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Ⅰ.

Tango

These days, when people hear the word “tango,” they usually think about the popular and energetic style
of dance. But originally it referred to a style of music used to console the sad and the lonely.

오늘날, 사람들이 ‘탱고’라는 단어를 들으면 그들은 보통 대중적이고 활기찬 스타일의 춤을 떠올린다. 그러나 원래 그
것은 슬픈 사람들과 외로운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해 사용된 음악의 한 형식이다.

During the 1880s, thousands of penniless immigrants from Europe and Africa came to Argentina, hoping
to make their fortunes on the plains. However, many failed and gathered in the poorest areas of Buenos
Aires. These immigrants felt lost and alone and shared their unhappiness through music. They created
their own special music and dances, using the rhythms of the African slaves and the sounds of the
Spanish colonists. The sadness of the music was emphasized by the melancholic sounds of a type of
accordion, known as a bandoneon. From this point onward, tango began to develop.

1880년대에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무일푼인 수천 명의 이민자가 부자가 되기를 바라며 아르헨티나의 대평원으로 건너
왔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실패하고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빈민가로 모여들었다. 이 이민자들은 상실감과 외로움을 느
끼고 음악을 통해 자신들의 불행을 나누었다. 그들은 아프리카 노예의 리듬과 스페인 식민지 사람들의 소리를 이용해
자신들만의 독특한 음악과 춤을 만들어냈다. 이 음악에 깃든 슬픈 정서는 아코디언의 일종인 반도네온이라는 악기의
구슬픈 소리에 의해 두드러졌다. 이때 이후로, 탱고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After World War I, tango became the dominant music style in Argentina. As Argentina gradually became
one of the richest countries in the world, tango was refined into a fashionable, elegant style. The lyrics
of the songs slowly moved from the subjects of poverty and the loneliness of immigrants to the general
subject of romance. Stars were made: singers, dancers, lyricists, and composers. Carlos Gardel, a
famous singer, brought the music to radio and the movies. Suddenly, tango became a worldwide
phenomenon.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탱고는 아르헨티나의 주도적인 음악이 되었다. 아르헨티나가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의


대열에 점차 들어섬에 따라, 탱고도 세련되고 우아한 스타일로 다듬어져 갔다. 노랫말은 가난과 이민자의 외로움을 주
제로 한 것에서 낭만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로 차츰 옮겨 갔다. 가수나 무용수, 작사가, 작곡가 등의 스타도 탄생했다.
유명 가수인 카를로스 가델은 이 음악을 라디오와 영화에 도입했다. 갑자기 탱고는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다.

However, in 1930, there was a violent change of government in Argentina. This new strict life stopped
people from dancing and singing. People lost their right to vote, along with many other freedoms. It was
not until the late 1930s that Argentinians got their freedom again. Then, they began to play tango — it
was once more a part of their daily lives. However, tango became less fashionable after the 1940s due to
the arrival of American swing and rock and roll. From the 1960s to the 1980s, it was enjoyed only by
the older generation and by a few enthusiasts.

그러나 1930년 아르헨티나에서는 무력에 의한 정부 교체가 있었다. 사람들은 많은 다른 자유와 함께 투표할 권리를 잃
었다. 이 새로운 엄격한 생활로 인해 사람들은 춤추고 노래할 수 없었다. 193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아르헨티나 사람
들은 다시 자유를 찾았다. 그 후 그들은 탱고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탱고는 다시 한번 그들 일상의 일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탱고는 1940년대 이후에는 미국의 스윙과 로큰롤의 유입으로 인해 인기가 떨어졌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
지, 탱고는 아이 든 세대와 소수의 애호가에 의해서만 즐겨졌다.

The current revival dates from the early 1980s, when a stage show called Tango Argentina toured the
world with a dazzling version of tango. The 1990s were another period of renewal, with international and
modern influences transforming tango into a dance reflecting global fusion culture.

최근의 부흥이 시작된 것은 1980년대 초반으로, <탱고 아르헨티나>라는 무대 공연이 탱고의 매혹적인 형태로 전 세께
순회공연을 할 때였다. 1990년대는 제2의 부흥기로, 국제적이고 현대적인 영향이 탱고를 세계의 퓨전 문화를 반영하는
춤으로 바꾸어 놓았다.

*저작권법(제25조2항)에 따라 학교 수업을 위한 저작물(사진, 글, 그림, 영상 등)은 본 홈페이지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이 외의


공간에서 저작물을 공유 또는 게시하는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