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기악협주곡 종합시험 예상문제

출제자;김인하

1. 바로크 시기 협주곡 중 합주협주곡(Concerto Grosso)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이태리 작곡가 코렐리(Arcangelo Corelli 1653~1713)에 의해 발전되었다.


2) 2~3 개로 구성된 독주자 그룹인 콘체르티노 concertino 와 앙상블 그룹인
리피에노 ripieno 가 번갈아 연주하는 대비양식对比样式이 특징이다
3) 독주자 그룹과 앙상블 전체가 모두 같이 연주하는 부분을 '투티'tutti 라고 부른다.

2. 바하(J.S.Bach)의 대표 합주협주곡 곡명을 쓰시오.

Bach Brandenburg Concerto No.4

3. 비발디(A.Vivaldi)의 대표 합주협주곡 곡명을 쓰시오.


Antonio Vivaldi Violin Concerto A minor,RV356

4. 바로크 시기 협주곡 중 독주협주곡(Solo Concerto)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이태리 작곡가 토렐리(Giuseppe Torelli 1658~1709)에 의해 발전한 장르다.


2) 독주자 그룹을 리토르넬로 Ritornello 라고 하고, 앙상블 그룹을 리피에노
Ripieno 라고 한다.
3) 리토르넬로独奏部와 리피에노合奏部가 번갈아가며 연주하는 대비효과对比效
果를 만들었다.

5. 비발디(A.Vivaldi)의 대표 독주협주곡 곡명을 쓰시오.


Vivaldi Violin Concerto in E major RV 269 'La primavera' ("Spring")

6. 리토르넬로 형식(Ritornello form)의 특징과 구조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바로크 시기 합주협주곡이나 독주 협주곡에 사용된 대비 형식으로, 합주와
독주가 되풀이되는 형식이다.
2) 'A-b-A-c-A-d…A' (A:합주/리토르넬로), (b,c,d :독주)
3) 리토르넬로 A 가 반복되는 횟수는 일정하지 않지만 최초와 최후를 제외하고는
조성调性이 다른 것을 원칙으로 한다.

7.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 Sonata form 의 특징과 구조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소나타 형식 Sonata form 이란 제시부 Exposition, 전개부 Development, 재현부


Recapitulation 로 구성된 3 부 형식으로, 주로 Allegro 의 빠른 1 악장에 쓰인다.
2) 고전파 시대 초기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된 악곡 형식이다.
3) 제시부는 1 주제, 연결구, 2 주제, 종지부 구성으로, 제시부의 1 주제와 2 주제의
조성관계는 완전 5 도(으뜸조主调와 딸림조属调)이고, 재현부의 2 주제는 으뜸조主
调로 돌아온다.
4) 대부분 제시부 앞에 서주 introduction, 종지부 뒤에 코다 coda 가 붙어있다.

8. 고전 협주곡(concerto)의 특징 (악장의 구조, 카덴차 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비발디의 전통대로 빠름 - 느림 - 빠름의 3 악장 구조이다.


2) 고전시대에는 독주 협주곡이 선호되었는데, 독주악기로 피아노, 바이올린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관악기 중에서 클라리넷, 플루트, 호른, 트럼펫등이 쓰였다.
3) 고전시대 특유의 협주곡 형태로 협주곡 교향곡이 있는데, 베토벤의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삼중 협주곡(Beethoven Triple Concerto)이 대표적이다.
4) 카덴차 Cadenza 는 모차르트가 사용하기 시작한 독주자의 재량에 맡기는
즉흥연주 부분이다. 카덴차의 연주 관습으로 연주자가 혼자 즉흥 연주를 한 다음,
주로 긴 트릴이나 딸림화음(5 도 화음) 혹은 딸림 7 화음 같이 원래 조성으로
복귀하는 화성 진행 등 독주자와 지휘자 사이에 미리 약속된 신호가 나오면
관현악이 재등장한다.

9. 고전주의 대표적 관악기 협주곡 3 곡을 쓰시오.


Mozart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Mozart Violin Concerto No. 3 in G, K. 216
Sinfonia Concertante for Violin, Viola in E flat major, K. 364

10. 베토벤, 브람스, 슈만등이 카덴차를 직접 작곡한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은


무엇인가?
Piano Concerto No.24 in C minor, K491

11. 론도 형식(Rondo form)의 특징과 구조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론도형식(Rondo form)은 순환(循環)하는 악곡 형식으로, 주제부 ‘A’가


되풀이되는 사이에 삽입부揷部 ‘B’, ‘C’… 등이 삽입되어 작은 론도형식은「A-B-
A-C-A」구조이고, 큰 론도형식은 「A-B-A-C-A-B-A」구조를 갖는다.
2) 큰 론도형식에서 ‘A’는 론도의 기본 주제이고 ‘B’는 제 2 주제로, 중간부 ‘C’
에 중점을 두어 소나타형식의 전개부적 성질을 띠게 되어 론도 소나타형식(Rondo
Sonata form)으로 발전된다.
3) 론도형식은 주로 18 세기에는 독주용 소나타, 교향곡, 협주곡의 끝악장终乐章
(3 악장)에 쓰이는데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빈고전파의 협주곡 끝악장은
거의 이 론도형식에 따르고 있다.

12. 베토벤이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은 몇 개인가? 그중 부제가 붙은 협주곡의


특징을 쓰시오

베토벤은 5 개의 협주곡을 작곡하였다. 그중 부제가 붙은 협주곡은 5 번 “황제”


협주곡이다.
관례와는 달리, 제 1 악장은 갑작스런 피아노 독주로 시작한다. 첫 번째 악장 도입
부분에서의 피아노 카덴차는 즉흥의 것이 아니라 베토벤이 직접 쓴 악보대로
연주한다. 제 2 악장과 제 3 악장 사이는 쉬지 않고 아타카 attacca 로 연주되고 있다.

13. 모차르트가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은 몇곡인가?, 잘츠부르크 협주곡의


마지막 협주곡의 특징은 무었인가?

모차르트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5 곡 작곡하였다. 잘츠부르크 협주곡의 마지막


협주곡은 5 번 협주곡이고, 제 3 악장 중간부에서 당시 오스트리아에 유행하고
있었던 활발한 터키풍의 리듬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흔히 `터키풍 Turkish'
협주곡이라고 불린다.

14. 낭만주의 협주곡의 특징 (악장의 구조, 카덴차 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형식적 구조를 따르기는 하나, 선율을 보다 중요시하고, 3
악장 구조이나 각 악장의 길이가 길어지며, 독주자의 역할이 오케스트라 보다 항상
더 중요하다.
2) 기교적으로 복잡하고, 감정표현을 위한 악상들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음악적
표현을 위한 음악용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3) 낭만파 시대에 들어서 베토벤 등의 작곡가들이 직접 카덴차 cadenza 를 넣어
협주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프란츠 리스트는 협주곡 뿐 아니라 독주곡에서도
기교 과시용으로 카덴차를 삽입했다.

15. 쇼팽(Chopin)의 특징인 tempo rubato 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쇼팽의 곡은 자유 리듬인 tempo rubato 가 특징인데, 루바토는 독주자나 지휘자의


재량에 따라서, 의도적으로 템포를 조금 빠르게 혹은 조금 느리게 연주하는 것을
말하는 음악 용어이다. 루바토는 낭만파 시대에 잘 쓰였으며, 특히 피아노 악곡에
흔하다. 루바토를 적용하려면 악보에 적혀진 음표와 실제로 연주되는 음표 사이의
관계가 바뀔 필요가 있다.
쇼팽은 그의 다수 작품에서 엄격한 루바토 표현 형식을 사용하였는데, 왼손은
악곡의 정확한 템포로 연주하는 한편, 오른손은 루바토를 적용시켜 자유로운
템포로 연주하였다.
쇼팽의 'e 단조 피아노 협주곡 1 번'에는 루바토가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선율 속에 항상 존재하며 어디에나 존재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