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월드뮤직연구 공연영상학과 실용음악전공

-TANGO-
2019225512 민예진
탱고의 유래

❖ 음악 장르이면서 댄스 장르
❖ 약 1870년 즈음에 생기기 시작
❖ 1900년 전후에 지금의 모습을 갖춤

❖ 1차 세계대전(1914-1918)까지 유럽의 하층민들이 남미로 이주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부두 노동자들이 애환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분출하며 춘 춤
❖ 초기에는 지방의 댄스음악 정도로 여겨짐
❖ 시간이 지나면서 탱고를 음악으로 연주하는 전문 연주자들이 출현
탱고음악의 뿌리

❖ 19세기 초 쿠바에서 유행했던 하바네라(Habanera) 음악


❖ 아프리카에 기원을 둔 칸돔베(Candombe) 음악
❖ 아르헨티나 민요 형식 춤곡 밀롱가(Milonga) 음악

=> 유럽의 춤곡의 영향 + 아프리카의 리듬 + 라틴


아메리카의 민속적인 음악이 섞인 복합적인 음악
탱고음악의 대중화

❖ 오르케스타 티피카(Orquesta Típica)

: 탱고를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악단

❖ 까를로스 가르델(Carlos Gardel)

:탱고음악의 최초이자 최고의 스타로 꼽힘


❖ 대표곡: "Por Una Cabeza" (여인의 향기 OST),

"Caminito", "Volver"
탱고음악의 대중화

❖ 아스또르 피아졸라(Astor Piazzolla)

:1970년대 탱고음악 작곡가, 피아니스트, 반도네온 연주자


❖ 누에보 탱고(Nuevo Tango): 탱고 + 클래식 + 재즈
❖ "Adios Nonino", "Libertango", "Oblivion" 등

❖ 이외 Julio Sosa, Rodolfo Mederos, Richard Galliano, Dino Saluzzi 등


탱고음악의 악기

❖ 초기 오르케스타 티피카: 플룻, 바이올린, 클라리넷, 아코디언 등

❖ 1910년대에 독일에서 건너온 반도네온 합류


❖ 이후 피아노와 콘트라베이스 합류
탱고음악의 악기

❖ 1960년대 피아졸라의 누에보 탱고 Quintet


: 반도네온, 바이올린, 일렉기타, 피아노, 콘트라베이스

❖ 현대: 전통 탱고 오케스트라와 누에보 탱고 오케스트라 공존


탱고음악의 종류

❖ 1. 정통 탱고
• Milonga: 2/4, 경쾌한 리듬
• Tango: 춤을 위해 정박으로 끌고가는 리듬의 곡
• 혹은 경쾌한 부분과 발라드 부분이 대조를 이루는 곡
• Valse: 3박자, 탱고 특유의 아티큘레이션
탱고음악의 종류

❖ 2. 누에보 탱고
• 피아졸라가 조국인 아르헨티나 음악과 미국에서 접한 재즈를 접목
• 드럼/퍼커션 같이 리듬적인 요소를 탱고에 접목시킴
• Libertango (자유의 탱고)
• 바이올린을 이용해 타악기적인 소리를 표현한 기법들 창시
• Chichara 치차라(매미)

• Latigo 라띠고(채찍)

• Tambor 땀보르(북)
탱고음악의 종류

❖ 3. 콘티넨탈 탱고
• 유럽인들이 재해석한 경쾌하고 화려하게 변모한 탱고
• 아르헨티나 정통 탱고 고유의 특성을 상당히 잃어버림
• 다채로운 현악기 사용
• 어두운 반도네온보다 밝은 아코디언 사용하기도
• 영화 “여인의 향기”의 Por Una Cabeza
Q&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