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음악

수행

조선
음악사

3-1 이시원
목1차

요약

조선 전기 조선 후기

편종 , 편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악기를 제작하였다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인하여 아악은 명맥만 유지되었다 .
세종은 동양 최초의 유량악보인 정간보를 창안하였으며 , 세조는
당악이 향악화되어 , 당 악기와 향악기가 혼성으로 편성되었다 .
율명을 기입하는 불편을 덜 수 있는 오음약보를 창안하였다 .
임금의 거동에는 여러 형태의 고취악이 연주되었다 .​
회례악으로 창제된 정대업과 보태평을 종묘 제례악으로 사용하였다 .
무용 반주 등에 사용되는 일정한 소규모 악기 편성인‘삼현육각’ 편성이
박연에 의해 아악이 정비되었다 .​ 이루어졌다 .
성종 때 성현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음악을 집대성한 ‘악학궤범’을 가곡 , 가사 , 시조의 가악 ( 歌樂 ) 이 확립되었다 .​
편찬하였다 . 판소리 , 산조 , 잡가 , 선소리 같은 민속악이 발생하였다 .
전승되어 오던 고려악의 가사를 개정하여 새로운 음악을 만들었다 .
목2차

- 새로운 왕조의 탄생을 축복하고 태조를 찬양하는 내용의


태조
노래를 만들었다 .
&
태종 - 음란한 고려의 노래를 없애고 새로운 조선만의 음악 체계를

설립했다 .
목3차

- 정간보 , 아악보 , 오음악보를 만들었다 .

- 편경 , 편종 등을 만들었다 .

세종 - 박연에 의하여 아악이 , 맹사성에 의하여 향악이 정리되었다 .

- 중국 중심의 음악을 조선풍의 음악으로 바꾸었다 .

아악 : 고려 · 조선 연간에 궁중의식에서 연주된 전통음악


향악 : 당악이 들어오기 이전 삼국 시대부터 지금까지 내려오는 음악
목4차

- 원구제를 복구했다 .

- 32 정간의 악보를 16 정간 6 대강 체제의 악보로 개편했다 .

세조 - 기존의 아악이 아닌 세종 대에 제정된 악무인 보태평 지악과 보태평지무

정대업지악과 , 정대업지무를 원구제례악으로 채택했다 .

속악 : 우리 고유의 전통 궁중 음악을 중국계의 아악이나 당악에 상대하여 이르는



목5차

- 1493 예조판서 성현을 비롯하여 유자광 , 신말평 , 박곤 , 김복근 등이

엮은 악규집인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다 .

성종
목6차

- 연산군 대에 이루어진 방만하고 무원칙적이고 음란한 음악

관련 정책을 바로잡았다 .
중종
- 여악 폐지와 관련한 논의가 처음으로 이루어진다 .

여악 : 신역으로 악가무를 하는 여자 악인 또는 그들이 공연하는 악가무


목7차

- 규모가 크고 화려한 악무를 부정적으로 평가해 교방가요를

폐지하고 침향산을 태웠다 .


인조
- 사직과 문묘악이 정해지고 , 아악을 다시 쓰게 되었다 .

교방가요 : 조선 시대 당시 길에서 임금을 환영할 때 행하던 화려한 춤과 노래


목8차

- 종묘 악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

- 종묘에 쓰인 악장에 관한 이세필의 전고와 그 밖의 여러

숙종 사람들의 소론 등을 모아놓은 이론서인 악원고사가 편찬되었다 .


목9차

- 악서인 시악화성 , 악장 모음집인 국조시악 , 어정서인 악통

등의 음악 저술이 이루어졌다 .
정조
- 특정 행사가 아님에도 악기연주를 하나하나 들어보며 직접

음악을 점검하였다 .
목10차

조선후기 음악

민요
제목

민요는 인류가 집단생활의 감정을 공동으로 표현할 때부터


생겨났다 . 조선 전기에는 민요의 지위가 하락하였으나 ,
후기에는 문화구조가 크게 달라지면서 민요가 적극적인
구실을 하였다 . 민중의식의 각성이 민요를 통하여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 민속악이 일어나고 , 국문시가는
물론 한시 또한 민요에 접근하고 민요에서 소재와 표현을
다수 차용하였다 .
목11차

조선후기 음악

판소리
제목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 ( 북치는


사람 ) 가 음악적 이야기를 엮어가며 연행하는
장르이다 .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표현력이
풍부한 창 ( 노래 ) 과 일정한 양식을 가진 아니리
( 말 ), 풍부한 내용의 사설과 너름새 ( 몸짓 )
등으로 구연되는 이 대중적 전통은 지식층의
문화와 서민의 문화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17 세기 한국의 서남지방에서 ,
굿판에서 무당이 읊조리는 노래를 새롭게 표현한
것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
발표
마침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