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음악해석이란? 연주란?

정격연주의 이해
연주란? (해석의 개념)
“사람들은 백혜선이 연주하는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듣기 위해 세종문화회관에 간다면 그들은 리스트의 음악
을 듣기 위해 음악회장에 간 것일까, 백혜선의 음악을 듣
기 위해서 음악회장을 간 것일까?”

“올바른 연주란 무엇일까?”


“연주에서 작품 (작곡가)의 의미는?”

창작 연주 감상
연주실제 (영:Performance practice,
독: Auffürungs praxis)
• 악보로 기보된 음악을 소리로 만들어 내는데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연구하

는 음악학의 한 분야

• 20세기 초 자이페르트(M. Seiffert, 1868-1948)의 헨델의 오라토리오 ‘장식

음연구’에서 유래됨

• “옛 음악의 연주실제”, “역사적 연주실제”

• 과거 작품에 담긴 작곡가의 의도, 작곡 당시의 연주실제에 관심을 가짐

• 음악의 이론과 실기를 연결시키는 분야; 음악연주와 학문적 작업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분야
연주실제(Performance practice)

• 가능한 해석의 방법 :

- 빈틈없고 성실한 작곡가의 의도 따르기

(아농쿠르 Harnoncourt 1929-)

- 1950년 이후 정통성에 대한 회의가 대두


연주실제의 예 1 (J.S.Bach)
• 연주자가 결정해야 할 다양한 문제
1. 악보의 선택문제: 원전판?, 편집본?
2. 실제 연습에서의 문제
1) 템포; “현대의 연주 템포가 이전의 시대와 비교해서 어떤가?”
2) 다이내믹; H. Riemann의 “음악의 다이나믹과 속도” (1884)
3) 아티큘레이션과 프레이징
4) 장식음; J.S. Bach
5) 악기선택; 현대악기/원전악기(악기 복원 문제)
6) 연주공간
연주실제의 예 1 (J.S.Bach)
• 역사주의적 입장 (바흐-전통)
- 바흐의 신성 불가침성
- 기념비로서의 보존성에 대한 예술작품의 권리 강조
- 원형성, 양식의 진정성
- 예: Schola Cantorum Basiliensis의 창시자 네프 (Karl Nef 1873-
1935) (교재 209 인용문)

• 현대적 입장 (바흐-해석)
- 바흐의 예술적 새로운 탄생
- 양식적 변형 가능성에 대한 예술적 권리 강조
- 예술적 직관에 의한 자유로운 재창조의 요구
- 예: 글렌 굴드 (Glenn Gould 1932-1982)
바흐의 현대적 해석 (굴드)

• “새로운 해석은 작품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특징을 해


치지 않는다”

⇒ 바흐 음악의 대중화에 공헌 함
⇒ 1955년 첫 바흐 음반 출시; 미친듯이 질주하는 템포
로, 개성적 아티큘레이션 "미친놈의 연주"
예) 바흐의 골드베르그 변주곡중 Aria

• http://www.youtube.com/watch?v=5LTY7MLuzC8&feature=related
(1964년 연주; 1분 46초)
• http://www.youtube.com/watch?v=R8fPRgZLtxs&feature=fvwrel
(1955/81년 연주; 3분)
바흐의 현대적 해석 (굴드)
• 굴드는 바흐 당시에는 작곡적으로 별로 중요하
지 않았던 음색, 아티큘레이션, 다이나믹, 템포
등의 변화된 수단에 주목하여 매우 빠르고 기교
적인 연주를 통해서 새로운 해석 시도

• 바흐 음악 구조를 독창적이면서 입체적으로 드


러냄
바흐의 해석
(바로크의 종결/새로운 시대의 시작)
 새로운 시대의 시작?
 베쎌러 (H. Besseler 1900-1969) “길을 준비하는 사람으
로서의 바흐” (1955)
 바흐의 음악은 18세기 후반 음악발전에 중요한 전제
 바흐 기악음악의 표현성, 다이내믹, 성격적 테마, 주제적
기법 등에 나타나는 고전, 낭만적 요소에 주목

⇒ 바흐의 현대적 해석, 즉 바흐를 고전-낭만


적 전통에 근거해 연주하는 유형을 정당화
바흐의 해석
(바로크의 종결/새로운 시대의 시작)
 바로크의 종결?
 에게브레히트 (H. H. Eggebrecht 1919-1999) “바흐의
역사적 장소에 대해서”(1957)
 “바흐는 시작이 아니라 종결이다”
 바흐의 음악은 17세기 작곡론의 카테고리가 중심을 이룬
 바흐는 바로크 음악의 집대성

⇒ 바흐를 바로크적 역사이해를 전제로 한


역사적 연주실제를 정당화 함
바흐의 현대적 해석유형
• 쉔베르크와 베베른의 바흐과 헨델 작품 편곡
예) 헨델의 concerto grosso op.6, Nr.7 b플렛 장조(HWV 325)
1. 원곡
http://www.youtube.com/watch?v=9WXIRZtEOuk&feature=related

2. 쉔베르크 편곡: 1934년 프라하에서 콜리쉬 4중주단에 의해 1934년


초연
https://www.youtube.com/watch?v=fj4pPoUA6FY
(쉔베르크 사중주단과 오케스트라 공연)
https://www.youtube.com/watch?v=xeqiNjIYKGQ

• 독일의 오르가니스트 차허(Gerd Zacher 1929-)와 작곡가


슈네벨 (D. Schnebel 1930-)의 바흐 작품의 현대적 편곡
차허의 “푸가의 기법” 중
<Contrapunkt I>의 10가지 편곡
• Quatuor • Für J.S. Bach
• Crescendo • Für Robert Schumsnn
• Alt-Rhapsodie • Für Johannes brahms
• Timbres-durées • Für György Ligeti
• Interferenser • Für Oliver Messian
• Improvisation • Für Mauricio Kagel
• Density 1,2,3,4 • Für Edgar Varèse
• Sons Brisés • Für Juan Allende-Blin
• No(-)Music • Für Dieter Schnebel
Zacher 의 Für György Ligeti 음악 예
 오르가니스트 차허는 20세기 작곡가 리케티
(1923-2006)에게 헌정한 곡에서 리게티적으로
바흐의 푸가를 변형함 (음향기법으로 편곡)
- 음들을 기록된 음가를 넘어서 특정 부분 계속 유지되도록 함
- 이로써 선율선이 지속되며 이들의 윤곽선이 흐려짐
- 4성부 폴리포니 구조는 6성부의 클러스터 음향층으로 변화함
- 이러한 해석은 바흐의 옛음악을 새음악으로 변형, 바로크를 떠난 20
세기를 인식하게 함

• http://www.youtube.com/watch?v=tsrh8fNJMB0
• http://www.youtube.com/watch?v=MoA7vgEgxHg (연주하는 방식
을 알 수 있는 동영상)
연주개념의 역사적 변천
• 18세기 연주개념
- 18세기 이후 ‘연주’에 대한 이론적 연구 시작

- Vortrag (연주): 연사가 원고를 읽듯이 다른 숙고 없이 문자로 고정된 음악을


<객관적으로 소리화>시키는 것

- 가수나 기악연주자와 음악작품의 관계는 객관적

- 당시의 수사학과 깊은 관련: 연주자는 웅변가와 유사

- 훌륭한 연주는 “연사나 연주자가 언어의 힘 또는 음악의 힘을 통하여 얼마나 효


과적으로 청중의 정서를 움직이는가”에 의해 결정됨

- 연주자는 자신의 주관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체를 버리고 연주 작품


이 표현하는 정서에 빠져서 그 감정을 청중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해야 함

- 영향미학, 감정이론(Affektenlehre)에 근거함


연주개념의 역사적 변천
• 19세기 연주개념
- 절대미학(작품미학)에 근거함: 음악작품은 ‘독자적 정신세계’와 ‘미학
적 내용’을 가짐
- 연주는 음악작품이 내포하고 있는 여러 가능성 가운데 한가지를 실
현한다는 의미
- 한 작품에 적절한 하나의 연주가 존재하는 것이 아님
- 19세기 후반부터 다양한 해석(interpretation)이 가능해짐

• 20세기 연주개념
- 음악연주는 해석 작업
- 다양한 형태의 훌륭한 연주의 가능성에 관심
현재의 해석 문화
(3. 세가지 연주계 해석 유형)
1. 역사적-복구적 유형 (historisch-
rekonstruktiver Modus)
- 한 작품의 원래적 연주 형태를 역사적으로 복구

- “옛 음악” 문화, 즉 중세-1780년 경의 비엔나 고전시기 작품이 대


- 연주 해석 모델 중 가장 최근에 등장

- 역사적 음악학과 밀접한 관련

- “정격연주 (authentic Performance)”, “원전 악기 연주”

- 1970년대 이후 연주 분야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


현재의 해석문화
(3. 세가지 연주계 해석 유형)
2. 전통적 유형 (traditioneller Modus)
- 18세기 초 음악-20세기 초 음악이 대상 (바흐, 헨델-비엔나 고전-말
러, R. 슈트라우스)

- 음악적 표현 예술을 보여주는 위대한 작품은 해석자의 주관에서 최


종적 근거의 척도를 발견해야 함

- 해석의 주관적 감정 중시: 기보 된 또는 기보 되지 않은 악보의 여러


층의 측면에서 원래적 텍스트에 대한 충실함에서 어느 정도 해방되
는 것이 진정한 예술작품에 대한 충실함이라 생각

- 텍스트의 해석을 중시함


현재의 해석 문화
(3. 세가지 연주계 해석 유형)
3. 현대화 시키는 유형
(aktualierender Modus)
- 음악 작품을 현시점의 미적 이상에 적응시키려 함

- 연주를 듣는 “현재의 시점”을 “작품 탄생시기”보다 중요하게 봄

- 중세-19세기 음악 작품을 포괄적으로 포함

- 예: 바그너의 베토벤 편곡, 비발디 협주곡의 바흐식 편곡, 헨델의 오


라토리오의 모차르트식 재구성, 카스트라토 영웅을 알토연주자로 대
체등

- 이전의 작품을 동시대적 기대의 지평에 적응


현재의 해석 문화
(3. 세가지 연주계 해석 유형)
3. 현대화 시키는 유형
(aktualierender Modus)
- 과거를 현재의 깊이 있는 사고의 정신에서 끌어내고 옛 작품의 연주
를 현재의 작곡적 수준에서 규정

- 현재의 음악적 사고 형태와 옛 음악의 원칙 사이의 관계를 추적하여


“작품 안에 내제 했던 또는 거기에서 완전히 낮설었던 요소들을 생
동감 있는 미적인 형태로 승화시키도록”연주함

- 오르가니스트 Zacher, 쉔베르크, 베베른, 디터 슈네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