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바로크 오페라의

발생과 발전

몬테베르디 “오르페오”
음악+극 ⇒ 오페라의 탄생
• 음악+극=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 오페라는 바로크 시대 (17세기)가 만들어


낸 가장 위대한 음악예술 문화

• 르네상스 이후 고대 문화 (그리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결과

• 오페라는 자본력을 필요로 하는 예술 형태


로 사회적 요구에 큰 영향을 받음 : 오페라
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
모노디(monody)
• 카치니 (Giulio Caccini 1545-1618)
- 모노디 방식을 처음으로 적용한 독창노래를
남긴 인물로 알려짐.

- 자신의 작품집을 『신음악 (Le nuove musiche


1602)』이라고 제목을 붙여 스스로 모노디의 창
시자임을 강조
모노디(monody)
• 모노디는 (화성)반주(계속저음) 붙은 독창노래

• 독창노래로 가사 전달을 명확하게


– 르네쌍스의 무반주 다성합창의 탈피
– 말의 억양과 리듬을 음악과 조화시키는 어법의 음악
– 유절형식

– 음악듣기
• 페리, <당신이 나를 떠난다면>
• 라멘토(Lamento): 탄식의 노래
• 레치타티보양식의 노래(stile rappresentativo)
– 극음악에 필요한 사고와 감정을 분명하게 표현하는 양식
– 말과 닮으려는 성악양식
바로크 오페라 2
• 오페라는 Opus(작품)의 복수형
• 오페라의 전신
– 피렌체의 카메라타 그룹이 고대 그리스극의 재
현 시도
– 16세기의 세속적인 극적 오락물들(인테르메디
오, 마드리갈연곡, 전원극 등)

• 최초의 오페라
– ≪다프네≫(Dafne 1597) –대본과 몇 개의 노래만 있음
– 카치니와 페리가 각자 하나씩 쓴 ≪에우리디체
≫(Euridice 1601)
바로크 오페라 3
• 바로크 초기의 오페라
– 주로 궁정오락으로 결혼식이나 그 외의 축연행사에 공
연되도록 제작
– 대본은 고대 그리스의 신화적 이야기

• 중기 오페라
– 거창한 장면 ---복잡한 기계, 화려한 의상
– 높은 음역의 독창을 선호---카스트라토
– 대중음악으로의 전환시작

• 후기 오페라
– 피렌체에서 시작, 로마, 베네치아, 나폴리로
– 극적 완성도 보다는 음악에 더 많은 관심
몬테베르디
• 1567 이탈리아의 크레모나에서 5월 15일에 태어남.
• 1582 베네치아 출판사가 첫 번째 모테트 모음집 출판.
• 1587 베네치아 출판사가 첫 번째 마드리갈 모음집 출판.
• 1591 만토바 곤차가 공작의 현악기 연주자로 고용.
• 1599 만토바 궁정음악단의 가수 클라우디아 데 카타네이
스와 결혼.
• 1601 만토바 궁적음악단의 단장.
• 1607 첫 번째 오페라 ≪오르페오≫ 공연. 부인의 사망.
• 1608 만토바에서 오페라 ≪아리아나≫공연.
• 1610 종교음악의 명곡 ≪저녁기도≫ 출판.
• 1613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성당의 성가대장.
주요작품
• 1616 발레 ≪티르시와 클로리≫ 작곡. -극음악: ≪오르페오≫, ≪탄크레
• 1619 일곱 번째 마드리갈 모음집 출판. 디와 클로린다의 싸움≫,
• 1620 만토바로 돌아올 것을 제의 받았으나 거절함. ≪율리시스의 귀향≫,
• 1624 베네치아에서 극음악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 ≪포페아의 대관식≫
움≫ 공연. -마드리갈: 9권의 마드리갈 모음집
-종교음악 : ≪저녁기도≫(Vespers)
• 1629-37 작품 활동의 침체기.
미사곡 등.
• 1638 여덟 번째 마드리갈 모음집 ≪사랑과 전쟁의 마드
리갈≫ 출판.
바로크 오페라 4
-몬테베르디-

• 많은 마드리갈 작곡
– 7권의 마그리갈 모음집 출판; 5집 부터 바로
크)

• 오페라 장르의 첫번째 대표 작곡가

• 첫 번째 오페라 ≪오르페오≫(Orfeo, 1607


년 만토바에서 공연)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특징
• 가사 전달을 중요시 여김
 음악은 가사의 의미전달을 위한 수단
 가사를 전달하기 위해서 다양한 성악적, 기악적 방법
을 사용

• 선율은 노래라고 할 수 없는 말하는 느낌을 줌(레


치타티보).
• 당시 일반적인 작품들 보다 악기의 역할이 중요.
 중요한 부분에는 어떤 악기로 연주할지 명시함.
아리아와 레치타티보
 아리아
: 가사는 시, 가사의 리듬이 규칙적.
 레치타티보
: 낭송식의 노래.

 바로크 시대 작곡가들은 아리아보다 레치타티보에 더 관심을 가짐.


 바로크시대 오페라의 아리아와 레치타티보의 구분은 애매하지만,
17세기가 경과하면서 분명해짐.
몬테베르디 ≪오르페오≫
• 프롤로그와 5막으로 구성
• 모노디의 가사 전달 장점을 최대한 살림
• 악기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룬 첫 번째 오페라
- 구체적으로 지시한 40여개의 다양한 악기로 구성
• 가사그리기(하늘, 태양, 땅…)
음악듣기♬ (그대가 죽었구나)
• 아리아(Aria)라고 할 수 있는 독창노래가 나옴.
-리토르넬로(ritornello)구조의 아리아
-레치타티보(Recitativo) :극의 전개를 맡음
오르페오 중< 위대한 능력의 정령이시
여>에서 나타난 악기를 통한 가사표현

• 신화에서 악기가 상징하는 내용의 예


– 현악기 (리라, 바이얼린류);오르페우스
– 트럼본(cornett), 칭크(Zink), bassi da gam; 지옥,
죽음, 비극적 장면
– 레갈(regal,이동오르간의 일종);죽음
– 현악기;잠자는 장면
– 하프, chitarone(류트);천국
– chitarone, recorder, clavicembalo;성스러움
– 목관악기;목가적 장면
3막의 구성 basso continuo 반주 악기지정
오르페우스와 희망의 신과의 대화 basso continuo 반주 악기 지정 없음

뱃사공 카론테의 첫 거절 basso continuo 반주 regal

5 성부 신포니아 악기 지정 없음

"possente spirito" 1절 바이얼린 2개


리토르넬로 basso continuo 반주 바이얼린 2개
2절 코르넷 (트럼본 또는 오보에)2개
리토르넬로 코르넷 (트럼본 또는 오보에)2개
3절 하프(arpa doppia) 2개
리토르넬로 하프(arpa doppia) 2개
4절 chitarone 바이얼린 2개, 첼로 1개
5절 organi di legno 없음
6절 바이얼린 2개, 비올라 1개

카론테와 오르페우스 대화 basso continuo 반주 악기지정 없음

5성부 신포니아 (D장조) 바이얼린, 비올라, 오르간

오르페오가 스틱스강을 건넘 basso continuo 반주 오르간

7성부 신포니아 (E장조) 악기지정 없음

정령들의 합창 basso continuo 반주, regal 트럼본, bassi da gamba, 첼로

7성부 신포니아 (E장조) 악기지정 없음


<위대한 능력의 정령이시여>의
가사와 악기 사용
• 1절: 위대한 정령이시여! 강을 건너겠다는
헛된 소망을 품고 이 강가에 왔습니다. (바
이얼린)

• 리토르넬로 (바이얼린)

• 2절: 내가 사랑하는 신부가 죽은 후부터 나


는 살고 있지 않습니다. 나는 심장이 없습
니다. 그러면 내가 어찌 살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코르넷, 트럼본 또는 오보에)
<위대한 능력의 정령이시여>의
가사와 악기 사용
• 3절: 그녀를 쫒아서 이 음침한 공기를 가로
질러 이곳에 왔습니다. 나의 아름다운이가
있는 이곳은 지옥이 아니라 내게는 천국입
니다. (하프(arpa doppia))

• 리토르넬로 (하프(arpa doppia))

• 4절: 나는 유리디케이 발자취를 따라 산자


는 한번도 밟지 못한 이 음침한 곳까지 온
오르페우스입니다. (바이얼린, 첼로)
<위대한 능력의 정령이시여>의
가사와 악기 사용
• 5절: 오! 내 눈의 비치는 밝은 빛이여! 당신들의 눈
빛이 나를 살립니다. 아! 누가 이 고통속의 나에게
위로를 주는 것을 주저합니까? (지정악기 없음)

• 6절: 고귀한 신이신 당신만이 나를 도와줄 수 있


습니다. 당신은 저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가장 사나운 영혼을 위로할 수 있
는 금빛 리라를 내 무기로 갖고 있을 뿐이니까요.
(바이얼린, 비올라)
• http://www.youtube.com/watch?v=ZFe-xH7bblQ
바로크 오페라 5
-로마오페라-

• 로마오페라

– 1620년경 오페라가 고위성직자들을 위한 여흥으로 뿌리내리


기 시작함

– 대본:신화, 기독교 성자를 위한 대본이나 기사도적인 시

–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사이에 확실한 음악적 구분

– 레치타티보는 페리와 몬테베르디보다 더욱 더 말에 가깝게

– 아리아는 좀더 화려하고, 가사보다 음악을 강조

– 모든 음악적 관심은 아리아로 집중


바로크 오페라 6
-베네치아 오페라-
• 베네치아 오페라
– 오페라는 귀족의 전유물이 아니라 중산층의 관심대상으로 전

– 유럽 최초의 공공 오페라극장 설립(1637년)
– 1700년경까지 베네치아에서는 400편이 넘는 오페라가 17개
의 극장에서 공연 됨
– 음악>극, 가사
– 남성 소프라노 가수 '카스트라토'나 다른 높은 음역의 가수
의 아리아를 부각시키게 대본 쓰여짐
– 대표적 작곡가: 몬테베르디, 카발리(교재 207-208쪽 참조)
– ≪율리씨즈의 귀향≫(Il Ritorno d'Ulisse in patria 1640) , ≪포
페아의 대관식≫(L'Incoronazione di Poppea 1642)
베네치아 17개 극장 중의 하나인 산 조반니 그리소르토모 오페라 극장
베니스 그리마니 오페라 극장
The stage at the Castle Theatre
(Cesky Krumlovd의 개인 극장 무대)
베네치아 오페라
1637년 베네치아에

상업용 오페라 극장이 개장

오페라를 향유하는 계층이 확대됨.

17C 말, 흥행사와 작곡가들은 오페라의 대중적


인 흥행에 관심을 가짐.

가사(극)보다는 음악을 중요시하는 오페라


작곡(서정적 아리아 중심)
베네치아 오페라는 이탈리아 다른 도시들, 프랑스, 독
일, 영국에 오페라 열풍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