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Italian Art Song

Baroque Period: Caccini, Monteverdi

성악문헌 1
엄 은실
Contents
◦ Introduction to the Italian Art Song
◦ Italian Art Song in the 17th~18th Century
◦ Italian Art Song in the 19th Century
◦ Italian Art Song in the 20th Century
◦ Florentine camerata
◦ Caccini
◦ Monteverdi
Introduction to Italian Art Song
• 예술가곡 : 예술성 있는 시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성악장르

- 독창부 + 반주부
• 바로크 작곡가들 : 오페라에 집중
• 19 세기 중반

- 민족주의 (Nationalism) 의 유행으로 folk melody 로 된 노래들이 대두

- 오페라의 영향 Bellini, Donizetti, Rossini, Verdi 가사보다는 음악을 중요시


• 20 세기 : 다양한 스타일

- 초반 , 프랑스의 인상주의 (Impressionism), 이태리의 사실주의 (verismo), 독일


의 반음계주의 (chromaticism) 의 영향

- 후반 , 이태리 고유의 스타일 창출 ( 이태리 고유의 문학을 중심으로 )

♪ Impressionism: 19 세기 말 , 프랑스에서 일어난 회화운동으로 후에 문학과 음악에도 영향을 미침 ;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 탈피단순한 음악구조 , 섬세하고 절제된 표현 , 모호한 분위기 , 전통적 기능화성 탈피 , 음색의
중요성
Italian Art Song in 17~18thC

 1600 년 대 초반 , 오페라의 출현과 발달 : 이후 , 소리의 울림과 기술적 능력

중시시와 음악적 요소가 융합되기 힘듦


 Arias from early operas: Da capo form(A-B-A’)

 Basso continuo style: 독창자 ( 또는 독주악기 )+ 반주악기 ( 주로 건반 )+ 낮은 음의


현악기 또는 목관악기 (bass line 연주 )

 aria: 15 세기 후반부터 16 세기까지 독창곡 (solo song) 의 의미로 쓰임

 A. Parisotti (1835-1913): 17-18 세기 독창곡들을 “ Arie antiche” ( 총 3 권 ) 로

출판 19 세기 이전의 독창곡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 성악을 시작하는 학생들의 레퍼토리로 많이 쓰임

- “ 근사”하게 편곡된 멜로디와 반주부 : 변형된 화성 , 꾸밈음들 , 템포바

로크 시대의 연주 관습과는 동떨어진 편집


Italian Art Song in 19thC
 초중기 : Rossini, Donizetti, Bellini, Verdi

 오페라적 요소들 : 서정적인 멜로디 라인 , cadenza, 빠른 ornamentation

 romanze da camera 작곡가 : 아마추어 가수들을 위한 노래들 at musicales in pri-

vate homes vs. 초기 French mélodies in Parisian salons


 별로 긴밀하지 않은 가사와 음악
 후기 : Denza, Tosti, Arditi, Alfano, Donaudy 오페라 스타일의 가곡들 (

성악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 sung by Melba, Muzio, Caruso


 20 세기 초 : 음악적 영감과 고전적인 형식을 위해 과거로 회귀하려는 경향 + 독창곡에

대한 현대적 접근  Respighi, Casella, Pizzetti, Malipiero, Dallapiccola


 그럼에도 불구하고 , 17-8 세기 바로크 시대의 획기적인 이탈리안 오페라의 발전만큼

이탈리아 가곡은 발전하지 못함


Italian Art Song in Modern Period
 19 세기 말 이후 ,

- 가사의 중요성 강조 : 악곡의 형식 , 선율선 , 화성 구조 결정에 영향 17 세기 Florentine

monody

- 말하는 듯한 syllabic vocal line

- 가사의 액센트나 극적 표현들 : 특이한 화성 , 선율의 급작스러운 도약

- 반주의 중요성 강조 : 가끔 반주의 선율에 대한 대선율로 vocal line 사용


 독일 Lied 보다는 French mélodies 와 Russian 관현악법의 영향을 받음 : Impressionism 의

음색의 대조기법
 바로크의 모방 대위법 , 선율적 멜로디 , 초기 성악곡의 형식 (monody) 등의 영향 받음

* Pizzetti’s “Levommi il mio pensier” from Tre Sonnetti del Petrarca

 이탈리아 전통의 민속 음악 , 각 지역의 지방 음악의 영향 : 자장가 단순하지만 본능적 감성이

충만한 음악
Italian Art Song in Modern Period
 이탈리아 서정적 언어의 억양우아한 곡선의 멜로디 ( 움직임이 없는 프랑스 인상주의의

레치타티보 스타일이나 딱딱한 독일의 Sprechstimme 와는 반대 )

 가사 from 고대 그리스 문학 , 성경 , 역사적인 작품들 , 동양의 자료집 , 동시대의

시인들의 작품

 다양한 주제 : 단순한 상상의 창조물 ~ 철학적인 내용

 음악 < 가사 : 자유로운 산문체의 가사 선호

 오케스트라의 사용 : 피아노와 함께 , 또는 피아노 대신

 “Generazione ottanta”: 1880 년대를 전후에 태어난 작곡가들

Alfano, Respighi, Pizzetti, Malipiero, Casella, Davico, Guerini, Ghedini, Pe-

trassi, Dallapiccola
Florentine camerata in late 16th C
 16 세기말 ★Italian Madrigal ( 다성 세속 성악곡 )

- 복잡한 성부 ; 다양한 리듬과 음형 ; 불협화음 ; 반음계주의

- 음악이 가사를 지배 , 가사가 가지는 진정한 의미들이 변색

- 다수의 지식인들의 비판을 받음절제된 표현방식 추구

 Florentine camerata: 1570 년대 초 이탈리아 * Florence 에서 시작된 다수의 음악가 , 시인 , 학자

등으로 구성된 비공식적 예술문화 조직

- 문학 , 과학 , 예술 등이 토론되고 새로운 형태의 음악들이 연주됨

- Girolamo Mei( 철학가 , 인문학자 , 그리스 예술 / 문화의 일인자 ), Giovanni Bardi( 귀족 , 리

더 ), Vincenzo Galilei( 성악가 , 작곡가 , 이론가 “ Dialogue about Ancient and Modern Music”),

Guilio Caccini( 성악가 , 작곡가 ), Emillio de’ Cavallieri( 작곡가 ), Ottavio Rinuccini( 극작가 ),

Alessandro Striggio( 극작가 )

- 고대 그리스 음악 동경 : 인간의 감정표현에 적합한 새로운 성악형태는 무엇 ?

MONODY: 단선율의 모든 가창 양식 (recitatives, arias, madrigals) 으로 된 독창 성악곡 w/

basso continuo 정확한 가사전달

- stile rappresenstativo : 묘사적인 스타일 , 표현적인 스타일 ; 느린 화성진행을 동반하고 , 구어체


Giulio Caccini (1551?-1618)
 성악가(tenor), 작곡가, 성악교사, 기악 연주자 (lute)
 Florence의 Medici 가문의 궁정음악가
 soprano, mezzo, tenor 목소리 선호: 자신이 테너, 부인은 소프라노
 멜로디의 흐름은 구어체의 프레이즈 길이, pitch level, 억양 등과 일치
 Le nuove musiche (1602): 1600년 전후로 생긴 새로운 성악양식인 monody로 구성된
최초의 독창곡집

- 10 arias: 유절 변주; 각 절마다 간주; 같은 수의 행, 음절, 운율; 빠른 bass line

*“Nel pur ardor” by Tirsi from Peri’s L’Euridice

- 12 madrigals: 통절; 아리오조 스타일 w/ 느린 bass line

- 서론: 꾸밈음의 “제한적” 사용 제안가사의 중요한 음절이나 적절한 감정표현을 위해

제한적으로 사용할 것을 주장: “sospir”, “il mio bel foco”, “morir”, “amor”…
 Le nuove musiche e nuova maniera di scriverle (1614): 29 arias and madrigals
Caccini’s accenti Examples
passaggi: 두 음 사이에 다양한 패턴의 스케일 첨가

trillo

gruppo: 현대의 trill 과 유사

intonazione della voce: 첫 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 악보집의 Amarilli mia bella


원음보다 3 도 낮게 시작하여 원음까지 도달 참고
esclamazione: “ 절규 , 외침”긴 음가의 음

cascata: “ 낙하 , 추락 , 폭포”다양한 리듬의 하강


스케일
Caccini
 현존하는 최초의 오페라 Euridice (premiered in 1600, pub. 1604) by Peri & Caccini:
prologue & 2 acts+ 단순한 현악기 반주

cf> 최초의 오페라 : Dafne (1597, Corsi & Peri); lost


cf> Caccini’s own opera Euridice (pub. 1600, premiered in 1602):
prologue+1 act

 ♫ “Amarilli, mia bella (1601)”

- from Le nuove musiche :

- madrigal: 통절다양한 프레이즈 길이

- 감정표현과 중요한 단어를 강조하기 위해 적절한 꾸밈음 사용

- ABCBC+codetta

 ♬ “Perfidissimo volto” : madrigal

 ♬ “Sfogava con le stelle” : madrigal


Claudio Monteverdi (1567-1643)
 Mantua(1591-1613, Gonzaga 가문 ) 와 Venice(1613-1643) 에서 활동
 Venice 의 San Marco 성당의 음악 책임자다수의 종교곡과 세속곡 작곡
 오페라 작곡가
 다성 마드리갈 모음집 : The 1st Book of Madrigal for 5 voices, SV 23~39 (1587)
필두로 2 권 (1590), 3 권 (1592) 출판이후 , Venice 에서 8 권까지 출판
 새로운 성악양식인 모노디 스타일에 자신만의 독특하고 정교한 선율 스타일 가미극적인
감정선 강화
 가사의 억양과 액센트를 음악과 일치
 L’Orfeo (1607, Mantua)

- prologue+5 acts

- 풍부한 극적 , 음악적 표현 ; 가사와 음악의 조화로운 결합

- stile rappresenstativo

- 확대된 규모의 오케스트라 (lute, violin, bass viol… 관악기 )


Monteverdi
 ♬ “Dal mio permesso amato” from L’Orfeo(1607)

- Prologue 중 , La musica 의 노래

- stile rappresentativo 스타일의 변형 유절선율 ( 같은 bass 에 변형된 선율 ) 사이 기

악적 ritornello

 ♬ “Lasciatemi morire” from L’Arianna (1608, tragedia in musica in 1 act)

- 현존하는 유일한 아리아 from L’Arianna

- 작곡가에 의해 독창곡 , 5 성부 마드리갈 , 종교적 모노디인 “ Pianto della Madonna” 로

편곡 , 출판

- 이 후 , 다른 작곡가들의 오페라에 나오는 Lament 에 영향 : Handel

- 자연스러운 낭송조 ; 극적 긴장감을 위한 불협화음


 그 외 Ahi, troppo è duro; Interrotte speranze; Quel sguardo sdegnosetta; Tempro la

Cetra; Partenza amorosa; Sento un certo non so ch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