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8

바로크 시대 기악음악

바로크 악기와 음악
기악음악의 발전 흐름
 중세
 귀족들의 사교적 춤 음악 (14세기 경 ‘에스탕피)

 르네상스(1500년경)
 악기를 음악의 전달 도구로 인식하기 시작함
 기악음악의 악보도 증가함.

 바로크 (1600년경)
 성악과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됨
 프레토리우스는 1620년에 온갖 종류의 악기에 대한
해설서를 출판.(악기에 관하여 <De organographia,
1620)
바로크 시대 기악음악의 발달배경
 성악음악과 함께 질적, 양적 발전
 모노디+불협화음의 자유스러운 사용=성
악음악 발달이 있었기에독주악기와 계
속저음
 감정을 자극하고자 하는 바로크 이상과 결
부되어 악기 고유의 특성을 인정  악기
의 관용적 어법, 앙상블의 표준화
바로크 시대 기악음악의 발달배경

 궁정: 르네상스부터 내려온 춤곡과 건


반악기 음악 체계적으로 발전
 직업오케스트라 발생

 교회: 오르간 외에도 다른 악기사용


 악기의 발달: 악기개량 및 새로운 악기
개발 : 바이올린
악기의 종류
 악보에 악기이름을 지정하기 시작(바로크 후기에
접어들어서)

 현악기—바이올린족, 류트
 건반악기—클라비코드, 하프시코드, 오르간
 계속저음을 연주하는 악기
 목관악기—플루트,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바순
 오보에,바순은 바로크 합주음악에서 중요
 금관악기—트럼펫, 트롬본
현악기
 찰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비올론첼
로), 더블베이스(콘트라베이스)
 발현악기: 류트(르네상스의 주요악기), 아크류트, 테오
르보(그림), 키타로네
바이올린
 17-18세기 초 이태리 크레모나(Cremona)의
악기 제작 장인들에 의해서 악기가 완성됨
(크기, 구조, 음향 등; 바이올린 크기 35.5cm)
 스트라디바리우스, 과네리우스, 아마티

 바로크 기악음악에서 바이올린 족의 현악기


가 중심을 이룸

 현악기의 고유한 (관용적)연주 주법이 발달


을함

 최초의 오케스트라인 프랑스 왕 루이 14세의


건반악기
 클라비코드(Clavichord)
 건반 지렛대를 이용하여 접촉쇠가 현을 때려서 소리를 냄
 음량이 작아서 실내용 악기로 각광 받음, 음 조절도 가능
 부드러운 음빛깔과 더불어 표정이 풍부한 노래하는 듯한 가락
을냄
 오리지날 클라비코드 연주보기
http://www.youtube.com/watch?v=JNuk6XZNcpM&feature=related
 C.Ph.E.Bach: Poco Allegro from Prussian Sonata n° 1
http://www.youtube.com/watch?v=228BJKZVRfE&feature=related
건반악기(깃촉악기)
 깃촉 건반악기: 현을 뜯는(퉁기는)기계장치 이용
 하프시코드(Harpsichord), 쳄발로(Cembalo)
 현란하고 강한 음을 내 연주장과 같이 큰 공간에서
사용 됨. 날개모양을 하고 있음
 계속저음을 연주하는 악기로 자주 사용됨.
 음량의 조절이 자유롭지 못함.
 Bach: Sonata for viola da gamba and harpsichord in G
minor, BWV 1029
 http://www.youtube.com/watch?v=JEj5xXj3YAE&feature=related

 하프시코드는 여러 나라에서 애용되며 다양한


명칭을 갖고 다양한 모습으로 제작됨:
 프랑스:클라브생(clavecin), 독일: 스피넷(Spinet), 영국:버지날
(virginal)
건반악기
건반악기 (관악기)

 오르간
 스톱(stop)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관을 선택하여 음색 조정.
 이층 건반, 페달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음색을 바꿀 수 있음.
 다성음악 짜임새에 최상의 조건을 가진
악기.
 Toccata and Fugue in D minor BWV 565 -
Organ Fantasy (토카타? 푸가?)
https://www.youtube.com/watch?v=Nnuq9PXbywA
관악기와 타악기
리코더(플루트는 고전시대
악기)

목관악기 오보에

오보에 다 카치아

오보에 다모레
관악기

트럼펫

금관악기 트롬본

호른

 타악기: 타악기의 수가 바로크에는 줄어듬


(팀파니)
바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
번》 BWV. 1047 중 3악장
구성된 악기는 ? (독주악기+현악합주+계속저음 악기)

음향적 어울림은 어떠한


가?

http://www.youtube.com/watch?v=F0SIW6k7N3E
바로크 시대의 연주 실제
(perfermance practice)
 즉흥연주: 개인성, 자유
 계속저음(Basso Continuo) 전통
 장식음, 악기 사용(ad libitum)

 콘체르타토 양식: 과시적, 극적 표현


 대조, 대비 (음색, 음역, 빠르기, 짜임새, 표현방법, (계단식)셈여
림 등)

 관용적어법: 바로크 정서이론


(Affektenlehre)
 음형이론, 숫자상징
 빠르기 설정, 악기구조에 적절한 연주기술
바로크 시대의 연주 실제
(perfermance practice)
 현재 연주에서의 어려움
 빠르기 설정의 예

예) 바흐의 골드베르그 변주곡 중 Aria


• https://www.youtube.com/watch?v=eZCSOdi19jQ
• (1964년 연주; 1분 46초)
• https://www.youtube.com/watch?v=aEkXet4WX_c
• (1981년 연주; 약 3분)
• https://www.youtube.com/watch?v=Nnuq9PXbywA
• ( 1955년 1분 51초)
기악음악의 확립과정
 르네상스로부터 내려온 4가지 양식을 발전시

 춤반주 또는 감상용 춤곡
 모방대위적 짜임새의 곡
 변주기법을 사용한 곡
 즉흥적 양식

 춤모음곡(dance suite)
 푸가 또는 소나타
 토카타, 판타지아,전주곡, 파사칼리아, 샤콘느
바로크 시대 기악음악의
대표적 종류
 (춤)모음곡(Suite)
 소나타 (Sonata)
 푸가 (Fuga)
 토카타 (Toccata)
 코랄 프렐류드 (Choral prelude)
 협주곡(Concerto)
 서곡(Sinfornia, Overture)

⇒ 고전, 낭만 시대 기악곡의 기초를 만듬


바로크의 춤 문화
 왕의 춤
 17세기 프랑스. 열 네 살의 어린 왕 ‘루이 14세’ 는 이태리 출신
음악가 ‘륄리’가 만든 무곡에 맞춰 춤을 춘다. 어린 루이 대신
에 실질적인 권력을 움켜쥔 사람은 어머니와 재상 ‘마자랭’. 루
이에게 주어진 건 춤과 음악 뿐이다.
 그리고 8년 후, 루이는 재상의 죽음을 계기로 직접 통치에 나선
다. 루이는 자신을 위해 작곡하고 자신의 춤을 돋보이게 해주는
륄리의 음악에 매료된다. 륄리 또한 혼신을 다해 작곡한 음악과
열렬한 사랑을 왕에게 바친다. 그들은 마치 춤과 음악에 심취하
듯 서로에게 빠져들어간 것이다.
 루이는 왕실극단의 연출자 ‘몰리에르’와 왕실 악단 지휘자 ‘
륄리’가 만든 음악과 연극을 통해 절대권력의 태양왕의 자리에
오른다. 그들의 작품은 바로 왕의 권력과 위엄을 드러내는 수단
이었다.
 http://www.youtube.com/watch?v=BMvpvDjFvHA
(춤)모음곡(조곡,Suite)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악음악은 춤곡
 르네상스, 바로크 귀족 사회에서 춤은 중요
한 사교적, 오락적 도구
 춤 음악은 두 개의 다른 대조적 빠르기와 박
자로 된 악장을 연결시켜 놓는 관습이 있었
음(보통 느린 춤  빠른 춤)
 모든 악장은 동일한 조성
 각 악장은 2부분 구성

 바로크 시대 모음곡 기본적으로 4악장 구성


 allemande-courante-sarabande-gigue
(춤)모음곡(조곡,Suite)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


• 독일 • 프랑스 • 스페인 • 아일랜드와 영국
• 2박 계통 • 3박자 계통 • 매우 느리고 웅장한 느낌을 주는 화성적인 곡 • 6/8이나 12/8
• 빠르게/ 보통 빠르게 • 빠르게 • 2번째 박자에 강세를 주는 것이 특징(♩♩. ♪) • 빠르고 활발하게 움직임
• 짧은 상박으로 시작하며 음계적 음형 • 첫 악장의 주제를 사용함 • 3박자

 사라방드와 지그 사이에 다른 모음곡 삽입(미뉴에트, 파


반느, 부레, 파스피에드, 가보트, 샤콘느 등)

 바로크시대 국제주의에 대한 반영
헨델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모음곡 D
단조 》HWV 437 중 알라망드, 쿠랑트

 https://www.youtube.com/watch?v=IZms8zps_iA
헨델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모음곡 D
단조 》HWV 437 중 사라방드
https://www.youtube.com/watch?v=X_P
MPU94CSc
사라방드, 지그 춤 감상

 사라방드
 http://www.youtube.com/watch?v=VF9v-6B_O0A
 지그
 http://www.youtube.com/watch?v=y_ahC-
g6I1U&feature=related

 http://www.youtube.com/watch?v=J_lthPnJ59E&fea
ture=related
(춤)모음곡(조곡,Suite)
 독일: 프로베르거

 프랑스: 프랑소아 쿠프랭


 클라비생 모음곡 (ordres)
 다수의 표제적 이름 포함
 장식음의 세심한 기보 (아그래망): 보기
12-3
(춤)모음곡(조곡,Suite)

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Bach - Cello Suite )
 1720년경 작곡되어짐
 총 6곡으로 구성됨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 < 모음곡의 구성요소들 >


 전주곡, 알망드(allemande, 독일 무곡 4/4),
 쿠랑트(courant,프랑스 무곡 2/4)
 사라방드(sarabande,무어족에 의해서 17세기
에 스페인에 들어와 번창함, 장중한 성격)
 메뉴에트(minuete,1,2번에만 있음),
 부레(bouree,3,4번에만 있는 프랑스 무곡)
 가보트(gavotte,5,6번에만 있는 궁중 무도곡,
가벼운 성격),
 지그(gigue, 영국 무곡, 16세기에 엘리자베스
여왕의 궁중 무도곡으로 사용)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1번
(BWV1007)
 1. Bach - Cello Suite No.1 (BWV 1007) i,
Prelude(전주곡)
 https://www.youtube.com/watch?v=PCicM6i59_I
https://www.youtube.com/watch?v=Ml14kGHCBg0

 2. Bach- Cello Suite No.3 v-Bourree (2/4,


4/4)

 http://kr.youtube.com/watch?v=ok24iv3Fcxc&feature=related
소나타 (Sonata)
 소나타: 칸타타와 구별되는 용어/’악기로 연주한다’
라는 (sonare)
 모체: 르네상스 기악적 노래 칸초나, 프랑스 샹송 (교재
231)
 트리오 소나타: 2개의 선율 성부+계속저음/But! 4명의 연
주자코렐리48곡의 트리오 소나타(교회소나타 24/실내
소나타 24) 작곡/텔레만은 12개의 트리오소나타
 독주소나타: 1개의 선율성부+ 계속저음코렐리 12, 텔레
만 12개의 독주소나타 작곡/스카를라티 600여곡의 건반
악기를 위한 독주소나타
 바로크 말기 대중화18세기 후반 독주소나타로 변천

 이러한 독주기악음악은 음악적 대조를 기본으로


소나타
 감상용 기악음악을 작곡하기 위해 음악을 시작하고, 전개시키고, 끝맺
음을 하는 식의 음악만의 아이디어가 필요.(가사에 의존하지 않는)
 짧은 음악을 여러 개 모아 놓은 방식에 의존. (다악장 구조)
 대조되는 아이디어(빠르기, 짜임새…)를 연이어 붙임.(Concertato 양식)

 대조의 방법 (예: 교회소나타)


호모포니 다성음악 다성음악
호모포니 호모포니
(화성적) (대위적) (대위적)
느리게 느리게
느리게 빠르게 빠르게

 (성부들 간의)짜임새, (악장간의)빠르기의 대조.(17세기에 새롭게 도입


됨)
 각 악장은 하나의 정서(감정)만을 표현함 (바로크 정서 이론)
⇒ 소나타는 순전히 악기로 연주하면서 여러 악장으로 이루어진 음악
기악음악의 종류 2 : 소나타 계속

 교회소나타(sonata da chiesa)
 느-빠-느-빠 교대의 4악장 구성
 미사에서 연주됨

 실내소나타(sonata da camera)
 서주적 악장+3, 4개 춤곡
 학술모임, 사적 모임에서 연주
 현재 ‘실내악’의 의미로
교회소나타(코렐리를 통해)
 코렐리의 교회소나타
 칸타타 형식의 배열: 느-빠-느-빠
 모든 악장은 동일한 조
 후기에 들어가서는 느린악장을 관계단조로
 한 악장 안에 대조적인 주제 無
 대위법적 유형과 호모포니적인 유형의 악장
을 포함함
 악구의 길이 길고 불규칙
 제1악장에 많이 등장
규칙적인 악구, 2개의 반복부
기악음악의 종류 3
 변주곡형식에 근거한 기악음악:
 파사칼리아, 샤콘느
 즉흥곡형식에 근거한 기악음악:
 토카타, 판타지아, 프렐류드
 모방대위법에 기초한 기악음악:
 리체르카레, 판타지아, 칸초나
 푸가(Fuga) : fugere에 어원적 근원
 평균율 조율에 따르는 장, 단조 체계 정착과 함께
큰 발전
푸가

 17세기 말 리체르카레를 대치

 르네상스 성악 모테트를 모방한 기악곡


 모테트와 같이 모방의 짜임새
 오르간 리체르카레가 푸가로 발전

 장단조 체계확립과 함께 완성
푸가 구성
푸가주제(Dux) 대주제
(counter
대선율 다양한 *Stretto 등장
*원조로의 종
subject) 조로 주 지로 진행
응답(comes, 대주제 대선율 제를 변 *긴음가를 바
탕으로 하여
answer)
형 주제를 원조
주제 대주제 로 제시하면
서 종지
응답
푸가(Fuga)
 모방기법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주제
로 곡 전체를 구성하는 방식.
 대위적 다성음악(Polyphony) 구조의 절정
 푸가의 구조

주제 모방
(완전 5도 위)

주제
주제 대선율 모방 에피소드 스트레토
주제 (episode) (stretto)
모방
주제
모방
푸가(Fuga)
 주제 (subject): 으뜸화음 (딸림화음)

 응답(answer) : 주제가 제시된 후 이를 모방하는 선율이 나오는 것 (


딸림화음=완전5도 위가 기본) (으뜸화음)

 주제의 변형: 전위(뒤집어 가기), 역행 (거꾸로 가기), 확대, 축소

 스트레토: 주제가 끝나기도 전에 다른 성부에서 주제가 동시에 나옴,


즉 주제와 응답이 겹쳐서 나옴

 에피소드: 주제가 없는 상태에서 조성의 이탈을 향해가는 짧은 삽입



푸가(Fuga)
 푸가는 단독으로 작곡되기 보다는 프렐
류드(prelude), 판타지(fantasie), 토카타
(toccata), 파사칼리아(pasacalia)등과
함께 짝을 지어서 작곡된

 Concertato 양식
 푸가(엄격 한 규칙에 의한 형식)/ 프렐류드,
판타지, 토카타, 파사칼리아 (자유스러운
형식)
푸가의 예

 바흐 《 평균율 피아노곡집 II 》, 푸가 2
번 , C단조 (BWV 871)
 http://www.youtube.com/watch?v=dW5AdVqDEao
토카타 (Toccata)
 어원: 이탈리아어로 ‘만지다’ 또는 ‘연주하다’의 toccare
 16세기 류트음악을 그 시작점으로
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
 특성:
 불규칙한 리듬
 대조를 유발하는 악곡짜임새의 급격한 변화
 빠른 진행
 트릴이나 턴과 같은 장식음
 페달 사용으로 음악적 기교를 표현
 모방적 동형진행을 포함
 푸가양식을 포함함
 듣기 12-5 (북스테후데)
코랄에 기초한 기악음악 1

 루터교회의 코랄을 17세기 기악음악으


로 거듭남
 코랄푸가: 코랄을 부르기전 연주되는
곡으로 코랄의 주제를 푸가의 주제로
사용
 코랄파르티타: 코랄변주곡이라도도 한
 코랄판타지아: 코랄선율을 대위법적으
로 자유롭게 사용한 규모가 큰 악곡
코랄에 기초한 기악음악 2

 코랄프렐류드: 오르간음악 형식에서 가


장 중요
 코랄선율을 긴 음가로 위성부에
 코랄선율을 연속적으로 각 성부에 배분
 코랄선율을 장식, 변형하여 위성부
 코랄을 모테트나 리체르카레처럼 주제선
율로
 보기 12-7
협주곡 (Concerto)

 협주곡(Concerto): 바로크 기악음악 종류 가


운데 가장 중요
 이로 인해 바로크 라는 부정적인 시대 지칭어가
‘콘체르토 양식의 시대’로
 두 개 이상의 집단으로 분리된 연주---음향의 강
한 대조
 그 역사적 모델은 성 마르크 성당의 건축 양식
 콘체르토 그롯소 (합주협주곡) 에서 독주 콘체르
토로(비발디의 <사계>를 그 시작으로)
협주곡 계속

 콘체르토란?: 바로크시대 대조, 대비의


원리적용, concertare를 어원으로 함
 성악곡에 적용되었던 개념이 1675년경 기
악을 위한 것으로
 각 악기의 관용어법 추구의 결과
 계속저음, 장단조 체계의 확립이 있었기에
가능
 기악앙상블의 연주능력 향상이 있었기에
협주곡(Concerto)
 대비, 경쟁의 느낌이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남.
 빠르기 대비 (빠르게-느리게-빠르게 )

 악기들 간의 음색과 음량의 대조.


합주협주곡

(concerto grosso)
협주곡
독주 협주곡

(solo concerto)

셈여림의 대조(피아노와 포르테의 대비: 계단식 셈여림)

 대표적인 작곡가:코렐리, 토렐리,비발디


합주협주곡 (Concerto grosso)
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 리코르넬로(ritornello) 형식을 빠른 악장에 둔 3악
장 구성(빠-느-빠)
 트리오소나타 편성:4부로 나뉜 큰 규모의 오케스
트라 앙상블
 콘체르티노(솔로): 리피에노
트리오소나타 편성
계속저음악기+현악기, 관악기

 R-S-R-S-R-S
 대표적 작곡가: 코렐리
바흐 《 브란덴부르그 협주곡 》

 6곡으로 구성된 합주 협주곡


 Brandenburg의 크리스찬 루드비히 공
에게 헌정됨
 바흐가 이끌던 17명의 음악가로 구성된
쾨덴 궁정악단의 연주형태 반영
 바흐는 비올라 또는 쳄발로 연주
《 브란덴부르그 협주곡 》
4번 G장조 1악장

 합주협주곡으로 매우 concertante적임

 독주그룹(콘체르티노); 바이올린, 두개의 리


코더
 합주그룹(리피에노); 제1,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쳄발로
 Allegro-Andante-Presto
 http://www.youtube.com/watch?v=uRoojYH0GbQ&feature=related
 https://www.youtube.com/watch?v=t9ClXA0b7K8 (아르농쿠르)
독주협주곡

 토텔리의 독주협주곡
 초기 다악장 관현악곡의 독주악구로부터
 독주악기:리피에노
 대위적 처리
 리토르넬로 형식 사용
 3악장 형태의 협주곡(알레그로-아다지오-
알레그로)
독주협주곡(s0l0 concerto)

 비발디
 770개의 작품을 남김; 47개 오페라, 177
개 콘체르토 (228개의 독주콘체르토)

 ≪사계≫(Le quatro stagioni), 1725년


 바이올린 콘체르토 op.8은 12개의 바이올
린 콘체르토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1-4
번 콘체르토가 일명 "사계"임
비발디 “사계”의 구조
 ≪사계≫는 독주/합주, 자유/반복, 빠름/느림 등
의 대조, 경쟁을 이용한 독주협주곡

 리토르넬로 (Ritornello)형식
 리토르넬로는 반복구라는 의미
 사계에서는 독주악기와 합주악기의 음악내용의 대비
를 위해서 사용

 악기편성 La primavera (봄)


 독주악기: 바이올린
 합주악기: 현악기군
 계속저음악기: 쳄발로
비발디 “사계”의 구조
http://www.youtube.com/watch?v=YRxB7ssENEk
http://www.youtube.com/watch?v=IYZdn80KJ2Y&feature=related
서곡
 성악작품(오페라, 칸타타)의 서주나 간

 이탈리아 양식과 프랑스 양식이 있음
 오페라 속의 서곡으로
 고유의 발레극 전통으로 부터 오페라
 http://www.youtube.com/watch?v=obp7zVNILdo&feature=rel
ated (륄리의 서곡)

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었음


 토카타, 신포니아, 우베르튀르
서곡

 프랑스 서곡 : 우베르뛰르 (ouverture)


 2부분 형식
 느림, 화성적, 장엄한 양식, 부점리듬/ 빠름
, 모방대위적
 http://www.youtube.com/watch?v=HWIaanFmhYY
 륄리 <아르미데> 서곡 (교재 248)

 이태리 서곡 (Sinfonia)
 3부분 형식
 빠름, 모방대위적/느림, 화성적/빠름, 화성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