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4

서.양.음.악.

▲바로크음악

152
고대의 음악
I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음악은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본 단원에서는 태초의 소
리의 발생과 인류의 문명 발상지에서의 음악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단원을 통하여 서양 음악의 뿌리가 되는 고대 그리스의
음악관을 공부하고, 고대 그리스의 문화가 서양 음악에 끼친 영향을
알아보도록 한다.

1. 음악의 기원과 고대의 음악 154


1 음악의 기원과 고대의 음악
❶ 태초 음악은 소리를 듣고 느끼는 것에서 시작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❷ 문명 발상지에서 다양한 음악 문화가 발전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❸ 서양 최초의 음악 문화는 그리스에서 탄생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1) 태초의 음악

인류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역의 소리들을 그들 나름의 방식으로 구성


하여 음악을 만들고 전승해 왔다.
최초의 인류는 돌을 이용해서 짐승을 잡거나 열매의 즙을 냈을 것이다. 이
러한 과정, 즉 무엇인가를 던지고, 누르고, 두드리고, 흔들고, 부딪치는 과정
에서 초보적인 리듬이 탄생하게 되었다.
구석기 지금으로부터 5~6만 년 전 구석기 시대 중기쯤부터 인류는 목소리의 높이
뗀석기(打製石器)라고도 한 나 음색의 변화로 감정이나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생각되며, 기원전 4만 년경
다. 돌을 깨뜨려서 특별하
게 가공하지 않고 쓰임새에 에는 노래를 부르는 것은 물론이고 돌, 속을 파낸 나무줄기, 크기에 맞추어
맞는 것을 골라 생활 도구
자른 동물 뼈나 갈대 등으로 음높이가 있는 도구를 만들어 사용했던 것으로
로 사용했던 시기를 말한
다. 추정된다.
그러나 음악이 하나의 문화로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

신석기
게 된 기원전 1만 년경 신석기 시대로 알려져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신
마제 석기(磨製石器)라고도 석기 시대는 단순히 돌을 깨뜨려 사용하지 않고 갈아서 사용함으로써 구석기
한다. 신석기 덕분에 악기
시대보다 정교한 음높이를 가진 음악적인 도구를 사용하게 되었다.
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즉,
악기의 원본을 만든 후 이
것을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
의 음이 나오는 똑같은 악
기 여러 개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남아메리카 페루에서 출토된 피리


흙으로 빚어서 만들어졌고, 입을 대서 부는 구멍이 두 개 있다. 여기에 빚어진 사람 모양도 악기를
연주하는 자세로 빚어져 있다.

154 서양 음악사
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살게 된 것은 또 다른 측면에서 음악이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는 경제의 계층화와 노동의 분업
화가 이루어졌으며, 함께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기르게 되면서 사람들은 먹
을 양식을 찾아 하루 종일 헤매지 않고도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겨난 보다 자유로운 시간은 문명이 태동하는 기틀이 되었다.

(2) 고대 문명

인류 최초의 문명은 비옥한 토양으로 이루어진 메소포타미아의 티그리


스·유프라테스 강, 이집트의 나일 강, 인도의 인더스 강, 중국의 황하 주변
에서 싹트기 시작하였다. 이 네 곳의 고대 문명 중에서 서양 음악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되는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
트 문명은 서양 음악의 모
에 대해서 살펴보자. 태가 된 고대 그리스 문명
에 영향을 끼쳤으며, 서양
악기의 유형에도 영향을 미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문명
문명 황하(
황하(문명문명 쳤다.
티그
지지 티그

해 유유프라프라
리스 강


중 해 황( 하
인더스 ( 강

대( 서( 양 황( 하
(강


인더스

테테

나 스스
( 강(
이집트( 문명 일나
이집트( 문명 강
태(태(
평(평(
양양

강강
인더스(문명
인더스( 문명
벵골(
벵골(만만

인( 도( 양
인( 도( 양

▲ 세계 4대 문명 발상지

!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음악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발달한 문명
을 말한다. 유프라테스 강 하류에는 원래 수메르 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기원
전 2800년경에 셈족 사람들이 이 땅에 쳐들어왔다. 그리하여 이전에 수메르 ▲ 메소포타미아의 악기
기원전 2000년경에 만들
인들이 쌓아올린 고대 문명은 셈 계열의 아카드 인에게 전승되었다. 수메르
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일종
인들은 집과 신전에서 신께 기도를 올렸는데 이 예배에서 음악은 중요한 역 의 종(鐘)으로, 청동으로 만
들어졌고 길이는 32cm이
할을 했다.‘우르’유적에서 출토된 악기나,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장면을 그
다. 한 줄에 꿰어져 있는
린 그림을 보면 은이나 갈대로 만든 피리, 하프, 8~11개의 현이 있는 리라, 동그란 금속판 두 개를 부
딪쳐서 소리를 냈다.
대가 긴 류트, 조그만 북, 심벌 등이 그려져 있다. 이로써 그들에게는 이미 세
련된 음악 예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Ⅰ. 고대의 음악 155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는 티그리스 강을 끼고 있는 아시리아와 유프라테스 강 유역의 바빌로니아에
이 지역에 설립된 고대 왕
국이다. 서 음악가는 대단한 존경을 받았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사회에서 음악가는
왕과 성직자 다음가는 지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당시 아시
아시리아 인 리아 인들은 다른 도시를 정복할 때 대학살을 벌이고는 했는데 음악가만은
아시리아 인들의 음악인 보
예외로 하여 비록 적일지라도 죽이지 않고 다른 전리품과 함께 본국으로 데
호와 관련하여“성서”
에 보
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리고 돌아왔다.
나온다.
이렇게 음악가들을 데리고 온 덕분에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음악은 더욱
‘우리를 사로잡은 자가 거
기서 우리에게 노래를 청하 발전하였고, 바빌로니아의 전성기에 이르러서는 대규모의 악대까지 편성되기
며 우리를 황폐케 한 자가
에 이르렀다.
기쁨을 청하고……’
(시편 제137편‘바빌론 포
로의 노래’제3절)

피라미드
▲ 메소포타미아 유적지에서 나온 점토판 ▲ 아시리아 문명의 부조
기원전 1900년경의 것으로 하프 모양의 현악 기원전 700년경의 부조로서, 나란히 놓인 하프를 연주
기를 연주하고 있는 모습 하고 있는 모습

@ 이집트 문명의 음악
나일 강 유역에서 발달한 이집트 문명에서도 음악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신의 화신으로 추앙되던 이 있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자료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3100년 이전


집트의 왕 파라오의 무덤이 에 만들어진 서 있는 무용수 조각이나 병에 그려진 무용수의 모습 등이다.
다.
기원전 2700년경부터 2200년경까지를 이집트의‘고왕국(古王國)’시대라
중왕국 고 하는데, 거대한 피라미드들이 바로 이 시기에 축조되었다. 이 시기의 벽화
기원전 2100년 경 부 터 에는 노래하는 사람, 하프를 타는 사람, 긴 피리를 부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
1800년경에 있었던 이집트
의 왕조 려져 있다. 이들 그림에서 우리는 종교적이라기보다는 가정적이고 감미로운
음악을 느낄 수 있다. 그 당시 이집트 음악은 파라오의 강력한 지배 하에서
신왕국 하나의 전통을 형성하였다.
기원전 1600년 경 부 터
중왕국(中王國)과 신왕국(新王國) 시기의 음악 자료는 더 많이 남아 있다.
1100년경에 있었던 이집트
의 왕조 특히 당시에는 커다란 악단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 악단은 하프, 류트, 더

156 서양 음악사
블 오보에, 트럼펫, 크로탈, 드럼 등으로 편성되었다. 이 악기들은 람세스 더블 오보에
갈대로 만들었고 관이 두
(B.C. 1300년~1200년경), 투탕카멘 왕조를 거치면서 완성된 것으로 아주 좋
개인 오보에
은 상태로 발견되어 보존되고 있다.
고왕국과 중왕국 시대의 음악가들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와 마찬가지로 크로탈

사회적으로 높은 신분이 주어졌으나 그 이후에는 지위가 낮아진 것으로 추정 현재의 캐스터네츠와 비슷


한 악기
된다. 왜냐하면 그 후에는 음악가들의 이름이 문서에서도 별로 발견되지 않
을 뿐더러, 당시의 그림을 보면 음악가들이 노예 복장을 한 채 주인 앞에 무
릎을 꿇고 있는 모습도 보이기 때문이다.

▲ 기원전 1400년의
피라미드 벽화
여성 음악가들이 활 모양의
커다란 하프와 목이 길고

▲ 이집트의 그림 끝에 종이 달린 류트를 연

하프 모양의 악기 연주자와 무용하는 사람들 모습이 그려져 있다. 주하고 있다.

(3) 고대 그리스의 음악적 유산

고대 문명이 차츰 쇠퇴해져 갈 무렵에 서양 음악의 모태가 되는 음악 문화


가 고대 그리스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음악에 대해서 현재 알
려져 있는 것은 기원전 7세기 이후의 내용들뿐인데, 고대의 크레타, 미케네
시대의 전설에 의하면 그리스의 음악은 이오니아의 땅에서 싹터서 프리기아
와 리디아 지역 등으로 퍼져나갔다고 한다.

! 고대 그리스 음악
음악(music)이라는 말은 그리스 말인‘무지케(musikē)’
에서 유래한 것이
다. 무지케란 전인격적인 능력과 교양을 뜻하는 말이며, 구체적으로는 시·
노래·기악·무용이 통합된 것으로서 그 핵심은 시이다. 무지케라는 단어의
▲ 고대 그리스의
의미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고대 그리스의 음악은 지금과 같은 음악 형태
파르테논 신전
로 독립된 것이 아니라 언어의 운율, 리듬과 밀접히 결부되어 있었다.
고대 그리스의 중요한 음악 행사는 도시 국가인 폴리스의 관리에 의해 시

Ⅰ. 고대의 음악 157
민적인 제사와 제전 등에서 거행되었다. 특히 다수의 도시 국가가 참가한 올
림피아 경기에서 체육 경기와 함께 반드시 음악 경연이 벌어졌다고 한다. 음
악은 청년들의 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과목의 하나였으며, 이 때문에 그리스
시민들은 일반적으로 음악에 대한 이해력이 높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10세기 이후에 서양 음악의 특색인 화성법이나 대위법의 관념은 없었으며,
주로 가사가 붙은 단선율의 노래들이 불리었고, 순수한 기악은 발달하지 못
하였다.

피타고라스 고대 그리스에서 수학자·철학자로 유명했던 피타고라스(Pythagoras;


피타고라스는 대장간을 지 B.C. 582년경)는 만물의 근원을 수로 보고, 자연수가 물질세계와 음악적 구
나가다가 조화로운 소리의
울림을 감지하였던 것으로
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이론을 설파하였다. 피타고라스는 두 음의 음
전해진다. 1:2의 비율로 정 관계를 수적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우주와 물리적 현상인 소리가 그 조화
울리는 망치 소리는 옥타브
음정을, 2:3의 비율로 울 로움에 기인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윤리적 음악관’
의 발전에 힘썼는데
리는 두 망치 소리는 완전
이 윤리적 음악관이란 사상과 음악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개념으로
5도를 낸다는 것을 깨달았
다고 한다. 생각하는 것으로, 좋은 음악이란 우주를 지배하고 있는 신비로운 수의 비례
가 귀에 들리는 것이며, 그러한 음악 속에서 정신은 우주의 조화를 감지한다
는 정신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피타고라스의 음악관은 플라톤(Platon; B.C. 429~347년경)에 의
해 계승되고 확장되었으며, 훗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년경)와 같은 위대한 철학자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보충 자료 피타고라스 음계

소리가 완전 5도의 비율을 이루었을 때 아름다운 소리가 난다


는 것에서 착안하여 수학자인 피타고라스가 만든 음계이다. 하나
의 현을 기준으로 했을 때 2
3 되는 길이의 소리는 정확하게 완전
5도 위의 음이 된다. 2
3 되는 길이로 소리 나는 음을 반복적으로
구하면 12반음을 모두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을 피타고라스 음계
라고 부르며, 이는 고전적 음계에서 매우 중요한 5도권(Circle
of fifth)의 기반이 되었다. C
F G
B D

E A

A E
D B
F
▲ 피타고라스가 소리를 연구하는 모습

158 서양 음악사
한편 고대 그리스에서 음악과 시는 같은 말이었다. 그래서 위대한 음악가
들은 위대한 시인이기도 했다. 레스보스 출신의 테르판토스, 여류 시인 사포,
아카이오스 세 사람은 음악과 시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기원전 6세기부
터 7세기에 활동한 이들의 영향으로 이오니아에서는 서정시가 꽃피었으며,
고대 그리스 학교에서는 충실한 음악 교육이 실시되었다. 또한 이 세 명은 음
악에서의 틀을 결정지었는데, 그것은 서정시 전체를 통해 일정한 선율을 반
복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반복되는 선율을 노모스(nomos)라고 하며, 이것이 고대 그리스의 음악들은 제
전과 같은 특별한 행사를
고대 그리스 음악의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노
모스는 춤과 깊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
@ 고대 그리스의 음악관 다.

초기의 고대 그리스 음악은 소수의 귀족들에 의한 전유물도 아니었고 종교


적 의식의 일부도 아니라 모든 인간이 자유롭게 생활을 즐기기 위한 요소였
다.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합창대에 들어가 노래 부르거나
함께 춤을 추기도 했으며, 술과 축제의 신 디오니소스를 칭송하기 위해 합창
을 하기도 했다.
이후 고대 그리스의 음악관은 다수의 위대한 철학가들에 의해 그 깊이를
더하게 되었는데, 피타고라스학파가 윤리적 음악관을 제시한 이후부터 고대
그리스 인들의 음악에 대한 생각은 서유럽 인들의 음악관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 피타고라스학파의 음악관
피타고라스학파는 B.C. 6세기부터 B.C. 4세기 사이에 피타고라스와 그의
계승자들을 통해 번성했던 고대 그리스 철학 분파이다. 만물의 근원은 숫자
이며 수의 조화가 다양한 우주 만물을 만들어 내고, 이를 유지하는 법칙이 존
재한다는 피타고라스의 철학을 계승하고 추종하였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음악
의 화음과 장단이 우주의 조화로움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믿었으며, 이러한
하르모니아
정신을 바탕으로 음악을 존중하였다.
조화(調和)라는 뜻으로서
이는 선율이 움직이는 길과
그 결과인 독특한 음계구조
2) 라소스와 핀타로스의 음악관
에 의해서 구별되었다고 추
기원전 6세기 아테네의 라소스(기원전 530~520년경)는 음악을 통해 수의 측된다.

질서를 가르쳤으며‘하르모니아(Harmonia)를 정의했다. 그의 제자였던 핀 미메시스


인물이나 사물의 말, 동작,
다로스(기원전 522~442년경)는 합창을 위한 서정시를 완성함과 동시에‘미
형태의 특징을 모방해서 대
메시스’이론을 발표하였다. 상을 표현하는 방법

Ⅰ. 고대의 음악 159
3) 다몬의 음악관
기원전 5세기경에 아테네에서 활약한 철학자이자 음악가인 다몬의 생각은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다몬은 아테네의 평의
에토스 회에서 음악이 가지는 윤리적 성질이나 교육상의 효과에 대한 개념인‘에토
에토스란 민족적·사회적인
스’
에 대해 정의하며 음악 교육에 관한 신념을 밝혔다. 또, 진정한 음악의 정
관습을 뜻하는 것으로서 에
토스론이란 음악이 인간의 신은‘아름다움’
이라기보다는‘선함’
이며, 예술은 우주를 모방·반영하며 영
정신과 육체에 매우 중요한
혼은 그 예술에 의한 표현을 모방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음악이‘선’
을 모방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다.
하는 것처럼‘악’
을 모방할 수도 있으므로, 음악이 국가에 위험한 것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음악 교육을 바르게 할 필요가 있다고 주창하
였다.

플라톤의“국가” 4) 플라톤의 음악관


플라톤은 이 책에서 도리아
고대 그리스의 음악 철학은 플라톤(Platon B.C. 429~347년경)에 이르러
선법은 용기, 프리지아 선
법은 절제를 표현하는 것이 새롭게 변모하였다. 플라톤은“국가”
라는 책에서 다몬의 윤리적인 음악 철학
라고 말하고, 그 이외의 선
에 충실히 따르면서도, 덧붙여 음악이 주는 기쁨에 대한 소견을 밝혔다. 또한
법(리디아나 이오니아 등)
은 교육에 맞지 않는 것이 음악이 어린이들의 교육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중시하였다.
라 하여 배척했다. (이들 선
법은 훗날 중세 유럽의 교
회 선법에서도 같은 이름으 5) 아리스토텔레스의 음악관
로 쓰여졌으나 음계의 형태
는 다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년경)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을 음악에 담아내는 것을 인정하였으며, 음악의 중요한 역
카타르시스 할은 카타르시스라고 정의하였다. 카타르시스란 영혼의 정화를 의미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카타르시
어떤 종류의 음악이 야기하는 혼란한 감정이 오히려 마음의 평안을 찾는 계
가 인간의 의지와는 관계가
없으며, 자아나 희로애락으 기가 된다는 것을 뜻을 포함하고 있다.
로부터 해방을 가능하게 한
다고 하였다.
6) 아리스토크세노스의 음악관
기원전 4세기 후반의 아리스토크세노스(Aristoxenos; B.C. 375/360~?)
는 플라톤 이전 시대의 음악이 얼마나 탁월했는가를 지적하면서, 철학자들과
기하학자들의 추상적인 말장난에 빠진 당시의 음악을 비판하였다. 음악에 대
한 현학적 논의의 결과로 음악은 일부 전문가들의 것이 되어 버렸으며, 음악
문화는 협소화되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 류트 연주자 # 고대 그리스의 음 체계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시대
아리스토크레노스에 의하면, 그리스 음악의 이론 체계에서 기초가 되는 중
의 조각

160 서양 음악사
요한 것은 2옥타브의 음역을 가진‘대완전 체계(great perfect system)'이 테트라코드
연속하는 4개음으로 구성
다. 이 음렬은 4개의 같은 종류의 테트라코드를 이어서 맞춘 것이다. 이러한
되며 최고음과 최저음이 완
테트라코드의 음계 형성법은 비잔티움 성가와 중세의 교회 선법의 기초가 되 전4도를 이루는 4음 음계.

었다.

▲ 심벌즈를 가진 무용수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시대
의 조각

▲ 군신 마르스와 비너스
리라 반주에 맞추어 춤추는 무용수들 위에 두 사람이 군림하고 있다.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안드레아 만테나의 그림)

보충 자료 대완전 체계 (great perfect system)

테트라코드는 고대 그리스의 음계 형성법으로서 최고음과 최저음이 완전 4도로 이루어져 있는 음렬이


다. 이 테트라코드는 겹침 연결(conjunct)과 인접 연결(disjunt)를 통하여 하나의 옥타브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을 확대하여 두 옥타브를 만드는 것을 대완전 체계라고 한다.

<보기 1> 테트라코드의 겹침 연결, <보기 2> 테트라코드의 인접 연결,

<보기 3> 대완전 음렬,

선법의 성격을 결정짓는 옥타브 추가음


(the characteristic octave)

Ⅰ. 고대의 음악 161
$ 고대 그리스의 음악 문헌
그리스 인들은 문자를 써서 음을 악보에 적는 방법을 만들어 냈으나 그 기
보법은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악보가 기록된 형태로 남아 있는 작품은 에우
리피데스의 비극‘오레스테스’
(기원전 약 200년) 중의 합창 부분, 기원전 2
세기 무렵 술의 노래인‘세이킬로스의 묘비명’
의 선율, 기원전 2세기경의
‘학문의 여신, 태양의 신에 대한 찬가’등이다.
이와 같이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의 음악 문헌은 매우 빈약한 편이지만 그
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음악의 역사와 이론은 상당히 높이 평가 받고 있다.
그 이유는 그리스 문화의 과학적인 경향을 반영하여 음향학, 음악 이론, 음악
미학 등 음악에 관한 연구가 서적 형태로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피타고라스의 조율법은 오늘날에도 서양 음악 조율법의 기초가 되고 있으
며, 아리스토크세노스의 음계 이론의 체계는 후세에 모범이 되었다. 또한 플
라톤·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가는 음악에 관한 미학적인 저술을 남겼다.
음률 이와 같이 고대 그리스의 음악은 음악에 대한 철학과 음률에 대한 기초 토
음악에 사용되는 음높이의
대를 제공함으로써 서양 음악의 모태가 되었다.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를 태
상대적인 관계를 물리적·
음악적으로 규정한 것. 동시킨 단선율 양식, 인간 본연의 감성을 인정한 르네상스 시대의 정신, 고전
적 아름다움으로 회귀하고자 했던 고전주의 시대의 정신적 근원의 바탕에는
모두 고대 그리스 음악의 정신이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최초의 문명 발상지 중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에서의 음악적 특징을 정리
해 보자.
2 . 고대 그리스 음악에서 피타고라스의 음악적 업적을 적어 보자
3 . 고대 그리스의 음악관을 정리해서 발표해 보자.

162 서양 음악사
중세의 음악
II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중세의 음악은 정치·사회·종교적으로는 교부 철학을 사상적 배
경으로 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교회 음악이 세속 음악보다 더 큰 비
중으로 다루어졌다.
중세의 음악은 아르스 노바를 기점으로 하여 리듬이 자유로워지
고 세속 음악도 존중하는 풍토가 조성되었다. 단선율로부터 다성 음
악으로 변화하는 중세 시대의 음악의 흐름을 알아보자.

1. 중세의 음악 164
1 중세의 음악
❶ 중세의 음악은 교회 음악이 세속 음악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❷ 아르스 노바를 기점으로 중세 교회 음악의 리듬이 자유로워지고, 세속 음악도 존중하
는 풍토가 조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❸ 중세의 교회 음악은 단선율로부터 극도의 다성 음악으로 발전해 나갔음을 이해할 수
있다.

(1) 중세와 기독교

서양의 음악사에서 중세라고 하면 초기 기독교 문화가 정착되던 시기부터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1450년대까지를 일컫는다. 중세 시대는 정신적으로 기
독교 교부 철학의 영향 아래 있던 시기였으며, 음악의 의미와 가치가 가장 완
▲ 그리스도
(다프네 성당, 12세기) 벽함의 표상인 하나님을 찬양할 때 생기는 것이라고 믿었다.
당시 로마 제국은 황제 숭배를 절대적인 국민의례로 강요하였으나 기독교
교부 철학
도들은 황제를 숭배하지 않았고, 따라서 불순분자로 낙인 찍히게 되었다. 그
교부(敎父)란 성서의 증언
들을 철학적으로 체계화하 리하여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기독교도들을 대규모로 처형하기도 했
여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정립한 사람들을 말하는데,
다(303~305).
교부 철학은 결국 철학으로 기독교는 유대교의 예배 진행의 구성과 내용, 방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승화된 기독교라 하겠다.
당시 기독교는 유대교의 개혁과도 같았고, 그 중심인물이었던 예수는 유대인
들과 로마 제국의 힘에 의해 처형되고 만다. 하지만 살아 남은 자들은 베드로
와 바울을 중심으로‘비(非)유대 인’
들을 향해 포교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런 탄압은 오히려 기독교도들의 단결심과 독실함에 불을 붙였으
며, 결국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밀라노에서 발표한 밀라노 칙령(313)으로 기
독교는 박해에서 벗어나 로마 제국 공인 종교로 인정되었다.
또한 니케아라는 도시에서 열린 니케아 공의회(325)에서는 정치·경제·
사회 등 세속적 생활 전체에 교회의 힘이 미치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수
도원이 강화되고 예배 조직도 정비되었으며, 나중에는 로마의 주교가 황제에
버금가는 교황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중세는 역사적으로 초기 기독교가 정착하는 시기, 모슬렘 문화의 침입으로
▲ 성녀 세실리아 겪는 암흑 시대, 마지막으로 9세기 이후 문화를 회복하여 발전시키는 후반기
음악의 수호 성인인 세실리
아에 관한 그림 로 구분할 수 있다.

164 서양 음악사
중세 시대 구분 용어
(2) 중세의 음악
초기의 기독교 음악은 13세
기까지 확장·발전된 음악
을 말한다.
중세 음악은 후반기에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초기 기독교 음악 시대,
14세기의 새로운 음악가들
13세기의 아르스 안티콰(Ars Antiqua), 14세기의 아르스 노바(Ars Nova), 은 13세기를 옛 음악 시대
로 여기고, 자신들이 살고
15세기의 아르스 숩틸리오르(Ars Subtilior)로 구분할 수 있다. 중세의 시대 있는 14세기를 아르스 노바
전환에서 가장 핵심이 되었던 문제는 리듬이었다. 예를 들어, 3박자 음악을 (Ars nova, 새로운 예술)라
칭하고, 이에 상반되는 아르
고집하던 13세기의 음악에 14세기는 체계적으로 2박자를 수용하면서 아르스 스 안티콰(Ars Antiqua, 옛

노바(신음악 운동)를 전개했으며, 15세기는 다성부에 각각 다른 비례의 난해 예술)라는 용어를 13세기에


부여했다. 한편 15세기에 이
한 리듬을 포함하면서 연주하기 어려운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르러 음악이 세기말적인 복
잡성을 지니기 시작하자, 역
중세의 음악은 정치·사회·종교적으로 교부 철학을 사상적 배경으로 하
사가들은 이 음악을‘이해
였으므로, 상대적으로 교회 음악이 세속 음악보다 큰 비중으로 다루어졌다. 하기 어려운 음악의 시대’
라는 뜻으로 아르스 숩틸리
중세 시대의 교회는 점차적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단순하고 단선율적인 음
오르(Ars Subtilior)라고 부
악은 여러 성부의 리듬상 복잡한 음악으로 변모해 갔다. 그렇지만 세속 음악 르게 되었다.

도 상대적으로 팽창해 가는 경향을 보였다.

! 초기 기독교 음악
교회의 종교 의식은 시편, 기도문, 그리고 성경 독서를 포함하는 의식이었
으며, 교회의 절기에 따라 특정 축일이 지정되었고 이 축일은 보다 화려한 의
식이 요구되기도 했다. 종교 음악의 밑바탕이 된 것은‘그레고리오 성가
(Gregorian Chant)’
였으며 단선율 성가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다가 이윽고 9
세기경에는 다성 음악이 출현하였다. 특히 9세기는 샤를마뉴 대제가 문예 부
흥을 일으켜 음악 교육에도 힘을 쓰던 때였으므로, 성가가 다양하게 확대 발
▲ 915년 베네딕트의 대수도
전되었다. 원장의 악보집에 있는 그레
고리오 성가

1)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
그리스도교의 종교 의식을 위해서 만들어진 중세 교회 음악을 평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라는 명칭
(plainchant)라고 하는데, 이것은 합창단이나 독창자에 의해서 반주 없이 성 은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
세(재위 590~604)에서 유
악으로만 불린 단선율 음악을 말한다. 평성가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로마를 중 래한다. 그레고리오는 로마
심으로 발전하여 프랑스에서 확립된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이 에서 행해지고 있던 예배의
방식을 기준으로 정하고,
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가사는 라틴 어였으며, 선법은 8개 교회 선법을 이용 전 유럽 기독교의 예배 형

하여 만들어졌다. 식 통일에 착수한 교황이었


다. 그의 노력에 힘입어 7
단선율 성가의 특징은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깊이 있는 화려한 음악 지평 세기에 이르러 초기 기독교
음악이 정착했다.
에 도달하는 데 있었다. 이것은 남자 수도사가 노래했으며, 화성이 없는 하나

Ⅱ. 중세의 음악 165
의 선율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단선율 성가는 음역의 폭이 한정되어 있고,
평균 10도를 넘는 일이 없다. 또한 선율의 움직임 대부분이 선법 안에서 인접
미사의 주요 성가와 순서 한 음으로 오르내리고, 도약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그 폭은 좁은 편이다. 중세
입당송(Introitus)
사람들은 이 단선율의 아름다운 성가들이 인간의 영혼을 하나님 가까이에 데
자비송(Kyrie
Kyrie eleison 려다 준다고 믿었다.
Christeleison)
대영광송(Gloria)
초기 그레고리오 성가는 일반적으로 1음절에 1음부가 주어진 실러블
화답송(Graduale) (syllable) 양식이나 때때로 가사의 한 음절 위에 긴 선율이 붙여지는 멜리스
알렐루야(Alleluia)
신앙 고백(Credo) 마(melisma) 양식으로 만들어졌다. 멜리스마 양식이 사용된 이유는 가사의
봉헌송(Offertorium)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함이거나 노래가 불려지는 날과 그 예배의 중요성
감사송,거룩하시도다
(Sanctus) 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예를 들어, 성탄절이나 부활절 같은 중요한 축일에
하나님의 어린 양
불리는 성가는 1음절의 가사에 여러 음부로 이루어진 길고 움직임이 많은 선
(Agnus Dei)
영성체송(Communio) 율이 붙여졌다. 그리 중요하지 않은 축일에 불리는 노래는 1음절에 1음부가
주어졌다.
성무일도의 순서 그레고리오 성가는 미사(missa)와 성무일도
독서의 기도(matutium)
(officium)에 사용되었다. 미사는 교회에 속한
아침 기도(laudes): 일시경
(prima), 삼시경(tertia), 육 모든 사람이 참여하여 크게 드리는 예배이며,
시경(sexta), 구시경(nona)
성무일과라고도 불리는 성무일도는 수도사들
저녁 기도 (vespers)
끝 기도(completorium) 이 날마다 체계적으로 기도할 수 있게 하기 위

미사의 성가 노래 방법으로
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는 합창단이 처음부터 끝까 성무일도에 쓰인 성가를‘힘누스(hymn; 찬
지 부르는 방법, 독창자와
합창단이 주고받으며 부르 가)’
라 한다. 힘누스의 선율은 세속에서 불려
는 방법(responsorial), 합 지던 유행가였다. 이 유행가에 신앙적이거나
창단이 둘로 나뉘어 번갈아
노래 부르는 대창 방식 교의(敎義)를 설명하는 가사를 붙여서 성가로
(antiphonal)이 있다.
▲ 가사와 악보가 함께 들어 있는 베네 만든 것이다.
힘누스 딕토 수도회의 책 이와 같이 새로운 가사나 선율 또는 가사와
성 암브로시우스라는 사제
선율 모두를 원래 노래 앞에 첨가하거나 중간에 삽입하는 것을‘트로푸스
는 이렇게 힘누스(찬가)를
포교 활동에 사용해서 큰 (tropus)’
라고 했는데 이것은 중세 음악의 큰 특징이다.
성과를 보았다.

2) 중세의 교회 선법
중세의 종교 음악가들은 방대한 양의 성가를 정리하기 위해‘교회 선법’

베네딕토 수도회의 책은 4 라는 이론을 개발하였고 이 선법은 서양 음악의 기본인 음계의 기초가 되었


선보로 씌어졌다. 다. 성가의 선율은 일반적으로 8개의 교회 선법 중 하나에 속한다.
선법이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음악 이론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선법

166 서양 음악사
의 명칭도 고대 그리스와 그 인근의 지역 이름 또는 종족의 이름에서 따다 붙
인 것이다.
8개의 선법은 정격과 짝을 이루는 4개의 변격 선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정격 선법은 각기 하나의 중요한 음을 갖고 있으며, 이 음을 종지음(fianlis) 종지음
종지음이라고 하는 이유는
이라 한다. 변격 선법은 정격 선법과 같은 종지음을 갖지만, 종지음의 4도 아
선법의 마지막이 종지음으
래부터 5도 위까지의 음역을 갖는 차이가 있다. 로 끝나기 때문이다.

제1선법. 도리아(정격 제1) 제2선법. 히포도리아(변격 제1) 각 선법은 음역과 마침음


(finalis) 및 지 배 음
(dominant)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지배음은 정격
종지음 지배음 종지음 지배음
선법에서는 마침음의 5도

제3선법. 프리지아(정격 제2) 제4선법. 히포프리지아(변격 제2) 위, 변격 선법에서는 마침


음의 3도 위에 놓이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11세기 무렵
부터 제3선법은 6도 위에,
제4, 제8선법은 4도 위에
놓이게 되었다.
제5선법. 리디아(정격 제3) 제6선법. 히포리디아(변격 제3)

중세학자들은 에올리아, 이
오니아 및 그 변격 선법인
4선법을 세속적 선법으로
제7선법. 믹솔리디아(정격 제4) 제8선법. 히포믹솔리디아(변격 제4) 구분하였다. 이것은 지금의
a단조, c장조와 비슷하며,
궁극적으로는 장ㆍ단조가
되었다.

3) 중세의 기보법
초기 성가는 구전되다가 9세기경부터 그리스어로 기호라는 의미의‘네우
마(neuma)’
라는 부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 기보법은 정확한 음높이를
표시한 것이 아니었다. 기보법은 조금씩 발전되어 현대의 5선보의 초기 형태
라 할 수 있는 2선보, 4선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2선보
에는 C(도)음과 F(파)음을 표시하는 음자리표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1030년경 귀도 다레초(Guido d’
Arezzo; 995~1050년
경)는 선들과 그 사이의 칸을 사용하여 모든 음의 정확한 높
이를 표시하는 방식의 기보법을 제안하였고 계명창법을 창
시하였다. 그는 성 요한 찬미가의 가사인‘너의 시종들이 마
음껏(Ut queant laxis)’
에서 가사의 각 구절의 시작 음이
음계의 6음과 일치하는 것을 알고 그 음절을 따와서 웃(Ut), ▲ 네우마 기보법(위)과 4선보의 예(아래)

Ⅱ. 중세의 음악 167
레(re), 미(Mi), 파(fa), 솔(sol), 라(la)의 여섯 개의 음이름을 정하였다. 이 계
명창법의 창시로 성가를 쉽게 익힐 수 있게 되었다.
<성 요한 찬미가의‘너의 시종들이 마음껏’
>
우리가 지금 사용하
는 5선보는 14세기
경부터 사용되기 시
작했다. Ut que-ant la - xis re - so - na - re fi - bris Mi - - ra ge - sto - rum fa - mu - li tu - o - rum ,

Sol - - ve pol - lu - ti la bi - i re - a - tum, San - cte Jo - an - nes ,

4) 전례극
초기 교회 음악에서 중요한 것은‘전례극’
이다. 전례극이란 특정한 축제일
을 위해 성경 속의 한 장면을 연극으로 만든 것이다. 전례극은 마태복음 중
수난 장면을 세 종류의 목소리 높이로 구분하여 썼던 것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복음 전도자의 말은 중간 목소리로, 예수의 말은 낮은 목소리로,
다성 음악 군중은 높은 목소리로 나누어 불렀다.
다성 음악의 발달은 서양
음악과 다른 문화의 음악과
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5) 다성 음악의 출현
9세기에 이르러 중세의 교회 음악은 전환기를 맞게 되는데, 그중 가장 획기
오르가눔 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다성 음악의 출현이다. 초기의 다성 음
초기 오르가눔에서 그레고
리오 성가의 선율은 항상
악은 주로 성가에서 시도되었다.
윗성부에 위치하며‘주성부 9세기 후반에 쓰인 음악 이론서에는 오르가눔(organum) 기법이 언급되어
(vox principalis; 악보의
검은 음으로 표시)'라고 했 있는데, 이것은 원래의 성가 선율을 그대로 병진행하는 것이다. 이것을 병행
으며, 병진행하는 성부를 오르가눔이라고 하며, 완전4도, 완전5도, 옥타브를 병진행으로 허용하였다.
‘오르가눔 성부(vox orga-
nalis)'라고 하며 아래 성부 병행 오르가눔 외에 두 성부가 동음으로 시작하여 완전4도에 이르면 병진행
에 놓았다.
을 하다가 끝 부분에 다시 동음으로 끝나는 오르가눔 기법도 사용되었다.
11세기경부터 오르가눔 성부는 단순히 주성부를 병행으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반진행, 사진행, 주성부와 음역이 교차하는 등 자유로운 선율 진행이
나타났다. 12세기경부터는 주성부의 한 음에 여러 음으로 된 멜리스마를 오
르가눔 성부에 사용하는‘장식 오르가눔’
이 나오게 되었다.

@ 아르스 안티콰(Ars Antiqua): 다성 음악의 발달


▲ 노트르담 대성당 12세기 프랑스는 정치가 안정되고 강화되면서 파리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노트르담은 ‘성모 마리
유럽의 중심지였으며, 1163년에 유럽 최대의 성당을 짓는다는 계획하에 노트
아’
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존칭이다. 르담(Notre Dame) 대성당이 100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파리 대학은 당시

168 서양 음악사
유럽 최고의 두뇌와 재능을 끌어모았으며, 대학에서는 음악을 교육의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관심을 기울였다. 이렇게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주변에
서 일어난 새로운 음악적 움직임을‘노트르담악파’
라고 한다.
한편, 노트르담악파가 발전하고 있는 동안 중세 음악은 새로운 장르들이
지속적으로 생겨났으며 교회 음악은 내·외적으로 팽창하고 발전하였다.
▲ 노트르담 대성당의 내부

1) 노트르담악파(파리 양식의 다성 음악) 테노르


12세기부터 오르가눔 윗성
노트르담악파는‘고딕 음악’
이라고도 일컬어진다. 고딕이라는 용어는 원래
부를 두플룸(duplum)이라
이 시대의 건축에 사용된 것이다. 오르가눔의 기준이 되는 테노르 성부에 붙 고 하며, 성가 선율이 있는
성부를 테노르(tenor)라고
여진 대선율들은 고딕 건물의 당당한 외관을 수식하는 정교한 장식에 비유할
했다.
수 있다.
노트르담악파의 특징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특징은 다
성 음악의 발달이며, 이것은 기준이 되는 테노르 성부에 두 성부 혹은 세 성
부의 대선율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는 기존에 있는 곡의 가사나 선율을 수정
하거나 붙이는 트로프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세 번째는 리듬에 있어서 3박을
고수했다는 것이다. 세 박자만을 허용한 이유는 성삼위일체와 일치한다는 생
각 때문이었다.
노트르담악파의 주요 작곡가로는 레오닌과 페로틴을 들 수 있다. 성당의
행정관이며 작곡가였던 레오닌(Leonin; 활동 시기 1150~1201년경)은 2성부
오르가눔을 작곡하였다. 레오닌이 작곡한 오르가눔들은 훈련받은 전문 가수
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전형적인 레오닌의 오르가눔 양식은 독창자에 의해
불리는 다성 부분과 합창에 의한 단성 부분 사이의 대비가 특징이다.
레오닌은 또한 교회 음악에 쓰이는 리듬을 체계화해서 그 패턴을 정리한
선법 리듬(modal rhythm) 여섯 가지를 만들어 냈다. 이전까지 악보에 리듬
은 기보가 되어 있지 않았는데, 이때부터 리듬형이 악보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선법 리듬은 모두 3박을 기본 단위로 하고 있다.
하나의 리듬형은 악구의 시작부터 쉼표가 나올 때까지 적용되며, 원칙적으
로 쉼표가 나오기 전에 다른 리듬형으로 바꾸어 사용하지 않는다.

제1리듬형 제2리듬형

제3리듬형 제4리듬형

제5리듬형 제6리듬형

Ⅱ. 중세의 음악 169
2성 오르가눔의 윗성부를 한편 페로틴(Perotin; 활동 시기 1200년경)은 레오닌의 후계자로 알려져
두플룸이라고 한 것처럼,
세 번째 성부를 트리플룸 있으며 2성부의 구조를 3성부와 4성부로 확대하여 오르가눔을 작곡했다. 페
(triplum), 네 번째 성부를 로틴의 작품은 곡의 길이가 더 길어졌으며, 리듬은 더욱 잘게 분할되고 다양
콰드루플룸(quadruplum)
이라 한다. 함을 띤다. 페로틴은 레오닌의 클라우줄라를 대체할 새로운 클라우줄라를 작
곡했으며, 이는 클라우줄라를 오르가눔 전체로부터 독립된 음악으로 간주했
클라우줄라 음을 의미한다.
이 당시의 오르가눔은 원래
성가의 음을 각각 길게 노
래하는 테노르 성부 위에 2) 교회 음악의 발전과 팽창
멜리스마 양식의 두플룸으
노트르담악파가 발전하고 있을 때, 중세 음악에는 콘둑투스(conductus)와
로 된 ‘순수 오르가눔
(organum purum)’ 부분 모테트(motet) 등 새로운 장르들이 생겨났다. 페로틴은 라틴 어 시를 사용하
과 두 성부가 리듬형을 사
용하여 비교적 빠르게 규칙
여 2성부와 3성부로 작곡한 작품을 작곡했는데 이 곡들을 콘둑투스라고 한
적인 박자로 진행하는‘디 다. 콘둑투스는 오르가눔의 테노르 성부를 이루던 성가 선율을 사용하지 않
스칸투스(discantus)’부분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디 고 새로 작곡한 테노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노트르담악파의 다른 음악과 차
스칸투스 부분을 클라우줄
별된다. 1160년부터 1240년에 융성했던 콘둑투스는 모테트의 출현과 함께
라(clausula)라고도 한다.
사라진다.
콘둑투스 13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노트르담 양식의 오르가눔과 콘둑투스는 점차
콘둑투스는 1음절에 1음부
적으로 없어지고 새로운 양식의 음악 장르인 모테트(motet)가 유행하였다.
가 주어지는 실러블적인 양
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 작곡가들이 오르가눔의 클라우줄라를 독립적으로 만들게 되며, 그 결과로 모
러 절을 갖는 유절 형식으
테트가 생겨난 것이다. 초기에는 가사의 내용이 어느 정도 종교적이었으나,
로 되어 있다. 가사는 종교
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점차 비종교적인 가사나 프랑스 어 가사를 붙이기 시작했다.
모테트 13세기 말에는 6개의 리듬형 기보법을 대체할 새로운 방법이 프랑코 폰 쾰
모테트는 경우에 따라 불어
른(Franco von Köln)에 의해 고안되었다. 이 프랑코 기보법은 개개의 음표
나 라틴 어로 연관 없는 내
용의 시를 노래하기도 했 에 고정된 음가를 지정하였다는 점에서 현재의 기보법과 가까워졌다. 프랑코
다. 모테트의 청중은 그 당
시 고급 교육을 받은 소수
는 두플렉스 롱가(duplex longa), 롱가(longa), 브레비스(brevis), 세미브레
의 사람들이었으며, 모테트 비스(semibrevis)의 네 개의 음표를 사용하여 다양한 리듬을 표기할 수 있는
의 복잡성을 즐길 수 있는
계층이었다. 체계를 마련하였다.

두플렉스 롱가: 롱가: 브레비스: 세미브레비스:

오르가눔의 종교적인 배경은 콘둑투스, 클라우줄라와 모테트를 거치면서


세속적으로 변해 갔다. 종교적인 음악에서 세속적인 음악으로의 변천은 음악
연주 장소가 교회 밖에서도 많이 연주되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170 서양 음악사
보충 자료 중세의 세속 음악

중세의 음악은 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세속 음악도 상


당히 많았다. 세속 노래는 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카르미나 부라나(Carmina Burana)'라는 라틴 어 세속 노래
모음집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 실린 음악을‘골리아드의 노래
(Goliard songs)’
라고 하는데 골리아드는 일정한 교육 기관이
나 궁정에 자리 잡지 않고 떠돌아다니는 신학 학자나 수도승들
이었다. 이들은 라틴 어로 노래했는데, 가사는 대부분 연애나 ▲ 음유 시인(위 가운데서 연주하는 사
람)과 그의 음악가 친구들
술에 대한 것이었고 기독교를 풍자한 것도 있다. 이 노래들의
독일의 미네징거와 프랑스의 트르바두르와
선율은 많은 부분이 성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트루베르, 영국의 민스트렐은 모두 세속 음
당시 유럽의 귀족들과 교육받은 사람들의 공식 용어는 라틴 악가들로서 수많은 작품을 만들었다. 대부
분 궁중의 귀부인들을 위해 연주되었다. 이
어였지만, 실제로 일반 사람들은 각 지방의 언어를 사용했다.
그림은 독일의 미네징거를 그린 것이다.
특히 풍요롭고 평화롭던 11세기 남프랑스의 기사들은 궁정의
귀부인들을 위해 자기들의 말로 시를 짓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기사 계급과 귀족으로 구성된 이
들을 트루바두르(Troubadour)라고 한다. 트루바두르는 칸조(canzo), 파스토렐라(pastorella), 알바
(alba)의 노래를 주로 불렀는데, 칸조는 고귀한 귀부인에 대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파스토렐라는
높은 지위의 기사가 목장의 양치기 처녀를 유혹하는 내용을, 알바는 사랑하는 연인이 밤을 지새우는 동
안 망을 보는 사람이 부르는 것으로 아침이면 헤어져야 하는 연인들의 슬픔을 노래한 것이었다.
13세기에 이르러서 이 새로운 음악은 전 유럽으로 확산되어 세속 문화를 형성하였다. 각 나라는 서로
다른 시나 노래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음악적 틀과 내용은 유사하였다. 12세기 말경부터 중세 독일어
를 사용한 노래 작가들을 미네징거(Minnesinger)라고 한다. 미네징거의 전통은 마이스터징어
(Meister-singer)에 의해서 16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중세 시대는 성악이 모든 음악의 중심이었으나 몇몇 기악 세속곡과 춤 음악인‘에스탕피’
의 악보도 남
아 있다. 중세의 현악기로는 바이올린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는 비엘르(vielle) 혹은 피델(fidel)이라고
하는 악기가 사용되었으며, 줄을 뜯는 악기로는 류트와 작은 하프가 있었고, 플루트는 세로로 부는 리코
더 형태와 가로로 부는 것이 사용되었다. 현대의 오보에와 같이 리드가 있는 악기로는 쇼옴, 백파이프가
있었고, 트럼펫은 야외 행사나 전쟁 때 신호를 알리는 악기로도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의 세속 음악에
관해 현재 남아 있는 자료
는 매우 적으며, 특히 13세
기 이전의 것들은 거의 남
아 있지 않다. 중세 사람들
중에서 읽고 쓰는 능력을
지닌 사람은 주로 수도원에
서 생활하는 성직자였고,
당시에 인쇄술은 거의 발달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중세의 기악 연주 장면

Ⅱ. 중세의 음악 171
# 아르스 노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14세기 음악
‘아르스 노바’
라는 명칭은 음악적 기법의 측면뿐만 아니라 미학과 사회 전
반에 걸쳐 13세기에는 없던 새로운 예술이 꽃핀 14세기를 지칭하고 있다. 이
것은 14세기 프랑스의 신음악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용어는 필립 드
필립 드 비트리 비트리(Philippe de Vitry; 1291~1361)의 논문‘아르스 노바(Ars nova; 새
필립 드 비트리는 프랑스
로운 예술)’
에서 유래한 말이다.
왕실의 외교관이었으며, 시
인이었고 또 유명한 작곡 1305년에 프랑스 왕국과의 대결에서 패한 교황청은 이때부터 프랑스의 간
가였다. ‘아르스 노바’는
섭을 받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선출된 프랑스 태생의 교황은 로마로 가지 않
1320년경에 쓰여졌으며,
‘새 예술 또는 새로운 기 고 남부 지방의 아비뇽에 교황청을 마련하였고, 이것은 14세기 말까지 지속
법’
이라는 뜻이다.
되었다.
그 후 교회의 대분열로 인해 여러 교황이 한꺼번에 나타나기도 했으며
(1378~1417), 교황권이 쇠퇴하면서 유럽의 여러 왕실은 교황 대신 권력을 잡
기 위해 서로 싸우게 된다. 대표적인 것이 프랑스와 영국의 백 년 전쟁
(1337~1453)이었다. 전쟁에다가 페스트라는 전염병까지 번져서 농민들은 반
란을 일으키기에 이르렀다.
당시의 음악은 이러한 사회의 혼란을 반영하고 있다. 당시 음악가들은 주
로 교회에 소속되어 일하고 있었지만, 점차 교회보다는 재정 기반이 든든한
세속의 궁중에 고용되어 새로운 음악의 길을 모색했다.

1) 아르스 노바의 특징
14세기 프랑스의 신음악 운동은 교회 음악에서의 리듬의 자유를 허용한 것
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종교 음악이든 세속 음악이든 상관없이 음악 자체
의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로 인하여 세속 음악이 발전하
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3세기까지 3박자는 삼위일 ① 교회 음악에서 2박을 허용함: 비트리의 논문“아르스 노바”
에서 나타난 가
체의 완벽함을 상징하는 것
장 중요한 것은 2분법에 의한 2박자를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3분법의 박자
이었고, 2박자는 그에 비해
불완전한 것이라고 여겨졌 와 동등하게 취급하였다. 이로써 작곡가들은 자유로운 박자를 구사할 수 있
다.
게 되었고, 현대의 박자 개념과 박자표와 유사한 리듬이 만들어졌다.
② 음악 자체의 예술적 아름다움을 추구: 14세기 신음악의 움직임인 아르스

아이소리드믹 노바의 새로운 특징은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을 구분하지 않고 예술적 아름


같은 리듬을 반복하는 것이 다움 그 자체를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인데, 이것은 아이소리드믹 모테트
특징으로, 이 시대 특유의
복잡한 기교에 대한 관심을
(isorhythmic motet; 동형 리듬 모테트)를 통하여 확대되었다.
나타내고 있다. ③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세속 음악: 예술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경향

172 서양 음악사
은 14세기에 이르러 세속 음악의 형식이 체계화되는 결과를 낳으며, 이 시대
부터는 시의 내용이 아니라 시의 형식에 따라 세속 노래를 구분하게 되었는
데, 대표적인 형식은 비를레(virelai), 발라드(ballade), 론도(rondeau)의 세
가지이다. 일반적으로 비를레 형식은 AbbaA이고, 발라드는 aabC였으며, 론
도는 ABaAabAB였는데, 이와 같이 악구의 반복구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14세기 프랑스의 신음악 운동인 아르스 노바는 곧 이탈리아에도 번져 나갔 신음악 운동
아르스 노바를 프랑스의 신
다. 이탈리아의 신음악은 이탈리아의 전통에 따라 선율의 아름다움과 즉흥성
음악으로 규정하고 14세기
을 중시한 것이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마드리갈, 발라타, 카치아와 같은 음악 이탈리아의 신음악을 지칭
하는 용어로 ‘트레첸토
이 꽃을 피웠다. 마드리갈(madrigal)은 14세기 중엽에 이탈리아에서 크게 유 (trecento)’
라는 단어를 사
행한 노래로 목가적 내용을 지닌 시를 노래했다. 마드리갈은 두 개 혹은 세 용하기도 한다.

개의 3행 절과 리토르넬로(ritornello)라고 불리는 반복구로 구성된다. 마드 이탈리아 세속 음악 형식은

리갈은 일반적으로 2성부로 작곡되었다. 프랑스의 것과는 달리 비교


적 덜 형식화되었다.
발라타(ballata)는 프랑스의 비를레와 비슷한 형식인데, 원래 이 곡이 춤추
기 위한 곡이었으므로 이탈리아 어의‘ballare(춤추다)’
에서 명칭을 따왔다.
발라타는 14세기 말 음악의 중심이었던 피렌체의 작곡가들이 즐겨 쓰는 형식
이 되었다. 발라타는 처음에는 길거리 음악가들이 만든 단선율이었지만 나중
에는 2내지 3성부의 다성 악곡이 되었다. 카치아(caccia)는 사냥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름도 이탈리아 어의‘cacciare(쫓다)’
에서 유래되었다.
카치아의 가사는 개나 말에 대해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으며, 선율도 음에
의한‘추적’
을 3성부의 카논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2) 아르스 노바의 대표적 작곡가


①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 1300~1377년경): 작곡가로서뿐만 마쇼의 작품 중 많은 수가
아직까지도 완전한 형태로
아니라 시인으로도 이름이 높았던 기욤 드 마쇼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성 남아 있는 것은, 당시 작곡
직자가 된 사람이다. 마쇼의 음악 작품은 그 당시 모든 음악 장르를 포함하고 가들 중에서도 아주 예외적
인 일이다. 이것은 아마도
있다. 20개가 넘는 모테트를 비롯하여 4성부 미사곡, 기악 음악인‘다비데의 그가 감사의 표시로 자기

호케투스(Hoquetus David)’
, 그리고 그의 최고의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작품의 사본을 교정 편집하
여 후원자나 친구들에게 증
120개에 달하는 세속 노래가 그 예이다. 그의 음악 작품에서 종교 음악이 미 정하는 습관이 있어서인 것
으로 추정된다.
사곡 하나라는 것은 14세기의 전반적인 추세를 반영한다.
마쇼는 아르스 노바의 새로운 리듬을 충실히 활용하여 3박자뿐만 아니라 2
박자 계통의 음악도 다수 작곡하였다. 마쇼 작품의 특징은 당시 라틴 어를 전
반적으로 사용하던 것과 달리 프랑스 어로 된 사랑 노래가 주를 이루고 있다
는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국가 행사를 위해서는 모테트에 라틴 어 가사를 사

Ⅱ. 중세의 음악 173
용하여 작곡하기도 했다. 마쇼의 동형 리듬 모테트는 동형 리듬 기법이 테노
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른 성부에서도 나타난다.
② 란디니(Francesco Landini; 1325~1397년경): 프랑스의 최고 작곡가가 마
쇼라고 한다면 14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 작곡가는 프란체스코 란디니로, 그

▲ 오른쪽 두 번째는‘자
는 시각 장애인이었지만 오르간에 능한 음악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가,
연의 여신’으로, 그녀는 철학자였다. 그는 자기 작품의 대부분을 작사한 것으로도 명성이 높았다. 란
마쇼에게 영감을 주기 위
해 감각·수사학·음악이 디니의 발라타는 새로운 유형의 종지형이 사용된 것으로도 유명하다. 계명으
라는 세 사람을 소개시켜
로 상성부가‘시-라-도’
로 종지하는 형태였는데, 특히 란디니의 음악에 자주
준다.
나온다고 해서‘란디니 종지형’
이라고 부른다.
란디니 등의 14세기 작곡가
들의 전통은 도니제티, 벨
리니, 베르디, 푸치니 등 19 $ 아르스 숩틸리오르
세기 이탈리아 작곡가들에 ‘아르스 숩틸리오르(Ars Subtilior)’
란 이해하기 어려운 음악이라는 뜻으
게도 이어진다. 어떤 시대
에도 이탈리아 음악은 선율 로, 14세기 말부터 중세 말까지 나타난, 리듬이 복잡하고 선율에 변화음이 자
의 아름다움과 표현의 풍부
주 적용되는 난해한 음악의 흐름을 의미한다. 이 경향 역시 프랑스에서 시작
함에 큰 관심을 두었다.
되었고, 15세기로 넘어가면서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음악에 영향을 끼쳤다.
15세기 초로 넘어가면서 유럽의 음악은 세속화하고, 다
성 음악은 점점 작곡가들의 기교와 연주자들의 고도의 능
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그런데 이것에
너무나 골몰하는 바람에 다른 음악적 요소가 희생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어, 작품들 대부분은 가수의 기교를 극
한에까지 몰고 가는 실험으로 꾸며져 있었으며, 모든 성
부 사이의 리듬을 어긋남과 탈(脫)박자, 한 박자를 더 세
분화하고 복잡하게 분할하는 방법 등이 유행했다. 작곡자
들은 이와 같이 정확한 리듬의 연주가 어려운 복잡한 비
례를 각 성부마다 활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품이 수수
께끼같이 느껴지는 곡도 있었다. 게다가 이 모든 것을 악
보에 나타내기 위해 가지각색의 음표가 만들어지기도 했
▲ 아르스 숩틸리오르의 악보
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중세 음악의 역사적 배경을 정리해서 발표해 보자.
2 . 중세 초기의 기독교 음악 중 그레고리오 성가의 특징을 적어 보자.
3 . 중세 다성 음악의 발달을 주도한 노트르담악파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

174 서양 음악사
III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극도의 다성 음악으로 난해해진 유럽의 음악은 새로운 음악으로
의 전환을 갈망하고 있었으며, 단순한 화음에 의한 영국 음악은 새로
운 돌파구가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큰 특징은 모방 기법이며 이
기법은 유럽 전역에 퍼졌다.
또한, 르네상스 중기부터는 음악에도 인본주의적 사상이 반영되
기 시작하여 음악의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도 자유로움을 추구하게
되었다. 한편 르네상스 말기에는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으로 새로
운 세대의 음악이 예고되기도 하였다.

1.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76


1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❶ 르네상스 초기의 유럽 대륙은 새로운 음악으로의 전환을 갈망하고 있었으며, 단순한
화음에 의한 영국 음악이 그 돌파구가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❷ 모방 기법이 사용되면서, 유럽 전역에 퍼졌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❸ 르네상스 음악의 중기부터는 음악에도 인본주의적 사상이 반영되기 시작했으며, 음악
의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자유로움을 추구하게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❹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으로 새로운 세대의 음악이 예고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르네상스(Renaissance)는 재생을 의미하는데, 15∼16세기의 유럽에서 중


세 이래의 신학 중심 학문 체계에 반기를 들고,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예를
다시 살리려는 움직임이다. 이 사상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생겨났으며, 인
본주의(人本主義)에 기반하여‘인간다움’
을 존중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뉴턴, 베이컨, 데카르트 등에 의해 발전된 과학적
사고와 방법은 성서에 기초를 둔 중세의 신(神) 중심의 사고와 대치되었다.
한편 이슬람교를 믿는 터키 족에 의해 중동 지방을 통하여 이루어지던 정상
적인 동방 무역로가 봉쇄됨에 따라 유럽인들에게는 새로운 무역로 개척이 필
요하였고, 이는 곧 15∼16세기에 걸친 인도 항로와 신대륙 발견으로 요약되
는 지리상의 대발견 시대를 열어 놓았다.
음악에서의 고대의 재탄생은 모델로 삼을 만한 작품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
문에 그리스 음악 이론에 대한 재발견과 연관된다. 앞에서 다룬 바와 같이 중
세에 만연했던 난해한 수와 비율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
는 예술로서의 음악을 인정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소리를 추구하게
된 것이다. 르네상스 중기에 이르면 르네상스의 정신이 음악에 투영되기 시
▲ 르네상스 시대의 부조 작하는데, 교회 세력의 약화로 인한 사회 변화에 따라 음악적으로도 큰 변화
를 맞게 되었다.
십자군 원정(1096∼1291)
이후 이탈리아의 베네치
아·피렌체·제노바를 중심 (1) 르네상스의 새로운 음향들
으로 서부 유럽과 동방의
이슬람교 문화권의 접촉이
확대되었다. 당시 교역의 르네상스 시대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신선하고 수직적이며 단
중심지인 이들 도시들은 막
대한 부(富)를 축적하였으 선율적인 구조의 음악을 추구했던 초기 르네상스와, 이른바‘르네상스의 모
며, 이들 도시의 부는 르네 차르트’
라고 불려지는 조스캥 데 프레를 필두로 음악적 절정에 이르는 르네
상스를 이룩하는 경제적 기
반이 되었다. 상스 중기, 그리고 종교 개혁·반종교 개혁에 대한 반발이 나타났던 격동의

176 서양 음악사
르네상스 말기이다.
르네상스 음악은 기악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기이기는 했지만 여전히 성악
중심의 음악이 주류를 이루었고, 대표적인 연주 방식은 아 카펠라(a 아 카펠라(a cappella)
아 카펠라란 반주 없이 부
cappella)였다. 중세 다성 음악이 3성부 구조였는데 반해, 가장 낮은 음역을
르는 합창을 의미한다. a
지칭하던 테노르보다 더 낮은 음역을 첨가하면서 르네상스 시대에는 4성부 cappella에서‘a’
는‘~풍
으로’
, ‘cappella’
는 ‘교
편성이 일반화되었다. 화성의 기본을 4성부로 설명하는 전통이 이때부터 시
회’
를 의미하는데, 인간의
작된 것이다. 목소리가 가장 귀중하고 훌
륭하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르네상스 음악은 협화음을 중시했다. 불협화음은 협화음으로 중세 교회에서 악기의 소리
해결되도록 유도되었는데 대위법(counterpoint)은 협화음과 불협화음의 사 를 배제하고 반주 없이 합
창을 했던 데에서 유래하는
용에 대한 규칙을 규정한 음악 이론으로 15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말이다.

시작했다. 또한 각 성부의 선율을 강조하기 위해 모방 기법이 사용되었다. 호모포니


르네상스 음악은 초기에 호모포니(homophony)가 중시되었지만, 15세기 하나의 선율이 강조되고 다
른 성부는 그 주선율에 화
말부터는 폴리포니(polyphony)적으로 변화한다.
음을 채우는 방식

폴리포니
! 르네상스 초기
여러 선율이 각각 다른 성
15세기에 들어와서 유럽은 경제 사정도 좋아졌으며, 14세기를 황폐화시켰 부에서 중요성을 갖고 유지
되는 것 (다성 음악)
던 페스트라는 전염병도 잠잠해졌다. 이 때문에 여행 조건이 매우 나아졌는
데, 이러한 변화는 음악과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음악가들은 자신이 속해 있던 교회나 궁중에서 다른 궁중, 교회로 옮기는
것이 자유로워지게 되었고 특히 멀리 여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교회는
이전처럼 작곡가와 가수를 후원했을 뿐만 아니라, 성가대를 훈련하고 유지하
기 위해 많은 돈을 들이기도 했다. 특히 귀족들은 음악가들의 새로운 후견자
로 급부상했는데, 그들은 음악가들에게 거액의 급료를 지급하면서까지 훌륭
▲ 르네상스 양식의 대표적
한 음악가를 자신의 성에 초빙하려고 애썼다. 건물인 바티칸 시국의‘산피
에트로 대성당’

1) 영국 음악에 매료된 15세기의 유럽 대륙


르네상스 초기의 유럽 대륙은 새로운 음악으로의 전환을 갈망하고 있었다. 영국은 섬으로서 대륙의 난
해하고 복잡한 세기말적 요
바로 이때 새로운 음악의 모범이 된 것은 대륙에서 멀리 떨어져 있던 영국의 소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음악이었다. 14세기 유럽 대륙의 작곡가들이 완전 협화 음정(1도, 4도, 5도, 받고 있었다.

8도)를 고집했던 것과는 달리 영국의 음악은 중세부터 3도와 6도 같은 불완 포부르동


전 협화 음정을 자유롭게 사용해 왔다. 이러한 음악은 대륙에 있는 작곡가들 포부르동이란 프랑스 어로
‘가짜 베이스’
라는 의미인데
에게 더없는 신선함과 충격으로 다가왔다.
3화음의 음향을 사용하는
영국 음악은 대륙으로 건너와서 포부르동(fauxbourdon)이라는 기법으로 것을 말한다.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77


정착되었는데, 이것은 주로 6도 병행으로 이루어진 두 선율 사이에 즉흥적으
로 선율을 삽입하여 연주하는 것이다. 즉흥적으로 연주되는 이 선율은 윗성
부를 오르가눔처럼 완전4도 아래로 병진행시켜서 노래했다.
이렇게 대륙의 르네상스 초기 음악에 영향을 준 영국의 대표적 작곡가로서
영국풍 디스칸트 존 던스터블(John Dunstable; 1380~1453년경)이 있다. 그는 영국풍 디스
영국풍 디스칸트의 특징은
칸트의 감미로운 화음에 프랑스풍의 논리적인 대위법을 융합하여 새로운 음
거침없이 흐르는 듯한 협화
음의 울림이다. 향을 탄생시켰다. 던스터블의 작품 중에 세속 음악은 2~3개 정도 밖에 없고
나머지는 60여 개에 달하는 종교 음악이다. 약 40여 개의 모테트는 던스터블
중세에 세속 작품으로 분류 의 작품 중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음악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부드럽
했던 모테트가 르네상스에
이르면 종교곡으로 전환된 고 조용한 분위기의 그의 곡들은, 당시의 성모 마리아에 대한 절대적 믿음을
다.
중시했던 영국의 성모 신앙으로부터 연유한다.
14세기 유럽 대륙의 작곡가들이 세속 음악에 몰두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영
국 작곡가들은 전체 미사 항목에 통일성을 주는 근본 바탕을 그레고리오 성
가에 두고 종교 음악을 많이 작곡했다.

2) 르네상스 초기의 작곡가들


영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유럽 대륙에서 새로운 음악을 작곡한 사람들로
는 뒤페(G. Dufay)와 뱅쇼와(G. Binchios), 오케험(J.Ockeghem)이 있다.
부르고뉴는 지금의 북프랑 ① 뒤페와 뱅쇼와(부르고뉴악파): 유럽 대륙의 음악은 선에 선을 더하는 수평
스에 해당된다.
적 작법으로 대위법적 기법을 써 왔지만, 뒤페(Guillaume Dufay;
1400~1474년경)에 이르러서 영국의 영향을 받아 3화음의 음향을 선호하게
된다.
12세기~14세기까지 다성 뒤페는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의 전 분야에서 중요한 작품을 남긴 15세기
음악의 중심 장르가 모테트
였다면 15세기에는 미사곡
최고의 작곡가이다. 부르고뉴에서 태어난 뒤페는 성당의 성가대에 들어가면
이 중심 장르로 부각되었 서 음악 공부를 하기 시작했는데 어른이 되어서는 여러 나라의 귀족들과 왕,
다.
교회의 부름을 받아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수많은 명곡을 남겼다. 뒤페는 15
샹송(chanson) 세기 유럽 다성 음악이 미사곡을 중심으로 작곡되는 데 결정적인 계기를 만
르네상스 초기의 세속 음악 들어 주었는데, 미사 통상문의 각 부분을 음악적인 요소로 연관시켜 미사곡
은 중세에 체계화된 형식이
계속 유지되었는데 프랑스 전체의 통일감을 획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뒤페가 주로 사용한 방법은 미사
지방에서 그 중 발라드, 론
통상문 전체에 하나의 정해진 선율을 테노르 성부의 선율로 사용하는 것이었
도, 비를레 같은 형식들을
모두 일컬어‘샹송(chanson)’ 다. 여기서 하나의 정해진 선율을 정선율(cantus firmus)이라고 하며, 이 방
이라고 했다. ‘샹송’
은 다
법에 의한 미사곡을‘정선율 미사곡’
이라고 한다. 뒤페는 세속 음악인 발라드
양한 형식의 가곡이라 할
수 있겠다. 형식에 따른 샹송(chanson) 선율을 미사곡의 정선율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78 서양 음악사
그가“만일 내 얼굴이 창백해져 있으면 그것은 사랑의 괴로움 때문이리.”
라는
이러한 가사를 미사곡에 사용하면서도 이것을 교회에 대한 불복 행위라고 생
각하지 않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는 오히려 음악가를 겸하는 성직자로서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을 융합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
했던 것이다.
15세기 뒤페 시대에 이르러서는 전례적이든 아니든 라틴 어 가사로 이루어
진 노래는 모두 모테트라고 칭했으며, 모테트는 기독교의 전례 음악으로서 기독교의 전례란 미사 및
성무일도 등 교회의 의례를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장르로 자리매김되었다. 의미한다.

르네상스 초기 뒤페 세대로서 샹송에 두각을 나타낸 작곡가는 뱅쇼와


(Gilles Binchios; 1400~1460년경)이다. 그 또한 부르고뉴에서 태어난 성직
자 겸 음악가였다. 뱅쇼와는 미사곡, 모테트 그리고 샹송을 작곡했는데, 60여
곡에 이르는 샹송은 그의 음악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장르이다. 10곡을 제외
한 그의 샹송은 모두 론도 형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거의 최상성부의 주선율
이 아름다운 3성부나 4성부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② 오케험(J. Ockeghem)과 네덜란드악파: 네덜란드 작곡가들이 서양 음악 네덜란드
네덜란드란 ‘낮은 지역’

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은 15세기부터인데 초기의 오케험의 영
란 뜻으로 르네상스 시대에
향력은 르네상스 중기에 조스캥(Josquin Deprès)으로 이어지면서 그 후 는 이 용어가 현대의 네덜
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200년 이상 계속되는 대위적 다성 음악의 기틀을 마련하여 서양 음악 사상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르네상스 초기의 제2세대 작곡가로는 오케험을 꼽을 었다. 이 지방을 ‘플랑드
르’
라고도 한다.
수 있다. 그들은 뒤페와 뱅쇼와보다 더 자유롭게 음악적 표현을 확대했다.
요하네스 오케험(Johannes Ockeghem; 1410~1497년경)은 어린 시절을
네덜란드 지역에서 지낸 것으로 추측된다. 오케험은 많은 작품을 남긴 작곡
가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의 작품이 놀라운 점은 미사에 대위법적 기법을 사 오케험의 곡들은 수직적·
수평적으로 완벽한 구조를
용하면서도 수직적인 조화가 무너지지 않도록 이를 세밀하게 구성하였다는 만들어 내고 있는데, 이것은

것이다. 이렇게 훌륭한 선율을 선보일 수 있었던 것은 오케험이 뛰어난 가수 마치 견고한 건축물을 사방
에서 보는 것과 같다 해서
였기 때문이다. 오케험은 음악으로 대단한 명성과 부를 얻어서 많은 사람들 오케험을 ‘음악의 건축가’
로 비유하기도 한다.
로부터‘황금의 목소리를 가진 사나이’
라고 불리기도 했다. 오케험은 또한 미
사의 근간을 이루던 그레고리오 성가의 사용을 더욱 자유롭게 하여, 성가에
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아이디어로 작곡한 새로운 모티프를 독창적으로 활
용하였다.
앞서 중세의 작곡가들이 작
오케험과 그 시대 다른 작곡가들은 작곡 기교를 과시하기 위하여 카논 곡 기교를 과시하기 위한
방편으로 작곡한 것은 동형
(canon)을 작곡하였다. 이때 사용된 카논의 기법은 다음과 같다. 리듬 모테트였다.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79


1) 직행(mensuration): 동일한 선율과 음가로 모방하는 것
2) 반행(전위, inversion): 상행한 선율은 하행으로, 하행한 선율은 상행으로 모
방하는 기법
3) 역행(retrograde): 선율의 뒤에서 시작하여 모방하는 기법
4) 확대(augmentation): 2배, 4배의 빠르기로 모방하는 기법
1 1
5) 축소(diminuion): , 빠르기로 모방하는 기법
2 4

<카논 악보와 연주의 예>


카논 악보

위 악보의 연주 방법

180 서양 음악사
3) 르네상스 초기의 세속 음악
15세기 음악과 연회는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었다. 음악은 기사들의 모임이
나 결혼식 등 각종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르네상스 초기의 사람들이
연회에서 노래하고 연주하고 춤추었던 것은 많은 기록과 회화 등에서 확인할
▲ 15세기의 궁중 연회
수 있다. 춤을 추던 사람들이 늦게
당시의 춤곡으로 가장 인기 있었던 것은‘바스 댄스’
였다. 바스 댄스는 위 온 사람들을 환영하고 있
다. 위쪽의 음악가들과 아
엄 있는 느릿느릿한 곡이지만, 뒤로 갈수록 점점 템포가 빨라져서 생생한 춤 래 왼쪽에서 연주하고 있는
악기는 피들, 파이프, 타보
을 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르이다.

보충 자료 ‘르네상스 초기의 연회’에 대한 기록

파티장에 큰 탁자를 하나 놓고 종루가 딸린 교회당 모형을 만들


어서 그 안에 가수 네 명이 들어가 노래를 부르고 악기를 연주한
다. 또 다른 탁자에는 커다란 과자가 놓여 있는데, 그 속에 스물네
명의 합주단이 들어가 있다.
연회의 여흥으로 고대 그리스의 영웅인 이아손의 모험담에서 따
온 극을 상연한 후에 모형 교회당 안에서 모테트 한 곡을 오르간으
로 연주한다. 그리고 세 명의 아름다운 목소리가 과자 속에서‘내
생명의 보호자’
라는 샹송을 부른다. 다음으로 교회당과 과자 속에
서 각각 네 번씩 연주한 후, 연회장의 문이 열리면서 실로 멋지고
커다란 젊은 사슴이 열두 살쯤 되는 소년을 따라 달려 들어온다.
소년은 양손으로 사슴의 뿔을 움켜잡고 매우 높고 투명한 목소리
▲ 연회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
로 샹송의 상성부를 부르기 시작한다. 이에 대하여 테너의 성부를 세속 음악

노래한 것은 바로 사슴이다. 실은 사슴 속에 가수가 들어가 있었던 것이다. 연회가 끝날 때까지 악사들


은 끊임없이 연주와 노래를 계속한다.

@ 르네상스 중기
르네상스 음악이 점차 무르익어 중기로 접어들게 되면서 단순히 소리에 대
한 관심만이 아니라 시대 정신으로서 휴머니즘을 음악에 담아내기 시작하였
다. 음악에 있어서도 교회의 권위 아래에서 위축되었던 인간성을 회복하려고
한 것이다.

1) 음악에 있어서의 인본주의


이전까지 음악의 템포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던 음악계에서‘가장
표준적인 음악의 템포는 건강한 남성의 맥박 속도’
라는 설명이 나오는가 하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81


면, 이론가들은 옛 그리스의 음악 이론을 그대로 르네상스 시대로 옮겨 실제
화하려고 했다.
또한 작곡가들이 인간의 언어를 음악에 적절히 드러내야 한다는 점을 염두
에 두고 곡을 쓰기 시작하면서 음악과 가사의 관계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
지게 되었다.

조스캥 데프레 2) 르네상스 중기의 대가 조스캥


조스캥을 르네상스의 모차
16세기 초반 르네상스 중기의 정점에 이르러 유럽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르트라고도 한다. 그는 매
우 빠른 속도로 작곡을 했 작곡가는 조스캥 데프레(Josquin Deprès; 1440~1521)이다. 조스캥은 북부
으며, 특별히 영감을 느낄
때만 작품을 썼다고 전해진
유럽인 네덜란드 출신의 작곡가였는데, 밀라노 대성당의 성가대에서 음악을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시작하였다.
는 매우 많은 작품을 남겼
는데, 현재 20곡이 넘는 미 조스캥은 모테트에서 가장 두드러진 독창성과 예술성을 발휘했으며, 미사
사곡과 90곡 이상의 모테 에서 그레고리오 성가에 바탕을 두지 않은 자유로운 미사(Free Mass)를 시
트가 남아 있다.
도했고, 세속 음악에서도 3성부에서 6성부까지 다양한 형식의 음악을 만들었
다.
음악의 양식사적 측면에서 조스캥이 새로운 음악 작법으로 유럽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은 그가 창작 중기부터 사용한 모방 기법(imitation)이
다. 이것은 그때까지 큰 작품을 만들 때마다 요구되던 구성상의 문제를 해결
해 주었다.

▲ 조스캥 모방 기법이란 하나의 동기를 모방해 나가는 방법으로 연결을 확대하여 악


조스캥의 새로운 음악 작법 곡의 조직을 갖추어 가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조스캥이 사용한 방법은, 어떠
인 모방 기법을 추종하는
한 곡이 5성부이든 6성부이든 하나의 동기가 각 성부별로 돌림 노래처럼 한
작곡가들이 유럽 전역에 생
겨났다. 조스캥의 활동 중 번씩 다 나타나도록 하고, 그 동기의 모방이 모두 끝나서 하나의 모방이 일단
심지는 이탈리아였으나, 그
가 네덜란드 출신이라는 점
락되도록 하는 것이다.
에서 이 악파를‘네덜란드 이것을 조스캥은‘모방이 일단락된 구간(point of imitaion)’
이라고 했다.
(플랑드르)악파’
라고 한다.
그 다음에 그 모방의 동기를 끝낸 성부는 또 다른 모방의 주제적 멜로디를 다
시 시작해서 음악을 끊임없이 연결해 나가는 것이다. 조스캥의 모테트‘아베
마리아(Ave Maria)’
는 그 좋은 예이다.
가사 그리기의 예:‘올라간 조스캥은 선율과 화성을 종합적으로 구사하여 가사의 의미를 묘사하는‘가
다’
는 가사에서는 선율이
상승하고, ‘내려간다’
에서 사 그리기(word painting)’
에도 뛰어났다. 이렇게 가사를 생생하게 표현하
는 선율이 하행하거나,‘하
는 음악을 그 당시에‘무지카 레세르바타(musica reservata; 함축된 음악)’
늘’
에는 높은음, ‘땅’
에는
낮은음, 그리고‘지옥’
에는 라고 하였다.
더 낮은 음을 사용하는 것 2
조스캥의 세속 음악은 대부분 샹송으로 3 는 3~4성부 곡이고 나머지는

182 서양 음악사
5~6성부 곡이다. 그는 당시 유행하였던, 주요 선율이 최상성부에 있는‘칸틸 패러디 미사
조스캥은 4성부의 미사곡에
레나(cantilena)’
양식을 따르지 않고 모든 성부가 거의 동등하게 중요한 모
다른 작곡가의 샹송의 세
방 대위적인 짜임새를 취하였다. 성부를 모두 빌려 와서 사
용하기도 했는데, 이렇게 다
조스캥의 정선율 미사, 패러디 미사, 변용 미사, 그리고 모방 기법을 사용 른 곡에서 주제나 화성 진
한 기법, 샹송의 패턴은 유럽 전체에 쓰이게 되었다. 그의 음악의 매력은 당 행을 빌려 온 미사를 패러
디 미사(parody Mass)라
시의 세련된 감성을 담은 것으로서, 16세기 유럽 곳곳에서 기악화되거나 약 고 한다. 그는 이러한 기법

간 변형된 모습, 혹은 있는 그대로 많이 나타났다. 으로 미사에 통일성을 이룩


한 첫 작곡가로 간주된다.
그렇기 때문에 학문적인 면에서도 조스캥에 대해서는 같은 음악의 지역적
변화,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의 성악과 기악의 관계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변용 미사
변용 미사(paraphrase
중요한 작곡가이다. Mass)는 정선율이 다른 성
부로 옮겨 다니며, 사용되
지 않고 장식되거나 변형되
어 사용되는 것이다.

보충 자료 조스캥의 미사곡‘라솔파레미’

한때 조스캥은 스포르차 추기경을 위해 작품을 썼는데 이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 내려온


다. 어느날 조스캥이 추기경에게 급료를 올려 달라고 요청하자 추기경은“생각해 두지(Lascia fare
mi).”
라며 얼버무리고 말았다. 그러자 조스캥은 이“생각해 두지.”
라는 말에 기초를 둔 미사곡‘라솔파
레미’
를 작곡했다고 한다.

▲ 조스캥 데프레가 작곡한 미사곡‘라솔파레미(1502)’


의 악보와 조스캥의 목판 초상화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83


# 르네상스 말기
르네상스 말기의 이탈리아 르네상스 말기에는 다양한 음악적 움직임이 나타났다. 르네상스 중기 유럽
로마 가톨릭 교회는 아비뇽
교황과의 대립으로 생긴 분 음악의 패권을 장악한 조스캥의 전통을 이어 가려는 흐름과, 이러한 네덜란
열 결과, 14세기경부터 그
드악파의 영향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각국의‘르네상스적 국민 음악’
의 움직
안팎에서 쇠퇴의 기미를 보
이고 있었다. 임이 그것이다.
한편, 프랑스·영국 등 유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이탈리아에서는 세속 음악이 발전하여 이후 바로크
럽 각국은 근대 국민 국가
로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를 이끌어 갈 오페라와 기악 음악의 싹이 트고, 종교 개혁 이후 유럽 전역에
중세적 그리스도교 세력은
점차 쇠퇴해 갔다. 이러한
서‘프로테스탄트(신교) 음악론’
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다. 이에 충격을 입은
측면에서 볼 때 종교 개혁 가톨릭 교회는‘반종교 개혁’
으로 더욱 규제가 강화된 교회 음악을 꾀한다.
은 교회의 혁신 운동이지만
근대 국가의 성립이라는 정
치적 변혁과도 밀접한 함수 1) 조스캥의 제자들
관계에 있었다.
조스캥의 제자들이었던 네덜란드악파는 모방 기법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
여 진부함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노래가 끊어지는 부분이 없어, 항상 한 성
부의 가사가 다른 가사와 겹치는 음악적 상황이 발생해 가사 전달이 매우 어
려워졌다.
여기에다 기법적 묘미에 심취한 작곡가들의 경우에는 작품 전체에 걸쳐 수
없이 많은 임시표를 붙여야만 연주할 수 있는 까다로운 작품을 만들기도 하
였다.

2) 르네상스 시대의 국민 음악 양식
이 음악 양식은 네덜란드악파의 영향을 벗어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세속
음악을 중심으로 나타난 다양한 음악적 움직임을 말한다.
인테르메디오는 장차 오페 ① 이탈리아 르네상스 말기의 세속 음악: 16세기의 이탈리아는 왕성해진 교역
라로 발전하게 된다.
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부를 축적하게 되고, 시민층의 생활이 향상되어 예술
라우다
라우다는 중세 때부터 불려
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연회가 자주 있었는데 모든 연회에서는 음악
온 단성 노래였다. 이 시대 이 중요하게 사용되는 극이 상연되었다. 특히 극과 극 사이에 들어가는 음악
에 이르러서는 중심 선율이
제일 윗성부에 놓이며 무반 극을 인테르메디오(intermedio)라고 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기에 독
주로 부르거나 아래의 두세 창과 합창, 기악이 세련되게 덧붙여지게 되었다.
성부는 악기로 연주되었다.
세속 가곡으로서 라우다(lauda), 프로톨라(frottola)가 크게 유행하였고,
마드리갈
후에 예술가곡인 마드리갈(madrigal)이 많이 불리워졌다.
짧은 목가(牧歌)나 연애시
따위에 곡을 붙여 명랑하고 라우다는 공공 기도회에서 연주되던, 마리아를 찬양하며 바치는 기도를 내
즐거운 분위기의 노래. 자
용으로 하는 노래이다. 이탈리아 어 외에도 라틴 어로 된 가사도 있고, 종교
유로운 형식에 보통 반주
없이 합창으로 부른다. 적인 분위기를 갖지만 세속 선율을 사용한 노래이다.

184 서양 음악사
▲ 역사상 세 번째 인테르메디오인‘아폴로’
(1589년 상연)

프로톨라도 라우다와 마찬가지로 대위법적 요소가 거의 없이 전체가 3성부 베네치아의 시인이며 문학


이론가인 벰 보 (Pietro
화음의 연속으로 진행되었는데, 두드러진 특징은 귀족들이 즐기던 풍자적이 Bembo; 1470~1547)가 페
거나 사랑에 관한 노래라는 것이다. 프로톨라는 이탈리아 전역에 전파되어 트라르카의 시집을 출판하
고 분석하게 되면서 이탈리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심각한 내용의 시를 사용한 프로톨 아에서는 시와 음악의 본질

라는 나중에 마드리갈의 전신이 되었고, 가벼운 분위기의 프로톨라는 1530년 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단어
경부터 17세기 초까지 성행하였던 빌라넬라(villanella) 또는 빌라네스카 와 소리의 조화로 얻어지는
음악적 효과를 분석한 이러
(villanesca)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한 노력으로 마드리갈이 탄
세속 가곡의 가사가 유행에 따라 변하면서 보다 자유로운 형식의 마드리갈 생하게 되었다.

이 탄생하게 된다. 마드리갈은 16세기 이탈리아의 세속 노래 중 가장 중요한


장르로, 이로 인하여 이탈리아가 유럽 음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16세기 초의 마드리갈은 전
원적인 장면을 묘사하거나
16세기 마드리갈은 14세기 마드리갈과 차이가 많은데, 14세기의 마드리갈은 사랑을 주제로 하는 시를
리토르넬로(ritornello)라는 후렴이 있는 유절 형식의 노래인 반면, 16세기의 많이 사용하였다.

마드리갈은 리토르넬로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절 형식이다. 초기의 마드리갈


은 3~9명이 부르는 성악 실내악곡이다. 무반주(a cappella)로 부르거나 악기 16세기 초에 마드리갈과 같
은 다성 노래들에 대한 수
들이 성부를 중복 또는 대신하기도 한다. 요가 많아 1530년에서
1540년대부터 마드리갈의 중심지는 베네치아로 옮겨가게 되는데 대표적인 1600년까지 2000여 곡이
작곡되었다.
작곡가는 치프리아노 데 로레(Cipriano de Rore; 1515~1565년경)이다. 그
는 각 단어를 음악적으로 묘사하여 시 전체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을 가장 중
요한 목표로 생각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반음계적인 변형을 효과적으로 사용
하였는데, 이것은 16세기 후반의 다른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16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85


세기 후반에 중요한 마드리갈 작곡가는 루카 마렌치오(Luca Marenzio;
1553~1599년경), 카를로 제수알도(Carlo Gesualdo; 1561~1613년경)와 클
라우디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 1567~1643) 등이 있다.
제주알도에 이르러서 이탈리아 마드리갈에서의 반음계 사용은 절정에 이
르는데, 그가 반음계를 구사한 이유는 가사에 깊게 감명을 받은 결과의 표현
이었다. 제주알도는 마드리갈 작곡에 있어서 감정의 표현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작곡가로 그의
초기 바로크 시대의 대가였 마드리갈에서 이 변화를 잘 볼 수 있다. 몬테베르디의“마드리갈 모음집”중
던 몬테베르디는 그때까지
제1~3권은 르네상스적인 무반주 다성 성악 앙상블 곡이고, 제4~5권은 바로
의 작곡 기법을 통합해 극
적 요소와 음악적 요소를 크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것이며,‘콘체르토(Concerto)’
라고 제목을 붙인
결합시켜 작품을 만든 극음
제7권의 마드리갈들은 기악 반주를 갖는 독주 또는 2중주곡으로 바로크적인
악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
다. 대표작으로는 ‘오르페 양식상의 변화를 보인다.
오’
와‘아리안나’등이 있
다.
마드리갈은 쉽게 노래하기 위해 단선율로 만들어지게 되면서 더욱더 인기
를 얻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마드리갈의 시의 내용도 저질화되고 음
악도 초기의 독창성과 신선함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를 쇄신하기 위하여 르
네상스 말기인 16세기 말에 지성인들은 피렌체의 부유한 귀족 바르디
(Giovanni de Bardi)의 집에서 카메라타(Camerata) 모임을 갖고 새로운 음
악을 연구하게 되었다. 학자, 시인, 음악가, 후원자로 구성된 이들은 순수한
음악적 정신을 찾기 위해 애쓰며 그 모델을 고대 그리스로 삼고‘모노디
(Monody; 단선율) 음악 운동’
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극의 목적에 맞게 유연

인쇄술의 발달(프랑스 인쇄
한 리듬과 불규칙한 악구를 가진 낭송조 선율의 모노디 양식을 탄생시켰고,
공장) 후에 이 양식은‘레시터티브(recitativo)’
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는 바로크로
의 전환에 중요한 핵심이 되었고, 당시 중요한 작곡가는 몬테베르디이다. 16
세기 말 이탈리아 궁중에서 연극에 독창 또는 앙상블 마드리갈을 포함하기
시작한 전통은 이후 17세기 오페라의 전신이 되었다.
② 프랑스의 르네상스 말기의 세속 음악: 프랑스에서는 이미 15세기부터 샹송
이 유행하고 있었지만, 샹송이 프랑스의 대표적인 음악으로 자리잡게 된 것
은 인쇄술의 발달로 인해 악보들이 출판되기 시작한 16세기로 보아야 할 것
이다. 샹송은 귀족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에게도 중요한 생활의 일부였다. 15
조스캥의 영향 세기 초기 샹송들은 프랑스 어에 깊이 의존하고 있지만 15세기 말부터는 조
조스캥의 영향은 무엇보다
스캥의 영향과 이탈리아의 영향도 받게 되었다. 프랑스 샹송은 소박하고 온
도 모방 기법을 이용한 대
위법의 사용이다. 화한 선율과 유절(有節) 형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 16세기 중반부터는

186 서양 음악사
이탈리아의 마드리갈풍 샹송들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16세기의 샹송은 대체로 호모포니적이고 주선율이 상성에 놓이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파리 샹송들은 가사들이 실러블 양식으로 처리되었고, 대
부분 2박의 리듬감이 강한 4성부 곡이다. 론도, 비를레, 발라드와 같은 정형
시 형식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분명하게 구분되는 몇 개의 짧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대부분 aabc, abba, abca 형식이며 사랑을 노골적으로 묘사하는
가사가 많다.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클로뎅 드 세르미시(Claudin de 피에르 아 테 냥 (Pierre
Attaingnant)은 1552년까
Sermisy; 1490~1562년경)와 클레망 잔느캥(Clement Janequin; 지 50권이 넘는 샹송 모음
1485~1558년경 이후)이다. 집을 출판하여 음악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16세기 중엽 프랑스 궁중에서 왕과 신하들의 오락을 위하여 사용되던
유절 형식의 세속 노래를‘에르 드 쿠르(air de cour)’혹은‘에르(air)’
라고
하였다. 이것은 류트 반주가 붙는 독창, 또는 4~5성부의 무반주 성악으로 연
주되었다. 프랑스의 16세기에는 기악곡 악보도 많이 출판되었다. 특히 류트,
기타, 시타르나 만도라 같은 악기를 위한 태블러처(tablature) 악보와 건반
악기용 샹송이나 모테트도 출판되었다.
③ 독일과 영국 그리고 에스파냐의 르네상스 말기 세속 음악: 독일의 음악은 유 독일의 다성 리트 작곡가로
는 하인리히 핑크(Heinrich
럽의 다른 국가들보다 발전이 느렸으나,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반에 걸 Finck; 1444~1527년경)와
쳐 다성 리트라는 독자적인 양식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독일 선율과 언어 하인리히 이삭(Heinrich
Isaac; 1450~1455년경)이
그리고 네덜란드 다성 음악 기법을 잘 조화시켜 작곡된 리트는 주선율이 테 있다.

노르에 놓이므로‘테노르 리트(tenorlied)’


라고도 한다.
16세기 영국에서는 이탈리아의 마드리갈을 영어로 번역하고 모음집을 출 서유럽 각국의 세속 음악은
이탈리아의 마드리갈의 영
판하였고, 이것이 영국 마드리갈의 근간이 되었다. 토마스 몰리(Thomas 향을 받은 것이었다.

Morley; 1557~1602)는 많은 마드리갈을 작곡하였으며 수직 화성적이고 춤


곡풍의 리듬을 갖는 유절 형식의 발레트와 칸초네도 작곡하였다. 그는 약간
의‘가사 그리기’
를 사용하기는 했지만, 음악 형식 및 기법을 더 중요하게 취
급하여 전체적인 음악 구조를 신경썼다. 마드리갈이 쇠퇴하기 시작한 17세기
초에 영국에서는 류트나 비올 반주가 붙는 독창곡이 많이 불려졌다. 이 노래
를‘류트 노래’혹은‘에어’
라고 불렀다. 영국‘에어’
의 대표적인 작
곡가로는 존 다울랜드
16세기 에스파냐의 세속 노래로는 로만세(remance)와 비얀시코 (John Dowland; 1563~
(villancico)가 있었다. 1626)가 있다.

3) 르네상스 후기의 종교 음악
르네상스의 로마 가톨릭 교회는 면죄부 판매에서 보듯이 타락이 심해졌다.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87


종교 개혁가들은 예배 의식 이에 대해 독일의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를 선두로 종교 개
에 라틴 어만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하였
혁이 일어나서 프로테스탄트(개신교) 교회의 음악론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
으므로, 자연히 각 국가의 러한 운동은 스칸디나비아로 전파되었고 장 칼뱅(Jean Calvin; 1509~1564)
신교 교회에서는 예배 의식
에서 자국어를 사용하기 시 을 주축으로 스위스, 네덜란드, 프랑스와 영국에까지 전파되어 북유럽 전역
작했다.
을 휩쓸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헨리 8세가 새로운 영국 국교(성공회)를 창설
하게 된다.
루터는 1517년 비텐베르크 ① 프로테스탄트 교회 음악: 신학 교수인 루터는 음악을 사랑하였고 음악 이
(Wittenberg)의 교회 대문
에 면죄부를 포함하여 문제
론과 작곡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는‘음악은 신이 주신 선물로 신학 다음으로
되는 사안 95개의 조항을 중요한 것’
이라고 생각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사상은 16세기 루터 교회의 음
붙였다.
악에 반영되었다. 그는 음악이 교육적으로 유익하며 윤리적인 힘이 있다고
믿었으며 합창 학교를 권장하였고, 예배에서 회중도 노래 부를 것을 주장하
였다. 그는 루드비히 젠틀(Ludwig Sentl; 1486~1543년경)과 발터 등 당시
코랄 작곡가들과 함께 회중이 부를 노래인 코랄(choral)을 작곡하기도 했다. 코랄
코랄은 찬송가(Kirchen-
은 그 용도상 부르기 쉬워야 했기 때문에 가사가 규칙적이고 운문적이었으
lied)인데, 현대의 찬송가는
보통 4성부곡이지만 원래 며, 선율도 여러 번 반복되는 유절 형식이 사용되었다.
의 코랄은 하나의 선율만으
루터 교회 작곡가들은 전문적인 합창대를 위한 다성 코랄과 코랄 모테
로 이루어진 독일 찬미가
로, 반주 없이 불렀다. 트(chorale motet)를 작곡하였는데, 이로써 신교 교회 음악은 칸티오날
(kantional) 양식의 회중 찬송가와 전문적인 합창단이 부르는 음악으로 나뉘
16세기 후반에 이르면 대부 게 되었다.
분 다성 코랄은 모든 성부
한스 레오 하슬러(Hans Leo Hassler; 1564~1612)와 미하엘 프레토리우
가 수직 화성적 짜임새이고
주선율이 윗성부에 놓이는 스(Michael Praetorius; 1571~1621년경)가 대표적인 코랄 모테트 작곡가들
칸티오날 양식으로 작곡된
다.
로, 이들에 의하여 확립된 독일 신교 음악 양식은 바흐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
며, 향후 200년간 독일 음악의 원천이 되었다.
칼뱅은 미술과 음악이 믿음 한편 프랑스, 스위스, 그리고 네덜란드의 칼뱅파 교회에서는 성경에 없는
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교회 음악을 엄격하게 통제
가사를 노래하는 것을 금하여, 성경의 시편(psalm)만 단선율로 노래할 수 있
하였다. 었다. 칼뱅은 1542년에 운문으로 번역한 시편에 선율을 붙인 노래 모음집
‘살터(Psalter)’
를 출판하였다. 살터의 선율은 단순하며 음절 위주였다.
영국 교회 음악은 구교 음악의 미사에 해당하는 서비스(Service)와 모테트
에 해당하는 앤섬(Anthem)이다.
반종교 개혁
② 가톨릭 음악: 종교 개혁에 충격을 받은 가톨릭 교회는 프로테스탄트 음악
교회 음악을 위시한 가톨릭
의 반종교 개혁은 트리엔트 론에 대응하는 자체 개혁, 즉 반종교 개혁(counter reformation)을 단행하
공의회(1542~1563)에서
게 된다. 이때 가톨릭 교회는 세속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모든 음악적
오랜 기간 논의되어 결정되
었다. 장르를 없애 버리고 소멸시켜 버렸다. 다시 그레고리오 성가의 성스러움과

188 서양 음악사
가사의 의미 전달에 용이한 음악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고, 이때 많은 음악
자료들이 사라지고 말았다.
가톨릭 교회는 자신들의 주장과 부합하는 작곡가를 찾아냈고, 이때 부상한
인물이 바로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1594 팔레스트리나
팔레스트리나는 로마 근교
년경)였다. 그는 선율적·화성적으로 많은 규칙을 만들어서 작품을 구성했
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음악
고, 교황청은 이 규칙들을 다른 작곡가들에게도 따르도록 규정함으로써 팔레 교육을 받았으며, 평생 동
안 로마에 있는 성 베드로
스트리나는 16세기 대위법의 집대성자가 되었다.
(St. Pietro) 성당에 부속된
팔레스트리나의 작품으로는 104개의 미사, 400개 이상의 모테트와, 많은 줄리아 예배당(Cappella
Giulia)의 성가대 지휘자 및
봉헌송(offertorium), 마그니피카트, 찬미가 등이 있으며 140여 개의 세속 음악 감독을 지냈다. 그는
또는 종교적인 내용의 마드리갈도 작곡하였다. 그는 누구보다도 가톨릭 교회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권고
한 사항에 의거하여 미사에
의 근엄하고 보수적인 정신을 잘 파악한 작곡가여서‘팔레스트리나 양식’
은 사용되는 음악을 모은 책인

다성 종교 음악의 표본으로 일컬어진다. “그라두알레”


를 다시 쓰는
임무를 맡았다.
네덜란드의 모방 대위법적인 양식에 기초를 둔 팔레스트리나의 음악 양식
은 그의 미사에 잘 드러난다. 그는 미사에서 모방적인 부분과 호모포니적인
부분을 교차하여 변화를 주었으며, 가사의 정확한 전달에 세심한 주위를 기
울였고 당시 유행하던 반음계주의를 철저하게 회피하여 무지카픽타 이외에는
반음계를 사용하지 않았다.
팔레스트리나 외에도 음악의 미적인 면보다는 미사를 보좌하는 기능을 더
강조한 이 시대의 작곡가로는 랏수스, 빅토리아 등이 있다.
▲ 팔레스트리나

4) 르네상스의 기악 음악과 베네치아악파


① 르네상스 시대의 악기: 16세기 들어 이탈리아에서는 악기도 눈부시게 발
전하였다. 인쇄술의 발달로 독주나 합주를 위한 작품이 악보로 나오게 되면
서 연주의 수준을 끌어올렸으며, 악기에 관한 책도 출판되었다. 기악곡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악보뿐만 아니라 악
특히 류트는 기타(guitar)의 초기 형태로서 어디에나 흔히 볼 수 있던 인기 기에 관한 책도 출판되었는
있는 악기였다. 류트의 음색은 작고 부드러워 음악회장보다는 실내 연주에 데, 중요한 책은 미카엘 프
레토리우스(Michael
적합하며 독주, 앙상블, 그리고 노래 반주에 많이 쓰였다. Praetorius; 1571~1621)의
“악기에 관하여(De organ
또한 류트 제작으로 유명했던 북이탈리아에서는 새로이 비올(viol)을 제작
ographia; 1620)”
이다. 이
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음역에 따라 6개 크기의 악기가 한 벌을 책에는 42개의 목판화로
악기 그림이 실려 있다.
이루었다. 오늘날의 바이올린 크기에 해당되는 비올은‘비올라 다 모레’혹은
‘비올라 다 브라치오’
라고 했으며, 첼로 크기에 해당되는 비올은‘비올라 다
감바’
라고 불렀다.
건반 악기로는 오르간이 계속 중요한 악기로서 교회에서 연주되었고, 오르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89


하프시코드 간 이외에 쳄발로(cembalo)가 발달하면서 건반 악기를 위한 음악들도 성행
하프시코드는 모양과 구조
하게 되었다. 쳄발로는 클라비코드(clavichord)와 하프시코드(harpsichord)
의 차이에 따라 클라비쳄발
로(clavicembalo), 클라브 로 나뉘는데, 클라비코드는 건반을 누르면 금속 장치가 줄을 때려서 소리가
생 (clavecin), 스 피 넷
(spinet) 또 는 버지날
나는 구조였고, 하프시코드는 깃털로 만든 채가 줄을 뜯어서 소리가 나는 원
(virginal)이라고 한다. 리로 만들어졌다.
기악곡의 발달은 새로운 근대적 조성을 확립하는 기반이 되었고, 평균율,
즉 하나의 온음을 두 개의 반음으로 나누는 것이 즐겨 쓰이게 되었다. 이렇게
발달된 악기들을 이용하여 베네치아악파는 교회 음악의 형식과 틀을 탈피해
자유로운 창작 의지를 표출해 내기 시작했고, 베네치아악파의 위대한 작곡가
가브리엘리는 이 악기들을 이용하여 바로크 시대에 수많은 협주곡과 건반 악
기 작품을 만들게 된다.
▲ 실내의 합주를 그린 프
랑스의 그림. 악기는 류트
르네상스 시기에 사용된 관악기로는 리코더(recorder), 크롬호른(crom–
와 비올(1635년) horne), 숌(shawm), 코르넷(cornett), 트럼펫(trumpet), 그리고 색벗
색벗(sackbut) (sackbut) 등으로 현대에 사용되는 악기의 전신이 되었다. 트럼펫은 고대부
색벗은 트럼펫의 전신이다.
터 있던 악기로 군인들의 신호에 사용되었지만, 1480년경부터는 실내 앙상블
에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편 타악기의 종류도 다양하여 종(bell), 심벌즈(symbals), 작은북(side
덜시머(dulcimer) drum), 탬버린, 덜시머(dulcimer), 트라이앵글(triangle), 팀파니(timpani)
덜시머는 고정된 쇠줄을 막
등이 있었다.
대기로 쳐서 소리 내는 악
기이다. ② 르네상스 기악 음악: 기악 음악은 성악 성부를 중복하거나 대치하여 연주
되었는데, 르네상스 시대부터는 악기를 위한 독립된 음악이 작곡되기 시작하
였다. 이러한 기악곡은 성악 음악에서 유래된 곡, 춤곡, 변주곡, 그리고 즉흥
곡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성악 음악에서 유래된 곡으로는 칸초나(canzona)가 있는데, 초기 칸초나
는 성악 샹송을 악기로 편곡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다른
성격의 주제들의 구성으로 대조되어 모방되고 종지되는 방식으로 전개되는
데, 이것은 더욱 발전되어 17세기의 교회 소나타(sonata da chiesa)로 발전
되었다.
리체르카레(ricercare)는 모테트를 모방한 기악곡으로 샹송보다 복잡한 모
방적 짜임새를 보인다. 류트곡이었던 초기의 리체르카레는 건반 악기와 기악
앙상블곡으로 발전되기 시작했는데, 오르간 리체르카레는 한 개의 주제를 갖
는 17세기 푸가로 발전하였다.
리체르카레는 점차 모테트와 관계없이 즉흥적으로 작곡된 곡을 일컫게 되

190 서양 음악사
었는데, 이와 같은 곡들을 카프리치오(capriccio), 판타지아(fantasia), 또는
팬시(fancy)라고도 한다.
16세기 중엽부터 17세기 중엽 사이에는 춤곡도 성행하여 류트, 건반 악기 대개 기악 춤곡의 첫 곡은
느린 2박자이며, 두 번째
및 기악 앙상블에 의한 춤곡이 기악 음악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춤곡들은 곡은 빠른 3박자인 첫 곡의
점차 기악곡 양식으로 발전되었는데, 중세부터의 관습대로 2~3개씩 짝지어 변주곡이다.

작곡되었다.
춤곡은 일반적으로 파반느(pavane)와 가야르드(galliard), 또는 파사메초
(passamezzo)와 살타렐로(saltarello), 그리고 알망드(allemande)와 쿠랑
트(courante)가 같이 연주되었다. 이러한 두 곡씩의 춤곡은 바로크 시대의
다악장 형식인 춤 모음곡(dance suite)과 실내 소나타(sonata da camera)
의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
16세기의 오르간 연주를 위한 즉흥곡으로는 토카타(toccata)가 유행하였 핏츠윌리엄 버지날 책(The
Fitzwilliam Virginal
는데, 이 음악은 음을 길게 유지할 수 있는 오르간의 특성을 이용하여 한 손 Book, 1609~1619)에 실

으로 음을 길게 지속시키는 동안 다른 한 손으로 빠른 음들을 기교적·즉흥 린 200여 곡의 변주곡에는


16세기 변주 기법들이 잘
적으로 연주하는 곡이다. 나타나 있다.

또한 짧고 단순하며 악절이 분명한 노래가 오스티나토 베이스로 계속적으


로 반복되는 동안 다른 성부에서 변주되는 변주곡이 이 시대에 전성기를 맞
이하게 되었다.
③ 베네치아악파: 118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상업의 중심지였던 베네치아에 베네치아악파
베네치아악파의 화려하고
는 온갖 시장이나 상업을 관장하는 관공서 및 어음 교환소와 베네치아 상인
장대한 음색과 호모포니적
들의 집이 있었다. 사람들은 부를 뽐냈고 대저택을 지어 호화로움을 다투었 인 음악은 유럽 음악에 많
은 영향을 주었다.
다. 교황청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립된 도시 국가로 발전했던 베네치아에서는
팔레스트리나 양식에 순응하지 않는 작곡가들도 나타나게 된다. 이들이 바로 산마르코 대성당

빌라르트를 위시한 안드레아 가브리엘리와 그의 조카인 지오반니 가브리엘리


와 같은 베네치아악파이다.
1566년부터 산마르코 대성당의 오르간 주자로 활동하였던 안드레아 가브
리엘리는 미사, 모테트, 마드리갈과 건반 악기 칸초나와 오르간 토카타 등 많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대성
당은 당시 음악 활동의 중
은 작곡으로 음악의 여러 장르에 공헌하였다.
심지로 꼽혔다.
지오반니 가브리엘리는 그의 삼촌인 안드레아 가브리엘리로부터 음악 교
육을 받고 산마르코 대성당의 오르간 주자로 임명되었다. 그는 여러 개의 합 지오반니 가브리엘리의‘피
아노와 포르테 소나타’
에서
창을 위한 작품에 대조 양식을 사용하여 더욱 세련되게 발전시켰다. 그의‘피 ‘소나타’
란 용어는 당시의
관습에 따라 일반적인 기악
아노와 포르테 소나타(Sonata piano e forte)’
는 처음으로 작곡자가 정확한
곡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
악기 편성을 지시하고 강약 표시를 지정한 곡이다. 이다.

Ⅲ.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191


베네치아의 작곡가들은 다중 합창을 위한 곡을 작곡하였는데, 특히 산마르
코 대성당의 연주 단체는 대규모로 발전하여 각각 관현악단을 수반하여 서로
콘체르타토
다른 음역을 갖는 2~5개까지의 합창단이 있었다. 지오반니는 이 합창단이 서
음악의 진행에서, 성부 대
성부 또는 악기 대 악기 등 로 대창 방식(antiphonal)으로 응답하며 독창과 어울려 장대하게 연주하게
서로 주고받는 느낌이 드는 하였다. 이러한 서로 다른 음향의 대비는 후에 바로크 음악의 특징인 콘체르
방식으로 곡을 전개해 나가
는 작곡 양식. 타토(concertato) 양식의 근원이 되었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르네상스 정신이 음악에 끼친 영향을 정리해 보자.
2 . 르네상스 초기의 작곡가인 뒤페와 뱅쇼와, 오케험의 작품의 특징을 적어 보자.
3 . 르네상스 중기의 작곡가 조스캥의 작품 특징을 적어 보자.
4 . 르네상스 후기 독일의 프로테스탄트 교회 음악에 대해서 정리하고 발표해 보자.

192 서양 음악사
IV
바로크 시대의
음악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바로크’ 라는 말은 본래 16세기 르네상스 다음에 나타난 양식에
대한 모멸적인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바
로크라는 용어에서‘변칙, 이상, 기묘함’ 이라는 부정적 평가는 제거
되고, 예술 양식화한 시대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바로크는 절대 왕권과 함께 발전하고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교 개혁을 이루어 낸 독일에서는 자국의 코랄을 바탕으로 한 독일
풍의 바로크 음악을 구축해 나갔다.

1. 바로크 시대의 음악 194


1 바로크 시대의 음악
❶ 바로크 음악은 절대 왕권과 함께 발전하고 쇠퇴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❷ 이탈리아에서는 오페라와 현존하는 수많은 기악곡 형식이 완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
다.
❸ 독일은 종교 개혁의 연장으로 독일풍의 바로크 음악을 구축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1) 바로크 시대의 유럽

17세기 유럽에는 교황권과 지방 분권적인 봉건 체제가 쇠퇴하고 강력한 왕


‘바로크’
라는 용어는 포르 정의 시대가 도래한다. 바로크의 시기는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엽까지로,
투갈어로‘비뚤어진 모양을
한 기묘한 진주’
라는 뜻이 프랑스 혁명과 같은 시민 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로 본다.
다. 1648년 웨스트팔리아 강화 조약에 의해 신성 로마 제국은 2,000여 개의
작은 국가로 분열되었다. 17세기 유럽에는 전쟁이 끊이지 않았는데 이것은
기독교의 구교와 신교, 교회와 국가, 중소 봉건지주와 왕권의 싸움이었다.
바로크 시대에 과학적·철 한편 이 시기에 유럽에서는 르네상스에서 시작된 과학적·철학적 탐구가
학적으로 중요한 탐구를 한
인물로는 만유인력의 법칙 더욱 꽃피었으며, 미술과 연극도 발전하였다. 유럽인들은 신대륙을 비롯한
을 발견한 뉴턴(Sir Isaac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한 문물을 접하게 됨으로써 세계관을 넓혔을 뿐만 아
Newton)과 영국의 경험주
의 철학가 베이컨(Francis 니라 그들이 발견한 지역으로부터 경제적 이익과 번영을 누릴 수 있게 되었
Bacon), 프랑스의 합리주
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절대 왕정은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의 철학가 데카르트(René
Descartes), 독일의“순수
이성 비판”
을 저술한 칸트
(Immanuel Kant) 등을 꼽
을 수 있다.
미술에서는 움직임, 색, 감
각을 중시한 루벤스(Peter
Paul Rubens)와 렘브란트
(Harmensz van Rijn
Rembrandt)가 있었으며,
프랑스의 몰리에르(Molie
`

re), 영국의 셰익스피어


(William Shakespeare)가
이 시대의 극작가들이었다.

▲ 루이 15세 때에 베르사유 궁전 안에 만든 왕립 오페라 극장.


음향을 고려하여 나무로 만들고 표면을 금박으로 장식했다.

194 서양 음악사
루이 14세 사후(1715)부터 빈 회의가 개최될 때(1815)까지 1세기 동안의 유
럽은 근대적 특징을 가진 혁명의 시기를 겪게 된다. 정치·사회적으로는 프
랑스 혁명(1789)과 같은 시민 혁명이 일어나 절대주의 군주 체제를 타도하고
근대 시민 사회를 수립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초
까지 진행된 산업 혁명은 경제적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정치·문화 생활에
도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바로크 시대는 절대 왕정과 함께 시작하고 그 권력의 쇠퇴와 함께 저물어
갔다. 18세기 말에는 여성적이고 우아함을 추구하는 로코코 문화 속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2) 바로크 시대 음악의 특징

바로크 음악에는 두 가지 양식이 공존했는데, 첫 번째는 르네상스의 전통


을 이어받아 네덜란드 양식의 대위적인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양식이었고,
두 번째는 가사가 음악을 지배하는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음악으로 이들의 화
성적인 양식은 화려한 오페라로 꽃피었다.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았으나 보다 프랑스적인 화려함과 아름다
움을 추구하는 오페라 발레를 추구했다.
독일은 일찍이 민중들의 마음을 꿰뚫고 이루어 낸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
으로 독일 고유의 코랄을 바탕으로 한 개신교 교회 음악의 전통을 수립하였
다. 바로크 시대를 휩쓸었던 오페라의 영향은 종교 음악으로까지 파급되어
오라토리오(oratorio)·수난곡(passion) 등의 종교적 극음악도 생겨났다.
한편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귀족들을 위한 극도의 장엄함과 사치스러 서민들을 위한 이탈리아의
‘오페라 부파’
와 프랑스의
움에 반기를 든 서민들을 위한 오페라가 탄생하였다. ‘오페라 코미크’
는 다가오
는 시민 혁명 시대를 예고
하였다.
(3)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

! 이탈리아의 오페라
이탈리아의 바로크 음악은 모노디에 의해 발전한 오페라와 다양한 양식의
기악 음악이 대표적이다. 많은 작곡가들 중에서도, 오페라의 중심에는 몬테
베르디가 있었으며, 그의 오페라 형식은 바로크 시대 유럽에 강력한 영향력
을 끼쳤다.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195


1) 오페라의 전조
카메라타 오페라의 탄생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이탈리아의 조반니 데 바르디 공작
때로는 바르디의 이름을 따
(Count Giovanni dé Bardi; 1534~1612)과 몬테베르디에 대해 살펴볼 필요
서 ‘바르디 서클’
이라고도
한다. 카메라타라고 하는 가 있다. 바르디 공작의 집에서 열렸던 카메라타(Camerata)라는 모임에서
이 모임의 이름은‘방’
이란
뜻의 카메라(camera)에서
이탈리아의 오페라가 생겨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롯된 것이다. 바르디 공작은 고대 그리스의 음악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사람으로, 자
오페라 신의 집을 피렌체의 시인, 음악가, 학자들에게 개방해서 사적인 모임을 만들
오페라는 이탈리아 어로
고 연구·토론하였다. 이 모임은 1573년부터 1587년까지 비정기적으로 모여
‘ 작 품 (opus, 복 수 형 은
opera)’
이라는 뜻이며 즉 고대 그리스 음악을 어떻게 부활시킬 것인가에 대해 연구했다. 이들은 에토
흥과 대비되는 단어이다.
스(ethos)를 연구하며 고대 그리스 음악이 가진 힘을 복원하려고 노력하였
고, 회원들은 고대 그리스 음악의 가장 중요한 형식을‘단선율’
로 파악했으며
이들의 다각적인 노력은 모노디(monody; 단선율 음악)를 탄생시켰다.
음악적으로 모노디 선율은 가사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따르는 음악적인 낭
카치니의 모노디 작품인 12 송이었는데 카치니(Giulio Caccini)는 모노디 양식을 발전시켜서 바로크 음
개의 독창 마드리갈과 10
개의 아리아를 수록한‘신
악의 가장 큰 특징인 통주저음(通奏低音; basso continuo) 기법의 반주법을
음악(Le Nuove Musiche; 확립하였다. 통주저음은 건반 악기에 사용되었는데, 당시의 불필요한 장식
1602)’
은 모노디 양식의 대
중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음형을 정리하고 폴리포니 양식의 복잡한 대위법 양식 대신 화성 진행의 골
격만을 주어진 베이스 옆에 숫자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숫자는 기본적인 약
속을 지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좋은 연주를 위해서는 지시된 숫자

<카치니의 바소콘티누오를 이용한 작품의 앞부분(현대의 악보)>


[ = 72 ]

8 Per - fi - dis - si - mo vol - to, Ben l’u - sa - ta bel -

5 [a tempo] 10

8
lez - za in te si ve - de Ma non l’u - sa - ta fe -
)

7 [ ]6 11 10 []
11 10

196 서양 음악사
에서 벗어나 가장 잘 어울리는 연주 형태를 늘 연구해야 했다.
모노디 음악은 17세기 초의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을 망라한 모든 음악에 몬테베르디
몬테베르디는 그의 첫 번째
급속도로 침투하여, 1598년에는 사실상 세계 최초의 오페라라고 할 수 있는
와 두 번째 오페라‘오르페
모노디 양식의‘다프네(Daphne; 1957)’
의 상연에 영향을 주었다. 오’
와‘아리안나’
가 쓰여진
1602~1612년까지는 만투
몬테베르디(1567~1643)의 음악 활동은 곧 오페라 발전의 역사라고 할 수 아 백작에게 고용되어 있었
있는데, 특히 몬테베르디는 소수 귀족들의 음악이던 오페라가 일반 대중 극 으나, 1613년 부터는 베네
치아로 옮기게 되었다. 그
장 공연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가장 중요한 작곡가라 할 수 있다. 의 마지막 두 오페라는 대

인테르메디오(intermedio)는 피렌체에서 발전한 음악과 연극이 결합된 공 중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연 형식으로서 오페라의 전신이


라고 할 수 있다. 인테르메디오
는 완결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었는데 몇 개가 한꺼번에 상영
되기도 하고, 용어 자체가 의미
하는 바와 같이 연극의 막간극으
로 사용되기도 했다.
가장 대표적이고 화려한 인테
르메디오는 1589년 메디치 가의
혼례를 축하하는 행사에서 공연
된‘라 펠레그리나(순례의 여인)’
였는데, 오페라의 탄생을 예고한 ▲ 바로크 시대의 인테르메디오 그림

이 공연의 기획자는 카메라타의 중심이었던 바르디 공작이었다. 라 펠레그리나


‘라 펠레그리나’
는 화려한
인테르메디오가 오페라와 다른 점은 작품 전체가 몇 개의 가곡이나 기악곡
무대 장치로 꾸며졌다. 예를
으로 나열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내용이 있는 긴 이야기를 음악화하기 위해서 들면, 날개 달린 용이 이끄
는 하늘을 나는 마차가 무대
는 등장인물들이 자유로이 대사를 주고받아야 했고, 이를 위한 새로운 작곡
위로 등장하며, 이 마차가
기법이 필요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이후 중기 이탈리아 사라진 후에 공중에 타오르
는 불꽃이 나타난다. 불꽃이
오페라 시기에는 레시터티브(recitative)가 탄생하게 되었다.
둘로 쪼개지면 천사의 합창
대가 나타나 결혼을 축복하
고, 이어 신포니아가 연주된
2) 본격적인 이탈리아 오페라의 시대 다음 땅이 갈라지듯 무대 바
① 초기 오페라와 만투아 궁중: 최초의 오페라는 피렌체의 야코포 페리 닥이 열리고, 그 안에서 사
탄과 복수의 여신이 있는 지
(1561~1633)가 작곡한‘다프네’
였다. 그러나 본격적인 초기 오페라는 몬테 옥의 모습이 드러난다.

베르디(1567~1643)에 의하여 만투아에서 시작되었다.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의 발전에 가장 큰 역할을 했던 음악가로서, 그가 저술한 아홉 권의 마드리갈
곡집을 보면 오페라가 어떤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그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197


아리아드네의 라멘트 는 1606년부터 1607년에 걸쳐 오페라‘오르페오(L’
Orfeo, fevola in
‘아리아드네의 라멘트’에
musica)’
를 작곡했다. 그는 이 작품에서 다양성과 음색을 위해 서곡과 간주
대한 당시의 기록에 의하면
관객들이 너무나 감동한 나 곡에 해당되는 기악적 부분을 편성하였으며, 가사를 민감하게 취급하면서 표
머지 눈물을 흘렸다고 한
다.
현력이 풍부한 선율을 작곡하였다.
몬테베르디에게 큰 명성을 몬테베르디는 이듬해 두 번째 오페라‘아리아드네(L’
Ariadne)’
를 작곡했
안겨 주었던 이 작품은 그
에게 큰 아픔도 주었다. 이 다. 이 작품은 대부분 소실되었지만 아리아드네의 라멘트는 그의 마드리갈 6
공연 중 몬테베르디의 아내 집에 수록되어 있다. 라멘트는 탄식이라는 뜻의 슬픈 노래를 말하는데, 매우
와‘아리아드네’
의 주연 가
수였던 애제자의 죽음이 겹 인기가 높아 다른 작곡가들도 경쟁적으로 라멘트를 만들었다. 이후 베네치아
쳤고, 이런 일들로 인하여
의 오페라에서도 라멘트를 반드시 넣는 관습이 생겼다고 한다.
몬테베르디는 기쁨 속에서
도 슬픔이 배어 나오는 수 한편, 종교 음악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로마에서는 합창 중심의 코러스
많은 작품들을 만들게 된다.
오페라가 탄생했으며, 아리오소(arioso)라고 하는‘아리아와 레시터티브 중
아리오소 간’
에 해당하는 짧고 서정적인 기법이 도입되었다. 로마의 오페라는 만투아
‘아리아풍의 노래’
라는 뜻
의 오페라에 비해 더욱 화려하고 규모가 컸다.
이다.
② 바로크 중기 오페라의 중심-베네치아: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한 바로크 중
기의 오페라는 솔로 가수의 노래를 중시하게 되었고, 오페라 전용 극장이 등
장하게 되었다. 또한 아리오소를 통해 아리아와 레시터티브의 분리가 일어났
고, 기계의 발달로 인해 무대 장치는 거대하고 화려해졌다. 당시의 무대는 공
간적 깊이감을 가지고 있어서 천상과 지상, 지하의 일들을 모두 실감나게 표
현했다.
1631년 몬테베르디는 베네치아의 산 마르코 성당의 악장으로 부임했다. 당
시 베네치아는 독특한 문화가 발달되어 있었다. 왜냐하면 상업과 무역 활동
에 기반하여 공화제가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왕족을 칭송하는 궁중 음악은 거의 발달하지 않았지만, 대신 세속 음악과
오락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었다. 특히 음악의 발전에 결정적이었던 것은 문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예 애호가들로 구성된 여러 개의‘아카데미아’
였다.
몬테베르디의 음악 중 제일 처음 베네치아에서 공연된 것은 장대한 대화식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움 마드리갈‘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움(Combattimento di Tancreidi et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
Clorinda; 1624)’
이었다. 이 작품에서는 음악으로 말발굽 소리, 전투의 나팔
움’
은 십자군 전쟁 때 기독
교 기사인 탄크레디가 갑옷 소리, 두 전사가 겨루는 모습, 칼과 칼이 부딪치는 소리 등을 선명하게 묘사
과 투구로 남자 변장을 한
회교도 여인 클로린다와 전
하였으며, 전사의 심리 상황 등을 음악으로 모방·실험함으로써 몬테베르디
투를 벌이는 내용인데, 몬 에게 있어서는 중요한 전환점이 된 작품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몬테베
테베르디는 이 작품을‘연
기가 곁들여진 마드리갈’
이 르디가 이 작품에서‘스틸레 콘치타토(흥분 양식)’기법을 도입했다는 사실이
라고 불렀다. 다.

198 서양 음악사
이윽고 베네치아에 오페라를 대중들에게 보여 주기 위한 최초의 상업 극장 상업 극장
1700년경까지 베네치아에
이 생겨났다. 베네치아 최초의 대중 극장 오페라‘안드로메다(Andromeda;
서는 400편이 넘는 오페라
1637)’
는 화려한 의상과 무대 효과로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치밀한 무대 장 가 17개의 상업 극장에서
막을 올렸다. 공연이 귀족
치를 이용하여 구름을 타고 남녀 배우들이 등장하는가 하면, 무대 조명도 겨 의 후원이 아니라 입장권
우 촛불을 이용했을 뿐이지만 물감을 풀어 놓은 유리그릇에 빛을 통과시키거 판매에 의해 이루어졌으므
로, 관객과 청중의 힘이 강
나 반사경을 이용해서 놀라운 효과를 거뒀다. 해졌고 인기 있는 가수 중

‘포페아의 대관(L’
Incoronazione di Poppea)’
은 몬테베르디의 베네치아 심의 공연으로 구성되었다.

시대 최고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이 작품은 1642년에 초연되었는데, 여러 포페아의 대관


‘포페아의 대관’
은 고대 로
가지 면에서 오페라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첫째로, 이 작품은 기존의 오페
마 시대, 네로 황제의 정부
라처럼 신화에 기초하지 않고 역사적인 사건을 소재로 했다. 둘째로, 화려한 (情婦)였던 포페아의 계략을
다루고 있는데, 네로의 잔
볼거리로서 무대 효과만 생각한 것이 아니라 극의 논리적 구조에도 신경을 인함과 미모의 포페아가 지
썼다. 우스꽝스러운 병사 두 명이 등장해서 이야기의 배경을 설명하기도 하 닌 야심이 사랑과 결합되어
가는 드라마이다. 악덕이
고, 비련의 라멘트에 이어 늙은 유모의 희극적인 대사를 넣기도 한 것이다. 승리한다는, 당시로서는 파

몬테베르디는 이 작품에서 포페아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기 위해 매혹적인 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레시터티브와 아리오소를 자유자재로 배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이 때문


에 연주자는 템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여러 가지 장식음을 넣는 것
도 가능했다. 성악 연주자의 즉흥적인 기교가 필요하게 되었던 것이다.

▲ 17세기 베네치아에서 공연된 오페라‘라인 강 위의 게르만인’


의 무대 사진 스케치
왼쪽의 무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교한 기계 장치가 필요했다. 모든 기
계는 지렛대·톱니바퀴·밧줄을 이용해서 움직였으며, 이 장치를 이용해서 말과 구름이 움
직이고, 80여 명의 사람들이 떠오르는 장관을 연출했다.

③ 바로크 말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중심 나폴리: 바로크 말기에는 오페라의


중심지가 나폴리로 옮겨 갔다. 1653년에 상설 오페라 전용 극장이 문을 열었
고, 1680년 이후에는 나폴리 특유의 오페라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프로벤잘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199


다 카포 아리아 레에 의해 시도된‘다 카포 아리아(da capo aria)’
는 곧 나폴리 오페라의 중
‘다 카포 아리아’
는 ABA
요한 요소가 되었다.
의 3부분 형식이다. 두 번
째 부분 후에 다 카포(처음 17세기 말의 나폴리 오페라에서는 두 종류의 레시터티브가 등장했는데, 하
부터) 또는 D.C.라는 단어
가 쓰여 있고, 이것은 첫
나는 화성만을 쳄발로로 반주해 주는‘레치타티보 세코(recitativo secco)’
번째 부분을 반복하라는 지 이고, 다른 하나는 큰 관현악 앙상블로 반주되는‘레치타티보 아콤파냐토
시이다.
(recitativo accompagnato)’
이다. 이것은 이후 이탈리아 오페라의 표준적
스카를라티 오페라의 특성은 요소가 되었다. 스카를라티(Alessandro Scarlatti; 1660~1725)는 나폴리
다 카포 아리아, 서정적이고
오페라를 정상에 올려놓은 작곡가이다.
비르투오소적인 선율과 우아
한 음향을 들 수 있다. 바로크 말기가 되면 오페라는 완전히 솔리스트가 장악한 형태가 되어 버린
다. 유명한 독창가수들은 혼자서 기분 내키는 대로 마음껏 기교를 부리고 나
서야 무대에서 퇴장했고, 따라서 그 외의 오페라 요소들은 덜 중요하게 여겨
졌다. 또한 이탈리아 바로크 말기는 카스트라토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카
스트라토는 원래 바로크 초기에 몬테베르디가 극적 상황을 강화하기 위해 남
자를 소프라노로 기용한 것이었는데, 바로크 말기에 이르러 엄청난 부와 명

▲ 최고의 카스트라토 파리
예, 인기를 누렸다. 강력하고 매끄러운 소리와 빠른 운동성이 절묘하게 결합
넬리와 친구들의 초상 해서 일류 카스트라토가 출연하는 오페라는 만원을 이루었다. 더군다나 로마
가운데 붉은 옷을 입은 사
람이 파리넬리이며, 그는 에서는 여성이 무대에 오르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모든 여성 역할을 카스
자신이 작곡한 곡의 악보를 트라토가 도맡아 했다.
들고 있다.
18세기 초 나폴리는 인테르메조(intermezzo)라는 희극적 막간극과 오페라
당시에 오페라 부파는 낮은 부파(opera buffa)의 중심지였다. 인테르메조는 본격 오페라의 막간에 끼워
수준의 오락으로 간주되었
으나, 페르골레지(Giovanni
넣는 두 명의 등장인물로 이루어진 짧은 희극적 작품이었던 반면, 오페라 부
Battista Pergolesi; 파는 6~10명의 배역에 레시터티브, 아리아, 중창 등의 구성을 갖는 독립적인
1710~1736)의 작품 ‘마님
이 된 하녀(La serva 공연 형태를 갖는다. 오페라 부파는 일반적으로 희극적 인물과 평범한 인간
padrona; 1732)’
는 의미
의 일상적인 삶을 주제로 다루었으며, 이러한 희극 오페라의 전통은 18세기
있는 작품으로 유럽 대륙에
큰 영향을 끼쳤고, 오늘날 에 유럽의 다른 나라에도 전파되었다.
에도 무대에 오르고 있다.

@ 프랑스의 오페라
프랑스의 바로크는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면서 17세기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절대 왕권의 장중하고 화려함을 느끼게 하는 프랑스
오페라는 절대 왕권의 쇠퇴와 함께, 귀족들이나 중산층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오페라 발레 시대를 맞게 된다. 또한‘계몽주의’
로 대변되는 시민 의식은 귀
족적 우아함을 비판하며 서민적인 오페라 코믹을 생겨나게 한다.
프랑스의 귀족적이며 우아함을 이어가던 흐름은 심각하지 않으며 장식적

200 서양 음악사
인 화려함을 선호하게 되는데, 이러한 프랑스 바로크 말기의 문화를 로코코
라고 한다. 로코코 양식 음악은 귀족들의 권태로움을 달래는 장식적인 기능
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관념적이고 무거운 바로크적 특성을 타파하는 역할
도 했다. 따라서 로코코 양식은 고전주의로 진입하기 위한 전(前) 고전주의의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1) 프랑스 오페라와 오페라 발레


바로크 전체를 통해 이탈리아는 오페라의 주도권을 잡으며 각지에 영향을 륄리

끼쳤다. 그러나 프랑스는 이탈리아 오페라에 강한 거부 반응을 보였는데, 특


히 이탈리아가 카스트라토를 기용하는 것을 악취미로 보았다. 프랑스는 자신
들의 문화인 발레와 발레 음악에 심취해 있었던 것이다. 이때 륄리(Jean
Baptiste Lully; 1632~1687)가 프랑스의 전통 발레를 오페라와 접합시켰는
데, 이탈리아 오페라를 다소 변형시켜 3막 오페라의 중간중간에 장중한 발레
장면을 삽입하여 5막의 프랑스식 오페라를 만든 것이다.
국왕의 총애를 받아 마음껏
1632년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태어난 륄리는 프랑스 궁중에 시종으로 들
권세를 누리며 프랑스 오페
어가 교육을 받았고, 후에 무용과 바이올린에 두각을 나타내면서 작곡가와 라와 프랑스 발레의 길을
열었던 그는 지휘봉으로 발
지휘자로 활동하였다. 그는 프랑스 어의 특성을 잘 살린 레시터티브를 고안
등을 찧은 것이 화근이 되
해 냈고, 가락을 다양화하여 자유로운 걸음걸이를 가능하게 했다. 기악 면에 어 목숨을 잃었다.

서는‘프랑스식 서곡’
을 사용하였다. 이 서곡은 두 부분이나 세 부분으로 이
루어져 있으며, 부점 리듬을 지닌 느리고 장중한 도입부와 푸가풍의 빠른 악
장, 그리고 느린 템포의 악장으로 마무리 짓는 것이 특징이다. 륄리의 오페라
는 화려하고 장엄하며 변화가 심했다. 그리고 국왕을 찬양하는 관례적 프로
그램에 있어서도‘태양왕’루이 14세 당시의 영화로움을 그대로 반영했다.
1687년 륄리가 세상을 떠나고 늙은 국왕 루이 14세는 종교에 몰입하게 되
었다. 이에 따라 화려했던 음악과 춤은 베르사유 궁중을 떠나 귀족이나 중산
계급의 저택으로 옮겨 갔다. 사람들은 호화롭고 웅장한 것에 싫증을 내고, 대 ▲ 발레가 삽입된 프랑스식
신 귀엽고 경쾌한 것을 좋아하게 되어 오페라 발레가 탄생하게 되었다. 오페 오페라

라 발레는 오페라와 달리 줄거리를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그보다


는 얼마나 장식적 요소가 있는가를 더 중요시했다.

2) 부퐁 논쟁과 오페라 코믹의 탄생


장 필립 라모(Jean Philippe Rameau; 1683~1764)는 나이가 쉰 살이 되
었을 때 첫 번째 오페라를 작곡했다. 라모의 작품들은 륄리를 계승하던 정통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201


▲ 륄리의 오페라 공연 모습(1674)

루소는 라모의‘우아한 인 파 음악가들보다는 매우 자연스럽고 거침없는 선율을 지향하고, 화성적으로


도의 나라들’
에 대해 합주
가 너무 복잡하며 화성이
풍부한 작품을 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년에, 계몽 사상가이며 서민적 오
너무 거창하다면서 ‘마치 페라를 지지한 장 자크 루소에 의해 비판받으며 부퐁 논쟁에 휘말렸다.
끊어지지 않는 소음과 같
다.’
라고 비난했다. 부퐁 논
부퐁 논쟁은 1752년 파리에 있던 몇 명의 이탈리아인들이 상연한 오페라
쟁은 극장에서의 말싸움과 부파‘마님이 된 하녀’
에서 시작되었다. 이 작품으로 인해 이탈리아의 오페라
비방하는 글에 그치지 않고
결투가 벌어지는 등 가히 부파를 찬양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는데 이들은 이탈리아 오페라의 발랄함과
전쟁을 방불케 했다고 한다.
단순함에 매료되었고, 라모의 작품을 위시한 프랑스 오페라를 철저히 비판하
오페라 코미크 기 시작했다.
부퐁 논쟁은 오페라 코미크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오페라 코미크는 상당히
서민적인 소재를 사용했고, 일상생활이나 전원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루
었다. 또한 희극적이며 풍자적이기도 했다. 오페라 코미크의 음악은 보드빌
(vaudeville)로서, 원래 잘 알려진 선율에다가 가사만 바꿔서 부르는 형태였다.
부퐁 논쟁 이후 프랑스의 세련됨과 우아함을 추구하는 음악은 글루크에 의
해 이어졌다. 바로크 초기에는 장중한 화려함을 중시했으나 말기에는 심각하
지 않은 세련됨과 우아함을 추구하게 되었는데, 특히 궁중에 상주하는 현악
오페라 코미크는 처음에 파 합주단의 프랑스 5성부 관현악법과 발레 음악의 부점 리듬은 프랑스적 음악
리 세느 강 근처의 생 로랑
과 생 제르망 장터에서 공 을 구축하는 데 바탕이 되었다.
연되었는데, 오페라나 연극
프랑스의 이러한 취향은 바로크 말기에 전고전주의의 문을 여는 로코코로
이라기보다는 서커스에 가
까웠다. 치닫게 했다. 즉 음악은 심각할 필요가 없고 향수 묻은 손수건처럼 사치스러

202 서양 음악사
운 장식품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프랑스 로코코 음악은 당시의 건축물이나 공예품과 마찬가지로 장식이 많
은 화려한 모습을 닮았다.

# 영국과 독일의 오페라


17세기 영국에서 발전한 오페라는 마스크(masque), 즉 대화, 노래, 춤, 기
악곡들로 구성된 이전의 궁중 오락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영국 오페라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 사람은 퍼셀(Henry Purcell; 1659~1695)이다.
독일에서는 오페라가 늦게 시작되었고, 17세기 후반에 독일 오페라단이 결
성되기 전까지 독일에서는 이탈리아 오페라만이 공연되었다. 1678년에야 독
일 오페라단이 결성되어 독일 오페라가 창작되었는데, 이러한 독일 오페라를
징슈필(Singspiel)이라고 한다. 다른 오페라와는 달리 징슈필에서는 말로 하
는 대화 부분이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영국이나 독일에서는 오페라가 정착하지 못했다. 영국
에서는 종교 개혁과 계속되는 왕정끼리의 싸움, 또한 금욕적 청교도들의 힘
이 강했기 때문에 화려한 오페라를 무대에 올리기가 어려웠으며, 독일의 경
우에도 종교 개혁의 물결로 독일적 음악극이 시도되었기 때문이다.

(4) 독일의 교회 음악

이탈리아 교황청의 지배 하에서 자국의 문화를 꽃피우지 못했던 독일은,


바로크 초기부터는 정신적 독립성을 가지고 코랄을 바탕으로 한 독일적인 장
중함을 형성해 나갔다.

! 독일 루터 교회의 음악
종교 개혁의 수장인 루터는 종교 생활에 있어 음악의 가치를 잘 알고 있었
고 그 자신도 음악을 사랑했다. 때문에 루터파 교회의 음악은 장식적인 음형
을 발전시켰고, 1700년에는 칸타타를 예배의 일부로 받아들였다. 독일의 각
슈츠, 샤인, 샤이트를 독일
마을들은 저마다의 음악을 발전시켰는데, 이때 음악의 중심은 모든 마을이 바로크의‘3S’
라고도 한다.
슈츠는 지오반니 가브리엘
소유하고 있던 오르간이었다. 오르간은 대위법적 음조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리의 애제자였고 국제적 명
당시 즐겨 사용되었다. 루터파의 전통을 중시하여 독일적 음악의 발판을 닦 성을 가진 첫 독일 작곡가
였다. 현존하는 그의 작품
은 세 사람은 슈츠, 샤인, 샤이트였다. 이들은 이후, 바로크 음악을 집대성했
은 500여 곡의 종교 음악
다 할 수 있는 위대한 작곡가인 바흐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작곡가들이다. 이다.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203


1) 하인리히 슈츠
슈츠(Heinrich Schü`tz; 1585~1672)는 17세기 독일 음악에서 가장 중요
한 작곡가이다. 유럽을 강타한 이탈리아 오페라를 독일식으로 소화시켜서 수
난곡(passion)으로 작곡하였다.‘부활제 오라토리오’
라는 작품에서 인물들
이 주고받는 말을 수난곡으로 처리한 것이다. 슈츠의‘부활제 오라토리오’

서술력과 작품 속의 사건에 대한 깊은 생각 때문에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작
품으로, 1세기 후 바흐의‘요한 수난곡’
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는 또
▲ 독일 오르간
한 부활제용 음악으로는 처음으로 오르간에 의한 바소 콘티누오(통주저음) 반
이 오르간을 만든 고트프리
트 프리체(1578~1638)는 주를 사용했다.
슈츠, 샤이트의 친구였다고
`
한다.
2) 요한 헤르만 샤인
샤인(Johann Hermann Schein; 1586~1630)은 시인으로서의 재능과 작
곡가로서의 재능이 모두 뛰어난 음악가였다. 그는 많은 교회곡, 세속곡, 기악
곡을 남겼고 특히 그의 작품은 바흐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샤인의 작품 중에
서 독일 음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새로운 소품집(Opella Nova)”

다. 이 곡집은 1618년에 처음 출판되었는데, 묘사와 감정 표현에 탁월한 새로
운 이탈리아 마드리갈의 가능성을 철저히 연구한 뒤 루터파 교회의 코랄에
▲ 요한 헤르만 샤인 기초를 두고 만든 독일적 작품이다.

3) 사무엘 샤이트
샤이트(Samuel Scheidt; 1587~1654)는 슈츠나 샤인처럼 이탈리아의 경
향을 받아들이면서도 루터파 교회의 전통을 중시하였다. 샤이트의 작품은 오
르간 음향 배합에 대해 완벽한 지시를 주고 있다는 점과, 페달의 광범위한 응
용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5) 바로크 시대의 기악 음악

바로크의 창조적인 에너지 이탈리아의 기악 음악은 종래의 성악 양식에 의한 기법을 완전히 청산하고
는 바로크 초기에 생긴 수
독자적인 기악 이념을 추구하여 다양한 기악 형식을 확립해 갔다. 이에 따라
많은 새로운 기악 형식에서
특히 돋보인다. 바로크에 보다 큰 기악곡 형식을 구축하기 위한 형성 원리로 다악장의 형식이 나타났
등장한 새로운 형식들은 거
의 모두 오늘날까지 이어지
다. 각각 개별적으로 독특한 성격을 지닌 악곡인 악장( 章)을 통일적으로 결
는 음악의 틀이 되고 있다. 합시킴으로써, 보다 큰 하나의 형식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바로크 시대에는 새로운 악기들이 많이 개발되거나 개량되어 활용되었다.

204 서양 음악사
북이탈리아에서 개발된 바이올린은 넓은 음역과 다양한 음역으로 극적인 표 바로크 시대에 제작된 악기
인 스트라디바리(Antonio
현을 가능하게 하여 바로크의 정신을 표현할 수 있는 훌륭한 악기로 등극하 Stradivari), 과 르 네 리

였다. 오르간은 풍부한 음향과 대위법적 기교에 부합하여 지속적으로 많이 (Guarneri), 아마티(Amati)
등의 바이올린은 오늘날에
사용되었고, 하프시코드와 클라비코드도 많이 사용된 건반 악기였다. 도 그 가치가 매우 높다.

! 모음곡
바로크의‘모음곡(suite)’
은 여러 개의 춤곡을 한데 모아 놓은 작품이다.
국가 간 음악가의 이동이 흔했고, 국적이 다양한 춤곡들을 한 벌로 모아 춤 바로크 시대에 춤은 귀족과
중산층 모두에게 대중화된
반주뿐만 아니라 연주나 감상용으로까지 양식화된 작품이 쓰이게 되었다. 각 오락이었다.

곡의 특징적 양식은 프랑스에서 확립되었지만, 춤곡들을 모아‘모음곡’


이라
는 하나의 음악적 조직으로 확립한 사람은 독일의 작곡가 샤인(J. H. Shein)
으로서 그는 1617년에 모음곡 20개를 구성하여 출판하였다.
17세기 중엽에 클라비어를 위한 모음곡이 독일에서 대중화되었으며, 바로
크 후기에는 음악 양식적으로 정형화되었다. 첫째 악장‘알망드-(alle
mande)’
는 독일 춤으로 보통 빠르기의 2박 계통 곡인데 음계적 음형을
3
갖는다. 둘째 악장‘쿠랑트(courante)’
는 프랑스 춤곡인데 보통 빠르기의
2
6
또는 박자로 프랑스풍의 당김음과 대위적인 짜임새가 특징이다. 셋째 악장
4
‘사라반드(sarabande)’
는 스페인 춤으로 3박 계통의 느린 곡이며, 위엄이
6 9
있고 화성적이다. 마지막 악장‘지그(gigue)’
는 영국의 춤곡으로 또는
8 8
박의 가볍고 빠른 리듬의 곡이다. 모음곡의 이러한 정형화와 대중화에 큰 역
할을 한 작곡가는 독일의 프로베르거(Johann Jakob Froberger;
1616~1667)이다.
프랑스의 모음곡은 류트나 클라브생(clavecin)을 위해 작곡되었다. 프랑소
와 쿠프랭(Franç`ois Couperin; 1668~1733)은 장식음(agrément; 아그레 소나타 중 특히 트리오 소
나타(Trio Sonata)는 바로
망)을 세심하게 기보하여 장식음 체계를 표준화하였다.
크 특유의 소나타 형식이
다. 위의 두 멜로디를 바이
@ 소나타 올린 두 대가 듀엣으로 연
주하면, 아래 성부는 콘티
소나타는‘악기를 연주하다.’
라는 뜻의 이탈리아 어 동사‘sonare’
에서 유 누오(continuo)와 베이스
(bass)가 담당하게 되는 구
래한 말이다. 처음에는 성악곡인 칸타타(cantata)와 구분하기 위해서 기악
조이다. 물론 위의 두 성부
연주곡을 소나타라고 불렀다. 16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다성적 성악곡인 칸 는 목관이나 그 밖의 악기
가 담당할 때도 있었지만
초나를 기악화한 것을‘칸초나 다 소나레(canzona da sonare)’
라고 하다가
앞에서 말한 것이 전형적인
‘소나타’
라고 일컫게 되었다. 틀이 된다.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205


목소리로 노래하는 소나타 16세기 후반부터 쓰이게 된 소나타라는 이름은 다양한 형식의 악곡을 일컫
도 있었는데, 기악적 기교를
목소리로 구사하기도 했다. 는 데 쓰였다. 즉 단순한 노래를 기악곡으로 바꾼, 넓은 의미에서의 소나타가
작곡되기 시작한 것이다. 기법에 있어서도 성악의 모노디 형식을 가진 기악
곡 등, 소나타는 악기로 연주하는 것 외에는 성악곡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
았다.
17세기 후반, 중기 바로크에 이르면 소나타는 거의 모두 기악곡이 된다. 형
태로 나누어 보자면 크게 교회 소나타와 실내(궁중) 소나타의 두 종류로 정형
화된다. 교회 소나타는 일반적으로‘느림-빠름-느림-빠름’
의 4악장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장중한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 제1악장은 짝수 박자로서 특히
장중하고, 제2악장은 푸가, 제3악장은 홀수 박자의 화성적 서법, 제4악장은
춤곡풍의 리듬을 지닌 것이 많다. 실내 소나타는 대조적인 춤곡을 몇 개 배열
한 일종의 모음곡인데 알망드, 쿠랑트, 사라반드, 지그, 가보트 등이 즐겨 쓰
였다. 이 두 형태의 소나타는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발달하면서 뛰어난 작품
들이 많이 나왔다. 중기 바로크의 소나타를 형식면과 내용면에서 완성한 것
은 코렐리(Arcangelo Corelli; 1653~1713)였다.
악기 편성상으로 보면, 바로크의 소나타는 트리오(3성부) 소나타와 솔로(독
주) 소나타로 나눌 수 있다. 통주저음 위에 트리오 소나타는 2개 성부를, 솔
로 소나타는 1개 성부를 가지며, 선율 악기는 거의가 바이올린이고 트럼펫이
나 플루트 등이 드물게 쓰였다.
바로크 말기로 가면서는 솔로 소나타가 중요시되는 경향으로 바뀌었다. 그
에 따라 주법이 성악과 구별되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교회
소나타와 궁중(실내) 소나타의 구별은 점차로 모호해지고, 두 형태를 혼합한
3~4악장의 소나타들이 많아졌다.
17세기 중엽부터 소나타는 유럽의 여러 나라에 퍼졌다. 이탈리아에서는 알
비노니, 비발디, 타르티니, 독일에서는 푹스, 텔레만, 헨델, 바흐, 영국에서는
퍼셀, 프랑스는 쿠프랭 등이 소나타를 만들었고 발전시켰다.

# 푸가
리체르카레 푸가(fuga)는 모방 대위적 형식으로 17세기 말의 리체르카레를 대치한 것
리체르카레는 르네상스 성 이다. 푸가는 장단조 체계가 확립되고 나서 완성되었다. 푸가의 기본은 주제
악곡 모테트를 따라한 기악
곡인데, 모테트처럼 모방의 (subject)라는 선율이며, 이 선율이 한 성부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다른 성부
짜임새를 가졌다.
들이 그것을 딸림조나 으뜸조로 모방하여 제시한다.

206 서양 음악사
$ 토카타
토카타(toccata)는 즉흥 양식을 일컫는다. 토카타는 주로 건반 악기, 특히
오르간을 위한 장르로 정착된다. 이 악곡은 연주가의 기량을 드러내는 데 적
합한데, 불규칙한 리듬, 뚜렷한 대비, 음계형 악구의 화려한 연주가 특징이
다. 토카타는 푸가 양식을 포함하여 프렐류드(전주곡)로도 불렸다.
독일 뤼벡의 오르간 주자였던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는 많은
전주곡을 남겼다.

% 협주곡 16세기 중엽부터 약 100년


동안은 콘체르토라고 하면
협주곡(concerto)은 바로크 시대에 생겨난 대표적인 형식이다. 콘체르토의 기악 반주가 따른 성악곡을
뜻했다. 그러다가 지오반니
어원은‘싸우다’
,‘경합하다’
의 뜻을 지닌 라틴어 동사‘concertare’
로서, 협
가브리엘리가 중심이 된 르
주곡은 두 개의 음향체 간의 대립과 경합을 특징으로 한 악곡을 말한다. 바로 네상스 시대의 베네치아 악
파 이래, 관현악을 포함한
크 예술이 지닌 원근감과 대비성을 음악에서는 협주 양식에서 볼 수 있다. 이
합창을 두 군으로 나누어
방법은 바로크 음악의 선구자 지오반니 가브리엘리에 의해서 추구되었다. 서로 교대하게 함으로써 2
개 음향체의 경합과 같은
성악 콘체르토는 점차 성악과 성악의 대비를 넘어서서 성악과 기악의 대비 인상을 풍기게 되었다.
로도 나타나게 되었으며, 바로크 중기로 넘어가면서 바로크 특유의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큰 콘체르토)로 발전했다. 코렐리는 기악곡에서 솔
로 그룹인 콘체르티노(concertino)와 합주 그룹인 리피에노(ripieno; 가득
찬)가 대응되어 소리를 만들도록 하였고, 두 그룹 모두가 연주하는 것을 투티 콘체르토는 17세기 말 이래
후기 바로크, 고전주의, 낭
(tutti; 합주)라고 하였다. 바로크 말기에 이르러서 솔로 콘체르토가 큰 인기 만주의까지 이어진다.

를 얻게 되는데, 이를 발전시킨 작곡가는 토렐리(Giuseppe Torelli;


1658~1709)이다. 그는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협주곡(solo concerto)을 만들
었는데, 좀 더 대위적으로 처리하여 독주 악기의 음악과 구별시켰다. 그는 3
악장의 협주곡 형태를 쓰기 시작하였다.

(6) 칸타타와 오라토리오

바로크 초기에 유절 형식의 모노디 아리아였던 칸타타는 17세기 중엽에 이 독일과 영국에서도 오라토
리오가 작곡되었으며, 헨델
르러 다악장 형태의 성악곡이 되었고,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와 함께 바로크의 의‘영국 오라토리오’
는 바
로크 오라토리오의 절정이
3대 성악 장르를 형성하게 되었다. 칸타타는 오페라와 달리 무대 장치나 의상
라고 할 수 있다.
없이 실내에서 소수의 청중을 대상으로 연주하였다. 17세기 말엽에 작곡된
알렉산드로 스카를라티의 600여 곡은 칸타타의 절정이라 하겠다.
이탈리아 가톨릭 교회에서 독일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의 종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207


교 개혁에 자극을 받아 일어난 혁신 운동은‘영적 훈련’
을 위한 기도 모임이
었다. 이들은 수도원이나 교회의 오라토리오(oratorio; 기도실)에서 모였고,
이 기도 예배에서 청중의 교화를 목표로 한 종교 오페라가 공연되었다. 이것
은 오라토리오라는 명칭이 주어지면서 독자적인 장르로 발전하였는데, 오라
토리오의 가사는 성서 구절에 창작된 시가 추가된 형태이고, 음악은 오페라
와 같은 극적 성악 장르이다.

(7) 세기말 귀족들의 문화 로코코

18세기 후반, 루이 16세가 국왕으로 있던 프랑스는 유럽의 어느 나라보다


도 귀족 정치의 말기적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 예술과 문학의 영역에서도 한
세기의 종말을 알리는 듯 엄청난 변화가 휘몰아쳤다.
당시 프랑스의 예술 작품들은 귀족들의 허영심과 화려한 영화(榮華)의 마
지막을 드러내는 듯, 극히 가벼우면서도 장식적이고 자기만족에 도취될 수
있는 것들이 각광을 받았다. 이러한 경향을 일컬어‘로코코(rococo)’
시대의
▲ 로코코풍의 의상
로코코풍의 예술은 살롱 예술이라고 한다. 로코코풍의 예술은 주로 프랑스의 바로크 말기와 연결된
(salon)과 규방에 세련된
육감적이고 장식적이며 현란한 예술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예술가들을 불러 모았다.
프랑스의 전형적인 로코코 음악의 악기로는 클라브생과 류트가 효과적으
클라브생, 류트 로 쓰였다. 이 악기들의 공통점은 줄을 손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는 것인데,
클라브생이란 클라비어의
소리를 한 번 내면 끊기기 때문에 그 음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연결 고리들을
프랑스 어이며, 류트는 기
타의 전신이다. 장식음으로 만들어 넣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로코코적 정서에 두
악기의 장식적 요소가 잘 맞게 되었다.
이 시기에 클라브생 음악을 가장 많이 작곡한 사람 중의 하나가 쿠프랭(F.
Couperin; 1668~1733)이다. 그가 작곡한 클라브생 음악의 대부분은 귀족을
위한 궁중 춤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그는 궁중 춤곡을 단순히 귀족들
의 오락거리로만 여기지 않고 예술의 경지까지 올려놓았기 때문에 음악사에
▲ 클라브생 남게 되었다.
프레시외 류트의 작곡가로는 고티에(Denys Gaultier; 1603?~1672)가 유명했다.
프레시외란 궁중의 재능 있
고티에는 류트의 줄을 한꺼번에 긁어내려서 극적으로 화음이 넘치게 표현하
는 여성들을 중심으로 유행
했던 문학 양식이다. 명인 였다. 이렇게 아름다운 불협화음 겹침선을 즐기는 등 즉흥적이고 다채로운
의 기교를 중시하고 엘리트
꾸밈음을 사용하였다. 류트는 작은 공간에서도 교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
적 장식법과 우아한 자태에
몰두했던 이들에게 류트는 지고 있는데, 류트가 로코코 시대에 각광받게 된 배후에는 프랑스 사교계의
문학과 어우러지기 좋은 분
위기를 조성하였다.
‘프레시외(precieux; 멋부리다)’
가 있다.

208 서양 음악사
로코코풍의 예술은 귀족들의 권태로움을 달래는 장식적인 기능을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관념적이고 무거운 바로크적 특성을 타파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따라서 로코코 양식은 고전주의로 진입하기 위한 전(前) 고전주의의 계
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귀족들의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대변하던 로코코 양식
은 프랑스 혁명 이후, 일반 대중의 자연스러움을 대변하는 쪽으로 전이되어
▲ 로코코 시대의 문양(1714)
발전하게 된다.

(8) 18세기 전반의 주요 음악가

후기 바로크 시대를 집대성한 4명의 작곡가는 비발디, 라모, 바흐와 헨델


이다. 이 시기는 절대 군주의 국가뿐만 아니라, 작은 공국 또는 강력한 도시
국가까지 모두 예술 후원을 통해 세력과 부를 과시하는 경향을 드러냈으며,
이것은 음악가들의 절대적 후원 체계로 작용하였다. 경쟁력 있는 작곡가는
더 나은 보수를 위해 자리를 옮기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양식과 기법으로 자
신을 무장했으며, 작곡가들은 주문에 따라 구체적인 목적에 맞추어 작곡을
했다.

! 안토니오 비발디
비발디(Antonio Lucio Vivaldi; 1678~1741)는 바로크 시대의 이탈리아
에서 독창적이고 영향력 있는 작곡가였다. 그는 어려서 사제 교육을 받았으
나 건강이 나빠져서 미사 집전이 어렵게 되어 전적으로 음악에 헌신하게 되
었다. 비발디는 베네치아의 고아와 사생아들의 교육을 담당하였던 피에타 오
스페달레(Ospedale della Pieta)의 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 교사로서 15
년간 일하였다. 그는 운영 자금을 위한 자선 음악회 때마다 많은 분량의 작품
을 작곡하고 직접 지휘도 하였다.
비발디는 협주곡에 탁월한 성과를 보였는데, 500여 곡의 협주곡 중 절반이 비발디는‘사계(Le quattro
stagioni, Op. 8, 1725)’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것이다. 그는 3악장 구조의 느린 악장에 다양한 변화를 서 자연의 사계절을 그려
주었으며 풍부한 상상력으로 그림처럼 생생한 음악을 작곡하였다. 또한, 비 내는 네 개의 협주곡을 작
곡했다.
발디의 16개에 달하는 신포니아(sinfonia)는 고전 교향곡의 든든한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

@ 장 필립 라모
라모(Jean Philippe Rameau; 1683~1764)는 18세기 프랑스의 가장 중요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209


라모가 작곡가로서 알려진 한 음악가이다. 그는 교회의 오르간 주자였던 아버지에게서 음악을 배웠고,
것은 50세 이후에 1731년
프랑스의 대부호 라 푸플리
여러 도시에서 건반 악기 주자로 활동하고 작곡하였다. 라모는 30여 편의 오
니에르를 만나 후원을 받게 페라뿐만 아니라, 60여 곡의 건반 음악과 모테트 등을 남겼다.
되면서부터이다.
음악 이론가로서 라모는 중요한 학술적 저술을 남겼는데, 그는 화성이 모
든 음악의 근본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그는 화성 원리를 음향학의 법칙
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며, 음을 5도씩 쌓아 온음계를 얻는 과정을 제시하고
배음열에서 장3화음을 유도해 내었다.
또한 화음을 3도씩 아래에서 위로 쌓음으로서 3화음, 7화음, 9화음으로 확

라모의 반대파들은 라모가 장시킬 수 있고, 한 화음의 본질적인 성격은 자리바꿈 형태에서도 변하지 않
륄리의 전통을 벗어난 혁신
으며, 근음 진행이 화성 연결에서 중요하다는 등의‘기능 화성 이론’
을 확립
주의자라고 비판했다. 그러
나 19년 후에 휩싸이게 된 하였다. 1722년에 출판된“화성론”
은 자신의 이론을 피력한 저술 중에서 가
‘부퐁 논쟁’
에서 라모는 륄
장 중요한 책이다.
리를 계승한 프랑스 전통주
의자로 인정받게 된다. 오페라에 있어서 라모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서곡과 춤 반주곡, 그리고 무
대의 사건을 묘사한 관현악곡 등에 나타난다. 이 모든 개성적 요소들은 화성
이론가로서의 라모의 생각이 작품에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 요한 세바스찬 바흐
서양 음악사에서 가장 완벽한 예술 작품을 창조한 작곡가 중 하나로 존경
바흐 가문은 17세기 후반 받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중부 독
200여 년에 걸쳐 뛰어난
일 루터파의 중심지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바이올린을 배웠
음악가들을 50명 이상이나
배출시켰다. 고, 삼촌의 오르간 연주를 들으면서 자랐다.
바흐는 1700년 봄, 북부 독일의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루터파 교육을 받고,
교회 합창 단원으로 활동하며 북부 독일악파의 다양한 종교 음악과 친숙해졌
다. 1702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바흐는 중부 독일 아른슈타트의 교회 오르간
연주자로 채용되었다. 그는 낮에는 성가대를 훈련시키고 교회의 학생들을 관
리하면서도, 밤에는 과거와 당시 대가들의 작품을 필사하고 연구하여 점차
독특한 작품 스타일을 확립해 나갔다. 바흐는 아른슈타트 교회의 오르간 연
주자 시절에 궂은 일을 하면서도‘토카타와 푸가 d단조’
와 같은 위대한 작품
을 작곡했다.
1707년 바흐는 그의 사촌인 마리아 바르바라와 결혼하였으며, 그의 일곱
자녀 가운데 빌헬름 프리데만과 칼 필립 에마누엘은 훌륭한 음악가로 성장하

▲ 바흐가 가지고 있었던 였다. 결혼한 이듬해, 바이마르로 가서 궁중 예배장의 오르간 연주자가 되었
루터가 번역한 성서
다. 그는 이 기간에 오르간 연주자로서 명성이 높아지고 작품도 점차 원숙해

210 서양 음악사
져 대가로서의 풍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바이마르 시절의 중요한 작품은‘전 ‘푸가의 예술’
은 급속히 쇠
약해진 시력과 뇌졸중의 발
주곡과 푸가’
,‘토카타’그리고‘코랄 전주곡’같은 오르간 작품이며, 이 시 작으로 인해 바흐가 본래

기를 오르간 곡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기획했던 작품에 미치지 못


하고 미완성으로 끝났다.
바흐는 고액의 연봉을 받으며 괴텐의 궁중 악단을 이끌게 되면서 좋은 환
경과 풍족한 생활 속에서 잇달아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냈다. 괴텐 궁중 악단
시절에 그는 기악곡, 3개의‘바이올린 협주곡’
, 6곡의‘브란덴부르크 협주
곡’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무반주 첼로를 위한 모음곡’등
을 작곡했는데, 이러한 밝은 빛으로 충만한 듯한 작품들은 바흐의 사회적·
가정적 행복감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1720년에 아내 마리아 바르바라가 죽자, 이듬해 35세의 바흐는 안나 막달
레나를 새로이 아내로 맞이했다. 바흐는 그녀를 위하여‘막달레나를 위한 클
▲ 바흐
라비어 곡집’
을, 장남 프리데만을 위하여‘인벤션’
을 작곡하였으며,‘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도 이 시기에 정리하였다.
1723년 바흐는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 교회에 합창장(Cantor)으로 취임하 바흐는 교회 칸타타를 거의
한 달에 한 곡씩 발표했다.
는데, 이 시기를‘바흐의 교회 음악의 시대’
라고 한다. 그는 이곳에서‘우리
그는 궁중 악단의 연주를
의 하나님은 견고한 성이로다’
를 포함한 140곡 이상의 교회 칸타타,‘마태 수 통해 비발디를 중심으로 하
는 이탈리아악파의 음악을
난곡’등 많은 교회 음악을 작곡했다. 알게 되었다.
바흐는 만년에는 대위법 작법의 극치라고도 할 수 있는‘골드베르크 변주
곡’
,‘음악의 헌정’
,‘푸가의 예술’등도 작곡하였다.

$ 조지 프리데릭 헨델
바로크 말기에 바흐와 같은 해에 태어난 조지 프리데릭 헨델(George
Frideric Handel; 1685~1759)은 독일 출생의 영국 작곡가이다. 할레에서 헨델은 할레 대학에서 법률
을 공부했지만, 18세기에
태어난 그는 9살부터 오르간을 배웠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로마의 코렐리, 스
함부르크 오페라 극장에 일
카를라티의 영향하에서 실내악을 작곡했으며 피렌체, 베네치아에서 오페라 자리를 얻어 이때부터 음악
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작곡가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1710년에 휴가를 얻어 런던을 방문했다가 1712년 이후부터는 런던을 중심
으로 오페라 작곡가로 활약하였다. 1719년에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상연을 위
해‘왕립 음악 아카데미’
를 설립하였으며, 그 이후 약 10년 동안 창작의 전성
기에 들어선 헨델은 오페라‘라다미스토 (Radamisto)’
,‘줄리어스 시저
(Julius Caesar)’등을 작곡하였다.
그러나 1728년부터 약 10년 동안은 중산 계급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던
영국의 시민 계급이 궁중적이고 귀족적 취미를 배경으로 한 이탈리아 오페라

Ⅳ. 바로크 시대의 음악 211


중산 계급이 성장하면서 귀 에 대해 반발했기 때문에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로서 헨델의 입지는 매우
족 문화에 대한 반발이 나
타났고, 1728년 대사에 민 약해졌다.
요 선율을 곁들여 당시의 1737년, 헨델은 건강 악화와 경제 파탄으로 오페라 작곡가 겸 극장 경영자
귀족 사회를 통렬히 풍자한
J. C. 페푸시 작곡의‘거지 로서의 활동에 종지부를 찍고 1732년경부터 오라토리오를 작곡하기 시작하
오 페 라 (The Begger's
여 1741년에 오라토리오‘메시아(Messiah)’
를 작곡하였다.‘메시아’
는 기독
Opera)’
가 상연되어 획기
적인 성공을 거두자 왕실 교적인 신앙의 정수를 순수하고도 감동 깊게 전해 주는 명작이라 할 수 있다.
음악 아카데미는 부득이 문
‘메시아’이후에도 헨델은 뛰어난 오라토리오를 많이 작곡하였는데, 1751
을 닫게 되었다.
년 오라토리오‘예프타(Jephtha)’
를 작곡하던 중 시력을 잃었다.
헨델은 1726년 영국에 귀 헨델은 오페라(46 작품), 오라토리오(32 작품) 등 주로 대규모의 극음악 작
화하였고, 사후 최고의 영
예인 웨스트민스터 대성당 곡에 주력했지만, 기악에서도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유명한 관현악 모음
에 안치되었다. 곡‘수상 음악 모음곡(Water Music Suite)’
,‘왕궁의 불꽃놀이(Royal
Fireworks Music)’
외에, 합주 협주곡 여섯 곡, 오르간 협주곡, 트리오 소나
타 등 주목할 만한 작품을 남겼다.

▲ 헨델

▲ 템스 강의 불꽃놀이(1749년경의 그림) ▲‘메시아’


의 악보
영국 국왕이 참석한 이 행사를 위해 헨델은‘왕궁 ‘메시아’
는 예수의 탄생에서 부활에 이르기까지의
의 불꽃놀이’
를 작곡하였다. 일대기를 묘사한 걸작이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바로크 시대의 유럽의 상황을 정리해서 발표해 보자.
2 .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에 큰 영향을 끼친 몬테베르디의 활동을 적어 보자.
3 . 독일의 교회 음악에 루터가 끼친 영향을 적어 보자.
4 . 기악 음악 중 모음곡의 종류와 특징을 정리해 보자.
5 . 바로크 시대의 소나타의 의미를 발표해 보자.

212 서양 음악사
고전주의 시대의
V
음악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고전주의(古典主義; classicism)는 조화, 균형, 명석함을 추구하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예술 사조로부터 유래하였다. 절대 왕정의 붕
괴와 함께 찾아온 시민 계급 시대의 유럽은 새로운 시대를 맞아 고대
그리스의 예술 사조에서 정신적인 돌파구를 찾게 되었다.
이 시대의 음악은 음악 자체로서의 깊이를 더하게 된다. 가사가
없이 음악 자체로 설득 논리를 갖는 소나타 구조가 확립된 것은 고전
시대가 오늘날에 물려준 가장 큰 유산이라 할 수 있다.

1.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14


1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❶ 고전주의 음악은 계몽주의적 가치관에 바탕을 두고 이를 음악적으로 구현했음을 이해
할 수 있다.
❷ 전(前) 고전주의 시기는 고전주의의 정신적 가치관과 예술 양식을 형성한 시기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❸ 본격적인 고전주의 시대에는 빈 고전파 중심으로 음악이 발전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1) 고전주의의 문화적·사회적 배경
이미 세상을 떠난 1834년에
키제베터(Raphael Georg
Kiesewetter, 1773~1850)
고전주의는 조화와 균형 그리고 명석함을 추구하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는 이 세 작곡가를 고전파
작곡가라고 처음으로 칭하 예술 사조를 부흥시킨 것이다.
였다.
음악사에서의 고전주의는 일반적으로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초엽의 시
기인데, 시기적인 의미보다는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빈 고전파의 음악 양식을 일컫는 의미가 크다.
고전주의 시대로 분류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의 유럽 사회
는 여러 방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다. 이성의 시대와 계몽주의로 대변되는 이

▲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 시기는 칸트(Kant) 이외에도 볼테르(Voltaire), 루소(Rousseau), 아담 스미


신 들라크루아(1830년)
스(Adam Smith) 등과 같은 역사적인 인물들의 철학 사상이 널리 퍼진 시기
18세기 말, 귀족들도 세금
을 내야 한다는 평민들의 였다. 자유주의 사상과 세계주의적인 사상은 프랑스 혁명에 이어 미국의 독
주장에 군대는 총칼을 들이
립 선언과 독립 전쟁을 촉발시켰고, 과학 분야에서는 영국의 산업 혁명을 추
댔다. 기아에 허덕이던 평
민들의 분노는 폭발하여 혁 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음악은 교회와 궁중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 사
명으로 연결되었다.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혁명 정신
회에서도 점차 생활화되었고, 아마추어 음악가들도 많이 생겨났다.
은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 18세기 말에 접어들면서 여러 도시를 돌며 연주하는 직업 연주가들이 많아
쳤다.
졌고 연주회에는 입장권이 등장하였다. 높아진 시민 계급의 위상에 따라 이
처럼 공공 음악회가 점차 증가하였으나, 교회와 궁중의 후원 없이는 아직도
높아진 시민 계급의 위상에
음악가들이 자립하기 힘든 과도기적 상태였다.
비하여 귀족들은 재정적 어
려움에 처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음악가들은 점차 궁중
밖으로 진출해야만 했다.
(2) 전(前) 고전주의 시대
이것은 귀족들의 전유물이
었던 예술 음악이 일반인에
18세기 전반에 이미 새로운 음악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 전(前)
게 알려지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고전주의는 다가올 고전주의의 시대정신과 음악 양식을 확립한 중요한 시기

214 서양 음악사
였다. 1720년대, 바흐와 헨델이 바로크 음악을 완성하며 왕성한 활동기를 보
내고 있을 때, 한편으로 음악의 새로운 움직임이 생겨났다. 이때부터 빈 고전
주의가 시작되는 1780년대 초까지의 과도기적 기간을 전 고전주의 시대라고
한다. 이것은 계몽주의를 그 배경으로 삼고 있는데, 계몽주의는 인간의 분별 ▲ 바흐의 아들
력·비판력을 통해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고, 자유·평등 바흐의 둘째 아들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왼쪽)와 막
과 같은 사회적 목표를 성취하려고 노력했다. 내아들 요한 크리스찬 바흐
(오른쪽)

! 전 고전주의의 정신과 음악적 특징


예술가들도 계몽주의 사상의 실천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으며, 예술은 단순 전 고전주의가 바로크를 집
대성한 J. S. 바흐의 아들
명료하고 간결하며, 인간의 실체와 정신의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이상으로 하 로부터 시작한다는 사실은
였다. 전 고전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들은 바로크를 대표했던 요한 세 흥미로운 일이다.

바스찬 바흐의 아들들이었던 장남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차남 칼 필립 에마 앞에 다루어진 것처럼 로코


코풍의 예술은 귀족들의 권
누엘 바흐, 4남 요한 크리스천 바흐였다. 그들은 아버지로부터 어렵고 지적인
태로움을 달래는 장식적인
음악 공부를 했으나, 시대가 변하면서 아버지의 음악에 반대하여 고전적인 기능을 했으나, 결과적으로
는 관념적이고 무거운 바로
음악적 가치를 여는 선구자들이 되었다. 특히 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C. P. 크적 특성을 타파하는 역할
E. Bach)는 전 고전주의 시대를 연 대표적인 작곡가였다. 을 하기도 했다. 따라서 로
코코 양식은 고전주의로 진
이러한 시대정신으로 나타난 음악 양식이 바로‘갈랑(Galant) 양식’
,‘감정 입하기 위한 전 고전주의의

과다(das Emfindsame) 양식’


,‘질풍노도(Sturm und Drang) 양식’
이다. 계기를 마련했다.

1) 갈랑 양식
갈랑(Galant) 양식은 자연스럽고 우아하며 편안한 특징의 음악들을 일컫는 갈랑(Galant)
‘갈랑’
이란 프랑스어로‘우
데, 이것은 바로크 시기의 무거운 양식에 대비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소규
아한’
이라는 뜻을 지닌다.
모 음악을 즐기는 문화가 발달한 것에 기인한다. 공공 연주장이 생기기도 했 갈랑 양식은 앞서 나왔듯이
로코코(rococo) 양식에서
지만, 마을의 유지 격인 가정의 거실에서 자연스럽고 편안한 분위기의 음악
시작되었다.
회가 자주 열렸던 것이다.
18세기 초부터 프랑스의 클라브생 음악에서 많이 선보인 이 양식의 음악가
로는 쿠프랭(F. Couperin; 1668~1733), C. P. E. 바흐(Carl Philipp
Emanuel Bach; 1714~1788),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 등이 대표적인 작곡가로 손꼽힌다.

2) 감정 과다 양식과 질풍노도
귀족들의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대변하던 로코코 양식은 프랑스 혁명 이후,
일반 대중의 자연스러움을 대변하는 쪽으로 전이되어 발전하게 된다.

Ⅴ.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15


감정 과다 양식(Empfindsamer stil, expressive style)은 주로 건반 악기
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이 음악은 효과적인 선율과 리듬을 통해 일반 대중의
감정을 표현해 주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이후 18세기 중반의 음악에 큰 영향
을 미쳤다.
현실 세계에 슬픔이 많다는 이유로 단조 음악이 많이 쓰였으며, 민요에 대
한 애착도 보여 주고 있다. 감정 과다 양식은 갈랑 양식의 대표적 작곡가였던
C. P. E. 바흐가 이끌었는데 이외에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텔레만, 런던의 J.
C. 바흐(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 빈의 바겐자일(Georg
Christoph Wagenseil; 1715~1777), 만하임의 슈타미츠(Johann Stamitz;
1717~1757) 등이다.
당시 연극에는‘질풍과 노 질풍노도(Sturm und Drang) 음악은 기본적으로 감정 과다 양식과 맥을
도(Sturm und Drang)’

는 작품이 있었는데, 이것 같이 하지만, 시기적으로 후기에 속하며 오케스트라 음악을 포함한 전반적
을 감정적 경향 예술 운동 양식 변화로 나타났다. 이것은 당대 연극계의 움직임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을 일컫는 말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것이기도 하다.
청중의 힘을 알게 된 만하임 오케스트라는, 다양한 음색의 악기들이 모여
만하임악파의 창시자는 요 서 내는 음향에 청중들이 흥분하자 연주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여 화제를 불
한 슈타미츠이다. 만하임 오
케스트라 효과 중 대표적인 러일으켰다. 감정을 격양시키기 위하여 이들은 많은 오케스트라 효과를 만들
것은 크레셴도-데크레셴도 어 냈다. 18세기 중반에 활동했던 오케스트라 음악 작곡가들이 이 경향에 속
효과, 로켓 음향 효과, 탄식
음향 효과, 회전 음향 효과, 하는데 C. P. E. 바흐, 슈베르트(Johann Schubert; 1720~1767), 그리고
미끄러지는 꾸밈음들, 번개
만하임악파의 슈타미츠, 리히터(Franz Xaver Richter; 1709~1789) 등이
음향 효과 등이었다. 이런
효과들이 오케스트라의 음 대표적이다.
향으로 전달되면 매번 청중
들은 일어나서 큰 박수를
보냈다고 한다. (3) 고전주의 시대

! 양식적 특성
고전주의에 이르러서 음악은 양식을 초월하여 순수한 형식을 통해 정신세
계를 표현하는 것에 이르렀다. 본격적인 고전주의는 18세기 중엽에서 19세기
오스트리아의 황제 요셉 2 초엽에 걸쳐 주로 오스트리아의 빈을 중심으로 융성하였던 빈 고전파 음악을
세는 음악을 사랑하고 음악
가들을 보호했다. 때문에 빈 가리킨다. 하이든, 모차르트와 더불어 베토벤은 빈 고전파를 대표하는 작곡
은 음악가들에게 매우 중요 가이다. 빈 고전파의 음악은 뚜렷한 가락에 풍요로운 화음이 수반되고 곡의
한 거점이 되기 시작했다.
형식이 엄격한‘소나타 형식’
을 취하고 있어 대체로 논리적이고 정돈된 느낌
을 준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또한 합리적 사고에 바탕을 둔 보편적 음악이 강조되었

216 서양 음악사
다. 이것은 가사가 없는 기악 음악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드러내려는 노력으 계몽주의의 이상을 음악적
으로 실현하고자한 노력은
로 나타났는데, 가사 없이 소리로만 표현해도 누구에게나 음악의 내용이 전 다음과 같다.

해진다면 음악가들은 그러한 규칙을 찾아 익혀야 한다고 생각했다. ㉠ 선율을 짧고 단순하게,


민요적 성격의 편안한 선율
로 나타낸다.
㉡ 리듬은 짝수 단위로 마
@ 기악곡의 장르와 형식 디를 끊어서 규칙적인 흐름
을 유도한다.
전 고전주의 시대를 포함한 고전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장르는 바이올린 소
㉢ 음역은 큰 기교를 요하
나타, 피아노 소나타, 3중주~8중주, 협주곡, 교향곡 및 대부분의 오페라 서 지 않도록 하여 일반인도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곡들이었는데, 이 대부분의 곡들이 소나타 악장을 포함한 소나타로 작곡되었 ㉣ 일반 대중의 감정적 흐
다. 현악 4중주는 바로크 시대의 트리오 소나타를 잇는 장르로서, 저음을 보 름을 그대로 음악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셈여림의 강
강한 3화음 중심의 성부 진행을 보이며, 네 성부 구조의 모범으로 여겨진다. 도를 자주 바꾸고 조절한다.
바로크 시대의 콘체르토가 악기들 간의 음향 대비를 통한 경쟁의 성격이
강하였다면, 고전주의 시대의 협주곡은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가 서로 협력
관계에서 음악을 전개시킨다.
기악 음악의 최고봉은 교향곡(symphony)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원래
이탈리아의 신포니아(sinfonia)에서 유래하였으며, 오페라나 칸타타, 오라토
▲ 음악 파티
리오 등에서 이루어진 성악곡을 연주하기 전에 순수한 기악곡으로 연주하던
(필립 메르시에 그림/1733년)
음악이었다. 이것이 고전파 시대에 소나타 형식의 악장을 포함한 독립적인 다 오스트리아 조지 2세의 맏
아들인 프레데릭 황태자가
악장의 곡으로 변모한 것이다. 고전주의 시대 많은 작품의 주축이며 작곡 양 남매들의 반주에 맞추어 첼
식이었던 소나타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장르로서의 소 로를 연주하는 장면이다.
이들 남매는 모두가 헨델의
나타이며, 두 번째는 한 악장에 드러나는 악장 구조로서의 소나타 형식이다. 제자였다.

1) 장르로서의 소나타 당시 뛰어난 오케스트라를


소유하고 있던 만하임 궁중
바로크 시대에 모음곡 수준이었던 다악장의 곡들도 소나타 악장 형식을 포 악단(만하임악파)이 교향곡

함한 소나타로 진화하였다. 이것을 다악장 소나타라고도 하는데, 고전주의 발달에 큰 기여를 하였다.

시대에 소나타라고 이름 붙은 작품은 대개 독주 피아노 소나타이거나 피아노


시대에 따른 소나타의 의미
와 함께 연주하는 소나타였다. ㉠ 바로크 초기: 기악으로
연주하는 모든 곡
특히 어떤 음악이 소나타인가 아닌가를 결정하게 되는 주요 기준은 그 작
㉡ 바로크 후기: 느림-빠
품의 1악장과 4악장이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었는가 구성되지 않았는가에 름-느림-빠름의 기악적 악
기곡 모음(교회 소나타) 혹
달렸다. 은 몇 개의 악기로 연주되
다악장 소나타는 보통 세 개의 악장 또는 네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는 춤곡 중심의 모음(실내
소나타)
1악장은 빠르고 극적이며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두 개의 주요 주제에 실어서 ㉢ 고전주의 소나타: 4개의
악장 구조를 가지며 1악장
제시하는 악장이다. 2악장은 그 긴장을 이완시키는 느리고 서정적인 노래 형
과 4악장이 소나타 형식으
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3악장은 일반적으로 춤곡인 미뉴에트가 사용되었으 로 작곡된 것

Ⅴ.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17


나, 베토벤은 보다 해학적인 스케르초를 쓰기도 했다. 4악장은 다시 빠른 템
포로 돌아와 1악장에서 사용했던 조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체를 마무리한
다. 장르로서의 소나타는 이와 같이 3~4 악장으로 구성된 작품 전체를 일컫
는다.
▲ 하이든의 초상(루트비히
구텐브룬 그림/1770년경)
2) 악장 형식으로서의 소나타
하이든은 ‘파파 하이든’

라고 불릴 정도로 점잖고 바로크 시대에 발달한 기악곡은 고전주의 시대에 드디어 제시-발전-재현
모범적인 성품으로 존경을
받았다.
부의 논리적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이것은 한 악장의 전개를 나타내는 개념
이며 소나타 형식이라고도 한다.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에서 핵심적인 것은

변증법적 사고에 동조했던


두 개의 주제이다. 두 개의 대비적 주제들 및 그에 따른 제시부, 발전부, 재현
마르크스(Adolf Bern- 부의 틀은 부분적으로 C. P. E 바흐나 알베르티(Domenico Alberti;
hard Marx; 1795~1866)
는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1710~1740년경) 등 전 고전주의 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이미 발견되었
정-반-합의 변화와 조화 다. 하지만 주제와 동기의 발전을 통한 내적 유기성의 강화는 하이든에 의해
원리를 소나타 형식에 적용
하여 설명하기도 했다. 성취되었다.
제시부는 중심 조성의 제1주제와 5도 관계로 제2주제가 대비되는 것을 골
바로크 시대의 기악곡에서 자로 한다. 단조일 경우 제2주제는 대개 병행조로 나타난다. 제1주제와 제2
는 하나의 악장이 하나의
주제는 조성뿐만 아니라 선율적 성격도 대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감정을 표현해야 할 것으로
여겨져 두 개의 주제가 설 발전부에서는 확대와 축소, 반복과 화성 변화 등을 통해 주제와 동기의 가
정되지 않았다.
공 작업이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이전의 동기 및 보조 요소들을 잘게 쪼개고
재구성하여 극적인 발전을 이루어 낸다.
재현부에서는 앞의 제시부가 다시 나타나는데, 곡의 마감을 중심 조성으로
하기 위하여 제시부에서와는 다르게 제2주제가 중심 조성으로 옮겨져서 나타
난다. 간혹 제시부에 느린 도입부가 선행되기도 하고, 재현부 끝에 효과적인
기교로 마무리를 하는 코다(coda)가 붙기도 한다.

# 고전주의의 성악 음악
1) 오페라(오페라 세리아, 오페라 부파, 오페라 코미크, 징슈필)
오페라 세리아 고전주의 시대에는 이탈리아의 오페라 세리아에 대한 인기가 점차 줄어들
오페라 세리아는 신화나 전
게 되었다. 오페라 세리아가 지나치게 아리아를 중심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 등의 심각한 줄거리를 대
본으로 하였으므로 계몽 시 극적인 전개가 부자연스럽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아 이에 따라 레시터티브의
대의 흐름에는 맞지 않았다.
역할이 강화되었다.
지속되는 저음 악기에 의한 레시터티브 세코(recitativo secco) 형태를 벗
어나 오케스트라가 풍부한 음향으로 반주되는 레시터티브 아콤파냐토

218 서양 음악사
(recitativo accompagnato) 형태로 강화되어 보다 성악적인 선율인 아리오 아리오소
아리오소(arioso)는 전통적
소가 된 것이다.
인 레시터티브와 아리아의
이와 같은 오페라 개혁의 중심에는 글룩(Christoph Willibald Gluck; 중간에 해당된다.

1714~1787)이 있었다. 그는 경직된 오페라 세리아의 문제를 극적 줄거리의


강화로 풀어 나가고자 했다. 오페라 서곡을 작품 전체의 흐름과 연계하여 작
곡하였으며, 아리아의 숫자를 줄이고 오케스트라 반주의 레시터티브의 숫자
를 늘렸으며 합창과 중창을 강화시켰다.
극적 전개가 중시되는 흐름은 그 당시 각광받던 오페라 부파의 영향 때문
▲ 모차르트 일가(J. N. 델라
이었다. 오페라 부파는 일상적인 언어에 의한 가사, 서민적이고 진보적인 줄
크로체 그림/1780년경)
거리, 자연스러운 아리아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줄거리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해 주었다.
18세기 중엽까지만 하더라도 한 등급 낮은 장르로 여겨지던 오페라 부파를
예술적으로 끌어올려 고전적 이상에 부합시킨 사람은 모차르트였다. 모차르 모차르트의 오페라 부파
‘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
트의 오페라 부파들은 오페라 세리아에 뒤지지 않는 높은 음악적 완성도를
니’
, ‘코지 판 투테’
는 모
보이며, 흥미와 더불어 짜임새 있는 구조에서 오는 음악적 아름다움을 전했 두 다 폰테(Lorenzo da
Ponte; 1749~1838)의 대
다.‘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1786)’,‘돈 조반니(Don 본에 의한 것이다.
Giovanni; 1787)’
,‘코시 판 투테(Cosi fan tutte; 1790)’
는 모차르트의 대
표적인 오페라 부파이다.
이탈리아의 오페라 부파는 각 지역에 영향을 미쳐 특징적으로 발전하게 되
었는데 프랑스에서는 오페라 코미크(opera comique)가 발달하였다. 1752년
▲‘피가로의 결혼’
의 한 장면
이탈리아의 페르골레지의‘마님이 된 하녀’
가 프랑스에서 연주된 후 촉발된 하녀 수잔나와 피가로의 결
혼을 방해하는 알마비바 백
부퐁 논쟁은 오페라 부파와 같은 파격적인 장르를 용인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작의 수난을 다룬 오페라
진보와 보수의 격렬한 논쟁이었다. 이것은 도리어 오페라 코미크 발전에 도 로, 타락한 지배 계급을 비
판하고 있다.
화선이 되었으며, 음악의 자연스러움을 주장하던 사상가 루소는 직접 막간극
‘마을의 점쟁이’
를 작곡하였다.
독일에서는 18세기 중엽에 독일어로 쓰여진 희극 오페라가 나왔는데 이를
‘징슈필(Singspiel)’
이라고 한다. 징슈필은 레시터티브 대신 말로 하는 대화
를 사용하였는데, 고전주의 시대의 징슈필은 동화적이며 이상주의적인 내용
을 포함하기도 했으며, 반드시 유희적이지만은 않았다. 징슈필을 높은 예술적
프랑스적 보드빌
경지로 끌어올린 사람은 바로 모차르트이다. 모차르트의 징슈필 중 대표적인
오페라 코믹에서 많이 볼
것은‘후궁으로부터의 도주(1782)’
,‘요술 피리(1791)’
이다. 수 있는 것으로, 등장인물
들이 돌아가면서 노래 한
모차르트 징슈필의 음악적 기초는 민요이지만, 이탈리아적 콜로라투라 아
구절씩을 부르면 합창적 후
리아, 프랑스적 보드빌 등 여러 나라의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 렴구가 뒤따르는 형식.

Ⅴ.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19


2) 고전주의 시대의 교회 성악 음악
교회 음악 분야에서는 오라토리오와 미사의 전통이 이어졌으나, 그 비중은
이전보다 훨씬 낮아졌다. 르네상스의 반종교 개혁에 의한 전통으로 악기를
사용한 극적 미사에 대하여 교회에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작곡가들
은 교회 음악을 통하여 예술적 이상을 드러내려고 했고, 오케스트라 음향을
베토벤의 장엄 미사는 그의 섞은 장대한 미사 음악은 고전주의 시대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에게서
사후인 1830년에 바른스도
르프(varnsdorf)의 성 베드
나타났다.
로 및 바오로 교회에서 처 그 당시 빈에서 교회 음악의 장대함을 금지하는 칙령에 따라 많은 작품이
음으로 전례에 사용되었다.
남아 있지는 않지만, 하이든은 10여 개의 미사를 작곡하였고, 모차르트는 20
개에 가까운 미사를 남겼으며, 베토벤은‘C장조 미사(1807)’
와‘장엄 미사
(1819~1823)’
를 남겼다. 베토벤의‘장엄 미사’
는 전례적 기능을 탈피한 연주
회용 음악의 성격을 띠는데, 그는 이 미사 작품의 일부를 일반 공연장에서 연
주하였다.
18세기 중엽을 지나면서 오라토리오에는 자국어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고
▲ 베토벤의 사후 초상화 전 시대의 대표적 오라토리오 작곡가는 하이든이다. 하이든이 작곡한 첫 오
(요제프 슈틸러 그림)
라토리오는‘천지 창조(Die Schö`pfung, 1798)’
였는데, 그는 이 작품에서 교
향악적인 음향에 영국 전통의 풍부한 합창 음향을 결합시켰다.

3) 고전주의 시대의 가곡
고전주의 시대에는 피아노 반주가 딸린 노래들도 작곡되었다. 대부분 편안
한 선율에 단순한 화성을 붙인 것들이어서 예술적 가치는 미약했지만 하이든,
모차르트와 베토벤의 일부 가곡들은 수준 높은 음악성을 보여 준다.
하이든은 수많은 영국 민요를 편곡하여 피아노 반주를 붙였으며, 40여 곡의
▲ 아이젠슈타트에 있는
에스테르하지 궁 가곡을 남겼다. 모차르트는 30여 곡의 가곡을 작곡했으며 그의 작품 가운데
하이든은 한때 유럽 최고의
귀족이었던 에스테르하지
통절 가곡‘오랑캐꽃(Das Veilchen, K. 476)’
은 괴테의 시를 사용하여 줄거리
가문의 전속 음악가로 30 의 각 장면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베토벤은 90여 곡의 가곡을 남겼는데‘그대
년 이상을 지내며 수많은
곡을 작곡하였다. 를 사랑해(Ich liebe dich, WoO. 123)’
와‘아델라이데(Adelaide, Op. 46)’

대표적인 작품이다. 특히‘먼 곳의 연인에게(An die ferne Geliebte, Op.
98)’
는 최초의 연가곡으로서 조성이 순환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첫 곡의 선
율 동기를 끝 곡에서 사용하여 작품 전체의 유기성을 강화하였다.‘3 songs,
Op. 83’
에서는 세 개의 노래를 묶어서 하나의 작품 번호 안에 두었다.

220 서양 음악사
$ 고전주의 시대의 피아노 소나타
고전주의 시대에 이르러 피아노는 실내악 작품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2중주 소나타는 대개 피아노와 함께 편성되었다. 고전주의 시대의 전성기에
이르러서는 피아노와 독주 선율 악기가 대등한 입장에서 역할을 맡게 되었다. 피아노에 비하여 쳄발로는
건반을 누름에 따라 줄을
이전의 쳄발로 및 클라비코드는 피아노로 대체되었다. 이탈리아의 크리스 퉁겨서 소리를 냈는데 음량
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 1655~1731)는 18세기 초에 해머(hammer; 을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클라비코드는 접
작은 망치) 장치를 이용해 줄을 섬세하고 강하게 내려칠 수 있도록 고안하였 촉쇠가 장착된 줄을 직접
쳐서 소리 내는 악기인데
다. 이 악기의 공식 명칭은 피아노포르테(Pianoforte) 또는 포르테피아노
음량이 작아서 다양한 감정
(Fortepiano)로서 음량을 자유자재로 연주할 수 있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을 표출하기 어려웠다.

하이든의 초기 피아노 소나타들은 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C. P. E. Bach)


의 환상적 요소의 작품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1770년대에 들어서면
서 다른 장르에서와 마찬가지로 감정 과다 양식이 드러난다.
베토벤은 모차르트와 더불어 당대의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는데, 그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서는 극단적인 대비와 대위법적 구성으로 깊은 내면에 대한
추구를 표현하였다.
▲ 모차르트가 쓰던 콘서트
용 피아노포르테
% 고전주의 시대의 실내악
실내악은 실내에서 연주할 정도의 소규모 편성 음악을 말하는데, 엄밀하게
는 두 개 이상의 악기가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주의 시대의 실내악으
로 대표적인 것은 현악기
2중주의 대표적인 것은 바이올린 소나타인데 베토벤은‘봄(Op. 24, 중심의 3중주(Trio), 4중주
1801)’
과‘크로이처(Op. 47, 1803)’
에서 두 악기가 대등한 관계로 연주되도 (Quartet), 5중주(Quintet),
피아노 반주를 곁들인 현악
록 하였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첼로의 중요성이 커졌는데, 보케리니와 뒤포 기와 관악기가 섞인 6중주
(Sextet), 7중주(Septet), 8
르(Jean Louis Duport; 1749~1819)는 첼로 주법을 연구하여 이에 크게 기
중주(Octet), 9중주(Nonet)
여하였다. 베토벤은 바이올린 소나타에 필적할 만한 첼로 소나타(Op. 5, 69, 가 있으며, 간단한 편성의
악기 반주의 독창이나 중창
102)를 작곡하였으며 이는 당시 중요해진 첼로의 위상을 말해 준다.
도 넓은 의미에서 실내악으
현악 4중주는 보통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편성되는 로 포함하기도 한다.

데, 하이든은 현악 4중주를 정착시킨 작곡가라 할 수 있다. 그는 70곡에 가까


운 현악 4중주곡 등으로 고전파 기악곡의 전형이 되었다. 베토벤의 후기 작품의 시기

베토벤의 후기 현악 4중주에서는 기존의 형식적 틀이 자주 무시되며 정신 는 낭만파 초기의 대표자들


인 베버나 슈베르트의 활동
적 내용을 함께 담아내려는 시도가 보인다. 1820년대에 작곡된 다섯 개의 4 과도 겹치고 있는 점이 주
목된다.
중주(Op. 127, 130, 131, 132, 135)와‘큰 푸가 4중주(Op. 133)’
에서 고전
시대의 음악 이상을 벗어나 낭만적인 성향이 엿보인다.
18세기 중엽에 오케스트라에 관악기가 포함되면서 실내악에도 관악기가

Ⅴ.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21


사용되었다. 이런 실내악 작품을 비교적 많이 남긴 작곡가는 모차르트인데
그는 기악 모음곡인 디베르티멘토를 다수 작곡하였고, 나아가 현악 앙상블에
관악기가 혼합된 편성으로 완성도 높은 음악을 선보였다.

^ 고전주의 오케스트라 음악
고전주의 시대의 오케스트라 음악은 교향곡과 협주곡으로 나뉜다.

1) 교향곡

신포니아(Sinfonia) 교향곡(Symphony)의 전통은 나폴리 오페라에서 서곡으로 쓰인 신포니아


신포니아는 함께(sin) 울림 (Sinfonia)에서 찾을 수 있으며, 삼마르티니(Giovanni Battista
(fonia)이라는 의미이다.
Sammartini; 1701~1775)는 70곡이 넘는 신포니아를 작곡함으로써 교향곡
을 독립적인 장르로 인식하게 하였다. 18세기 중엽의 만하임 궁중의 오케스
초기의 교향곡은 현악기로 트라는 교향곡 음향이 크고 세밀해지는 데 기여했는데 슈타미츠(Johann
만 구성하였으나 점차 관악
Stamitz; 1717~1757), 리히터(Franz Xaver Richter; 1709~1789)는 각각
기를 포함하게 되었다.
60~70곡에 이르는 교향곡을 남겼다.
교향곡 형식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정착시킨 작곡가는 하이든

하이든이 정착시킨 4악장 (Franz Joseph Haydn; 1732~1809)이었는데 그는 100곡 이상의 교향곡을
형식은 소나타 형식의 1악
작곡하였으며, 특히 1악장에서 소나타 형식을 완성하였고 표준적인 4악장 형
장, 느린 2악장, 미뉴에트
3악장, 빠른 소나타 형식의 식의 교향곡을 정착시켰다.
4악장이다.
하이든의 초기 교향곡은 당시 유행한 감정 과다 양식에 영향을 받은 만하
하이든은 궁중 밖과 다른 임풍의 작품이었으나, 1780년대 이후부터는 주제와 동기를 집중적으로 발전
나라에서도 큰 인정을 받은
시키는 빈 스타일의 소나타 작법으로 작곡하였다. 에스테르하지 집안의 악장
작곡가였지만, 생의 대부분
을 귀족을 위해 봉사하는 으로 봉사하던 그는 1791년에 오케스트라가 해체함에 따라 영국으로 가게 되
음악가로 살았다.
었는데, 영국에서의 생활은 음악적으로 큰 발전을 이루는 계기가 되어‘런던
교향곡들(93번~104번)’
과 같은 하이든 교향곡의 최대 수작을 남겼다.
특히 런던에서 열린 하이든 교향곡 연주회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유료 오케스트라 음악회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하이든은 교향곡 99
J. C. 바흐 번에서 클라리넷을 오케스트라 편성에 넣었으며, 군대 교향곡으로 불리는
런던 바흐로 알려져 있던 100번에서는 트럼펫과 팀파니도 도입하여 관현악의 색채를 다채롭게 하였
J. C. 바흐(요한 크리스천
바흐)는 J. S. 바흐의 막내 다. 또한 당시로서는 터키 악기로 여겨지던 트라이앵글, 심벌즈, 큰북 등의
아들이다. 타악기 음향을 도입하였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작곡 활동에 커다
란 영향을 미친 것은 서유럽 여행(1763~1766)이었다. 모차르트는 파리에서

222 서양 음악사
알게된 J. 쇼베르트, 런던에서 알게 된 J. C. 바흐 등의 작곡가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하여 파리에서는 바이올린 소나타를, 런던에서는 최초의
교향곡(제1번 Eb장조) 등을 작곡하였는데, 이때가 8세 때였다.
빈 시대의 후반에 접어들자 모차르트의 작품 세계는 한층 무르익었지만,
반면 빈 청중들의 기호로부터는 차차 멀어져서 생활은 어려워지고 빚도 많아
졌다. 1788년에는 심해지는 경제적인 궁핍 속에서 이른바 3대 교향곡‘제39
번 E장조’
,‘제40번 g단조’
,‘제41번 C장조(주피터 교향곡)’
을 작곡했는데
첫 번째 작품은‘백조의 노래’
라는 부제로 불리기도 한다. 둘째 작품은 다른
교향곡(K. 183)에 비하여 규모가 커서‘대 g단조 교향곡’
이라 불린다. 셋째
작품은‘주피터 교향곡’
이라고 불린다. 이 세 작품은 모차르트 교향곡의 절정
이라 할 정도로 음악적으로 높은 응집력을 보여 준다. 베토벤의 작품은 동적(動
的)인 힘이 특징이며, 곡마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교향곡의 표현력을 극단 다 독자적인 스타일로 하나

적으로 확대하였다. 베토벤의 생애에는 전쟁과 혁명이 끊이지 않았다. 19세 의 정신적인 세계를 이루고
있다.
기 서구 역사의 대전환기를 맞아 자유 혁명과 독재 권력의 갈등 속에서 그의
작품은 고독한 서구 인류의 정신 문화사적 운명의 갈등을 보여 준다.
베토벤은 만하임악파의 영향 아래 습작들을 썼으며, 특히 하이든의 모델을 1815년 이후의 12년간은
베토벤의 창작기 중에서 후
따르며 1800년에는‘제1교향곡’
을 발표했는데, 이 무렵부터 귓병이 점차 악 기에 속한다. 이 무렵에는

화되었다. 절망한 베토벤은 1802년‘하일리겐슈타트의 유서’


를 쓰고 연주자 귓병의 악화로 완전히 소리
를 들을 수 없게 되어 필담
로서의 활동을 포기하고 작곡에만 전념했으며 외부와의 접촉을 피했다. 그런 (筆談)을 통해서만 의사를
소통할 수 있었다. 베토벤
생활 속에서‘제2교향곡(1802)’
을 발표하고, 1804년에는‘제3교향곡(영웅
자신의 연주회 횟수도 줄어
교향곡)’
에서 나폴레옹이라는 새로운 영웅을 창조하였다. 들었고, 보다 가벼운 음악
을 애호하기 시작하면서 그
‘영웅 교향곡’첫 악장에 등장한 절대 권력의 군주는 제2악장에서 사라지
의 일련의 창작 활동은 저
고, 제3악장에서 새로운 시대의 지도자가 민중들의 대열 속에서 나타나, 제4 조해졌다. 그러나 다시 힘
찬 작곡 활동을 계속하여
악장의 자유로운 공화 시대를 알리는 팡파레와 함께 역사의 영웅으로 추대된 뛰어난 대작을 작곡하였으
다. 3번 교향곡부터는 하이든이나 모차르트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개성 며, 합창을 포함한‘제9교
향곡’
에서 그 정점을 이룬
적인 양식을 확립하였다. 특히‘제5교향곡(운명 교향곡, 1808)’
에서는 주제- 다.

동기 가공 작업의 극단적 예를 보여 주었으며,‘제6교향곡(전원 교향곡,


1808)’
에서는 표제적 내용을 나타내었다.‘제9교향곡(합창, 1824)’
은온인
류의 역사적 승리를 예언하는 일대의 서사시로서 마지막 악장에서 쉴러
(Friedrich von Schiller; 1759~1805)의‘환희의 송가’
를 노래하는 중창과
▲ 베토벤의 장례식 행렬
합창이 등장하는 새롭고도 거대한 교향곡이다.
1827년 3월 29일에 치러진
장례식에는 2만여 명의 사
람들이 모여들어 그의 죽음
을 애도하였다.

Ⅴ.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23


2) 협주곡
고전주의 시대의 협주곡 고전주의 시대의 협주곡은 하나의 악기가 오케스트라와 대비를 이루는 독
첼로 협주곡의 작곡가로는 주 협주곡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피아노 또는 바이올린 협주곡이 많았으나
보케리니(11곡)와 뒤포르(6
곡)가 유명하며, 롤라(Ale 이외의 다른 악기를 위한 협주곡도 작곡되었다. 이외에 여러 악기가 독주 악
ssandro Rolla; 1715~
기로 참여하는 협주적 교향곡도 있다. 협주곡의 악장은 비발디의 전통대로
1841)는 10곡 이상의 비올
라 협주곡을, 슈페르거(18 ‘빠른 1악장-느린 2악장-빠른 3악장’
의 세 악장 구조이며 1악장은 고전주의
곡)와 드라고네티가 다수의
특유의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재현부 앞의 카덴차(cadenza)는 연주
콘트라베이스 협주곡을 남
겼다. 하이든은 빈의 뛰어 자가 즉흥으로 연주하는 부분인데, 이것은 마치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 아리
난 트럼펫 연주자 바이딩거
(A. Weidinger)를 위해 트
아의 즉흥성을 보는 듯하다. 하이든의 협주곡 중 높은 완성도를 보여 주는 것
럼펫 협주곡을 작곡했다. 은 중기에 작곡된 두 곡의 첼로 협주곡과 후기에 작곡된 트럼펫 협주곡(Eb장
조)이다.
모차르트는 전 생애에 걸쳐 협주곡에 관심을 가졌고 많은 위대한 협주곡을
남겼다. 그는 당시 많이 작곡되던 피아노, 바이올린, 플루트, 클라리넷뿐만
아니라 오보에와 바순을 위한 작품을 포함한 협주곡을 40여 곡이나 작곡하였
다. 그중에서 모차르트의 중반기에 해당하는 1780년대 전반기 빈 시절의 작
품만 하더라도 피아노 협주곡 17개가 있는데, 이들 작품에서는 모차르트의
음악적 성숙미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모차르트의 천재성과 탁
월성을 드러내는 작품은 1784년 이후의 작품들인데, 이것들은 그가 유료 음
악회를 위하여 작곡한 곡들이었다. 21번(C장조) 피아노 협주곡(K. 467), 24
번(c단조)피아노 협주곡, 26번 피아노 협주곡(K. 537; 대관식 협주곡)은 깨
끗하고 효과적인 악기 사용이 빛나는 작품들이다.

▲ 베토벤이 말년을 보낸 수
베토벤은 많지 않은 협주곡을 남겼으나 자기 모방 없이 각 작품의 성격이
도원의 방 강한 기념비적인 작품을 남겼다. 다섯 개의 피아노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베토벤의 작품은 빈을 비롯 (Op. 61), 피아노와 바이올린 및 첼로를 위한 3중 협주곡이 대표적인 작품이
하여 유럽 각지의 출판사들 다. 피아노 협주곡 4번에서는 음량의 변화와 페달의 활용이 두드러지며,‘황
이 앞다투어 간행하였다.
그는 출판사의 작곡료와 귀 제 피아노 협주곡’
이라 불리는 협주곡 5번은 베토벤의 중후함을 보여 주는
족들의 지원 덕분에 모차르
교향곡적 협주곡이다. 하이든과 모차르트가 확립한 고전파 형식과 양식은 베
트와는 달리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토벤에 의하여 더 개성적으로 다듬어졌으며, 이를 통해 낭만파로의 이행을
준비할 수 있었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계몽주의가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에 끼친 영향을 정리해서 발표해 보자.
2 . 고전주의 시대의 소나타의 특징을 정리해서 적어 보자.
3 . 오페라 세리아, 오페라 부파, 오페라 코미크, 징슈필에 대해서 각각 정리해 보자.

224 서양 음악사
VI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소용돌이에 휩싸인 유럽은 빈
회의(1815년)를 통해 어느 정도 혼란을 수습했으나, 여러 제국의 몰
락으로 불안한 징후를 보이는 가운데 이전의 신성 로마 제국, 포르투
갈, 에스파냐는 몰락하고, 독일, 미국, 일본 등의 신흥 열강이 대두하
게 되었다.
음악사적으로 이 시기의 음악은 오스트리아의 빈이 주도하였는
데, 빈의 유태계 재력가들로부터 환대받지 못한 리스트와 바그너는
빈과 결별하고 자국(독일)의 바이로이트에 자신들의 음악 세계를 구
축하였다.
슈베르트와 베버의 새로운 음악적인 요소를 통해 시작된 낭만주
의는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직전인 1908년에 쇤베르크의‘제
2 현악 4중주곡’ 으로 무조 음악이 시작되면서 종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26


1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❶ 낭만주의 음악은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주관주의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❷ 낭만주의 음악은 문학과의 결합에 의해 극적 구성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음을 이해
할 수 있다.
❸ 낭만주의 음악은 전통적 양식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이 가속화되어 조성 체계의 붕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 19세기의 시대적 배경

낭만주의는 18세기 말엽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19세기 말까지의 제국주의


낭만주의
낭만주의(romanticism)는 적 경향이 성행했던 시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100여 년간은 인류 발
원래 영웅적인 인물이나 사
전상 극히 착잡한 양상을 드러냈던 시대였다.
건을 다루는 중세 문학을 지
칭하는 로망스(romance)에 1789년의 프랑스 혁명은 사람들의 마음에 환멸감을 일으켰다. 계몽주의 최
서 유래하였다.
고의 성과가 이성에 의한 비합리적인 정치 체제의 타파였는데, 혁명을 통하
여 드러난 인간성은 절망스러운 것이었으며 그들은 모든 원리가 붕괴되는 것
을 보고 불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후 유럽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의 후유증을 1815년 빈 회의에서
수습했으나, 여러 제국의 몰락으로 불안한 징후가 보였다. 빈 회의를 주도한
오스트리아에서는 회의가 난관에 부딪히면 향연과 무도회를 베풀어 국면을
타개하고자 했으며, 빈 체제가 확립된 이후에는 유럽 각지에서 일어나는 민
족주의와 자유주의 운동을 탄압하였다.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오스트
리아의 메테르니히와 독일의 야욕은 유럽 대륙에서 전쟁의 도화선에 불을 댕
기고, 이것은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
지게 된다. 바야흐로 이전의 신성 로마 제
국·포르투갈·에스파냐는 몰락하고, 독일·
미국·일본 등의 신흥 열강이 대두하게 된 것
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정신적 폐허
위에 자신의 심성에 맞는 문화를 이룩하려고
한 개인주의가 싹텄고, 그 결과 자아에 대한

▲ 빈 회의를 주도한 오스트리아는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확인과 그 내부로의 침잠이 시작되었다.

226 서양 음악사
(2) 19세기 음악 문화의 배경

낭만주의 운동은 사회적으로 부여된 계급보다 개인의 고유함을 더욱 중요


하게 여긴 계몽주의 사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낭만주의 예술가들은 나아가
고전 시대 계몽주의가 중시했던 객관적인 논리나 이성보다는 주관적인 감정
의 세계를 다루었으며, 감정에 호소하는 다양한 표현 방식을 위해 추악한 가
치도 대담하게 인정하고자 하였다. 낭만주의 영향으로 자국의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전설적이고 공상적인 세계, 옛 영웅적인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19세기가 지니고 있던 불안감으로 말미암아 현실에
대해 절망을 느끼고, 공상이나 환상의 세계에서 구원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
해져서 환상의 세계를 희구하고 이를 노래했다.
개인주의적 경향과 함께, 하층민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그려 낸 사실주의와
19세기에는 다양한 미학적
선조 작곡가들을 발굴하고 자국의 역사를 존중하기 시작한 역사주의, 같은
운동이 일어났는데 18세기
언어와 문화로 결합하고자 하는 민족주의 움직임도 나타났다. 특히, 음악에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는
낭만주의 운동이 꾸준히 유
서의 역사주의와 민족주의는 모국어를 존중하는 태도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지되었으며, 19세기 중반을
낭만주의 음악에 대한 결정적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모국어에 의한 문학과 지나면서 사실주의, 역사주
의, 민족주의 운동의 경향
의 결합은 음악에서 다시 없는 큰 힘이 되었다. 이 나타났다.

(3) 낭만주의 음악의 경향

19세기 음악에서 화성은 계속 급격한 진보를 통해 확장되고 세분화되었고,


세기말에는 마침내 전통적 조성 체계의 붕괴 상황에 직면했다. 낭만 시대의
선율은 고전 시대의 명확한 윤곽에서 벗어나 더욱 복잡해지고 불규칙하게 되
었으며 호흡은 길어졌다. 그리고 음향과 관현악법은 낭만주의 음악의 특색을
음악사 서술
잘 드러내 주는 영역이 되었다. 포르켈은 오랫동안 잊혀졌
던 바흐 작품들을 연구하여
또한, 19세기 말부터는 음악사 서술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옛 작곡가의
바흐 전기를 발표하였다
전기도 발표되었다. 특히 바흐(J. S. Bach)와 팔레스트리나(G. P. Palestri (1802). 또한 ‘멘델스존에
의한 ‘마태 수난곡(1829)’
na)의 음악이 19세기 음악에 새롭게 수용되었다.
의 연주는 바흐의 음악을
19세기 음악 문화는 여전히 귀족과 부유한 시민의 개인적 관심에 의해 주 폭넓게 청중에게 소개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러한
도되었으나, 1850년대 이후부터는 점점 더 일반 시민이라는 이름 없는 대중 활동을 계기로 바흐의 음악
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많은 예술 작품의 성공과 실패가 이들에 의해 좌우 은 비로소 독일과 유럽 전
음악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
되게 된 것이다. 작했다.

Ⅵ.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27


(4) 낭만주의 시대와 음악 도시 빈

19세기 음악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스트리아의 빈(Wien)을 돌아보


지 않을 수 없다. 고전주의 및 낭만주의 시대를 통틀어 빈은 단순한 도시 이
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전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하이든(F. J. Haydn;
1732~1809), 모차르트(W. A. Mozart; 1756~1791), 베토벤(L. v.
Beethoven; 1770~ 1827) 등은 그들의 중요한 활동지가 빈이었기 때문에 이
들을 묶어‘빈악파’
라고 부르기도 하고 이 시대를 아예‘빈 고전파 시대’
라고
빈에서 1846년 이래 평론 부르기도 한다. 이후 프란츠 요제프 황제(1830~1916)가 즉위하여 전제주의
가로 명성을 날리던 에두아
적인 태도를 완화하면서 빈은 다시 19세기 동안 음악의 중심 도시 역할을 해
르트 한슬릭(E. Hanslick)
은 예지가 번득이는 신랄한 나갔다.
필치로 빈의 음악 활동을
언급하며 음악계의 기준을
한편, 빈은 시대에 맞는 적절한 교육 기관을 설립하면서 음악 전문가 교육
마련해 나갔다. 한슬릭은 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여 19세기를 음악 전문가의 시대로 바꾸어 놓았다.
브람스를 옹호했으며, 바그
너와 리스트를 중심으로 한
이런 변화는 19세기 말까지 연주회장 공연이 꽃피게 되는 기초를 마련하였으
신독일파를 못마땅하게 여 며, 예술 전문인의 인기 체제가 확고하게 정착되었다. 청중들은 지금까지 볼
겼는데, 그의 기준은 국외
의 여론을 형성하는 데도 수 없었던 새로운 연주 기교에 갈채를 보냈고, 기술적으로 음악계는 더욱 전
중심이 되었다.
문적이고 까다로운 훈련에 돌입하게 된 것이다.
이 시기 빈 음악계의 신흥 사업가 후견인들은 부유했던 귀족층 몰락의 공
백을 채우게 되는데, 이때 부를 키우고 있었던 유대인 사업가들이 대거 이 공
백을 메우게 된다. 그러면서 이들은 음악, 미술, 연극 및 교육 분야에서 유대
인들의 활동을 적극 후원하게 된다. 이런 빈의 풍토가 결국은 바그너의 반유
대적이고 증오에 찬 독설을 남기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5) 리스트와 신독일악파


▲ 리스트를 비웃은 프랑스
의 풍자화
오스트리아의 빈은 고전·낭만 시대의 음악을 이끌어갔지만, 한편으로 리
스트(Franz Liszt)와 바그너(W. R. Wagner)는‘신(新)독일악파’
라는 이름
리스트
이 붙여질 만큼 이 시대의 다른 국면을 보여 주었다.
리스트는 1811년에 헝가리
에서 태어났다. 파리 음악원 리스트는 독일의 바이마르에서‘미래의 음악’
이라는 글을 통해 기존 전통
에 들어가려 했던 그는 이 의 답습이 아닌 대담한 형식의 개혁을 주창했다. 그는 기존의 음악계가 궁중,
국인이란 이유로 입학이 거
절되었으나, 훌륭한 연주 솜 극장, 대학 할 것 없이 하나로 유착되어 음모와 검열을 일삼고 있다고 비판하
씨로 파리 사교계의 스타가
고, 빈의 문화와는 달리 열성 있는 젊은 피아니스트들이나 젊은 작곡가들의
되었으며, 유럽 음악계에 그
명성이 널리 알려졌다. 작품이 연주될 수 있도록 주선하는 운동을 했다.

228 서양 음악사
19세기 말에는 많은 제3국의 작곡가들이 그의 도움을 받았으며, 그 당시
진보적이었던 베를리오즈나 바그너를 보호한 것도 리스트였다. 리스트가
1848년부터 1861년까지 바이마르에서 추구한 음악의 해방을 위한 노력은 큰
결실을 보았는데, 기존 음악계와의 갈등은 심했지만 개방성 있는 그의 예술
관은 그에게 바이마르의‘신독일악파’
를 확립한 사람으로서 역사적 위치를
부여했다.
리스트는 1865년에 수도사가 되면서 세상을 다시 한 번 놀라게 했는데, 수
도사가 되면서 교회 음악에서도 획기적인 기법을 쌓았다. 리스트의 진보적인 신독일악파의 시작은 순수
하게 음악적이었지만 이후
생각들은 음악극을 만들어 새로운 시대의 우상이 된 바그너, 그리고 새로운 에 이것을 히틀러는 정치적
화성과 어법을 구사한 신독일악파 계열의 후고 볼프로 이어졌다. 으로 이용하게 된다.

(6) 낭만주의 시대 음악의 장르별 특징

낭만주의 시대의 피아노는 19세기가 낳고 19세기를 대변하는 악기라고 할 19세기 초의 오스트리아는


정치가 메테르니히의 보수
수 있다. 피아노의 개량과 발달로 피아노 음악과 피아노 반주에 의한 성악(독 정책의 영향으로, 지식 계
급은 현실에서 눈을 돌려
일 리트)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오케스트라 곡은 빈 전통의 절대 음악과 신독
예술을 도피 장소로 삼으려
일악파 중심의 표제 음악으로 양분되었다. 특히 바그너를 주축으로 한 신독일 했다. 또한, 시민 계급은 현
실에 안주하여 즐거움을 추
악파는 오페라에 대치하는 개념으로 총체 예술로서의 음악극을 선보였다. 관
구했다.
현악법적으로는 18세기 오케스트라가 목관의 역량을 대거 확장시켰다면, 19
세기 낭만주의 시기에는 금관 악기의 역량이 신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성악
1) 독일의 리트 독일 리트 중 대표적인 연
가곡
피아노 반주에 의한 독창곡은 원래 가정의 음악회나 사교 모임을 중심으로 ㉠ 슈베르트의 ‘아름다운
물레방앗간의 아가씨’
, ‘겨
발달한 장르였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예술적 장르로 자리를 굳히게
울 나그네’
,‘백조의 노래’
되었는데, 독일의 예술가곡인 리트(Lied)는 연가곡(song cycle)으로도 많이 ㉡ 슈만의 ‘시인의 사랑
(Dichterliebe, 1840)’
,‘여
작곡되었으며, 형식과 규모가 확장되어 연주회용이나 오케스트라 리트도 작
인의 사랑과 생애(Frauen
곡되었다. liebe und-leben; 1840)’
㉢ 바그너의 ‘베젠동크의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1~1828)는 영웅적인 음악가로서의 노래(Wesendonk-Lieder,
활동보다 오히려 스스로 즐기면서 다른 사람도 즐겁게 해 주려는 의도로 음 1857)’
㉣ 말러의‘방황하는 젊은
악을 만들었다. 슈베르트의 이러한 생각은 19세기 초의 사회적 맥락에서 생 이의 노래(Lieder eines

각해 볼 수 있다. fahrenden Gesellen;


1883~1885)’
그의 작품은 짧은 생애였음에도 998개나 남아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주

Ⅵ.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29


목할 만한 것은 633개의 리트이다. 대표적인 작품은 연가곡인‘아름다운 물
레방앗간의 아가씨(Die schöne Müllerin; 1823)’, ‘겨울 나그네
(Winterreise; 1827)’
가 있다.‘실을 잣는 그레첸(Gretchen am Spinn
rade)’
,‘들장미(Heidenröslein)’
,‘마왕(Erlkönig)’
,‘자장가(D. 498)’
,
‘방랑자(Der Wanderer)(D. 489)’등도 현재까지 많은 사랑을 받는 작품
이다.
▲ 슈베르트
로베르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은 클라라와
결혼하던 1840년, 그의 300여 곡의 가곡 중 138곡의 리트를 집중적으로 작
곡했다. 그때까지 주로 피아노 곡을 작곡했던 슈만은 가곡에서 피아노 파트
에 많은 비중을 두어, 가곡을‘목소리와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
로 평가받게
하였다.
▲ 슈베르트가 빈 살롱에서 한편, 브람스를 반대하며 열렬하게 바그너를 추종했던 휴고 볼프(Hugo
연주하는 모습
philpp Jakob Wolf; 1860~1903)는 음악사적으로는 바그너 계통의 신독일악파
에 속하며, 300곡을 넘는 리트가 창작의 중심을 이룬다. 그는 시의 운율을 넘어
선 언어의 리듬에 밀착한 리트를 추구하였으며, 시인별로 6개의 리트 모음집을
작곡하였다.‘뫼리케 시에 붙인 노래(Gedichte von Eduard Mörike; 1889)’
,
‘아이헨도르프 시에 붙인 노래(Gedichte von Joseph v. Eichendorff; 1889)’
,
‘괴테 시에 붙인 노래(Gedichte von J. W. von Goethe; 1890)’
,‘스페인 리트
모음집(Spanisches Liederbuch; 1891~1892)’,‘이탈리아 리트 모음집
▲ 슈만
(Italienisches Liederbuch)’
이 그것이다.
19세기 프랑스의 예술가곡 세기말의 대형화 경향에 따라 관현악 반주를 가진 리트도 등장하였는데,
을 멜로디(mélodie)라고 한
이러한 오케스트라 리트는 19세기 말에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대
다. 베를리오즈, 구노, 마스
네, 생상, 포레, 드뷔시, 라 표적인 작곡가로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Georg Strauss; 1864~
벨은 감각적인 멜로디와 화
성을 선보였다.
1949)와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이다. 바그너의‘베젠
동크의 노래’
와 말러의 연가곡‘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는 피아노와의 성악
곡을 작곡가 자신이 관현악과 성악곡으로 편곡한 것이다.

@ 오케스트라 음악
19세기 교향곡은 고전적 교향곡의 전통 계승과 새로운 낭만적 표현의 추구
라는 두 가지 경향 사이에 있었다. 전자는 음악적 발상 중심의 절대 음악적인
교향곡이었으며, 후자는 낭만주의에서 새롭게 중시된 문학 등의 음악 외적
요소를 도입한‘표제 교향곡(program symphony)’
과‘교향시(symphonic
poem)’
였다.

230 서양 음악사
1) 교향곡
절대 음악을 고수하는 낭만주의 교향곡은 전반적으로 고전 시대의 베토벤 절대 음악
순수한 예술성만을 위하여
교향곡의 모델에 따라 슈베르트, 멘델스존, 슈만, 브람스, 부르크너에 의하여
작곡한 음악. 시나 회화 따
이어졌다. 위의 다른 예술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다.
빈에서 태어나 많은 가곡을 작곡했던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는 가사에서 독립된 절대 음악 장르로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낭만주의 교향곡의 뿌리는
‘9번 교향곡(The Great C Major Symphony; 1825~ 1828)’
과‘미완성 교 베토벤의 작품에서 찾을 수
향곡(Unfinished)’
이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있다.

멘델스존(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1809~1847)은 지휘자 겸 멘델스존의 교향곡


2번 찬미가(Lobgesang)
행정가로서 사회적 명성을 쌓았으며, 바흐의‘마태 수난곡’
을 작품 초연 100
3번 스코틀랜드 교향곡
주년 기념으로 무대에 올려 독일에서의 옛 음악 운동에 크게 공헌하였다. 멘 (Schottische symphonie)
4번 이탈리아 교향곡
델스존은 다섯 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는데 1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제목을 (Italienisch symphonie)
갖고 있다. 5번 종교 개혁
(Reformation)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은 법학을 공부했으나 음
악의 길을 택하였다. 그는 피아니스트의 꿈을 가지고 있었으나 손가락이 마 슈만의 교향곡
1번‘봄’
비되어 작곡가 및 음악 평론가로 활동했는데, 1835년에 창립한‘음악신보
(Frühling Symphonie)
(Neue Zeitschrift fu¨r Musik)’
에 브람스를 극찬하는 기사를 실어 브람스 3번‘라인(Rheinische)’

를 세상에 널리 알리기도 했다. 슈만은 네 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는데, 그중


교향곡 4번(1841~1851)은 악장 간의 연계성을 강조하기 위해 각 악장을 쉼
없이 이어 연주하도록 구상하였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와 브루크너(Josef Anton
Bruckner; 1824~1896)의 등장은 1860년대 이후 다시 화려한 빈 절대 음악
의 전통을 지키는 계기가 되었다. 브람스는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각광 받았
고, 네 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는데 그중 1번은 베토벤 10번 교향곡으로 불릴
정도로 베토벤 음악을 모범으로 삼았다. 그러나 1883년과 1885년에 작곡된
3번과 4번에서는 브람스 특유의 철학적이며 사색적인 음악 어법이 나타난다. ▲ 브람스
조성 음악 안에서 가능한 모든 화음에 대한 시도와, 대위법과 바로크 작곡가
들에 대한 탐구 정신이 반영된 헤미올라나 복합 리듬, 그리고 이중 선법 등이
그것이다.
뛰어난 오르간 연주자 브루크너는 아홉 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 그는 고
전적 4악장 형식을 고수했으며 각 악장의 유형과 형식도 지켰고, 관현악법에
있어서는 베토벤의 중·후기 작품 모델을 따랐다.
한편 차이콥스키는 특히 베토벤과 모차르트를 존경했고 그들의 영향을 받 ▲ 차이콥스키

Ⅵ.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31


았는데,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적 리듬과 민속 선율 등을 첨가하여 독자적 양
식을 구축하였다. 특히 그의 고뇌를 반영하며 자신의 작품 가운데 최대의 걸
작으로 여겼던 마지막 교향곡‘비창’1악장에서는 러시아 교회의 장례 미사
4
성가를 인용하였고, 2악장에서는 첼로가 러시아적 박자 왈츠 선율을 연주
5
베를리오즈는 의학 공부를 하도록 하였다.
위해 파리에 왔다가 음악에
심취하여 파리 음악원에 입
학하게 되었다.‘환상 교향 2) 표제 교향곡과 교향시
곡’외에도‘이탈리아의 해
롤드’
, ‘로미오와 줄리엣’ 19세기의 표제 음악(programme music)은 베를리오즈와 리스트에 의해
과 같은 드라마적 교향곡을 발전되었는데, 주제의 출현은 순수한 음악적 구성 원리보다 음악 외적 아이
작곡하였다.
디어에 의해 전개되었다.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가 지은‘환상 교향곡
(Symphonie fantastique; 1830)’
은 낭만 시대 교향곡의 전형을 보여 준다.
이 작품은‘어느 예술가의 생애 이야기’
라는 부제가 붙어 있으며, 5개의 악장
에는 각각‘꿈과 정열’
,‘무도회’
,‘들의 풍경’
,‘단두대로의 행진’
,‘마녀들
의 밤의 향연과 꿈’
이라는 5개의 표제가 붙어 있다. 실연한 젊은 예술가가 절
▲ 베를리오즈가 거대한 오
케스트라를 사용한 것을 풍
망에 빠져 극약을 먹고 무서운 환상을 본다는 예제도 붙어 있다.
자한 당대의 그림 베를리오즈는 이 곡에서 사랑하는 여인의 모습을 특정한 음형으로 나타낸
리스트의 아버지는 헝가리 이데픽스(ide`
´`e fixe, 고정 악상)를 사용하여 전곡의 극적 진행을 통일시키고
귀족 에스테르하치 가문의
집사였다. 리스트의 비상한
있다. 이 곡은 최초의 낭만파 표제 음악 작품으로 리스트와 바그너에게 큰 영
재능을 5~6세에 발견한 향을 주었다.
아버지는 집을 비엔나로 옮
기고 체르니(Karl. Czerny) 헝가리 태생의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 베토벤을 숭상
에게 리스트를 맡겼으며, 했고 그의 동상 건립을 위한 세계 연주 여행을 처음으로 시도했다. 1823년에
리스트의 기초는 여기에서
다져졌다. 가족과 함께 파리에 정착한 이후 피아니스트로 절정기를 맞지만, 연주자로서

문학 등 음악의 외적 요소
의 생활을 접고 1847년 독일 바이마르로 이주하여 진보적인 작곡가로 활동하
를 중시하던 리스트와 바 며 신독일악파를 결성하였다. 바이마르 시절에 리스트는 음악적인 시(poem)
그너는 신독일악파(Die
Neudeutsche Schule)를 란 뜻을 지닌 교향시(symphonic poem)를 창안하였는데, 이것은 드러내고
결성하였다. 자 하는 문학적 내용을 시적으로 압축하여 밀도 있게 표현한 단악장의 관현
악곡이다.
그는‘전주곡(Le Préludes; 1848)’
,‘마제파(Mazeppa; 1848~1951)’
,
‘햄릿(Hamlet; 1858)’등 13편의 교향시를 작곡하였다. 리스트는‘파우스트
교향곡(Eine Faust-Symphonie in drei Charakterbildern; 1854~1857)’
과‘단테 교향곡(Eine Symphonie zu Dantes Divina Commedia;

▲ 리스트
1855~1856)’같은 다악장의 표제 교향곡도 작곡하였다.

232 서양 음악사
# 19세기의 오페라
1) 이탈리아의 오페라
이탈리아에서는 19세기 전반에도 각 도시에 오페라가 성행했으며, 아름다
운 아리아가 중심을 이루는 전통을 계승하고 있었다. 로시니(Antonio
Rossini; 1792~1868), 벨리니(Vincenzo Bellini; 1801~1835), 도니체티
(Gaetano Donizetti; 1797~1848),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 로시니의 커리커처
식도락가로 유명한 로시니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로 이어지는 19세기~20세기의 이탈
는 나중에 직접 요리를 배워
리아 오페라는 그들의 전통적인 오페라 세리아와 오페라 부파의 토대 위에 요리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전문적 기교가 극대화된 오페라의 최고 걸작들을 남겼다. 세비야의 이발사


로시니는 파이지엘로(G.
로시니는 18세기 오페라 전통을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 작곡가이
Paisiello; 1740~1816)의
다. 그는 1816년에 보마르쉐(Pierre de Beaumarchais; 1732~1799)의 대본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1782)’
를 보고 같은 이름
에 의한‘세비야의 이발사(Il Barbiere di Siviglia)’
를 작곡하였다. 그는 관현
의 작품을 작곡하였으며
악 에피소드나 합창을 삽입함으로써 극의 연속성을 이어 갔고, 관현악 반주에 (1816), 모차르트 역시 같은
작품을 보고 그 후속으로
의한 레시터티브 아콤파냐토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보마르쉐 대본의‘피가로의
벨리니는 비극 오페라에 탁월한 감각을 선보였는데, 이것은‘노르마 결혼’
을 작곡하였다(1786).

(Norma; 1831)’
와‘몽유병자 여인(La sonnambula; 1831)’
에서 잘 드러난
벨칸토
다. 벨리니는 벨칸토(bel canto) 기법을 극대화하여 당대에 큰 인기를 누렸으
벨칸토란‘노래로 울게 만
며, 프리마 돈나의 전문적 스타성에 불을 붙이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든다’
란 뜻으로, 극적으로
화려하며 기교적인 노래 연
도니체티는 70여 곡에 이르는 많은 오페라를 작곡했는데, 희극 오페라‘사
주 방법을 말한다.
랑의 묘약(L’
elisir d’
amore; 1832)’
과 비극 오페라‘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주세페 베르디
(Lucia di Lammermoor; 1835)’
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화려한 목관과 주세페 베르디는 이탈리아
북부 출신으로 오스트리아
금관의 음향을 비롯한 화려한 관현악법은 이후 베르디에게 이어졌다.
의 지배를 받던 이탈리아
주세페 베르디에 이르러 이탈리아 오페라는 최대 절정기를 맞는다. 인간의 통일 운동에 가담하면서
‘나부코’
를 작곡하였다. 이
성격·상황과 운명에 각별한 관심을 가졌던 베르디는 인간의 성격과 상황 묘
작품은 큰 성공을 거두어,
사를 집중적으로 추구했고, 등장인물들의 심리적 특성은 그의 음악적 영감의 베르디는 민족주의자의 상
징이 되었으며 통일 이탈리
원천이었다. 시기에 따른 그의 작품 경향은 다음과 같다. 아가 세워진 후 그는 새 정
제1기(1840년대까지)는 정치적 소요를 주로 다루었는데 주요 작품으로는 부의 국회의원이 되었다.

‘나부코(Nabucco; 1842)’
가 있다. 인간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룬 제2기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의
(1849~1854)의 작품으로는‘일 트로바토레(Il Trobatore; 1853)’
와‘라 트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C.
라비아타(La Traviata; 1853)’
가 있으며, 프랑스 그랑 오페라의 영향을 받은 Monte Verdi, 1567~
1643)와 낭만주의 시대의
제3기(1855~1871)의 작품은‘돈 카를로스(Don Carlos; 1867)’
와‘아이다 쥬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모두
(Aida; 1871)’
가 있다. 셰익스피어 문학에 기초한‘오텔로(Otello; 1885)’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
‘팔스타프(Falstaff; 1893)’
는 그의 마지막 오페라이다. 그는 분명하고 뚜렷 라 작곡가이다.

Ⅵ.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33


한 구조와 유연하고 표현력이 강한 선율을 통해 이탈리아 고유의 음악적 특
성을 세계에 알렸다. 베르디의 오페라는 항상 당대 인간과 사회를 바탕으로
인물 설정을 했으며, 아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직접 화법으로 인물의 내면을
그려냈다.
19세기 말에는 이탈리아 오페라에도 사실주의(베리스모; verismo) 경향들
푸치니의 많은 작품들은 이 나타나는데, 푸치니는 이탈리아 오페라 전통을 이어받은 작곡가로 꼽힌
20세기에 작곡되었으며, 그
의 음악 어법과 작품 내용
다. 베리스모란‘진실(vertas)’
에서 비롯된 말로 낭만주의적 과장이나 꾸밈
은 이전 작곡가들에 비하여 이 없이 현실적인 소재와 음악적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일반인, 하층민의 현실
근대적이다.
적 이야기를 다루며, 소음, 군중 장면, 사실적 대화 등을 음악적으로 처리하
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의 대표작은‘라 보엠(La Boem; 1896)’
,‘토스카
(Tosca; 1900)’
,‘나비 부인(Madam Butterfly; 1904)’
과‘투란도트
(Turandot; 1926)’
이다.‘나비 부인’
과‘투란도트’
는 각각 일본과 중국을 배
경으로 한 것이며, 나머지 작품들은 하층민이나 보헤미안에 대한 내용인 경
우가 많기 때문에 그의 오페라는 베리스모 오페라로 분류된다.

2) 프랑스의 오페라
‘위그노’
는 가톨릭을 옹호 프랑스의 오페라는 대규모 합창, 호화스러운 무대, 발레의 전통을 이어 갔
하던 왕실과 신교도의 대학
살을 초래한 위그노 전쟁을
다. 19세기에 이르러 그랑 오페라(Grand opé`ra), 오페라 코미크(opé`ra
주제로 한 그랑 오페라로 comique), 서정 오페라(opé`ra lyrique)의 세 가지 유형이 굳어졌는데, 그랑
연주 시간이 5시간이 넘는
대작이었다. 오페라는 역사적이거나 낭만적인 비사실적 주제로 구성되었다.
오페라 코미크는 그랑 오페라와 대립적 성격을 띠었는데 일상적이고 희극
구노의 ‘파우스트’
와 비제 적인 내용 위주였으며, 희극적 내용이 아니더라도 레시터티브 대신 대사로
의‘카르멘’
은 모두 레시터
처리한다면 오페라 코미크라고 했다. 1850년 이후 그랑 오페라와 오페라 코
티브 대신 대사로 이루어진
오페라 코미크였으나 후에 미크의 중간 형태인 서정 오페라가 새롭게 나타났다. 서정 오페라는 인간의
레시터티브를 붙여 서정 오
페라로 바뀌었다.
내면적인 심리 상황이나 개인적 운명을 주제로 삼았고, 음악적으로는 서정성
과 감정 표현을 강조하고 대화의 방법으로 레시터티브를 사용하였다. 마이어
베어(Giacomo Meyerbeer; 1791~1864), 베를리오즈(Louis-Hector

1875년 첫 상연 후 지금까
Berlioz; 1803~1869), 구노(Charles François Gounod; 1818~1893), 비
지 유명하고 대중적인 오페 제(Georges Bizet; 1838~1875) 등이 오페라 작곡가로 활동했다.
라로 자리하고 있는 비제의
‘카르멘’
은 초기에 귀족들 베를리오즈는‘트로이 사람들(Les Troyens; 1858)’
이라는 5막의 그랑 오
의 취향과 맞지 않아“외설
페라를 작곡하였는데 이 작품은 륄리, 라모, 글루크, 마이어베어를 잇는 프랑
적이고 저속하다.”
라는 혹
평을 받았다. 스 전통성을 계승한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234 서양 음악사
3) 독일의 오페라
낭만주의 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확산된 독일에서는 철학적·신화적·종교 독일 오페라는 징슈필
(Singspiel)의 전통으로 레
적인 사고에 바탕을 둔 낭만주의 오페라가 크게 발전했다. 초자연성과 죄와 시터티브 대신 독일어로 말
불행한 운명에 빠진 인간의 구원, 권선징악의 주제를 다루는 독일 오페라는 한다.

베버(Carl Weber; 1786~1826),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 등


에 의해 만들어졌다.
베버는‘마탄의 사수(Der Freischütz; 1821)’
,‘오이리안테(Euryanthe;
1823)’
,‘오베론(Oberon; 1826)’
을 작곡하였는데‘마탄의 사수’
에서 신비롭 바그너의 오페라‘탄호이저’
,
‘로엔그린’등은 1850년대
고 초자연적인 무대와 효과적인 음악으로 19세기 독일 최초의 낭만주의 오페
까지 빈에서 연주되었고,
라를 선보였다. 그는 이 작품에서 음악이 오페라의 모든 다른 요소와 유기적 바그너도 어디에서보다 비
엔나에서 성공하기를 바랐
인 관계가 되도록 힘썼으며, 오페라 서곡이 오페라 내용과 음악을 함축하도 다. 그러나 1860년대 비엔
록 하였는데 이것은 바그너에게 영향을 끼쳤다. 나 무대에 올리려고 했던
‘트리스탄과 이졸데’
는 무
바그너는 음악뿐만 아니라 문학적 깊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오페라 외에도 려 77회의 리허설을 했음에
도 불구하고 결국은 막을
각종 저술과 이론으로 19세기 독일의 문화와 예술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
올리지 못하였다. 비엔나를
인물이다. 그는 모든 대본을 직접 집필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저주와 축복, 찬양하던 바그너는 이로써
그들의 체제와 문화에 온갖
죄와 구원 등 서로 대조되는 관념과 열렬한 감정 표현, 깊은 화성과 관현악
분노를 터뜨리고 비엔나를
색채를 특징으로 한다. 떠나게 된다. 결국 바그너
는 바이로이트에 자신의 근
바그너는‘방황하는 네덜란드인(Der fligende Holländer; 1840~1841)’
,
거지를 마련하였다.
‘탄호이저(Tannhäuser; 1842)’
,‘로엔그린(Lohengrin; 1845~1848)’

지은 이후 정치적인 이유로 스위스로 망명을 가게 되었다. 이미 1830년대 초
부터 음악을 비롯한 다른 모든 요소들이 극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되어야 한다는 종합 예술 형식을 추구했던 그는 1851년에 음악과 극, 그 외의
모든 예술적 요소를 동등한 위치에서 조명하고 이 장르를 ‘음악극
(Musikdrama)’
이라고 불렀다. 음악극의 특징은 으뜸화음으로의 해결 없이
기악과 성악의 성부가 끊임없이 계속되는 무한 선율과, 반음계 주의와 변화
화음 그리고 전곡을 통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라이트모티브(Leitmotiv) 기
법이다.
음악극에 대한 자신의 신념에 따라 4개의 연작 음악극‘니벨룽겐의 반지
(Der Ring des Nibeungen)’
의 대본을 썼으며 이 대본을 바탕으로 1853년
부터 1874년까지‘라인의 황금(Das Rheingold)’
,‘발퀴레(Die Walküre)’
,
‘지크프리트(Siegfried)’
,‘신들의 황혼(Die Götterdämmerung)’
의 오페
▲ 로엔그린으로 분장한 바
라 연작을 썼다. 막이 진행됨에 따라 시종일관 계속해서 흐르는 무한 선율을
그너를 그린 러시아의 풍
들을 수 있다. 자 만화

Ⅵ.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35


바그너는 음악극 외에도 비극적 오페라‘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 1857~1859)’
와 희극적 오페라‘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어(Die
Meistersinger von Nu
ürnberg; 1861~1867)’등을 썼다.‘트리스탄과 이졸
데’
의 서곡은 19세기 말의 화성 어법을 설명하는 데 대표적으로 인용되는 음
악이며, 주제의 화음은 조성의 해체를 알리는 역사적인 화음이라 일컬어진다.
▲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트리스탄과 이졸데’
는 이
룰 수 없는 사랑으로 인해
두 주인공이 죽음에 이르게
되는 내용이다.

19세기 피아노는 음색과 음


량이 폭넓게 개발되었다.
건반이 일곱 옥타브로 확장
되었으며, 펠트 천으로 감 ▲ 2005년 세종문화회관에서 국내 초연된‘니벨룽겐의 반지’
싼 해머와 철제 부속물, 그 이 작품은 나흘 저녁에 걸쳐 최소한 열네 시간 동안 연주해야 하는 엄청난 대작이다.
리고 페달의 발달로 다양한
다이내믹의 비루투오소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 피아노 음악
피아노는 19세기의 중심 악기로 자리 잡으며 중산층 시민들의 가정 음악

성격 소곡
생활에서 중심이 되었고 그 연주도 보편화되었다. 또한 피아노는 낭만주의의
피아노를 위한 성격 소곡 주관적 감정 표현에 적합한 악기여서 작곡가들은 서정적이고 화려한 많은 피
(character piece)은 보통
아노 작품을 발표했다. 낭만적 정서에 맞는 짧은 성격 소곡이 새롭게 19세기
ABA 세 부분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짧고 서정적인 피 피아노 음악을 주도했으며, 18세기 형식의 피아노 소나타 작곡은 그 수가 줄
아노곡이다. 많은 경우 제
목을 통해 곡의 분위기나
어든 반면 베토벤의 모델에 따른 소나타 작곡은 19세기 초 슈베르트를 비롯
인상을 암시하고 있다. 한 낭만주의 작곡가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슈베르트는 디베르티멘토, 판타지, 즉흥곡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성격 소
곡을 새로운 장르로 정착시켰다. 그는 베토벤의 전통을 이어 21개의 소나타
작품을 작곡했으며, 이외에 소나타와 같은 4악장 구조로 이루어진‘방랑자
환상곡(Wandererfantasie; D. 760)’
이라는 곡도 지었다. 슈베르트는 아마
추어를 위한 피아노 작품으로 왈츠나 춤곡, 변주곡 외에 14개의 피아노 소품
을 작곡하였는데, 이것은‘음악의 순간(Moments musicaux D. 789)’
에6
▲ 열두 살 때의 멘델스존 곡,‘즉흥곡(Impromptu D. 899, 935)’
에 8곡씩 있다.
(칼 베가스 그림/1821년)
멘델스존은 슈베르트와 달 한편, 48개의 시적이고 낭만적인 멘델스존(J. L. F. Mendelssohn)의‘무
리 경제적으로 부유한 아버 언가(無言歌; Lieder ohne Worte)’
는 이 시기의 대표적 성격 소곡이다.
지와 음악적 재능이 풍부한
어머니를 둔 행운아였다. 슈만은 시적인 제목이 붙은‘환상 소품’
,‘카니발’
,‘어린이 정경’
,‘숲 속

236 서양 음악사
의 정경’등의 피아노 소품 모음집을 작곡하였다.
쇼팽(Frederick Chopin; 1819~1849)은‘피아노의 시인’
이라 불릴 정도 쇼팽은 섬세하고 우아한 그
의 작품이 공공 연주 장소
로 부드럽고 아름다운 선율을 선보였는데, 이것은 피아노 페달의 발달로 레 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

가토(legato) 주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했기 때문에, 중요한 귀족


후원자들의 살롱에서만 연
쇼팽의 작품에는 조국 폴란드의 민족성이 잘 드러나는 춤곡 선율이나 리듬 주했다고 한다.

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폴란드의 민속춤인 마주르카와 폴로네이즈를 56


개의 마주르카와 16개의 피아노 작품으로 부활시켰다. 이외에‘밤의 노래’
라 레가토 외에 쇼팽의 피아노
주법 중 중요한 것은 루바
는 뜻을 가진 21개의‘야상곡(Nocturne)’
, 시나 음악의 민속적인 서술성을 토(rubato)이다.

느끼게 하는‘발라드(ballade)’
, 성격 소품적이며 장조와 관계 단조를 5도권
순으로 배열한 에튀드와 프렐류드, 비루투오소적인‘스케르초’등 피아노를
위한 새로운 형식의 작품들을 만들었다.
리스트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작품으로 성격 소곡의 범위를 확대시켰다. 리
스트의 당대 청중은 딱히 음악적 소양이나 식별력이 있는 지식인이라기보다
는 리스트의 열정과 고도의 기술에 매료당해 흥분한 대중들이었다. 리스트도
▲ 쇼팽
조국 헝가리에 대한 향수를 잊지 못해‘헝가리 광시곡(Ungarische Rhapso
리스트의 피아노에 있어서
die; 1847~1849)’
을 작곡하였다.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곡으로는 2개의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은 파가
협주곡이 있으며,‘헝가리 광시곡’중 14번을 확대시킨‘헝가리 판타지아 니니였다. 리스트는 파가니니
의 신기에 가까운 바이올린
(Ungarische Fantasie)’
,‘죽음의 춤(Totentanz; 1849)’
, 12곡의‘초절기 연주를 듣고 이것을 피아노
교(고난도) 연습곡(Etudes D’
execution Transcendante; 1827, 1839, 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1851)’등이 있다. 그는‘b단조 소나타(1852~1853)’


에서 낭만적 소나타 형 리스트가 b단조 소나타에
서 보여 준 낭만적 소나타
식을 보여 주었다. 형식은 단악장 구조에 쓰인
4개의 주제를 순환 구조 형
식으로 하여 한 악장에서
% 협주곡 발전시킨 것이다.

과거의 협주곡이 독주자의 연주에만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면, 19세기에 들


어서는 오케스트라와 독주를 동등한 비중으로 연주하는 교향악적 협주곡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오케스트라에서 관악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주요 주제나 섬세한 선율을 연주하게 되었다. 바이올린의 연주 기교도 급격
히 발전했는데, 바이올린의 기교는 특히 파가니니(Niccolò Paganini;
1782~1840)의 5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에서 잘 드러난다.
멘델스존은 피아노 협주곡과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곡 등을 작곡하였다.
▲ 1832년의 리스트
이 중 지금도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1844)’
이다. 20대 초반의 모습으로, 잘

이 협주곡은 전통적인 3악장 구조로 되어 있지만, 전체의 유기성을 위하여 각 생긴 외모에 뛰어난 피아노
연주 솜씨로 많은 여성들의
악장을 이어서 연주하도록 되어 있다. 인기를 얻었다.

Ⅵ.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237


슈만은 피아노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첼로 협주곡을 각 1개씩 작곡했는
데, 특히‘피아노 협주곡 a단조(1841~1845)’
에서 독주 파트의 기교와 낭만
적 섬세함을 연결시키는 작품을 선보였다.
쇼팽은 피아니스트의 높은 독주 수준을 반영하는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통해 피아노의 기교와 예술성을 보여 주었다.
브람스 브람스는 교향적 성격과 표현력이 강한 피아노 협주곡과 바이올린 협주곡,
브람스의 세 개의 현악 4중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double concerto)을 작곡하였다.
주는 화성 진행과 소나타
형식의 확장 등, 19세기 후 이외에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과 바이올린
반의 음악 언어를 잘 보여
준다.
협주곡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실내악
동기의 발전적 변형 19세기에 실내악은 고전적 전통을 중시한 작곡가들에 의하여 발전되었으
동기의 발전적 변형이란 주 며, 피아노와 현악을 위한 실내악이 유행했다. 슈베르트는 현악 4중주, 피아
제의 형태를 유지하며 변형
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제 노 3중주, 현악 5중주 등 다양한 실내악곡을 남겼다. 그는 현악 4중주‘죽음
안의 작은 요소를 발전시켜
과 소녀(Der Tod und das Mädchen, D. 14)’
와 피아노곡‘송어 5중주(Die
새로운 선율이나 주제를 만
드는 작법이다. Forellen, D. 667)’
에서 자신의 리트를 한 악장의 재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실내악의 절대 음악의 정통성과 순수성을 고수한 작곡가는 브람스
였는데, 그는 Op. 51-1, Op. 51-2, OP. 67의 주옥같은 세 작품과‘피아노 5
중주 Op. 34’
,‘클라리넷 5중주 Op. 115’
를 작곡하였다.

보충 자료 그 밖의 낭만주의 음악가

프란츠(Robert Franz; 1815~1892)는 브람스와 마찬가지로 슈만과 맥을 같이한다. 약 350개의 성악


곡 대부분이‘나의 큰 고민에서’
,‘장미는 말했다’
,‘안녕’같은 서정 가곡으로, 형식은 유절 가곡이나
민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오펜바흐(Jacques Offenbach; 1819~1880)는‘천국과 지옥’
으로 유명하며, 가벼운 사회 풍자를 곁
들인 오페레타를 만들었다.
요한 슈트라우스 Ⅱ세(Johann Strauss; `1825~1899)는 비엔나 왈츠를 확립시킨 요한 슈트라우스
Ⅰ세의 장남이다. 부친은‘왈츠의 아버지’
, 아들은‘왈츠의 왕’
이라고 불리며 많은 춤곡을 작곡하였
고, 1870년 이후에는‘박쥐’
,‘집시 남작’등의 오페레타를 발표하며 활약하였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낭만주의 음악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정리하고 발표해 보자.
2 . 독일 리트의 주요 작곡가와 작품을 알아보자.
3 . 교향곡과 교향시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주요 작곡가와 작품을 적어 보자.

238 서양 음악사
VII
근현대의 음악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19기말부터 20세기 초에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는 제국주의로부
터 나치즘, 파시즘 및 독점 자본과 공산 정권의 수립 등 대격변을 겪
게 되었다. 근현대에 접어들어 무너진 가치관 속에서 예술가들은 음
악의 본질에 대해서 진지한 질문을 던지게 된다.
이 단원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친 세계의 음악의 흐름
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 도입된 서양 음악의 발전사와 대중음악의
흐름, 그리고 서양 대중음악사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한다.

1. 19세기 말~20세기의 음악 240


2. 근현대 우리나라에서의 서양 음악 258
3. 대중음악 265
1 19세기 말~20세기의 음악
❶ 19세기 말부터 음악 창작 방향은 조성 체계가 무너졌어도 체계적인 음악 어법을 구사
해 왔음을 이해할 수 있다.
❷ 근현대에 들어 다양하고 새로운 음악 실험들이 진행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사회·문화적 배경

19세기 말은 그야말로 세기말적 징조들이 모든 것을 압도하던 시기였다. 유


19세기 말
럽의 강대국들은 강한 공업국이 되었고, 군사력을 키워 식민지 정책을 펼쳐
1890년대 20대이던 레닌
은 체포되어 시베리아에 있 나갔으며, 프로이센의 비스마르크가 독일을 통일해‘독일 제국’칭호를 쓰는
었고, 역시 20대의 스탈린
한편, 영국과 프랑스도 대제국을 꿈꾸며 안팎으로 갈등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은 노동 운동을 하다가 투
옥된 상태이기도 했다. 독일과 프랑스가 서로를 견제하며 일으킨 프로이센·프랑스 전쟁과 공업국으
로의 상호 경쟁은 노동자들의 소외를 낳아 노동 운동도 거세게 일어났다.
독점 자본들이 출현하면서 빈부 격차도 벌어지고, 각국의 사회 불안 요소는
점진적으로 쌓여 갔다. 문단과 화단에서는 이미 세기말의 현상을 사실주의,
자연주의적 시각으로 드러내고 있었고, 음악에서도 빈(Wien) 내부의 갈등이
이미 노골화되어 있었다.

(2) 19세기 말의 음악

1890년 이후 20여 년 동안 음악적 노력은 우선 낭만주의의 조성 체계를 무


1893년에는 브루크너, 1897 너뜨리면서도 어떻게 여전히 체계 있는 음악 어법을 구사할 것인가에 집중되
년에는 브람스가 사망하였
고, 바그너는 1883년에 이
었다. 그 결과 이 시기에 많은 음악 사조들이 각기 다른 기법, 특히 변화된 화
미 사망하였다. 성 체계를 구사하며 등장하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폭넓게 일어났던 것
은 강대국들에게 어려움을 겪었던 주변 국가들의 민족주의였다.
각국의 국민 음악은 결과적으로 자국의 음 체계를 음악에 도입함으로써 19
세기 조성 체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유럽 각국에서도 인상주의, 표현주
의, 원시주의, 신비주의, 미래주의 등이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게 된다.

! 후기 낭만주의
독일 낭만주의는 19세기 말(20세기 초 포함)에 빈에서 활동했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와 구스타프 말러(Gustav

240 서양 음악사
Mahler; 1860~1911)에 의해 그 절정에 달했다. 작품과 오케스트라의 규모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차
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
가 확장되었으며 화성과 구조는 보다 자유로워졌다. 다’
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

리스트에 의해 확립된 교향시의 전통은 슈트라우스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 어 있다.


- 전주곡
의 대표작인‘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 - 저 세상 사람에 대하여
- 한 동경에 대하여
1896)’는 추상적인 내용을 교향시로 만든 것으로서, 니체(Friedrich
- 행복과 불행에 대하여
Nietzsche; 1844~1900)의 초인(超人) 사상에 대한 시를 음악으로 표현한 작 - 죽음의 노래
- 학문에 대하여
품이다.
- 평온한 자
슈트라우스의 오페라‘살로메(Salome, 1905)’
와‘엘렉트라(Elektra, - 춤의 노래
- 몽유병자의 노래
1909)’
에는 극적인 묘사를 위해 혁신적인 반음계와 불협화음이 사용되었다.
구스타프 말러는 보헤미아 지방 출신으로 빈 음악원에서 음악을 배웠으며,
그의 아홉 개의 교향곡은 베토벤과 브람스의 전통적 교향곡의 맥을 잇고 있 말러의 교향곡 8번은 기악
과 성악의 규모가 거대하여
다.‘대지의 노래(Das Lied von der Erde; 1908~1909)’
와 세 개의 오케스 ‘천 명의 교향곡’
으로도 불
린다.
트라 연가곡도 리트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는데,‘대지의 노래’
는 1918년
에 완성되었다. 테너와 알토가 교대로 부르는 6개의 독창곡, 곧‘대지의 애수 대지의 노래
‘대지의 노래’
는 중국 당시
를 노래하는 술의 노래’
,‘가을에 외로운 자’
,‘청춘에 대하여’
,‘아름다움에
(唐詩)에 음악을 붙인 것으
대하여’
,‘봄에 취한 자’
,‘고별’등이 관현악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가사는 로, 작품의 부제는‘테너·
알토·오케스트라를 위한
이태백(李太白)·맹호연(孟浩然)·왕유(王維) 등이 지은 시를 H. 베트게가 번
교향곡’
이다.
역한‘중국의 피리’
에 의한 것이다. 죽음을 가까이 느낀 말러가 인생에 대한
한없는 애착을 중국의 시를 빌려 노래하고 있다.
말러는 민속적·세속적인 선율을 사용하고 이것을 변형·발전시키는 인용
기법, 대위법적 짜임새, 지속음과 오스티나토를 통한 전통 화성으로부터의
탈피 등의 음악 어법을 사용하여 당대 예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 민족주의 음악
음악에 있어서의 민족주의는 19세기 말에 유럽의 제국주의가 최고조에 달 아시아에도 제2차 세계 대
전 이후에 민족주의 움직임
했을 때 시작되어 20세기 내내 전 세계에 지속되어 온 가장 수명이 긴 음악사 이 도래하는데, 우리나라는
조라고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와
1980년대에 정치·사회적
19세기의 제국주의(Imperialism)에 맞서 시작되었던 민족주의 음악은 20 상황과 맞물려 민족주의 음
악이 나타나게 되었다. 1970
세기로 접어들면서 전 세계로 확산되어 갔다.
~1980년대 아시아는 필리
핀, 중국 등과 함께 음악 이
념과 관련된 논의로 치열하
1) 러시아
였다.
19세기 말 민족주의적 음악의 두드러진 영향력은 러시아가 발휘하고 있었
다. 글린카(Mikhail Ivanovich Glinka; 1804~1857)는 이탈리아와 독일의

Ⅶ. 근현대의 음악 241
음악 어법으로 러시아적 줄거리를 갖는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러시아 민족주의를 이끈 또 다른 대표적 인물이었던 발라키레프(Mili
Alekseyvich Balakirev; 1837~1910)는 보로딘(Aleksandr Porfiryevich
Borodin; 1833~1887), 퀴(Cé`sar Antonovitch Cui; 1835~1918), 무소륵
스키(Modest Petrovich Mussorgskii; 1839~1881), 림스키코르사코프
▲ 러시아 황제 보리스 고두
노프의 초상 (Nikolay Andreyevich Rimski-Korsakov; 1844~1908)와 함께 러시아 5
고두노프는 황태자를 죽이
인조를 구성하여 러시아 음악 양식을 확립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고 황제 자리에 올랐는데,
무소륵스키는 푸시킨의 희 무소륵스키가 지은 대규모의 5막 오페라‘보리스 고두노프(Boris
곡‘보리스 고두노프’
와 역
사적 사실에 근거해 오페라
Godunov; 1872)’
와 같은 경우 러시아 어와 음악이 어떻게 해야 가장 잘 어
‘보리스 고두노프’
를 지었 울릴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그는 자신이 성장기에
다.
유모로부터 들었던 민요곡들, 자장가, 그리고 러시아 정교의 합창이 들려 주
는 화성, 언어로 인해 유발된 불규칙한 리듬 등을 반영하여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의 진면목을 보여 주었다.
전람회의 그림 무소륵스키는 피아노 성격 소품도 작곡하였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전
‘전람회의 그림’
은 여러 작
람회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 1874)이다. 이 작품은, 러시아 건
곡가에 의해 오케스트라 곡
으로 편곡되었는데, 그중 축이 민속적 재료로부터 영감을 받아야 한다고 믿었던 화가이자 건축가였던
라 벨 (Maurice Ravel,
빅토르 하르트만(Victor Hartmann; 1834~1873)의 그림 전시회를 보고 작
1875~1937)의 편곡 작품
이 가장 널리 연주된다. 곡한 작품을 모아 놓은 것이다.
해군 장교 출신이었던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적 모
음곡인‘셰에라자드(Scheherazade; 1888)’
에서 러시아와 동양의 풍부한 색
채를 보여 주었다.
차이콥스키(Pyotr Il’
ich Tchaikovsky; 1840~1893)는 러시아 고전주의
를 완성한 작곡가로서 민족주의 음악가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한때 러시아 5
인조와 교류하던 시절의 초기 작품에서는 러시아 민요나 민속적인 요소를 발
▲ 하르트만이 설계한 키예
견할 수 있다.
프 시의 문
이 디자인은 무소륵스키가 1875년에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1번과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로
‘전람회의 그림’중의‘키
코코 주제에 의한 변주곡(Variations on a Rococo Theme; 1876)’
, 고전 발
예프의 대문’
이라는 곡을
작곡할 때 영감을 주었다고 레곡‘백조의 호수(Swan Lake; 1875~1876)’
, 교향곡 4번, 교향곡 6번, 오
한다.
페라‘예프게니 오네긴(Evgeny Onegin; 1877~1878)’
, 오페라‘스페이드의
여왕(The Queen of Spades; 1890)’
, 발레곡‘잠자는 숲 속의 미녀(The
Sleeping Beauty; 1888~1889)’
, 발레곡‘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
1891~1892)’등과 같은 주옥 같은 작품들은 차이콥스키에게 국제적 명성을
안겨 주었다.

242 서양 음악사
2) 보헤미아
19세기의 체코의 보헤미아 지방에서는 독일어권인 합스부르크 왕조의 지
배하에, 독일 문화에 대항하는 체코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시작되
었다. 대표적인 작곡가는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와 드보
르자크(Antonín Dvořák; 1841~1904)이다.
스메타나는 독일의 음악 교육을 받았으나, 체코의 민족주의적 성향을 잘 조
▲ 스메타나
화시킨 작곡가이다. 체코 어 대본의‘팔려간 신부(Prodaná nevésta; 1866)’
와 같은 민족주의적 오페라를 많이 작곡하였으며, 교향시‘나의 조국(Má
vlast; 1874~1881)’
은 그에게 큰 명성을 안겨 주었다.
드보르자크는 독일 음악 어법과 슬라브 춤과 노래의 특징을 잘 조화시켰
▲ 스메타나의 오페라‘팔려
다. 민속적 색채가 강한 초기 오케스트라 작품인‘슬라브 무곡집(Slavonic 간 신부’
의 한 장면
1866년에 초연된 이 작품
Dances; 1878)’외에도 9개의 교향곡과 많은 기악곡 및 성악곡을 작곡했다. 은 체코의 민속 무곡을 재
3년 동안 미국에 거주할 때 작곡한‘신세계 교향곡(From the New World; 치 있게 살렸고 농민들의
꾸밈새 없는 흥겨움이 즐거
1893)’
은 소나타 형식의 1·4악장, 느린 악장과 스케르초를 2·3악장으로 운 작품이다.

갖는 전통적인 4악장 구조로 작곡하였는데 이국적인 정취를 느끼게 하는 이


작품은 오늘날에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3) 스칸디나비아
스웨덴의 지배를 받고 있던 노르웨이에서는 민심의 동요와 독립운동이 시
작되었으며, 스웨덴과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던 핀란드에서도 19세기 후반부
▲ 드보르자크
터 민족주의가 싹트기 시작했다. 노르웨이의 민족주의의 작곡가로는 그리그
드보르자크는 단조에서 이끎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가 대표적이며, 핀란드의 작곡가로는 음을 반음 내려 선법화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를 들 수 있다.
‘페르 귄트 모음곡(Peer Gynt Suite; 1876)’
은 그리그의 대표작으로 헨릭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핀란
드는 1890년대가 되어서야
입센(Henrik John Ibsen; 1828~1906)의 대본을 바탕으로 한 극음악이다.
핀란드 어를 국어로 사용할
그리그는 여기에서 서정적인 선율과 5음 음계, 장단조 혼용, 노르웨이 민요 수 있게 되었다.

특유의 선율과 화성을 통한 민족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의 피아노 협주곡


(1868)은 아름다운 낭만주의적 성부 짜임새와 리듬 구조를 드러낸다.
시벨리우스는 핀란드의 자연을 제목으로 붙인‘핀란디아(Finlandia; 핀란디아
핀란디아는 1899년에 핀란
1899)’
를 작곡하였다.
드 인들의 출판의 자유를
위한 정치 행사를 위해 위
촉된 작품이다.
4) 에스파냐
에스파냐는 자국의 음악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폭넓은 합창 운동을 전개하

Ⅶ. 근현대의 음악 243
였다. 그라나도스(Enrique Granados)와 알베니스(Issac Albéniz)는 에스파
냐의 열정이 담긴 선율과 무곡 리듬 등을 구사하면서 에스파냐 음악을 대변하
게 되었다.

5) 영국
엘가(Sir Edward Elgar; 1857~1934)는‘위풍당당 행진곡(Pomps and
Circumstances; 1901)’
에서 위엄이 풍기는 음악을 선보였으며, 본 윌리엄
스(Ralph Vaughan Williams; 1872~1958)는 민속적 자료를 바탕으로 16
세기 영국의 다성 음악, 찬송가, 민요 등의 소재를 많이 사용하여 대중이 접
근하기 쉬운 음악을 많이 만들었다.‘푸른 옷소매 환상곡(Fantasia on
Greensleeves; 1934)’
은 16세기 말 영국 민요 선율에 의한 것이다. 홀스트
(Gustav Theodore Holst; 1874~1934)도 이 시기의 중요한 영국 작곡가이
맥도웰의 모음곡 2번은‘전
설’
, ‘연가’
, ‘전쟁시’
, ‘장 다.
송가’
, ‘마을 축제’
의 다섯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6) 미국
뛰어난 피아노 연주자였던 맥도웰(Edward Alexander MacDowell;
1860~1908)은 피아노 소품과 오케스트라 모음곡에서 재즈적인 화음과 미국
민요, 그리고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선율 등을 음악적 재료로 사용하였다. 코
인상주의
회화에서 시작된 인상주의 플랜드(Aaron Copland; 1900~1990)도 잘 알려진 이 시기의 미국 작곡가이
라는 용어는 클로드 모네 다.
(Claude Monet; 1840
~1926) 작품의 제목인‘인
상:해돋이(Impression:
# 인상주의
soleil levant; 1972)’
에서
비롯되었다. 인상주의 화가 음악에 대한 개혁 운동을 바탕으로 1890년대에 프랑스의 젊은 작곡가들은
들은 대상을 분명하게 그려
다른 나라와 뚜렷이 구별되는 프랑스적인 음악을 만들어 냈다. 이것은 시기
내는 데에 목적을 두지 않
고 대상뿐만 아니라 배경과 적으로 회화의 인상주의(Impressionism)에 이어 나타났기 때문에 이 음악을
순간적인 느낌을 포착하여
화폭에 담고자 하였다.
인상주의 음악이라고 한다.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은 전통 화성에서 벗어나
장단조가 아닌 선법으로 구성된 선율을 사용하고, 반음계주의를 피했다.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는 화단의 인상주의와 문단
드뷔시의 에세이들을 보면
진정 프랑스적인 것이 무엇 의 상징주의, 그리고 새로운 세계 문화의 기운을 받아들였다. 그는 당시의 정
인지에 대한 질문과 답들이 치적 상황에 따라 반독일적 사고를 가지고 있었으며, 빈 중심의 사고를 탈피
있고, 또한 여러 차례에 걸
쳐 인도네시아 음악이 화성 하고자 했다. 그의 작풍은 인상주의 화가들의 영향을 받았는데, 음악은 감각
법과 대위법을 몰라도 완벽
적인 호소에 그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즉각적인 기쁨을 주어야
하게 자연과 조화되는 음악
이라고 적고 있다. 한다고 주장했다.

244 서양 음악사
그는 주제의 동기나 악구를 다양하게 반복시키거나 자유롭게 변형시켜서
자연스러운 형식을 만들어 냈는데, 이러한 기법은 독일 음악에서 두드러지는
동기의 발전 기법과는 대립되는 것이었다. 드뷔시는‘야상곡(Nocturns;
1897~1899)’
에서 약음기를 사용한 현 음향 및 유니즌 편성, 가사 없는 합창,
다양한 타악기 음향 구성 등의 참신한 오케스트라 기법을 선보였다. 그의 교
향시‘목신의 오후 전주곡(Prélude`a l’
apres midi d’
un faune; 1894)’

▲ 드뷔시
인상주의 음악의 특성을 잘 보여 주는 작품으로서 20세기의 새로운 음악의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외에 인상주의적 작풍이 두드러진 드뷔시의 주요 작품으로는‘현악 4중
주; 1893’
, 피아노를 위한 두 권의‘전주곡(Pre、
ludes; 1910, 1912)’
, 관현악
곡‘바다(La Mer; 1903~1905)’
, 오페라‘펠리아스와 멜리장드(Pelle、
as et 펠리아스와 멜리장드는 프
랑스 신화와 전통의 사랑을
Me、
-lisande; 1893~1902)’
가 있다. 소재로 하고 있는데, 이것

드뷔시 외에 인상주의 작곡가로는 라벨(Joseph Maurice Ravel; 은 내용면에서 독일 바그너


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1875~1937)이 있다. 비견할 만하다.


‘목신의 오후 전주곡’발레 공연을 위한 무대 디자인 ▲
‘목신의 오후 전주곡’초연
말라르메의 시에 곡을 붙인 최초의 인상주의 작품이다. 프로그램 표지
1912년 디아길레프에 의해 발레로
초연되었다.

$ 표현주의
표현주의(Expressionism)는 20세기 초 당시 표현주의
표현주의는 밖으로 표출한
현대인들의 긴장과 공포, 불안과 갈등 등 내면 세 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계를 표출하는 흐름이다. 이것은 표현주의 회화에
서 유래하였으며, 음악에서의 표현주의는 일반적
으로 쇤베르크(Arnold Schönberg)와 베르크
(Alban Berg)의 초기 무조성 음악을 가리킨다.
쇤베르크는 19세기 마지막 해인 1899년에 작곡
된 현악 6중주곡‘정화된 밤(Verklärte Nacht)’ ▲ 뭉크의‘절규’
(1823)

Ⅶ. 근현대의 음악 245
에서 후기 낭만주의 사조를 보여 주었으나, 이후 후기 낭만주의 음악 어법에
한계를 느끼고 점진적으로 무조성으로 향하였다. 최초의 무조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쇤베르크의 작품으로는‘현악 4중주 제2번(Op. 10; 1908)’
의 마지
막 4악장과 연가곡‘공중 정원의 책(1909)’
, 그리고 한 여인의 비틀어진 내면
을 심리적으로 드러낸‘기대(Erwartung; 1909)’,‘달에 홀린 피에로
(Pierrot Lunaire, Op. 21)’등을 들 수 있다.
‘달에 홀린 피에로’
는 전통적인 조성과 화성, 형식과 구성 등을 부정하고
자유로운 면에서 음악을 직관적으로 창작한 대담한 작품으로 모두 3부 21곡
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를 잃은 선율, 긴장되면서도 이상한 느낌을 주는 음
▲ 쇤베르크
향, 복잡한 구상과 야릇한 분위기 등은 모두가 그때까지 대하지 못했던 독창
스트라빈스키는, 1909년에 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반주도 독특한 작은 실내악(室內 )으로 편성되
러시아 발레단을 이끌고 파
리에서 큰 반향을 얻었던
었다.
디아길레프로부터 작품 위
촉을 받고‘불새’
를 작곡하
였다. 이 작품은 스트라빈 %원시주의
스키에게 큰 명성을 안겨 원시주의(primitivism) 는 인위적인 법이나 이성적 정신 활동에 대립하는
주었으며, 그 이래 러시아
적 색채가 강한 무용 음악 정신이다. 음악에서는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의 유산을 바탕으로 그 연장 선
‘페트루슈카(1830)’
를 작곡
상에서 스트라빈스키(Igor Fyodorovich Stravinsky; 1882~1971)가 음악
하였다. 이후 작품인‘봄의
제전’
은 강렬한 리듬과 화 적 원시주의를 시도했다. 그의‘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
은태
음으로 원시주의의 효시가
양신에게 처녀를 제물로 바치는 태고의 의식을 니진스키가 안무한 무용 음악
되었다. 이 음악을 듣고 이
후 4년간 유럽 전체를 휘몰 이다. 이 작품은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인간 내면의 충동을 원시적 색채
아칠 전쟁을 예고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로 그려 냈다는 점에서 원시주의의 대표 작품으로 일컬어진다. 서로 다른 조
의 화성을 수직적으로 겹쳐 놓은 방법으로 기존의 조성 체계를 와해시키고,
불규칙한 악센트의 강렬한 리듬을 사용한 이 곡이 파리에서 초연되었을 때
찬반 양측의 야유와 싸움으로 난장판이 되었다고 한다.

^ 신비주의
▲‘봄의 제전’
을 공연한
무용수들 신비주의(mysticism) 음악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는 스크랴빈(Aleksandr
1913년 샹젤리제 극장에서
의 공연 모습을 그렸다.
Nikolae-vich Skryabin)은 심령 과학과 니체의 사상에 심취하면서 세상의
흐름에 더 이상 희망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하고 예술만이 세계를 변화시키
스크랴빈은 한동안 정신이 고 구원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스크랴빈은 세상의 구원을 갈구하는 연주
나간 사람처럼 행동을 했다
고 하는데, 그는 일반인과
회를 인도의 어느 호숫가에서 흰옷을 입고 향을 피우면서 하기로 하였으나,
달리 음을 통해 색채와 냄 인도로 떠날 준비를 하는 와중에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새를 맡을 정도로 다른 세
계에 살고 있었다고 한다.
스크랴빈의 혁신적 면모는 역시 화성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그는 4도 화음

246 서양 음악사
을 기초로 하여 6음으로 구성된‘신비 화음(mystic chord)’
을 사용했다. 이
화음들은 장·단조 체계의 연결을 희미하게 하고 음향적으로는 신비한 느낌
을 강하게 준다. 또한 그는 7음으로 구성된 장·단조 음계 대신 8음 음계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는 음 자체보다 시(詩), 빛, 향기, 무용 등이 결합된 예
술 형태에서 종교적인 무아(無我)의 경지를 느끼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
러한 경향은‘피아노 소나타 5번(1907)’
,‘프로메테우스 교향곡(1909~
1910)’
에서 잘 나타난다.

& 미래주의
미래주의(futurism)는 전통을 부정하고 기계 문명이 가져온 도시의 약동 미래주의의 음악은 기계적
인 잡다한 소리로 이루어졌
감과 속도감을 새로운 미(美)로써 표현하려고 하였다. 세기말에 화가와 조각 다.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가를 중심으로 이탈리아에서 일어났는데, 이것은 파리와 독일에서 사회주의 그들을 위해 만든 음악이라
고 들려주었지만, 오히려
운동과 예술 작업을 했던 다다이즘과 일맥상통한다. 그들에게서 이 음악은 외면
을 당하게 되었고, 노동자
음악계에서는 루솔로(Russolo; 1885~1947)가 미래파 음악을 주도했는데,
들은 이 음악을 미래주의라
그는 본래 미래파 화가였다. 그는 기계 도구 모음 악기라 할 수 있는 것을 제 기보다 ‘소음주의’
라는 별
명으로 부르기도 했다.
작했는데 이러한 행위는 노동자 계급을 지지하고자 한 것이었다. 미래주의는
이 시기의 많은 사조들 가운데 가장 파격적이었다. 선율·화성·형식 등 모
든 것과 결별을 했기 때문이다. 이런 움직임을 이후에 나타난‘구체 음악
(musique concrete)’
의 효시로 평가하기도 한다.

(3) 20세기 초의 음악(제1차 세계 대전 전후)

1890년대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전까지 아무도 누구를 비난할 수 없었던 과 1914년 오스트리아의 세르


비아에 대한 선전 포고로 시
도기에 작곡가들은 예술에 대한 질문과 답을 스스로 해 나가면서 자유롭게 작된 제1차 세계 대전은 영
자신들의 주장을 전개하였다. 국ㆍ프랑스ㆍ러시아의 협상
국(연합국)과 독일ㆍ오스트
이 시기에 피압박 민족들은 세계 곳곳에서 신음을 하고 있었고, 특히 아시 리아의 동맹국이 양 진영의

아와 아프리카 대륙, 그리고 발칸 반도 등의 종속국들은 격렬한 저항을 하면 중심이 되었고, 독일의 항복


으로 끝났다.
서 갈등을 겪었다. 상대적으로 낭만적이었던 국민 음악이 이제는 민족 투쟁
의 민족 음악으로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지배국에서 생산된 이 시대의 음악은 각 나라의 정
서가 담긴 아름다운 음악으로 유지되어 왔으나, 유럽의 중심국에 속해 있는
작곡가들은 자국의 전통 음악 바탕 위에서 분열되어 가는 시대를 어떻게 담
아낼 것인지 고민을 키워 갔다.

Ⅶ. 근현대의 음악 247
! 신(新)음악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0년대 독일에서는 신음악(Neue Musik)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신음악이란 19세기의 전통을 완전히 거부하고자
하는 경향의 다양한 음악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였다.
다다이즘
다다이스트들은 정신적 사
@ 다다이즘
회주의자들로서 정치적 참
여를 적극적으로 하면서도, 기존의 유럽 사회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1917년에 휠젠베크(Richard
예술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Hü`lsenbeck; 1892~1974)와 하우스만(Raoul Hausmann; 1886~1971)이
4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그 주창한 다다이즘(Dadaism)은, 통합적 매체 활동을 통해 정신적으로는 사회
중에는 ‘독일은 멸망해야
한다(Deutschland muss 주의와 노동자 계급을 옹호하면서 파격적인 형식을 창출하였다.
untergehen)’라는 것도 이들의 독설적이고 충격적인 전시회와 행위 예술은 때로는 너무 노골적이
있었다.
어서 외설적이기까지 했고, 혁명을 지지할 정도로 급진적이었다. 그리고 이
들의 작업은 서로 다른 장르와 재능들을 한 작품에 융합시켜 목적을 달성하
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런 작업들은 익명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풍자
적 기법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이들의 특징이었다.
이들은 오직 지속적이고 순수한 정신을 계속적인 행동으로 이행할 것을 종
용했다. 예를 들어 1921년에 공연된 님만(M. Niman)의 오페라‘다다
(Dada)’
는 독창적인 온갖 이야깃거리를 제공했는데, 내용도 온통 선언문과
텍스트 낭독으로만 이루어졌고, 등장인물들은 각국의 수장 등 당대 유명 정
▲ Dadatext (1919) 치가들로 분장한 다다이스트들이었다.
역사 속에 자리한 인류 문화의 우상을 모두 타파하고자 했던 이들의 노력
은 결국 20세기를 여는 아방가르드적 정신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20세기
초만 해도 엘리트의 전유물이었던 예술을 대중의 영역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차후 전개될 팝 아트의 길을 닦아 주는 역할을 했다.

# 신고전주의
신고전주의(neoclassicism)는 전후 사회의 경제적 공황 상태에서 다시 이
▲ 라울 하우스만의 책
“다다는 승리한다”
(1920)
성의 시대를 갈구하는 방향을 택한 움직임이다. 이 움직임은 19세기와 과거
전통들을 반대하는 급진적 모더니즘(modernism) 대신 유럽의 옛 음악들의
초기에는 민족주의 음악을
작곡했고 이후 원시주의와 특징을 오늘에 맞게 부활시키는 활동이 혼란한 시대에 다시 균형 있는 의식
신고전주의를 열었던 스트
라빈스키는 1939년 이후
을 제공해 줄 것이라고 믿었다.
미국으로 건너가 음렬 기법 스트라빈스키는 1919년에 디아길레프로부터 페르골레지(Giovanni B.
을 수용하고 음렬 음악을
작곡한다. Pergolesi; 1710~1736)의 음악을 발레용으로 만들어 달라는 부탁을 받게 된

248 서양 음악사
다. 이 무용 음악이‘풀치넬라(Pulcinella)’
이다. 이 곡의 화성은 대체로 원본 파리의 무용계와 음악계에
화려하게 데뷔했던 스트라
에 가깝지만, 스트라빈스키는 군데군데 불협화음을 삽입하기도 하였다. 이와 빈스키는 제1차 세계 대전
같이 페르골레지의 작품을 통하여 18세기 전반의 작품 기법을 살펴보고 여러 후 사회적 상황에 알맞은
소편성 무대 공연용 음악을
가지 기법의 유용성을 재발견하게 된 것은 스트라빈스키가 신고전주의 시대 작곡하였는데, 그 첫 작품
이‘병사 이야기’
였다.
를 여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는 이후 온음계적 화성이 주를 이루는
18세기 양식을 기본으로 하여 특유의 음악 어법을 첨가한 오페라‘마브라
(Mavra)’
,‘8중주(Octet)’
,‘오이디푸스 왕(Oedipus Rex)’
,‘피아노 소나
타’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카프리치오’
,‘시편 교향곡(Symphonie des
Psaumes)’등 신고전주의 양식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벨라 버르토크(Bela Bartó`k; 1881~1945)는 민족주의 운동이 한창이던 때
의 헝가리 태생으로 20세기 초에 활동한 작곡가이다. 불규칙적이며 변화가
많은 민속춤과 언어의 리듬을 단계적 피아노 연습곡‘미크로코스모스
(Mikrokosmos)’
에 적용하였으며, 많은 오케스트라 작품을 통해 초기 고전 ▲ 버르토크가 음악을 채록
할 때 만난 헝가리 농민들의
주의 시대의 형식과 악기 편성, 연주 기법 등을 20세기 음악으로 재현해 내었 모습
다. 버르토크는 음악학자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헝가리와
힌데미트(Paul Hindemith; 1895~1963)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에서 그 주변 국가를 여행하면서
작곡가 및 이론가이자 교수로서 큰 업적을 남겼다. 그는 너무 난해하여 의사 민요를 모아 민요에서 새로
운 선율적·화성적 전개 방
소통 기능을 상실한 당대의 무조성 음악을 거부하고, 고전주의적 기법과 형 식을 찾았다. 버르토크가
평생을 바쳐 연구한 헝가리
식으로 주제를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작곡하였다. 그는 바로크 시대에 널리
민속 음악은 문명사회나 다
쓰였던 콘체르토 그로소, 토카타, 무곡 등을 부활시켰으며, 소나타 형식을 사 른 민족들의 음악과는 달리
순수하고 자생적이었다.
용하여 독주곡과 이중주곡들을 작곡했다.‘화가 마티스(Mathis der Maler,
1934)’
는 신고전주의의 전형을 보여 준다.
라벨(Joseph Maurice Ravel; 1875~1937)은 드뷔시와 유사한 인상주의 청중과의 교감을 중시하였
던 힌데미트는 1920년대
적 작법을 사용하여 인상주의 작곡가로도 불린다. 그는 음악 형식면에서는 후반부터 실용 음악을 주창
고전주의의 형식을 존중한 신고전주의적 작법을 사용하였으나 선율과 화성은 하였다.

선법과 온음 음계를 사용하여 신비로운 음색을 창출하였다. 라벨은 뛰어난 오


케스트레이션 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볼레로(Bole、ro; 1928)’
와 무소륵스키 라벨의‘볼레로’
라벨의‘볼레로’
는 1928년
의‘전람회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편곡에 그 능력이 잘 발휘
10월 파리의 오페라 극장에
되어 있다.‘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Pavane pour une infante de、funte; 서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오케스트레이션 기교가 최
1899)’
,‘물의 희롱(Jeux d’
eau; 1901)’
,‘소나티네’
는 20세기 피아노 작품 고도로 발휘된 걸작이다.
의 걸작으로 꼽힌다.
프로코피예프(Sergei Sergeevich Prokofiev; 1891~1953)는 러시아 신고
전주의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고전 교향곡(Classical Symphony)’
,‘로미

Ⅶ. 근현대의 음악 249
피터와 늑대 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
,‘피터와 늑대(Peter and the wolf)’등
‘피터와 늑대’
는 1936년에
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남겼다.
작곡되어 그해 5월 모스크
바에서 초연된 신고전주의
적 경향의 작품으로, 피
터·할아버지·사냥꾼·늑
$ 프랑스 6인조
대·고양이·새·집오리와 프랑스 6인조(Les six)는 에릭 사티(Erik Satie; 1866~1925)를 정신적인
같은 주인공들이 각각 특정
악기와 주제에 의하여 표현 아버지로 삼았고, 청중들이 가볍게 즐길 수 있도록 명료하고 산뜻한 구조의
된다. 작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여섯 명의 작곡가들은 오네게르(Arthur
Honegger; 1892~1995), 미요(Darius Mihaud; 1892~1974), 풀랑크
(Francis Poulenc; 1899~1963), 오릭(Georges Auric; 1899~1983), 뒤레
(Louis Durey; 1888~1979), 그리고 유일한 여성 작곡가인 타유페르
(Germaine Taileferre; 1892~1983)이다.
프랑스 6인조의 정신적인 아버지로서 짐노페디의 작곡가로 잘 알려진 사티
의 특징은 어린이와 같은 순수성에 있다. 생계를 위해 몽마르트 카페에서 피
아노를 연주하며 살았는데, 제1차 세계 대전의 참상과 바그너로 대변되는 후
기 낭만주의의 쇠퇴에 대하여 역설적 순수함과 재치, 그리고 풍자를 사용하
여 표현하였다.
제2 빈악파는 고전 시대의
빈 악파(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에 비유해서 붙여진
% 12음 기법
이름이다. 쇤베르크와 그의 제자 베베른과 베르크는 1910년대부터 오스트리아의 빈
을 중심으로 무조성 음악 작곡가로 활동하였는데, 이 세 명을‘제2 빈악파
(Second Viennese School)’
라고 부르기도 한다.
쇤베르크의 12음 기법 음
20세기 음악에서 쇤베르크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특이하다. 왜냐하면 그
렬과 변형의 예
㉠ 기본 음렬(original) 는 위대한 작곡가의 한 사람으로 간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은
㉡ 뒤에서부터 거꾸로 출현 그다지 자주 연주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작품 자체가 사랑을 받는다
시키는 역행 음렬
㉢ 전위하여 사용하는 전위 기보다는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성격과 그것이 음악계에 끼친 영향 면에서
음렬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쇤베르크의 판단처럼 20세기 초엽의 음악 양식은 무
㉣ 역행 음렬을 전위하는
역행-전위 음렬 조성을 향하고 있었고, 쇤베르크는 여기에 푯대를 든 선봉적 작곡가였던 것
이다.
1910년대부터 꾸준히 연구와 작업을 해 오던 쇤베르크는 무조 음악(atonal
music)을 거쳐 수년간의 번뇌와 침묵을 깨고 12음 기법(Serial Techniqe)을
창안하여 1920년대부터 다시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쇤베르크가 고안해 낸 음렬 기법의 취지는 완전한 무조성 음악을 성취하기
위하여 음렬을 만들어 12음을 모두 한 번씩 사용한다는 것이었다. 1923년에
▲ 쇤베르크

250 서양 음악사
작곡한‘피아노 모음곡 Op. 1904년 무명의 작곡가였던
쇤베르크가 작곡을 배울 학
25’
는 작품 전체를 하나의 생을 찾는 광고를 냈다. 이

완전한 음렬 음악으로 구성 광고를 보고 찾아간 두 명


의 학생이 베르크와 베베른
한 작품이다. 이었고, 이 3인은 향후 스
승과 제자를 뛰어넘어 동지
히틀러(Adolf Hitler;
적 관계가 되었다.
1889~1945)의 유태인 박해
로 1933년 미국으로 망명한
쇤베르크는 미국의 대학에
서 교편을 잡으며 작품 활동
을 이어 나갔다. 그는 점차
큰 규모의 작품인‘바이올
린 협주곡 Op. 36(1936)’

‘피아노 협주곡 Op. 42
(1942)’
등 대편성 작품들도
모두 음렬 기법을 사용하여
▲ 알반 베르크의‘룰루’
작곡하였다.
베르크도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서 스승인 쇤베르크, 동문 베베른과 함께
무조 음악에서 12음 음악으로 나아갔는데, 낭만파적 성향이 가장 강하였다.
그의 작품은 긴장에 찬 극적 표현과 격렬한 감정의 표출에 뛰어났다.‘현악 4
중주 Op. 3(1909~1910)’
부터 자신만의 고유한 음악 세계를 드러냈으며 이
후 베르크는 사회 고발적 내용의 오페라‘보체크(Wozzeck)’
를 작곡하는데, 보체크
이 오페라는 주인공인 보체
이것은 20세기 오페라의 주요 작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의 현악 4중주
크와 같이 가난하고 약한
를 위한‘서정적 모음곡(Lyrische Suite; 1925~1926)’
은 음렬을 사용한 작 자들이 겪고 있는 비참함,
좌절감에 대해서 깊은 연민
품으로서 베르크의 음악적 특징이 잘 드러난다.
의 정을 담아 표현한 비극
베베른(Anton von Webern)도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며 독자적인 작풍을 작품이다. 귀에 거슬리는
음악을 들려줌으로써 어떤
추구하여 무조적인 작품을 발표하고 12음 기법을 쓰기 시작했다. 그의 음악
의미를 전달하려는 듯한 악
적 의식은 스승 쇤베르크 및 동문 베르크보다 진보적이었고, 본질만을 말하 절과 잔혹할 정도의 불협화
음, 스타카토의 사용 등이
려는 정밀한 기법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짙은 여운을 남긴다.
베베른의 작품은 매우 짧고 밀도가 있으며 완벽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베베른의 짧고 밀도 있는
관현악을 위한 파사칼리아(Passacaglia)를 작곡함으로써 그만의 작품 색을 작품은 낭만파 음악 시대의
대형화 추세와 완전히 단절
갖게 되었고, 초기 작품 이후에 음렬 기법을 사용하여‘현악 3중주곡 Op. 을 의미하는 듯하다. 나치
는 베베른의 작품 연주를
20(1927)’
을 작곡하였다.
금지하고 그의 글들도 불살
그의‘칸타타’2번은 베베른의 원숙기 작품으로 그의 작품 중 수작으로 꼽 라 버렸다.

Ⅶ. 근현대의 음악 251
힌다. 베베른은 나치의 핍박 속에서 칩거하면서도 칸타타,‘관현악을 위한 변
주곡 Op. 30(1940)’등의 역작을 작곡하였다.

^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예술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그런가 하면 제1차 세계 대전과 더불어 국내의 혁명을 완성한 러시아는 문
레닌의 정책에 따라, 소련 화 및 예술에 있어서도 실험주의를 숙청하겠다고 선언하기에 이른다. 이로써
작곡가 동맹 규약에는‘모
두의 행복을 위하는 탁월하
1917년 혁명 후 1920년 소련의 작곡가들은 서방 세계로 망명하기도 하고, 자
고 영웅적인 소련 인민 정 신의 작법을 규약에 맞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결국 1930년대 스탈린 집권 이
신의 아름다운 특성, 또한
미와 생을 긍정하는 박력 후 러시아에는 이른바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예술관이 확고히 자리를 잡게
넘치는 음악을 구현해야 한
된다.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이 완성을 보인 시기에 사회주의 혁명을 완성시
다’
는 규약이 명시되어 있
었다. 킨 러시아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만큼이나 상
반되는 예술적 가치를 추구하게 된 것이다.
이 시기 프로코피예프는 20대였고, 쇼스타코비치는 10대였으며, 스트라빈
스키는 아예 파리에 머무르고 있었다. 프로코피예프는 이미 온갖 장르에 매
혹되어 있었고, 전위 음악인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던 때였다. 프로코피예
프는 자신이 발표한 교향곡 6번이 공산당 중앙 집권 위원회와 소련 작곡가 동
맹으로부터 규탄을 받았으나 그 어떤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창조
적 욕구에 부응하는 작품을 조용히 썼다.
▲ 쇼스타코비치
쇼스타코비치(Dmitrii Dimitrievich Shostakovich; 1906~1975)도 초기
에는 현대 음악 그룹에 있었지만, 15곡의 장대한 교향곡을 체제 순응적 태도
이 시기에 무소륵스키의 음
로 작곡하며 소련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을 대표하는 작곡가가 되었다.
악들이 다시 교향적 음향으
로 편곡이 많이 된 것도 이 교향곡의 시대는 사라졌다고 외쳤던 서방 세계와는 달리, 러시아는 사회적
러한 교향곡의 전통을 이어
리얼리즘을 표방하는 혁명적 음악의 요구에 의해 20세기에도 교향곡의 전통
가려는 사회적 배경 때문이
었다. 을 꾸준히 이어 간 나라가 되었다.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음악

제1차 세계 대전 후 극도로 상황이 악화된 독일 사회는 새로운 체제를 갈망


하면서 극우적 사고가 싹트기 시작했으며, 한편으로는 나치즘이 대두되었다.
전쟁을 비롯한 정치적 상황으로 쇤베르크를 비롯한 버르토크(Barto′
k), 힌데
미트(Hindemith) 등 20세기의 중요한 작곡가들은 미국 망명길에 오르지 않
을 수 없었다.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 음악의 또 다른 발원지가 미
국이 된 데에는 이들의 공헌이 컸다고 할 수 있다.

252 서양 음악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더불어 미국으로 망명한 쇤베르크는 1951년에 세
상을 떠나기까지 음렬 작법의 음악들을 지속적으로 썼다. 그는 미국의 밀튼
배빗 같은 작곡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 총렬 음악
총렬 음악이란 음높이가 순서대로 나오게 하는 음렬 음악에서 더 나아가 1930년대에는 ‘젊은 프랑
스(메시앙, 졸리베, 다니엘,
음악의 모든 요소, 즉 각 음의 세기, 다이내믹과 리듬에까지 열( )의 개념을 보들리에)’가 결성되었고,
적용하는 음악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메시앙은 끊임
없이 새로운 표현 수단을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은 총렬 음악의 기반을 닦은 작곡 추구하며 프랑스 작곡계의

가인데, 그의 다양한 리듬과 새로운 음색에 대한 추구는‘세상의 종말을 위한 제1인자 위치를 지켰다.

4중주(Quatuor pour la fin du temps)’


,‘투랑갈릴라 교향곡(Turangalila
Symphonie)’
에 잘 나타나 있다. 특히‘4개의 리듬 연습(Quatre etudes de 세상의 종말을 위한 4중주

Rythme)’가운데 네 번째 곡‘음가와 강세를 위한 모드(Mode de valeurs ‘세상의 종말을 위한 4중


주’
는 나치 수용소에서 작
et d’
intensites)’
에서 리듬을 세분하고 열의 법칙을 적용한 방법은 총렬주 곡된 것으로, 인도의 리듬
원리를 14세기 동형 리듬과
의 기법의 토대가 되었다.
접목시킨 것이다.
메시앙의 제자였던 피에르 불레즈(Pierre Boulez; 1925~ )는 두 대의 피
아노를 위한‘구조 I, II(Structures pour deuz pianos, premier livre,
1952)’에서 총렬주의의 전형을 보여 주었으며, 칼하인츠 슈톡하우젠
(Karlheinz Stockhausen; 1928~2007)은‘대위점들(Kontra-Punkte;
1952~1953)’
,‘시간의 속도(Zeitmasse; 1956)’
, 세 개의 관현악단을 위한
‘그룹들(Gruppen; 1955~1957)’
에서 총렬 음악의 정수를 보여 주었다.

가난한 노동 계급의 도장공


@ 실용 음악 (Gebrauchsmusik) 이었던 아버지 밑에서 자라
면서 실리적이고 자립적인
청중과의 교감을 중시하며 신고전주의적 작품을 작곡하던 힌데미트(Paul
성격을 지녔던 힌데미트는,
Hindemith)는 자신의 음악적 사고를 더욱 명료하게 정리하게 되었다. 힌데 악상을 정연하게 제시하는
데 더 재능을 보이며 신고
미트는 알기 쉬운 음악을 만들어 다른 사람들과의 공감대를 적극적으로 만들 전주의로 관심을 돌리게 되
겠다는 의지를 다채롭게 실천하였다. 그는 이러한 음악을‘실용 음악’
이라 불 었고 나아가 실용 음악을
주창했다. 그는 저서에서
렀고, 어린이 음악·라디오 음악·애호가를 위한 음악·가정 음악·아마추어 “작곡을 위한 작곡은 자신
에게서 영원히 사라졌다.”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 등을 만들어 작곡가와 청중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라고 선언하고 작곡가는 고
것은 물론, 일반 사람들도 참여하여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힌데미트는 립해 있는 인간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이므로 음악을
아마추어와 학생들을 위해 소나타·실내악곡·마드리갈·모테트 등 많은 작
도구로 자신의 기능을 이용
품들을 만들었다. 그는 저서“작곡 기법”
에서는 조성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 해 벗들과 교류하는 일은
인간으로서의 의무라고 밝
하였고 12음을 모두 사용하더라도 그중 한 음을 중심음으로 하여 조성적 중 혔다.

Ⅶ. 근현대의 음악 253
심을 두도록 하였다.

# 전위 음악
아방가르드 전위 음악은 아방가르드(avantgarde) 음악이라고도 한다. 미국을 중심으
아방가르드는 본부대가 나 로 나타난 아방가르드 정신은 음조직을 논리적으로 조직하는 유럽의 음렬 음
가기 전에 길을 터 주는 역
할을 하는 전위 부대를 지 악과 상반된 성격의 음악으로 나타났다.
칭하는 군대 용어이다. 아방 전통적 미학에 대해 도전한 화가 뒤샹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존 케이지
가르드 정신은 기존 체제에
대한 반항, 저항, 그리고 변 (John Cage; 1912~1992)는“모든 소리는 음악이다”
라는 소신으로, 소음으
혁보다는 회피를 선호하는
로 분류되던 일상의 소리를 다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의 고서“주역(周易)”

히피들의 문화를 만들었다.
심취하여 변화와 우연에 관심을 갖고 작품의 선택과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과
정에 있어서‘우연’
의 요소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그의 신념은 피아노 현에
고무·나사·종이 등을 삽입하여 일상의 소리를 연주하는‘프리페어드(미리
조작된) 피아노를 위한 작품’
과 4분 33초 동안 피아노 앞에서 침묵하는‘4분
33초’
,“주역”
에서 나온 도표와 동전 세 개를 던져서 음높이·지속 시간·음
색 등을 결정하는‘변화의 음악(Music of Change)’
으로 구체화되었다.
▲ 존 케이지 일상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고자 한 케이지의 미학과 가까운 팝 아트(pop
art)는 1950년대 초 영국에서 그 전조를 보였으나, 1950년대 중후반 미국에
서 더 구체화되었다. 팝 아트는 추상 표현주의의 주관적 엄숙성에 반대하고
매스 미디어와 광고 등 대중 문화를 예술로 끌어들임으로써 순수 예술과 대
▲ 존 케이지의 Fontana 중 예술이라는 이분법적 위계 구조를 불식시키고, 산업 사회의 현실을 예술
Mix 악보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운동이다.
행위를 가장 중요한 예술로 여기는 해프닝과 플럭서스(fluxus)도 존 케이
지의 영향에 의한 것이며, 백남준(Nam June Paik; 1932~2006)이 1960년
대를 전후하여 발표한 작품들이 여기에 속한다. 백남준은‘피아노를 위한 에
튀드(Etude for Pianoforte 1960)’

서 2대의 피아노를 파괴하고, 케이지의
와이셔츠를 찢고 넥타이를 잘랐다. 그는
강아지를 끌고 산책하듯이 바이올린을
▲ 백남준
끌고 다니는‘길에 끌리는 바이올린
(1961)’
과 같은 행위 예술로부터‘음악
백남준
백남준 작품은 미술과 음악
전람회-전자 텔레비전(Exhibition for
에서 동시에 다루어지는데, Music: Electronic Television; 1963)’
그의 작품은 예술의 장르를 ▲ 나는 세상에서 가장 서투른 피아니스트
넘어서는 것이었다. (백남준, 1986)
으로 비디오 아트라는 새로운 영역을 선

254 서양 음악사
보였다. 미니멀 아트는 장식적인 내
용이 배제된 단순성, 즉 대
유럽에서는 불레즈나 슈톡하우젠과 같은 총렬주의 작곡가들은 우연성을 상의 본질만을 남긴 최소

작곡에 도입하게 되었다. 불레즈는 완전히 의지를 벗어난 우연성이 아닌‘변 단위를 보여 주는 것이다.

형 가능한 형식’
으로서의‘알레아 음악’
을 구상하였는데‘피아노 소품 XI’

서 19개의 단편들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채 기보되어 있는 한 장짜리 악보로,
필립 글래스는 영화‘트루
연주자가 임의로 단편을 선택하여 형식을 확정하게 하도록 하였다. 먼 쇼(The Truman Show,
1998)’
와 ‘디 아워스(The
미니멀 음악(Minimal Music)은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미니멀 Hours, 2002)’
의 음악 작
음악의 대표적 작곡가로는 필립 글래스(Philip Glass; 1937~ )와 스티브 라 곡가이기도 하다.

이히(Steve Reich; 1936~ )를 꼽을 수 있다. 필립 글래스는 70년대 이후 미


니멀 음악의 대표자였으며,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작곡가로도 활동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구체 음악

$ 구체 음악 존 케이지(John Cage)는
심지어“트럭 소리, 빗 소
전자 음악의 효시는 구체 음악(music concrete)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 리를 사로잡아 조종하고 싶
다. 음향으로서가 아니라
음악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피에르 셰퍼(Pierre Schaeffer; 1910~1984)는
악기로서 말이다.”
라는 당
소음, 악기 소리, 새소리 같은 구체적인 음향을 녹음한 후 변형 가공하여 스 시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했다. 이는 후에
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방법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테이프 녹음기의 발명과 함
께 현실화되는데, 이것이
피에르 셰퍼가 이끌었던
% 전자 음악 1948년경 프랑스의 구체
전자적으로 생성된 소리에 의한 전자 음악(electronic music)은 1951년 독 음악 작업이다.

일 쾰른 방송국에 설립된 전자 음악 스튜디오 중심으로 만들어졌으며, 이것


은 음원을 발생하는 새로운 악기라고 할 수 있는 발진기(oscillator)의 발명으
로 가능해졌다. 습작과 분절법과 같은 전자
음악에는 다음과 같이 감상
기존의 소리에 대한 변형과 가공이 아니라‘전자음’
이라는 인공적 소리로 자들에게 음향을 시각적으
로 볼 수 있게 하는‘청취
작곡한 최초의 작곡가는 슈톡하우젠(Karl heinz Stockhausen; 1928~
용 악보’
가 제공되기도 한
2007)이다. 그는 총렬 음악 작곡가이자 이론가였는데, 쾰른의 서부 독일 방 다.

송국에서 최초의 전자 음악‘습작 I(Studie I, 1953)’


제작에 성공하였다.
슈톡하우젠은‘젊은이의 노래(Gesang der Jün–
glinge, 1955~1956)’
에서 전자 음악과 구체 음악의 합
성된 소리를 5개의 스피커로 연주하는 공간감을 실험하
였으며, 전자 음향과 피아노, 타악기를 융합한 작품
(Kontakte)도 작곡하였다. ▲ 리게티의‘분절법’청취용 악보

Ⅶ. 근현대의 음악 255
폴란드 출신의 작곡가 펜데 슈톡하우젠 이후에 전자음만으로 작곡한 주요 작곡가는 헝거리 태생으로
레츠키의 음색 작곡을 대표
하는 작품은‘아나클라시스 서 오스트리아로 망명한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가 있다. 그는
(Anaklasis, 1959~ 순수한 전자 음악인‘분절법(Artikulation; 1958)’
을 작곡하였다.
1960)’
와 ‘히로시마 희생
자를 위한 애가(Threnody
to the Victims of Hiro
^ 음색 작곡
shima, 1960)’
가 있다.
1960년대 이후의 음색 작곡(Klangkomposition)은 리게티와 펜데레츠키
(Krzysztof Penderecki; 1933~ )로 대표된다. 1961년 발표된 리게티의 관
현악곡‘아트모스페레(Atmosphäre, 1961)’
에서 리게티는 음향을 가장 중요
한 요소로 다루었다. 전체적으로는 선적 선율이 없이 생성하고 사라지는 듯
한 연속적인 흐름으로 들리게 되는데, 리게티는 2도 음들을 겹치게 함으로써
음정과 화성을 제거하고 관습적인 리듬 구성을 배제하였다.

(5) 20세기 말의 음악

! 포스트모더니즘
2007년 바이에른 오페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한마디로 말하면 다원성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극장에서 초연된 진은숙의
과거의 예술을 소생시키려는 움직임, 고급 예술과 저급 예술에 대한 이분법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현대 오페라와 뮤지컬의 중 적 사고에 대한 비판,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정신에서 연장된 모든 움직임
간 영역에 해당되는 작품인
을 포용한다. 페미니즘과 음악, 크로스오버 음악(crossover music), 세계 음
데, 원작 내면에 있는 심리
적 간극을 파악하고, 동굴 악(world music) 등에 대한 관심도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대변되는 1970년 이
에서 울려 나오는 것 같은
매혹적인 소리로 표현했다.
후 음악계의 움직임이다.
여성 작곡가들의 활약: 20세기에는 여성 작곡가들의 활동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로리 앤더슨(Laurie Anderson; 1947~ ), 소피야 아스
가토브나 구바이둘리나(Sofija Asgatovna Gubajdulina; 1931~ ), 박영
희(1945~ )를 포함한 비유럽 계통 여성 작곡가들의 활동은 20세기 후반부

▲ 키보드형 신시사이저
터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진은숙(1961~ )은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극단
의 장르를 하나로 묶어 내는 기교를 지닌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1982년에 등장한 미디
(MIDI: Musical Instrument
@ 컴퓨터 음악
Digital Interface)는 신시사
이저를 포함해 모든 전자 1946년에 세계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Eniac)이 발명된 후 반도체의 등
악기의 음색 변화와 합성을
장에 이어 1971년에는 디지털 신시사이저의 출현으로 전자 음악은 급속한 발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해 주거나 악기끼리 데이터 전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 음악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음을 합성하고 음색을 결정하는 많은 부분이 신시사이저 시스템 안으로 들
규격을 말한다.

256 서양 음악사
어오게 되면서 컴퓨터 음악은 독립된 하나의 음악 장르로서뿐만 아니라 실험
적 음악극, 퍼포먼스, 비디오 아트, 사운드 아트, 영화 음악, 설치 예술 등과
같이 모든 예술의 영역과 결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의 컴퓨터 음악은 새로운 음향을 합성하고, 작곡 시스템을 확대하
▲ 캐나다 전자 음악 앙상블
며, 전자적 악기의 개발과 그 연구 성과를 창조적 예술품 생산으로 연결해 나
가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컴퓨터는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디지털 음악’
이라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 신낭만주의
신낭만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화 가운데 한 경향이다. 이것은 무조
성의 모더니즘에 반대하며 청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현대 음악으로 다가갔다.
음색 작곡가로서 1960년대 아방가르드 대열에 섰던 펜데레츠키는 1970년 중
반 이후부터 전통적 음악 장르인‘협주곡’
을 수용하고, 감각적이며 반음계에
의한 슬픈 분위기의 신낭만주의적 작품을 발표하였다.
윤이상(1917~1995)은 한국 태생의 세계적인 음악가로 한창 활동 당시에는 윤이상은 1945년 프랑스를
거쳐 독일 베를린에 유학하
세계 5대 음악가로 꼽혔으며, 120여 곡의 현대 음악을 남겼다. 1970년대 중 여 유럽 음악계에 두각을
반에 접어들면서 세계 평화와 인류에 대한 사랑,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메 나타내던 중 동베를린 사건
에 휘말려 사형 선고까지
시지를 전하는 작품을 썼으며, 서양 현대 음악 기법을 통해 동아시아적 이미 받았으나, 독일의 대대적인
구명 운동으로 풀려나 독일
지를 탁월하게 표현하였다. 그는 1972년 뮌헨 올림픽 개막 축하 오페라‘심
국적을 취득하였다.
청’
을 비롯하여 수많은 작품을 통해 세계 작곡계에 큰 명성을 떨쳤고, 우리나
라의 남북 화합을 위한 1990년 남북 통일 음악제를 주관하였다.

$ 앞으로의 전망
21세기의 사회는 풍요한 물질 문명, 크고 작은 전쟁 후유증,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 대중 매체의 과다 현상으로 어떤 사안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가치
의 잣대가 어느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다원성과 다양성을 띠고 있다. ▲ 윤이상
시간적으로 21세기는 변화하는 시대에 걸맞은 예술과 삶의 또 다른 융합
방식을 절실히 찾아 헤매고 있으며, 공간적으로 새로운 제3세계는 이에 가장
유리한 예술 발원지 내지는 문화 발원지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맞고 있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19세기 말 러시아, 보헤미아의 민족주의 음악의 특징을 정리하고 발표해 보자.
2 . 인상주의와 표현주의의 주요 작곡가와 작품을 적어 보자.
3 . 신음악, 다다이즘, 신고전주의의 특징을 정리하고 발표해 보자.

Ⅶ. 근현대의 음악 257
2 근현대 우리나라에서의 서양 음악
❶ 근대화와 함께 우리나라에 소개된 서양 음악을 이해할 수 있다.
❷ 8·15 광복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전개된 서양 음악을 이해할 수 있다.

(1) 근대화와 서양 음악의 도입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서양 음악사는 미국 개신교 선교사에 의해 찬미가


(찬송가)를 부르게 된 것을 시작으로 하여, 100여 년의 역사를 지녔다고 본
다. 그러나 서양 음악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비록 구체적인 음악 내용이
전해지지는 않았으나 악기를 접하고 그 개념과 이론을 접한 것은 360년 이전
의 일이며, 이는 자주적인 교류에 의해서 일어났다.
정두원(1581~?)은 17세기에 중국에서 구한“직방외기(織方外記)”
라는 서
적을 통해 조선에 최초로 서양 음악 교육 제도를 소개하였다. 18세기에 홍대
▲ 홍대용의 연행록
용은 북경(베이징) 남당 성당에서 파이프 오르간을 연주했으며,“연행록”

파이프 오르간의 악기 구조와 음향 원리 등을 자세히 밝혔다. 또한 양금
(dulcimer)을 우리나라에 가지고 들어와 조선의 관행적인 율관 제도를 비판
하는 대안 악기로 제시하여 오늘날의 전통 음악 실내악 악기로 정착시킴으로
써 민족 음악으로 재통합시켰다.
율려정의 속편 실학자였던 이규경, 정약용, 최한기가“율려정의 속편( 呂正義續編)”
을통
“율려정의 속편”
은 서양의 해 서양 음악을 접하고 이해하기 시작한 것도 18세기의 일이다. 이러한 접촉과
신부들에 의해서 1746년에
중국에서 중국어로 출간한 연구를 통해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중국 이외의 서양에서도 문화가 고도로 발
음악 이론 서적이다. 달한 것을 알게 되어, 세계의 다른 나라와 균형을 이루며 대화하는 자세를 갖
기 시작하였다. 1881년 일본 교토단 군악대에서 프랑스의 음악인 다그롱에게
배운 이은돌은 최초의 서양 음악 유학생으로 기록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가톨릭 성가가 보급되었는데, 특히 1860년대의 가톨릭
계통 예수성심신학교에서는 성가가 교육에 사용되었다. 이후 1886년에 미국
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중등 교육 기관인 배재 학당
을 세우고, 같은 해에 스크랜턴 여사가 이화 학당을 세우면서‘찬미가(찬송
가)’
를 교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찬미가의 보급과 발달은 점
차 서양 음악의 소통 영역을 넓혀 주었으며, 나아가 창가와 한국식 예술가곡
이 발전하고 여러 기악곡이 나올 수 있었던 근간이 되었다. 홍난파, 현제명,

258 서양 음악사
이흥렬, 김성태, 김동진, 구두회, 나운영 등 많은 음악인들이 개신교 출신이
었던 사실을 통해서도, 교회와 교회 음악이 우리나라 서양 음악의 모태가 되
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던 서양 음악은 국권 피탈 시기에 들어서면서
친일 조직의 일환으로 연주 활동을 벌이는 등 선전 도구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 영합하지 않고 자신들의 신념을 지키던 일부 음악인들
은 8·15 광복을 맞이하기 전까지는 음악계의 후면에 은둔할 수밖에 없었다.

(2)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1945년 8·15 광복부터 1953년 6·25 전쟁 휴전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기


간은 우리나라에 서양 음악이 유입된 이후 이를 자생적으로 접목시키고 발전
시킨 첫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음악인들은 비로소 개인적으로 음악적 이상을 펼치기
시작했는데, 두 진영으로 나뉘어져서 활동하였다.
음악이 추구하는 사상과 이념을 중시하였던 음악인들은 일제 강점기 말부
터 비밀리에 조직을 만들고, 이범준이 주축이 되어 노동자·농민·일반 대중
을 위한 음악을 창작하고 연주하였다. 한편 순수 음악을 표방하는 음악가들
은 현제명을 주축으로 하여‘고려 교향악단’
을 창설하고 음악 활동을 하였다.
해방 직후 시기와 미 군정기, 전쟁기를 거치는 동안 창작은 주로 해방 가요
와 성악곡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민족 음악 수립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
던 작곡가들은 해방 가요를 작곡하였는데, 이것은 식민지 시대에 유행하던
군가조 혹은 짙은 애수성에서 탈피하여 건전한 가요를 보급하기 위해서였다.
이 중 널리 불린 곡으로는 김성태의‘독립 행진곡’
, 나운영의‘인민의 노래’
,
이건우의‘여명의 노래’
, 김순남의‘건국 행진곡’
,‘해방의 노래’등이 있다.
한편 음악의 대중성과 함께 예술성을 추구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났는데, 김순
남의 가곡집“산유화”
(1947)와“자장가”
(1948)에 수록된 가곡들과, 이건우의
가곡집“금잔디”
(1948)와“산길”
(1948)의 작품들은 당시 우리나라 가곡의 위
상을 국제적 반열로 올려놓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김순남
1949년 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오페라 공연이 이루어졌다. 이 공연으로
인해 오페라 열기는 오페라 창작으로까지 이어졌는데, 그중 현제명의‘춘향
전’
은 당시에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창작 오페라로서도 획기적인 의의를
가진다.

Ⅶ. 근현대의 음악 259
오페라와 교향악은 근대 서 교향악단이 창단되면서 교향악 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순수 음악을
양 음악 양식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통한 음악계의 발전’
을 모토로 하여 해방 직후인 1945년에 현제명이 중심이
되어 창단하였던 고려 교향악단은 3년 만인 1948년에 해산되었는데, 비록 짧
은 기간 동안 활동했지만 우리나라 음악 문화의 터전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
을 하였다.
1950년대는 해방 이후 어렵게 이루어 놓은 기반이 전쟁으로 인해 완전히
무너져 버린 시대였다. 수많은 음악인들이 월북 또는 납북 당하거나 혹은 사
망했으며, 악기와 악보도 소실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계기로‘해
해군 정훈 음악대는 1957 군 정훈 음악대’
와‘육군 관현악단’
이 조직되었다.
년에‘서울시립교향악단’

로 재출발하게 되었으며, 전쟁 이후의 1950년대는, 새롭게 악단을 정비하고 국제 교류를 통하여 세
육군 관현악단은 1956년 계적 수준의 음악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그러나 다른 예
발족한‘KBS 방송 교향악
단’
으로 흡수되었다. 술과는 달리, 전쟁과 정치적 혼돈, 혁명 등으로 점철된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까지의 사회적 격변에 대해 무감각하였다는 것이 이 시대 음악계의 특징
이기도 하다.
1950년대의 창작계는 위축된 상태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해방 이후 김순
남, 이건우 등 창작계에서 독창적인 음악 기법으로 주목을 받던 인물들이 월
북 혹은 납북된 영향이 컸다. 그러나 창작계의 저조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부터 계속된‘민족 음악 수립’
에 대한 논의는 이 시기에도 지속되었다. 윤이
상은 1950년대 중반, 유럽으로 떠나기 전까지 민족 음악 수립의 정신적인 근
원은 국악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 논의를 정리해 나갔다.
1950년대는 우리나라 전 예술계에서‘현대성’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
이기도 하다. 이전의 현대 음악에 대한 논의가 주로 현대 음악 수용을 반대하
는 입장이 대부분이었다면, 1950년대에는 현대 음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 윤이상 는 입장과 현대 음악 기법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서로
작곡가 윤이상은 ‘6·25 대립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전쟁은 세계 문화 사조에
큰 충격을 주었지만 그 본 현대 음악 기법 수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진 또 다른 인물은 나운영이다.
터전인 이 땅에서는 후세에 그는‘선 토착화 후 현대화(先土着化 後現代化)’
라는 신념으로 한국적인 작품
남길 예술상의 기록조차 없
을 정도로 무감각했다.’
라 개척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12음 기법 등의 도입과 민속 음악을 바탕으로
고 적고 있다.
한 독창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론 정립과 창작을 병행하였다. 또한 1952년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를 작곡한 이후 기독교 찬송가를 1,105곡 작곡하였
으며, 1955년‘바이올린을 위한 산조’
에서 한국적 표현을 구체화하였다.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오페라 공연은 지속되었다. 1948년‘춘희(라
트라비아타)’공연 이후 간헐적으로 명맥을 유지하던 오페라 공연이 1950년

260 서양 음악사
대에는 1년에 4~5회 정도로 활발히 개최되었다. 1954년, 현제명은 자신의
두 번째 창작 오페라‘왕자 호동’
을 무대에 올렸다.
이 시기에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여 준 것은 교향악단이다. 1950년대 조
직된 서울시립교향악단과 KBS교향악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활동을 벌였
는데, 서울시립교향악단은 한국 제일의 교향악단으로서 한국 초연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무대에 올려 음악계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시민 위안 음
악회 등을 개최하여 음악의 생활화에도 기여하였다. 한편 KBS 교향악단은 ▲ 현제명

서울시립교향악단보다는 규모가 작았으나 방송을 통한 음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다.
6·25 전쟁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입혔지만, 한편으로는 전쟁을
통해 세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외국 유학을 가는 음악
가들이 급증하게 되면서 음악인들이 세계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세계로 진출한 음악인
1957년에는 피아니스트 한
동일이 워싱턴 음악 콩쿠르
(3) 1960년대 에서 2위로 입상하였고,
1960년에는 윤이상이 제
34회 현대음악학회 주최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전 사회적으로 민족주의와 서구적 근대화에 세계 음악제에서‘현악 4중
주 제3번’
으로 당선되었다.
대한 요구가 일어났다. 이러한 근대화 과정에서 대학이 중심이 되어 음악계 6·25 전쟁 이후의 시기에
를 이끌어 나가게 되었다. 해외에서 활약한 음악가들
로는 스페인 마요르카 교향
1960년대는 많은 교향악단이 창단된 시기이기도 하다. 전국의 대학 음악과 악단 상임 지휘자 안익태,
파리교향악단 제1 바이올린
에서 졸업생을 배출하면서 많은 교향악단이 조직되었는데, 1962년에 부산시
주자 박민종, 인디아나 음
립교향악단, 1964년에 대구시립교향악단, 1966년에 인천시립교향악단이 창 악 학교 강사 및 악장을 역
임하고 지휘자로도 데뷔한
단되었다. 연주계에서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기악 레슨과 각종 콩쿠르, 그리
원경수 등이 있다.
고 사회적인 유학 풍토로 인해 특히 피아노와 바이올린 분야에 급속한 성장
이 있었다.
1960년대에는 서양의 다양한 현대 음악의 경향이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현대 음악의 시대가 열렸다. 또한 서양 음악에 대한 국악의 토착화 노력이 일
어나면서 국악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창작 작품들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
기 시작했다. 1961년에는 독일에서 윤이상의 관현악곡‘바라’
,‘교향적 정
경’
,‘교착적 음향’
, 현악 4중주 3번 등이 발표되었고, 이 사실이 국내에 소
개되면서 젊은 작곡가들에게 큰 자극이 되었다.

Ⅶ. 근현대의 음악 261
(4) 1970년대

1967년 윤이상을 포함한 새마을 운동으로 대변되는 1970년대는 국가 주도적 근대화와 경제 성장의
독일 유학생들이 간첩 혐의
에 관련된 동베를린 사건은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음악 문화에도 이러한 전 사회적 영향력이 반영되었
서양 현대 음악에 대한 인 다. 이 시기 음악계의 특징으로는 창작 음악이 활성화되고 현대 음악이 확산
식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
다. 이 사건은 국제적으로 되었으며, 국악에 대한 창작계의 관심이 지속되었다.
큰 주목을 받았고, 이를 계
1970년대의 창작계는 현대 음악 기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신진 작곡가
기로 윤이상이 활동하는 서
양의 현대 예술 사조가 지 와 이러한 실험적 현대 음악에 반대하며 일반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가곡을
속적으로 소개되었다.
작곡하는 기성 세대로 양분되었다.
윤이상에 의해 동아시아적 전통을 서양 현대 음악 어법으로 결합한 새로운
음악에 대한 관심은‘국제 현대 음악제(ISCM)’개최 등으로 구체화되었으며,
기존의 작곡계에서는 강석희, 백병동, 김정길 등 윤이상의 제자들과 백남준,
박준상 등 당시 미국과 유럽에 유학 중이던 젊은 작곡가들이 두각을 나타내
었다.
반면에 젊은 작곡가들의 실험적인 현대 음악에 반대하며 한국 가곡의 대중
화를 이끌어 간 작곡가들도 있다. 조두남의‘선구자’
, 장일남의‘비목’
, 김동
진의‘목련화’
와‘가고파 II’
, 최영섭의‘그리운 금강산’등의 대중적인 가곡
의 인기로 음반 발매와‘가곡의 밤’행사가 활발하였다.
1974년 차이콥스키 콩쿠르 1970년대 특징 중의 하나는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문화 사절 활동이 빈
에서 피아노 부문 2위에 정
명훈이 입상한 이후, 1974
번히 이루어졌다는 것이다.‘선명회 어린이 합창단’
과‘리틀 엔젤스’
의 해외
년 강동석이 퀸 엘리자베스 순회 공연 등이 대표적이다.
콩쿠르 3위에 입상하였다.
기악 부문에서는 여전히 피아노와 바이올린이 중심을 이루었으며, 특히
1960년대 한동일, 백건우의 인기에 힘입어 확산되기 시작한 피아노에 대한
관심은 1970년대의 대표적인 중산층 문화로 자리 잡았다. 실내악 활동에 대
한 관심도 점차 증대되어, 1965년에‘바로크 합주단’
이 창단되었다. 1970년
대의 오페라 분야에서는 무엇보다 1968년에 창단된‘김자경 오페라단’
의활
약이 주목할 만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노래를 여가의 도구가 아닌 메시지를 담는 표현의 수단으
로 삼는 움직임도 있었다. 1974년 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우리의 말로
부르는 우리 노래’
에서 김민기, 이종구, 김영동, 양희은 등의 젊은이들은‘빈
산’
,‘서울길’
,‘탈’등의 노래와 국악기 반주의 마당극‘소리굿 아구’
를 발표
▲ 1950년 전쟁 고아로 구성
하였다. 이들은 노래를 통해서 민속 자산을 발굴하고, 소리꾼의 해학으로 사
되었던 선명회 어린이 합창단
회를 날카롭게 풍자하였다.

262 서양 음악사
(5) 1980년대

1980년대에는‘이 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에 대한 고민과 토
론이 치열해지면서 이를 바탕으로 반성적·실천적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1988년과 1989년에는 제6공화국 정권 출범과 올림픽 행사 등으로 남
북 관계 및 동유럽 국가와의 관계 개선이라는 정세 변화 속에서 월북 작가 음
악이 해금 조치되었는데, 김순남, 이건우 등 71명의 작품이 해금되었다. 해금(解禁)의 대상은 작곡
가들이 월북 이전에 지은
1980년대의 오페라 운동의 방향은 두 가지 양상으로 분화되어 전개되었 작품들로 한정된 것이었다.
다. 하나는 본 고장의 서양 오페라를 좀 더 정통한 방법으로 수용하려는 움직
임이었고, 다른 하나는 한국 사회 현실에 뿌리내리고 관객과 소통하려는‘한
국적 음악극’운동의 움직임이었다. 한국적 음악극 운동의 일환으로, 국립 오
페라단은 소극장용 창작 오페라를 위촉하는 등 소극장 운동을 펼쳤으며, 한
국음악극연구소는 노래극‘우리들의 사랑’
(1987년)과‘구로동 연가’
(1988년) ‘구로동 연가’
는 박노해의
시를 기초로 하여 노동 현
에서 오페라뿐만 아니라 창극, 뮤지컬 등의 모든 장르가 공존하는 방법을 시 장의 현실을 문제화하였다.
도하였다.
1980년대 중반부터 한국적 음악 양식에 대해 고민하고 이건용을 중심으로
활동을 벌이기 시작한 단체인‘제3세대’
는 기성 작곡가들이 무비판적으로 서 제3세대
제3세대의 강준일은 사물
양 현대 음악을 추종하는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놀이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
이러한 민족주의적인 경향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작곡계의 주류는 1970년 곡 ‘마당’ (1983),‘푸리’
(1983), 관악 합주와 사물
대 독일의 첨단 현대 기법을 수용함으로써 세대 교체를 이루었던 강석희, 백
놀이 합창을 위한
‘환희의
병동, 김정길 등이 이끄는 각종 현대 음악 작품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노래’
(1984) 등의 작품을
통해 사물놀이의 신명을 담
1980년대에는 첫 프로 합창단인 대우 합창단(1983)이 만들어졌고, 최초의 아내고자 했다.
민간 직업 교향악단인 코리안 심포니(1985)가 창단되었다.‘실내악 운동’

일어나기도 했는데, 한국 페스티발 앙상블, 예음 클럽 등의 실내악단이 전용 강석희는 ‘원색의 향연’
(1966)에서 국내 최초로 전
홀을 갖추고 기존의 실내악단 활동에 합세하며 큰 역할을 하였다. 3개의 FM 자 음악을 시도하였다.

방송 채널이 생기면서 음악 프로그램을 종일 방송하게 된 것도 1980년대 들


어서였다. 1985년에는 호암 아트홀이 개관되어 세종문화회관의 독주 시대를
마감하였으며, 1988년에는 음악 전용 극장인 예술의 전당이 개관되었다.

(6)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

1990년대는 콤팩트디스크(CD)가 음반 시장에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


했으며, 녹음 방식도 디지털로 전환된 시기이다. 개인이 소지할 수 있는 작은

Ⅶ. 근현대의 음악 263
플레이어만으로도 좋은 음질의 소리를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음
반의 유통 속도가 빨라졌으며, 음악 관련 미디어 산업이 팽창하였다.
또한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음악을 수용하는 통로가 다변화되었고,
1988년 서울 올림픽과 한·중, 한·소 수교 이후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동유
럽의 음악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을 뿐 아니라, 월드 뮤직이라 불리는 제3세
계의 음악도 유입되었다. 또한, 컴퓨터·영상 미디어가 작곡의 도구로 사용
되면서 양식상의 변화가 일어났다.
김순남과 윤이상을‘민족 작곡가’
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 것도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의 일이다. 1990년 말에는 남북한이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
에서‘송년 통일 전통 음악회’
를 개최하여 국악인 황병기와 성악가 조수미가
평양에서 공연함으로써 음악을 통한 분단 극복의 가능성을 보여 주기도 하
였다.
1990년대는 공연의 양적 성장으로 볼 때, 음악회가 10년 동안에 무려 다섯
배나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양적으로는 음악회가 크게 성장
하였으나 한편에서는 일반인들의 취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회화와 대중
화가 필요하다는 반성의 시각도 있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우리나라에 서양 음악이 도입된 시기와 경로에 대해서 발표해 보자.

2 . 근현대 우리나라에서의 서양 음악의 발전 상황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적어 보자.

(1)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2) 1960년대
(3) 1970년대
(4) 1980년대
(5) 1990년대

264 서양 음악사
3 대중음악
❶ 짧은 기간에 급격하게 변화해 온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❷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서양 대중음악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1) 한국의 대중음악

자본주의 사회의 산물인 대중음악은 사회의 지배 문화인 동시에 서민 문화


라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어떤 음악 장르보다도
대중들의 기호 및 취향에 따라 주제와 음악적 스타일이 급격하게 변한다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대중음악은 100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역사
속에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매우 급격한 변화를 거듭해 왔으며, 앞으로도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다.

! 대중음악의 시작: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에서의 대중음악은 선교사들에 의해 유입된 찬송가를 필두로 하
여 서양 음악이 발전하며 형성된 창가가 1920년대에 음반 및 라디오 등의 대
중 매체와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유행하였다.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일제 강
점기를 거치면서 망국(亡國)의 애환을 대변하기도 하고, 대중들을 계몽하거나
민족 정신을 고취시키기도 하였으나, 일제의 검열 강화로 인하여 현실 도피
와 애수(哀愁)의 노래들로 주제가 변하였고, 친일 성향의 노래들이 속속 등장
하기도 하였다.
초창기의 대중음악은 음반과 방송, 공연을 통해 대중들에게 소비되었는데,
특히 1926년에 발표된 윤심덕의‘사의 찬미’
는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가능성
▲ 윤심덕(1897~1926)
과 파급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음반이다. 이 시기 대중음악의 양식은 일본
의 영향을 받은 요나누키 장·단음계와 4박자로 된 트로트, 민요풍의 가락에 요나누키 장·단음계

서양 악기로 반주를 곁들인 신민요, 그리고 일본 가요의 번안곡 등이 주류를 일본의 전통 음계로, 7음계
에서‘파’
와‘시’
를 빼고 5
이루었다. 음으로 구성한 장음계와 단
음계이다.

@ 광복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동향
광복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는 남북으로 국토가 분열되고 6·25 전쟁을
치르는 등 국가적으로 많은 혼란과 위기가 있었던 만큼, 시대를 대변하는 대

Ⅶ. 근현대의 음악 265
중음악 또한 과도기이자 혼란기였다. 일제 강점기에 유행하던 트로트와 신민
요가 이어졌으나, 트로트는 변화한 시대에 적응한 반면 신민요는 점차 쇠퇴
하게 되었다.
해방 후 미국의 주둔으로 인하여 유입된 미국의 대중음악은 이 시기 음악
양식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5음계가 주도하던 기존 경향이 본
▲ 광복 이후 1947년에 발표
격적으로 서양의 7음계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노래의 주제는 혼란스러웠던
되었던 현인의‘신라의 달밤’
은 오늘날까지도 대중들의 시대상(時代相)을 매우 잘 반영하여, 해방의 기쁨, 분단의 아픔, 반공 사상,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미국에 대한 동경과 지향, 시대의 절망감 등을 역설하였으며, 뒤를 이어 향락
위주의 주제가 다양한 내용으로 표출되었다.

# 1960년대의 동향
이지 리스닝 1960년대에는 새로운 세대에 의해서 받아들여지고 정착된 이지 리스닝
원래 미국에서 백인들에게 (easy listening)이라는 양식이 주도적 양식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서, 이 시
가장 쉽게 들리는 평범한
음악을 뜻하나, 이 글에서 대의 음악 양식이 이지 리스닝과 트로트로 이분화되었다.
는 트로트 및 포크와 구분
이지 리스닝의 등장으로 중창단이 유행하여 7음계와 3화음이 정착하고, 노
하여,‘단순한 화성과 선율
로 구성되어 있는 한국 대 래에서 화성이 중요하게 고려되기 시작하였으며, 단순한 순차 진행과 선율
중음악’
을 뜻한다.
중심적인 흐름이 특징적 양식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한편으로는 미8군 무대
미8군 무대 출신의 가수와 작곡가들이 대거 등장하였으며, 미국 문화를 빨리 접할 수 있
미군을 대상으로 하던 클럽
었던 고학력자들이 대중음악계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공연인 미8군 무대는 충분
한 보수로 인해 당시 최고 노래의 주제는 서울에 대한 찬가, 서민들의 희망과 해학, 계층 상승의 욕
의 무대로 손꼽혔고, 그렇기
망, 건전 가요, 극적 슬픔에 대한 절제와 노골적 표출 등 당시의 시대상을 반
에 실력을 인정받은 사람들
만 모여들었다. 미8군 무대 영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들이 공존하며 다양해졌는데, 이는 빠르게 변해 가
출신의 대표적인 가수로는
패티 김, 최희준, 윤복희, 현
는 세상에 대한 서민들의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미, 한명숙 등이 있다.

$ 1970년대의 동향
1970년대는 해방 후 한국 대중음악에서 청년 문화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
시기이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여 대중음악의 주 향유층 또는 소비층은 청
년 또는 청소년층이 되었으며, 청년 문화를 대표하는 포크 송(folk song)과
록(rock)이라는 두 양식이 정착되어 발전하면서 1960년대에 성행하였던 트
로트 및 이지 리스닝과 함께 20세기 한국 대중음악의 가장 기본적인 네 양식
을 형성하게 되었다.
포크 송은 기성세대의 문화 또는 성인의 문화에 대항하는 청년 문화라는
▲ 미8군 무대에서 활약할
당시의 패티 김 모습 구도가 처음으로 극명하게 드러난 장르였는데, 이는 기성세대의 대중음악에

266 서양 음악사
대한 반발과 세대적 갈등에 따른 현상이
었다고 볼 수 있다. 신중현을 필두로 발
전하기 시작했던 록은 기존 대중음악에
나타난 음악 양상을 상당히 수용함으로
써 넓은 수용층을 확보하며 대중들에게
▲ 신중현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대표곡으로는‘커피 한 잔’
,
당시에 작곡된 노래들은 솔직하고 자 ‘님은 먼 곳에’
,‘미인’
,‘월남
에서 돌아온 김 상사’등이
유분방한 노래, 순수함, 청년들만의 공감
있다.
대, 관조와 사색 등 새로운 양식에 맞는 ▲ 1977년에 신설된 제1회 MBC 대학 가
요제 LP판 표지 발라드와 댄스 뮤직
주제들로 표현되었다. 이 시기에는 대마 발라드는 서양에서의 어원
과는 무관하게‘느리고 선
초 파동으로 인한 스타 가수들의 대규모 구속 및 활동 금지 처분, 대학 가요
율적인 사랑 노래’
라는 뜻
제의 신설과 캠퍼스 밴드 음악의 유행 등 가요계에 큰 영향을 미친 여러 사건 으로 애호되었으며, 이용,
이선희, 최성수를 시작으로
들이 발생하였다.
이광조, 유재하, 이문세 등
을 통해 음악적으로 세련되
게 발전하였다. 이어서 변
% 1980년대의 동향 진섭, 신해철, 이승철, 윤상,
1980년대에는 1970년대에 형성된 포크 송 및 록과 기존의 트로트, 이지 리 이상우, 김민우, 신승훈, 이
승환 등에 의해 1991년까
스닝 등이 조화롭고 안정적으로 공존하며 발전된 시기이다. 가요계의 판도를 지 주도적인 대중음악 양식

교체할 만한 특징적인 양식이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발라드와 댄스 뮤직이 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댄스 뮤직의 대표적인 가수
등장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대중들의 사랑을 받기 시작하였다. 로는 박남정, 소방차, 김완
선, 나미 등이 있었다.
발라드는 이전에 유행하였던 다른 어떤 대중음악보다도 화려하고 다양한
화성과 선율을 구사하였고, 주로 피아노가 주도하는 반주로 고급스러운 분위
기를 만들어 냈으며, 장조가 주류를 이루고, 자연스럽게 말을 하는 듯한 가
사, 화려한 절정부의 발전이 특징이다.
반면에 댄스 뮤직은 컬러텔레비전 시대의 개막으로 인한 비디오형 가수의
등장과 10대 청소년층 실수요자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강렬한 리듬 표현과 육체적 에너지의 표출, 익숙하고 달콤한 화성 및 선율로 ▲ 조용필

구성되어 즐겁게 춤을 추면서 따라 부를 수 있게 만들어졌다. 한국 최초로 단일 앨범


100만 장 돌파 및 누적 앨
이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대중음악이 질적·양적으로 눈에 띄게 성장하였 범 최초 1000만 장 돌파,
연말 가수왕 11회 수상, 일
는데,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대중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으며‘가왕(歌王)’조
본에서의 대성공 등 화려한
용필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이력을 가진 가수이다. 모
든 장르를 결합하여 새로운
다양한 장르의 공존으로 인하여 노래의 주제 또한 다양해졌고,‘가요 톱
대중음악의 경향을 이끌고,
텐’과 같은 지상파 가요 순위 프로그램이 생겨나면서 시청자들이 대중음악 음악으로 한국인들의 정서
를 가장 잘 표현한 가수로
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평가받고 있다.

Ⅶ. 근현대의 음악 267
보충 자료 가요 톱 텐

1981년부터 1998년까지 KBS에서 방송된 가요 프로그램으로, 당시에는 인터넷이나 케이블 방송 같


은 매체가 그리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영 방송인 KBS에서 진행하는 가요 톱 텐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순위 집계 방식 또한 매우 공정하고 구체적이었기 때문에 당시의 가요 동향을 파악하는
척도가 되었다. 1998년 IMF 외환 위기를 맞아 사회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폐지되었으
나, 무리한 폐지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일게 되자 결국 같은 해에‘뮤직 뱅크’
라는 이름으로 재탄생
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90년대의 동향
조용필을 대표로 하여 발라드와 댄스 뮤직으로 이어지던 1980년대 대중음
악의 양상은 1992년에 데뷔한 서태지와 아이들을 필두로 하여 소위‘신세대
음악’또는‘X세대’
라고 불리는 가수들에 의해 크게 변화하였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데뷔곡인‘난 알아요’
는 이전까지 대중음악의 주도권을
행사해 왔던 발라드 대신에 댄스 뮤직이 주도권을 잡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되
▲ 서태지와 아이들
1992년에 데뷔하여 1996
었다. 이들은 그때까지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양상의 음악을 선보이며 유
년에 4집을 끝으로 은퇴 선 행을 선도하였고, 가사 내용 또한 시대 비판적이거나 자아에 대한 탐구 등 대
언을 할 때까지 대중음악계
의 주도권을 가지고 막대한 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문화 대통령’
이라는 칭
영향력을 끼쳤다. 호를 받기도 하였다.
새로운 세대가 밀고 올라오는 1990년대의 대중음악계는 조화롭고 안정적
음반 산업의 성장
한국 음반 누적 최다 판매 으로 발전하던 1980년대에 비해 매우 참신하고 도발적으로 크게 발전하였는
순위 최상위권에 위치한 가
데, 특히 음반 산업의 성장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져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가
수들 중 조용필을 제외하면
모두 1990년대를 풍미했거 장 많은 음반이 팔린 시기였다. 김건모, 신승훈을 비롯해 밀리언 셀러 가수들
나 2000년대 초반까지 큰
이 매해 탄생하였으며, 한 가수가 1000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량을 달성하기
인기를 누렸던 신승훈·김
건모·서태지·조성모· 도 하였다.
쿨·HOT·god라는 점으
로 보아 당시의 대중들이
이후 1996년에 데뷔한 H.O.T.와 이듬해 데뷔한 젝스키스를 비롯한 초기
얼마나 적극적으로 음반을 아이돌 가수의 등장은 10대 청소년들을 가요의 주 소비층으로 만들었고, 한
구입하였는지 알 수 있다.
편에서는 기성 가수들이 설립한 대형 기획사들이 등장하였으며, 팬클럽 문화
팬클럽 문화 가 형성되었다.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노래의 주제는 관행적인 사랑 노래를 주제로 하는 곡이 대부분이거나 사랑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
들 또는 그러한 문화 현상’ 이외의 주제를 다룬 곡들이 속속 등장하였다. 인간 자아의 본질 찾기 또는 분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
며, 1990년대 후반부터 인
열되거나 뒤죽박죽이고 타락한 세상에 대한 경고, 절망과 냉소, 청소년들에
터넷이 보편화되면서 급속 게 고하는 메시지 등 기존의 가사들에 비해 상당히 진지하거나 무거운 주제
도로 확산되었다.
를 다룬 곡들이 많아졌다.

268 서양 음악사
한류 열풍
&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동향
한류(韓流)란 한국풍의 유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대중 가수들이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면서 중국, 타 행, 즉 중국에 부는 한국
이완, 동남아시아를 기점으로 한류 열풍이 시작되었다. 1990년부터 시작된 열풍을 뜻하는 중국의 신조
어이다. 중국에서 시작된
아이돌 가수들의 인기는 더욱 상승하였으며, 이들을 육성하는 대형 기획사들 한류는 타이완과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권에 퍼
은 한국의 대중음악, 즉 K-POP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켜 세계적인
져 한국의 탤런트와 가수들
문화로 형성해 나갔다. 이 인기를 끌고, 덩달아 한
국 관광과 상품 매출에까지
또한 발라드와 록, 힙합, 테크노, R&B, 재즈 등 다양한 장르가 지속적으로
그 영향이 미치고 있다. 중
인기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고, 트로트와 포크 음악이 다시 대 국에서 한류가 본격적으로
몰아친 것은 1998년경으
중들의 사랑을 받기도 하였으며, 홍대 클럽을 중심으로 한 인디밴드 문화가 로, 당시 중국 안방에 한국
발전하는 등 무수한 장르들이 공존하게 되었다. 드라마 붐이 일어난 뒤 한
국 노래가 가세하게 되면서
1990년대에 최고의 호황을 누렸던 음반 시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유행 부터였다. 클론과 안재욱,

하기 시작한 MP3의 보급과 인터넷 공유 사이트를 통한 비합법적인 음원 유 H.O.T, NRG 등이 중국에


서 한류 열풍을 일으켰던
통으로 급격한 침체기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음원 시장이 초기의 대표적 스타들이다.

크게 확대되었으며,‘슈퍼스타 K’
를 기점으로 한 여러 방송사들의 가요 오디
션 프로그램은 오디션 증후군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양상으로 대중음악 가
수를 배출하게 되었다.

보충 자료 음악 감상 매체의 변화

20세기 들어 라디오가 등장하자 전파를 통해 음악을 비롯한 미디어 상품이 팔리기 시작했으며, 이어
텔레비전이 등장하면서 음악의 소비 유형은‘듣는 음악’
으로부터‘보는 음악’
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
고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음악의 소비 방식을 종래 중앙에서 다수의 소비자를 향해 일방적으
로 전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음악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mp3 플레이
어나 휴대폰 등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감상 활동을 하는 것이 그 예이다.

(2) 서양의 대중음악

과거로부터 순수 예술과 대중 예술은 공존해 왔고, 때로는 경계를 허물고 미국의 대중음악
미국에서는 다양한 인종이
융합하면서 새로운 장르의 예술을 창조해 왔다. 대중음악이란 대중 매체를
다양한 대중음악을 발전시
통해 전파되는 음악 양식을 총칭하는 것인데, 이것은 예술 음악과 대비되는 켜왔다. 미국계 흑인들의
음악인 흑인 영가, 블루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 대중 속에서 발생하여 그 시대의 문화를 직접적 재즈 등과 백인들의 음악인
으로 반영하고 있다. 포크, 컨트리, 로큰롤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서는 전 세계의 대중음악 장르에 큰 영향을 끼친 미국의 대중음악을
통해서 대중음악이 변화하고 발전해 온 모습을 살펴보도록 한다.

Ⅶ. 근현대의 음악 269
! 1800년대 후반의 동향
1) 흑인 영가
아프리카로부터 미국에 노예로 끌려 온 흑인들이 불렀던 민요풍의 종교 가
요이다. 혹독한 노동에 시달리던 노예들이 유일하게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날
블루스의 음악적 형식
은 교회에 가는 일요일뿐이었다. 흑인 영가(negro spiritual)에는 가혹한 현
블루스는 4마디씩 프레이
즈를 이루는 12마디를 기본
실을 한탄하며 신에 대한 신앙과 내세에 대한 기대를 노래한 내용이 많다.
으로 하며, 이것이 반복되
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
다. 서양의 장조와 비교해 2) 블루스
보았을 때, 3음과 7음 그리
흑인 영가가 합창으로 부르는 종교적인 노래라고 한다면 블루스(blues)는
고 간혹 5음이 반음 정도
낮은 음계적인 특징을 가지 개인의 노래이며, 유린당한 인권에 대한 비통한 감정을 다스리고 위로하는
고 있다. 이처럼 반음 내려
미국 흑인들의 노래이다. 초기의 블루스는 지극히 단순한 화음과 선율로 이
간 음을 ‘블루 노트(Blue
Note)’
라고 한다. 루어졌는데, 이는 서양 음악을 처음 접한 흑인들이 노래를 그들만의 독특하
고 쉬운 표현법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블루스는 쉽고 친근한 특성 때문에 악보를 읽지 못하거나 음악을 접해 보
지 못한 일반 대중에게 친숙하고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음악은 1800년대 후
반부터 각 지역에서 조금씩 블루스의 음악적 형식을 갖추기 시작했고, 1920
년대를 전후하여 라디오 방송과 레코드 산업이 발달하면서 전국에 걸쳐 공식
▲ W. C. 핸디 적으로‘블루스’
라는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블루스는 현대 대중음악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리듬 앤드 블루스(R&B), 소울(soul), 로큰롤(rock’
n roll) 등 많은 장
르를 파생시켰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W.`C. 핸디(William
C.`Handy), 메이미 스미스(Mamie Smith), 베시 스미스(Bessie Smith), 비
비킹(B. B. King),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 등이 있다.

▲ 베시 스미스
@ 1900년대 초반의 동향: 제1차 세계 대전
20세기 초부터 미국과 영국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팝(pop)의 시초가 되는

20세기 초 미국은 제1차 음악들이 탄생하였다. 백인들의 도시적 성격의 스탠더드 팝(standard pop)과
세계 대전으로 인한 전쟁
컨트리(country), 흑인들의 리듬 앤드 블루스(rhythm and blues)와 재즈
물자 수출과 자동차 산업의
발전으로 신흥 경제 강국이 (jazz), 그리고 백인과 흑인 음악의 융합이라 할 수 있는 로큰롤(rock and
되었다. 문화적인 면에서도
roll) 등으로 발전되고 분화되면서 본격적인 대중음악 시대가 열린 것이다.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한 영
화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
으며, 대중적인 쇼와 춤을
1) 스탠더드 팝
즐길 수 있는 홀(hall)이 많
이 생긴 것도 이 시기이다. 전통 팝(traditional pop)이라고도 불리는 스탠더드 팝(standard pop)은

270 서양 음악사
로큰롤이 생성되기 이전에 대중들에게 많이 불린 미국의 고전적인 대중음악
을 말하며 이해하기 쉽고 평이한 노래들이다. 대표적인 곡으로는‘Whtie 1950년대 미국의 대중음악
은 빅 밴드와 스탠더드 팝
Christmas’
,‘Summer Time’등이 있다. 스탠더드 팝은 1950년대 이전까 의 시대였다.
지 대중음악계를 이끌어간 프랭크 시나트라(Frank Sinatra), 앤디 윌리엄스
(Andy Williams) 등에 의해 정착되었다. 1960년대 이후‘이지 리스닝 뮤직
(easy listening music)’
이라는 말로 불리기도 했으며, 1970년대 중반까지
폭넓게 사랑받았다. 대표적인 음악인으로는 빌리 조엘(Billy Joel), 앤 머레이
(Anne Murray), 케니 로저스(Kenny Rogers) 등이 있다.
▲ 케니 로저스

2) 컨트리 뮤직
컨트리 뮤직(country music)은 백인들의 음악으로서 미국 개척 시대의 정
신적인 유산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주로 목장주, 카우보이, 가난한 농부와 광
부들에 의해 생성되었다. 컨트리 뮤직의 가사에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내용과
노동 계층의 삶의 애환이 반영되어 있다. 지미 로저스(Jimmy Rogers), 행크
윌리엄스(Hank Williams) 등이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3) 리듬 앤드 블루스
1940년대 말부터 1950년대 초에 이르러 블루스로부터 리듬 앤드 블루스 부기우기
리듬감 있는 저음부가 반복
(rhythm and blues: R&B)라는 새로운 장르가 독립되었다. 즉, 기존의 느린 되며 상성부에 간단한 멜로
블루스에 부기우기(boogie woogie), 셔플 리듬(shuffle rhythm)이 가미되 디가 지속적으로 변주되는
재즈 음악의 한 형식이다.
면서 리듬감 있는 새로운 음악이 태어난 것이다.
셔플 리듬
리듬 앤드 블루스는 1950년대 중반 티나 터너(Tina Turner)에 의해 미국
연속되는 셋잇단음 사이의
대중음악의 주류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1990년대에 등장한 랩이나 힙합 등 한 음을 쉬어 가면서 전체
적으로 흥겨운 리듬을 만들
흑인 음악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루이스 조던(Louis Jordan), 보이즈 투 맨
어 내는 리듬이다.
(Boyz II Men),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등이 대표적인 음악인이다.

4) 재즈
재즈(jazz)는 1900년경 미국 남부에서 흑인의 민속 음악과 백인의 유럽 음
악이 결합되어 생겨난 음악이다. 미국 남부 뉴올리언스 지역의 흑인 노예들
▲ 보이즈 투 맨
은 아프리카 리듬과 블루스, 백인 민요와 클래식 등이 뒤섞인 음악을 클럽에
서 자유롭게 연주하였는데, 이것이 재즈의 출발점이 되었다. 재즈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특유의 스윙 리듬과 연주자의 개성을 충분히 살린 편곡, 즉흥 연
주 등을 꼽을 수 있다.

Ⅶ. 근현대의 음악 271
초기에는‘스윙 재즈(swing jazz)’
에서 출발하여 1940년대에는 빠르고 복잡
한 멜로디와 코드 진행에 기초를 둔‘비밥 재즈(bebop jazz)’
로 이어졌다.
1940년대 이후에는‘모던 재즈(modern jazz)’
로 발전하였으며, 이후‘하드 밥
(hard bop)’
,‘프리 재즈(free jazz)’등으로 세분화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록 비트와 전자음을 가미한‘퓨전 재즈(fusion jazz)’
가 계보를 잇고 있다.

5) 로큰롤
로큰롤 로큰롤(rock and roll)은 흑인의 음악과 백인의 음악이 융합된 음악이라
로큰롤은 흑인들의 리듬 앤 할 수 있다. 특히,‘흑인의 목소리로 노래 부르는 백인’
이라 불리던‘엘비스
드 블루스와 백인들의 컨트
리 음악이 융합되어 새롭게 프레슬리(Elvis Presley)’
에 의해서 백인들은 흑인들의 음악을 거부감 없이
창조된 것으로 본다.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1950년대에 등장한 전자 기타(electric guitar)
의 강렬한 음향과 리듬으로 인해 젊은이들은 더욱 로큰롤에 열광하였다.

6) 소울
소울(soul)이란 넓은 의미에서 흑인의 교회 음악이나 블루스의 바탕이 되
는 정신을 의미하며, 음악 장르로 사용된 것은 1950년 무렵부터이다. 리듬 앤
▲ 엘비스 프레슬리 드 블루스의 낭만적이고 쾌락적인 흐름과 재즈의 연주 기법에 편중된 음악
경향에 반성하는 의미로 나타났으며, 가사의 내용은 주로 사회의 비리 지적,
흑인의 투쟁 정신, 자긍심 등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폭발적이며 흐느끼는 듯
한 음색의 보컬과 연주가 특징이다.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제임스 브라운
(James Brown), 아레사 프랭클린(Aretha Franklin) 등이 있다.

쿨(cool)
7) 쿨 재즈
쿨(cool)이란 단어는 1950
년대 말의 문화의 한 경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사람들은 불필요한 것을 멀리하고 실용성을 추
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
다. 복잡하고 강렬한 느낌
구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생활 감각이 1950년대 말에 쿨 재즈(cool jazz)를
에 반대되는, 감성적이고 만들어 냈으며, 백인들이 재즈에 참여하기 시작한 시기도 이때부터이다. 레
가볍고, 한편으로 냉정하며
여유로운 느낌을 지칭한다. 스터 영(Lester Young)과 스탄 게츠(Stan Getz)가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8) 모던 재즈
195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재즈 연주를 통칭하는 말이다. 모던 재즈
(modern jazz) 또한 즉흥 연주가 가장 큰 매력이며, 훌륭한 재즈 연주자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음악가로는 빌리 엑스타인(Billy Eckstine), 마일스 데
▲ 스탄 게츠 이비스(Miles Davis) 등이 잘 알려져 있다.

272 서양 음악사
#1960년대의 동향
1960년대는 사회·문화적으로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충돌이 많았던 시 히피 문화
도덕적 관습에서 벗어나려
기였다. 시대적 상황을 부정하면서 기성세대에 저항하고 반발하던 젊은이들
고 하던 히피들은 전쟁을
은 히피 문화를 만들어 냈으며, 한편에서는 비틀스(Beatles)가 등장하여 본격 반대하고 평화를 외치는 반
전 운동을 펼치기도 했으나,
적인 팝 음악의 시대를 열었다. 미국에서 건너온 블루스와 재즈를 듣고 자란 생활이 문란하고 마약에 의
영국 젊은이들의 음악은 미국 땅에서 큰 인기를 누리게 되었으며, 전 세계적 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으로도 팝 음악을 확산시키게 되었다.


록(rock): 록은 전기 음과 강한 리듬으로 1960~1970년대에 젊은이들을 사 비틀스
비틀스는 활동의 전반부였
로잡은 음악이며, 1950년대에 등장한 로큰롤(rock and roll)을 축소한 명 던 1960년대 초반에는 팝
칭이다. 처음에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보컬 스타일을 가리켰지만, 1962년 송, 발라드, 리듬 앤 블루
스, 컨트리 등 다양한 음악
영국에서‘비틀스’
가 나타난 이래 비틀스의 음악이 록 음악의 전형이 되었 을 융합시켰으며, 1960년
다. 록은 전자 기타, 키보드, 전자 베이스, 드럼 등으로 이루어진 소편성 음 대 말의 활동 후기에는 오
케스트라, 인도 음악, 전자
악이면서도 때로는 수만 명의 청중을 압도하는 사운드와 사회성을 지닌 내 음향 효과 등을 이용한 다
양한 음악적 실험을 보여
용의 보컬로 인해 전 세계의 젊은 세대로부터 큰 공감을 얻었다. 록은 이후
주었다.
에 음악적 영역을 확대하여 프로그레시브 록(progressive rock), 재즈 록
(jazz rock), 펑크 록(punk rock) 등의 장르로 발전하였다.

$ 1970년대의 동향
1970년대는 하드 록과 댄스 음악, 그리고 팝 발라드가 음반 시장에서 강세
를 보인 시기이다.

1) 하드 록
하드 록(hard rock)은 기존의 록에 비해 더 강하고 증폭된 소리와 강한 표
현으로 이루어진 음악이다. 하드 록은 1980년대에 등장한 헤비메탈(heavy
metal)의 전신이며, 1980년대 이후의 그룹들은 헤비메탈 그룹으로, 그 이전
은 하드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레드 제플린(Led Zepplin), 딥 퍼플(Deep
Purple) 등이 대표적이다.
▲ 레드 제플린의 음반

2) 디스코
디스코(disco)는 1970년대 중반을 강타한 댄스 음악이다. 디스코의 기본
원형은 리듬 앤드 블루스이지만, 드럼과 베이스에 의한 규칙적인 2박의 단순
리듬형이 반복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밴 맥코이(Van
McCoy), 비지스(Bee Gees) 등이 있다.

Ⅶ. 근현대의 음악 273
3) 퓨전 재즈
퓨전 재즈(fusion jazz)는 1960년대 말에 록 음악과 접목된 새로운 스타일
의 재즈이다. 퓨전 재즈는 기존 재즈에서 사용하던 어쿠스틱 피아노 대신에
전자 피아노와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였고, 콘트라베이스 대신에 베이스 기타
를 사용하였다. 재즈 밴드에서 사용하지 않던 각종 민속 악기를 도입한 것도
특징이다.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팻 매스니(Pat Metheny) 등이 대
표적인 음악가이다.

4) 뉴에이지 음악
크로스오버 1960년대에서 1970년대를 거치면서 미국에서는 뉴에이지(new age)에 대
클래식과 재즈 및 기타 다
한 관심이 생겨났다. 뉴에이지는 서양의 기계론적이고 과학 추구적인 문화에
양한 장르의 음악이 융합된
것이다. 서 더 이상의 가치를 발견하지 못한 이들이 추구한 문화 운동이다. 뉴에이지
음악은 동양 철학과 종교 사상 등을 음악에 담아 정서 치유를 시도한 데에서
시작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반기독교적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뉴에이지 음악은 본질적인 의미보다는 크로스오버 성격
이 더 강해져서 음악적인 요소만을 빌려오는 경우가 많아졌으며,‘뉴에이지’
라는 말을 일부러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조지 윈스턴(George Winston), 케
▲ 조지 윈스턴 니 지(Kenny G), 야니(Yanni) 등이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 1980~1990년대의 동향
뮤직비디오 1980년대에는 컬러텔레비전이 보급되고 뮤직비디오가 등장하면서 더 이상
1982년 미국의 음악 전문
듣는 음악에만 그치지 않고 보여 주는 음악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었다.
방송인‘MTV’
가 만들어지
면서 뮤직비디오가 하루 종 1980년대 전반에 록 음악은 더욱 증폭된 디스토션 기타(distortion guitar)
일 방송되기 시작하였다.
와 강한 비트의 드럼이 주도하는 헤비메탈(heavy metal)로 발전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점차 댄스 음악이 대세를 이루게 되었고, 마이클 잭슨
(Michael Jackson), 마돈나(Madonna), 듀란 듀란(Duran Duran)과 같이
멋진 외모와 화려한 춤을 추는 가수들이 등장하면서 큰 인기를 누렸다.
1990년대에는 특히 리듬 앤드 블루스, 힙합(hiphop) 등의 흑인 음악의 인
기가 높아졌다. 또한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 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셀린 디온(Celine Dion), 그리고 마돈나와 같은 여성 가수
들이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록 음악의 상업성에 반대하며‘대안’
이라
는 뜻을 가진‘얼터네이티브 록(alternative rock)’
도 생겨났는데 그 중심에
는 그룹 너바나(Nirvana)가 있었다. 제3세계 음악(world music)들도 점차

274 서양 음악사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1) 크로스오버 음악
크로스오버라는 말은 여러 장르가 교차한다는 의미로, 크로스오버 음악
(crossover music)은 재즈와 록, 팝 등 여러 가지 스타일의 음악이 혼합된 국내의 경우 1990년대에
국악을 이용한 크로스오버
음악 형식을 일컫는다. 조지 윈스턴, 바비 맥페린(Bobby McFerrin), 안드레
음악이 시도되었다.
아 보첼리(Andrea Bocelli), 바이올리니스트 유진 박, 전자 음악에 민속 음
악과 오페라를 혼합시킨‘이니그마(Enigma)’등의 작품이 여기에 해당된다.

2) 힙합
‘엉덩이(hip)를 흔든다(hop)’
는 말에서 유래된 힙합(hiphop)은 1970년대
미국 뉴욕 빈민가의 흑인이나 에스파냐계 청소년들에 의해 시작된 즉흥성이 브레이크 댄스
브레이크 댄스를 비보잉
강조된 음악 문화이다. 힙합 음악은 빠르고 반복적인 리듬에 운을 맞추어 읊
(B-boying)이라고도 한다.
조리듯 노래하는 랩이 주요소를 이룬다. 강렬하면서도 곡예 같은 춤으로 이
디제잉
루어진 브레이크 댄스(break dance)와 디제잉(DJing), 그래피티(graffiti)
LP 레코드판을 움직여 나
또한 주요한 힙합 문화의 일종이다. 에미넴(Eminem)과 MC 해머(MC 오는 잡음을 사용하는 스크

Hammer) 등이 유명하다. 래치, 믹서 조작으로 재구


성하는 독특한 음향 효과

그래피티
^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동향
지하철이나 건축물의 벽면,
2000년대에는 40년이 넘도록 음악, 춤, 패션을 포괄하는 미국 대중음악의 교각 등에 낙서처럼 그리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
대표적 인물로 꼽혔던 마이클 잭슨이 2009년에 사망하였으나, 그 후에도 백
인 힙합 래퍼 에미넴이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면서 지속적인 인기를 얻었고,
리한나, 비욘세 등의 여성 가수들이 음악성과 대중성 면에서 인정을 받는 등
많은 가수들이 등장하여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월드뮤직의 하나가 아니라 K-Pop이라는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 잡으면서 아
시아를 넘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으며, 가수 싸이의‘강남 스타일’
은 해외
30개국 이상의 공식 차트에서 1위, 미국 빌보드에는 2위까지 오르며 아시아
인으로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학습 정리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1 .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역사에 대해 시대별로 그 특징을 이야기해 보자.
2 . 서양 대중음악의 역사를 시대에 따라 대표적인 장르별로 구분해 보자.

Ⅶ. 근현대의 음악 27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