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NAVER 지식백과

음악으로 철학하기

소리 없는 음악
존 케이지의 ‘4분33초’와 장자(莊子)의 ‘천뢰(天籟)’

우리가 어디를 가든 우리의 귀에 들리는 것은 대부분 소음이다. 우리가 소음을 귀찮게 여기면 소음은 우리
를 괴롭힌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을 주의 깊게 들으려 한다면 마침내 소음이 얼마나 환상적인가를 깨닫게
될 것이다. 소음이야말로 경이로운 음악이다. 가장 자연스러운…

- 존 케이지

연주하지 않는 연주회

우리가 그것을 주의 깊게 들으려 한다면 마침내 소음이 얼마나 환상적인가를 깨닫게 될 것이다. <출처: gettyimages>
1952년 8월 29일의 일이다. 미국 뉴욕의 우드스톡 야외 공연장.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가 무대 위에 등장
했다. 그는 천천히 피아노가 놓여 있는 쪽으로 걸어갔다. 이윽고 자리에 앉은 피아니스트는 피아노 뚜껑을 열고
그 위에 악보를 올려놓았다. 청중들은 늘 그랬던 것처럼 곧 이어질 연주를 기다리며 긴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대했던 피아노 소리는 들려오지 않았다. 연주자가 청중들에게 인사를 하고 무대에서 사라질 때까지. 연주자
였던 데이비드 튜더가 한 일이라곤 시계를 들여다 본 일이 다였기 때문이다. 청중들은 기대했던 피아노 소리 대
신 공연장 주변을 스쳐 지나가는 바람 소리, 그리고 자신들이 만들어낸 기침소리를 포함하여 술렁임, 웃음소리,
혀 차는 소리 따위의 소음을 들었다. 그리고 걱정스러움, 거부감, 황당함, 급기야 분노를 느끼기에 이르렀다. 그
날 연주된(또는 연주되지 않은) 음악은 바로 존 케이지가 작곡한 ‘4분 33초’였다. 연주회에 참석했던 청중들은
지금까지 들어왔던 음악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음악, 3악장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악곡의 연주를 들었다. 아
니 보다 정확하게는 연주되지 않는 음악을 들었다. 그날 그 곳에 모였던 청중들은 연주되는 음악 대신 소음을 들
었다.

사실은 케이지보다 앞서 소음을 음악으로 간주하고 적극적으로 반영한 음악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찰스 아이브스가 1911년에 작곡한 ‘고가사다리 차의 종소리’는 비록 전통적인 악기를 활용하기는 했지만 일상
의 소음을 음악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실제로 사람들은 그의 음악을 듣고 엄청난 ‘소음’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소음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음악이라는 형식만으로 소음 그 자체를 포획한 것은 케이지의 ‘4분 33
초’가 처음이다. 사실 소음과 음악의 차이를 결정하는 것은 형식이다. 모든 소음이 음악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일
정한 형식에 담겨야 비로소 음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길가에 굴러다니는 돌과 미켈란젤로의 작
품 다비드 조각상의 돌이 다른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흔한 총소리와 베버의 오페라 ‘마탄의 사수’에 나오는 총
소리는 바로 이 형식의 차이로 인해 소음과 음악으로 나뉘게 되는 것이다.

‘4분 33초’는 엄연히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을 갖추고 있는 악곡이
다. 1악장은 33초, 2악장은 2분40초, 3악장은 1분20초이다. 게다가 악장마다 어떻게 연
주하라는 지시까지 적혀 있다. 전통적인 악보와 다른 점은 이렇게 저렇게 ‘연주하라’는 지시
가 아닌 아무것도 ‘연주하지 말라’는 뜻인 ‘TACET(라틴어로 소리 없음을 뜻하는 음악 용
어)’라고 적혀 있다는 점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