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2020학년도 임용고시대비 임용닷컴 전공음악 심화반

국악사 보충자료
1) 중국 수나라 음악지에 실린 구부기
① 고려기`(고구려의 음악과 무용)
② 서량기`(서역 지방의 음악과 무용)
③ 청상기`(중국의 속악)
④ 천축기(인도의 음악과 무용)
⑤ 안국기(보라카 지방의 무용)
⑥ 구자기(고차 지방의 음악과 무용)
⑦ 문강기`(진나라 때의 가면무)
⑧ 강국기`(사마르칸트 지방의 음악과 무용)
⑨ 소륵기`(카쉬가르 지방의 음악과 무용)

2) 일본 기악(伎樂)에 관련된 기록(p. 25)


Ÿ 부처를 공양하고 불교를 선교하기 위한 가무(야외)
Ÿ 탈을 쓰고 연행(演行) 하며 풍자와 익살스런 내용을 춤과 몸짓으로 연출한다.
Ÿ 기악(伎樂)이라는 용어는 불교경전뿐 아니라, 고대 중국문헌과 「고려사」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Ÿ 미마지 기악의 등장 인물과 가면

치도(治道) 오공(吳公) 가루라(迦樓羅) 곤륜(崑崙)

3) 고구려 악지에 남은 3국의 향악

고구려 <내원성가>, <연양가>, <명주가>

백제 <선운산>, <무등산>, <정읍>, <방등산>, <지리산

신라 <동경>, <목주>, <여나산>, <장한성>, <이견대>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1


4) 향악잡영오수

몸을 돌리고 팔 휘두르며 금구슬을 희롱하니


달 흐르고 별 떠올라 눈에 가득 차누나
금환 의좋은 친구있다한들 어찌 이보다 더 좋으랴
넓은 세상 태평한 것 이제야 알겠구나
☞ 공 던지기 기예

높은 어깨 움츠린 목, 머리털 높이 세우고


팔을 걷은 뭇 선비들 술잔 시비 한창이네
월전
노래 소리 듣고서 새벽을 모두 웃는데
밤에 세운 깃발이 새벽을 재촉하누나
황금빛 얼굴 그 사람이
구슬 채찍 들고 귀신 부리네
대면 빠른 걸음 조용한 모습으로 운치 있게 춤추니
붉은 봉새가 요 시대 봄철에 춤추는 것 같구나
☞ 탈을 쓰고 추는 춤
엉킨 머리 쪽빛 얼굴, 사람 같지 않은데
떼를 지어 뜰에 나와 난새 춤을 배우네
속독 북은 둥둥 울리고, 바람 솔솔 부는데
이리 저리 뛰어 놀아 끝이 없구나
☞ 탈을 쓰고 추는 춤

머나먼 길 걷고 걸어 사막을 지나오니


털가죽은 헤어지고 먼지가 쌓였는데
산예 흔드는 머리, 흔드는 꼬리에 어진 모습 배었구나
웅장한 그의 기상, 모든 짐승이 못 미치리
☞ 사자 춤

2 cafe.daum.net/imyongpass
5) 당악정재(唐樂呈才) 의물(「악학궤범」 당악정재 의물도설)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3


6) 임인진영도병 제5폭
가) 무동의 정재

나) 등가와 헌가

4 cafe.daum.net/imyongpass
다) 임인진연도병 제6폭

거문고와 노래하
는 사람

무애

라) 임인진영도병 8폭 내취(북이 처음 등장)

음악교사의 꿈을 이뤄주는 전공음악 이미정 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