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제3주차(3월 22일)

Chapter 8.15세기 영국과 부르고뉴 악파의 음악

Ÿ 100년 전쟁 중 영국의 문화가 프랑스에 유입됨 – 1453년 종전때까지 영국 음악의 영향이 나타남
Ÿ Contenance angloise
w 영국의 음악적 영향이 프랑스는 물론 베네룩스 지역까지 소개됨
w 3도와 6도의 화성을 자주 사용하고 병친행을 통해 불협화를 피하는 방법이 표적
w 호모포니적 짜임새
w 마르탱 르 프랑(1410 ca-1461)이라는 시인이자 외교관이 프랑스의 두파이와 뱅슈아가 던스터블의 뒤를 이어 le
contenance angloise를 따르고 있다고 묘사함.
Ÿ 부르고뉴의 작곡가들 역시 영국음악에 큰 호감을 표시하고 있다.

가. 영국 음악
1) 파버든
Ÿ 15세기 초 영국 음악은 연속적인 ₃⁶화음을 자주 사용-> 대륙음악에 비해 훨씬 풍부한 울림이 나타남
w 14세기부터 이러한 형태가 나타났는데 이것을 English Discant나 파버든이라고 부름
w 영국인들은 1, 3, 5, 6, 8도가 허용되었고, 시작은 1, 5, 8도로 시작하고, 5도나 8도로 종지했다.

Ÿ 1430년경 용어가 소개되지만 음악은 이전부터 있었음


Ÿ 영국의 라틴어 가사의 음악은 대부분 종교 의식을 위해 작곡됨
Ÿ Faburden의 중간성부(mean)에는 성가가 오고, 4도위의 윗 성부와 대개 3도 아래에 오는 아래 성부로 구성되며,
종지에 가면 5도 아래로 바뀐다.

Ÿ Faburden 성부는 제일 밑에 있는 성부
w 이 용어는 burden에서 왔는데 이것은 영어로 낮은 성부라는 의미
w fa는 계명창의 fa이다.
w 수도사들이 쉽게 노래하는 즉흥양식으로 이해함
Ÿ 이 양식은 유럽 작곡가들이 사용하고 약간의 의미차이가 있는 fuaxbourdon에 영향을 준 것이 분명하다.
Ÿ 실제 연주
w 먼저 성가(1)에 있는 음을 보고 같은 음을 상상한다(2). 그리고 이 음에서 5도를 낮춘다(3).-> 이 경우에는 5도와 8도
로 구성됨
w 성가(1)에 있는 음을 보고 3도 위의 음을 상상한다(2), 그리고 이 음에서 5도를 낮춘다(3)-> 3도와 6도 관계가 생김
w 여기에 트레블에 해당하는 높은 성부를 4도 위로 중복시켜서 만든다.

114 cafe.daum.net/imyongpass
Ÿ 파버든 읽기

성가(1)

상상한음(2)

5도 낮춘 음(3)

Ÿ 유럽 작곡가들이 사용하는 Fauxbourdon은 거짓 베이스(false bass) 혹은 생략이란느 뜻이다.


Ÿ 악보를 적는 사보가는 6도 병행으로 악보를 적고, 가운데 성부를 비움
Ÿ 정선율은 최상성부에 있고 상성부의 완전 4도 아래가 노래됨

w Dufay, Missa Sancti Jacobi 중 영성체송 Vos qui secuti estis me(마디 1-7까지 포부르동)

Ÿ Cantilena, motet, and Mass Ordinary


w 파버든의 특징적인 협화는 보다 복잡한 장르인 칸틸레나에서 발견된다.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15


제3주차(3월 22일)

w 칸틸레나는 콘독투스처럼 자유롭게 작곡되고, 라틴어 가사를 호모리드믹하게 가사 붙였으며, 기존 성가에 기초하지
않는다.
w 파버든처럼 첫째 자리바꿈한 화음의 병행이 작품에 포진하지만, 보다 변화가 심함
w 모텟이 보다 발달하였고, 미사 통상문에도 자주 새로운 선율을 붙인 작품들이 나타난다.
Ÿ 귈렐무스(Guilielmus)라는 15세기 말의 이론가는 「음악 기법의 지침에 관하여」라는 저서를 통해 잉글리쉬 디스
칸트, 파버든, 포부르동의 의미차이를 두지 않는다. 따라서 이 단어들이 혼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2) 레오넬 파워(Leonel Power, ? - 1445)


Ÿ 영국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올드홀 필사본>이라는 문헌에 많이 등장
Ÿ 정선율을 사용한 연작미사를 쓴 첫 세대에 속하는 작곡가

원 성가

Ÿ 이 올드 홀 필사본의 악곡들은 키리에 악장들이 없다. 그러나, 글로리아부터 이어지는 통상문의 테노르는 거의

116 cafe.daum.net/imyongpass
같은 리듬에 Alma Redemptoris Mater를 사용함

3) John Dunstable(약 1390-1453)


Ÿ 15세기 전반 작곡가들 중에 가장 두드러진 작곡가. 아이소리듬 모텟을 포함하여 미사 통상문, 성가 혹은 전례 가
사에 가사를 붙인 것이나 세속적인 노래 등을 남김
Ÿ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은 3성부의 교회음악으로 안티폰, 찬미가 미사 악장 등이다.
Ÿ 3성부 악곡들이 가장 많다 – 안티폰, 찬미가, 미사 악장 등에 사용
Ÿ 미사는 정선율에 동질서 리듬을 적용
Ÿ 정선율에 기초한 연작 최초의 미사곡으로 추정되는 작품 – Missa Da gaudiorum premia(즐거움의 상을 주십시
오 미사)
Ÿ paraphrase : 정선율이 테너에 있는 것이 아닌 가장 상성부에 있고, 새로운 음들은 성가 주변에 장식하는 형태이
다. 아래에 있는 예는 원래 단성 성가에 기초하여 paraphrase한 기법이다.

w 패러프레이즈의 예

Ÿ 대표적인 3성부의 motet "Quam pulchra es"는 기존의 멜로디에 근거하고 있지 않다. 이 작품의 세 성부는 서로
성격적으로 같고 동등한 중요성을 가진다.

w motet "Quam pulchra es“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17


제3주차(3월 22일)

<중략>

Ÿ 아이소리듬이나 여타의 기법 없이 작곡된 모텟으로 보아야 한다. 3도와 6도가 자주 포함되는 음향이 꽁트낭스
앵글르와즈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Ÿ 성서 중 아가서의 시구들을 사용했으며 단어의 액센트가 살아있다.

4) 모텟의 재정의
Ÿ “Quam pulchra es”는 15세기 당시에는 모텟이라고 부름
w <motet의 변천>

1200년대 초 상성부에 가사가 더해진 클라우줄라로부터 유래된 다성음악


라틴어나 불어로 된 종교적 혹은 세속적 가사가 붙은 2-3성부의 음악 성가 혹은
1200년대-1300년경
다른 기원의 음악으로부터 테노르가 올 수 있음
약 1310-1450 isorhythmic motet : 동형리듬에 의해 구성된 테노르를 가짐
1400년대 미사 외의 전례적인 가사를 가지는 라틴어의 다성음악
1500년대 중반이후 다양한 언어로 된 종교적인 가사를 가진 다성음악

118 cafe.daum.net/imyongpass
Ÿ 유럽에 전례된 3성부 짜임새는 가장 중요한 성부(주요한 선율이 오는 성부)를 최상성부로 구성됨

5) Carol
Ÿ 캐롤은 원래 단성으로 노래하는 춤곡이었으나, 15세기들어 다성캐롤로 나타난다.
Ÿ 영국적 음향은 다성 캐롤로 나타난다. 중세의 carole(단성과 합창이 교대)에서 유래
Ÿ 15세기 영국의 캐롤은 2-3성부의 다성음악으로 영어, 라틴어 혹은 두 언어를 혼합한 가사를 갖는다.
Ÿ 성탄절이나 성모 마리아를 주제로한 종교적인 가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크리스마스 캐롤의 유래로 보임.
Ÿ 여러 개의 절(stanza)이 동일한 음악을 되풀이하고, burden이라 불리는 후렴이 곡의 처음과 각 절이 끝날 때 반
복된다.- 대개 절은 독창자, 버든은 합창으로 불렀음.(악보에 Verse라고 나온 부분이 Stanza, 그리고 chorus라
고 적힌 것은 독창자들임)
Ÿ 정확히 언제, 어디서, 누가 노래했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종교축일이나 행사에 춤을 추기위한 음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Ÿ 전형적인 영국식 짜임새를 보이기 때문에 최상성부의 리듬이 가장 활발하고 아래 두 성부는 6화음으로 거의 병진
행하다가 종지하는 부분에서만 약간 변화한다.

Ÿ 음향대조기법
w 두성부가 노래하다가 중간중간에 모든 성부와 교대로 노래하는 것.
w 영국 캐롤에서 중요한 특징이다.

w 캐롤 : Alleluia A newe" work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19


제3주차(3월 22일)

나. 부르고뉴의 음악
Ÿ 15세기 국제적 양식이 발달한 궁정
1) 부르고뉴 공작령

Ÿ 프랑스의 봉건제후 중 하나에서 세력을 넓힘


Ÿ 현대의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의 북동부, 룩셈부르크와 로레인 지역을 포함
Ÿ Philip the Bold(1363-1404 재위)-1384년 유럽에서 가장 크고 화려한 Chapel를 세움.
Ÿ Philip the Good(1419-67 재위) : 1445년까지 23명의 가수를 고용
Ÿ Charles the Bold (1467- 1477 재위)= 북유럽에 체류하면서 플랑두르 악파의 작곡가들이 많이 채용되었다.

120 cafe.daum.net/imyongpass
- 샤를 용담공의 전사후 마리 드 부르고뉴가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대공과 결혼하여 영토가 분할됨.
Ÿ 현대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랑스 동북부, 로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정치,
경제적으로 막강한 세력을 구축함. 디종을 중심으로 브뤼주, 브뤼쉘, 헨트같은 도시에서 활동
Ÿ 작곡가들이 좋은 조건을 찾아 유럽 각지로 돌아다니면서 다양한 지역의 음악이 혼재하였다.

2) 장르와 짜임새
Ÿ 작곡가들은 칸틸레나양식의 3성부 양식도 쓰지만, 궁극적으로는 4성부 구조를 확립시키고 모방은 일부에만 사용
했다.
Ÿ 종지는 V-I로 진행되는 경우들이 많아진다.(중세의 이중이끈음 종지나 포부르동의 종지 형태가 점차 사라진다)
Ÿ 15세기 중반 작곡가들은 1)불어로 된 세속 샹송, 2)모텟, 3) 마니피카트, 4)미사 통항문을 주요한 장르로 작곡했다.
대부분 3성부였으며 각 성부의 음역이 약간씩 넓어졌다.

Ÿ 부르고뉴 악파의 첫 세대 작곡가들


w 요하네스 치코니아(Johannes Ciconia 1379-1412)
w 니콜라 그르농(Nicolas Grenon 1375-1456)

Ÿ Du Fay와 Bainchois
w 던스터블 다음 세대에 2 명의 뛰어난 작곡가들
w 부르고뉴 궁정과 밀접한 관계
w 1430년부터 1470년 경 사이에 유행한 유럽 음악의 모든 장르를 양식적으로 정착시킴
w 영국 음악의 특징을 프랑스 특유의 섬세함과 조화시켜 새로운 대륙 음악의 양식으로 정착시킴 à ‘새로운 음악양식의
선구자’
w 두 파이는 세속음악과 종교음악 전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김
w 뱅슈아는 주로 세속음악에 뛰어난 업적을 남김

3) Gilles Binchois(Binchoys 등으로 적기도 함. ca. 1400-1460)


Ÿ 동시대 듀파이보다 더 인기가 있었을 것으로 보임-> 플랑두르 지역에서 거주
Ÿ 15세기 샹송은 불어 세속 시를 가사 붙인 다성음악이다. 샹송은 fine amour의 우아한 양식이고 그 가운데에서도
주로 롱도 형식(ABaAabAB)을 주로 사용하였다.

가) Bindchois의 교회음악
Ÿ 연작 미사는 없고 2악장이나 단악장 형태를 씀
Ÿ 미사는 성가를 테노르에서 긴 음표로 제시하기보다 선율적인 패러프레이즈를 사용함

나) Binchois의 샹송
Ÿ 필립 선공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 Binchois는 샹송이 가장 중요한 장르로 꼽힌다. <De plus en plus>는
1425년경 쓰여진 롱도로 부르고뉴 악파 샹송의 좋은 예이다.
<악보 확인>
Ÿ 박자와 리듬
w 던스터블처럼 Binchois 역시 마디에서 마디 간에 리듬을 자주 변화시킨다. ==> 그러나 마쇼나 Ars Subtilior처럼
복잡한 리듬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21


제3주차(3월 22일)

Ÿ 음악과 가사
w 단음절적으로 혹은 2-4음이 묶여서 사용되기도 함
w 선율은 아치형을 주로 취한다. 3도와 6도 음정이 대위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Ÿ 종지형
w 15세기 중반에 선호되는 종지의 공식은 6도가 8도로 진행되는 형태로 이전 시대와 비슷하다.
w 단, 15세기 보다 새로운 형태의 종지가 나타난다
Ÿ 이 종지형은 V-I로 가는 종지 형태를 느끼게 한다.
w Dufay, De plus en plus

122 cafe.daum.net/imyongpass
4) Guillaume Du Fay(기욤 뒤페/ 두파이)
Ÿ Du Fay(약 1397-1474)는 당시 가장 유명한 작곡가이다. 프랑스 북부 캉브레 대성당에서 훈련을 받고 자랐으며
이탈리아와 Savoy(사부아)지역에서 교회 음악가로 활동했다.
Ÿ 선구적인 3화음, 불협화를 세심하게 통제함, 유연한 리듬, 아치형 선율, 모든 성부가 동등한 다성구조, 형식의
확대 등이 대표적인 작곡방법
Ÿ 아이소리듬이나 포부르동도 사용함.

가) Chansons and the International Style


Ÿ 샹송은 긴 멜리스마, 잦은 당김음, 자유로운 불협화를 포함하는 프랑스 적 요소를 포함한다.
Ÿ 박을 다양하게 빠른음을 나누는 악구들은 아르스 숩틸리오르를 연상시킨다. 중간 부분에 박자를 바꾸기도한다.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23


제3주차(3월 22일)

Reseveilies vous- 깨어나라, 일어나라

Ÿ 다음 예는 Du Fay의 발라드 <Se la face ay pale>는 영국 음악의 영향이 나타난다. 순차적이고 멜리스마가
있으며 이태리 음악과 영국 음악적 특징이 공존하지만, 3도와 6도를 사용하는 부분이 영국적이라고 할 수 있다.
Ÿ aab 형식이 아님. 자유롭게 작곡되는데 이런 형태도 발라드라고 부름

124 cafe.daum.net/imyongpass
나) Motets and Chant Settings
Ÿ 다양한 양식의 종교음악을 작곡였다. 대개의 경우 기존의 성가를 기초로 변형시킨 예들이 많다.
Ÿ Fauxbourdon
w 찬미가 등과 함께 모테트에도 포부르동이 사용되기도 했다.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25


제3주차(3월 22일)

<포부르동 양식의 찬미가>

다) Du Fay의 미사음악
Ÿ Du Fay는 연작 미사곡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킴
w 미사 통상문을 가사로 하는 단악장 미사곡이나 2-3악장만 쓴 미사곡도 있음
w 최초의 레퀴엠 미사도 작곡했으나 유실되었다.
Ÿ 주요한 연작 미사곡은 1450년대에 주로 작곡
- Missa Caput(머리 미사곡 1440-1450) : 영국식 사룸 전례에서 부르던 악곡에 기초함.
듀파이의 것인지 의심되지만, 맞다면 듀파이가 쓴 최초의 정선율 미사가 됨.

126 cafe.daum.net/imyongpass
- Missa Se la face ay pale(1451)은 자신이 작곡한 3성부 발라드의 테노르를 사용하여 세속음악을 미사곡의
정선율로 사용하는 출발점이 됨

5) The Polyphonic Mass


Ÿ 1420년까지 통상문의 다양한 형태가 대개 분리된 작품으로 연주되었다. 먀소의 미사는 예외적이었으며 편집자
가 모아서 묶는 경우가 아닌 이상 대부분 별개의 곡이다.
Ÿ 15세기에는 통상문을 일관성있는 하나로 가사붙이는 것이 표준적인 관습이 되었다. 던스터블, Leonel Power 등
영국 작곡가들을 선두로 점차, 통상문의 다섯 악장을 하나로 만드는데 이를 Polyphonic mass cycle(다성연작미
사), 혹은 단순하게 mass라고 부름1)

가) 연작미사(Mass Cycle)의 음악적 연결


Ÿ 통상문 미사를 하나로 묶는 관습은 13세기 경가지 올라간다. 14세기에는 필사가들이 다성음악으로 만들면서 통상
문을 무으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작은 음악적인 연결은 아니었으며, 15세기 작곡가들에 와서야 미사의 부
분을 연관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했다.

1) Grout는 Mass는 교회의 예배형태로 mass는 음악장르로 대 소문자로 구분하여 쓰고 있음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27


제3주차(3월 22일)

Ÿ 스타일의 일관성
w 자유로운 작곡이든 성가를 패러프레이즈하든 혹은 테노르에 성가의 선율을 사용하든 다섯 개의 미사 통상문은 모두
같은 양식으로 작곡되었을 때에만 연결되었다는 느낌을 받는다.
Ÿ Plainsong mass(평성가미사)
w 기존의 성가에서 kyrie라는 가사를 가진 악곡을 kyrie로 만들고, gloria 성가를 gloria의 미사 악장으로 만드는 것은
의전적으로 적절하지만, 음악적으로는 연관성이 없다. 평성가 미사란 이러한 방법으로 성가를 사용하는 것이다.
w Machaut의 미사를 포함한 평성가 미사들이 성모마리아 축일에 노래된 경우가 많다.

Ÿ Motto mass
w 동일한 주제적 소재를 미사의 모든 악장에 사용하여 음악적인 연결성을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15세기에 자주 사용된
것은 각 악장의 도입부분을 같은 모티브로 사용하는 것인데, 연결하는 장치로 이러한 head-motive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motto mass라는 이름을 붙인다.

나) Cantus-Firmus Mass
Ÿ head-motive를 사용하는 방법은 악장들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낳았다. 이것은 모두 동일한 정선율을 테노르에
놓아 모든 악장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유형의 미사를 tenor mass 혹은 cantus-firmus mass라고 부른다.
대개 테노르의 정선율은 긴 음가에 동일 리듬 패턴으로 되어 있다.
Ÿ 영국 작곡가들이 시작하고 대륙의 작곡가들에게 전수되어 15세기 후반의 주요한 미사 작법으로 자리 잡음
Ÿ 성가의 경우 선율을 가져와서 적절한 리듬을 배치하고, 세속 노래를 빌어온 경우에는 원래 음가를 보존한다. 대개 다성
샹송의 테노를 사용하였고, 전형적으로 다른 성부의 요소들도 빌려 왔다. 이런 경우 다른 성부들에 모방도 일어나므
로 이러한 미사를 종종 cantus-firmus / imitation mass라고 부른다.
Ÿ 미사의 작품 이름도 이 빌어온 선율을 따서 부른다. 예를 들어 Du Fay, Ockeghem, Josquin, Palestrina는 모두
Missa L'homme armé를 작곡함

Ÿ Four-voice texture
w 초기 cantus-firmus 미사는 3성부임 = 빌어온 선율은 모텟처럼 테노르 성부에 옴
w 15세기 이상적인 소리는 화성적인 지지로서 낮은 성부를 요구하여 contratenor bassus 성부가 붙여짐
tenor-contratenor altus- supeirus의 순서로 성부가 구성됨
w 4성부가 15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표준적인 형태로 이해됨

128 cafe.daum.net/imyongpass
Chapter 9. Frnaco-Flemish Composers 1450 - 1520

Ÿ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전반까지 북부 프랑스, Flanders(플랑두르, 현재의 벨기에 서부․네덜란드 남서부․프랑스
북부를 포함한 북해에 면한 중세의 국가), 네덜란드 출신의 작곡가들이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독일, 보헤미아,
오스트리아 등의 궁정과 도시에서 활동
Ÿ 1420년경 출생해 1490년경까지 활동했던 작곡가들
w 정형시 양식, cantus-firmus 구조, 구조적인 테노르 위에 작곡된 층을 이루는 대위법적 음악 등 중세적 양식 + 새로
운 국제적 양식을 겸하는 작품
w 보다 새로운 양식은 음역이 넓어졌고, 성부들 간에 동등함이 확대되었으며 모방을 더 활발하게 사용했다.

Ÿ 1450년경 출생해 1520년경 활동한 세대는 정형시 양식2)이 끝나고 모방과 homophonic 짜임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가사의 내용에 적합한 음악 붙이기가 나타났다.

Ÿ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반 작곡가들도 후원자들의 후원에 의존했다.


Ÿ 1453년 백년전쟁 이후 영국은 외부와 단절된 시대를 맞았고, 부르고뉴가 프랑스 국왕의 통제로 들어가 프랑스의
중앙집권이 강화되었다. 스페인이 통합되는데(카스티야와 레옹+아라곤) 곧, 이슬람을 내쫓고 신대륙을 점령
Ÿ 오스트리아의 합병으로 합스부르크가의 황제의 권한이 강해짐
Ÿ 독일과 이태리는 상대적으로 열세 = 정치적인 통일에 실패한 이태리는 무역으로 부를 축적함
Ÿ 음악가들은 북쪽에서 훈련을 받고 이태리 등 후원자들이 있는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가 많았다.

가. Ockeghem(오케헴) and Busnoys(뷔즈누아, 뷔누아)


Ÿ Du Fay이후 가장 알려진 작곡가는 Johannes Okeghem(Jean de Ockeghem, 약 1420-1497)과 Antoine
Busnoys(Busnois, 약 1430-1492)이다. 오케겜은 프랑스 왕에게 봉사했고, 뷔즈누와는 샤를 공작과 마리 드 부
르고뉴, 합스부르크의 맥시밀리안을 위해 일했다.
Ÿ Ockeghem은 미사, Busnoys는 샹송에 두각을 나타냄

1) 샹송
Ÿ Ockeghem과 Busnoys의 샹송은 전통과 새로운 요소의 혼합

2) 번역본 잘못되었음. 번역본에는 정선율이 끝을 맞았다고 번역함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29


제3주차(3월 22일)

Ÿ 이전 시대의 요소 : 샹송은 상성부가 이끌어나가는 3성부였으며 정형시 양식 중 특히 롱도 형식을 사용


Ÿ 새로운 요소: 길어진 선율과 늘어난 모방, 성부들간의 동등함, 가볍게 당겨진 리듬과 일반적인 협화의 사용, 불협화
처리, 그리고 3도와 6도의 사용 등

2) 미사
Ÿ Ockeghem와 Busnoys는 Du Fay는 작곡가로서 활동시기가 겹친다. 오케겜과 뷔즈누아의 미사 작품을 보면 Du
Fay보다 더 넓은 음역을 사용하기도 한다.
Ÿ 미사 De plus en plus를 보면, 넓은 음역을 사용하고 좀 더 어두운 짜임새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w <샹송>L’homme armé>

130 cafe.daum.net/imyongpass
w Jean de Ockeghem: Missa L’Homme armé: Kyrie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31


제3주차(3월 22일)

w Ockeghem의 Missa De plus en plus

Ÿ Ockeghem의 Missa prolationum


w 악보는 두 성부로 적히지만, 실제로 네 성부가 노래함
w 각 성부는 앞에 적힌 보표와 박자 기호로 두 개의 노래를 부른다. 소프라노는 소프라노 clef에 C(두박자 계통)를 박자
기호로 하여 노래함
w 앨토는 메조소프라노 음자리표를 사용하고 박자표는 ○(세박자 계통)를 사용한다.
w 하성부도 같은 원리로 읽는다.

132 cafe.daum.net/imyongpass
3) Canon
w 하나의 기보된 성부로부터 둘 혹은 그 이상의 음악을 만들어내는 것을 흔히 캐논이라고 한다.
w 캐논은 rule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w inversion, retrograde
w mensuration canon = 다른 박자 기호를 사용하여 각기 다른 빠르기로 성부들이 이동하는 것
w 각 악장은 두 개의 canon이 동시에 노래되거나 연주될 때 double canon이 되기도 함

4) 중세적 특징과 새로운 특징들


Ÿ 정선율과 구조화된 테너 성부에 기초하는 성부 작법 같은 중세적 특징은 여전히 Ockeghem과 Busnoys의 작품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33


제3주차(3월 22일)

에 나타나지만 다음 세대에는 사람진다. 정선율의 사용은 계속되지만, 덜 중요해진다.


Ÿ 성부들 간에 동등한 중요성을 가지는 것과 음역이 확대되는 것은 보다 새로운 현상으로 이후 세대에서 확대되며
16세기 음악의 특징이 된다.

다. 이후 세대
Ÿ Jacob Obrecht(1457or 1458-1505)
Ÿ Heinrich Isaac(Henricus Isaac, 약 1450-1517)
Ÿ Josquin des Prez(약 1450-1521)이 있다.
- 플랑두르에서 태어나고 교육받았으나, 이태리를 포함한 교회나 궁정에서 일했다.

Ÿ 1480년부터 1520년까지 활동한 작곡가들은


w 성악작품이 구조는 가사에 의해 결정되었고,
w 화성이 꽉차고 노래에 가까운 선율과 선율들 간의 관계를 주고 받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w 성가에서 채용된 선율들이 사용된다.
w 기악작품이 작곡되었지만, 성악과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의 레퍼토리는 안되지만, 명백하게 악기를 고려한 작품 혹은
가사가 없는 작품들이 많이 나타난다

1) Jacob Obrecht
Ÿ 30여개의 미사, 28개의 motet, 다수의 샹송, 독일어 노래들, 기악 작품 등을 남겼다.
Ÿ 모든 미사들이 정선율에 근거하고 있다. 모방을 포괄적으로 사용하고 모방이 연결되는 point of imitatoin이 나타
난다. 선율적 아이디어가 짧고 명확하며 리듬은 짧은 음가와 당김음이 사용된다.

134 cafe.daum.net/imyongpass
2) Henricus Isaac
Ÿ 피렌체의 메디치와 비엔나와 인스부룩에 있던 신성로마제국의 맥시밀리안의 궁정음악가로 봉직하다가 피렌체로
돌아왔다. 범 유럽적 활동을 보였다.
Ÿ 합창의 콘스탄티누스(Choralis Constantinus)라는 세권의 작품집이 있다. 교회력 전체를 위한 미사 고유문의
가사와 선율에 다성음악을 붙인 작품이다.
Ÿ 종교 작품은 물론 프랑스어 이태리어 독일어 가사의 노래를 작곡했다.
Ÿ 호모포닉한 짜임새의 작품을 자주 썼다. 리트(다성 리트)를 보면 4성부로 가면서 종지의 3음이 채워진 형태를
볼 수 있다. 모방과 호모포니가 함께 나타남.
Ÿ <인스부룩, 나는 떠아냐 하네>는 최상성부에 주요한 선율이 오고 거의 비슷한 리듬으로 되어 있으며 쉼표로 구분이
된다.

Ÿ 가사의 액센트와 음악적 액센트가 일치하도록 하는 작품을 만들었다.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35


제3주차(3월 22일)

Tenorlied version

3) Josquin des Prez


Ÿ Josquin des Prez(약 1450-1521) 만큼 알려지고 큰 영향력을 끼친 작곡가는 없다.
Ÿ 프랑스와 이태리에 있는 유명한 궁정과 교회에서 두루 봉직했다. 다성음악의 첫 번째 출판자로 알려진
Ottavioano Petrucci는 Josquin의 미사를 세 권 출판했다. 페트루치가 한 작곡가의 작품집을 두권이상 만든
것은 죠스캥이 유일하다.
Ÿ 1538년 Martin Luther가 “Joquin은 음들의 지배자이다. 음들은 그가 뜻하는 대로 움직인다”고 말함
Ÿ 르네상스 기간 동안 개별적인 예술가에 대한 늘어난 관심을 반영하기도 한다.
Ÿ 이 시대의 작곡가들은 조스캥의 작품을 흉내내고 재작업했다. 다시 출판되기도 했고, 사후에도 연주가 계속되었
다.

가) Motets
Ÿ Josquin의 50편이 넘는 motet은 그의 형식을 예시한다.
Ÿ 대부분의 motet은 자유롭게 작곡되었고, 가사를 상당히 변형시켰다. Josquin의 motet은 15세기 후반의 특징을 보여
주는데, 악곡의 명료함, 형식, 조성적 기능까지 전형적이다.

(1) 가사의 표현
Ÿ 가사의 이미지를 강조하기위해 음악적인 체스처를 활용하는 가사의 모사가 나타난다.
Ÿ 음악을 통해 가사가 의도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가사의 표현이 특징적이다.

136 cafe.daum.net/imyongpass
Ÿ 가사 묘사와 표현에서 안정적이고 분명하게 활동했던 작곡가이다.
Ÿ 실제로 음악이 감정을 전달해야 한다는 것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도 생각했던 것이지만, 르네상스 시대를 통해
가능해진 건 Josquin에 의해서라고 봄

(2) Ave Maria... virgo serena(아베마리아.. 조용한 처녀)


Ÿ 1485년경 작곡된 초기 motet으로 가장 인기 있는 작품
Ÿ 가사에 적절한 음악을 붙임
Ÿ 중첩되는 points of imitation으로 시작하고, 곧 homophonic한 악구로 진행하고 차츰 다양한 변화를 줌==>다
양한 짜임새를 보임
Ÿ 병확한 중심움을 제시하고 악구와 부분들을 분명하게 구분하며 우아하고 아름다운 대위법의 활용이 특징으로 나
타난다.

나) Masses
Ÿ Josquin의 미사는 그의 기법적 재질을 보여준다.
Ÿ Missa L'homme armé에서 hexachord의 상행라인이 나타남
w Kyrie에는 C, Gloria에는 D의 헥사코드 순서를 따라 나타나고
Agnus Dei에는 mensuration canon이 사용됨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37


제3주차(3월 22일)

138 cafe.daum.net/imyongpass
<악보의 Instruction>
∙ 박이 길이 : Superius’ dotted breve = Bassus’ breve = Altus’ semibreve
∙ 음 높이 Superius sounds as written.
Altus sounds a fourth lower than written.
Bassus sounds an octave lower than written.

Ÿ Missa Hercules dux Ferrariae


w 1503-4년 사이 페라라 공장의 궁정에서 봉직하는 동안 쓰여진 곡
w 정선율에 soggetto cavato dalla vocali(모음으로부터 유래한 주제)를 사용함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39


제3주차(3월 22일)

Missa Hercules dux Ferrarie

140 cafe.daum.net/imyongpass
다) 변용미사(paraphrase)
Ÿ Missa Pange lingua
Ÿ paraphrase mass - 각각의 악장에 모든 네 성부를 전체 혹은 일부로 차용함

<Pange Lingua>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41


제3주차(3월 22일)

142 cafe.daum.net/imyongpass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43
제3주차(3월 22일)

라) 모방미사
Ÿ Missa Malheur me bat(미사 불행이 나에게 닥치다)
==> imitation mass(parody mass)
w 정선율 하나만 아니라, 전체 작품을 광범위하게 차용

Ÿ Imitation mass와 paraphrase mass의 차이는 양식상의 차이가 아니라, 차용하는 음악적 소재의 차이이다. 즉,
paraphrase mass는 다성음악이 아닌 단성 성가를 장식하여 사용한다.

4) Chansons
Ÿ 정형시 형식을 완전히 버리고, 4-5행의 단순한 시와 절을 갖춘 가사를 선택한다.
Ÿ 3성부 대신 4-5 성부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Ÿ 1520년대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homophony와 imitation양식이 교대로 나옴
Ÿ Josquin이 크게 찬사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16세기까지 간간히 연주되다가 1921년에야 필사본에 대한 인쇄가
다시 시작되었다.
Ÿ 가사붙이기, 모방과 homophonic 짜임새의 공존, 대위법적 원칙과 성부 진행 등이 이후까지 영향을 줌

144 cafe.daum.net/imyongpass
<샹송 천번의 후회>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45


제3주차(3월 22일)

w <샹송 돈이 없다면>

146 cafe.daum.net/imyongpas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