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대중음악산업의 이해 00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THURSDAY 18:50-20:20
8주차 REVIEW 미디어와 음악산업 –인터넷 포털

• 인터넷 포털은 이미 검색 분야에서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바탕으로 음악, 웹툰, 웹소설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
• 인터넷 포털은 방송및 동영상 분야로 영향력을 획대하고 있음. 포털들의 기존 음악산업에서
의 위치와 결합되어 미디어와 음악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네이버는 음악 플랫폼인 VIBE를 YG Plus를 통하여 웅여중임. 네이버는 또한 HYBE의 자회사이
기도 한 Weverse를 통하여 BTS, Blackpink등주요 아이돌 그룹의 팬 커뮤니티 역할을 수행함.
Weverse는 V Live까지 통합한 Weverse 2.0을 내놓음.
• 카카오는 한국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사이트인 멜론을 2016년 로엔엔터테인먼트로
부터 인수하여 운영중임. 카카오는 자회사 카카오 M을 통하여 배우소속사인 BH엔터테인먼
트, 매니지먼트 숲, 제이와이드 컴퍼니를 인수하였고, 영화제작사인 월광과 사나이픽쳐스도
인수하였음.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탐색과 활용

• 탐색(exploration) 과 활용(exploitation)은 문화산업에서 기업과 아티스트의 전략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도구임.
• 탐색(exploration)은 기업/아티스트가 기존에 하지 않던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임.
예: Beatles의 음악

• 활용(exploitation)은 기업/아티스트가 기존에 하던 것을 계속하는 것임.


예: 오디션 프로그램이 성공하자 다른 방송국에서도 비슷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내놓은 것.
넓은 의미의 저작권에는 좁은 의미의 저작권과 저작인접권이 있음.
• 양손잡이(ambidectrity) 전략: 기업/아티스트가 탐색과 활용을 적절하게 섞어 시도하는 것.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문화적 차원

• 문화인류학자인 홉스테드(G. Hofstede)는 제 국가들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네 가지의 문화


적 차원을 제시함
• 권력거리(power distance): 구성원이 부/권력의 불평등을 용인하는 정도

• 불확실성 회피 성향(uncertainty avoidance): 구성원들이 불확실성을 회피하려 하는 성향/정도


• 남성주의/여성주의(mscuinity/femininity): 사회에서 성 역할이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는지. 사회
의 중심가치가 승진/보수등에 있는지, 혹은 중심가치가 삶의 질/조화등에 있는 지.
• 개인주의/집단주의(Individualism/Collectivism): 개인의 권리/자유 vs 개인의 집단/조직/사회에
대한 책임/의무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저작권이란 저작자의 명예와 인격적 권리, 그리고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는(보호하기위한)


권리
• 저작자는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등을 도창적으로 표현한 창작물(저작물)을 만든 사람.

• 넓은 의미의 저작권에는 좁은 의미의 저작권과 저작인접권이 있음.


• 일반적으로는 저작자가 저작권리자이나, 사후 혹은 양도시에는 다르게 됨.
• 저작물을 창작할 때부터 저작권은 자동으로 발생하며, 저작자 사후 70년까지 보호받음.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광의의 저작권

• 좁은 의미의 저작권에는 저작재산권과 저작인격권이 있음.


• 저작재산권은 저작권자가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권리임. 주요한 저작재
산권에는 복제권, 방송권, 공연권, 전시권, 2차적 저작물 작성권등이 있음.

• 저작인격권은 저작자의 명에와 인격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권리임. 저작인격권에는 공표


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이 있음.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저작재산권

• 저작재산권은 저작권자가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권리임.


• 주요한 저작재산권에는 복제권, 방송권, 공연권, 전송권, 2차적 저작물 작성권등이 있음.

•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은 원저작물을 편곡 혹은 번역하여 독창적인 저작물로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
• 기존 곡을 리메이크하는 경우나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편곡하여 부른 경우, 저작권자의 승인
을 받아야 가능함.
• 저작권자가 리메이크곡을 허락하거나 금지할 수 있는 권리
9주차 저작권과 음악산업

• 저작재산권은 저작권자가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권리임.


• 주요한 저작재산권에는 복제권, 방송권, 공연권, 전송권, 2차적 저작물 작성권등이 있음.

• 복제란 저작물을 복사(녹음)하여 유형물로 제작하는 것. 저작권자는 타인들에게 복제를 허


락하거나 금지할 수 있는 권리(예: 불법CD 제작)인 복제권을 가짐.
• 공연권은 아티스트가 음악을 실제로 연주(가창 포함)하여 공중에게 관람하도록 하는 것(예:
콘서트나 행사). 길거리 버스킹?
• 방송권은 음악을 다수의 공중이 동시에 들을 수 있도록 방송하는(보내는) 것과 관련된 권리

• 전송권은 공중의 구성원이 각자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보낼 수 있


는 권리.
9주차 저작권과 음악산업 – 저작인격권

• 저작인격권은 저작권자의 명예와 인격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권리임.


• 저작인격권에는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이 있음.

• 공표권은 저작권자가 저작물을 일반에게 공표하거나 공표하지 않을 권리. 공표란 저작물을


공연, 방송등의 방법으로 공중에게 공개하는 경우
• 성명표시권은 저작자 자신의 이름을 저작물에 표시할 권리.
• 동일성유지권은 저작자가 저작물의 내용이 부당하게 바뀌지 않도록 금지할 수 있는 권리. 오
직 저작자만이 저작물의 내용, 형식, 제목을 바꿀 수 있음. 저작물의 이용에 있어 부득이한
정도의 변경? 패러디?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저작인접권

• 저작인접권은 저작권과 밀접하게 관련되는(인접) 권리임.


• 저작인접권자에는 실연자(가수 연주자), 음반/음원제작자, 방송사업자가 있음.

• 실연자는 저작물을 가창, 연주하여 실연하는 사람임.


• 음반/음원 제작자는 음을 음반/음원에 고정하는 데 있어 전체적으로 기획하고 책임을 지는
사람.
9주차 REVIEW 저작권과 음악산업 – 실연권

• 저작인접권은 저작권과 밀접하게 관련되는(인접) 권리임.


• 저작인접권자에는 실연자(가수 연주자), 음반/음원제작자, 방송사업자가 있음.

• 실연권은 저작물을 가창, 연주하여 실연하는 사람에게 부여되는 권리. 실연권자는 저작재산
권과 저작인격권을 가짐.
• 실연권자의 저작재산권에는 복제권, 방송권, 공연권, 전송권이 있음. 복제권, 전송권의 경우,
판매용으로 제작된 음반(음원)의 경우, 일단 실연자의 허락을 받아 음악이 제공되었다면, 전
송, 복제권에 제약이 있음(음반제작자의 권리 보호).
• 공연권, 방송권의 경우, 실연권자는 이용을 금지할 권리는 없고 단지 이용에 대한 보상금을
받을 권리만 있음.
9주차 저작권과 음악산업 – 마스터권

• 저작인접권은 저작권과 밀접하게 관련되는(인접) 권리임.


• 저작인접권자에는 실연자(가수 연주자), 음반/음원제작자, 방송사업자가 있음.

• 마스터권은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음악을 제작하는 데 자본을 투자한 음반제작자에게 부여


되는 저작인접권임. 음반제작자가 마스터 원본을 소유하고 그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뜻.
• 단지, 음반제작자에게는 자작인격권이 주어지지 않음.
• 음반제작자는 복제, 배포, 전송권을 저작인접물 신탁업체(음저협, 함저협)나 대리중개업체
(CJ E&M)에게 맡겨서 유통시키고 있음.
10주차 PROPOSAL 결과 분석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댄스 음악

• 음악과 춤은 고대부터 밀접하게 연결되어 부족을 하나로 하는 데 중요한 의례로서의 역할을


하여 옴.
• 중세에 음악은 계속 발전하였으나, 춤은 종교적인 이유로 세속적이라는 이유로 억압받음.

• 미국은 아프리카에서 흑인노예를 끌어왔고, 노예들은 미국에서 자신들의 음악과 춤의 문화


를 독자적으로 구축하여 감.
• 오늘날 대중음악에서 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K-Pop에서 춤(안무)는 매
우 중요한 구성요소의 일부임 .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댄스 음악

• 1960년대에는 트위스트(Twist)가 유행하여, 미국전역으로 퍼져 나갔음. 트위스트는 남녀가


마주보고 추는 쉬운 춤동작으로 인하여 널리 퍼질 수 있었음.
• 1970년대에는 디스코(Disco)가 크게 유행함. 유럽과 미국의 대도시에서 젊은이들이 주말 저
녁에 디스코테크에 모여 어울려 춤을 춤(Social Dance).

• 디스코가 크게 유행하였던 시기는 1970년대 중후반이었음. 디스코는 춤이 선정적이고 동성


애자와의 연관성등의 이슈로 하위문화로 자리잡았으나, 비지스 음악/존 트라볼타 주연의
Saturday Night Fever가 대히트하면서 주류문화로 자리잡게 되었음.
• 디스코는 라이브로 연주하는 음악이 아니라 음반으로 (조작)하는 음악이라는 점에서 음반
프로듀서, DJ등, 댄스스타들이 각광을 받은 음악임.
• 한국에서도 1970년대말과 1980년대초에 디스코가 유행이었으며 종로와 강남의 디스코테크
에 젊은이들이 몰려들었음.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댄스 음악

• 독일 그룹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는 1970년대 초에 무대에서 악기없이 기계만 조작하여


연주하는 공연을 함(Techno Music).
• Kraftwerk는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비트, 기계와 같이 건조하게 반복되는 보컬, 그리고 기계신
호음으로 연주를 함.

• Kraftwerk의 테크노 음악은 Electronic Music이라 부르는 전자음악의 태동이라 할 수 있음.


• 1980년대 중반 Electronica라 불리는 댄스 음악이 등장함. 이는 일렉트로닉 장비및 테크놀로
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음악임. 일레트로니카의 대표적 장르는 하우스와 테크노임.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댄스 음악

• 하우스 뮤직은 1980년대 Chicago의 창고파티(warehouse)에서 유래하였으며, DJ들이 댄스 클


럽의 춤 반주를 위하여 즉흥적으로 음악들을 믹싱하여 만든 곡들임.
• 하우스의 특징은 다소 빠른 속도와 디스코에서 영향 받은 4박자 패턴을 기본으로 하는 베이
스 드럼 패턴, 그리고 반복성에 있음. 하우스 음악에 맞추어 재킹이라는 춤을 추었음.

• 테크노는 미국에서 영국으로 수출한 하우스 음악의 하위 장르임. 흑인의 댄스 음악이 백인들
이 주도하는 Club Scene으로 유입된 것임.
• 테크노는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된 음악임. 기존의 대중음악처럼 기승전결을 가지지 않고, 패
턴이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음악임.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댄스 음악

• 테크노는 레이브(Rave)라고 불리우는 이벤트를 거점으로 확산됨.


• 영국의 레이브 문화는 미국으로 역수출됨. 역수입된 테크노는 이제 백인의, 유럽의 음악이
되어 계층의 차이를 두지 않는 뿌리 없는 음악이 되어 버림.

• 미국의 주류 음악산업에서도 1990년대 중후반부터 하우스와 테크노 음악에 관심을 가지면


서 ‘일렉트로니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전자 음악들을 마케팅하게 됨.
• Prodigy, Chemical Brothers같은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게 됨. 이들은 다른 음악장르와 결합하거
나 주류 아티스트와 협업하여 일렉트로니카를 주류 음악으로 끌어올리려 함.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댄스 음악

• 그러나, 일렉트로니카는 주류 음악으로 자리잡기에는 한계가 있었음.


• 일렉트로니카는 슈퍼스타나 아티스트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믹싱에 능한프로듀서와 DJ
가 주도하는 음악이어서 주류로 올라가기는 힘들었음.

• 일렉트로니카는 언더그라운드 지형에 더 잘 어울리는 음악이었음.


• 1990년대 서구의 댄스 음악 차트는 다른 장르의 음악들을 클럽용으로 리믹스한 음악들의 전
유물이었음.
• 1990년대 후반에 일렉트로니카는 다른 장르와의 퓨전을 위한 도구로 전락하게 되었음.
11주차 대중음악 쟝르 – 한국의 댄스 음악

• 1980년대 부터 한국에는 댄스음악이 상당한 인기를 얻었음. 소방차, 김와선등 당시 댐스음악


을 하던 아티스트들은 상당한 인기와 팬덤을 거느리고 있었음.
• 1990년대 한국의 댄스음악은 소위 주류기획사가 육성한 아이돌들의 음악을 중심으로 인기
를 얻어 감.

• 2000년대 이후에도 지속되는 아이돌 열풍으로 댄스음악은 여전히 인기를 누림


• 한국 아이돌 그룹은 보컬, 랩, 안무(댄스)라는 세 구성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음.
• 대중음악의 편중현상이라는 비판을 받을 정도로 2000년대와 2010년대의 한국 대중음악은
댄스음악이 중심에 있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