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6

2019년도 주요사업 최종보고서(창의시드형) KICT 2019-04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Human Behavior Analysis for a Pedestrian
Guidance System in Emergency Evacuation

2019.12.
2019년도 주요사업 최종보고서(창의시드형) KICT 2019-04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Human Behavior Analysis for a Pedestrian Guidance
System in Emergency Evacuation
201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노창균
연구수행자/ 박범진, 김영민, 김지수
제 출 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과제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9년 12월 31일

연구기관명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자율주행도로연구센터
연구책임자 : 수석연구원 노창균
참여연구원 : 연 구 위 원 박범진
수석연구원 김영민
전임연구원 김지수
요 약 문
I. 연구 제목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II. 연구개발의 목적
인간의 본능적 행태를 고려한 직관적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분석 및 연구(공간적 범위: 실내 복도 공간)
- (대표 성과물1)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 및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한 인간의 본능적
행동 분석 기술 확보
- (대표 성과물2) 긴급상황 발생시의 인간의 본능적 행동특성(행태) 분석
- (대표 성과물3) 긴급상황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보행안내 시스템 개선방안 도출

III. 연구개발의 필요성


대구지하철 참사 사고와 같이 지하공간은 긴급상황 발생시 연기, 전력 차단 등으로 인하여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가 다수 발생하며, 이때 안내체계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대형 인명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은 이성적 판단 및 행동보다는 본능적 행동이 발현되어 일상적인
안내체계로는 정상적인 대피 유도가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 지하복합공간 개발이
다수 진행되고 있는 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이 발현되어도 자연적으로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대피경로 유도시스템이 필요하다.

IV.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
- 실내 보행로상 긴급상황 발생 및 이에 따른 전원 차단 상황 재현

- i -
○ 동작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긴급상황시 인간의 본능적 신체 움직임 행태 및 가용범위 분석
- 분석 동작: 일반상황, 상황 발생시점, 상황 발생 후 대피시 동작
- 분석 범위: 시각 위치, 신체 크기, 손의 위치 등
○ 인간 행태를 고려한 긴급상황 경로안내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 도출
- 인간의 본능적 행동을 고려한 기존 시설물의 설치 위치 개선 방안 도출
- 전원 차단 상황에서도 강건한 신규 시설물 도출
○ 도출된 시설별 동작분석 결과를 반영한 활용 가능성 검토 및 향후 확대연구 방향 정립
- 구체적 활용방안 정립: 제약사항 검토 및 극복방안

V. 예상 대표성과
○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 및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한 인간의 본능적 행동 분석
기술 확보
○ 긴급상황 발생시의 인간의 본능적 행동특성(행태) 분석
○ 긴급상황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보행안내 시스템 개선방안 도출

VI.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활용방안)본 연구의 확장을 통해 보다 완성도 높은 긴급상황 대응 보행안내 시스템을 구현
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사고 경감을 위한 기술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인간 본능적 행동을 반영한 긴급상황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구성
- 긴급상황 대피 훈련용 컨텐츠 및 시스템
- VR 기반 실내공간 긴급상황 대피경로 안내 체계 진단 기술 및 역설계 기술
- 긴급상황 경로안내 시설물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 (파급효과)대규모 실내공간에서 발생한 긴급상황으로 인한 사상자의 감소는 사회·경제적
사고비용을 경감시키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 대규모 인명사고가 동반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때 2차 원인(대피시 잘못된 경로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사상자만 감소시켜도 전체 사상자의 약 20%를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대구지하철 참사 사망자의 20% 경감시: 152억원 파급효과 기대)

- ii -
Executive Summary

I. Title

Human Behavior Analysis for a Pedestrian Guidance System in Emergency Evacuation

II. Objectives

Analysis and research of core source technology for constructing intuitive emergency situation
walking guidance system considering human instinctive behavior
- Obtain technology of human instinctive behavior analysis by using VR to reproduce
emergency situation and motion analysis system
- Analysis of human instinctual behavior (behavior) in case of emergency
- Elucidation of improvement plan for walking guidance system

III. Necessities

As in the case of the Daegu subway acciden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nderground
space can not secure visibility due to smoke or electric power interruption in case of
emergency. At this time, the guidance system can not exert its function and the possibility of
large personal accident is very high.
Also, when an emergency occurs, humans exhibit instinctive behaviors rather than rational
judgments and behaviors, and normal evacuation guidance is very difficult to induce normal
evacuation. Many large underground complex spaces are under development, and a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s needed for natural evacuation guidance even if human instinctive
behavior is manifested.

IV. Contents and Scopes

○ Recreate emergency situations using VR


- Emergency situation on the walkway on the indoor floor and recreating the power-off
situation accordingly

- iii -
○ Analysis of human instinctive body movement behavior and available range in case of
emergency using motion analysis system
- Analysis operation: General situation, when the situation occurs, when the situation
occurs after the evacuation
- Analysis scope: visual position, body size, hand position, etc.

○ Elucidation of types of emergency facilities and installation location considering human


behavior
- Designing improvement plan of existing facilities considering human instinctive behavior
- Derive robust new facilities even in case of power failure

○ Examination of applicability that reflects the result of motion analysis of each facility and
establishment of future research direction
- Establishment of concrete utilization plan: Review and overcome limitations

V. Expected Representative Performance

○ Securing human instinct behavior analysis technology by using emergency VR and motion
analysis system
○ Analysis of human instinct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havior) in emergencies
○ Finding ways to improve the pedestrian guidance system to minimize casualties in
emergency situations

VI. Utilization and Expected effect

Through the expansion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complete emergency response walking guidance system and apply it to the field to use
it as a technology to reduce human casualties in case of emergency.
-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reflecting human instinctive behavior
- Emergency evacuation training contents and system
- VR-based indoor spac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diagnosis technology
and reverse design technology
-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route guidance facilities
Reduction of casualties caused by emergency situation in large-scale indoor space is expected
to have a large economic impact by reducing social and economic accident costs.
- It is expected that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will be accompanied by a large number
of casualty accidents.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about 20% of all
casualties by reducing the casualties caused by the secondary cause

- iv -
목 차
제1장 서 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표 및 주요 연구내용·····················································································3
2.1 연구 목표··········································································································3
2.2 연차별 연구목표·······························································································4
3. 연구 추진 체계 및 전략 ··························································································5
3.1 연구 추진 체계 ·································································································5
3.2 연구 추진 전략 ·································································································5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 9
1. 연구동향 조사(문헌) ·······························································································9
1.1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303) ·········································9
1.2 관련 기존 연구 검토 결과············································································14
2. 국외 사례 분석(일본) ···························································································24
2.1 문헌조사 결과 ································································································24
2.2 일본의 지하공간 긴급상황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 ······································29
3.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문제점 분석 및 도출································32
3.1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32
3.2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문제점 도출 결과·····························34
4. VR 콘텐츠 개발 및 활용 현황 ·············································································37
4.1 VR콘텐츠 개발 현황 ·····················································································37
4.2 재난 관련 분야에서 활용중인 VR 콘텐츠 현황··········································38
제3장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분석을 위한 체계 수립 ················································· 39
1.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39
1.1 긴급상황 대피시 인간의 행동특성 분석을 위한 동작분석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39
2.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행태 측정 및 분석을 위한 환경 제작······························43
2.1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행태 측정을 위한 동작분석 시스템 구성·················43

- v -
제4장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VR 콘텐츠 구현 ·························································· 45
1.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45
1.1 게임엔진·········································································································45
1.2 VR 기기·········································································································46
2. VR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개발환경 검토 및 구성 ················································47
2.1 Unity 2018 엔진 ·························································································47
2.2 HTC VIVE Pro 재원 및 사양 ····································································49
2.3 VR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개발환경 구성······················································51
제5장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VR 콘텐츠 구현 ·························································· 53
1.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나리오 수립 ··································································53
2. 시나리오에 따른 콘텐츠 개발을 위한 리소스 ·····················································54
2.1 3D 모델링 ······································································································54
2.2 사운드 ·············································································································54
3. VR 구현을 위한 Unity 구성 ···············································································55
3.1 Steam VR Plugin 설치·············································································55
3.2 Unity XR Settings ····················································································57
4. 시스템 아키텍처 및 VR 콘텐츠 구현 ··································································58
4.1 리소스 배치 ····································································································58
4.2 Main 오브젝트 ······························································································61
4.3 시나리오 구현 ································································································63
4.4 VR 콘텐츠 실행 결과 ···················································································67
제6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 69
1.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의 본능적 행동 측정 및 결과···········································69
2. 연구개발 제안서 도출 결과 및 진행사항 ·····························································72
2.1 연구개발 제안서 도출 결과 ··········································································72
2.2 자원투입 계획 ································································································74
2.3 연구개발 제안 현황 및 계획 ·········································································74
3. 연구수행 결과 ········································································································75
4. 기대효과 ·················································································································76
4.1 성과활용계획 ··································································································76
4.2 파급효과·········································································································76
참고문헌 ······················································································································ 79

- vi -
표목차
표 1. 연차별 세부 연구목표 및 내용 ························································································4
표 2. 성과지표 및 연차별 목표 ·································································································6
표 3. 성과지표 설명 및 측정방법······························································································6
표 4. 성과지표의 목표치 도출 근거 ··························································································7
표 5. WBS 달성도 ·····················································································································7
표 6.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10
표 7. 통로유도등의 규격 및 평균휘도 ····················································································10
표 8. 설치 위치별 통로유도등의 예 ························································································11
표 9. 피난구유도표지의 예 ······································································································11
표 10. 피난유도선의 예 ···········································································································11
표 11. 통로유도등의 조도측정 기준 및 설치 높이································································12
표 1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현장조사 항목 ··························································33
표 13. Oespery의 기기적 성능 ······························································································43
표 14. Unity 2018 시스템 요구조건··················································································48
표 15. Vive Pro 사양···········································································································50
표 16. 최소 PC 사양···············································································································50
표 17. 하드웨어 구성 ···············································································································51
표 18. 소프트웨어 구성 ···········································································································51
표 19. KictVRManager 오브젝트 및 클래스의 싱글턴 선언 ·············································61
표 20. KictVRManager 클래스의 변수 및 enum 값························································62
표 21. 단계별 시나리오 재현 방법·························································································64
표 22. 키보드 스페이스바 입력 감지 ·····················································································65
표 23. 단계별 시나리오 재현 ··································································································65
표 24. 단계별 시나리오 실행 결과·························································································67
표 25. 긴급상황 재현 상황별 인간의 움직임 행태 측정 결과 ··············································70
표 26.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 과제카드 도출 결과 ·······················································72
표 27. 긴급상황 재현 상황별 인간의 움직임 행태 측정 결과 ··············································77

- vii -
그림 목차
그림 1. 사회재난 발생 추이 ·····································································································1
그림 2. 연구개발 목표 ················································································································3
그림 3. 연구 추진 체계 ··············································································································5
그림 4. 행동과학 이론 바탕의 피난행태 예측 ······································································14
그림 5. 화재시 재실자 행동 기반 피난 행태 분석 방법론····················································15
그림 6. 정적 최단경로 ·············································································································16
그림 7. 동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 ··························································································16
그림 8. Moving Cell Model을 ·····························································································16
그림 9. 대피소 용량을 고려한 동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 흐름도·········································17
그림 10. 대피소 용량을 고려한 경로 선정 흐름도································································18
그림 11. 재난 발생시 비차량 이용자의 Pick-up위치 선정 알고리즘(안) ··························18
그림 12. 중앙로역 통행도 인지정도 ·······················································································19
그림 13. 화재인지 후 행동······································································································20
그림 14. 피난결정 요인 ···········································································································21
그림 15. 피난시 층별 시야 확보 거리 ····················································································21
그림 16. 피난시 층별 화재로 인한 열기 정도 ·······································································22
그림 17. 앞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 ·····················································································23
그림 18. 비상유도등 인지 및 도움 여부 ················································································23
그림 19. 긴급상황 피난자 경로 유도 예시············································································24
그림 20. 재해시의 디지털 사이너지 활용 이미지··································································25
그림 21.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아바타 ··················································································27
그림 22. HMD를 착용한 피험자····························································································28
그림 23. Kinect에 의한 자세 정보 취득 ···············································································28
그림 24. VR공간 내에서의 행동 선택 설문조사···································································28
그림 25. 코 부위의 온도 측정 ································································································28
그림 26. 전두부의 뇌 혈류 측정 ·····························································································28
그림 27. 신바시역 탑승구간의계단 비상문 및 피난계단 출입구, 방재 매뉴얼 ···················29
그림 28. 신바시역 연결공간의 차단스크린 설치 지점 비상구 유도 표식 설치 현황 ··········30
그림 29. 도쿄역 탑승구간 계단의 유도 표식 설치 현황 ·······················································30
그림 30. 도쿄역 연결공간 출입구 및 유도표식 현황, 방재센터 ···········································31
그림 31. 비상유도등 인지 및 도움 여부 ················································································32
그림 32. 국내 긴급상황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 결과 ····························································34
그림 34.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 VR 기술 ·········································································37
그림 35. 체감형 소방관 가상 직무훈련 시스템 ···································································38
그림 36. 국내외 재난상황 간접체험 콘텐츠 ···········································································38
그림 37. 동작분석시스템·········································································································40
그림 38. 적외선 카메라 ···········································································································40
그림 39. Helen Hayes marker (출처: Motion Analysis User Guidebook) ············41
그림 40. 동작분석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신체 움직임 예시 ················································42
그림 41. 데이터 취득 및 기초 분석 결과 예시 ·····································································42
그림 42. 동작분석 시스템 구성안···························································································43
그림 43.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목적으로 재설정한
마커셋 ························································································································44
그림 44. HTC VIVE Pro Full Kit ·····················································································49
그림 45. 정전 상황 및 비상구 유도 표식 ·················································································53
그림 46. 3D 모델링 리소스 ··································································································53
그림 47. Unity Asset Store에서 제공하는 Steam VR Plugin ······································55
그림 48. Steam VR Plugin 패키지 구성············································································56
그림 49. Steam VR Plugin Prefab 설정··········································································56
그림 50. Plugin Prefab 설정 후 실행 테스트 화면 ···························································57
그림 51. Unity XR Settings ·······························································································57
그림 52. 실내 3차원 모델링 배치 ·························································································58
그림 53. 비상구 표지판 배치 ···································································································58
그림 54. HTC VIVE Controller 모델링 교체 ····································································59
그림 55. KictVRManager 클래스 Inspector ·····································································62
그림 56. KictVRManager 오브젝트에 연결된 AudioSource Inspector ························63
그림 57. 외부입력에 따른 시스템 흐름도··············································································64
그림 58. 1단계(평시) 인간 이동행태 측정 ············································································69
그림 59. 2단계(상황발생, 원거리 광원) 인간 이동행태 측정··············································70

- ix -
그림 60. 3단계(전원 완전 차단) 인간 이동행태 측정··························································70
그림 61. 기존 경로유도시스템 효용성 검토 결과··································································75

- x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비롯하여
2017년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 및 서울 고시원 화재
등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킨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고를 태풍,
호우 및 폭설 등 풍수해(자연재해)와 구분하여 사회재난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재난은 행정안전부에서 2005년 이후부터 통계로 집계하기 시작하였으며,
최초 시행된 2005년 3건에서 지난 2017년 16건으로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집계된 사회재난은 정부가 규정한 26종의 재난을 기준으로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가 꾸려진 경우에 해당된다. 그림 1과 같이 2015년 잠시 감소하였으나,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재산피해액은 더욱 증가하였다.

그림 1. 사회재난 발생 추이

제1장 서 론 1
행정안전부 자료를 인용한 기사1)에 따르면, 2005~2017년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규모는 284명인 반면 사회재난의 경우 905명으로 3배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재산
피해액 또한 동일 기간 사회재난 피해액이 9조 4448억원으로 자연재해 피해액 8조 171
억원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10년 이후 사회재난의 피해가 더욱 커진 결
과에 의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자연재해의 경우 점차 예측력이 강화되고 태풍의 경우와 같이 사전에 예산을 투입하여
사전에 시설 관리를 포함한 대응이 이루어지는 탓에 피해 규모를 최소화 한 반면, 사회
재난은 상대적으로 예측이 어렵고 사고의 원인 및 피해 발생 형태가 모두 달라 사전 대
응이 어렵다. 또한 사회재난은 사고가 발생된 후에야 이에 대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예산투자 및 시설 정비 등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대형 사회재난 발
생시 그 피해액 및 사상자은 더욱 크게 발생하여 왔다.
사회재난 중에서도 실내공간 특히 지하공간에서 발생한 상황은 발생한 연기 및 전력 차
단 등으로 인해 대피자의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가 다수 발생하며, 비상구 표지등을
포함한 유도 안내체계에 의존하여 대피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출구를 찾아 나와야 하는
상황이 대부분이다. 이때 유도 안내체계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대형 인명사고
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경우 적절한 대피 안내가 이루
어지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안내체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해2) 사상자가 더욱 발생하
였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하공간을 포함한 실내공간에 대한 안내체계는 대구 지하
철 화재 참사 이후에도 큰 변화가 없다. 반면, 현재 서울 도심권 지하도시 조성계획(서울
시청-을지로-동대문, 총길이 4.5km, 3만 1,000㎡) 및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지
하 6층 규모, 16만㎡)을 포함하여 대규모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 계획이 진행되고 있어
사회재난에 취약한 도시공간은 더욱 증가 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도시공간 구조의 변화와 사회재난 피해 저감을 위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긴급상황 안내체계가 필요하다. 대피자는 상황 발생시 이성적 판단보다는
본능적 행동에 의해 출구를 찾아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기존 안내체계가 피난자의
행동에 맞지 않는 부분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분석 방법론 포함)이 필요하다. 이
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한 피난자 유도가 가능할 것이다.
1) 지난해 재난피해액만 3000억…화재·AI 등 사회재난 늘었다, 이데일리, 2018.8.7.
사회재난, 빈도 늘고 피해 규모 대형화 [제천 화재 1년, 우리는 얼마나 달라졌나], 세계일보,
2018.12.23
2) 홍원화, 전규엽(2005), 대구지하철 화재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 안전피난대책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 연구목표 및 주요 연구내용
2.1 연구 목표
본 과제의 연구목표는 ‘사회재난 상황 등 긴급상황 발생시 발현되는 인간의 본능적 행태
를 고려한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원천 기술에 대한 분석 및 연구’
이다.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긴급상황시에는 인간은 이성적 판단
이 불가능하며 본능적 행동이 발현되어 무의식중에 출구를 찾아 이동하는 행태를 보인
다. 이를 분석하여 무의식 중에도 인지할 수 있으며, 시선이 위치하는 곳에서 정보를 제
공하고, 손을 뻗으면 이용 가능한 시설로 긴급상황 대피경로 체계가 구성된다면 기존 대
비 사상자 및 사회비용 경감이 가능할 것이다.

그림 2. 연구개발 목표

제1장 서 론 3
상기 연구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서브 연구개발 목표로 설정하였다. 설정한 서브 연구개발목표는 다음과 같이 총 3
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 및 분석 기술 확보
∙ 긴급상황 발생시의 인간의 본능적 행동특성(행태) 분석
∙ 긴급상황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보행안내 시스템 개선방안 도출
긴급상황은 VR 콘텐츠 개발을 통해 가상의 상황을 재현하였으며, 재현된 상황에서 인간
의 본능적 행동을 측정한다. 이때 인간의 행동은 동작분석시스템(Motion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신체 분절점별 Kinetic(운동역학) 및 Kinematic(운동학) 정보를
취득 및 분석한다.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시의 인간의 본능적 행동 및
이때의 신체 움직임 범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긴급상황 발
생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무의식중에도 인지 및 시선이 위치하는 곳에서 정보를 제
공 및 손이 닿는 위치에 필요한 물품을 배치하는 등 보행안내 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
한다. 이를 연차별 세부 연구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2 연차별 연구목표
본 연구의 연구 목표 및 서브 연구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부연구내용을 구성하였
다. 구성된 세부연구내용 별 주요 Activity 및 연구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수립한 결과
는 표 1과 같다.
표 1. 연차별 세부 연구목표 및 내용
구분 목표 세부 연구내용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를 위한 안내시설 검토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현황 분석
▪국내/외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피해 가중 원인 중 보행안내 시스템
미비로 인한 사례 조사 및 분석
1차년도 ▪국내/외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동향 분석
(2018년)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 분석을 위한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실험환경 구성: 소리, 진동 및 빛 등 외부환경
체계 수립 변화 장치 설치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 검토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실내 보행로 1개소 선정)
긴급상황 시 인간의 본능적 행태 분석 ▪동작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긴급상황시 인간의 본능적 신체 움직임
2차년도 행태 및 가용범위 분석(시각 위치, 신체 크기, 손의 위치 등)
(2019년)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구현을
▪인간 행태를 고려한 시설물의 설치 위치, 종류 도출
위한 시설물 분석 ▪도출된 시설별 동작분석 결과를 반영한 활용 가능성 검토 및 향후
확대연구 방향 정립

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3. 연구 추진 체계 및 전략
3.1 연구 추진 체계
보행안내 분야 및 본능적 행태 측정/분석 분야는 원내 연구진이 직접 연구를 수행하였
다. 기 종료된 ‘고령자 보행보조 및 안전향상기술 개발을 연구’에 참여하여 동작 분석시스
템을 이용하여 보행을 분석한 경험이 풍부한 연구진 이외에도 연구의 질적 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외부 자문단(인간공학, 운동역학, 방재시스템 분야)을 구성하여 연구에 활용
하였다.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VR콘텐츠 개발은 1차년도의 경우 외부 자문을 통해 제작하였으나
프로그램 라이센스 및 개발 전문성을 고려하여 2차년도에는 객원연구원을 통해 보다 향
상된 콘텐츠를 제작 및 실험에 활용한다.

그림 3. 연구 추진 체계
3.2 연구 추진 전략
3.2.1 전체 연구기간 추진전략
기 확보된 기자재(동작분석시스템(3억원): Ground Reaction Force Plate, Motion
Capture System (IR-Camera), Data Processing System(Cortex)) 및 분석 노하
우를 활용하여 제한된 예산 및 연구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 가능한
연구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 수립한 연차별 주요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 론 5
(1) 1차년도
∙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현황 분석: 문헌 및 현장조사(국내/외 시스템 분석)
∙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 분석을 위한 체계 수립: 사전 실험(VR 기반 재난상황 구현
가능성 검토, pre-test 수행)

(2) 2차년도
∙ 긴급상황시 인간의 본능적 행태 분석: 본 실험(VR+동작분석 기반 재난상황 모사
및 인간행태 측정 및 분석)
∙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구현을 위한 시설물 분석: 향후 확장방안 도출

3.2.2 성과지표 및 연차별 목표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도출한 성과지표, 성과지표 설명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의 목표치
도출 근거는 다음 표와 같다.
표 2. 성과지표 및 연차별 목표
실용화 중장기
과거 실적 목표 목표
성과지표 (해당시) 목표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3
~2022 ~2028
긴급상황
`긴급상황 긴급상황 긴급상황
인간 본능적
인간 본능적 (고령자)보 (고령자)보 (고령자)보 인간 본능적 인간 본능적
행동 측정
행동 측정 행특성 분석 행특성 분석 행특성 분석 행동 측정 행동 측정 - -
기술 70%
기술 기술 80% 기술 90% 기술 95% 기술 85% 기술 90%
확보
(최종형) 확보 확보
(80% 확보)

표 3. 성과지표 설명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성과지표 설명 측정방법
∙긴급상황시 발현되는 인간의 본능적 행태를 측정 및 분석결과의
∙긴급상황 인간 본능적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술로, 다음 사항이
∙ 전문가 평가
행동 측정 기술 (최종형) 만족되야 함
- 긴급상황 인간 본능적 - 긴급상황 재현 환경의 적절성: 변인 통제 및 실험목적에 적합한
∙ 분석 모형에 대한
실험적 검증
행동 측정 기술 85% 환경 구현 여부
-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본능적 행태 측정이 가능해야 함

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표 4. 성과지표의 목표치 도출 근거
성과지표 목표치 도출근거
∙긴급상황 인간 본능적
행동 측정 기술 (최종형) ∙국가 R&D(고령자의 통행환경 개선을 위한 교통체계 개발) 기준 신규 측정 기술 개발 및
- 긴급상황 인간 본능적 활용을 위한 측정 정확도: 90%
행동 측정 기술 85%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은 성과목표 및 지표 달성시 연구개발목표인 ‘사회재난 상황 등 긴급


상황 발생시 발현되는 인간의 본능적 행태를 고려한 긴급상황 보행안내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원천 기술’을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3.2.3 WBS 설정 및 달성도
연구내용, 연구내용별 Activity 기반 WBS 및 도출 연구 성과물은 다음 표와 같다.
표 5. WBS 달성도 (단위: 백만원)

연구내용 연구내용별 Activity 성과물 소요 추진계획 및 실적


직접비 구분 1 2 3 4 5 6 7 8 9 101112
긴급상황 재현 VR 긴급상황 재현 VR 계획
10
콘텐츠 구현 콘텐츠 실적
동작분석 시스템을 계획
A 긴급상황 활용한 긴급상황시
인간의 본능적 인간의 본능적 신체 - 5
행태분석 움직임 행태 및 가용범위 실적
분석
긴급상황시 인간의 긴급상황시 인간의 계획
본능적 행태 분석 시스템 본능적 행태 분석 8
구성 시스템(실험인프라) 실적
인간 행태를 고려한 계획
시설물의 설치 위치, - 3
종류 분석 실적
B 긴급상황
보행안내 도출된 시설별 동작분석 계획
시스템 구현을 결과를 반영한 활용 - 2
위한 시설물 가능성 검토 및 향후 실적
분석 확대연구 방향 설정
긴급상황 보행안내 긴급상황 보행안내 계획
시스템 개발 제안서 도출 시스템 개발 제안서 2
실적

제1장 서 론 7
[편집상 여백]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1. 연구동향 조사(문헌)
1.1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303)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이하 NFSC303)’의
개요에 따르면, 긴급상황 발생시 피난자를 유도하기 위한 시설에 대해 ‘피난을 유도하는
설비 중 「유도등」과 「유도표지」및 「피난유도선」의 역할은 화재시 거주자들이 건축
물의 어떤 지점에서도 피난에 대하여 방해받지 않고 피난층, 건축물의 외부 및 공공도로
로 피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는 장치이다. 「유도등」은 자체적인 광원을 포함하고
있어 상시 점등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부터 생성되는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자동적
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수신기에 전달하면 수신기는 화재표시 등과 함께 유도등을
점등시켜 피난을 유도하게 된다. 「유도표지」는 외부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축적하고 있
다가 주위가 어두워지는 상태가 되면 발광하여 피난을 유도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피난유도선」은 연속된 띠 형태로 설치되어 피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로 제
시하고 있다.
즉, 실내공간의 출입구 상단 및 이동통로의 벽면에서 찾아볼 수 있는 비상구 표시의 설치
종류 및 기준을 제시한 기준이다. 상기 기준에 대해 상세히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1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NFSC303에서는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는 설치장소 및 장소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
고 있으며, 이를 기타를 포함하여 총 7개 장소로 구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시설물을 규
정하고 있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9


표 6.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출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 행정안전부, 2016)
설치장소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대형피난구유도등
1. 공연장, 관람장, 운동시설 집회장(종교집회장 포함),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
2. 유흥주점영업시설 (『식품위생법 시행령』제21조 제8호라목의 유흥주점영업중
손님이 춤을 출 수 있는 무대가 설치된 카바레, 나이트클럽 또는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대형피난구유도등
영업시설만 해당한다).
∙통로유도등
3. 위락시설․판매시설․ 운수시설․『관광진흥법』제3조제1항제2호에 따른 ∙대형피난구유도등
광숙박시설․의료시설․장례식장․방송통신시설․전시장․지하상가․지하철역사 ∙통로유도등
4. 숙박시설(제3호의 관광숙박업 외의 것을 말한다)․오피스텔
∙중형피난구유도등
5. 제1호부터 제3호까지 외의 건축물로서 지하층․무창층 또는 11층 이상인 ∙통로유도등
특정소방대상물
6. 제1호부터 제5호까지 외의 건축물로서근린생활시설․노유자시설․업무시설․
발전시설․종교시설(집회장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 제외)․교육연구시설․ ∙소형피난구유도등
군사시설(국방․군사시설 제외)․기숙사․자동차정비공장․운전학원 및 ∙통로유도등
정비학원․다중이용업소․복합건축물․아파트

7. 그 밖의 것
∙피난구유도표지
∙통로유도표지
비고 : 1. 소방서장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상황을 판단하여 대형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하여야 할 장소에
중형피난구유도등 또는 소형피난구유도등을, 중형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하여야 할 장소에 소형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하게 할 수 있다.
2. 복합건축물과 아파트의 경우, 주택의 세대 내에는 유도등을 설치 아니 할 수 있다.

통로유도등은 각 거실과 거실로부터 지상에 이르는 피난통로(복도 또는 계단)에 설치되


는 전등 형태의 유도등으로, 백색바탕에 녹색문자로 피난안내 표시를 하며, 그 크기와 휘
도는 다음 표 7과 같으며, 설치위치별 통로유도등 예시는 표 8과 같다.
표 7. 통로유도등의 규격 및 평균휘도 (출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 행정안전부, 2016)
통로유도등 1대1 표시면 기타 표시면 평균휘도(cd/m2)
(mm) 짧은 변(mm) 최소면적(m2) 상용점등 시 비상점등 시
500이상
대형 400 이상 200 이상 0.16
1000미만
350이상
중형 200 이상 110 이상 0.036 150이상
1000미만
300이상
소형 130 이상 85 이상 0.022
1000미만

1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표 8. 설치 위치별 통로유도등의 예 (출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 행정안전부, 2016)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

피난구유도표지는 녹색바탕에 백색 문자로 정보를 표시하며 통로유도표지는 백색바탕에


녹색문자로 정보를 표시하며, 그 예시는 표 9과 같다. 이는 피난구 또는 경로로 사용되
는 비상구(출입구)를 안내하기 위한 표지로, 외부 전원 없이 축광의 형태로 도안 및 문
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표 9. 피난구유도표지의 예 (출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 행정안전부, 2016)
피난구유도표지 통로유도표지

지점에 부착하여 활용하는 유도표지와는 달리 연속된 띠 형태로 설치하여 피난동선을 안


내하는 피난유도선은 짧은 변의 길이가 20㎜ 이상이고 면적은 20000㎟ 이상으로 설치
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예시는 표 10과 같다. 피난유도선은 피난방향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부호 등으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표 10. 피난유도선의 예 (출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 행정안전부, 2016)
표시면 표준단위길이 예 예
(축광식피난유도선)

(광원점등식피난구유도선)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11


1.1.2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설치 위치 관련 기준
상시 점등사태로 유지(화재안전기준제9조제3항제2호 의거)해야 하는 유도등 및 유도표
지는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 규정에 따라 유도등의
설치 높이가 제한된다. NFSC303에서는 유도등의 용도별 설치 높이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조도측정기준에 의해 설치 높이를 유추할 수 있다. 유도등의 종류별 조도
측정기준은 표 11과 같으며, 측정기준에 의해 산정된 설치 높이를 함께 제시하였다.
표 11. 통로유도등의 조도측정 기준 및 설치 높이(출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해설서, 행정안전부, 2016)
종류 조도측정기준 측정방법 설치높이

복도통로등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1m로 0.5m


떨어진 위치에서 1lx 이상
바닥면으로부터
1m

거실통로등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2m로 0.5m


떨어진 위치에서 1lx 이상
바닥면으로부터
2m

유도등의 바로 윗부분 1m 높이에서 바닥면으로부터


바닥매립용
1 lx 이상 1m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2.5m로 바닥면으로부터


계단통로등
수평거리 10m에서 0.5lx 이상 2.5m

1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조도 측정 방법에 의해 유도등의 중앙부의 위치가 정해지며, 이에 따라 실제 유도등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설치 위치를 산정하였다. 벽면에 설치되는 시설의 경우 1m에서 최대
2m(거실통로등) 범위이며, 계단통로등은 출입문 상부에 부착되므로 바닥면으로부터
2.5m 이내에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해 제시된 수치보다 낮은
위치에는 설치하는 경우는 부착하고자 하는 벽면에 부착된 타 시설물에 의해 제시된 한
계높이보다 아래쪽에 설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유도등과는 별도로 피난유
도선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50cm 이하 또는 바닥면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 피
난유도선의 경우 일반적인 공공시설물에는 적용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13


1.2 관련 기존 연구 검토 결과
긴급상황 대피 관련 기존 연구의 경우 도로·교통 분야로 한정할 경우 차량을 이용한 대
피 경로 또는 현 위치에서 출구까지 최소시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선정하는데 한정되어
있다. 빠른 시간 내 긴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이탈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긴급상황 유도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와 관련된 연구는 건설관리
및 건축 분야, 인지관련 분야에서 일부 검토한 바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2.1 화재발생과 인간의 행동 분석3)


기존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화재와 인간행동, 공공 건물에서 화재 경보에 대한 인간의
반응, 공간의 특징과 피난, 화재로부터의 탈출하는 인간행동의 수학적 모델을 분석이다.
억제되지 않은 화재 건물내에서의 탈출은 물질적 가치와 심리적 가치에 따라 행동 반응
이 나타났다고 제시하였다. 물질적 가치는 거리, 출구의 비율, 연기의 밀도가 해당되며
심리적 가치로는 전달, 인식, 개념화, 이해, 평가 및 개념화 과정이 해당한다. 피난자가
선호하는 출구는 점원이 있는 출구 및 본인이 들어갔던 출입구이며, 상기 제시한 물질적
가치 및 심리적 가치와 함께 고려하여 피난방법을 결정한다.
피난자의 행동은 복합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림 4와 같이 이를 모델화하기 위해
서는 인간공학(인체측정학) 및 Human factor(생체운동학)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고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화재와 인간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
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또한 조직적이거나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상 및 지하의 대규모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장소들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필
요하며, 이를 통해 과학적 재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림 4. 행동과학 이론 바탕의 피난행태 예측


3) 송국섭,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0권 제1호, 2003

1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1.2.2 화재시 재실자 행동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건물 피난 행태 분석4)
화재시 행동은 시설물별 재실자 특성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피난계획 적용이 어렵다. 이
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상의 분석기법을 활용한 피난 상황 및 대응 연구가 진
행중에 있다. 기존 연구 결과, 피난을 시행해야 하는 재실자들이 활용 가능한 출구 및 동
선을 기반으로 피난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측 연구는 시설물 특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인간행태와 관련된 부분은 크
게 연구된 바 없다. 기존 연구에서는 긴급 피난 상황에서 재실자간의 상호작용 및 그룹
형성, 그룹간 영햐엥 대한 분석을 시행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을 구축하였다. 이는 초기 피난계획단계에서 피난을 위한 요구사항 도출 및 화재 준비에
서 대응까지의 과정에서의 안전 훈련 및 대피 매뉴얼 등에 인간행태를 반영하기 위해 시
도되었다.
본 연구와 관련있는 피난과정의 행동은 사회과학분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
는 Cherkoff 외(1999)5)의 패닉이론(Panic Theory)에 근간하고 있다. 피난시 선택하
는 경로 및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그룹은 가족 또는 친분이 두터운 사람들이며, 탈출구
는 가장 가까운 탈출구가 아닌 익숙한 탈출구(평상시 주로 이용하는 탈출구)를 선택한
다. 피난 행동 모델은 개인특성, 의사결정 과정, 개인행동 및 그룹행동 분석을 통해 구축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림 5와 같이 각 요인을 고려하여 시스템 다이나믹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인의 이동속도가 증가할수록 그룹 형성은 감소하며, 탈출인원은 증가된다
고 제시하였다. 그룹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협동의지의 경우, 재실자간 속도 차
이에 의해 증가된다.

그림 5. 화재시 재실자 행동 기반 피난 행태 분석 방법론


4) 최민지 외 3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4권 제6호, 2013
5) Cherkoff, J. M., and Kushigian, R. H. (1999). Don’t Panic: The Psychology of Emergency
Egress and Ingress, Praeger, London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15


재실자의 초기 정보는 본인의 경험(사전 경험, 시설물 정보)에 기반하며, 이동중 정보 공
유는 통해 구성원의 피난 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작용된다. 초기 정보는 시설물
내부의 친숙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피난자가 판단 가능한 동선 및 출구 관련
정보가 많음을 의미한다. 초기 정보가 낮은 경우 그룹 형성을 통해 정보 공유로 생존 확
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룹내 정보공유 및 피난자의 초기 정보와는 관계없이 피난자를
가장 빠르고 가장 많이 피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최단 경로 및 탈출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1.2.3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위한 이용자 맞춤형 교통방재시스템 연구6)
교통방재 연구는 지금까지 자가승용차 위주로 일부 진행되었으며, 비 차량 이용자의 대
피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재난발생시 수송수단 이동 경로에 위치한 신호운영방안과 대피
및 우회경로 알고리즘 개발을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연차별 주요 연구목표로는 (1차년
도)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신호운영방안 수립, (2차년도) 재난 특성
을 반영한 이용자 위치에 따른 대피 및 우회경로 알고리즘 개발, (3차년도) 시뮬레이션
을 이용한 신호운영방안 및 대피 및 우회 경로 알고리즘 검증으로 제시하였다.

그림 6. 정적 최단경로 그림 7. 동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 그림 8. Moving Cell Model을


탐색 알고리즘 적용한 정적 시나리오 알고리즘
6) 손영태, 한국연구재단, 2013

1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그림 6~8와 같이 정적 시나리오 개발 및 정적 시나리오 기반 동적 시나리오 알고리즘
개발의 형태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림 9와 같이 대피소 용량을 고려한 동적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그림 9. 대피소 용량을 고려한 동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 흐름도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17
그림 10. 대피소 용량을 고려한 경로 선정 흐름도
연구분석 결과 대피네트워크 전제적으로 단순한 신호현시운영을 통해 차량대피시간을 감
소시킬 수 있으며, 그림 10과 같이 우회경로는 대피소 용량을 고려한 최단경로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최단경로비용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그림 11과 같이 보행자 대를 위한
pick-up 위치 선정을 위한 연구를 통해 대피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11. 재난 발생시 비차량 이용자의 Pick-up위치 선정 알고리즘(안)

18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1.2.4 대구지하철 화재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 안전피난대책에
관한 연구7)
지난 2003년 2월 18일 대구 중앙역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에서 전동차 탑승객 및 역사
이용자 중 생존한 146명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 및 분석한 연구이
다. 설문내용은 사고가 발생한 역사에 대한 인지정도, 피난 형태 및 상황에 대해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총 60여개의 객관식 및 주관식 질문을 통해 생존자를 대상으
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검토한 기존 연구는 실내공간에서 발생하였으며, 대량의 연기 및
전기전원 차단으로 인해 시야확보가 불가능한 상황에서의 인간의 본능적 행동에 의해 현
장을 대피하는 과정에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 사고시 피난자의 행동 분석을 위해 부상자 일반 통계, 피난특성 및 안
전피난대책, 피난경로 및 피난로 위험요인 분석, 피난방법 및 비상유도장치 분석을 시행
하였다. 대구 지하철은 총 6량의 객차로 운행되고 있었으며, 지하 3층에 위치한 승강장
의 객차별로 지상까지의 이동거리는 120~171m이다.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건장한
성인의 경우 지상 출입구까지 가장 가까운 1호 객차에서는 2분이 조금 더 걸리며, 6호
객차에서는 약 3분이 소요되는 거리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피 정보가 제공될 경우 지
상 출입구까지의 거리(물리적/시간적)가 길지 않아 많은 생존이 가능하였을 것으로 예상
되나, 그러나 대피 유도(안내 방송) 및 대피 유도체계 미흡으로 인해 전동차 탑승인원
640여명 중 전동차내 사망 142명을 포함하여 192명 사망, 148명 부상 등 총 24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설문조사 대상 중 사고가 발생한 중앙로역 이용이 하루에 1회 이상(2회 이상 왕복)인 응
답자가 전체의 40%로 가장 많았으며 그 처음 이용한 이용객은 4명에 불과하였다. 지하
철역사의 특성 및 사고 발생시간(오전 9시 53분경)을 고려할 때 출근 및 등교통행 빈도
가 높으며, 역사 구조 및 출입구 위치 등 사전 정보가 상대적으로 많다.

그림 12. 중앙로역 통행도 인지정도


7) 홍원화, 전규엽,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2005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19


이는 통행로 인지정도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으며, 그림 11과 같이 응답자의 70% 이
상이 안내표지판이 있거나 없어도 원하는 출구로 나올 수 있다는 응답률을 보였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이유는 사고 발생시 이성적 판단이 불가능하고, 시
야 차단으로 인해 사전 정보와 현장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한 대피가 불가능하며, 피난
자의 행동특성과 맞지 않는 안내체계에서 찾을 수 있다.
(1) 초기피난행동 분석
중앙로역에 화재가 발생한 지하철은 1079호 및 1080호 등 2대였으며, 화재발생시간이
서로 차이가 있으나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본인이 지각한 이후 지하철 객차내 승객이 취
한 행동은 그림 12와 같이 48%가 제자리에서 기다림을 선택하였으며, 외부와 연락을
취한 승객이 20%를 차지하였다. 즉, 대피하거나 다른 칸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위치
를 유지한 승객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이는 상황을 지켜보거나, 화재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인해 이동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13. 화재인지 후 행동
화재 발생 인지 후 피난을 한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그림 13과 같다. 연기가 발생하고
이를 확인한 후 피난을 한 승객이 41%로 가장 많았으며, 32%는 안내방송을 듣고 피난
을 결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재가 발생한 두 대의 전동차가 시간차이를 두고 중앙로
역에 진입하였으며, 먼저 진입한 1079호 전동차의 승객은 화재발생 초기에 많은 인원이
대피를 하였다. 반면, 1080호 전동차의 경우 발화지점에 인접한 객차 내 승객은 유독가
스와 연기로 인해 대피를 시작하였고, 발화지점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의 객차 내 승객은
3차례의 안내방송을 모두 듣고 나서야 대피를 시작하였다. 반면 역무원의 경우 화재발생
후 열기와 연기를 확인 후 대피를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그림 14. 피난결정 요인
이와 같은 초기상황으로 판단할 때, 화재 발생 초기 보다 적극적이고 승객 중심의 대피
유도가 있었다면 사상자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피난로 위험요인 분석
지하 3층에 위치한 발화지점부터 지하 1층(대합실)까지 시야확보 거리 및 열기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14 및 15와 같다. 지하 3층의 경우 77명이 전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응답한 피난자의 수는 지상에 가까워 질
수록 적어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상에 가까워지더라도 무응답의 수가 증가할
뿐 시야가 1~5m 이내에 해당하는 인원 수는 크게 변함이 없으며, 1m 이내의 시야가
확보되었다고 응답한 응답자 수는 지하 1층이 가장 많았다.

그림 15. 피난시 층별 시야 확보 거리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21
그림 15와 같이 화재 열기는 호흡곤란을 일으킬 만큼 발생하였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지
하 3층이 6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상부에 가까워질수록 그 비율은 점차 감소하였다.
실제 대구지하철 화재 사고시 가장 상층인 지하 1층에 위치한 플라스틱 물질이 녹아내릴
정도로 강한 열기의 영향이 전층에 작용하였다. 생존자는 이와 같은 시야가 차단된 지하
공간에서 고열을 극복하며 대피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생존자의 호흡기에 상당히 심각
한 화상을 입은 경우가 다수이다.

그림 16. 피난시 층별 화재로 인한 열기 정도


지하철화재사고 피난자의 60% 이상이 예상한 탈출경로가 있었으나, 최단경로로 피난한
비율은 12%에 불과하는 등 효율적 대피는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예
상한 탈출경로가 있음(60%)에도 불구하고 예상한 경로로 피난한 생존자는 17%에 불과
하였다. 70% 이상의 생존자는 예상한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탈출하였으며, 생존자의
11%는 예상경로가 없었다. 예상경로가 없었던 생존자는 지상으로 이동만 생각하고 계단
만 생각하여 이동하였거나, 사람들이 군집을 이루어 밀려 이동하는 틈에 끼어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하였다. 피난자들은 피난 과정 도중 1회 이상의 경로 선택에 있어 혼란함을
경험하거나 예상경로에 연기 등으로 인해 경로를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경로 이동 중
혼란은 일순간에 대피자가 집중되어 혼란함으로 인해 방향감각을 상실하였거나 연기 등
으로 인해 시야장애가 발생한 경우다 다수이며, 피난유도설비가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
하였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2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3) 피난방법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해 그림 16과 같이 피난자의 51%는 벽을 짚으면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앞사람의 옷을 잡고(21%) 이동하는 등 추종경향의 행동이
나타났다. 벽을 짚으면서 이동한 생존자의 경우에도 20%(전체 10%) 또한 앞사람의 옷
이나 발 등의 신체부위를 잡거나 만지며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손잡이를 잡고
나오는 경우는 3%에 불과하는 등 설치위치가 대피자에게 부적절하여 활용이 불가능 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를 포함한 긴급상황에 승객의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을 위해 경로유도를 위한 시스템
을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다. 대구 중앙역에도 통로 및 계단에 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비상유도등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으며, 생존자가 피난시 비상유도등을 인지하였는지 및
피난에 도움을 받았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그림 17과 같다. 비상유도등을 인지하고 피난
한 피난자는 생존자의 6%에 불과하며, 비상유도등을 인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를 활용
하여 대피에 활용한 경우는 전체 생존자의 5%로 비상유도등을 인지한 비율보다 낮게 조
사되었다. 일반적인 상황에는 인지 및 판단이 용이하여 초행길임에도 불구하여 출구를
찾는 과정에 비상유도등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비상유도등이 반드시 필
요한 긴급상황에서 인지 및 도움이 되지 않는 다면 비상유도등은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현 유도 시스템에 대한 진단 및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림 17. 앞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

그림 18. 비상유도등 인지 및 도움 여부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23
2. 국외 사례 분석(일본)
2.1 문헌조사 결과
2.1.1 지하 상가의 안심 피난 대책 가이드 라인8)
지하상가의 안심 피난 대책 가이드 라인은 일본의 경제성장기에 있어 폭발적으
로 증가한 도로교통수요를 대응하고, 이 과정에서 지하공간의 활용을 증진시키
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지하공간에 대한 일체적 정비 과정에서 지하공간의 안
전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수립되었다. 지하공간 중 특히 통로의 경우 점포 이용
자 및 일반 시민의 이용이 많은 중요한 보행자 공간으로, 도시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도시시설이다.
이와 같이 주요한 시설 중 하나인 지하 상가의 경우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바, 대규모 지진 등 재난상황 발생시 점표 운영자 및 이용자, 일반 통행 시
민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조기 대응 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본
가이드 라인에 포함하였다. 대규모 지진시의 공공용 통로 등 공공시설을 대상으
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내진 진단 및 보강 방법, 점검요령을 포함하며, 여러
상황을 고려한 피난계획 검토의 방법등에 대해 기술적으로 정리한 결과이다.

그림 19. 긴급상황 피난자 경로 유도 예시


8) 国土交通省 都市局 街路交通施設課, 地下街の安心避難対策ガイドライン, 平成26年4月

2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본 가이드 라인의 적용 대상 범위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결과, 지하 역사의 개찰
구 연결 통로, 중앙홀, 지하보도에 인접한 점포, 사무실 및 이와 유사한 시설,
복합 지하시설을 포함한 도로(인도) 및 광장으로 제시하고 있다. 내진 관련 사
항, 피난 시뮬레이션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피난 대책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안내체계로는 ‘안심하고 피난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
다.
피난을 유도하는 지하공간에 대한 관지라 및 피난자가 상황 발생시 공황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모든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시는 상기 그림 18과 같다.
정보제공을 통해 이용자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하며, 이는 디지털사이너지(ディ
ジタルサイネージ)라고 불리는 단말을 통해 제공한다. 이는 지진 정보나 주변상
황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안심감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활용중인 디지
털사이너지는 그림 19와 같다.

그림 20. 재해시의 디지털 사이너지 활용 이미지


끊김없는 지하공간 종합 안내시스템은 지하철역, 지하보도, 주변경물 지하층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지하공간에 대해 개보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안내표시
는 항상 최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비하여야 함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외
국인을 포함하여 처음 방문한 이용자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표기하며, 항상 최적
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여 재해시에 적절한 피난 유도를 진행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25


피난자는 익숙하지 않는 위치에서 불안함을 느끼며, 재난상황에서는 이와 같은
불안감이 증복되므로 본인의 위치를 적절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용
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지하상가에서의 위치 정보를 제공(지하 공간에서
의 위치 정보 이용)을 위한 방안으로 재해시 이용 가능한 정보단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공된 단말을 통해 출구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가장 기본이 되는 피난 경로를 표기한 피난지도를 제작하여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경로를 표기하여 배포한다. 이를 통해 시설 이용자에게 지하상가의 안심
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상부의 상황에 따라 지상으로 피난하지 않고 지하공간에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낙하물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는 지하상가의 공공통로 등 지하통로를 이용하여 광역피난장소 또는 지하통로에
서 대기하는 등의 1차 체류 장소로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지하상
가를 대피 경로 또는 퇴피 시설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갖추기 위해
비상용 발전기 등 예비전원의 가동시산을 장시간 확보하는 등의 대응 방안을 강
구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의 경우 지하공간의 긴급상황 발생시 안내체계에 대한 가이드라
인을 마련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단순히 지하공간에 있는 사람을 대피시키는데
한정된 것이 아니라 피난장소로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부수적인 시설 공급
에 대한 사항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2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1.2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화재 피난 훈련과 행동 선택 데이터의 수집9)
일본의 게이오대학 이공학연구과(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Keio Univ)에서 수행중인 연구로, 피난 훈련을 위한 시뮬레이션 및 이를 통한 피해자
행동 고도화를 목적으로 수립된 연구주제이다. 실내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이 발생하
여도 피난자는 즉시 피난 행동을 취하지 않고 현장을 주시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후 불이나 연기를 실제로 확인하고, 소리 및 냄새를 통해 느끼
며, 정전발생 및 주변 사람의 피난하는 모습을 확인한 이후에야 피난 행동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피해자의 심리적 경향 및 심리 상태에도 관계되며,
불안감이 강한 피해자일수록 피난 개시 시간은 빨라지는 행동 특성이 관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해 피난민의 행동 시뮬레이션은 많이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현장감을 높인 가상 현실 공간에서 피난자의 행동 선택 데이터를 수립하고, 이
를 통해 피난자의 피난 훈련에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취득 및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작
하고자 하였다. 다만, 초기단계의 연구로 수행중인 연구의 방법론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Head Mount Display(HMD)를 이용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의 화재 상황을 제공하고 이때 행동 선택 설문 조사 및 피험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
하여 분석하였다. 취득한 생체 신호 / 생체 정보는 무선 심전도, 총 의한 심장 요동 측정
NIRS (근적외선 분광법 빛 지형)에 의한 뇌 혈류 측정, 동공 직경과 눈 깜짝 상태와 시
선(HMD 내부), 뇌파(단, 개안 상태에서 운동을 수반 측정을 위해 우선 참고로 고정)
그래피에 의한 코 부분 피부 온도의 비접촉 측정, 피부 저항 등이다.
연구수행 절차는 VR공간의 구축 및 활용→VR공간에서의 생체 정보 측정→데이터 분
석→시뮬레이션에 반영으로 진행하였으며, VR공간의 구축 및 활용은 (1) VR공간에서
의 아바타 작업의 실현, (2) VR공간에서의 환경 정보 취득과 공간 구축, (3) VR공간에
서의 재해의 재현, (4) VR공간의 주위 피난민의 행동 모델 구축으로 진행하였다.

그림 21.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아바타


9) Tadashi IIJIMAudag 외 5인, Indoor Fire Evacuation Drill in Virtual Reality Space and
Collecting Behavior Selection Data to Sophisticate Simulation Model, 情報システム学会第10
回全国大会・研究発表大会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27


그림 20과 같이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아바타는 unity에서 구축하여 HMD를 통해 제공
하며, 이는 그림 21과 같이 피험자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취득하였다.

그림 22. HMD를
착용한 피험자
VR공간내에서의 자세 정보는 Kinect를 통해 그림 21과 같이 취득하였으며, 상황별 피
험자의 행동 선택 설문조사는 그림 22와 같은 형태로 시행하였다.

그림 23. Kinect에 의한 자세 그림 24. VR공간 내에서의 행동 선택


정보 취득 설문조사
심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온도와 뇌혈류를 그림 23 및 24와 같이 측정하였다.

그림 25. 코 부위의 온도 측정 그림 26. 전두부의 뇌 혈류 측정

28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2 일본의 지하공간 긴급상황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
일본의 오테마치 역사를 비롯한 조사 대상 역사의 노선별 피난유도지시 표식의 설치 위
치 및 형태, 크기를 확인하였다. 모든 역사는 기본적으로 탑승공간(지하철 플랫폼-계단-
개찰구까지의 공간), 연결공간(개찰구 외부에서 다른 노선 연결 또는 외부 출입구 연결
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업공간(연결공간 가운데 지하
판매시설이 위치하는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었다.
대부분의 탑승공간은 비슷한 정도의 피난유도 체계를 이루고 있다. 에스컬레이터 및 계
단 입구는 차단이 되며, 계단의 측면에 플랫폼에서 계단으로 드나들 수 있는 비상문을
통해 피난을 하게 되며, 개찰구 층 및 플랫폼 상층부로 올라오면 피난계단 또는 또 하나
의 비상문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복잡한 역사 중 하나인 신바시역
의 탑승구간의 비상문 및 계단, 방재 매뉴얼은 그림 25와 같이 사용중이다.

그림 27. 신바시역 탑승구간의계단 비상문 및 피난계단 출입구, 방재 매뉴얼


신바시역은 주변의 빌딩 지하 하케이드 및 보행데크와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유리카모메 선 시오도메역에서 Nippon TV 타워를 거쳐 신바시역사쪽으로 연결되는 연
결공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 연결공간은 최근 조성된 곳으로 기본적으로 피난구역
은 역사와 연결 아케이드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구분이 되어 차단스크린이 내려오도록 설
계가 되어 있으며, 차단스크린의 한쪽 끝에 비상문이 설치가 되어 있다. 피난유도지시 표
식(20 × 10 ㎝)은 형광재질이며, 벽면이 아닌 바닥면에 설치가 되어 있으며, 전후 및
좌우 모두 6.4 m(블럭 하나가 40 × 40 ㎝으로 16개 마다 1개의 표식 설치) 간격으로
설치가 되어 있다. 또한, 차단 영역에서는 비상구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유도하도록 90
도 또는 45도 회전이 되어 정확하게 비상구를 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신바시역 뿐
아니라 최근에 조성된 대부분의 역사 연결공간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천정에 부착된 표시
판들이 상단에 공간이 없어 자연적으로 방연벽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29


며, 이러한 시설물 설치에 있어서도 방재를 대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6은 신바시역 연결공간의 차단 스크린 설치 지점 및 비상구 유도 표식 설치 현황 조사
결과이다.

그림 28. 신바시역 연결공간의 차단스크린 설치 지점 비상구 유도 표식 설치 현황


신바시 역사의 상업공간은 주변의 빌딩 지하 아케이드로부터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개찰
구가 위치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공간 보다는 노후화가 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피난유도체계는 연결공간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여진다. 신바시역 상업공간의 피난유도
체계 관련 가장 큰 특징은 피난상황 발생 시 차단스크린이 상업시설들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황 발생 시 상업시설의 장애물(가판대, 테이블, 옷걸이 등)로
인한 피난의 혼란을 줄이고 상업시설에 대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연결공간 또는 탑승공간의 출입구 방향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유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피난유도체계가 구축되어 있다.
탑승공간은 그림 27과 같이 가장 전형적인 피난유도 체계를 갖추고 있다. 즉, 플랫폼 내
부에서 가까운 방향의 계단으로 유도하는 형광재질의 피난유도지시 표식이 바닥에 설치
되어 있으며, 계단 상단에는 백색의 비상구 표시등이 매달려 있다. 계단 입구는 차단스크
린이 내려와 차단을 하며 한쪽 측면에 비상문을 통해 피난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림 29. 도쿄역 탑승구간 계단의 유도 표식 설치 현황

3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계단 구간은 계단 시작점에 상향알림 표식, 참 시작점에 평면알림 표식, 참 종료점에 상
향알림 표식, 계단 종료점에 평면알림 표식이 비상문의 반대 방향(비상문 열고 나오면
바로 볼 수 있도록)의 벽면 하단에 형광재질로 설치되어 있다. 계단 상단에는 지상으로
바로 연결되는 피난계단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도쿄역은 인근의 역들과 지하를 통해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본 조사에서는 관
리하는 기관이 전환(JR동일본 – 도쿄메트로)되는 오테마치역(토자이선)과 연결되는 약
100 m 길이의 공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당 연결공간은 도쿄역 내부의 지하 상
업공간과 오테마치역 토자이선을 연결하는 곳으로 상업공간 및 오테마치역 부분은 리뉴
얼이 되어 있으나, 연결공간은 아직 리뉴얼이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피난유도지시 표식 설치 기준을 가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판단된다. 위치상으로 도쿄역
지하공간의 최외곽부에 있기 때문에 도쿄역 관리구간의 마지막 지점이라 볼 수 있으며,
연결공간 통로 시작부에 ‘도쿄역 방재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피난유도지시 표식은 통로
한쪽 벽에 지면으로부터 약 50 ㎝ 높이에 등화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피난유도지시 표식
은 약 30 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공간의 중앙부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출입구
가 위치하여 도쿄역/오테마치역 방향 대피 이외에 유일한 지상으로의 대피공간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림 28은 도쿄역 연결공간의 출입구 및 방재센터의 위치이다.
일본의 경우 문헌조사 결과와 같이 기어서 이동하는 대피자가 쉽게 비상구 표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안내체계를 추축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계단의 종점부에도 비상구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시설을 설치하는 등 체계적인 동선안내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30. 도쿄역 연결공간 출입구 및 유도표식 현황, 방재센터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31


3.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문제점 분석 및 도출
3.1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현황을 검토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최근에 준공하여
운행중인 지하철 역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인천국제공항철도(이하, 공항철도)
의 경우 2007년 인천공항~김포공항 1단계 구간을 개통하였으며, 이후 김포공항~서울
역까지 2단계 구간을 2010년 12월 29일 최종 개통하여 58km구간을 운행중인 지하철
노선이다. 9호선 일부구간을 제외하고 가장 최근에 개통하여 운행중인 지하철 노선으로,
해당역사 또한 신설하여 운영중이다. 따라서 긴급상황 발생시 승객 및 역사 이용자의 신
속하고 정확한 경로 안내를 위한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또한 설치되어 있다.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대피경로 유도시스템에 대한 정비 및 개선이 이루어지고 보
다 체계적인 대피체계를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이 최근에 개통된 지하철
의 역사에는 적용되어 사용중에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서로 다
른 시점에 개통된 지하철(또는 전철) 환승이 가능하며, 공항철도 역사가 포함된 역사인
홍대입구역을 대상으로 현황조사를 집중적으로 시행하였다.
3.1.1 홍대입구역10)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성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등 3개
노선의 환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역사이다. 공항철도의 개통시 기존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 역사와 연결을 위해 다음 그림29와 같이 긴 ㄱ자 복도형의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1. 비상유도등 인지 및 도움 여부
10) https://namu.wiki/w/%ED%99%8D%EB%8C%80%EC%9E%85%EA%B5%AC%EC%97%AD

3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환승에 이용하는 380m의 홍대입구역의 이동 통로는 2015년 12월 기준11) 서울 지하철
중 환승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긴 환승통로를 보유한 홍대입구
역은 2015년 기준 수도권 전체 역 중 승하차수 5위의 역사였으나, 2016년 이후 서울역
보다 승하차 인원이 증가하였으며, 2018년 기준 승하차 인원수는 수도권 전체 3위(강남
-잠실-홍대입구-고속터미널-서울역)로 198,496명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환승에 이용하는 긴 통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많은 인원이 이용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본 과제의 조사 대상지로 가장 적절한 지하공간(통로형)이라고 판단되어 홍대
입구역을 대상으로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를 시행하였다.
3.1.2 조사항목
현황 조사는 상기 검토한 ‘대구지하철 화재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 안
전피난대책에 관한 연구12)’에서 제시한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시 대피자의 행동을 기준으
로 설정하였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시 대피자가 취한 행동으로 이동시에도 비상구 표
시를 포함한 대피경로 안내체계가 확인이 가능하고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 소
화전 및 비상손전등 등 대피에 활용할 수 있는 기가가 이동중에 확인 및 사용이 가능한
지, 계단 등 장애 요인에 대해 피난자가 인지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를 표로 정기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현장조사 항목
구분 점검항목 줌점사항
1. 가장 가까운 출구로 비상구 표시가 배치되어 있는가
비상구 표시
2. 비상구 표시는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확인 가능한가?
승강장, 대합실, 통로
(일반/무빙워크) 비상손전등 1.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확인 및 사용이 가능한가?

소화전 1.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확인 및 사용이 가능한가?

최단 거리 비상구 1.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확인 가능한가?


계단
1. 계단의 시작 및 끝 부분에 별도 인식 가능한 표시가 있는가?
계단 시/종점 표시
2. 이동중에 계단이 어느정도 남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11) "홍대입구역, 지하철 갈아타는 시간 가장 길어", NEWSIS, 2016.12.28수정


12) 홍원화, 전규엽,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2005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33


3.2 국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문제점 도출 결과
현황 조사 결과 최근에 준공되어 활용되고 있는 지하철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부적절하게
설치되어 있거나,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등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와 같은
상황이 재현될 경우 피난자의 대피를 유도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그림 30과 같이 여
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하철에서 하차한 후 승차대의 벽면에서는 비상구 표지를 찾을 수 없었다. 시야가 제한
되는 연기가 발생한 상황이 아닌 일반상황에서도 조사는 비상구 표지를 일반적으로 찾게
되는 벽면을 최우선으로 조사하였으나 벽면에는 비상구 표지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았
다. 출구 표시만 천장에 부착하여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계단의 경우 시점과 종점부
에 붉은색 미끄럼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 중앙부의 계단(검정색)과는 차별을 두고 있다.

(유도시설 확인이 어려운 플랫폼) (경로를알기어려운계단) (오정보 제공)

(높이 위치한 비상 손전등) (유도정보 없음) (재연벽에 가린 유도표지)


그림 32. 국내 긴급상황 유도시스템 현황 조사 결과

3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계단을 기어서 이동할 경우 계단참에 부착된 비상구 표지 또한 확인이 어려운 위치 설치
되어 있다. 고개를 위로 최대한 들어야 비상구 표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높
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걸어서 이동할 경우에도 시야에 잘 들어오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
어 있다. 즉, 긴급상황 발생시 시야가 확보 또는 미확보 되는 모든 상황에서 비상구 표지
는 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비상구 바로 앞 바닥면에 부착된 비상구 표지는 바로 앞에 위치한 비상구 방향이 아닌
500m 이상 이격된 비상구 위치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시야가 제한된 긴급상황에서
비상구 표지만을 확인하며 이동할 경우 바로 비상구를 통해 안전한 지상부로 대피가 가
능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닥면의 오정보로 인해 먼 거리를 돌아서 이동해야 하
는 등 대피 지연 및 피해가를 가중시킬 수 있는 상황이다.
벽면에 부착된 소화전 및 비상손전등은 서서 이동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위치에만 설치되
어 있다. 특히 비상손전등의 경우 연기 및 정전(전원 차단 등) 등으로 인해 시야가 제한
된 상황에 필요한 시설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바닥
에 기어서 대피하게 된다. 따라서 절실하게 손전등이 필요한 대피자는 손전등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무빙워크가 있는 구간은 비상구 표시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소화전 및 비상손전등 또
한 무빙워크 밸트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이용이 매우 어렵다. 특히 무빙워크가 아닌 통로
에 위치한 대피자의 경우 어떠한 정보 및 시설의 해택을 받을 수 없다.
구역사의 경우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재연벽을 추가 설치하여 운영중에 있다. 재연
벽은 주로 출구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원칙에 의해 재연벽과
천장에 위치한 비상구 표지는 동일한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일반적
인 경우에 빛 반사 등으로 인해 비상구 표지 확인이 어렵고, 화재로 인해 연기 발생시
연기에 의해 비상구 표지를 가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재연벽으로 인해 비상구 위치 확인
이 어려운 상황이 예상 가능하였다.
최근에 준공된 시설의 경우 비상구 표지를 벽면이 아닌 바닥면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경
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비상구 표지를 설치하는 위치가 변경된 이유 및 근거를 찾
기 어려웠으며, 이와 같은 설치 위치는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시 나타난 피난자의 이동
행태와도 맞지 않는 경우에 해당된다. 일본의 경우 벽면에 설치하되 국내 설치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쉽게 확인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운영
하고 있으며, 해당 벽면에 대각선 반대편 벽면에 비상구가 위치한 경우에 한하여 비상구
위치로의 화살표안내를 벽면에서 제공하고, 그 화살표의 연장선 바닥면에 비상구 표지를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35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연속적인 관점에서 비상
구 표지를 바닥면에 설치한 것이 아니라 벽면에 있는 비상구 표지를 없애고 바닥면의 중
앙부에만 설치하여 운영중이며 이와 같은 경우 피난자가 많은 상황에서는 피난자 모두
피상구 표지를 보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을 초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적절한 위치에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로 하는 시설을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은 최악의 상황인 전원이 차단 또는
정전된 상황, 연기로 전방 시야 확인이 불가능한 상황에 전혀 대비가 불가능한 상황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행동범위를 상황별
로 측정하여, 각 상황별도 필요한 대피경로 유도정보 및 시설을 공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3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4. VR 콘텐츠 개발 및 활용 현황
4.1 VR콘텐츠 개발 현황
현재 VR 가상환경은 현대인에게 오락, 레저 등으로 매우 익숙해져 있으며 게임
및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젊은 세대 만이
아닌 고연령자를 위한 콘텐츠 등도 제공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서는 5G 상용화와 발맞춰 실감콘텐츠 분야 조기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추경예산
을 투입하는 등 국가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메이저 통신사들
도 다양한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사실상 실현이 불가능한 기술로 평
가를 받기도 하였으나 현재 디스플레이 기술과 하드웨어의 성장으로 인하여 사
람을 속일 수 있는 정도의 시뮬레이션은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
로 완전한 VR 기술을 위해서는 인간의 눈이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1억
2000만 화소 가량의 해상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16K 해상도에 근접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의 한계와 한정적인 연산능력, 시야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재 VR
콘텐츠는 오락, 의료, 군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
으며 인간의 인지분야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미래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림 34.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 VR 기술


제2장 긴급상황 보행안내시스템 현황 분석 37
4.2 재난 관련 분야에서 활용중인 VR 콘텐츠 현황
VR 가상환경을 통한 교육 콘텐츠 중 대표적인 것이 재난관련 분야이며 직무 훈
련 및 재난상황 간접체험을 통한 위험상황 대응능력을 기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직무훈련 분야에서는 특히 소방관련 분야가 두드러지며 온라인 환경으로
까지 확대되어 최대 200명이 동시에 직무훈련을 가능하게 하기도 하였다.

그림 35. 체감형 소방관 가상 직무훈련 시스템

간접체험을 위한 콘텐츠로는 국내에서는 「가상 재난안전 교육시뮬레이터」를


통한 위험상황 초기 대응능력 배양을 위한 가상훈련을 서울소방재난본부에서 시
도한바 있으며 대한안전교육협회에서는 「미래 재난안전 체험관」을 박람회 등
에서 선보였었다. 해외에서도 재난의 체험과 대피 훈련을 위한 VR 콘텐츠를 지
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형 방재센터를 운영하는 등 재난상황
에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림 36. 국내외 재난상황 간접체험 콘텐츠


38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제3장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분석을 위한 체계 수립

1.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1.1 긴급상황 대피시 인간의 행동특성 분석을 위한 동작분석 시스템 요구
사항 분석
1.1.1 동작분석 시스템 개요
동작분석 시스템의 경우 긴급상황을 재현한 VR 콘텐츠 재생을 위한 HMD를 착용한 피
실험자가 제공되는 상황에 따라 취하는 행동이 변화할 때 이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도
록 동작분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노창균 외 1인(2018)13)에 따르면 동작분석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동작
분석시스템은 그림 35와 같이 구성되며, 의학, 재활의학, 스포츠역학 및 운동역학분야에
서 신체 및 운동특성 측정과 영화 특수효과를 위해 활용하는 장비로, 신체의 각 분절점
에 부착한 마커를 통해 운동(형상)학 정보(Kinematic data)와 운동역학 정보(Kinetic
data)를 측정한다. 기존 비디오 분석 대비 객관적 정보를 취득하여 활용하는 시스템의
특성으로 인해 기존 활용분야 이외에도 제품의 설계시 손잡이 등 사람이 사용하는 부분
의 위치 및 형상 결정에 본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동작분석시스템은
크게 2개의 장치로 구성되며, 이는 신체에 부착한 마커의 3차원 좌표를 취득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지면반발력을 측정하는 Ground Reaction Force Plate이다.

13) 노창균, 박범진, 김지수, 초고령 사회 대비 도시부 보행시설물 설계를 위한 표준 보행모델, 한국도로
학회지 Vol. 20 No. 2, 2018.6

제3장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분석을 위한 체계 수립 39


그림 37. 동작분석시스템
본 연구에서는 긴급상황 발생시의 피실험자의 본능적 행동이 발현될 때 시공간 변인만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부분만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적외선 카메라는 그림 36과 같다.

그림 38. 적외선 카메라

1.1.2 동작분석 시스템 요구사항


동작분석 시스템은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신체의 분절점 위치에
마커를 부착하여 동작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하며, 신체 전신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마커셋은 그림 37에 제시한 Helen Hayes marker set 이다.

4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그림 39. Helen Hayes marker (출처: Motion Analysis User Guidebook)
동작분석 시스템의 적외선 카메라의 구성 및 배치는 모든 마커를 최소 3대 이상의 적외
선 카메라가 촬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이와 같은 조건이 만족해야만 각 마커의 3차
원 좌표 위치 및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야만 그림 38과 같이 동
작을 측정하여, 그림 39와 같이 데이터 취득 및 분석이 가능하다. Helen Hayes
marker set은 입식보행에 적합한 구성이므로 기어가는 형태의 이동을 보일때도 신체에
부착한 모든 마커가 촬영될 수 있도록 일부 마커 위치의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3장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분석을 위한 체계 수립 41


그림 40. 동작분석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신체 움직임 예시

그림 41. 데이터 취득 및 기초 분석 결과 예시

4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행태 측정 및 분석을 위한 환경 제작
2.1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행태 측정을 위한 동작분석 시스템 구성
2.1.1 동작분석 카메라 배치 구성
긴급상황 재현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활용하여 끊김없는 분석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진에서 보유한 동작분석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
는 총 8기로, 동작분석 실험실의 평지 공간(4×10m) 및 피실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4
×6m의 유효 공간에 맞는 카메라 배치안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는 그림 40과 같다.
적외선 카메라는 벽면에 가까이 피측정자가 이동 할 경우 벽면에 인접한 신체부위에 부
착한 마커는 촬영되지 않는 음영구간이 발생하므로 벽면에서 이격하여 측정하며, 실험실
외곽 벽면에 카메라를 부착하는 것을 고려하여 가로 3m 간격 및 세로 4m 간격으로 설
치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적외선 카메라는 Oespery를 사용하였으며,
Oespery의 성능14)은 표 13과 같다.

그림 42. 동작분석 시스템 구성안

표 13. Oespery의 기기적 성능


구분 기기적 성능
Resolution 640 x 480
Frame Rate 250 sensor/250 camera
Number of Pixels (MP) 1.3 MP
76° x 61° @ 4mm zoom
FOV 29° x 22° @ 12mm zoom
Lens 4-12mm zoom
Outdoor No
14) http://www.motionanalysis.co.kr/kwa-13873-10

제3장 긴급상황 발생시 동작분석을 위한 체계 수립 43


2.1.2 마커셋 구성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목적의 마커셋을 구성하였
다.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신체에 부착한 마커가 모두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이 가
능하도록 하기 위해 Helen Hayes marker set 중 하지에 부착된 마커, 특히 허벅지,
정강이 및 발등에 부착된 마커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총 29개로 구성된 Helen Hayes marker set 중 좌우측 하지의 허벅지, 정강이 및 발
등에 위치한 총 6개의 마커의 위치를 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Helen Hayes marker
set 정위치에서 상기 제시한 3개 부위 6개의 마커의 적합한 위치를 찾기 위해 측면(외곽
위치)으로 1cm 간격으로 옮겨가며 기어서 이동하는 자세를 취하였다. 이때 바닥면과 마
커 사이의 마찰로 인해 마커가 신체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적외선 카메라에서도 음영이
발생되지 않으며 Helen Hayes marker set의 정위치에서 가장 적은 이동거리의 마커
부착 위치를 도출하였다.
재설정한 마커셋을 기반으로 동작분석시스템의 CORTEX Motion Capture Software
(신체에 부착한 마커별 위치 지정 및 3차원 좌표 추출 S/W) 및 SIMM Software(마커별
시공간 데이터 분석 S/W)에서도 정상적으로 인식 및 분석이 가능한지 확인하였으며, 최
종 마커셋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그림 41과 같다.

그림 43.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목적으로 재설정한 마커셋

4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제4장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VR 콘텐츠 구현

1.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1.1 게임엔진
게임엔진은 비디오 게임의 개발에 기반이 되는 구성 요소들을 가진 필수 구성
요소들인 그래픽 엔진, 물리 엔진, 오디오 엔진, UI 시스템, 게임플레이 프레임
워크 등이 잘 융합된 상태의 소스 코드와 그 기능들을 사용가능하게 하는 툴을
겸비한 개발 소프트웨어를 일컫는 말이다. 최근의 게임엔진은 그 뛰어난 성능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테스트 및 물리학 실험 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나 VR 기술을 이용하는 분야에서는 더 빠른 시스템 개발 및 실험을 위해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게임엔진이 존재하고 있으며 성능 및 라이센스 등
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엔진은 그 수가 많지 않다. 그 중 본 과제
를 위한 VR 콘텐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최소 조건은 엔진의 사용에 무리가 없
고 3D 개발 환경에 적합하며 안정적이고 신용할 수 있는 물리 엔진이 제공되
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대표적인 엔진은 언리얼 엔진과 유니티 엔진을 들 수
있다.
현재 언리얼 엔진과 유니티 엔진의 우열은 가릴 수 없을 정도이며 전 세계적으
로 보아도 그 점유율과 레퍼런스에 큰 차이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본 과제
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는 상대적으로 에디터가 가볍고 다양한 애셋을 제공하며,
고급언어에 해당하는 C#이 사용가능한 유니티를 이용하였다.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45


1.2 VR 기기
가상현실을 체험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는 엘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등 BCI 기술
도 주목을 받고는 하지만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가장 안전한 기술은 HMD
(Head Mounted Display) 기술이다. 90년대 초반부터 구현된 HMD 기술은
게임과 동영상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으며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
과 함께 더욱 가속화하였다. 과거 버추얼 보이나 세가 VR 등 90년대 중반에 출
시된 하드웨어들은 대중화에 실패하였으나 현재는 Oculus, Vive 등을 중심으로
Google, Valve 등에서도 상용화된 HMD를 생산하고 있다.
트래킹이 적용되며 개발 SDK가 충분히 검증되어 있고 윈도우 기반에서 작동하
여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는 Oculus Rift 시리즈와
HTC VIVE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현재 시점 가장 최신기기인
HTC VIVE Pro를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이후에 출시된 더 최신
기종인 Oculus Rift S가 2019년 5월에 출시되어 연구 시점 이후이고, 현재
가장 최신사양 기기인 Valve Index 역시 국내에 출시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
이다.

4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 VR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개발환경 검토 및 구성
2.1 Unity 2018 엔진
유니티는 2004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설립된 Unity Technologies가 개
발한 게임엔진으로 이후 다양한 업데이트를 거쳐 현재는 Unity 2019를 발표하
였다. 유니티는 올인원 에디터를 지향하여 다양한 툴과 개발자 툴세트를 제공하
며, 이를 이용하여 2D 및 3D 개발이 가능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물리엔진
을 제공하여 고성능 개발환경을 제공한다.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여 쉽게 여러
디바이스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며 다른 메이저 게임 엔진에
비하면 비교적 가벼운 편이라 저사양에서도 개발이 가능하다.
유니티 2018 버전 부터 3D 그래픽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고 잡 시스템과 ECS
를 지원하여 멀티스레드를 이용한 포크-조인 방식의 병렬 프로그래밍이 유니티
스크립트에서도 사용 가능해졌다. 2019 버전 부터는 경량 렌더 파이프라인이
정식으로 적용되어 3D 그래픽 성능의 최적화가 개선되었고 컴파일 속도도 향상
되었다. 현재는 게임 이외에도 가상환경을 이용한 제품 마케팅 및 영화 애니메
이션, 설계·건축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그림 5. 유니티 엔진의 대표적인 적용 분야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47


유니티 2019는 2019년 4월 15일에 정식 출시된 버전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니
티 2018 버전 중 최신버전인 2018.3.12f1 버전을 활용하여 VR 콘텐츠 개발
을 수행하였다. 다만 VR 기기 등의 안정적인 활용을 위하여 외부 SDK는
Unity Asset Store 기준 최신 버전을 활용하였다. 타겟 플랫폼으로는 유니버
설 Windows 플랫폼을 따르며, PC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개발을 위
한 요구사항 이외에도 게임 실행 요구사항도 동시에 만족할 필요가 있다.

표 14. Unity 2018 시스템 요구조건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Windows 7 SP 이상 (64비트 버전)
OS macOS 10.12 이상
(Wndows 서버 및 OS X 서버 버전은 권장하지 않음)
CPU SSE2 명령어 세트 지원
GPU DirectX 10(셰이더 모델 4.0) 지원 그래픽 카드
추가 플랫폼 개발 요구사항
macOS 10.12.6 이상 Mac 컴퓨터
iOS
Xcode 9.4 이상
Android SDK
Android Java Development Kit
Android NDK (IL2CPP 사용시)
Windows 10 (64비트)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 VC++ 툴 컴포넌트를 포함한 Visual Studio 2015 이상
Windows 10 SDK
Unity 게임 실행 요구사항
Windows 7 SP 이상
OS macOS 10.12 이상
Ubuntu 16.04 이상
CPU SSE2 명령어 세트 지원
GPU DirectX 10(셰이더 모델 4.0) 지원 그래픽 카드
타겟 플랫폼
iOS iOS 9.0 이상(iOS 플레이어 사용시)
OS 4.1 이상
Android NEON을 지원하는 ARMv7 CPU 또는 Atom CPU
OpenGL ES 2.0 이상
Firefox
Chrome
WebGL
Edge
Safari
Windows 10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
DirectX 10(셰이더 모델 4.0) 지원 그래픽 카드

48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2 HTC VIVE Pro 재원 및 사양
밸브 코퍼레이션과 HTC의 협력으로 개발한 가상현실 HMD기기로, HTC
VIVE의 후속 기종이다. HMD는 개발단계부터 디스플레이의 발전이 생각보다
매우 느려서 매우 낮은 해상도로 인한 심각한 눈의 피로와 두통, 매우 무거운
무게와 덩치로 인하여 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Vive Pro는 현재 가장 최신형 기
기중 하나로 단점을 다수 개선하였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의 경우 듀얼 아몰레드 3.5인치를 적용하여
2880 x 1600으로 픽셀 수를 크게 늘렸고 615PPI로 픽셀 밀도를 개선하였다.
또한 얼굴 쿠션을 개선하여 밖에서 새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여 전반적인 비주
얼을 크게 개선하였다. 3D 헤드폰이 기본 장착되어 좀더 입체적인 오디오가 제
공 가능하며, 스트랩이 개선되어 무게중심의 쏠림현상도 완화되었다.
트래킹도 더욱 정밀해져서 트래킹 공간을 과거 4.5m x 4.5m에서 최대 6m x
6m까지 감지가 가능하게 되었다. Vive 무선 어댑터를 사용시 케이블 없이 좀
더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며, 메인보드의 PCI-E 슬롯을 필요로 한다. 약 2
시간 30분 정도의 지속시간을 가진 배터리를 장착하여 컴퓨터와 통신하게 된다.
시선 추적 센서가 탑제된 VIVE Pro eye도 출시되어 세밀한 정보 제공 및 수집
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team VR을 통해서 사용가능하며 개발에도 Steam
VR SDK를 필요로 한다.

그림 44. HTC VIVE Pro Full Kit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49


표 15. Vive Pro 사양
Vive Pro 헤드셋
화면 듀얼 AMOLED 3.5인치 diagonal
1440 x 1600 pixels per eye
해상도
(통합 2880 x 1600 pixels)
화면 주사율 90Hz
시야각 110도
Hi-Res 인층 고음질 헤드셋
음향 Hi-Res 인증 고음질 헤드폰(탈부착 가능)
고임피던스 헤드폰 지원
입력 내장 마이크
USB-C 3.0
연결 DP 1.2
블루투스
SteamVR 트래킹, G-센서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IPD 센서
인체공학
렌즈 거리 조정 가능, IPD 거리 조정
헤드폰 길이 조절, 헤드 스트랩 길이 조절
컨트롤러 사양
센서 SteamVR 트래킹 2.0
다기능 트랙패드, 그립버튼
입력 듀얼 스테이지 트리거, 시스템 버튼
메뉴버튼
연결 Micro USB 포트
트래킹 면적 요구사항
좌식/입식 세팅 최소 필요 공간 없음
최소 2m x 1.5m
룸 스케일 최대 6m x 6m

표 16. 최소 PC 사양
구 분 사 양
프로세서 Intel i5-4590 또는 AMD 8350 이상
최소사양 NVIDIA GTX 970 또는 AMD Radeon R9 290 이상
그래픽 NVIDIA GTX 1070/Quadro P5000 이상
권장사양 AMD Radeon Vega 56/Pro WX7100/ FirePro W9100 이상
메모리 4GB RAM 이상
비디오 출력 Display Port 1.2 이상
USB USB 3.0 포트 1개 이상
OS Windows 10 이상 권장

5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2.3 VR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개발환경 구성
상기 검토된 요구사항에 따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였다. 하드웨어는
HTC VIVE Pro의 권장사양을 따르고 소프트웨어는 Unity 2018의 권장사양
과 HTC VIVE Pro의 권장사양을 모두 만족시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표 17. 하드웨어 구성
구 분 요구사항 개발환경
NVIDIA GTX 1070/Quadro P5000 이상
AMD Radeon Vega 56/Pro WX7100/
그래픽 FirePro W9100 이상 NVIDIA GeForce RTX 2070 8GB
DirectX 10(셰이더 모델 4.0) 지원
Display Port 1.2 이상

Intel i5-4590 또는 AMD 8350 이상


프로세서 Intel i7-9700K
SSE2 명령어 세트 지원

메모리 4GB RAM 이상 32GB RAM

메인보드 USB 3.0 포트 1개 이상 USB 3.1 지원

표 18. 소프트웨어 구성
구 분 요구사항 개발환경
Windows 7 SP 이상 (64비트 버전)
OS macOS 10.12 이상
Windows 10 (64비트)

Windows 10 (64비트) Windows 10 (64비트)


VC++ 툴 컴포넌트를 포함한 VC++ 툴 컴포넌트를 포함한
Unity Visual Studio 2015 이상 Visual Studio 2017
Windows 10 SDK Windows 10 SDK
Unity 2018 Unity 2018.3.12f1
Steam VR v1.6.10
Steam VR
VR Steam VR Plugin v2.3.2
Steam VR SDK
(SDK 1.4.18)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51


[편집상 여백]
제5장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VR 콘텐츠 구현

1. 긴급상황 재현을 위한 시나리오 수립


실내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이 발생하여도 피난자는 즉시 피난 행동을 취하지
않고 현장을 주시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후 불
이나 연기를 실제로 확인하고, 소리 및 냄새를 통해 느끼며, 정전발생 및 주변
사람의 피난하는 모습을 확인한 이후에야 피난 행동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피해자의 심리적 경향 및 심리 상태에도 관계되며, 불안
감이 강한 피해자일수록 피난 개시 시간은 빨라지는 행동 특성이 관찰된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감을 높인 가상 현실 공간에서 피난자의 행동 선택 데
이터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피난자의 피난 훈련에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취득
및 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 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는 실내에서 재난 상태가 발생한 것을 가정한다. 이때 비상벨 소리
와 함께 대피자의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비상구 표지 등을 포함한 긴급상
황 유도 안내체계에 의존하여 대피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출구를 찾아 나와야 하
는 상황을 재현하고자 한다.

그림 45. 정전 상황 및 비상구 유도 표식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53


2. 시나리오에 따른 콘텐츠 개발을 위한 리소스
2.1 3D 모델링
HTC VIVE Pro의 트래킹이 6m x 6m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대한
모델은 큰 의미를 갖지 못하며 빛이 들어오지 않는 실내환경을 갖추고 간단한
조명과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공간을 고려하였다. 조명이 모두 꺼졌을 경우 극
단적으로 어두운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Steam VR Plugin은 기본적으로 VIVE Controller에 실제 디바이스 모델링을
제공하여 개발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현 과제에서는 현실감 없는
디바이스 모델링은 시뮬레이션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어 실
제 손 모양의 모델링으로 교체하였다.

그림 46. 3D 모델링 리소스


2.2 사운드
필요한 사운드 리소스는 대피 비상벨만 재생되면 될 것이므로 온라인에서 무료
라이센스로 제공되는 리소스를 찾아 입력하였다.

5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3. VR 구현을 위한 Unity 구성
3.1 Steam VR Plugin 설치
Steam VR Plugin은 Unity에서 HTC VIVE Pro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패키지로 기본적인 VR용 샘플과 세팅정보를 가
지고 있어 손쉽게 VR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 Steam에서 지원
하는 대부분의 VR 기기들을 자동으로 지원하며 HTC VIVE 시리즈 개발에 밸
브 코퍼레이션이 참여하였기 때문에 높은 호환성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최신버전은 2.3.2이며 SDK 1.4.18 버전을 포함하고 있다. 버전이 업데
이트 되는 경우 설정 등이 변경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버전을 유지 및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림 47. Unity Asset Store에서 제공하는 Steam VR Plugin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55


그림 48. Steam VR Plugin 패키지 구성

VR용 카메라 및 기동하는 방법은 유니티에서 지원하는 Prefab의 형태로 플러


그인에서 지원하며 이 Prefab들을 Hierarchy에 추가함으로써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실행하여 확인도 할 수 있다.

그림 49. Steam VR Plugin Prefab 설정

5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그림 50. Plugin Prefab 설정 후 실행 테스트 화면

3.2 Unity XR Settings


Unity는 프로젝트에 외부 플러그인이 없어도 타겟 가상 현실 기기를 직접 지정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XR은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혼합 현실
(MR)을 전부 포괄하는 용어 이지만 주로 VR을 가리킨다.
간단한 설정만으로도 각 VR 기기의 안정적인 버전을 자동으로 로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여러 기기를 동시에 포함시키고 기기 간에 전환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
할 수 있다. Steam VR Plugin에서는 Import시 자동으로 세팅을 지원한다.

그림 51. Unity XR Settings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57


4. 시스템 아키텍처 및 VR 콘텐츠 구현
4.1 리소스 배치
확보된 3D 모델링 리소스는 여러 파일 형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는
Hierarchy에 드래그함으로써 쉽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Hierarchy에 기본적
으로 배치되어 있는 MainCamera와 Directional Light를 제거한다.
MainCamera는 VR을 구현함에 따라 불필요한 오브젝트이고 Directional
Light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것 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광원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다. 실내 3D 모델링은 Indoor 오브젝트로 명명하고 Inspector 창에서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3차원 벡터값으로 입력한다. 또한 고정된 맵
이므로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기 위해 Static으로 지정한다.

그림 52. 실내 3차원 모델링 배치

58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실내 3D 모델링 배치 후 적절한 위치에 테스트 피험자를 유도하기 위한 비상구
표지판을 배치한다. 이때 표지판은 고정된 모델링 이므로 실내 모델링과 마찬가
지로 Static으로 지정한다. 다만 표지판은 정전상황에서도 발광되어야 하므로
Light를 Spot속성으로 배치하여 준다.

그림 53. 비상구 표지판 배치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59


Steam VR Plugin Prefab은 HTC VIVE Controller 모델링을 기본으로 포
함하고 있어 이 부분을 해당하는 손 모양으로 바꾸어줄 필요가 있다.
Hierarchy에 추가한 [CameraRig] Prefab은 Controller(left)와
Controller(right) 오브젝트를 갖고 있으며 이는 왼손과 오른손에 해당한다. 해
당 Controller 오브젝트 하부의 Model 오브젝트를 비활성화하고 왼손과 오른
손 모델을 추가하는 것으로 손 모델링을 적용시킬 수 있다.
Controller는 SteamVR_Behaviour_Pose 컴포넌트를 갖고 있으며 이는 HTC
VIVE Controller의 위치 값을 트래킹하여 가상 공간에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54. HTC VIVE Controller 모델링 교체

6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4.2 Main 오브젝트
콘텐츠에서 요구하는 시스템의 기능이 복잡하지 않아 메인 스크립트 한 개로 처
리가 가능함에 따라 싱글턴 패턴을 따르는 하나의 클래스로 콘텐츠를 만들도록
한다. 해당 스크립트는 편의상 KictVRManager로 지정하고 KictVRManger
오브젝트에 컴퍼넌트로 추가하여 관리한다.
싱글턴 패턴은 생성자가 여러 차례 호출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
이고 최초 생성 이후에 호출된 생성자는 최초의 생성자가 생성한 객체를 리턴하
는 디자인 방식이다. 주로 공통된 객체를 여러가지 생성해서 사용해야 하는 상
황에서 많이 사용된다.
표 19. KictVRManager 오브젝트 및 클래스의 싱글턴 선언
public class KictVRManager : MonoBehaviour
{
private static KictVRManager s_Instance;
public static KictVRManager Instance
{
get
{
if (s_Instance == null)
{
s_Instance = FindObjectOfType<KictVRManager>();
DontDestroyOnLoad(s_Instance.gameObject);
}
return s_Instance;
}
}
private void Awake()
{
if (s_Instance == null)
{
s_Instance = this;
DontDestroyOnLoad(this);
}
else if (this != s_Instance)
{
Destroy(gameObject);
}
}
}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61


KictVRManager 클래스는 시나리오에 따라 불이 꺼지는 조명과 비상벨 소리를
변수로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오디오와 여러개의 조명을 관리하기 위
한 Array 형으로 변수를 선언하였다. 각각의 변수는 Unity에서 지원하는
AudioSource와 Light 클래스로 선언된다.
각각의 변수는 유니티에서 지원하는 Inspector를 통해 값을 입력하여 복잡한
코드를 입력하는 부분을 지양하고 시각적으로 오류 및 값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불이 꺼지는 단계를 enum 값으로 선언하여 향후에 코드가 복잡해
지거나 새로운 단계가 추가되더라도 오류가 생기거나 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표 20. KictVRManager 클래스의 변수 및 enum 값
public enum ScenarioStep
{
Step0 = 0,
Step1 = 1,
Step2 = 2,
Step3 = 3
}
public class KictVRManager : MonoBehaviour
{
public Light[] spotLights;
public ScenarioStep step;
public AudioSource emergencyAudio;
}

그림 55. KictVRManager 클래스 Inspector

6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시나리오 중 오디오가 필요한 부분은 비상벨 한 부분이기 때문에 관리의 용이성
을 위해 KictVRManager 오브젝트에 컴포넌트로 추가하여 처리하였다. 여기에
사용되는 AudioSource 클래스는 Inspector를 통해 다양한 음향 효과를 간단
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림 56. KictVRManager 오브젝트에 연결된 AudioSource Inspector

4.3 시나리오 구현
실험에 참가하는 피험자는 실내 3D 모델링의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비상벨의
소리와 함께 단계적인 정전상황을 거쳐 비상구 표지판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단계적인 정전상황은 VR 콘텐츠가 재생되는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관리
되며 유니티의 Game 화면을 통해 피험자가 바라보고 있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스크립트에서는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여 단계별로 조명의 밝기
를 관리하고 필요한 단계에서 비상벨 오디오를 재생하여 피험자에게 재난상황의
시작을 알릴 필요가 있다.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63


그림 57. 외부입력에 따른 시스템 흐름도

유니티에서는 키보드 및 외부 기기의 입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필요가 있어 유


니티의 생애주기 중 Update 구문을 통해 입력을 감지하며 편의상 스페이스바의
입력을 통해 관리한다. Update 구문은 유니티에서 콘텐츠가 실행되고 있는 한
실시간으로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스페이스바 입력이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 스페이스 바가 입력되는 시작과 끝을 분리하는 bool 값을 선언
하여 함수의 정확한 실행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단계별로 명확히 구분된 함수를 작성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정하고 필요단계에서
비상벨 소리를 재생한다. 조명의 밝기는 Light 클래스의 Intensity를 조절하여
조정하며 이는 후에 밝기가 조정될 필요가 있거나 광원의 도달범위를 조정해야
하는 등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비상벨은 Inspector로 입력된 Clip
변수를 AudioSource 클래스의 Play 함수로 재생할 수 있다.

표 21. 단계별 시나리오 재현 방법


단계 구분 시나리오 설명 구현방법
통로 첫 번째 조명 꺼짐 Light 클래스 intensity 0 적용
1단계
비상벨 소리 켜짐 AudioSoruce Clip 재생
2단계 통로 두 번째 조명 꺼짐 Light 클래스 intensity 0 적용
3단계 통로 안쪽 모든 조명 꺼짐 Light 클래스 배열 intensity 0 적용
0단계 (초기화 상태) 모든 조명 켜짐 Light 클래스 배열 intensity 1.5 적용

6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표 22. 키보드 스페이스바 입력 감지
public class KictVRManager : MonoBehaviour
{
private void Update()
{
if (Input.GetKeyDown("space"))
{
lightControlPressDown();
}
if (Input.GetKeyUp("space"))
{
lightControlPressUp();
}
}
}

표 23. 단계별 시나리오 재현


public class KictVRManager : MonoBehaviour
{
private bool lightControlPressed = false;
private void lightControlPressDown()
{
if (!lightControlPressed)
{
lightControlPressed = true;

switch (step)
{
case ScenarioStep.Step0:
Step1();
break;
case ScenarioStep.Step1:
Step2();
break;
case ScenarioStep.Step2:
Step3();
break;
case ScenarioStep.Step3:
Step0();
break;
}
}
}
}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65


표 23. 단계별 시나리오 재현 (계속)
public class KictVRManager : MonoBehaviour
{
private void lightControlPressUp()
{
if (lightControlPressed)
{
lightControlPressed = false;
}
}
private void Step0()
{
step = ScenarioStep.Step0;

for (int i = 0; i < 6; i++)


{
spotLights[i].intensity = 1.5f;
}
}
private void Step1()
{
step = ScenarioStep.Step1;

spotLights[0].intensity = 0f;
emergencyAudio.Play();
}
private void Step2()
{
step = ScenarioStep.Step2;

spotLights[1].intensity = 0f;
}
private void Step3()
{
step = ScenarioStep.Step3;

for (int i = 2; i < 6; i++)


{
spotLights[i].intensity = 0f;
}
}
}

6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4.4 VR 콘텐츠 실행 결과
최종 결과물로서 유니티를 이용해 재생한 결과 단계별 시나리오의 재현에 문제
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실험의 필요 여부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조정하거
나 비상구 표지판의 위치를 조정하여 좀 더 세밀한 테스트가 가능할 것으로 기
대된다.

표 24. 단계별 시나리오 실행 결과


1단계 (비상벨 소리 재생) 2단계

3단계 0단계 (초기화)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67


[편집상 여백]
제6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1.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의 본능적 행동 측정 및 결과


본 연구에서는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의 본능적 행동 측정이 가능한지 실험적으로 VR 콘
텐츠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작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행동을 측정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한 마커셋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인간의 행동을 측정하는 test
를 시행하였다.
test는 분석방법 및 분석결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최
소화 하였다. VR을 통해 제공하는 총 3단계의 긴급상황(전방 시야 제한)에 따라 발현되
는 인간의 행동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그림 45~47 및 표 15와 같다.

그림 58. 1단계(평시) 인간 이동행태 측정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69


그림 59. 2단계(상황발생, 원거리 광원) 인간 이동행태 측정

그림 60. 3단계(전원 완전 차단) 인간 이동행태 측정

표 25. 긴급상황 재현 상황별 인간의 움직임 행태 측정 결과


1단계(평시) 2단계(상황 발생) 3단계(전원 차단)
최대 신체 높이 (mm) 1,680 1,550 695 (손위치: 518)
최대 신체 폭 (mm) 614 663 490
최대 신체 길이 (mm) 653 750 1,200
이동 속도 (mm/sec) 1,150 500 320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긴급상황에서의 대피행동의 신체 크기는 측단적


으로 축소된다. 특히 신체 높이는 절반 이하로 감소하며,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위치는 1/4수준에 해당한다. 또한 이동속도는 1단계 대비 3단계에서는 28%수준으

7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로 감소한다. 즉,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는데 3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됨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할 때,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신체 최대 높이인 695mm
보다 낮은 위치에 시야가 위치하며, 손을 뻗어 올렸을 때도 518mm로 제한되어 있
으므로 긴급상황 대피유도 시스템 관련 기준인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에 의거 설치된 유도등 및 유도표지(1m 이내 설치)는 시각 및 촉각으로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71


2. 연구개발 제안서 도출 결과 및 진행사항
2.1 연구개발 제안서 도출 결과
본 연구의 성과물로 도출한 연구개발 제안서는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이라는 주제
로 도출하였다. 제안 기술은 긴급상황 발생시 기존 연구에서는 차량을 이용한 대피, 대피
시 이동해야 하는 동선과 관련된 내용으로 지하공간에서 대피상황 발생시 현재 위치에서
지상의 대피소 또는 차량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과정에서 보호를 받지 못하는 긴급구난
Missing Link가 발생하며, 이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기술에 해당한다.
제안 내용의 핵심 부분인 개발 필요성 및 기술개발 내용은 본 연구의 성과물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과제카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표 26.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 과제카드 도출 결과
[3-3-3-3]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
기술의 정의• 긴급상황 발생시 보행자의 긴급대피 및 구난을 위한 안내시스템으로,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위한
시스템상 대응체계의 음영구간에 해당하는 보행자를 대응하기 위한 기술 및 시스템
• 도로교통분야에서는 교통 사고 및 재난 발생시 대피 및 구난은 차량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 조건으로
하고 있음
• 이로 인해 실내공간 및 차량에서 이탈한 보행자의 경우 긴급구난 대응 체계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긴급구난 Missing link) 발생
(대구지하철화재참사의 경우 비상유도등을 포함한 안내체계에 대해 피난자의 87%가 인지하지 못하였고,
88%가 대피에 도움을 받지 못하는 등 기존 시스템은 피난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홍원화, 전규엽, 대한건축학회논문집제21권제1호, 2005))
개발필요성

(그림) 응급상황 대피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기존 대피 안내(유도)체계, 출처: 대구지하철 화재


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 안전피난대책에 관한 연구, 홍원화, 전규엽, 대한건
축학회논문집제21권제1호, 2005(재구성)
• 끊김없는 긴급구난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체계 마련 필요

중점기술 본 사업으로 개발 가능한 신기술 달성목표 및 달성방안


(특허): 달성목표: 교통 사고 및 재난 사상자 50%

재난상황별 필요 정보 시공간적 감소에 기여】
기술개발 (3-3-3-3) 분석 기술, 대피자 맞춤형 - 달성방안: 세부기술을 기반으로 긴급구난 대응
목표 대규모 동적정보 시각화 및 제공 기술 체계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긴급구난
실내공간 (제도): Missing link) 최소화
긴급구난 - 입체복합환승시설에 우선 적용
대응 기술 대피자 맞춤형 시각화 정보 표준, - 실내/외 보행자 대상 교통 시설 전반적인
대피공간 맞춤형 안내체계 현장 재난상황에 대해 입체적 대응 체계 완비
적용을 위한 법제도

72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3-3-3-3]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
• (중점기술 개념도)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위한 시스템상 대응체계의 음영구간(Missing link)에
해당하는 보행자 대응 시공간적 분석 및 정보제공 기술 개발

• (구성기술1) 대피자 유형, 위치 및 재난상황별 필요 정보 시공간적 분석 기술


- 교통사고 및 교통재난 발생시 대피자는 대피자의 유형(노약자, 장애인), 상황 발생시의 위치,
교통사고/재난상황별로 필요한 정보 도출
- 필요 정보의 시공간적 변화 요인 분석

• (구성기술2) 대피자 맞춤형 동적정보 시각화 및 제공 기술


- 무의식중에서도 대피관련 정보를 인지가 가능하도록 인간의 무의식 행동 기반 정보 시각화

기술개발
내용

(그림) 시야 확보 정도에 따른 인간의 행동 특성 예시

- 대피자의 이동경로에 따라 맞춤형 동적 정보 생성 기술 개발


- 교통사고 및 재난상황(시야 제약, 붕괴 등)에 따른 정보 제공 기술 개발

• (구성기술3) 대피공간 맞춤형 안내체계 법제도 및 표준


- 대피자 맞춤형 시각화 정보 표준 도출
- 대피공간 맞춤형 안내체계 현장 적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안 도출

(그림) 안내체계 관련 제도 개선 방향: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응급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위치, 형태 및 방식으로 개선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73


[3-3-3-3]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
• 대피자 유형, 위치 및 재난상황별 필요 정보 시공간적 분석 기술
최종성과물 • 대피자 맞춤형 동적정보 시각화 및 제공 기술
• 대피공간 맞춤형 안내체계 도입을 위한 법제도 및 표준

2.2 자원투입 계획
도출된 과제는 대규모 실내공간 긴급구난 대응 기술로, 교통사고 및 재난 사상자 50%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과제카드에 제시
된 바와 같이 크게 3개의 구성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기술 1) 대피자 유형, 위치
및 재난상황별 필요 정보 시공간적 분석 기술, (구성기술 2) 대피자 맞춤형 동적정보 시
각화 및 제공 기술, (구성기술 3) 대피공간 맞춤형 안내체계 법제도 및 표준 등 3개 기
술로, 해당 구성기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동작분석 기술 및 VR을
활용한 긴급상황 재현기술은 필수적 요소기술로 활용되어야 한다. 다만, 시드과제로 도출
된 본 연구성과물은 단편적인 부분에 대해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므로 이를 다양한 상황
및 복합적 상황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장비 및 기술의 확대 적용이 필수적이
다. 또한 맞춤형 동적정보 시각화 및 맞춤형 안내체계는 보다 입체적으로 긴급상황에 대
응하기 위해 상시 모니터링 및 상황별 가변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장비 또는 시스템 개
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4년의 연구기간 및 이에 합당한 연구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장비개발 및 테스트에 보다 집중적인 자원이 투입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
되며,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연 평균 2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
라서 총 80억원/4년을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적정 자원 투입이 필요하다.
2.3 연구개발 제안 현황 및 계획
도출한 과제카드는 1차적으로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하고자 하였던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
국가교통체계 혁신’ 예비타당성 조사(2019-3차)에 반영된 바 있다. 3차 예비타당성 조
사에서는 해당 과제가 탈락되었으나, 예비타당성 조사 과제 평가시 본 과제에서 도출한
‘보행자 긴급구난 대응 기술’은 전체 과제에서도 우선 시헹이 필요한 순위 평가에서도 가
장 높게 평가된 바 있다. 또한 현재 추진 예정인 후속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의 ‘국가교통
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에도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74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3. 연구수행 결과
본 연구는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을 목적으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시 현장 상황 및 대피자의 행동특성을 기반으로 VR 기반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에 발현되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을 측정하
수 있는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상기 내용을 달성하기 위해 수립한 세부연구 목표 및 단위 성과물, 연수수행체계는 그림
48과 같다. 관련 문헌 및 연구 동향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국내 및 국외(일본 동경) 긴
급상황 대피유도 시스템 현황을 조사/분석 하였다. 3단계로 전원이 차단되는 상황을 포
함한 가상의 실내공간을 구현한 VR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며, 보유한 장비 및 실험공간에
적합한 동작분석 시스템, 최적화된 마커셋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그림 49와 같이 기존 경로유도시스템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현 대피경
로 유도시스템의 설치위치(1.5m 또는 1m 이하)를 고려할 때 손 높이 및 정수리 위치
모두 0.7m 이내로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시 비상구 표시를 포함한 긴급상황 대피유도 시
스템을 인지하지 못하고 활용하지 못한 객관적 근거를 1차원적으로 검토하였다고 파악된
다.

그림 61. 기존 경로유도시스템 효용성 검토 결과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75


4. 기대효과
4.1 성과활용계획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 실용화를 직접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향후 재난·재해 대응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당해연차 연구를 통해 긴급상황 대응 보행안
내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하고, VR과 동작분석시스템을 결합하여 긴급상황 모사
및 행동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확장을 통해 보다 완성도 높은 긴급상황 대응 보행안내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사고 경감을 위한 기술로 표 15와 같이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의 결과 및 추가 연구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유도시설
물(신규)은 중소기업 등에 기술이전 등의 형태로 연구성과 확산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표 27. 긴급상황 재현 상황별 인간의 움직임 행태 측정 결과


수요처명 적용대상 성과물 적용시기 적용행태 적용효과(정량적)
긴급상황 대응 보행안내 추가 연구개발 완료 후 긴급상황 발생시
일반 보행로
시스템 5년 이내 인명사고 20% 경감
정부·공공섹터 긴급상황 대응
추가 연구개발 완료 긴급상황 대응
보행안내시설 설치 제도
시점 보행안내시설 규격
매뉴얼
중소 중견기업 지원 방안
기업명 적용 성과물 적용시기 적용형태 적용효과
긴급상황 대응 보행안내 추가 연구개발 완료 후
○○○ 시스템 5년 이내
기술 이전 등 기술료 등

4.2 파급효과
4.2.1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도로교통 분야에 활용중인 기술에 인간공학 및 Bio-mechanics분야 기술을 접목하여 새
로운 신규 기술 창출 및 기술 확장을 기대한다. 설문조사 및 감성적 불편도 기반의 시설
설계방식을 탈피하여 인체공학적 이상적 설계 기법 정립 및 기준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76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기존 VR기술은 가상의 재난·재해 상황 모사를 통해 안전교육을 실시하는데 활용되고 있
으며, 동작분석시스템은 재활치료 및 바이오메카닉 분야를 중심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본 과제 연구진은 상기 분야에서 활용중인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시설물의 적
정 설계기준을 도출하는데 활용하는 등 학제간 융합(도로교통+바이오메카틱)연구를 성
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으며, 이때 취득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VR기술을 포함한 재난상황
시 인간의 본능적 행동을 계측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4.2.2 경제적 파급효과
대구지하철 참사의 경우 총 343명의 사상자(사망자 192명ㆍ부상자 151명)가 발생하였
으며, 사망자 1명당 사회적 비용을 약 4억원(도로교통공단 2018년 추정)으로 가정할 경
우, 사망자 10% 경감시 76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발생 할 것으로 추정된다. 재난·재해
의 경우 대규모 인명사고가 동반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경로 혼란에 의한 사상자 감소
시 전체 사상자의 약 20%를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사상자의 감소는 사회·경제적 사고비용을 경감시키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4.2.3 사회적 파급효과
실내 및 지하공간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연재해 및 인적재해 빈도 증가로 인
해 시민 불안감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을 이용하여, 사전 자연 및 인적
재해 경감을 위한 대책 마련과 함께 상황 발생시 생존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
을 통해 복합적 대응 기반 마련으로 대시민 안전도 증가 및 국가 안전도 증대를 기대하
고 이다.
기존 긴급상황 대응체계는 사전에 안전한 경로를 파악하고,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여 대
피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한정되어 있으며,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대피
매뉴얼이 잘 마련되어 있다 하여도 인간의 본능적 행동이 무의식중에 발현되어, 매뉴얼
에 제시된 경로 및 행동이 무의미해지며 이로 인해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
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긴급상황 대피경로에 인간의 본능적 행동
이 발현된 경우 확인 및 이용이 가능한 유도체계가 마련될 경우 대형 재난·재해 상황에
서도 사상자를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4장 연구수행 결과 및 기대효과 77


[편집상 여백]
참고문헌
홍원화, 전규엽(2005), 대구지하철 화재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 안전피
난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송국섭(2003), 화재 발생과 인간의 행동반응,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0권 제1호
최민지, 박문서, 이현수, 황성주(2013), 화재 시 재실자 행동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건물
피난 행태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4권 제6호
노창균, 박범진, 김지수(2018), 초고령 사회 대비 도시부 보행시설물 설계를 위한 표준 보
행모델, 한국도로학회지 Vol. 20 No. 2
Cherkoff, J. M., and Kushigian, R. H. (1999). Don’t Panic: The Psychology of
Emergency Egress and Ingress, Praeger, London
Tadashi IIJIMAudag, Koki TAKANAMI, Takatoshi IWASA, Ryota SATO, Yuta
KANEKO, Ken UCHIKAWA(2014), Indoor Fire Evacuation Drill in Virtual
Reality Space and Collecting Behavior Selection Data to Sophisticate
Simulation Model, 情報システム学会第10回全国大会・研究発表大会
손영태, 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비를 위한 이용자 맞춤형 교통방재시스템 연구, 한국연구
재단, 2013
国土交通省 都市局 街路交通施設課, 地下街の安心避難対策ガイドライン, 平成26年4月
지난해 재난피해액만 3000억…화재·AI 등 사회재난 늘었다, 이데일리, 2018.8.7.
사회재난, 빈도 늘고 피해 규모 대형화 [제천 화재 1년, 우리는 얼마나 달라졌나], 세계일보,
2018.12.23
홍대입구역, 지하철 갈아타는 시간 가장 길어, NEWSIS, 2016.12.28수정
https://namu.wiki/w/%ED%99%8D%EB%8C%80%EC%9E%85%EA%B5%AC%E
C%97%AD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612&cid=59277&categoryId=5
927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4836&cid=40942&categoryId=3
2828

참고문헌 7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8743&cid=60016&categoryId=6
0016
http://www.motionanalysis.co.kr/kwa-13873-10
https://namu.wiki/w/%EC%9C%A0%EB%8B%88%ED%8B%B0(%EA%B2%8C%
EC%9E%84%20%E C%97%94%EC%A7%84)의 개요 부분 인용

80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간 행태 분석


서지자료
1. 출판물 고유번호 2. 사업분류 3. 발행일
KICT 2019-046 주요사업(창의시드형) 2019. 12. 31.
4. 제목/부재 5. 연구수행기간
긴급상황 대피경로 유도시스템 개발을 위한 2018. 5. 1. ~ 2019. 12. 31.
인간 행태 분석
6. 연구수행기관 7. 연구 수행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창균, 박범진, 김영민, 김지수

8. 수행기관 주소 9. 연구의뢰기관 및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해당없음
10. 공동 수행기관 11. 계약 또는 인가번호
해당없음 해당없음
12. 초 록
본 연구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이 발현되는 실내 긴급상황의 안전한 대피를 가능케 하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지하공간은 긴급상황 발생시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가 다수 발생하며, 이때 안내체계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대형 인명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시 인간은
이성적 판단 및 행동보다는 본능적 행동이 발현되어 일상적인 안내체계로는 정상적인 대피
유도가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 지하복합공간 개발이 다수 진행되고 있는 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이 발현되어도 자연적으로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대피경로 유도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VR을 이용한 긴급상황 재현, 동작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긴급상황시 인간의 본능적
행태 분석, 인간 행태를 고려한 긴급상황 경로안내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 도출, 향후
확대연구 방향 정립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기준 사상자의 약 20%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3. 키워드
긴급상황, 보행, 인간행태, 동작분석, 대피, 유도시스템
14. 기타사항
해당없음
15. 비밀구분 16. 총면수 17. 발행부수 18. 가격
공개 80
Bibliographic Data
1. Report ID 2. Project Classification 3. Report Date
KICT 2019-046 Internal Research Project December 31st, 2019
4. Title 5. Research Period
Human Behavior Analysis for a Pedestrian May 1st, 2018 ~ December 31st, 20189
Guidance System in Emergency Evacuation
6. Performing Organization 7. Author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Roh Chang-gyun, Park Bum-jin,
Building Technology Kim Youngmin, Kim Jisoo
8. Performing Organization Address 9. Sponsoring Agency
283 Goyangdae-ro, Ilsanseo-gu, Goyang City, None
Republic of Korea
10. Joint Research Organization 11. Contract or Grant No.
None None
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riginal technology to enable safe evacuation of indoor
emergency situation where human instinctive behavior is manifest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nderground space can not secure visibility in case of an emergency.
In this case, the guidance system can not exert its function and the possibility of a large personal
accident is very high. Also, when an emergency occurs, humans exhibit instinctive behaviors rather than
rational judgments and behaviors, and normal evacuation guidance is very difficult to induce normal
evacuation. Many large underground complex spaces are under development, and a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s needed for natural evacuation guidance even if human instinctive behavior is
manifested.
To do this, we conducted a study on the emergency situation recreation using VR, analysis of human
instinctual behaviors in case of an emergency using motion analysis system, kinds of emergency route
guidance facilities considering human behavior, .
This is expected to reduce about 20% of the current standard casualties.

13. Keywords
Emergency, Pedestrian, Human Behavior, Motion Analysis, Emergency Evacuation, Guidance System
14. Supplementary Notes
None
15. Security Class 16. No. of Pages 17. Circulation 18. Price
Unclassified 80
주의사항
1. 이 보고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수행한
주요사업(창의시드형)의 연구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
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KICT 2019-046

보고서 제목
■발행일 / 2019. 12. 31
■발행인 / 한승헌
■발행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번지
TEL : (031) 9100-114
www.kict.re.kr
■인쇄처 / 세창문화사

You might also like