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4

10

건설기계류 소음 특성

대기연구부 소음진동과

강대준,이우석,이재원,이석조,장성기,홍준기,이병희

Char
act
eri
sti
csofCons
truc
tionMac
hine
ryNoi
se

D.J
.Kang,W.S.Le
e,J
.W.Le
e,S.J
.Le
e,S.K.J
ang,
J
.K.Hong,B.H.Le
e

Noi
seand Vi
brat
ion Di
vis
ion,
Ai
rQual
it
yRe
sear
ch De
par
tme
nt,
Nat
ionalI
nst
it
uteofEnvi
ronme
ntalRe
sear
ch

2003

국립환경연구원
요 약 문

1.제 목 :건설기계류 소음 특성

2.목 적

건설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류의 소음․진동 특성을 파악

하여 환경영향평가시 소음 영향예측과 저감대책 및 소음표시제 등

건설공사장 소음저감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공사장 주변

의 정온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음.

3.연구내용 및 방법
가.연구내용

ㅇ 건설기계류 현황 및 문헌조사

ㅇ 건설기계류의 소음․진동 배출 특성
ㅇ 공종별 건설기계류 소음도(
파워레벨)및 진동레벨 조사
ㅇ 가동상태별 및 동력규모별 건설기계류 소음도 및 진동레벨
조사
ㅇ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조사
ㅇ 가설 방음판넬 차음효과 조사
ㅇ 저소음․진동 건설 공법 조사

-i
i-
나.연구방법

ㅇ 한국건설기계공업협회,산업기술정보원 및 해외 전문가,기

관을 통한 문헌 수집,조사

ㅇ 건설기계 제작사 및 건설시공업체와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


ㅇ 한국도로공사,한국토지개발공사,한국주택공사와 협조하여
건설공사장 소음․진동레벨 측정
ㅇ 방재시험연구원 등을 통하여 방음판넬 음향 성능시험자료
수집
ㅇ 기존의 국내․외 자료와 비교 검토
ㅇ 소음계 및 주파수 분석기를 활용하여 소음 측정 및 분석

4.연구결과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 34종,300대를 대상으로 하

여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고 방음판넬의 효과를 조사하여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대상 건설기계류의 평균 소음도는 기계로부터 7.


5m 떨어진 거

리에서 66.
1~95.
7 dBA,15 m 떨어진 거리에서 62.
5~89.
2 dBA이

고,평균 진동레벨은 7.
5m 거리에서 26.
3~73.
9dBV,15m 거리에

서 21.
3~70.
5 dBV이며,기계 종류,작동원리,동력규모,가동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난다.

ㅇ 건설기계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 90dBA 이상의 고소음

을 발생하는 기계는 항타기(


93.
1dBA)
,착암기(
95.
9dBA)
,브레이커

(
95.
7 dBA)
이고,70 dBV 이상의 진동을 발생하는 기계는 항타기

-i
ii-
(
73.
9dBV)
,진동로울러(
73.
8dBV)
이다.

ㅇ 대상 기계로부터의 거리가 7.
5 m에서 15 m로 두 배가 될 때

소음의 거리감쇠 경향은 굴삭기 5.


1dB,항타기 4.
5dB를 비롯하여

콘크리트 피니셔,아스팔트 피니셔 등의 정상소음을 발생하는 건설

기계류는 5.
8dB,어스 오거,바이브레이터 등의 변동소음을 발생하

는 건설기계류는 4.
3dB,진동항타기,브레이커 등 충격성소음을 발

생하는 건설기계류는 5.
7dB를 보이고 있다.

ㅇ 작업 현장에서 측정된 건설기계 소음을 외국의 건설기계에 대

한 기준과 비교하면 EU 1단계 및 일본 기준을 대체로 만족하나,

EU 2단계의 기준은 3~5dB 초과하는 수준이다.

ㅇ 공사 현장에서 투과손실이 20dB 이상인 방음판넬을 사용하면

투과손실이 5dB인 것에 비해 5.
3~8.
5dB 정도의 소음 저감 효과

를 볼 수 있다.그러나 기초공사시 유압직타 말뚝작업은 지면에서

5~10m 높은 공중에서 직타하여 소음 저감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ㅇ 저소음․저진동 공법의 일환으로 흙막이 공법시 일반 항타와

비교해 유압식 공법을 사용하면 소음 20.


7 dB,진동 29.
7 dB 감소

하고,기초공사시 말뚝을 박을 때 유압직타 공법과 비교해 분리형

어스 오거를 사용하면 소음 15.


7 dB,진동 11.
5 dB 감소하고,해

체․파괴 공사시 브레이커 대신 압쇄기를 사용하면 20dB 정도 소

음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i
v-
5.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건의

o소음표시제 등 건설공사장 소음 및 진동 저감대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

o환경영향평가시 소음 영향 예측 자료로 활용

o정온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

-v-
Cont
ent
s

Summar
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i

Abst
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v

I
.Int
roduc
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I
I.I
nve
sti
gat
ionCont
ent
sandMe
thod·
··
··
··
··
··
··
··
··
··
··
··
··
··
··
··
··
··
··
··
··
··
··
··
··3
1.I
nves
tigat
ionPer
io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I
nves
tigat
ionSubj
e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I
nves
tigat
ionMet
ho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4.I
nves
tigat
ionCont
ent
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I
II.Re
sul
tsandDi
scuss
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1.Char
act
eri
sti
csofConst
ruc
tion Mac
hiner
y Noi
se& Vi
brat
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2.Di
stanceAt
tenuat
ionofCons
truc
tionMachi
ner
yNoi
se·
··
··
·85
3.Compar
isonofConst
ruc
tionMac
hine
ryNoi
seSt
andar
ds·
··
·91
4.Char
act
eri
sti
cs ofNoi
se Re
duct
ion ofSoundpr
oofFac
ili
ti
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5.Low Noi
se& Vi
brat
ion Cons
truc
tion Met
hodsand Count
er-
pl
anofReduct
ionofNoi
sef
rom Const
ruc
tionWor
ks·
··
··
··
·110

I
V.Concl
usi
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Ref
ere
nc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0

-vi-
Appe
ndi
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3

-vi
i-
목 차

요 약 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v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I
I.조사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조사기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조사대상 및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가.조사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나.건설기계 종류별 작동원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조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가.건설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 측정방법(
ISO,일본)·
··
··
··
··
··
··
··
··
·17
나.소음표시권고대상기계의 소음도 측정방법 ·
··
··
··
··
··
··
··
··
··
··
··
··
··
··
··19
다.건설기계류의 소음 및 진동 측정방법 ·
··
··
··
··
··
··
··
··
··
··
··
··
··
··
··
··
··
··
··21
4.조사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가.건설기계류 소음도 및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23
나.가설방음판넬 차음 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다.저소음․진동 공법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라.문헌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I
II.연구결과 및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1.건설기계류의 소음․진동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가.건설기계류의 소음도 및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25
나.건설기계류별 소음․진동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29
2.건설기계류 소음의 거리감쇠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85
가.굴삭기 소음의 거리감쇠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vi
ii-
나.항타기 소음의 거리감쇠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다.정상소음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특성 ·
··
··
··
··
··
··
··
··
··
··
··
··
··
··
··
··
··
··87
라.변동소음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특성 ·
··
··
··
··
··
··
··
··
··
··
··
··
··
··
··
··
··
··88
마.충격소음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특성 ·
··
··
··
··
··
··
··
··
··
··
··
··
··
··
··
··
··
··89
3.외국의 기준과 비교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가.외국의 건설기계류에 대한 소음 기준 ·
··
··
··
··
··
··
··
··
··
··
··
··
··
··
··
··
··
··91
나.외국의 건설기계류에 대한 소음 기준과 비교 ·
··
··
··
··
··
··
··
··
··
··98
4.가설방음판넬 차음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5.저소음․저진동 공법 및 건설기계 소음 저감대책 ·
··
··
··
··
··
··
··
··
··110

I
V.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0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3

-i
x-
표 목 차

<표 2-1>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4
<표 2-2> I
SO와 국내의 건설기계류의 소음 측정방법 비교 ·
··
··
··
··20
<표 3-1> 대상 건설기계류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 3-2> 대상 건설기계류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3-3> 신규 제작 굴삭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3-4> 굴삭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3-5> 굴삭기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3-6> 불도저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3-7> 불도저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표 3-8> 신규 제작 로우더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3-9> 로우더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3-10> 로우더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3-11> 그레이더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3-12> 그레이더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3-13> 로울러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표 3-14> 로울러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3-15> 법면다짐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3-16> 법면다짐기의 거리별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44
<표 3-17> 트랙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3-18> 어스 오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3-19> 어스 오거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3-20> 항타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 3-21> 항타기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표 3-22> 진동 항타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 3-23> 진동 항타기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3-24> Si
lentPi
ler
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 3-25>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52

-x-
<표 3-26>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53
<표 3-27> 크롤라드릴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표 3-28> 착암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표 3-29> 착암기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표 3-30> 콘크리트 펌프카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57
<표 3-31> 콘크리트 펌프카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59
<표 3-32> 콘크리트 믹서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 3-33> 콘크리트 플랜트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61
<표 3-34>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63
<표 3-35> 콘크리트 피니셔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64
<표 3-36> 콘크리트 피니셔의 거리별 진동레벨 ·
··
··
··
··
··
··
··
··
··
··
··
··
··
·65
<표 3-37> 아스팔트 피니셔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66
<표 3-38> 아스팔트 피니셔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67
<표 3-39> 브레이커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3-40> 브레이커의 거리별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70
<표 3-41> 핸드 브레이커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71
<표 3-42> 압쇄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표 3-43> 발전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3-44> 공기 압축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3-45> 크레인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표 3-46> 크레인의 진동레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표 3-47> 고압살수차량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78
<표 3-48> 워터젯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3-49> 지게차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3-50> 덤프트럭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3-51> 도색용기기의 소음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3-52> 건설기계류 소음의 발생형태에 따른 구분 ·
··
··
··
··
··
··
··
··
··
·85
<표 3-53> 굴삭기 소음의 거리감쇠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표 3-54> 항타기 소음의 거리감쇠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xi-
<표 3-55> 정상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경향 ·
··
·87
<표 3-56> 변동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경향 ·
··
·88
<표 3-57> 충격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경향 ·
··
·89
<표 3-58> 건설기계류 음향파워레벨 기준(
EU Di
rec
tive 2000/
14/
E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표 3-59> 일본 건설기계류 음향파워레벨 기준 ·
··
··
··
··
··
··
··
··
··
··
··
··
··
··
·92
<표 3-60> 일본 건설기계류 진동레벨 기준 ·
··
··
··
··
··
··
··
··
··
··
··
··
··
··
··
··
··
··
·93
<표 3-61> 국내 신규 제작 건설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 ·
··
··
··
··
··
··
··
·94
<표 3-62> 일본 건설기계의 음향파워레벨 ·
··
··
··
··
··
··
··
··
··
··
··
··
··
··
··
··
··
··
··
·96
<표 3-63> 굴삭기의 음향파워레벨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99
<표 3-64> 불도저의 음향파워레벨과 외국 기준의 비교 ·
··
··
··
··
··
··
·101
<표 3-65> 건설기계 음향파워레벨의 각국의 기준 비교 ·
··
··
··
··
··
··
·102
<표 3-66>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1·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표 3-67>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2·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표 3-68>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3·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표 3-69>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4·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표 3-70>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5·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표 3-71> 각종 방음판넬의 음향성능 ·
··
··
··
··
··
··
··
··
··
··
··
··
··
··
··
··
··
··
··
··
··
··
·109
<표 3-72> 흙막이 공사시 저소음․진동 공법 비교 ·
··
··
··
··
··
··
··
··
··
··
·111
<표 3-73> 기초공사시 말뚝공법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115
<표 3-74> 압쇄기와 브레이커의 소음도 비교 ·
··
··
··
··
··
··
··
··
··
··
··
··
··
··
··
·117

-xi
i-
그 림 목 차

(
그림 2-1)가상반구 및 마이크로폰 위치 ·
··
··
··
··
··
··
··
··
··
··
··
··
··
··
··
··
··
··
··
··18
(
그림 2-2)측정 및 분석 계통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
그림 3-1)굴삭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31
(
그림 3-2)불도저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34
(
그림 3-3)로우더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37
(
그림 3-4)그레이더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39
(
그림 3-5)로울러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41
(
그림 3-6)법면다짐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44
(
그림 3-7)어스 오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
··
··
··
··
··
··
··
··
··
··
··
··
··
··
··
··
··
··
··47
(
그림 3-8)항타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49
(
그림 3-9)진동항타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
··
··
··
··
··
··
··
··
··
··
··
··
··
··
··
··
··
··51
(
그림 3-10)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
··
··
··
··
··
··
··53
(
그림 3-11)크롤라드릴의 주파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54
(
그림 3-12)착암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56
(
그림 3-13)콘크리트 펌프카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58
(
그림 3-14)콘크리트 믹서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60
(
그림 3-15)콘크리트 플랜트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62
(
그림 3-16)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63
(
그림 3-17)콘크리트 피니셔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65
(
그림 3-18)아스팔트 피니셔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67
(
그림 3-19)브레이커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69
(
그림 3-20)발전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73
(
그림 3-21)압축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75
(
그림 3-22)크레인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77
(
그림 3-23)고압살수차량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79
(
그림 3-24)워터젯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80
(
그림 3-25)지게차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82

-xi
ii-
(
그림 3-26)도색용기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
··
··
··
··
··
··
··
··
··
··
··
··
··
··
··
··
··
··84
(
그림 3-27)음향파워레벨의 상관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98
(
그림 3-28)굴삭기의 음향파워레벨 비교 ·
··
··
··
··
··
··
··
··
··
··
··
··
··
··
··
··
··
··
··
··100
(
그림 3-29)불도저의 음향파워레벨 비교 ·
··
··
··
··
··
··
··
··
··
··
··
··
··
··
··
··
··
··
··
··101
(
그림 3-30)방음판넬 차음효과 측정 ·
··
··
··
··
··
··
··
··
··
··
··
··
··
··
··
··
··
··
··
··
··
··
··
··104
(
그림 3-31)투과손실의 크기에 따른 차음벽의 차음량 ·
··
··
··
··
··
··
··
··105
(
그림 3-32)흙막이 공사시 저소음․진동 공법 비교 ·
··
··
··
··
··
··
··
··
··
··112
(
그림 3-33)기초공사시 말뚝공법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116

-xi
v-
ABSTRACT

The cons
truc
tion noi
se has be
en consi
der
ed as one of

e
nvi
ronme
nt pol
lut
ion and compl
aint
s about i
t have be
en

i
ncr
eas
ing eve
ry ye
ar.I
n or
dert
ore
ducecons
truc
tion mac
hine
ry

noi
se,t
hepr
oduc
tnoi
sel
abe
lli
ng f
orcons
truc
tion mac
hine
ry has

be
enr
ecommended s
inc
e1Fe
bruar
y 1996and i
nthene
arf
utur
e

t
he gover
nment wi
ll conve
rtt
he r
ecomme
nde
d pr
oduc
t noi
se

l
abe
lli
ng t
othemandat
ory pr
oductnoi
sel
abe
lli
ng f
orhi
gh noi
se

cons
truct
ionmachi
ner
y.

Ther
efor
e,wei
nve
sti
gat
edt
henoi
seand vi
brat
ion l
evelof 302

cons
truct
ion machi
nes and t
he ef
fec
tofnoi
ser
educt
ion f
ort
he

soundpr
oof f
aci
li
ti
esi
n cons
truc
tion wor
ksi
test
o suppor
tthe

pol
icy oft
hegover
nme
nt.Addi
ti
onal
ly,wepr
ese
ntt
hebas
icdat
a

t
hat wi
ll be use
d f
or s
ett
ing t
he s
tandar
d of c
onst
ruc
tion

mac
hei
ner
y noi
seandpr
edi
cti
ng t
henoi
sel
eve
lne
arc
onst
ruc
tion

wor
ksi
tesi
nenvi
ronme
ntali
mpac
tasse
ssme
nt.

-xv-
I
.서 론

산업․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성장 위주의 경제정책으로 국토 개

발에 대한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도시화와 인구 집중

으로 인한 도로의 확충과 주택단지의 보급,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

모 공사들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예전에는 인근지역의 개

발이 그 지역의 발전을 가져온다는 생각으로 환영을 받기도 하였지

만 최근에는 정온한 환경에의 욕구가 증가하여 건설공사 현장에서

의 마찰이나 그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실제로 중앙환경

분쟁조정위원회에서 '
03년 10월 현재 처리된 분쟁조정 244건 중

222건이 소음․진동 관련이며 그 중 70%가 공사장에서의 건설기계

나 발파에 의한 소음․진동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우리

연구원에서 '
92년에 '
공사장 소음의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I)'
에서

건설기계와 공사장 소음․진동에 관한 실태조사 및 저감대책에 관

하여 연구하였고 환경부에서는 '


96년에 고소음 건설기계에 대한 저

소음정책의 일환으로 소음표시권고에 관한 규정을 만들어 시행하였

다.그러나 현재 소음표시권고제가 적용되는 11종의 건설기계 중

국립환경연구원의 인증을 받은 기계는 발전기,브레이커,압쇄기 등

3종에 불과하고 소음 표시 신청 건수 또한 해마다 줄고 있어 그 실

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환경부에서는 건설기계에 대

한 소음표시 의무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고 해마다 이를 확대할 방

침이다.이 연구에서는 현재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건설기

계류에 대한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소음표시의무제 도입

-1-
을 위한 정책자료를 제공하고,환경영향평가시 건설기계류 소음․

진동에 대한 영향 예측을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이

와 함께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방음판넬에 대한 효과조사와 저소

음공법에 관한 자료조사를 통하여 앞으로의 소음저감대책을 강구하

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
I
I.조 사 내 용 및 방 법

1.조사기간

2003년 1월 ~ 12월(
12개월간)

2.조사대상 및 분류
가.조사대상

이 조사연구는 건설 공사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건설기계류

를 대상으로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였다.대한건설기계협회

에 등록된 건설기계 중 '


03년도 사용된 가동률을 보면 굴삭기,콘크

리트 믹서,로우더 등의 순서를 보이고 있다.이렇게 공사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계는 물론이고 소음표시권고 규정에서의 소음표시

대상기계를 포함하여 총 34종,302대의 건설기계를 대상으로 <표

2-1>과 같이 공종별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또한 공사현장에서 쓰

이는 방음판넬의 차음 효과와 저소음공법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3-
<표 2-1>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현황

공종(工種) 건설기계 종류 표본수


다용도 굴삭기 84
불도저 17
로우더 18
그레이더 4
로울러 6
지반 정지 공사 진동로울러 18
타이어로울러 5
탬핑로울러 1
범면다짐기( 마이티) 1
트랙터 2
어스 오거 13
항타기 6
진동항타기 3
기초 공사 Sil
ent-Pi
ler 1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3
크롤라드릴 2
착암기 8
콘크리트 펌프카 7
콘크리트 믹서 9
콘크리트 공사
콘크리트 플랜트 4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2
콘크리트 피니셔 2
포장 공사
아스팔트 피니셔 7
브레이커 21
파괴․해체 공사 핸드브레이커 1
압쇄기 3
발전기 10
공기압축기 10
크레인 23
고압살수차량 1
기타
워터젯 2
지게차 3
덤프트럭 4
도색용기기 1
계 34 302

-4-
나.건설기계 종류별 작동원리

1)굴삭기(
excavat
or)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설기계로 거의 모든 건설작업에 효과

적으로 사용된다.통상 차량에 부착된 버킽(


buc
ket
)을 유압에 의해

상하로 작동시키면서 지반을 굴삭하는 기계이다.

구조는 상부 선회부,하부 주행부,전부(


前部)
장치로 구성되고 뒤

쪽에 엔진과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굴삭기는 하부구동체에 의하여

360°
회전할 수 있는 상부회전체에 각종 작업장치를 부착하여 굴삭

작업은 물론 상차작업,견인작업 등을 할 수 있다.

종류로는 파워셔블(
power shove
l),백호-우(
bac
k hoe
)등이 있다.

파워셔블은 기계위치보다 높은 장소의 굴삭에 적합하고,백호-우는

기계위치보다 낮은 장소의 굴삭에 적합하다.

2)불도저(
bul
ldoz
er)

크롤라 트랙터(
crawl
ert
rac
tor
)의 전면에 부속장치인 블레이드

(
blade
)를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로 성토,굴토,삭토,확토

작업 등을 수행하는 기계이다.

내연기관(
주로 디젤기관)
으로 캐터필러(
cat
erpi
ll
ar,무한궤도)
를 돌

려서,고르지 않은 곳을 앞쪽에 달려 있는 블레이드로 지면을 깎아

요철(
凹凸)
을 평평하게 한다.그 밖에 나무를 쓰러뜨리거나,뿌리를

뽑거나 눈을 치우는 등의 작업에도 사용된다.캐터필러 대신 대형

타이어를 부착한 것을 타이어 도저라고 하는데,캐터필러방식보다

속도를 낼 수 있으므로 원거리 작업에 적당하다.

-5-
3)로우더(
loade
r)

차량에 부착된 버킽을 유압으로 작동시키면서 토사나 골재를 덤프

차량에 적재 및 운반하는 기계이다.

크롤라 로우더(
crawl
erl
oader
)는 단위면적당 무게를 최소화하여

연약지반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장치는 유압력에 의하여 조정

된다.불도저에 비하여 기동성이 우수하고 불도저의 일부작업을 대

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휠 로우더(
whee
lloader
)는 연약지반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나

주행속도가 빠르며 기동성이 풍부하고 포장면에서도 자유로 주행하

고 목적하는 현장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그레이더(
grade
r)

차량에 부착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평탄작업,배수파기,파이프

묻기,경사면 절삭,제설작업 등에 이용된다.주요부는 땅을 깎거나

고르는 블레이드(
blade
)와 땅을 파 일구는 스캐리파이어(
scar
ifi
er)

로,2~4km/
h로 주행하면서 작업한다.차체의 크기․구조 등에 따

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나,일반적으로 블레이드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3.
7m를 대형,3.
1m를 중형,2.
5m를 소형이라고 한다.

도로공사 때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토공작업의 마무리로서의 땅

고르기,측구(
側溝)
의 굴착,노반(
路盤)
이나 경사면을 형성하는 작업

을 한다.또한 기성도로의 노반을 파 일구거나 깎아내리는 작업 등

에는 스캐리파이어를 사용한다.특히 자갈길을 유지․보수하기 위

하여 그레이더가 필요하다.자갈길은 노면을 고르게 하고 배수가

-6-
잘되도록 해야 하므로,매월 몇 번씩 노면정형(
路面整形)
을 위하여

그레이더를 사용한다.

5)로울러(
rol
ler
)

도로공사 등에서 지면을 평평하게 다지기 위해 지면 위를 이동하

면서 일정한 압력을 연속적으로 가하는 다지기용 기계로 차량에 부

착된 타이어 또는 로울러(
rol
ler
)등으로 토사 및 아스팔트를 평면으

로 다지는 작업에 이용되며,로드(


road)로울러와 타이어(
tir
e)로울

러,진동 로울러가 있다.로드 로울러가 구동바퀴에도 로울러를 사

용하고 있는 데 대하여,타이어 로울러는 구동바퀴에 타이어를 사

용하고 있다.

타이어 로울러는 로드 로울러보다 흙을 단단히 다지는 능력은 뒤

지지만,속도면에서 앞서고,또 가격면에서 경제적이다.이에 비해

진동 로울러는 자중에 의한 압력식과는 달리 진동에 의해 로울러에

진동을 가하는 로울러이다.또한,로드 로울러는 머캐덤(


macadam)

로울러,탠덤(
tande
m)로울러,3축 탠덤 로울러로 나뉜다.머캐덤

로울러는 3개의 로울러가 3륜 자동차와 같이 배열된 것을 말하며,

탠덤 로울러는 앞 뒤 2개의 바퀴를 가지며,3축 탠덤 로울러는 3개

의 축에 3개의 로울러가 나란하게 설치된 로울러이다.

6)트랙터(
trac
tor
)

견인력을 이용해서 각종 작업을 하는 작업용 자동차로서 정확히는

견인차의 총칭이다.트랙터의 형식을 대별하면,차륜식(


車輪式)

휠(
whe
el)
형과 무한궤도식(
cat
erpi
ll
ar)
의 크롤러(
crawl
er)
형이 있다.

-7-
전자는 비교적 가벼운 작업에 적합하고,무한궤도식보다 승차감(

車感)
이 좋으며,저항이 적고 속도도 낼 수 있다.후자는 차륜식보

다 구조상 접지압(
接地壓)
이 낮고(
휠형에서는 단위면적당 약 1 kg,

크롤러형에서는 0.
3 kg)
,지면에 대한 점착력(
粘着力)
도 크기 때문

에 농경지(
農耕地)
․건설작업장 등의 정지(
整地)
되지 않는 지면을

저속으로 주행하는 데 적합하다.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일반 자동차

와 같으나 강력한 엔진을 장비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다.

트랙터는 도저장치․셔블․버킽․스크레이퍼(
scr
ape
r)등과 조합해

서 각종 건설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7)어스 오거(
ear
thauge
r)

나선상의 스크류(
scr
ew)
를 회전시켜 지반을 천공하는 기계로 회전

운동은 전기모터나 유압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소음을 내지 않고

대구경을 깊게 판 후 철근 콘크리트 파일(


pil
e)을 타설하는데 사용

되며 건축물의 기초 공사 및 전주 가설에 많이 사용된다.작업은

캐리 바(
car
ry bar
)의 선단에 말뚝 지름과 토질에 알맞은 회전식 버

킽(
buc
ket
)을 회전시키면 버킽저면의 컷팅 엣지(
cut
ti
ng e
dge
)에 의

하여 토사를 굴삭하고 굴삭한 토사는 캐리 바를 들어올려 덤프트럭

등에 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8)항타기(
pil
edr
iver
)

건축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용의 콘크리트 말뚝이나 토류판 지지

용 H-빔,강재 토류판 등을 타격하여 박는 기계를 총칭한다.이 기

계는 이미 공장에서 만들어진 파일(


pil
e)을 박는 기계로서 램(
ram)

-8-
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강력한 타격력을 받아 파일이 박아지도록 하

는 용도로 쓰인다.구조는 상하부로된 1개의 직립실린더,그 속을

상하로 작동하는 램,실린더 하단에 박혀있는 앤빌(


anvi
l)
,연료 펌

프(
fue
lpump)
,기동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에는 연료탱크(
fue
l

t
ank)
와 실린더 냉각용 물탱크로 되어있으며 작동은 2사이클 디젤

기관(
2cyc
ledi
sele
ngi
ne)
의 작동원리를 이용한다.

종류로는 해머(
hamme
r)를 움직이는 원동력에 따라 해머를 윈치

(
winc
h)로 감아올렸다가 내리치는 낙하해머식과 유압을 이용한 유

압해머식,압축공기력에 의한 공기해머식,경유의 폭발력을 이용한

디젤해머식 등이 있다.

9)진동항타기(
vibr
ator
y hamme
r)

진동항타기는 일반 항타기처럼 파일을 두들겨 박는 것이 아니라

파일 위에 해머를 올려놓고 그것을 진동시킴으로써 파일과 파일 주

변의 흙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또 파일선단에 있는 흙의 소성

파괴를 일으키는 원리에 의하여 항타인발하여 파일을 밀어넣는 항

타기이다.

진동항타기는 크게 3가지 장치로 나뉜다.완충장치는 기계의 최상

부에 있어 운전시 발생하는 기계의 진동이 직접 크레인 등의 베이

스 머신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발진장치는 상하의 진동력을

일으키는 장치이다.중력장치는 기진기의 기진축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동기가 사용되나 특수한 것으로는 유압

모터,엔진 구동 등의 것도 있다.

-9-
진동항타기는 모두 소음이나 진동을 수반하므로 도시의 주택가에

서는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따라서 최근에는 무소음공법으로서

파일을 때리지 않고 오일잭 등으로 파일을 압입(


壓入)
하는 방법과

지반에 구멍을 파고 그 곳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제자리 콘크리트

치기 공법 등이 채택되고 있다.

10)착암기(
rockdr
il
l)

화약류를 장입하기 위해 암반이나 콘크리트 등에 구멍을 파거나

터널을 굴삭하는데 사용하는 기계로,작동원리에 따라 피스톤식과

해머식으로 구분되고,이들은 차량에 장착된 것과 휴대용으로 구분

된다. 용도에 따라 레그드릴(


leg dr
il
l)
, 싱커(
sinker
), 드리프터

(
dri
fte
r)등으로 나누어지는데,능률 향상과 진동 방해를 위하여 드

리프터(
점보(
jumbo)
나 칼럼(
col
umn)
에 장치하여 주로 수평갱도의

굴진(
掘進)
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착암기)
가 많이 쓰인다.그 중에서

도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타격식(


해머식)
이 가장 널리 쓰인다.이것

은 실린더 속을 압축공기의 힘으로 왕복하는 피스톤이 작공(


作孔)

로드(
착암기(
鑿岩機)
로 암석에 구멍을 뚫는 데 사용되는 강봉(

棒)
)의 뒤끝을 타격한다.작공 로드의 끝에는 끌(
착암비트)
이 장치

되어 있다.피스톤이 후퇴할 때 래칫(


rat
ch,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을 전하고,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을 전하지 않는 바퀴)


기구(
機構)

의해 작공 로드가 회전하게 고안되어 있다.회전식 착암기(


auge
r

dr
il
l)
는 보통 전기모터로 나선형의 리브(
rib,구조 전체의 응력이나

변형을 작게 하기 위한 큰 벽판상(
壁板狀)
인 부재)
를 갖는 작공 로

-10-
드를 회전시키는데,석탄․셰일(
頁岩)등 연약한 지층에 구멍을 뚫

을 때 사용된다.

11)크롤라드릴(
crawl
erdr
il
l)

압축 공기로 피스톤을 움직여서 강봉의 끝에 달려있는 비트(


bit
)의

회전 타격력으로 암석에 구멍을 뚫는 기계이며,무게가 무겁고 부

피가 커서 받침대를 사용하고 주로 수평 방향의 구멍 뚫기에 사용

된다.드리프터(
dri
fte
r)를 차륜식 차대 위에 장치한 것을 왜건 드릴

(
wagon dr
il
l)
,무한궤도식 차대 위에 장치한 것을 크롤러 드릴

(
crawl
erdr
il
l)
이라 한다.

12)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지하수 개발 등에 이용되는 장비로써,드릴을 강관내에 넣어 전기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암반을 굴삭하며,굴삭된 돌가루 등은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과 함께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13)Si
lentPi
ler

진동해머를 사용하지 않고 유압식 항타로 소음 및 진동이 거의 없

어 주위의 인접건물에 민원이 발생될 수 있는 지역 및 장비작동이

불가능한 연약지반에서 자립식으로 s


hee
tpi
le,H빔 및 콘크리트 파

일을 압입하는 장비이다.

-11-
14)역순환 굴착기계(
RCD)

역순환 굴착기계(
Reve
rse Ci
rcul
ati
on Dr
il
l)
는 dr
il
lrod 끝부분에

특수한 r
oll
er bi
t를 장치하여 360°
회전으로 암반을 파쇄하고 파쇄

된 굴착토는 dr
il
lrod pi
pe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순환수는 침전

지를 통해 다시 굴착공으로 순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심도가

깊은 pi
le공사에 유리하며 토사층까지는 c
asi
ng을 삽입하고 암층에

서는 bi
t로 시공하며,연암․경암층까지 무진동․무소음으로 굴착이

가능하다.

교량 기초,대형건물 기초,고가도로 기초 등에 사용되며 구조물

대형화 추세에 따른 큰 지지력의 요구에 부응하는 건설기계이다.

굴착깊이가 깊을수록 타공법보다 효율적이며,수상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기종에 따라 경사시공도 가능하다.dr


il
lpi
le 직경(
150~

200cm)
보다 큰 호박돌층의 시공이 불가능하며,정수압으로 수위가

유지되지 않는 곳은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15)콘크리트 펌프카(
conc
ret
epumpcar
)

비빔콘크리트를 강력한 펌프의 압력으로 파이프와 호스를 사용하

여 최대 수평 압송거리 659m,최대 수직압송거리 150m까지 압송

하는 기계이다.물을 보내는 펌프와 마찬가지로 흡입밸브․배출밸

브․피스톤을 갖추고 있다.이는 긴 철관 속의 콘크리트에 피스톤

으로 단속적인 압력을 가하여 앞끝에서 밀어낸다.터널 속과 같은

좁은 곳이나,높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데 적합하며,계속적

으로 보낼 수 있어 능률적이다.수송량은 콘크리트의 성질,특히 비

-12-
빔 정도나 보내는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이 차는 인력부족의 극복,

곤란한 작업조건(
고소,협소,수중)
,공기 단축 필요성,대량 콘크리

트 타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압송방

식에 따라 기계식 압송방식과 공기 압송방식으로 분류된다.

16)콘크리트 믹서(
conc
ret
emi
xer
)

조골재,세골재,시멘트,물 등을 소정의 배합률에 따라 혼합하여

균질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기계로서 중력식 믹서와 강제식 믹서

가 있다.이는 일반 트럭과 유사한 본체 장비에 콘크리트를 혼합할

수 있는 드럼을 장착하고 천천히 회전시켜 교반 가능하도록 만든

기계이다.

17)콘크리트 플랜트(
conc
ret
epl
ant
)

저장조에서 컨베이어벨트 등으로 이송한 시멘트,모래,물,자갈

등을 계량장치로 계량하여 믹서(


mixe
r)에 공급한 후,혼합시켜 균일

한 고품질의 생 콘크리트를 대량 생산하는 설비를 말한다.이것은

목적․공사의 규모 등에 따라 다르다.4층 건물일 경우 4층에는 재

료저장고,3층에는 배처(
bat
cher
),2층에는 믹서를 설비하고,l
층은

믹서에서 배출한 콘크리트를 싣는 운반차가 출입할 수 있게 한다.

콘크리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하기 위한 중요한 설비이다.

18)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conc
ret
evi
brat
or)

콘크리트 다짐기계로서 내부진동기인 봉상 진동기가 있고,거푸집

-13-
외부에서 진동을 가하는 거푸집 진동기,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틀과 함께 다짐하는 진동대 등이 있다.비빈 콘크리트에

진동을 주어 운반 중에 혼합된 공기를 몰아내어 치밀하고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고 표면도 깨끗이 손질될 수 있도록 한다.

19)콘크리트 피니셔(
conc
ret
efi
nis
her
)

도로 등에 포설된 생 콘크리트를 고르게 펴는 콘크리트 스프레더

(
spr
eade
r)다음에 배치되는 기계로서,스프레더로 고르게 편 생 콘

크리트를 다시 고르게 펴면서 진동기로 다짐하는 기계이다.콘크리

트 피니셔는 퍼스트 스크리드(


fri
sts
cre
ed)
,vi
brat
or,피니싱 스크리

드(
scr
eed)
의 3가지 작업 기구를 가지고 있다.유압에 의한 원격조

작으로 서로간의 높이 조정과 운전이 가능하며 전기장치에 의한 조

작으로 기계마모가 적고 소음이 적으며 구조가 간단하다.

20)아스팔트 피니셔(
asphal
tfi
nis
her
)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덤프트럭으로 운반해 온 아스팔트 혼합재를

차체 앞의 호퍼(
hopper
)로 받아 싣고가면서 도로 등에 포설하는 기

계로써,외관상으로는 무한궤도식과 타이어식으로 구분된다.이는

가열 혼합물을 받는 호퍼(
hoppe
r),부설장치,혼합물을 다짐하고 포

장면을 평활하게 하는 스크리드(


scr
eed)장치로 구성된다.이외에도

아스팔트 피니셔는 호퍼와 피더(


fee
der
)및 스프레더의 혼합재를 이

동시키는 일련의 장치,작업에 필요한 동력발생장치 및 동력전달장

치,주행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4-
21)브레이커(
breaker
)

굴삭기에 장착된 구조의 것으로 버킽을 탈거하고 여기에 브레이커

를 부착하여 암반,콘크리트 등을 파괴하는 장비로,브레이커의 로

드(
rod)
는 실린더 내의 유압으로 작동된다.

22)압쇄기(
conc
ret
ecr
ushe
r)

굴삭기에 버킽을 탈거하고 여기에 압쇄장치를 부착하여 유압에 의

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파쇄,절단하는 기계로,압쇄장치에는 ㄷ

자형 프레임의 한쪽을 반력부로 하고 다른 한쪽을 압쇄날로 한 구

조의 것과,양쪽 모두를 압쇄날로 한 구조의 것이 있다.

23)공기압축기(
airc
ompr
essor
)

압축 공기에 의한 에너지를 생성 공급하는 기계로서 압축된 공기

에너지를 호스(
hos
e)나 파이프(
pipe
)를 통하여 작업기계에 전달하여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로써 건설공사의 각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단단압축기는 회부원동기인 모터의 회전운동을 크랭크를 통하여

왕복운동으로 실린더 안에 피스톤을 왕복시켜 그 안의 공기를 압축

하는 것이다.압축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cyl
inde
r)

외벽에 물자켓(
wat
erj
acke
t)이 있어서 냉각수가 순환한다.다단압

축기는 1단으로 고압을 압축시 생기는 압축열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실린더 내부의 윤활유의 연소 및 폭발의 위험을 막기 위해,제 1실

린더에서 부분 압축한 후 그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제 2단 또는 제

3단으로 단계적으로 압축시키는 것이다.원통형 회전 압축기는 왕

-15-
복운동형 압축기의 단점인 기계의 대형화 진동,밸브로 인한 잦은

고장,회전수가 적어서 모터에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것 등의 불편

한 점을 감안하여 설계된 고속회전의 밸브 없는 압축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는 실린더 안에 실린더보다 작은 원통형의 로울러

를 편심으로 그 밑바닥이 실린더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

다.터보형 압축기(
tur
bocompr
essor
)는 큰 용량의 압축기로서는 적

당하지 않은 원통형 회전식 압축기를 대신하여,증기터빈에 직결하

여 운전토록 설계된 대용량 압축기이다.

24)크레인(
crane
)

하중용 중기의 일종으로 주로 장비를 일정한 장소에 고정하고 화

물의 적재 및 하역을 하며 특히 플랜트공사에서는 기기 설치의 주

역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비이다.주로 화물의 기중작업,토사 굴토

및 굴착작업,화물 적재 및 하역작업,항타작업,준설작업,플랜트기

기 설치작업에 많이 이용된다.구조는 크게 크레인의 셔블 전체를

지지하는 하부추진체,하부추진체 위에 실려있고 좌우 360°


선회가

가능한 상부회전체,상부회전체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작업을 수행

하는 전부장치로 나뉜다. 전부장치에 속해있는 붐(


boom)
에 훅

(
hook)
이나 버킽 등을 달아 작업의 용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

25)지게차(
fol
kli
fter
)

지게차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이동할 때 사용하는 장비로써 주로

타이어로 구동되며 프론트(


front
)에 적재장치(
for
k)를 갖고 있고 뒷

-16-
부분(
rear
)에 카운터 웨이트(
count
erwe
ight
)와 원동기(
engi
ne)
를 장

착하고 있다.유압장치에 의하여 적재장치를 움직이며 주로 뒷바퀴

(
reart
ire
)구동방식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조향이 가능하다.

26)덤프트럭(
dumpt
ruc
k)

덤프트럭은 샤시(
chas
sis
)프레임,바디 적재함,파워라인 등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적재함은 작업물을 덤핑 가능토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특히 도로상을 주행 할 수 있어 원거리의 토사이동 등에 매우

유리하다.전용 덤프트럭(
작업장에 사용)
은 주행 기능면에서는 보통

덤프트럭(
보통 도로주행시 사용)
과 동일하나 일반적으로 적재량이

15~50 t
(120 t
급도 있음)
으로써 샤시 프레임,바디,파워라인 등은

특별히 내구성이 크게 설계,제작되어 있다.

3.조사방법

가.건설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 측정방법(


ISO,일본)

건설기계류의 소음 측정방법에는 국제표준화기구(


Int
ernat
ional

Or
gani
zat
ion f
or St
andar
diz
ati
on,I
SO)
의 I
SO 6395,일본의 J
IS

A8305, 미국 표준협회(
Amer
ican Nat
ional St
andar
ds I
nst
it
ute
,

ANSI
)의 ANSIS5 등이 있으며 I
SO 6395나 일본의 J
IS A8305는

건설기계류의 소음을 음향파워레벨로 표시하며 그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7-
마이크로폰 위치 x/r y/r z
1 0
.7 0
.7 1
.5m
2 ­0.
7 0
.7 1
.5m
3 ­0.
7 ­0.
7 1
.5m
4 0
.7 ­0.
7 1
.5m
5 ­0.
27 0
.65 0
.71r
6 0
.27 ­0.
65 0
.71r
(
그림 2-1)가상반구 및 마이크로폰 위치

측정면은 (
그림 2-1)
에서와 같이 가상반구로 하고,마이크로폰을

위치시킨다.그 반경 r
은 측정대상기계의 기본길이 L을 기준으로

결정한다.측정면의 반경 r
은 원칙적으로 다음과 같다.

L< 1
.5m …………………………… r
=4m

1
.5m ≤ L < 4m ………………… r
=10m

4m ≤ L …………………………… r
=16m

(
그림 2
-1)
의 측정위치에서 시험기계별로 제시된 운전시간인 T 시간

-18-
에 대하여 등가소음도를 3
회 측정하고 그 평균을 구한 후 다음 식에
의해서 음향파워레벨을 구한다.

Lw =Leq,T -K +1
0log(
S/So)

여기에서 Lw :음향파워레벨(
soundpowe
rle
vel
)

Leq,T :6
개 지점의 등가소음도 평균값

K :음장보정치(
콘크리트,아스팔트 포장은 0
,기타 바닥:K=L'
wr-Lwr)

L'
wr :측정음장에서의 기준 음원의 음향파워레벨(
dB)

Lwr :기준음원의 교정 음향 파워레벨(


dB)

S :측정면의 면적(
m),2πr
2 2

So :기준 면적,1m
2

이렇게 하여 구한 3개의 음향파워레벨의 차이가 1dB이내가 되는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 측정을 계속하며 그 수치들 중 큰쪽의 두 개
수치를 산술평균하여 결정한다.

나.소음표시권고대상기계의 소음도 측정방법

한국은 높은 소음을 발생하는 일부 고소음기계 중 일정기준이하의

소음정도가 낮은 저소음제품에 대하여 소음도를 표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소음기계의 사용을 권고하여 공사장의 소음

을 저감하고 저소음기계의 소비 및 기술개발 촉진을 목적으로 고소

음기계 중 저소음제품에 대한 소음표시권고에 관한 규정을 정하여

시행하고 있다.여기서 정하는 소음표시대상기계는 굴삭기,로우더,

공기압축기,발전기,착암기,압쇄기,브레이커,항타기,로울러,콘크

-19-
리트 절단기,콘크리트 펌프 11종이며 그 측정방법을 간략히 소개

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지점은 대상기계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전후좌우 각 7.


5m 지

점의 지면 위 1.
5 m(
4지점)
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동시에 측정

한다.여기서 굴삭기,로우더,공기압축기,발전기,압쇄기,로울러,

콘크리트 펌프,콘크리트 절단기는 30초간의 Leq,착암기,브레이커

는 10초 이상의 Leq,항타기는 30초 이내에 10개 이상의 피크치의

산술평균을 측정하여 4개 지점중 최고소음도를 기록하고 3회 반복

측정하여 얻는 최고소음도를 산술평균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한다.

I
SO의 측정방법과 국내의 고소음 건설기계에 대한 소음측정방법을

비교하면 아래의 <표 2-2>와 같다.

<표 2-2> I
SO와 국내의 건설기계류의 소음 측정방법 비교

국내 고소음건설기계
구분 I
SO 측정방법
소음표시권고 측정방법
측정지점 가상반구,6개 지점 전,후,좌,우 4개 지점
측정위치 대상기계의 길이로 결정 7.5m 떨어진 지점
측정시간 대상기계의 가동시간 30초 이상 10초~30초
4개 지점 중 소음도가
측정항목 6개 지점의 Leq 평균
최고인 지점의 Leq
측정횟수 3회 3회
음향파워레벨 음압도
평가방법 (측정치 중 큰 두 개의 (각회 최고소음도의
산술평균) 산술평균)

-20-
다.건설기계류의 소음 및 진동 측정방법

1)측정 및 분석기기

소음측정기기(
RION NL-14:4대,RI
ON NL-05:4대,B&K 2231:

1대,SONY DAT:1대,01dB Har


moni
e:1s
et)
와 진동측정기기(
RI

ON VM-52:2대)
를 이용하여 건설기계의 소음 및 진동레벨을 측정

하고 주파수분석기(
RION SA-27, 01dB Har
moni
e, B&K Pul
se

sys
tem)
를 이용하여 주파수특성을 분석하였다.

2)기기조작

이 조사연구에 사용된 측정 및 분석기기의 Syst


em구성은 (
그림

2-2)
과 같이 크게 2개의 유형으로,하나는 SoundLe
velMe
ter
와 진

동레벨계로 현장에서 직접 측정기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Sound Leve
lMe
ter
를 TapeRec
orde
r에 연결하여 dat
a를 녹음하거

나 Har
moni
e를 이용하여 노트북 컴퓨터에 저장한 후,시험실에서

주파수분석기(
RION SA-27,01dB Har
moni
e,B&K Pul
ses
yst
em)

를 이용하여 1/
3Oc
taveband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21-
7.5 m
Microphone
NL 14(RION)
Type 26AK(01 dB)

7.5 m 7.5 m 7.5 m


Notebook
(Harmonie system
Pick-
Pick-up with 4ch.)
VM-
VM-52(RION)
7.5 m

DAT(SONY)

SA-
SA-27(RION)
Type 3022
PC(Pulse system,B&K)
Type 2825(B&K)
Acquisition Front-
Front-end

(
그림 2-2)측정 및 분석 계통도

3)측정방법

건설기계소음의 측정은 앞에서 설명한 소음표시권고대상기계의

소음도 측정방법을 준용하여 반자유 음장이 만족되는 환경에서 (


림 2-2)
와 같이 대상기계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7.
5m 떨어진

사면에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거리감쇠 경향을 살펴보

기 위하여 15m의 떨어진 거리에서의 측정도 함께 수행하였다.건

설기계의 진동레벨 측정은 대상기계를 중심으로 한 사면 중 진동레

벨이 높은 방향에서 7.
5 m와 15 m 떨어진 거리의 바닥면에 진동

픽업(
Pick-up)
을 두고 측정하였다.또한 현장에 설치된 가설방음판

넬에 대한 차음효과에 대한 측정도 함께 수행하였다.

-22-
4.조사내용

가.건설기계류 소음도 및 진동레벨

굴삭기,콘크리트 믹서,로우더 등 공사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계는 물론이고 소음표시권고 규정에서의 소음표시대상기계를 포

함하여 총 34종,300대의 기계를 공종별․작업형태별로 분류하여

소음도를 조사하고 19종,84대의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시하였다.

① 건설기계 종류별 거리에 따른 소음 및 진동 특성

② 국내신규 제작 건설기계와 사용중인 건설기계의 소음도 비교

③ 건설기계의 거리 감쇠 양상 파악

④ 외국의 건설기계류 소음 기준과 비교 검토

나.가설방음판넬 차음 효과

건설기계 가동시 공사 현장에 설치된 가설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에 대하여 조사하고 현장에서 사용되는 방음실태 및 현황을 조사하

였다.

다.저소음․진동 공법 비교

기초공사시 사용되는 고소음․진동 건설기계인 항타기,진동항타

기와 파쇄․해체작업에 사용되는 브레이커의 대체공법을 비교 조사

하였다.

-23-
라.문헌조사

건설기계 소음 및 진동 측정방법,외국의 건설기계에 관한 소음

기준,저소음 공법에 관한 미국,일본 등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이

조사연구의 내실을 기하였다.

-24-
I
II.연 구 결 과 및 고 찰

1.건설기계류의 소음․진동 특성
가.건설기계류의 소음도 및 진동레벨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 34종,302대를 대상으로 건설기

계로부터 7.
5,1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와 19종,84대의 진동

레벨을 조사하여 <표 3-1>과 <표 3-2>에 나타내고 있다.

<표 3-1> 대상 건설기계류의 소음도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가동 대
기계 동력(
HP) 7.
5m 15m
상태 수
범위 평균 범위 평균
75미만 작업 69.
5/76.
874.5/ 73.
262.4/69. 8 67.
5/66.
1 2
무부하 72.
3 - 66.9 - 1
75~140
작업 68.
5/81.
976.3/ 74.
763.2/77. 1 71.
7/69.
7 19
굴삭기 무부하 63.
1/80.
275.2/ 71.
760.1/74. 8 70.
5/67.
7 22
140~280
작업 71.
1/82.
578.2/ 77.
065.8/77. 4 73.
4/72.
1 40
무부하 77.
6/81.
7 79./79.0 72.
5/73. 7 73.
1/73.
1 2
280이상
작업 82.
9/84.
484.0/ 83.
974.1/78. 1 76.
5/76.
1 3
무부하 74.
7 74.7 71.5 71.
5 1
70미만
작업 74.
0/78.
376.7/ 76.
369.1/75. 7 72.
6/71.
9 5
불도저 70~140 작업 75.
1/74.
878.0/ 77.
868.8/74. 8 73.
1/72.
5 6
무부하 69.
7/77.
4 75. 1 63.0 63.
0 3
140이상
작업 77.
3/88.
083.8/ 82.
672.9/77. 9 75.
8/75.
3 6
로우더 140이상 작업 76.
3/85.
983.0/ 82.
373.0/77. 2 75.
6/75.
1 6
그레이
120~170 작업 71.
2/81.
078.
8/78.
066.
8/74.
4 72.
7/71.
9 4

탠덤
75이상 작업 69.
4/76.
874.
9/74.
266.
4/72.
7 70.
6/69.
6 6
로울러
무진동
진동 70.
3/82.
978.
0/76.
466.
2/76.
5 72.
5/71.
2 18
75이상 작업
로울러
진동작업 79.
2/83.
180.
3/79.
771.
3/77.
9 74.
8/74.
2 10
※ 범위(
O/O)
:O~O,평균(O/O)
:대수평균/ 산술평균

-25-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가동 대
기계 동력(
HP) 7.
5m 15m
상태 수
범위 평균 범위 평균
타이어
75이상 작업 63.
6/68.
366.
1/65.
860.
2/65.
4 62.
7/62.
3 5
로울러
무진동
78.6 78.
6 74.
5 74.
5
탬핑 작업
75이상 1
로울러 진동
82.1 82.
1 77.
4 77.
4
작업
법면 무부하 63.9 63.
9 60.
3 60.
3
180 1
다짐기 작업 77.1 77.
1 72.
2 72.
2
트랙터 70~140 무부하 78. 4/ 80.
179.
3/79.
373.
2/75.
5 74.
5/74.
4 2
무부하 67.
3/ 73.
871.
5/70.
866.
2/69.
2 67.
8/67.
7 5
어스 오거 작업 75.7/ 87.
480.
9/78.
970.
3/83.
1 76.
6/74.
9 13
항타 72.5/ 85.
081.
8/79.
670.
9/81.
9 78.
2/75.
8 7
항타기 작업 90.5/ 94.
793.
1/92.
885.
8/90.
6 89.
2/88.
7 6
진동항타기 작업 83.7/ 90.
287.
8/87.
078.
8/84.
5 81.
9/81.
3 3
si
lent-piller 작업 70.5 70.
5 - - 1
소구경 천공기 작업 73.4/ 77.
876.
8/76.
372.
1/72.
6 72.
4/72.
4 3
무부하 70.
8/ 82.
880.
1/76.
8 77.6 77.
6 2
크롤라드릴
작업 85.1/ 87.
386.
3/86.
280.
0/81.
8 80.
9/80.
9 2
무부하 74.
8/ 79.
577.
0/76.
469.
3/69.
7 69.
5/69.
5 5
착암기
작업 89.7/ 97.
695.
5/94.
986.
7/86.
8 86.
8/86.
8 8
공회전 64.3 64.
3 58.
6 58.
6 1
콘크리트
305~340 무부하 67.
5/ 71.
269.
3/69.
062.
2/64.
1 63.
5/63.
5 3
펌프카
작업 72.1/ 83.
980.
8/79.
371.
8/77.
0 73.
5/73.
4 7
콘크리트 무부하 70.4 70.
4 65.
0 65.
0 1
320
믹서 작업 63.9/ 77.
172.
4/70.
261.
7/63.
4 62.
5/62.
4 8
콘크리트
250 작업 67.1/ 82.
278.
9/75.
3 - - 4
플랜트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작업 7 2.
7/ 79.
777.
5/76.
2 68.3 68.
3 2
콘크리트 피니셔 작업 79.9/ 83.
081.
7/81.
475.
6/77.
9 76.
9/76.
8 2
무부하 69.5 69.
5 64.
1 64.
1 1
아스팔트 피니셔
작업 79.4/ 85.
482.
4/81.
874.
3/78.
0 76.
5/76.
2 7
500kg 미만 작업 86. 8/ 88.
587.
7/87.
7 82.9 82.
9 2
브레이
무부하 61.
2/ 79.
176.
2/70.
2 55.7 55.
7 7
커 500kg 이상
작업 88.1/ 59
101. 5.
7/94.
381.
1/91.
0 88.
7/87.
5 19
※ 범위( O/O) :O~O,평균(O/O)
:대수평균/ 산술평균

-26-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가동 대
구분 동력(
HP) 7.
5m 15m
상태 수
범위 평균 범위 평균
핸드브레이커 작업 81.
8 81.
8 - - 1
개방 76.
7/78.
8 77.
9/77.
8 69. 1 69.
1 2
75미만
발전기 폐쇄 70.
7/74.
4 72.
7/72.
5 66. 8 66.
8 5
75이상 개방 76.
0/80.
6 78.
3/77.
872.
7/ 72.8 72.
8/72.
8 3
소형
75미만 작업 76.
4/78.
2 77.
4/77.
3 69.
9 69.
9 2
발전기
75미만 작업 67.
1 67.
1 62.
6 62.
6 1
압쇄기
75~140작업 70.4/71.
3 70.
9/70.
964.
0/67.
2 65.
9/65.
6 2
무부하 74.
4 74.
4 - - 1
압축기 10~30㎥/

작업 73.6/82.
2 77.
3/76.
472.
4/73.
7 73.
1/73.
1 10
공회전 64.2/66.
9 65.
8/65.
6 - - 2
크레인 무부하 61.1/70.
2 67.
8/66.
956.
9/65.
7 61.
8/60.
7 12
작업 66.5/86.
3 78.
2/75.
462.
3/74.
4 70.
1/68.
6 23
고압살수차량 작업 80.
3 80.
3 70.
3 70.
3 1
워터젯 작업 75.0/76.
2 75.
6/75.
6 - - 2
지게차 작업 74.2/75.
6 74.
7/74.
7 3
덤프트럭 작업 79.8/89.
3 84.
7/82.
5 74.9 74.
9 4
도색용기기 작업 74.
8 74.
8 1
※ 범위(O/
O):
O~O,평균(O/O)
:대수평균/ 산술평균

<표 3-2> 대상 건설기계류의 진동레벨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가동 대
기계 동력( HP) 7.
5m 15m
상태 수
범위 평균 범위 평균
75미만 무부하 36.
7 36.
7 35.6 35.
6 1
75~140 무부하 24.1/39.
033.
5/28.
920.
1/37. 2 31.
4/24.
7 4
굴삭기 무부하 26.5/46.
640.
5/34.
419.
8/44. 5 38.
7/29.
5 3
140~280
작업 39.9/40.
039.
9/39.
9 21. 3 21.
3 7
280이상 무부하 34.
6 34.
6 28.6 28.
6 1
무부하 38.
9 38.
9 - - 1
불도저 50~240
작업 50.9/58.
655.
4/54.
1 - - 5
로우더 140마력 이상 주행 34. 0/40.
237.
9/37.
431.
5/38. 3 35.
5/34.
9 5
※ 범위(O/O):O~O,평균(O/
O):
대수평균/ 산술평균

-27-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가동 대
기계 동력(
HP) 7.
5m 15m
상태 수
범위 평균 범위 평균
그레이
120~170 작업 36.
6 36.
6 30.
5 30.
5 1

탠덤
75이상 작업 34.
6 34.
6 34.
0 34.
0 1
로울러
무진동
16.
6/42.
1 36.
1/27.
5 16.
3/25.
3 21.
7/20.
4 10
진동 작업
75이상
로울러 진동
51.
8/76.
9 73.
8/69.
5 57.
6/74.
0 70.
5/67.
4 12
작업
타이어
75이상 작업 17.
6/29.
3 26.
3/24.
1 17.
2/30.
8 27.
3/24.
5 3
로울러
무진동
42.9 42.
9 33.
5 33.
5
탬핑 작업
75이상 1
로울러 진동
71.7 71.
7 53.
2 53.
2
작업
법면 무부하 45.3 45.
3 38.
1 38.
1
180 1
다짐기 작업 66.5 66.
5 59.
9 59.
9
무부하 45.9 - - - 5
어스
- 작업 40. 1/68.
0 61.
1/55.
4 36.
4/58.
9 53.
0/43.
9 13
오거
항타 53. 5/55.
9 54.
7/54.
6 46.
9/54.
8 52.
4/50.
9 7
항타기 작업 70. 1/76.
0 73.
9/73.
1 68.
7/70.
3 69.
6/68.
5 6
진동항타기 작업 64. 1/69.
4 67.
9/67.
3 56.
0/64.
6 61.
2/59.
5 3
천공기 작업 48.7 48.
7 42.
0 42.
0 1
무부하 21.4/26.
9 24.
9/24.
2 15.
0/20.
4 18.
5/17.
7
착암기 4
작업 32. 0/47.
2 44.
6/41.
9 26.
4/40.
1 37.
3/33.
3
콘크 공회전 26.2 26.
2 20.
1 20.
1
리트 305~340 무부하 2 9.
9 29.
9 15.
4 15.
4 1
펌프카 작업 33.3 33.
3 26.
1 26.
1
콘크리트 피니셔 작업 29. 5/35.
9 33.
8/32.
9 27.
3/27.
6 27.
5/27.
5 2
무부하 25.4 25.
4 27.
1 27.
1
아스팔트 피니셔 1
작업 32.6 32.
6 32.
4 32.
4
500kg 미만 작업 57.9 57.
9 45.
9 45.
9 1
브레이
무부하 37.8 37.
8 15.
1 15.
1 1
커 500kg 이상
작업 45. 8/76.
7 68.
4/55.
0 37.
0/67.
6 60.
0/48.
3 7
무부하 27.2 27.
2 20.
0 20.
0 1
크레인 -
작업 27. 3/34.
6 31.
4/30.
1 21.
0/26.
6 24.
0/23.
4 3
※ 범위(O/O) :O~O,평균(O/
O):
대수평균/ 산술평균

-28-
나.건설기계류별 소음․진동 특성

1)굴삭기

굴삭기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설기계로써 거의 모든 공사

에 다용도로 사용되는 장비이다.국내에서 신규 제작된 20대와 공

사현장에서 64대를 포함하여 모두 84대의 굴삭기를 대상으로 동

력,가동상태를 구분하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였다.

기계의 동력은 75마력 미만,75~140마력,140~280마력,그리고

280 마력 이상으로 구분하고,가동상태는 무부하와 작업의 상태로

구분하였다.

<표 3-3>은 국내에서 신규 제작된 굴삭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표 3-3> 신규 제작 굴삭기의 소음도

거리별 소음도 음향
가동 대
기계 동력(
HP) (
Leq30s,dBA) 파워레벨
상태 수
7.5m 15m (
dBA)
72.8~74. 567. 7~72. 1
75미만 무부하 99.
6 2
(73.7/73.
7)( 70.4/
69.9)
72.3~76. 067. 1~68. 2
75~140 무부하 102.
7 7
굴삭기 (73.9/73.
7)( 68.3/
68.1)
74.4~80. 069. 7~74. 2
140~280 무부하 106.
5 9
(77.9/77.
7)( 72.7/
72.4)
280이상 무부하 80.6 76.2 108.
9 2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신규 제작 굴삭기의 경우 무부하 상태에서 측정하고 75마력 미만

에서 굴삭기의 평균 소음도는 7.
5m 떨어진 거리에서 73.
7dBA,7

-29-
5~140마력에서 73.
9dBA,140~280마력에서는 77.
9dBA,그리고

280마력 이상에서는 80.


6dBA를 보이고 있다.

<표 3-4>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굴삭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

내고 있다.

<표 3-4> 굴삭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69.5~76. 8 62.4~69. 8
75미만 작업 2
(74.5/
73.2) (67.5/66.1)
무부하 72.3 66. 9 1
75~140 68.5~81. 9 63.2~77. 1
작업 19
(76.3/
74.7) (71.7/69.7)
63.1~80. 2 60.1~74. 8
무부하 22
굴삭기 (75.2/
71.7) (70.5/67.7)
140~280
71.1~82. 5 65.8~77. 4
작업 40
(78.2/
77.0) (73.4/72.1)
77.6~81. 7 72.5~73. 7
무부하 2
(79.5/
79.0) (73.1/73.1)
280이상
82.9~84.4 74.1~78.1
작업 3
(84.0/
83.
9) (76.5/
76.
1)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굴삭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를 살펴보면

75 마력 미만의 경우 74.
5 dBA(
작업)
,75~140 마력일 때 72.
3

dBA(
무부하)
,76.
3 dBA(
작업)
,140~280 마력의 경우 75.
2 dBA(

부하)
,78.
2dBA(
작업)
,그리고 280마력 이상일 때 79.
5dBA(
무부

하)
,84.
0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소음

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의 소음도가 무부하일 때의 소음도 보다 3~

-30-
4.
5 dB 높게 나타나고,기계의 동력이 높아짐에 따라 무부하일 때

와 작업 중의 소음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참고로 토사를

굴삭할 때 보다는 돌이나 자갈을 굴삭 할 때 0.


7~1.
9 dB 정도 상

대적으로 높은 소음을 발생하고 있다.또한 국내 신규 제작 굴삭기

와 사용중인 굴삭기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같은 동력,무부하일 경

우 신규 제작 굴삭기의 소음도가 1~2 dB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

것은 현장에서 측정할 때는 최고회전수로 동력을 조정한다거나 평

평하고 반사가 잘되는 바닥면에서 측정을 해야하는 등의 측정조건

을 충족시키기 어려워 신규 제작 굴삭기와 사용중인 굴삭기의 소음

도에 대한 절대적인 비교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굴삭기의 소음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부하 및 작업 중의 7.


5m 떨어진 거리에

서의 소음도를 1/
3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
에 보

이고 있다.

80

70

60
Noise Level(dBA)

50

40

30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굴삭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31-
(
그림 3-1)
에서 굴삭기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315Hz
에서 첫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80 Hz
에서 두 번째 피크를 나타낸다.굴삭기로

작업을 하는 경우는 800 Hz


에서의 소음이 가장 크게 나타나며 80

Hz
의 성분이 무부하와 비교하여 유난히 증가하고 400 Hz 이후의

대역에서는 고르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중인 굴삭기를 동력별로 나누어 가동상태에 따라 거

리별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5>에 나타내고 있다.

<표 3-5> 굴삭기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75미만 무부하 36.7 35.
6 1
24.1~39. 0 20.1~37. 2
75~140 무부하 4
(33.5/
28.9) (31.4/24.
7)
26.5~46. 6 19.8~44. 5
굴삭기 무부하 3
(40.5/
34.4) (38.7/29.
5)
140~280
39.9~40. 0
작업 21.
3 7
(39.9/
39.9)
280이상 무부하 34.6 28.
6 1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굴삭기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5 마력 미만이 36.
7 dBV(
무부하)
,75~140 마력일 때 33.
5 dBV

(
무부하)
,140~280마력의 경우 40.
5dBV(
무부하)
,39.
9dBV(
작업)
,

그리고 280마력 이상의 경우 34.


6dBV(
무부하)
를 보이고 있다.

-32-
2)불도저

불도저는 성토나 굴토등에 사용되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사용

중인 17 대의 불도저를 대상으로 동력,가동상태를 구분하여 거리

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였다.기계의 동력은 70마력 미만,

70~140 마력,그리고 140 마력 이상으로 구분하였고,가동상태는

무부하와 작업의 상태로 구분하였다.

<표 3-6>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불도저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

내고 있다.

<표 3-6> 불도저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74.7 71.5
무부하 1
(74.7) (71.5)
70미만
74.0~78. 4 69.1~75. 7
작업 5
(76.7/
76.3) (72.6/ 71.
9)
75.1~78. 8 68.8~74. 8
불도저 70~140 작업 6
(78.0/
77.8) (73.1/ 72.
5)
69.7~77. 4 63.0
무부하 3
(75.1/
74.8) (63.0)
140이상
77.3~88. 0 72.9~77. 9
작업 6
(83.8/
82.6) (75.8/ 75.
3)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불도저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를 살펴보면 70마력 미만의 경우 74.


7 dBA(
무부하)
,76.
7

dBA(
작업)
,70~140마력의 경우 78.
0 dBA(
작업)
,140마력 이상의

경우 75.
1dBA(
무부하)
,83.
8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 일

-33-
때와 작업 중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중의 소음도가 70마력 미만

에서는 2.
0dB,140마력 이상에서는 8.
7dB 높게 나타나고 있다.

불도저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공회전,무부하 그리고 작


업 중일 때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2)
에 보이고 있다.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공회전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불도저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2)
에서 불도저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500~630Hz
에서 탁

월주파수를 나타내고,작업을 하는 경우는 125~1,


000Hz대역에서

소음도가 증가하다가 1 kHz 이상에서 소음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불도저의 작업상태에 따른 거리별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7>에 나타내고 있다.

-34-
<표 3-7> 불도저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38.9
무부하 - 1
(38.9/
38.9)
불도저 50~240
50.9~58. 6
작업 - 5
(55.4/
54.1)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불도저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38.
9

dBV(
무부하)
,55.
4 dBV(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작업 중의 진동레벨이 평균 16.


5 dB 높

게 나타나고 있다.

3)로우더

국내에서 신규 제작된 12대와 공사현장에서 사용중인 6대를 포

함하여 모두 18 대의 로우더를 대상으로 동력,가동상태별로 거리

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였다.기계의 동력은 75마력 미만,

75~140마력,140마력 이상으로 구분하였고,가동상태는 무부하와

주행 상태로 구분하였다.

<표 3-8>은 국내에서 신규 제작된 로우더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35-
<표 3-8> 신규 제작 로우더의 소음도

거리별 소음도 음향
가동 (Leq30s,dBA)
기계 동력(
HP) 파워레벨 대수
상태
7.
5m 15m (
dBA)
75미만 무부하 - - 103.
7 2
75~140 무부하 - - 105.
8 3
로우더
83.2~83.776.8~77.1
140이상 무부하 108.
6 6
(83.5/
83.
5)(76.9/
76.
9)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신규 제작 로우더의 경우 무부하상태에서 측정하였고 7.


5m 떨어

진 거리에서 140마력 이상의 경우 83.


5dBA를 보이고 있다.

<표 3-9>는 작업현장에서 사용중인 로우더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표 3-9> 로우더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
5m 15m
76.3~85.9 73~77.2
로우더 140이상 작업 6
(83.0/
82.
3) (
75.
6/75.
1)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사용중인 로우더는 140 마력 이상의 기계만 조사되

었고 기계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를 살펴보면

83.
0dBA를,1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75.
6dBA

를 나타내고 있다.

-36-
로우더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작업할 때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그림

3-3>에 보이고 있다.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3)로우더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3)
에서 로우더 작업 소음은 1kHz
에서 탁월주파수를 보이

고,100Hz
에서 두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로우더를 동력별로 나누어 작업에 따라 거리별 진동레벨

을 조사하여 <표 3-10>에 나타내고 있다.

<표 3-10> 로우더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34.0~40.2 31.5~38. 3
로우더 140이상 작업 5
(37.9/
37.
4) (35.5/34.
9)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37-
140마력 이상의 로우더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

을 살펴보면 평균 37.
9dBV(
작업)
를 보이고 있고,15m 떨어진 거

리에서의 진동레벨은 평균 35.


5dBV(
작업)
를 나타내고 있다.

4)그레이더

공사현장에서 사용중인 4대를 대상으로 동력,가동상태를 구분하

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였다.

<표 3-11>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그레이더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표 3-11> 그레이더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71.2~81.0 66. 8~74. 4
그레이더 120~170 작업 4
(78.8/
78.
0) (72. 7/71.
9)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조사한 그레이더로부터 각각 7.


5m 및 1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각각 살펴보면 78.


8 dBA(
작업)
,72.
7 dBA(

업)
를 보이고 있다.

그레이더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작업 중일 때 7.


5m 떨

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림 3-4)
에 보이고 있다.

-38-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4)그레이더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4)
에서 그레이더로 작업을 하는 경우는 1.
25 kHz
에서 탁

월주파수를 나타내며,160Hz
에서 두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그레이더를 동력별로 나누어 작업에 따라 거리별 진동레

벨을 조사하여 <표 3-12>에 나타내고 있다.

<표 3-12> 그레이더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그레이더 120~170 작업 36.
6 30.5 1

그레이더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36.
6dBV(
작업)
를 보이고 있다.또한 굴삭기에서 15m 떨어진 거리

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


5 m에서의 진동레벨보다 6.
1 dB 정

-39-
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로울러

로울러는 로울러바퀴에 의해 지반을 다지는 건설기계로 도로 및

지반 정지작업에 쓰이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사용중인 20대를

대상으로 동력,가동상태를 구분하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였다.가동상태는 무진동작업과 진동작업의 상태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다.<표 3-13>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로울러의 거리

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13> 로울러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탠덤 69.4~76. 8 66.4~72. 7
75이상 작업 6
로울러 (74.9/
74.2) (70.6/ 69.
6)
70.3~82. 9 66.2~76. 5
무진동작업 18
진동 (78.0/
76.4) (72.5/ 71.
2)
75이상
로울러 79.2~83. 1 71.3~77. 9
진동작업 10
(80.3/
79.7) (74.8/ 74.
2)
타이어 63.6~68. 3 60.2~65. 4
75이상 작업 5
로울러 (66.1/
65.8) (62.7/ 62.
3)
78.6 74.5
무진동작업 1
탬핑 (78.6) (74.5)
75이상
로울러 82.
1 77.
4
진동작업 1
(
82.
1) (
77.
4)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사용중인 75마력 이상의 로울러로부터 7.


5m 떨어

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탠덤로울러는 74.


9 dBA(
작업)
,

-40-
진동로울러는 78.
0 dBA(
무진동)
,80.
3 dBA(
진동)
,타이어로울러는

66.
1dBA(
작업)
,탬핑로울러는 78.
6dBA(
무진동)
,82.
1dBA(
진동)

보이고 있다.진동로울러와 탬핑(


tampi
ng)
로울러의 경우 무진동일

때와 진동일 때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진동일 때의 소음도가 각각

약 1.
7dB,3.
5dB 정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거리가 2배로 증가할

경우,모든 로울러의 소음도가 3.


4~5.
5 dB 정도 감쇠하고 있다.

로울러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작업 중일 때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5)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5)로울러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5)
에서 로울러의 작업 소음은 800 Hz
에서 탁월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로울러를 동력별로 나누어 작업에 따라 거리별 진동레벨

-41-
을 <표 3-14>에 나타내고 있다.

<표 3-14> 로울러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대


기계 동력(
HP)
상태 7.5m 15m 수
탠덤 34.6 34.0
75이상 작업 1
로울러 (34.6) (34.0)
무진동 16.6~42. 1 16.3~25. 3
10
진동 작업 (36.1/
27.5) (21.7/20.
4)
75이상
로울러 51.8~76. 9 57.6~74. 0
진동작업 12
(73.8/
69.5) (70.5/67.
4)
타이어 17.6~29. 3 17.2~30. 8
75이상 작업 3
로울러 (26.3/
24.1) (27.3/24.
5)
무진동 42.9 33.5
1
탬핑 작업 (42.9) (33.5)
75이상
로울러 71.7 53.2
진동작업 1
(71.7) (53.2)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75마력 이상의 로울러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진동

레벨을 살펴보면 탠덤 로울러는 34.


6dBV(
작업)
,진동로울러는 36.
1

dBV(
무진동)
,73.
8 dBV(
진동)
,타이어로울러 26.
3 dBV(
작업)
,탬핑

로울러 42.
9dBV(
무진동)
,71.
7dBV(
진동)
를 보이고 있다.진동로울

러와 탬핑로울러의 경우,무진동 일때와 진동일 때의 진동레벨의

차이를 비교하면 각각 37.


7 dB와 28.
8 dB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

다.

6)법면다짐기(
마이티)

법면다짐기는 둑․호안(
護岸)
․절토(
切土)따위의 경사면을 다지는

-42-
건설기계로써 주로 도로 및 댐 공사의 경사면에 이용되는 장비이

다.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인 1대를 대상으로 동력,가동상태를 구분

하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였다.가동상태는 무부하

와 작업의 상태로 구분하였다.

<표 3-15>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법면다짐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15> 법면다짐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법면 무부하 63.
9 60. 3
180 1
다짐기 작업 77.
1 72. 2

작업현장에서 법면다짐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

를 살펴보면 63.
9 dBA(
무부하)
,77.
1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

부하일 때와 작업 중일 때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일 때 소음도

가 13.
2 dB 높게 나타나고 있다.측정거리가 2배로 증가함에 따라,

소음도는 각각 3.
6 dB(
무부하)
,4.
9 dB(
작업)
만큼 감쇠하고 있다.

법면다짐기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부하 및 작업 중의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

하여 (
그림 3-6)
에 보이고 있다.

-43-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6)법면다짐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6)
에서 법면다짐기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800Hz
에서 첫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법면다짐기로 작업을 하는 경우는 주파수

대역별로 고르게 소음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법면다짐기를 동력별로 나누어 가동상태에 따라 거리별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16>에 나타내고 있다.

<표 3-16> 법면다짐기의 거리별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법면 무부하 45.
3 38.1
180 1
다짐기 작업 66.
5 59.9

법면다짐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45.
3 dBV(
무부하)
,66.
5 dBV(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일 때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작업 중일 때 진동레벨이 21.


2

-44-
dB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한 1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
5 m 진동레벨보다 6.
6~7.
2 dB 정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7)트랙터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하는 건설기계로써 도저

(
doz
er)
장치․셔블(
shovel
)․버킽․스크레이퍼(
scr
aper
)등과 조합해

서 각종 건설작업에 사용되고 있다.공사현장에서 사용 중인 2 대

를 대상으로 동력,가동상태를 구분하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

벨을 측정하였다.기계의 동력은 70 마력 미만,70~140 마력,140

마력 이상으로 구분하였고,작업상태는 무부하에서 측정하였다.

<표 3-17>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트랙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

내고 있다.

<표 3-17> 트랙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78.4~80.1 73.2~75. 5
트랙터 70~140 무부하 2
(79.3/
79.
3) (74.5/ 74.
4)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트랙터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

를 살펴보면 79.
3 dBA(
무부하)
를 보이고 있다.7.
5 m와 15 m간의

소음도는 4.
8dB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45-
8)어스 오거
어스 오거는 전기모터나 유압에 의해 지반을 천공하여 파일을 타

설하는 저소음 건설기계로,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 및 전주 가설

에 많이 사용되는 장비이다.어스 오거는 가동상태별로 무부하,작

업,항타 소음으로 구분하여 <표 3-18>에 나타내고 있다.

<표 3-18> 어스 오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67.3~73.8 66.2~69. 2
무부하 5
(71.5/
70.
8) (67.8/67.
7)
75.7~87.4 70.3~83.1
어스 오거 작업 13
(80.9/
78.
9) (76.6/
74.
9)
72.5~85.0 70.9~81.9
항타 7
(81.8/
79.
6) (78.2/
75.
8)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표 3-18>에서 어스 오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는 무부하일 때 71.


5 dBA,작업 중일 때 80.
9 dBA,그리고

항타작업 중에는 81.


8dBA이며,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 소음을 비

교하면 작업 중에 소음도가 9.
4 dB 더 높게 나타난다.또한 항타

시는 무부하일 때와 비교하여 10.


3dB 더 높게 나타난다.

-46-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7)어스 오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그림 3-7)
에서 어스 오거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200,2,
000Hz

서 탁월주파수를 보이고,작업 중일 때는 전 주파수 영역에서 고르

게 소음도가 증가하고 있다.

다음으로 <표 3-19>에서 어스 오거의 진동레벨을 무부하,작업,

항타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 3-19> 어스 오거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
Leq30s,dBV)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무부하 45.9 - 5
40.1~68. 0 36.4~58. 9
작업 13
어스 오거 (61.1/
55.4) (53.0/43.
9)
53.5~55. 9 46.9~54. 8
항타 7
(54.7/
54.6) (52.4/50.
9)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47-
<표 3-19>에서 어스 오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진동레벨은 무부하일 경우 45.


9 dBV,작업의 경우 61.
1 dBV,그리

고 항타의 경우 54.
7dBV를 보이고 있다.특이한 점은 작업 진동이

항타의 경우 보다 6.
4dBV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9)항타기

항타기는 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에 사용되는 기계이다.항타 작

업을 할 때의 소음도를 <표 3-20>에 나타내고 있다.

<표 3-20> 항타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
5m 15m
90.5~94.7 85.8~90.6
항타기 작업 6
(93.1/
92.
8) (89.2/
88.
7)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표 3-20>에서 항타작업을 할 때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는 93.
1 dBA이고,1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소음도는

89.
2dBA 이다.

항타 작업 소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


3 옥타브 밴드로 주

파수 분석한 결과를 (
그림 3-8)
에 나타내고 있다.

-48-
120

100
Noise Level (dBA)

80

60

40

20

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8)항타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그림 3-8)
에서 항타 작업 소음은 500Hz
에서 첫 번째 피크를 나

타내고 있고,200~4,
000Hz범위에서 80dBA를 넘는 높은 소음을

발생하고 있다.

다음으로 항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을 <표 3-21>에 나타내고 있

다.

<표 3-21> 항타기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70.1~76.0 68. 7~70. 3
항타기 작업 6
(73.9/
73.
1) (69. 6/68.
5)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49-
항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은 7.
5m 떨어진 거리에서 73.
9dBV,15

m 떨어진 거리에서 69.


6dBV를 보이고 있다.

10)진동 항타기

진동 항타기는 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에 사용되는 기계이다.항

타 작업을 할 때의 소음도를 <표 3-22>에 나타내고 있다.

<표 3-22> 진동 항타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83.7~90.2 78.8~84. 5
진동항타기 작업 3
(87.8/
87.
0) (81.9/ 81.
3)
※(
/)는 (대수평균/
산술평균)

<표 3-22>에서 진동 항타기를 이용하여 항타작업을 할 때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는 87.


8dBA이고,15m 떨어진 거리에서

의 소음도는 81.
9dBA 이다.

진동항타기를 이용한 항타 작업 소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
3 옥타브 밴드로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
그림 3-9)
에 나타내고

있다.

-50-
90

80
Noise Level (dBA)

70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9)진동항타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그림 3-9)
에서 진동 항타 작업 소음은 2,
000 Hz
에서 첫 번째 피

크를 나타내고 있고,800~2,
500 Hz 범위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70

dBA를 넘는 소음을 발생하고 있다.

다음으로 항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을 <표 3-23>에 나타내고 있

다.

<표 3-23> 진동 항타기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64.1~69.4 56. 0~64. 6
진동항타기 작업 3
(67.9/
67.
3) (61. 2/59.
5)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51-
진동 항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은 7.
5 m 떨어진 거리에서 67.
9

dBV,15m 떨어진 거리에서 61.


2dBV를 보이고 있다.

11)Si
lentPi
ler

Si
lent Pi
ler
는 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에 사용되는 기계이다.

Si
lentPi
ler
를 이용하여 작업 할 때의 소음도를 <표 3-24>에 나타

내고 있다.

<표 3-24> Si
lentPi
ler
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Si
lentPi
ler 작업 70.
5 - 1

Si
lentPi
ler
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 소음도는 70.
5 dBA를 보이고

있다.

12)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는 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에 사용되는 기

계이다.소구경 지하수 천공기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 소음도를 <표

3-25>에 나타내고 있다.

<표 3-25>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73.4~77.8 72.1~72. 6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작업 3
(76.8/
76.
3) (72.4/ 72.
4)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52-
<표 3-25>에서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를 이용하여 작업 할 때의

소음도는 7.
5m 떨어진 거리에서 76.
8dBA,15m 떨어진 거리에서

72.
4dBA를 보이고 있다.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소음의 특성을 (

림 3-10)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0)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그림 3-10)
에서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소음은 1,
600Hz
에서 탁월

주파수를 보이고 있다.또한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를 사용하여 작

업 할 때의 진동레벨은 <표 3-26>에서 7.


5 m 떨어진 거리에서

48.
7dBV,15m 떨어진 거리에서 42.
0dBV를 보이고 있다.

<표 3-26>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대수
상태 7.5m 15m
소구경 지하수 천공기 작업 48.
7 42.0 1

-53-
13)크롤라드릴

크롤라드릴의 소음을 가동상태별로 <표 3-27>에 나타내고 있다.

<표 3-27> 크롤라드릴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70.8~82.8
무부하 77.6 2
(80.1/
76.
8)
크롤라드릴
85.1~87.3 80. 0~81. 8
작업 2
(86.3/
86.
2) (80. 9/80.
9)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표 3-27>에서 크롤라드릴로 작업을 할 때 평균 소음도는 7.


5m

떨어진 거리에서 80.


1 dBA(
무부하)
,86.
3 dBA(
작업)
,15 m 떨어진

거리에서 77.
6dBA(
무부하)
,80.
9dBA(
작업)
을 보이고 있다.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1)크롤라드릴의 주파수 특성

-54-
(
그림 3-11)
에서 크롤라드릴의 주파수 특성은 1kHz이상의 대역

의 고주파수 성분에서 높은 소음을 나타내고 있다.

14)착암기

착암기는 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에 사용되는 기계이다.착암기

의 소음도를 가동상태별로 <표 3-28>에 나타내고 있다.

<표 3-28> 착암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
5m 15m
74.8~79.5 69.3~69.7
무부하 5
(77.0/
76.
4) (69.5/
69.
5)
착암기
89.7~97.6 86.7~86.8
작업 8
(95.5/
94.
9) (86.8/
86.
8)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표 3-28>에서 착암기의 소음도는 7.


5 m 떨어진 거리에서 77.
0

dBA(
무부하)
,95.
5dBA(
작업)
,15m 떨어진 거리에서 69.
5dBA(

부하)
,86.
8dBA(
작업)
을 보이고 있다.또한 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

의 소음도을 비교하면 7.
5m 거리에서 작업 중의 소음도가 무부하

일 때보다 18.
5dB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착암기 소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


3옥타브 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2)
에 나타내고 있다.

-55-
100

90

80
Noise Level (dBA)

70

60

50

40

30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2)착암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
그림 3-12)
에서 착암기 소음은 무부하일 때 1,
250Hz
에서 탁월주

파수를 나타내고,작업 중일 때는 2kHz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특히 증가하여 80dBA가 넘는 고소음을 발생하고 있다.

다음으로 착암기의 진동레벨을 <표 3-29>에 나타내고 있다.

<표 3-29> 착암기의 진동레벨

거리별 소음도( Leq30s,dBV) 가동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21.4~26.9 15~20. 4
무부하 2
(24.9/
24.
2) (18.5/ 17.
7)
착암기
32.0~47.2 26.4~40. 1
작업 4
(44.6/
41.
9) (37.3/ 33.
3)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56-
<표 3-29>에서 착암기의 진동레벨은 7.
5m 떨어진 거리에서 24.
9

dBV(
무부하)
,44.
6dBV(
작업)
,15m 떨어진 거리에서 18.
5dBV(

부하)
,37.
3dBV(
작업)
을 보이고 있다.

15)콘크리트 펌프카

콘크리트 펌프카는 강력한 펌프의 압력으로 터널 속과 같은 좁은

곳이나 높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건설기계로,콘트리트공사

시 사용되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인 8 대의 콘크리트

펌프카를 대상으로 가동상태를 구분하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

벨을 측정하였다.

<표 3-30>은 작업현장에서 조사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거리별 소음

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30> 콘크리트 펌프카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64.3 58.6
공회전 1
(64.3) (58.6)
콘크리트 67.5~71. 2 62.2~64. 1
305~340 무부하 3
펌프카 (69.3/
69.0) (63.5/ 63.
5)
72.1~83. 9 71.8~77. 0
작업 7
(80.8/
79.3) (73.5/ 73.
4)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조사한 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

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64.


3dBA(
공회전)
,69.
3dBA(
무부하)
,80.
8

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공회전일 때와 무부하일 때의 소음도를

-57-
비교하면 무부하일 때의 소음도가 5 dB 높게 나타나고,무부하일

때와 작업중일 때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의 소음도가 11.


5

dB정도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측정거리가 7.


5m에서 15m로

멀어짐에 따라 소음도의 감쇠치는 공회전,무부하,작업시 모두 5~

7dB정도로 나타난다.

콘크리트 펌프카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가동상태별로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3)
에 보이고 있다.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공회전 무부하 작업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3)콘크리트 펌프카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13)
에서 콘크리트 펌프카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800Hz

서 첫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작업을 하는 경우 1.
6 kHz
에서의 성

분이 무부하와 비교하여 유난히 소음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펌프카를 동력별로 나누어 가동상태별로 거리

-58-
별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31>에 나타내고 있다.

<표 3-31> 콘크리트 펌프카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공회전 26.
2 20.1
콘크리트
305~340 무부하 29.
9 15.4 1
펌프카
작업 33.
3 26.1

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

펴보면 26.
2 dBV(
공회전)
,29.
9 dBV(
무부하)
,33.
3 dBV(
작업)
를 보

이고 있다.공회전일 때와 무부하일 때의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무

부하일 때의 진동레벨이 3.
7 dB 높게 나타나고,무부하일 때와 작

업 중의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작업 중의 진동레벨이 3.


4 dB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한 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15m 떨어진 거리에서

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
5m에서의 진동레벨보다 6.
1dB(
공회전)
,

14.
5dB(
무부하)
,7.
2dB(
작업)정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6)콘크리트 믹서

콘크리트 믹서는 차체내에서 균질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건설기

계로써 콘크리트공사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장비이다.공사

현장에서 사용중인 9 대의 콘크리트 믹서를 대상으로 거리별 소음

도을 조사하여 가동상태별로 나타내면 <표 3-32>과 같다.

<표 3-32>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콘크리트 믹서의 거리별 소음

도를 나타내고 있다.

-59-
<표 3-32> 콘크리트 믹서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무부하 70.4 65.0 1
콘크리트
320 63.9~77. 1 61.7~63. 4
믹서 작업 8
(72.4/
70.2) (62.5/ 62.
4)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콘크리트 믹서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

도를 살펴보면 70.
4 dBA(
무부하)
,72.
4 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

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의 소음도가 2

dB 높게 나타나고 있다.

콘크리트 믹서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작업 중의 7.


5m 떨

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림 3-14)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4)콘크리트 믹서 소음의 주파수특성

-60-
(
그림 3-14)
에서 콘크리트 믹서의 작업 소음은 1,
250Hz
에서 탁월

주파수를 보이고,40Hz
의 저주파수 성분이 주변 주파수 성분에 비

하여 크게 나타나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17)콘크리트 플랜트

콘크리트 플랜트는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설비로 콘크리트 공사에

필수적인 생산장비이다.공사현장에 있는 4 개의 설비를 대상으로

거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표 3-33>은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콘크리트 플랜트의 거리별 소음

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33> 콘크리트 플랜트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콘크리트 67.1~82.2
250 작업 - 4
플랜트 (78.9/
75.
3)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부하상태인 콘크리트 플랜트의 소음도는 7.


5 m 떨어진 거리에서

78.
9dBA이다.

부하상태인 콘크리트 플랜트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

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5)
에 보이고

있다.

-61-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5)콘크리트 플랜트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15)
에서 콘크리트 플랜트의 작업소음은 800Hz
에서 첫 번

째 피크를 나타내고,100Hz
에서 두 번째 피크를 보이고 있다.

18)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는 비빈 콘크리트에 진동을 주어 운반 중에

혼합된 공기를 몰아내어 치밀하고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어

내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인 2대의 콘크리트 바이브레

이터를 대상으로 작업(


생콘크리트에 삽입 후)
중의 거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표 3-34>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의 거리

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62-
<표 3-34>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
5m 15m

72.7~79.7 68.
3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작업 2
(77.5/
76.
2) (
68.
3)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부하상태인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의 평균 소음도는 7.


5m 떨어진

거리에서 평균 77.
5dBA이다.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

석하여 (
그림 3-16)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6)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소음의 주파수특성

-63-
(
그림 3-16)
에서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작업 소음은 다른 기계들

에 비하여 저주파 대역인 250 Hz


에서 첫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

500Hz
에서 두 번째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19)콘크리트 피니셔

콘크리트 피니셔는 도로 등에 포설된 생 콘크리트를 고르게 펴면

서 진동기로 다짐하는 건설기계로 도로의 콘크리트 포장에 사용되

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2대의 콘크리트 피니셔를 대상으로 거

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였다.

<표 3-35>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콘크리트 피니셔의 거리별 소음

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35> 콘크리트 피니셔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콘크리트 79.9~83.0 75. 6~77. 9
작업 2
피니셔 (81.7/
81.
4) (76. 9/76.
8)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콘크리트 피니셔로부터 7.


5 m와 15 m 떨어

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각각 81.


7 dBA(
작업)
,76.
9 dBA

(
작업)
를 보이고 있다.

부하상태인 콘크리트 피니셔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7)
에 보이고 있다.

-64-
90

80
Noise Level (dBA)

70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7)콘크리트 피니셔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17)
에서 콘크리트 피니셔의 작업 소음은 다른 기계들과는

달리 저주파수 대역인 160Hz


에서 첫 번째 피크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피니셔를 부하상태일 때 거리별 진동레벨을 조

사하여 <표 3-36>에 나타내고 있다.

<표 3-36> 콘크리트 피니셔의 거리별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29.8~35.9 27. 3~27. 6
콘크리트 피니셔 작업 2
(33.8/
32.
9) (27. 5/27.
5)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부하상태인 콘크리트 피니셔의 평균 진동레벨은 7.


5m 떨어진 거

리에서 33.
8 dBV이고,15 m 떨어진 거리에서 6.
3 dB 감쇠한 27.
5

dBV이다.

-65-
20)아스팔트 피니셔

아스팔트 피니셔는 도로공사시 아스팔트 혼합재를 포설하고 다지

는 건설기계로 도로포장공사에 자주 사용되는 장비이다.공사현장

에서 사용중인 7 대의 아스팔트 피니셔를 대상으로 가동상태별로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표 3-37> 및 <표 3-38>에 보이고

있다.

<표 3-37>은 아스팔트 피니셔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37> 아스팔트 피니셔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무부하 69.5 64.1 1
아스팔트 피니셔 79.4~85. 4 74.3~78. 0
작업 7
(82.4/
81.8) (76.5/ 76.
2)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아스팔트 피니셔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

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69.


5dBA(
무부하)
,82.
4dBA(
작업)
를 보이

고 있다.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의

소음도가 12.
9 dB 높게 나타나고,측정거리가 2배로 늘어났을 때

소음도의 감쇠치는 5.
4 dB(
무부하)
,5.
9 dB(
작업)
로 나타나고 있다.

아스팔트 피니셔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가동상태별로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8)
에 보이고 있다.

-66-
90

80
Noise Level (dBA)

70

60

50

40
무부하 작업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8)아스팔트 피니셔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18)
에서 아스팔트 피니셔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1,
600Hz

에서 탁월주파수를 나타내고,작업 소음의 경우는 무부하인 경우와

비교하여 주파수별로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고 있다.

다음으로 아스팔트 피니셔를 가동상태별로 거리별 진동레벨을 조

사하여 <표 3-38>에 나타내고 있다.

<표 3-38> 아스팔트 피니셔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무부하 25.
4 27.1
아스팔트 피니셔 1
작업 32.
6 32.4

-67-
아스팔트 피니셔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

보면 25.
4 dBV(
무부하)
,32.
6 dBV(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부하상태일 때의 진동레벨이

5.
3~7.
2dB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한 부하상태의 아스팔트 피니셔

로부터 1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


5m에서의

진동레벨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21)브레이커

브레이커는 굴삭기에 부착하여 암반 및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장비

로 파괴 및 해체공사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공사현장에서 작업 중

인 21 대의 브레이커를 대상으로 전체(


본체 및 브라켙(
bracke
t))

량, 가동상태별로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39> 및 <표 3-40>에 나타내고 있다.

<표 3-39>는 작업현장에서 조사한 브레이커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39> 브레이커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중량(
kg) 대수
상태 7.5m 15m
86. 8~88.5 82.9
500미만 작업 2
( 87.7/
87.
7) (82.9)
61.2~79.1 55.7
브레이커 7
무부하 ( 76.2/
70.
2) (55.7)
500이상
88.1~101.5 81.1~91. 0
작업 19
( 95.7/
94.
3) (88.7/ 87.
5)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68-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브레이커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

음도를 살펴보면 중량이 500 kg 미만의 경우 87.


7 dBA(
작업)
,500

kg 이상일 때 76.
2 dBA(
무부하)
,95.
7 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

무부하일 때와 부하상태일 때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부하상태일 때

의 소음도가 19.
5~33 dB 높게 나타나고,브레이커의 중량이 증가

함에 따라 부하상태의 소음도가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브레이커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에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19)
에 보이고 있다.

100

90

80
Noise Level (dBA)

70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19)브레이커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19)
에서 브레이커의 작업 소음은 800~2,
000Hz
의 범위에

서 탁월주파수를 보이고 있다.다음으로 브레이커를 중량별로 나누

-69-
어 가동상태별로 거리별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40>에 나타내

고 있다.

<표 3-40> 브레이커의 거리별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중량(
kg) 대수
상태 7.
5m 15m
57.
9 45.
9
500미만 작업 1
(
57.
9) (
45.
9)
37.
8 15.
1
브레이커 무부하 1
(
37.
8) (
15.
1)
500이상
45.8~76.7 37.0~67.6
작업 7
(68.4/
55.
0) (60.0/
48.
3)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브레이커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중량이 500 kg 미만의 경우 평균 57.


9 dBV(
작업)
,500 kg 이상일

때 37.
8 dBV(
무부하)
,68.
4 dBV(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일 때

와 작업 중의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작업 중의 진동레벨이 30.


6~

44.
9dB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한 브레이커로부터 15m 떨어진 거

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


5 m에서의 진동레벨보다 22.
7 dB

(
무부하)
,8.
4~12dB(
작업)
정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2)핸드 브레이커

핸드 브레이커는 작업자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암반 및 구조물

을 파괴 및 해체하는 소형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1 대의 휴대용

브레이커를 대상으로 소음도를 조사하여 <표 3-41>에 나타내고 있

-70-
다.

<표 3-41> 핸드 브레이커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핸드 브레이커 작업 81.
8 - 1

작업현장에서 핸드 브레이커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

도를 살펴보면 81.
8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

23)압쇄기(
crus
her
)

압쇄기는 굴삭기에 압쇄장치를 부착하여 유압에 의해 콘크리트 구

조물 등을 파쇄,절단하는 기계로 파괴․해체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 있는 3대의 압쇄기를 대상으로 동력별로 거

리별 소음도를 조사하여 <표 3-42>에 나타내고 있다.<표 3-42>

는 작업현장에서 조사한 압쇄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42> 압쇄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대수
상태 7.5m 15m
75미만 작업 67.1 62.6 1
압쇄기 70.4~71. 3 64.0~67. 2
75~140 작업 2
(70.9/
70.9) (65.9/ 65.
6)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71-
작업현장에서 압쇄기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

펴보면 동력이 75마력 미만의 경우 67.


1dBA(
작업)
,75~140마력

일 때 70.
9 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기계의 동력이 높아짐에 따

라 소음도 차이가 3.
8 dB정도로 나타나고 있다.측정거리가 2배로

늘어남에 따라 소음도는 4.
5~5dB의 거리감쇠를 보이고 있다.

24)발전기

발전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건설현

장에서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건설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

할을 하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 작동 중인 10대의 발전기를 대상

으로 크기,동력,방음문의 개폐여부를 구분하여 거리별 소음도를

조사하였다.크기는 소형,중형으로 구분하였고,기계의 동력은 75

마력 미만,75마력 이상으로 구분하였다.<표 3-43>은 작업현장에

서 측정한 발전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43> 발전기의 소음도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동력(
HP) 방음문 대수
7.5m 15m
소형 76.4~78.2 69.9
75미만 無 2
발전기 (77.4/
77.
3) (69.9)
76.7~78.8 69.1
개방 2
(77.9/
77.
8) (69.1)
75미만
중형 70.7~74.4 66.8
폐쇄 5
발전기 (72.7/
72.
5) (66.8)
76.0~80.6 72.7~72. 8
75이상 개방 3
(78.3/
77.
8) (72.8/ 72.
8)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72-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소형발전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동력이 75마력 미만일 때 77.


4dBA(
無)를 보이

고 있다.또한,중형발전기에서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75 마력 미만일 때 77.


9 dBA(
개방)
,72.
7 dBA(
폐쇄)
,75

마력 이상일 때 78.
3dBA(
개방)
를 보이고 있다.75마력 미만의 중

형발전기의 경우,개방일때와 폐쇄일때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폐쇄

시 소음도가 거리에 따라서 2.


3~5.
2dB 낮게 나타나고,75마력 미

만의 중형발전기의 개방의 경우,기계의 동력이 높아짐에 따라 약

간의 소음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발전기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방음커버 개폐 상태별로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

하여 (
그림 3-20)
에 보이고 있다.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커버개방상태 커버닫은상태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0)발전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73-
(
그림 3-20)
에서 발전기 소음은 방음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250 Hz
와 1 kHz
에서 탁월주파수를 보이고,방음커버를 닫은 상태

에서는 100Hz
와 800Hz
에서 탁월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25)공기압축기

압축기는 압축 공기에 의한 에너지를 생성 공급하는 기계로서 건

설공사의 각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공사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10 대의 압축기를 대상으로 유량,가동상태별로 거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공기압축기의 유량은 10 m /
분~30 m /
분으로 구분하
3 3

였고,가동상태는 무부하와 작업으로 구분하였다.

<표 3-44>는 작업현장에서 조사한 압축기의 가동상태별로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44> 공기 압축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유량 대수
상태 7.
5m 15m
무부하 74.
4 - 1
압축기 10~30m /
분 73.6~82.2 72.4~73.7
3

작업 10
(77.3/
76.
4) (73.1/
73.
1)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압축기에서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

를 살펴보면 74.
4 dBA(
무부하)
,77.
3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

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의 소음도가 약

-74-
3 dB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한,측정거리가 2배로 증가하면 소음

도는 4.
2dB(
작업)
정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압축기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 7.


5m 떨어

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21)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1)압축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21)
에서 압축기의 작업 소음은 1,
000 Hz
에서 탁월주파수

를 보이고 있다.

26)크레인

크레인은 하중용 중기의 일종으로 화물의 기중작업,항타작업,플

랜트기기 설치작업등 건설공사에 전반적으로 이용되는 건설기계이

-75-
다.공사현장에 작업 중인 23 대를 대상으로 가동상태를 구분하여

거리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였다.가동상태는 공회전,무부

하,작업의 상태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 3-45>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크레인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표 3-45> 크레인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
5m 15m
64.2~66.9
공회전 - 2
(65.8/
65.
6)
61.1~70.2 56.9~65.7
크레인 무부하 12
(67.8/
66.
9) (61.8/
60.
7)
66.5~86.3 62.3~74.4
작업 23
(78.2/
75.
4) (70.1/
68.
6)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크레인으로부터 가동상태별로 7.


5 m 떨어진 거리에

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65.


8dBA(
공회전)
,67.
8dBA(
무부하)
,78.
2

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공회전일 때와 무부하일 때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무부하일 때의 소음도가 2 dB 높게 나타나고,무부하일

때와 작업 중의 소음도를 비교하면 작업 중의 소음도가 8.


3~10.
4

dB 높게 나타나고 있다.

크레인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부하 및 부하상태일 때의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

하여 (
그림 3-22)
에 보이고 있다.

-76-
80

70

60
Noise Level (dBA)

50

40

30
무부하 작업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2)크레인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22)
에서 크레인 소음은 무부하의 경우 800Hz
에서 탁월주

파수를 보이고 있고,부하상태의 경우 250Hz성분의 소음이 다른

성분에 비해 유난히 증가하고 나머지 대역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증

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다음으로 크레인를 동력별로 나누어 작업

에 따라 거리별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46>에 나타내고 있다.

<표 3-46> 크레인의 진동레벨

가동 거리별 진동레벨( Leq30s,dBV)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무부하 27.2 20.0 1
크레인 27.3~34. 6 21.0~26. 6
작업 3
(31.4/
30.1) (24.0/ 23.
4)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77-
크레인으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27.
2 dBV(
무부하)
,31.
4 dBV(
작업)
를 보이고 있다.무부하일 때와

부하상태일 때의 진동레벨을 비교하면 부하상태일 때의 진동레벨이

4~4.
2dB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한 크레인으로부터 1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진동레벨을 살펴보면 7.


5 m에서의 진동레벨보다 7.
2~

7.
4dB 정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7)고압살수차량

고압살수차량은 공사시 생기는 흙먼지의 비산을 막기위해 물을 뿌

리는 장비이다.공사현장에서 1 대의 고압살수차량을 대상으로 거

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표 3-47>은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고압살수차량의 거리별 소음도

를 나타내고 있다.

<표 3-47> 고압살수차량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
5m 15m
80.
3 70.
3
고압살수차량 작업 1
(
80.
3) (
70.
3)

작업현장에서 고압살수차량으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

음도를 살펴보면 80.


3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15m 떨어진 거리

에서의 소음도는 70.


3dBA(
작업)
로,7.
5m 소음도보다 10dB 낮은

-78-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고압살수차량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23)
에 보이고 있다.

90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3)고압살수차량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23)
에서 고압살수차량의 작업 소음은 1.
25kHz
에서 첫 번

째 피크를 나타내고,6.
3 kHz
에서 두 번째 피크를 나타내는 등 상

당히 고주파수 소음임을 알 수 있다.

28)워터젯

워터젯은 물을 압축하여 오리피스를 통해 분사하여 형성되는 강력

한 에너지를 가진 물줄기로 건설자재를 자르는 장비이다.공사현장

-79-
에 작업 중인 2 대를 대상으로 거리별 소음도를 조사하였다.<표

3-48>은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워터젯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48> 워터젯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75.0~76.2
워터젯 작업 - 2
(75.6/
75.
6)
※(
/)는 (
대수평균/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워터젯으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75.
0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

워터젯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 7.


5m 떨어

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24)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4)워터젯 소음의 주파수특성

-80-
(
그림 3-24)
에서 워터젯의 작업 소음은 100,200,315 Hz 그리고

1~1.
6kHz
에서 비슷한 소음도를 보이고 있다.

(
29)지게차

지게차는 중량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 전용의 특수 자동차로써

대부분의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건설기계이다.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인 3대를 대상으로 거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표 3-49>는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지게차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표 3-49> 지게차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74.2~75.6
지게차 작업 - 3
(74.7/
74.
7)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지게차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

도를 살펴보면 74.
7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

지게차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 7.


5m 떨어

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25)
에 보이고 있다.

-81-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2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5)지게차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25)
에서 지게차의 작업 소음은 1.
6kHz
에서 탁월주파수를

이루고 있다.

30)덤프트럭

덤프트럭은 건설자재나 흙따위를 적재함에 싣고 운반하며 덤핑하

는 건설장비로 건설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비이다.공사현장

에서 작업 중인 4대를 대상으로 거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표 3-50>은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덤프트럭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

타내고 있다.

-82-
<표 3-50> 덤프트럭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5m 15m
79.8~89.3 74.9
덤프트럭 작업 4
(84.7/
82.
5) (74.9)
※(
/)는 (
대수평균/
산술평균)

작업현장에서 덤프트럭으로부터 7.
5 m 및 15 m 떨어진 거리에서

의 소음도를 살펴보면 각각 84.


7 dBA(
작업)
,74.
9 dBA(
작업)
를 보

이고 있다.

31)도색용기기

도색용기기는 도로위의 차선을 그리기 위해 제작된 차량으로 도로

정비와 관련한 도색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작업현장에 있

는 1대를 대상으로 거리별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표 3-51>은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도색용기기의 거리별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51> 도색용기기의 소음도

가동 거리별 소음도(
Leq30s,dBA)
기계 대수
상태 7.
5m 15m
도색용기기 작업 74.
8 - 1

작업현장에서 도색용기기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

를 살펴보면 74.
8dBA(
작업)
를 보이고 있다.

-83-
도색용기기의 소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하상태일 때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소음도를 1/


3 옥타브밴드로 주파수 분석하여

(
그림 3-26)
에 보이고 있다.

80

70
Noise Level (dBA)

60

50

40

30
31.5 50 80 125 200 315 500 800 1.25k 2k 3.15k 5k 8k O.A.
Frequency (Hz)

(
그림 3-26)도색용기기 소음의 주파수특성

(
그림 3-26)
에서 도색용기기 작업 소음은 1kHz
에서 탁월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84-
2.건설기계류 소음의 거리감쇠 특성
건설기계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발생형태에 따라 <표 3-52>와

같이 정상소음,변동소음,충격소음,간헐소음 등으로 구분하여 건

설기계 소음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거리감쇠 경향을 살펴보기로 한

다.

<표 3-52> 건설기계류 소음의 발생형태에 따른 구분

소음의 분류 건설기계 종류 소음특성


콘크리트 피니셔,아스팔트 피
레벨변동이 적고, 대
정상소음 니셔,발전기,공기압축기,크
부분 일정한 소음
레인 등
어스 오거,콘크리트 바이브레
이터,공기압축기,불도저,로 레벨이 불규칙하고
우더,그레이더,로울러,진동 연속적으로 일정한
변동소음
로울러, 법면다짐기, 트랙터,범위로 변화하며 발
콘크리트펌프 카,콘크리트 믹 생하는 소음
서,덤프트럭 등
충 진동항타기,브레이커,착암기,
격 연속성 크롤라드릴,천공기 등 소음 지속시간이 짧
소 고 레벨이 큰 소음
음 반복성 항타기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간헐소음 브레이커,항타기 등
지속시간 수초 이상

가.굴삭기 소음의 거리감쇠 특성

굴삭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변동소음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84

대의 굴삭기를 대상으로 하여 기계로부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

조사한 등가소음도(
Leq,30s)
와 그 두배인 15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

한 값을 비교하여 소음도의 거리감쇠 경향을 <표 3-53>에 나타내

-85-
고 있다.

<표 3-53> 굴삭기 소음의 거리감쇠

7. 5m 15m 거리감쇠 거리감쇠


표본수
Leq,30s dBA Leq,30s dBA (
평균) 표준편차
3.
7~6.9
63.
1~84.
4 60.
1~78.
1 0.
7 55
(5.
1)

<표 3-53>에서 굴삭기의 소음은 거리가 두 배가 될 때 5.


1dB 감

쇠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나.항타기 소음의 거리감쇠 특성

항타기 소음은 충격성분이 강하고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때론 간

헐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따라서 거리가 두 배가 될 때의 거리감

쇠 경향을 등가소음도(
Leq,30s)
와 최고소음도(
Lmax)
로 구분하여 <표

3-54>에 보이고 있다.

<표 3-54> 항타기 소음의 거리감쇠

거리감쇠 거리감쇠
구분 7.
5m 15m 표본수
(
평균) 표준편차
Leq,30s 2.
7~6.3
90.
3~96.
2 84.
1~91.
7 1.
0 13
dBA (4.
5)
Lmax 2.
2~8.4
97.
6~103.
0 91.
6~99.
7 2.
0 57
dBA (4.
7)

<표 3-54>에서 등가소음도는 거리가 7.


5 m에서 15 m로 두 배가

-86-
될 때 평균 4.
5dB 감쇠하고 최대소음도의 경우 평균 4.
7dB 감쇠

한다.그리고 최대소음도의 거리감쇠는 범위가 넓고 다양하게 나타

나고 있다.항타기의 소음은 항타작업 초기에는 항타작업 말기보다

소음도가 크고 거리감쇠 경향도 평균값보다 1~2dB 정도 작게 나

타나고,항타작업 말기의 감쇠 경향은 평균값보다 1~2dB 정도 더

감쇠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정상소음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특성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중 콘크리트 피니셔,아스팔트 피니셔,발전

기,크레인 등의 소음을 레벨변동이 적고,일정한 소음을 발생하는

정상소음으로 분류하고,거리가 7.
5 m에서 15 m로 두 배가 될 때

거리감쇠 경향을 <표 3-55>에 나타내고 있다.

<표 3-55> 정상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경향

7. 5m 15m 거리감쇠
구분 평균 표본수
Leq,30s dBA Leq,30s dBA (
평균)
콘크리트 4.
3~6.1
82.
0~83.
8 75.
6~79.
5 5
피니셔 (5.
1)
아스팔트 4.
6~7.4
69.
5~84.
9 64.
1~78.
0 6
피니셔 (6.
0)
5.
8
4.
1~7.9
발전기 73.
4~80.
6 66.
8~72.
8 7
(6.
5)
3.
6~7.6
크레인 61.
1~82.
0 56.
9~74.
4 18
(5.
4)

<표 3-55>에서 콘크리트 피니셔 소음은 거리가 두 배가 될 때,

-87-
평균 5.
1 dB 감쇠하고,아스팔트 피니셔의 소음은 6.
0 dB,발전기

소음은 6.
5dB,크레인의 소음은 5.
4dB 감쇠되고 있다.또한 이들

정상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가 두 배가 될 때 거리감쇠

평균은 5.
8dB로 점음원의 거리감쇠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라.변동소음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특성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중 어스 오거,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공기

압축기,불도저,로우더,그레이더,로울러,법면다짐기,트랙터,콘크

리트 펌프카,콘크리트 믹서,덤프 트럭 등의 소음을 레벨이 불규칙

하고 연속적으로 일정한 범위로 변화하며 발생하는 변동소음으로

분류하고,거리가 7.
5m에서 15m로 두 배가 될 때 거리감쇠 경향

을 <표 3-56>에 나타내고 있다.

<표 3-56> 변동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경향

구분 7. 5m 15m
Leq,30s dBA Leq,30s dBA 거리감쇠( 평균) 평균 표본수
어스 오거 69. 3~88. 2 66.2 1.
1~7.
4(4.
1) 28
콘크리트 72.
7 68.
3 4.
4(4.
4) 1
바이브레이터
공기압축기 74.
8~79.
0 72.
1~74.
2 2.
4~5.
1(3.
8) 4
불도저 69.
7~81.
9 63.
0~77.
9 3.
6~6.
7(4.
8) 18
로우더 76.
3~81.
2 73.
0~77.
2 3.
3~4.
0(3.
6) 2
그레이더 70.
8~80.
9 66.
7~74.
4 4.
1~6.
5(5.
1) 5
4.
3
로울러 69.
2~77.
5 66.
0~73.
0 2.
9~4.
5(3.
6) 4
법면다짐기 63.
9~77.
1 60.
3~72.
2 3.
6~4.
9(4.
2) 2
트랙터 78.
4~80.
1 73.
2~75.
5 4.
6~5.
2(4.
9) 2
콘크리트
68.
4~81.
6 64.
1~77.
0 4.
3~5.
0(4.
6) 3
펌프카
콘크리트믹서 63.
9~70.
4 61.
7~65.
0 2.
2~5.4(4.
0) 5
덤프트럭 79.
8 74.
9 4.
9(4.
9) 1

-88-
<표 3-56>에서 변동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소음은 거리가

두 배가 될 때 거리감쇠는 3.
6~5.
1 dB의 범위이고 평균 4.
3 dB로

정상소음을 발생시키는 건설기계류에 비해 1.


5 dB 작게 감쇠되고

있다.

마.충격소음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특성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중 진동항타기,브레이커,착암기,크롤라드

릴,천공기 등의 소음을 소음의 지속시간이 짧고 레벨이 큰 소음인

충격성 소음으로 분류하고,거리가 7.


5 m에서 15 m로 두 배가 될

때 거리감쇠 경향을 <표 3-57>에 나타내고 있다.

<표 3-57> 충격소음을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거리감쇠 경향

7. 5m 15m 거리감쇠
구분 평균 표본수
Leq,30s dBA Leq,30s dBA (평균)
4.
7~8.1
진동 항타기 83. 2~90. 5 78. 1~84. 6 6
(5.
9)
4.
3~9.2
브레이커 61. 2~96. 9 55. 7~91. 0 9
(6.
2)
5.
3~6.8
착암기 74. 8~93. 5 69. 3~86. 8 4
(6.
0) 5.
7
4.
9~5.3
크롤라드릴 82. 8~85. 4 77. 6~80. 1 3
(5.
1)
소구경
4.
6~5.7
지하수 77. 8~87. 3 72. 1~82. 3 4
(5.
3)
천공기

<표 3-57>에서 진동 항타기의 소음은 거리가 두 배가 될 때,평

균 5.
9 dB 감쇠하고,브레이커의 소음은 6.
2 dB,착암기의 소음은

-89-
6.
0dB,크롤라드릴의 소음은 5.
1dB,소구경 지하수 천공기의 소음

은 5.
3dB 감쇠되고 있다.또한 이들 충격성 소음을 발생하는 건설

기계류의 소음은 거리가 두 배가 될 때 평균 거리감쇠는 5.


7dB로

점음원의 거리감쇠양상을 나타내고 있다.전체적으로 대상 건설기

계류 소음의 거리감쇠 경향은 4.


8~5.
8dB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

은 아니지만 정상소음 및 소음 발생 범위가 비교적 작은 충격소음

의 건설기계류는 점음원의 거리감쇠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그러

나 항타기의 경우 소음 발생범위는 작지만 발생위치가 높아 점음원

의 거리감쇠 경향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또한 거리감쇠 경향이 기

계별로 일정하지 않은 이유는 측정환경이 다르고 기계의 크기나 소

음발생 범위가 다양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90-
3.외국의 기준과 비교 분석
가.외국의 건설기계류에 대한 소음 기준

1)유럽연합의 건설기계 소음 기준

프랑스,독일 등 유럽연합(
Eur
ope
anUni
on,EU)15개국은 소음한

도를 설정하여 규제치 이상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계에 대해서

시장유통을 금지하는 등 소음표시제를 도입하고 있다.소음기준의

적용은 소음기준치를 2002년부터 1단계,2006년부터 2단계로 구분

하고 단계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즉,EU의 제품규정을 준

수한 기계에 대해 CE(
Communaut
'Eur
ope
an)
마크를 부여하고 EU

의 적합성 선언 및 공인된 음향파워레벨 표시가 된 기계만이 시장

에 유통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그 기준은 <표 3-58>와 같다.

<표 3-58> 건설기계류 음향파워레벨 기준(


EU Di
rect
ive2000/ EC)
14/
단위 :dBA
2002년(
1단계) 2006년(
2단계)
기계종류
하한선 환산식 하한선 환산식
(굴삭기를
제외한) 106 87+11l
og P 103 84+11l
og P
t
racke
d기기
wheel
ed
도우저, 104 85+11l
og P 101 82+11l
og P
로우더
굴삭기 96 83+11l
og P 93 80+11l
og P
(
여기서,P는 ne
t마력이고 단위는 kW 임.
)

2)일본의 건설기계 소음 기준

굴삭기나 브레이커와 같이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건설기계류의 소

-91-
음을 표시하기 위한 지정제도(
desi
gnat
ions
yst
em)
룰 도입하고 있으

며,이 지정제도는 지정절차,소음 측정방법,허용기준,표시제 등급

등이 명시된다. 표시제등급에는 저소음 건설기계(


low noi
se

cons
truct
ion mac
hine)
, 초저소음 건설기계 (
supe
r l
ow noi
se

cons
truct
ion mac
hine)등으로 구분하여 소비자가 구분하기에 용이

하도록 하고 있다.그에 대한 기준을 <표 3-59>에 소개한다.

<표 3-59> 일본 건설기계류 음향파워레벨 기준


기계종류 기관동력( kW) 기준( dBA)
P〈55 103
불도우저 55≤P〈103 105
103≤P 105
P〈55 99
55≤P〈103 104
백호-우
103≤P〈206 106
206≤P 106
드래그라인 P〈55 100
(dr
ag l
ine
) 55≤P〈103 104
크램쉘 103≤P〈206 107
(
cramshel
l) 206≤P 107
P〈55 102
트랙터 쇼벨 55≤P〈103 104
103≤P 107
P〈55 100
크롤라 크레인
55≤P〈103 103
트럭 크레인
103≤P〈206 107
휠 크레인
206≤P 107
진동 항타기 107

-92-
기계종류 기관동력( kW) 기준( dBA)
유압식항발기 P〈55 98
유압식강관압입인발기 55≤P〈103 102
유압식항압입인발기 103≤P 104
P〈55 100
어스 오거
55≤P〈103 104
(
ear
thauge
r)
103≤P 107
로드(r
oad)로울러
P〈55 101
타이어 로울러
55≤P 104
진동 로울러
P〈55 100
콘크리트 펌프카 55≤P〈103 103
103≤P 107
P〈55 99
55≤P〈103 103
콘크리트 압쇄기
103≤P〈206 106
206≤P 107
P〈55 101
아스팔트 피니셔 55≤P〈103 105
103≤P 107
콘크리트 절단기(
컷터) 106
P〈55 101
공기 압축기
55≤P 105
P〈55 98
발동 전동기
55≤P 102
참고로 일본건설기계류의 진동레벨 기준은 <표 3-60>과 같다.

<표 3-60> 일본 건설기계류 진동레벨 기준


기종 제원 기준(
dBV)
최대기진력
70
245kN( 25t
f)이상
진동 항타기
최대기진력
65
245kN( 25t
f)미만
표준버킽산적( 평적)용량
백 호-우 55
0.
50(
0.4)m 이상
3

-93-
3)국내 신규 제작 및 일본 건설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

국내에서 신규 제작되어 I
SO 측정방법에 따라 제작사에서 측정한

건설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과 일본 환경기술연구협회의 음향파워레

벨 자료를 위에서 언급한 기준과 비교하여 <표 3-61>과 <표3-62>

에 보이고 있다.

<표 3-61> 국내 신규 제작 건설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

가동 NET EU
측정 Lw
대상 장비 중량 마력 기준 제작사
반경(m)(
dBA)
(
ton) (
kW) (
dBA)
1.
0 7.
5 4 94.
9 93 A사
1.
5 12.9 10 94.
0 95 A사
3.
0 18.5 10 94.
2 97 A사
3.
5 18.5 10 93.
8 97 A사
소형 5.
0 39 10 99.4 101 A사
5.
0 45 10 100.7 101 B사
(
1톤~
7.
5 41.4 10 100.0 101 A사
19톤) 13 74 10 99.9 104 A사
굴삭기
13.7 69 10 98.4 103 C사
14 78 10 103.8 104 B사
17 91 10 102.1 105 A사
18 87 10 103.9 104 B사
중형 20 115 16 102.0 106 A사
21.3 107 16 100.3 105 C사
(
20톤~
21 107 16 104.7 105 B사
29톤) 25 121 16 105.9 106 B사

-94-
가동 NET EU
측정 Lw
대상 장비 중량 마력 기준 제작사
반경(m)(
dBA)
(
ton) (
kW) (
dBA)
중형 25 127 16 103.
5 106 A사
28.6 143 16 105.
6 107 C사
(
20톤~
29 147 16 106.
7 107 B사
29톤) 29 151 16 104.
0 107 A사
32 173 16 107.
6 108 B사
33 191 16 105.
8 108 A사
대형 36 195 16 107.
7 108 B사
37.2 184 16 104.
3 108 C사
굴삭기 (
30톤~
40 218 16 106.
6 109 A사
45톤) 45 238 16 106.
9 109 A사
45 239 16 108.
7 109 B사
50 238 16 107.
9 109 A사
5 42.
9 10 100.
5 101 A사
13 99 10 100.
8 105 A사
Whe
el형
17 116 10 101.
3 106 A사
20 120 16 104.
0 106 A사
8.
0 67 16 104.
8 105 B사
8.
6 74 16 104.
3 106 A사
소형 9.
0 79 16 105.
8 106 B사
11.0 101 16 106.
7 107 B사
11.0 107 16 104.
2 107 A사
13.0 105 16 106.
7 107 B사
휠로더 13.8 127 16 106.
0 108 A사
중형
17.3 173 16 106.
1 110 A사
18.0 152 16 108.
7 109 B사
22.0 199 16 109.
7 110 B사
22.0 224 16 108.
2 111 A사
대형
29.0 238 16 110.
7 111 B사
29.0 250 16 109.
3 111 A사
스키드 2.
4 30 10 103.
6 104 B사
로더 3.
2 51 10 103.
7 104 B사

-95-
<표 3-62> 일본 건설기계의 음향파워레벨

옥타브 밴드별 파워레벨(


dB) 파워
동력
기계명 규격 레벨 비고
(
PS)31.
5 63 1252505001000200040008000O.
A.
(dBA)
1.
2㎥ 219 87 111123115108 106 105 103 96 124 114

백호우 82 106118110103 101 100 98 91 119 109


0.
6㎥ 102

85 94 100102102 101 100 97 88 109 106
소음형
80t 710 120 124119115110 114 110 104 - 127 117

50t 710 118 122117113108 112 108 102 - 125 115


불도저
94 103116108108 108 104 101 98 118 112
11t 108

92 97 107100 99 96 95 88 82 109 102
소음형
tr
actor
3.
2㎥ 250 88 114102100101 107 103 101 98 116 110
shovel

doz
er
2.
1㎥ 197 117 121116112107 111 107 101 - 124 114
shove
l

99 113108115112 107 101 96 91 119 113


50t 230

96 109106108110 105 98 93 89 115 110
트럭 소음형
크레인
99 113108115112 107 101 96 91 119 113
15t 175

96 109106108110 105 98 93 89 115 110
소음형
10㎥/
min
- 113111110107 107 108 109 100 118 115
크롤라 공기
드릴 저
103PS 油 - 111115113109 110 115 115 108 122 120
소음형
크롤라
450t 608 88 102 97 104101 96 90 85 80 108 102
크레인

-96-
파워
출력 옥타브 밴드별 파워레벨( dB)
기계명 규격 레벨 비고
(
PS)
31.
5 63 1252505001000200040008000O.
A.(
dBA)
브레
1t 102 104 114112106115 114 116 117 110 123 122
이커
l
eg
2.
1㎥ - 96 106104 98 107 106 108 109 102 115 114
hammer

7㎥급 80 - 113111110107 107 108 109 100 118 115


공기
압축기 10㎥/ min
93 102104101 98 101 104 104 93 111 109
105PS
wheel
3.
2㎥ 250 - 116117114111 110 105 100 122 114
rot
or

98 115116110102 103 98 93 90 119 100


100
발전기 120
kW 저
99 104103102 93 89 84 79 74 109 96
소음형

c
rusher4320L㎥/
h - 107112111114 105 96 - - 118 113

진동
12t 80 106 111118116111 107 96 - - 121 113
로울러
머캐덤
10t 73 95 118114106101 99 99 90 85 120 106
로울러
타이어
10t 85 95 118114106101 99 99 90 85 120 106
로울러

- 107117110112 107 105 96 - 120 113


motor
5.
0m 250
gr
ader 저
- 102112105107 102 100 91 - 115 108
소음형
asphlat
5.
0m 34 92 110107104102 102 98 95 86 113 106
fi
nisher

4t 160 - 87 95 103 99 99 92 87 - 106 102


덤프
트럭
18t 230 - 94 102110106 106 99 94 - 113 109

트럭 10t - - 87 95 103 99 99 92 87 - 106 102

-97-
나.외국의 건설기계류에 대한 소음 기준과 비교

앞에서 소개한 외국의 건설기계에 대한 소음 기준 중 EU 및 일본

의 음향파워레벨기준과 실제 현장에서 측정한 소음도(


음압도)
로부

터 환산된 음향파워레벨과 비교해 보기로 한다.여기서 환산된 음

향파워레벨은 대상기계를 점음원으로 가정하고 반자유음장이라는

조건으로 계산한 것이다.먼저 국내의 신규 제작 건설기계류를 대

상으로 조사된 음향파워레벨과 140 마력이하 건설기계의 경우 7.


5

m 거리에서 측정한 음압도,140 마력이상 건설기계의 경우 15 m

거리에서 측정한 음압도를 환산한 음향파워레벨의 상관관계를 (


림 3-27)
에 나타내고 있다.

110

105
음압도를 환산한
PWL(dBA)

100
y = 0.9919 x
R = 0.96
표본수: 11
95
96 98 100 102 104 106 108 110
측정 PWL(dBA)

(
그림 3-27)음향파워레벨의 상관관계

(
그림 3-27)
에서 건설기계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의 음압도

를 환산한 음향파워레벨과 EU 및 일본 측정방법에 의한 음향파워

-98-
레벨의 상관관계 R은 0.
96을 보이고 있다.

작업현장에서 굴삭기의 음압도로부터 환산된 음향파워레벨과 외국

의 기준을 비교하여 <표 3-63>에 나타내고 있다.

<표 3-63> 굴삭기의 음향파워레벨 비교

단위:dBA
가동 음향파워 일본
기계 동력(
HP) EU 1단계 EU 2단계
상태 레벨(dBA) 기준
75미만 작업 100.0 102.
1 99.
1 99
무부하 97.
8
75~140 103.
9 100.9 104
작업 101.
8
굴삭기 무부하 100. 7
140~280 107.
1 104.1 106
작업 103.
7
무부하 105. 0
280이상 108.
6 105.5 106
작업 109.
5

<표 3-63>에서 동력규모별 평균소음도를 토대로 하여 환산된 굴

삭기의 음향파워레벨은 EU의 1단계 기준과 일본 기준을 대체로 충

족시키고 있으며,280 마력 이상 굴삭기의 작업 소음은 EU의 2단

계 기준을 4 dB,일본의 기준을 3.


5 dB 초과하고 있다.또한 굴삭

기의 개별 소음도를 토대로 하여 환산된 음향파워레벨을 EU의 기

준과 비교하여 (
그림 3-28)
에 나타내고 있다.

-99-
115

110

105
PWL(dBA)

100

95

90
EU(1단계) EU(2단계) 무부하: 13 부하: 40 신규건설기계: 20

85
40 90 140 190 240
동력(마력)

(
그림 3-28)굴삭기의 음향파워레벨 비교

(
그림 3-28)
에서 국내 신규 제작 건설기계의 경우 20대의 음향파

워레벨 조사 결과 모두 EU의 1단계 기준을 충족시키고,EU의 2단

계 기준에 대해서는 7대 정도가 충족시키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작업현장에서 굴삭기가 무부하일 때 음향파워레벨은 EU의 2단계

기준까지 대부분 만족시키는 수준이며,부하상태의 소음은 41%가

EU의 2단계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작업현장에서 측정한 불도저의 음압도로부터 환산된 음향파워레벨

과 외국의 기준을 비교하여 <표 3-64>에 나타내고 있다.

-100-
<표 3-64> 불도저의 음향파워레벨과 외국 기준의 비교

단위:dBA
가동 음향파워 일본
기계 동력(
HP) EU 1단계 EU 2단계
상태 레벨(dBA) 기준
무부하 100.
2
70미만 103.
9 100.
9 103
작업 102.
2
불도저 70~140 작업 103.
5 105.
8 102.
8 105
무부하 100.
6
140이상 107.
2 104.
2 105
작업 109.
3

<표 3-64>에서 동력규모별 평균 소음도를 환산한 불도저의 음향

파워레벨은 EU의 1단계 기준과 일본 기준을 대체로 충족시키고 있

으며,70 마력 미만의 경우 EU의 2단계 기준을 1.


3 dB 초과하고,

70~140마력의 부하 소음은 EU의 2단계 기준을 0.


7dB 초과하며,

140마력 이상 부하소음은 EU 2단계 기준을 5.


1dB 초과하는 수준

이다.또한 불도저의 개별 소음도로부터 환산된 음향파워레벨을

EU의 기준과 비교하여 (


그림 3-29)
에 나타내고 있다.

115

110
PWL(dBA)

105

표본수: 19
100
EU(1단계) EU(2단계) 무부하: 3 부하: 16

95
50 100 150 200
동력(마력)

(
그림 3-29)불도저의 음향파워레벨 비교

-101-
(
그림 3-29)
에서 불도저가 무부하일 때 소음은 EU의 2단계 기준

까지 대부분 충족시키는 수준이며,작업소음은 53%가 EU의 2단계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로우더,그레이더,법면다짐기,트랙터,어스 오거,진동

항타기,브레이커,크레인을 대상으로 측정한 음향파워레벨과 외국

의 기준을 비교하여 <표 3-65>에 나타내고 있다.

<표 3-65> 건설기계 음향파워레벨의 각국의 기준 비교

단위:dBA
동력 가동 음향파워 EU EU
기계 일본
(
HP) 상태 레벨(
dBA) 1단계 2단계
로우더 140이상 작업 108.
5 105.
2 102.
2

그레이더 120~170 작업 104.


3 107.
3 104.
3
무부하 89.
4
법면다짐기 180 108.
4 105.
4
작업 102.6
트랙터 70~140 무부하 104.
8 107.
2 102.
2 104
무부하 97.
0
107.
9~ 104.
9~ 104~
어스 오거 - 작업 106.4
109.
1 106.1 107
항타 107.3
진동항타기 - 작업 113.3 - - 107
500kg
작업 113.
2
미만
브레이커 - - 106
500kg 무부하 101.
7
이상 작업 121.
2
무부하 93.
3
크레인 140~280 109.
1 106.
1 107
작업 103.7

-102-
<표 3-65>에서 대체로 EU 1단계 및 일본 기준을 충족시키는 수

준이며,로우더,진동항타기,브레이커 등은 EU 1단계 및 일본 기준

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03-
4.가설방음판넬 차음효과

공사현장에서 쓰이는 가설방음판넬을 대상으로 소음원을 달리하면

서 차음효과를 조사하였다.측정방법은 (
그림 3-30)
과 같으며 방음

판넬 삽입손실의 측정값과 이론값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Mic. 1 Mic. 2 Mic. 3


Source L
1.5 m
b c d
a a

(
그림 3-30)방음판넬 차음효과 측정

(
그림 3-30)
에서 마이크로폰의 높이는 1.
5 m이고,L은 방음벽 높

이,a,b,c
,d는 소음원과 마이크로폰 및 방음벽과의 거리를 나타낸

다.

먼저 굴삭기를 소음원으로 하여 Mi
c.1,Mi
c.3의 거리(
a)를 15m로

하고 높이(
L)3m,두께 1.
5cm인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를 분석하여

<표 3-66>에 나타내고 있다.

-104-
<표 3-66>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1

소음도(
dBA) 삽입 이론차음량( dB)
구분 손실 평균
Mi
c.1 Mic.
3 TL=20 TL=5
I
L( dB)
공회전 1,
100r
pm 65.
3 55.8 9.
5
1,
500rpm 68.
1 57.5 10.6
10.
8 10.0 3.
9
무부하 1,
800rpm 68.
1 57.9 10.2
2,
000rpm 71.
4 58.4 13

<표 3-66>에서 조사된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는 방음판넬의 투과손

실이 20dB 일때의 값과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투과 손실이 5dB

의 가설방음판넬이 사용된다면 마이크로폰 3에서의 측정값이 약

6.
1dB 정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참고로 방음판넬의 투과손실

과 차음량과의 관계는 (
그림 3-31)
과 같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투과손실이 20dB 이하의 방음판넬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
그림 3-31)투과손실의 크기에 따른 차음벽의 차음량

-105-
다음은 차량을 소음원으로 하여,Mi
c.1,Mi
c.3의 거리(
a)를 20m로

하고 높이(
L)3m,두께 1.
5cm인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를 분석하여

<표 3-67>에 나타내고 있다.

<표 3-67>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2

소음도(
dBA) 삽입 이론차음량( dB)
구분 손실 평균
Mic
.1 Mic
.3 I
L( dB) TL=20 TL=5
코란도 3,
000r
pm 67.
1 52.
9 14.2
13.
9 11.8 4.
3
베르나 3,
000r
pm 62.
9 49.
4 13.5

<표 3-67>에서 측정된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는 평균 13.


9dB이고,

투과손실이 20 dB일 때의 이론 차음량인 11.


8 dB 보다 약간 높게

측정되었다.

다음은 어스 오거를 소음원으로 하여,b=7.


5m,c=1m,d=15m이

고,방음판넬은 2m 높이의 성토 위에 2.
5m 높이(
L)로 세워져 있

고,두께 5~7c
m인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를 분석하여 <표 3-68>에

나타내고 있다.

<표 3-68>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3

소음도(
dBA) 삽입 이론차음량( dB)
구분 손실
Mi
c.2 Mi
c.3 I
L(dB) TL=20 TL=11
어스 오거
79.
1 64.
0 9 12.
1 9.
1
항타작업

-106-
<표 3-68>에서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는 9 dB이고,방음판넬의 투

과손실이 11dB일 때의 이론 차음량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이 곳

에서 투과손실이 20 dB인 방음판넬을 사용한다면 마이크로폰 3에

서의 소음도가 3 dB 정도 더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항타기를 소음원으로 하여 b=15 m,c


=15 m,d=5 m

로 하고,방음판넬은 1.
5m의 성토 위에 2.
5m 높이로 세워져 있고

두께 15c
m인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를 분석하여 <표 3-69>에 보이

고 있다.

<표 3-69>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4

소음도(
dBA) 삽입 이론차음량( dB)
구분 손실
Mi
c.2 Mi
c.3 I
L( dB) TL=20 TL=5
항타 초반 85.
9 78.
4 5.
0
항타 중반 92.
3 79.
5 10.3 9.
1 3.
8
항타 후반 91.
3 79.
5 9.3

<표 3-69>에서 항타 초반의 경우 항타의 위치가 높아 이론차음량

보다 4.
1 dB 낮게 차음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항타 작업의 중반

이나 후반에서는 방음판넬의 투과손실이 20 dB인 경우의 이론 차

음량과 유사하게 차음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항타기를 소음원으로 하여 b=15 m,c=2.


5 m,d=12.
5 m 로 하고,

높이 3 m의 얇은 철판으로 되어있는 가설방음판넬의 차음효과를

분석하여 <표 3-70>에 나타내고 있다.

-107-
<표 3-70> 방음판넬의 차음효과 5

소음도(
dBA) 삽입 이론차음량( dB)
구분 손실
Mi
c.2 Mi
c.3 I
L(dB) TL=20 TL=5
항타 초반 91.
7 85.
5 0.
2
항타 중반 91.
9 84.
1 1.
8 13.
0 4.
5
항타 후반 91.
8 83.
1 2.
7

<표 3-70>에서는 항타 초반의 경우 방음판넬의 차음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항타 후반의 경우도 방음판넬의 투과손실이

5 dB일 때의 이론 차음량보다 작은 차음효과를 보이고 있다.항타

기를 소음원으로 할 경우 항타 초기에는 항타가 높은 곳에서 이루

어져 방음판넬의 차음효과를 보기 어렵지만 투과손실이 20dB이상

되는 방음판넬을 사용하거나 접합을 잘하여 음의 투과를 줄인다면

항타 중반이나 후반 작업 소음의 경우는 상당히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참고로 방재시험연구원에서 측정한 방음

판넬의 음향성능 자료를 <표 3-71>에 나타내고 있다.이들 제품은

1,
000Hz
에서의 투과손실이 19.
5~38.
6dB로 나타나고 있으며 위에

서도 언급했듯이 최소한 투과손실이 20 dB가 넘는 방음판넬을 사

용한다면 건설기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108-
<표 3-71> 각종 방음판넬의 음향성능

음향투과손실 (
dB)
업체 (
시험체) 흡음율 (
NRC)
500(
Hz) 1,
000(
Hz)
A사 (
ste
el27) 18.
5 25.
1 -
B사 (
stee
l30) 14.
2 20.
5 0.
54
C사 (
ste
el31) 17.
9 27.
8 0.
64
D사 (
ste
el32) 16.
8 24.
3 -
E사 (
ste
el40) 17.
0 24.
0 0.
56
F사 (
ste
el45) 23.
2 31.
4 -
G사 (
AL 54) 27.
5 38.
6 -
H사 (
FRP 30) 15.
0 25.
6 0.
61
I
사 (
FRP 35) 19.
2 30.
3 0.
63
J
사 (
FRP 40) 14.
5 21.
2 -
K사 (
FRP 50) - - 0.
71
L사 (
PE 31) 13.
9 19.
5 0.
65

-109-
5.저소음․저진동 공법 및 건설기계 소음 저감대책

건설현장에서 기초공사나 흙막이 공사시 주로 기성강관말뚝,H빔,

she
etpi
le를 박을 경우 유압식 항타기나 진동해머의 항타로 인한

지반진동․소음 등의 영향으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도심지 도로 보수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브레이커도 고소음․

진동으로 대체 건설장비가 요구되어 최근에 도입된 저소음․진동

공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1)
흙막이 공법

she
etpi
le이나 H빔을 진동해머로 항타하는 일 반 적 인 공 법 과 저

소음․진동공법으로 wat
er j
et 공법이 있는데,이것은 일반항타와

항타가 곤란한 견고한 점성토,모래자갈층,풍화암,연암층에 고압

살수와 진동해머를 조합시켜 흙의 저항과 마찰을 일시적으로 저감

시키고 중간층과 지지층에서의 항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진동

을 최소화하는 공법이다.또한 최근 공법으로 진동해머를 사용하지

않는 유압식 항타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이것은 주위의 인접

건물이 있어 민원이 발생될 수 있는 지역 및 장비작동이 불가능한

연약지반에서 자립식으로 s
hee
tpi
le,H빔 및 콘크리트 파일을 압입

하는 방식이다.한편 직접항타를 하지 않고 3축 오거로 토중을 천

공할 때에 오거선단으로부터 c
ementmi
lk,be
ntoni
te액 등으로 토사

를 혼합시키면서 하나의 el
eme
nt벽상을 시공하고 연속해서 겹치게

시공하여 일체적인 벽체를 형성함으로 초기 지반 개량으로 사용되

-110-
었던 soi
lce
ment 방법에서 발전된 것으로 S.
C.W.
(soi
l cement

wal
l)첨 단 공 법 이 있는데,소음․진동을 줄이는 도심지 건설공사시

지하흙막이 차수 토류벽 공사로 이용된다.각 공법별 소음도 및 진

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72>에 나타내고 있다.

<표 3-72> 흙막이 공사시 저소음․진동 공법 비교

7.5m 15m
구분 비고
Leq,30s Lmax L10 Leq,30s Lmax L10
소음
90.
2 93.
7 - 84.
5 88.
3 -
dBA
일반항타
진동
68.
5 70.
1 69.
6 58.
0 60.
0 59.
3
dBV
소음 사토가 많고
83.
7 89.
2 - 78.
8 84.
5 -
dBA 강판의
일반항타
진동 길이가 짧아
69.
4 72.
9 72.
0 64.
6 69.
1 67.
6 소음이 적음
dBV
소음
고압살수 87.
2 89.
5 - 80.
6 82.
8 -
dBA
(
water
진동
j
et)공법 64.
1 70.
0 67.
1 56.
0 63.
8 58.
6
dBV
소음
69.
5 76.
8 - - - -
유압식 dBA
공법 진동
38.
8 45.
2 41.
9 - - -
dBV
소음
75.
1 82.
6 - 72.
4 83.
6 -
S.C.
W. dBA
공법 진동
51.
9 56.
8 54.
8 - - -
dBV

<표 3-72>의 결과를 토대로 (


그림 3-32)
에 각 공법간의 소음․진

동레벨을 비교 분석하여 나타고 있다.

-111-
100
90
80
Noise Level(dBA)

70
60
50
40
30
20
10
0
일반 항타 고압살수공법 유압식 SCW 공법
공법

Leq(dBA) Lmax(dBA) Leq(dBV) Lmax(dBV)

(
그림 3-32)흙막이 공사시 저소음․진동 공법 비교

(
그림 3-32)
에서 일반 항타기를 사용할 경우 7.
5m 떨어진 거리에

서의 등가소음도는 90.
2 dBA,등가진동레벨은 68.
5 dBV이고,고압

살수 공법을 사용하면 등가소음도는 87.


2 dBA, 등가진동레벨은

64.
1 dBV로 일반 항타기를 사용할 경우와 비교해 소음도는 3 dB,

진동레벨은 4.
4dB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그러나 고압살수 공

법을 사용할 경우 항타 소음보다는 물을 고압으로 분출시킬 때의

소음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유압식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등가소음도 69.


5dBA,등가진동레벨 38.
8dBV로 일

반 항타에 비해 소음도는 20.


7 dB,진동레벨은 29.
7 dB 감소된다.

또한 S.
C.W.공법을 사용한 경우 등가소음도 75.
1dBA,등가진동레

벨은 51.
9 dBV로 일반 항타공법에 비해 소음도 15.
1 dB,진동레벨

16.
6dB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12-
2)기초공사시 말뚝공법

직타공법으로 중력식해머,디젤해머,공압식해머,유압식해머 등

이 있으나 최근에는 주로 유압식해머를 사용하고 있다. 유 압 직 타

공 법 은 콘크리트 pi
le말뚝머리를 해머로 타격하여 타입하는 공법으

로 고압의 유압유로 작동하기 때문에 RPM의 상승 높이를 자유로

이 설정 타격할 수 있으로 연약지반에서도 연속타격이 가능하나 소

음․진동을 수반하여 시이상 지역의 도심지내 근접공사나 환경규제

및 민원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은 곤란하다.

저소음․진동 말뚝공법으로 크게 매입말뚝공법과 현장타설공법으

로 나눌 수 있다.매입말뚝공법 중 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

는 S.
I.
P.(
soi
l-cement i
nject
ed pr
ecast pi
le met
hod)
공법은 크

롤러 크레인에 오거스크류 및 구동장치를 장착하고 시공지반을 굴

착한 후 스크류를 통하여 시멘트 밀크를 주입교반하고 pi


le를 삽입,

경타에 의한 pi
le를 정착하는 공법으로써 pi
le지지 지반까지 정확 심

도로 천공하여 시공하고 시멘트 밀크로 pi


le의 선단 지지력 및 주변

마찰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pi
le두부 파손 방지 및 소음․진동을

적게 시공할 수 있으며,건설기계의 구성은 크레인(


스크류 구동장

치,오거스크류 및 헤드,유압 또는 드롭해머)


,시멘트 믹싱프랜트,

압축기,발전기 등으로 되어 있다. T-4(


dri
llmast
er)매 입 공 법 은

특수 빗트에 의한 진동과 고압의 공기로 슬럼(


slum)
을 배토 천공한

후 pi
le을 삽입 해머로 항타하는 공법으로 기존의 오거헤드는 연암

까지 굴착 시공하였으나 지진 등 견고한 기초가 요구될 시,암반에

pi
le 선단을 정착 하고자 하는 교각 및 고층건물 시공에 적합하나

-113-
굴착시 암반층이나 지반이 견고하여 도심지에서 소음으로 인한 민

원의 발생이 빈번하여 방음대책이 요구된다. 분 리 형 오 거 (


케이싱)

공 법 은 내측 오거스크류와 외측 케이싱오거스크류가 역회전하여 지

반굴진 천공한 후 오거스크류을 인발하고 시멘트 밀크를 주입 및

콘크리트 pi
le을 삽입한 후 드롭 또는 유압해머로 항타한 다음 외측

케이싱을 인발한다.건설기계의 구성은 S.


I.
P.공법과 동일하다. 현

장타설말뚝공법에는 대구경 현장타설공법과 소구경 현장타설공법으

로 나눈다.직경 30cm이상의 호박돌,전석(


轉石)및 암반층과 상부

하중의 규모가 큰 교량공사에 적용되는 대 구 경 (


직 경 500~ 1,
000

mm) 현 장 타 설 콘 크 리 트 말 뚝 공 법 은 R.
C.D.
장비와 케이싱스크류을

조합하여 지반굴진 천공하면서 내부의 토사 등을 배토한 후 콘크리

트를 타설한 다음 케이싱을 인발하는 공법이다.건설기계의 구성은

케이싱공법과 유사하나 최종항타에 사용되는 해머는 없다.현재 우

리나라에서 적용되는 저소음․진동말뚝공법의 대부분은 최종항타가

필요로 한다.이 과정에서 지반진동이나 소음 등 민원이 발생하여

그 결과 공사진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악화되기도 한다.따라서 최

종항타를 배제한 공법이 절실히 요구되어 중공부를 갖는 오거로 지

반을 굴착하고,지지층까지 굴착을 완료한 후 오거의 중공부을 통

하여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오거를 인발하여 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하는 소 구 경 (
직 경 300~ 600 mm) 현 장 타 설 콘 크 리 트

말 뚝 공 법 은 시공과정이 간편하며 최종 항타 과정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지반진동이나 소음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다.

소구경 현장 타설말뚝공법은 지반을 굴착하는 방법에 따라 배토공

-114-
법과 비배토공법으로 구분된다.배토공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속오거를 사용하여 흙을 굴착공 밖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며,비배

토 공법는 특수한 굴착장비를 사용하여 흙을 굴착공 주변의 방사방

향으로 밀어내어 굴착공을 형성하되 토사 배출은 없다.형성된 굴

착공은 말뚝의 지지력 측면에서 배토공법의 경우 선단부 및 주변부

의 지반조건은 굴착이 시행되기 이전보다 약화되지만 비배토공법은

강화된다. 각 공법별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조사하여 <표 3-73>

에 나타내고 있다.

<표 3-73> 기초공사시 말뚝공법의 비교

7.5m 15m
구분 비고
Leq,30s Lmax L10 Leq,30s Lmax L10
소음 dBA 91.
6 100.
3 - 87.
2 96.
3 -
유압직타
공법
진동 dBV 74.
3 76.
8 75.
9 67.
8 70.
4 69.
5

소음 dBA 80.
7 83.
8 - 74.
7 78.
8 -
SI
P 공법
진동 dBV 40.
1 41.
7 40.
5 36.
4 41.
5 39.
6

드릴 소음 dBA 87.
4 90.
2 - 83.
1 86.
5 -
마스터
(T-4) 진동 dBV 68.
0 69.
0 68.
5 58.
9 59.
9 59.
7

분리형오 소음 dBA 75.


9 79.
3 - 72.
2 75.
8 -
거(케이
싱공법) 진동 dBV 62.
8 65.
7 65.
2 - - -
대구경
소음 dBA 83
현장타설
말뚝공법
진동 dBV
(R.
C.D.
)

-115-
<표 3-73>의 결과를 토대로 (
그림 3-33)
에 각 공법간의 소음․진

동레벨을 비교 분석하여 나타고 있다.

100
Noise Level(dBA)

80

60

40

20

0
유압직타 SIP 공법 T-4 분리형 오거 RCD
공법

Leq(dBA) Lmax(dBA) Leq(dBV) Lmax(dBV)

(
그림 3-33)기초공사시 말뚝공법의 비교

(
그림 3-33)
에서 유압직타 공법의 경우 7.
5 m 떨어진 거리에서의

등가소음도는 91.
6dBA,등가진동레벨은 74.
3dBV이고,SI
P 공법을

사용하면 등가소음도는 80.


7 dBA,등가진동레벨은 40.
1 dBV로 일

반 유압직타공법을 사용할 때와 비교해 소음도는 10.


9 dB,진동레

벨은 34.
2dB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dr
il
lmas
ter
(T-4)
를 사용

하는 경우는 등가소음도 87.


4dBA,등가진동레벨 68.
0dBV로 일반

유압직타공법에 비해 소음도는 4.
2 dB,진동레벨은 6.
3 dB 감소된

다.또한 분리형 오거를 사용한 경우는 등가소음도 75.


9dBA,등가

진동레벨은 62.
8dBV로 일반 유압직타공법에 비해 소음도 15.
7dB,

-116-
진동레벨 11.
5 dB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마지막으로 RCD 공

법은 유압직타 공법에 비해 소음도가 8.


6dB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도로포장보수 등 해체․파괴공사

도로포장 해체․파괴공사 등에 사용되는 건설기계인 브레이커는

고소음․진동과 더불어 먼지 등으로 도심지내에서 작업시 민원의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체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개발이

시급하다.최근에 동일 용도로 개발된 압쇄기와 기존의 브레이커를

비교분석하여 <표 3-74>에 나타내고 있다.

<표 3-74> 압쇄기와 브레이커의 소음도 비교

단위:dBA
동력(
HP) 압쇄기 브레이커 소음저감량
54 68 85~90 약 20
134 72 90~96 약 20

-117-
I
V.결 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 34 종,302 대를 대상으로 하여

소음도 및 진동레벨을 측정하고 방음판넬의 효과를 조사하여 분석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ㅇ 대상 건설기계류의 평균 소음도는 기계로부터 7.


5m 떨어진 거

리에서 66.
1~95.
7 dBA,15 m 떨어진 거리에서 62.
5~89.
2 dBA이

고,평균 진동레벨은 7.
5m 거리에서 26.
3~73.
9dBV,15m 거리에

서 21.
3~70.
5 dBV이며,기계 종류,작동원리,동력규모,가동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난다.

ㅇ 건설기계로부터 7.
5m 떨어진 거리에서 90dBA 이상의 고소음

을 발생하는 기계는 항타기(


93.
1dBA)
,착암기(
95.
9dBA)
,브레이커

(
95.
7dBA)
이고,70dBV 이상의 진동을 유발시키는 기계는 항타기

(
73.
9dBV)
,진동로울러(
73.
8dBV)
이다.

ㅇ 대상 기계로부터의 거리가 7.
5 m에서 15 m로 두 배가 될 때

소음의 거리감쇠 경향은 굴삭기 5.


1dB,항타기 4.
5dB를 비롯하여

콘크리트 피니셔,아스팔트 피니셔 등의 정상소음을 발생하는 건설

기계류는 5.
8dB,어스 오거,바이브레이터 등의 변동소음을 발생하

는 건설기계류는 4.
3dB,진동항타기,브레이커 등 충격성소음을 발

생하는 건설기계류는 5.
7dB를 보이고 있다.

ㅇ 작업 현장에서 측정된 건설기계류 소음을 외국의 건설기계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면 EU 1단계 및 일본 기준을 대체로 충족시키

-118-
나,EU 2단계의 기준을 3~5dB 초과하는 수준이다.

ㅇ 공사 현장에서 투과손실이 20dB 이상인 방음판넬을 사용하면

투과손실이 5dB인 것에 비해 5.
3~8.
5dB 정도의 소음 저감 효과

를 볼 수 있다.그러나 기초공사시 유압직타 말뚝작업은 지면에서

5~10m 높은 공중에서 직타하여 소음 저감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ㅇ 저소음․저진동 공법의 일환으로 흙막이 공법시 일반 항타와

비교해 유압식 공법을 사용하면 소음 20.


7 dB,진동 29.
7 dB 감소

하고,기초공사시 말뚝을 박을 때 유압직타 공법과 비교해 분리형

어스 오거를 사용하면 소음 15.


7 dB,진동 11.
5 dB 감소하고,해

체․파괴 공사시 브레이커 대신 압쇄기를 사용하면 20dB 정도 소

음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119-
참 고 문 헌

1.I
SO 6395,(
1988)
,Ac
oust
ics
-Me
asur
eme
ntofe
xte
riornoi
see
mit
ted

bye
art
h-movi
ng machi
ner
y-Dynami
ctes
tcondi
ti
on

2.환경부,(
2001)
,고소음기계중 저소음제품에 대한 소음표시건고에 관한

규정

3.국립환경연구원,(
1992)
,공사장 소음의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I)-건설

공사용 장비의 소음대책에 관하여

4.대한주택공사,(
1996)
,말뚝의 저소음․저진동 시공법에 관한 연구

5.서울특별시 건설 안전 관리본부,(
1995)
,J.
V.공법에 의한 교량 기초의

보강 및 세굴 방지용 SHEET PI
LE의 연암층 근입을 위한 시항타

6.대한주택공사,(
2002)
,지반조사보고서

7.태화강재산업,(
2001)
,지반개량공법(
CLEAN J
ET 공법)

8.김재수,(
1997)
,p 405~417,“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장비소음의

전달 및 감쇠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기초공사에 사용되는 건설장비

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9. C.
M.Har
ris, (
1979)
, Handbook of Noi
se Cont
rol
(2nd de.
),

Mc
Graw-Hi
ll

10.A Pr
act
icalGui
de f
or t
he Reduc
tion ofNoi
sef
rom Const
ruc
tion

Wor
ks,(
1989)
,Envi
ronme
ntalPr
ote
cti
onDe
par
tme
nt,Hong Kong

11.韓元彬,(
1996)
,建設機械와 施工法,建設文化社

12.金仁植,(
1996)
,建設機械化 施工,建設文化社

13.ANSIS5.
1,(
1971)
,Te
stCodef
ort
heMeasur
eme
ntofSound f
rom

Pne
umat
icEqui
pme
nt

14.SAE J
88a,(
1973)
,Ext
eri
orSoundLeve
lMeasur
eme
ntPr
oce
dur
efor

-120-
Powe
redMobi
leCons
truct
ionEqui
pme
nt

15. ASA S3, (


1975)
, Tes
t-Si
te Me
asur
eme
nt of Maxi
mum Noi
se

Emi
tte
dbyEngi
nePowe
redEqui
pme
nt

16. I
SO 4872, (
1978)
, Acous
tic
s-Measur
eme
nt of Ai
rbor
ne Noi
se

Emi
tte
d by Cons
truct
ion Equi
pme
nt I
nte
nde
d f
or Out
door

Us
e-Me
thodf
orDe
ter
mini
ng Compl
ianc
ewi
thNoi
seLi
mit
s

17.I
SO DI
S 5133,Ac
oust
ics-De
ter
minat
ion ofAi
rbor
neNoi
seEmi
tte
d

byEar
thMovi
ng Mac
hine
ryt
otheSur
roundi
ng-Sur
veyMe
thod

18.J
.-G.I
h,J
.-H.Le
e,S.
-H.Par
k and J
.-H.Li
m,(
2003)
,p.1910~

1915,"
Deve
lopme
ntofa l
ow-noi
se hydr
aul
ic br
eake
r",I
nte
r-noi
se

2003,J
eju,Kor
ea

19.J
.-H.Le
eand J
.-G.I
h,(
2003)
,p.1888~1893,"
Noi
sechar
act
eri
sti
cs

ofpi
ledr
ivi
ng oper
ati
on and des
ign ofal
ow-noi
sepi
lecap base
d

ont
hesc
alemodelexpe
rime
nt"
,Int
er-noi
se2003,J
eju,Kor
ea

20.J
.Kang,H.Le
eand W.Yook,(
2003)
,p.1916~1923,"
Deve
lopme
nt

ofal
ow noi
sehydr
aul
ice
xcavat
or"
,Int
er-noi
se2003,J
eju,Kor
ea

21. N.
-I. Ki
m, Y.
-S. Kwon and S.
-L. Le
e,(
2003)
, p. 1881~1887,

"
Powert
rai
n noi
se anal
ysi
s and c
hassi
s des
ign f
or t
he noi
se

r
educt
ionofanel
ect
ricf
orkl
if
ttr
uck"
,Int
er-noi
se2003,J
eju,Kor
ea

22.건설공사장 환경관리 강습회 교재,(


1994)
,한국소음진동공학회 건설공

사장 환경관리 강습회

23.차량 및 중장비의 방사소음 규제 및 대책,(


2002)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수송기계분과위원회 세미나

24.이주성,조기현,(
1999)
,건설기계공학

25.建設工事に伴う 騷音振動對策ハント フ ッタ(


handbook)
,(1987)
,社

-121-
團法人 日本建設機械化協會

26.環境 アセスメト ハンドブック(


asse
ssmenthandbook)
,(1987)
,環境技

術硏究協會,日本

27.Te
chni
calMe
mor
andum on Noi
sef
rom Cons
truct
ion Wor
k Ot
her

t
han Pe
rcuss
ive Pi
li
ng,2nd e
d.,(
1996)
,Envi
ronme
ntalPr
otec
tion

De
par
tment
,Hong Kong

-122-
<부록 1>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제원
제 원
공종 기계명 동력 회전수 제작사 CodeNo.
(
PS) (RPM)
127 2200 현대 A-1
138 2100 삼성 -2
134 2200 대우 -3
100 2100 삼성 -4
102 2200 현대 -5
120 2100 VOLVO -6
100 2100 삼성 -7
102 2200 현대 -8
180 1800 현대 -9
180 1900 삼성 -10
180 1800 현대 -11
토목 공사
굴삭기 200 1900 대우 -12
및 다용도
195 1900 대우 -13
180 1800 한라 -14
180 1900 현대 -15
195 1900 VOLVO -16
195 1900 VOLVO -17
180 1800 현대 -18
195 1900 대우 -19
210 2100 삼성 -20
180 1900 현대 -21
200 1900 대우 -22
310 2000 현대 -23
100 2200 Cat
erpi
ll
ar B-1
167 1800 Cat
erpi
ll
ar -2
삼성 -3
삼성 -4
지반 정지
불도저 70 2400 Cat
erpi
ll
ar -5
공사
삼성 -6
230 2000 Cat
erpi
ll
ar -7
삼성 -8
167 1800 Cat
erpi
ll
ar -9
제 원
공종 기계명 동력 회전수 제작사 CodeNo.
(
PS) (
RPM)

157 2200 한라 C-1


로우더 260 2100 삼성 -2
242 2100 삼성 -3

170 2200 삼성 D-1


그레이더 120 2200 Huber -2
120 2400 Cat
erpi
ll
ar -3

60 1800 SAKAI E-1


60 1800 SAKAI -2
텐덤 60 1800 SAKAI -3
로울러 60 1800 SAKAI -4
60 1800 SAKAI -5
75 2000 KAWASAKI -6

지반 정지 145 2200 Cat


erpi
ll
ar F-1
공사 120 2000 SAKAI -2
95 2200 Dynapac -3
145 2200 Cat
erpi
ll
ar -4
120 2000 Eur
ovi
a -5
Hamm -6
Hamm -7
진동 Hamm -8
로울러 120 2000 SAKAI -9
130 2200 SAKAI -10
120 1800 SAKAI -11
96 2300 I
nger
sol
l-r
and -12
96 2300 I
nger
sol
l-r
and -13
120 1800 SAKAI -14
96 2300 I
nger
sol
l-r
and -15
100 2000 Dynapac -16
제 원
공종 기계명 동력 회전수 제작사 CodeNo.
(
PS) (RPM)
60 1500 Kawasaki G-1
60 1500 Kawasaki -2
타이어
60 1500 Kawasaki -3
지반 정지 로울러
60 1550 SAKAI -4
공사
60 1550 SAKAI -5
탬핑 로울러 96 2300 I
nger
sol
l-r
and H-1
법면다짐기 I
-1
전진 J
-1
340 2200 Put
zmei
ster -2
콘크리트 305 2200 Put
zmei
ster -3
펌프트럭 340 2200 삼성 -4
Schwi
ng -5
305 2200 Put
zmeister -6
기초공사 15t
on Mitsubi
shi K-1
콘크리트
15t
on Mi
tsubi
shi -2
믹서
15t
on Mi
tsubi
shi -3
콘크리트 L-1
플랜트 -2
콘크리트
M-1
바이브레이터
콘크리트 Wi
rtgen N-1
피니셔 Wir
tgen -2
VOGEL O-1
VOGEL -2
포장공사 VOGEL -3
아스팔트
VOGEL -4
피니셔
VOGEL -5
VOGEL -6
Ti
tan -7
HONDA P-1
HONDA -2
기타 공사 발전기 HONDA -3
Br
iggs& -4
St
rat
ton
제 원
공종 기계명 동력 회전수 제작사 CodeNo.
(
PS) (
RPM)
대우 P-5
발전기 -6
-7
정격토출기량 (㎥/
min)
25.
5 I
nger
sol
l-r
and Q-1
21.
5 At
lasCopco -2
25.
5 SULLAI
R -3
23.
3 I
nger
sol
l-r
and -4
공기 압축기 23.
3 SULLAI
R -5
25.
5 I
nger
sol
l-r
and -6
25.
5 I
nger
sol
l-r
and -7
25.
5 Ai
rman -8
기타공사 28.
3 SULLAI
R -9
230 2300 삼성 R-1
KOBELCO -2
TADANO -3
150 2000 HI
TACH -4
광림 -5
KATO -6
크레인
230 2300 삼성 -7
250 2200 SUMI
TOMO -8
수산 -9
250 2200 SUMI
TOMO -10
250 2200 SUMI
TOMO -11
315 삼성 -12
중량( Kg)
1410 수산 S-1
2540 광신 -2
파괴․해체 2540 광신 -3
브레이커
공사 720 광림 -4
2540 광신 -5
720 광림 -6
제 원
공종 기계명 동력 회전수 제작사 CodeNo.
(
PS) (
RPM)
중량(Kg)
2540 광신 S-7
파괴․해체
브레이커 2585 대운 -8
공사
2540 광신 -9
150 2100 SUMI
TOMO T-1
Ni
ponSar
yo -2
HI
TACH -3
Ni
ponSar
yo -4
Ni
ponSar
yo -5
Ni
ponSar
yo -6
어스 오거
Ni
ponSar
yo -7
Ni
ponSar
yo -8
Ni
ponSar
yo -9
Ni
ponSar
yo -10
KOBELCO -11
KOBELCO -12
U-1
기초공사 -2
항타기 -3
-4
150 2100 SUMI
TOMO -5
150 2000 HI
TACH V-1
진동 항타기 150 2000 HI
TACH -2
150 2000 HI
TACH -3
Fur
ukawa W-1
Fur
ukawa -2
Fur
ukawa -3
착암기 Fur
ukawa -4
Mi
tsvi
-Deut
z -5
Fur
ukawa -6
Fur
ukawa -7
제 원
공종 기계명 동력 회전수 제작사 CodeNo.
(
PS) (
RPM)
X-1
크롤라 드릴
-2
기초공사 소구경
Y-1
지하수
-2
천공기
워터젯 SJ Z-1

기타공사 고압살수차 a-1

지게차 b-1

310 1900 VOLVO c-1


250 1700 VOLVO -2
195 1900 VOLVO -3
170 2000 VOLVO -4
145 1900 VOLVO -5
토목공사 굴삭기
110 2000 VOLVO -6
및 다용도 (
신규제작)
94 2100 VOLVO -7
57 2100 대우 -8
134 2200 대우 -9
150 1950 대우 -10
200 1900 대우 -11

지반 정지 로우더 160 대우 d-1


공사 (
신규제작) 295 대우 -2
<부록 2> 조사대상 건설기계류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7.5 13.
6 34.
7 52.
2 44.
8 47.
3 54.
1 54.
1 53.
6 57.
7 61.
4 61.
7 61.
5 63 63.8 64.2 65.
9 62.
8 61.
9 61.2 57.
8 54.
6 54.
3 73.
4 76.
6
A-1 작업
15 9.3 30.
2 46.
1 37.
5 43.
5 49.
4 51.
4 49.
8 52.
5 55 55.1 56.
2 55.
7 55.
6 58.7 59.
2 54.
9 54.
7 54.4 50.
5 48.
8 47.
6 66.
9 70.
7

7.
5 25.
7 42.
2 49.
4 59.
1 60.
6 62.
5 63.
9 65.
9 65.
4 65.
4 65.
9 65.
9 66.
3 67.
7 67.
2 64.
8 64.
4 63.
6 60.
3 57.
9 56.
1 54 76.
9 88.
4
-2 작업
15 22.
5 39.
2 46.
1 55.
6 57.
7 59.
7 63.
4 63.
9 61.
9 61.
2 62 61.7 60.
9 62.
4 62.
2 60.
9 59.
4 58.
5 56 55.8 53.
1 51.
8 73 84.
6

7.
5 30.
8 36.
9 48.
9 44.
5 46.
2 55.
1 50.
7 49.
6 55.
9 58.
8 57.
6 58.
1 57.
8 58.
9 58.
1 57.
6 57 54.
4 52.
9 52.
4 52.
6 53.
4 68.
5 78
-3 작업
15 29.
4 35.
4 45.
4 40.
9 44.
1 51.
5 46.
8 45.
8 49.
3 51 51.7 52.
2 51.
4 53.
4 54.
1 53 51.
2 49.
2 48.
6 49 49.9 49.
4 63.
2 72.
1

7.
5 30.
2 53.
7 53.
6 56.
2 56.
4 60.
5 61.
4 64.
2 65.
1 67.
3 66.
3 73.
5 69.
2 68.
7 70.
1 65.
4 63.
9 62.
3 60.
2 57.
2 57.
5 54.
4 78.
7 83.
2
-4 작업
15 30.
1 49.
9 55.
9 64.
6 52.
5 56.
1 56.
5 59.
8 61 63.1 59.
6 74.
9 66.
4 63.
6 64.
3 61.
2 59.
1 57.
9 55.
2 52.
7 53.
1 48.
3 77.
1 80.
4

-5 작업 7.
5 37.
9 53.
7 54.
8 69.
4 57.
3 60 62.
5 65.
3 66.
7 68.
1 71.
2 71.
8 72.
2 73.
7 72.
1 71.
2 72.
2 68.
7 67.
3 65.
5 64.
7 61.
9 81.
9 89.
2

-6 작업 5 20.
7. 5 38.
2 54.
6 49 49.
8 53.
7 59.
5 62.
8 60.
5 61 64.
1 64.
8 64.
4 66.
5 67.
1 64 65 63 59.
3 57.
3 53.
5 50 75 84.
8

7.
5 22.
5 49 43.1 43.
3 49.
8 50.
7 54.
7 59.
2 62 62.9 60 62.5 60.
3 61.
4 63.
8 61.
1 60 59.6 57.
3 54.
8 54 52.
1 72.
3 74.
7
무부하
15 23.
7 45.
8 41.
2 43.
1 48.
1 49.
8 45.
6 47.
7 53.
7 55.
6 56.
6 58.
4 56 55.5 57 56.
5 56.
8 53.
5 53 50.
5 49.
8 46.
5 66.
9 70.
5
-7
7.
5 23.
5 48.
9 45.
8 48.
6 52.
1 52.
9 56.
9 63.
7 64.
8 66.
1 64.
8 66.
6 67.
4 67.
1 67.
4 66.
9 67 65.4 63.
9 62.
5 59.
4 57 77.
2 86.
9
작업
15 22.
3 43.
3 42 47.4 52.
1 52.
7 48.
5 54.
4 55.
8 59.
9 60.
4 62.
1 62.
9 62.
1 62.
9 62 63.
2 60.
4 60 58 55.
8 52 72.
4 81.
4

7.
5 33.
2 56.
6 47 49.8 54.
6 52.
6 54.
3 59.
2 62.
4 63.
2 65 63.2 65.
3 64.
5 67.
1 64.
8 63.
3 63.
1 61.
2 58.
7 56.
4 54.
5 75.
1 81.
4
-8 작업
15 27.
8 49.
8 42.
8 47.
9 52.
6 50.
2 50.
8 51.
6 53.
2 56.
8 59.
8 61.
5 61.
2 60 60.8 60.
6 58.
8 58.
1 56.
1 53.
9 50.
8 48.
6 70.
3 77.
8

7.
5 30.
4 40.
2 51.
3 54 51.
3 52.
9 55.
7 58.
3 56.
1 62.
1 64.
8 60.
6 64.
3 67.
6 65.
3 64.
3 65 64.3 64.
5 63.
7 61.
2 58.
2 75.
3 79.
8
-9 작업
15 28.
2 38.
8 47.
3 53.
1 48 50.
9 55.
3 59.
2 52.
5 52.
7 56.
7 58 59.8 60.
7 58.
1 59.
4 58.
1 58.
2 57.
8 57 55.8 51.
9 69.
6 76.
4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
5k3.15k 4k 5k 6. 3k O.A Lmax
A-10 작업 7.5 39 54.
8 60.
4 59.
7 51.
4 52.
5 55.
8 59.
1 61.
8 60.
6 62.
4 63.
1 63.
7 64.
2 64.7 64 62.
8 61.
8 60.6 58.
9 57.
1 53.
9 74.
1 82.
8

-11 작업 7.
5 32.
4 43.
5 50.
6 69.
1 53.
2 57.
1 63.
4 67.
2 64.
5 64 65.
2 64.
9 65.
7 67.
6 65.
5 65.
6 65.
7 63.
2 63.
8 62 61.
1 58 77.
2 87.
4

-12 작업 7.
5 30.
8 44.
9 50.
2 58.
5 53.
9 56 58.
6 67.
7 65.
5 62.
9 65.
9 65.
1 65.
9 66.
4 66 65.
4 65.
2 63.
9 63.
1 60.
2 59 57 76.
5 83.
9

무부하 7.
5 22.
9 43.
1 46.
2 48.
6 41.
6 36.
3 41.
8 49.
1 49.
9 46.
7 47.
7 52 57.1 54.
6 52.
6 53.
1 50.
4 46.
3 44.
7 42.
2 37.
9 35.
7 63.
1 66.
4
-13
작업 7.5 26.
5 44.
7 61.
4 65.
9 51.
5 56 63.7 68.
7 70.
6 64.
3 64.
3 69.
9 72.
4 68.
6 68.
2 68 66.8 64.
3 64 62.9 57.
5 54.
7 79.
6 89.
4

7.
5 31.
9 44.
3 60.
1 61.
6 54.
9 57.
4 64.
1 62 63.8 67.
2 67.
6 66.
4 67.
3 66.
6 67.
2 66.
4 65.
7 64.
4 63.
7 62.
9 58.
9 56.
1 77.
5 86.
1
-14 작업
15 29.
3 40.
6 57.
8 58.
3 51.
2 54.
8 61.
8 58.
2 57.
9 61 63.3 61.
2 62.
6 62.
2 61.
9 61.
8 61.
1 59.
6 59.
3 58.
6 53.
9 50.
3 73 83.1

7.
5 25.
3 43 53.
1 46.
5 51.
5 54.
2 56.
4 61.
4 63 58.3 58.
8 59.
2 58.
2 59.
7 58.
1 58.
1 57.
2 53.
2 51.
9 50.
3 45.
9 44.
1 70.
3 71.
3
무부하
15 25.
6 41.
3 49.
6 42.
5 47.
8 52.
7 53.
4 53.
5 54.
8 53.
1 53.
1 51 53 53. 3 50.
9 52.
6 52.
1 48.
6 47.
3 46 41 38.
3 64.
4 65.
8
-15
7.
5 23.
6 54 62.
4 47.
2 53 55.7 58.
7 62 61.1 62.
1 62.
8 64.
1 65 64.6 63.
4 63 62.
3 60.
4 58.
1 57.
8 54.
9 54.
1 74.
3 83.
3
작업
15 20.
4 50.
6 59 42.2 48 51.3 49 53.8 53 54.7 56.
5 58.
3 58.
4 58.
9 56.
5 55.
8 55.
8 53.
5 50.
3 51.
2 48.
5 46.
3 68 77.5

무부하 7.
5 17.
1 32.
6 42 44.
8 49.
1 42.
8 45.
7 49.
7 56 61.
6 55.
9 54.
3 55.
2 55.
4 53.
2 53.
4 52.
4 52 48.
9 45.
3 43.
4 41.
1 66.
4 68.
6
-16
작업 15 24.
6 38 56.
1 49. 9 49.
8 49. 958.
762.
157.
458.
663.
462.
8 62 60.
1 60.
7 62.
1 61 59.
4 57.
8 57.
4 54. 57
7 52. 2.
5 78

7.
5 23.
7 34.
8 45.
7 40.
8 44.
4 49.
5 57.
7 56.
5 56.
1 56.
8 58.
9 61.
1 60.
1 60.
3 61.
4 60.
7 59.
8 59.
7 58 56.5 55.
4 53.
8 71.
1 82.
7
-17 작업
15 23.
6 34.
3 45.
4 40.
9 42.
7 45.
1 50.
3 50.
1 50.
2 53.
1 55 55.2 54.
1 55.
3 55.
4 55.
5 56.
2 54.
5 52.
5 50.
9 50.
2 47.
8 65.
8 77.
1

7.
5 19.
9 30.
5 41.
6 36.
9 42.
3 40.
5 44.
6 52.
6 49.
9 53.
7 54.
7 54.
1 56.
9 57.
1 55.
4 55.
4 55.
9 55.
6 54.
8 51.
1 47.
8 43.
8 66.
2 67.
4
무부하
15 22.
8 26.
5 39.
3 35.
2 40.
4 39.
7 41.
6 45.
6 44.
4 46.
5 45.
8 48.
4 51.
3 50.
9 50.
5 49.
6 50 48.2 48.
6 45.
5 41.
7 37.
5 60.
1 61.
4
-18
7.
5 25.
8 42.
9 63.
2 57.
9 55.
4 57.
4 60.
7 68.
7 62.
5 67.
5 67.
9 66.
2 72.
2 70.
8 69 70.
2 68.
8 67.
9 66.
9 64.
3 63 60.
7 80.
2 90.
1
작업
15 20.
6 41 60.
1 55.
2 52.
9 55.
6 59.
1 64.
9 57.
4 59 62.2 61.
3 66.
6 64.
4 63.
7 63.
4 63.
6 61.
9 61.
3 59.
4 57.
3 55.
6 74.
6 81.
4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7.5 24.
4 43.
6 47.
4 65.
1 50.
1 53.
6 66.
4 67.
8 69.
7 62.
8 66 65.4 67.
1 65.
2 64.9 64.
6 64.
4 62.
6 60.1 58.
5 57.
1 55.
9 77.
3 79.
7
무부하
15 26.
7 41.
2 49.
8 69.
9 53.
6 49 55.1 57.
9 67.
1 59.
5 63.
8 61.
1 63.
5 62.
2 62 61. 2 61.
8 59.
2 57.8 56.
6 54.
1 52.
3 74.
8 78.
4
A-19
7.5 26.
6 44.
3 50 66.4 53.
3 59.
1 71.
2 69.
1 69.
5 64.
5 67.
7 68.
3 69.
5 69.
4 68.4 68.
6 68.
2 66.
6 64.2 62.
8 61.
3 59.
6 80 87.7
작업
15 27.
1 41.
7 52.
2 71.
1 54 53.3 58.
9 61.
5 66.
1 62.
5 65 65.7 66.
8 65.
5 65.6 66.
2 66.
1 63.
3 61.3 60 57.3 55.
5 77.
3 86.
5

7.
5 26 46.
4 53 46.8 49.
3 49.
4 59.
8 62 60.1 61.
5 64 62.5 61.
2 60.
9 61.
5 60.
5 58.
9 56.
9 55 52.1 50.
3 47.
2 72.
2 76.
4
무부하
15 27.
4 44 51.
2 44.
9 49.
7 49.
5 59.
1 62.
4 54.
3 56.
3 60 58.9 58.
1 58.
3 59 58 56. 9 55 53.4 49.
7 47.
3 43.
7 69.
7 74.
2
-20
7.
5 26.
8 44.
8 52.
8 50.
2 53.
4 55.
2 60.
4 56.
9 64.
6 65.
1 67. 8 65.
9 65. 865.4 66.
3 65.
665.464.2 62.
7 60.
4 57.
7 55 76.7 88.
9
작업
15 23.
5 45.
4 51.
9 46.
3 53 53.4 60.
5 64.
2 58.
3 61.
4 63.
9 63.
3 64 63.9 64 64.7 64.
762.5 60.
3 57.
2 53.
9 49.
8 74.
5 87.
2

-21 작업 7.
5 32.
1 45.
1 63.
8 57.
1 57.
1 57.
4 66.
7 65.
4 67.
6 67.
4 69.
8 69.
9 68.
8 69.
9 69.
2 68.
6 68.
9 68 66.
5 67.
7 64.
7 62.
5 80.
2 91.
7

7.
5 25.
8 38.
8 50.
6 41.
3 45.
1 52 59.2 55.
5 55.
2 61.
8 60.
7 59.
3 59.
9 60 58.9 59 58.1 61.
9 61.
1 56.
1 52.
1 49.
4 71.
2 84.
1
-22 작업
15 27.
8 40.
7 49.
8 43.
8 44.
2 46.
7 49.
4 48.
6 51.
7 59.
4 58.
5 53.
7 55.
9 55.
2 55.
3 53.
8 54.
6 56.
2 59.
6 51.
2 48 45.4 67.
5 80.
4

시동 7.5 26.
2 40.
5 44 51.
4 60.
1 65.
1 67.
9 65.
2 64.
5 64.
3 66.
6 66.
7 65 65.6 63 61.9 63.
1 60.
6 58.
1 55.
6 51.
9 48.
2 76.
4 78.
4
-23 무부하 7.
5 25 42 46.8 52.
5 56.
8 59.
1 63.
2 63 66 63. 9 67.
4 67.
3 67.
9 68.
9 66.
9 66.
5 66.
6 65.
3 63.
1 60.
9 58.
1 53.
8 77.
6 90.
2
작업 7.5 27 47.1 53 55.
4 58.
6 60.
4 66.
1 68.
5 70.
1 69.
9 71.
1 72.
2 73.
7 73.
5 73.
4 74.
5 74.
1 74.
7 74.
7 72.
8 70 67.2 84.
4 97.
6

B-1 작업 7.
5 41.
2 51.
2 58.
6 55.
5 54.
8 57.
9 60.
4 64.
6 64.
1 66.
6 67 67.
9 70.
7 70.
2 69.
7 70.
3 67.
7 63.
8 63 60.
8 58.
2 54.
7 75.
5 85.
1

-2 작업 7.
5 26.
6 42.
2 50.
2 52.
9 59.
3 59.
6 61.
6 64.
7 67 69.
8 73.
7 73.
9 75.
6 78.
1 74.
3 75.
4 76.
6 73.
7 77.
1 81.
8 80.
3 75 88 95.
5

7.
5 25.
5 55.
6 46.
1 55 54 55 57. 5 60 56.2 56.
7 63.
7 63.
2 66.
1 68.
4 65.
5 65.
5 64.
3 63.
6 61.
5 60 56.
7 53.
6 75.
1 78
-3 작업
15 23 49.7 41.
8 50.
2 48.
9 50.
5 53.
9 56.
2 52.
3 52.
2 52.
4 51.
1 55.
3 59.
5 60.
6 62 59.5 58.
3 54.
4 53 50.
8 47.
3 68.
8 71.
2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B-4 작업 7.5 23.
7 60.
5 45.
8 53.
1 62.
6 57.
7 61 62.
5 65.
3 61.
2 62.
6 64.
9 65.
7 68.
9 68.7 69.
5 66.
4 66.
3 64.3 62.
6 61.
2 59.
2 77.
6 80.
7

7.
5 24 58.8 49.
6 49.
3 63.
1 55.
7 59.
6 58.
8 58.
7 60.
5 62.
1 62.
1 63.
8 64.
8 66.
2 63.
1 61.
3 61.
5 57.
9 56.
6 54.
1 52.
1 74 81.5
-5 작업
15 23.
1 54.
7 45.
8 46.
5 60.
9 52.
9 54.
5 55.
2 56.
1 57.
8 57.
7 56.
9 57.
4 58 59.6 57.
7 56.
2 57.
1 52.
2 50.
6 48 46.6 69.
1 78.
1

7.
5 30.
6 47.
5 53.
6 48.
9 56.
4 59 57.7 58.
6 61.
2 63.
6 66.
2 68 68.4 69.
7 68.
7 66.
2 67 67.6 64.
9 66.
1 62.
4 61.
8 78 84.2
-6 작업
15 38.
2 46 50.4 47.
4 57.
6 59.
3 55.
5 55.
8 58.
4 56.
7 58.
1 61.
8 63.
7 65 66 65. 1 62.
3 61.
9 60.
3 60.
7 58 55.8 73.
8 79.
8

7.
5 32.
8 39.
7 44.
4 40.
6 42.
9 41.
2 44.
9 45.
7 44.
1 50.
6 54.
8 53.
2 52.
8 54.
1 51.
7 49.
6 49 48.4 43.
9 42.
7 39.
1 34 62.
3 63.
1
시동
15 31.
7 37.
6 43 39.6 40.
5 40.
7 41.
8 43.
3 43.
4 43.
6 46.
5 49.
9 51.
5 48.
4 49.
3 47.
4 46.
8 45.
2 40.
3 40.
9 35.
2 30 58.
8 59.
7
-7
무부하 7.
5 29.
4 67 53.
3 49.
4 56.
6 58.
5 60.
9 65.
2 68 65.2 65.
2 65.
1 68 68.4 69 66.
1 63.
2 57.
7 55.
1 50 47 42.
4 77.
4 78.
4
작업 7.
5 29.
4 55.
3 57.
6 63.
7 65.
7 63.
6 66.
6 70.
5 72.
3 72.
9 72 72.1 74.
4 74.
2 73.
8 72.
4 70.
7 66.
3 66 64.
7 66.
8 70.
2 83.
6 91.
7

7.
5 43.
1 45 46.
7 46.
9 44.
8 47.
2 45.
8 46.
3 49.
7 54.
1 63.
7 64.
5 61.
9 58.
7 57 55.
5 53.
7 50.
4 50.
2 47.
9 45.
1 43.
2 69.
7 71.
4
무부하
15 40.
2 42.
9 41.
1 41.
3 42 43.9 45.
3 45 45.5 46.
7 52.
1 54.
5 56.
3 55 53.
4 52 48 46.7 45.
9 42.
4 41.
1 38.
4 63 65.3
-8
7.
5 35.
3 52.
9 56.
6 50.
8 56 59.4 56.
4 57.
6 62.
3 62.
8 68 73.3 71.
8 69.
5 69.
6 67.
4 66.
9 64.
4 68 73.
4 67.
5 61.
5 80.
7 92.
3
작업
15 30.
8 49.
2 53.
7 47.
5 53 56.9 54.
3 55.
4 58.
9 55.
8 58.
6 63.
3 66.
4 65.
3 65 63.
7 61.
9 59.
9 63.
1 68.
4 62.
4 55 75.
2 87.
4

7.
5 29.
9 54.
6 60.
4 56.
6 57.
2 60.
7 61.
1 62.
9 63.
9 65.
8 69.
9 71.
6 72.
8 72.
5 73.
4 72.
5 71.
2 70.
2 68 67.3 64.
4 62.
4 81.
9 86.
6
-9 작업
15 26 51.3 58 54.3 53.
8 58.
7 58.
9 58.
1 57.
6 59.
1 65.
7 68.
9 68 69 67. 8 68.
4 67.
6 65.
9 64.
9 62.
9 60.
5 58.
9 77.
9 81.
5

C-1 작업 7.
5 25.
8 47.
6 53.
6 61.
8 54.
2 58.
3 59.
7 60.
7 61.
2 61.
9 66.
5 66.
1 68.
7 72 67.
9 69.
9 69.
8 67.
8 63.
7 60.
6 58.
8 55.
9 78.
7 87.
2

7.
5 33.
9 50.
3 52.
2 56 56.
5 61.
4 63.
5 62.
4 61.
2 64.
6 65.
4 67.
8 67.
2 65.
9 65.
2 64.
9 62.
4 61 660.658.
7 57.
6 56.
9 76.
3 82.
1
-2 작업
15 30.
3 46.
7 49.
3 54 55.
3 63.
8 66.
2 61.
9 57.
8 56.
8 58.
5 63.
6 59.
8 60 61.2 61.
3 59.
1 56.
8 55.
9 54.
9 53.
4 51.
2 73 79.2

7.
5 38.
8 53.
5 55.
6 49.
2 59.
3 65.
2 68.
3 69.
7 63.
1 65.
6 71.
3 69.
4 69.
9 73.
3 71.
6 70.
5 69.
9 67.
6 65.
2 64 63.
2 60.
8 81.
2 86.
8
-3 작업
15 35.
3 50.
1 53.
7 46.
7 57.
9 65.
8 64.
4 63.
2 56.
9 61.
6 67.
6 65.
2 66 69.5 66.
6 66.
8 65.
4 63.
7 61 60 59.1 56.
8 77.
2 82.
6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7.5 25.
7 49.
1 39.
5 41.
3 51.
6 49.
4 48.
4 48.
2 49.
7 55.
5 56.
5 60.
1 61.
4 63.
6 65.1 61.
8 61.
4 58.
1 54.6 54 51.8 50.
9 71.
2 74.
3
D-1 작업
15 22.
3 45.
8 37.
5 37.
9 48.
1 45.
9 47.
2 48.
1 46.
3 48.
9 48.
9 51.
8 54.
4 59.
1 61.6 57.
5 56.
9 54.
5 51.3 51.
3 50.
7 49.
2 66.
8 69

7.
5 28 62.5 70.
5 55.
9 56 62.
4 60.
9 59.
1 62 64.2 68.
5 69.
7 70.
6 72.
6 72.
9 71.
4 69.
9 67.
4 64.
6 63 61.2 58.
3 80.
9 84.
8
-2 작업
15 24.
2 58.
3 61.
7 48 51.
8 58.
4 56.
2 55.
9 59.
1 59.
5 61.
5 61.
8 63.
5 66 66.4 64.
9 63.
3 62 58.9 58.
2 56.
3 52.
6 74.
4 77.
5

7.
5 23.
3 42.
9 46 60.7 52.
1 58.
7 55.
6 60.
5 64.
1 62 62.1 65.
6 67 68.7 69.
3 72.
4 67.
4 64.
9 62.
6 59.
4 58.
5 55.
8 78 80.3
-3 작업
15 21.
1 43.
8 44.
1 58.
1 49.
4 55.
5 53 59.3 62.
5 59.
8 58.
1 59.
4 60.
3 61.
5 63.
5 65.
5 61.
6 58.
3 57 54.6 53.
2 50.
7 72.
5 74.
6

7.
5 26.
6 44.
3 53.
5 47.
2 57.
7 53.
4 53.
4 53.
4 56 56.
6 57.
1 57.
7 59.
2 59.
4 60.
2 60 58.7 57.
8 55.
6 52.
3 49.
5 46.
9 69.
4 76.
4
E-1 작업
15 23.
9 41.
9 49.
5 43.
8 54.
2 49.
1 50.
6 51 52.
4 53.
8 56.
3 54.
8 56.
2 56.
2 57.
1 56.
7 56.
1 54 50.8 48.
7 46.
7 44 66.4 71.
5

7.
5 27.
7 43.
9 44.
2 63.
1 53.
1 55.
3 64.
6 65.
7 64.
6 62.
1 64.
6 64.
5 66.
9 66.
4 70 66 65.8 62.
7 59.
3 57.
7 55.
3 52.
3 76.
8 80.
3
-2 작업
15 26.
8 41.
9 42.
5 58.
8 50.
6 52.
7 62.
3 64.
4 61.
9 60.
5 61.
9 59 59.2 60.
7 64.
4 62 60.
8 57.
8 55.
2 54.
1 51.
2 49.
1 72.
7 74.
5

-3 작업 7.
5 25.
7 41.
7 54.
7 68.
1 53.
3 56.
1 65.
1 61.
1 69.
9 64.
3 61.
4 64.
9 67.
7 65.
1 64.
2 65.
4 64.
3 61.
9 59.
2 55.
7 52.
9 50.
1 76.
6 83.
9

-4 작업 7.
5 24.
4 44 55.
1 67.
7 51.
4 54 64.
6 61.
1 67.
8 61.
2 60.
4 65.
2 65.
8 63.
6 62.
1 63.
6 62.
5 60.
6 58.
1 53.
8 51.
6 48.
5 75.
3 78.
1

-5 작업 7.
5 24.
4 43.
1 59.
8 53.
2 50.
7 54.
3 54.
9 56.
1 58.
1 57.
5 59.
9 59.
6 60.
7 61.
5 62.
6 62 59.
2 56.
1 53.
6 50.
9 47.
2 44.
2 71 73.
8

-6 작업 7.
5 32.
2 59.
9 53.
4 56.
8 62 58.
7 60.
2 66.
9 59.
8 61.
4 64.
8 66.
2 66 66.
2 65.
9 65.
6 63.
9 61.
5 60.
2 57.
6 54 51.
7 75.
8 83.
7

7.
5 30.
7 56 48.
4 54.
3 56.
4 56.
7 50.
2 51 56.6 56.
2 59.
1 62.
3 62.
8 66.
3 67.
9 67.
6 64.
5 65.
2 60.
4 58.
2 58.
4 56.
5 74.
9 77.
7
F-1 무진동
15 26.
2 52 45.
1 50.
6 53 53.7 46.
1 46.
5 52.
2 53.
2 56 59.6 58.
4 61.
2 62.
3 61.
9 58.
8 60.
3 55.
1 52.
8 52.
7 51.
2 70 72.6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7.5 55.
2 54.
1 55.
9 52.
3 53.
4 61.
7 62.
3 66.
9 64.
2 64.
6 72.
1 70 69.8 69.
6 69.9 69.
2 67.
2 67.
4 64.5 62.
3 59.
2 57.
4 79.
6 82.
5
진동
15 48.
9 50.
2 51.
9 48.
7 49.
9 58.
8 60.
6 65.
1 64 63.6 68 63.5 64.
3 67.
2 67.4 65.
7 62.
4 63.
5 60.8 59.
6 56.
2 55.
2 76.
1 78.
9
F-2
7.5 17.
9 31.
7 35.
1 44.
3 50.
2 59.
3 63.
7 62.
6 62.
5 62.
8 66. 9 65.
1 65. 967.1 67.5 64.
863.162.1 60.9 59.
1 56.
6 54.
7 76 78
무진동
15 21.
6 31.
3 33.
6 42.
6 47.
5 56.
8 62.
5 62.
9 62.
5 62.
3 62.
1 59.
5 61.
2 64.
6 65.1 62 58.7 59.
1 57.6 56.
9 53.
9 52.
7 73.
4 74.
7

7.
5 56.
5 61.
2 55 59.1 56 54.9 56 58.7 65.
8 64.
1 65.
4 70.
4 69.
4 69.
2 72.
1 70.
3 67.
8 66.
4 64.
6 63.
3 61.
4 57.
9 79.
2 81.
7
진동
15 48.
4 54.
4 49.
8 53.
9 48.
8 50.
5 52.
1 55.
7 62.
8 58.
9 57.
3 61.
3 60.
8 63.
8 67.
2 64.
1 61.
1 60.
5 58.
7 57.
4 55.
8 53.
9 73.
2 74.
4
-3
7.
5 28.
9 44.
7 54.
2 43.
2 47.
4 48.
3 53 54.3 62.
3 61.
5 62.
6 66.
9 65.
6 65.
9 70.
5 67.
3 64.
1 63.
4 61.
5 60.
4 58.
4 55.
3 76.
2 80.
6
무진동
15 24.
6 39 48 40.5 42.
9 46 52.2 53.
6 61.
1 57 56.6 60.
7 58.
2 61.
7 66 63.
1 58.
7 59 57.
4 56.
3 54.
8 53.
2 71.
7 73.
7

진동 7.
5 43.
2 48.
8 47.
7 65.
2 56.
8 61.
8 60 61.5 63.
5 69.
7 70.
1 70.
9 71.
5 73.
1 73.
1 74.
3 73.
9 73.
9 70.
7 69.
4 67.
5 64.
8 82.
9 85.
8
-4
무진동 7.
5 41.
8 49.
2 49.
6 64 57.1 62.
2 59.
2 61.
1 62.
4 68.
6 69.
6 69.
8 69.
4 73.
1 73.
1 75.
7 72.
9 74.
7 70.
7 69.
5 67.
7 65.
1 82.
9 85.
8

진동 7.
5 51.
8 49.
2 51.
5 58.
2 55.
4 57 58.3 59.
7 65.
2 63 65.5 67.
4 67.
2 66.
5 68.
1 68.
6 66.
7 66.
2 662.
460.
2 56.
9 56 77.1 81.
6
-5
무진동 7.
5 33.
3 45.
4 48 55 50. 5 56.
3 57.
3 57 61.6 60.
8 62.
6 65 64.9 64.
8 66.
1 65.
8 65 64.9 60.2 58 55.
6 54.
1 74.
9 81.
2

-6 무진동 7.
5 23 37.
7 39.
2 53.
4 50.
2 51 51.
7 55.
2 53.
3 54 54.
8 56.
2 60.
9 60.
9 63.
5 61.
6 61 59.
4 56.
5 54.
9 50.
7 44.
9 70.
4 73.
8

7.
5 23.
3 36.
6 37.
4 55 51.
1 49.
9 49.
4 52.
5 53.
3 52.
3 54.
2 56.
2 60.
9 60.
9 63.
9 63.
2 62 61.5 58.
7 58.
2 53.
9 47.
6 71.
2 73.
8
-7 무진동
15 22.
6 37.
2 36.
2 47 44 45.3 48.
8 49.
9 48.
4 49.
1 53.
5 53.
7 57.
5 57.
5 57.
9 57.
4 57.
2 56.
2 53.
5 52.
9 50.
8 43.
7 66.
5 67.
8

7.
5 19.
5 40.
3 41.
4 50.
9 50.
4 53.
5 52.
6 53 53.
5 53.
4 55 55.
2 60.
6 61.
1 63.
4 62.
6 61.
5 58.
4 55.
5 53.
5 49.
5 44.
2 70.
3 72.
7
-8 무진동
15 19.
2 38.
2 38.
7 46.
6 45.
9 48 50.1 51.
6 50 49 52.
8 54 57.1 58.
1 59.
1 56 56 54. 1 50.
9 47.
5 44.
1 39.
2 66.
2 68.
5

7.
5 32.
6 48.
4 51.
1 57.
1 53.
7 58.
3 63.
2 65.
8 63 63.6 65.
4 64.
8 67.
5 69 69.6 67.
3 68.
8 66.
3 66.
4 64.
9 60.
5 57.
7 78.
1 80.
2
-9 무진동
15 31.
6 46.
5 49.
4 54.
5 51.
3 54.
1 57.
5 60.
9 58.
7 58.
6 61.
3 60.
8 61.
5 64.
4 64.
3 63.
1 62.
8 59.
8 60 59.3 54.
6 51.
9 72.
9 75.
4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7.5 33.
7 53.
6 55 59.
1 60.
5 61.
6 64 65.8 65.
6 67.
4 68.
5 71.
3 71.
8 73.
5 73.8 72.
3 71.
3 67.
9 66.9 65.
6 61.
9 60.
8 81.
6 87.
5
F-10 무진동
15 31.
2 52.
8 51 57.
1 56.
6 58.
4 61.
5 62.
9 61.
2 61.
4 61.
1 64 65.9 68.
3 68.1 66.
9 66.
6 63.
4 62.3 60.
7 56.
8 55.
1 76.
3 80

7.
5 37.
3 42 57.7 44.
2 46.
1 59 52 53.2 58.
2 59.
9 63.
6 60.
3 62.
4 62.
2 62 62.9 61 58.8 56.
4 54.
3 51.
6 50 72.1 82.
3
-11 무진동
15 33.
2 42.
6 52.
4 42.
7 43.
9 54 47.
9 46.
3 50.
4 50 53.4 52.
2 55.
9 55.
4 56.
3 58.
3 56.
7 55.
8 51.
4 49.
8 47.
5 45.
3 66.
1 73.
9

7.
5 27.
9 49.
4 50.
9 48.
7 57.
7 60.
6 62.
3 61.
3 62.
6 66.
4 65.
9 70.
7 72.
6 69.
8 71.
9 71.
1 70.
7 68.
4 65.
3 61.
8 61.
3 59.
8 80.
3 91.
6
무진동
-12 15 27.
5 42.
8 42.
6 43 52.4 55.
5 59.
9 58.
5 59.
8 61.
2 58.
5 60.
5 63.
5 64.
4 65.
9 64.
5 64.
4 63.
1 59.
6 57.
6 56.
7 55 74.1 77.
9
진동 7.
5 30.
4 53.
6 56.
4 53.
8 59.
4 61.
5 64.
8 67.
2 62.
8 65.
9 69 71.3 74 71.8 73.
6 72.
4 71.
3 69 65.9 62.
8 61.
9 60.
2 81.
7 90.
7

무진동 7.
5 33.
5 57.
7 54.
8 50.
2 55.
7 57 57.4 59.
4 62 61.5 66.
3 67.
5 68.
5 67.
1 67.
8 67.
6 67.
1 64 61.4 58.
6 59 55.
6 77.
1 86.
3
-13
진동 7.5 49.
9 48.
9 59.
4 51.
9 54.
9 62.
6 60.
4 64.
8 65.
2 67.
2 67.
9 67.
8 70.
1 69.
1 72.
1 70.
6 70.
8 69.
1 67.
1 64 62.
6 60.
5 80.
2 82.
9

7.
5 24.
4 44.
7 56.
5 64.
4 57.
7 57.
6 64.
9 60 61.5 62.
6 62.
3 63 64.6 66 64.
7 64.
9 62.
5 62.
8 58.
5 56.
5 54.
7 51.
1 75.
2 77.
6
무진동
15 21.
3 43.
5 49.
6 56.
1 49.
6 52.
8 58.
5 57.
1 59.
3 58.
6 57.
1 55 54.8 57.
7 59.
2 59.
2 56 54.9 52.
1 51.
1 48.
8 46.
2 69.
1 71.
8
-14
7.
5 50.
6 46.
1 68.
6 64.
8 58.
4 64.
2 64.
5 58.
9 63.
1 63.
2 64.
3 65.
3 65.
7 66.
4 65.
8 65.
7 63.
7 62.
4 58.
6 56.
9 55.
5 52.
2 77 78.9
진동
15 40.
1 44.
1 62.
8 58.
1 52 58 57. 7 54.
7 60 59.4 60 58.8 57.
3 59.
5 61.
1 61.
1 57.
1 56 53.
1 52 49.
8 47.
5 78.
9 78

7.
5 22.
4 56.
2 48.
8 47.
5 57.
7 53.
5 60.
4 58.
9 64.
3 62.
2 63.
3 67.
5 67.
5 67.
4 69.
9 69 68.
6 68.
2 65.
3 61.
7 61 57.
6 78.
1 81.
3
무진동
15 18.
6 51.
2 44.
3 43.
7 52.
3 48.
5 57.
2 57.
4 62 60 57. 8 60.
1 60.
7 61.
8 65.
3 65.
3 63.
2 61.
9 60.
4 56.
8 55.
1 50.
5 73.
2 75.
8
-15
7.
5 25.
9 57.
9 53.
4 54.
2 57.
5 54.
7 62.
1 62.
6 63.
6 64.
4 67 69.3 69 69.3 70.
7 69.
2 68.
9 67.
9 64.
6 61.
6 59.
9 57.
4 79.
1 88.
4
진동
15 21.
6 52.
4 47.
4 47.
1 52.
4 49.
4 56.
9 58.
5 60.
4 60.
4 62.
8 63.
4 62.
5 63.
1 65.
6 65.
2 62.
7 62 59.
7 56.
6 54.
3 52.
8 73.
9 83.
5

7.
5 24 41.
5 39.
8 52.
5 48.
2 57.
8 56.
8 58.
3 56.
2 54 57.8 64.
4 63.
9 63.
8 65.
4 65.
9 64.
8 63.
6 63.
2 62.
6 58.
6 55.
7 74.
7 76
무진동
15 16.
5 35.
7 34.
2 49.
4 44.
8 57.
3 55.
3 57.
1 55.
8 53.
3 50.
9 54.
5 57.
9 60.
7 62.
2 60.
1 58.
3 58.
2 56.
5 55.
9 53.
3 49.
9 69.
9 71.
1
-16
7.
5 55 55.
3 56.
3 56.
4 51.
2 58 63 67. 8 61.
6 62.
3 61.
1 70.
3 68.
4 66.
1 65.
7 67.
4 65.
9 63 60.
4 59.
2 56.
5 54.
7 77.
3 81.
6
진동
15 47.
7 48.
8 49.
7 51.
3 45.
8 54.
8 60 65.3 59.
5 57.
8 57.
3 63.
3 60.
5 59.
9 61.
7 63.
7 61.
4 58.
3 56.
4 54.
8 52.
9 51 72.
6 76.
7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 3k O.A Lmax
7.5 26.
9 42.
1 52.
5 49.
4 47.
7 49.
9 48.
2 48.
4 48.
7 48.
6 48.
3 49.
5 51.
5 53 55. 9 54.
6 50.
6 48.
6 47 49. 8 50.
1 48.
7 63.
6 66.
6
G-1 작업
15 24.
7 38.
1 47.
2 46.
4 42.
7 46.
5 45.
8 44.
7 47 44.2 44.
4 44.
6 46.
2 48.
3 51.4 51.
2 47.
1 45.
9 44.7 47.
6 49.
7 48 60.2 62.
9

7.
5 27.
8 43.
6 49.
8 48.
4 47.
3 49.
9 49.
1 47.
6 52 51.3 52.
5 51.
8 52.
6 55.
7 58.
3 57.
2 52.
1 52.
9 50.
1 52.
4 52.
2 51.
2 65.
6 69.
4
-2 작업
15 26.
7 38.
3 45.
3 45.
5 43.
3 48 50.3 44.
8 46.
5 45.
5 45.
8 47 49.5 52 52.3 52.
2 47.
7 49.
5 47.
3 50.
3 51.
4 50.
5 61.
9 67.
1

7.
5 24.
6 43.
6 44.
4 50.
2 49.
2 51.
6 51.
9 50 50.1 52.
9 52.
4 55 55.4 54.
5 56.
2 56.
1 52.
2 50.
9 49.
5 47.
6 44.
4 40.
2 65.
1 69.
3
-3 작업
15 23.
1 41.
9 42.
8 47.
9 45.
3 48.
6 48.
6 47.
8 46.
3 50.
1 49.
3 51.
8 52.
1 51.
3 52.
2 51.
6 48.
1 48 46.2 44.
2 42.
2 37.
4 61.
7 64.
7

7.
5 22.
4 43.
1 41.
7 49.
4 49.
2 53.
1 54.
4 50.
6 50 54.1 54.
2 56.
6 56.
6 55.
8 56.
9 57.
3 53.
2 55.
3 55 48.3 44.
4 41.
2 66.
6 72.
6
-4 작업
15 21.
4 41.
4 40.
8 45 44 48. 3 50.
3 48.
1 46.
7 50.
2 51 52.8 52.
9 52 52.4 52.
5 48.
6 51.
4 51.
2 43.
9 40 36.6 62.
5 66.
3

7.
5 28.
5 52 41.
2 51.
2 48.
8 46.
3 50.
2 50.
5 49.
4 51.
2 54. 3 56.
9 56. 357.9 61.
7 60.
757.256.1 53.
9 51.
3 49.
2 45.
2 68.
3 70.
9
-5 작업
15 28.
7 50.
2 42 46.
7 45.
6 44.
3 48 48.1 48.
7 50.
2 51.
9 52.
9 53.
9 54.
9 57.
8 57.
1 54.
6 53.
8 51.
6 49.
2 48 44.4 65.
4 68.
3

7.
5 21.
7 42.
2 48.
3 61.
1 57.
2 53.
7 60.
7 62.
8 58.
6 62.
5 64.
7 66.
6 69.
2 68.
1 70.
5 68.
8 69.
4 68 65.
9 62 62.
7 60.
7 78.
6 82.
7
무진동
15 21 41.7 47.
7 58 54.7 52.
8 58.
8 59.
9 55.
7 58 57.9 60.
4 64.
7 65.
4 65.
4 64.
3 65.
8 63.
8 61.
7 58.
2 59.
7 57 74.
5 78.
3
H-1
7.
5 43.
3 45.
3 51.
3 56.
8 66.
3 56.
1 60.
8 63.
7 62.
5 66.
3 71.
2 71.
7 72.
6 72.
5 73 72 72.
6 70.
5 68.
2 64.
8 65.
4 63.
5 82.
1 86.
2
진동
15 39.
1 43.
8 48 54.5 64 54.4 57.
8 60.
8 58.
6 60.
8 64.
6 64.
2 67.
4 69.
4 67.
8 67 68.
3 66.
3 64 60.
7 62.
2 59.
9 77.
4 80.
9

7.
5 21.
9 34 42.4 43 48.5 44 44.9 45.
3 51.
8 52.
4 50.
2 52.
1 56.
8 55.
8 52.
1 53 52.
2 50.
6 48.
3 46 42.
3 40.
2 63.
9 66.
5
무부하
15 17.
7 33.
2 44.
6 43.
7 45.
1 44 46.3 45.
2 49.
3 48.
2 47.
5 48.
3 51.
7 50.
7 49.
6 48.
3 49.
3 45.
7 44.
1 40.
6 36.
9 34.
4 60.
3 66.
1
I
-1
7.
5 37 48.8 52.
4 61.
6 53.
4 57.
6 59.
5 61.
8 61.
8 65.
7 68.
6 65.
6 68.
4 69.
2 65.
2 66.
3 64.
8 62.
6 60.
4 59.
3 57 55.
9 77.
1 82.
6
작업
15 36.
1 45.
1 51.
6 60.
5 49.
9 55.
3 60.
6 60.
5 57.
9 55.
6 62.
2 63 62.2 62.
9 61.
1 59.
9 58.
6 56.
1 55.
8 54.
6 52.
8 51.
1 72.
2 76.
8

7.
5 36.
5 37.
2 47.
6 41.
4 46.
9 49.
4 46.
5 49.
8 52.
6 54 60.2 60.
9 65.
9 62.
3 62 64 61. 3 59.
6 56.
4 56.
7 55.
6 52.
6 72.
1 75.
1
J
-1 작업
15 35.
8 37.
1 42.
1 37.
5 43.
6 45.
1 44.
3 46.
2 50.
2 50.
9 54.
5 57.
3 60.
8 57.
7 56.
3 60.
3 55.
4 55 51.4 52.
2 51.
3 49.
6 67.
6 70.
6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6k 2k 2.5k3.15k 4k 5k 6.3k O.A Lmax
J
-2 작업 7.5 39.
5 51.
4 60.
4 56.
9 57.
4 61.
4 60.
8 62.
1 64.
7 66.
5 70.
4 71.
8 75.
5 75.
8 74.9 76.
6 74.
9 71.
5 69.7 68 66.
4 63.
1 83.
9 87.
7

무부하 7.
5 32.
2 46.
3 53.
3 43.
9 45.
7 47.
6 49.
6 49.
6 51.
9 52 53.1 56.
9 59.
9 58.
2 57.
2 58.
1 54.
3 56.
9 52.
4 52.
1 48.
7 44.
8 67.
5 68.
2
-3
작업 7.
5 33.
4 43.
6 55.
2 49.
5 50.
5 55.
8 61.
6 61.
8 60.
2 60.
3 63.
7 67.
2 69.
1 67 69.2 70.
4 68.
7 67.
1 62.
2 62.
9 59.
5 56.
9 78.
1 78.
6

7.
5 26.
7 40.
7 40 42.5 42.
8 44 43.7 46.
2 49.
9 51 51 52. 9 54.
2 54.
2 55 54.
5 55 54.1 51.
1 48.
8 46.
3 44.
9 64.
3 64.
8
시동
15 23 35.
6 37.
5 40.
1 39.
3 39.
4 39.
8 42.
7 45 46.6 45.
3 46 49.2 48.
7 49 48.
6 47.
8 46.
9 45 43.
7 40.
7 40.
2 58.
6 59.
5
7.
5 34.
1 45 49.
5 47.
4 48.
3 53.
2 50.
9 53.
8 57.
5 55 58.2 60.
3 62.
6 63.
1 62.
6 61.
2 60.
7 57 55.
2 54.
4 51.
2 48.
7 71.
2 72.
7
-4 무부하
15 29.
3 37.
6 46.
8 42.
3 45.
6 46.
2 45 47.7 48.
4 49.
1 49.
3 52.
8 55.
3 56.
4 55.
6 54 53.
6 49.
9 48.
5 48.
1 44.
6 43.
2 64.
1 66.
3
7.
5 38.
8 43.
7 55.
9 50.
1 53.
4 54.
3 58.
1 68.
2 62.
5 62.
1 65.
6 63.
9 66.
5 67.
7 68.
3 67.
2 66.
1 65.
4 63.
1 62.
8 59.
6 56.
7 77.
3 80.
5
작업
15 36.
7 40.
9 51.
8 46.
5 49.
6 49 52.4 64.
2 55.
5 53.
8 59.
7 56.
8 60.
7 61.
3 61.
4 61.
4 60.
5 60.
4 59 58.
8 55.
9 54.
1 71.
8 75.
1

7.
5 32.
3 47.
8 51.
3 57.
7 59.
4 60.
1 63.
2 66.
8 66.
1 68.
1 69.
6 73.
2 73.
4 70.
7 71.
5 74.
2 70 65.4 64.
6 61.
9 58.
7 55.
8 81.
6 89.
9
-5 작업
15 33.
7 48.
1 49.
8 54.
6 56.
6 58 63.4 65.
3 62.
4 62.
3 64.
1 69 67 65. 6 65.
9 69.
5 65.
6 60.
6 60.
8 57.
8 54.
7 51.
5 77 82.5

7.
5 37.
6 43.
8 42.
3 44.
1 45.
1 49.
2 45.
1 47.
7 48.
6 50.
9 57.
5 59.
9 60 59.9 58.
6 58.
9 56.
9 53.
3 50.
4 49.
8 48.
5 46.
7 68.
7 70.
7
무부하
15 33 40 37. 5 41.
5 42.
7 42.
2 41.
7 44.
2 45.
4 45.
6 51.
3 54.
8 55.
8 55.
8 54.
6 54.
7 52.
5 50.
6 48.
1 47.
5 46.
4 44 64.
1 67.
2
-6
7.
5 35.
3 45.
1 51.
7 52.
1 58.
7 59.
1 62 66.2 59.
4 63.
8 67.
3 65.
9 68.
3 69.
6 69.
6 71.
6 67.
5 63.
2 61.
6 60.
9 60.
1 58.
6 78.
6 82
작업
15 32.
4 41.
1 47.
9 48.
3 54.
6 54.
2 57.
1 62 53.2 58.
4 61.
1 61.
4 62.
5 64.
1 64.
4 66.
9 62.
6 59.
4 57.
7 57.
1 56.
2 54.
2 73.
6 77.
3

K-1 무부하 7.
5 35.
8 42.
8 51 47.
9 48.
9 49.
3 51.
5 53.
6 56.
5 57.
5 58.
3 59.
3 60.
7 61.
8 61.
4 61.
3 59.
2 57.
6 55.
6 53.
8 50.
2 47.
4 70.
4 71.
4

7.
5 35.
2 38 38.9 41.
1 43.
6 47.
5 45.
7 48.
8 50.
1 53.
1 57.
3 57.
6 58 58.7 59.
5 57.
6 55.
2 52.
6 50.
2 47.
8 44.
1 41.
6 67.
2 70
-2 작업
15 31.
4 37.
8 37.
9 40.
2 42.
3 43.
8 42.
8 43 45 46. 1 52.
1 52.
8 54.
2 55.
7 55.
7 54.
2 52 50 46. 9 44.
4 41 37.8 63.
4 66.
4

7.
5 34.
1 36.
7 39 41.
4 40.
7 46.
2 41.
6 45.
5 47.
6 51.
6 57.
3 57.
2 57.
3 58.
5 59.
6 58.
9 55.
9 52.
8 49.
5 46.
6 41.
8 39.
2 67.
1 68.
7
-3 작업
15 30.
9 36 38.
1 38.
9 39.
2 43 38.8 40.
9 41.
2 44 49.2 51 52.9 54.
3 55.
3 54.
3 51.
9 49.
3 45.
6 42.
3 38.
8 35.
8 62.
3 63.
3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1.
5 6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k 1. 25k1.
6k 2k 2.5k3.15k 4k 5k 6. 3k O.
A Lmax
L-1 작업 7.5 34.
9 47.
4 53.
3 65.
2 54.
3 63.
8 66.
3 67.
3 68.
1 68.
3 68.
8 74.
3 74.
9 69.
7 67 65.6 66.
7 66.
2 64.4 65.
1 63.
3 61 81 82.7

-2 작업 7.
5 35.
3 42.
3 47.
6 57 52.
4 51.
7 47.
1 53.
8 54.
1 57.
8 59.
1 60 63.
6 60.
6 60.
6 61.
4 60.
7 58 57.
9 55.
4 52 48.
2 70.
9 76.
8

7.
5 31.
1 41.
6 47.
3 44.
2 44.
8 44.
6 50.
9 69 58.5 55.
8 63.
8 59.
9 61.
4 59.
1 59.
1 58.
8 58 57.4 57.
6 55.
9 53.
2 50.
6 72.
7 79.
1
M-1 작업
15 28 38.5 43.
7 40.
7 45.
6 41.
7 46.
4 64.
6 54.
1 50.
4 60.
7 52.
6 56.
5 54.
1 53.
5 53.
3 52.
6 52.
3 52.
7 51.
8 49.
3 47.
8 68.
3 74.
9

7.
5 22.
8 46.
9 47.
3 60.
5 69.
8 79.
9 61.
2 64.
8 71.
6 68 69.
3 70.
4 72.
3 69.
9 69.
7 69.
2 67.
5 66.
5 64.
2 62.
4 60.
4 56.
4 83 86.6
N-1 작업
15 19.
9 42.
1 44 61.6 64.
7 75.
1 57.
7 58.
2 65 61.
4 63.
9 65.
2 65.
8 65.
1 64.
8 63.
7 63 61.5 59.
4 58.
1 55.
4 51.
3 77.
9 82.
6

7.
5 27 39.7 44.
6 56.
9 58.
5 71.
2 70.
7 68.
2 69.
5 68.
4 68.
9 67.
4 68.
8 67.
5 67.
6 68.
1 65.
9 65.
5 60 59.2 56.
9 52 79.9 81.
4
-2 작업
15 24.
1 37.
1 42.
5 59.
7 60.
5 67.
2 67 59.2 62.
6 66.
2 64.
8 62.
3 63.
4 62.
9 63.
5 62.
7 62 60.7 57.
1 55.
9 53.
8 49.
1 75.
6 76.
9

7.
5 29.
8 50.
2 53 57.
9 63.
6 62.
4 68.
3 71.
8 73.
1 69.
3 71 75.6 74.
5 73.
7 75.
8 74.
6 74.
4 70.
2 66.
8 62.
9 59.
9 55.
9 84.
1 86.
2
O-1 작업
15 26.
6 44.
4 48 55.
8 62.
7 59.
3 64.
8 68.
3 70.
2 64.
8 64.
4 62.
2 64.
6 66.
8 69.
2 65.
6 66.
7 63.
4 59 56.9 56.
1 53.
8 77.
5 78.
6

7.
5 30.
6 50.
4 53.
4 57.
2 62.
9 62.
5 70 72.8 73.
5 69.
6 73.
1 77.
6 75.
9 73.
9 77.
5 75.
4 76 71.3 67.
7 63.
7 60.
9 57.
2 85.
4 87.
1
-2 작업
15 26 44.5 48 55.2 61.
8 59.
6 65.
6 68.
2 71.
2 65.
2 65.
1 62.
7 65.
3 67.
2 69.
1 66.
2 67.
5 63.
6 59.
5 57.
9 57 55 78 79. 8

7.
5 34.
1 39.
9 44.
5 46.
2 47.
2 49.
3 49.
6 50.
7 53.
5 55.
1 55.
9 58.
5 60.
1 60.
1 60.
7 61.
5 59.
4 58 56.
4 54.
7 52.
6 49.
1 69.
5 79.
2
무부하
15 30.
9 38.
7 40.
2 46.
8 46.
5 45.
7 44.
7 46.
9 48.
3 50.
4 51.
6 54 54.5 53.
6 55.
6 54.
9 54.
5 51.
7 50.
4 48.
7 46.
6 41.
7 64.
1 69.
3
-3
7.
5 31.
2 54.
9 47.
4 46.
8 58.
4 57.
2 56.
3 59.
1 60.
4 64 67.8 67.
4 71.
2 71 70.
6 68.
1 70.
5 69.
4 66.
3 64.
7 64.
4 61.
3 79.
5 81.
1
작업
15 29.
7 50.
3 43.
4 45 55.6 52.
6 53.
6 56.
5 58.
9 64.
5 64.
5 62.
3 60.
7 63.
9 66 65.
2 67.
1 64.
4 62 59.
6 59.
2 55.
8 74.
9 76.
3

7.
5 31.
2 54.
9 47.
4 46.
8 58.
4 57.
2 56.
3 59.
1 60.
4 64 67.8 67.
4 71.
2 71 70.
6 68.
1 70.
5 69.
4 66.
3 64.
7 64.
4 61.
3 79.
5 81.
1
-4 작업
15 29.
7 50.
3 43.
4 45 55.6 52.
6 53.
6 56.
5 58.
9 64.
5 64.
5 62.
3 60.
7 63.
9 66 65.
2 67.
1 64.
4 62 59.6 59.
2 55.
8 74.
9 76.
3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
0 125 160 200 250 315 40
0 500 630 800 1 k 1.
25k1.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O-5 작업 7.
5 36.
1 50.
9 52.
7 60 64.
6 60.
4 62.
3 65.
2 69.
1 67 68.
7 69.
7 69.
6 69.
7 68.
5 68.
8 69.
5 65.
2 62.9 63.
7 59.
3 54.
9 79.
4 85.
7

-6 작업 7.
5 34.
4 48 52.
9 63.
7 64.
4 63.
6 66.
1 66.
9 70.
4 68.
8 67.
1 70.
3 72.
8 72.
2 70.
7 72.
4 71.
9 69.
4 67 62.
7 60.
9 57 81.
5 85.
1

-7 작업 7.
5 39.
5 59.
2 55.
5 64 64.
3 61.
5 62.
9 63.
6 70.
9 71.
1 69.
5 72.
5 73.
3 72.
2 73 76.
3 72.
5 72.
2 68.
9 66.
8 63.
4 60.
8 83.
1 84.
1

P-1 작업 7.
5 28.
4 46.
2 54.
3 65.
4 56.
9 58.
2 62.
8 63.
7 62.
4 61.
8 62.
3 62.
7 67.
5 63.
8 62.
1 60.
4 59.
4 58 56.
5 53.
5 51.
1 49.
8 74.
4 76.
2

7.
5 33.
3 50.
4 42.
1 52.
6 62.
2 62.
4 64.
4 61.
1 62.
5 64.
4 61.
8 60.
4 64.
4 65 66.
5 64.
5 63.
9 65.
6 64.
9 66.
1 61.
1 59.
5 76.
4 77.
7
-2 작업
15 27.
6 38.
4 34.
7 46.
6 46.
1 57 55.9 55.
1 56.
3 56 52.1 55.
8 57.
7 61.
6 62 59 56.2 58.
5 58 58.6 55.
1 52.
4 69.
9 72.
2

-3 작업 7.
5 34.
4 46.
8 48.
9 58.
6 54.
9 58.
7 55.
9 59.
2 56.
5 58 59.
5 61 63.
3 61.
1 61.
3 62.
1 61.
2 58 56.
9 55.
1 52 49.
3 71.
7 75.
5

-4 작업 7.
5 33.
3 50.
3 41.
9 50.
6 56.
4 60.
1 63.
8 65.
8 58.
8 58.
1 54.
6 61.
8 62.
8 58.
2 60.
8 60.
7 63 61.
7 59.
4 58.
9 56.
8 54.
7 73.
4 74.
6

7.
5 35.
4 56.
2 45.
4 44.
5 51.
4 53.
3 60.
9 64.
8 64.
2 64.
6 65.
4 66.
2 64.
8 64.
3 65.
6 66.
5 67.
9 63.
3 62.
9 65.
3 61.
9 59.
7 76.
9 77.
6
-5 작업
15 33 49 44. 6 41.
7 48.
6 54.
4 57.
3 54.
9 55.
7 57.
8 62.
2 64.
2 63.
1 61.
4 61.
9 61.
4 62.
7 59.
4 58.
8 60.
9 57.
7 54.
1 72.
8 73.
3

-6 작업 7.
5 29.
5 40 46.
8 53.
3 55.
2 56.
4 56 54.
6 56.
7 60.
5 62.
5 63.
6 67.
9 68.
2 66 65.
3 64.
8 64.
8 63.
7 62.
3 59.
5 58.
1 76 77.
3

7.
5 28.
2 36.
5 51.
8 57.
4 59.
5 59.
3 59.
3 57.
3 59.
7 68.
4 68.
3 69.
6 70.
3 69.
9 71.
4 71.
4 70.
3 69.
2 68.
5 65.
7 63.
8 61.
5 80.
6 81.
2
-7 작업
15 28.
5 34.
4 48.
1 54.
6 52 54.1 57.
2 54.
6 54.
7 60 59.4 62.
2 62 61.7 63.
3 63.
4 62 62.2 60 58.1 55.
6 53.
3 72.
7 75.
8

Q-1 작업 7.
5 36.
5 48.
7 54 58.
6 58.
5 59.
9 65.
1 62.
8 63 61.
9 63.
7 62.
9 64 64.
9 62 60.
9 60.
4 59.
4 57.
8 57.
1 57.
4 54.
2 74.
3 84.
5

-2 작업 7.
5 30.
1 54.
6 54.
9 55.
3 58.
3 56.
6 61.
5 62 62.
9 63.
5 65.
6 67.
9 67.
4 69.
1 71.
2 70.
8 70.
2 69.
8 71.
8 72.
3 72.
9 72.
6 82.
2 88.
6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 .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7.
5 30.
8 49.
9 62.
2 66.
5 58.
1 58.
4 62.
2 64.
1 67.
4 64.
5 63.
5 62.
6 63.
7 61.
3 62.
3 61.9 59.
6 57.
7 55.6 54 50.6 50 75 77. 7
Q-3 작업
15 29.
1 45 57.6 66 55.5 58.
6 60.
5 61.
2 63.
4 62.
1 59.
8 61.
4 60.
2 57.
5 59.9 58.
3 56.
8 54.
4 52.3 50.
5 46.
9 44.
9 72.
4 76.
5

-4 작업 7.
5 38 57.
4 54 65 57 58.
9 61.
7 62.
3 59.
6 65 65.
4 65.
8 64.
5 65.
6 65.
3 64.
2 61.
3 60.
9 62.
1 60.
4 60.
4 58.
5 75.
8 80.
6

-5 작업 7.
5 30.
4 47.
5 44.
8 54.
2 51.
3 59 64.
7 60 62.
1 60.
2 62.
1 63.
1 63.
3 63.
6 62.
8 61.
6 61.
2 58.
9 58 56.
7 56.
5 56.
4 73.
6 75.
8

-6 작업 7.
5 36.
3 55.
3 57.
8 58.
1 65.
1 61.
2 59.
8 60 60.
9 63.
2 65.
8 66.
4 66.
3 71.
9 71 69.
5 72.
8 67.
2 64.
3 61.
6 59 57.
3 79.
4 81.
7

-7 작업 7.
5 34.
3 60.
6 61.
9 61.
3 60.
2 62.
8 65.
3 62.
9 62.
1 61.
1 61.
5 64 63.
3 61.
7 61.
8 63.
5 61.
3 60.
2 58.
4 59.
9 56.
5 53.
9 74.
7 79

-8 작업 7.
5 34.
6 60.
6 62.
6 62.
1 63.
2 65 62.
3 60.
9 64.
9 68.
2 65.
8 63.
3 63.
3 63 63.
6 64 62.
3 59.
9 58.
2 57.
9 57.
2 53.
2 76 79.
1

7.
5 32.
6 46.
2 59.
6 65.
7 58.
5 62.
2 67.
1 67.
3 61.
4 61.
4 64.
2 64.
3 66.
9 68.
9 67.
2 66.
6 66.
6 65.
2 64.
4 62.
9 64.
9 67.
6 78.
7 79.
6
-9 작업
15 30.
9 44 56.7 62.
7 55.
4 58.
8 64 63.1 59 58.8 58.
8 59.
3 60.
6 61.
7 62.
9 61.
6 61.
6 59.
3 58.
7 57.
3 60.
1 61.
2 73.
7 75

무부 7.
5 21 40 41.8 42.
3 43.
9 45.
9 55.
8 52.
6 53.
8 53.
7 55.
4 58.
1 59.
4 59.
8 59.
7 60.
6 59.
1 58.
1 55.
5 53.
2 50.
1 46.
2 69 73.5
하 15 26.
7 37.
5 40.
6 41.
6 45.
3 45.
2 53.
9 50.
8 50.
8 49.
9 51.
2 53.
1 55.
5 55.
4 55.
9 55.
1 54.
1 53.
5 52.
3 51.
1 47.
9 44.
8 65 71.6
R-1
7.
5 27.
7 45.
7 43.
1 48.
2 50.
7 47 53.4 54.
6 57.
6 61.
8 57.
3 60.
3 63.
2 63.
9 62.
1 63.
2 61.
4 59.
7 57.
6 55.
4 53.
4 49.
4 72 76.3
작업
15 27.
8 41.
6 41.
5 46.
2 49.
3 45.
8 51 51.6 53.
2 57 53.1 54.
7 58.
3 59.
9 58.
3 57.
7 56.
7 55.
2 54.
9 53.
5 50.
7 47.
4 67.
6 73.
4

무부 7.
5 33.
8 45.
2 41.
5 44.
5 39.
7 41.
8 42.
9 48.
2 50.
9 47.
9 50.
3 51.
3 50.
9 52.
4 51 50.1 48.
6 48.
3 46.
3 43.
9 41.
3 37.
3 61.
2 62.
8
하 15 30.
6 42.
1 39.
6 43.
5 39.
7 39.
2 37.
8 42.
5 45.
6 42.
4 45.
6 46.
7 47.
2 50.
8 48 47.1 44.
5 42.
8 40.
7 39.
4 36.
6 33 57.6 59.
2
-2
7.
5 38.
3 43 49.2 54.
1 46.
9 51 50.3 55.
5 52.
8 55.
8 55.
1 55.
3 55.
8 56.
6 55.
8 55.
4 54.
2 54 52.4 50.
4 47.
5 44.
4 66.
5 69
작업
15 35.
2 40.
8 48.
5 52.
1 47.
8 49.
1 47.
4 48.
7 45.
9 50.
3 51.
1 51.
2 50.
9 54 51.5 51.
3 49.
2 47.
3 45.
5 44 41.1 37.
8 62.
3 65.
1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
k1.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R-3 작업 7.
5 51.
3 58.
4 61 59.
5 60.
6 74.
1 74.
3 71.
8 73.
3 76.
8 74.
4 77.
3 75.
4 77.
7 77 75.
6 72.
7 71.
9 69.2 66.
9 64.
2 62.
5 86.
3 88.
6

-4 작업 7.
5 28.
3 49.
5 51.
1 45.
4 48.
7 51.
7 55.
5 54 54 56.
5 54.
9 55 60.
9 58.
2 58.
9 57.
4 56.
3 55.
1 52.
5 51.
9 52.
7 52.
2 68.
3 71.
7

-5 작업 7.
5 30.
2 44.
1 52.
2 53.
5 58.
3 57.
6 60.
2 63.
9 65.
2 68.
6 64.
5 69.
3 75 73 71.
4 72.
8 72.
6 67.
6 65.
1 64.
1 60.
3 60 81.
6 87

무부 7.
5 19.
5 34.
8 44.
6 44.
8 54.
7 49.
2 46.
4 44.
2 45.
6 45.
5 49.
1 51.
4 59.
7 54.
2 51 52 49 48 45 45 46 43 64 65. 4
하 15 15.
5 29.
3 37.
9 35.
9 48.
2 41.
5 41.
9 41.
2 42.
4 41.
9 44.
4 45.
3 48.
8 46.
5 44 45.5 43.
2 43.
3 41.
1 41.
5 38.
9 37.
9 56.
9 60.
3
-6
7.
5 15.
5 50.
8 55.
4 51.
4 55.
6 57.
2 58.
6 58.
9 57 58.5 66.
9 64.
8 63.
4 65.
7 63.
7 64.
3 62.
6 57.
9 55.
4 55 53.7 52.
2 74.
3 76.
1
작업
15 13.
2 40.
5 48.
8 44.
9 48 49.5 52.
8 53.
9 53.
9 53.
2 60.
7 58.
6 57.
2 58.
1 57.
6 57.
1 56.
3 51.
9 50.
1 49.
8 47.
6 46 67.9 70

무부 7.
5 39.
3 44.
2 46 45.9 46.
3 46.
1 54.
6 49.
4 52.
7 51.
9 53.
8 55.
7 60.
7 63.
4 59.
3 58.
2 55.
5 53.
8 53.
1 51 49.4 45.
2 68.
8 71.
5
하 15 34.
6 38.
8 42.
3 42 42.2 43.
8 49.
2 46.
5 49.
1 48.
7 49.
2 51.
1 53.
6 54.
6 51.
6 52.
1 49.
9 48.
5 47.
4 44.
9 42.
2 38.
4 62.
3 66.
7
-7
7.
5 33.
7 54.
2 62.
5 62.
9 60.
9 58.
5 60.
3 65.
2 66.
8 63 67.1 69.
3 70.
8 74.
2 71.
2 69.
1 67.
5 64.
2 64.
2 61.
1 60 56 80. 3 84.
8
작업
15 27.
9 49.
6 55.
7 56.
4 56.
1 54.
7 55.
7 61.
9 64.
9 58.
6 61.
6 64.
8 63.
3 64.
6 62.
8 62.
6 60.
8 57.
8 57.
7 55 52.7 49.
3 73.
8 80.
3

무부 7.
5 21 33 46.
3 37.
9 39.
8 40.
1 40.
6 47.
3 48.
5 46.
6 51.
4 50 50.
2 51 50.
4 50.
9 49.
1 48.
4 47.
7 47.
3 42.
7 38.
2 64.
4 68.
1
하 15 19.
7 36 44.4 36.
3 37.
9 40.
3 37.
3 40.
8 40.
6 40 46.3 47.
2 45.
7 47.
7 46.
4 47.
6 45.
9 46.
8 44.
6 43.
9 40.
3 36.
1 57.
4 65.
6
-8
7.
5 31 52.4 42.
3 46.
4 50.
1 55.
7 58.
4 54.
1 59.
2 60.
5 60.
8 61.
1 66.
6 62.
6 60.
1 60.
6 60.
4 57 57 55. 7 54.
1 49 72.4 81.
7
작업
15 24.
8 49.
4 39.
6 44.
1 48.
4 50.
4 54.
2 47.
9 48.
7 52.
9 56 57.5 62 58 55. 4 56.
9 55 54.1 54.
8 51.
6 49.
5 45.
1 67.
8 79.
1

무부 7.
5 23.
4 34.
2 34.
5 39.
5 41.
7 41.
1 41.
3 47.
2 47.
2 48.
2 55.
3 54.
7 56.
9 56.
4 55.
3 54.
6 52.
1 49 47.9 46.
2 41.
5 38.
2 64.
5 74.
4
하 15 17.
8 32.
4 32.
2 36 36.
3 35.
3 35.
5 41.
1 42.
5 44.
3 48.
8 50 51.
9 48.
5 46.
9 46.
6 44.
5 42.
2 40.
5 39.
1 34.
4 30.
8 58.
1 69.
8
-9
7.
5 32.
2 42 44.6 52.
8 54.
4 55.
5 56.
8 65.
1 63.
5 61.
8 64.
9 67.
6 67 66.
8 67 66.5 65.
7 62.
4 60.
5 58.
4 55.
8 54 76.5 84.
7
작업
15 28.
1 40.
2 40.
6 46.
9 49.
5 50.
9 52.
1 58.
6 58.
1 57.
9 59.
1 59.
6 60 61.
7 59.
3 59.
1 57.
7 55.
2 52.
5 51.
4 48.
6 46.
7 69.
9 78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무부 7.
5 32.
2 41.
8 44.
9 48.
3 45.
4 49.
4 49.
9 52.
7 60.
6 55.
5 57 61.1 60.
4 62.
5 59.
8 58.
7 59.
7 55.
1 53.6 51.
5 47.
8 44.
3 70.
2 77
하 15 27.
6 40.
5 46.
2 47.
4 45.
3 48.
3 47.
6 51.
3 53.
9 51.
1 53.
1 55.
3 56.
4 58.
6 55 54 54.
1 49.
9 47.8 46.
3 43.
2 39.
7 65.
7 70.
8
R-10
7.
5 27.
3 48.
1 62.
2 53.
5 54.
1 55.
4 55.
6 62.
6 60.
4 60.
8 61.
7 63.
7 64.
6 65.
6 63.
3 63 62.9 58.
5 58 58. 5 52 47.8 74.
1 78.
2
작업
15 25.
3 44.
8 59.
9 51.
1 51.
3 52.
5 54.
1 58.
5 56.
5 55.
7 56.
3 58 59.2 60.
2 58.
7 57.
9 57.
8 54.
4 54.
1 55.1 49 44.6 69.
5 72.
8

시동 7.
5 22.
5 35.
4 45 50.6 43.
7 45 51.6 50.
5 48.
4 52.
5 52.
8 53.
1 53.
8 53.
6 53.
8 53.
2 52.
6 51.
8 50.
7 48 46 42.9 64.
2 68.
2
-11
작업 7.
5 29.
5 61.
4 53.
9 52.
1 53.
4 55.
2 55.
6 58.
9 57.
5 58.
7 63.
1 64.
4 64.
9 67.
2 64.
8 62.
9 63.
4 59.
1 55.
8 54 53.
9 52.
3 74.
3 77.
2

무부 7.
5 27.
5 31.
9 36.
2 40 45.1 46.
4 46.
1 49.
7 48.
9 51.
1 56 55.1 55 55.8 57.
7 55.
3 54.
9 53.
9 50.
9 49 46.4 43 65.6 71.
4
하 15 23.
6 31.
4 35.
6 37.
5 41.
9 43.
5 43.
4 46.
1 46.
5 47.
2 51 52.3 50.
2 50.
4 49.
7 48.
3 48.
6 47.
6 45.
2 42.
9 41.
3 38.
7 60.
4 65.
4
-12
7.
5 30.
9 33.
3 42.
7 45.
5 47.
7 49.
8 51.
8 53.
1 53.
4 55.
9 56.
3 58.
5 58.
6 59.
5 60.
7 59.
3 58.
1 56.
9 53.
8 52.
8 50.
5 47.
4 68.
9 71.
7
작업
15 27.
6 34.
3 43 44 44 46. 7 49.
5 49.
9 50.
1 52.
9 52.
8 55.
2 53.
5 54.
5 52.
9 51 50.6 51.
5 47.
2 46.
5 43.
6 41.
6 63.
8 67.
5

7.
5 30.
7 43.
6 64.
7 57.
8 57.
7 59.
6 63.
1 66 69.3 72.
9 74.
9 78.
9 80.
1 81.
1 81.
2 81.
6 83.
3 80.
4 77.
6 78.
2 75.
4 73.
4 91.
2 99.
8
S-1 작업
15 27.
5 42.
4 57 52.6 54.
2 54 56.6 58.
9 62.
6 67.
6 69.
3 70.
8 73.
3 73.
9 73.
6 73 73.3 71.
1 69.
1 69.
5 65.
6 62.
8 82.
3 92.
6

-2 작업 7.
5 42 50.
4 67.
6 55.
2 58.
1 63 68.
1 69.
9 72.
2 75.
5 79.
4 79.
5 81.
3 80.
9 81.
8 83.
1 82 82.
4 80.
5 79.
5 76.
1 72.
5 91.
4101.
4

-3 작업 7.
5 38.
7 50 56 56.
9 63.
1 68.
7 73.
1 73.
8 73.
8 76 78.
2 79 81.
9 81.
5 83 81 81.
3 82.
7 80.
5 77.
2 75.
8 72.
1 91.
3102.
6

7.
5 32.
9 49.
4 52.
2 52.
2 57.
9 61.
4 67.
2 69.
2 68.
3 72.
3 74.
2 77.
7 79.
3 80.
4 82.
5 81.
8 79.
9 79.
9 77.
6 78.
5 76.
7 73.
1 90.
3 94.
9
-4 작업
15 31 49 52. 7 49.
9 55.
1 58.
4 59.
4 59.
2 61.
5 64.
6 66 70.1 72.
4 71.
7 72.
3 71.
1 69.
9 70.
1 68.
4 69.
7 66.
3 62.
5 81.
1 86.
7

7.
5 33 67.2 57.
1 57.
8 63.
9 66.
5 72.
7 75.
3 75.
8 80.
3 81.
1 84.
4 87.
1 86.
1 89.
1 86.
5 85.
5 87.
2 85.
8 86.
3 84.
2 79.
3 96.
9101.9
-5 작업
15 25.
8 63.
2 53.
6 55.
6 62.
6 64.
4 69.
1 66.
1 69.
6 73.
6 75.
2 77.
5 80.
2 81.
5 83.
3 81.
4 80 80.7 80.
3 79.
2 75.
7 71.
8 90.
8 96.
3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
0 6 30 800 1 k 1.
25k1.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7.
5 39.
7 50.
4 50.
7 52.
9 55.
3 59.
2 65.
6 67.
4 71.
7 70.
1 75 80.1 82.
8 80.
2 83.
7 83 81.7 85.
3 81.8 81.
2 79.
7 79.
4 92.
9 95.
7
S-6 작업
15 38.
7 46.
8 47.
6 48.
1 51.
6 54.
8 58.
8 62.
8 62.
2 59 66.8 70.
8 74.
6 73.
1 77.
4 75.
3 75.
7 81 77.7 78.9 73.
8 75 87.4 90.
5

무부 7.
5 17.
2 31.
4 33.
8 40.
4 42.
9 44.
9 46.
4 48.
7 48.
1 48.
2 52.
3 53.
7 51.
3 50.
4 48.
6 48.
6 44.
1 46.
8 41.
6 38.
8 38.
3 35.
9 61.
2 77.
7
하 15 17.2 29.
4 33.
8 39.
3 39.
3 40 45.3 43.
8 47.
1 43.
6 41 43.1 43.
8 43.
9 43.
8 42.
4 42.
5 44.
2 40.
9 38.
4 36.
8 34.
1 55.
7 62.
1
-7
7.
5 40.
1 57 60.
6 60.
6 62.
6 65.
3 69.
6 71 74.5 76.
7 80 82.3 82.
8 82.
9 83.
8 86.
3 86.
9 87.
8 86.
7 85.
9 83.
8 80.
5 95.
9101.
8
작업
15 32.
7 53 59.
8 58.
7 60.
1 64.
3 63.
7 64.
7 67.
4 70.
8 73.
3 76.
7 78.
1 78.
1 79.
5 82.
2 82 83 81. 4 81.
9 77.
1 74.
6 91 97.7

7.
5 42.
3 56.
6 61.
8 62.
1 64.
3 65.
4 67.
9 72.
6 72.
7 77.
6 83.
9 88.
5 86.
7 86.
4 84.
9 87 85.2 84.
6 83.
7 84.
6 80.
4 78.
1 96.
2100.6
-8 작업
15 38.
1 51.
6 64 63.4 60.
5 60.
7 63 68.9 69.
8 71.
8 74.
8 80.
7 82.
2 80.
9 78.
4 80.
4 79.
2 77.
4 76.
4 79 75 71. 8 89.
9 94.
4

7.
5 36.
2 50 51.7 52.
1 53.
1 62.
7 62.
7 64.
4 69.
4 78.
7 77.
6 80 83.1 87.
6 83.
5 83.
2 83.
1 84.
7 84.
1 80 77.
7 75.
8 93.
9 100
-9 작업
15 32.
1 46.
7 48.
3 46.
8 49.
5 56.
1 58.
6 60.
8 65.
7 70.
1 71.
3 77.
1 77.
6 82.
7 78.
8 82.
2 78.
7 80.
4 79 74.
5 72.
7 70.
9 89.
7 96

7.
5 32.
6 52.
8 61.
9 62.
3 63.
9 62.
6 66.
4 69 69.7 72 68.6 68.
8 68.
4 70 70.3 69.
3 69.
2 67.
9 68.
1 65.
5 62 59.3 80.
7 83.
8
작업
15 27.
4 55.
2 55.
3 59.
5 58.
9 58.
3 65.
9 62.
9 59.
8 62.
3 62.
6 62.
4 62.
3 63.
6 63.
3 64 65 62. 8 60.
1 59 56.7 52.
2 74.
7 78.
8
T-1
7.
5 39.
1 52.
5 63.
6 57.
4 68.
4 70.
3 72.
4 76.
7 79.
2 81.
8 82.
2 83.
3 82.
6 82.
8 83 83.1 82.
7 81.
9 79.
4 77 75.1 72.
3 ․ 93
항타
15 26 56.
9 53.
8 61.
4 63.
4 65.
2 68.
8 71 72.1 73.
8 73.
7 76.
2 74.
5 75.
1 75.
5 76.
4 75.
8 74.
9 72.
5 71.
7 69.
5 66.
4 ․ 85.
8

무부 7.
5 33.
7 51.
9 49.
5 56.
9 51.
9 57.
1 61.
4 58.
7 60.
9 59 60.4 59.
8 59.
8 59 60 60. 7 60.
9 57.
8 54.
8 51.
3 47.
9 45.
2 71.
2 74.
1
하 15 30.
3 51.
6 49 59.1 51.
3 54.
7 58.
8 58 55.2 52.
2 55.
8 57.
8 54.
8 53.
4 54.
6 55.
5 54.
3 52 49.7 46.
8 45.
6 43 67.6 69.
7
7.
5 31.
6 47.
9 51.
6 63.
9 56.
1 58.
9 64.
4 67.
1 65.
5 63.
4 64.
6 64.
2 68.
9 64.
9 63 63 61. 3 59.
9 58.
2 55.
1 51.
6 48.
4 75.
9 79.
3
-2 작업
15 29.
1 46.
1 48.
8 63.
8 56 57.3 61.
2 61.
6 59.
7 59.
3 62.
7 60.
6 64.
1 61.
9 58.
1 58.
1 56.
5 55.
5 53.
1 50.
6 47.
6 45.
1 72.
2 75.
8
7.
5 46.
9 64.
4 70.
5 69 63.5 70.
6 68.
5 71.
8 73 69.1 72.
4 71 73.8 76.
5 78.
9 74.
9 70.
9 69.
4 69.
6 64.
6 62.
3 60.
8 85 90.
3
항타
15 42.
9 61.
7 68.
4 67.
9 65.
2 65.
4 64.
6 67.
9 66.
3 64.
7 68.
1 69.
6 71.
3 73.
2 76.
7 71.
3 65.
8 66.
4 67.
9 60.
8 56.
6 54.
5 81.
9 87.
8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무부 7.
5 30 50.8 40.
7 48.
7 47.
2 50.
1 49 55.3 54.
1 55.
2 56.
8 55.
5 56.
8 57.
9 57.
3 55.5 55 53.8 53.3 53.
4 54.
2 51.
5 67.
3 72.
7
하 15 30.
5 48.
6 38.
4 46.
9 46.
3 48.
3 45.
2 50.
7 52.
6 53.
5 55.
5 56.
7 57 56.
4 57.4 55.
1 54.
1 52.
9 51.7 50.
5 49.
9 48.
4 66.
2 72.
8
7.
5 30.
6 51 45.8 51.
4 52.
7 54.
2 54.
4 56.
7 56.
6 58.
4 60.
4 63.
5 66.
5 68.
8 67 66. 2 65.
9 64.
6 60.
7 59 56. 4 52.
8 75.
4 84
T-3 작업
15 30.
1 48.
6 43.
3 49.
2 50.
1 52.
2 53.
2 54.
1 55.
6 57 57.9 60.
9 61.
5 63.
7 64 63 62 61. 4 57.
2 54.9 53.
1 49.
8 71.
9 81.
7
7.
5 70.
2 79 73.2 69.
6 67.
7 68.
7 66.
7 67.
5 65.
8 65.
8 67.
8 65 64.9 63.
6 62.
1 60.6 59.
2 58.
2 57.
7 56.7 55.
7 54.
3 72.
5 84.
9
항타
15 72.
2 76.
4 71.
2 67.
3 64.
7 65.
3 62.
7 61.
1 63.
1 64.
5 65.
3 63.
5 64.
3 62.
3 62.
5 60.2 58.
7 57.
6 56.
6 55.4 53.
6 52.
4 70.
9 82

7.
5 34.
8 47.
2 49.
6 52.
8 54.
3 55.
3 62.
4 67.
2 67.
8 70.
9 74.
2 77.
1 77.
4 80.
2 77.
7 76 78.5 79.
7 75.
2 71.
4 64.
7 61.
7 87.
4 90.
2
작업
15 33.
5 48.
8 54.
3 54.
4 54.
3 53 57.3 61.
9 62.
2 66.
6 69.
5 72.
6 75.
4 76.
6 73.
4 70.
8 72.
8 74 69.5 67.
4 60.
2 57.
5 83.
1 86.
5
-4
7.
5 25.
2 45.
9 51 54.8 58.
2 58.
9 59.
3 61.
2 61.
5 62.
7 64.
3 65.
7 69.
1 69.
6 69.
2 67.
3 67.
9 67.
6 67.
1 63.
6 61.
2 59.
1 78 94.3
항타
15 25.
4 43.
6 48 50.9 54.
7 56.
7 57.
3 57.
3 58.
5 57.
8 60.
5 62.
3 65.
2 66.
4 65.
9 65 63.6 63.
9 63.
5 60.
8 57 54.9 50.
5 74.
6

7.
5 34.
1 44.
9 51.
7 60.
1 53.
9 57.
1 62.
4 63.
4 56.
4 61.
9 61.
1 80.
4 69.
2 64.
5 66.
8 62.
6 59.
9 59.
6 57.
1 53.
9 50.
9 48 81.4 85.
4
-5 작업
15 32 42.2 51.
8 60.
8 47.
6 56.
3 57.
2 58 54.1 57.
6 58.
6 73.
4 64 62.5 63.
9 60 58.5 57.
4 55.
3 52.
5 49.
6 47.
1 75.
5 81.
9

-6 작업 7.
5 41 56.
7 57.
2 65.
2 59.
3 62.
5 64.
2 63.
5 65.
6 67.
9 66.
9 67.
7 67.
2 68.
9 66.
8 67.
5 64.
9 63.
9 62.
6 58.
4 56.
5 56.
2 77.
9 80.
2

작업 7.
5 41 53.1 61 70.4 65.
1 67.
5 70.
5 71.
2 72.
9 68 70.
2 72.
6 71.
3 75 72.7 73.
2 73.
1 68.
5 67.
3 64.
3 62.
2 61.
1 83.
2 85.
6
-7
항타 7.
5 41.
7 52.
8 57.
8 64.
4 65.
3 69 69.8 70.
3 72.
6 75 72.
8 74.
9 74.
7 75.
5 74.
2 73.
9 74.
1 70.
8 68.
8 67.
7 65.
4 66 84.7 93.
7

작업 7.
5 38.
8 50.
3 58.
3 63.
5 58.
9 69.
6 71.
5 69.
4 70.
9 71 68.8 73.
2 69.
6 71.
2 72.
3 69.
6 66.
3 65.
2 64.
6 61.
9 59.
4 55.
7 81.
6 84
-8
항타 7.
5 54.
1 56.
2 58.
2 62 59.6 70.
6 72 70.4 72.
2 72.
6 72.
3 73.
7 74.
6 76.
7 75.
1 74.
5 72.
2 71.
4 69.
7 68.
3 65.
8 62.
7 84.
6 94.
9

7.
5 29.
5 44.
7 57.
9 66 54.
8 57.
6 62.
8 67.
3 68.
6 67.
5 69.
2 70.
3 71.
5 70.
6 70.
9 70.
1 69.
4 69.
3 67.
5 64.
8 61.
5 58.
7 80.
6 89.
5
-9 작업
15 26.
8 43.
9 57.
7 66 53.
4 56 60.3 62.
3 63.
3 64.
3 65.
1 63.
2 67 66.1 65.
9 64.
6 64 62.6 61.
2 57.
9 55.
5 52.
7 75.
6 85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무부 7.
5 33.
9 52.
2 51.
9 51.
7 55.
3 56.
6 65.
4 61.
4 57.
3 57.
7 59.
4 61.
8 64.
5 64.
8 64.
4 63 62.2 61.
2 58.2 56.
8 56.
2 55 73.8 74.
7
하 15 29.
6 50.
6 50.
4 50.
2 53.
2 53.
7 55.
6 54.
1 54.
8 55.
6 59.
7 57.
1 61.
1 59.
6 60.
1 59.
5 56.
8 55.
1 52.6 49.
7 50.
2 47.
9 69.
2 70.
2
T-10
7.
5 36.
9 50.
1 53.
3 56.
5 55.
8 59.
6 66.
7 64.
9 66.
1 67 66.3 71.
3 73 71.7 69.
9 70.
3 68.
2 68.
5 64.
2 61.9 57.
6 54.
1 80.
3 85.
7
작업
15 32.
2 46.
1 51 53.3 54.
1 57.
1 58.
3 60.
8 64.
6 64.
9 64.
5 65.
2 67.
9 68.
7 68 70.4 68.
2 67.
3 61.
9 58.9 54.
9 51 77.6 82.
8

7.
5 33.
8 44.
6 54.
3 59.
4 55.
3 58 61.5 60 64.1 65.
4 65.
2 71.
5 66 67.
1 65.
7 65.
3 65.
4 63.
2 60.
8 58.
2 55.
7 54 77 81. 9
-11 작업
15 31.
9 44.
4 53.
6 58.
9 53.
8 58.
5 59.
3 57.
8 66.
9 63.
1 62.
7 69 63.
9 66.
1 64.
5 64 63.8 61.
3 59.
2 56.
5 54.
5 53.
1 75.
6 78.
9

7.
5 27.
8 43.
8 51 60 50.9 51.
5 52.
5 57.
1 65.
1 59 60.8 63.
7 64.
2 63.
6 62.
9 64.
1 65.
4 63.
9 64.
8 63.
1 58.
3 52.
9 74.
7 82.
8
-12 작업
15 26.
8 42.
9 47.
9 56.
2 50 51.
1 51 52.9 55.
8 54.
4 59.
8 62.
1 61.
5 61.
8 60.
9 61.
3 61.
6 58.
3 56.
4 56 52.8 49.
8 71 81.6

7.
5 35.
1 55.
8 61.
2 66.
8 65.
7 68.
8 74.
9 77.
8 79.
9 80.
3 79.
7 79.
6 79.
1 80.
4 81 82.4 79.
5 76.
6 75 73.2 70.
2 67.
3 90.
5 99.
5
U-1 작업
15 32.
4 50.
8 59.
8 66.
8 61.
3 66.
2 71.
6 75.
1 73.
3 74.
5 73.
8 74.
7 73.
7 74.
2 78.
3 77.
3 75.
1 72.
7 69.
8 68.
3 65.
3 60.
9 85.
8 95

7.
5 36.
1 58.
8 57.
6 61.
1 59.
7 64.
2 73.
2 77.
1 78.
8 80.
5 82.
7 81.
4 81.
4 82.
4 84.
7 84.
5 81.
1 78.
6 76.
7 74.
7 72.
1 68.
3 92.
3101.
9
-2 작업
15 33.
2 53.
8 57.
8 63.
2 59.
7 58.
3 64.
3 72.
5 72.
5 76.
1 75 76.4 76.
3 77 76.9 76.
7 73.
7 72.
7 70.
7 68.
2 66.
3 62.
5 86 95.1

7.
5 36.
1 58.
9 56.
4 67.
8 71.
1 77.
3 80.
5 81.
5 81.
8 85.
4 86.
7 86.
6 85.
4 82.
1 83 83.3 81.
2 81.
7 79.
4 76.
1 73.
5 68.
8 94.
7103.
2
-3 작업
15 31.
7 55.
7 57.
2 63.
3 62 67.2 72.
8 80.
8 80.
1 81 81.6 80 80.1 78.
2 78.
2 79.
6 78.
5 78.
9 77.
4 75.
8 72.
5 66.
3 90.
6 99

7.
5 38.
5 55 57.7 65.
2 71.
3 75.
1 80.
5 79.
6 87.
8 87.
1 84.
1 85 85.
2 84.
4 84.
1 82.
5 81.
4 79.
8 77.
7 74.
4 70.
2 67 95.2101.5
-4 작업
15 33.
9 54.
8 58.
5 64 63.5 69.
2 74.
3 77 82.3 81.
4 80.
3 81.
9 82 81.
3 79.
2 78.
8 77.
9 77.
1 74.
7 71.
4 68.
2 66.
1 91.
1 97.
2

7.
5 38 55.
9 62.
7 65.
6 68.
2 75.
9 80.
7 81.
9 83.
1 84.
7 83.
5 83.
3 82.
4 81.
7 82.
1 80.
2 78.
4 79.
1 77.
5 74.
3 70.
1 68.
5 93.
2101.8
-5 작업
15 35.
4 55 63.
4 67.
5 62 72.8 79.
7 78.
6 78.
9 79 79.8 79.
9 79.
5 78.
3 78.
8 76.
6 74.
9 76.
1 73.
9 71.
1 67.
5 65.
8 89.
8 98.
4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
6k 2 k 2.
5k3 .
15k 4k 5 k 6.
3k O.A Lmax
7.
5 32.
1 48 49.3 57.
5 61.
4 63.
1 72.
3 73.
7 74.
9 72.
1 72 77.7 77.
4 79.
6 78.
3 78.
1 77.
8 73.
7 70.4 68 65.
6 61.
5 87.
2 89.
5
V-1 작업
15 31.
6 41.
8 45.
8 53.
7 55.
3 58.
8 69.
1 69.
8 71.
2 64.
2 65.
3 70.
1 68.
2 72.
5 70.
5 70.
9 70.
9 67.
3 64.
7 63.
2 61.
1 56.
5 80.
6 82.
8

7.
5 31.
8 49.
8 49.
3 58 56.
1 59.
3 64.
3 64.
8 64.
3 67.
4 66.
2 69.
4 72.
7 75.
5 75 74.7 76.
7 72.
5 70.
5 69.
7 70.
9 65.
3 83.
7 89.
2
-2 작업
15 26.
5 40.
9 41.
6 47 48.
9 52.
7 58 52.8 55.
8 61.
9 61.
7 66 66.9 69.
5 69.
3 70.
6 72.
2 68.
6 66.
6 66.
5 65.
3 60.
3 78.
8 84.
5

7.
5 36.
7 47 59.
1 66 70.2 65.
7 66 66.8 73.
4 73.
6 70.
9 75.
7 79.
3 80.
2 80.
8 82.
7 79.
5 82.
1 77 80.3 74.
9 74.
3 90.
2 93.
7
-3 작업
15 29.
3 46 57.
1 64.
9 62.
4 53.
8 57.
3 55.
5 64.
3 64.
5 64.
3 73 73.9 74.
5 74.
8 75.
7 74 77.2 72.
5 74.
5 69.
3 69.
1 84.
5 88.
3

W-1작업 7.
5 24.
2 41 41.
2 55.
7 62.
3 57.
1 55.
9 63 64.
4 71.
5 75.
6 78.
1 79 81.
3 82.
2 83.
7 85.
5 88.
3 89 88.
7 87.
3 87.
6 96.
6 98.
7

-2 작업 7.
5 38.
2 52.
9 63.
3 66.
9 73.
1 64.
8 67.
6 71.
2 73.
7 72.
2 76.
4 81.
1 82.
3 82.
7 83.
5 84.
6 86.
2 90.
1 90 88.
4 86.
8 84.
6 97 99.
5

-3 작업 7.
5 35.
5 52.
2 63 61.
8 71.
8 62.
3 66.
6 66.
7 69.
5 69.
1 73.
8 81.
6 82.
8 82.
5 82.
2 85.
5 86.
2 89.
1 89 88.
4 90 88.
5 97.
6 99.
4

-4 작업 7.
5 38 50.
8 63.
9 62.
6 72.
1 60.
6 64.
2 65.
2 70 67.
7 70.
3 75.
2 80.
8 77.
1 80.
5 80.
6 84.
3 89.
8 88 87.
6 87.
6 87.
4 96.
3 98.
6

무부하 7.
5 32.
3 48.
5 54.
3 53 59.6 63.
9 64.
1 57.
5 61.
5 68.
7 65.
2 65.
9 67.
3 69.
6 71.
4 69.
4 67.
6 64.
6 63.
6 59.
8 57.
3 57.
7 78.
4 79.
5
-5
작업 7.5 32 50.9 64.
9 58.
1 68.
8 59.
4 64 67.5 69.
5 71.
9 71.
8 74.
2 74.
4 79.
7 82.
5 77.
9 82.
5 79.
6 80.
1 77.
2 75 74.5 89.
7 92.
1

무부 7.
5 23.
1 39.
5 61.
5 53.
1 51.
9 58.
2 55.
1 59.
6 59.
1 57.
4 63.
8 64.
9 64.
7 64.
7 65.
4 66 64.5 63.
4 60 58.1 55.
7 53.
6 75 80
하 15 18.
6 37.
3 59.
8 50.
3 48 51.7 49.
5 54.
8 55.
7 51.
7 56.
3 55.
9 57.
5 58.
6 60.
9 61.
3 59.
7 58.
5 54.
9 53.
9 50.
7 49.
4 69.
7 74.
1
-6
7.
5 27.
7 38.
8 48.
1 53.
1 72.
5 57.
1 57.
5 61.
5 63.
8 69 74 76. 2 80.
2 80.
3 80.
9 80.
8 82.
1 85.
9 85.
9 85.
5 83.
2 80 93.5 95
작업
15 22.
6 34.
4 43 49.4 69.
1 52.
7 52.
1 58.
5 58.
9 62.
4 68.
1 68.
8 73.
5 74.
1 75 74.8 75.
7 78.
4 78.
7 78.
4 75.
3 74.
1 86.
7 88.
1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무부 7.
5 16.
8 50.
5 61.
5 49.
7 51.
1 53.
5 56.
2 60.
3 58 55.6 62.
6 64.
1 65.
3 65 65.1 66.5 65 62.4 58.7 57.
1 54.
9 52 74.8 77.
8
하 15 14 45.
6 58.
7 46 46.
1 48.
4 50.
3 55.
4 56.
1 52.
8 54.
3 54.
9 56.
3 59.
9 60.6 60.
8 59.
8 57.
4 54.3 53 50.
2 48.
9 69.
3 72.
1
W-7
7.
5 27.
7 46.
6 48.
2 53.
8 72.
3 62.
2 62.
9 63.
4 63.
9 67.
5 72.
6 75.
8 79.
2 78.
9 78.
9 80.8 82.
3 86.
4 84.
9 84.4 82.
7 80.
4 93.
2 95.
7
작업
15 23.
1 39.
2 43.
6 50.
4 69.
5 56 55.6 58.
9 58.
6 62.
3 67.
5 69.
3 73.
9 74.
9 74.
6 74.9 75.
1 78.
8 78.
8 78.8 74.
7 73.
5 86.
8 89.
3

무부 7.
5 26 44.
2 50 55.1 56.
6 55.
3 55.
1 56.
7 58.
1 63.
7 65.
4 64.
9 69.
3 71 69.2 68.
9 70.
6 70.
8 71.
6 69.
8 74 73.7 82.
8 86.
9
하 15 26.
5 40.
8 47.
9 54.
9 54.
6 51.
6 52.
3 55.
4 55.
4 56.
5 60.
1 59.
9 64.
9 67.
7 64.
7 63.
6 64.
8 64.
7 65.
9 66.
2 70.
2 67.
4 77.
6 80.
4
X-1
7.
5 26.
1 48.
2 50.
2 55.
8 57.
6 60.
9 57.
6 61.
9 63 66.6 69.
1 68.
1 71.
2 73.
3 72.
4 71.
4 72.
8 73 73.5 72.
7 76.
7 75.
5 75.
1 90.
1
작업
15 25.
9 43.
8 47.
4 54 53.9 54.
8 56.
5 57.
5 56.
9 59.
1 63.
4 62.
3 66.
1 68.
9 66.
7 65.
6 66.
3 67.
4 67.
9 67.
8 72.
9 69.
7 80 84.5

무부하 7.
5 21.
4 43.
2 43.
3 56 45.8 52.
9 55.
6 53.
7 54.
5 52.
4 56.
9 59.
8 59.
2 60.
2 63.
3 62.
7 62.
4 57 57 55. 5 53.
8 53 70.8 75.
5
-2 7.
5 25 45.7 49.
1 59.
3 52.
4 54.
1 57.
4 58.
6 61.
1 65.
8 68.
6 71 73.5 77.
3 76.
5 75 76 77. 2 77.
9 77.
6 76.
3 77.
2 87.
3 96.
8
작업
15 21.
9 47 44.7 58.
7 48.
3 51.
1 62.
1 56.
2 57.
1 57.
9 62 64.2 66 68.5 70.
4 70.
3 70.
3 72.
2 72.
8 72.
2 73.
3 72.
1 81.
8 86.
4

7.
5 23.
8 54.
1 53.
5 55.
1 60.
4 56.
3 52.
8 55.
4 58.
8 62.
5 63.
4 66.
3 66.
7 70.
7 67.
9 69 69.6 67 64.2 62.
2 58.
8 56.
6 77.
8 79.
9
Y-1 작업
15 22.
7 50.
8 54.
2 52.
8 55.
9 53.
7 50.
8 52 52.7 56.
5 57.
3 60.
1 61.
8 66.
3 63.
7 62.
6 64.
1 60.
6 58.
6 56.
5 53.
4 51.
4 72.
6 76.
3

-2 작업 7.
5 33.
4 55.
4 57.
1 60.
4 59.
6 57 60.
1 56.
3 59 67 61.
2 60.
4 61.
8 60.
9 63.
6 63.
5 59.
3 58.
2 57.
9 56.
9 52.
6 47.
9 73.
4 82.
7

Z-1 작업 7.
5 42.
1 56.
8 60.
7 64.
8 62.
9 61.
6 64.
6 61.
8 65.
1 63.
6 61.
6 60.
8 62.
1 64.
5 64.
2 64.
2 62.
6 58.
5 56.
7 55 52.
1 48.
9 75 80.
1

a-1 작업 7.
5 24.
7 34.
6 48.
3 51.
7 48 53.
8 61.
1 59.
7 60.
8 61.
1 63.
4 65.
9 67.
4 69.
4 74.
1 69.
3 68.
9 66.
6 66.
8 66.
6 63.
4 70.
7 80.
3 81.
6

b-1 작업 7.
5 29.
8 42.
3 43.
8 46.
1 51.
4 54.
5 53 55.
6 57.
2 60 60.
2 62.
9 64.
3 64.
6 67 67.
5 63.
9 62.
2 58.
8 59 57.
6 53.
6 74.
3 82.
8

-2 작업 7.
5 27.
3 44.
8 43.
2 47.
5 57.
5 57.
4 57.
6 57.
5 58.
3 59.
6 61.
8 66.
2 64.
7 65.
8 67.
2 67.
9 65.
9 65.
3 59.
7 58.
3 59.
2 54.
9 75.
6 80.
9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 .
6k 2 k 2.
5k3 .
15k 4 k 5 k 6.
3k O.A Lmax
7.
5 19.
8 34.
7 38.
4 50 41.1 48.
7 47.
1 49 56.3 54.
9 55.
4 58.
5 62.
8 63.
1 59.
5 60.4 60.
7 61.
4 57 59. 5 59.
3 51.
4 71.
2 72.
1
시동
15 15.
3 29.
1 34 46 38. 4 50.
4 43.
2 42.
1 51.
8 49.
4 50.
6 54.
6 55.
2 54.
1 55.4 55.
2 55.
7 54 51. 9 55.
1 54.
8 44.
9 65.
6 67.
2
c
-1
무부 7.
5 22.
8 40.
2 45.
8 61.
9 51.
5 56.
4 61.
5 64.
2 67.
1 66.
2 68.
5 70.
5 69.
3 69.
6 70.
5 71.2 70.
3 70 67.8 66 65. 2 62.
5 80.
6 84.
1
하 15 19.
7 36.
2 43 61.2 50 54.4 59 60.3 69.
2 61.
2 65.
6 66.
7 63.
1 63.
7 65.
5 65.8 64.
8 64.
5 62.
4 60.5 59 56.1 76.
2 78.
7

7.
5 19.
6 32.
8 38.
1 45.
3 41.
1 47.
9 46.
5 45.
8 49.
1 52.
7 54.
1 53.
9 58.
1 61.
2 60.
9 59.
5 60.
1 55.
7 49.
9 50.
7 47.
3 41.
6 68.
3 69.
2
시동
15 18 29.
6 33.
3 42.
5 38.
1 45.
7 46.
2 46 43.3 44.
5 44.
3 53.
5 55.
4 54.
9 55.
9 55 55.2 51.
8 45.
6 46.
9 42.
7 37 63.8 64.
5
-2
무부 7.
5 25 36.
4 47.
9 51 49.2 57.
9 57.
8 66.
3 62.
4 62.
8 68.
5 63.
6 66.
3 66 67.8 66.
4 66.
8 65.
6 63 62.3 60.
5 57.
7 77.
3 80.
5
하 15 21.
8 32.
9 45.
5 48.
6 46.
7 56.
6 56.
5 59.
2 54.
1 55.
5 64.
3 59.
1 60.
4 59.
5 62.
3 60.
9 61.
3 60.
1 57.
8 57.
1 55 51.9 72.
1 75.
3

7.
5 26.
2 35 35.4 43.
1 50.
9 45.
1 45.
6 44.
6 48.
4 54.
8 54.
9 56.
1 62.
2 62.
3 60.
9 60.
4 58.
9 60.
2 52.
4 48.
8 49.
7 46.
9 69.
7 70.
4
시동
15 22.
3 31.
8 32.
7 39.
8 46.
8 43.
6 45.
4 42.
8 41.
9 47 47.2 53 59.2 56.
6 55.
9 58.
3 53.
4 56.
4 47.
8 44.
9 44.
6 42.
6 65.
6 66.
8
-3
무부 7.
5 30.
2 43.
5 46 56.1 52.
1 57.
4 57.
9 64 66.3 65.
6 65.
6 65.
2 67.
6 66.
6 69.
1 69 67 67. 2 63.
4 60.
1 58.
9 55.
8 78 79.8
하 15 26.
3 39.
6 43.
2 53.
7 49.
1 59.
8 56.
2 62.
7 59.
1 57.
6 58.
8 60.
1 63.
2 61 63.2 64.
7 60.
8 61.
6 57.
7 55 53 49. 8 72.
9 74.
4

7.
5 24.
6 32.
9 37.
2 39.
5 44.
8 43.
3 42.
4 43.
8 45.
2 55.
4 54.
7 58.
2 57.
9 62.
3 60.
7 59.
4 57.
5 58.
3 51.
4 48.
4 48.
8 46.
6 68.
7 69.
3
시동
15 21.
7 29.
8 36.
7 36.
4 41.
6 41.
4 42.
4 41.
9 40.
1 44.
5 44.
6 53.
8 57.
4 57 55.3 55.
5 52.
5 55 46.6 45.
6 43.
8 41.
8 64.
4 65.
2
-4
무부 7.
5 24 37 42. 9 56.
8 49.
2 57.
2 58.
1 61.
6 64.
3 66.
2 64.
1 69.
6 66.
7 67.
3 69.
4 69.
8 68.
9 67.
8 63.
7 62 60.1 56.
6 78.
4 80.
8
하 15 20.
2 33.
6 40.
3 54.
4 46.
1 56.
5 56.
9 56.
9 57.
6 54.
3 57.
2 66.
1 61.
9 61.
8 63.
3 65.
2 62.
5 62.
6 58.
3 56.
9 54.
7 51 73.
3 76.
2

7.
5 24.
4 39.
4 36.
4 44.
3 49.
7 44.
7 40.
2 42.
5 44.
2 47 49.1 48.
1 55.
3 56 56 51. 8 51.
3 50 50.1 44.
2 44.
5 43.
7 63.
8 64.
9
시동
15 21.
2 35.
2 34.
5 41.
7 46 41.2 39.
2 42.
2 41.
6 41 43.2 45.
7 50 49.1 51.
3 49.
3 46.
9 46.
2 46.
1 41.
9 40.
3 39.
1 59.
2 60.
4
-5
무부 7.
5 24 38 44 58 50 54. 6 50.
5 59.
5 58.
8 59.
9 59.
6 61 63.2 64.
6 65 62.4 61.
4 60.
4 59.
6 56.
4 55 52.1 73.
1 75
하 15 20.
7 34.
1 40.
4 56 46.5 51.
2 53.
6 57.
4 55.
1 50.
3 52.
9 57.
1 57.
9 59 58.7 57.
9 56.
2 55.
2 54.
4 52 49.4 47 68.2 71.
4
거리 주파수 대역별 소음도 (
dBA)
No
. 상태
m) 3
( 1.
5 6 3 8 0 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 k 1.
25k1.
6k 2 k 2.
5k3 .
15k 4k 5 k 6.
3k O.A Lmax
7.
5 27 36.9 34.
7 44.
5 47.
3 46.
1 40.
9 40.
6 42.
3 45.
7 47.
5 47.
4 50.
6 52.
6 52.
3 50.
5 48.
7 48.
9 50 44.7 43.
7 43.
1 61.
3 63
시동
15 22.
6 32.
9 34.
6 41 44.4 43.
8 39.
7 40.
6 40.
4 40 43.7 44.
2 45.
3 50 47.4 46.
8 45.
6 45.
6 44 42.8 41 38.7 57.
6 60
c
-6
무부 7.
5 23 36.8 41.
8 54.
2 45 52.2 58.
8 62.
1 58 59.1 62.
3 61.
5 60.
8 62.
8 64.
9 61.
8 61.
5 59.
2 58.
9 55.
8 53.
5 51.
2 72.
8 74.
6
하 15 17.
7 33.
1 38.
7 50 40.
8 48.
6 53.
1 59.
8 55 50.
1 52.
1 54.
3 55.
9 57.
2 58.
5 56.
7 56.
1 54 52.
5 50.
9 48.
5 45.
8 67.
4 69.
8

7.
5 31.
4 36.
3 50.
6 38.
5 39.
8 47.
7 41.
3 45 46.9 46 47.9 49.
8 50.
1 53.
1 54.
6 53.
8 51.
1 49.
5 51.
6 45.
1 45.
6 43.
5 62.
6 63.
2
시동
15 27 32.
7 46.
8 37.
3 37.
1 43.
7 38.
9 43.
3 47.
4 39.
8 43.
5 47.
8 47.
2 48.
4 48.
6 48.
7 46.
9 45.
5 46.
3 41.
3 40.
7 38.
8 58.
9 59.
5
-7
무부 7.
5 18.
8 41.
7 52.
4 43.
7 45.
8 51.
7 50.
4 58.
5 58.
9 56.
5 57.
1 62.
6 61.
2 63.
1 64.
2 62.
1 60.
7 59.
6 60.
7 55.
9 54.
1 52.
7 72.
3 74.
1
하 15 15.
8 37.
2 48.
3 40.
4 42.
8 49.
2 47.
6 54.
9 56.
3 49.
4 50 58.1 57 57 56. 4 57.
9 55.
1 55 54.9 51.
3 48.
3 46.
9 67.
1 68.
9

무부 7.
5 25.
2 59.
7 52.
8 46 59.
8 55.
4 54.
5 55.
9 58.
8 57.
1 60.
9 65.
5 62.
6 60.
8 62.
1 61.
6 61.
6 61.
1 58.
9 54.
6 54.
9 51.
3 72.
8 74.
8
-8
하 15 25.
7 55.
7 49 42.
8 51 49.6 53.
7 55.
3 58.
5 54.
7 54 56.3 54.
9 56.
2 57.
1 57 55.6 56.
1 54.
4 49.
3 49.
2 45.
3 67.
7 69.
4

무부 7.
5 27.
8 40.
7 45.
9 55.
8 52.
7 60.
7 60.
2 56.
5 60.
6 60.
2 61.
6 61.
9 66 65 67. 1 65.
1 62.
8 62.
4 60.
2 59.
4 56.
3 52.
3 74.
9 77
-9
하 15 26.
7 40.
3 42.
5 52 46.5 58.
9 59.
7 54.
6 56.
5 55.
7 56.
8 57.
4 58.
2 57.
4 61.
7 60.
6 57.
2 55.
4 54.
4 52.
8 49.
6 45.
3 69.
8 71.
5

무부 7.
5 29.
1 42.
5 44.
1 51.
2 51 55 59. 4 63.
6 66.
3 62 61.3 60.
9 63.
5 62.
3 64.
2 63.
3 62.
7 61.
4 60.
5 61.
4 59.
7 56.
2 74.
4 78.
3
-10
하 15 29 40.3 41.
8 49.
6 47.
7 48.
4 59.
4 57.
5 58.
2 55.
4 57.
4 57.
9 60.
1 57.
8 58.
8 58.
9 58.
1 56.
8 56.
2 56.
7 54.
7 50.
3 69.
7 73

무부 7.
5 29.
2 42.
6 47.
2 54.
2 52.
6 53.
3 57.
9 65 64.5 67.
8 65.
5 64.
8 67.
6 68.
4 67.
5 68.
7 65.
9 67.
2 65.
8 64.
1 61.
6 59.
9 78.
2 82.
5
-11
하 15 28.
2 39.
8 44.
5 53.
1 50.
5 48.
6 56.
1 62.
8 59.
3 59.
1 62.
5 60.
6 63.
9 64.
7 62.
8 65.
1 61.
3 64.
8 62.
2 59.
9 57.
3 54.
8 74.
2 80.
4

7.
5 27.
5 46.
9 49.
5 51.
9 61.
4 59.
1 60.
5 66.
6 68.
1 71.
6 70.
3 72.
4 71.
3 71.
9 72.
1 71.
6 76.
8 74.
1 67.
2 66.
4 63.
9 60.
4 83.
2 86.
5
d-1 작업
15 27.
4 44.
4 45.
9 50.
6 62.
6 57.
6 61.
9 65.
4 65.
3 64.
9 64.
6 66.
2 67.
3 66.
8 66 64.4 65.
6 64.
4 61.
3 60.
1 56.
7 53.
4 77.
1 78

7.
5 27.
2 45.
6 48.
8 58 64.7 61.
5 64.
2 66.
1 68 71.4 71.
5 74.
2 74.
5 74 74.4 73.
1 72.
3 69.
7 68.
1 65.
5 64.
1 61.
2 83.
9 84.
5
-2 작업
15 26.
7 42.
7 44.
5 53.
5 59.
9 58.
6 62.
1 61.
7 63.
8 61.
5 63.
3 67.
4 69.
3 68.
3 67.
9 65.
4 65.
3 63.
3 62.
3 59.
7 56.
8 54.
3 76.
8 78.
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