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고전시기 실내악이 발달하게 되는 이유를 쓰시오.

우선, 고전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시민사회의 대두이다. 그리고 경제가 발전하면서 중산층은 늘어났고, 이들이
주도하는 소규모 살롱 연주회와 일반 가정에서의 소규모음악회가 크게 유행하였다 . 이로 인해 음악 애호가들은
교양을 쌓기 위해 악기 하나 정도를 연주할 수 있는 기량을 닦았고 , 인쇄술의발달로 가정음악을 겨냥한 악보가
많이 출판되었다.
2. 낭만시기 슈만 등의 작곡가 작품에서 나타나는 “성격소품”은 어떠한 배경에서 나왔으며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발전하였는가?
첫째, 성격소품은 19 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탄생한 새로운 장르로서 , 음악외적 분위기를 제시하는 작품에 표제를
사용한 기악음악을 말한다. 둘째, 시민계급의 확산과 함께 피아노가 중산층 시민의 음악생활에서 보편화 되고,
피아노가 낭만주의의 주관적 감정표현에 적합한 악기가 됨에 따라 작곡가들은 서정적이고 화려한 피아노작품을
많이 발표했다. 이러한 배경은 낭만적 정서에 맞는 짧은 성격소품이 새롭게 등장했다 . 셋째 성격소품은 주로
피아노를 위해 작곡되었고, 시적인 내용이나 문학적인 내용, 작곡가의 개성이나 감정 등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19 세기 작곡가들이 많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 낭만주의시대 피아노 음악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넷째 형식적인 측면에서 단순하고 명확한 구조로 된 곡이 많다.
3. 19 세기 독일에서 리트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지 설명하시오.
첫째 18 세기 후반부터 괴테와 쉴러 등의 작가들에 의한 서정시 문학이 꽃피면서 가곡 작곡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
둘째 19 세기 초에에는 슈베르트와 슈만 등의 작곡가들은 독일 예술가곡으로서의 리트를 작곡하게 되었다. 여러
개의 리트가 하나로 묶여 작품을 이루는 연가곡도 많이 작곡되었다. 셋째 19 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리트 작곡가는
후고 볼프였다. 그의 리트는 전통적인 독일 리트에 뿌리를 두고있으며 1808 년 이전에 작곡된 곡들은 괴테나
하이네 등의 시를 가사로 취했다 . 넷째 피아노와 조화를 이루며 소규모 연주회를 위한 장르였던 리트가
공공연주회를 위하여 오케스트라와 조화를 이루게 된 것은 오케스트라 리트이다 . 이 장르는 19 세기 말에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대표적인 작곡가로 슈트라우스와 말러를 들 수 있다.
4. 베토벤의 교향곡이 낭만주의 교향곡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베토벤의 교향곡은 19 세기 중반 교향곡의 두 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이 두 방향은 그의 4,7,8 번 교향곡 전통을
잇는 고전주의 형식의 절대음악과 3,5,6,9 번 교향곡에서 출발한 프로그램음악이다 . 우선 절대음악을 고수하는
교향곡은 슈베르트 , 멘델스존, 슈만, 브람스, 브루크너로 이어졌고 , 프로그램음악은 베를리오즈의 프로그램
교향곡으로부터 리스트의 교향시, 바그너의 음악극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19 세기 작곡가들은 각각 이러한 보수적,
혁신적인 두 가지 방향으로 오케스트라 음악을 이끌었다.
5. 바그너가 창안한 “음악극”의 특징은 무엇인지 설명하되 , “음악극”이라는 장르를 창시한 목적과
바그너 특유의 음악기법을 자세히 설명하시오
첫 째 바그 너는 1830 년 대 초에 베 버의 낭 만주 의 , 이 탈리 아의 서 정주 의 , 프랑 스의 그 랑 오페 라의 양 식을
실험하는오페라 작곡을 시작했다. 그는 종합예술형식을 추구했으며 음악을 비롯한 다른 모든 요소들은 극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극이 음악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이 극을 위
해 봉사해야 한다고 하며, 기존의 용어인 오페라 대신 ‘ 음악극 ’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다. 둘째 바그너는 이야기와 연관 지어 어떠한 것을 회상하거나 상징하는 동기를 라이트모티라 하며 , 이
라이트모티브를 사용하여 유기적인 이야기 전개를 꾀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작품전체에 통일성을 주었다 .
셋째 스스로 무한선율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 이전의 오페라가 아리아나 레치타티보에서 선율이 중단된 것과는
달리 선율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는 방식을 구사했다 . 이것은 결정적으로 바그너의 음악극이 기존의
오페라나 당대의 이탈리아 오페라들과는 다른 부분이다 . 넷째 바그너의 음악극은 극단적인 반음계적 화성으로
당대에도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전주곡에서는 전통적인 조성체계가 흔들리는 이른바 "
트리스탄 화음"이 등장한다.
6. 4 악장 형태의 고전주의 교향곡이 성립되기의 교향곡 발전의 역사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첫째 교향곡은 원래 독립적인 장르가 아니라 , 교회음악이나 오페라 또는 발레 등에서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서곡으로 쓰였다. 관객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서곡의 성격은 이 부분을 별도의 작품으로 연주하게 했고 ,
이러한 시도를 한 대표적 작곡가가 삼마르티니이다. 둘째 18 세기 중엽 좋은 오케스트라를 소유하고 있던 만하임
궁정은 교향곡의 음향 확장에 기여했으며 , 슈타미츠 등이 대표적으로 활동했다. 셋째 교향곡 장르의 질적 도약과
정착에 기여한 사람은 비엔나 고전의 하이든이다 . 그의 교향곡은 음향의 확대와 더불어 기악적 어법의 논리성을
갖추었는데, 주제와 동기들을 세분화하여 상호 연계성과 대조성을 강화하였다. 넷째 하이든은 1780 년대, 주제-동기
가공작업으로 고전 시대의 전성기를 열었다. 이 시기부터 트리오를 포함한 춤곡 악장이 네 악장 체제의 교향곡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게 된다.
7. 낭만주의 시대에 있었던 절대음악과 표제음악 사이의 논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9 세 기 에 는 음 악 과 다 른 예 술 ( 특 히 문 학 ) 을 결 합 시 킨 표 제 음 악 이 등 장 한 동 시 에 고 전 적 전 통 에 따 른
순수기악음악인 절대음악도 공존했다. 절대음악은 음악외적 요소와 관련 없는 순수한 기악음악을 뜻하는 것이고,
표제음악은 제목, 줄거리 등 음악외적 내용을 표현하는 음악이다. 절대음악과 표제음악은 미학적 논쟁을 야기했다.
절대음악은 음악 자체를 미적 대상으로 파악하려는 형식미학으로 , 표제음악은 ‘음악은 어떤 감정이나 개념적
내용을 표현한다’라는 내용미학으로 정당화되었다. 브람스, 한슬릭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보수그룹은 표제음악이
음악의 본질에 어긋난다며 고전주의적 전통에 의한 작품을 옹호하였고 , 리스트를 중심으로 한 신독일악파는
당대의 새로운 표현방식을 보여줄 수 있는 자신의 음악이 ‘미래의 음악’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맞섰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