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바로크 시대의

성악 음악
■ 오라토리오 (Oratorio) 어원 : 기도실

■ 칸타타 (Cantata) 어원 : 노래하다

■ 오페라 (Opera) 어원 : 작품
오라토리오
Oratorio
■ 어원 – 기도실 ( 영 ; Oratory, 라 ; Oratorium)

■ 성 필리포 네리 (St. Filippo Neri, 1515-1595) 신부를 따르는 제자들의 모임을 교회 옆

‘기도실’에서 가짐 . 이 기도실에서 설교 , ‘ 영적인 노래 (Laudi Spirituali)’ 연주 .

Laudi 의 가사는 대체로 극적이고 대화체이며 , 특히 성경에 나타나는 여러 이야기를

가사로 한 형식이었음 .

■ “ 오라토리오란 ‘극장 ( 무대장치 , 의상 , 연기 )’ 이 없는 ( 종교적 주제의 ) 오페라”

■ 오라토리오가 오페라와 다른 점은 그 주제가 종교적인 내용이고 , 해설자가 있고 , 극적

` 서술적 ` 명상적인 목적을 위하여 합창을 사용하며 , 무대 공연을 위해서 작곡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 행동은 말로 이야기되거나 암시되었지만 연기되지는 않았다 .


칸타타
Cantata
■ 어원 – ‘노래하다 (Cantare)’ 에서 유래되어 노래로 불려지는 곡
지칭 .

■ 17 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바로크시대의 복합적 성악


장르로 , 레치타티브 , 아리오조 , 독창곡 ( 혹은 2 중창 , 합창
등 ) 의 연속으로 이루어져있다 . 주제는 종교적 혹은 세속적일
수 있으며 , 작은 규모의 독창 칸타타에서 오케스트라 반주와
합창 및 독창 구성의 대규모의 칸타타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 오늘날 가장 자주 연주되는 칸타타는 Bach 의
작품들이다 .
오페라
Opera
■ 어원 – ‘작품 (work)’ 이라는 뜻으로 opera in musica 를 줄인 말 .

■ 오페라란 단어 자체는 1637 년 전까지는 통용되지 않았고 , 최초의 오페라는 favola(

우화 , 신화 ), tragedia, 혹은 dramma 로 불렸다 .

*Camerata – 1570 년대부터 1600 년 초반까지 이탈리아 피렌체 (Florence) 의 Bardi

백작 집에서 열렸던 비공식 연구모임 . 이 모임은 과학자 , 예술가 , 문학들이 모여 문

학 , 과학 , 예술에 대해 토론하며 새로운 음악을 연주해보는 모임으로 , 이 Camerata

에서 오페라의 씨앗이 싹트게 됨 .

* 최초의 오페라 – Peri <Dafne> (1598, Rinuccini 대본 )

* 현존하는 최초 오페라 - Peri 와 Caccini 의 <Euridice> (1600)


이탈리아 가곡

■ 오페라는 1600 년도 이탈리아에서 탄생하여 크게 유행 . 오페라로


인하여 이탈리아는 바로크 시대에 가장 음악적으로 영향력이 강한 나라가
됨.

■ 독창곡은 오페라와 감히 필적할만한 상대가 되지 못해서 예술가곡은


1725 년부터 1850 년까지 휴면상태에 놓임 .

■ 19 세기 민요적 가곡들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나 오페라는 여전히


성악장르 지배 .

■ 20 세기에 들어 절충적이며 이탈리아적인 스타일에 기본을 둔 가곡들이


만들어지나 , 크게 성행하지는 못 함 .
초기 이탈리아
가곡
■ 17, 18 세기 이탈리아 가곡은 성악의 기술적인 역량이나 음향을
개척하는 귀한 본보기들이다 . 그러나 시와 음악의 결합 면에서는 빈약함 .

■ 위 시기에 노래들이 19 세기에 출판이 되었으나 , 반주가 낭만적으로


꾸며져 있어 역사적 시대의 핵심이 빠져있음 .

■ 초기 이탈리아 가곡은 구조적인 순수함과 단순함 , 엄청난 정서들 ,


달콤한 진지성을 가지고 있다 .

■ Aria 라는 용어는 15 세기 말에 처음 사용되었고 16 세기에 독창곡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됨 .

■ Arie Antiche 는 19 세기에 앞선 가곡들을 정의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즉 , 17, 18 세기의 이태리 가곡을 지칭함 .
바로크 시대의
이탈리아 성악음악

Giulio Caccini Jacopo Peri Claudio Monteverdi


(1546 – 1618) (1561 - (1567 – 1643)
1633)

Barbara Strozzi Alessandro Scarlatti Giovanni Pergolesi


(1619-1664) (1660 - 1725) (1710 - 1736)
* 사진들
-Caccini <Euridice>
프롤로그 악보
“La Tragedia”
-Caccini <Euridice>
표지
“Stile rappresentativo”
Giulio Caccini
(1546 – 1618)
-초기 오페라 작곡가
- Stile rappresentativo 와 오페라
형성에 주도적 역할
- Caccini & Peri <Euridice>(1600)
음악이 남아있는 최초 오페라
-<Le nuove musiche> (1602)
단선율 ( 모노디 ) 노래 모음집
“Amarilli mia bella”
Jacopo Peri
(1561 - 1633)

- 초기 오페라 작곡가
- 최초 오페라 <Dafne> (1598)
작곡 , 악보 분실됨
Claudio Monteverdi
(1567 – 1643)
-진정한 오페라 설립자
구 양식과 새로운 양식 혼합
( 르네상스 양식 &
Stile rappresentativo)
-<Orfeo>(1607)
- <Arianna>(1608)
“Lasciatemi morire”
- <L’incoronazione di Poppea>
(1642)
https://www.youtube.com/watch?v=fRVtRa8I
23g
Barbara Strozzi
(1619-1664)
-당대 알려진 여성 작곡가
( *Francesca Caccini )
-베니스 오페라 작곡가인
Cavalli 제자
-Cantata 작곡 (No opera)
- 극적 , 성악적 기교 요함
- 연주기법 표기
“Lagrime mie”
Alessandro Scarlatti
(1660 - 1725) -베니스 양식의 마지막 대가
-약 85 오페라 , 칸타타
- 이탈리아 서곡 확립
- 코믹한 역 , 장면 , 방언
- 앙상블 , 규모 큰 오케스트라
accompanied recitative 사용
(*secco recitative)
-200 여 가곡 ( 오페라 , 칸타
타)
-선율적 유연함 , 달콤함
-“Gia il sole dal Gange” from
<L’Honesta negli amori>

*Francesco Durante
Giovanni Pergolesi
(1710 - 1736)
-오페라 부파 형식 설립
-오페라 세리아 <Il Prigioniero Su-
perbo> 사이 Interermezzo

<La Serva Padrona>


- 위 작품은 프랑스에서
부퐁논쟁 일으킴

“Son imbrogliato io”


https://www.youtube.com/wa
tch?v=iBhdAK4sDj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