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22/06/17

음악사 3 기말시험 답안지


전공: 합창지휘 학번: 2018172116 성명: 박수현

1. 소나타 형식은 18세기의 기악음악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18세기 음악은 귀족들 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시민계층들의 관심이 증가되었다. 시민계급의 사람
들은 음악훈련도 덜 되어있었고 음악에 대한 상식도 부족했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을 위한 음악은
단순하고 쉬우며 , 청중들의 귀를 사로잡을 만한 거창하고 흥미로운 음악이 필요했다. 이러한 사
회적 특징에서 나온 형식이 바로 소나타 형식이다. 고전시대의 기악음악 작품 중 1악장은 거의
소나타형식으로 작곡 되었는데 그 이유는 기악음악의 1악장을 거창하게 꾸며줘야 청중들의 귀를
사로잡을 수 있고 흥미를 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소나타 형식은 총 A-B-A’ 의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제시부 – 발전부 – 재현부 의 명칭을 가지고있다. 처음 제시부는 주제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선율이 있으며 두번째 발전부에서는 음악의 요소들이 서로 뒤엉키며 극도의 긴장
감을 유발하며 발전한다. 사람들은 긴장후에 항상 안정을 요구했기 때문에 처음 제시부의 익숙한
내용으로 돌아와 안정을 되찾도록 했다. 소나타 형식은 매우 드라마틱하며 그 당시의 음악 언어
는 하나의 통일된 조성음악이기 때문에 선율적, 화성적 변화가 두드러졌다.



2. 하이든의 음악사적인 의미에 관해 논하라

하이든은 굉장히 장수한 작곡가로서 바로크 후기에 태어나 전고전시대(질풍노도양식)를 겪고, 고
전시대의 한 가운데를 살며 낭만음악의 시작과 함께 서거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작품은 시기에
따라 다양한 양식을 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당시 교향곡의 큰 축이 될 수 있는 세 악파 (만하임
악파-관악기를 편성하고 다이나믹을 만들었으며, 4악장 구조를 확립하였다 , 베를린 악파-테마 모
티브 작법과 주제 분산 기법 등을 도입하였다 , 빈 악파-스테레오적, 입체적 음향을 사용하였다)
의 양식을 수정하고 통합하였고, 귀족 가문에 있었을 때 디베르티멘토와 세레나데를 작곡한 것에
서 시작하여 런던 여행 후 작곡한 런던 심포니까지 굉장한 교향곡 대작을 다수 작곡하였다. 고별
교향곡 에서는 그의 실험적 정신이 드러나며, 놀람 교향곡은 당시 사람들에게 굉장한 인기와 충
격을 가져왔다. 또한 그는 테마 모티브 작법에서 당시 유행하던 민속음악, 토속음악의 선율을 모
티브로 활용하여 작곡하였는데, 이는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음악이었고 놀람
교향곡이 이러한 대표적인 예가 되며, 이는 고전시대 음악의 정수라고 생각된다. 또한 하이든의
교향곡 이후 4악장 (1악장은 빠르고 2악장은 가곡 형식-더 나아가서는 변주 형식을 띄며, 3악장은
춤곡 형식을 띄고 4악장은 빠른 론도 또는 론도 소나타 형식을 띄는 것)의 교향곡 형태가 정착되
었다. 이와 같은 것들을 통해 하이든이 교향곡과 고전 시대에 있어 굉장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가
고전시대 음악의 정수라고 불리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될 법 하다. 하이든은 전형적인 갈랑양식
음악으로 시민계층이 이해하기 쉽도록 음악을 작곡하였는데 규칙적이고 전형적인 호모포니 구조
를 선호하였다. 하나의 뚜렷한 주선율을 연주하는 파트가 있고 나머지 파트는 주선율을 맞춰주는
반주역할을 했다. 그 당시 음악훈련 덜받은 시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고 하이든은 자라난 시절
가정형편이 어려워서 인지 다른 음악가들 보다 민속적 , 서민성이 돋보였다. 하이든의 음악은 명
확하고 간결하며 밝고 가볍다. 온음계적인 화성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음악의 구조가 매우 규칙적
이다.





3. 베토벤의 교향곡은 어떤 특징과 의미를 갖는가

베토벤은 교향곡 즉 기악음악에 초자역적 힘이 있다고 생각했다. 베토벤의 교향곡은 어떠한
형식에 얽매이기 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베토벤의 어린시절 성장시기의 아픔과 청력장애 또한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런
어려움을 이겨내고 나온 교향곡들은 그 당시 교향곡의 대단히 큰 영향을 미쳤다. 베토벤은
자신의 교향곡에 주관과 사상을 노골적으로 표현하며 새로운 음악적 흐름을 형성하였으며 이
에 따라 고전시대와 낭만시대를 가르는 구분점이 되었다. 특히 베토벤의 교향곡 제 9번은 마
지막 악장에 혼성합창을 추가했는데 이는 그 당시 엄청난 신선함과 충격을 안겨주었다. 평생
9개의 교향곡을 작곡한 베토벤은 한곡을 가지고 몇년을 끌고가며 그것으로 표현하고자는 메
시지를 완벽에 가깝게 끌어내고자 하였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