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음악 이론

음악의 3 대 요소

리듬
멜로디
화음
오페라 vs 오라토리오

오페라 ; 세속 음악
오라토리오 ; 교회 음악
오페라 ; 세속음악

베르디 - 아이다 , 라 트라비아타


모차르트 - 마술피리
로시니 - 세비야의 이발사
비제 - 카르멘
푸치니 - 투란도트
3 대 오라토리오

헨델 - 메시야
하이든 - 천지창조
멘델스존 - 엘리야
중세 시대 작곡가
노트르담악파의 “레오닌”

2 성부 오르가눔 작곡
훈련받은 전문 가수를 염두에 둔 것
독창자에 의해 불리는 다성 부분과 합창에 의한 단성 부분 사이의 대비가 특징
오르가눔 스타일과 디스칸투스 스타일의 클라우술라를 조화롭게 사용
중세 시대 작곡가
노트르담악파의 “페로틴”

레오닌의 후계자로 알려져 있음


효율적인 음악의 효과를 위해 디스칸투스 스타일을 모다 많이 사용 ,
다성 부분 안에서 리듬을 더 정확히 하려는 경향
대용 클라우술라를 보다 많이 작곡
레오닌의 클라우술라를 대체할 새로운 클라우술라 작곡
-> 클라우술라를 오르가눔 전체로부터 독립된 음악으로 간주했음을 의미
중세 시대 작곡가
아르스노바의 “기욤 드 마쇼”

프랑스 작곡가
작곡가 , 시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성직자가 됨
중세 시대 작곡가
아르스노바의 “란디니”

이탈리아 작곡가
시각 장애인
오르간에 능한 음악인 , 문학가 , 철학자
자기 작품의 대부분을 작사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
부르고뉴악파의 “기욤 뒤파이”

15 세기 최고의 작곡가
미사 통상문 전체에 하나의 정해진 선율을 테노르 성부의 선율로 사용
정선율 미사곡 : 하나의 정해진 선율에 의한 미사곡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
부르고뉴악파의 “뱅쇼와”

샹숑에 두각을 나타냄


성직자 겸 음악가
미사곡 , 모테트 , 샹송 작곡
샹숑 ; 뱅쇼와의 음악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장르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
플랑드르악파의 “오케험”

미사에 대위적 기법 ( 카논 ; 수평적 ) 을 사용하면서도


수직적인 조화 ( 화성 ) 가 무너지지 않게 세밀히 구성
뛰어난 가수
“ 황금의 목소리를 가진 사나이”라고 부르기도 함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
플랑드르악파의 “조스캥”

16 세기 초반 , 르네상스 중기에 유럽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침


북부 유럽 네덜란드 출신
대성당의 성가대에서 음악을 시작함
모테트에서 독창성과 예술성을 가장 많이 발휘
그레고리안 성가에 바탕을 두지 않은 자유로운 미사 시도
세속음악에서 3 성부에서 6 성부까지 다양한 형식의 음악을 만듬
바로크 시대 작곡가
이탈리아의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