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1. zb 1 )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시조와 같이 4음보의 규칙적인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자연물에 의미를 부여하여 화자의 충정을 드러내고 있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다.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풍경과 그에 따른 만족감을 드러내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고 있다.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여성적 어조로 임에 대한 절실한 마음을 애절하게 드러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내고 있다.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이 하소연하는 방식으로 독자들의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공감을 얻어내고 있다.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내여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2. zb 2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슈품(手品)은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 : 사랑과 믿음을 지키는 새인 기러기를 보면서 임을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만날 희망에 부풀어 있다.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 : 동산에 떠오르는 달과 북극의 별은 임금을 상징하
산(山)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는 자연물이다.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 : 온 세상을 환하게 할 정도의 선정을 베풀어 주시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기를 기원하고 있다.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 : 따뜻한 봄햇살을 임에게 보내고 싶은 화자의 마음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 마리, 을 노래하고 있다.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 : 화자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견디지 못해 꿈에서라


도 만나고 싶어 한다.
님인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쳥광(淸光)을 믜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이 비친 제,
사은니와 새도 긋쳐 잇다. 3. zb 3 ) 윗글에서 계절감을 드러내는 소재로 적절한 것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은?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봄 여름 가을 겨울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젹셜  서리 양츈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동풍  양츈 서리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 반(半)만 거더 화 녹음 기러기 새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동풍 녹음 기러기 백설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화 녹음 쳥광 쳥등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 1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쳥광(淸光)을 믜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白雪)이  비친 제
이 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사은니와 새도 긋처 잇다
평(平生)애 원(願)요  녜쟈 얏더니,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늙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러 므리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를 반(半)만 거더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염냥(炎凉)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도 열두   도 셜흔 날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헤텨 내니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A]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 정철, 「사미인곡」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4. zb 4 ) ⓐ~ⓔ 중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시적 발상 및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표현이 가장 유사한 것은?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보기>


첩첩 바위 사이를 미친 듯이 달려 겹겹 봉우리 울리니,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지척에서 하는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
슈품(手品)은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늘 시비(是非)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산호수(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일부러 흐르는 물로 온 산을 둘러 버렸다네.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 최치원, 「제가야산독서당」
산(山)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 ⓑ
쳔리(千里) 만리(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 ⓓ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녈 제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 마리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 2 -
5. zb 5) 다음 밑줄 친 시어 중 ㉱와 작품 속 기능이 가장 7. zb 7 ) <보기>를 참고할 때,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
유사한 것은? 하지 않은 것은?

산에는 오는 눈, 들에는 녹는 눈 / 산새도 오리나무 / <보기>


위에서 운다 / 삼수갑산 가는 길은 고개의 길 우리의 옛 시가 중에는 이른바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
- 김소월, 「산」 之詞), 즉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을 사모하는 노래로 분
바람에 나부끼는 갈잎 / 여울에 희롱하는 갈잎 / 알 만 류되는 작품들이 있다. 「사미인곡」도 그중 하나이다. 「사
모를 만 숨 쉬고 눈물 맺은 / 내 청춘의 어느날 서러운 미인곡」은 정철이 과열된 붕당 정치로 인해 중안 정계에
손짓이여 서 물러나 전라도 창평에 머물던 상황에 지은 것으로, 후
대에 김춘택의 「별사미인곡」을 비롯한 여러 작품이 이 노
- 김영랑, 「바람에 나부끼는」
래를 모방하기도 하였다.
타고 남음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그칠 줄은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하계’로 내려왔다는 것은 임금 곁에 있지 못하게 된 작
가 자신의 상황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표현한
- 한용운, 「알 수 없어요」
것이다.
이 비 그치면 /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 서러운 풀
‘화’는 냉담한 현실 속에서도 암향, 즉 은은한 향기를
빛이 짙어 오것다 // 푸르른 보리밭길 / 맑은 하늘에 /
뿜는 소재로, 이를 통해 임에 대한 작가의 절개, 즉 변
종달새만 무어라고 지껄이것다
함없는 충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 이수복, 「봄비」
‘산’과 ‘구름’이 임과 자신을 가로막는다는 것은 간신들
한강 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 이 목숨이 끊기기 이 임금에 대한 작가의 충정을 모함하는 세태를 의미하
전에 와 주기만 한다면 / 나는 밤하늘에 나는 / 까마귀 는 것이다.
와 같이 / 종로의 인경을 머리로 들이받아 올리오리다
‘쳥광’으로 ‘심산궁곡’을 대낮같이 만들어 달라는 것은
- 심훈, 「그 날이 오면」 임금이 선정을 베풀기를 바라는 작가의 충정을 나타난
것이다.
‘앙금’에서 긴 겨울밤을 보내는 여인은 임금에게 버림받
고 전라도 창평에서 홀로 지내는 외로운 작가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6. zb 6) 윗글에 쓰인 소재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


하지 않은 것은?

소재 탐구한 내용 8. zb 8 ) ㉮~㉰에 사용된 표현상 특징을 <보기>에서 골라


‘임이 계시는 곳’을 의미하며 같은 의미로 쓰 바르게 묶은 것은?
광한뎐
인 소재로 ‘옥루고쳐’, ‘쇼샹남반’이 있군.…ⓐ <보기>
‘북극의 별’과 함께 ‘임’을 의미하며 화자의
 ㄱ. 사물이나 추상적 개념과 같은 인격이 없는 대상에 인
간절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군.……………ⓑ
격을 부여한다.
금자로 재단하고 오색실로 지은 비단옷으로
ㄴ. 감탄사, 감탄 어미 등을 사용하여 슬픔, 놀라움 등의
옷 임을 향한 화자의 지극한 정성을 보여주는
군.……………………………………………… ⓒ
감정을 강조한다.

‘연지분’, ‘나위’와 함께 화자가 여성임을 알 ㄷ. 논리적으로나 문법적으로 합리적인 문장의 서술 순서


홍샹
수 있게 해주는군. ……………………………ⓓ 를 바꾸어 변화를 준다.
화자의 분신으로 죽음을 초월한 변함없는 사 ㄹ.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을 짐짓 의문형식으로 제시하여
범나븨
랑이 투영되어 있군. …………………………ⓔ 독자가 스스로 결론을 내리게 한다.
ㅁ. 서로 상반(相反)되거나 대립되는 내용, 혹은 사물을
ⓐ ⓑ
함께 제시하여 두 대상의 차이를 선명하게 한다.
ⓒ ⓓ
ㄱ, ㄴ, ㄷ ㄱ, ㄷ, ㅁ

ㄱ, ㄹ, ㅁ ㄴ, ㄷ, ㄹ
ㄷ, ㄹ, ㅁ

- 3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9. zb 9) 윗글의 [A]와 <보기>를 비교한 것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보기>
오며 리며 헤며 바자니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져근덧 녁진(力盡)야 풋을 잠간 드니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졍셩(精誠)이 지극야 의 님을 보니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옥(玉)  얼구리 반(半)이나마 늘거셰라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의 머근 말 슬장 쟈 니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 며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물 흐 고야 <중략>
졍(情)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니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오뎐된 계셩(鷄聲)의 은 엇디 돗던고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어와 허(虛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결의 니러 안자 창(窓)을 열고 라보니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하리 싀여디여 낙월(落月)이나 되야이셔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님 겨신 창(窓) 안 번드시 비최리라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각시님 이야니와 구비나 되쇼셔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 정철 「속미인곡」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A]는 <보기>와 달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을 전개
하고 있다. ㉮산(山)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보기>는 [A]와 달리 화자와 보조 인물의 대화체를 통 쳔리(千里) 만리(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해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A]와 <보기> 모두,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빌려 임을 <중략>
원망하는 화자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A]와 <보기> 모두, 상징적 의미를 지닌 자연물을 통해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임에 대한 화자의 마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A 양츈(陽春)을 부쳐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A]와 <보기> 모두, 불교의 윤회 사상을 바탕으로 임과
의 재회를 갈망하는 화자의 의지를 소극적으로 드러내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고 있다.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 반(半)만 거더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B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중략>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 정철, ‘사미인곡’

- 4 -
10.
zb 10) B를 참고할 때 윗글의 화자가 <보기>의 화자에 12.
zb 1 2) <보기>를 바탕으로 ㉠~㉤을 이해할 때 적절하지
대해 가장 부러워할 만한 부분을 <보기>에서 찾으 않은 것은?
면?
<보기>
<보기> 남성 작가가 자신의 분신으로 여성 화자를 내세우는 방
모茅쳠檐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식은 우리 시가의 한 전통이다. 궁궐을 떠난 신하가 임금
반半벽壁쳥靑등燈은 눌 위야 갓고 을 그리워하면서 지은 ‘사미인곡’도 이 전통을 잇고 있다.

ⓐ오며 리며 해며 바니니 ㉠ : 연지분이 있지만 고운 모습을 보여줄 임이 없다는


져근덧 녁力진盡야 풋을 잠간 드니 것은 임금 곁을 떠난 신하의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졍精셩誠이 지극야 의 님을 보니
㉡ : 텅 빈 규방에서 적막감을 느끼는 것은 임금을 그
옥玉 가 얼굴이 반半이나마 늘거셰라
리며 외로워하는 신하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의 머근 말 슬장 쟈 니
㉢ : 옷을 손수 바느질해 만들어 바치고 싶은 마음은
눈물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며
임금에 대한 신하의 지극한 정성을 의미한다.
졍情을 못다야 목이조차 메여니
㉣ : 붉은 치마를 입고 황혼에 이런 저런 생각에 잠기
ⓒ오뎐된 계鷄성聲의 은 엇디 톳던고. 는 모습은 임금에 대한 신하의 애틋한 그리움과 통한다.
어와, 허虛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 : 죽어서 나비가 되어서라도 임을 따르겠다는 것은
결의 니러 안자 창窓을 열고 라보니 원망했던 마음을 접고 임금께 감사하는 신하의 모습을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표현한 것이다.

하리 싀여디여 낙落월月이나 되야이셔


ⓔ님 겨신 창窓 안 번드시 비최리라.
-정철, ‘속미인곡’
ⓐ ⓑ 13.
zb 1 3) A는 상상력을 발휘한 기발한 발상으로 볼 수 있
ⓒ ⓓ 다. 이와 유사한 시적 발상이 사용된 것으로 가장
ⓔ 적절한 것은?

짚 방석 내지 마라 낙엽엔들 못 안즈랴 / 솔불 혀지 마
라 어제 진 달 도다 온다 / 아희야 박주산채(薄酒山菜)
ㄹ망정 업다 말고 내여라
-한호
11.
zb 1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 자시 창 밧긔
<보기> 심거 두고 보쇼셔 /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
(가) ‘적강(謫降)’이란 신선이 세상에 내려오거나 사람으로 기쇼셔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유배 문학에 공통적으로 -홍랑
나타나는 화소(話素) 중의 하나로 임금이 계시는 곳 산촌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무쳐셰라/ 시비(柴扉) 여지
을 천상의 세계로, 유배지나 낙향한 곳을 지상의 세 마라 날 즈리 뉘 이시리 / 밤즁만 일편(一片)명월(明
계로 인식하는 심리 상태와 연관된다. 月)이 긔 벗인가 노라
-신흠
(나) 창(窓) 내고쟈 창 내고쟈 이내 가슴에 창 내고쟈/<중
풍상(風霜)이 섯거 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黃菊花)를 략>장도리도 닥 바가 이내 가슴에 창 내고쟈 / 잇다
금분(金盆)에 가득 담아 옥당(玉堂)에 보내오니 감 하 답답 제면 여다져 볼가 노라
도리(桃李)야 곳이온 양 마라 님의 뜻을 알괘라 -미상
-송순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노라 / 낚시 드리
(1) <보기> (가)의 설명에 해당하는 시어를 윗글에서 찾아 치니 고기 아니 무노라 / 무심한 빛만 싣고 뷘 
2음절로 쓰시오.(한글로만 쓸 것) 저어 오노라

(2) 윗글 ㉮의 ‘산, 구름’과 상징하는 의미가 유사한 시어를 -월산대군


<보기> (나)에서 찾아 2음절로 쓰시오.(한글로만 쓸 것)

- 5 -
※ 다음 작품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가)
님인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평(平生)애 원(願)요  녜쟈 얏더니
쳥광(淸光)을 픠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늙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마)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이  비친 제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사은 니와 새도 긋쳐 잇다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나)
양츈(陽春)을 부쳐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바)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다)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14.


zb 1 4) 이 작품에서 여성 화자를 내세워 얻은 효과로 적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절하지 않은 것은?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대상에 대한 애틋하고 절절한 감정을 드러낸다.


작품의 정서를 심화하고 주제를 구체화할 수 있다.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사랑이라는 보편적 감정에 호소해 독자의 공감을 얻을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수 있다.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일반적 상황을 특수한 상황으로 전환하여 폭넓은 공감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대를 형성할 수 있다.
우리 문학에 여성적 어조로 이별이나 사랑의 마음을 드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러내는 관습인 ‘충신연주지사’의 전통이 드러난다.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라)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마리

- 6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5.
zb 15)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서사-본사-결사’의 짜임을 갖추고 있다.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3.4조 또는 4.4조 연속체로 4음보를 기본으로 한다.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뛰어난 우리말 구사를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음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계절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며 시적 화자의 정서 평(平生)에 원(願)요  녜쟈 얏더니
를 드러내고 있다.
늙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마지막 구절이 시조의 종장과 같은 음수율을 지닌 변격
엊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가사의 형태를 지닌다.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16.
zb 16) 다음 중 시적 의미와 기능이 유사한 것끼리 짝지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어진 것은?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물이라
화(梅花) - 공쟉(孔雀)
화(梅花) - 쳥광(淸光)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공쟉(孔雀) - 쳥광(淸光)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

쇼샹남반(瀟湘南畔) - 범나븨 염냥(炎涼)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쳥광(淸光) - 쇼샹남반(瀟湘南畔)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헤텨 내니

창(窓)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17.
zb 17) <보기>를 바탕으로 이 작품을 이해한 후 나눈 이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야기이다. 잘못 이해한 사람은 누구인가?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보기> 늣기  반기 듯 님이신가 아니신가
이 작품은 조선 선조 때, 정철이 동인의 탄핵을 받고, 관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직에서 물러나 전라남도 창평에 머물면서 지은 가사이다.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지현 : (가)의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고’라는 구절은 정철의 처지를 버림받은 여인에 비유
하여 표현한 것이구나. 나위(羅幃) 적막(賊幕)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서현 : (다)의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라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작(孔雀)을 둘러 두니


는 구절은 간신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선조를 걱정하는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정철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구나.
ⓑ원앙금(鴛鴦衾)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터 내여
미나 : (라)의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라는 구절은 깊은 산이나 험한 계곡까지 다 비출 수 있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을 만큼 정철이 임금을 사랑하는 마음이 크다는 것을 수품(手品)은 니와 제도(制度)도 시고
보여주고 있구나.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백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경수 : (마)의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옥 닐너 므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리’라는 구절은 남쪽도 이리 추운데 북쪽의 추위는 더
말할 것이 없으므로 추운 겨울을 보내는 선조에 대한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걱정을 드러내는구나.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선재 : (바)의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노라’라는 구절은 임이 나인 줄 몰라도 임에 대한 변
함없는 충성심과 사랑을 나타내는 것으로, 화자의 일편 밤 서리김의 기러기 우러녈 제
단심이 강조되고 있구나.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정념(水晶簾)을 거든마리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 7 -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19.
zb 1 9) ⓐ~ⓔ 중, 화자의 긍정적 인식이 반영된 시어가
쳥광(淸光)을 픠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아닌 것을 하나만 고르면?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 ⓑ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 ⓓ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白雪)이  비친 제

사은 니와 새도 긋처 잇다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20.
zb 2 0) <보기>를 참고하여 위 작품을 감상한 내용으로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적절하지 않은 것은?
홍샹(紅裳)을 니믜고 취슈(翠袖) 반(半)만 거더 <보기>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이 작품의 작가는 남성으로 자신의 분신으로 여성 화자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를 내세우는 방식으로 궁궐을 떠난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
하는 내용을 드러내고 있다. 정철은 50세가 되던 1585년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 두고
(선조 18) 당파 싸움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뒤, 고향인 전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라남도 창평에 내려가 4년 동안 지냈다. ‘사미인곡’은 그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동안 지어진 가사이다.

도 열두   도 셜흔 날 화자는 임과 이별한 지 오래 되어서 자신이 보낸 ‘화’


나 ‘옷’을 보고 임이 자신의 충정을 알아주지 못할지도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모른다는 걱정을 드러내고 있다.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임금이 계신 곳을 ‘봉황누’로 표현한 것을 통해 남성 작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가가 자신의 분신으로 여성 화자를 내세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산’과 ‘구롬’은 화자와 임 사이의 장애물로 간신들이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임금에 대한 신하의 충정을 모함한다는 의미로 볼 수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있다.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쳥광’으로 ‘심산궁곡’을 대낮같이 만들어 달라는 것은
임금이 선정을 베풀기를 바라는 신하의 마음을 나타낸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것으로 볼 수 있다.
- 정철, 「사미인곡」
화자가 ‘범나븨’가 되겠다고 한 것은 자신은 죽어서까지
임금을 따르겠다는 변함없는 충정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18.
zb 18)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와 대상과의 특별함을 강조하


고 있다.
계절의 흐름에 따른 소재를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대상에 대한 관조적인 자세로 자신의 염원을 드러내고
있다.
공간의 이미지를 통해 화자의 외로운 처지와 상황을 드
러내고 있다.
화자가 현재 있는 공간과 대조되는 공간을 제시하여 임
과 이별한 화자의 처지를 부각하고 있다.

- 8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도 열두   도 셜흔 날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이 음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평(平生)애 원(願)요  녜쟈 얏더니 [A]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늙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21.
zb 2 1)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 : 자신을 옥황상제를 모시던 선녀로 설정하고 있다.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 : 화자가 여성임을 보여주는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물 흐 고야
ⓒ : 특정 시어를 통해 계절감을 드러내고 있다.
염냥(炎凉)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 : 자신의 능력을 자화자찬(自畵自讚)하고 있다.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 : 자신의 정성이 남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고 확신하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고 있다.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22.
zb 2 2) 윗글과 <보기>를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보기>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한기태심(旱旣太甚)하여 시절이 다 느즌 졔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서주(西疇) 놉흔 논에 잠  녈비예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도상무원수(道上無源水)를 반만 혀 두고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쇼  젹 듀마 고 엄섬이  말삼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친절호라 너긴 집의 달 업슨 황혼의 허위허위 다라셔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구디 다 문 밧긔 어득히 혼자 서셔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큰 기 아함이를 양구(良久)토록 온 후에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어화 긔 뉘신고 염치업산 옵노라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초경도 거읜 긔 엇지 와 겨신고


연년(年年)에 이러기 구차 줄 알건마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쇼 업 궁가(窮家)에 헤염 만하 왓삽노라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두 글 모두 계절적 배경에 따라 정서가 변화하고 있다.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두 글 모두 구체적인 생활상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다.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두 글 모두 상징성이 강한 표현으로 자신의 처지를 호
<중략> 소하고 있다.
윗글과 달리 <보기>는 4음보에 변형이 가해진 변격가사
이다.
윗글과 달리 <보기>는 독백과 대화의 형식이 혼재되어
있다.

- 9 -
23.
zb 23) [A]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5.
zb 2 5) ㉠에 나타나는 ‘님’에 대한 화자의 마음과 가장
가까운 것은?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좌절하고 있다.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進奏官(진쥬관) 竹西樓(듁셔루) 五十川(오십쳔) 린 뮬
이.
현 상황에 대한 변화를 간절히 염원하고 있다.
太白山(태산) 그림재 東海(동)로 다마 가니.
임에 대한 원망과 그리움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
하리 漢江(한강)의 木覓(목멱)의 다히고져.
과거와 현재를 대비하여 대상에 대한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王程(왕뎡)이 有限(유)고 風景(풍경)이 못 슬믜니.
幽懷(유회)도 하도 할샤, 客愁(수)도 둘 듸 업다.
仙槎(선사) 워 내여 斗牛(두우)로 向(향)살가.
江陵(강능) 大都護(대도호) 風俗(풍쇽)이 됴흘시고.
節孝旌門(절효졍문)이 골골이 버러시니,
比屋可封(비옥가봉)이 이제도 잇다 다

24.
zb 24) 다음 중 밑줄 친 시어의 의미가 ㉡의 상징적 의 小香爐(소향노) 大香爐(대향노) 눈 아래 구버보고,

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正陽寺(정양) 眞歇臺(진헐) 고텨 올나 안마리.

가마귀 우는 곳에 백로(白鷺)야 가지마라 廬山(녀산) 眞面目(진면목)이 여긔야 다 뵈다.

성낸 가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圖經(도경) 열두 구. 내 보매 여러히라.

청강(淸江)에 좋이 시슨 몸을 더럽힐까 李謫仙(니뎍션) 이제 이셔 고텨 의논게 되면,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廬山(녀산)이 여긔도곤 낫단 말 못 려니.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뵈
고인을 못봐도 예던 길 앞에 있네
예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예고 어찔꼬
오리의 짧은 다리 학의 다리 되도록
검은 가마귀 해오라비 되도록
항복무강하사 억만 세를 누리소서

- 10 -
[정답 및 해설]
8) [정답]
1) [정답] [해설] ㉮: 설의법(‘하늘이 모르겠는가’와 같은 의문의
[해설]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지만, 형식이 드러난다, ㄹ) ㉯: 대조법(인생과 시름을
각 계절에서 임에 대한 걱정과 정성, 그리움이 대조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ㅁ) ㉰: ㄱ(‘화’를
나타난다. 풍경과 그에 따른 만족감은 드러나지 너와 같이 부르고 있다, 의인법) ㄴ: 영
않는다. 탄법 ㄷ: 도치법

2) [정답] 9) [정답]
[해설] ‘기러기’는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소재로 임과 [해설] 이 글은 화자의 독백으로 서술되고 있으나,
헤어진 화자의 슬픔을 대입하여 나타내는 자연물 <보기>는 두 여인의 대화체를 통해 서술하여 주
이다. 화자는 기러기를 보며 임과 헤어져 홀로 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A]에서 계절의 변화
지내는 슬픔을 드러내고 있다. 는 확인할 수 없다. [A]와 <보기> 모두에서
임을 원망하는 모습은 드러나지 않는다. [A]의
3) [정답] ‘범나븨’, <보기>의 ‘낙월’, ‘구비’는 모두 상징
[해설] 봄은 ‘동풍’, 여름은 ‘녹음’, 가을은 ‘서리’와 적 의미를 지닌 자연물을 통해 임에 대한 화자의
‘기러기’, 겨울은 ‘셜’을 통해 계절감을 드러낸 마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A]와 <보
다. 기> 모두 임과의 재회를 갈망하는 화자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4) [정답]
[해설] <보기>는 대상을 주관적으로 변용하여 화자의 10) [정답]
태도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에서도 초 [해설] B에서 화자는 꿈에라도 임을 만나려 했지만
가집에 비친 햇빛을 임에게 보내려는 태도가 드 만나지 못했으나 <보기>에서는 마음의 말을 제대
러나므로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과 로 못했지만 꿈에 임을 만났으므로 B의 화자가
이별한 자신의 처지를 드러내고 있다. 임에게 꿈에 임을 만난 <보기>의 화자를 부러워할 것이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라고 할 수 있다. 임을 만나기 위해 돌아다닌
임에 대한 그리움이 드러나고 있다. 것을 뜻한다. 임과의 만남을 방해하는 대상이
다.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부각하고 있다.
5) [정답]
죽어서라도 임의 곁에 있다는 화자의 바람을 드
[해설] ㉱는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으로 볼 수 있
러내고 있다.
다. 감정이입의 대상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기 위한 자연물로 볼 수 있으나, 화자의 11) [정답] 1) 하계 2) 도리
현재 감정과 일치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감정이 [해설] 1) ‘하계’는 인간 세계라는 뜻으로 임금이 계시
입의 대상이라고 할 수 없다. 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화자 자신의 처지를 적강
화소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2) 지조와 절개를 상
6) [정답]
징하는 ‘황국화’와 대비되는 ‘도리’는 이 글의
[해설] ‘광한뎐’, ‘옥루고쳐’는 임이 계신 곳을 의미하
‘산’, ‘구름’과 같이 간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지만 ‘쇼샹남반’은 화자가 있는 곳을 뜻한다.
수 있다.
‘’, ‘북극의 별’은 모두 화자가 그리워하는 임
(임금)을 뜻한다. 금자와 오색시로 정성껏 옷 12) [정답]
을 짓는 모습을 통해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과 [해설] 이 글에서 임에 대한 원망을 드러내는 부분은
정성을 드러낸다. 붉은 치마, 연지와 분과 같 확인할 수 없다. 이 글과 <보기>로 볼
은 화장품, 여인의 방에 둘러친 비단 휘장의 뜻 때 적절한 이해로 볼 수 있다.
이므로 모두 여성 화자임을 알려주는 소재이다.
화자가 죽어서 임의 곁에 머물기 위해 선택한 13) [정답]
분신이다. [해설] A는 추상적 대상인 햇빛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무심 빛만 싣고’에서 추
7) [정답] 상적 대상인 ‘빛’을 구체적인 대상처럼 싣는다
[해설] 하계로 내려온 것은 적강 모티프를 드러낸 것 고 표현하였다. 자연 속에서의 소박한 삶
으로 볼 수 있으나 화자가 임금 곁에 있지 못하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 자연 속에 살아가는
는 자신의 처지를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는 즐거움 가슴에 창을 내는 기발한 발상으로 답
이 글과 <보기> 모두에서 확인할 수 없다. 답한 마음을 풀려고 함
이 글과 <보기>로 볼 때 적절한 설명으로
볼 수 있다.

- 11 -
14) [정답] 20) [정답]
[해설] 임금과 신하의 관계와 같은 특수한 관계를, 남 [해설] ‘봉황누’는 임이 계신 곳을 의미하지만, 여성
녀 간의 사랑이라는 일반적인 상황으로 전환하여, 화자임을 알 수 있는 소재로 볼 수 없다. ‘님
임에 대한 여성의 절절한 마음을 드러냄으로써 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니거든 여러 두
더 넓은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 고 날인가 반기실가’에서 확신하지 못하는 화자의
생각이 드러난다. ‘심산궁곡’은 힘들게 사는
15) [정답]
백성, 화자가 있는 곳의 의미를 담고 있다. 차
[해설] 마지막 구절이 시조의 종장과 같은 음수율을 라리 죽어져서 ‘범나븨’가 되어 임의 옷에 향을
지닌 것은 정격 가사이다. 마지막 행의 첫 음보
옮기고 임을 좇겠다며 일편단심의 마음을 드러낸
‘님이야’가 3음보이고, 첫 음보가 둘째 음보보다
다.
짧은 것은 시조 종장의 형식과 유사하다. ,
(가)는 서사, (바)는 결사이고, (나)~(마)는 계절의 21) [정답]
흐름에 따라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과 그리움을 [해설] ⓔ는 ‘가거든 열어 두고 나인가 반기실까’의
드러낸 본사이다. 뜻이므로 자신의 정성이 남에게 인정받을 수 있
다고 확신한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광한
16) [정답]
뎐’은 옥황상제가 살고 있는 궁궐을 뜻한다.
[해설] ‘화, 쳥광’은 임에게 보내고 싶은 것으로, 임
‘연지분’에서 여성 화자임을 알 수 있다. ‘녹
에 대한 화자의 사랑과 정성을 의미한다. / 쇼샹 음’에서 여름이라는 계절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
남반: 전라도 창평(화자가 있는 곳), 공쟉: 공작이
다. 솜씨와 격식을 모두 갖추었다며 자신의 능
그려진 병풍, 범나븨: 시적 화자의 분신
력을 칭찬하고 있다.

17) [정답] 22) [정답]


[해설] (라)의 ‘심산궁곡 졈낫티 그쇼셔’는 임금의
[해설] <보기>에는 화자의 독백과 소 주인과의 대화
선정이 온 세상에 미치기를 바라는 마음을 드러
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어화 긔 뉘신고’, ‘초경도
낸 것이므로, 정철이 임금을 사랑하는 마음이 크 ~ 와 겨신고’는 소 주인의 말, ‘염치업산 옵노
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라’, ‘쇼 업 ~ 왓삽노라’는 화자의 말이다. 반면
‘연지분’을 통해 화자가 여성임을 추측할 수 있
윗글은 화자의 독백적 어조로 시상이 전개된다.
다. ‘산, 구롬’은 간신을 의미한다. 윗글은 계절적 배경에 따라 임에 대한 화자의
18) [정답] 사랑과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다. <보기>에서 계
[해설] 이 글에서 대상에 대한 관조적 자세는 확인할 절적 배경의 변화, 계절적 배경에 따른 화자의
정서 변화를 확인할 수 없다. <보기>에만 해
수 없다. ‘이 몸 삼기실 제 ~ 모 일이런가’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풍, 녹음, 서리, 셜 당하는 설명으로, 농가에서의 가난한 생활상을 표
등의 소재를 활용하여 계절의 흐름을 드러내고 현했다. 이 글과 <보기> 모두 정격 가사이다.
있다. ‘나위 적막고 슈막이 뷔여 잇다’ 등에 23) [정답]
서 확인할 수 있다. 화자가 현재 있는 ‘하계’,
[해설] [A]는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죽어서라도
‘쇼상남반’과 임이 계신 ‘광한뎐’, ‘옥누고처’를 대
임을 만나고 싶다는 바람 등이 드러나므로 임과
조하여 이별한 화자의 처지를 부각하고 있다, 이별해 있는 현 상황에 대한 변화를 간절히 염원
19) [정답]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좌절감은 드러

[해설] ⓓ는 임을 그리워하는 외로운 겨울밤이므로, 나지 않는다. ‘범나븨’를 사람처럼 표현하고


있지는 않다. 임에 대한 원망은 드러나지 않는
화자의 긍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없
다. 임이 있는 공간, 화자가 과거에 임과 함께 다. 과거와의 대비는 나타나지 않는다.

지내던 공간이므로 긍정적인 인식과 관련된 것으


24) [정답]
로 볼 수 있다,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과 관 [해설] 윗글의 화자는 임이 계신 곳을 바라보려 산에
련된 것이므로 긍정적인 인식과 관련된 것으로
올라갔지만 ‘산’인지 ‘구름’인지로 인해 임과 화자
볼 수 있다. 임을 상징하는 것이므로 긍정적인
사이가 험해 보인다고 했다. 즉 ㉡은 화자와 임
인식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병을 잘 사이의 장애물, 간신 등을 의미하는 부정적 대상
고치는 명의이므로 긍정적인 인식과 관련된 것으
이다. 의 ‘가마귀’는 백로의 흰빛을 더럽힐 수
로 볼 수 있다. 한편 ⓔ는 ‘편작이 열히 오다 이
있는 존재로, 부정적 대상이다.
병을 엇디리’로 볼 때 화자의 병을 고칠 수 없
는 대상이므로 긍정적 인식과 거리가 멀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 12 -
25) [정답]
[해설] ㉠은 매화를 꺾어 임이 계신 곳에 보내고 싶다
는 마음을 드러낸 것으로, 임(임금)에 대한 사랑
과 정성이 드러난다. ‘한강의 목멱’, 즉 임금이
계신 곳에 닿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낸 작품으로,
임금에 대한 그리움(연군지정)이 드러난다. 객
수를 느끼며 신선 세계를 동경함 강릉의 아름
다운 풍속 예찬 금강산의 아름다운 경치 예찬
십이폭포의 아름다운 경치 예찬

- 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