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오케스트라의 여러 배치

합창의 구성
20204 윤예영
20223 박유영
오케스트라의 구성 목차
오케스트라의 구성
오케스트라의 여러 배치들
그런 배치로 연주한 곡들
- 미국식 배치
- 절충식 배치
- 유럽식 배치
- 업사이드 다운
합창의 구성
오케스트라의 구성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악기는 적게는 15-16 종 , 많게는 2
0 여종의 악기들이 모여 악단을 이룬다 .
분류를 하자면 현악기 , 목관악기 , 금관악기 , 타악기 등 4
개의 악기군이 그룹을 지어 앉는다 .

[ 출처 : 저작권자ⓒ대전일보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363588
오케스트라의 여러 배치들
오케스트라 배치에는 딱히 정해진 것이 없다 .
지휘자가 판단하기에 가장 최적의 음악을 만들 수 있는
배치가 정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지휘자들은 악기들의 배치를 바꾸는 여러 시도들을
해왔고 ,
특히 현악기들의 배치를 바꾸는 시도를 통해 새로운 음향을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
미국식 배치
제2
비올라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배치 바이올린
고음을 왼쪽에 배치하고
제1
저음을 오른쪽에 배치 한 바이올린 첼로
것인데 1930 년대 토머스 지휘자
비첨 경이 라디오 방송
초기에 마이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한 방식으로 지휘자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에 의해 널리 보급 된 방식이다 .
바이올린 악기의 f 홀이 객석을 향해 있기 때문에 고음 선율이
화려하게 도드라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미국식 배치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더 널리 알려져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 워싱턴 내셔널 심포니
등 여러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
유럽식 배치
첼로 비올라
독일식이라고도 불린다 .
19 세기 후반부터 지휘자 오토제 1 제2
클렘페러와 아르투르 니시키 바이올린 지휘자 바이올린
등이 즐겨 사용하였다 .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스페인 광시곡'이나 차이콥스키의 ‘
비창 교향곡‘ 4 악장처럼 바이올린이 서로 선율을 주고
받으면서 이어 갈 때는 둘을 마주보고 하는 게 더 좋은
음향효과를 주기 때문에 젊은 지휘자들 사이에서 쓰이곤 한다 .
유럽식 배치
와 씨 예영아 영상이 왜 없지 왜 다 절충식ㄹ이애 좀 찾아줘ㅜㅜㅠㅠ

절충식 배치 제2
첼로
바이올린
미국식 배치 + 유럽식 배치
제1
푸르트벵글러가 베를린 비올라
바이올린
필하모닉 음악감독 시절 지휘자
당시 유행하던 현악 4 중주단의
자리배치를 본따 만들었다고 해서 ‘푸르트벵글러식'
이라고도 함

이건 좀 보충좀 부탁드려요 ,,,,,,,,,,,,,,,,,,,,,,


절충식 배치
2002 년 9 월 7 일 사이먼 래틀이 베를린 필하모닉
음악감독 취임 후 첫 공연에서 말러 교향곡 제 5 번을 이
방식으로 연주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7twL5WnLifY
합창의 구성 목차
합창의 구성
- 여성합창
- 남성합창
- 혼성합창
- 그 외 합창들
합창의 역사
- 유럽 합창의 역사
- 일본 합창의 역사
- 한국 합창의 역사
합창의 역사
성악 음악의 작곡은 기악 음악의 작곡과는 여러면에서 매우
다르다 . 가사를 포함하면서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 인간의
목소리가 가진 특별한 능력과 한계들을 다루어야 하므로 ,
성악 음악의 작곡은 어떤 면에서는 기악 음악보다 더 많은
것을 신경써야 한다 .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 많은 뛰어난 작곡가들이 합창 음악을
전혀 작곡하지 않았다 . 그래도 , 합창 음악은 서양 음악사의
첫 천년 동안 잘 내려온 몇 안되는 음악의 종류 중 하나이다 .
합창의 구성
합창단의 구성 합창단은 보통 지휘자가 이끈다 . 대부분의
합창단은 네 개의 성부로 이루어지지만 성부의 수에는
제약이 없다 . 하지만 반드시 성부가 2 부 이상이 되어야
한다 .
여성합창
여성 2 부합창 - 소프라노 · 알토
여성 3 부합창 - 제 1 소프라노 · 제 2 소프라노 (
메조소프라노 )· 알토
여성 4 부 합창 - 제 1 소프라노 · 제 2 소프라노 · 제 1 알토
· 제 2 알토
남성합창
남성 4 부합창 - 제 1 테너 , 제 2 테너 , 제 1 베이스 , 제 2
베이스
남성 3 부합창 - 테너 , 제 1 베이스 , 제 2 베이스의 3
부합창
혼성합창
가장 흔한 경우이며 , 보통 소프라노 , 알토 , 테너 , 베이스 ,
네개의 성부로 이루어진다 .
가끔 높은 음역을 담당하는 베이스들을 바리톤 (Baritone)
성부로 따로 표시하기도 한다 . 3 성부 혼성 합창은 소프라
노 , 알토 , 테너 또는 소프라노 , 알토 , 베이스으로
구성되어 있다 .
남성과 여성이 한 성부씩 맡아 부르는 혼성 2 부 합창은
남성과 여성의 음정 간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잘 부르지
않는다 .
그 외 합창들
소년 합창 : 보통 2 성부나 3 성부로 이루어지고 , 더 많은
성부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 남자 어린이만의 합창을
이르기도 한다 .
소녀 합창 : 소년 합창과 동일한 성부 수로 이루어지지만
여자 어린이로만 구성되어 있다 .
소년소녀 합창 : 성부가 2 개 또는 3 개이고 남녀 어린이로
구성되어 있다 .
유럽 합창의 역사
유럽의 경우 비교적 오래전부터 합창이 이루어졌다 . 중세
시대 때 몇몇 나라의 경우 여성이 합창단원이 되는 것을
부정하게 여겨 때문에 합창단원들은 모두 남성이었고 ,
여성의 음역을 내게 하기 위해 남자들의 변성기를 막아
여성의 음역을 내게 하는 일명 카스트라토가 성행하였다 .
이후 여성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여성 합창단이
창설되었으나 , 혼성 합창은 그보다 늦은 19 세기 중반
무렵에 이루어졌다 .
러시아 합창
러시아도 유럽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역시 합창단에
카스트라토는 없었다 . 러시아에 합창이 소개될 때 합창단은
모두 남성 합창으로만 이루어졌있었다 . 러시아는 유럽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여성 합창은 19 세기
초반에 , 혼성 합창은 1900 년대에야 이루어졌다 .
일본의 합창
전통적으로 일본은 합창 음악 발달 취약 지역의 하나였으나
1860 년대를 기점으로 합창 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
초기에는 남성 / 여성 합창단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차 혼성
합창단도 생기기 시작하였다 . 특히 합창 올림픽이 생기고
나서는 매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
한국의 합창
한국의 경우 조선 시대에는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유교
규범과 신분제 때문에 합창단이 만들어지지 못했다가 1900
년대 이후에야 합창단이 생기면서 합창이 시작되었다 .
2002 년에는 부산광역시에서 합창 올림픽을 개최하였고 ,
이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이 금메달 7 개를 획득했다 .
한국에서 합창 대회를 할 때 단원들은 대체로 양복
차림이지만 , 가곡이나 민요를 부를 때는 한복을 입고 합창에
임하기도 한다 .
한국의 합창 - 진달래꽃
https://www.youtube.com/watch?v=j9Sar7dBIb0
Q&
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