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중세음악 르네상스음악 바로크시대 고전시대 낭만시대 성숙과 붕괴 20세기음악

(6-13세기) (14-16세기) (17-18세기) (1730-1815) (19세기) (1883-1914년) (1915-)

궁정음악, 개성의 시대 바그너의 시대


이탈리아중심 만하임악파 등장 슈베르트, 슈만, 낭만파와 결별
프랑스음악의 중심 종교음악 리스트, 브람스, 말러, 스트라우스,
르네상스음악의 :독일의 악파 로시니, 드보르작,
시초:뒤페 푸가 차이코프스키 푸치니, 드뷔시

선법성 선법성 장단조의 조성 장단조의 조성 장단조의 조성 반음계의 조성과 무조성


조성의 붕괴
(무조성)

모노폴리 폴리포니 폴리포니 호모포니(화성적) 호모포니 폴리포니 폴리포니

그레고리오 성가 플랑드르악파등장 몬테베르디가 시초 음악 대중화시작 음악학교, 프랑스 음악의 신고전주의 시대


:오케겜, 뱅슈아, 음악비평의 시작 재탄생 스트라빈스키
죠스캥

오르가눔성부 최초의 작곡가 오페라의 탄생 교향곡의 탄생 넓은 청중층의 에로티시즘 탄생 쇤베르크의


등장 탄생 : 베르니니, 하이든 등장 이국정취에 탐닉하 12음기법
틴토레토 는 경향

노트르담 악파등장 베네치아 악파등장 모노디와 소나타형식의 탄생 파리중심의 맘모스 오케스트라


레오냉 ;가브리엘리 통주저음의 그랜드 오페라와 탄생 전위음악의 시대
패로탱 몬테베르디 시작 비발디 살롱 음악시작

모테트음악 독일의 오페라 부파 등장 사교음악에 파국으로 이끈 1차 거장의 명연주


등장 프로테스탄트 계몽음악 반기를 든 세계대전 시대
음악등장 : 베토벤 독일의 경건음악 파퓰러 음악:
바흐 비틀즈
고전시대의 개관
• 고전시대(18세기 중엽-19세기 초)
- 시대의 단위가 아닌 세 명의 작곡가의 음악이 지닌 특징을 일컫는 양식적 뉘앙스
- 비엔나 고전시대: 세 명의 작곡가가 비엔나에서 활동
- 기악적 음악이 발달
- 대중을 상대로 한 음악문화가 정착되어 감

• 고전시대 설정 및 범위
- 고전시대의 모범적인 음악의 정의: 음악적 균형과 조화에 따른 작품의 완성도가 높고
인간 이상을 대변하는 것

고전시대의 범위

하이든
(1732-1809)

하이든의 현악4중주op.33 하이든 창작 소강기


(1781년) (1812년)

모짜르트
(1756-1791)
고전시대의 종착점: 베토벤의 중기

베토벤
(1770-1827)
전고전시대 양식(1730-1780)

• 갈랑 양식(Galant: 우아한)
- 자연스럽고 민속적인 특징의 편안한 양식
- 보편성을 추구: 일반 애호가들을 염두 해 둠
- 바로크 양식(무거운 분위기) vs. 가벼운 분위기에 초점
- 전고전시대 전체를 일컫는 의미
- 활동 작곡가: 쿠프랭, C.P.E 바흐, 텔레만

• 감정과다양식
- 다양한 인간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조명
- 개인적 감정에 초점
- 18세기 중반의 음악 창작에 영향을 끼침
- 갈랑 양식(음악의 짜임새에서 바로크 시대와 대비) vs. 감정과다양식(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에서 대비)
- 음악구성: 클라비어 작품에서 돋보임
- 활동 작곡가: 쿠프랭, C.P.E 바흐, 텔레만 등

• 질풍노도의 음악
- 독일문학의 경향을 일컫는 말
- 1770년 전후의 표현력이 증대된 음악양식
- 자연스럽게 의도한 바를 표현하고 아이디어 면에서 19세기 낭만적 음악관의 전신
- 폭넓은 대조와 변화가 사용(역동적 표현력을 높이기 위하여)
- 감정과다 양식(건반악기 중심) vs. 질풍노도의 음악(오케스트라 음악을 포함한 전반적 양식 변화)
- 활동 작곡가: C.P.E 바흐, 슈타미츠, 홀츠바우어 등
Week 3
고전주의 시대의 환경

• 계몽주의
- 의미: 인간의 본성을 중시하는 예술관이 형성

- 미국 독립선언과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배경이 됨

- 나라간 문물교류

- 유럽의 주요 열강들이 하나의 통 속

- 7년 전쟁

- 18세기 후반의 산업혁명

- 시민사회의 대두: 창작 음악을 향유할 수 있는 권리와 능력의 계층이 확대

- 기악음악을 위한 공공 음악회가 자리잡음

- 계몽주의는 인간의 존엄과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고 봄으로써 지식의 발견과 축적을 중요시

- 루소: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음악의 자연스러움을 주장

- 이탈리아어에 의한 선율적 노래를 선호, 가벼운 오페라 부파를 옹호


• 음악 수요층의 확대
- 경제의 발전으로 중산층의 확대

- 바로크시대(교회나 궁정 중심의 소수지배층의 음악활동) vs. 고전시대(누구나 음악을 즐길 수 있음)

- 소규모 살롱 연주회 및 일반 가정에서의 소규모 음악회

- 아마추어 음악가들 등장

- 다양한 악기구성의 악보출판

- 연주평, 작품해설 기사를 청중에게 제공

- 음악의 위상이 높아져 예술로서의 위치가 굳어짐

- 악기 교본의 출판

- 음악연구의 촉진
고전주의 양식의 특징

1. 보편성
- 기악음악에 대한 사고의 변화: 가사가 없어도 인간의 감정을 드러내야 한다는 것

- 하이든: 단순한 선율적 소재를 발전 시켜청중에게 쉽게 다가가는 기악음악 작곡

- 모짜르트: 쉽거나 어렵지 않은 음악으로 즐거운 음악

- 베토벤: 음악은 세상의 진리인 듯 음악을 예술적 승화의 개념으로 봄


2. 구조적 단순성
- 고전시대 음악의 단순성: 누구나 이해될 수 있는 보편성에서 나온 말

1) 편안한 선율(민속적 성격의), 2)음악적 주기 구성, 3)화성연결(종지),

4)주제와 동기의 가공작업, 5) 반주형의 생성

1) 편안한 선율: 기악악기 연주일지라도 흥얼거릴 수 있는 특징적 선율

2) 음악적 주기:(두마디의)동기 악구악절형식을 만들어 냄

3) 화성연결(종지): 주요3화음(I, IV, V)의 뼈대와 주기별 종지(Cadence, 4가지 종지)

4) 주제와 동기의 가공작업: Motive, 음악의 최소단위에 의한 주제와 발전

5) 개별화음 구성과 반주음형: 알베르티 베이스(Alberti-Bass)

베이스의 부드러움과 두터운 음향층 형성


3. 장르와 형식
- 대표적 기악장르: 1) 피아노 소나타, 2) 현악4중주, 3) 독주협주곡, 4) 교향곡

- 모든 장르는 악장 배열이 동일하고 빠른 악장(1악장)에 소나타 형식

- 모두 기악 작품으로서의 소나타이다!

1) “장르”로서의 소나타 vs. “형식”으로서의 소나타

피아노 소나타: 그저 소나타 또는 피아노를 포함한 이중주(예: 바이올린 소나타)

2) 현악4중주: 바로크 시대의 트리오 소나타를 잇는 장르

저음을 보강한 3화음 중심의 성부진행

3) 협주곡(콘체르토): 경쟁과 협력의 형태와 협연 악기의 cadenza가 특징

4) 교향곡: 명칭은 이탈리아 나폴리 오페라 서곡(신포니아)에서 유래

하이든에 의해 정립 모짜르트, 베토벤에 절정을 이룸


4. 소나타 형식(악장구조로서의)
- 빠른 악장에서 음악이 전개되는 틀

- 고전시대의 기악곡을 특징짓는 대표적 형식 구성 기법

- 1악장: 빠르고 규모가 큼, 역동적

- 2악장: 느리며 서정적, 노래형식 또는 변주곡의 구조

- 3악장: 춤곡 악장, 미뉴에트, 스케르쵸(베토벤)

- 4악장: 빠른 론도 형식, 소나타론도형식

- 두개의 주제를 가진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전고전주의 시대에 이미 발견


 소나타형식

1.고전과 낭만시대의 가장 중요한 음악형식

2.교향곡, 고전시대 협주곡, 실내악 작품과 합창곡, 오페라 아리아 등 인성음악에도 사용

3.소나타: 1) 다악장으로 이루어진 고전과 낭만시대의 기악음악 작품

2) 단일악장의 형식계획을 의미

 소나타 형식의 조성구조


ll: 으뜸조--> 새로운 조로 전조--> 새로운 조 :ll: 다양한 조성구조-->으뜸조-->으뜸조에서의 정종지 :ll
제1주제(The 1st theme): 남성적, 극적, 리듬적, 도약진행
경과구(Transition): 전조를 통한 1주제와 2주제의 연결
제시부 제1주제의 동기를 발전
(Exposition) 제2주제(The 2nd theme): 서정적, 선율적, 순차적, 여성적
종결구(Codetta): 제시부가 끝남을 예견

1) 제시부의 주제들, 경과구의 요소를 가지고 idea를 구성


2) 곡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 요소들이 Idea로서 구성 될 수 있음
3) 발전부를 Climax로..
발전부 4) 빈번한 전조
(Development)
5) 여러 가지 형태의 동형진행사용
6) 단순한전개방식(변주, 반복)을 사용하지 않음
7) Retransition: 재현부로 돌아가기 전 원조의 딸림화음을 강조하는 Passages

재현부 조성의 복귀
제2주제의 원조로의 복귀
(Recapitulation)

종결부(Coda) 앞 소재가 재 출현 또는 새롭게 발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