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20 세기 음악

2 강 표현주의 , 그리고 Schönberg

表现主义,还有勋伯

1. 쇤베르크 勋伯格 (1874-1951
빈)
 아르놀트 쇤베르크
 Arnold Schönberg (1874-1951 빈 )

1) 조성음악 시기 (1908 년까지 ) 1) 调性音乐时期(到 1908 年)


2) 무조음악과 표현주의 (1921 년까지 ) 2) 无调音乐与表现主义 (1921 年之
3) 음렬음악 시기 (1933 년까지 ) 前)
4) 후기 작품 시기 ( 미국망명 이후 ) 3) 音列音乐时期 (1933 年之前 )
4) 后期作品时期 ( 流亡美国后 )
1.1 조성음악시기 (1908 년까지 )
1) 생활 1) 生活
 헝가리 국적 , 본래 혈통은 유대계 , 匈牙利国籍,本来的血统是犹太人,
정통 유대교 신앙에서 자라남 在正统犹太教信仰中成长
 1893 년 , 실내 교향악단에 첼리스트로
1893 年,以大提琴手的身份加入室内
입단 :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쳄린스키 交响乐团 : 作曲家兼指挥家钱林斯基
(Alexander von Zemlinsky 1872-1942) ( Alexander von Zemlinsky 1872-
만남 1942 )见面。

 그를 통해 간접적이나마 체계적인 通过他间接地接受了系统的音乐教育。


음악교육을 받게 됨 . 从他那儿学了三个月的对位法是亨贝
格一生所接受的正规作曲教育的全部。
 그로부터 3 개월 동안 배운 대위법은 1895 年辞去银行工作 , 决心走上音乐
쇤베르크가 평생 동안 받은 정규 작곡 家之路 .
교육의 전부
 1895 년 은행을 그만두고 음악가의 길을
가기로 결심
1. 1. 조성음악시기 (1908 년까지 )
2) 早期作品
2) 초기 작품

1897 年《弦乐四重奏 D 大调》 :


 1897 년 < 현악 4 중주 D 장조 > : 根据钱林斯基的意见,经过多种
修改后诞生 : 不添加作品编号
 쳄린스키의 의견을 반영하여 여러 가지를 수정한
결과로 탄생 : 작품번호 붙이지 않음 从 1898 年开始给作品编号 : 主要
 1898 년부터 작품번호를 매기기 시작 : 주로 몇 개의 把几首歌曲捆绑在一起给作品编
노래를 묶어서 작품번호를 매김 号
< 두 개의 노래 > Op. 1, 1898 《两首歌》 Op. 1, 1898
< 四首歌 > Op. 2, 1899
< 네 개의 노래 > Op. 2, 1899 《六首歌》 Op. 3, 1899-1903
< 여섯 개의 노래 > Op. 3, 1899-1903 등 等
1.1 조성음악시기 (1908 년까지 )

1899 년 현악 6 중주곡 < 정야 / 정화된 밤


Verklärt Nacht> Op. 4
1899 年弦乐六重奏《静夜 / 净化的夜
晚 Verklärt Nacht 》 Op. 4
 브람스와 바그너의 영향
 勃拉姆斯和瓦格纳的影响

 후기 낭만주의 사조의 전형  后期浪漫主义思潮的典型

 乐章不分 : 突然的音乐氛围的变化
 악장 구분 없음 : 급작스런 음악적 분위기의 给人一种展开故事的印象,为了提高
戏剧性的紧张感,乐器们还交替演奏
변화들이 마치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것 같은
特雷莫洛。
인상을 주며 ,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 和声方面 : 从瓦格纳的《特里斯坦
악기들이 교대로 트레몰로로 연주하기도 함 和伊索尔德》的延续来看,毫无问题
的后期浪漫主义的和声,即彻底的反
音阶但具有组成中心的和声语法。
 화성적 측면 : 바그너의 < 트리스탄과 이졸데 > < 净化的夜晚 > 是创作的了 3 年后
의 연장선상에 놓고 보아도 무리가 없는 후기 的 1902 年才在维也纳首演了
낭만주의의 화성 , 즉 철저히 반음계적이지만
조성적 중심을 갖는 화성어법

 < 정화된 밤 > 은 작곡된 지 3 년 후인 1902


년에야 빈에서 초연됨
1.1 조성음악시기 (1908 년까지 )

 1902 년 베를린으로 이주 , 베를린 ‘


1902 年移居柏林,在柏林
Buntes 剧场担任编曲者兼指挥
분테스 Buntes 극장’에서 편곡자겸

지휘가로 일
1902 年,在理查德 · 施特劳斯
 1902 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의 만남 - 的帮助下,他开始在柏林斯特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도움으로 베를린 恩音乐学院教授作曲
스턴 음악원에서 작곡을 가르치기 시작 ,
作为教育者的人生
 교육자로서의 인생
1905 년 < 현악 4 중주 제 1 번 , OP 7>

 전통적 의미에서의 소나타 사이클 4 개 악장을 엮어 50 여분간 지속되는 커다란 단


악장
 길이에서 거대함

음악어법에서의 복잡함
대위기법의 사용 , 성부 진행결과로 조성이 만들어지지만 전통적 개념에서 벗어남

1905 年 < 弦乐四重奏第 1 号, Op7>


 传统意义上的 4 个奏鸣曲循环乐章组成,持续 50 多分钟的巨大乐章。
 长度上的巨大
音乐语法的复杂性
对位位法的使用,由声部进行结果组成,但脱离了传统概念
1906 년 < 실내교향곡 제 1 번 , OP 9>
 1906 년 < 실내교향곡 제 1 번 >

 현악사중주 1 번의 아이디어를 더욱 확장 시켜 더 큰 편성의


작품으로 만든 것
 큰 규모의 단 악장 , 대위법적 짜임새
조성적 모호성 , 반음계주의의 심화 , 온음음계와 4 도 화성의 사용
 후기 낭만주의와 표현주의의 사이

: 후기 낭만주의의 복잡성과 낭만주의 화성의 잔재


: 새로운 음향의 화음 , 즉 전통적인 화성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무조성을 향한 발걸음을 보여줌

1906 年 < 室内交响曲第 1 号 >


 将弦乐四重奏 1 的创意进一步扩张,制作成更大的编排作品。
 大型乐章,大违法的结构
组成模糊性、反音阶主义的深化、全音音阶和四度和声的使用
后期浪漫主义与表现主义之间
: 后期浪漫主义的复杂性和浪漫主义火星的残余 .
: 展现出新音响的和声,即向用传统和声理论无法解释的无声迈出的一步。
1.2. 조성에서 무조성으로
 1907 년에서 1909 년 사이 : ‘ 자유반음계주의’로 변화 1907 年至 1909 年之间 : ,
 ‘ 비화성음’들은 화성적 맥락과 관계없이 등장하며 转变为 " 自由反音阶主义
해결을 필요로 하지 않음  " 非和声 " 与和声脉
无关地登场 , 不需要解决
 감상자로 하여금 3 화음적 배경을 상상하지 못하게 함   让欣赏者无法想象
 “ 불협화음의 해방” 三和声的背景
  " 不和谐的解放 "
: 불협화음들이 3 화음에 의해 지배 받거나
조성적 맥락 속에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 不和谐音不是由三和音
자유로운 독립적 개체로서 서로 연관됨 支配或在组成性脉络中发挥
作用 , 而是作为完全自由的
: 3 화음이 수직적 음 구조를 대표하고 다른 独立个体相互关联。
모든 것이 이에 대한 종속적 의미로 해석되는 수백 년 : 三和音代表垂直音结构 ,
동안의 음악적 위계질서 해체
其他一切都被解释为从属意
义 , 数百年来音乐等级秩序
 < 현악사중주 제 2 번 > Op. 10, 的解体

 < 세 개의 피아노 모음곡 > Op. 11,


 < 연가곡 궁중정원의 책 > Op. 15,
 인성과 관현악을 위한 모노드라마 < 기대 Erwartung>
Op 17 등
1908 년 < 현악 4 중주 2 번 > OP. 10
从组成开始到无组成结束
 조성으로 시작하여 무조성으로 끝남
 前两个乐章是组成音乐 :
 처음 두 악장은 조성음악 ,개별성부들은 个别声部是多声音乐的结
다성음악적 짜임새 构
 与声乐一起演奏的,最
 성악과 함께 연주하는 마지막 두 악장은 조 개념이 后两个乐章的组概念逐渐
점차 약해지다가 결국 사라짐 : 减弱,最终消失 : 特定 3
특정 3 화음이 가끔식 사용 和音偶尔使用。
 第 4 乐章 : 组成感逐渐
 4 악장 : 조성적 느낌이 점차 사라짐 . 消失。
 조성이라는 중력을 벗어난 새로운 음악공간  脱离建造这个重力的新
音乐空间
 1908 년 12 월 현악 사중주 제 2 번이 연주되었을  1908 年 12 月弦乐四重
때 또 한 차례의 소동이 일어남 , 서양음악사에서 奏第 2 号演奏时再次发生
가장 큰 스캔들을 일으킨 작품으로 기록됨 骚动,成为西方音乐史上
最大的丑闻作品。
1.3. 무조성과 표현주의无调音乐和表现主义
表现主义,对法国印象主义的反感
 표현주의 프랑스 인상주의에 대한 반감  第一次世界大战带来的惨状和混
乱的状况,心理上的矛盾
 1 차 대전이 가져온 참상과 어수선한 상황 , 
심리적 갈등  呼吁人类内心世界的自我分析性
表达,而不是像照片那样真实的描
 사진과 같은 사실적 묘사가 아닌 인간의 내면
述。
세계에 호소하는 자아 분석적 표현 
 추상적 , 대상의 재현성 모호해짐 . 긴장과 공포 ,  抽象的,对象的再现性变得模糊。
通过线条的构成或几何色调表现紧
불안과 갈등 , 잠재의식 속의 충동과 반항성 등을
张和恐惧、不安和矛盾、潜意识中
선의 구성이나 기하학적 색조를 통해 표현 的冲动和反抗性等。
 1910 년 경부터 1925 년경 까지 독일을 중심으로  1910 年至 1925 年成为以德国为
中心展开的艺术整体思潮
전개된 예술 전반 사조가 됨
 칸딘스키 : 대상의 재현을 포기 ( 추상 ) 坎丁斯基 : 放弃对象的再现 ( 抽
象)
 쇤베르크 : 조성을 완전히 저버리고 무조음악 작곡 亨贝格 : 完全放弃营造,创作无调
音乐
칸딘스키의 예술론 坎丁斯基艺术论
坎丁斯基 : 从表现到抽象
 칸딘스키 : 표현에서 추상으로
 完全没有暗示对象的部分 :
 대상을 암시하는 부분이 전혀 없음 : 오직 只有色彩和线条的多样性
색채와 선의 다양성
 색 , 직선 , 곡선들은 각각 의미하는 느낌이  颜色、直线、曲线都有各自
있어 화가는 이들 요소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代表的感觉 , 画家可以适当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使用这些要素来表达自己的感

그림 그 자체만으로 표현 가능
색과 형태는 어떤 형상을 묘사하는 재료가 仅凭画本身就可以表现出来
아니라 마치 음악에서 음이나 리듬처럼
颜色和形态不是描述某种形象
추상적인 언어가 되어야 함
的材料,而是像音乐中的音或
핵심적인 주장은 바로 미술이 음악이라는 节奏一样抽象的语言。
모델을 따라야 한다는 것
核心主张就是美术要遵循音乐
 음악의 비묘사적이고 비재현적인 특성
这一模式

音乐的非描写性和非再现性的
特性
2. 무조음악과 표현주의 表现主义音乐
 反对传统的美的概念、
 표현주의 음악 标准、尺度,追求新的
美的理想
 전통적 미 개념 , 기준 , 척도에 반대 , 새로운  打破艺术固有的形态
미의 이상 추구 或陋习 : 表现作家的内
心世界
 예술의 고착된 형태나 인습 타파 :
 艺术比真实的外表更
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출 应该反映内心的表现主
义作品。
 예술은 리얼리티의 외형보다 내면을 반영해야 可以解释为浪漫主义的
한다는 표현주의적 작품 延续。
 낭만주의의 연장선으로 해석할 수 있음  是以德国和奥地利为
中心发展并继承下来的。
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발달되고
계승되었다는 점 亨贝格 :" 音乐应该不依
赖于音乐以外的体系,
而是直接传达作曲家的
쇤베르크 " 음악은 음악 외적인 체계에 의존하지 内心世界。 "
않고 작곡가의 내면세계를 직접 전달하는  与坎丁斯基的相遇,
것이어야 한다“ 青骑士派活动
 칸딘스키와의 조우 , 청기사파 활동
1. 3. 무조성과 표현주의
무조음악 无调音乐

形成西方音乐 300 多年结


构基本框架的构成体系,
 300 년 이상 서양음악의 구조적 기본틀을 以 1910 年为起点失去了
형성했던 조성체계는 1910 년을 기점으로 그 其功能和意义。
기능과 의미를 잃게 됨  到 19 世纪末,通过持
续的前兆、不和谐音的使
 이미 19 세기 말에 이르러 계속되는 전조 , 用、反音阶主义等逐渐开
불협화음의 사용 , 반음계주의 등을 통하여 점차 始动摇的功能化性构成体
흔들리기 시작한 기능화성적 조성체계의 붕괴 系的崩溃
 " 불협화음의 해방”  " 不和谐的解放 "

음악 예 > Schönberg, Drei Klavier Stücke (Op. 11)


1.3. 무조성과 표현주의
 무조음악代表作品 无调音乐

 현악사중주 제 2 번 : 조성과 무조성의  弦乐四重奏第 2 号 : 组成与无


분기점 组成之分
◆ 正式的作品有独角戏
《 Erwartung 期待》 1909 ,《空
 본격적인 작품들로는 모노드라마 <Erwartung 中花园的书》 1908-09
기대 > 1909, < 공중정원의 책 > 1908-09 " 用新想法的表达和形式打破了
过去的美学障碍 "

“ 새로운 생각의 표현과 형식으로 과거의


미학적 장애물들을 부수었다” 亨贝格早期无调音乐的特征
1. 横向结构 : 横向展开的音给人
一种将和音向侧面展开的印象
 쇤베르크 초기 무조음악의 특징 2. 代位法的特征

1. 횡적 구조 : 횡적으로 펼쳐지는 음들은 마치


화음을 옆으로 펼쳐놓은 것과 같은 인상
2. 대위법적 특징
PIERROT LUNAIRE, OP.21
(1912)
 3 부 21 곡으로 구성된 연가곡 .
 벨기에의 시인 Albert Giraud (1860-1929) 가 프랑스어로 쓴 시 'Pier-
rot Lunaire'(1884) 를 독일의 극작가 Otto Erich Hartleben (1864-1905)
이 독일어로 번역한 가사를 텍스트로 함 .
 소규모 실내악 반주에 소프라노 : Sprechstimme

由 3 部 21 首歌曲组成的恋歌。
比利时诗人 Albert Giraud(1860-1929) 用法语写的诗《 Pierrot
Lunaire(1884) 》以德国剧作家 Otto Erich Hartleben(1864-1905) 翻译
成德语的歌词为文本。
小规模室内乐伴奏女高音 :Sprechstimme
1.4. 무조성에서 음렬음악으로
无调音乐的界限和 12 音技法的发
 무조음악의 한계와 12 음 기법의 발명

 조성음악의 틀을 벗어난 상태에서
무조음악을 작곡하는데 한계 : 통일적  脱离组成音乐的框架,创作无组
구성원리의 부재 音乐的局限 : 缺乏统一的构成原理

 조성음악적 한계에 대한 인식은 변화가  虽然对组成音乐局限性的认识没


없지만 , 그 대안으로서의 무조음악은 有变化 , 但是作为替代方案的无组
기법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 音乐在技法上需要完善。
 음열 음악 : ( 모두 1920 년에서 1923 년
사이 작곡됨 ) 音热音乐 : (均创作于 1920 年至
1923 年)

< 钢琴小物件 Op 23>


< 피아노 소품 Op 23>
< 小夜曲 Op 24>
< 세레나데 Op 24> < 钢琴组曲 Op 25>
< 피아노 모음곡 Op 25>
1.5. 음렬기법 音列技法
为了完成彻头彻尾的无调音乐,
철두철미한 무조음악을 성취하기 위해 반음계의 12 음을 必须将半音阶的 12 音全部用
모두가 음악 속에 똑같은 빈도로 사용해야 함 在音乐中相同的频率。
작곡과정에서 의도적이 아닐지라도 특정 음이 강조되는
在作曲过程中,即使不是故意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개연성을 제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 12 음 기법’이라는 강제적 규칙을 사용 的,也会有强调特定音的情况,
为了从制度上防止这种可能性,
使用了 "12 音技法 " 这一强制
** 12 개로 된 음열 性规则。
자유롭게 만들 수 있지만, 반음계의 12 음 모두가 한번씩 ** 十二音热
사용되어야 함
이렇게 만들어진 음렬이 작곡의 소재로 사용될 때, 12 개의
虽然可以自由制作,但半音阶
음 모두가 나올 때 까지 그 중 어떤 음도 반복될 수 없다. 的 12 音都要使用一次。
这样制作的音列被用作作曲的
 모티브 전개를 보다 체계적으로 하려는 방법: 주제 동기 素材时 , 直到 12 个音全部出
발전 기법 이라는 고전정신 现为止 , 其中任何一个音都不
 주성부는 H로, 보조성부는N 으로 표시함 能重复。
更系统地展开主题的方法 :
피아노 소품 Op23, 세레나데 Op. 24, 피아노 모음곡 Op 25, 名为主题同步发展技法
(1923 년 완성) (thematic-motivic) 的古典精
< 현악사중주 제3번> 1927, <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 1928, <
 神
모세와 아론> 2 막으로 미완성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