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서양음악사

오예민
1900-1914:
조성의 붕괴

• 당시 작곡가들은 고전의 명작들과 비견할 만큼의 예술적 작품의 창


작에 대한 고민

• 모더니즘 작곡가들은 조성의 확장/붕괴, 민속음악등의 다양한 새로


운 방법을 시도

• 이런 음악적 다양성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가속화 된다


1. 반음계주의의 팽창과 조성의 확장
• Wagner 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Tristan and Iseult 1865> 의 극단의 반음
계주의와 잦은 전조는 무조음악으로 향하는 데 이정표와도 같은 역할을 하였다.

Tristan Chord(트리스탄 화음)

• 20세기에 들어 장,단조의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 장음계와 단음계의 동시 사용

• 12음중 중심음을 기준으로 온음계와 반음계의 차이가 없이 사용

• 급작스런 전조 및 경과구 없는 전조
2. 새로운 표준

• 1차 세계대전 무렵, 파리,빈을 중심으로 음악발전이 이루어 지고 있


었다.

• 이에 반하여, 민족주의적 성향의 작곡가들이 대두된다.

• 오스트리아,독일의표준이 아닌 자국의 말과 민속음악을 바탕으로


한 음악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 스페인

• Manuel de Falla 1876-1946 (마누엘 데 파야)

• 스페인 민속음악을 채집, 편곡하여 스페인전통음악을 소개

• <스페인 정원의 밤>(1916), <삼각모자>(1919), <페드로 주인의 인형극>, <하프


시코드와 5개의 독주악기를 위한 콘체르토>(1923-1926)

• 영국

• Ralph Vaughan Williams 1872-1958 (본 윌리엄스)

• 영국민요를 수집, 출판하고 자신의 음악에 차용

• Gustav Holst(1874-1934) 와 함께 영국악파의 주요 작곡가로 부상

• 9개의 교향곡, 영화음악, 밴드음악, 오페라, 합창곡등 다양한 작품


• 체코

• Leos Janácek, 1854-1928 (야나체크)

• 스메타나, 드보르자크와 더불어 체코의 3대 작곡가

• 자신의 출생지, 모라비아지역 민속음악을 수집, 농민들의 말


과 노래의 리듬과 억양을 연구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현대
적 국민주의 음악어법 구축

• 대조, 반복, 병치(겹치어 놓는 형태)를 하여 독일식 음악과 차


별화됨
• Manuel de Falla • Leos Janácek

• Ralph Vaughan Williams


• 러시아

•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v, 1873-1943)

• 러시아혁명-미국으로 망명-피아니스트로 더 많은 활동

• 러시아 성가선율을 차용, 성가에서 유래한 선율(1번 교향곡), 대위법에도 능하였으나, 혁신적인 화성은 없었다.

• 교향곡 3개, 교향시<죽음의 섬>, 다양한 오케스트라작품과 합창작품, 그러나 4개의 피아노 협주곡, <24개의 전주곡
>,<회화적 연습곡> 등의 피아노작품으로 유명

• 스크리아빈(Alexander Scriabin, 1872-1915)

• 리스트, 바그너의 반음계주의에 심취

• 드뷔시와 림스키-코르사코프등의 동료 러시아 작곡가의 영향

• 자신만의 복잡한 화성어법을 구축 - 중심이 되는 고유한 화음을 특정하여 선율과 화성의 재료로 사용


“신비화음” Mystic Chord 가 유명

• <법열의 시, Poem of Ecstasy, 1908>,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 1910> : 변화되는 조명을 요구하는등 특정
음고와 색깔을 연결시킴.
• Sergei Rachmaninov

• Alexander Scriabin
3. 새로운 조성
•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 러시아 태생이나 망명자로서 대부분을 외국에서 지냄

• 러시아의 민속음악적 요소를 많이 사용하였다.

• 비서구적 음계 및 색채감있는 관현악법

• 발레작품으로 유명해짐

• <불새, Fire Bird>, <페트루슈카, Petrushka>, <봄의제전,


Rite of Spring>
• Igor Stravinsky
• <불새 Fire Bird> 1910

• 온음계적인 조성

• <페트루슈카, Petrushuka> 1911

• 현대적인 요소들과 반낭만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 페트루슈카 화음


• <봄의 제전, Le Sacre du Printemps “Rite of Spring”> 1913

• 풍년을 기원하는 이교도들의제전에서 봄의 신을 위해 춤을 추던 한 젊은 처녀가 결국에는 자신을 제물로 바친다는 내용

• 화성, 리듬의 과감성 - 불규칙적인 강세, 불규칙적 리듬, 변박의 지속적인 사용 - 새로운 리듬어법

• 1913년 초연 : 계속적인 불협화음과 타악기의 강하고 원시적인 리듬으로 객석의 야유와 흥분의 도가니로 경찰까지 출동하는 사태

• 음악적 특징

1. 박자의 규칙성 파괴로 인한 박자감과 리듬감 상실

A. 규칙적으로 나누어진 마디와 박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모두 같은 강도로 연주됨으로써 강박과 약박의 반복적인 패턴이 만
들어내는 박자감이 파괴됨

B. 임의적이고 불규칙적인 악센트기회에 의한 예측불허의 강세 패턴이 생성됨

2. 반복적 음형의 사용(전통적인 의미의 동기나 주제의 발전이 없음)

3. 전혀 다른 패턴의 음악 불록들의 수평적 평치사용으로 인한 표면적 불연속성

4. 한 악상과 특정 음색의 제휴 - 음색의 변화를 다양성 제공의 수단으로 사용(예: 현악기군에 등장하는 연타화음, 호른에 등장하는
특별강세 등)

5. 온음계적 음고군이나 8음음계적 음고군 등 러시아 음악에 사용되는 음계에 근거한 불협화음의 사용

6. 둘 이상의 독립된 음악 요소를 계층적으로 적치한 텍스처


4. 표현주의와 무조성
• Expressionism(표현주의) :

• 자연주의에 반대되는 예술운동

• 내적인 주관적 감정의 전달/표현이 중요

• 균형과 아름다움 보다, 감정전달이 중요.

• 표현할 주제나 내용을 “과장”, “왜곡” 하여 강조.

• 회화에서 시작되었으나, 문학,음악,무용,연극,건축에 영향


• 음악에서의 표현주의

• 날카롭게 왜곡된 선율, 단편적인 리듬, 불협화음 등으로 인상주


의음악과 같은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있다.

• 제2빈악파 :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그의 제자) 안톤


베베른(Anton Webern), 알반 베르크(Alban Berg) 

제1빈악파(하이든, 모자르트, 베토벤) 에 빗대어 부르게 된다.

• 쇤베르크의 모노드라마 <기대, Erwartung 1924> 와 베르크


의 오페라 <보체크, Wozzeck 1925> 는 아름다움 보다는 극단
적이고 불안한 심리상태의 전달하려고 한다.
• Arnold Schoenberg • Anton Webern

• Alban Berg
• 쇤베르크의 초기 조성음악

• 독일음악의 전통을 이어받은 낭만주의 스타일의 조성음악

• 현악 6중주를 위한 <Verklärte Nacht 1899>,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Pellas und Melisande, 1902-1903> 바그너, 말러, 리하르트 슈트라
우스의 영향을 볼 수 있다. <구레의 노래, Gurre-Lieder 1901> 에서는
복잡성과 감정표현이 바그너, 말러, 슈트라우스를 넘어서고 있다.

• 쇤베르크의 초기 실내악

• <구레의 노래>이후 거대주의에서 벗어난 실내악 작품 작곡

• 짧은 모티브에서 계속 새로운 주제를 만들어내는 “발전하는 변주,


Developing Variation” 기법을 이용
• 쇤베르크의 무조음악

• 내면의 감정표현을 중요시하는 표현주의를 위해 자신만의 개성적인 음악어법으로 무조성(atonality) 를 선택

• 즉, 중심음(으뜸음)이 없는 음악, 장.단조가 없는 음악. 1908년에 처음으로 무조음악을 발표<현악4중주 2번>, <피
아노를 위한 3개 소품, 1909>, <오케스트라를 위한 5개의 소품>

• 불협화음정의 해방 “emancipation of dissonance” 를 주장하며 무조음악을 시작한다.

• 12음이 모두 나타났을 때 음악은 완성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악구를 완결하고, 반복을 피하기 위해 “발
전하는 변주”를 사용

• <달에 홀린 피에로, Pierrot Lunaire 1912>

• 1명의 여성인성과 5명의 연주자 (Flute/piccolo, Clarinet/Bass clarinet, Violin, Cello, Piano) 를 위한 연
가곡

• 1부 : 피에로의 사랑과 섹스 그리고 종교, 2부: 폭력과 범죄 그리고 신성모독, 3부: 과거의 고통스런 기억을 떨
쳐버리지 못하는 귀향

• Sprechstimme, “말하듯이 노래 부르기” 를 사용

• E-G-Eb 의 세트로 기초로 음악이 진행 된다.


• 베베른(Anton Webern, 1883-1945)

• 오스트리아 빈대학에서 음악학을 공부하던중, 1904년에 쇤베르크의 제자로 입문

• 그는 음악은 질서와 규칙에 따라야 한다 고 믿었다. 그래서, 위대한 음악은 우연이 아니라 계
속 진화하는 것 이라고 생각했다.

• 작곡은 창작(invention) 이 아닌 발견(discovery)에 비유

• <현악4중주를 위한 6개의 바가텔> Op.9, <5개의 오케스트라 소품> Op.10, <첼로와 피아


노를 위한 세 개의 소품> Op.11, <교향곡> Op.21, <현악4중주> Op.28

• 음악적 특징

• 위대한 음악은 꼭 필요한 것만 담고 있어야 한다는 신념대로 축약적인 음악

• 작품의 길이가 짧고, 간결한 음악. (남긴 모든 음악을 연주해도 4시간도 안된다.)

• 회화의 점묘법에 비교되기도 한다.


• 베르크(Alban Berg 1885-1935)

• 1904년 19세의 나이로 쇤베르크의 제자로 입문

• 조성음악의 형식과 무조음악어법을 접목

• 1910년에 첫 무조작품<4개의 노래, Four Songs>을 완성, 그


러나 조성음악에 대한 향수가 느껴지는 작품

•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Wozzeck 1925> 에서도 그는 편한 3


도화음, 반복되는 리듬을 사용하고, 교향곡 형식, 파사칼리아, 인
벤션등의 조성음악 형식을 사용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