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국문학개론—악장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리진 판 50211286

1. 악장의 대해 개론
1.1 악장의 정의
1.2 악장의 내용과 특징
1.3 악장의 문화담당층
2. 악장의 종류
2.1 한문악장
2.2 현토악장
2.3 국문악장
3. <문덕곡> <용비어천가>에 대해 작품 분석
4. 악장의 문학적인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1. 악장의 대해 개론

1.1 악장의 정의
협의적으로 말하면 악장이란 한국 조선시대 초기(15세기) 의 사용한 궁중음악
장의르인데 고려와 조선시대의 모든 제례와 연주할 때 부르는 궁중악을 지칭하는
광의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 용도에 따라 조회 (朝會) , 종묘 (宗廟) , 사직
(社稷) , 풍운뇌우 (風雲雷雨) , 산천성황 (山川城隍) , 선농 (先農) , 선잠 (先蠶) ,
우사 (雩祀) , 문선왕석전 (文宣王釋奠) , 둑제 (纛祭) , 문소전 (文昭殿) 등과 기타
궁중 행사에 부르던 것으로 나눌 수 있음. 조선 전국하면서 악장이란 문학형식이
정식적으로 형성되었다. 나라행사인 제향 (祭享) 이나 연향(宴饗), 연회(宴會)에서
쓰기 위해 새롭게 편찬된 노래의 가사들을 따라 묶어 문학 장르의 하나로
다루는데, 이것이 ‘악장’이다. 조선시대의 특수성과 조선도 통치이념의 선전도구로
인해 오랜 시간동안 중시되지 못했는데 사실은 악장으로 고대 역사적인 배경을
깊은 알 수 있고 큰 문학 가치를 가지고 있다.

1.2 악장의 내용과 특징


고려시대의 악장은 대부분 다 「시경」을 바탕으로 조립하여 체질화시킨
것이다. 「시경」 은 공자가 주공에 대해 경모와 그리움을 표현하기 위해 편찬한
시가집인데 사실은 주나라의 예악을 회복하고 왕실의 권위를 세워주는 방법이다.
고려시대 왕실들은 송나라와 적극적인 교류를 추지하였다 「시경」 과 공자에
대한 오마주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국정을 안정시키고자 한 의도가 고려악장에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려의 공민왕이 집권한 동안 지배층의
개혁의식을 강하게 표출하므로써 대신들이 <휘의공주흔전대행악장>을 창작했다.3
조선 초기 악장은 주로 이 네게 주제의 내용이 포과된다: 1)조종의 위업과
덕망 2) 창업의 전조와 성사 3) 고려 유신들의 절의와 비탄 4) 선초 궁중 정재의
재현. 종합적으로 말하면 “새 왕조의 문물제도나 도읍을 과시하는 동시에,
태평성대를 희구하고 임금의 은혜를 기리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서사할 때
과장된 방식을 사용하여 악장은 아첨 (阿諛) 과 칭찬 일색이라는 평도 있음.
악장을 부르며 추는 춤이도 있었지만 가사를 영창하는 것에만 치중하고 음악의
창사로서 가사는 부수적인 것이라는 생각한다. 고려시대의 악장과 일백상통
(一脈相通) 하여 사상적인 배경으로 예악사상 (禮樂思想) 이 수반된다. 5 유학의
중요부분인데 군신윤리 (君臣倫理) 를 수용하며 국사 질서가 안정시킨다. 악장의
내용의 본질을 보면 권선징악 (懲惡揚善) 의 내용을 충분히 강조하고 규계 (規戒)
의 뜻을 간직한다.

1.3 악장의 문학담당층


악장은 세종 때 성행했다가 성종(成宗) 이후 소멸했다. 부르는 가사의
형식으로 편하게 유전될 수 있지만 작가층은 대부분 권신 (權臣) 들이였으며
양반관료들이만 접할 수 있고 귀족층에 한정되어 있어 평민들에 대해 미치는
영항이 미미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악장 작가는 정도전 (鄭道傳), 권근 (權近),
윤회 (尹淮) 등이 있다. 민종과 교류를 결핍하는 것이 악장이 최종 쇠망하는
내재적인 원인이다.

2. 악장의 종류

악장의 형식이 다양하게 취하고 통일한 성격이 없기 때문에 분류 기준도


다양하다. 표기체계상의 차이에 따라 세까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한문악장,
현토악장과 국문악장이다. 한문악장과 국문악장이 각각의 전통을 가지고
표기체계나 유형적 개별성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이를 뛰어넘어 한문악장이
국문악장 쪽으로 통합되어가는 양상을 보이며, 그 중간단계의 징검다리 역할을
현토악장이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2.1 한문악장
한문악장은 악장이 본래 영역으로서 양적으로나 음악적 비중으로 중심위치를
치지한다. 4언구 중심의 시경체(詩經體) 와 장단구(長短句) 중심의 초사체가
대표적인 형식이다. 한문악장은 악장의 중심위치에서 중국의
원구악장(圓丘樂章)이나 방구악장(方丘樂章)의 영향을 입어 종묘의 제향이나
연향에 쓰임으로써 생성, 향유되었다. 1393년에 정도전(鄭道傳)이 처음으로
지었다고 전하는데, 권근·하윤·변계량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한문악장은
경기체가의 영향을 받은 <축성수祝聖壽>나 고려속요의 영향을 받은 <정동방곡>
<천권곡> <응천곡> <악장종헌>등이 그에 해당한다.

2.2 현토악장
현토악장은 한문악장과 국문악장의 과도하는 역학을 담당하여 독자성보다
한시를 국문시로 전화하는 특별한 기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시간에 따라
한문악장이나 국문악장부터 현토악장으로 바꾸는 것이 있다. <신도가> <문덕곡>
<정동방곡>등 다 현토악장 형식의 판본이 있다.

2.3 국문악장
국문악장은 수가 많지 않았지만 한국 전통 문화와 혼합되며 고려 속요를
수용하여 포용성과 창의력을 발산했다. 한문악장에 비해 작품수가 훨씬 적지만
앞 시기의 고려 속요의 형식을 수용하여 새로운 세계관을 드러내어 기존 장르에
변화를 가져왔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대표적인 작품은 단련형식으로 하는
<신도가新都歌><불우헌가不憂軒歌>가 있고 연장형식으로 수용되는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이 있다.

3. 작품 분석

3.1 <문덕곡文德曲> 작품 분석
정도전은 가장 유명한 한문악장 작가이고 문무를 겸비하는 인물이라는 평이
받았다.5 개혁의 이념을 가져 조선완조 개국에는 적극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그이 개혁운동이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조선왕조의 기초를 놓았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하다. 새로운 왕조가 일어나면 받드시 나라를 세워 공을 이루고,
정치가 안정되면 악장을 지었다. <문덕곡>은 1393년 정도전은 이태도에게 지은
송도가이다. 이 작품의 특수한 점은 일반적인 “성공을 상징하여 성대한 덕을
송찬하는” 내용을 담아 있어 정도전 자기의 정치 주장도 표출하여 보여준 대조의
실제의 모습이 아니라 바라는 태조의 모습이다. 후기에 정도전은 권력 투쟁의
와중에서 제거되었음에도 작품이 국가의 공식적인 음악 절차에 중용되었다.

이하는 본문이다:
法宮有儼深九重 一日萬機紛其叢
君王要得民情通 大開言路達四聰
開言路臣所見 我后之德與舜同

聖人受命乘飛龍 多士競起如雲從
協謀効力成厥功 誓以山河保始終
保功臣臣所見 我后之德垂無窮

經界毁矣久未修 强井弱削相魚体
我后正之期甫周 倉庫充富民息休
正經界臣所見 杰哉樂登享千秋

為政之要在禮樂 近自閨門達邦國
我后定之垂典則 秩然以序和以懌
定禮樂臣所見 功成治定配無極

이 문덕곡은 내 장으로 이루어졌다: 개언로장 (開言路章) , 보공신장 (保功臣章),


정경계장 (正經界章), 정례악장 (定禮樂章).
개언로장 (開言路章) 에서 주로 ‘사간원에서 간쟁을 수시로 할 수 있도록
아뢰자 국가의 중대사만을 아뢰도록 하다’ 의 내용을 쓰며 태조가 민정을
파악하고자 언로를 크게 열고 널리 여론을 청취함으로써 그 덕이 순 (舜) 임금과
같다고 하였다. 중국의 ‘순’의 전고에서 유래하여 역대의 문인들의 이 정고로
현명한 임금을 상징했다. 보공신장 (保功臣章) 에서는 ‘개국공신이 여러 왕자들과
왕륜동에서 회맹하는’ 내용이 있어 꾀와 힘을 다하여 조선창업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잘 보살피는 무궁한 덕을 읊었다. 정경계장 (正經界章) 에서는
고려시대에 무너진 토지의 경제를 바로 잡고 널리 골라 창고가 꽉 차게 되어
백성들이 편안히 지내게 된 치덕을 노래했다. 정례악장 (定禮樂章) 에서는 정치의
요체가 되는 예약을 새로 정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질서 바르고 화평하게 한 덕을
읊고 있다. blog 조선 후기에는 훈민정음의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백성의 이해를
위해 <문덕곡>이 한문악장부터 현토악장으로 바꾼 것이다.
한시의 압운(押韻)을 보면, 제1·2장은 상평성(上平聲) 동운(東韻)을 취하고 있다.
제3장은 하평성(下平聲) 우운(尤韻)을, 제4장은 입성(入聲) 통운(通韻)을 취하고
있다. 즉 절구운(絶句韻)이 아니라 각 장 매구운(每句韻)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문덕곡」은 이런 압운 형식도 가지고, 압운과 평측으로 볼 때
칠언고시(七言古詩) 내지 칠언단시(七言短詩)이다. 그리고 매구운을 쓴 것으로
보아 당초부터 의도적으로 지어진 노래의 가사임을 알 수 있다.
아까 말하던 것처럼 이 중에서 유교 (儒教) 는 임금보다 더 높은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임금이 유교의 사상을 취해야 하고,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플어야 하는
것을 간하는 의도가 있다. <문덕곡>은 전례음악으로 사용된 악장에서 칭송하는
공덕이란 임금에게 주어신 권력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악장에서 칭송하는
이러한 공덕성은 평가와 합의를 거쳐 도출되며, 어느 정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8 아마 아유문학을 특징을 빼 술 없지만 칭송만
없는 문학형식이 아니다.

3.2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작품 분석
조선 세종 27년에 정인지, 안지, 권제 등이 지어 된 악장이었다.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인데 국문악장 중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특수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445년 4월에 편찬되어 1447년 5월에 간행된다. 주로의 작가가
정인지(鄭麟趾), 안지(安止), 권제(權踶) 등이 있다. <문덕곡>과 똑같은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조선 건국의 유래가 유구함과 조성들의 성덕을 찬송하고, 태조의
창업이 간난신고를 밝힌 다음 후세의 왕들에게 경계하여 자손의 보수와 영창을
비는 뜻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폭이 아주 길고 6대 임금의 사적을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 제왕들의 영웅적 행적과 대조한다. <용비어천가>가 총 125장이 있고
매 장 2행에 매 행 4구로 되어 있으나, 1장이 3구이고 125장이 9구로 된 것만은
예외이다. 이런 형식에 대하여는 4언 4구의 시경체이다. 그리고 작품의 각
장간에 유기적 연계에 의한 이야기성을 형성하지 않고 반대로 각 장의
완결구조에 의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서정성이 발현된 현식이 “억제발화
(抑制發話)”라고 한다.
<용비어천가>는 사실의 세종대왕의 마음을 충분히 표현하여 시국이 어지러워
민심이 흉흉해졌을 때 국가를 안정시킨 목적을 가지고 편찬된 악장이다. 조선의
개국이 왕조 찬탈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신령이 예비한 천명이라는
것을 나태내고 있다. 특히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최대의 찬술 목적이다.
그때 성행한 ‘신유교’의 사상도 용합되어 있지만 성리학을 넘어 한다.
분문의 예시를 보면:

동해海東 육용六龍이 나시어 일마다 천복이시나


고성古聖이 동부同符하시자 (제1장)

제1장 중에서 나오는 동해 육용이 조선 개국의 창업한 이성계 가문을 대지하여


조선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여기서 신화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신비성을 증첨된다.
“왕조 창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성계의 조상들까지 소급하여 마치 오래
전부터 왕조 창업의 기틀을 다져 온 듯이 서술하고 있다. ”

상덕商德이 쇠하거든 천하를 맡으시겠으매, 서수西水 가가 저자 같으니


리운麗運이 쇠하거든 나라를 맡으시겠으매, 동해東海 가가 저자 같으니 (제6장)

제6장은 상의 멸망과 고려의 멸망을 대조하여 왕실의 덕이 쇠하거나 국운이


다한 데에서 찾고 있다. 사실은 우연적인 일치나 관계가 없는데 진위 (真偽) 는
가리지 않기로 하여 이런 상관성을 창조하며 국가의 정당성을 강하게 주장한다.
<용비어천가>는 조선시대 한글 문학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처음으로 인쇄용 글자를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으로 된 국문을
한문과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 작품은 국가층면에서 발급된 악장인데 단순하게
문학적인 가치만 보지 말고 정치적 배경을 결합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4. 악장의 의미

앞에서 얘기 말하던 것처럼 악장은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독특한


문학형식중의 하나이다. 문학이면서 통치 도구이기 때문에 악장에 대해 연구가
다양한 기치를 가지고 있다. 악장의 대부분 내용이 다 왕권세력을 강화기 위해
어유(阿諛) 와 찬송만 있는 한계가 있지만 악장이 이룩해 낸 두드러진 역할이
있다고 적시한다. 예악사상 (禮樂思想) 을 통해 음악을 중시하게 되었고, 그 결과
궁중악 속에 민간가요가 보존될 수 있었으며, 저자거리에 흘러다니던
민간노래들이 세련될 수 있었던 것은 궁중의 음악과 악장의 영향 덕분이었다고
했다. 지배계층이 민심의 동향을 살피기 위해 끊임없이 민간가요를 채집하던
동양적 예악의 전통에서 비롯되었고, 그것들이 궁중악으로 상승하면서 거칠고
투박한 정서를 가다듬을 수 있게 되었음을 말한 것이라 하겠다. 또는, 문학적으로
말하면 악장을 중국의 고시의 형식으로 빌면서 고려민족의 전통과 용합되어
새로운 가치관을 밝힌다.

5. 결론

악장은 정치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역사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이런 문학 배경이 아주 궁금하다. 사실은 이 악장 문학을 통해서 지
배층들이 자기의 세력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한지 좀 인식되었다. 왕들이
더할 없이 높은 특권을 지니지만 여러 가지 규칙을 시켜야 한다. 또는 악장중 묘
사된 국가의 역사는 사실은 구며낸 부분이 많이 있는데 정치의 허구성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궁중 춤을 추면서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상상만 해도 너무
예쁘고 화려한 것 같다. 아름다원 형식을 가지고 있는 악장이 나중에 공연으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강명혜, 「고려조 樂章으로서의 고려속요의 作法 전략 및 특성」,『온지논총』, 2017(50), 135-
171 쪽.
조규익, 「고려와 중국왕조들의 아악악장 비교 - 고려와 송·금·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21(39), 295-349 쪽.
조규익, 「고려말 <신찬태묘악장(新撰太廟樂章)>연구-텍스트 구성양상과 그 정치·문화적 의미-」,
『한국문학과 예술』, 2020 (35), 501-582 쪽.
김명준, 「고려 예종 대 <구실등가(九室登歌)>의 성립 배경과 악장사적 의미」,『어문논집』,
2013(68), 5-29 쪽.
김승우, 「조선후기 악부(樂府)에 표상된 왕조 창업의 내력-선초(鮮初) 악장(樂章 )과의 차이를
중심으로-」,『고전과 해석』, 2021(35), 37-84 쪽.
김영수, 「정도전 악장문학 연구」,『동양학』, 2003(34), 1-34 쪽.
허남춘, 「서평 : 조선조 악장의 집대성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서울: 민속원,
2005). 『한국음악사학보』, 2005(35), 255-260 쪽.
曺圭益, 「鄭道傳 樂章의 文學史的 意味」, 『숭실어문』, 1989(6), 37-60 쪽.
박현숙, 「정도전의 문덕곡 연구」,『한국어와 문화』, 2011(9), 1-15 쪽.
박승길,이윤석, 최상천, 여찬영, 최웅혁,「용비어천가 찬술의 역사사회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1991(7), 57-84 쪽.
조규익, 「<徽懿公主魂殿大享樂章>의 시경 텍스트 수용 양상과 의미」, 『우리문학연구』,
2016(49),87-127 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공 악장(樂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473, 5.20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용비어천가와 세종의 국가경영> 용비어천가에 담긴 세종의 마음,
https://blog.naver.com/aksblog/222734654498, 5.24
유키 제공 악장/ 대곡과 산사/ 궁중정재/창사,
https://blog.naver.com/ukidaruki/222695777898, 5.21
정현법사 제공 악장(樂章)개관,
https://blog.naver.com/bubsa0701/222196994183, 5.21
녹주홍군 제공 정도전-문덕곡,
https://blog.naver.com/leesobia/222467244035, 5.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공 문덕곡(文德曲)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440, 5.22
두산백과 제공 용비어천가
http://www.doopedia.co.kr, 5.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