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베토벤의 음악

음악의 이해

교향곡 5번 운명

▸ 피아노 편곡 (리스트) https://www.youtube.com/watch?v=eCK_yWtiOG8

▸ 전기기타 https://www.youtube.com/watch?v=GdXzpKSER1A

▸ 록밴드 + 스트링 https://www.youtube.com/watch?v=-NcK1mpH4hk

▸ 어쿠스틱 기타 https://www.youtube.com/watch?v=39tz3DeTzmk

▸ (오케스트라 : 기악 연주자들이 동시에 함께 연주하는 큰 규모의 그룹)


음악의 이해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 독일)

▸ 하이든, 모차르트와 함께 빈 고전파를 대표하는 독일의 작곡가. 고전파의 형식을 개성적으로 다


듬었고 낭만파로 가는 기초를 닦았다. 동적인 힘과 형식미를 자랑하는 곡이 특징이다. 대표 작
품에 교향곡 9곡과 피아노 소나타 <열정>, 피아노 소나타 <월광> 등이 있다.

▸ “고전파 음악을 완성, 낭만파의 문을 열었다”


음악의 이해

베토벤의 일생

▸ 어린시절 : 아버지의 학대. 조기교육

▸ 청년시절 : 28-30세즈음 청각 장애 발생.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 어려움. 유서를 쓰고 자살을


할까 했다가 다시 살기로 결심. 그 후로 많은 명곡 탄생

▸ 노년시절 : 이미 그는 음악의 거장. 많은 작곡의뢰를 받았고 부유하게 살았음. 평생 미혼. 여전히


커뮤니케이션은 어려웠음.

▸ 영화 <불멸의 연인>, <카핑 베토벤> 등을 통해서 그의 일생을 엿볼 수 있음


음악의 이해

베토벤의 일생

▸ 1770년 12월 17일 독일 본에서 출생 ▸ 1802년 빈 외곽 하일리겐슈타트에서 유서 작성 (다른 사람들과


의 불화, 청력상실, 극심한 편두통, 만성적인 소화기장애, 우울증
▸ 1778년 소년 피아니스트로 쾰른에서 첫 공개연주회 등)

▸ 1784년 본의 궁정 오르간 연주자 조수 ▸ 1804년 <교향곡 3번 영웅> 작곡

▸ 1805년 오페라 <피델리오> 초연, 피아노 소나타 <열정> 발표


▸ 1789년 본대학 입학. 철학을 공부함
▸ 1807-1808년 <교향곡 5번 운명> 작곡
▸ 1792년 빈에서 하이든에게 작곡을 배움
▸ 1818년 청각 상실, 후기 피아노 소나타 작곡
▸ 1795년 자작 <피아노 협주곡 2번> 연주 ▸ 1824년 <장엄미사곡>, <교향곡 9번 합창> 초연

▸ 1798년 난청 증세가 나타남 ▸ 1826년 후기 현악 4중주곡 작곡

▸ 1800년 <교향곡 1번> 발표 ▸ 1827년 3월 26일 사망


음악의 이해

베토벤에 관하여

▸ 베토벤의 예술세계 - 혁명. 최초의 순수예술가 (자유와 진보를 추구)

▸ 장애 극복의 상징
음악의 이해

베토벤의 예술세계
Sostenuto : 음을 끌어서 연주하기. 각 음표를 충실히.
▸ 독립예술가로서 자립 성공! 고용주의 주문에 의한 음악이 아닌 자신이 하고싶은 음악세계를 펼침

▸ 이것은 작품이다! 작품번호(Opus)를 부여함. (예. Op.1) 감상용 음악이 아닌 작품으로서의 음악을 추구

▸ 바흐 작품번호는 BWV, 모차르트 작품번호는 K, 하이든 작품번호는 Hob, 비발디 작품번호는 Rv 혹은 Op

▸ 지휘에 예술적 의미를 부여하여 지휘와 작곡을 동등한 위치에 올려놓음

▸ 템포 표시에 메트로놈 표기를 최초로 사용함

▸ 클라리넷을 오케스트라 정규 악기에 편입시키고 호른을 한두개 더 추가함

▸ 교향곡의 길이를 길게 늘려놓음 (기존 교향곡 30분 -> 베토벤 교향곡 3번은 50분)

▸ 교향곡 1번은 I로 시작하지 않는 파격, 3번은 엄청 긴 길이, 5번 운명 교향곡, 6번 최초의 표제음악, 7번은 노다메칸타빌레? 교향곡 9번에
합창을 넣음

▸ 1, 3, 5, 6, 7, 9번 교향곡이 유명 (9번 교향곡은 송년음악회의 단골 레퍼토리. “고난을 넘어 환희로”)


음악의 이해

베토벤의 작품 수

▸ 하이든 교향곡 108곡 / 이외 다수

▸ 모차르트 교향곡 41곡 / 피아노 소나타 18곡 / 현악4중주 23곡 / 피아노 협주곡 27곡 / 오페
라 24곡 / 이외 다수

▸ 베토벤 교향곡 9곡 / 피아노소나타 32곡 / 현악4중주 16곡 / 피아노 협주곡 6곡 / 1편의 오페


라 / 이외 다수

▸ https://ko.wikipedia.org/wiki/루트비히_판_베토벤의_작품_목록
음악의 이해

감상
▸ 교향곡 3번 영웅 1악장

▸ 교향곡 3번 영웅 2악장 장송교향곡

▸ 교향곡 5번 운명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NWWbA5H5pEs

▸ 교향곡 5번 운명 4악장

▸ 원코리아 오케스트라 :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는 남북한 교류를 목적으로 국내 오케스트라 전·현직 단원과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 출신 연주자 등이 모인 교향악단

▸ 교향곡 6번 전원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TIjQ1Wmbbhc

▸ 판타지아(1940) : 미국의 유명한 애니메이션 제작자 월트 디즈니가 1940년에 클래식 음악을 소재로 8개의 디즈니 영화의 장면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한 뮤지컬 애니메이션.
베토벤의 교향곡은 5번과 6번이 수록됨.

▸ 교향곡 7번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rlBr3n7Oqm0

▸ 노다메 칸타빌레 : 2006년 일본 후지TV에서 방영된 클래식음악 테마의 드라마. (원작은 만화/애니메이션)

▸ 교향곡 9번 합창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H20nS22O8aI /. 4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acmy-daxIZk /

▸ 교향곡 9번 1-4악장(편집) https://www.youtube.com/watch?v=RbWmav17OEA

▸ 카핑 베토벤 : 2006년 개봉된 영화. 베토벤이 청각 장애에 시달리며 고독과 가난에 찌들어 불행한 말년을 보내던 시기, 어떻게 세기의 명곡을 작곡했었는지를 보여주는 영화
음악의 이해

베토벤의 피아노음악
▸ 베토벤 3대 피아노소나타 : 월광, 비창, 열정

▸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환상곡풍 소나타)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y4C8b5D_xvM

▸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환상곡풍 소나타) 3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CtjzTYnNDGM

▸ (소나타 14번 : 느린 템포의 1악장, 빠른 템포의 2악장, 아주 빠른 템포의 3악장으로 기존 형식을 파괴한 소나타. 독일의 음악 평론가가 ‘마치
루체른 호수에 비친 달빛이 떠오른다’고 하여 ‘월광’이라는 부제가 붙음)

▸ 임동혁 : 7살에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11살에 모스크바로 이주, 13살에 국제 청소년 쇼팽콩쿨 2위, 2001년 롱-티보 콩쿨 1위, 2003
년 퀸 엘리자베스 콩쿨 3위로 지명되었으나 수상을 거부하여 화제를 일으킴. 2005년 쇼팽 콩쿨 공동 3위

▸ 피아노 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jbvgSlEV8mE

▸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3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zmAJNFkil98

▸ 김선욱 : 영국 리즈에서 3년에 한번 열리는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2006년 최연소(만18세)+아시아인 최초 입상. 순수 국내파 연
주자의 국제콩쿨 입상이여서 더 의미있는 결과. 최근 지휘자로의 행보를 보여주고 있음
음악의 이해

장애 극복의 상징

▸ 베토벤 (청각장애인 작곡가)

▸ 이블린 글레니 (청각장애인 타악기 연주자)

▸ 파울 비트겐슈타인 (왼손의 피아노 연주자)

▸ 펠릭스 클리저 (팔이 없는 호른 연주자)

▸ 김예지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음악의 이해

이블린 글레니 (EVELYN GLENNIE, 1965 - , 영국)

▸ 스코틀랜드 출신의 타악기 연주자. 영국 왕립음악원 졸업. 2015 스웨덴 폴라음악상 수상

▸ 12살때 청각을 상실했으나 장애를 딛고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음

▸ 팝이나 록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과 함께 연주하기도 하며, 2004년에는 글레니의 삶과 음악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Touch the Sound〉가 제작되기도 했음

▸ 소리의 진동을 느끼기 위해 신발을 신지 않고 연주함. 따라서 ‘맨발의 연주자’로 불림.

▸ https://www.youtube.com/watch?v=T3AlxtrvhzU

▸ https://www.youtube.com/watch?v=EjFPHd-PC48

▸ Concert (1991) : https://www.youtube.com/watch?v=uw05QRdBiis


음악의 이해

파울 비트겐슈타인 (PAUL WITTGENSTEIN, 1887-1961, 오스트리아)

▸ 왼손의 피아니스트

▸ 부유한 명문가 출신.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오른쪽 팔꿈치에 총상을 입음

▸ 작곡가 모리스 라벨(M.Ravel),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S.Proko ev)에게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을 의뢰함

▸ https://www.youtube.com/watch?v=_N_CFKQ-O4A

▸ 미국 작곡가 윌리엄 볼컴(William Bolcom)에게 두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을 의뢰, 오른손 엄지에 심각한 부상
을 입은 피아니스트 레온 플라이셔(L.Fleisher, 1928-2020)와 함께 1996년 함께 초연

▸ 피아니스트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M.A.Hamelin) 작곡, 연습곡 7번 자장가

▸ 요아힘 라프(J.Raff) 작곡, La Fileuse (왼손 편곡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lgk1gOp4vF4


음악의 이해

펠릭스 클리저 (FELIX KLIESER, 1991- , 독일)

▸ (호른 : 금관악기 중 하나. 프렌치 호른이라고도 부름. 금관악기이지만 목관5중주에도 함께 연주한다)

▸ 선천적으로 두 팔이 모두 없고, 3-4살때부터 발로 호른을 연주

▸ 처음엔 악기를 바닥에 놓고 연습했지만, 주변의 도움으로 펠릭스의 신체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반영시킨
특별한 삼각대(tripod)를 제작해서 거기에 악기를 고정시켜서 연주함

▸ 2022년 11월 9일,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리사이틀을 가질 예정

▸ 라인홀트 글리에르(Reinhold Gliere, 1875-1956, 러시아) 4 Pieces for Horn and Piano
https://www.youtube.com/watch?v=m0irq5ZyvJU

▸ (그런데, 4개의 Pieces를 연달아 연주하는 음악에서는 4곡 연주가 모두 끝난 후에 박수를 칩니다)


음악의 이해

김예지

▸ 선천성 망막색소변성증으로 1급 시각장애 판정을 받았지만, 일반전형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피아노과에 입


학,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음대에서 피아노전공으로 박사과정 졸업

▸ 점자 악보를 보면서 연주

▸ 2020년 3월, 한선교 미래한국당 대표에 의해 1호로 당에 영입되면서 정치권에 입문

▸ 현 국회의원, 한국장애예술인협회 이사

▸ https://www.youtube.com/watch?v=52nJZFwzw2Y

▸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8번 비창 2악장 : https://www.youtube.com/watch?v=YeSeZnAMm20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3악장 : https://www.youtube.com/watch?v=2dXDPQzOTak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