⅳ°진행
마디. 5-6

ⅰ ⅳ ⅰ ⅳ

그 다음 6/8박자로 이어지는 5-6마디의 전주는 이 곡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ⅰ°


와 ⅳ°의 진행이다.

- 79 -
악보 47) a부분과 a´부분의 e-b-e음의 진행
마디. 6-23

- 80 -
그리고 이 곡의 대표적인 특징은 반주부와 멜로디가 항상 같이 간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연결되는 멜로디는 6마디 e음에서 10마디 b음, 또 다시 10마디 b음에서
14마디 e음, 15마디 e음에서 19마디 b음으로 반복되다 22마디에서 2도 상행, c-e
음으로 멜로디선을 변형하며 통일을 깨뜨려 쓸쓸함을 더욱 강조한다.

- 81 -
악보 48) 11-12마디의 N.6 화음과 장2도 동형진행
마디. 11-12

11마디 반주에 등장한 N.6 25)은 12마디에 장2도 동형진행으로 되풀이된다.

25) 나폴리 6화음(영. Neapolitan sixth). 단조의 섭도미난트에서 5음 대신에 사용되는 단6도. 이로
인해 허구적 6화음이 형성된다. 이 화음은 나폴리 악파에서 "슬픔", 또는 "고통"을 나타내기 위해
서 자주 사용한 화음이었다.

- 82 -
악보 49) 간주의 4도 동형진행
마디. 25-27

25-26마디 간주는 제시부의 마무리로 오른손은 완전4도의 동형진행을 보이며 그


뒤를 따라오는 27마디는 제시부의 전주를 한 옥타브 올리고 왼손의 아르페지오 반
주와 Ⅱ7화음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dynamic을 p로 절제된 가을의 고독함을
표현하였다.

- 83 -
악보50) A´부분의 e-b음의 진행
마디. 28-46

- 84 -
이후 28마디 e음, 32마디 b음, 36마디 e음은 계속 진행되며 37마디에서 41마디는
e음-e음의 진행을, 그리고 다시 마지막 42마디 e음, 46마디 b음으로 끊임없이 반
복되던 e음-b음 진행의 끝을 맺는다.

악보 51) 38-39마디의 2잇단음표


마디. 38-39

38-39마디의 2잇단음표는 이미 9마디에서 예고한 음형이 발전된 형태이다.

- 85 -
악보52) 제4곡의 변격종지로 마무리
마디. 45-55

변격종지

°
+

Ⅲ9 ⅱ 13 Ⅰ Ⅳ

48마디의 아르페지오 Ⅲ+9화음은 자칫 듣는 사람에게 종지로 들릴 수 있지만 49


마디의 ii°13화음으로 잠깐의 휴지 후, 곡 내내 되풀이되던 ⅰ°와 ⅳ°진행을 다시
한 번 들려준다. 그리고 되풀이되는 화음의 진행 그대로 변격종지(plagal
cadence)26)로 끝을 맺는다.

26) 변격종지(plagal cadence, 아멘 종지) : Ⅳ-Ⅰ로 끝나는 종지법으로 찬송가 아멘 코드와 같다.

- 86 -
(4) 시와 음악의 관계

이 곡은 가을의 쓸쓸함을 동일한 움직임의 멜로디와 반복되는 화음으로 표현한


곡으로 ‘인생의 황혼기’를 비유하고 있다.

악보 53) 전주 네 마디의 표현
마디. 1-4

앞서 살펴본 연가곡 세 곡을 보면 전주의 네 마디는 이미 그 곡이 갖는 반주 패


턴과 분위기를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곡은 처음 1-4마디는 독립된 부분으로
이 네 마디 동안만 Moderato의 빠르기와 4/4박자로 독립적인 진행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듯 이 부분은 5마디부터 시작되는 반주는 본격적인 이 곡의
색깔이 들어 나기전의 다른 색깔과 의미를 갖고 있는 부분이라 하겠다. 전 곡인
제3곡의 화려했던 시기가 끝나고 여름의 마지막에서 가을로 들어서기 직전의 느낌
을 묘사하고 있다. 1-4마디는 dominant를 향해 순차하행을 하며 반종지를 이루는
데, 낙엽이 떨어지는 모습을 연상 시키며 가을의 싸늘함을 예고한다.

- 87 -
악보 54) A부분의 끊임없는ⅰ°와 ⅳ°의 진행
마디. 6-15

A a

ⅰ ⅳ

5마디부터는 Andante doloroso(천천히 비통하게) 6/8박자로 새로이 제5곡이 시작


된다. 바람이 부는 듯한 6/8박자의 리듬과 1도와 4도의 끊임없이 진행 되면서 쓸
쓸히 부는 바람과 무심히 내리는 비에 비유한 가사를 표현 하고 있다. (같은 패턴
이므로 악보 예는 A의 a부분만 올림)

- 88 -
악보 55) 2잇단음표의 표현
마디. 9, 31

그리고 한결같은 리듬 패턴 속에서 9마디와 31마디에 2잇단음표를 사용해 인생의


황혼기에서 떠나보내기 싫은 ‘voices’와 ‘moment's’ 에 대한 아쉬움을 세심하
게 묘사하고 있다.

- 89 -
악보 56) 18-24마디의 아르페지오 ii°13화음의 표현
마디. 18-24

18-21마디에 들어와 ‘you and I’라고 가사를 말하는 21마디와 48마디에 아르페
지오 ii°13화음과 쉼표를 사용해 쉽게 나오지 않는 이별을 안정된 5도의 진행을 버
리고 6도의 진행으로 표현해 아쉬움을 느끼게 한다.

- 90 -
악보 57) 25-27마디의 4도 동형진행
마디. 25-27

이 아쉬움은 25-26마디에서 4도의 동형진행과 cresc., 그리고 poco rit.로 표현


을 극대화 시켰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와 27마디부터 a tempo로 A´부분이 시작된
다.
A´(27-37마디)부분부터는 지나간 세월에 강한 아쉬움을 보이면서 과거의 잘못이
나 아쉬웠던 일들에 대한 정리를 가사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부분의 반주
는 같은 패턴 속에서도 왼손의 아르페지오 반주와 Ⅱ7화음, 그리고 33-35마디의
반음계적 화성 진행으로 표현 되었다. 36마디에서는 ‘again’이라는 강한 아쉬움
을 들어낸 가사의 음정을 옥타브 위로 올려 표현 했다.

- 91 -
악보 58) b부분의 2잇단음표의 표현
마디. 37-42

이러한 강한 아쉬움은 앞에서도 잠시 등장했던 2잇단음표의 표현으로 38-39마디


에서 f와 함께 연이은 2잇단음표로 표현 되고 있다. 49-50마디에서 마지막 ‘good
bye’라는 가사는 옥타브를 올려 끝을 맺는다.

- 92 -
5) Drift down, drift down (Winter)

(1) 가사 번역

Drift down, drift down from the skies, 눈이 내리네, 하늘에서 눈이 내리네,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fast ; 작고 하얀 눈송이, 빠르게 떨어지네 ;
like sleep that falls on tired eyes 마치 지친 두 눈 위에 내려앉는 잠처럼
To bring us peace at last : 마침내 우리에게 평화를 가져오려고 :
Drift down, drift down from the skies, 눈이 내리네, 하늘에서 눈이 내리네,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fast. 작고 하얀 눈송이, 빠르게 떨어지네.

Fall soft, fall soft on my love, 부드럽게 내리렴, 나의 사랑 위에 부드럽게,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down, 작고 하얀 눈송이야,
Messengers from the skies above, 하늘에서 내려 온 전령,
On winds of passion blown ; 열정의 바람이 불어오네 ;
Fall soft, fall soft on my love, 부드럽게 내리렴, 나의 사랑 위에 부드럽게,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down. 작고 하얀 눈송이야,

Drift down, drift down from the skies, 눈이 내리네, 하늘에서 눈이 내리네,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fast ; 작고 하얀 눈송이, 빠르게 떨어지네 ;
like sleep that falls on tired eyes 마치 지친 두 눈 위에 내려앉는 잠처럼
To bring us peace at last : 마침내 우리에게 평화를 가져오려고 :
Drift down, drift down from the skies, 눈이 내리네, 하늘에서 눈이 내리네,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fast. 작고 하얀 눈송이, 빠르게 떨어지네.

- 93 -
(2) 제5곡의 주제선율 변화 (A-B-A')

악보 59) 제5곡의 주제선율 변화

- 94 -
(3) 제5곡의 구조 및 형식

표 5) 제5곡의 구조 및 형식

A B A'

전주 a b a' 간주 c d c' a b a" 후주

1-2 3-6 7-10 11-17 18 19-24 25-30 31-39 40-43 44-47 48-57 58-59

B Major
G Major E Major G Major
G Major

• 형식 : 규칙적 가요 3부분 형식 (regular three-part song form)


• 박자 : 2/2
• 조성 : G Major
• 빠르기 : Moderato(보통빠르기)

- 95 -
악보 60) 전주의 주제선율 선행
마디. 1-2

처음 두 마디 전주는 제시부 a부분의 주제선율이 선행되어 나타난다.

- 96 -
악보 61) a, c, d부분의 4도 움직임
마디. 3-6, 19-24, 25-30

- 97 -
3-4마디의 동기는 d-a-e음의 진행으로 4도의 움직임을 보이는데 이 형태는 이 곡
의 전체 흐름을 주도하며 c부분과 d부분에서 확실하게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 98 -
악보 62) a, b, a´부분의 a음으로 끝나는 진행
마디. 3-10, 11-17

- 99 -
3-10마디까지 동기(motive-두 마디)는 계속 a음으로 끝난다. 제시부의 마지막
11-12마디는 앞과 마찬가지로 a음으로 마무리되지만 13-14마디는 dominant를 17마
디까지 끌어 제시부를 마무리 짓는다. 이때 15-16마디는 반주에서 다시 한 번 주
제선율을 반복한다.

- 100 -
악보 63) b부분의 f와 p로 에코 효과
마디. 7-10

7, 8마디와 9, 10마디는 같은 멜로디를 그대로 반복하는데 한 번은 f, 한 번은 p


로 에코와 같은 효과를 주었다. 7마디의 처음 시작은 v˚7 의 단화음으로 시작하지
만 8마디 마지막은 다시 Ⅴ의 장화음으로 마무리 지어서 마치 d minor의 picardy
Third27)를 듣는 듯하다.

27) picardy Third : 단조의 종결에서 마지막에 Ⅴ-ⅰ의 진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Ⅴ-Ⅰ의 진행
으로 끝나는 종지를 말한다.

- 101 -
악보 64) 발전부
마디. 19-24, 25-30, 31-39

- 102 -
발전부(19-39마디)는 장조인데다가 4도의 반복적 진행으로 19마디 첫 음을 확실
한 Ⅰ화음으로 눌러주지만 전체적으로 불안한 느낌으로 진행된다. 멜로디는 19-
33마디까지 B major를 유지하는 것 같지만 반주는 끊임없이 변화해서 조성을 느낄
수 없어 더욱 느낌은 어두워진다.
계속 진행되던 4도의 반복은 28-29마디에서 증4도로 해결 없는 이끈음으로 나타
난다. (예 : 악보 64의 d25-30마디)

- 103 -
34마디는 C major로 전조된 듯한 진행으로 35마디와 다시 한 번 증4도의 진행을
만들어 그 느낌을 극대화 시킨다. dynamic도 여기에 맞춰 p에서 f로 climax를 맞
았다가 다시 decresc.로 해결된다. 반주는 36-37마디가 38-39마디에 하행 반복되
면서 조성은 확실한 E major가 되면서 재현부의 밝고 명랑한 분위기로 돌아갈 준
비를 한다. (예 : 악보 64의 c´31-39마디)

- 104 -
악보 65) 재현부(A´부분)
마디. 40-43, 44-47, 48-59

- 105 -
재현부(40-59마디)는 a부분과 b부분을 완벽하게 재현해 내고 a˝부분에서 tonic
을 pp로 끌어 지금까지와는 정반대의 climax로 긴장감을 준 후, 순차진행으로 한
옥타브 아래 tonic으로 끝을 맺는다.

- 106 -
악보 66) 제5곡 소종결구로의 마무리
마디. 54-59

마지막 54-55마디의 반주는 56-58마디에 다시 2번 반복되어 소종결구(codetta)28)


를 이룬다.

28) 소종결구(codetta) : 작은 종결구로 part나 주제, 또는 부분 끝에 나타나 종지를 재인식 시켜주


는 화음이다.

- 107 -
(4) 시와 음악의 관계

이곡은 차갑고 어두운 겨울보다 밝고 따뜻한 겨울을 나타낸 곡으로, 삶의 마지막


을 비유한 곡이다.

악보 67) 전주의 ‘떨어지는 눈’ 묘사


마디. 1-2

1-2마디의 반주에서 하행 도약 진행으로 하늘로부터 내리는 눈을 묘사하고 있으


며 같은 내용을 얘기하는 a의 주선율을 선행하고 있다.
이미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듯이 이 곡은 모든 부분에서 ‘Drift down, drift
down from the skies, little white snowflakes falling fast’의 주된 가사로 떨
어지는 눈송이의 묘사를 계속적인 4도 도약으로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17-18의 반주로 조용히 ‘떨어지는 눈’을 표현한 B부분을 예고하면서 19마디의
전조로 죽음을 예고하게 된다. 이 곡의 가사 내용은 죽음을 평화스러움으로 말하
고 있기 때문에 가장 직접적인 가사 표현을 한 B부분에서의 전조도 장조를 선택
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은 죽음 앞에서 자유로울 수만은 없는 것 같다. 이 부분은
가장 많은 전조와 복잡한 화성 진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모두 장조로의 전조 진
행을 보이지만 조성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반주가 죽음 앞에
서의 불안하고 복잡한 심경을 묘사하고 있어 느낌은 더욱 어두워진다.

- 108 -
악보 68) 재현부의 climax
마디. 29-30, 35-39

이러한 불안한 심경은 29-30마디에서 멜로디가 해결이 없는 이끈음과 35마디에서


G major의 Ⅴ7 화음으로 climax에 이른 후, decresc.로 해결된다. 36마디에서 확실
한 E Major로 바뀐 조성과 반주의 순차하행으로 다시 현실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
게 된다.
재현부(A´부분)는 a부분과 b부분을 완벽하게 재현하고 있는데, 태어나서 죽음에

- 109 -
이르는 인생의 순리를 순응하며 받아들이게 되는 부분이라 하겠다.

악보 69) a˝부분의 pp로 climax


마디. 48-51

a˝부분의 51마디에서는 눈송이를 통해 평화로이 죽음을 맞이하듯 여태까지 보여


준 climax와는 정반대로 이곡의 최고음에 pp를 쓰면서 마지막 climax를 장식한다.

- 110 -
악보 70) 제5곡의 codetta 반주의 표현
마디. 52-58

그 후 52마디는 순차진행으로 죽음을 의미하며 해결되지만 54-58마디에서 밝은


분위기의 codetta 반주로 죽음의 의미를 승화 시킨다.

- 111 -
Ⅳ. 결론

연가곡 (song cycle, Lide erkris)은 기본적으로 한 시인이 일관된 주제를 갖고


쓴 일련의 시들에 곡을 붙인 가곡 모음이다.『A Cycle of Life』는 시인 Harold
Simpson이 삶의 흐름, 연속이라는 주제를 사계절에 비유한 시에 영국의 지휘자 겸
피아니스트, 그리고 작곡가였던 런던 로날드(Landon Ronald, 1873-1938)가 곡을
붙인 가곡 모음곡이다.
이러한 연가곡을 연주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가사에 따른 음악적 표현이 중심
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본 논문에서는 『A Cycle of Life』에 대한 분석을 4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첫 번째는 각 곡마다 표현하고자 하는 가사의 의미를 연구해 보는 것이다. 연
가곡의 개념을 살펴보았을 때 한 시인이 일관된 주제를 갖고 쓴 일련의 시들에 곡
을 붙인 가곡 모음으로 이해한다면 가사의 연구는 필수적일 것이다.
두 번째는 중심이 되는 주제선율을 연구함으로써 시와 음악이 어떠한 topic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세 번째는 각 곡의 구조 및 형식에 대한 연구인데, 이는 곡 분석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음악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주제를 바탕
으로 진행하더라도 연구 할 곡의 구조 및 형식은 빠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이
기 때문이다.
마지막은 본 논문의 핵심주제를 말하고자하는 시와 음악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
다. 앞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연구 section을 종합하고 연가곡을 연주할
때 필수적으로 인식해야 할 시와 음악의 관계성을 연구함으로써 가사가 붙은 수많
은 곡들을 연주함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논문에서 시와 음악과의 관계를 위주로 연구하
였다. 슈베르트의 가곡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예술가곡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
는 우선 좀처럼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시와 음악의 합일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인
데, 음악과 시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사에 완벽하게 용해 된 성악 선율

- 112 -
을 창조해 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Landon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
e』를 살펴보면 그 역시 20세기 작곡가 임에도 다양한 작곡 기법을 사용하기보다
시와 음악의 합일을 위해 부단히 애썼음을 알 수 있다. 5번곡을 통한 과거로부터
작곡가들이 즐겨 사용한 가사그리기는 물론 전 곡을 통해 미세한 리듬과 풍부한
화성, 중요한 단어에 대한 dynamic의 강조, 고음과 저음의 적절한 배합 등으로 성
악 선율을 탁월한 시적 효과를 자아냈다. 또한 성악 성부와 맞물려 그것을 반주하
는 피아노는 시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가장 완벽한 표현 수단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시와 음악과의 관계 정립이 진리가 될 수는 없으나 과거도
그러 하였고 현재도 그러하며 앞으로도 계속 될 시와 음악과의 많은 연구들에 있
어 미력하지만 작은 힘을 보태고자 한다.

- 113 -
참고문헌

민은기 외, 서양음악사의 미래, 예솔, 2000

Carol Kimball (채은희 역), Song ; 예술가곡의 스타일과 문헌에 대한 총서, 형설


출판사, 2003

이상혁, 영국의 가곡 Ⅱ, 음악저널, 2000

문경수, 음악사적 접근을 통한 영국가곡의 이해, 음악과 민족, 1997

김문자 외,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심설당, 2000

윤영신, W.A.Mozart, F.Liszt, L.Ronald, P.Hindemith의 성악작품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1989

박진희, Landon Ronald의 연가곡 <A Cycle of Life>에 대한 분석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2001

김정화, Landon Ronald의 聲樂曲硏究 A Cycle of life를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


교 대학원, 2002

Kagen, Segius (1949), Music for the Voice, ed Ernest Hutcheson, New York :
Rinebart & Company. Inc

Robert Bailey (1980), 〃Landon Ronal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Vd. 16, ed Stanly Sadie, (London : Macmillan)

- 114 -
Berton Coffin (1977), Repetoire for the Solo Voice, Vol. 1, The Scarecrow
Press, Inc. Metuchen, N. J.

Ewen, David (1978), The world of 20th Century Music,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Inc.

Apel, Willi (1970), Harvard Dictionary of Music, 2nd ed., Cambridge


Massachusetts : Harvard University Press.

Austin, William W. (1966), Music in the 20th Century, New York : W. W.


Norton & Company, Inc.

- 115 -
(Abstract)

A Study on Landon Ronald's Song Cycle 『A Cycle of Life』


Lif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usical expressions and text)

Ji-Young Choi
Department of Musicology(Vocal)
Graduate School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Advisor: Professor Gwi-ok Jin

Landon Ronald is a representative English conductor and composer. He


is known as a harbinger of 20c classic recoding and composed many
songs covering a variety of genres. Till this day the songs 「O lovely
night」 and 「A cycle of life」 are known. Other than these there are
300 songs and 2 reminiscence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 cycle of life』 and the musical
expressions in the lyrics.
The 1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about how important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lyrics and melodies are in songs.
The 2nd chapter is about the theoretic inquiry that provides the basis
on the analysis of 『A cycle of life』.
The 3rd chapter which is the main subject, deals with the structure,
form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yrics and music.
The 4th chapter is the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about the
summary of 『A cycle of life』's research based on musical expressions
and lyrics. The contents below are about this.

- 116 -
The 1st song 「Prelude」 is made of a 4/4 beat G major composition
with a A-B-A' three part song form. It carries the main theme of the
song.
The 2nd song 「Down in the forest」(spring) is made of a 4/4 beat D
major composition and a A-B-A' three part song form. The song starts
with a play of sounds of spring and expresses the magic of love.
Among the forms of expressions he especially uses recit. and at the end
uses extended cessations and incomplete cessations expressing the
linger of spring.
The 3rd song 「Love I have won you」(summer) is made up of an 9/8
beat F major and a A-A'-A" three part song form. This song has the
fastest tempo of all songs and represents the climax of pinging hot
summer. By using the Gr.6(german6th) altering harmony, 뾵 between
notes and fff he concludes the climax splendidly.
The 4th song 「The winds are calling」(autumn)'s 4 introduction
phrases use a 4/4 beat making it independent from the rest of the song.
Later it is made of a 6/8 beat E minor composition and a A-A'
expanded two-part song form. This song uses an identical repeat of ⅰ
and ⅳ degree harmony expressing the loneliness of fall.
The 5th song 「Drift down, drift down」(winter) is made up of a 2/2
beat G major composition and a A-B-A' regular three part song form.
Rather than a cold and dark winter, it compares the last of life with a
warm and peaceful winter. By progressing the whole song springing
downwards he expresses the falling snow.

- 11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