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음악의 이해

리스트의 특징&업적

▸ 교향시 작곡

▸ 피아노 연주기법을 혁신시킨 비르투오조

▸ '피아노 독주회'를 최초로 만들어냄 (피아노의 슈퍼스타)

▸ 피아노를 위한 새로운 작곡 기법들을 고안해냄으로써 근대 피아노 연주법에 중대한 기초가 됨

▸ (리스트는 오랫동안 화려하기만 하고 내용은 없는 작곡가로 여겨졌지만, 근래에 들면서 당대 음


악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 이후의 여러 변화들을 예견한 작곡가로서 새로운 평가를 받게 되
었다)
음악의 이해

교향시
음악의 이해

교향시
음악의 이해

교향시 (SYMPHONIC POEM)


▸ 리스트 (F.Liszt) : 전주곡 (Les préludes)

▸ https://www.youtube.com/watch?v=IywXC0KsEWQ

▸ 드뷔시 (C.Debussy) : 목신의 오후의 전주곡 (Prélude à l'après-midi d'un faune)

▸ https://www.youtube.com/watch?v=kgxqODk3ZNk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R.Strauss) :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 (Till Eulenspiegels lustige Streiche Op.28)

▸ https://youtu.be/sToQOWJhTaM

▸ 시벨리우스 : 핀란디아 (Finlandia Op.26)

▸ https://www.youtube.com/watch?v=dHy19HdWQH4

▸ …
음악의 이해

교향시 (SYMPHONIC POEM)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R.Strauss) :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 (Till Eulenspiegels


lustige Streiche Op.28)

▸ (편곡버전) https://youtu.be/sToQOWJhTaM
음악의 이해

생상스 (C.SAINT-SAENS(1835~1921)) 죽음의 무도

감상 : https://www.youtube.com/watch?v=0qMW8ZJsU_c
C.SAINT-SAENS(1835~1921)

1872년. 프랑스 시인 Henri Cazalis의 시를 피아노와 함께 부른 예술가곡.


프랑스에서 오래동안 전해내려온 죽음의 신에 대한 이야기

1874년 생상스가 원래의 보컬라인을 솔로 바이올린으로 바꾸고 오케스트라


에 맞춰 편곡

왈츠리듬

악마들의 음산함 속에 기괴한 해골들의 등장과 함께, 희극적인 해골들의 춤


을 통해 박진감 넘치면서 긴장감 속에 유머러스함을 풍김
C.SAINT-SAENS(1835~1921)

죽음의 신은 매년 할로윈의 한밤중이면 무덤에서 나와서 그가 바이올린을 켜는 동안


춤을 추다가 해가 뜨기 전까지는 자신의 무덤으로 되돌아가야한다.

곡의 시작과 함께 유령들의 축제가 시작됨

높은 선율의 바이올린 음률을 타고 무덤에서 해골들이 하나둘씩 일어나기 시작하여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기 시작

유령들의 춤은 여러 악기들의 소리를 조합해서 정교하게 만들어내고 있는데 대표적


인 것이 실로폰을 이용해 뼈와 뼈가 마찰하는 소리를 만들어냄

왈츠의 분위기가 고조되어 악마들의 춤이 절정을 넘어설 때 오보에의 스타카토가 새


벽의 수탉 울음 소리를 내면서 악마들의 춤은 끝남
C.SAINT-SAENS(1835~1921)

1835년 프랑스 파리에서 출생


아버지는 일찍 사망하심
화가 어머니,
아마추어 피아니스트 고모
선천적으로 절대음감.
3세. 고모로부터 피아노교육
5세. 작곡시도
6세. 가곡 작곡
7세. 화성학을 정식으로 배움
10세. 피아노연주로 데뷔
C.SAINT-SAENS(1835~1921)

‘프랑스의 모차르트’
13세. 파리음악원 입학. 샤를 구노로부터 작곡과 오르간을 배움
16세. 오르간 콩쿠르 1위
16세. 첫번째 교향곡 작곡 (베토벤은 30세)
17세. 성 파리 교회의 오르가니스트가 됨
22세. 파리에서 가장 큰 마들렌 교회의 오르가니스트가 됨.
파리 박람회에서 주최한 작곡콩쿠르 1위

음악사 최초로 세계일주를 한 작곡가


C.SAINT-SAENS(1835~1921)

18세기 이후 프랑스 작곡가들은 오페라에만 관심을 가졌고, 기악음악에는 소


홀했는데, 생상스는 기악음악을 발전시킴 (거의 전 장르 작곡)

프랑스 작곡가로서는 처음으로 교향시 작곡

죽음의 무도 Op.40 (1874) ­ 프랑스의 시인 ‘앙리 카자리스’의 시에 바탕을


두고 악마들의 음산함과 괴기함을 왈츠 리듬으로 환상적이고 화려하게 표현
했다.
C.SAINT-SAENS(1835~1921)

감상 ­ 동물의 사육제
악기편성 : 관현악과 2대의 피아노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짧게 작곡
C.SAINT-SAENS(1835~1921)

제1곡 :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제 11곡 : 피아니스트


제2곡 : 수탉과 암탉 제 12곡 : 화석
제3곡 : 당나귀 제13곡 : 백조
제4곡 : 거북이 제14곡 : 끝곡
제5곡 : 코끼리
제6곡 : 캥거루
제7곡 : 수족관
제8곡 : 노새
제9곡 : 숲속의 뻐꾸기
제10곡 : 큰 새장 속의 작은 새

감상 : https://www.youtube.com/watch?v=2k_JW9EDyqE
음악의 이해

무용음악

▸ 차이코프스키 (1840 ~ 1893, 러시아) : 신데렐라(1870), 백설공주(1873), 백조의 호수


(1876), 잠자는 숲속의 공주(1889), 호두까기 인형(1892)

▸ 스트라빈스키 (1882 ~ 1917, 러시아) : 불새(1910), 페트루슈카(1911), 봄의 제전(1913)


음악의 이해

차이코프스키
▸ 5세때부터 음악 레슨을 받음 ▸ 26세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취임. 교향곡 제1번 ‘겨울날의
환상’ 완성
▸ 10세 법률학교 입학
▸ 36세 발레 ‘백조의 호수’ 완성. 폰 메크 부인과 서신왕래가 시
▸ 15세 피아노와 음악이론을 배움 작됨
▸ 19세 법률학교 졸업 후 법무성에서 공무원으로 근무 ▸ 38세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직을 그만둠
▸ 22세 본격적으로 음악공부 시작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49세 발레 ‘잠자는 숲속의 공주’ 완성
입학)
▸ 50세 폰 메크 부인으로부터 원조가 끊어짐을 통보받음
▸ 23세 법무성 사직
▸ 52세 발레 ‘호두까기 인형’ 완성
▸ 24세 오스트로프스키 희곡에 의한 서곡 ‘폭풍우’를 작곡
▸ 53세 교향곡 제6번 ‘비창’ 완성. 11월 2일 발병, 11월 6일 사
▸ 25세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졸업 망
음악의 이해

차이코프스키의 발레음악

▸ ‘음악을 줄거리 속에 끌어넣는 일에 힘을 기울였으며, 무용과 연극 표현에 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음악을


작곡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차이코프스키)

▸ 당시 발레음악은 무용을 위한 소위 반주음악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했는데, 차이코프스키는 이것에 일관된 스


토리를 갖게 하여 발전시킨, 드라마투르기라는 것을 설정했음. 그리고 작곡에 관해서는 항상 교향곡이나 오
페라에 대한 것과 같은 자세로 작곡함 (라이트모티브 등)

▸ 드라마투르기 : 원래는 희곡 작법이라는 뜻이었으나 일반적으로, 연극 이론, 희곡 연출법을 뜻한다. (영화사


전)
음악의 이해

차이코프스키의 발레음악

▸ 차이코프스키 (1840 ~ 1893, 러시아) : 신데렐라(1870), 백설공주(1873), 백조의 호수


(1876), 잠자는 숲속의 공주(1889), 호두까기 인형(1892)

출처 : 네이버캐스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0828&cid=59000&categoryId=59000)
음악의 이해

백조의 호수 줄거리

▸ 울창한 숲에 둘러싸인 독일 어느 작은 나라의 왕자 지그프리트는 성년식의 무도회에서 자신의 비


를 택하기로 되어있다. 그 전날 밤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가게 된 숲에서, 왕자는 백조들이 사람
으로 변하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그녀들은 나쁜 마법사 로트발트에 의해 백조의 모습으로 바뀐
것이며, 밤에만 인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왕자는 백조인간 오데트를 사랑하기 시작하여 이튿날
무도회에 초대한다. 로트발트는 그 무도회에 딸 오딜을 오데트로 변장시켜서 보낸다. 그러나 그것
을 깨닫지 못하는 지그프리트 왕자는 오데트로 변장한 오딜을 자신의 비로 삼는다고 발표하고…

▸ 지그프리트는 급히 숲속 호수로 가서 슬퍼하는 오데트에게 사과하고 두 사람이 호수에 몸을 던지


자 사랑의 힘으로 마법이 풀리고 백조들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두 사람은 맺어진
다.
음악의 이해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
음악의 이해

매튜 본 (MATTHEW BOURNE, 1960 ~ )

▸ 영국이 자랑하는 안무가 겸 연출가

▸ 무용 공연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공연을 만들기 위해 어려운 동작들 대신 쉽게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는 동작이나 표현법을 적용

▸ 음악과 원작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이를 전달할 수 있는 동작이라면 순수 무용 뿐 아니라 뮤지


컬, 연극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다 응용해서 사용

▸ 무용? 발레? 댄스시어터? 댄스뮤지컬?

▸ 1992년 ‘호두까기 인형’으로 주목받음

▸ 고전발레를 그대로 해석하지 않고 색다른 아이디어와 파격적인 무대로 연출


음악의 이해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1995)
▸ 1995년 초연 후 매튜 본을 천재 안무가로 인정받게 만든 최고의 역작

▸ 이전 고전 발레에서 보여주었던 백조의 피상적인 아름다움을 떠나 백조의 본질과 움직임의 특성, 인간의 심리적 갈등과 외로움을 정확히 표현하여 호평받음

▸ 이미 영국의 웨스트엔드나 미국의 브로드웨이에서는 역사상 가장 롱런한 무용 작품

▸ 발표 당시 논란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던 이 작품은 영미 양국의 최고 공연예술상인 올리비에상과 토니상을 한꺼번에 안겨줌

▸ 백조를 남성으로 표현

▸ 우아하고 아름다운 발레리나의 자태보다는 또렷한 근육과 역동적이고 강인한 남성 앙상블을 통해 고전발레를 댄스 뮤지컬의 장르로 승화시킴

▸ 근육질의 상체를 드러낸 남성 무용수가 백조로 등장해 강한 힘과 카리스마로 관객을 사로잡음

▸ 모던 클래식 장르인 뮤지컬 발레 형태로 연출되었다는 점이 성공의 비결

▸ LG아트센터에서 여러번 공연됨

▸ 고전 발레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HKo-v9HnVw

▸ 매튜 본 버전 마지막 장면 (8:35) https://www.youtube.com/watch?v=13_D0djH3jc


음악의 이해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1995)

▸ 원작의 배경을 현대 영국 왕실로 옮겨 사랑을 갈망하는 왕자와 그의 환상속 존재인 백조간 심리드라마

▸ 매튜 본은 자신의 작품을 ‘진정한 사랑을 경험할 수 없었던 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라고 소개함

▸ 주인공 ‘백조’는 ‘왕자’에게 결핍한 힘과 아름다움, 그리고 자유를 지닌, 왕자의 이상향이자 구원자

▸ 이 작품은 남성 백조와 이로부터 헌신적인 사랑을 받는 왕자라는 관계 설정 탓에 종종 동성애를 다룬


것으로 이해되기도 함

▸ 하지만 매튜 본은 ‘백조는 왕자의 마음 상태를 반영해주는 일종의 또 다른 자아’라면서 ‘둘 사이의 관계


가 에로틱해 보이기도 하지만 결국 2막의 듀엣은 두 남자가 아니라 한 남자와 한 마리의 새가 함께 추
는 춤’이라고 설명함
음악의 이해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1995)
▸ 줄거리 : 엄격한 절차를 따지는 답답한 환경에서 자란 왕자가 처음으로 반한 상대는 아름답지만 왕실에 어울리지 않는 격조 없는 여인이다.
게다가 개인비서가 자신의 야욕을 달성하고자 매수한 여자다. 여왕은 젊은 사관들에게는 추파를 던지는 반면, 어머니의 사랑을 갈구하는 아
들에게는 차갑기만 하다.

▸ 그래서 왕자는 어릴 때부터 백조 인형을 껴안고 지냈다. 마음에 두었던 여인조차 개인비서의 끄나풀이었음을 알게 된 왕자가 자포자기의 심
정으로 공원에서 자살을 시도하려 할 때, 꿈속에서 보곤 했던 백조가 호수에서 나타난다. 아주 매력적인 남자 백조. 한 무리의 백조 떼가 몰
려들어 왕자를 위협하자 백조는 이들로부터 왕자를 보호해준다. 이로써 남자 백조는 왕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유일한 존재이자 사랑의 대상
으로 자리잡는다.

▸ 묘한 매력의 젊은이는 무도회의 모든 공주, 심지어 여왕마저 유혹한다. 자신에게는 차갑기만 한 어머니가 그에게 빠져드는 것을 본 왕자는
질투심에 사로잡힌 나머지 분노해 여왕에게도 폭력을 가하는 지경에 이른다. 왕자는 결국 호위병에 끌려 나간다. 방에 감금된 채 정신을 잃
고 누워있는 왕자에게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폭력적으로 다량의 진정제를 투여하고 떠난다.

▸ 정신이 더욱 몽롱해진 왕자의 침대 밑에서 수많은 백조가 스멀스멀 기어 나오더니 왕자를 위협한다. 이때 왕자의 유일한 희망이자 사랑인
백조가 다시 나타나 그를 보듬는다. 왕자의 방에 돌아온 여왕은 아들이 죽어있는 것을 보고 비로소 회한의 눈물을 흘린다. 그러나 왕자는 이
제야 사랑하는 백조의 품에 안겨 처음으로 평화를 찾았다.
음악의 이해

호두까기 인형
음악의 이해

스토리 + 음악

▸ 오페라 (베르디, 푸치니)


▸ 뮤지컬
▸ 바그너의 음악극 (라이트모티브)

▸ 발레음악 (차이코프스키, 스트라빈스키), 무용음악

▸ 음악동화 - 피터와 늑대 (프로코피에프)

▸ 영화음악, 드라마음악 등 영상음악

▸ 서커스 - 태양의 서커스


▸ 등등등
음악의 이해

바그너의 음악극
▸ 음악극 : 음악과 아리아에 치우치지 않고 음악, 미술, 무용, 문학, 무대장치를 하나로 결합한 종합예술작품.

▸ 바그너는 음악극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대본을 직접 쓰고 오페라 극장을 설계, 무대 연출까지 맡았음.

▸ 바그너의 대표작 : 니벨룽겐의 반지, 트리스탄과 이졸데, 파르지팔, 로엔그린(결혼행진곡 합창곡), 탄호이저 등

▸ 라이트모티브(유도동기)로 각 캐릭터의 성격, 사상을 나타냄. 현대 영화, 드라마의 테마곡의 시초

▸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 독일 남동쪽에 위치한 바이로이트 지역에서 매년 7월부터 한달간 바그너의 음악극을 상연하는 축제.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은 1900석
규모, 오케스트라 피트를 무대 아래쪽에 설치한 최초의 극장. 바그너의 작품만 공연함

▸ 긴 상연시간 : 대부분 6시간동안 상연, 니벨룽겐의 반지는 도합 13시간짜리 4부작으로 4일동안 관람,

▸ 바그네리안 : 바그너 애호가 (슈베르트의 친구들이자 애호/후원가 모임 = 슈베르티아제)

▸ 히틀러가 사랑했던 음악가였기때문에 유대인들은 바그너 음악을 듣지 않는다고…

▸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 니벨룽겐의 반지 무대장치 : https://www.youtube.com/watch?v=Iuf1NOAWvug

▸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 니벨룽겐의 반지 중 라인의 황금 예고편 : https://www.youtube.com/watch?v=4R_kcWP0_S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