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서양음악사

오예민
1914-1945
새로운 체계
1. 새로운 경향들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팽창으로 비롯된 평화와 번영에 대한 낙관론은 1914년 1차세계


대전으로 종말을 맞고, 작곡가들도 전쟁터로 나간다. 사치스럽고 신비스러운 맥시멀리즘
은 외면당하고 대중음악, 대중기술이 등장한다.

• 객관성 : ‘예술은 오로지 그 자체만으로 표현한다.’ 오스카 와일드



‘나는 음악이 본질적으로 어떤것, 어떤 감정, 태도, 심리적 상태, 자연현상 등을 표
현할 수는 없다고 본다’ 스트라빈스키 - 신고적주의적 경향

• 도시화와 기계화 : 도시화와 기계에 대한 음악적 소재. - Arthur Honegger 오네


게르(1892-1955) <퍼시픽 231 열차, Pacific 231, 1924>, Sergey Prokofiev
프로코피에프 (1891-1953) <강철의 춤, Le pas d'acier 1924>, Alexander
Mossolov 모소로프 (1900-1973) <주철공장, 1927>, Paul Hindemith 힌데미
트(1895-1963)의 오페라 <오늘의 뉴스, Neues vom Tage, 1929>
• 재즈의 영향 : 전쟁 이후 미국 재즈의 영향 - 싱코페이션, 복합리듬, 목관,금관,리
듬섹션의 중심

사티의 발레 <Parade, 1917> 미요의 <세계의 창조, 1923>, 스트라빈스키의
<11개의 악기를 위한 래그타임, 1918>, <피아노를 위한 래그타임, 1919>, 미
국의 거쉰(George Gershwin, 1898-1937) <Rhapsody in Blue, 1924>

•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 후기낭만과 표현주의에 반대하는 신즉물주의


확산 - 작가주관의 표출에만 전념하여 대상을 즉물적으로 파악하지 못한다는 비
판. 난해함을 피하고 대중음악, 재즈, 고전주의 음악등 친숙한 재료로 작곡.

크세넥(Ernst Krenek, 1900-1991), 바일(Kurt Weill, 1900-1950)

• 실용음악(Gebrauchsmusik) : 모더니즘 어법에 기초한 ‘현대음악’이 새로운 것


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작곡가와 청중의 괴리감을 우려하여, ‘음악생산자와 소비
자’ 의 개념으로 괴리를 좁히고자 하는 움직임이 생긴다. 목적과 기능을 가진 음악
을 추구하는 운동.

- 힌데미트의 <Music to Sing or Play, 1928>,<도시를 건설하세, 1930> 등이
있고, 그 밖에 작곡가로는 아이슬러(Hanns Eisler, 1898-1962), 크세넥, 바일.
Paul Hindemith
(1895-1963)
2. 신고전주의

• 20세기의 ‘고전주의’ : 20세기 초의 ‘고전주의’에 대한 정의가 지금과 다르다. 즉,


하이든,모차르트 뿐만 아니라, 몬테베르디, 팔레스트리나도 고전을 의미한다.

• 신고전주의 : 음악이 표현하는 상징적 의미를 거부, 음악의 자율적이며 적대적인


예술성을 추구. 스트라빈스키, 힌데미트, 바르토크, 미요, 프로코피에프, 코플랜드
(Aaron Copland, 1900-1990)

• 음악적 특징 : (1)고전적인 형식(교향곡, 협주곡, 소나타, 실내악, 모음곡, 푸가, 파


사칼리아, 샤콘느), (2)넓은 음역의 기악선율 선호, (3)온음계중심의 전음계주의
(pandiatonicism: 화음 기능성과 상관없이 온음계 사용), (4)화성적 짜임새 보다
선적 짜임새(Linear texture) 추구

• 스트라빈스키의 신고전주의 : 작은편성음악, 관악기위주의 편성(감정표현의 자제,


객관성)

- <병사의 이야기>, <관악기를 위한 교향곡>, <풀치넬라, Pulcinella>
• 각국의 작곡가들

• 바르토크(Béla Bartók, 1881-1945) : 민속음악 채집, 연구(헝가리,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현대음악과 민속음악의 접목. 

- <푸른 수염 공작의 성>,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1944>, <현과 타악기 그리고 첼레스
타를 위한 음악, 1936>, <미크로코스모스, Mikrokosmos 1926-1939>

• 음악적 특징 : 음악의 논리성, 형식미 중시. / 강한 반음계적 선율 / 좁은 음역의 선율 / 2


도, 4도, 7도 음정(헝가리 민속음악 영향) / 여러선법 동시사용(Polymodality) / 페달포인
트, 드론베이스(Drone Bass)-조성적 강조 / 비대칭적 리듬 / 변화하는 리듬패턴

• 힌데미트 : 신즉물주의 / 화려한 대위법을 구사하고 목관악기를 선호 / 반음계적으로 보이지


만 중심음을 갖고 있다. / 복화음(Polychord) 를 사용, 불협화로 들리지만 종지부에는 3화음

• 6인조(Les Six)

• 뒤레, 타유페르, 오리크, 미요, 오네게르, 풀랑

• 인상주의 화려하고 복잡한 화성에 반대 / 사티의 영향으로 단순함을 추구


• (Béla Bartók, 1881-1945)
•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v 1891-1953)

• 어려서 부터 뛰어난 음악적 재능 / 1918년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미국으로 망명 /


1933년에 소련정부의 종용으로 귀국 /

• 모더니즘의 기법과 기존 형식의 결합으로 대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작품을 쓰려고 하


였다.

<고전적 교향곡, 1917>,<피아노협주곡 3번, 1921>,<키제 중위, 1934>, 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1917, 1935), 발레<로미오와 줄리엣, 1935>, <피터와 늑대,
1947>, 9개의 피아노 소나타.

•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1906-1975)

• 어려서 부터 뛰어난 음악적 재능 / 소련의 최고의 작곡가 / 소련 체제에 순응과 저항


을 반복 / 전체주의적 예술정책인 음악의 검열과 비판으로 고통 /

• 15편의 교향곡 및 관현악곡, 협주곡, 15편의 현악4중주, 실내악곡, 오페라, 성악곡


그리고 영화음악까지 다양한 작품
• Sergei Prokofiev 

1891-1953
•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 아이브스(Charles Ives, 1874-1954) : 예일대에서 작곡공부 후, 보험회사
운영하면서 작곡활동 / 미국 현대음악의 아버지 / 1915년 이전에 대부분 작
곡했지만 2차세계대전 후에 알려짐

• 스트라빈스키 이전 Polyrhythm(복합리듬) 사용 / 쇤베르크보다 먼저 무


조 작곡 / 미요 이전 Polytonality(다조성) 사용 / 카웰 이전에 Tone
Cluster(음뭉치) 사용 

- <캠프 미팅, The Camp Meeting>, <Concord Sonata>, <Three
Places in New England>

• 코플랜드(Aaron Copland, 1900-1990) : 나디아 블랑제(Nadia


Boulanger, 1887-1979)와 현대음악을 공부 / 귀국 후 미국 민요의요소 및
재즈를 가미한 관현악곡 <살롱 멕시코 1936> 으로 명성 / 후기에는 12음 기
법 사용

- <아팔라치아의 봄, Appalachian Spring, 1944> < Piano Fantasy
1958>
• Charles Ives, 1874-1954
• Aaron Copland, 1900-1990
• 나디아 블랑제(Nadia Boulanger, 1887-1979)

• 작곡가 보다는 교육자로 유명

• Aaron Copland, Roy Harris, Virgil Thomson, Darius


Milhaud, Elliott Carter, David Diamond, Dinu Lipatti,
Igor Markevitch, İdil Biret, Daniel Barenboim, John Eliot
Gardiner, Philip Glass, Lalo Schifrin, Astor Piazzolla,
Quincy Jones, and Michel Legrand.

• https://en.wikipedia.org/wiki/
List_of_music_students_by_teacher:_A_to_B#Nadia_Bo
ulanger
• Nadia Boulanger, 1887-1979
• 12음 음악(Twelve-tone Music)


Serialism / Twelve-tone serialism / Twelve-note
composition / Dodecaphony


음렬 : 12개의 음을 임의대로 나열 혹은 구조적으로 나열(베베른) -
순서대로 한번씩 음을 사용 - 음도 반복되거나 강조되서는 안됨.-
12개의 음이 동일한 중요성을 가짐

예: Prime / Retrograde / Inversion / Retrograde-Inversion


Original / Prime Form / (P 0)

Retrograde / R 0

Inversion / I0

Retrograde Inversion / RI0


I0 I11 I8 I2 I4 I1 I3 I10 I6 I4 I9 I5

P0 B Bb G C# Eb C D A F# E Ab F R0

P1 C B Ab D E C# Eb Bb G F A F# R1

P4 Eb D B F G E F# C# Bb Ab C A R4

P10 A Ab F B C# Bb C G E D F# Eb R10

P8 G F# Eb A B Ab Bb F D C E C# R8

P11 Bb A F# C D B C# Ab F Eb G E R11

P9 Ab G E Bb C A B F# Eb C# F D R9

P2 C# C A Eb F D E B Ab F# Bb G R2

P5 E Eb C F# Ab F G D B A C# Bb R5

P7 F# F D Ab Bb G A E C# B Eb C R7

P3 D C# Bb E F# Eb F C A G B Ab R3

P6 F E C# G A F# Ab Eb C Bb D B R6

RI0 RI11 RI8 RI2 RI4 RI1 RI3 RI10 RI7 RI5 RI9 RI6
• 쇤베르크와 12음렬 음악 : 조성파괴 - 대신할 도구의 필요성 - 12
음렬 음악 / 초기에는 제2빈악파(쇤베르크, 베베른, 베르크)만 사
용하였지만, 2차세계대전 이후 널리 퍼짐 

- <Piano Concerto, Op. 42 1934>

• 베베른 : (1) 음렬구조 = 형식구조, (2)음렬구조 ≠ 모티브 (3) 간


결함 (4) 음렬의 구조적 결합

- <Kinderstück 1924>

• 베르크 : 쇤베르크, 베베른은 하나의 음렬을 고집하지만, 베르크


는 각악장마다 다른 음렬을 쓰기도함 / 12음 기법을 엄격하게 적
용하지 않음 / 조성음악과의 연관성 있는 음렬 사용 

- <Violin Concerto, 193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