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II.

고전시대
고전시대의 개관
고전시대의 시대구분!
• 시기(1720 ?-1820)
– 전고전시대+전성기고전

• 시기(1750?-1827)

- 바흐의 사망부터 베토벤 사망까지를 시간적 한계

-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활동시기를 진정한 고전주의로


보기도 함(비엔나 고전주의, 전성기고전)
“고전(Classic, Klassik)”의 개념적 이해
(1) 고전의 규범적 개념
- 탁월함, 최상급, 다른 작곡가들에게 모범적 기준을 제시한다는
질적 의미
(2) 역사적 개념
- 음악에서 고전주의 시기 (18세기)를 명명하는 단어
- 미학적, 작곡 기법적 전제 포함
- 형식, 재료의 완전한 상호 투영, 형상과 표현의 통일, 정교하
고 빼어난 예술에 대한 이해, 주제적 소재의 발전을 위한 능력,
논리적인 음 언어 등이 담겨 있는 음악을 지칭
(3) 미학적 개념
- 단순함, 조화로움, 보편 타당함, 균형의 미 (이성과 감정의 균
형, 내용과 형식의 균형), 합리적, 자연스러움, 시대초월적, 인
류애
(4) 대중음악의 반대개념
(5) 고대 그리스, 로마의 문화
시대환경(사상적, 정치적 배경)

• 인본주의와 계몽주의 운동
• 18세기 후반의 산업혁명  시민사회 대두

• 바로크의 절대왕정의 붕괴 시작

• 인권옹호의 대명사인 미국 독립선언서 발표(1776)

• 프랑스대혁명(1789)  인권선언(1789)
시대환경(과학, 문학, 예술)
• 과학의 발달: 산업혁명(1770-1830년 경까지)
– 인쇄술, 악기제작 기술의 발달은 음악의 발전과 직접적 관련
성을 가짐

• 문학:
– 1774년 감성과 개성을 독창적으로 주장하는 질풍노도를 대표
하는 작품인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출판
– 1775년 독일문학 고전주의적 시대 시작(~1805년 경)

• 미술:
바로크 스타일 거부고대 그리스와 로마 예술양식을
추구하는고전적인 단순성을 선호하는 경향 나타남
(미술자료참조)
계몽주의, 인본주의
(1) 주요 사상
• 18세기 유럽사회의 전 분야는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 받음
• 인간의 이성 믿음, 이성에 대한 인류의 진보 확신
• 이성에 의해 사회적 부자유, 불평등을 제거하며, 무지와 미신
타파, 정치와 사회의 합리적 개혁으로 인간 사회는 계속 진보
한다고 주장
• 절재왕정, 구제도 비난, 자연권 사상, 사회계약설에 의거하여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건설 부르짖음
• 프랑스대혁명(1789)으로 새로운 시민사회로의 출발
계몽주의, 인본주의
(2) 주요활동

• 교회를 공격의 대상으로 삼음


• 종교의 합리화 도모 → 이신론 퍼짐, 결국엔 무신론에 이르게 됨
• 인간이 이성에 의해 자연법칙 발견하고 사회법칙 발견하여 합리적 조
정이 가능하다고 생각
• 개인의 자유와 평등한 권리 지지
• 합리적인 교육이 인간 개조 가능하게 한다고 함: 백과사전파(음악연구)
• 교육의 대상이 서민층까지 확대됨 (보편적 교육의 시대의 시작)
• 질풍노도라 일컫는 독일 문학운동에 영향
계몽주의, 인본주의
(3) 음악분야에서의 계몽주의
• 음악수요층 확대: 아마추어 음악가 증가 (렛슨, 상업용 악보, 연
습용 교본 발행, 악기 보급)
•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단계 요구: 음악회장, 가극장의 진흥 촉
발시킴
• 공공연주회의 활성화 : 신분 제약 없이 입장권 구입 통해 출입가

• 새로운 음악의 가치 : ‘자연스러움’, ‘인공적인 것으로부터의 탈
피’ 추구 (바로크로 부터의 탈피)
• 단순성의 추구
자연주의
• 쟝 자크 루소(Rousseau, 1712-1778)

- “자연으로 돌아가자”
- 바로크 시대의 인공미와는 반대
- 주관적 자연주의
- 음악에서도 자연스러움이 중요한 가치로 대두됨
고전주의 란?
• 고전주의 란? • ‘고전’이라는 표현
– 모범적, 균형적, 보편적 의 등장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음,
혼합취향) - 1755년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 예술을 평가하
– 빼어남, 탁월함을 의미 면서
– 단순성, 자연스러움
-음악사에서는1834
년 키제베터가 처음 사
– 고대 균형과 명료성을 용
따르려는 경향 -하이든, 모차르트, 베
토벤을 묶어서
전고전주의 양식: 비엔나 고전주의 근원
• 갈랑양식(Style Galant) , 로코코양식 (예: Alberti Bass)
• Mozart Piano Konzert 21번 http://www.youtube.com/watch?v=HezRbC-IYFw

– 프랑스 클라브생 음악 양식에서 18세기 중엽 독일로 넘어 옴


– 보편성을 추구하는 음악(로코코)
– 느슨하고 자유스러운 작곡기법
– 악상의 대조 1720년경부터 바로크 음악에 반발
– 쉽고,우아하고, 즐거운 음악

• 감정과다양식(Empfindsamer Stil)
– 18세기 중반, 북독일을 중심으로
– 바흐의 세 아들이 중심
– 인간의 개별적 감정을 분출하듯이 드러냄
– http://www.youtube.com/watch?v=pqnlFvFhNFE
– (6분 20초 부터 2악장)
전고전주의 양식: 비엔나 고전주의 근원
• 질풍노도(Strum und Drang)
– 1770년대의 표현력이 증대된 음악양식
– 감정의 자연스러운 표현=인간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
– 감정과다양식의 뒤를 잇는 것으로 독일문학의 경향
– “음악표현의 대립성을 통해 격동적 감정을 드러냄”
– 오케스트라의 연주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크레센도/데
크레센도, 포르테/피아노의 잦은 사용

– 요한 슈타미츠, 교향곡 Eb장조, op.11, No.3, 1악장


– http://www.youtube.com/watch?v=vGu_ClfNVRU
18세기 독일 궁중오케스트라 자리배치
18세기 음악의 양식적 특징
• 보편성, 구조적 단아함
– 박절: 반복성, 주기성 (8마디 주기성)
– 리듬: 상당히 세분화된 리듬의 사용
– 빠르기: 속도표시가 일상화됨. 초기는 Andante-Allegro
범위에서 많이사렬됐다면 전성기 고전으로 가면서
Largo, Adagio,Presto 등이 서용됨-곡의 성격을 나타내는
도구가 됨
– 조성: 24개의 조 중에서 #3개, b 3개정도를 많이 사용함,
장조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단조는 특별한 경우 사용 (질
풍노도…), 초기고전은 한 악장에서는 전조를 하지 않다
가 뒤로 가면서 전조의 확대
18세기 음악의 양식적 특징
– 화성: 바로크 후기에 비해서 초기고전은 3화음 중심의
소극적 사용, 전성기 고전에 이르러 화성의 대담한 사용
– 선율 (주제):
• 민요적 선율 (단순성)
• 균형 잡힌 아름다움
• 독창적 선율
• 동기-주제-주제 발전 기법
– 작은 요소의 유기적 연결체로 구조적 선명함과 단아함을
이룸
– 8마디 주기성
18세기 음악의 양식적 특징

• 보편성 추구 •구조적 단아함


하이든단
순한 선율+ 민요적 선율 노래할 수 있는 선율
가공,발전 기악음악이 감정을 드러냄 
작업=쉬운 음악적 주기 8마디 주기성
기악음악 주제동기 가공작업
보 가사 모차르트 주제로부터 음악적 동기 추출
편 없는 즐거운 음  음악적 구조의 통일성을 이룸
적 기악 악 추구 완결체로서의 작품
음 음악
 반주음형:
악 으로
선율을 돋보이게 하기위한/화음의
베토벤합 구성음으로서 (화음 반주 또는
목적적 보
알베르티 베이스)
편적 세계
음악
18세기 음악의 양식적 특징
• 장르와 형식
– 대표적 장르로서의 소나타(기악음악은 보편적 음악을 대변)
• 소나타: 여러 악장들로 이루어진 기악곡 (모든 기악음악
은 ‘소나타’라는 총칭이 가능)
• 협주곡독주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
• 교향곡관현악을 위한 소나타
• 18세기 기악음악에서의 소나타는 형식으로
• ‘쟝르’로서의 소나타 ≠ ‘형식’으로서의 소나타

– 악장구조로서의 소나타형식
• 다악장 소나타 가운데 빠른 첫번째 악장의 형식(소나타악
장형식 또는 소나타알레그로형식)
• 소나타형식은 1800년경 하이든의 후기 작품을 지칭하는
코흐(H. C. Koch)의 용어
(형식으로서의)소나타1
• 3 또는 4악장으로 구성

악장 형식 빠르기 조성
제1악장 소나타알레그로형식 알레그로 으뜸조
제2악장 가요세도막형식/변주곡형식 느린 악장 관계조

제3악장 미뉴엣-트리오-미뉴엣 or 빠른악장 으뜸조


스케르초-트-스 (보통빠르
기 악장)
제4악장 론도형식/소나타론도형식 빠른악장 으뜸조
(악장구조로서의 )소나타형식 2
-소나타알레그로형식-
제시부 제1주제 으뜸조
(Exposition) 경과구 으뜸조→딸림조
제2주제 딸림조

발전부 주제의 발전 ---자유로운 조성 진행 속에서 제


(Development) 시부 주제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전개
재경과구 ---으뜸조로 가기 위한 준비

재현부 제1주제 으뜸조


(Recapitulation) 순환경과구 조바꿈 없음
제2주제 으뜸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