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4

SHOSTAKOVICH 에 대한 고찰

작곡가 장보미

• https://pittsburghsymphony.org/pso_home/biographies/guest-artists/bomi-jang

• https://www.cmu.edu/homepage/creativity/2014/winter/spotlight-pittsburgh-co
mposers.shtml
ICE BREAKING

• 다음 중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에서 발췌된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


프로코피예프 SONATA FOR FLUTE AND
PIANO
쇼스타코비치의 생애

• Where was he born? 상트페테르부르크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상징적 의미와 시대적 배경
이중성의 모습 .
Cosmopolitan 적이고 싶으나 여전히 러시아적 성격이 강한
두개의 이중성이 존재

대부분의 쇼스타코비치 작품의 원천이고 무대


교향곡 7 편과 오페라 , 발레곡 3 편 , 4 중주곡의 대부분의 배경
쇼스타코비치의 생애

• When? 1906 년 생 .
• 1905 년 혁명의 격동이 남아있는 모순의 한복판
• 도시의 이름이 페트로그라드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 , 레닌그라드로 3 번바뀜

• 지배자와 민중사이의 갈등이 항상 존재하던 시대 , 자유와 구속이라는 두개의 이념속에서 늘 갈등해야만


했던 작곡가 , 사회주의적 요소와 신 고전주의 두가지의 성향
신고전주의 ?

• 1 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  후기 낭만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신고전주의의 운동이 시작 .

• 이 운동은 절대음악이 지니는 객관성을 옹호하고 연주 재료의 합축성 ,  전통적 형식의 부활을 특징으로 하는
데 ,  이것은 옛 음악을 원래대로 재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확대된 조성 ,  선법성 ,  무조성 등의  20 세기적
특징을 가미하여 변형된 형태
•   프로코피예프의  < 고전 교향곡 >
  힌데미트의 오페라  < 화가 마티스 >,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중 < 풀치넬라 >(Listen!)
• https://www.youtube.com/watch?v=MMX9vw4ZxJ0

• 프랑스  6 인조의 작품들로는 오릭의  <Les Matelots>,  오네게르의 오라토리오  < 다윗왕 >,  풀랑의  < 전원 협주
곡 >  등이 있다 .
 
스트라빈스키는 원곡의 선율과 베이스 라인을 대부분 그대로 사용하면서 18 세기의 원곡의 틀을 유지하지만 ,
삭제 , 축소 , 첨가 , 반복 , 변형을 통해 18 세기의 형식을 깨뜨렸다 .

* 바로크적 악장구성 , 악기편성 , 대위법적 기법과 고전적인 조성관계 , 중세의 선법 등의 전통에의 접목과
더불어 리듬 , 화성 , 관현악법에 있어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어법을 제시

* 대위법적 처리를 통한 모방 , 푸가토 등과 베이스 라인에서 제시되는 오스티나토 , 지속음 , 이중 페달음 효과

* 풀치넬라는 바로크적인 틀 안에서 과거의 음악적 전통과 스트라빈스키의 새롭고 독특한 기법이 잘 나타난
작품이다 . 이 곡을 통해서 신고전주의가 전통적인 음악적 요소와 20 세기의 현대적 음악적 기법을
접목시킴으로써 전통을 현대적으로 수용했음을 알 수 있다 .
쇼스타코비치 , 그의 모습은 ?

• 러시아 화가 쿠스토디예프의 초상화에 의하면 , 그는 불안과 허약한 인상을


주지만 내면세계의 꿋꿋함과 의지가 강한 작곡가였음

• 9 살때 피아노를 시작으로 음악에 발을 들였으며


• 엔지니어인 아버지와 피아니스트인 어머니의 사이에서 출생 .
• 페트로 음악원에서 수학 , 경제적 어려움과 질병을 딛고 작곡을 수학하며
• 졸업작품으로 교향곡을 19 살때 작곡 .
• 열광적 반응이 있었으며 오케스트레이션 기법이 탁월  musical craft,
음악의 기술적인 면을 중요시 하였으며 장인적 기술을 중시하는 태도는
스트라빈스키와도 통한다 .
• 1931 년 교향곡 1 번이 토스카니니의 레퍼토리가 되며 가장 탁월한 재능을 지닌 신세대
음악가라는 평을 들었으며 ,
• 혁명 10 주년 기념식을 위한 교향곡을 위촉받아 교향곡 2 번을 작곡하게 된다 . 임무는 성공적 ,
모더니즘 기법으로 전환함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
• 오페라 맥베스 부인이 유례없는 놀랄만한 성공을 거둘 당시 , 스탈린이 작품을 감상한후
분노하여 프라우다라는 평론지에서 혹평을 받았으며 공포정치가 휘몰아치던 당시
쇼스타코비치는 직접적인 위협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
• 프라우다지에 의하면 , “ 불협화음의 덩어리 , 음악이 아닌 황당무계“
• 교향곡 4 번 : 리허설까지 1936 년에 마쳤으나 정치적 이유로 연주가 취소됨
• 1941 년 6 월 , 독일의 나치스는 소비에트를 침략하여 , 7 월에는 히클러가 이끄는 대군이
레닌그라드로 진격하여 도시를 포위 .
교향곡 7 번이 이 가운데 작곡됨 . 영국과 미국에 중계되고 미국 NBC 교향악단이 토스카니의
지휘로 미국 전역에서 연주함 .

1946 년 또한번의 위기 , 반 세계주의의 즈나도피 비판을 통해 광범위한 인민재판이 이루어짐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예프 , 하차두리안등의 작곡가들이 서방세계의 형식주의자라는 이유로
비판받고 불공정한 대우를 받게된다 .
시대적 영향으로 1953 년까지 교향곡을 작곡하지 않음 .
스탈린의 사망후

• 1953 년 스탈린이 사망한 후 , 문화적 통제가 다소 완화된 시기 ,


• 내면을 깊이있게 표현하고 서방세계의 음악어법을 과감하게 사용되는 작품을 말표

• 교향곡 13 번 : 희생된 수많은 영혼들을 위해 쓴 레퀴엠적인 작품 .


인성이 등장하여 칸타타의 형식을 보이며 , 에프뚜쉔코가 쓴 5 개의 시를 가사로 도입 .
스탈린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지님 .
교향곡 15 번을 끝으로 투병생활을 하며 작품을 완성 .

* 고전적 양식의 근간을 지키며 현대적 음향의 확장성도 시도한


15 편의 교향곡과 15 곡의 현악사중주 작품을 남김 .
이중성 :
이념 , 작품 style 대조
( 사회주의 vs 신 : 화성의 색채의 대조
: 왈츠풍과 어두운
고전주의 )
melody 적 요소

해학과 유머 ,
깊은 고뇌
그의 음악기법 들여다보기

• 20 세기 초 음악의 전반적 흐름은 조성의 색채를 흐리고 새로운 음향을


추구하는 방식 .

• 인상주의 ( 드뷔시 ), 제 2 빈 악파 (Schoenberg, Webern 의 음열 )

• 신고전주의 : 음향은 새롭게 추구하되 , 음악의 정신은 고전의 시대를 반영


( 쇼스타코비치 )
작곡방식의 특징들

1. 도약적인 선율선
: 과거 낭만적이고 서정적이었던 선율선과 다르게 도약적이고 변화가 많은
기악적인 선율선이 많다 .
교향곡 1 번의 주제 2
작곡 방식의 특징들

2. 대위법의 기법을 통한 주제의 확장 , 리듬적으로는 바로크 시대의 부점 리듬을 빌려옴


: 교향곡 1 번의 주제 cello & contrabass  violin
쇼스타코비치의 작곡기법들

• 교향곡 5 번에도 쓰인 이중적 장식적 부점 리듬


• 2. 선율과 리듬의 변형을 통한 발전 기법
Original 선율을 Inversion, Retrodgrade, Retrograde Inversion 의
방식등을 통하여 변형시키는 작곡 기법 ( 예 : 교향곡 5 번 1 악장 )
리듬의 축소 또는 확대를 통한 variation.
리듬의 확대
리듬의 축소 또는 TRANSPOSE
전통화성과 자유조성 FREE TONALITY 의 사용의 색다른 사용
• 전통의 화성을 지키는 부분이 있는 것처럼 보이나 ,
실제로는 Tonic 으뜸음만을 강조하여 사용되었으며 ,
12 개의 음이 똑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배분되어 사용됨 . (20 세기 작곡기법의 영향 , 베베른에게도
영향받음 )
반음계적 진행이 연속적으로 사용되어 조성이 모호해지다가 끝마무리는 으뜸음으로 하는 경우가
있음 . 교향곡 1 번 4 악장
병행화성 의 사용
: 선율선을 강조하기 위해 선율위에 쌓아진 화성들의 사용을 뜻함 . 이때의
화성들은 기능적인 화성들이 아니고 옥타브와 선율선 위에 쌓여진 화성들
TONE CLUSTER 의 기법

• 음향을 이용한 작곡기법


• 20 세기초반 조성의 중심이 무너지고 음의 개념이 아닌 음향의 개념으로 tone cluster 의
기법이 등장하기 시작 .
• 음향의 기법으로 유명한 작곡가 ? G. Ligeti 의 Atmosphere, Sound Mass! (1961)
• https://www.youtube.com/watch?v=JWlwCRlVh7M

• 쇼스타코비치도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  혼돈의 이미지를 묘사하기 위하여


Tone Cluster 를 사용 --> 등장인물의 심리적 변화를 묘사
유머와 해학의 모습

• 후기 낭만시대에서 추구하던 감정이나 극도의 낭만성은 배제됨 .


• 쇼스타코비치의 선율선에서 예상치 못한 화성 ( 클러스터 등 ) 이 등장할 때
느껴지는 해학의 재미
쇼스타코비치 작품 들여다보기

• 교향곡 1 번과 2 번의 비교 ?
• 1 번 : 전통적인 4 악장 구조 , 유쾌하고 익살스러운 분위기
• 2 번 : 합창이 있는 단일악장 구조 , 19 세기 표제음악과 닮아있음 ,
• 1 번 교향곡보다는 좀더 무겁고 웅장한 , 그로테스크한 면모

•  두 교향곡 모두 타악기의 활용 , 현악 앙상블과 대조를 이루는 금관의 전개 ,


솔로악기들의 모놀로그적 선율등의 특징을 공유
•  1 번 2 악장에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 percussion 의 조합이 매우 다채로운 음향을
만들어내며 그로테스크하게 전개된다 . 그리고 이 특징은 교향곡 2 번에서 더욱 발전됨 .
• * 교향곡 1 번 2 악장 듣기 https://www.youtube.com/watch?v=MAZau27d84g
교향곡 2 번

• 교향곡 2 번에서도 더욱 그로테스크적인 분위기가 발전됨


• 오케스트라와 합창 파트의 대조적 음향
• 불협화 음향의 클러스터
• 압도적인 포르테 음향
• 점차적인 성부확대를 통한 드라마틱한 절정과 클라이막스
• 빠른 속도로 반복되는 모티브의 전개
교향곡 2 번 들여다보기
1 악장 악보와 함께 감상하기

• 리듬적 분할의 적절한 배분을 통한 클라이맥스 형성과 에너지 배분


• 병렬화성 ? 등의 사용 . 멜로디를 더 강조하고 싶은 화성배분
• 악기들의 발란스
• Polyphony ( 대위법적 ) 와 Homophony, Monophony 의 사용
•  여기서 Musical Texture 의 기법들 들여다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teh22szdnRQ

• https://www.youtube.com/watch?v=MupXrzqYZpA 2 번 1 악장

• 오케스트레이션의 기법
• Bomi Jang 의 작품 Awake
음향적으로 소리를 채우는 것이 목적 , 단 하나의 음이 부각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흘러가는 것 같은 , 다같은 무중력의 음들이길 원하는
음향 , 리듬적으로 차등을 주어서 자연스럽게 흘러가기 원할때 씀
붓점리듬을 통해서 점차
증폭시키는 에너지
붓점리듬 위에 흩어진 음가들을
제시하면서 붓점리듬을 모호하게
만들면서 높은 음들을 흩뿌리며
장식적 효과로 색채를 키움
String 의 세분화된 리듬들로 수평적으로 퍼져있는
배경을 만들고 그 위에 금관악기들이 con sordino 의
음향으로 수직적으로 음가를 채워줌
병행화성의 사용 , 화성화 하는 방법중
하나
화성화를 4 도로 구성하여 쌓음 , 병행화성의 일종 ,
붓점리듬의 여전한 도입
다르게 제시됐던 리듬들이 통일되어 긴장감을
고조시키며 클라이막스를 이루어감
각기 다른 phrase 들의 수평적 레이어 , 폴리포닉한
texture
하나씩 더해지는 악기들 , 음향적 layering
쇼스타코비치의 내면의 갈등

• 프라우다에 기사가 실린 이후 , 쇼스타코비치는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괴로워했다 . 언제 체포될지 모르는 본인을 40 년 동안이나 사형수와 같다고
생갔했으며 , 탈출할 길이 없는 거대한 감옥과 같은 나라에서 살았다고
표현했다 .
• 교향곡 4 번은 초연을 연기 ( 심한 비판을 염두 )
또 다른 하나의 흐름 , 대중적 춤곡과
재즈음악의 특징들

• Tahiti Trot, op. 16, 1927 * Listen! https://www.youtube.com/watch?v=YrWriL-hDNM


• 쇼스타코비치의 대중적 성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근거의 작품
•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곡가 Vincent Youmans 의 No, No, Nanette, 1924 에 속한 노래 , Tea for Two 를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작곡한 작품
•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
• : 스케르초 , 프렐류드 , 왈츠 , 폴카 등과 같은 춤곡 성향을 지닌 그의 작품들과 더불어 당시
러시아에 불었던 미국의 대중음악 흐름을 작품에 수용한 대표적 사례이기 때문 .
• 쇼스타코비치의 춤곡들은 대중성을 넘어 풍자와 패러디의 수단으로 사용됨 . 진지한 곡의 내용이라
장면에 춤곡을 허용함으로써 이질감과 부조화를 일으키거나 사건을 비꼬는 의도를 숨겨놓음
5 번 교향곡 , 7 번 교향곡

• 7 번 : 정권에 극찬을 받았던 곡 ,


• 독일에 의해 무참히 파괴되었던 전쟁의 중심이었던 레닌그라드에 있었던
작곡가 , 편성을 다 채우지 못한채 초연
대조의 기법 , 영화음악

* 새로운 바빌론 *
• 대조의 기법이 영화음악 작곡의 기본 토대 ,
• “ 많은것들이 대조의 원칙으로 만들어졌다 . 예를 들면 , 그 베르사유에서 온 군인은
바리케이트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우울한 절망에 빠진다 . 음악은 점차 열광적으로 변하고
결국에는 베르사유 사림들의 승리를 반영한 격렬하고 상스러운 왈트가 갑자기 연주된다 . “
• 인용기법 , 풍자와 패러디 , 왈츠등의 춤곡의 사용 , 음악적 유머 , 그로테스크한 오케스트라 기법
• 영화 바빌론에서 왈츠가 부르주아를 상징하는 code 로 사용되었다는 해석도 있다 .
• 실제로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에서는 왈츠가 지배계급이나 폭력을 풍자하기 위한 방식으로 종종
등장한다 .
• 1955, 등의 로망스
9 번 교향곡

• 9 번 징크스가 있었던 유명 작곡가들


• 브루크너 , 슈베르트 , 베토벤 , 드보르작 , 말러
• 9 번 교향곡들을 끝으로 사망 , 쇼스타코비치 15 개의 교향곡
• “ 사람들은 내게 팡파르와 찬가를 원했다 . 그러나 나는 스탈린을 예찬하는
음악을 쓸 수 없었다 . 교향곡 9 번을 쓸때 그 사실을 깨달았다 .
• 작품금지가 되고 인민의 적으로 되어버림 .
프로코피예프와 쇼스타코비치

• 신고전주의 성향은 공통점 .


• Prokofiev: 혁명전 이미 작곡가로서의 입지를 굳혔고 , 파리 망명생활을
오래하여 스트라빈스키의 영향을 일찍이 받아 쇼스타코비치보다는 민속적
색채가 옅음 . 피아노를 타악기처럼 사용하거나 불협화음의 사용이 자유로움

• 쇼스타코비치 : 당국의 방해와 정치적 억압속에서 평생 음악을 지키려는


의지가 강했음 .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영향으로 대중이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선율을 사용 . 하모닉스 , 글리산도 등 바로크적 기법을 현대화한 특징
3 번 현악사중주와 8 번 작품의 비교

• 1946 년에 작곡된 3 번 : 서정적이고 민족적인 선율을 아직 쓰던 시기 , 초기


• 1960 년에 작곡된 8 번 : 보다 작품이 간결해지고 형식적으로 쓰여지며 ,
정치적 상황과 개인적 예술의 표출등의 갈등으로 인한 시기 , 중기 작품
NO. 8 IN C MINOR, OP.110A 를 중심으로

• 작곡가 자신의 이니셜을 구성한 D S C H 의 모티브 .


• 모티브 자체가 단 2 도와 단 3 도의 음정관계로 이루어짐  곡 전체를 이루는 중요한 발전요소 .
• 1960 년대 작곡되었으며 황폐화된 드레스덴을 보고 충격을 받아 전쟁의 암울함과 희생을 생각하며 쓴
작품 .

작곡가의 시각 ?
수평적으로 제시되는 선율선에서 중심이 되는 음정들을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
어떤 음을 향해가는지 ? 방향성이 있는가 ? Tonic 이나 딸림음으로의 해결
수직적으로 울리는 감 7 화음 등의 등장 ,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Q06nU1UmwBk
1 악장
반감 7 화음의 수직적 등장
CELLO: CMINOR 의 V-I 의 관계를 보임 ( 주제선율과
반진행으로 제시 )
1 악장 : 모호한 무조적 색채

• Non vibrato 의 사용 ? 음색의 다양성


1 악장 : 모호한 무조적 색채 , 인상주의의 영향 , C MI-
NOR 코드가 불완성의 형태로 등장
C 와 G 가 강조됨
1. G 음으로 향하는 선율선
2. C 와 G 가 반주패턴으로 등장  VLN.II
완전 정격 종지의 등장
V-III-IV-V-I
주제를 다시 마무리하며 G# 음으로 종결
2 악장 : 푸가 기법 다음에 토카타가 나오는 18 세기
건반악기 음악의 형식처럼 이 작품에서도 토카다의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 단 구성은 3 부형식을 도입 .

• G#-B 를 중심으로 한 화음 ,
• 장 3 도와 단 2 도로 이루어진 멜로디 / 반음계적으로 올라가는 멜로디
G# 을 근음으로 새화성이 추가
반음계적 모티 브와 완전 5 도의 음향  대조
(G# 에서 G 로 )
CELLO&VIOLA: 선율라인
VIN 1 &2 : 장 7 도와 완전 4 도로 이루어진 음향 강조
음형의 순서만 바뀜 . B-D-E FLAT-C
VIOLA & CELLO: 반음계적 고조
주제 모티브의 등장
CODA: PIANO TRIO 에서 따온 선율을 연주하고
토카타를 빌려온 반주패턴으로 마무리
3 악장
1 . 주제변형을 박자의 변형으로 풀어 낸다 .
완전 4. 5 도를 통한 왈츠풍의 등장
왈츠풍 반주 , 기본주제 등장 , 트릴을 통한 색채 부여
변박의 등장
¾ 에서 2/2 를 통해 변박의 과정을 거쳐서 3/4, 2/4 로 진행
C MINOR 로 가기위한 경과적 화성의 과정 ,
B FLAT 음으로 TUTTI 수직적으로 등장
주제 모티브의 역행적
구조
3 악장 끝에 등장한 A# 음위로 4 악장에서 코드를
만듬 . 전쟁의 포화를 의미하는 코드 .
순차적이고 장중한 멜로디
대위적인 바이올린
전쟁의 포화를 뜻하는
RHYTHMIC 한 모티브와 주제선율로 ENDING
쇼스타코비치 작품 들여다보기

• 교향곡 1 번과 2 번의 비교 ?
• 1 번 : 전통적인 4 악장 구조 , 유쾌하고 익살스러운 분위기
• 2 번 : 합창이 있는 단일악장 구조 , 19 세기 표제음악과 닮아있음 ,
• 1 번 교향곡보다는 좀더 무겁고 웅장한 , 그로테스크한 면모

•  두 교향곡 모두 타악기의 활용 , 현악 앙상블과 대조를 이루는 금관의 전개 ,


솔로악기들의 모놀로그적 선율등의 특징을 공유
•  1 번 2 악장에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 percussion 의 조합이 매우 다채로운 음향을
만들어내며 그로테스크하게 전개된다 . 그리고 이 특징은 교향곡 2 번에서 더욱 발전됨 .
• * 교향곡 1 번 2 악장 듣기 https://www.youtube.com/watch?v=MAZau27d84g
• 교향곡 2 번에서도 더욱 그로테스크적인 분위기가 발전됨
• 오케스트라와 합창 파트의 대조적 음향
• 불협화 음향의 클러스터
• 압도적인 포르테 음향
• 점차적인 성부확대를 통한 드라마틱한 절정과 클라이막스
• 빠른 속도로 반복되는 모티브의 전개
교향곡 2 번 들여다보기
1 악장 악보와 함께 감상하기

• 리듬적 분할의 적절한 배분을 통한 클라이맥스 형성과 에너지 배분


• 병렬화성 ? 등의 사용 . 멜로디를 더 강조하고 싶은 화성배분
• 악기들의 발란스
• Polyphony ( 대위법적 ) 와 Homophony, Monophony 의 사용
•  여기서 Musical Texture 의 기법들 들여다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teh22szdnRQ

• 오케스트레이션의 기법

• Bomi Jang Awake, The garden of Eden 과의 비교 분석


쇼스타코비치의 내면의 갈등

• 프라우다이 기사가 실린 이후 , 쇼스타코비치는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괴로워했다 . 언제 체포될지 모르는 본인을 40 년 동안이나 사형수와 같다고
생갔했으며 , 탈출할 길이 없는 거대한 감옥과 같은 나라에서 살았다고
표현했다 .
• 교향곡 4 번은 초연을 연기 ( 심한 비판을 염두 )
또 다른 하나의 흐름 , 대중적 춤곡과
재즈음악의 특징들

• Tahiti Trot, op. 16, 1927 * Listen!


• 쇼스타코비치의 대중적 성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근거의 작품
•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곡가 Vincent Youmans 의 No, No, Nanette, 1924 에 속한 노래 , Tea for Two 를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작곡한 작품
•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
• : 스케르초 , 프렐류드 , 왈츠 , 폴카 등과 같은 춤곡 성향을 지닌 그의 작품들과 더불어 당시
러시아에 불었던 미국의 대중음악 흐름을 작품에 수용한 대표적 사례이기 때문 .
• 쇼스타코비치의 춤곡들은 대중성을 넘어 풍자와 패러디의 수단으로 사용됨 . 진지한 곡의 내용이라
장면에 춤곡을 허용함으로써 이질감과 부조화를 일으키거나 사건을 비꼬는 의도를 숨겨놓음
4 번 교향곡
5 번 교향곡 , 7 번 교향곡

• 7 번 : 정권에 극찬을 받았던 곡 ,


• 독일에 의해 무참히 파괴되었던 전쟁의 중심이었던 레닌그라드에 있었던
작곡가 , 편성을 다 채우지 못한채 초연
대조의 기법 , 영화음악

* 새로운 바빌론 *
• 대조의 기법이 영화음악 작곡의 기본 토대 ,
• “ 많은것들이 대조의 원칙으로 만들어졌다 . 예를 들면 , 그 베르사유에서 온 군인은
바리케이트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우울한 절망에 빠진다 . 음악은 점차 열광적으로 변하고
결국에는 베르사유 사림들의 승리를 반영한 격렬하고 상스러운 왈트가 갑자기 연주된다 . “
• 인용기법 , 풍자와 패러디 , 왈츠등의 춤곡의 사용 , 음악적 유머 , 그로테스크한 오케스트라 기법
• 영화 바빌론에서 왈츠가 부르주아를 상징하는 code 로 사용되었다는 해석도 있다 .
• 실제로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에서는 왈츠가 지배계급이나 폭력을 풍자하기 위한 방식으로 종종
등장한다 .
• 1955, 등의 로망스
9 번 교향곡

• 9 번 징크스가 있었던 유명 작곡가들


• 브루크너 , 슈베르트 , 베토벤 , 드보르작 , 말러
• 9 번 교향곡들을 끝으로 사망 , 쇼스타코비치 15 개의 교향곡
• “ 사람들은 내게 팡파르와 찬가를 원했다 . 그러나 나는 스탈린을 예찬하는
음악을 쓸 수 없었다 . 교향곡 9 번을 쓸때 그 사실을 깨달았다 .
• 작품금지가 되고 인민의 적으로 되어버림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