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아르스 노바 (Ars Nova)-14 세기 유럽

• 아르스 안티카 ( 쿠아 ), Ars Antiqua 의 반대말 . 13 세기까지의 음악 . 정확히는 노트르담


악파로부터 13 세기까지의 음악을 지칭하는 말 . 왕과 교회는 협력 관계로 왕은 현세적
힘 , 교회는 정신적 권위 유지 .
• 14 세기 유럽 :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 , 큰 홍수와 기근과 같은 자연재해 ,
흑사병으로 유럽인구의 1/3 사망 (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시골로 가는 10 명의 청년들이
나누는 이야기 ), 아비뇽 유수 (1309-1377): 교황들이 남동프랑스 지역 아비뇽에 강제로
거주 , 정치 교회의 타락과 교회의 권위 무너짐 , 종교가 전부였던 세상에서 과학과
종교가 분리
• 자국어로 쓰인 문학작품 : 단테의 신곡 (1307),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1348-1353), 영국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1387-1400)
• < 포벨 이야기 >(Roman de Fauvel): 이야기 . 시 . 169 개의 음악에서 정치와 교회를
풍자하는 작품 .
포벨은 말인데 , 마굿간에서 유력한 위치에 오른 말 . Fauvel, 즉 아첨 , 탐욕 , 극악 , < 포벨 이야기 >(Roman de Fauvel): 에 실린 삽화
변덕 ,
질투 . 비겁의 첫 글자로 구성 (Flattery, Avarice, Villainy(U), Variete, Envy, Lachete)
이 작품 안에 ‘아르스 노바’라 불리는 새로운 양식이 등장 .
* 모두스 : 롱가를 나눔
아르스 노바 (Ars Nova) * 완전 : 3 등분
* 템푸스 : 브레비스를 나눔
* 불완전 : 2 등분
* 프롤라치오 : 세비브레비스를 나눔
미님
• 필립 드 비트리 (Philip de Vitry, 1291-1361): 파리 왕실의 자문관 , 비서관 , 외교관 ,
작곡가 , 시인 , 음악 이론가
• < 아르스 노바 >(Ars Nova, 1322-1323): 비트리가 쓴 음악 이론서 , 13 세기 음악은 14
세기의 진보 사회를 담을 수 없음
• 14 세기 음악의 가장 큰 변화는 리듬 !
• 2 등분을 허용 , 2 등분은 불완전한 등분
아르스 노바 (Ars Nova): 마쇼 ( 중요 !)
• 기욤 드 마쇼 (Guillaume de Machaut, 1300-1377): ' 노트르담 미사’ (Messe de Nostre Dame) 로 유명 .
14 세기의 대작곡가이자 매우 중요한 작곡가 !
• 최초로 6 개의 미사통상문 전체를 4 성부 하나의 곡 ( 한 벌로 완성 ). 단일 작곡가가 만든 단일 악곡을 최초로 만듦 !
• 프랑스 북동 샹파뉴 지역의 중산 가정에서 출생 , 프랑스 랭스 대성당에서 성직자로 일하면서 왕족과 귀족의 후원을
받음 . 프랑스 랭스에 거주 . 자신의 시로 140 편의 음악작품을 만들고 300 여 편의 시를 남김 . 후원자를 위해
증정하는 습관으로 때문으로 추정 . ( 많은 작품의 이유 )
• 23 개의 모테트 , 특히 < 노트르담 미사 > 가 유명 , 그 외 다수의 세속노래
• 동형리듬 (Isorhythm): 탈레아와 콜로르 (Talea & Color)
• 리듬의 반복을 탈레아 , 음고 ( 선율 ) 의 반복을 콜로르
• ‘ 동형리듬 모테트’ (Isorhythm motet)
• ‘ 노트르담 미사’에서 키리에 , 상투스 , 아뉴스데이 , 이테 미사 에스트에서 동형리듬을 사용 . 글로리아와 크레도는
콘둑투스 ( 실러블 ) 양식 .
• 키리에 중 크리스테에는 당김음 사용
• ‘ 이중이끈음종지’ 사용 : 이끈음이 2 개가 나타나는데 증 4 도를 피하기 위해 ‘무지카픽타’를 사용함으로써
생긴 . 결과이다 . Ficta=false. 즉 원래 음계에는 없는 음
• 호케트 (Hocket), 즉 딸꾹질 기법 : 두 성부가 빠르게 교대할 때 한 성부는 쉬고 , 다른 성부는 쉬지 않음 ( 교대 )
비트리 , < 나무 아래서 / 신성한 믿음의 나팔 / 나는 동정녀 >

‘ 탈레아와 콜로르’의 관계
비트리 , <Cum status/Hugo, Hugo/Magister invidie> 느부갓네살 상 옆에 / 휴고 휴고 / 질투의 왕

https://www.youtube.com/watch?v=Ruict2XH3d4 + 호케트 찾아보기


마쇼 , < 노트르담 미사 > 중 키리에 중 ‘ christe’ 도입부

https://www.youtube.com/watch?v=HGRhUFbT0_s

+ 이중이끈음종지 찾아보기
이중이끈음종지란 ?
마쇼 , 동형리듬 모테트
나 안에 있을 때 / 사랑과 아름다움 / 정말로 쓰다
When in me/Love and Beauty/Bitter Indeed

16 16 16
https://www.youtube.com/watch?v=cu7-RV7XB9k

12. 12. 12. 12


중세 세속음악
• 중세의 세속음악은 기본적으로 기보되거나 기록되지 않음 . 자국어로 노래함 . 여성에 대한 숭배적인 사랑 , 도덕과 정치 ( 십자군에 관한 교훈 )
• 단순히 청각에 의존해서 외워서 전승 . 그나마 그림 자료나 시를 통해 몇 가지 중요한 노래와 춤곡을 발견 .
• 악기사용 했을 것으로 추정 . 단성 , 교회선법 . 대부분 AAB(bar 형식 )
• 트루바두르 (troubadour)
: 12 세기 프랑스 남부에서 활동 . 디아의 백작 부인 (Comtessa de Dia), 베르나르 드 뱅타도른 (Bernart deVentadorn, 하인 출신 )
‘trobar’ 는 발견자 , 발명자의 뜻 . 최초의 트루바두르는 아키텐 공작 기욤 ? , 즉 귀족 계층의 후원을 받거나 귀족도
있음 . 프랑스 남부의 옥시탕어 사용
• 트루베르 (trouver)
: 프랑스 북부 현재의 파리를 중심으로 , 노트르담 악파의 다성음악 시기와 중첩 (13c~)
아당 드 라 알르 (Adam de la Halle 1245-1285?) 단성과 다성 모두 작곡
• 페트루스 데 크루체 (Petruce de Cruce, 13 세기 말 , 프랑스 북부 아미앙 태생 )- 프랑코 기보법
• 종글뢰르 (Jongleur) 혹은 민스트럴 (minstrel) : 광대 , 기능인 , 예인들로 무리를 지어 돌아다님
• 민네징어 (12-16c): 독일의 음유시인 , ‘ 민네’는 사랑 . 귀부인에 대한 사랑 . 마이스터징어
• 대표 민네징거 : 포겔바이데 ( Walter von der Vogelweide, 1170-1228) 과 로이엔탈 (Neihard von Reuenthal, 1190-1237),
• 포겔바이데의 < 팔레스타인 노래 > 유절형식 , AAB
• 골리아드 (Goliard): ‘ 골리앗’ 독일에서 활동 , 방랑하는 학생들 , 성직자들 , 라틴어 시를 씀 . 내용은 반그리스도적이고 , 육욕적이고 , 환락과
관능 쾌락을 찬미 . 남아 있는 시집 < 카르미나 부라나 >(Carmina Burana): 카르미나는 시 , 부라나는 세속의 의미
• 라우다와 발라타 ( 이탈리아 ), 칸티카 ( 스페인 ), 칸조 Canzo, 파스토렐라 pastorella, 알바 alba ( 프랑스 ), 샹송 ( 다성 )
중세 세속음악

골리아드의 < 카르미나 부라나 >(Carmina Burana)


채색 필사본 . 자세히 보면 가사 위에 네우마가 그려져 있음
중세 세속음악 : 포겔바이데 < 팔레스타인의 노래 >

내용 : 십자군 행렬에 참여
https://www.youtube.com/watch?v=J_zjgZJOFl4&t=1s
중세 기악음악
• 즉흥곡이거나 성악곡의 반주 , 혹은 춤 반주

• 악보로 보존되어 있지 않음 . 도상학적 자료를 참조

• < 왕의 필사본 > 에 수록된 에스탕피 (Estampie) 가 유일 . 최초의


기악음악이라 할 수 있음 ( 기록된 )

• 도상학적 자료 혹은 문학작품

• 에스탕피 (Estampie): 춤 반주곡 , 춤곡집 ,

풍타 (puncta) 짧은 악절로 구성 . 두 개의 종지가 번갈아 가면서 등장

( 열린종지 , 닫힌 종지 )

• 중세의 악기 :

현악기 ( 비엘 , 류트 , 살터리 , 하프 ), 관악기 ( 숌 , 플루트 , 트럼펫 ,

백파이프 ) 타악기 ( 타보르 ), 건반악기 ( 포터블 , 포저티브 오르간 )

* 중세는 악기의 소리크기에 따라 실내용이냐 , 실외용이냐로 나눔


에스탕피

열림

닫힘

즉흥 + 기억 + 반복
프랑스 국립 박물관에 소장된 < 왕의 필사본 > 에 남아있는 4 번째 곡
열린 종지 + 닫힌 종지

https://www.youtube.com/watch?v=B5SRs0Ok45I
45 초
< 중세악기설명 >

https://www.youtube.com/@OfficialPiffaro/videos
마쇼의 세속 노래들 ( 고정형식 , formes fixe)

• 프랑스 북부 랭스 대성당의 성직자


• 프랑스의 왕 ( 왕의 딸 ) 과 여러 귀족을 섬김
• 20 여개의 모테트 , 기악음악 < 다윗 호케투스 >, 120 여개의 세속노래
• 트루베르의 활동시기와 겹침 트루베르의 전통 . 시의 형식을 고정 ,
정형시 형식
• 비를레 (Virelai) 3 연 + 후렴 Abba Abba Abba A
• 발라드 (Ballade) 3 연 aab aab aab
• 롱도 (Rondeau) ABaAabAB
• 다성 ( 샹송 ) 노래 ( 발라드 , 롱도 ), 단성노래 ( 비를레 )
• 마쇼의 고정형식 세속노래는 반복구가 있고
주로 사랑노래

시의 형식이 곧 음악형식
대문자는 반복구 (A, B, C…)
선율은 동일 가사만 바뀌면 (a, b, c… 등 )
발라드는 철학적 , 역사적 주제
롱도는 사랑
비를레는 자연과 사랑
마쇼의 세속 노래들 ( 고정형식 , formes fixe)

예 ) 솔라주 (Solage) 의 롱도 가사

(A) 뿌연 연기를 통해서


(B) 나타나는 희미한 생각
(a) 생각을 태워 날리면
(A) 뿌연 연기를 통해서
(a) 그는 연기를 즐기네
(b) 자기가 원하기만 하면
(A) 뿌연 연기를 통해서
(B) 나타나는 희미한 생각

Abba A bba A bba A


https://www.youtube.com/watch?v=tJS-HZWB3wE
아르스 수브틸리오르 (Ars Subtilior)

• 14 세기 말부터 15 세기까지 (1370-1400) 다성 세속노래를 많이


작곡 . 마쇼의 정형시 형식을 답습 .
• 점차 리듬이 더 복잡 , 선율에 변화음이 자주 적용 섬세한 예술 ,
난해한 양상 . 전문 연주자와 교양인을 위한 음악
• 요하네스 치코니아 (Johannes Ciconia, 1370-1412), 필리푸스 데
카세르타 (Philippus de Caserta)
• 잠깐 유행
• 무지카 픽타 : 악보에는 없고 연주할 때 붙여 연주
무지카 픽타는 귀도의 음역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음 .
즉 ficta=false 로 가상의 음 , 틀린 음을 의미한다 . 다성음악의
발달과 함께 협화음정을 만들거나 , 종지할 때 변화음을 만드는 것 .
그 중에서 종지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장 흔하다 . 하트 모양으로 글진 보드코르디에 (Baude Cordier) 의 롱도
악보 안에 가사 대신 심장을 그려 넣음
( 이중이끈음종지 double leading-tone cadence)
이탈리아 트리첸토 (trecento) 음악

• 트리첸토란 이탈리아 말로 1300 이란 뜻 mille trecento, 즉 14 세기


• 14 세기 이탈리아는 중앙집권적 왕정이 아닌 도시국가의 형태 . 상업이 발달 ( 동양과 서양의
길목 ), 볼로냐 , 파노바 , 모데나 , 밀라노 , 피렌체 등 도시국가 발달 . 후원문화가 싹틈
• 특히 , 피렌체는 메디치 가문과 관계가 있고 , 단테의 < 신곡 >, 보카치오의 < 데카메론 > 시인
페트라르카와 연관
• 14 세기 이탈리아 음악은 선율에 중점 ( 프랑스는 리듬이 발달 ), 다성음악
• 프랑스의 기보법을 따르지 않았지만 점차 프랑스식 기보법으로 대체
• 마드리갈 : 2, 리듬보다는 선율 , 반주 없음 . 가사는 전원 , 목가 , 사랑 . 이탈리아어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긴 멜리스마가 있음
연 (stanza1, 2) 와 리토르넬로 ( 후렴구 ) aab 예 ) Jacopo da Bologna, Non al suo amante
• 카치아 ( 샤스 ): ‘ 사냥’ , 카논식 , 1345-1370 에 유행 . 돌림노래의 특징 . 한 성부가 다른
성부를 쫓아감 . 사냥하는 장면을 묘사하는 것이 많음 . 호케트 , 새소리 , 고함소리 , 대화
같은 생생한 소리
포터블 ( 휴대용 ) 오르간을 든 란디니
이탈리아 트리첸토 (trecento) 음악 :
이탈리아 트리첸토 (trecento) 음악 란디니의 발라타 < 나는 절대 동정하지 않으리 >
• 발라타 : 단성 발라타와는 다름 . AbbaA ( 프랑스의 비를레와 같은
형식 , 즉 정형시 형식 )
• A 는 리프레샤 ( 반복 ), 7 줄의 stanza 중 첫 부분인 b 를 피에타
(Pieta), 마지막 세줄을 a 를 볼타 (volta). 그리고 다시 리프레샤로
마무리
• ‘ballare’ 즉 ‘춤추다’라는 의미로 원래 춤의 반주가 되는 노래 .
• 프랑스의 비를레의 한 연과 같은 형식
• 발라타의 대표 작곡가는 프랑스의 마쇼와 버금가는 이탈리아
트리첸토 대표 작곡가인 란디니 (Francesco Landini, 1325-1397) :
천연두로 장님이 됨 .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이자 제작자 .
• ‘ 란디니 종지’ : 테노르는 순차 하강하고 제일 윗성부가 아래
보조음으로 하행 후 , 3 도 위 도약하는 종지 .
• 란디니 종지는 프랑스 , 이탈리아 지역에서 많이 사용됨
• 이탈리아 음악은 점차 프랑스 음악에 동화됨
예 ) Landini, < 절대 동정하지 않으리 > https://www.youtube.com/watch?v=TXpgPLW_6IQ

“ 란디니 종지”
영국의 다성음악 ( 생략 )

• 1066 년 윌리엄 1 세의 잉글랜드 내 노르만 왕가


• 프랑스와 영국의 관계
• 영국의 다성음악은 3 도와 6 도를 주로 사용
• 호모포니 , 단음절적 , 카논 ( 돌림노래 )
• 성부교환기법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형식을 ' 론델루스’ (rondellus)
• 로타 (Rota), 카논과 관련
• 특징 : 하성부에 'pes'( 발 ) 이 반복됨으로써 테노르의 역할
• 단순 , 단음절적 , 주기적 선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