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3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009
학년도
석사학위 청구논문

Leonar
dBer
nst
ein의
『Chi
chest
erPsal
ms』에 관한 연구
-각 악장에서 나타난 작곡 기법 중심으로-

음 악 학 부
오 혜 리
2010
Leonar
dBer
nst
ein의
『Chi
chest
erPsal
ms』에 관한 연구
-각 악장에서 나타난 작곡 기법 중심으로-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
010
년 6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부 오혜리
오 혜 리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지도교수 박 신 화

심사위원 정 복 주

권 오 연

김 동 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목 차

악보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ⅴ

표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ⅵ
논문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Ⅰ.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본론·
···
···
···
···
···
···
···
···
···
···
···
···
···
···
···
···
···
···
···
···
···
···
···
···
···
··3

1.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3

A.20세기 음악사의 흐름·


···
···
···
···
···
···
···
···
···
···
···
···
···
···
···
···
··3
B.미국 합창의 역사 ·
···
···
···
···
···
···
···
···
···
···
···
···
···
···
···
···
···
···
9

C.레너드 번스타인에 대해서 ·


···
···
···
···
···
···
···
···
···
···
···
···
···
··12

(
1)생애 ·
···
···
···
···
···
···
···
···
···
···
···
···
···
···
···
···
···
···
···
···
···
··12
(
2)유대교적 합창작품 ·
···
···
···
···
···
···
···
···
···
···
···
···
···
···
···
···
17

2.
『Chi
ches
terPs
alms
』의 악곡 분석·
···
···
···
···
···
···
···
···
···
···
···
···
19

A.작품개요 ·
···
···
···
···
···
···
···
···
···
···
···
···
···
···
···
···
···
···
···
···
···
19
B.악장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22

(
1)1악장·
···
···
···
···
···
···
···
···
···
···
···
···
···
···
···
···
···
···
···
···
···
·22

(
2)2악장·
···
···
···
···
···
···
···
···
···
···
···
···
···
···
···
···
···
···
···
···
···
·38
(
3)3악장·
···
···
···
···
···
···
···
···
···
···
···
···
···
···
···
···
···
···
···
···
···
·49

Ⅲ.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58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61

부록 『Chi
ches
terPs
alms
』연주를 위한 히브리어 발음표기·
···
···
···
···
··64

Abst
rac
t··
···
···
···
···
···
···
···
···
···
···
···
···
···
···
···
···
···
···
···
···
···
···
···
···
·73

iv
악 보 목 차

♭ ♭
<악보 1> B Maj
ors
cal
e과 B Mi
xol
ydi
anmode ·
···
···
···
···
···
···
···
·23
<악보 2> ‘
1악장’중 마디 1-5,도입부 주제 동기와 변형된 주제 동기·
·25
<악보 3> ‘
1악장’중 마디 7-8,변형된 주제 동기 ·
···
···
···
···
···
···
···
··26
<악보 4> ‘
1악장’중 마디 5-11,주제 동기의 확대 ·
···
···
···
···
···
···
···
··27
<악보 5> 「Chi
ches
terPs
alms
」‘1악장’에서 사용된 라틴 리듬·
···
···
···
28
<악보 6> ‘
1악장’중 마디 11-13,반주부·
···
···
···
···
···
···
···
···
···
···
···
···
28
<악보 7> ‘
1악장’중 마디 14-16,합창 성부의 대위법적 진행 ·
···
···
···
·29
<악보 8> ‘
1악장’중 마디 17-19 ·
···
···
···
···
···
···
···
···
···
···
···
···
···
···
·29
<악보 9> ‘
1악장’중 마디 20-25 ·
···
···
···
···
···
···
···
···
···
···
···
···
···
···
·30
<악보 10> ‘
1악장’중 마디 27-31 ·
···
···
···
···
···
···
···
···
···
···
···
···
···
···
·31
<악보 11> ‘
1악장’중 마디 18,베이스 선율 & 마디 32-35의 합창 ·
···
·32
<악보 12> ‘
1악장’중 마디 35-39,반주부의 3도 병진행·
···
···
···
···
···
···
·33
<악보 13> ‘
1악장’중 마디 40-43,소프라노 & 테너 성부의 라틴 리듬 ·
34
<악보 14> ‘
1악장’중 마디 50-53,3개의 봉고를 사용한 라틴 리듬·
···
···
34
<악보 15> ‘
1악장’중 마디 66-68 ·
···
···
···
···
···
···
···
···
···
···
···
···
···
···
·35
<악보 16> ‘
1악장’중 주제 동기 b& 마디 83-87,주제 동기 b의 재현·
·35
<악보 17> ‘
1악장’중 마디 101-104,Ti
mpani
의 Or
ganpoi
nt ·
···
···
···
36
<악보 18> ‘
1악장’중 마디 109-113,전조된 주제 동기의 재현 ·
···
···
···
·37
<악보 19> ‘
1악장’중 마디 114-117 ·
···
···
···
···
···
···
···
···
···
···
···
···
···
37
<악보 20> ‘
2악장’중 마디 1-6,반주부에서 제시된 신비화음 ·
···
···
···
·41
<악보 21> ‘
2악장’중 마디 1-17,주제 동기 a ·
···
···
···
···
···
···
···
···
···
·41
<악보 22> ‘
2악장’중 마디 18-26,Boys
olo주제 동기 b·
···
···
···
···
···
·42
<악보 23> ‘
2악장’중 마디 26-30,블루스 음계가 사용된 주제 동기 c·
·43
<악보 24> ‘
2악장’중 마디 26-30,주제 동기 c
의 반주부 ·
···
···
···
···
··43
<악보 25> ‘
2악장’중 마디 31-38,음악적 그림자 효과 ·
···
···
···
···
···
···
·43
<악보 26> ‘
2악장’중 마디 47-51,합창부의 대위법적 진행·
···
···
···
···
···
44
<악보 27> ‘
2악장’중 마디 64-68,톤 클러스터의 사용·
···
···
···
···
···
···
··45
<악보 28> ‘
2악장’중 마디 73-76·
···
···
···
···
···
···
···
···
···
···
···
···
···
···
··46
<악보 29> ‘
2악장’중 마디 80-86,남성파트의 s
pee
chr
hyt
hm ·
···
···
···
·46

v
<악보 30> ‘
2악장’중 마디 102-104,합창부의 대조적인 캐논진행·
···
···
·47
<악보 31> ‘
2악장’중 마디 136-140,재현된 주제 동기 d·
···
···
···
···
···
··48
<악보 32> ‘
3악장’중 마디 1-10,서주부 ·
···
···
···
···
···
···
···
···
···
···
···
··51
<악보 33> ‘
3악장’중 마디 10-12,재현된 2악장의 주제 동기 b·
···
···
···
52
<악보 34> ‘
3악장’중 마디 12-19·
···
···
···
···
···
···
···
···
···
···
···
···
···
···
···
52
<악보 35> ‘
3악장’중 마디 20-25,감정 기복을 묘사한 음형 ·
···
···
···
···
53
<악보 36> ‘
3악장’중 마디 28-31 ·
···
···
···
···
···
···
···
···
···
···
···
···
···
··54
<악보 37> ‘
3악장’중 마디 35-37 ·
···
···
···
···
···
···
···
···
···
···
···
···
···
··54
<악보 38> ‘
3악장’중 마디 37-43,간주부 ·
···
···
···
···
···
···
···
···
···
···
···
·55
<악보 39> ‘
3악장’중 마디 58-59,극음악적 요소를 지닌 음형의 예 ·
···
56
<악보 40> ‘
3악장’중 마디 60-65,종결부 ·
···
···
···
···
···
···
···
···
···
···
···
·57

표 목 차

<표-1> 번스타인의 유대교적 합창 작품 ·


···
···
···
···
···
···
···
···
···
···
···
···
18

<표-2>「Chi
ches
terPs
alms
」악기 편성 ·
···
···
···
···
···
···
···
···
···
···
···
···
20

<표-3>「Chi
ches
terPs
alms
」전체 구조 ·
···
···
···
···
···
···
···
···
···
···
···
···
21
<표-4>「Chi
ches
terPs
alms
」1악장의 형식 구성 ·
···
···
···
···
···
···
···
··23

<표-5>「Chi
ches
terPs
alms
」2악장의 형식 구성 ·
···
···
···
···
···
···
···
··40

<표-6>「Chi
ches
terPs
alms
」3악장의 형식 구성 ·
···
···
···
···
···
···
···
··50

vi
논 문 개 요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 미국 음악계의 거목인 레너드 번스타인(


Leonar
d

Ber
nst
ein,1918-1990)
의 종교 합창 작품 「Chi
ches
terPs
alms
」에서 나타

난 작곡기법을 중심으로 악곡을 분석하며 연구한 것이다.


미국 태생의 유대인 음악가로서 미국 문화와 유대교적 문화를 적절하게

융합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 양식을 담아낸 번스타인은 지휘자,작곡

가 또한 교육자로서 활발한 활동을 통해 음악의 본질을 찾아내어 이해하


고,클래식 음악을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절충적이면서

도 감성적인 음악을 추구했던 음악인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번스타인의 「Chi


ches
terPs
alms
」의 악곡을 분석하기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20세기의 음악사적 흐름과 미국 합창의 역사,그리

고 번스타인의 생애와 그의 합창 작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악곡 분석을

통해서 번스타인이 다양하게 사용하였던 작곡 기법을 소개하였다.


혼성합창,소년 독창(
boy s
olo)또는 카운터 테너(
count
ert
enor
),오케스

트라의 연주자로 구성된「Chi


ches
terPs
alms
」는 구약성서의 시편원문(

브리어)
으로 작곡되었으며 총 3악장으로 나뉜다.1악장은 ‘
하나님께 기쁨과
감사로 찬양하라’
는 내용이며,1악장에서 나타난 도약과 순차로 이루어진

주제 동기는 번스타인의 신앙의 상징으로 1악장과 3악장의 도입부와 종결

부에 나옴으로서 곡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였고,가사 내용과 음운에 맞


게 다양한 리듬을 사용함으로서 음악에 활기를 불어 넣기도 하였다.2악장

은 ‘
하나님에 대한 믿음의 신앙고백과 하나님을 부정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
라는 내용으로 전개되며,하프와 타악기를 사용하여 음색에 원시적인
색채감도 더해 주었다.그리고 3악장에서는 ‘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나

아가며,형제들과 참된 연합을 이루자’


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새로이 삽

vii
입된 서정적인 선율이 반복되는데 다양한 성부배열로 변화시켜 줌으로 인

하여 반복의 지루함을 피할 수 있었다.이렇듯 번스타인은 내용과 음운에


맞춰 다양한 리듬,도약과 순차로 이루어진 선율,주제 선율의 반복과 구조

의 변형 등,다양한 작곡 기법을 사용하여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현대음악을 만들어 내었다.

viii
1

Ⅰ.서 론

20세기 미국 음악의 사조를 볼 때,제 1차 세계대전 후 뉴욕은 이미 세계

에서 으뜸가는 콘서트 도시가 되어 있었으며 작곡가 조합들이 결성됨에 따

라 현대음악의 육성을 목표로 하는 단체와 그룹들도 많이 설립되어 왕성한


활동이 펼쳐지고 있었다.또한 이 기간에 다수의 유럽 일류 음악가1)들이

나치의 압력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 해 왔다는 점도 미국의 음악 발전에 있

어 큰 계기가 되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의 현대 음악은 재즈(


Jaz
z)
나 팝(
Pop)
등의 대중음악에서부터 대담한 전위(
前衛)
적 실험주의까지 세계

의 모든 유파(
流波)
를 총 망라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 다룰 레너드 번스타인 (


Leonar
d Ber
nst
ein,1918-1990)은
20세기 미국이 처음으로 낳은 세계 최고의 지휘자겸 작곡가,피아니스트인

동시에 교육자요 음악의 전달자였다.그는 어떠한 음악이든 그것이 내용적

으로 뛰어나고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다면 곡의 본질을 찾아내어 직접


적이면서도 진솔하게 표현하는 음악인이었다.그의 뛰어난 음악적 재능과

활동은 음악계에 큰 영향을 주어 20세기 미국 음악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

다.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 가정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유대교적


사상을 밑바탕으로 한 교육을 받고 자랐으며,그의 종교 합창곡에서 그 유

대교적 영향이 현저히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치체스터 시편(
Chi
ches
terPs
alms
)」에서 나타난 번스타인의
절충적인 작곡기법을 연구하는데 있어 악곡을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자 한다.또한 필자는 이 곡을 석사 졸업 연주회에서 연주한 경험들을 토

1)작곡가인 아놀드 쇤베르크( Arnol


dSchönber
g),벨라 바르토크( BéraBar
tók),한스 아이
슬러( Hans Eisl
er)
,음악학자 쿠르트 작스( CurtSachs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슈나벨
(
Artur Schnabel
),에드아르트 슈토이어만( Eduar
d Ste
uer
mann)
,지휘자 브루노 발터
(
BrunoWal ter
),프리츠 부슈(Fri
tzBusc
h),오토 클램페러( Ott
oKlemper
er)등이 있다.
2

대로 오늘날까지도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번스타인의 합창 음악 세계를 깊

이 있게 이해하며 이 곡을 연주하는데 있어 실제적 도움이 되고자 본 논문


작성을 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필자는 20세기 전반적인 음악사적 배경과 미국 합창의 역

사를 먼저 연구한 후 번스타인의 생애와 주요 합창 작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그리고 총 3악장으로 구성된 「Chi
ches
terPs
alms
」의 악곡 분석을

통하여 히브리어로 된 시편 가사의 표현,조성과 선법,리듬 등 번스타인이

주로 어떠한 음악적인 어법을 사용하여 절충적인 음악을 만들어 내었는지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 등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배경을 연구할 것

이며,분석을 위해서 뉴욕의 “


Boose
y & Hawke
s”에서 출판된「Chi
ches
ter
Ps
alms
」오케스트라 총보와 합창악보를 사용하였다.
3

Ⅱ.본 론

1.이론적 배경

A.20세기 음악사의 흐름

20세기 음악사의 흐름을 설명하기에 앞서 세계사에서는 20세기 초반의 제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 동안 국제적인 긴장이 계속 고조되었으며,

러시아,이탈리아,독일에서는 독재 정권이 세워지는 시기였다.게다가

1929년에 일어난 미국 월가의 주식시장의 붕괴로 전 세계적인 경제 대공황


이 일어났고,그 여파로 인해 1930년경 독일의 나치즘과 이탈리아의 파시

즘의 횡행과 같은 전체주의(
全體主義)사상을 지닌 세력들이 확장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제 2차 대전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되어


전 세계적인 전쟁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에 일본제국이 태평양 전쟁을 일

으켜 세계대전에 합류 하였으나,베를린의 함락과 원자폭탄 투하로 인한

일본의 항복으로 전쟁은 종결되었다.그 전쟁의 결과 추축국인 독일,일본,


이탈리아가 패망하고 세계는 국제 연합을 결성하여 오늘날까지 전 지구적

인 전쟁의 위험을 줄이고 평화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음악사에 있어서 20세기는 1910년을 기점으로 작곡가들이 오래된 미학적


개념들을 거부하여 기능적 조성의 전통을 파괴하는 새로운 음악 혁명이 일

어나게 되면서 시작된다.이는 당시의 경제·


정치·
사회의 급진적인 전환에

영향을 받은 음악에서도 고전적인 양식을 기피하고 새로운 시도를 추구하


는 양상이 나타남으로 인하여 근 300년 동안 서양의 고전·
낭만 음악의 절

대적 양식을 형성했던 화성적 조성체계가 이 시기에 붕괴되었다.이 진보

적인 음악 혁명으로 인해 음악 양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준 신음악 1세대


대표 작곡가로는 비엔나의 쇤베르크 악파로 알려져 있는 아놀드 쇤베르크
4

(
Arnol
d Schönber
g,1974-1915)
,알반 베르크(
AlbanBe
rg,1885-1935)
,안

톤 폰 베베른(
Ant
on von We
ber
n,1883-1869)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Igor
St
ravi
nsky,
1882-1971)
,벨라 바르톡(
Bér
aBar
tók,1881-1945)
등이 있다.쇤

베르크는 “
조성은 영원한 법칙이 아니며 음악 형식의 성취를 위한 단순한

수단에 불과하다”
고 주장하면서 표현주의 미학관에 근거한 무조음악을 작
곡하게 되었으며,이 무조음악은 베베른,베르크에 의해 체계적으로 전개되

었다.러시아 출신인 스트라빈스키는 후기 낭만주의와 결별하면서 발레음

악과 러시아 전통음악을 토대로 새로운 음악양식을 보여 주었으며,바르톡


은 헝가리의 민속적 요소를 토대로 자신의 독자적 양식을 전개시켰다.이

들 신음악 1세대 작곡가들의 공통점은 화성,리듬,음색과 형식 등 음악적

재료의 영역에서 진보적인 변화를 통해 새로운 음악 경향을 확립해 나갔으


나 예술음악에 대한 믿음과 보전에 있어서는 여전히 전통을 지키려 노력하
2
였다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1910년대에 나타난 음악적 미래주의 또는 다다이즘이


라는 아방가르드3) 경향은 전통적 예술개념과 완전히 결별하고,작품 개념

자체를 부정하는 것에 중심 사상으로 두고 20세기의 실험적 문화를 시작했

다.예를 들어 프란체스코 바릴라 프라텔라(


Franc
esc
o Bal
il
la Pr
ate
lla,
1880- 1955)
는 자유로운 음악적 운율을 통한 리듬적·박절적 규칙을 거부

하였으며,루이지 룻솔로(
Lui
giRuss
olo,1885-1947)
는 「소음음악」을 통

해 일반화된 음향과 소음과의 상관 가치의 위계질서를 완전히 뒤바꿔 놓았


다.그러나 이와 같이 전통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감을 나타낸 음악들은 음

악적 형상화에 실패하여 역사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하였다.

1920년대에 세계는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함께 정치적 변화가 급변하

2)오희숙.『20 세기 음악 1-역사·미학-』(서울:심설당,20
04) p.
30
3)Avant
-gar
de(전위예술).20세기 초 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자연주의와 인고전주의
(
擬古典主義) 에 대항하여 등장한 예술운동이며,끊임없이 미지의 문제와 대결하여 이제
까지의 예술개념을 일변시킬 수 있는 혁명적인 예술 경향을 뜻한다.
5

였으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음악계에서도 음악 문화의 균열4)

이 나타남에 따라 20세기 신음악(


Neue Mus
i 5
k))도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
되었다.이 시기에는 음악회 제도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나타나,다양한 신

음악을 위한 전문적 연주 기관6)들이 새로이 세워졌으며,음악 내적인 측면

에서도 신음악 작곡가들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20세기 초반 신음악 1


세대 작곡가들은 음악의 혁신을 작곡기법에 집중했던 반면에,1920년대 음

악계의 중심적 역할을 한 프랑스 6인조7),에른스트 크세넥(


Erns
tKř
ene
ck,

1900-1991)
, 쿠르트 바일(
Kur
t We
ill
, 1900-1950)
, 파울 힌데미트(
Paul
Hi
ndemi
th,1895-1963)
,한스 아이슬러(
HannsEi
sle
r,1898-1962)
등의 젊은

신음악 2세대 작곡가들은 선배들이 고수했던 전통적 예술관에 대하여 강한

거부감을 보이면서 파격적인 예술관을 통하여 신음악의 체계를 새로이 구


축시켜갔다.이들은 순수음악이라는 절대음악관을 거부하고 음악의 기능과

목적을 강조하면서,다양한 방향의 실험들을 시도하였는데 그로인해 많은


8
영향력 있는 새로운 음악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신음악 1세
대인 쇤베르크는 12음이 동등하게 다른 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사용되는


12음기법에 의한 음악’
으로,스트라빈스키,힌데미트,프랑스 6인조 등은

19세기 낭만시대의 형이상학적인 사상,또는 깊은 감정 표현으로서의 음악

4)이 균열은 음악과 청중과의 미적 거리감의 심화로 나타났으며,또 다른 한편으로는 신


음악에 대한 강한 거부와 지지로 드러났다.
5)1920
-30년에 나타난 음악 운동을 개괄적으로 가리키는 개념으로 주로 독일에서 사용된
다.반( 反)낭만적이며,종래의 법칙을 버리고,급진적이고 실험적인 경향을 띈다.
6) 작곡가 연맹( Ver
eini
gung schaf
fender Tonkünst
ler
,1904/
비엔나)
,독립음악가
협회(
Soci
été Musi
cal
es I
ndépendant
e,1909/
파리)
,새로운 헝가리 음악 협회(
Neue
Ungar
ische Musi
kgesel
lschaf
t, 1911/
부다페스트)
, 새로운 음악 협회(
Neue
Musi
kgesel
lschaf
t, 1918/
베를린)
, 국제 작곡가 연맹(
Int
ernat
ional Composer
s
Gui
ld,1921/
뉴욕)
,신음악을 위한 국제 협회(
Int
ernat
ional
e Gesel
lschaf
tfürNeue
Musik,1922/
잘츠부르크)등이 있다.
7)1920
년경 프랑스의 젊은 6인 작곡가들(L.뒤레,A.오네게르,D.미요,G.타유페르,F.
뿔랭,G.오리크) 로 구성되었으며 낭만주의음악과 인상주의 음악에 반대하고,명료한 선
율,대위법,간결한 형식으로의 복귀를 주장했다.
8)홍정수,김미옥,오희숙 共著. 『두길 서양음악사』 p.4
04
6

에 대해 거부감을 느껴서 ‘
신고전주의’
로 양식을 전환시켰다.

1929년에 나타난 세계적 경제 공황의 파급으로 인하여 1930-50년에는


사회·
경제가 침체됨에 따라 음악에서도 신음악에 대한 추구는 많이 사라지

고 보수적이고 전통적 음악양식이 지배하게 되었다.특히 1932-33년에 러

시아와 독일에서의 스탈린·


나치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대두 이후 모든
음악 기관은 국가가 관장하게 되었으며 순수 예술에 대한 국가의 억압정책

이 시작 되었다.새로움을 추구한 아방가르드적 음악은 작곡 할 수 없었고,

리트·
칸타타·
표제 교향곡과 같은 음악이 선호 되었다.이러한 강력한 정치
적 강령으로 중압감을 느낀 음악가9)들이 미국으로 망명길에 오르게 되면

서 미국이 새로운 음악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고,이것이 미국 음악 발

전의 큰 계기가 되었다.이 시기의 미국의 대표적 작곡가로는 바레즈(


E.
Var
ese
,1813-1965)
와 아론 코플랜드(
Aar
on Copl
and,1900-1990)
등이 있

다.진보적 성향의 작곡가인 바레즈는「이온화」에서 과학적 진보주의에

입각한 정교하고 논리적인 음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미래주의 음악과는 뚜


렷하게 구별되는 음악형식을 나타내었고,코플랜드는「아팔레치아의 봄」

에서 미국적 특성인 다양성을 난해한 현대적 기법과 단순한 양식,민속음

악과 대중음악적 요소 등을 통해 미국인 의식의 반응을 직접적으로 보여주


었다.

이 시기에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사항은 신고전주의 변화였다.신고전

주의는 반(
反)낭만적·반표현주의적 경향을 배제하고,신바로크,신고전,신
낭만적 요소들을 결합시켰으며 전통적이고 명확한 음악양식으로서의 중용

적인 모더니즘을 만들어 냈으며 조성 음악이 다시 중심위치를 차지하기 시

작하였다.또한 1930년대에는 전통적 교향곡이 다시 복원함으로 인해 전통


과 새로움을 조화롭게 연결시킨 다양한 민족주의적 대규모 교향곡,오페라,

교회음악이 작곡되었다.

9)유럽에서 망명을 한 대표 작곡가로는 쇤베르크,바르톡,크세넥,힌데미트 등있다.


7

1950-70년의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세대는 사회전반의 변화에 상응하여

전쟁 중의 침체적 분위기에 벗어나 다시 한 번 적극적으로 음악의 전통을


부인하고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는 아방가드르 경향의 작품들을 만들어 내

었다. 대표 작곡가로는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Kar
lhe
inz St
ockhause
n,

1928-2007)
, 피에르 불레즈(
Pier
re Boul
ez,1925- )
, 루이지 노노(
Lui
gi
Nono, 1924-1990)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다름슈타트 음악제(
Dar
mst
adt

Mus
ik Fe
sti
val
)에서 간결하면서도 합리적이고 구조주의적인 음악적 경향

을 보여준 베베른을 정신적인 지도자로 추앙하였으며,그 결과 그들은 점


묘음악10)을 거쳐 엄격한 논리적·
이성적 방식에 의한 총열음악으로 발전시

켰다.동시에 미국의 존 케이지(


JohnCage
,1912-1992)
는 이와는 정반대되

는 우연성의 음악11)을 작곡하여 기존 음악 예술이 갖고 있는 질서 체계를


벗어나려는 시도를 과감하게 실행하였다.
1) 이러한 음악 양식의 획기적인
2

변화에 따라 기보법에서도 급격한 변화를 보였는데,전통적 양식에서 벗어

나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보여주며,작곡가의 의도나 사상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60년대는 20세기 음악의 방향 전환이 다시 한 번 나타나 음렬음악의 진

보주의가 붕괴되고,크시슈토프 펜데르츠키(


Krz
ysz
tofPe
nder
ecki
,1933-)
와 죄르지 산도르 리게티(
Györ
gySándorLi
get
i,1923-2003)
에 의해 음향

작곡13)이 시작된다.펜데르츠키의 「아나클라시스」와 리게티의「아트모스

페르」에서 뚜렷하게 나타난 것처럼,이 음향 음악에서는 총렬음악에서 중


요하게 여겨진 개별적인 음에서 벗어나 음들이 모여 이룬 음향층이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70년대 중반을 전후로 20세기 음악의 마지막 전환점

10)점(點)
으로 묘사하여 만들어낸 음악이다.흩어져있는 작은 요소들을 공교롭게 활용한
작곡기법으로 앙상블 곡에 사용되면 점묘적인 구조가 음색선율을 초래하게 된다.
11)20
세기 이후 현대음악의 계통 나타난 우연음악( Chancemus
ic,Al
eat
ori
cmus
ic)
은 작곡
이나 연주에 우연성을 가한 음악으로서 부정확성의 음악이라고도 한다.
12)홍정수,김미옥,오희숙 共著. 『두길 서양음악사』 p. 408
13)음향 작곡 (
獨:Klankompos
iti
on)
:선율과 리듬 등의 고전적인 음악 요소를 사용하지 않
고 음 그 자체로 구성한 현대음악 작곡 기법 중 하나이다.
8

을 맞이하게 되는데,총렬 음악에 대한 구조적 작곡 방식과 실험적 경향에

대한 반항의 물결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아방가르드적 경향을 추구했던


라 몬테 영(
L. M.Young,1935- )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Kar
lhei
nz

St
ockhaus
en,1928-)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전통적 옛 음악 형식에 복귀하

는 추세가 나타나 50년대의 실험적 경향이 사라졌다.그것으로 인하여 한


작품 안에서 시대적·
양식적으로 다양한 요소들이 동시에 나타나는 새로운

작품 구성이 구축되었다.이들 작곡가들은 자신들의 특별한 작곡 아이디어

들을 청중들과 교감하기 위해 다양한 체계나 소재들을 사용하여 절충적인


음악을 만들어 냈다.이렇듯 다원화 현상을 보여준 그들의 음악을 포스트

모더니즘 음악이라고 부르기도 하며,미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경향을 지닌

작곡가로는 죠지 록버그(
Geor
geRoc
hbe
rg,1918-2005)
,죠지 크럼(
Geor
ge
Cr
umb,1929- )
,레너드 번스타인(
Leonar
d Be
rnst
ein,1918-1990)
등이 있

다.
9

B.미국 합창의 역사

20세기 초반에 많은 유럽의 음악가들이 미국으로 건너오면서 미국의 음악

교육은 급진적으로 성장해 나갔으며,그 가운데 미국 학교들의 합창음악교

육의 발전은 경이로울 정도였다. 1907년 4월, 미국음악관리자 협의회


(
Mus
icSupe
rvi
sor
sNat
ionalConf
ere
nce
)를 위한 104명이 아이오와(
Stat
e

ofI
owa)
의 키오쿡(
Keokuk c
ount
ry)
에서 모임을 가지며 시작된 이 모임은

1910년 신시네티 모임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며,1914년에 『음악관리저널


(
Mus
icSupe
rvi
sor
sJounal
)』이라는 공식적인 출판물을 발행하게 되었다.

이후 홀리스 댄(
Hol
li
s Dann)
의 지휘로 미국고등학교(
Nat
ional Hi
gh

Sc
hool
)의 연주가 1928년과 1930년에 시카고에서,1931년에는 디트로이트
에서 있었는데,이 연주는 듣는 이들에게 합창 연주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

을 인식시켜 주었고 1934년에 미국 음악 관리자 협의회에서 미국 음악 교

육가 협의(
Musi
c Educ
ator
s Nat
ionalConf
ere
nce
)로 명칭이 변경되며,출
판물의 공식적인 이름도 『음악교육가저널 (
Musi
cEduc
ator
sJounal
)』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1924년에 설립된 미국음악학교연합회(


Nat
ional

Ass
oci
ati
on ofMusi
c,NASM)
는 미 교육부에서 음악교육과정 개선을 위
한 정식 음악교육기관으로,현재 미국 내에 NASM에 의해 인정된 단과대

학이나 주립대학이 531곳에 이른다.

미국의 합창 음악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발전은 1920년부터 오늘날까지 이


루어지고 있다.1920년대에 존 핀리 윌리엄스(
John Fi
nle
y Wi
ll
iams
on,

1887-1964)
가 주도하는 웨스트민스터 콰이어 칼리지(
Wes
tmi
nst
er Choi
r

Col
lege
)합창단은 성숙하고 힘찬 사운드로 교향악단과 함께 규모가 큰 낭
만적인 작품을 연주하는 것에 주된 목적을 두고 발전을 시작하였다.1930

년대에는 미네소타주 노스 필드에 있는 세인트 올라프 대학(


St. Ol
af

Col
lege
)의 멜리우스 크리스챤슨(
Mel
iusChr
ist
ians
en,1871-1955)
이라는 지
10

휘자를 주축으로 합창단들이 루터교 정통의 성스러운 아 카펠라(


A

Cappe
lla)
연주를 선호하여 순수하고 완전한 가창을 지향하면서 다이나믹과
감정표현,개성주의 등을 피하고 절제된 미와 통일된 소리를 조성하며,절
1
대완벽주의의 음악을 추구했다.4) 이후 제 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0년

대에는 미국의 음악교육이 중단되었으나 합창교육은 계속 번창했다.이 때


프레드 워링(
Fre
d War
ing)합창단과 펜실베니안(
ThePe
nns
ylvani
ans
)합

창단이 매주 라디오에 등장하여 대중적인 스타일로 연주 하였는데,이들

합창단은 청취자들이 이해 할 수 있는 단어와 좋은 발음의 필요성을 강조


하였고 프레드 워링 합창단이 발행한 소책자『음절음조(
ToneSyl
labl
es)

1
는 미국 합창의 개선에 큰 공헌을 하였다.5)

1950년대 미국의 합창 음악교육은 뉴욕 컬럼비아 대학의 저명한 교수인



해리 로버트 윌슨(
Har
ry Robe
rtWi
lson)
’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그는 효

과적인 음색과 음질을 얻기 위해 예술적인 합창 발성법(


Art
ist
ic Chor
al

Si
ngi
ng)
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그를 유명한 지휘자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 당시 뛰어난 다수의 합창음악 교육자들로부터 존경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그리고 1950년대 초는 오늘날까지도 그

영향이 계속되는 ‘
로버트 쇼(
Robe
rtShaw)
’의 시대가 시작되었는데 그는

로져 와그너(
Roge
rWagne
r)’
와 함께 균형 잡히고 융통성 있는 합창 스타

일16)을 정립했다.이 시기의 로버트 쇼 합창단은 훌륭한 예술적 합창을 통

해 청중들에게 많은 기쁨을 주었으며,최고의 가치를 자랑하는 음반들이


녹음되어 오늘날 까지도 수많은 지휘자와 합창 연주자들에게 커다란 영향

력을 미치고 있다.1959년 2월 24일,미주리주(


Stat
eofMi
ssour
i)캔자스시

티(
Kans
as Ci
ty)
에서 미국합창지휘자협회(
Ame
ric
an Chor
al Di
rec
tor
s

14)Donal
dNeuen.ChoralConcept
.현동혁 역.(서울:미완성 출판사,2006)p.4
1
15)Rober
tL.Garre
tson.ChoralMusi
c. 조익현 역 (
서울:예솔,2
007
)p.217
16)로버스 쇼와 로져 와그너는 조작되지 않은 아름다운 자연 발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열
정적인 정신,탄탄한 음악 실력,표현력,가사 전달등과 결합해서 탁월하고 균형 잡힌
소리를 냈다.
11

Ass
oci
ati
on,ACDA)
창립을 위한 첫 모임이 이루어졌다.130명으로 시작된

이 협회는 2010년 현재까지도 미국 합창음악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


으며 ACDA의 공식 저널인 『합창저널(
TheChor
alJ
ounal
)』은 창단 이후

지금까지도 매월 발간되고 있다.


12

C.레너드 번스타인에 대해서

(
1)생애

레너드 번스타인은 1918년 8월 25일 미국 매사추세츠 주 로렌스

(
Lawr
enc
e)에서 사무엘 요셉 번스타인(
Samue
lJos
eph Be
rns
tei
n)과 제니
레스닉(
Jenny Res
nick)
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그의 부모는 유대인 박해

를 피해 어렸을 때 미국으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의 로브노(


Rovno)출신의

유대인으로 조상들은 랍비,농부,수공업자였으며,그의 아버지는 자수성가


한 사업가였다.신동이 아니었던 번스타인은 8세 때 유대 교회의 오르간

소리와 찬송가를 듣고 깊은 감명을 받은 후에야 음악에 관한 강한 열정을

가지게 되었고,그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유대교적 사상과 음악적 특징은


이후에 작곡된 교향곡「예레미야(
Jer
emi
ah)
」와「카디쉬(
Kaddi
sh)」,발레

음악「디벅(
Dybbuk)
」,「치체스터 시편(
Chi
ches
ter Ps
alms)
」,「하쉬키베

누(
Hashki
vei
nu)
」 등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발육이 늦어 병약했던 그는 10세 때 피아노와의 만남으로 인해 육체적으

로 정신적으로 건강해졌고 피아노 속에서 자기를 발견하고 확립할 수 있었


1
다.7
) 그는 아버지 사무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헬렌 코츠(
Hel
en Coat
es,
1877-1956)
와 하인리히 겝하르트(
Hei
nri
ch Ge
bhar
d,1878-1963)
에게 피아

노 레슨을 받았으며 어릴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었다.

번스타인은 뛰어난 학업 성적으로 인해 보스턴의 명문인 보스턴 라틴 학


교(
Bos
ton Lat
in School
)1 를
8) 졸업한 후, 하버드 대학교(
Har
var
d

Uni
ver
sit
y)에서 수학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았다.하버드 시절 그는 월

터 피스턴(
Wal
terPi
ston,1894-1976)
에게 화성과 푸가를,에드워드 벌린게
임 힐(
Edwar
dBur
li
ngameHi
ll
,1872-1960)
에게 오케스트레이션을 배웠다.

17)Wol
fgangSc
hre
ibe
r.GROßE DI
RIGENTEN.홍은정 역(
서울:을유문화사,2
009
)p.
230
18)1
635
년 메사츄세츠주에 설립된 최초의 공립 시험 학교로 역사가 깊고 전통적인 교육방
식을 고수하는 학교이다.
13

또한 그의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두 예술가를 만나게 되었는데

스스로의 음악적 우상으로 여기던 아론 코플랜드(


Aar
on Copl
and,1900-
1990)
와 그리스의 거장 지휘자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Dimi
tri

Mi
tropoul
os,1896-1960)
이었다.그들의 화려한 작곡기법과 지휘 스타일은

번스타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그는 하버드 재학 시절 음악과 음악학만


을 학구적으로 공부하는 것에 열중한 것뿐만 아니라 철학,미학,문예학,

언어학 강의를 들으며,마지막 2년 동안『하버드 평론(


Har
ver
dAdvoc
ate
)

』이라는 학교 발행물의 음악 부장을 맡으면서 작가로서의 재능도 발휘 하


였다.1939년 졸업 직전에는 자신의 작품 「새(
TheBi
rds)
」를 처음 지휘

하기도 했다.

하버드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음악 학사학위를 받은 후 미트로풀로스의 권


유로 커티스 음악원(
Cur
tisI
nst
it
uteofMus
ic)
에 입학한 번스타인은 그곳

에서 작곡가로서의 교육과 연주자로서의 교육을 모두 다 받을 수 있었다.

그는 작곡가인 랜들 톰슨(
Randal
lTompson)
에게 오케스트레이션을,르네
론지 미켈(
René
e Longy Mi
que
lle
)에게 총보독법을, 이사벨 벤게로바

(
Isabe
lle Ve
nge
rova)
에게 피아노 수업을 그리고 프리츠 라이너(
Fri
tz

Re
ine
r)에게 지휘를 사사 받았다.또 1940년에는 탱글우드 여름 음악원
(
Tangl
ewood Musi
cCe
nte
r)에 창설된 버크셔 음악 센터(
Ber
kshi
reMusi
c

Ce
nte
r)에서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Ser
ge Kouss
evi
tz 1
ky,1874-1951)9)
에게

지휘의 실제를 터득하였다.


커티스 음악원을 졸업한 번스타인은 1940년 탱글우드에 거주하는 뉴욕 필

하모니의 새로운 음악감독 아르투르 로진스키(


Art
urRodz
ins
ki,1892-1958)

와의 만남을 가졌으며,1943년에 뉴욕 필하모니의 부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1월 14일 객원 지휘자 브루노 발터(
BrunoWal
ter
,1876-1962)

19)세르게이 쿠세비츠키(Se r
geKousse
vit
zky,187
4-195
1):러시아 출신의 지휘자.보스턴
심포니의 수석 지휘자(
1 924-4
9)로 미국의 음악과 오케스트라 문화에 근대적인 자의식과
광채를 불어넣은 역할을 한 사람이다.
14

갑작스런 발병으로 인해 리허설 없이 카네기 홀에서 극적으로 뉴욕 필하모

니의 지휘를 하게 되었다.그 당시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은 지


휘자인 번스타인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나,그는 풍부한 음악적 지

성과 감성,강렬한 카리스마를 유감없이 보여줌으로 인해 연주회를 성공적

으로 이루어냈으며 아낌없는 찬사도 받았다.공교롭게도 이 연주회는 전쟁


중 유일한 방송 매체였던 라디오 전파를 타고 미국 전역으로 방송됨으로
20
인해 그의 데뷔 무대는 국가적 차원의 이벤트가 되었다. )

번스타인은 성공적인 데뷔를 통해 미국 악단의 총아(


寵兒)
가 된 뒤로 작
곡가로서도 차츰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그가 작곡한 교향곡 1번 「예레미

아(
Jer
emi
ah)
」는 ‘
우리가 살고 있는 세기의 위기와 믿음의 위기에서 생겨

난 전쟁’
을 묘사했으며,1944년에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번스
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었고 뉴욕 음악 비평가상(
New Yor
k Musi
cCr
iti
cs)

을 받았다.

1945년 가을부터 번스타인은 성공으로 향하는 경이로운 질주를 지속하게


되었는데,그는 뉴욕 필하모니의 지휘에 만족하지 않고 무보수로 뉴욕 시

티 심포니 오케스트라(
New Yor
kCi
ty SymphonyOr
che
str
a)의 상임 지휘

자로 취임하였다.그가 일하는 2년 동안 현대음악과 전통적인 클래식 음악


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끊임없이 대중에게 다양한 음악을 선보였고 동

시에 각 지방의 객원 지휘를 계속하였으며 미국의 음반회사 De


cca와 RCA
2
에서 음반도 출반하였다.1)

2차 대전 직후인 1946년에는 유럽으로 연주여행을 떠나 체코와 영국,이

스라엘,프랑스,네덜란드,독일 등지에서 지휘봉을 잡았으며 각 국에서 그

재능을 인정받았다.한편 그 스스로는 지휘와 작곡사이에서 갈등이 있었으


나,항상 그 순간에 가장 옳다고 여겨지는 것을 함으로 인해 자신에게 주

20)PaulMye
rs.Lenar
dBer
nst
ein.譯:石原 俊 (
東京:アルファベータ.2006)p.
40
21)안동림.「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 서울:웅진 지식하우스,2009
)p.
436
15

어진 모든 일 들을 계속 해 나갈 수 있었다.

1951년 스승 쿠세비츠키의 사망으로 탱글우드 여름 음악원의 오케스트라


분과를 맡게 되었고, 같은 해 칠레의 피아니스트 클라우디오 아라우

(
Claudi
o Ar
rau)
의 연주회에서 만난 칠레 여배우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

이 콘(
Fel
icai
aMont
eal
egr
eyCohn)
과 결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얻었다.
1953년에는 미국인 지휘자중 최초로 스칼라 극장(
Tre
atr
o La Sc
ala)
에서


루이지 케루비니(
Lui
giChe
rubi
ni,1760-1842)
’의 「메디아(
Mede
a)」를 마

리아 칼라스(
Mar
iaCal
las
)와 함께 공연하는 등 그 후 10년 동안 다채로운
경력을 쌓아 나갔다.

1957년에 번스타인이 안무가,극작가와 함께 기획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Wes
tSi
deSt
ory)
」의 성공은 전례가 없는 것으로
영감이 뛰어나고 도발적인 감성이 풍부한 이 뮤지컬을 통해 브로드웨이의

흥행 기록을 새롭게 세웠으며,번스타인의 천재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음악

성을 아낌없이 보여주었다.같은 해 미트로풀로스의 제안으로 뉴욕 필하모


니 상임을 겸임하게 되고 이듬해인 1958년 미트로풀로스가 사임하자 단독

상임으로 3년간의 계약을 맺었는데 이는 미국 태생의 지휘자로서는 최초였

다.이 계약은 1969년까지 연장되어 12년의 긴 세월을 상임 지휘자로 있었


으며 그 동안 939회의 연주회를 기록했다.
22
)

1969년 아버지의 사망과 함께 번스타인은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자리를 사임하였다.그는 자신에게 맡겨진 의무를 벗어 버리고 작곡


에 전념하고자 한 이유였지만 한편으로는 빈으로 가서 지휘하고 싶은 욕망

을 마음에 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사임 후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명예지휘자로 있으면서도 그는 주요 무대를 유럽으로 옮겨 활동하였다.특


히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는 대단한 환영으로 번스타인을 맞이했으며,

그는 빈 청중들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인 총명함을 고스란히 펼쳐

22)안동림.「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


서울:웅진 지식하우스,2
009
)p.
436
16

보여주었고,한층 더 성숙되어진 그의 음악적 재능으로 인해 유럽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그 가운데 1971년에는 케네디 센터 (


J.F.
Kenne
dy Ce
nte
r)개관 기념을 위해 위촉된 일반 연주회용 극음악「미사

(
Mas
s)」를 작곡하면서 작곡가로서의 활동도 계속 이어나갔다.

1973년 번스타인은 졸업 후 34년 만에 모교인 하버드 대학으로 돌아와 여


섯 번에 걸친 시문학 강의23)를 했으며 그 강의 내용을 묶어 『대답 없는

질문 (
TheUnans
wer
edQue
sti
on)
』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이 책의 마

지막 장의 제목은 ‘
대지의 시’
였는데 여기에서 번스타인은 독일 철학자 아
도르노와 그의 책 『신음악의 철학』에 맞서 스트라빈스키와 그의「시편
2
교향곡」을 변호하였다.4) 같은 해 여름에는 로마 교황 바오로 6세(
Pope

PaulⅥ)
를 위한 음악회에서 이탈리안 라디오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였으
며25) 계속적으로 이스라엘,프랑스,오스트리아 등지에서 다양한 연주회를

이어갔다.

번스타인은 11차례의 에미(


EMI
)상 수상을 비롯하여,미국 이외의 세계
각국에서도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많을 상들을 수여하였다.

말년에 번스타인은 육체적인 고통을 받으면서도 지휘 활동을 계속 하였으

나 1990년 8월,탱글우드에서의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연주를 마


지막으로 은퇴하고 그 해 10월 14일,그의 뉴욕 자택에서 72년의 생애를

마감했다.

23)번스타인은 찰스 노튼 교수의 시문학( Charl


esNor t
onPr of
e ssorofPoe t
ry)강의를 맡
아 개인적인 음악적 철학을 발표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1972-73)
.
24)Wol fgangSc hrei
ber
.GROßE DI RIGENTEN.홍은정 역( 서울:을유문화사,2 009)
p.239
25) Caroli
ne Eve nsen Laz
o.Leonard Berns
tein -i
nl ove wi t
h mus ic
-( Minneapoll
is
:
Ne r
ne r,2003
)p. 95
17

(
2)유대교적 합창 작품

지휘자로서 뿐만 아니라 작곡가로서도 그 능력을 인정받아 다방면으로 재


능이 많았던 번스타인은 1932년부터 1990년 사망하기 전까지 75곡 정도의

작품을 작곡하였는데,그 종류로는 부수음악,발레음악과 춤곡,영화음악,

극음악,교향곡과 소규모의 기악곡,합창곡과 성악곡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작품들이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조지 거슈윈(
Geor
geGe
rshwi
n,1898-1937)
과 아론 코플랜

드의 영향을 받아 유대적인 요소와 재즈적인 요소를 융합하여 번스타인만


의 독특한 음악기법을 만들어 내었는데,특히 교향곡 제 1번「예레미야

(
Jer
emi
ah)
」과 제 3번 「카디쉬(
Kaddi
sh)
」, 그리고 「치체스터 시편

(
Chi
che
ste
rPs
alms
)」에서 유대교적 소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교향곡 제 1번「예레미야(
Jer
emi
ah)
」는 구약 성서 예레미야 애가를 소재

로 다루었으며 전형적인 3악장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악장 ‘


예언서

(
Prophec
y)’
는 유대교회 성가 모티브로,2악장 ‘
신성모독(
Prof
anat
ion)
’은 유
대교 회당에서 사용되는 예언서 낭독 부분을 인용하였으며,3악장 ‘
애가

(
Lament
ati
on)
’는 예레미야서의 원문(
히브리어)
으로 작곡된 표제음악적

(
Progr
ammat
ic) 교향곡이다.「하쉬키베누(
Has
hikvenu)
」는 유대교 안식
일 예배에 사용되는 기도서로 만들어진 작품이며,성가 멜로디의 페달 포

인트로 오르간이 사용된다.교향곡 제 3번「카디쉬(


Kaddi
sh)
」는 1963년에

작곡 되었으며 J
.F.Ke
nne
dy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그를 기리기 위해
위촉된 곡으로,신앙적 갈등을 주제로 다루었으나 기존의 종교 합창곡과

같이 히브리어는 사용하지 않고 영어로 된 가사를 붙였다.1971년 작곡 당

시 논란이 되었던 극장용 종교음악「미사(


Mas
s)」는 전례적인 예배음악
형식 요소와 전자음악과 팝과 같은 현대적인 요소를 절충시켜 기존의 예배

음악과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소화하여 만들어진 작품이다.


「신추나 편곡

(
Arr
.ofSi
nch Na)
」과「레나 편곡(
Arr
.ofRe
ena)
」은 고대 히브리 민속
18

음악을 편곡한 것이고,


「이그달(
Yigdal
)」은 히브리어 전례문을 사용하여

만든 곡이다.다음 <표-1>는 번스타인의 유대교적 합창 작품을 정리한 것


이다.

<표-1> 번스타인의 유대교적 합창 작품26) 목록

작 품 작곡연도 구 성

Al
tos
olo,Mi
xedc
hor
us
예레미야 (
Jer
emi
ah) 1942
Or
ches
tra

Te
nors
olo,Mi
xedchor
us
하쉬키베누 (
Hashi
kive
nu) 1945
Or
gan

Mi
xedc
hor
us
신추나 편곡 (
Arr
.ofShi
nchNa) 1947
Pi
ano

Mi
xedc
hor
us
레나 편곡 (
Arr
.ofRe
ena) 1947
Or
ches
tra

Mi
xedc
hor
us
이그달 (
Yigdal
) 1950
Pi
ano

Sopr
anoSol
o,Boy`
schor
us
카디쉬 (
Kaddi
sh) 1963
Mi
xedc
hor
us,Or
che
str
a

Boys
olo,
치체스터 시편 (
Chi
che
ste
rPsal
ms) 1965
Mi
xedc
hor
us,Or
che
str
a

Te
nors
olo,Boy`
schor
us
미사 (
Mas
s) 1971 Mi
xedc
hor
us,Or
che
str
a
Or
gan,Roc
kband

미사 브레비스 (
Miss
aBr
evi
s) 1988 Mi
xedc
hor
us

26)합창이 있는 오케스트라 곡도 포함.


19

2.
「Chi
chest
erPsal
ms」의 악곡 분석

A.작품개요

「Chi
ches
terPs
alms
」는 1965년 영국 서섹스(
Sus
sex)지방의 치체스터
성당(
Chi
che
sterCat
hedr
al)
에서 해마다 열리는 여름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위촉된 번스타인의 관현악곡에 속한 작품27)이다.1965년 5월 7일에 완성되

었으며 그 해 7월 15일,뉴욕 소재의 필하모닉 홀(


Phi
lhar
moni
cHal
l)
에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New Yor
k Phi
lhar
moni
c Or
ches
tra)
,카메라타

싱어즈(
Came
rat
aSi
nge
rs) 2
와 함께 번스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었다.8)

혼성합창,소년 독창(
BoySopr
ano)또는 카운터 테너(
Count
erTenor
),관
현악,타악기 편성으로 작곡 되었고 후에 오르간,타악기,하프로 재구성

되었으며,「Chi
ches
terPs
alms
」전 악장에 걸쳐서 하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번스타인이 오케스트라와 합창부분을 작곡하기 전에 하프악보를 완


성시켰다는 점에서,하프는 음악을 완성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또한 우드블럭(
Woodbl
oc 2
k)9)
,템플 블록(
Templ
eBl
ocks
),윕(
Whi
p)3
0) 등

의 타악기를 사용하여 음색에 원시적인 색채감도 더해 주었다.다음 <표-2

>는 각 악장마다 등장하는 악기의 편성을 정리한 것이다.

27)PaulMyers.LenardBerns
tein譯:石原 俊 ( 일본:アルファベータ.2006)p.
228
28)LeonardBer
nstei
n.Chi
chest
erPsal
msOr che
stalSc
ore
.p.

29)목종( 木鐘)이라고도 하는 목탁의 일종이며,보통 작은 북의 채로 때려서 연주한다.음
높이는 넓고 음색은 굳고 둔한 울림을 낸다.
30)유럽에서는 Whi p,미국에서는 Sl aps
tick이라 불리는 채찍 모양의 악기로 두 조각의 나
무 막대기가 서로 부딪치면서 매우 강한 싱글 리듬만 연주 가능하여 주로 sf효과를 강
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20

<표-2>「Chi
ches
terPs
alms
」악기 편성

I
nst
rument 1악장 2악장 3악장


Br
ass Tr
umpe
tinB Ⅰ,
Ⅱ,Ⅲ ○ ○ ○

Ti
mpani Tr
omboneⅠ,Ⅱ,Ⅲ ○ ○ ○

Ti
mpani ○ ○ ○

Har
p Ⅰ,
Ⅱ ○ ○ ○

Vi
oli
nⅠ,
Ⅱ ○ ○ ○
St
rings
Vi
ola ○ ○ ○

Vi
olonc
ell
o ○ ○ ○

Cont
rabas
s ○ ○ ○

Snar
eDr
um ○ ○ ×

Bas
sDr
um ○ ○ ×

Bongos
(3) ○ ○ ×

Tambour
ine ○ ○ ×

Cymbal
s ○ ○ ×

Sus
pende
dCymbal ○ ○ ○

Per on Tr
cussi iangl
e ○ ○ ×

Woodbl
ock ○ ○ ×

Te
mpl
eBl
ocks × ○ ×

Whi
p ○ ○ ×

Ras
p × ○ ×

Chi
mes ○ × ×

Gl
ocke
nspi
el ○ ○ ×

Xyl
ophone ○ ○ ×
21

히브리어 시편가사로 된 이 곡은 총 3악장으로 나누어지며 1악장은 ‘


모두

모여 하나님께 기쁨과 감사로 찬양하라’


는 내용,2악장은 ‘
하나님에 대한
믿음의 신앙고백’
과 ‘
하나님을 부정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
라는 내용,그

리고 3악장은 ‘
하나님과의 연합,형제들과의 연합’
을 호소하는 내용으로 이

루어져 있다.각 악장마다 가사와 작곡 내용은 다르지만 음악적 구조를 볼


때,악상,오케스트라,곡의 분위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조적인 대칭 구조

를 띄고 있다.

<표-3> 「Chi
ches
terPs
alms
」전체 구조

1악장 2악장 3악장

1-63 64-119
마디 1-10 11-117 20-59 60-65
102-146 136-146

주제 동기 순차·
도약진행이
도약진행 도약진행 순차진행 도약진행
특징 적절히 잘 섞임

f
forpp
악 상 f
f f P P PPPP
대조적

웅장하고 활기차고 안정되고 긴박하고 따뜻하고


곡 분위기 차분함
장엄함 역동적임 전원 風 극적임 평온함

Ful
l 타악기無 타악기有
Or
chest
ra 타악기有 타악기無 무반주
Or
che
str
a 현악기 금관악기

Chor
us S.
A.T.
B 남성시작 여성합창 남성합창 남성시작 S.
A.T.
B

가사 내용 시편1
08:
2 시편 100 시편 23 시편2:
1-4 시편13
1 시편13
3:1
22

B.악장별 분석

(
1)1악장

<Psal
m 108,Ver
se2> <시 108편 2절>

Ur
ah, hanevel
, v`
chinor
! 비파야,수금아 깰지어다!
A-i
rah s
ha-ḥar
! 내가 새벽을 깨우리로다!

<Psal
m 100,ent
ire> <시 100편>

Har
iul
`Adonai 온 땅이여
kol haar
ets
. 여호와께 즐거이 부를지어다.

I
v`du et Adonai 기쁨으로 여호와를 섬기며
b`
sim`
ha. 노래하면서
Bo-u l
`f
anav bi
r`nanah. 그의 앞에 나아갈지어다.

D`
u ki Adonai 여호와가 우리 하나님이신 줄
Hu El
ohi
m. 너희는 알지어다.
Hu as
anu v`
lo anaḥnu. 그는 우리를 지으신 이요
Amo v`
tson mar
`it
o. 우리는 그의 것이니 그의 백성이요
그의 기르시는 양이로다.

Bo-u s
h`ar
av b`
-to-dah, 감사함으로 그의 문에 들어가며
Ḥat
sei
rot
av bi
t`
hil
ah, 찬송함으로 그의 궁정에 들어가서
Hodu l
o, 그에게 감사하며
Bar
`chu s
h`mo. 그의 이름을 송축할지어다.

Ki t
ov Adonai
, 여호와는 선하시니
l̀ol
am ḥas
`do, 그의 인자하심이 영원하고
V`
ad dor vador emunat
o. 그의 성실하심이 대대에 이르리로다.
23

「Chi
chest
erPsal
ms」 1악장의 형식은 도입부(
Int
roduct
ion)
-A -B -

C - 종결부(
Coda)
로 구성되어 있다.다음 <표-4>은 1악장의 형식을 정리
한 것이다.

<표-4>「Chi
ches
terPs
alms
」1악장의 형식 구성

구 성 주제 동기 마 디
도입부(Introduction) a 1 - 10
b 11 - 21
A c 22 - 32
d 32 - 39
A
b′ 40 - 47
A′ c′ 47 - 58
d′ 58 - 65
B e 66 - 74
B
B′ e′ 74 - 85
b″ 83 - 90
간주부 A″
c″ 91 - 100
C C f 101 - 108
종결부 (Coda) a′ 109 - 117


주제 동기를 여러 형태로 변형,발전시키며 진행되고 있는 1악장은 B

Maj
or중심 조에 B 믹소리디안(
Mixol
ydi
an)선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 ♭
<악보 1> B Maj
ors
cal
e과 B Mi
xol
ydi
anmode
24

1악장에서는 번스타인의 특징적인 작곡기법 중 하나인 대담한 도약 진행

과 순차적 진행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선율의 균형적인 조화가 잘 이루


어져 있다.또한 재즈의 영향을 받은 급격한 변박,혼합 박자,당김음,스피

치 리듬 사용을 균형 있는 패턴을 이끌어내고 경쾌한 생동감을 잘 표현하

고 있다.

① 도입부 (
Int
roduct
ion,마디1-10)

못갖춘마디로 시작하는 오케스트라의 반주부에서 합창부의 첫 음을 한 박


먼저 힘 있게 제시한다.마디 1에서 시작되는 합창부와 함께 주제 동기 a

가 제시되는데 완전 4도+단 7도+완전 5도의 도약과 장 2도의 순차진행으



로 이루어지고 있다.테너 파트의 시작 음은 B Maj
or의 7도 음(
Leadi
ng
t
one
)인 A음에서 시작되며 베이스 파트와 함께 7도 미해결 불협화음정

(
unr
esol
ved di
ssonanc
e) 3
으로 순차 하행된다.1) 이 때 소프라노와 알토의


B Mi
xol
ydi
an선법으로 이루어진 예상치 못한 도약 선율 진행이 곡에 긴
장감을 더해주며 이러한 부조화 속의 조화가 “
Urah(
깨어라)
”의 가사를 효

과적으로 묘사하고 있다.이어서 바로 반주부에서는 앞에서 제시된 주제

동기 a의 리듬이 8분음표의 짧은 음가로 축소되며 한 옥타브 아래에서 f


f
의 강한 셈여림을 사용해 다시 한 번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이 주제는

1악장과 더불어 3악장의 도입·


종지부에서도 조성과 박자에 다양한 변화를
♭ ♭
주어 재현된다.B Maj
or조성에 B Mi
xol
ydi
an선법이 사용된 마디 1-3
의 주제 동기 a는 마디 4-6에서 C Maj
or조성에 C Mi
xol
ydi
an 선법으로

장 2도 위로 이조되어 나오고 있으며,구성은 앞의 마디 1-3과 거의 같지

만 “
v'c
hinor
(수금)
”라는 단어의 강세에 맞게 리듬이 변화되고,가사에 뒤에
한 음이 추가되며 장 2도 위로의 순차 상행 진행이 한 번 더 나타나고 있

31)7도 음정의 사용은 유대계 기독교(


Jede
ochr
ist
ian)
에서 수비학(
nume
rol
ogy)
적으로 중요
한 역할을 한다.
25

다.

<악보 2> ‘
1악장’중 마디 1-5,도입부 주제 동기a와 변형된 주제 동기a
26

<악보 3>의 마디 7-8에서는 주제 동기가 변형되고 있다.시작되는 완전

4도 하행 도약 진행은 같으나 이후에 단 7도 상행 진행되던 것이 음정의


자리바꿈에 의해 장 2도 순차 하행 진행되고,다시 주제 선율과 동일하게

완전 5도 하행 도약 진행과 장 2도 위로의 순차 상행 진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그리고 리듬 또한 민음표 진행에서 점음표로의 진행이 나타나며



Air
ah(
내가 깨우리로다)
”의 가사를 더욱 강조해주고 있다.

<악보 3> ‘
1악장’중 마디 7-8,변형된 주제 동기 a
27

<악보 4의>의 마디 9-10에서는 마디 7-8의 변형된 주제 동기가 하행 선

율로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다.이처럼 번스타인은 한 가지 작은 음악적 소


재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발전시켜 작곡하였음을 볼 수 있다.또한 10마디

에서 마지막 F음 “
ah!
”의 유니즌(
uni
son)
은 앞에서 테너와 베이스 파트에

서 7도 음정의 연속적인 진행으로 표현된 “


Urah hanevelv`
chi
norur
ah!
(
비파야,수금아 깰지어다!
)”라는 도입부의 강한 의지를 더욱 더 강하게

보여주고 있음과 동시에 바로 연결되는 A부분(


All
egr
omol
to)
의 반주부 첫

음을 미리 제시해 주고 있다.

<악보 4> ‘
1악장’중 마디 5-11,주제 동기 a의 확대
28

② A부분 (
마디 11-66)

Al
legr
omol
to( =120)
의 빠르기로 시작되는 A부분은 마디 11-13의 짧은
세 마디의 연결구를 거쳐 음악이 다시 새롭게 시작되는 듯하지만,도입부

에서 나왔던 주제 동기들이 반복과 변형 그리고 확대되어 이 부분에서 등

장하고 있다.앞의 도입부가 느리고 장엄한 분위기를 내었다면,이 부분에


서는 7/
4박자의 라틴 리듬을 사용하여 빠르고 열정적인 축제 분위기를 보

여주며 곡 전체를 구성한다.

<악보 5> 「Chi


ches
terPs
alms
」‘1악장’에서 사용된 라틴 리듬

<악보 6>의 마디 11-13의 반주부는 A부분의 주제 동기가 제시되는 부분



으로 ‘
F-C-B -E’
로 하행 진행되는 완전 4도+장 2도+완전 5도의 음정이
높은 음역에서 시작되어 점차 낮은 음역으로 내려가며 반복,확대되어 나

타나고 있고 여기에 피치카토 주법의 짧은 음가들이 추가되어 밝고 경쾌하

게 진행되고 있다.

<악보 6> ‘
1악장’중 마디 11-13,반주부
29

마디 14부터는 대위법적인 진행으로 이루어진다.<악보 6>의 마디 11-13

에서 나타난 완전 4도+장 2도 음정 사이에 단 3도가 추가되어 베이스 상



성부 선율이 진행되고 그 아래의 하성부에서는 ‘
C-D-E -F’
의 순차 상행

진행이 나타나는 것을 시작으로 베이스 파트와 테너 파트가 마디 21까지

서로 주고받고 있다.

<악보 7> ‘
1악장’중 마디 14-16, 합창 성부의 대위법적 진행


<악보 8>의 마디 17-18에서는 B Maj
or에서 E Maj
or로의 조성 변화를
위해 중간에 F Maj
or로의 경과적 구간을 삽입하여 감 3도라는 불협화 음

정이 등장해 곡에 색채감을 더해 주고 있다.

<악보 8> ‘
1악장’중 마디 17-19
30

<악보 9>의 마디 22-27은 멜로디 변형을 위해 C Maj


or에서 A Maj
or로

의 단 3도 관계에 의해 전조가 나타나는 곳이다.소프라노와 알토 그리고


베이스 파트가 짝을 이루어 먼저 등장한 후 테너 파트가 나오는 형태의 구

성이 세 마디 단위로 나타나고 있는데,앞의 <악보 7>의 마디 14에서 제

시되었던 완전 4도+단 3도+장 2도의 음정이 그대로 재현되나 마디 22에서


는 반진행이 되어 나타나고,이후 마디 24의 테너에서는 완전 4도+단 3도+

장 2도의 음정으로 진행되어 마디 14와 유사진행을 보이고 있다.

<악보 9> ‘
1악장’중 마디 20-25
31

<악보 10의> 마디 27-31에서는 소프라노와 테너 그리고 알토와 베이스가

각각 짝을 이루어 나오는 형태의 구성이 두 마디 단위로 나타나고 있는데,


#
이 부분 역시 멜로디 변형을 위해 c mi
nor
에서 A Maj
or로의 장 3도 관계

에 의한 전조가 이루어진 후,ami


nor
의 같은 으뜸음조 전조를 사용함으로

써 또 다른 화성적 색채감을 더해 주었다.

<악보 10> ‘
1악장’중 마디 27-31
32

<악보 11>의 마디 32에서는 마디 18에서 나왔던 베이스 상성부 선율이 테

Bou Shˈar
너에서 비슷하게 진행되며 시작되는 마디 32-39의 부분은 “ av
(
그의 문에 들어가서)
”의 가사에 맞춰 선율이 점차 상행 진행된다.반주부

에서는 오스티나토 사용으로 더욱 긴박하고 고조되는 느낌을 더해주고 있


♭ ♭
다.그리고 마디 33에서 D 음의 등장으로 B Maj
or의 Ⅰ도의 단조성 화
♭ ♭ ♮
음이 나타나서 b mi
nor
의 느낌이 들게 하지만 마디 35에서 D 음이 D 음

으로 변하면서 B Maj
or의 조성을 확실하게 나타내주고 있다.

<악보 11> ‘
1악장’중 마디 18-19의 베이스 선율 & 마디 32-35합창
33

이후 마디 36-39의 합창부에서 3도 병진행과 함께 반주부에서 또한 3도

순차 하행 병진행이 나타나며 마디 40의 Cl


imax를 향해 전진하고 있다.

<악보 12> ‘
1악장’중 마디 35-39,반주부의 3도 병진행
34

마디 40-43은 같은 가사로 소프라노와 테너,알토와 베이스가 짝을 이루

어 각기 다른 선율 진행을 보이는 구간으로 알토와 베이스가 마디 14의 주


제 동기를 노래하고 그 위에서 소프라노와 테너가 경쾌한 라틴 리듬으로

더해지며 화려함을 엿볼 수 있다.

<악보 13> ‘
1악장’중 마디 40-43

마디 44-49는 소프라노와 알토,테너와 베이스가 짝을 이루어 진행되다가


마디 50이후 마디 14에서 나타났던 주제 동기가 단 2도 음정 아래에서 제

시되며 점차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음과 동시에 세 개의 봉고(


3Bongos)

앞의 ‘
♪♪♩ ♪♪♩’
의 반주 리듬 형태를 그대로 받아 연주하여 긴장감
을 더해 준다.

<악보 14> ‘
1악장’중 마디 50-53
35

마디 58의 반주부에서는 오스티나토의 형태로 3 Bongos의 리듬 패턴을

다시 그대로 받아 연주하며 그 위에서 합창부는 대위적으로 테너→베이스


→알토→소프라노 순으로 화음을 쌓아가며 색채감을 더해주고 있다.

③ B부분 (
마디 66-100)
BouShˈar
마디 66에서 “ av(
그의 문에 들어가서)
”의 가사를 두 마디 단위

로 3도 병진행과 4도 병진행으로 cl
imax를 표현하며 곡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다.

<악보 15> ‘
1악장’중 마디 66-68

마디 83에서 시작되는 간주부는 B부분과 오버랩되며 마디 14에서 제시되


었던 주제 동기 b가 확대,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다.

<악보 16> ‘
1악장’중 주제 동기 b& 마디 83-87주제 동기 b재현
36

④ C부분 (
마디 101-108)

이 곡에서 처음으로 Sol


oist
가 등장하는 C부분은 G Maj
or의 조성을 보이
는 구간으로 반주부 팀파니를 통해 G Maj
or의 Ⅴ도 음인 ‘
D음’
을 지속하

며 오르간 포인트(
OrganPoi
nt)
의 효과를 주고 있다.

<악보 17> ‘
1악장’중 마디 101-104

⑤ 종결부 (
Coda,마디109-117)

<악보 18>은 도입부에 나오는 B Mi
xol
ydi
an 선법의 주제 동기 a가 소

프라노와 테너에서는 E Mi
xol
ydi
an선법으로 전조·
확대되어 재현되고 <악

보 19>에서는 모든 악기들이 나와서 1악장의 종지(


Ⅴ3♭-Ⅰ)
를 화려하게 맺
는다.

<악보 18> ‘
1악장’중 마디 109-113
37

<악보 19> ‘
1악장’중 마디 114-117
38

(
2)2악장

<Psal
m 23,ent
ire> <시23편>
Adonair
o-i
,loeḥs
ar. 여호와는 나의 목자이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Bi
n’otdes
heyar
bit
sei
ni, 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Almeim’
nuḥoty’
naḥal
eini
, 쉴만한 물가로 인도하시는도다.

Naf

shiy’
shovev,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Yan’
ḥei
nib’
ma’
agl
eit
sedek, 자기 이름을 위하여
L’
ma’
ans
h’mo.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Gam kiei
lec
hb’
geit
sal
mavet
, 내가
Loi
rar
a,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KiAt
ahi
madi
.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Shi
v’t
’chaumi
ban’
tec
ha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Hemahy’
naḥamuni
.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Ta’
aroc
hl’
f
anais
hul
chan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Negedt
sor
’rai 내게 상을 차려주시고
Di
shant
avas
hemenr
oshi 기름을 내 머리에 부으셨으니
Cos
ir’
vayah. 내 잔이 넘치나이다.

Ac
htovvahes
ed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Yi
rd’
f
unikoly’
meiḥayai
,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V’
shav’
tib’
vei
tAdonai 내가 여호와의 집에
L’
orec
hyami
m. 영원히 거하리로다.
39

<Psal
m 2,vs.1-4> <시 2편 1-4절>

Lamahr
ag’
shugoyi
m 어찌하여 이방 나라들이 분노하며
Ul
’umi
m yeh’
gur
ik? 민족들이 헛된 일을 꾸미는가?

Yi
t’
yat
s’vumal
cheier
ets
, 세상의 군왕들이 나서며
V’
rozni
m nos
’duyaḥad 관원들이 서로 꾀하여
AlAdonaiv’
alm’
shi
ḥo. 여호와와 그의 기름부음 받은 자를
대적하며

N’
nat
kahetmos
’rot
eimo, 우리가 그들의 맨 것을 끊고
V’
nas
hic
hahmi
menuavot
eimo. 그의 결박을 벗어 버리자 하도다.

Yos
hevbas
hamayi
m yi
s’ḥak, 하늘에 계신 이가 웃으심이여
Adonaiyi
l’
ag l
amo! 주께서 그들을 비웃으시리로다.

「Chi
chest
erPsal
ms」 2악장의 형식은 A - B -A′-종결부(
Coda)

로 구성되어 있는 3부분 형식이다.다음 <표-5>는 2악장의 형식을 정리


한 것이다.
40

<표-5>「Chi
ches
terPs
alms
」2악장의 형식 구성
구 성 주제 동기 마 디
a 1 - 18
b 18 - 26
c 26 - 32
A
a′ 31 - 47
b′ 47 - 55
c′ 55 - 66
d 64 - 72
d′ 73 - 79
B
e 80 - 92
d″ 92 - 101
a″ 101 - 119
A′ b″ 119 - 127
c″ 127 - 135
종결부 (Coda) d‴ 136 - 146

① A부분 (
마디 1-66)
완전 4도와 증 4도 음정을 결합시켜 만들어진 신비화음으로 2악장이 시작

되어 주제 동기 a또한 같은 화음으로 끝맺으며 이 화음은 2악장 전체의

기본 음정으로 사용되고 있다.특히 2악장에서는 번스타인의 극음악적인


요소들이 많이 등장하는데,이러한 신비화음의 사용은 가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마치 다윗이 살았던 시대로 이동하여 그 당시의 상황을 보다 더 생

생하게 재현시키고 있다.소년 독창32)과 하프의 반주부로 이루어진 A 부


분은 가사 내용에 맞춰 어린 다윗이 비파를 뜯으면서 노래하는 모습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32)여성이 대체 할 수 없다.(
from 「Chi
ches
terPs
alms
」compose
r`snot
e)
41

<악보 20> ‘
2악장’중 마디 1-6

2악장 주제 동기 a는 실라빅한 형식33)으로 가사가 붙여졌으며,순차 진행

과 도약 진행이 적절히 섞여서 안정적이고 서정적인 멜로디를 구성한다.

<악보 21> ‘
2악장’중 마디 1-17의 주제 동기 a

33)한 음절에 한 음표가 붙는 형식이다.


42

<악보 22>의 마디 18부터는 2악장의 두 번째 주제 동기인 b가 등장하는

데 이 부분은 A Mi
xol
ydi
an선법을 사용하여 만든 선율이 순차 하행 진행
으로 인하여 “
Naf

shi y’
shovev, Yan’
ḥei
ni b’
ma’
agl
ei t
sedek, l
’ma’
an

s
h’mo(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

도다)
”라는 가사 내용과 어울리게 안정적으로 표현해 주고 있다.그리고
마디 19의 반주부는 순차진행 하는 멜로디 선율을 도와주며 전원적인 느낌

의 표현을 위해 두 마디 간격으로 D Maj


or의 화음선이 4분음표 음가로 일

정하게 하행진행 되어 나타난다.

<악보 22> ‘
2악장’중 마디 18-26,Boys
olo주제 동기 b

이후 마디 26부터 등장하는 주제 동기 c
는 미국의 재즈적 요소가 가미된


블루스 음계(
Blue
snot
e)3
’4
)를 사용하여 곡의 전체적 분위기를 더욱 서정
적으로 이끌어가고,반주부에서는 멜로디 선율을 따라 함께 진행되며 아르

페지오 패턴의 처음과 마지막 음에 테누토를 줌으로서 순차 하행 진행을

느끼게 한다. 하프가 Mi


ddl
e C음을 지속적으로 반복해줌으로 인하여
Or
ganPoi
nt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34)5음 음계(
도-레-미-솔-라)
에 반음내린 3
음과 7음이 첨가된 음계
43

<악보 23> ‘
2악장’중 마디 26-30,블루스 음계가 사용된 주제 동기 c

<악보 24> ‘
2악장’중 마디 27-30,주제 동기 c
의 반주부

마디 31에서는 2악장 시작 부분에 독창으로 불려 졌던 주제 동기 a가 한

마디 간격으로 2성부의 캐논으로 변형되어 진행되며 가사에서 나타난



tsal
mavet(
죽음의 그림자)
”를 음악적인 그림자 효과로 잘 표현하였다.

특별히 번스타인은 악보에 ‘


메아리(
echo)효과를 위해 하성부는 상성부보다

소수의 목소리로 노래하도록 한다’


고 언급하며 그의 극음악적 요소가 잘
나타나고 있다.

<악보 25> ‘
2악장’중 마디 31-38,음악적 그림자 효과
44

마디 40-43에서 블루스 음계로 나타났던 것이 44-46마디에서 변형된 형

태로 나타나고,이후 마디 47에서는 성부가 점차 추가되면서 단 3도 아래


에서 한 마디 단위로 대위법적인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악보 26> ‘
2악장’중 마디 47-51

마디 26이후 나타났던 주제 동기 c
의 변형으로 진행되는 마디 55이후의
합창 성부는 8도 병행으로 진행되며,반주부는 리듬 형태만 조금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

② B부분 (
마디 64-101)

<악보 27>의 마디 64에서는 A부분과 오버랩 되면서 시작되는 B부분은


전반적으로 a mi
nor
의 조성을 가지며 곡의 반전을 위해 금관악기와 타악

기에서 톤 클러스터를 사용함으로 남성의 강한 분노를 한 박자 뒤에서 뒷

받침 해주고 있다.이 클러스터는 호모포닉하게 움직임이며 더욱 극적인


묘사를 가능케 했고 합창부에서는 주제 동기 d가 등장하면서 두 마디 간격

으로 선율이 확대 진행된다.
45

<악보 27> ‘
2악장’중 마디 64-68,톤 클러스터의 사용

마디 73에서 나타나는 주제 동기 d는 한 박자 단위의 캐논 형식으로 변형

되어 진행하며 마치 ‘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비웃으심을

경고한다’
는 소식을 입에서 입으로 퍼져 널리 전하는 듯이 묘사되었다.
46

<악보 28> ‘
2악장’중 마디 73-76

마디 80 이후 합창부의 베이스 파트에서 먼저 선창한 후에 테너 파트가

함께 부르고 있는데 ‘
하나님이 선택하신 왕에 대해 대적을 꾀한다’는 의지
를 더욱 단결시키고자 남성파트의 유니즌(
uni
son)
으로 표현하였고,마디 85

이후 테너 파트에서 스피치 리듬(


spe
ech r
hyt 3
hm)5)
을 사용하여 외치는

소리를 단 2도 간격의 반복진행을 통해 적절히 나타내었으며,주선율을 이


루는 베이스 파트는 도약과 순차진행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악보 29> ‘
2악장’중 마디 80-86,s
pee
chr
hyt
hm

35)스피치 리듬(
Spe
echRhyt
hm)
이란 언어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세를 살려 리듬에 반
영한 것이다.
47

③ A′부분 (
마디 102-135)

마디 102부터 시작되는 A′부분에서는 B부분의 요소들을 포함시켜,상위


2성부와 하위 2성부가 각각 짝을 이루어 대조적인 구조로 나타난다.소프

라노와 알토 파트에서는 주제 동기 a가 확장되어 부드럽고 온화한 선율의

캐논 진행으로 이루어지고,반면에 테너와 베이스 파트에서는 타악기적 요


소를 지닌 힘차고 격렬한 리듬의 캐논 진행으로 이루어진다.그리고 반주

부에서는 주제 동기 a에 나왔던 완전 4도,증 4도의 음정 진행과 더불어

타악기의 리드믹한 진행이 돋보인다.

<악보 30> ‘
2악장’중 마디 102-104,합창부의 대조적인 캐논 진행

도입부의 주제 동기 b가 소년 독창자에 의해 마디 119이후 그대로 재현

되며 A′부분이 시작되고 마디 129에서 주제 동기 c


′가 그대로 재현되며

소년 독창부에서 나왔던 선율을 여성합창이 모방함으로 노래를 마무리 하


게 된다.
48

④ 종결부(
Coda,마디 136-146)

마디 136부터는 2악장의 종결부(


coda)
가 시작되며 B부분에서 나타난 주제
동기 d를 트럼펫,실로폰,비올라 그리고 첼로에서 cmi
norc
hor
d로 모방

하면서 ‘
하나님의 비웃으심’
을 묘사하고 있으며 마디 146에서 합창부와 반

주부 모두 A 음으로 만나며 2악장의 종지를 맺는다.

<악보 31> ‘
2악장’중 마디 136-140,재현된 주제 동기 d
49

(
3)3악장

<Psal
m 131,ent
ire> <시 131편>

Adona
i,Adona
i, 여호와여,여호와여
Loga
vahl
ibi
, 내 마음이 교만하지 아니하고
V’
l
ora
mue
ina
i 내 눈이 오만하지 아니하오며
V’
l
ohi
lac
hti 내가 큰일과 감당하지 못할
Bi
g’do
lotuv’
nif
l
aotmi
meni
. 놀라운 일을 하려고 힘쓰지
아니하나이다.

l
mlos
hivi
tiv
’doma
m’t
ina
f’
shi 실로 내가 내 영혼으로
K’
gamula
leii
mo, 고요하고 평온하기를
Ka
gamula
leina
f’
shi
. 젖 땐 아이가
그 어머니 품에 있음 같게 하였나니
내 영혼이 젖 땐 아이와 같도다.

Ya
ḥelYi
s’
rae
lelAdona
i 이스라엘아
Me’
ata
hv’
adol
am. 지금부터 영원까지
여호와를 바랄지어다.

<Psal
m 133,vs.1> <시 133편 1절>
Hi
nehmaht
ov,umahnayi
m,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Shevetaḥi
m gam yaḥad.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
Amen. 아멘.
50

「Chi
ches
terPs
alms
」 3악장의 형식은 서주부 - A - 간주부 - A′- 종

결부로 구성되어 있다.1악장 도입부의 주제 동기를 변형시켜 3악장의 도


입부와 종지부에서 모방하여 사용하였으며,다양한 변화를 주어 작곡함으

로 인해 반복적인 지루함을 피할 수 있었다.다음 <표-6>는 3악장의 형식

구성을 정리한 것이다.

<표-6>「Chi
ches
terPs
alms
」 3악장의 형식 구성

구 성 주제 동기 마 디

서주부 (Prelude) a 1 - 19

b 20 - 28
A
b′ 28 - 37

간주부 b″ 37 - 44

b‴ 44 - 54
A′
b′′′′ 54 - 60

종결부 (Coda) a′ 60 - 65

① 서주부 (
Prel
ude,마디 1- 19)

현악기군의 기교가 현저하게 드러난 3악장의 장대한 서주는 1악장의 도입

부에서 나오는 도약 진행의 주제 동기와 새로 삽입된 순차적 선율이 대조


를 이루며 진행된다.그리고 2악장의 종지부에서 at
tac
ca로 연결되며 시작

되는 이 악장의 도입부는 2악장 종결부의 긴장감을 이어주기 위해서 장․

단 2도 음정을 삽입하여 극적이면서도 화려한 효과를 자아냈으며,계속적


인 템포의 변화와 엑센트,늘임표,당김음 등 번스타인 특유의 작곡 기법을

사용해 다양한 변화를 주었다.<악보 32>


51

<악보 32> ‘
3악장’중 마디 1-10의 서주부
52

마디 10에서는 2악장의 주제 동기 b가 트럼펫과 하프에서 재현되며 도입

부 초반에 나오는 극적인 장면과 대조적인 현상을 보이게 된다.

<악보 33> ‘
3악장’중 마디 10-12,

트럼펫과 하프에 의해 재현된 2악장의 주제 동기 b

마디 11은 서주부 처음에 나왔던 도약과 순차 진행이 반복적으로 나오고

있으며 해결 되지 않은 2도 불협화 음정으로 인해 긴장감이 계속된다.마

디 16부터 마디마다 순차 상행을 하면서 음악을 고조시키나 음형이 상행하


는데 비해 다이나믹은 여리게 표현되어 있다.

<악보 34> ‘
3악장’중 마디 12-19
53

② A부분 (
마디20-37)

3악장의 A부분은 마디 20부터 남성파트의 유니즌으로 시작되며 두 마디


단위로 ‘
교만해지려 하는 사람의 마음’
은 상행하는 음형을,‘
인간적인 마음

을 내려놓음’
은 하행하는 음형을 사용하면서 감정의 기복을 적절하게 표현

해 주었다.

<악보 35> ‘
3악장’중 마디 20-25,감정의 기복을 묘사한 음형

<악보 36>의 마디 28이후 합창부 여성 성부가 추가되어 한 마디 단위로

모방 진행되고 있는데,이는 “l
mlos
hiv
itiv
’doma
m’t
ina
f’
shik’
gamula
lei
i
mo,ka
gamula
leina
f’
shi(
젖 땐 아이가 그 어미의 품에 있음 같게 하였

다)
”는 내용처럼 여호와를 갈망하며 그 품안에 있기를 원하는 다윗의 고백

을 캐논 기법을 사용해 나타내었다.


54

<악보 36> ‘
3악장’중 마디 28-31

이후 마디 35-37에서 합창부의 ‘
Kagamul
(젖 뗀 어린아이와 같도다)
’가

베이스 파트를 시작으로 다섯 박자 단위로 진행되는데,이것은 베이스 에

서 테너로,테너에서 알토로,알토에서 소프라노의 순으로 나타나며 하나의


프레이즈로 연결된 느낌을 주고 있다.

<악보 37> ‘
3악장’중 마디 35-37
55

③ 간주부 (
마디37-44)

마디 37에서 하프의 오스티나토에 맞춰 저음부 악기인 첼로를 시작으로


현악기로 이루어진 간주부가 시작된다.이 부분에서 사람으로 묘사된 첼로

주자의 독주는 상행하는 선율에서는 마치 ‘


마음이 교만하고 눈이 오만한

인간이 신(
神)의 영역에 이르고자 하는 욕망’
을,하행하는 선율에서는 ‘
피조
물인 인간이 절대자 앞에서 그 욕망마저 내려놓음’
을 표현하고 있다.<악

보 38>

<악보 38> ‘
3악장’중 마디 37-43,간주부
56

④ A′부분 (
마디 44-60)

마디 44의 반주부에서 나타난 선율을 이어받은 합창부의 선율은 주제 동


기 b의 4번째 변형으로서 모든 파트에서 유니즌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

부분에서는 합창부 선율이 반주부에서 모방되어 캐논 형태로 나타난다.그

리고 마디 49 이후 합창부의 음역이 점차적으로 높아짐에 비해 셈여림의


형태는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했는데 이는 특히 마디 58-59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나며 이러한 음형의 사용을 통해 극음악적 요소를 더해주며 여운

을 주고 있다.

<악보 39> ‘
3악장’중 마디 58-59,극음악적 요소를 지닌 음형의 예
57

⑤ 종결부 (
Coda,마디 60-65)

3악장의 종결부이면서도 「Chi


ches
terPs
alms
」전 악장의 코다(
Coda)

마디 60-65는 호모포닉하게 진행되며,아주 작은 셈여림의 A c
appel
la로

연주함으로서 가사에서 나타난 ‘


연합된 인간의 모습’
을 효과적으로 묘사하

였다.Ame
n의 종지부에서 불협화 음정을 사용함으로 인해 번스타인의 현
대적 작곡 기법을 다시금 나타내었고,ope
nedf
if
th를 사용하여 공허감을

갖게 하지만 이후 변격 종지를 사용해줌으로 인해 조성감을 느끼게 해주며

곡을 맺는다.

<악보 40> ‘
3악장’중 마디 60-65,종결부
58

Ⅲ.결 론

본 논문은 20세기 미국 음악에 큰 획을 그은 음악가 레너드 번스타인의

합창 음악 「Chi
ches
terPs
alms
」에 대해 연구한 것이며,절충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음악을 통해 대중들에게 다가가고자 했던 번스타인의 음악적 어

법을 가사․조성․박자․리듬 분석을 통해서 그의 음악 세계를 살펴보았

다.
번스타인의 작품을 분석하기에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20세기 음악사의 흐

름과 미국의 합창의 역사를 살펴보았다.음악에 있어서 20세기는 사회·


치적 영향을 받아 수많은 실험주의 사조가 나타났으며,많은 음악 교육기


관이 생겨남에 따라 음악 교육 또한 급진적으로 성장해 나갔다.특히 합창

교육은 경이로울 정도로 발전했으며 오늘날까지 그 발전은 계속되고 있다.

번스타인은 작곡가로서 20세기 실험주의 사조를 따르지 않고 클래식 음악


에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음악적 기법을 가미하여 절충된 방식으로 작곡하

였으며,관현악곡,극음악,무용극,합창,성악,피아노곡 등 다양한 장르들

의 작품을 다수 남겼다.지휘자로서도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를 중심으


로 수많은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명성을 쌓아갔다.또한 그는 ‘
음악을 이

해하는 것’
을 음악의 본질에서 이끌어내려고 심혈을 기울였다.그 결과 철

저하게 번스타인의 음악적 양식으로 재구성된 그의 연주를 통해 누구나 쉽


게 음악을 이해 할 수 있었으며,큰 감동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Chi
ches
terPs
alms
」는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악장은 ‘
하나님

께 기쁨과 감사로 찬양하라’


는 내용이며 여기에서 나타난 주제 동기는 번
스타인의 신앙의 상징으로 1·
3악장의 도입부와 종결부에 나옴으로서 곡 전
♭ ♭
체에 통일성을 부여하였다.주로 B Maj
or의 조성과 B Mi
xol
ydi
an선법

이 혼합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경쾌하고 흥겹게 곡을 발전시키기 위해


59

7/
4박자의 라틴 리듬도 사용하여 음악에 활기를 불어 넣고,전조를 자주

시키며 화성적인 색채감을 더 하였다.2악장은 ‘


하나님에 대한 믿음의 신앙
고백과 하나님을 부정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
에 대한 내용이며 하프와

타악기를 사용하여 음색에 원시적인 색채감도 더해 주었다.소년 독창과

여성 합창으로 진행되는 A부분은 도약과 순차진행으로 이루어진 서정적인


멜로디이며 전원적인 느낌을 주기 위하여 A Maj
or조성과 A Mi
xol
ydi
an

선법을 사용하였다.재즈의 요소인 블루스 음계를 사용하여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켰으며,가사 내용의 여운을 남기기 위해 캐논 기법도 사용하였다.2


악장의 B부분은 남성 파트의 강한 분노를 표출하기 위해 호모포닉한 톤

클러스터 기법을 사용하였으며,단결된 의지를 더욱 극적으로 나타내고자

스피치 리듬을 사용하여 가사의 내용을 전달하였다.그리고 현악기의 장엄


한 서주로 시작되는 3악장에서는 1악장에서 나타난 주제 동기가 재현된다.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며,형제들과 참된 연합을 이루자’
라는

내용의 가사는 새로이 삽입된 서정적인 선율을 통해 적절하게 표현 되었으


며,반복적으로 재현되는 주제 동기는 반복의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다양

한 성부배열로 변화시켰다.

「Chi
ches
terPs
alms
」를 통해 번스타인은 대중들의 음악에 대한 접근성
을 높이기 위하여 순차적인 진행과 대담한 도약을 균형 있게 사용한 서정

적인 선율,재즈 화성을 사용함으로 인해 풍부한 자국적 감성을 이끌어 내

었다.그는 스피치 리듬 또는 언어적 엑센트에 적합한 리듬을 사용하여 음


악이 담고 있는 내용들을 최대한 살려서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을 가능케

했으며,변박과 혼합 박자,당김음 등을 통해 음악에 생동감을 주고 불규칙

적인 리듬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아름다운 진행을 이끌어 냈다.


화성적인 측면에서는 조성을 유지하면서 선법,톤 클러스터와 같은 비화성

음,신비화음,반음계 기법 등 여러 가지 작곡 기법을 폭 넓게 사용하였구

으며,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악장별로 대칭적이며 한 가지 동기를 계속적으


60

로 발전시켜 연결해나감으로 인하여 곡 전체에 균형미와 통일성을 부여하

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번스타인이 클래식 음악의 본질을 대중들에게 쉽게 전

달하기 위해 전통 클래식 음악과 대중적인 어법을 절충시켜 곡을 작곡하였

다는 것과,그것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그의 곡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으
며,오늘날까지 그의 작품들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본 논문이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충족하는 번스타인의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효과적인 연주를 하는데 있어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61

참 고 문 헌

1.국내서적

김미옥,오희숙,홍정수.
『개정판 두길 서양 음악사 2』,파주:나남출판,

2006.
류연형.『클래식의 퍼포먼스와 그 장소』,서울:음악춘추사,1994.

박준용.『세상의 모든 클래식』,서울:마고북스,2004.

백병동.『작품을 통한 현대음악의 흐름』,서울:수문당,1990.


안동림.『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서울:웅진 지식하우스,2009.

오희숙.『히브리어 성경읽기 첫 걸음』,서울:정금,2000.

이경분.『망명 음악,나치 음악-20세기 서구음악의 어두운 역사』,서울:


책세상,2004.

홍세원.『서양음악사』,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1995.

2.번역서적

아루가 나츠키,유이 다이자부로.『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미국의 역사』,


양영철 역,서울:삼양미디어,2008.

Gar
ret
son,Robe
rtL.『합창 음악 -역사,양식 그리고 연주 관습-』,

조익현 역,서울:예솔,2007
Kos
tka,St
efan.『20세기 음악의 소재와 기법』,박재은 역,서울:

도서출판 예당,2004.

Ne
uen,Donal
d.『코랄 컨셉』,현동혁 역,서울:미완성,2006.
Sc
hre
iber
,Wol
fgang.『지휘의 거장들』,홍은정 역,서울:을유문화사,

2009.
62

3.외국서적

Ber
nst
ein,Le
onar
d.Fi
ndi
ngs
.Ne
w Yor
k:Si
mon& Sc
hus
ter
,1892.
Got
tl
ieb,J
ack.Leonar
dBer
nst
ein.Ne
w Yor
k:Oswal
dWol
ffBooks
,

1987.

Gr
ande
nwi
z,Pe
ter
.Leonar
d Ber
nst
ein.Ne
w Yor
k:Boos
ey & Hawke
s,
1978.

Laz
o,Car
oli
neEve
nse
n.Leonar
dBer
nst
ein-i
nlovewi
thmus
ic.

Mi
nne
apol
is:Le
rne
r,2003.
Ul
ri
ch,Home
r.A Ser
vey ofChor
alMus
ic.Ne
w Yor
k:Har
cour
tBr
ace

J
ovanc
ovi
ch,1973.

Nas
h,Et
han e
d.Under
standi
ng and per
for
ming Ber
nst
ein`
sChi
ches
ter
Ps
alms
.Okl
ahoma:Chor
alJ
our
nal
,2009.

Myer
s,Paul.Lenar
dBer
nst
ein譯:石原 俊.東京:アルファベータ,2006

d.合唱講座.靑木八郞 外編,東京:音樂之友社.1958.
山口 隆俊 e
Le
icht
ent
rit
t,Hugo.Se
rgeKouss
evi
tzky-アメリカ音樂の展望-

譯:齎藤博之 東京:創元社.1949.

4.음악사전
Tyr
rel
l,J
ohn.Leonar
d Ber
nst
ein,The New Gr
oveDi
cti
onar
yofMus
ic

andMus
ici
ans
.London:Mac
mil
lanPubl
ishe
rsLt
d.,2001.

Sl
oni
msky,Ni
col
as.Baker
`sBi
ogr
aphi
calDi
cti
onar
y20t
hCent
ury
Cl
ass
icalMus
ici
ans
.Ne
w Yor
k:Sc
hir
merBook,1997.
63

5.논문

강한영.
「Le
onar
dBe
rns
tei
n의 <Candi
de>에 관한 연구:주요 아리아 중심
으로」,서울: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9.

구수경.
「Le
onar
dBe
rns
tei
n의 s
ongc
ycl
e<Ihat
emus
ic>에 관한 연구」,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98.


김 미.
「Le
onar
d Be
rnst
ein의 <Chi
che
ste
rPs
alms>연구:시편가사를 중심

으로」,서울: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6.

김수경.
「20세기 음악에 나타난 클러스터 기법 연구」,서울:이화여자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1999.

6.악보
Ber
nst
ein,Le
onar
d.「Chi
ches
terPs
alms
」.Or
che
str
aSc
ore
,Ne
w Yor
k:

Boose
y& Hawke
s,1988.

.「Chi
ches
ter Ps
alms
」. VocalScor
e,Ne
w Yor
k:
Boose
y& Hawke
s,1991.

7.시청각 자료

Ber
nst
ein,Leonar
d.「Chi
ches
terPs
alms·Symphoni
esNo.
1& 2」,Li
ve

r
ecor
ding,De
utsc
heGr
ammophon.1978.
64

[
부록]「Chi
chest
erPsal
ms」연주를 위한 히브리어 발음표기

효과적으로 히브리어를 발음하기 위해서는 첫째,모든 모음(


이중모음 포

함)
은 이태리어 모음처럼 발음한다.둘째,모든 자음은 영어식 자음으로 발

음한다.( 3
단,다음에 나오는 자음들은 예외이다)6)

Ḥ-조금 거친 H 발음을 한다.

CH-독일식으로 발음한다.
(예,바흐)

R-이태리어와 같이 가능한 굴려서 발음한다.



’(
Sh va)
-Y’또는 L’같이 자음 뒤에 나타나는

’(
Sh va)
는 모음으로 간주되며 민음표나 꾸밈음표에

의해 표시된 때마다 실라빅한 음가를 형성한다.


이것은 다소 불어에서의 '
무음 E'
와 같은

자연스러운 모음이다.

실라빅한 음가가 있는 곳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1)1악장

<Psal
m 108,Ver
se2> <시 108편 2절>
Ur
ah hanevel v`
chinor
ˈur
a haˈnevɛl vɛ xɪ ˈnor 비파야,수금아 깰지어다

Awake t
heps
alt
ery andt
hehar
p

A-i
rah sha-ḥar
내가 새벽을 깨우리로다
aˈir
a ˈʃaxar
Iwi
llwake t
hedawn

36) Be
rnst
ein,Le
orand.「Chi
che
ste
rPs
alms
」.Or
che
str
aSc
ore
. p.

65

<Psal
m 100,ent
ire> <시 100편>

Hari
u l
`Adonai kol haar
ets. 온 땅이여
haˈr
iu ado ˈnaɪ
l kɔl haˈar
ɛts 여호와께 즐거이
Shoutj
oyf
ull
ytoTheLor
d al
l t
heEar
th 부를지어다.

I
v`du et Adonai b`
sim`
ha.
기쁨으로 여호와를 섬기며
ɪv ˈdu ɛt adoˈnaɪ bɛ sɪ mɛ ˈxa
Se
rve - TheLor
d wi
thgl
adnes
s

Bo-u l
`fanav bi
r`nanah. 노래하면서
ˈbo-u ɛ f
l aˈnav bɪ r
ɛ naˈna 그의 앞에 나아갈지어다.
Come i
ntoHi
sPr
ese
nce wi
thsi
ngi
ng

여호와가
D`
u ki Adonai Hu El
ohi
m.
우리 하나님이신 줄
dɛ ˈu ki ado ˈnaɪ hu ɛ l
oˈhi
m
너희는 알지어다.
Know t
hat TheLor
d He
(is
) God

Hu asanu v`
lo anaḥnu. 그는 우리를 지으신 이요
hu aˈs
anu vɛ ˈl
o aˈnaxnu
He madeus andnot we

우리는 그의 것이니
Amo v`
tson mar`
ito.
그의 백성이요
aˈmo vɛ ˈt
son ɛ iˈt
mar o.
그의 기르시는 양이로다
Hi
spe
opl
e andf
loc
k Hi
sPast
ure

Bo-u sh`
arav b`
-to-dah, 감사함으로
ˈbou ʃɛ ar
av bɛ t
o ˈda 그의 문에 들어가서
Ent
er Hi
sgat
es wi
tht
hanksgi
ving
66

Ḥat
sei
rot
av bi
t`hi
lah, 찬송함으로
sɛ r
xat o ˈt
av bɪthɪ ˈl
ah 그의 궁정에 들어가서
Hi
scour
ts wi
thpr
aise

Hodu l
o, bar
`chu sh`
mo. 그에게 감사하며
그의 이름을 송축할지어다.
ho ˈdu l
o ɛ ˈχu
bar ʃɛ ˈmo
Gi
vet
hanks t
oHi
m bl
ess Hi
sname

Ki t
ov Adonai
, l
`ol
am ḥas`do, 여호와는 선하시니
ki t
ov ado ˈnaɪ ɛ oˈ l
l am χas ɛ do 그의 인자하심이 영원하고
Forgood(
is)t
heLor
deve
rlas
ting(
is)Hi
sme
rcy

V`
ad dor vador emunat
o. 그의 성실하심이
대대에 이르리로다.
vɛ ˈad dor vaˈdor ɛmunaˈt
o
andf
or al
l ge
ner
ati
ons Hi
sfai
thf
alne
ss

(
2)2악장

<Psal
m 23,ent
ire> <시 23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Adonai r
o-i
, l
o eḥsar
.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adoˈnaɪ oˈ i
r l
o ɛχˈs
ar
TheLor
d(i
s)myshe
phe
rd not shal
lIwant

Bi
n’ot deshe yar
bit
sei
ni, 그가 나를
bɪnˈot ˈdeʃɛ arbiˈt
j seni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I
nbe
aut
if
ul past
ure
s Hehasmel
ie

Al mei m’
nuḥot y’
naḥal
eini
, 쉴만한 물가로
al me mɛ nu ˈχot j
ɛ nahaˈl
eni 인도하시는도다.
Bes
ide wat
ers s
til
l Hel
eadsme
67

Naf
’shi y’
shovev,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nafˈʃi ɛ ʃo ˈve
j v
MySoul Her
est
ore
s

Yan’
ḥei
ni b’
ma’
agl
ei t
sedek,
aneˈχeni
j bɛ maag ˈl
e ˈt
sɛ dɛk
Hel
eadsme i
npat
hsof r
ight
eous
nes
s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L’
ma’
an sh’
mo.
ɛ ˈmaan
l ʃɛ ˈmo
f
ort
hes
akeof Hi
sname

Gam ki ei
lech
gam ki eˈl

Event
hough Iwal
k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b’
gei t
sal
mavet
,
bɛ gɛ t
salˈmavɛt
t
hrought
heVal
leyof t
heShadow ofDe
ath

Lo i
ra ra,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l
o iˈr
a r
a
not wi
llIf
ear e
vil

Ki At
ah i
madi
.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ki aˈt
a ɪ maˈdi
f
or You(
are
) wi
thme

Shi
v’t
’cha umi
shan’
techa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ʃɪvt
ɛ ˈχa umɪʃ anɛ ˈt
ɛ χa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Yourr
od andYours
taf
f
68

Hemah y’
naḥamuni
.
heˈma ɛ naχa
j
t
hey (
wil
l)c
ome
for
tme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차려주시고
Ta’
aroch l
’f
anai shul
chan
aaˈr
t oχ ɛ f
l aˈnaɪ ʃulˈχan
Youhaves
et bef
oreme at
abl
e

Neged t
sor
’rai
ˈnɛ gɛd t
s ɛ ˈr
or aɪ
i
nthepr
ese
nceof myene
mie
s

Di
shant
a vashemen roshi 기름을 내 머리에
dɪ ˈʃant
a vaˈʃɛ mɛ o ˈʃi
r 부으셨으니
Youhaveanoi
nted wi
thoi
l myhe
ad

Cosi r’
vayah. 내 잔이 넘치나이다.
ko ˈs
i ɛ vaˈj
r a
myc
up ove
rfl
ows

Ach t
ov vahesed
aχ t
ov vaˈχɛ sɛd
Sur
ely goodne
ss andme
rcy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Yi
rd’
funi kol y’
mei ḥayai
,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j
irdɛ ˈf
uni kɔl j
ɛ ˈme χaˈj

s
hal
lfol
low me al
lthedays myl
if
e

V’
shav’
ti b’
vei
t Adonai 내가 여호와의 집에
vɛ ʃav ˈt
i bɛ ˈvet ado ˈnaɪ
AndIwi
lldwe
ll i
nthehous
eof t
heLor
d
69

L’
orech yami
m. 영원히 거하리로다.
ɛ ˈor
l ɛχ aˈmi
j m
t
hel
engt
hof my)da
( ys

<Psal
m 2,vs.1-4> <시 2편 1-4절>

Lamah r
ag’
shu goyi
m 어찌하여
ˈl
ama agɛ ˈʃu
r go ˈj
ɪm 이방 나라들이 분노하며
Why ar
eagi
tat
ed t
henat
ions

Ul
’umi
m yeh’
gu ri
k? 민족들이
ɛ umi
ul m ɛh ˈgur
j ik 헛된 일을 꾸미는가?
andt
hepe
opl
es mut
teri
nvai
n

Yi
t’yat
s’vu mal
chei er
ets, 세상의 군왕들이 나서며
j
itɛ j
ateˈvu
s malˈχe ˈɛ r
ɛts
St
andup ki
ngsof e
art
h/l
and

V’
rozni
m nos’
du yaḥad 관원들이 서로 꾀하여
ozˈni
vr m ɛ ˈdu
nos ˈj
aχad
andr
ule
rs t
akec
ous
el t
oge
the
r

Al Adonai v’
al m’
shi
ḥo. 여호와와
al ado ˈnaɪ vɛ ˈal mɛ ʃiˈχo 그의 기름부음 받은 자를
Agai
nstt
heLor
dandagai
nst Hi
sanoi
ntd 대적하며
e

N’
nat
kah et mos’
rot
eimo, 우리가 그들의 맨 것을 끊고
nɛ natˈka ɛt o ˈt
mosr emo
Le
tusbr
eak - t
hei
rbands
70

V’
nashi
chah mi
menu avot
eimo. 그의 결박을
vɛ naʃ ˈl
iχa mɪ ˈmɛ nu avoˈt
emo 벗어 버리자 하도다.
Andc
astaway f
rom us t
hei
rcor
ds

Yoshev bashamayi
m yi
s’ḥak, 하늘에 계신 이가
o ˈʃe
j v baʃaˈmaj
ɪm ɪ s
j ɛ ˈχak 웃으심이여
Het
hatsi
ts i
nthehe
ave
ns l
aughs

Adonai yi
l’
ag l
amo! 주께서 그들을
adoˈnaɪ j
ilɛ ˈag ˈl
amo 비웃으시리로다.
t
heLor
d moc
ks t
hem

(
3)3악장

<Psal
m 131,ent
ire> <시 131편>
Adonai
, Adonai
, 여 호 와 여 ,여 호 와 여
adoˈnaɪ adoˈnaɪ
Lo
rd Lo
rd

Lo gavah l
ibi
, 내 마음이
l
o gaˈva
h ɪ ˈbi
l 교만하지 아니하고
no
tl pr
oud (
is) myhe
art

V’
lo r
amu ei
nai
, 내 눈이
vɛ ˈl
o ˈr
amu eˈna
ɪ 오만하지 아니하오며
Andno
t ha
ught
y(a
re) mye
yes

v’
lo hi
lac
hti 내가 큰일과
vɛ ˈl
o hɪ ˈl
aχ t
i 감당하지 못할
a
ndno
t doIwa
lka
bout
71

Bi
g’dol
ot uv’
nif
laot mi
meni
. 놀라운 일을 하려고
bɪ gɛ doˈl
ot uvɛ nɪfl
aˈot mɪ ˈmeni 힘 쓰 지 아 니 하 나 이 다 .
i
nthi
ngst
oobi
g a
ndt
oowo
ndr
ous f
orme

l
mlo shi
vit
i v’
domam’
ti naf
’shi 실 로 내 가 내 영 혼 으 로
ɪm l
o ʃɪ ˈvit
i vɛ doˈmamɛ t
i na
fˈ ˈʃɪ 고요하고 평온하기를
Sur
elyIha
vec
alme
d a
ndqui
ete
d mys
oul

K’
gamul al
ei i
mo, 젖 땐 아이가 그 어머니
kɛ gaˈmul aˈl
e ɪ ˈmo 품에 있음 같게 하였나니
Li
keac
hil
dwe
ane
d o
n i
tsmo
the
r

Kagamul al
ei naf
’shi
. 내 영혼이
kagaˈmul aˈl
e fˈʃɪ
na 젖 땐 아이와 같도다.
s
oli
kewe
ane
dchi
ld o
n mys
oul

Yaḥel Yi
s’r
ael el Adonai 이스라엘아
aˈχel j
j ɪsr
aˈe
l ɛl ado ˈnaɪ
Tr
ust I
sra
el i
n t
heLo
rd

Me’
atah v’
ad ol
am. 지금부터 영원까지
meaˈt
a vɛ ad o ˈl
am 여호와를 바랄지어다.
f
rom now and f
ore
ver

<Psal
m 133,vs.1> <시 133편 1절>

Hi
neh mah t
ov, umah nayi
m,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hɪ ˈne ma t
ov u ˈma naˈi
m
Behol
d how good andhow pl
eas
ant
72

Shevet aḥi
m gam yaḥad. 어찌 그리 선하고
ˈʃɛ vɛt aˈχi
m gam ˈj
aχad 아름다운고
t
hedwe
lli
ngof br
other(
soMuc
h)t
oge
the
r

Amen. 아멘.
aˈme
n
Ame
n
73

Abst
ract

A St
udy on Leonar
dBer
nst
ein`
sChi
chest
erPsal
ms

Oh,Hae
-ri

Di
vis
ionofMus
ic
TheGr
aduat
eSchoolof

EwhaWomansUni
ver
sit
y

Di
rec
tedbyPar
k,Shi
n-hwa

Thi
s t
hes
is i
s de
dic
ated t
o t
he r
ese
arc
h of t
he mus
ical pi
ece
「Chi
ches
ter Ps
alms
」, a r
eli
gious chor
al wr
itt
en by t
he gr
eat

Ame
ric
anc
ompos
erLe
onar
dBer
nst
ein.

Leonar
d Be
rns
tei
n,aJ
ewi
sh Ame
ric
an c
ompos
er,f
eli
cit
ousl
ycombi
ned
t
he Ame
ric
an cul
tur
e wi
tht
hatoft
he J
ew,s
ucc
ess
ful
lyc
reat
ing an

or
igi
nalmusi
cals
tyl
e.I
n addi
ti
on,he was a musi
cian who pur
sui
t

c
ompr
omi
sing and poe
ticmusi
c,i
n or
dert
o de
live
rthec
las
sicalmusi
c
t
othe gener
alpe
opl
e by unde
rst
andi
ng t
he e
sse
nce ofmus
ict
hrough

vi
vaci
ousac
tivi
ti
esasaconduc
tor
,compose
randane
duc
ator
.

Be
for
eanal
yzi
ng t
hemus
icalpi
ece「Chi
ches
terPs
alms
」,t
hist
hesi
s
wi
llbe c
ont
empl
ati
ng on t
he t
rend oft
he mus
icalhi
stor
yint
he 20t
h

c
ent
ury,t
he hi
stor
y oft
he Amer
ican chor
almus
ic,and t
he l
if
e and
74

wor
k ofLe
onar
d Be
rns
tei
n.I
n addi
ti
on,t
hist
hesi
s wi
llbei
ntr
oduc
ing

t
he var
ious c
ompos
iti
on t
echni
ques ofLe
onar
d Be
rnst
eint
hrough t
he
r
ese
arc
hfoc
use
dont
het
ext
,tonal
it
y,me
terandr
hyt
hm.

「Chi
ches
ter Ps
alms
」,whi
chc
ons
tit
ute
s ofmi
xedc
hor
us,boy s
olo,

and or
ches
tra,i
scompos
ed bas
ed on t
he or
igi
nalt
extoft
he Ps
alm
f
rom t
heOl
dTe
stame
nt,andi
sdi
vide
dint
othr
eemove
ment
s.Thef
irs
t

move
menti
saboutt
he'
joyf
ulandgr
ate
fulpr
ais
ingt
oGod'
,thes
econd

move
menti
saboutt
he'
conf
essi
on off
ait
h and t
headmoni
ti
on agai
nst
t
hepe
opl
ewhode
ny God'
,andt
het
hir
dmoveme
nti
saboutt
he'
uni
ty

wi
th God i
n mode
sty and t
he coal
it
ion wi
tht
he br
ethr
en.
'The mai
n

mot
ive i
ntr
oduc
ed i
n t
he f
irst move
ment
,whi
ch i
sthe symbol of
Ber
nst
ein'
s r
eli
gious f
ait
h, gi
ves uni
ty t
o t
he mus
ical pi
ece by

appear
ing bot
hatt
hef
irs
tandt
het
hir
dmove
ment
,gi
ving vi
gort
othe

pi
eceby ut
il
izi
ng var
ious r
hyt
hms
.In addi
ti
on,t
heut
il
izat
ion ofhar
ps
and pe
rcuss
ions on t
he se
cond move
mentadds pr
imi
ti
ve c
olort
othe

musi
c. I
nthe t
hir
d move
ment
,the r
epe
tit
ion oft
he l
yri
calt
heme i
s

modi
fi
ed wi
th var
ious di
spos
iti
on of voi
ce-par
tin or
dert
o avoi
d
dul
lne
ss.Thus,Be
rns
tei
ncr
eat
ed amode
rn mus
ice
asi
ly pr
ese
ntabl
eto

t
he ge
ner
alpubl
ic by ut
il
izi
ng hi
s char
act
eri
sti
ccompos
iti
on t
echni
que
,

s
uch as t
he r
epe
tit
ion and modi
fi
cat
ion oft
he me
lody and t
he mai
n
t
hemewi
tht
her
hyt
hm,l
eapands
eque
nce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