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9

⚜영화로 보는 춤 이야기⚜

(1주차)

■학습내용
-춤의 정의와 가치
-춤의 두 갈래
-춤의 종류와 역사

■춤의 정의와 가치
1)춤의 정의
①인간의 내적 욕구에 의한 충동을 표현하는 자연스러운 “몸짓”
②삶의 표현, 인간생활 자체와 가장 밀접한 관계 인간적 예술
③인간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아름다운 움직임의 충동” 즉, 아름다운 움직임
④감정, 감각, 사상을 인간의 신체움직임을 통해 표현하는 시간과 공간의 예술

2)춤의 가치
예술적 가치-미의 창조를 목적으로 하는 예술무용 내면의 세계를 작품으로 표현
사회적 가치-집단 속에서 협동과 화합으로 미적인 신체운동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올바른 유지관계 터득
교육적 가치-전인적 인간발달의 목적으로 지적, 정서적, 육체적 자극을 주어 조화로운 인간 형성

3)춤의 두 갈래
- 참여하는춤 - 의식무용, 민속 종족무용, 사교 여가무용
- 감상을 위한 춤 -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참여하는 춤]
Ÿ옛날의 무용은 보다 절실한 목적을 위한 것
:현재의 미개민족 사이에서도 볼 수 있듯이 주술, 종교적인 기능을 가지고 생활 전체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 탄생·성년·연애·결혼·질병·죽음 등과 관련된 춤
- 수렵·파종·기우·전쟁 등 생존과 관련된 각기 다른 형태의 춤
- 농작물의 성장을 기원하는 춤
Ÿ인간이 집단취락을 형성하면서부터 자연에 대한 외경과 공포에서 벗어나려는 한 방편
Ÿ부족국가 : 봄·가을에 신에게 제사지내고 가무음주 하면서 며칠을 지냈다는 기록
Ÿ왕권정치가 확립되면서부터는 오늘날과 같은 무용 본래의 개념으로 인식되기 시작

[감상을 위한 춤]
Ÿ추면서 즐기는 춤→보면서 즐기는 춤으로 변천
Ÿ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무용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이 후의 일로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궁중오락으로 시작
된 발레가 극장으로 옮겨져 무대예술이 되었고, 그 후 오랫동안 무대무용의 유일한 형식으로 보급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Ÿ20세기에 이르러 그 전통에 반항하여 보다 자유롭고 개성적인 현대무용이 창출되어 현재는 이 두 가지가 병존함
Ÿ춤을 춤으로써 즐기는 민속무용도 무대에 올려져, 관객에게 보이기 위한 하나의 민족무용으로 발전함
Ÿ20세기가 무용의 세기라고 불리는 것도 이와 같은 감상을 위한 무용의 성황에 따른 것임
■춤의 종류와 역사-한국춤
1)한국춤의 형성배경
①북방문화의 영향
-서아시아와 시베리아 몽공, 만주를 통해 들어온 문화에 영향을 받음
②종교적인 영향
-우리나라 상고시대부터 종교의식 때 제의적이고 연희적인 성격을 띄움
-도와 예악사상을 중시
③민중들의 일상의 삶과 슬픔을 풀어 환희로 전환시키는 풀이 문화가 존재
-무속적이며 신명이 강함

2)한국춤의 특성
①우리 민족의 독특한 생활 감정이나 풍속이 담겨 있으며, 우리 민족의 문화를 반영한다.
②무용의 표현 동작이 소박하고 단순하며 경쾌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익혀 즐길 수 있
다.
③언어의 사투리와 같이 같은 춤이라도 지방마다 독특한 표현 방법과 동작 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추는 사람마다
춤의 개성이 다르다.

3)한국춤의 종류

①민속춤

-일정한 지역과 집단 안에서 자연발생적 생성


-민요와 불가분의 유대관계를 맺기도 하면서, 그 지역, 집단 안에 정착된 대중에 의한 춤
-대중에 의해 연희, 보존, 전승 된 집단무용
-탈춤, 승무(독무, 불교적, 긴 장삼 안 에 북채가 숨겨져 있다), 강강술래, 농악무(제천의식, 농악이 발생하면서
자연 적으로 발생), 살풀이춤(정중동의 미의 극치를 이루는 춤, 독무), 한량무(벼슬에 이르지 못한 양반들,광대
들이 풍 자한 춤 두가지로 나뉨) 등

②궁중춤

-정재
-국가기관에 예속되어 성장 발달된 무용 ; 나라의 경사, 궁중의 향연, 외국국빈을 위한 연희무용으로 왕실의 존엄
과 위엄을 찬양하고 국가의 안녕과 왕의 만수무강 축원하는
의미 내포
-춤을 추는 사람의 감정이나 정서는 절제되어 매우 정적인 것이 특징
-현재 50여 가지의 정재가 보존되어 있음
-향악정재 : 우리나라에서 고유하게 내려온 궁중 춤으로
무고, 학무(이인무), 향발무, 선유락, 가인전목단, 처용무(남자들이 추는 군무(5명),사람 형상탈을 쓴
춤), 춘앵전(꾀꼬리,독무) 등이 있다.
-당악정재 : 중국에서 전해 내려온 춤으로 수연장, 포구락, 연화대무 등이 있다.

③창작춤

-1920년대부터 시작된 신무용과 1980년대 이후 발전한 창작무용으로 나뉨


-신무용은 발레, 모던댄스 등 외국 무용에 자극을 받아 창조된 한국무용
-한국에서 신무용이 시작된 것은 1921년 블라디보스토크의 조선학생음악단일행이 한국방문 때 러시아의 고팍춤
을 선보일 때
-1926년 일본무용가 이시이 바쿠가 경성공회당에서 공연을 하며 신무용이라고 말한것에서 비롯
-이 공연을 계기로 최승희, 조택원이 이시이의 문화생이 되어 한국에서 신무용을 일구는데 도움을 줌
* 최승희 ; ‘동양의 무희’라는 애칭으로 불릴만큼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던 우리나라 최초로 서구식 현대적
기법의 춤을 창작하고 공연한, 성공적인 전통무용의 창작화로 인한 조선 무용계의 대표적 인물
-일제강점기 : 순수창작보다는 전통무용에 외래무용수법을 가미한 형태
-1960년대 : 송범, 김백봉 등에 의하여 민속 무용을 예술적으로 정립

* 송범 ; 기존의 한국무용 레퍼토리가 10분 안팎의 짧은 시간으로 인하여 무대화하기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고 드라마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이야기가 있는 장막 무용극을 무대에 올림으로써
한국무용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김백봉 ; 최승희 무용단의 제 1무용수 겸 상임 안무가로 활동,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무용인 <부채춤>,
<화관무>를 창작
( 부채춤 ; 1954 김백봉에 의해 창작된 한국의 신무용. 무당 춤의 영향. 한복/당의를 입고 꽃그림이나
깃털로 장식된 화려한 부채를 들고 여러 아름다운 모습을 구사하며 춤을 춤)
-1970년대 : 신민속 예술무용으로 정립
신무용을 통해 한국춤에 관한 근본적인 연구가 이루어짐
-1980년대 이후 : 새로운 세대에 의하여 새로운 기법과 소재가 개발됨으로써 한국
창작춤으로 발전될 수 있었음

Q1) 춤의 가치를 세가지로 나누어 적으시오.


예술적 가치,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
Q2) 다음 한국춤의 종류 중 독무가 아닌 것은?
①승무 ②춘앵무 ③학무 ④살풀이

■춤의종류와 역사-발레
1)발레의 기원
Ÿ15세기 이탈리아의 궁중연희는 화려한 의상, 노래, 춤, 연기, 마임, 무용, 음악, 합창, 시 등이 혼합된 공연으로
주로 플로어에서 이루어진 볼룸댄스였음
Ÿ17세기초 이탈리아 실질적인 지배자 메디치가의 딸이 프랑스의 세자비가 되면서 발레의 기초를 마련 프랑스 궁중
무용에서 발레로 발전함
Ÿ루이 14세의 지원으로 발레의 기본 동작과 용어가 정리됨
Ÿ1830년대 낭만주의 발레의 황금기
Ÿ19세기 말에는 러시아에서 화려한 고전주의 발레가 꽃을 피움

2)발레의 종류
[낭만주의 발레]
Ÿ합리주의의 이성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에 대하여 인간의 감성적인 면을 강조
Ÿ불가사의하고 초자연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고 이룰 수 없는 것에 대한 인간의
추구를 묘사
Ÿ천상적인 것에 대한 동경, 어려운 현신에서의 도피와 이상향을 동경하는 시대적 흐름에
동참하는 유형의 발레
Ÿ라 실피드, 지젤 이 대표작

[고전주의 발레]
Ÿ마리우스 프티파라는 프랑스 출신의 무용가에 의해 당시 유럽에서 쇠퇴해가는 발레가
러시아에서 전성기를 맞게 됨
Ÿ고전주의 발레를 완성시킨 장본인, 고전발레의 아버지라 불리며 50여편의 대작을 남김
Ÿ스펙타클하고 발레의 기교적 효과를 내기 위한 작품들을 구성함으로 발레테크닉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옴
Ÿ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돈키호테 등

[현대발레]
Ÿ20세기 초엽 무용계에 새로운 이념, 즉 표현적인 움직임을 중요시하는 현대무용이 등장함
Ÿ이러한 시각은 발레의 현대화를 재촉하게 되어 움직임의 영역은 오늘날 현대무용과 구분이 되지 않을정도로 확대

Ÿ표현 내용에서나 움직임의 스타일, 테크닉이나 안무상의 개념등에서 다양한 해석을 통해 표현에서의 확대화 자유
를 획득함

■춤의종류와 역사-현대무용
1)현대무용
Ÿ발레의 전통적인 테크닉 체계에 대한 도전과 발레의 무용이념에 대한 혁신으로 자유로운 개인의 정서적 경험을
표현하기 위하여 모든 형식주의를 버리고 낭만적 분위기나 감정이 아닌 진정한 자유정신을 구현하려는 무용이다.
Ÿ새로운 무용이념과 새로운 움직임 스타일로 당대무용(contemporary danc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Ÿ20세기 초 고대 그리스 예술에 심취하여 무용신발과 코르셋을 벗어 던지고 맨발에
그리스 튜닉을 입고 춤을 춘 이사도라 던컨에 의해 현대무용은 혁신적인 무용의 한 장르로 등장함

Q1)다음 중 고전주의 발레가 아닌 것은?


① 백조의 호수 ② 잠자는 숲속의 미녀 ③ 지젤 ④ 돈키호테
Q2)20세기 초 고대 그리스 예술에 심취하여 무용 슈즈와 코르셋을 벗어 던지고 맨발에 그리스 튜닉일 입고
춤을 춘 사람으로 현대무용의 발생에 큰 공한을 한 인물은? 이사도라 던컨

■춤의종류와 역사-재즈댄스
[재즈댄스의 기원 : 아프리카 춤]
Ÿ아메리카에 들어오게 된 아프리카의 노예들과 함께 그들의 춤이 들어옴
(그들의 모든 행사들은 음악과 춤으로 이루어짐)
Ÿ그것은 극장용이 아니었으며 전체공동체가 가지고 있었던 부분
Ÿ이러한 아프리카 춤들은 1920년대 이후 발레와 현대무용의 영향을 받아 재즈댄스라는
장르의 탄생을 가져옴.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Ÿ재즈는 그 관능적인 분위기와 템포, 진동을 통해서 덜 문명화 된 사회의 몸짓과 리듬으로 되돌아가려는 우리 시대
의 복합적이고 세련된 문화가 갖는 욕구를 예시해 주는 일종의 대중적인 원시주의라 할 수 있다.

[20세기의 민속춤]
Ÿ20세기의 다른 현상과 같이 재즈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발전속도로 사회의 모든
영역에 파고들어 감
Ÿ재즈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그것이 무용예술에 끼친 효과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함
(재즈발레) 많은 발레 동작들이 가미된 서정적인 스타일
(모던재즈) 뛰어난 몸통의 움직임과 함께 유동성 있는 스타일
(락재즈) 많은 엉덩이의 움직임이 가미되어 활용되는 현대적인 경향의 춤
(브로드웨이 뮤지컬 재즈) 뮤지컬 쇼를 만들기 위한 과장되고 연극적인 요소가 가미된 춤
(아프로 재즈) 아프리카 문화의 움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은 재즈
(라틴재즈) 1-2-3의 리듬을 가지고 엉덩이의 움직임이 강조된 재즈

■춤의종류와 역사-힙합댄스
Ÿ재즈댄스와 힙합댄스는 태생적으로 같은 기원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힙합댄스는
1970년대 초 음악적 장르로 미국의 DJ들로 인해 탄생 되었다.
ŸDJ들은 파티나 클럽에서 한창 인기있는 디스코 음악을 틀면서 때때로 음악들의 간주 부분에 가사가 없는 비트만
계속하여 틀어 주었는데 이때 사람들은 중앙에 나와서 춤을 추곤 했다. 이들을 B-BOY(Break Boy)라 불렀고 그들의
춤을 Breakig dancing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Ÿ또 이 간주 부분을 흥을 돋우기 위해 관중의 이름을 부르거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의미없는 두어 마디 소
리를 지리곤 했는데, 이것이 바로 랩의 시작이다. 힙합은 사회의 비리를 꼬집거나 풍자하고 기존의 생각들을 뒤엎는
내용이 담겨있음
Ÿ어원은 ‘엉덩이’를 뜻하는 ‘hip’과 ‘들썩이다’를 나타내는 ‘hop'의 합성어로서 흑인들이 음악에 맞추어 가볍게 엉덩
이를 들썩이는 동작에서 춤이 유래함

■춤의종류와 역사-탭댄스
Ÿ구두 밑창에 탭이라는 징을 박고 밑창의 앞 부분과 뒤축으로 마룻바닥을 리드미컬하게 쳐서 소리를 내며 추는 춤
Ÿ아일랜드와 영국의 랭커셔주 지방의 클록댄스(신발 밑에 나무를 대고 마룻바닥을 빨리 밟아서 소리를 내며 추는
춤)가 미국에 유입, 흑인들의 춤과 융합되어 19세기경부터는 주로 흑인 연예인들에 의해 민스트럴과 보드빌 무대에
서 추어졌다.
Ÿ한국에는 1940년대를 전후해서 탭댄스가 선을 보이기 시작하였고, 세계적인 탭댄서 애스테어가 주연으로 출연한
코믹 뮤직 영화 <그랜드 호텔> 등이 수입 상영되어 탭댄스의 진면목을 보여 줌으로써 관심과 인기를 불러일으켰다.

■춤의종류와 역사-스윙댄스
Ÿ스윙댄스는 스윙재즈에 맞춰 추는 커플댄스들을 전체적으로 일컫는 말로서 엄밀히
따지자면 소셜댄스(social dance)이다.
Ÿ1920년대 흑인들의 춤으로 시작하여 1930년대~1950년 말까지 미국에서 유행하다 2차 대전 후 스윙은 스윙재즈
의 쇠퇴와 전쟁 후 사회분위기로 인해 사람들의 기억 속으로 잊혀져 있었음
Ÿ90년대 초 레트로 스윙음악이 인기를 얻고 영화와 상업광고 등을 통해 다시 사람들에게 소개되어 하나의 문화코
드로 다시금 자리잡게 되었다.

■춤의종류와 역사-살사댄스
Ÿ살사는 남미 쿠바에서 전해진 정렬적이고 다이나믹하며 건전하고 율동감이 넘치는 춤으로, 남미에서 마을 축제,
파티에서 자유롭게 즐기고 가족끼리 일을 하다 잠시 쉬면서 추었을 정도로 대중적이고 공개적인 춤
Ÿ살사댄스는 남녀가 손을 맞잡고 서로 밀고 당기는 기본 스텝(step)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엇갈려 잡은 자세
(Position & Hold)에서 복잡한 회전(Turn &spin)을 섞은 응용동작(Pattern)으로 이루어진 커플댄스
Ÿ맘보, 볼, 차차차 등의 무도 리듬이 혼합되어 생겨났으며 후에 라틴재즈로 발달됨

■춤의종류와 역사-댄스스포츠
Ÿ댄스스포츠는 사교댄스(social dance)에서 시작하여, 볼룸댄스(ballroom dance)로 부르다가 각종 국제경기대회에
서 경기댄스로 발전하였다.
Ÿ1987년부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입을 추진하면서 회원국들에게 볼룸댄스 대신 댄스스포츠로 바꾸어 사용하
도록 권장하면서 댄스스포츠란 말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Ÿ댄스스포츠의 종류는 크게 모던댄스(Modern Dance, 스탠다드 댄스)와 라틴댄스(Latin Dance)로 나뉜다.
모던댄스는 1924년 영국왕실무도교사협회(ISTD)에서 5개 경기 종목을 공인하였고, 라틴댄스(라틴아메리카댄스)는
1974년 ISTD에서 5개 경기종목을 공인하였다.
<모던댄스>
-왈츠:19세기 초, “왈츠”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여러 곳에서 춤이 추어지는 지역의 이름을 따서 지역적으로 변형
되어 인기를 끌게 되었다. 듣기 편하고 계속 반복되는 리듬에 따라 출 수 있는 슬로우 템포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
어 초보자들이 쉽고 자신감 있게 배울 수 있다.
-비엔나 왈츠:비인에서 시작되어 19세기 초 유럽 사교계에 소개된 빠른 우회전과 좌회전을 하는 춤이다.
-퀵스텝:아주 경쾌하고 명랑하며 스피드하면서도 리드미컬한 댄스이며, 경기대회에서는 때론 트릭키(Tricky) 스텝이
란 도약적인 스텝을 사용하는 속도가 매우 빠른 춤이다.
-탱고:남녀 한 쌍이 짝이 되어 탱고 곡에 맞추어 추며, 매우 육감적이고 낭만적이다. 에스파냐 탱고, 아르헨티나 탱
고, 프렌치 탱고가 있으며 프렌치 탱고만 사교춤으로 일반화됨
-폭스트롯:영국 사람에 의해서 고안된 영국의 대표적인 춤으로 기술적으로 가장 고도로 발달한 춤이며, 넓은 홀이
필요하다.

<라틴 아메리칸 댄스>


-룸바:16세기경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온 흑인들의 리듬으로 적어도 1백년 이상 쿠바에서 추어졌다. 1930년경 영국
에서 더욱 발전시켜 원래의 춤과는 아주 다른 춤으로 변하였다.
-자이브:1927년경 뉴욕의 하렘(Harlem)이란 흑인 거주지에서 재즈(Jazz) 음악의 일종인 스윙(Swing) 리듬에 맞추어
처음으로 추어진 춤이다.
-차차차:이 춤은 원래 쿠바에서 유래했고, 맘보가 그 선구자이다. 봉고 드럼이나 마라카스를 두르리는 음악소리 자
체가 차차차로 들린다.
-삼바:아프리카에서 유래되었으며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던 흑인 노예들에 의해서 브라질 북부의 바히야 지방에서
보급되었고, 마침내 브라질의 대표적인 춤이 되었다.
-파소도블:스페인에서 유래되었으며 스페인어의 파소(Paso), 스텝(Step)이라는 의미이며 도블(Double)이라는 의미로
두배의 걸음 이라는 뜻이다.

■춤의종류와 역사-디스코
Ÿ1960년대 프랑스에서 댄스 밴드 대신 레코드를 사용하는 댄스 홀을 디스코테크라고 부른 이후 1970년대 미국에
서도 유행 되어 ‘디스코’라는 약칭을 쓴 데서 연유
Ÿ레코드를 사용하는 댄스 홀은 처음에 젊은층의 호응을 얻기 위해 경비 부담과 공간을 줄이면서 시작
Ÿ1977년 <토요일밤의 열기 Saturday Night Fever>가 세계적으로 히트하여 디스코 붐을 일으킴.
Ÿ디스코는 1970년대 말 한국에서도 젊은층에 인기를 모아 이른바 디스코 풍조가 널리 퍼져 펑크룩, 디스코뮤직,
디스크자키라 등이 유행함

■춤의종류와 역사-람바다(남미의 정통춤)


Ÿ가뭄과 가난이 상습화 되어있는 브라질 북부 지역에는 포르투갈 식민지 시절부터 아프리카 노예들이 들여왔던
CARIMBO라는 토속춤이 유행
ŸCARIMBO는 커다란 통나무를 불로 태워서 만든 북소리에 맞춰 추었는데 그 율동 자체가 상당히 에로틱하고, 짧
은 치마차림의 여성 댄서는 빠르고 잦은 회전으로 상대 남성의 몸을 휘감는 듯한 특징.
ŸCARIMBO가 노래와 춤에서 조금씩 진화 변화되어가면서 중미 카리브의 음악 영향을 받게 되며 람바다라는 새로
운 노래와 춤이 탄생
Ÿ람바다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대 초기부터이고, 프랑스 사업가가 까오마라는 뮤직 그룹을
결성하여 상상을 초월하는 대히트를 치게 되었지만 상업적 요소가 너무 심하여 본래의 유연하고 절제된 선정 춤이
아예 성행위를 연상시키는 노골적인 에로틱 하고, 짧은 치마차림의 춤으로 변질되어 빠르게 시든 것이 아쉬운 점이
다.
■춤의종류와 역사-맘보
Ÿ국내에서는 왕가위 감독의 영화 <아비정전>에서 주연을 맡은 장국영의 춤추는 모습을 통해서 잘 알려짐
Ÿ1940년대 쿠바의 흑인들로부터 발생한 라틴 아메리카의 사교댄스 음악
Ÿ4/4박자 혹은 2/4박자의 빠른 템포가 특징인 맘보는 1926년 쿠바 출생으로 ‘맘보 킹’이라 일컬어졌던 전설의 아
티스트 페레이즈프라도로 인해 대중적인 중흥기를 맞기도 함
Ÿ맘보와 비슷한 1905년대 말의 차차차는 맘보의 스텝을 바탕으로 변형된 리듬에서 발전하여 오늘날의 형태에 이름

■춤의종류와 역사-밸리댄스
Ÿ오스만터키제국이 영화를 누리던 14~17세기에 아랍전역에 전파되며 형식화되어 이집트를 비롯한 아랍지역의 전
통 춤으로 우리에게 배꼽춤으로 알려져 있는 밸리댄스는 터키문화에 이집트의 관능성을 결합시킨 춤 (오리엔탈 댄
스)
Ÿ오늘날에도 아랍권에서는 허리와 복부를 진동시키는 특유의 움직임이 자손의 번영으로 이어진다고 믿어 결혼과
같은 축하의 자리에서는 빠지지 않는 춤으로 신랑 신부가 벨리 댄서의 배에 손을 올리고 사진을 찍는 풍습이 있음
Ÿ전통적으로 어머니 땅에 경의를 표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맨발로 춤을 추며 여성의 신체에 맞춰 안무되어 복부
근육과 힙과 가슴의 움직임을 강조하고 매끄러우면서 흐르는 듯 하고 복잡하면서 허리를 감각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

■춤의종류와 역사-응용무용
[피겨스케이팅]
Ÿ피겨스케이팅은 빙상경기의 일종으로 얼음 위를 활주하며 갖가지 동작으로 율동의 아름다움을 겨루는 경기
Ÿ다양한 기술 ; 점프, 스핀, 리프트, 스텝 시퀀스, 스파이럴, 턴 등
Ÿ피겨스케이팅이 시작된 정확한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600년대부터 이미 스케이팅을 했다는 기록, 세계 최
초의 피겨스케이팅 클럽이 설립된 것은 1742년 영국
Ÿ초기의 피겨스케이팅은 매우 기계적이고 딱딱해서 얼음 위에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일정한 형태의 도형을 블레이
드로 그리는 것이었으나 이후 발레 무용수 출신 잭슨 하인즈에 의해 현재 우리가 즐기는 피겨스케이팅의 주요한 기
본이 만들어져 현대 프리스타일 피겨 스케이팅이 가능해짐

[리듬체조]
Ÿ리듬체조는 리본, 줄, 후프, 공, 곤봉을 이용하여 반주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신체 율동을 겨루는 여자 체조 경기
의 한 종목
Ÿ18세기 근대적인 스포츠로서 틀을 잡기 시작하였고, 19세기에 오늘날의 리듬체조가 완성
Ÿ1984년 23회 LA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Ÿ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은 음악 반주에 맞추어 일정한 형식으로 리드미컬 하게 헤엄치는 수영경기의 일종으로, 수
중발레라고도 함
Ÿ독일, 영국 등에서 수중 매스게임으로 발생하였으며, 그 후 미국에서 음악 반주로 행하는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으로 발전하여 경기화 되어 1954년 국제수영연맹이 공인종목으로 정함
Ÿ1984년 23회 LA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
Ÿ종목으로는 솔로(1명), 듀엣(2명), 팀(4~8명)의 세종목이 있고 경기의 참가자는 규정종목과 선택종목을 연기해야

[치어리딩]
Ÿ프로스포츠의 발전이 가장 빠른 미국에서부터 치어리더가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초창기에는 학교 동아리 형태로
시작
Ÿ19세기 후반, 대학에서 치어리더가 생겨났고 1920년대에는 고등학교, 1950년대에 이르러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에까지 전파 됨
Ÿ초기에는 남자 치어리더 등장, 여성들의 치어리더로의 진출은 1920년대에 들어서 이루어짐
Ÿ미국의 치어리더는 젊음, 열정, 성 등의 상징이 되었고 문화적 가치를 지닌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또한 발전을 거
듭하여 1970년대에 프로스포츠에서 받아들임으로 현재까지 프로스포츠와 밀접한 관계형성을 하며 경기에 중요한 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

■영화 속의 춤

[영화 속 춤의 역할]
-주인공의 상황과 내면의 심리묘사
-치밀한 구성으로 주인공의 이미지를 극대화
-춤 동작이 갖는 역동성, 리듬감
-춤은 갈등을 제공하고 해소하기도 함
Ÿ원시 수렵 문화시절 주술적인 행위로서의 춤이 현대에 이르러 세분화 되고 다양해져 가고 있는데 영화 속 등장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날 사람들이 춤을 추는 이유를 찾을 수 있음

백야(1998)-영화는 단순히 정치적 배경과 체제를 부정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니콜라스)을 통해 영
화 속의 정서적 불안과 자유에 대한 갈망을 대사나 배경이 아닌 춤으로 표현하고 있음
춤은 언어로 표현 될 수 없는 인간의 내면을 그려내는 도구로 사용됨
어둠속의 댄서(2000)-주인공(셀마)에게 희망과 상상의 세계를 제공하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수단으로 사
용됨
인위적인 조명을 거부한 즉흥적 춤을 연기함으로써, 춤이 완벽한 구성단계를 거치는 작업이 아니더라도 대중으로부
터 받아들여지고 이해될 수 있도록 함
여인의 향기(1993)-탱고를 추는 장교 자신과 타인 모두가 춤에 동화되며 시작 장애인이라는 현실을 잊게 됨
춤은 정상인과 장애인의 경계 면에서 가운데 자리를 지키며 저울의 중심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 춤이 시각적인 것
에만 국한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영화임
해피투게더(1998)-두 명의 동성애자가 여행을 떠나 겪는 일들이 감각적인 영상표현, 장국영과 양조위의 심리적인
거리감, 혹은 고독과 소외의 심리는 때때로 춤을 통해 표출됨
불워스(1999)-주인공은 연로한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랩과 스테이지를 누비를 현란한 힙합댄스로 정치인들을 무차별
로 비꼬고 놀림, 춤이 풍자의 수단으로 사용됨

[맘보 살사를 주제로 한 영화]


Ÿ더티 댄싱(1987)-더티댄싱에서 주인공들이 무대 위에서 추는 춤은 쿠바에서 기원 된 오리지날 맘보가 아니라 미
국에서 변형되어진 아메리칸 스타일 맘보라 함
Ÿ살사(2000)-피아니스트인 주인공이 살사음악 연주가로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
Ÿ살사 댄싱(1988)-아메리칸 스타일의 살사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영화. 여기서 연주되는 음악들은 살사라기 보다
는 라틴재즈라는 면이 더욱 강해서 춤을 추는데 있어 음악 듣기가 편하면서도 매우 다이나믹함. 비록 흥행에 성공
을 하지는 못하였지만 출연진들 상당수가 실제로 활동하는 사람들로 주인공 이외에 춤을 추는 사람들은 실제로 마
이애미 등지에서 춤을 가르치고 즐기는 사람들임

[발레를 주레로 한 영화]


Ÿ백야(1985)-1986년 아카데미영화제에서 음악상을 받을 만큼 아름다운 음악과 환상적인 춤이 가득한 영화
Ÿ빌리 엘리어트(2000)-11살 소년의 순수함과 따뜻함과 열정, 아픔에 관객은 울고 웃고 용기를 얻으며 자연스레 발
레라는 장르를 받아들이기 좋은 영화
Ÿ왕의 춤(2000)-루이 14세를 배경으로 17세기 프랑스 음악과 춤, 예술을 볼 수 있는 영화
Ÿ열정의 무대(2000)-스토리와 캐릭터, 결말이 상투적이긴 하지만 댄서들의 멋진 춤을 볼 수 있고 춤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영화
Ÿ블랙 스완(2010)-완벽함을 꿈꾸는 발레리나의 이야기로, 발레 <백조의 호수>에 나오는 백조와 흑조를 소재로 하
여 발레리나의 내면과 심리를 잘 표현한 영화

[댄스스포츠를 주제로 한 영화]


Ÿ댄싱히어로(1992)-호주의 댄스 스포츠영화로 실제 호주의 댄서가 주인공을 맡았으며, 룸바, 차차차, 파소도블레
등의 다양한 춤이 나옴
Ÿ쉘 위 댄스(1996,2004)-중년의 남성, 중년의 여성, 엄마, 아빠, 그렇게 화석화되는 삶에 대한 반기이자, 거부임.
잠깐의 일탈 정도는 현실에서 허용되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시선이 나타나는 영화
Ÿ바람의 전설(2004)-일상의 무료함과 무기력함에 찌든 현대인을 현상케 하는 주인공이 춤에 대한 열정을 따라 춤
을 배우는 여행을 담은 영화. 자이브, 왈츠, 퀵스텝, 룸바가 나옴
Ÿ댄서의 순정(2005)-라틴 아메리칸댄스의 룸바, 차차차, 자이브가 나오며, 댄스스포츠 대회장면이 많이 나옴

[힙합댄스를 주제로 한 영화]


Ÿ유 갓 서브드(2004)-젋은이들의 스트리트 댄싱을 그린 힙합 댄스 뮤지컬. 실제 형제인 마르께스 휴스턴(그룹 IMx
멤버)과 오마리온 그랜드 베리(그룹 B2K멤버)가 각각 엘진과 데이비드 역을 연기, 화려한 힙합 댄스 실력으로 스크
린을 꾸미고 있다.
Ÿ허슬 앤 플로우(2005)-밑바닥인생을 사는 남자의 가슴속에 담아왔던 힙합이라는 꿈을 실현하게 되는 이 영화는
자신의 꿈과 진정 원하는 것에 대한 한번쯤 생각할 시간을 선사해 줌
Ÿ플래닛 비보이(2007)-사람들한테 제대로 인정 받지 못하면서도 자신들의 꿈을 향해 결코 멈추지 않는 비보이들의
생생하고 열정적인 모습을 보여줌. 비보이 월드컵이라 불리는 독일의 ‘배틀 오브 더 이어’를 준비하는 과정을 엿볼
수 있음
Ÿ스텝업1, 2, 3, 4, 5(2006, 2008, 2010, 2012, 2014)-최근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영화로 음악과 춤, 배
우 모두 인기를 모으고 있음
Ÿ스톰프 더 야드(2007)-고독하고 고민 많은 한 흑인 스트릿 댄서가 다른 멤버들과의 혼연일체가 되어야 하는 그룹
댄싱을 익혀나가면서 조화됨의 중요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그린 댄스 뮤지컬 드라마이다.

<퀴즈>
다음 중에서 우리나라 궁중춤이 아닌 것은? 4.탈춤
1.검무 2.춘앵전 3.처옹무 4.탈춤
왕가위 감독의 <아비정전>을 통해서 잘 알려진 춤으로 1940년대 쿠바의 흑인들로부터 발생한 라틴 아메리카의 사
교댄스는? 3.맘보
1.살사 2.탭댄스 3.맘보 4.람바다
Q1) 아프리카 춤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920년대 이후 발레와 현대무용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춤은? 재즈 댄스
Q2) 댄스스포츠는 크게 모던댄스(스탠더드 댄스)와 라틴댄스(라틴 아메리카 댄스)로 나뉜다. 모던 댄스의 종류 5가지는?
왈츠, 비엔나 왈츠, 퀵스텝, 탱고, 폭스트롯

■학습정리
∵춤은 크게 참여하는 춤과 감상을 위한 춤으로 나눌 수 있다.
∵춤은 예술적 가치,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에 목적을 둔다.
∵영화에서 춤은 주인공과 영화 속 이미지를 단순히 신체를 움직여 보이는 행위가 아니라 인간 내면에 잠재된 의식
과 무의식을 넘나들기도 하며 그경계에서 인간행위를 통한 심리 묘사를 그려내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2주차)
■학습목표
주제:발레의 발생
-서양을 대표하는 춤인 발레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과정을 파악한다.

■학습내용
1.발레란?
2.발레의 기원
3.궁정발레

■발레란?
∵‘발레’라는 용어는 Ballo(무도장에서 추어지는 춤)→Ballare(춤을 추다)→Ballet로 발전되어 왔다.
∵발레는 오래 전부터 추어지던 궁정무용에서 비롯되어 궁정발레로 발전되고 낭만발레, 고전발레의 시기를 지나
현재 현대 발레에 이르기까지 긴 역사를 가지고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특징적인 것으로는 Toe-shoes, Tutu(Romantic tutu, Classic tutu), Pas de deux등이 있다.
∵Toe-shoes(토슈즈):신발 앞부분이 석고로 되어 딱딱함.
궁중무용->목,등 rhTrHT, 위로 올라가려는 동작 도와주기 위해 만들어짐.
∵Romantic tutu(로멘틱 튜튜):드레스의 길이가 길다. 드레스에서 발전, 발목 보여주기 위해 발목, 무릎까지.
∵Classic tutu(클레식 튜튜):드레스의 길이가 짧다(쟁반모양), 발레의 발전에 의해 짧아짐
발레 테크닉 발달 보여 주려고, 남자 무용수가 잘 들어 올릴 수 있게 미끄러지지 않게,
다리가 더 길어보이기 위해.
∵Pas de deux(파드듀):두 사람의 춤, 남녀의 춤. 둘이서 호흡을 맞춰 추는 춤을 일컫는다.
굉장히 과학적, 타이밍중심잡기 중요. 고도의 테크닉 필요.

■발레의 기원

1)궁정무용(Court dance)
∵바스당스(Basse danse:낮은 춤)
-민간에서 추어지던 활발하고 도약적인 춤과는 반대되는 낮고 단순한 스텝의 춤으로 우아하게 걸으며 인사하기,
가끔 정지한 포즈, 전후 좌우의 스텝 등 매우 간단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춤.

∵오트당스(Haute danse:높은 춤)
-활발하고 다듬어지지 않은, 높이 뛰고 커다란 동작의 농민 무용(Folk dance)이 유입되면서 회전, 자리 바꾸기, 제
자리에서 돌기 등 비교적 복잡한 스텝과 형식이 도입되었는데 각 궁전의 발레교사나 음악가들에 따라 다양한 변형
이 시도 되었다.
-특히 젊은이들은 이 활발하고 신나는 춤을 좋아했다.(Moresque:모레스크-발을 구르고 가벼운 점프가 포함된 춤)

∵로미오와 줄리엣
1.세익스피어의 불후의 명작으로 베로나를 배경으로 한 작품
2.두 적대적인 가문 몬테규가와 캐플럿가의 자녀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동영상:가면쓰고 나옴. 바스당스, 오트당스(젊은이들), 결혼 - 머리에 치장이 많음 미혼- 머리내리고 장식 단순

2)민속무용(Folk dance)
-민속의 특수성과 향토의 특색을 갖추고 엣날부터 전해지는 전통무용
-대개 원시적인 제의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그 목적은 춤추는 사람과 관객에게 줄거움을 주는 데 있음
-스텝은 추어서 즐거운 간단한 것들로 걷기, 달리기, 위로 뛰기, 한발로 뛰기, 앞뒤로 발을 교차하며 옆으로 가는
스텝 등으로 구성됨
- 유형 : 특정한 행사와 축제 사교모임, 농사기원, 신에게 감사, 수확에 대한

[포크댄스의 특징]
Ÿ특정인에 의해 안무되는 춤이 아니다
Ÿ일반적으로 민속 의상을 입고 추는 춤이다
Ÿ예술 무용과 달리 특정한 무용수들이 특정한 관객들을 대상으로 공연하지 않는다
Ÿ지역적 차별성이 두드러진 춤이다
Ÿ대개의 경우 기록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유형]
-특정한 행사와 축제(ex.추수감사절)
-사교모임

[형식]
-라운드댄스(Round Dance) 인기가 더 많다
-커플댄스(Couple Dance) 15C에 유행. 중세시대 금욕주의 사상이 대두되었었기 때문에

[포지션]
-오픈 포지션(Open Position) 여자는 남자의 어깨 남자는 여자의 허리
-프로미네이드 포지션(Promenade Position) 팔을 엇갈려 잡음
-클로즈도 포지션(Closed Position) 남녀가 마주보고

[대형]
일열원(가장 흔한 형태), 이열원 ,삼열원

∵센스 앤 센서빌리티
1.영국을 대표하는 여류작가로 여자 셰익스피어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니는 제인 오스틴의 작품(오만과 편견)을 영화
화한 작품.
2.19세기 영국의 전원도시에 사는 귀족의 이야기.
동영상 : 프로미네이드 포지션(서로 손을 꼬아서 맞잡는 형식. 포크댄스)

《쉬어가기》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의 주제곡과 처음 만나는 장면


레오나르도가 불렀다

Q1)발레의 특징적인 것 중 하나로 남녀가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춤을 추는 이 안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파드 듀(Pas de deux)
듀는 둘이라는 의미
Q2)궁정무용의 하나로 농민들의 민속무용이 유입되면서 발전되었던 점프등이 가미되었던 ‘높다’라는 뜻을 가진 춤은?
오트 당스(haute danse)

■궁정발레
∵오랜 서구의 정신문화의 기반이었던 기독교의 심신이원론에 입각한 사상은 춤을 죄악시하며 금지하였다.
∵중세의 긴 암흑기를 넘어 르네상스시대에 이르러서 춤은 드디어 문화의 온실이었던 왕실에 지극한 사랑을 받게
된다.
∵왕실은 궁정춤에 전폭적인 지원을 하였고 춤을 교육하고 안무하는 전문 교사, 춤을 위한 음악과 무대도 발달하여
궁정무용은 세련된 양식을 갖추며 발레라는 모습으로 태동한다.
1)카트린느 드 메디시스(Catherine de Medicis,1519~1589)
-이태리 피렌체의 실질적인 지배자 메디치가의 딸로 14세의 나이로 정략결혼을 하여 프랑스로 옮겨옴
-어마어마한 지참금과 함께 피렌체 최고의 예술가들과 극도로 사치스러웠던 궁중여흥도 이때 같이 들어오게 됨
-자신의 큰아들 프랑수아 2세의 결혼을 위해 제작되어 진 ‘Ballet Comique de la Reine(왕비의 희극 발레)’는 역사
적으로 첫 번째 발레라 여겨지고 있음
*Ballet Comique de la Reine
Ÿ프랑수아 2세와 스코틀랜드의 메리 스튜어트의 결혼식을 위해 제작
Ÿ대학살의 기억과 잦은 왕권의 교체,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부유하고 평화롭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민심의 수습과 국가의 권력을 과시하려는 정치적인 목적을 지님

2)태양왕 루이 14세(Louis14, 1643~1715)


-최고의 발레 애호가인 루이 14세는 발레를 정치에 효과적으로 이용. 특히 태양으로 상징되던 발레 작품에서의 그
의 이미지는 절대왕정의 구축에 적절히 이용되어짐
-1661년 <왕립무용아카데미>를 세움
-오락거리에 불구하던 발레를 엄숙하고 완벽한 하나의 여흥으로 만듦

3)왕의 음악가 장 밥티스트 륄리(JeanBaptisteLully, 1632~1687)


-왕을 보좌해 궁정발레를 전문화된 무대예술로 발전시킨 궁정음악가.
-이탈리아 오페라 작품을 기초로 새로운 프랑스 오페라 방향을 잡았다.

4)왕의 대변인 몰리에르(J.Moliere, 1622~1673)


-왕이 출연할 발레의 대본을 담당하여 고전희극과 궁정발레를 결합시켰다.

5)왕의 무용교사 삐에르 보샹(Pierre Beauchamp, 1636~1705)


-발레의 다섯 가지 발의 포지션과 팔의 자세 정리

Ÿturn-out:발레의 춤의 특성상 뒷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만든 스텝


Ÿfirst position:뒷굼치가 180도로 붙은 자세
Ÿsecond position:양발을 벌린자세
Ÿthird position:반만 겹치는것
Ÿfourth position:겹쳐서 앞 뒤로
Ÿfifth position:완전히 겹치는 것

Q1)무용은 중세시기 때부터 궁정무용과 민속무용으로 사랑 받아 왔다. ( O / X )


Q2)역사적으로 첫 번쨰 발레라 여겨지고 있는 Ballet Comique de la Reine를 제작하였으며 발레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평가되어
지는 사람은? 카트린느 드 메디시스(Catherine de Medicis)

■왕의 춤(LE ROI DANSE)


-프랑스 절대군주 루이14세, 그의 궁정 작곡가 장 밥티스트 륄리, 희극작가 몰리에르…예술을 축으로, 한 시대를
지배한 세 남자 이야기.
-‘밤의 발레’ ‘왕의 무곡’등의 음악과 그 곡에 맞춰 추는 왕의 춤이 인상적이며 왕을 향한 륄리의 사랑을 매우 극적
으로 묘사한 역사적인 고증이 매우 훌륭한 영화.
(동영상)
①실질적인 권력을 움켜쥔 어머니와 재상의 아래에서 어린 왕 루이에게 주어진 것은 춤과 음악 뿐이었다. 하지만
발레에서 만들어진 태양왕의 이미지는 루이에게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②재상의 죽음을 계기로 어머니의 섭정에 맞서 직접 통치에 나서게 되고 재상 없이 정치를 함으로 왕권을 더욱 강
화시킴
③자신의 왕좌를 지키기 위해 태양왕의 이미지를 극대로 사용하여 절대 권력의 자리에 오르지만 이후 무용을 그만
두게 됨
[‘왕의 춤’에서 정리한 역사적 내용 정리]
-춤을 춘다는 것은 자신의 팔 다리와 몸을 이용하여 최고의 은총과 조화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 이었다.
-궁정 발레는 100년 이상이나 왕의 측근들이 가장 즐기는 활동이었고 각종 의상, 장식, 기계장치가 총동원된 진정
한 의미의 스펙타클이었다.
-이렇게 만들어낸 절대권력, 태양왕의 이미지는 당시 사회나 권력을 장악하고자 하는 엄청난 의미의 상징적 이미지
였다.
<퀴즈>
센스 앤 센서빌리티의 작가는 제인에어이다.(X) 제인 오스틴
Q1)영화에 나타난 인물이 아닌 것은?
① J.몰리에르 ② 카트린느 메디시스 ③ 피에르 보샹 ④ 쟝 밥티스트 륄리
Q2)영화 속에서 루이 14세는 왜 발레를 그만두게 되었는가?
스승인 피에르 보샹이 할 수 있는 고난도의 테크닉을 수행할 수 없어 마침내 공연에서 큰 실수와 함께 부상을 입은 후
발레를 그만 두게 되었다.

■학습정리
∵서양을 대표하는 춤인 발레는 궁정무용(Court dance)에서 비롯되었다.
∵궁정무용은 농민무(Folk dance)를 유입시키면서 다양하고 활기 있게 발달하였다.
∵궁정무용에서 시작된 궁정발레는 카트린느 드 메디시스에 의해 화려하게 시작되었고 루이 14세 때에 여러 훌륭한
예술가와 함께 절정을 이루었다.

(3주차)
■학습목표
주제:낭만발레 지젤 이야기
1.낭만발레의 발생과 특징을 파악한다.
2.발레 <지젤>의 이야기 구조를 먼저 알아본 후 영화 <지젤>을 이해해본다.
■학습내용
1.낭만발레의 발생
2.발레 지젤과 영화 지젤의 이야기 구조
3.영화보기:지젤(Dancers)

■낭만발레의 발생
∵17세기-궁정발레가 발전됨에 따라 프랑스에서 발레는 서서히 귀족 본인들의 기분전환용에서 탈피하여 전문적인
직업예술로 변모하였으며 특히 왕이 발레를 직접추기를 그만 둔 이후부터 전문무용수들이 등장하는 극장예술 로 발
전되어갔다.(프로시니엄 무대가 발생 됨>액자형 공연관람, 관객들과의 거리감)
∵18세기-발레는 성숙기에 이른다.
1.춤, 음악, 낭송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졌던 궁정발레에서 노래와 낭송이 배제되고 춤이 중심을 잡았다.
2.궁정발레의 가식적인 표현 대신 실제적인 감정표현과 사실적인 묘사를 하는 표현적 발레로 개혁이 시작되었다.
(마임이 많이 발달 됨)
3.그랑 주떼(Grand jete) 다리를 크게 던진다 와 피루에트(Pirouette)등의 기술적인 발전이 가속화 되었다.
∵19세기-발레는 18세기 중반부터 생겨난 낭만주의에 영향을 받게 된다. 우울한 현실에서 도망가고 싶었던 예술가
들은 이국적인 정취로의 현실도피와 환상적인 이야기에 심취해 있었고 이 모든 것이 발레에 흡수되었다. 즉 낭만발
레는 낭만주의의 도피적인 성격을 철저하게 반영하였고 이 시기의 발레리나는 발레 역사상 최고의 인기를 누리게
된다.

∵낭만발레(Romantic Ballet)
1.1830년대에 시작된 발레형식으로, 예술에서 현실적인 것들을 쫓아내고 오로지 환상과 신비로움을 최고의 목표로
삼았다.
2.주로 평민들의 사랑 이야기를 배경으로 한 목가적, 서정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라 실피드>와 <지젤>이 낭만주
의 발레의 쌍벽을 이루는 대표작이다.
3.이 시기에 마리 탈리오니(라 실피드 초연) - 토슈즈의 착용에 의미부여한 첫 번째 발레리나 , 동화내용 같은 낭만
주의 발레의 문을 열었다 카를로타 그리시(지젤)- (낭만주의 발레 백미)등 여성 무용수가 무대를 주도하게 되었으
며, 남성 무용수들은 여성 무용수를 보조하는 역할에 그치게 되어 남성은 전 무용사를 통틀어 가장 낮은 위치를 차
지하게 되었다.

[마리 탈리오니]
낭만주의 발레의 열광적인 시작을 알리는 작품인 <라 실피드>에서 초연을 맡아 당시 사람들이 열광하던 낭만주의
발레 주인공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으며 토슈즈의 착용에 의미를 부여한 첫 번째 발레리나
*<라 실피드> 영상보기 ‘1막’
(안무) 필리포 탈리오니
(초연) 1832년 파리 오페라 극장
(내용) 스코틀랜드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결혼을 앞둔 청년 제임스가 실피드(공기의 정령)에게 빠져 실피
드도 죽고 자신도 파멸로 이르게 된다는 비극
2막 - 실피드들이 사는 마법의 숲
매우 가볍게 움직이는 동작들로 이루어져있다.

∵낭만발레를 대표하는 특징- 달빛속에 부유하는 하얀 요정


1.발끝을 완전히 세워 춤추는 동작인 ‘포인트 기법(Sur le point)'
2.파드듀(Pas de deux)기법
3.상체는 꼭 끼고 치마는 부풀어올라 무릎까지 내려오는 흰색 종 모양의 의상인 로맨틱 튀튀(Romantic Tutu)
4.무대 위에 으스스한 마법의 달빛 비치는 밤을 가능하게 한 가스조명
5.순결한 이미지의 백색발레(Ballet blanc)→불어 흰색

Q1)낭만주의 발레의 시작을 알리는 발레 작품은? 라 실피드


■발레 지젤과 영화 지젤의 이야기 구조
∵발레<지젤>
대본 : 데오필 고티에(Theophile Gautier) 남성 무용수 비하
안무 : 쟝 꼬랄리(Jean Coralli), 쥴 뻬로(Jules Perrot)
작곡 : 아돌프 아당(Adolphe Adam)
초연 : 1841, 파리 오페라
è 이루지 못할 사랑의 아픔과 죽음을 뛰어넘는 사랑의 영원함에 대한 이야기로 낭만발레의 전형적인 작품이다.

∵발레<지젤>
[1막]
-독일 라인강 유역, 포도재배 농촌의 울창하고 환한 숲
-병약하지만 발랄한 성격의 시골 아가씨 지젤은 시골 청년으로 가장한 귀족 알브레히트와 깊은 사랑에 빠져 있지만
그녀를 사랑해 온 사냥꾼 힐라리온의 질투로 신분이 드러나고 때마침 사냥하러온 공주 바틸드는 자신이 알브레히트
의 약혼녀임을 밝힌다.
-배신당한 사랑의 충격으로 미쳐버린 지젤은 무대를 뛰어다니며 춤을 추다가 결국 심방마비로 죽어버린다.

[2막]
-청아한 달빛아래 지젤의 묘지가 있는 으스스한 숲 속
-이 숲은 사랑의 배신으로 죽은 처녀 귀신 윌리들이 밤이면 무덤에서 나와 지나가는 젊은이들을 숨이 끊길 때가지
춤추게하며 이승의 한을 푸는 곳으로 윌리의 여왕인 미르타가 지젤을 그 무리에 합류시킨다.
-힐라리온과 알브레히트가 차례로 지젤의 무덤을 찾아오지만 힐라리온은 이들에게 죽임을 당하고 두 번째로 찾아온
알브레히트는 지젤의 사랑으로 목숨을 구하게 된다.

[여성 주역 무용수]
(1막) 사랑에 배신당하고 죽음을 맞는 극적인 연기력을 갖추어야 함
(2막) 공중을 나는 처녀귀신의 고도의 테크닉을 보여주어야 함
è 지젤은 역대 발레리나들이 끊임없이 도전해오고 있는 로맨틱 발레의 대표작

∵영화<지젤(Dancers)>
-발레 <지젤>을 영화화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지만 감정이 메마른 냉정한 제작자이자 무용수인 토니와 발레 단원
들과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영화
-발레 <지젤>의 내용과 맞물리는 영화의 내용이 인상적
:영화 속 발레 <지젤>의 배역
지젤- 프란체스카: 현재 애인
알브레히트- 토니
힐라리온- 마이클
지젤의 어머니- 뮤리엘
미르타 -나딘: 예전애인
:영화 <지젤> 속에서 상징되는 인물
리자-지젤 :리사는 토니가 작업하는 여자
토니-알브레히트
파올로-힐라리온
마르첼라 디 팔리디오-약혼녀 바틸드
Q1)영화 속 ‘파올로’와 상통하는 발레<지젤>에서의 배역은?
①알브레히드 ②미르타 ③힐라리온 ④베르다
동영상: 손가락2개-맹세, 꽃으로 점을 봄, 가슴에 두손을 모음-사랑을 표현, 한다리를 들고 추는 춤-아라베스크, 공
중에서 앞뒤로 양다리를 쭉 폄-그랑 주떼, 주먹을 쥐고 아래로 내림-죽음
1870년쯤 서유럽에서 낭만주의 발레가 쇠퇴, 발레의 중심지 : 프랑스 파리⇨ 러시아 상트페체르부르크

<학습정리>
∵궁중발레가 점차 전문화되어 극장예술로 모습을 바꾸었고 형태, 표현방식, 기교의 발달을 통해 낭만발레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낭만발레의 특징적인 점은 비현실적인 존재 설정의 실현을 위한 포인트 기법, 파드되, 로맨틱 튜튜, 가스등의 효
과를 이용해 아름답고 순결한 이미지의 백색 발레(발레 블랑)를 탄생시켰다.
∵지젤은 전형적인 낭만발레로 그 내용과 형식명에서 낭만발레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퀴즈>
장 밥티스트 륄리는 음악가이다.(O)
클래식 튜튜는 긴 종 모양의 치마를 가진 발레의상이다.(X)

(4주차)
■학습목표
주제:토슈즈와 파드듀 이야기
∵발레의 대표적 상징물인 토슈즈의 발생과 그 의미를 알아본다.
∵발레의 가장 화려한 테크닉인 파드듀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내용
1.Sur le point 기법의 생성과 토슈즈
2.파드듀와 고전발레
3.영화보기
-분홍신(Red Shoes)
-사랑과 갈채의 나날(The Rurning point)

■Sur le point 기법의 생성과 토슈즈


∵Sur le point 기법의 생성
-낭만발레의 가장 중요한 테크닉은 발끝으로 서는 Sur le point기법이었다.(점 위에 선다)
-이 기법은 발레리나들을 ‘발이 땅에 닿지 않는’ 중력을 느낄 수 없는 천상의 피조물로 만들었다.
-낭만발레의 첫 시작을 알리는 <라 실피드>의 가장 큰 성공의 요인으로 마리 탈리오니는 이 기교를 단순한 기예정
도가 아니라 무엇인가를 표현하려는 하나의 예술적 방법으로 승화시켰다.

∵토슈즈
-토슈즈의 발명은 발레의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놓는 역할을 하였다.
-초창기의 토슈즈는 부드러운 공단으로 만들어진 슬리퍼에 불과했지만 점점 발전하여 석고 틀에 아교를 발라 천을
덧붙여 앞부분을 보강하고 밑창에는 유연하게 가공된 나무소재를 이용해 무용수가 발끝으로 체중을 지탱하도록 돕
게 된다.(결과적으로 더욱 다양하고 어려운 테크닉들이 가능해짐에 따라 고전주의 발레 시기에 절정을 이룸) 이 제
작과정의 토슈즈가 일반적이긴 하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토슈즈가 습기에 약하고 쉽게 허물어지는 단점을
보강시킨 앏은 철판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새로운 방식도 생겼다.
-토슈즈를 신기에 적합한 발
1.발목이 일자로 펴져야 한다.
2.발바닥의 아치가 높으면 좋다.
3.발등이 나와야 한다.
4.발 볼은 좁은 것이 유리하다.

<토슈즈의 제작 장면> 영상 : 댄서 (The Dancer)


Q1)낭만발레의 첫 시작을 알리는 발레 작품으로 발끝으로 서는 Sur le point 기법이 단순한 기예가 아닌 하나의 예술적 표현방식
으로 인정받게 되는 계기가 되는 발레 작품의 이름은? 라 실피드

■영화보기
∵분홍신(The Red Shoes)
<분홍신>은 이 영화에 등장하는 발레 작품으로 분홍신을 신으면 계속해서 춤을 춰야 하고 그 춤을 멈추지 못해 결
국 죽고 만다는 내용으롤 안데르센 동화가 바탕이 된 작품이다.
특히 이 영화에 등장하는 빅토리아 페이지의 춤을 그만둘 수 없어 결국 불행한 운명을 택하고 마는, 분홍신과 비슷
한 인생이 인상적이다.
아카데미 상 3개 석권했던 훌륭한 작품
동영상- 레몽토프단장, 빅토리아 페이지 주연, 줄리안은 작곡가이자 빅토리아 남편, 신문은 하루를 표현
Q1)영화 <분홍신>에서 빅토리아 페이지는 발레 <분홍신>의 재공연을 성공적으로 해낸다. (X)

■파드듀와 고전발레(Classic Ballet)


∵파드듀(Pas de deux) 두 사람이 추는 춤이라는 뜻의 발레 용어
[낭만주의 발레의 파드듀]
-여성무용수를 더욱 신비롭게 보이게 하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형태의 춤
-여성 무용수를 가볍게 보이게 하기 위한 리프트를 하거나 토슈즈 위에서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도록 균형을 잡게
남성무용수가 도와주는 역할
- 그 결과로 낭만주의 발레는 유래없는 여성무용수의 전성기이자 남성무용수의 쇠퇴를 불러움

[고전주의 발레의 파드듀]


-파리의 낭만주의 발레가 러시아로 옮겨가면서 마리우스 프티파에 의해 고전주의 발레로 발레 역사상 가장 화려하
게 발전하며 그랑 파드듀 형식 완성
-발레리나를 아름답고 환상적으로 보이게 하는 보조의 역할에서 벗어나 체계와 형식을 가지고 발전하여 발레 작품
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

∵그랑 파드듀 형식
-남녀 아다지오:남녀 무용수의 완벽하게 계산된 조화를 강조하는 아름다운 춤
-남자 무용수 독무(솔로 바리에이션)
-여자 무용수 독무(솔로 바리에이션)
-코다:가장 화려한 테크닉의 나열
■영화보기
∵사랑과 갈채의 나날(The Turning point)
-세르반테스의 소설을 발레로 만든 <돈키호테>는 원래 내용인 퇴역한 늙은 기사 돈키호테가 시종 산초와 함께 자신
의 이상형 둘시네아를 찾아가는 무용담이다.
그러나 발레로 만들어지면서 내용이 대폭 각색되어 이들의 무용담 대신에 선술집 딸 키트리와 이발사 바질의 사랑
이야기에 초점이 맞춰졌다.(코믹발레)
3막 마지막 신 스페인 배경 붉은색의 튜튜
낭만주의 파드듀와는 다르게 계산적인 정교함, 가벼움만 강조하던 낭만주의와는 확연히 다르다.
처음 장면 : 남녀 아다지오 , 남자 솔로. 여자 솔로. 코댜(여자 훼떼)
- 돈키호테의 여자무용수의 이름은 에밀리아로 예전의 촉망받던 발레리나 디디의 딸이다.
- 디디(딸:에밀리아)는 임신과 함께 엄마와 아내가 되기 위해 발레단을 그만두지만 당시 자신의 라이벌이었던 엠마
가 유명한 프리마 발레리나가 되어 자신이 사는 오클라호마에 순회공연을 오면서 둘 사이의 묘한 기억과 감정 사이
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 이 영화는 여성들이 가정을 갖는 것과 커리어를 쌓는 것 사이의 갈등을 발레의 세계로 풀어내고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 중 발코니 씬


-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에 맞춘 아름다운 발레로 특히 발코니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이 사랑을 속삭이는 장면은 가장
아름다운 파드듀라고 인정받고 있다.
- 로미오와 줄리엣은 클래식 발레 이후 20세기 전통발레, 또는 드라마틱 발레로 분류되고 있다.

[발레단의 갈라(Gala)공연 장면] - 당대 가장 유명한 발레 무용수 총 집합


잠자는 숲 속의미녀
전설
차이코프스키 파드듀
백조의 호수 중 흑조의 파드듀
엘링토니아
해적

Q1)감상한 발레 작품들 중 스페인을 배경으로 한 작품은? 돈키호테

<학습정리>
∵낭만주의 발레의 가장 커다란 기술적 발전인 Sur le point기법에서 발생한 토슈즈는 발레의 모습을 새롭게 만들어
내었다.
∵낭만주의 발레시기에 생성된 파드듀는 고전주의 발레 시기에 그랑 파드듀라는 형식을 완성시키며 화려하게 발전
했다.
<퀴즈>
영화 지젤의 원 제목은? 1.Dancers
1.Dancers 2.The Dancer

(5주차)
■학습목표
주제:고전주의 발레와 남성무용수 이야기
-파드듀가 가장 화려하게 발전된 고전주의 발레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고전주의 발레를 호려하게 탄생시키고 발전시킨 러시아의 발레를 알 수 있다.
-고전주의 발레가 발전되며 배출된 남성무용수에 대해 알 수 있다.

■학습내용
1.고전주의 발레(Classic Ballet)
2.러시아의 발레
3.남성무용수

■고전주의 발레(Classic Ballet)


-낭만주의 발레가 쇠퇴해갈 19세기 중반부터 발레의 핵심은 러시아로 이양되어가기 시작했고, 19세기 말 발레는 러
시아에서 고전주의 발레로 화려하게 거듭남
-대칭적이고 안정적인 군무와 대형의 고전주의 바렐레는 기하학적 구도와 엄격한 형식을 갖춘 발레로 화려한 볼거
리가 특징
-마리우스 프티파에 의해 고전주의 발레의 특징적인 형식들을 만들어 발레가 극정 예술로 활짝 꽃 피우게 함

■마리우스 프티파가 만들어낸 고전주의 발레의 특징

∵마리우스 프티파(Marius Petipa, 1818~1910)


-35년간 러시아 상트 패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의 수석안무가로 있으면서 고전발레의 거의 모든 작품을 안무한
‘고전주의 발레의 아버지’
-클래식 발레의 묘미인 안정적이고 대칭적인 군무와 대형 만듦
-남녀주역의 화려한 발레기술을 보여주는 그랑 파드듀 형식 만듦
-디베르티스망(Divertissment)- 줄거리와 상관없는 장식적인 춤 만듦

∵고전발레 작품
-잠자는 숲 속의 미녀
안무:마리우스 프티파
작곡:피터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백조의 호수
안무:마리우스 프티파
작곡:피터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돈키호테 ( 그랑 파드듀)
안무:마리우스 프티파
작곡:루드윙 밍쿠스
-해적
안무:마리우스 프티파
-호두까기 인형
안무:레브 이바노프
작곡:차이코프스키

■영화보기 - 흑조(Black Swan)


∵발레 <백조의 호수(Swan Lake)>
-사악한 마법사 로트바르트에 의해 백조로 변한 오데트와, 로트바르트의 딸 오딜을 오데트로 알고 사랑을 맹세한
지그프리트 왕자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다룬 고전주의 발레를 대표하는 작품
-항상 성실하고 연습을 게을리 하지 않는 발레리나 니나는 발레단에서 백조의 호수를 공연할 참신한 새 주역으로
발탁되었지만 그녀는 그저 아름답고 가녀린 순수함만을 간직한 백조의 이미지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니나는 완
벽한 공연을 하기 위해 흑조의 농염하고 유혹적인, 심지어 사악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스스로를 망치며 집착하게
되고 결국 죽음과 맞바꾼 공연이 끝난 후 스스로 느낀 완벽함에 만족하며 숨을 거둔다.
1막 - 지그프리트 성년식을 기념하여 활을 선물 , 2막 - 백조에 활을 쏘고 저주에 걸렸던 백조가 오데트 공주로 변
하고 , 붙잡고 반하여 청혼을 했다 그러나 저주를 풀어야 했고 한 남자는 사랑을 맹세 했다. 3막 - 왕자의
성년식 날 오데트와 똑같이 생긴 오딜을 데려와 왕자를 빠져트린다. 4막 - 백조로 돌아온다

백조 -

Q1)고전주의 발레의 특징적인 형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고전주의 발레의 거의 모든 작품을 안무한 고전주의 발레의 아버지라 불
리우는 사람은 누구인가? 마리우스 프티파

■러시아의 발레
-러시아 발레는 17세기 말 표트르대제의 서구화 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당시 예술 문화에서도 서구의 세련된 형식
들이 러시아에 유입되면서 발레도 궁중의 사치스러운 연회 활동으로 사랑 받게 된다.

∵키로프 마린스키 발레단


-1783년 창단됨.(1728년 왕실 발레 학교의 개교로 그 역사가 시작. 기원상으로 볼쇼이 발레단의 모체)
-러시아 최고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발레단으로 고전발레의 아버지 마리우스 프티파, 발레 루스의 영웅들이었
던 미셀 포킨, 바슬라브 니진스키, 안나 파블로바 등이 모두 이 발레단 소속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Vaganova Academy of Ballet)
1920년대 키로프의 지도 위원이자 무용수인 아그리피나 바가노바(Agrippina Vaganova)가 그녀만의 독특한 발레 교
수법을 개발해 키로프 발레단 부설인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를 설립.

∵볼쇼이 발레단
‘거대하다’는 뜻의 <볼쇼이>란 이름에 걸맞게 그 규모와 수준 면에서 전세계적으로 월등한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데
두 개의 자체 극장(2,000석 규모와 6,000석 규모)에서의 시즌 공연과 정규적인 해외 공연을 동시에 진행하기 때문
에 광범위한 레퍼토리와 200여명이 넘는 무용수를 확보하고 있다.
-1776년 창단.
-혁명 이 후 수도가 모스크바로 바뀌면서 발레의 중심 또한 옮겨져 볼쇼이 발레단은 점차 세계정상의 발레단으로
발돋움하게 됨.
-유리 그리고로비치(Yuri Grigorovich)(1964년부터 1995년까지 33년간 전 볼쇼이 예술감독으로 있었으며 ‘볼쇼이=
발레’라는 등식을 성립시킨 볼쇼이의 신화적 인물로 모스크바 스타일의 대표작이며 스펙터클 발레의 대명사로 일컬
어지는 <스파르타쿠스 Spartacus>를 안무)
-모스크바 볼쇼이 발레아카데미

∵발레용어
1.플리에(plie)
-‘굽힌’이란 뜻. 무릎과 발은 180도 턴-아웃.
-이 상태에서 무릎을 천천히 구부린다.(이때 자연적으로 발꿈치가 들린다)
Demi plie, Grand plie
-상체가 굽혀지지 않도록 주의
2.아라베스크(Arabesque)
-한 다리로 서서 다른 다리는 뒤로 올리고 충분히 뻗치는 고정자세.
-두 팔은 손끝에서 발끝까지 가능한 가장 긴 선을 만들면서 다양하고 조화된 동작을 유지한다.
3.피루에트(pirouette)
-무용수가 한 다리로 서서 몸을 팽이처럼 핑그르르 회전시키는 동작.
4.훼테(Fouette) - 돈키호테 마지막 여자턴 코댜부분(마지막 부분)
-제자리에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작
-그랑 파드듀 끝부분에 대부분 32바퀴의 훼테가 들어간다.
발레리나에 따라서 더블로 할 수 있다 ..
5.제테(Jete)
-‘던지다’라는 뜻. 한쪽 다리는 마치 던지듯이 공중에 날리면서 다른 다리로 이어가는 도약
-모든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의 주테가 가능하며 공중에 점프하여 다리를 일자로 벌리는 모습은 “크게(Grand)" 주테
한다고 해서 그랑 주테(Grand Jete)라고 부른다.

■남성무용수
-러시아의 엄격하게 전문화된 교육은 서발을 놀라게 할 슈퍼댄서들을 배출하였다.
-그 중 낭만주의 시대에 무너져 버린 남성무용수들의 위상이 발레루스에서 활약했던 니진스키에 의해 복구되고 이
후 정치적 망명을 단행한 루돌프 누리예프 역시 현대 발레에서 최초로 남성무용수도 발레리나와 똑같은, 오히려 훨
씬 더 확고한 기반을 가질 수 있음을 보증해 주었다.
-이런 그의 행동은 나탈리야 마카로바, 알렉산더 고두노프 그리고 미하일 바리시니코프의 망명으로 이어진다.

∵바슬라브 니진스키(Vaslave Nijinsky, 1888~1950)


-12세 때 발레 신동으로 러시아 전역에 명성을 얻음.
-뛰어난 테크닉과 표현력으로 유럽에서 ‘춤의 신’이라는 칭호를 얻음
-당대의 보수적인 사회분위기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대담하고 현대적 표현을 보여준 혁신적인 작품들을 안무

∵루돌프 누리예프(Rudolf Nureyev, 1938~1993)


-키로프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활약 중 파리에서의 대성공 이 후 서방으로 정치적인 망명.
-누리예프의 특징이었던 남성적인 원기는 남성무용수의 위세를 끌어 올리는데 일조하였으며 많은 소년들과 남성들
이 춤에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가장 위대한 국제적인 남성무용수로 인정받았으며 고전 및 현대 레퍼토리에서
주역으로 활약하면서 경이적인 기교와 카리스마로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미하일 바리시니코프(Mikhail Baryshinikov, 1948~)


-키로프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활약 중 1974년 순회공연에서 캐나다에 망명을 신청
-1983년 훌륭한 발레리나인 젤시 커클랜드와 파트너를 이루어 <지젤>에서 엄청난 명성을 얻었다.
-어떤 무용수도 필적할 수 없는 공중묘기를 해낼 수 있었고 이런 놀랄만한 테크닉은 무대 위에서 유머감각과 결합
되어 가장 접근하기 쉽고 호감가는 무용수로 사랑받았다.
-천재적인 예술가인 바리시니코프는 현대발레계의 대표주자로 독보적인 존재이며 안무가, 영화 출연 및 제작, 사업
에 이르기까지 왕성히 활동하고 있다.

∵백야(White Night)
-러시아에서 망명한 니콜라이 로드첸코가 미국에서 러시아로 망명한 레이몬드와 함께 자유를 찾아 서방세계로 탈출
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당시 크게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특히 영화 역사상 최고의 댄스를 볼 수 있는 유일무이
한 영화라는 타이틀이 무색하지 않게 바리시니 코프의 멋진 춤과 이제는 고인이 된 그레고리 하인즈의 신기의 탭
댄스는 감상의 요점이다.

[러시아 발레는 발레의 절정을 이루었으며 러시아의 스타 무용가들은 서방에 새로운 붐을 일으켰다. 특히 낭만주의
발레 시기에 밑바닥으로 떨어진 남성 무용수의 위상이 러시아의 슈퍼 댄서들을 통해 확고한 기반을 구축하게 됨]

∵리춘신(Li Cunxin, 1961~)


-베스트 셀러 [발레리노 리춘신]이라는 자전적 이야기를 다룬 책으로 먼저 알려지고 이 후 <마오의 라스트 댄서>로
영화화 됨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우연히 중국정부의 관리의 눈에 띄어 베이징 무용 학교에서 발레를 배우게 되었고 실력을 인
정받아 미국으로 유학을 가 정치적 난관과 인종차별을 극복하고 성공함
-이후 동양인 최초로 미국 5대 발레단의 하나인 휴스턴 발레단에 입단해 세계정상급 발레리노로 활약

∵마오의 라스트 댄서 (Mao’ Last Dancer)


-가난한 시골 마을에서 태어나 세계적인 발레리노의 꿈을 이룬 리춘신의 감동이야기.
-동양인 최초로 미국 5대 발레단의 하나인 휴스턴 발레단에 입단해 세계적인 발레리노가 된 리춘신의 전설적인 실

Q1)고전주의 발레가 발전되며 배출된 러시아의 남성무용수 세 명은? 바슬라브 니진스키, 루돌프 누리예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고전주의 발레는 러시아에서 발생하였으며 마리우스 프티파에 의해 화려하게 완성되었다.


=고전주의 발레의 발전을 통해 낭만주의 발레 시기에 떨어졌던 남성 무용수의 위상을 최정상에 올려놓았다.

(6주차)

■학습목표
주제:발레루스
-20세기 초 새로운 발레를 탄생시킨 발레루스의 활동과 예술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학습내용
1.발레루스의 생성
2.발레루스에서 활동했던 예술가들
3.발레루스의 새 발레
4.영화보기

■발레루스의 생성
-20세기 초엽 고전발레의 절정기를 지난 러시아 발레를 당시 예술적으로 몰락한 유럽의 무용계에 소개하고자 한 상
업적인 경영자 세르게이 디아길레프가 결성한 발레단으로 당시 러시아의 스타무용수었던 안나 파블로바, 바슬라브
니진스키, 안무가 미셀 포킨 등을 주축으로 유럽에 새로운 발레의 유행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발레루스(Ballet Russes, 1909~1929)


-러시아 황실발레단의 스타무용수를 대거 영입한 1909년 파리에서 초연은 당시 파리의 관객들을 폭풍의 도가니로
몰아넣을 만큼 대단한 성공을 거두면서 유럽에 러시아발레를 소개했다. 지금은 바가노바 무용단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면서 많은 예술가들을 발굴해내었을 뿐 아니라 당대의 가장 뛰어난 예술가들을 작업에 참
여시켜 총체적인 예술 작품으로서의 발레를 공연 예술의 중심으로 위치시켰다.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던 디아길레프의 의지는 고전 발레의 전통이나 체제로부터 과감하게 탈피하여 새로운 발
레의 모습을 가능케 했다.
-발레단의 성공은 낭만발레 이후 발레무대로 유래 없는 많은 관객들을 불러들임과 동시에 국제적인 발레의 유행을
이끌었다.

■발레루스에서 활동했던 예술가들


∵음악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클로드 드뷔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 모리스 라벨, 에릭 사티 등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젊은 나이에 디아길레프가 알아보고 (불새) 흥행하고 발레음악을 안함
∵장치와 의상
-파블로 피카소, 알렉산드르 브누아, 레옹 박스트, 앙리 마티스, 코코 샤넬 등
무용울 보고 싶어서 오는 사람과, 장치,무대,의상을 보려고 오는 경우도 많았다.

∵대본
-장 콕도, 알렉산드르 브누아, 레옹 박스트,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안무
-미셀 포킨(1909~1912,1914)
-바슬라브 니진스키(1912~1913)
-레오니드 마씬(1915~1920, 1925~1928)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1922~1926)>니진스키의 여동생
-조지 발란쉰(1925~1926) 신고전주의 영향 끼친

∵무용수
-바슬라브 니진스키, 안나 파블로바, 타마라 깔사비나, 안톤 돌린, 세르게이 리파 등

■발레루스를 이루던 주요 인물
∵세르게이 디아길레프(Diagilev, Sergei Pavlovich)
-천재 기획가이자 발굴자, 흥행사, 예술가 아님
-여러 방면의 예술에 조예가 깊은 러시아 귀족 출신
-발레루스를 창단하였으며 이 발레단을 통해 20세기 초 유럽의 황폐한 예술계에 발레를 다시 극장에서 중심적인 위
치에 자리하게 했다.

∵미셀 포킨(Michel Fokine)


-발레루스의 첫 번째 안무가
-당시의 형식적이고 무미건조한 표현의 고전 주의 발레에서 벗어나고자 하여 발레의 모습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를
만들었다.
-추상발레 ; 내용 없이 놀라운 테크닉에 집중하는 현대발레의 시작점이 되는 발레

∵안나 파블로바(Anna Pavlova)


-빈사의 백조
-마린스키 발레단의 프리마 발레리나로 러시아의 위대한 무용수었으며 뛰어난 서정성으로 추앙 받았다.

∵바슬라브 니진스키(Vaslav Nijinsky)


-춤의 신(놀라운 도약력과 탁월한 삐루엣 (턴 : 데미 포인트로 남자무용수는 굉장히 어려운 ) 과 같은 기교능력,
표현력 등으로 현대발레 최초로 남성무용수의 확고한 위치를 인정받았다)
-안무가로서도 재능이 있어 아방가르드적( 실험적인 ) 안무 발달에 전초적인 역할을 했다.

∵조지 발란쉰(George Balanchine)


-안무의 모차르트(발란쉰의 발레를 가리켜 흔히 ‘보이는 음악’이라 표현)
-발레루스의 마지막 안무가로 발레루스 해체 이 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시티 발레단을 만들고 신고전주의 발레를
창조한다., 표현보다는 움직임

■발레루스의 새 발레
∵빈사의 백조(The Dying Swan), 1905년
안무:미셜 포킨(Michel Fokine)
음악:까미유 생상(Camille Saint Saens)
-죽어가는 백조를 아름답게 묘사(파블로바와 동일시 되는 작품)
-이제까지 창조되었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솔로작품으로 일반 대중에게 발레의 상징적인 본질을 대표적으로 보여
주는 작품

∵레 실피드/쇼피니아나(1909)
안무:미셜 포킨(Michel Fokine)
음악:프레드릭 쇼팽(Frederic Chopin)
-19세기 낭만주의의 백색발레(Ballet Blanc)의 재현
-최초의 추상발레

∵페트류슈카(Petrouchka), 1911년
안무:미셜 포킨(Michel Fokine)
음악: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미셜 포킨의 대표작
-마임, 민속적인 주제와 고전발레가 극적으로 종합되어 작품의 분위기와 인물, 음악과 동작들이 분리 될 수 없을 정
도로 잘 조화된 작품
가장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히는 완성도가 높은 작품

∵장미의 정령(Le Spectre de la Rose), 1911


안무:미셜 포킨(Michel Fokine)
음악:칼 마리아 본 베버(Carl Maria von Weber)
의상, 배경:레옹 박스트(Leon Bakst)
-<무도회에의 권유>라는 피아노곡의 편곡을 사용한 단 두 명의 무용수가 펼치는 파드되로 이루어짐
-무도회에서 돌아온 소녀의 가슴에 꽂혀있던 장미에서 정령이 나타나 밤새도록 같이 춤춘다는 내용
-특히 창 밖으로 뛰어 나가는 니진스키의 점프,도약(엘레바시옹)은 현재까지 전설로 남아 있다.

∵목신의 오후(L'Apres-midi d'un Faune), 1912


안무:바슬라브 니진스키(Vaslave Nijinsky)
음악: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무대장치 및 의상:레옹 박스트
-스테반 말라르메의 시를 묘사한 드뷔시의 음악에 춤을 더한 작품
-과감한 성적인 묘사와 이차원적인 움직임이 특징

∵봄의 제전(Le Sacre 여 Peintemp), 1913


안무:바슬라브 니진스키(Vaslave Nijinsky)
음악: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초연은 익숙지 않은 니진스키의 움직임과 불협화음의 원시적인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때문에 예술적 가치가 서로
다른 관객들 간의 견해차이로 치고 받는 난동까지 불러일으킨 유명하고도 악명 높은 작품
-러시아 원시부족의 제의를 표현하고자 만들어진 것으로 소재와 음악의 훌륭함으로 인해 이 후 많은 안무가들의 도
전을 받고 있다.

문제)세르게이 디아길레프는 발레루스의 첫 번째 안무가이다.(X)


■영화보기
∵안나 파블로바(전형적인 전기 영화)
-마리우스 프티파, 미셀 포킨과의 만남
-빈사의 백조: 가슴에 붉은색 보석은 총에 맞은 것을 상징함
문제) 빈사의 백조의 작곡가는? 카미유 생상

∵니진스키(니진스키의 삶의 초점을 영화화함)


-장미의 정령
-목신의 오후: 성적표현으로 논란
-봄의 제전:관객의 야유, 난동 및 싸움

■발레 루스 해체
-디아길레프의 사망 이후 발레루스는 해체되었다.
-그가 남긴 72편의 작업과 발레루스의 안무가들은 세계전역으로 흩어져 다음 발레 역사의 주역이 된다.

<학습정리>
-발레 현대화의 문을 발레루스는 디아길레프가 이끈 러시아 발레를 유럽에 소개할 목적으로 창단된 단체였다.
-발레루스의 예술가들은 현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새로운 형태의 발레를 창조해 내었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퀴즈>
클레식 튜튜는 다리의 테크닉을 더 잘 보이게 한다.(O)
영화 Turning Point에 등장하는 에밀리아의 어머니는 엠마이다(X)

(7주차)
■학습목표
주제:현대발레와 현대무용
-현대발레의 특성과 현대발레의 여러종류를 알 수 있다.
-현대무용의 생성과 대표적 무용가들에 대해 알 수 있다.

■학습내용
1.현대발레의 여러 갈래
2.현대발레의 특성
3.현대무용

■현대발레
-발레의 현대화는 낭만발레와 고전발레의 시기를 지나 발레루스의 활동으로부터 시작됨, 실험적인 안무 시작
-발레루스의 20년 동안의 짧은 활약 이 후 이 전통을 이어받은 발레루스의 안무가와 무용수들은 세계 각지로 흩어
져 자신의 고유한 스타일의 발레를 발달시키기 시작함
-당시 새롭게 대두되고 있던 현대무용의 태동은 발레에 큰 영향을 미침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ê
[발레의 현대화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함]
-발레루스의 작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추상발레, 입체파 발레, 미래주의 발레, 원시주의 발레, 그 뒤를 잇는 미국
의 신고전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세계각국의 많은 발레단들은 전통적인 작품 이외에 현대무용의 움직
임, 재즈, 락, 힙합 등등 다양한 움직임들을 발레에 도입시켜 새로운 형태의 발레를 탄생시킴
∵추상발레
-포킨의 안무로부터 시작된 추상발레는 줄거리가 없고 오로지 무용수들의 움직임 그 자체만을 강조하여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발레 형식.
-최초의 작품은 <레 실피드>

∵신고전주의
-고전주의 발레의 새로운 해석에 해당하는 새로운 양식으로 고전적 움직임의 어휘, 즉 클래식 테크닉은 그대로 살
려둔 채 현대적인 해석을 통해 새로운 선과 색다른 연결 방식 (예 : 니진스키)그리고 유례없는 움직임 이미지를 만
들어낸 것으로 발레루스의 마지막 안무자 조지 발란쉰이 미국에 발레를 정착시키면서 창조해낸 양식
음악이나 무대를 최소화 하고 움직임 중시
-조지 발란쉰 : 미국의 발레를 훌륭하게 발전시켰으며 뉴욕시티 발레단의 창립자

■영화보기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벤자민과 데이지의 어린 시절의 첫 만남,발레리나가 된 데이지와 중년이 된 벤자민의 만남

∵드라마틱 발레
-고전발레의 테크틱을 바탕으로 추상적 표현을 줄이고 사실적인 묘사와 극적 구성을 강조하는 줄거리가 있는 발레
-존 크랑코의 <오네긴>, <말괄량이 길들이기>, 보리스 에이프만의 <차이코프스키>, <안나 카레리나>, <붉은 지젤>
등이 유명

∵패러디 발레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형태로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작품의 소재가 고갈되거나 소진되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형식
<패러디>
-유명한 작품을 익살스럽기 하거나 조롱하기 위해 흉내 내는 풍자의 한 형식
-선행의 기성품을 계승, 비판, 재조합하기 위해 재기호화 하는 의도적 모방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마크에츠의 ‘지젤’등이 유명하다.
■영화보기
∵빌리 엘리어트
-영국 한 파업한 탄광촌의 11살 소년이 자신의 꿈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그린영화.
-가족애와 꿈을 향해 노력하는 빌리의 노력이 은은하게 감동과 웃음으로 피어오르는 드라마로 마지막 빌리가 이루
어낸 무용수로서의 성공이 매튜 본의 패러디 발레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으로 분한 장면으로 묘사되면서 영화의 끝
을 맺는다.
동영상:데미 플리에-반만 내려감
Q1)빌리엘리어트에서 성공한 빌리(Billy)가 한 공연은? 백조의 호수

■현대발레의 특성
1)발레의 기본적인 움직임 위에 현대무용, 재즈, 민속춤 등 다양한 기법을 도입하고 혼용한 것으로 춤 언어의 모습
이 다양해짐
2)작품내용이 명확히 발레로 구분되는 것과 현대무용이나 포스트모더니즘 무용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까지 다양하
지만 근본적으로 절충주의적인 작품성격을 지님
3)고도로 세련되고 발전되어가는 극장예술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총체 예술적인 종합발레를 지향함

■영화감상
∵열정의 무대
American Ballet Academyd의 오디션 장면으로 시작되는 이 영화는 오디션에 합격한 열정은 있지만 재능은 부족한
조디 소여, 선천적 재능은 타고났지만 반항적인 태도로 교사의 미움을 받는 이바 로드리게즈,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
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채 정상을 향해 달리는 냉정한 모린 커밍스 등이 발레단 입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졸업 오디션을 준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

∵퍼스트포지션
미국의 ‘유스 아메리카 그랑프리’는 20세 이하의 발레 댄서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꿈의 무대로, 여기에서 수상을 하
면 세계최고의 발레단에 입단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
전세계의 나이도 피부색도 다른 오디션 참가자들은 자신의 기량을 평가받기 위한 오로지 단 5분의 무대를 위해 땀
과 눈물을 매일 흘리며 자신의 열정을 모두 쏟으며 대회를 준비함.
대회는 클래식 발레와 모던 발레 두 작품으로 평가 받음.

Q1)열정의 무대의 조디 소여는 ABC에 입단하였다. ( X )

■현대무용
-20세기 초에 등장한 새로운 춤 형태인 현대무용은 수 백 년의 전통을 지닌 발레에 대한 도전으로 생겨났다.
-발레의 전통적인 테크닉 체계에 대한 도전과 발레의 무용이념에 대한 혁신으로 당대 변화하는 현대적인 예술개념
에 들어맞는 무용양식의 출현
-현대무용의 최우선적인 목적은 구경거리가 아닌 안무자의 감정적 경험과 직관적 인식 혹은 포착하기 어려운 진실
등의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 그리고 세계관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것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 1877~1927)


-현대무용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던컨은 자연으로부터 받은 영감을 춤으로 표현하였다. 그녀의 자연성을 강조하는
움직임은 단순하고 조화로웠으며 음악에 대한 즉흥적인 반응과 해석으로 유명했다. 이러한 그녀의 춤에 대한 철학
은 사회로부터 억압 받던 상시 여성해방과 자아확립( 군무가 아닌 솔로춤, 음악, 의상 자유 ) 에 기여했다.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1894~1991)
-미국의 현대무용을 이끌었던 인물로 움직임의 이론을 호흡의 들이쉼과 내쉼에 기본을 두고 특히 몸통의 수축과 이
완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렇게 구축한 그녀의 대표적인 스타일이자 무용언어인 수축과 이완이라는 움직임은 현대
무용의 중요한 움직임의 원리가 되어왔다. 1951년 무용학교를 열면서 자신의 테크닉을 체계적으로 보급하였고 전세
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도리스 험프리(Doris Humphrey, 1895~1958)


-안무가로서, 무용수로서 그리고 미국 현대무용의 주요한 교육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도리스 험프리는 진실과 현
실주의라는 주장 하에 인간 움직임의 기본 원천을 찾고자하여 낙하와 회복이라는 테크닉을 발견했다. 이것은 크게
는 지구의 중력을 그대로 인정하고자 한 시도로 평가된다.

∵마리 뷔그만(Mary Wigman, 1886~1973)


-독일 표현주의 무용의 창시자로 근 50년간 독일 표현주의 현대무용을 이끌어 왔으며 자기표현에 중점을 둔 움직임
을 강조하는 무용을 추구했다.

∵머스 커닝햄(Merce Cunningham, 1919~)


-포스트 모던 무용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커닝햄은 이전의 무용이 표현하고자 한 절정, 공포, 좌절, 격분과 같은 감
정 표충에서부터 벗어나 움직임 그 자체에 관한, 움직임을 위한 무용을 만들었다.

∵피나 바우쉬(Pina Bausch, 1940~)


-20세기 가장 위대한 무용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독일의 세계적인 무용수이다.
-1973년 부퍼탈 무용단의 예술감독 겸 안무가로 취임한 이후 연극과 무용의 경계를 넘나드는 ‘탄츠테아터
(Tanztheater)'라는 혁신적인 장르를 발전시킴으로써 독일의 지방도시 부퍼탈의 이름없는 시립 무용단을 세계 최정
상에 올려놓은 위대한 예술가이다.
*탄츠테아터(Tanztheater 극무용):무용작품에서 연극적인 대사를 구사하기도 하는 등 무대장치도 추상성을 벗어나
일상용품들로 구성하는 ‘무용+연극’이다.
-피나 바우쉬의 대표작으로는 카네이션과 카페 뮐러 등이 있다.
-근래에는 세계 각국의 도시들에 장기체류하여 그 도시를 모티브로 작품을 창작하는 ‘세계 도시 시리즈’를 발표하고
있으며 2005년 한국을 소재로 한 작품 러프 컷이 서울에서 초연 되었다.

∵그녀에게(Talk to Her)
-아름다운 짝사랑을 그린 알모도바르의 걸작
-음악과 아름다운 무용장면들이 더욱 영화에 빠져들게 한다.
-베니그노(간호사)와 알리사, 마르코(잡지기사)와 리디아(여자 투우사), 베니그노와 마르코

∵카페 뮐러
-1978년에 만들어져 피나 바우쉬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가져다 주는 동시에 Tanztheater(극무용)이라는 새로운 장르
를 여는 서막과 같은 작품.

∵마주르카 포고
-세계 도시 시리즈 중 포르투갈의 리스본을 배경으로 한 작품.

Q1)현대무용의 중요한 움직임의 원리인 수축과 이완이라는 무용언어를 구축한 미국의 현대무용을 이끌었던 인물은?
마사 그레이엄

<학습정리>
-현대발레는 고전발레에 비해 표현내용에서나 움직임 스타일 그리고 테크닉과 안무 등에서 다양한 실험과 해석을
통해 표현성이 강화되고 전통테크닉의 구속에서 자유로워짐으로 새로운 움직임 언어를 지니게 되면서 그 예술적
자율성과 가치를 획득했다고 할 수 있다.
-조지 발란쉰에 의해 만들어진 신고전주의 발레는 기존 발레의 어휘를 새롭게 해석하여 새로운 움직임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패러디 발레는 현대발레의 한 유형으로 발레의 소재와 형식의 범위를 더욱 확대시켰다.
-현대무용은 근본적으로 자유로움에서 발생한 춤 형태로 위대한 여러 무용가들에 의해 현재까지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