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3

음악 감상 수업 (서양음악사)

바로크부터 현대까지
서양음악사의 시대 흐름

v 고대
v 중세
v 르네상스
v 바로크
v 고전
v 낭만
v 근 · 현대
바로크 시대 (교과서 108p)
v 1600년 ~ 1750년 경

v 성악 · 기악 음악이 함께 발달

v 3대 성악 장르 - 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v 대표 작곡가 : 비발디, 바흐, 헨델

v 합주협주곡 (콘체르토 그로소), 독주협주곡 모두 발전

v 지속저음
오페라 ‘리날도’ 중 ‘나를 울게 하소서’ - 헨델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 ‘할렐루야’ - 헨델
칸타타 147번 중 ‘예수, 인간의 기쁨과 소망’ - 바흐
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비교

v 공통점 : 성악 장르, 독창 · 중창 · 합창으로 구성됨

v 오페라 : 가수(들)이 분장을 하고 무대장치와 조명등이 있는 무대 위에서


노래와 연기를 하고 스토리가 있음

v 오라토리오 : 가수(들)이 무대 위에서 노래만 하고 스토리가 있음

v 칸타타 : 가수(들)이 무대 위에서 노래만 하고 스토리도 없음


합주협주곡 (콘체르토 그로소) D단조 -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중 ‘겨울’ 1악장 - 비발디
합주협주곡 과 독주협주곡의 비교

v 공통점 : 협주곡 ( 독주 악기와 합주 악기 그룹이 함께 연주 )

v 합주협주곡 : 독주 악기 그룹 ( 2인 이상) 과 합주 악기 그룹
이 서로 주고 받으며 연주

v 독주 협주곡 : 독주 악기 (1인) 와 합주 악기 그룹이


서로 주고 받으며 연주
고전 시대 (교과서 109p)
v 기악음악의 전형이 확립됨

v 교향곡, 소나타, 실내악, 오페라( 나라별 ) 등 발전

v 절대 음악 - 음악 자체가 작품인 완벽한 음악

v 소나타 (기악음악), 소나타 형식 확립

v 대표 작곡가 :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 빈 악파 )

v 공공연주회의 발전
현악 4중주 ‘ 종달새 ‘ - 하이든
현악 4중주 ‘ 종달새 ‘ - 하이든
v 4개의 현악기로 연주하는 음악

v 실내악

v 제 1 바이올린, 제 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v 하이든 - 교향곡 의 아버지 ( 110개의 교향곡 작곡 )


실내악 ( 현악4중주 등 )도 많이 작곡함
모차르트, 베토벤 에게 영향을 줌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3악장 - 베토벤
소나타
v 소나타 - ‘연주하다’ 라는 뜻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악곡
피아노, 바이올린 등

대표 작품 :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1번 -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봄’ - 베토벤

v 베토벤 - 악성 ( 樂聖 - 음악의 성인 )
다양한 악기의 소나타를 많이 작곡함
징슈필 ‘ 마술피리’ 중 ‘ 파파게노, 파파게나 2중창’ - 모차르트
징슈필
v 노래 ( Sing ) + 연극 ( Spiel )

v 연극적 요소가 강한 독일어로 된 오페라

v 정통 오페라와 달리 대사는 말로 함

v 대표작: 마술피리 - 모차르트


후궁으로부터의 유괴 - 모차르트

v 모차르트 : 음악의 신동 ( 5살때부터 작곡 )


교향곡, 실내악, 오페라, 레퀴엠 등 작곡
교향곡 40번 1악장 - 모차르트
교향곡
v 오케스트라( 관현악단 )가 연주하는 다악장의 기악곡

v 고전시대 교향곡은 대부분이 4악장 형식

v 하이든이 4악장 형식을 확립함

v 1악장은 소나타 형식 ( 제시부 - 발전부 - 재현부 로 구성 )


교향곡 9번 ‘합창’ 4악장 -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 베토벤
v 베토벤이 마지막으로 작곡한 교향곡

v 시력, 청력을 잃어가는 가운데 작곡함

v 4악장에 인성( 人聲 ) 이 들어감

v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실험으로 비난을 받았으나


이는 낭만시대를 열어주는 계기가 됨
낭만 시대 (교과서 110p)
v 낭만 - Romantic , 인간 개개인의 자유로운 감정을 표현

v 다양한 장르의 음악 등장, 서유럽 이외 다양한 국가의 음악이 발전

v 협주곡, 성격 소곡, 부수 음악, 오페라, 교향시, 표제 교향곡 등

v 예술적 기교를 가진 전문 연주가가 등장, 그들을 위한 음악 작곡

v 민족주의 ( 국민악파 ) 발생
피아노 협주곡 1번 - 차이코프스키( 러시아 )
피아노 협주곡 1번 - 차이코프스키( 러시아 )

v 낭만시대에는 주로 독주 협주곡이 작곡됨

v 다양한 악기 ( 피아노, 바이올린 등 ) 를 위한 협주곡

v 차이코프스키 - 러시아의 대 작곡가


교향곡, 오페라, 협주곡, 발레음악 작곡
즉흥환상곡 - 쇼팽
즉흥환상곡 - 쇼팽
v 성격 소곡 - 특정 분위기를 담은, 짧은 음악 작품
분위기나 내용이 곧 제목인 경우가 많음

v 악기의 전문 연주자 ( 비르투오조 ) 를 위해 작곡된 작품

v 대표작품 - 즉흥환상곡(피아노) - 쇼팽
라 캄파넬라(바이올린) - 파가니니
라 캄파넬라(피아노) - 리스트
어린이정경 중 ‘트로이메라이’ - 슈만
오페라 ‘투란도트’ 중 ‘ 공주는 잠못 이루고 ‘ - 푸치니
오페라 ‘투란도트’ 중 ‘ 공주는 잠못 이루고 ‘ - 푸치니
v 낭만시대 - 오페라가 가장 활발하게 작곡된 시기

v 다양한 소재, 규모의 오페라가 등장하고 발전

v 대표 작곡가 - 베르디, 바그너, 로시니, 도니제티, 푸치니 등

v 푸치니 - 극사실주의(베리스모) 오페라 작곡가


민족적인 색채 ( 아시아 등 ) 를 표현

v 오페라 ‘ 투란도트 ‘ - 중국의 설화를 소재로 함


교향시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R. 슈트라우스
교향시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R. 슈트라우스
v 교향시 - 문학, 회화 등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단악장의 교향곡

v 리스트에 의해 창시

v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니체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


‘페르귄트’ 모음곡 중 ‘아침의 기분’ - 그리그
‘페르귄트’ 모음곡 중 ‘아침의 기분’ - 그리그
v 연극 ‘ 페르귄트 ‘ 를 위해 작곡한 음악 모음곡

v 민족주의 ( 국민악파 ) - 낭만시대에 동, 북유럽을 중심으로


생겨난 음악 사조
각 나라 고유의 민족적 소재 ( 전설, 민요 등 )
를 음악으로 표현

v 대표 작곡가와 작품 - 시벨리우스(핀란드) ‘ 핀란디아 ’


그리그(노르웨이) ‘ 페르귄트 ’ 모음곡
드보르작(체코) ‘ 신세계 교향곡 ’ 등
근·현대 음악
v 1,2차 세계대전, 글로벌 문화, 다문화주의 등의 영향으로
새로운 사조( 음악 ) 들이 등장

v 장르, 사조 라는 개념이 무의미해짐

v 기존의 음악적 화법 ( 조성, 화성 등 ) 을 거부하고


작곡가 자신만의 새로운 시도로 표현

v 인상주의, 표현주의, 우연성음악, 전자음악, 대중음악, 뮤지컬 등

v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사조와 작곡가들이 나타남


달빛 - 드뷔시 ( 인상주의 )
인상주의
v 사물이나 자연현상 등에서 받은 인상을 음악으로 표현

v 다양한 화성적 색채가 두드러짐

v 반음 ( # , b ) 을 많이 사용

v 대표 작곡가 : 드뷔시, 라벨 ( 볼레로 )


달에 홀린 삐에로 - 쇤베르크 ( 표현주의 )
표현주의
v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인간의 내면을 표현

v 무조성음악, 12음기법, 슈프레흐슈팀메 등을 사용

v 대표 작곡가 : 쇤베르크, 베베른, 베르크 ( 제 2 빈악파 )


4분 33초 - 존 케이지 ( 우연성음악 )
우연성음악
v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소리를 재료로 하는 음악

v 음악적 요소 ( 음정, 박자, 리듬, 화성 )에 의한 구성을 하지 않음

v 대표 작곡가 : 존 케이지 - 4분 33초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예악 - 윤이상 (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 모더니즘
v 다양성을 보여주는 음악

v 다원주의, 다문화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음

v 대표 작곡가 : 윤이상, 펜데레츠키, 존 케이지 등


뮤지컬 ‘레미제라블’ 중 ‘ One Day more ‘ - 숀버그
뮤지컬
v 19세기 영국에서 발생하여,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왕성하게 공연

v 노래, 연기, 춤 등이 중요 요소

v 대사는 말로 하고, 배우가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

v 세계 4대 뮤지컬 - 레미제라블, 캣츠, 오페라의 유령, 미스사이공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